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9340A - 온라인과 오프라인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과 오프라인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9340A
KR20170099340A KR1020160090159A KR20160090159A KR20170099340A KR 20170099340 A KR20170099340 A KR 20170099340A KR 1020160090159 A KR1020160090159 A KR 1020160090159A KR 20160090159 A KR20160090159 A KR 20160090159A KR 20170099340 A KR20170099340 A KR 20170099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cue
lin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9666B1 (ko
Inventor
최건
존 에드워드 밀번
Original Assignee
최건
존 에드워드 밀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건, 존 에드워드 밀번 filed Critical 최건
Publication of KR20170099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4Transactions dependent on location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G06Q50/2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결제 어플리케이션 및 결제 처리 서버를 이용하여 온/오프라인 상에서 상품 구매를 위한 결제를 처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온/오프라인 상에서 상품 구매의 결제에 대한 신속성, 편의성 및 보안성을 향상시킨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과 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례로,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온/오프라인 상의 판매 시스템으로부터 입금정보를 포함하는 큐-링크 정보가 식별코드로 변환되어 출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큐-링크 정보를 획득하고, 결제정보 및 획득한 상기 큐-링크 정보를 상기 결제 처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결제 처리 서버는, 상기 큐-링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판매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결제 처리 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큐-링크 정보와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큐-링크 정보 및 상기 결제정보에 기초하여 구매 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고, 상기 입금정보는 상품판매가격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정보는 결제수단정보를 포함하는 온/오프라인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온라인과 오프라인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BUYING AND PAYMENT OF ON AND OFF LIN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온/오프라인 상의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및 데이터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터넷을 통한 공문서 발급, 뱅킹, 쇼핑, 증권 거래 등의 서비스가 온라인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인증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공인인증서(Certificate)는 온라인에서 사용자의 신원 확인을 위해 공인인증기관(CA: Certificate Authority)이 발생하는 전자적 정보이다.
이러한 공인인증서는 일반적으로 컴퓨터나 스마트 기기의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등에 저장되는데, 이로 인해 비밀번호의 노출이나 해킹 등의 우려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금융 거래시 금융 기관으로부터 오프라인으로 발급받은 금융보안카드에 기록된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공인인증서와 함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금융거래시마다 금융보안카드를 확인해야 하고 금융보안카드 분실시에는 금융거래를 수행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금융기관을 방문하여 재발급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일회용 패스워드를 사용하는 OTP(One Time Password)가 제시되었다. OTP는 공인인증서에 대한 사용자 확인을 위해 생성되는 1회성 패스워드이다.
그러나, OTP는 금융기관으로부터 발급받는데 발급 비용이 발생하고 금융 거래를 위해선 휴대해야 하므로 분실의 우려가 있으며 범죄에 악용될 여지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7707호(공개일자: 2014년01월20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온/오프라인 상에서 상품 구매의 결제에 대한 신속성, 편의성 및 보안성을 향상시킨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과 그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결제 어플리케이션 및 결제 처리 서버를 이용하여 온/오프라인 상에서 상품 구매를 위한 결제를 처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온/오프라인 상의 판매 시스템에서 입금정보를 포함하는 큐-링크 정보가 식별코드로 변환되어 출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큐-링크 정보를 획득하고, 결제정보 및 획득한 상기 큐-링크 정보를 상기 결제 처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결제 처리 서버는, 상기 큐-링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판매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결제 처리 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큐-링크 정보와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큐-링크 정보 및 상기 결제정보에 기초하여 구매 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고, 상기 입금정보는 상품판매가격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정보는 결제수단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식별코드는, QR 코드, 바코드 및 NFC 태그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금정보는 입금계좌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제수단정보는 결제계좌정보 및 결제카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온라인 구매의 경우, 상기 결제정보는 배송지의 주소에 대한 배송지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처리 서버는 서브 블랙 박스와 메인 블랙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블랙 박스는, 상기 판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입금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큐-링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판매 시스템과 상기 메인 블랙 박스로 각각 전송하고, 상기 메인 블랙 박스는,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큐-링크 정보와 상기 결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브 블랙 박스와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각각 수신된 상기 큐-링크 정보를 서로 매칭하여 일치되는 큐-링크 정보 및 해당 결제정보를 기초로 금융서버와 연동하여 구매 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결제 처리 서버로부터 결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결제정보를 입력 받고,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입력 받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완료되면 상기 결제정보를 상기 결제 처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증정보는 비밀번호 및 생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처리 서버는 판매 시스템의 단말식별정보 및 결제계좌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결제계좌정보는 상기 판매 시스템의 운영자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 결제 처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결제 어플리케이션 및 결제 처리 서버를 이용하여 온/오프라인 상에서 상품 구매를 위한 결제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결제 처리 서버가 온/오프라인 상의 판매 시스템으로부터 상품판매가격정보를 포함하는 입금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입금정보를 포함하는 큐-링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판매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판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큐-링크 정보가 식별코드로 변환되어 출력되면,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큐-링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획득한 상기 큐-링크 정보 및 결제수단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상기 결제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처리 서버가, 상기 결제 처리 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큐-링크 정보,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큐-링크 정보, 및 상기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구매 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한다.
