KR20170099342A -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9342A
KR20170099342A KR1020160090161A KR20160090161A KR20170099342A KR 20170099342 A KR20170099342 A KR 20170099342A KR 1020160090161 A KR1020160090161 A KR 1020160090161A KR 20160090161 A KR20160090161 A KR 20160090161A KR 20170099342 A KR20170099342 A KR 20170099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yment
user
cu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9668B1 (ko
Inventor
최건
존 에드워드 밀번
Original Assignee
최건
존 에드워드 밀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건, 존 에드워드 밀번 filed Critical 최건
Publication of KR20170099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H04B5/003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개인과 개인 간에 계좌이체와 상품구매에 따른 결제 시 기존의 공인인증서, OTP, 실물카드, 카드결제단말 등과 같은 결제처리를 위한 수단과 이를 이용한 복잡한 절차 없이 사용자의 편의성과 금융거래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킨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과 개인 간에 계좌이체와 상품구매에 따른 결제 시 기존의 공인인증서, OTP, 실물카드, 카드결제단말 등과 같은 결제처리를 위한 수단과 이를 이용한 복잡한 절차 없이 사용자의 편의성과 금융거래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FUND TRANSACTION OF FACE TO FACE MEETING BETWEEN INDIVIDUAL}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및 데이터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터넷을 통한 공문서 발급, 뱅킹, 쇼핑, 증권 거래 등의 서비스가 온라인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인증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공인인증서(Certificate)는 온라인에서 사용자의 신원 확인을 위해 공인인증기관(CA: Certificate Authority)이 발생하는 전자적 정보이다.
이러한 공인인증서는 일반적으로 컴퓨터나 스마트 기기의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등에 저장되는데, 이로 인해 비밀번호의 노출이나 해킹 등의 우려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금융 거래시 금융 기관으로부터 오프라인으로 발급받은 금융보안카드에 기록된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공인인증서와 함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금융거래시마다 금융보안카드를 확인해야 하고 금융보안카드 분실시에는 금융거래를 수행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금융기관을 방문하여 재발급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일회용 패스워드를 사용하는 OTP(One Time Password)가 제시되었다. OTP는 공인인증서에 대한 사용자 확인을 위해 생성되는 1회성 패스워드이다.
그러나, OTP는 금융기관으로부터 발급받는데 발급 비용이 발생하고 금융 거래를 위해선 휴대해야 하므로 분실의 우려가 있으며 범죄에 악용될 여지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82253호(등록일자: 2010년09월08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개인과 개인 간에 계좌이체와 상품구매에 따른 결제 시 기존의 공인인증서, OTP, 실물카드, 카드결제단말 등과 같은 결제처리를 위한 수단과 이를 이용한 복잡한 절차 없이 사용자의 편의성과 금융거래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킨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 제2 결제 어플리케이션, 및 결제 처리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제1 사용자로부터 입금액을 포함하는 입금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금정보를 포함하는 큐-링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결제 처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큐-링크 정보를 변환한 식별코드를 출력하고, 상기 제2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제2 사용자로부터 결제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큐-링크 정보를 획득하고, 입력된 상기 결제정보와 획득한 상기 큐-링크 정보를 상기 결제 처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결제 처리 서버는, 상기 제1 및 제2 결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큐-링크 정보와 상기 결제정보를 기초로 금융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 간의 자금거래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제정보는 출금계좌정보 및 신용카드정보 중의 하나인 결제수단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제 처리 서버는,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의 사용자정보 및 은행계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결제 처리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및 제2 사용자의 은행계좌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및 제2 결제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코드는, QR 코드, 바코드 및 NFC 태그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결제정보를 상기 결제 처리 서버로 전송하기 이전에, 상기 제2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사용자의 인증정보는 비밀번호 및 생체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제 처리 서버는, 상기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2 결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각각 수신된 상기 큐-링크 정보들을 서로 매칭하여 일치하는 큐-링크 정보를 찾기 위한 큐-링크 매칭부; 및 서로 매칭하여 일치된 큐-링크 정보 및 해당 결제정보를 기초로 금융서버와 연동하여 자금거래를 처리하기 위한 결제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사용자의 제1 휴대 단말, 제2 사용자의 제2 휴대 단말 및 결제 처리 서버를 이용하여 개인 간 자금거래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휴대 단말이, 입력된 입금액을 포함하는 입금정보에 기초한 큐-링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결제 처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큐-링크 정보를 변환한 식별코드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2 휴대 단말이, 상기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큐-링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휴대 단말이, 결제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결제정보와 획득한 큐-링크 정보를 상기 결제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처리 서버가, 상기 제1 및 제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큐-링크 정보와 상기 결제정보를 기초로 금융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 간의 자금거래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과 개인 간에 계좌이체와 상품구매에 따른 결제 시 기존의 공인인증서, OTP, 실물카드, 카드결제단말 등과 같은 결제처리를 위한 수단과 이를 이용한 복잡한 절차 없이 사용자의 편의성과 금융거래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금정보 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정보 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금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간 대면식 계좌이체 및 구매결제에 따른 무통장입금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간 대면식 카드결제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개인간 계좌이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소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개인간 계좌이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통한 자금 