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551A - 모니터용 메모보드 - Google Patents

모니터용 메모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551A
KR20170098551A KR1020160020605A KR20160020605A KR20170098551A KR 20170098551 A KR20170098551 A KR 20170098551A KR 1020160020605 A KR1020160020605 A KR 1020160020605A KR 20160020605 A KR20160020605 A KR 20160020605A KR 20170098551 A KR20170098551 A KR 20170098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board
memo board
memo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0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상
유지상
Original Assignee
유성상
유지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상, 유지상 filed Critical 유성상
Priority to KR1020160020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8551A/ko
Publication of KR20170098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03Devices for applying fasteners, e.g. clips, to bundles of she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3Supporting arrangements, e.g. for filters or documents associated to a laptop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의 상측에 메모보드가 결합되어 있어 메모지를 붙여서 메모를 정리하거나 직접 메모가 가능하며, 메모보드가 모니터와 이격되어 전후 유동 및 좌우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모니터용 메모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용 메모보드는, 모니터 후방에 결합되는 모니터체결부와, 상기 모니터체결부에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전후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좌우각도조절이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모니터의 일측에 위치되는 메모보드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니터용 메모보드{MEMOBOARD FOR MONITOR}
본 발명은 컴퓨터의 모니터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모니터용 메모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니터의 상측에 메모보드가 결합되어 있어 메모지를 붙여서 메모를 정리하거나 직접 메모가 가능하며, 메모보드가 모니터에 대해 전후 유동 및 좌우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모니터용 메모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작업을 하는 중에 메모하는 상황이 발생되면 접착식 메모지에 기록하게 되는데, 이러한 메모지를 부착할 수 있는 공간이 없기 때문에 대부분 모니터에 부착하여 컴퓨터 작업을 확인하고 있다.
하지만, 모니터에 여러 개의 메모지를 부착할 경우 메모내용을 정돈되게 할 수가 없으며, 또한 모니터에서 메모지가 쉽게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모니터의 일측에 메모지 부착대를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메모지를 정리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모니터에 사용되는 메모지 부착대의 일례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2015-0003968호에는 접착식 메모지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대와, 부착대의 이면에 형성되어 모니터의 베젤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요소로 이루어지는 모니터에 사용하는 메모지 부착대에 있어서, 상기 부착대는, 투명재로 이루어지는 전면판의 후면에 후면판이 배치되고 전면판과 후면판의 상,하단이 서로 연결되어 그 사이에 삽입공간이 마련되는 부착판; 부착판의 하단에 전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휴대폰을 올려 거치할 수 있게 되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부착판의 전면에 접착식 메모지를 붙일 수 있게 접착면이 마련되면서 삽입공간에 배경지를 삽입하여 부착대를 다양한 디자인으로 연출 가능하고, 휴대폰을 모니터에 근접하게 거치할 수 있는 모니터에 사용하는 메모지 부착대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메모지 부착대는 모니터를 회전하거나 방향전환시에 모니터와 결부되어 이동하게 되므로 메모지를 부착하고 확인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메모지를 부착하는 용도 이외에는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메모를 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활용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의 모니터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모니터용 메모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니터의 상측에 메모보드가 결합되어 있어 메모지를 붙여서 메모를 정리하거나 직접 메모가 가능하며, 메모보드가 모니터에 대해 전후 유동 및 좌우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모니터용 메모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니터 후방에 결합되는 모니터체결부와, 상기 모니터체결부에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전후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좌우각도조절이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모니터의 일측에 위치되는 메모보드판을 포함하는 모니터용 메모보드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모니터체결부는 일측에 지지대의 하단이 힌지결합되는 힌지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대의 상단이 전후로 유동가능하게 체결되는 장공이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메모보드판과 힌지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의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메모보드판의 하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의 상단은 중앙에 구멍이 있는 고정부재와 나비나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가 고정부재의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의 장공에 내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메모보드판의 후방은 보드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보드체결부의 양측은 상기 연결부의 브라켓이 결합되며 상기 메모보드판의 좌우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메모보드판은 상기 모니터의 일측에 설치되며, 메모를 핀 또는 자석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메모보드판은 상기 모니터의 일측에 설치되며, 