또한,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큐-링크 정보와 상기 결제정보를 상기 결제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결제 처리 서버로부터 결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결제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입력 받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증정보는 비밀번호 및 생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오프라인 상에서 상품 구매의 결제에 대한 신속성, 편의성 및 보안성을 향상시킨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과 그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프라인 상에서 실시되는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프라인 상에서 실시되는 구매 결제 처리 순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상에서 실시되는 구매 결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상에서 실시되는 PC 버전의 구매 결제 처리 순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상에서 실시되는 모바일 버전의 구매 결제 처리 순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 결제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통한 결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을 이용한 쇼핑 프로토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인터넷쇼핑몰 결제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인터넷쇼핑몰 결제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통합결제솔루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적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1000)은 결제 어플리케이션(100), 결제 처리 서버(200), 및 판매 시스템(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되며, 온/오프라인의 판매 시스템(30)으로부터 입금정보를 포함하는 큐-링크 정보가 식별코드로 변환되어 출력되면,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큐-링크 정보를 획득하고, 결제정보 및 획득한 큐-링크 정보를 결제 처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여기서, 입금정보는 상품판매가격정보를 포함하고, 결제정보는 결제수단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결제 처리 서버(200)은, 큐-링크 정보를 생성하여 판매 시스템(30)으로 전송하고, 결제 처리 서버(200)에서 생성된 큐-링크 정보와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으로부터 수신된 큐-링크 정보 및 결제정보에 기초하여 구매 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판매 시스템(30)은, 온/오프라인 상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종류, 수량, 가격 등에 대한 입금정보를 저장하고, 각 상품에 대한 판매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오프라인의 경우 매장의 판매 POS(point of sales) 단말(31)를 포함할 수 있고, 온라인의 경우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판매 POS 단말(31), 결제 어플리케이션(100)과 결제 처리 서버(200)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상에서 실시되는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1000)의 구성, 및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 결제 어플리케이션(100)과 결제 처리 서버(200)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상에서 실시되는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1000)의 구성을 구분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프라인 상에서 실시되는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1000)은 판매 POS(point of sales) 단말(31), 결제 어플리케이션(100)과 결제 처리 서버(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매 POS 단말(31)은, 오프라인 판매 매장에 설치되고, 리더(reader) 등을 이용하여 판매 상품 각각에 부착된 바코드 등으로부터 상품정보를 독출할 수 있는 수단일 수 있다. 상품정보는 해당 상품의 종류와 판매가격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매 POS 단말(31)은, 판매가격정보와 함께 판매 POS 단말(31)의 아이디, 판매 POS 단말(31)이 판매가격정보를 독출한 시간, 판매 POS 단말(31)이 처리하고자 하는 작업의 종류, 판매 POS 단말(31)의 관리서버 등에 대한 도메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결제 처리 서버(200)로 전송하면서 큐-링크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더불어, 판매 POS 단말(31)은 입금계좌정보를 더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입금계좌정보는 판매 POS 단말(31)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결제 처리 서버(200)에 판매 POS 단말(31)과 연동되는 계좌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입금계좌정보의 전송을 생략할 수도 있다.
한편, 판매 POS 단말(31)은 상품 바코드로부터 독출한 상품종류에 대한 정보는 해당 상품에 대한 판매 결제가 완료되면, 결제승인내역과 함께 별도의 판매 관리 서버로 전송되어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판매 POS 단말(31)은 결제 처리 서버(200)로부터 큐-링크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큐-링크 정보를 식별코드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판매 POS 단말(31)은 큐-링크 정보를 QR 코드, 바코드 및 NFC 태그정보 중 적어도 한 형태의 식별코드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판매 POS 단말(31)은, 식별코드를 QR 코드나 바코드의 형태로 변환하는 경우 변환한 식별코드를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고, NFC 태그정보의 형태로 변환하는 경우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은, 판매 POS 단말(31)로부터 출력되는 식별코드를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스캔하여 큐-링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은, 판매 POS 단말(31)의 화면을 통해 QR 코드 또는 바코드 형태의 식별코드가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의 스캔기능(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해당 식별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은, 판매 POS 단말(31)의 NFC 모듈을 통해 NFC 태그정보가 송출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10)의 NFC 모듈을 통해 해당 NFC 태그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해당 식별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은, 판매 POS 단말(31)로부터 획득한 큐-링크 정보를 결제 처리 서버(200)에 전송하여 결제 처리 서버(200)를 통해 큐-링크 정보에 대한 승인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은, 큐-링크 정보에 대한 승인 완료 시 결제 처리 서버(200)로부터 결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은 결제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또는 선택받은 후 사용자 인증 절차를 거쳐 결제 처리 서버(200)로 결제 승인을 알릴 수 있다.