이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금정보 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정보 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시스템(1000)은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100), 제2 결제 어플리케이션(200) 및 결제 처리 서버(3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100)는, 제1 사용자(1)로부터 입금액을 포함하는 입금정보를 입력받고, 입금정보에 기초한 큐-링크 정보를 생성하여 결제 처리 서버(300)로 전송하고, 생성된 큐-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코드를 생성하며, 생성된 식별코드를 제1 휴대 단말(10)을 통해 표시 또는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1)는,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중 계좌이체(또는 전자지갑)의 경우 다른 사용자(또는 제2 사용자)로부터 미리 약속된 금액을 받는 자를 의미하고, 상품구매에 따른 결제 시 판매자에 해당되며 구매자(또는 제2 사용자)로부터 상품판매금액을 받는 자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휴대 단말(10)은 제1 사용자(1)가 소지한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하고, QR 또는 바코 코드 스캔, NFC 및 블루투스(Bluetooth)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탑재되며, 지문이나 홍체 등의 생체정보를 인식하는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컴퓨터 장치를 의미하며, 제1 사용자(1)에 의해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이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100)는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입금정보 입력부(110), 큐-링크 정보 생성부(120), 큐-링크 정보 전송부(130) 및 식별코드 생성부(1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은 제1 사용자(1)에 대한 회원가입과 로그인 처리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입금정보 입력부(110)는 입금정보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1)로부터 입금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1 사용자(1)가 입력해야 할 입금정보는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가 계좌이체(또는 전자지갑)인지 아니면 상품판매에 따른 구매결제인지에 따라 약간의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금정보는 입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제1 입금정보, 제2 입금정보 및 제3 입금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입금액에 대한 정보가 제1 내지 제3 입금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입금정보는 제1 내지 제3 입금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입금정보 입력부(110)는 결제 종류 선택부(111), 제1 입금정보 입력부(112) 및 제2 입금정보 입력부(1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종류 선택부(111)는 결제 종류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개인간 계좌이체 및 구매 결제 중 어느 하나의 결제종류를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1)가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입금정보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결제 종류 선택부(111)는 계좌이체와 구매 결제에 대한 선택 버튼을 제공하여 제1 사용자(1)로 하여금 어떠한 결제 종류가 처리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1)가 계좌이체 선택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제1 입금정보 입력부(112)가 활성화되어 제1 입금정보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으며, 구매 결제 선택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제2 입금정보 입력부(113)가 활성화되어 제2 입금정보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제1 입금정보 입력부(112)는, 결제 종류 선택부(111)의 계좌이체 선택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활성화되며, 입금금액과 입금계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입금정보를 입력할 것을 제1 사용자(1)에게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사용자(1)로부터 제1 입금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제2 입금정보 입력부(113)는, 결제 종류 선택부(111)의 구매결제 선택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활성화되며, 주문번호, 상품정보, 입금금액 및 입금계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입금정보를 입력할 것을 제1 사용자(1)에게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사용자(1)로부터 제2 입금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주문번호는 제1 사용자(1)가 상품 주문 시 생성된 고유정보를 의미하며, 상품정보는 제2 사용자(2)가 구매할 해당 상품에 대한 고유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주문번호와 상품정보는, 제1 사용자(1)의 판매 관리를 위한 정보로 제1 사용자(1)에 의해 직접 입력되거나, 별도의 판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제2 입금정보 입력부(113)에 자동 입력될 수도 있다.
상기 큐-링크 정보 생성부(120)는 입금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입금정보에 기초하여 큐-링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큐-링크 정보는 입금정보뿐만 아니라, 암호화된 타임스탬프(timestamp), 암호화된 세션키(session key), 인증코드 메시지(message authentication code), 처리종류, 도메인 등과 같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타임스탬프는 특정 시점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의 로그인 시간, 입금정보 입력 시작 시간, 입금정보 입력 완료 시간 등 다양한 시점을 기준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처리종류는 결제 종류 선택부(111)를 통해 선택된 정보 즉 계좌이체인지 아니면 구매결제인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메인은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의 도메인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큐-링크 정보 생성부(120)는 암호화된 타임스탬프(timestamp), 암호화된 세션키(session key), 인증코드 메시지(message authentication code), 처리종류, 도메인 등과 같이 제1 사용자(1)의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의 결제 처리와 관련된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제2 사용자(2)의 입금 처리를 위한 입금정보를 추가하여 큐-링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큐-링크 정보는 제1 및 제2 사용자(1, 2) 간의 결제 처리를 위해 다양한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생성되는 식별력 있는 고유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큐-링크 정보 전송부(130)는 큐-링크 정보 생성부(120)를 통해 생성된 큐-링크 정보를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결제 처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큐-링크 정보 전송부(130)는 큐-링크 정보를 소정의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결제 처리 서버로 해당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식별코드 생성부(140)는 큐-링크 정보 생성부(120)를 통해 생성된 큐-링크 정보를 QR 코드 또는 바코드 형태로 생성하여 제1 휴대 단말(10)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거나, NFC 태그 정보의 형태로 출력함으로써 NFC 리더 기능이 탑재된 제2 휴대 단말(2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식별코드 생성부(140)는 식별코드를 QR 코드, 바코드, 및 NFC 태그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제2 휴대 단말(20)로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식별코드로도 생성 가능하다.