화이트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메모보드판은 거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메모보드판은 다수의 소형 메모보드부재로 구성되고 각각의 소형 메모보드부재가 힌지결합되어 있어서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용 메모보드에 따르면, 모니터의 상측에 메모보드가 결합되어 있어 메모지를 붙여서 메모를 정리하거나 직접 메모가 가능하며, 메모보드가 모니터와 이격되고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의해 메모보드가 전후로 유동이 가능하고 좌우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메모보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메모보드의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메모보드에 있어서, 메모보드판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메모보드에 있어서, 메모보드판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메모보드에 있어서, 메모보드판의 제 3 실시예의 사시도.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메모보드에 있어서, 메모보드판의 제 4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메모보드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용 메보도드의 회동 작동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용 메모보드의 전후유동 작동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용 메모보드의 좌향각도조절 작동도.
도 7b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용 메모보드의 우향각도조절 작동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메모보드는, 도 1 내지 도 7a, 도 7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모니터(1) 후방에 결합되는 모니터체결부(10)와, 모니터체결부(10)에 하단이 힌지결합되는 지지대(20)와, 지지대(20)의 상단에 전후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30)와, 연결부(30)와 힌지결합되어 좌우각도조절이 가능한 메모보드판(40)을 포함한다.
여기서, 모니터체결부(10)는 모니터(1)에 부착되어 지지대(20)을 체결하는 결합부재로, 모니터(1)와 나사로 결합되기 위한 다수의 홈(11)을 구비하고 일측에 한쌍의 힌지브라켓(12)이 형성된다. 모니터체결부(10)의 힌지브라켓(12)은 힌지브라켓홈(15)이 있어 지지대(20)가 힌지브라켓홈(15)을 관통한 나사(13)와 힌지결합된다.
지지대(20)는 모니터체결부(10)와 결합되어 연결부(30)와 체결되는 결합부재로,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힌지브라켓(12)에 구비된 힌지브라켓홈(15)과 나사(13)로 체결되고 연결부(30)의 장공(32)에 내삽되어 지지대(20)가 전후유동이 가능하고 좌우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나비나사(21)로 결합된다.
연결부(30)는 모니터지지대(20)와 체결되고 보드체결부(45)와 메모보드판(40)의 보드체결부(45)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로, 지지대(20)의 상단이 전후로 유동가능하게 체결되는 장공(32)이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31)와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브라켓(33)으로 구성되고 브라켓(33)은 브라켓홈(34)이 있어 나사로 보드체결부날개(47)에 구비된 보드체결부날개홈(48)과 결합된다. 또한 연결부(30)의 베이스플레이트(31)에는 다수의 홈(35)이 구비되어 있어 나사로 메모보드판(40)과 체결되며 메모보드판(40)의 하단을 지지한다.
고정부재(36)는 지지대(20)를 축으로 하여 연결부가 전후유동과 회전이 가능하게 하며 지지대(20)와 연결부(30)가 나비나사(21)에 의해 체결이 용이하게 하는 부속으로, 중앙에 구멍이 있어 지지대(20)가 고정부재(36)의 구멍을 관통하여 연결부(30)의 장공(32)에 내삽되며, 연결부(30) 및 지지대(20)와 두 개의 나비나사(21)로 체결된다.
메모보드판(40)은 모니터(1)의 일측에, 바람직하게는 상측에 설치된다. 메모보드판(40)의 후방은 보드체결부(45)가 구비되고 보드체결부(40)의 양측은 연결부(30)의 브라켓(33)이 결합되며, 연결부(30)의 장공(32)에 내삽된 지지대(20)가 전후유동이 가능함에 따라 메모보드판(40)이 모니터(1)와 이격되어 전후유동이 가능하며 지지대(20)가 연결부(30)의 장공에 내삽되어 나비나사(21)로 체결되어 있어좌우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메모보드판(40)은 메모를 핀 또는 자석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재질(41)로 구성되거나 화이트보드(42)로 구성된다. 메모보드판(40)은 거울(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보드판(40)은 여러개의 소형 메모보드부재가 힌지결합되며 결합부위는 주름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드체결부(45)는 메모보드판(40)의 후방에 구비되며, 다수의 홈(47)이 구비되어 메모보드판(40)에 나사로 체결되는 플레이트(46)와 보드체결부날개(48)로 구성되며, 보드체결부날개(48)에 구비된 보드체결부날개홈(49)은 연결부(30)의 브라켓(33)에 구비된 브라켓홈(34)과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메모보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메모보드는, 도 4 내지 도 7a 및 도 7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1) 후방에 모니터체결부(10)가 나사(13)를 이용하여 결합되고, 모니터체결부(10)의 일측에 구비된 힌지브라켓(12)이 지지대(20)와 나사(13)로 체결되어 지지대(20)가 나사(13)을 축으로 일측은 회동이 가능하고 타측은 전후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모니터체결부(10)의 힌지브라켓(12)에 체결된 지지대(20)는 연결부(30)의 장공(32)에 내삽되어 일측은 전후로 유동이 가능하고 상기 힌지브라켓(12)의 나사(13)를 축으로 타측은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연결부(30)와 보드체결부(45)에 의해 지지되고 고정되는 메모보드판(40)이 모니터(1) 일측에서 모니터(1)와 이격되어 전후로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메모보드판(40)의 후방에 결속된 보드체결부(45)의 양측에 구비된 보드체결부날개(48)가 연결부(30)에 구비된 브라켓(33)과 결합되며, 연결부(30)가 지지대(20)를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메모보드판(40)의 좌우각도조절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메모보드판(40)에 메모를 핀 또는 자석으로 고정(41)할 수 있으며 메모보드판(40)이 화이트보드(42)로 구성될 경우 직접 메모를 기록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메모보드판(40)에 거울(43)을 부착하여 컴퓨터의 모니터(1)를 보면서 거울(43)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모보드판(40)은 다수의 소형 메모보드부재로 구성되고 각각의 메모보드부재가 힌지결합되어 있어 다수의 메모보드부재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위치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1 : 모니터 10: 모니터체결부
12 : 힌지브라켓 13 : 나사
15 : 힌지브라켓홈 11, 34, 35, 47 : 홈
20 : 지지대 30: 연결부
32 : 장공 33 : 브라켓
34 : 브라켓홈 36 : 고정부재
40 : 메모보드판 45 : 보드체결부
48 : 보드체결부날개 49 : 보드체결부날개홈