상기 결제정보는 결제수단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결제수단정보는 결제계좌정보 및 결제카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계좌정보는 상품구매금액이 출금될 사용자의 은행계좌와 관련된 정보로, 은행계좌번호, 계좌비밀번호,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카드정보는 상품구매비용을 결제할 카드사, 카드번호, 카드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제정보는 결제 처리 서버(200)의 결제 요청 시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입력받거나,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정보는 비밀번호 및 생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밀번호는 사용자의 비밀번호, 은행계좌의 비밀번호, 공인인증서의 비밀번호, 자금 이체를 위한 비밀번호, 및 카드의 비밀번호 중의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생체정보는 지문, 족문, 홍체, 혈관, 및 안면영상 중의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결제정보를 결제 처리 서버(200)에 전송함으로써 결제 처리 서버(200)의 결제 요청에 따른 결제 승인을 할 수 있다. 이때, 결제 처리 서버(200)는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의 결제 승인에 따라 후술하는 서브 블랙 박스(210)와 결제 어플리케이션(100)로부터 각각 수신된 큐-링크 정보를 서로 매칭하여, 일치되는 큐-링크 정보와 해당 결제 정보를 기초로 금융서버(20)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상품 구매에 대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결제 처리 서버(200)는 서브 블랙 박스(210)와 메인 블랙 박스(2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메인 블랙 박스(220)는 다수의 서브 블랙 박스(210)와 연결되어 단위 그룹을 이룰 수 있으며, 결제 처리 서버(200)는 다수의 단위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블랙 박스(210)는 판매 POS 단말(31)과 통신하며 판매 POS 단말(31)의 요청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가공 또는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서브 블랙 박스(210)는 판매 POS 단말(31)로부터 입금정보와 더불어 아이디, 독출 시간, 작업의 처리종류, 도메인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큐-링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브 블랙 박스(210)를 통해 생성된 큐-링크 정보는, 판매 POS 단말(31)에서 식별코드로의 변환이 가능한 형태로 가공된 정보로서, 타임스탬프(timestamp), 서브 블랙 박스(210)의 아이디, 메인 블랙 박스(220)의 아이디, 세션키(session key), 세션정보, 인증코드 메시지, 처리종류, 도메인, 및 입금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금정보는 상품판매가격정보와 더불어 입금계좌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금계좌정보는 판매 POS 단말(31)로부터 수신하여 얻거나, 서브 블랙 박스(21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서브 블랙 박스(210)는 판매 POS 단말(31)과 일대일 대응으로 구성되는 경우 판매 POS 단말(31)를 식별하기 위한 별도의 정보는 요구되지 않으나, 하나의 서브 블랙 박스(210)가 다수의 판매 POS 단말(31)을 연결되어 동작하는 경우, 판매 POS 단말(31)이 서브 블랙 박스(210)로 큐-링크 정보를 요청할 때 별도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함으로써, 서브 블랙 박스(210)는 판매 POS 단말(31)을 각각 식별하여 각각의 판매 POS 단말(31)과 관련하여 저장된 정보들을 필요 시 불러와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블랙 박스(210)는, 생성된 큐-링크 정보를 판매 POS 단말(31)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메인 블랙 박스(220)로 전송하여 메인 블랙 박스(220)에 사용자의 해당 상품 구매 결제와 관련된 큐-링크 정보가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블랙 박스(220)는 서브 블랙 박스(210)로부터 큐-링크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으로부터 큐-링크 정보를 수신하고, 서브 블랙 박스(210)에 의해 등록된 큐-링크 정보와 결제 어플리케이션(100)로부터 수신된 큐-링크 정보를 서로 매칭하여 일치되는 큐-링크 정보가 있음을 확인한 후, 해당 큐-링크 정보를 전송한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으로 상품 구매에 대한 결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블랙 박스(220)는,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으로부터 결제정보를 수신함에 따른 사용자의 결제 승인을 확인하면, 해당 큐-링크 정보와 결제정보에 기초하여 금융서버(20)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상품 구매에 대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수단정보에 결제계좌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해당 큐-링크 정보의 상품판매가격정보와 입금계좌정보를 기초로 금융서버(20)와 연동하여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이 처리되도록 하여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결제수단정보에 결제카드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해당 큐-링크 정보의 상품판매가격정보와 임금계좌정보를 기초로 금융서버(20)와 연동하여 해당 카드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카드가 체크카드인 경우 해당 결제계좌에서 상품판매금액만큼 입금계좌로 출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신용카드의 경우 해당 카드사의 서버와 연동하여 신용카드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블랙 박스(220)는 결제 처리가 완료되면 서브 블랙 박스(210)로 결제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고, 서브 블랙 박스(210)는 메인 블랙 박스(220)로부터 수신된 결제 완료 메시지를 해당 판매 POS 단말(31)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해당 판매 POS 단말(31)은 결제 화면 페이지를 업데이트하여 사용자에게 결제 완료 내역을 알려줄 수 있다.
한편, 결제 처리 서버(200)는 판매 시스템(30)의 단말식별정보 및 결제계좌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결제 처리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는 판매 시스템(30)의 결제계좌는 판매 시스템(30)에서의 운영자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제계좌정보는 판매자 측이 소유하고 있는 은행의 계좌정보가 기본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다.