상기 제2 결제 어플리케이션(200)는, 제2 사용자(2)로부터 결제정보를 입력 받고,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을 통해 생성된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큐-링크 정보를 획득하고, 입력된 결제정보와 획득한 큐-링크 정보를 결제 처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2)는,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중 계좌이체(또는 전자지갑)의 경우 제1 사용자(1)에게 미리 약속된 금액을 주는 자를 의미하고, 상품구매에 따른 결제 시 구매자에 해당되며 판매자(또는 제1 사용자)에게 비용결제에 대한 대가로 상품을 받는 자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 휴대 단말(20)은 제2 사용자(2)가 소지한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하고, QR 또는 바코드 스캔, NFC, 블루투스(Bluetooth) 기능이 탑재되며, 지문 인식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컴퓨터 장치를 의미하며, 제2 사용자(2)에 의해 제2 결제 어플리케이션(200)이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제 어플리케이션(200)는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큐-링크 정보 획득부(210), 결제정보 입력부(220), 사용자 인증부(230) 및 큐-링크 및 결제정보 전송부(2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결제 어플리케이션(200)은 제2 사용자(2)에 대한 회원가입과 로그인 처리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큐-링크 정보 획득부(210)는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을 통해 출력되는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스캔된 식별코드에 포함된 큐-링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큐-링크 정보 획득부(210)는 식별코드가 QR 또는 바코드인 경우 제2 휴대 단말(2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해당 식별코드를 스캔할 수 있고, 식별코드가 NFC 태그 정보인 경우 NFC 리더 기능을 이용하여 해당 식별코드를 수신함으로써 스캔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식별코드가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출력되는 경우 이와 대응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통해 식별코드를 수신하여 스캔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결제정보 입력부(220)는 결제정보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2)로부터 결제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결제정보는 결제수단과 관련된 결제수단정보를 포함하며, 출금액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제수단정보는 출금계좌정보, 카드정보, 및 전자지갑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출금계좌정보는 출금할 제2 사용자의 은행명, 은행계좌번호 등 출금 시 이용되는 계좌정보를 의미하며, 신용카드정보는 신용카드나 체크카드의 카드번호, 회사명, 유효기간 등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결제 시 이용되는 카드정보를 의미하며, 전자지갑정보는 전자지갑 결제시 이용되는 전자지갑의 아이디, 전자지갑과 연동된 계좌정보, 전자지갑과 연동된 카드정보 등을 의미한다.
한편, 다음의 실시예처럼 결제정보는 제1 결제정보, 제2 결제정보, 및 제3 결제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결제정보는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가 계좌이체(또는 전자지갑)인지 아니면 상품판매에 따른 구매결제인지에 따라 약간의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제정보 입력부(220)는 결제 종류 선택부(221), 결제 수단 선택부(222), 제1 결제정보 입력부(223), 제2 결제정보 입력부(224) 및 제3 결제정보 입력부(22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종류 선택부(221)는, 결제 종류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개인간 계좌이체 및 구매 결제 중 어느 하나의 결제종류를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2)가 해당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결제정보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결제 종류 선택부(221)는 계좌이체와 구매 결제에 대한 선택 버튼을 제공하여 제2 사용자(2)로 하여금 어떠한 결제 종류가 처리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2 사용자(2)가 계좌이체 선택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제1 결제정보 입력부(223)이 활성화되어 제1 결제정보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으며, 구매 결제 선택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결제 수단 선택부(222)가 활성화되어 무통장입금 또는 카드 결제 중 어떠한 결제 수단을 통해 결제를 처리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한다.