Claims (11)

  1. 모니터 후방에 결합되는 모니터체결부;
    상기 모니터체결부에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전후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좌우각도조절이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모니터의 일측에 위치되는 메모보드판을 포함하는 모니터용 메모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체결부는 일측에 지지대의 하단이 힌지결합되는 힌지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메모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메모보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대의 상단이 전후로 유동가능하게 체결되는 장공이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메모보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메모보드판과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의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메모보드판의 하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메모보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상단은 중앙에 구멍이 있는 고정부재와 나비나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고정부재의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의 장공에 내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메모보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모보드판의 후방은 보드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보드체결부의 양측은 상기 연결부의 브라켓이 결합되며 상기 메모보드판의 좌우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메모보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보드판은 상기 모니터의 상측에 설치되며, 메모를 핀 또는 자석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메모보드.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보드판은 상기 모니터의 상측에 설치되며, 화이트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메모보드.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보드판은 거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메모보드.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보드판은 다수의 소형 메모보드부재로 구성되고 각각의 소형 메모보드부재가 서로 힌지결합되어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메모보드.

KR1020160020605A 2016-02-22 2016-02-22 모니터용 메모보드 KR20170098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605A KR20170098551A (ko) 2016-02-22 2016-02-22 모니터용 메모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605A KR20170098551A (ko) 2016-02-22 2016-02-22 모니터용 메모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551A true KR20170098551A (ko) 2017-08-30

Family

ID=59760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605A KR20170098551A (ko) 2016-02-22 2016-02-22 모니터용 메모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85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772A (ko) * 2017-09-25 2019-04-03 김경우 메모지 부착용 보드
KR20190041892A (ko) * 2018-03-16 2019-04-23 박성만 모니터용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772A (ko) * 2017-09-25 2019-04-03 김경우 메모지 부착용 보드
KR20190041892A (ko) * 2018-03-16 2019-04-23 박성만 모니터용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9438B1 (en) Wall mounting structure for a flat panel display
JP2015200899A (ja) ギター固定装置
MXPA00011483A (es) Altavoz en forma de panel.
CN111435441A (zh) 压力转向式电子镜面装置
TWI511564B (zh) Flat support system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s
JP3118022U (ja) 支持/吊り装置
US20120074284A1 (en) Flexible Support Structure
KR20170098551A (ko) 모니터용 메모보드
CN215060879U (zh) 一种双屏转向支撑机构和双屏一体机
KR200483444Y1 (ko) 독서대 세트
TWI237997B (en) Display device
JP6451952B2 (ja) 書見台
KR100935230B1 (ko)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JP4565103B2 (ja) 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JP3150010U (ja) 折畳み式書見台または傾斜角度調整可能な回動板を具える机
JP2020118830A (ja) 位置決め装置
KR20190084367A (ko) 마이크 부착 발표 보조 거치판
CN207975438U (zh) 一种平板电视机的壁挂架
KR20170121030A (ko) 휴대형 다단 독서대
KR200493136Y1 (ko) 2 자유도 회전이 가능한 다기능 독서대
CN220135173U (zh) 一种动力臂结构及液晶显示器支架
KR102493375B1 (ko) 독서대
TWI407786B (zh) 平面顯示器支架結構
JPH08171350A (ja) ポップスタンド
KR200331484Y1 (ko) 강의용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