한편, 결제 처리 서버(200)는 사용자의 결제계좌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으며, 물론 결제계좌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지 않고 각 결제 처리할 일이 있을 때마다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도 있다. 결제 처리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결제계좌는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제계좌정보는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은행의 계좌정보 및 카드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기본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각 사용자는 결제계좌정보나 카드정보를 입력하지 않고도 기본정보로 저장된 결제계좌정보나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구매를 위한 결제를 처리할 수도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에 결제계좌정보나 결제카드정보를 입력하여 구매 결제가 처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프라인 상에서 실시되는 구매 결제 처리 순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판매 POS 단말(31)은 사용자가 구매할 상품의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①).
다음, 판매 POS 단말(31)은 결제 처리 서버(200)로 입금정보를 전송하면서 큐-링크 정보를 요청하고, 해당 요청에 따라 결제 처리 서버(200)로부터 큐-링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②).
다음, 판매 POS 단말(31)은 큐-링크 정보를 QR 코드, 바코드 및 NFC 태그정보 중 적어도 한 형태의 식별코드로 변환한 후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③). 여기서, 판매 POS 단말(31)을 통해 QR 코드나 바코드가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의 코드스캔 기능(카메라)을 이용하여 스캔함(④)으로써 큐-링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판매 POS 단말(31)을 통해 NFC 태그정보가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의 NFC 리더 기능을 이용하여 스캔함으로써 큐-링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④). 이는, 사용자 단말(10)의 기능과 사양에 따라 QR 코드나 바코드 형태로 출력할지 아니면 NFC 신호의 형태로 출력할지를 결정하면 된다.
다음,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로부터 결제수단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고, 사용자 인증 절차를 거친 후 결제정보를 결제 처리 서버(200)에 전송함으로써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에 지문, 족문, 홍체 등과 같은 생체정보 또는 인증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한다.
다음, 결제 처리 서버(200)는 큐-링크 정보와 결제정보를 기반으로 금융서버(20)와 연동하여 결제 처리를 완료하고, 결제 완료 메시지를 판매 POS 단말(31)로 전송할 수 있다(⑥).
다음, 판매 POS 단말(31)은 결제 처리 서버(200)로부터 받은 결제 완료 내역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며, 해당 상품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⑦).
이와 같이 결제 처리를 위하여 사용자는 ④ 및 ⑤의 과정만 직접 수행하면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상에서 실시되는 구매 결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1000)은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 결제 어플리케이션(100)과 결제 처리 서버(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은, 온라인 상에서 상품을 판매 및 구매하기 위한 가상의 상점을 의미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은 사용자(1)의 PC 또는 휴대 단말 등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를 통해 판매 상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정보는 상품의 종류, 번호와 판매가격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는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표시되는 상품을 선택하면 해당 상품에 대한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식별코드는 입금정보를 포함하는 큐-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금정보는 상품판매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큐-링크 정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은, 판매가격정보와 함께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의 아이디,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이 판매가격정보를 독출한 시간,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이 처리하고자 하는 작업의 종류,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의 도메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결제 처리 서버(200)로 전송하면서 큐-링크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더불어,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은 입금계좌정보를 더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입금계좌정보는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결제 처리 서버(200)에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과 연동되는 계좌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입금계좌정보의 전송을 생략할 수도 있다.
한편,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은 상품종류와 상품번호에 대한 정보는 해당 상품에 대한 판매 결제가 완료되면, 결제승인내역과 함께 별도의 판매 관리 서버로 전송되어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은 결제 처리 서버(200)로부터 큐-링크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큐-링크 정보를 식별코드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은 큐-링크 정보를 QR 코드나 바코드 중 적어도 한 형태의 식별코드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은,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로부터 출력되는 식별코드를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스캔 또는 선택하여 큐-링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은, QR 코드 또는 바코드 형태의 식별코드가 PC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의 스캔기능(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해당 식별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은, QR 코드 또는 바코드 형태의 식별코드가 사용자 본인의 사용자 단말(10)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경우 해당 화면을 클릭 또는 선택하여 해당 식별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은,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로부터 획득한 큐-링크 정보를 결제 처리 서버(200)에 전송하여 결제 처리 서버(200)를 통해 큐-링크 정보에 대한 승인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은, 큐-링크 정보에 대한 승인 완료 시 결제 처리 서버(200)로부터 결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은 결제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또는 선택 받은 후 사용자 인증 절차를 거쳐 결제 처리 서버(200)로 결제 승인을 알릴 수 있다.