상기 결제 수단 선택부(222)는, 제2 사용자(2)가 구매 결제 선택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활성화되어 결제 수단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무통장입금 결제 선택 버튼과 카드 결제 선택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2 사용자(2)가 무통장입금 결제 선택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제2 결제정보 입력부(223)가 활성화되어 제2 결제정보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고, 카드 결제 선택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제2 결제정보 입력부(224)가 활성화되어 제3 결제정보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제정보 입력부(223)는, 결제 종류 선택부(221)를 통해 개인간 계좌이체 선택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출금금액과 출금계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결제정보를 입력할 것을 제2 사용자(2)에게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사용자(2)로부터 제1 결제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제2 결제정보 입력부(224)는, 결제 수단 선택부(222)의 무통장입금 결제 선택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출금금액과 출금계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결제정보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미리 획득한 큐-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구매 상품에 대한 주문번호와 상품정보가 출력되어 제2 사용자(2)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3 결제정보 입력부(225)는, 결제 수단 선택부(222)의 카드 결제 선택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카드명, 카드번호, 결제금액과 카드연동계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3 결제정보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증부(230)는 결제정보 입력부(220)를 통해 제2 사용자(2)로부터 결제정보를 입력받으면, 결제정보를 결제 처리 서버로 전송하기 이전에 제2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입력받아 제2 사용자(2)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제2 사용자의 인증정보는 비밀번호 및 생체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비밀번호는 사용자의 비밀번호, 은행계좌의 비밀번호, 공인인증서의 비밀번호, 자금 이체를 위한 비밀번호, 및 카드의 비밀번호 중의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생체정보는 지문, 족문, 홍체, 혈관, 및 안면영상 중의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휴대 단말(20)의 지문 인식부(미도시)을 통해 지문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지문 인식 기능이 지원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지문 데이터와 사용자 비밀번호는 제2 결제 어플리케이션(200)의 최초 등록 시 제2 사용자(2)로부터 입력 받아 미리 등록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큐-링크 및 결제정보 전송부(240)는, 사용자 인증부(230)를 통해 사용자 인증이 정상 처리되면, 큐-링크 정보 획득부(210)를 통해 획득한 큐-링크 정보와 결제정보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된 결제정보를 결제 처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큐-링크 및 결제정보 전송부(240)는 큐-링크 정보와 결제 정보를 소정의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결제 처리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결제 처리 서버(300)는,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100)과 제2 결제 어플리케이션(200)으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큐-링크 정보와 결제정보를 기초로 금융서버(30)와 연동하여 제1 및 제2 사용자(1, 2) 간의 자금거래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처리 서버(300)는 제1 및 제2 사용자의 사용자정보 및 결제계좌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결제 처리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및 제2 사용자의 결제계좌에 대한 정보는 제1 및 제2 결제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제계좌에 대한 정보는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은행의 계좌정보 및 카드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기본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각 사용자는 게좌정보나 카드정보를 입력하지 않고도 기본정보로 저장된 계좌정보나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개인간의 자금거래를 처리할 수도 있으며,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에 계좌정보나 카드정보를 입력하여 개인간의 자금거래를 처리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결제 처리 서버(300)는 큐-링크 매칭부(310)와 결제 처리부(3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큐-링크 매칭부(310)는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100)과 제2 결제 어플리케이션(200)으로부터 각각 수신된 큐-링크 정보들을 서로 매칭하여 서로 일치하는 큐-링크 정보를 찾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큐-링크 매칭부(310)는, 제1 및 제2 사용자(1, 2) 간의 올바른 거래 처리 업무를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에서 먼저 등록한 큐-링크 정보에서 제2 결제 어플리케이션(200)을 통해 나중에 입력된 큐-링크 정보와 일치하는 큐-링크 정보를 찾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결제 어플리케이션(100, 200)으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큐-링크 정보는 서로 동일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정보 비교를 통해 매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처리부(320)는, 큐-링크 매칭부(310)를 통해 서로 매칭된 큐-링크 정보 및 해당 결제정보를 기초로 금융서버(30)와 연동하여 제1 및 제2 사용자(1, 2)가 원하는 자금거래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처리 서버(300)는 제1 및 제2 사용자(1, 2) 간의 자금거래에 대한 처리 결과를 제1 및 제2 휴대 단말(10, 20)을 통해 제1 및 제2 결제 어플리케이션(100, 200)으로 각각 통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체 처리 서버(300)의 자금거래가 정상적으로 처리된 경우 제1 휴대 단말(10)로 입금/결제에 대한 승인을 알리는 제1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며, 제2 휴대 단말(20)로 출금/결제에 대한 승인을 알리는 제2 승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처리 서버(300)는, 자금거래가 정보의 오류 등으로 인해 비정상적으로 처리된 경우 제1 휴대 단말(10)로 입금/결제에 대한 승인실패를 알리는 제1 승인실패 메시지를 전송하며, 제2 휴대 단말(20)로 출금/결제에 대한 승인실패를 알리는 제2 승인실패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승인실패 메시지는 승인실패의 이유나 오류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금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방법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발명이므로 상세한 설명 및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 방법(S500)은, 상술한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시스템(1000)의 제1 휴대 단말(10)에 설치된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100), 제2 휴대 단말(20)에 설치된 제2 결제 어플리케이션(200)과 결제 처리 서버(300)를 이용하여 개인 간 자금거래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입금정보 입력 단계(S510), 큐-링크 생성/전송 및 식별코드 생성 단계(S520), 식별코드 스캔 및 큐-링크 획득 단계(S530), 결제 정보 입력 단계(S540), 사용자 인증 단계(S550), 큐-링크 전송 단계(S560) 및 개인 간 자금거래 처리 단계(S57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금정보 입력 단계(S510)에서는, 제1 사용자(1)가 제1 휴대 단말(10)에 설치된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1)로부터 입금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금정보 입력 단계(S510)에서는, 우선 개인간 계좌이체, 구매 결제, 및 전자지갑 결제 중 어느 하나의 결제수단이나 결제종류를 선택받을 수 있다(S511). 