상기 결제정보는 결제수단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결제수단정보는 결제계좌정보 및 결제카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계좌정보는 상품구매금액이 출금될 사용자의 은행계좌와 관련된 정보로, 은행계좌번호, 계좌비밀번호,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카드정보는 상품구매비용을 결제할 카드사, 카드번호, 카드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제정보는 결제 처리 서버(200)의 결제 요청 시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입력받거나,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와 같이 온라인 쇼핑의 경우 결제정보와 더불어 사용자가 원하는 배송지의 주소에 대한 배송지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은 결제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 받을 때 사용자의 배송지정보도 추가적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 다만,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에 배송지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 결제정보와 함께 자동으로 입력되며, 배송지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더라도 배송지 변경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직접 상품 수령 주소를 입력함으로써 배송지정보를 수정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정보는 비밀번호 및 생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밀번호는 사용자가 지정한 비밀번호, 은행계좌의 비밀번호, 공인인증서의 비밀번호, 자금 이체를 위한 비밀번호, 및 카드의 비밀번호 중의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생체정보는 지문, 족문, 홍체, 혈관, 및 안면영상 중의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결제정보를 결제 처리 서버(200)에 전송함으로써 결제 처리 서버(200)의 결제 요청에 따른 결제 승인을 할 수 있다. 이때, 결제 처리 서버(200)는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의 결제 승인에 따라 후술하는 서브 블랙 박스(210)와 결제 어플리케이션(100)로부터 각각 수신된 큐-링크 정보를 서로 매칭하여, 일치되는 큐-링크 정보와 해당 결제 정보를 기초로 금융서버(20)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상품 구매에 대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결제 처리 서버(200)는 서브 블랙 박스(210)와 메인 블랙 박스(2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메인 블랙 박스(220)는 다수의 서브 블랙 박스(210)와 연결되어 단위 그룹을 이룰 수 있으며, 결제 처리 서버(200)는 다수의 단위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블랙 박스(210)는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과 통신하며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의 요청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가공 또는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서브 블랙 박스(210)는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로부터 입금정보와 더불어 아이디, 독출 시간, 작업의 처리종류, 도메인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큐-링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브 블랙 박스(210)를 통해 생성된 큐-링크 정보는,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에서 식별코드로의 변환이 가능한 형태로 가공된 정보로서, 타임스탬프(timestamp), 서브 블랙 박스(210)의 아이디, 메인 블랙 박스(220)의 아이디, 세션키(session key), 세션정보, 인증코드 메시지, 처리종류, 도메인, 및 입금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금정보는 상품판매가격정보와 더불어 입금계좌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입금계좌정보는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로부터 수신하여 얻거나, 서브 블랙 박스(21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서브 블랙 박스(210)는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과 일대일 대응으로 구성되는 경우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를 식별하기 위한 별도의 정보는 요구되지 않으나, 하나의 서브 블랙 박스(210)가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을 연결되어 동작하는 경우,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이 서브 블랙 박스(210)로 큐-링크 정보를 요청할 때 별도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함으로써, 서브 블랙 박스(210)는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을 각각 식별하여 각각의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과 관련하여 저장된 정보들을 필요 시 불러와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블랙 박스(210)는, 생성된 큐-링크 정보를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메인 블랙 박스(220)로 전송하여 메인 블랙 박스(220)에 사용자의 해당 상품 구매 결제와 관련된 큐-링크 정보가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블랙 박스(220)는 서브 블랙 박스(210)로부터 큐-링크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으로부터 큐-링크 정보를 수신하고, 서브 블랙 박스(210)에 의해 등록된 큐-링크 정보와 결제 어플리케이션(100)로부터 수신된 큐-링크 정보를 서로 매칭하여 일치되는 큐-링크 정보가 있음을 확인한 후, 해당 큐-링크 정보를 전송한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으로 상품 구매에 대한 결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블랙 박스(220)는,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으로부터 결제정보를 수신함에 따른 사용자의 결제 승인을 확인하면, 해당 큐-링크 정보와 결제정보에 기초하여 금융서버(20)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상품 구매에 대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수단정보에 결제계좌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해당 큐-링크 정보의 상품판매가격정보와 입금계좌정보를 기초로 금융서버(20)와 연동하여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이 처리되도록 하여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결제수단정보에 결제카드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해당 큐-링크 정보의 상품판매가격정보와 임금계좌정보를 기초로 금융서버(20)와 연동하여 해당 카드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카드가 체크가드인 경우 해당 결제계좌에서 상품판매금액만큼 입금계좌로 출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신용카드의 경우 해당 카드사의 서버와 연동하여 신용카드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블랙 박스(220)는 결제 처리가 완료되면 서브 블랙 박스(210)로 결제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고, 서브 블랙 박스(210)는 메인 블랙 박스(220)로부터 수신된 결제 완료 메시지를 해당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해당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은 결제 화면 페이지를 업데이트하여 사용자에게 결제 완료 내역을 알려줄 수 있다.
한편, 결제 처리 서버(200)는 판매 시스템(30)의 단말식별정보 및 결제계좌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결제 처리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는 판매 시스템(30)의 결제계좌는 판매 시스템(30)에서의 운영자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제계좌정보는 판매자 측이 소유하고 있는 은행의 계좌정보가 기본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다.
한편, 결제 처리 서버(200)는 사용자의 결제계좌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으며, 물론 결제계좌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지 않고 각 결제 처리할 일이 있을 때마다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도 있다. 결제 처리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결제계좌는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제계좌정보는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은행의 계좌정보 및 카드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기본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각 사용자는 결제계좌정보나 카드정보를 입력하지 않고도 기본정보로 저장된 결제계좌정보나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구매를 위한 결제를 처리할 수도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에 결제계좌정보나 결제카드정보를 입력하여 구매 결제가 처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상에서 실시되는 PC 버전의 구매 결제 처리 순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사용자는 PC를 통해 해당 온라인 쇼핑몰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원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①).
다음,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은 결제 처리 서버(200)로 입금정보를 전송하면서 큐-링크 정보를 요청하고, 해당 요청에 따라 결제 처리 서버(200)로부터 큐-링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②).
다음,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은 큐-링크 정보를 QR 코드나 바코드 중 적어도 한 형태의 식별코드로 변환한 후 PC의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③).
이와 같이 PC 화면을 통해 QR 코드나 바코드가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의 코드스캔 기능(카메라)을 이용하여 스캔함으로써 큐-링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④).
다음,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로부터 결제수단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 받고, 필요에 따라 배송지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 인증 절차를 거친 후 결제정보를 결제 처리 서버(200)에 전송함으로써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에 지문, 족문, 홍체 등과 같은 생체정보 또는 인증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한다.
다음, 결제 처리 서버(200)는 큐-링크 정보와 결제정보를 기반으로 금융서버(20)와 연동하여 결제 처리를 완료하고, 결제 완료 메시지를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으로 전송할 수 있다(⑥).
다음,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은 주문을 완료하고 웹 페이지를 통해 결제 처리 서버(200)로부터 받은 결제 완료 내역을 출력할 수 있다(⑦).
이와 같이 결제 처리를 위하여 사용자는 ①, ④ 및 ⑤의 과정만 직접 수행하면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상에서 실시되는 모바일 버전의 구매 결제 처리 순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해당 온라인 쇼핑몰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원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①).
다음,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은 결제 처리 서버(200)로 입금정보를 전송하면서 큐-링크 정보를 요청하고, 해당 요청에 따라 결제 처리 서버(200)로부터 큐-링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②).
다음,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은 큐-링크 정보를 QR 코드나 바코드 중 적어도 한 형태의 식별코드로 변환한 후 사용자 단말(10)의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③).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10)의 화면을 통해 QR 코드나 바코드가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QR 코드나 바코드를 직접 터치 또는 클릭을 통해 선택하면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이 자동으로 실행되고, 선택한 큐-링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④).
다음,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로부터 결제수단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 받고, 필요에 따라 배송지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 인증 절차를 거친 후 결제정보를 결제 처리 서버(200)에 전송함으로써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에 지문, 족문, 홍체 등과 같은 생체정보 또는 인증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한다.
다음, 결제 처리 서버(200)는 큐-링크 정보와 결제정보를 기반으로 금융서버(20)와 연동하여 결제 처리를 완료하고, 결제 완료 메시지를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으로 전송할 수 있다(⑥).
다음,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32)은 주문을 완료하고 웹 페이지를 통해 결제 처리 서버(200)로부터 받은 결제 완료 내역을 출력할 수 있다(⑦).
이와 같이 결제 처리를 위하여 사용자는 ①, ④ 및 ⑤의 과정만 직접 수행하면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에 기초한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 결제 처리 방법(S700)은, 큐-링크 정보 생성 및 전송 단계(S710), 식별코드 스캔 및 큐-링크 정보 획득 단계(S720), 큐-링크 정보 전송 단계(S730), 결제 요청 수신 및 결제 정보 입력 단계(S740), 사용자 인증 수행 단계(S750), 결제 정보 전송 단계(S760) 및 구매 상품 결제 처리 단계(S77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1000)의 구성과 결부하여 구매 결제 처리 방법(S7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큐-링크 정보 생성 및 전송 단계(S710)에서는, 결제 처리 서버(200)가 판매 시스템(30)으로부터 상품판매가격정보를 포함하는 입금정보를 수신하면, 결제 처리 서버(200)에서 해당 입금정보를 포함하는 큐-링크 정보를 생성하여 판매 시스템(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식별코드 스캔 및 큐-링크 정보 획득 단계(S720)에서는, 판매 시스템(30)으로부터 큐-링크 정보가 식별코드로 변환되어 출력되면,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이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큐-링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큐-링크 정보 전송 단계(S730)에서는, 판매 시스템(30)으로부터 스캔을 통해 획득한 큐-링크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결제 처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수신 및 결제 정보 입력 단계(S740)에서는, 사용자 단말(10)로 결제 요청을 보내고,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결제수단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 수행 단계(S750)에서는, 사용자의 결제 승인을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정보는 비밀번호 및 생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밀번호는 사용자의 비밀번호, 은행계좌의 비밀번호, 공인인증서의 비밀번호, 자금 이체를 위한 비밀번호, 및 카드의 비밀번호 중의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생체정보는 지문, 족문, 홍체, 혈관, 및 안면영상 중의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결제 정보 전송 단계(S760)에서는, 사용자 인증 수행 단계(S750)를 통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결제 정보 입력 단계(S740)를 입력된 결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에서 결제 처리 서버(200)로 전송하여 승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구매 상품 결제 처리 단계(S770)에서는, 결제 처리 서버(200)에서 생성된 큐-링크 정보, 및 결제 어플리케이션(100)으로부터 수신된 큐-링크 정보와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처리 서버(200)가 구매 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이후, 결제 처리 서버(200)에서 판매 시스템(30)으로 결제 처리 결과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결제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통한 결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통한 결제 시스템은, BB(Black Box)로부터 QR 코드를 획득하여 판매자에게 보내어 MBB(Main Black Box)에 등록하고, 상기 MBB(Main Black Box)를 통해 상기 BB(Black Box)에 결제확인을 보내주며, 상기 BB(Black Box)를 통해 판매자에게 구매내역을 확인시켜주기 위한 VPN(Virtual Private Network) 커넥션, 사용자 인증을 위해 상기 MBB(Main Black Box)에 상기 QR 코드를 보내고, 상기 MBB(Main Black Box)를 통해 QR 코드를 확인하고 사용자에게 결제를 요청하며, 사용자에게 구매와 결제수단을 확인시켜주기 위한 TLE(Total Link Encryption) 프로토콜 및 판매자로부터 상기 QR 코드를 얻고 판매자에게 결제내역을 확인시켜주기 위한 가상 QR 코드 또는 NFC을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을 이용한 쇼핑 프로토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V (1). Seller 는 BB 로부터 qlink 를 얻는다.