예를 들어, 제1 사용자(1)가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입금정보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계좌이체(또는 전자지갑)와 구매 결제에 대한 선택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어떠한 결제 종류가 처리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사용자(1)가 계좌이체 선택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제1 입금정보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으며, 구매 결제 선택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제2 입금정보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계좌이체(또는 전자지갑)의 경우 제1 사용자(1)가 제2 사용자(2)에 미리 약속된 금액을 이체 받는 경우로서 제1 사용자(1)가 입금금액과 입금계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제1 입금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512). 구매 결제의 경우 제1 사용자(1)가 상품 판매 금액을 결제받기 위한 경우로서 입금금액 및 입금계좌와 더불어 주문번호 상품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입금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513). 여기서 주문번호는 제1 사용자(1)가 상품 주문 시 생성된 고유정보를 의미하며, 상품정보는 제2 사용자(2)가 구매할 해당 상품에 대한 고유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주문번호와 상품정보는, 제1 사용자(1)의 판매 관리를 위한 정보로 제1 사용자(1)를 통해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으나, 별도의 판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자동으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상기 큐-링크 생성/전송 및 식별코드 생성 단계(S520)에서는, 입금정보 입력 단계(S510)를 통해 입력된 입금정보에 기초하여 큐-링크 정보를 생성하여 결제 처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큐-링크 정보는 입금정보뿐만 아니라, 암호화된 타임스탬프(timestamp), 암호화된 세션키(session key), 인증코드 메시지(message authentication code), 처리종류, 도메인 등과 같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타임스탬프는 특정 시점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의 로그인 시간, 입금정보 입력 시작 시간, 입금정보 입력 완료 시간 등 다양한 시점을 기준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처리종류는 입금정보 입력 단계(S510)를 통해 선택된 정보 즉 계좌이체인지 아니면 구매결제인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메인은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의 도메인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큐-링크 생성/전송 및 식별코드 생성 단계(S520)에서는, 암호화된 타임스탬프(timestamp), 암호화된 세션키(session key), 인증코드 메시지(message authentication code), 처리종류, 도메인 등과 같이 제1 사용자(1)의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의 결제 처리와 관련된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제2 사용자(2)의 입금 처리를 위한 입금정보를 추가하여 큐-링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큐-링크 정보는 제1 및 제2 사용자(1, 2) 간의 결제 처리를 위해 다양한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생성되는 식별력 있는 고유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큐-링크 생성/전송 및 식별코드 생성 단계(S520)에서는 생성된 큐-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큐-링크 생성/전송 및 식별코드 생성 단계(S520)에서는, 큐-링크 정보를 QR 또는 바코드 형태로 생성하여 제1 휴대 단말(10)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거나, NFC 태그 정보의 형태로 생성하여 NFC 리더 기능이 탑재된 제2 휴대 단말(2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큐-링크 생성/전송 및 식별코드 생성 단계(S520)에서는 식별코드를 QR 또는 바코드나 NFC 태그 정보의 형태로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제2 휴대 단말(20)로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식별코드로도 생성 가능하다.
상기 식별코드 스캔 및 큐-링크 획득 단계(S530)에서는, 제1 휴대 단말(10)을 통해 출력되는 식별코드를 제2 휴대 단말(20)을 통해 스캔하여 큐-링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휴대 단말(10)을 통해 출력되는 식별코드가 QR 또는 바코드인 경우 제2 휴대 단말(2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해당 식별코드를 스캔할 수 있고, 식별코드가 NFC 태그 정보인 경우 제2 휴대 단말(20)의 NFC 리더 기능을 이용하여 해당 식별코드를 수신함으로써 스캔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식별코드가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출력되는 경우 이와 대응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통해 식별코드를 수신하여 스캔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정보 입력 단계(S540)에서는, 결제정보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2)로부터 결제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결제정보는 결제수단과 관련된 결제수단정보를 포함하며, 출금액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제수단정보는 출금계좌정보, 카드정보, 및 전자지갑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출금계좌정보는 출금할 제2 사용자의 은행명, 은행계좌번호 등 출금 시 이용되는 계좌정보를 의미하며, 신용카드정보는 신용카드나 체크카드의 카드번호, 회사명, 유효기간 등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결제 시 이용되는 카드정보를 의미하며, 전자지갑정보는 전자지갑의 아이디, 전자지갑과 연동된 계좌정보, 전자지갑과 연동된 카드정보 등 전자지갑 결제시 이용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한편, 다음의 실시예처럼 결제정보는 제1 결제정보, 제2 결제정보, 및 제3 결제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제 정보 입력 단계(S540)에서는, 우선 개인간 계좌이체 및 구매 결제 중 어느 하나의 결제종류를 선택받을 수 있다(S541). 예를 들어 제2 사용자(2)가 해당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결제정보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계좌이체와 구매 결제에 대한 선택 버튼을 제공하여 제2 사용자(2)로 하여금 어떠한 결제 종류가 처리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2 사용자(2)가 계좌이체 선택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제1 결제정보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으며(S542), 구매 결제 선택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무통장입금 또는 카드 결제 중 어떠한 결제 수단을 통해 결제를 처리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한다(S543).
제2 사용자(2)가 구매 결제 선택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결제 수단을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무통장입금 결제 선택 버튼과 카드 결제 선택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S543). 이때 제2 사용자(2)가 무통장입금 결제 선택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제2 결제정보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고(S544), 카드 결제 선택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제3 결제정보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S545).
제1 결제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경우 출금금액과 출금계좌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도록 하고, 제2 결제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경우 또한 출금금액과 출금계좌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도록 하며, 제3 결제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경우 카드명, 카드번호, 결제금액과 카드연동계좌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제정보와 제2 결제정보가 포함하는 내용이 서로 실질적으로 차이가 없을 수는 있으나, 제1 결제정보는 개인간 계좌이체(또는 전자지갑)를 위해 필요한 정보이며 제2 결제정보는 상품 구매 시 결제를 무통장입금 방식으로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로서 차이가 있으며, 특히 제2 결제정보의 입력 시 제2 사용자(2)가 구매한 상품에 대한 주문번호와 상품정보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주문번호와 상품정보는 식별코드 스캔 및 큐-링크 획득 단계(S530)를 통해 획득한 큐-링크 정보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 단계(S550)에서는, 결제 정보 입력 단계(S540)를 통해 입력된 결제정보와 식별코드 스캔 및 큐-링크 획득 단계(S530)를 통해 획득한 큐-링크 정보를 결제 처리 서버(300)로 전송하기 이전에, 제2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입력받아 제2 사용자(2)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사용자의 인증정보는 비밀번호 및 생체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비밀번호는 사용자의 비밀번호, 은행계좌의 비밀번호, 공인인증서의 비밀번호, 자금 이체를 위한 비밀번호, 및 카드의 비밀번호 중의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생체정보는 지문, 족문, 홍체, 혈관, 및 안면영상 중의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휴대 단말(20)의 지문 인식부(미도시)을 통해 지문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지문 인식 기능이 지원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지문 데이터와 사용자 비밀번호는 제2 결제 어플리케이션(200)의 최초 등록 시 제2 사용자(2)로부터 입력 받아 미리 등록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큐-링크 전송 단계(S560)에서는, 사용자 인증 단계(S550)를 통해 제2 사용자(2)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결제 정보 입력 단계(S540)를 통해 입력된 결제정보와 식별코드 스캔 및 큐-링크 획득 단계(S530)를 통해 획득한 큐-링크 정보를 결제 처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개인 간 자금거래 처리 단계(S570)에서는, 제1 휴대 단말(10)과 제2 휴대 단말(20)으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큐-링크 정보와 결제정보를 기초로 금융서버(30)와 연동하여 제1 및 제2 사용자(1, 2) 간의 자금거래를 처리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개인 간 자금거래 처리 단계(S570)에서는, 제1 휴대 단말(10)로부터 수신된 큐-링크 정보와 제2 휴대 단말(20)로부터 수신된 큐-링크 정보를 서로 매칭하여 서로 일치하는 큐-링크 정보 간의 자금거래에 대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큐-링크 정보를 매칭하는 단계는, 제1 및 제2 사용자(1, 2) 간의 올바른 거래 처리 업무를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 제1 휴대 단말(10)을 통해 먼저 등록한 큐-링크 정보에서 제2 휴대 단말(20)을 통해 나중에 입력된 큐-링크 정보와 일치하는 큐-링크 정보를 찾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휴대 단말(10, 20)으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큐-링크 정보는 서로 동일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정보 비교를 통해 매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개인 간 자금거래 처리 단계(S570)에서는, 제1 및 제2 사용자(1, 2) 간의 자금거래에 대한 처리 결과를 제1 및 제2 휴대 단말(10, 20) 로 각각 통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사용자(1, 2) 간의 자금거래가 정상적으로 처리된 경우 제1 휴대 단말(10)로 입금/결제에 대한 승인을 알리는 제1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며, 제2 휴대 단말(20)로 출금/결제에 대한 승인을 알리는 제2 승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자금거래가 정보의 오류 등으로 인해 비정상적으로 처리된 경우 제1 휴대 단말(10)로 입금/결제에 대한 승인실패를 알리는 제1 승인실패 메시지를 전송하며, 제2 휴대 단말(20)로 출금/결제에 대한 승인실패를 알리는 제2 승인실패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승인실패 메시지는 승인실패의 이유나 오류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간 대면식 계좌이체 및 구매결제에 따른 무통장입금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제1 사용자(1)는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을 실행하여 입금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①). 다음,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은 입금정보를 기반으로 큐-링크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결제 처리 서버(300)에 등록할 수 있다(②). 다음,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은 큐-링크를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코드로서 QR 또는 바코드를 생성하여 출력하거나, NFC 태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③). 다음, 제2 사용자(2)는 제2 결제 어플리케이션(200)을 실행하고 QR 또는 바코드를 스캔하거나, 휴대 단말간 접촉을 통해 NFC 태그 정보를 읽어옴으로써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으로부터 큐-링크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④). 다음, 제2 사용자(2)는 결제정보를 입력한 후 지문인식 또는 비밀번호 입력을 통한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⑤). 다음, 제2 결제 어플리케이션(200)은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큐-링크 정보와 결제정보를 결제 처리 서버(300)로 전송하고, 결제 처리 서버(300)는 금융서버와 연동하여 계좌이체(또는 전자지갑)이나 무통장입금 등의 결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⑥). 이후, 제1 및 제2 사용자(1, 2)는 결제 처리 서버(300)로부터 입출금 승인/승인실패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하여 각각 확인할 수 있다(⑦,⑧).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간 대면식 카드결제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제1 사용자(판매자)(1)는 제2 사용자(구매자)(2)가 구매한 상품을 배달한다(①). 다음, 제1 사용자(판매자)(1)는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을 실행하고 입금정보를 입력한다(②). 이때 입금정보는 주문번호, 상품정보, 입금금액(판매금액), 입금계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제1 사용자(판매자)(1)는 입력된 입금정보를 포함하는 큐-링크 정보를 생성하고 결제 처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③). 다음, 제1 사용자(판매자)(1)는 생성된 큐-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QR 또는 바코드 또는 NFC 태그 정보를 생성하여 제1 휴대 단말(1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④). 다음, 제2 사용자(구매자)(2)는 제2 결제 어플리케이션(200)을 실행시켜 제1 휴대 단말(10)을 통해 출력되는 QR 또는 바코드를 스캔하거나, 휴대 단말간 접촉을 통해 NFC 태그 정보를 읽어옴으로써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으로부터 큐-링크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⑤). 다음, 제2 사용자(구매자)(2)는 결제수단을 선택하고,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⑥). 다음, 결제 처리 서버(300)는 제1 사용자(판매자)(1)가 요청한 결제를 승인하고, 제1 사용자(판매자)(1)는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을 통해 결제완료를 확인할 수 있다(⑦). 이후, 제2 사용자(구매자)(2)는 제1 사용자(판매자)(1)로부터 상품을 수령할 수 있다(⑧).