V (2a). BB 는 qlink를 Seller 에 보낸다.
V (2b). BB 는 qlink를 MBB 에 등록한다.
A (3). User 는 Seller 로부터 qlink를 얻는다.
T (4). User 는 인증을 위해 Provider(MBB) 에 qlink 를 보낸다.
T (5). MBB 는 qlink 를 확인하고 User 에게 결제를 요청한다.
T (6). User 는 구매와 결제수단을 확인한다.
V (7). MBB 는 BB 에 결제확인을 보낸다.
V (8). BB 는 Seller terminal 에 구매를 확인한다.
A (9). Seller terminal 은 결제내역을 보여준다.
여기서, V는 VPN connection, T는 TLE protocol, A는 Visual QR Code 또는 NFC를 의미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인터넷쇼핑몰 결제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쇼핑몰에 결제 창내에 QR코드가 나오고 해당QR코드를 스마트폰의 FASS BANK(PAY)앱을 가동 앱에 로그인후 QR코드 스캔을 하고 결제를 완료하면 자동으로 FASSBANK(PAY) 에 등록된 회원의 배송지정보와 결제완료정보가 쇼핑몰 ADMIN에 제공된다. 지문인증을 지원하지 않는 스마트 폰은 보안 패스워드 입력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인터넷쇼핑몰 결제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모바일 쇼핑에서 결제를 FASSBANK로 지정하고 클릭하면 FASS BANK(PAY)앱이 자동 작동하여 앱에 로그인후 지문인증 결제완료하면 자동으로 FASSBANK(PAY) 에 등록된 회 원의 배송지정보와 결제완료정보가 쇼핑몰 ADMIN에 제공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통합결제솔루션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은 도 12의 적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
100: 결제 어플리케이션
200: 결제 처리 서버
210: 서브 블랙 박스
220: 메인 블랙 박스
1: 사용자
10: 휴대 단말
20: 금융 서버
30: 판매 시스템
31: 판매 POS 시스템
32: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

Claims (11)

  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결제 어플리케이션 및 결제 처리 서버를 이용하여 온/오프라인 상에서 상품 구매를 위한 결제를 처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온/오프라인 상의 판매 시스템에서 입금정보를 포함하는 큐-링크 정보가 식별코드로 변환되어 출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큐-링크 정보를 획득하고, 결제정보 및 획득한 상기 큐-링크 정보를 상기 결제 처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결제 처리 서버는, 상기 큐-링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판매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결제 처리 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큐-링크 정보와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큐-링크 정보 및 상기 결제정보에 기초하여 구매 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고,
    상기 입금정보는 상품판매가격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정보는 결제수단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
    QR 코드, 바코드 및 NFC 태그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금정보는 입금계좌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제수단정보는 결제계좌정보 및 결제카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온라인 구매의 경우, 상기 결제정보는 배송지의 주소에 대한 배송지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처리 서버는 서브 블랙 박스와 메인 블랙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블랙 박스는,
    상기 판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입금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큐-링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판매 시스템과 상기 메인 블랙 박스로 각각 전송하고,
    상기 메인 블랙 박스는,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큐-링크 정보와 상기 결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브 블랙 박스와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각각 수신된 상기 큐-링크 정보를 서로 매칭하여 일치되는 큐-링크 정보 및 해당 결제정보를 기초로 금융서버와 연동하여 구매 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결제 처리 서버로부터 결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결제정보를 입력 받고,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완료되면 상기 결제정보를 상기 결제 처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증정보는 비밀번호 및 생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처리 서버는 판매 시스템의 단말식별정보 및 결제계좌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결제계좌정보는 상기 판매 시스템에서의 운영자의 입력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
  7.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결제 어플리케이션 및 결제 처리 서버를 이용하여 온/오프라인 상에서 상품 구매를 위한 결제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결제 처리 서버가 온/오프라인 상의 판매 시스템으로부터 상품판매가격정보를 포함하는 입금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입금정보를 포함하는 큐-링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판매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판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큐-링크 정보가 식별코드로 변환되어 출력되면,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큐-링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획득한 상기 큐-링크 정보 및 결제수단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상기 결제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처리 서버가, 상기 결제 처리 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큐-링크 정보,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큐-링크 정보, 및 상기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구매 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구매 결제 처리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