도 10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개인간 계좌이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소개하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개인간 계좌이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통한 자금 이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개인간 계좌이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스마트 폰과 계좌이체 어플리케이션(즉, FASSKEY PAY & BANK)을 이용한 개인과 개인간의 이체 실행 방법이고, 식별코드나 NFC를 이용하여 사용자간 계좌이체를 실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개인간 계좌이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개인과 개인간의 계좌이체도 QR 코드나 바코드와 같은 식별코드 또는 NFC로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개인간 계좌이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회원 간에 식별코드나 NFC를 통하여 간단하게 자금이체가 가능하며, 생성한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간단하게 자금이체를 근거리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으며, 회원간의 식별코드 메시지 전송을 통해 가장 강력한 보안이체를 가장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개인간 계좌이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통한 자금 이체 프로세스(P2P face to face transfer P2PT Protocol Flow)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우선 제1 사용자(User A)가 자신의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제2 사용자(User B)의 제2 사용자 단말로 자금을 보내는 경우, 계좌이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간의 계좌 이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각각 계좌이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제2 사용자 단말은 자금을 요청(입력)하고, 계좌이체 어플리케이션이 특정 식별코드(qlink)를 생성하는 과정, 계좌이체 어플리케이션이 메인 블랙박스 서버(MBB)에 식별코드를 보내는 과정, 제1 사용자 단말이 식별코드나 NFC 태그를 스캔하여 식별코드를 얻는 과정, 제1 사용자 단말이 금액과 결제수단을 확인하고 메인 블랙박스 서버에 보내는 과정, 메인 블랙박스 서버가 결제를 확인하는 과정, 메인 블랙박스 서버는 결제영수증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한편, 도면에서의 A는 Air connection, camera scan or NFC connection이고, T는 TLE protocol이며, P는 App operation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개인간 계좌이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식별코드를 통한 다양한 결제분야 활용되면서 단 한번의 식별코드 스캔으로 결제가 완료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개인간 계좌이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어플 회원 간은 식별코드나 NFC를 통하여 간단하게 자금이체가 가능하며, 생성한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간단하게 자금이체를 근거리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으며, 회원 간의 식별코드 메시지 전송을 통해 가장 강력한 보안이체를 가장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시스템
100: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
110: 입금정보 입력부
111: 결제종류 선택부
112: 제1 입금정보 입력부
113: 제2 입금정보 입력부
120: 큐-링크 정보 생성부
130: 큐-링크 정보 전송부
140: 식별코드 생성부
200: 제2 결제 어플리케이션
210: 큐-링크 정보 획득부
220: 결제정보 입력부
221: 결제종류 선택부
222: 결제수단 선택부
223: 제1 결제정보 입력부
224: 제2 결제정보 입력부
225: 제3 결제정보 입력부
230: 사용자 인증부
240: 큐-링크 및 결제정보 전송부
300: 결제 처리 서버
310: 큐-링크 매칭부
320: 결제 처리부
1: 제1 사용자
2: 제2 사용자
10: 제1 휴대 단말
20: 제2 휴대 단말
30: 금융 서버

Claims (12)

  1.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 제2 결제 어플리케이션, 및 결제 처리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제1 사용자로부터 입금액을 포함하는 입금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금정보를 포함하는 큐-링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결제 처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큐-링크 정보를 변환한 식별코드를 출력하고,
    상기 제2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제2 사용자로부터 결제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큐-링크 정보를 획득하고, 입력된 상기 결제정보와 획득한 상기 큐-링크 정보를 상기 결제 처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결제 처리 서버는, 상기 제1 및 제2 결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큐-링크 정보와 상기 결제정보를 기초로 금융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 간의 자금거래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정보는 출금계좌정보, 카드정보, 및 전자지갑정보 중의 하나인 결제수단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처리 서버는,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의 사용자정보 및 결제계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결제 처리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및 제2 사용자의 결제계좌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및 제2 결제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
    QR 코드, 바코드 및 NFC 태그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결제정보를 상기 결제 처리 서버로 전송하기 이전에, 상기 제2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사용자의 인증정보는 비밀번호 및 생체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처리 서버는,
    상기 제1 결제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2 결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각각 수신된 상기 큐-링크 정보들을 서로 매칭하여 일치하는 큐-링크 정보를 찾기 위한 큐-링크 매칭부; 및
    서로 매칭하여 일치된 큐-링크 정보 및 해당 결제정보를 기초로 금융서버와 연동하여 자금거래를 처리하기 위한 결제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시스템.
  7. 제1 사용자의 제1 휴대 단말, 제2 사용자의 제2 휴대 단말 및 결제 처리 서버를 이용하여 개인 간 자금거래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휴대 단말이, 입력된 입금액을 포함하는 입금정보에 기초한 큐-링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결제 처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큐-링크 정보를 변환한 식별코드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2 휴대 단말이, 상기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큐-링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휴대 단말이, 결제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결제정보와 획득한 큐-링크 정보를 상기 결제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처리 서버가, 상기 제1 및 제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큐-링크 정보와 상기 결제정보를 기초로 금융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 간의 자금거래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정보는 출금계좌정보, 카드정보, 및 전자지갑정보 중의 하나인 결제수단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처리 서버는,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의 사용자정보 및 결제계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결제 처리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및 제2 사용자의 결제계좌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및 제2 휴대 단말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
    QR 코드, 바코드 및 NFC 태그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방법.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휴대 단말이 상기 결제정보와 상기 큐-링크 정보를 상기 결제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2 휴대 단말이 상기 제2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사용자의 인증정보는 비밀번호 및 생체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방법.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 간의 자금거래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큐-링크 정보와 상기 제2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큐-링크 정보를 상기 결제 처리 서버를 통해 서로 매칭하여 서로 일치하는 큐-링크 정보 간의 자금거래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방법.
KR1020160090161A 2016-02-23 2016-07-15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1020796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234 2016-02-23
KR20160021234 2016-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342A true KR20170099342A (ko) 2017-08-31
KR102079668B1 KR102079668B1 (ko) 2020-02-20

Family

ID=59761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161A KR102079668B1 (ko) 2016-02-23 2016-07-15 개인간 대면식 자금거래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6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33976A (zh) * 2018-06-25 2019-12-31 北京三快在线科技有限公司 虚拟资源转移方法与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9390A (ko) * 2005-09-09 2007-03-14 (주) 사이버패스 포스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수행방법 및 이를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0982253B1 (ko) 2010-01-19 2010-09-15 유승훈 개인식별매체를 이용한 온라인 정보입력 및 금융거래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온라인 정보입력 및 금융거래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140115861A (ko) * 2013-03-22 2014-10-01 주식회사스카이유엠에스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금융거래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9390A (ko) * 2005-09-09 2007-03-14 (주) 사이버패스 포스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수행방법 및 이를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0982253B1 (ko) 2010-01-19 2010-09-15 유승훈 개인식별매체를 이용한 온라인 정보입력 및 금융거래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온라인 정보입력 및 금융거래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140115861A (ko) * 2013-03-22 2014-10-01 주식회사스카이유엠에스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금융거래 서비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33976A (zh) * 2018-06-25 2019-12-31 北京三快在线科技有限公司 虚拟资源转移方法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668B1 (ko) 202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04947A1 (en) Device enrollment system and method
US11216803B2 (en) Authentication token for wallet based transactions
CN113507377B (zh) 用于使用基于交易特定信息的令牌和密码的交易处理的装置和方法
US116257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er initiated payment transaction using customer's mobile device and card
US9672518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improved transactions at a point of sale
US9846866B2 (en) Processing of financial transactions using debit networks
US20140100973A1 (en) Smartphone virtual payment card
CN109564659B (zh) 经由启用支付的移动设备中的钱包应用与卡发行方共享数据
US201502788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Authorisation of Payment
CN107004193A (zh) 交易授权
CN108292398A (zh) 利用增强的持卡人认证令牌
TWI734764B (zh) 多維條碼行動支付方法
KR20060034228A (ko) 전자 상거래 트랜잭션에서의 고객 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20150046328A1 (en) Secured point of sale transaction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CN112823368B (zh) 通过云生物特征标识和认证实现的令牌化非接触式交易
WO2020022001A1 (ja) 決済システム
WO2017029824A1 (ja) 携帯端末を利用した決済システムおよび決済方法
JP2014513825A5 (ko)
US20220005047A1 (en) Proof-of-age verification in mobile payments
CN110447213A (zh) 用于中继攻击检测的方法和系统
US20240078304A1 (en) Mobile user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210166215A1 (en) Method for performing a contactless payment transaction
GB2506421A (en) Electronic receipt
US20220291979A1 (en) Mobile application integration
WO2020100748A1 (ja) 認証サーバ、ユーザ端末、決済システム、決済方法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