    QR 코드, 바코드 및 NFC 태그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구매 결제 처리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입금정보는 입금계좌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제수단정보는 결제계좌정보 및 결제카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온라인 구매의 경우, 상기 결제정보는 배송지의 주소에 대한 배송지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 결제 처리 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큐-링크 정보와 상기 결제정보를 상기 결제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결제 처리 서버로부터 결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결제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증정보는 비밀번호 및 생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구매 결제 처리 방법.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처리 서버는 판매 시스템의 단말식별정보 및 결제계좌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결제계좌정보는 상기 판매 시스템에서의 운영자의 입력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

KR1020160090159A 2016-02-23 2016-07-15 온라인과 오프라인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102079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330 2016-02-23
KR20160021330 2016-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340A true KR20170099340A (ko) 2017-08-31
KR102079666B1 KR102079666B1 (ko) 2020-04-07

Family

ID=59761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159A KR102079666B1 (ko) 2016-02-23 2016-07-15 온라인과 오프라인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6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5817A (ko) * 2018-03-22 2020-12-03 차이나 유니온페이 컴퍼니 리미티드 Nfc 태그 기반의 데이터 처리 방법, 시스템 및 서버
WO2021167154A1 (ko) * 2020-02-19 2021-08-26 주식회사 올링크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정보 전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제정보 전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2634A (ko) * 2020-07-23 2022-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온라인 인증을 통한 모바일 결제 수행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3201A (ko) * 2010-05-06 2011-11-14 (주)시루정보 전자결제 서비스 방법과, 이를 실행하는 전자결제 서비스 장치, 이동통신 단말기 및 거래 단말기
KR20120049578A (ko) * 2010-11-09 2012-05-17 주식회사 스마트로 이동단말기 기반 신용카드 결제 방법
KR20140007707A (ko) 2012-07-10 2014-01-20 이민우 Qr 코드 스캔을 이용한 스마트 간편 결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3201A (ko) * 2010-05-06 2011-11-14 (주)시루정보 전자결제 서비스 방법과, 이를 실행하는 전자결제 서비스 장치, 이동통신 단말기 및 거래 단말기
KR20120049578A (ko) * 2010-11-09 2012-05-17 주식회사 스마트로 이동단말기 기반 신용카드 결제 방법
KR20140007707A (ko) 2012-07-10 2014-01-20 이민우 Qr 코드 스캔을 이용한 스마트 간편 결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5817A (ko) * 2018-03-22 2020-12-03 차이나 유니온페이 컴퍼니 리미티드 Nfc 태그 기반의 데이터 처리 방법, 시스템 및 서버
WO2021167154A1 (ko) * 2020-02-19 2021-08-26 주식회사 올링크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정보 전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제정보 전달 방법
US11593770B2 (en) 2020-02-19 2023-02-28 Allink Co., Ltd. System for transmitting payment information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666B1 (ko)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7969B1 (en) Merchant account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CA3096307C (en) Secure payment system
US1112700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a mobile device to effect a secure electronic transaction
JP4525556B2 (ja) 決済システム、取引管理サーバ及びそれらに用いる決済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6303488B2 (ja) 決済システム、および、決済方法
KR101517515B1 (ko) Qr 코드를 이용한 즉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CN105164708A (zh) 交易令牌发行机构
US20180357636A1 (en) Point of sale terminal for accepting payment through multiple digital payment techniques
KR20140007707A (ko) Qr 코드 스캔을 이용한 스마트 간편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12249A (ko)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JP6502244B2 (ja) 決済システム
TW201837806A (zh) 多維條碼行動支付方法、買方裝置及支付伺服機構
KR20140099814A (ko) Qr 코드를 이용한 즉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JP2020009194A (ja) チケット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運用方法
KR102079666B1 (ko) 온라인과 오프라인 구매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20120071694A (ko) 대금 지불용 모바일 상품권 운영 시스템 및 방법
US11694202B2 (en) Transaction certification management system, transaction certific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transaction certification processing method
KR20100036502A (ko) 상품고유정보를 이용한 금융상품 투자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JP5271633B2 (ja) 物流決済仲介システム、物流決済仲介方法、物流決済仲介プログラム、および前記物流決済仲介システムと共同する通信端末
KR20090093231A (ko) 금 매입매도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KR100324548B1 (ko) 인터넷 상거래용 전자적 금전 결제시스템
TW201415389A (zh) 用於安全交換資料之通訊系統、運算裝置及方法
KR101049558B1 (ko) 정산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1615163B1 (ko) 전자상거래 복합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023096B1 (ko) 금융상품 투자 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