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412A - 이미지 획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획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98412A KR20170098412A KR1020160020158A KR20160020158A KR20170098412A KR 20170098412 A KR20170098412 A KR 20170098412A KR 1020160020158 A KR1020160020158 A KR 1020160020158A KR 20160020158 A KR20160020158 A KR 20160020158A KR 20170098412 A KR20170098412 A KR 201700984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electronic device
- terminal
- closed
- outp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04N5/23238—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 H04N5/2257—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제1 방향에 대해 적어도 180도 이상의 뷰 각도를 가지는 제1 영상과 제2 방향에 대해 적어도 180도 이상의 뷰 각도를 가지는 제2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상의 가장자리 및 상기 제2 영상의 가장자리를 스티칭하여 폐곡면을 형성하는 폐곡 영상 또는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하나의 화면으로 보는 듀얼 뷰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선택과 관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를 개시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다양한 실시 예는 이미지 획득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카메라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을 위한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을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 발생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종래 카메라 장치는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카메라 장치를 파지해야 하기 때문에, 촬영 각도에 제한이 많고, 촬영 후, 영상 확인 중에는 영상 촬영을 할 수 없는 단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새로운 방식의 영상 촬영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이미지 획득 장치와,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를 이용하여 보다 손쉬운 영상 촬영을 수행하고, 획득된 영상의 저장 및 출력을 다양한 형태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 획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방향에 대해 적어도 180도 이상의 뷰 각도를 가지는 제1 영상과 제2 방향에 대해 적어도 180도 이상의 뷰 각도를 가지는 제2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상의 가장자리 및 상기 제2 영상의 가장자리를 스티칭하여 폐곡면을 형성하는 폐곡 영상 또는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하나의 화면으로 보는 듀얼 뷰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선택과 관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은 제1 방향에 대해 적어도 180도 이상의 뷰 각도를 가지는 제1 영상과 제2 방향에 대해 적어도 180도 이상의 뷰 각도를 가지는 제2 영상을 수신하거나, 상기 제1 영상의 가장자리 및 상기 제2 영상의 가장자리를 스티칭하여 폐곡면을 형성하는 폐곡 영상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폐곡 영상 또는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하나의 화면으로 보는 듀얼 뷰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선택과 관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들은 새로운 형태의 이미지 획득 장치와,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를 이용한 촬영 제어, 영상 저장 및 출력을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시스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전자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획득과 관련한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이미지 획득 장치 간의 신호 흐름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전자 장치와 이미지 획득 장치 간의 신호 흐름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관련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관련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전자 장치의 폐곡 영상 관련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전자 장치의 듀얼 뷰 관련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전자 장치의 파노라믹 뷰 관련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전자 장치의 폐곡 영상의 변경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전자 장치의 촬영 제어와 관련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시스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정된 컨텐츠 운용과 관련한 단말 전자 장치와 이미지 획득 장치 간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와 관련한 가상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전자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획득과 관련한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이미지 획득 장치 간의 신호 흐름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전자 장치와 이미지 획득 장치 간의 신호 흐름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관련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관련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전자 장치의 폐곡 영상 관련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전자 장치의 듀얼 뷰 관련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전자 장치의 파노라믹 뷰 관련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전자 장치의 폐곡 영상의 변경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전자 장치의 촬영 제어와 관련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시스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정된 컨텐츠 운용과 관련한 단말 전자 장치와 이미지 획득 장치 간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와 관련한 가상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 (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예: Xbox™, PlayStation™),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 (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시스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미지 획득 시스템은 제1 전자 장치(100), 제2 전자 장치(200), 제3 전자 장치(300)를 포함을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미지 획득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전자 장치들에 대하여, 제1 전자 장치는 예컨대 이미지 획득 장치(100)로, 제2 전자 장치는 예컨대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로, 제3 전자 장치는 예컨대, 단말 전자 장치(300)로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영상 촬영이 가능한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복수개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 모듈은 서로 다른 각도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 모듈은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놓이는 특정 지점을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을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 모듈은 각각 120도씩 구분된 영역을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 모듈은 고정형으로 배치되어 전방, 후방 또는 지정된 방위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 모듈은 상하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사용자 입력 또는 다른 전자 장치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촬영 방위를 변경하고, 변경된 방위에서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촬영된 영상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촬영된 영상을 지정된 특정 장치(예: 단말 전자 장치(300))에 다운로드 방식으로 전달하거나 또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의 특정 위치에 착용되고,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여 또는 설정된 스케줄링 정보에 대응하여 지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의 형태를 시계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목걸이나 반지, 벨트, 암밴드 형태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상대적으로(예: 단말 전자 장치(300)에 비하여) 제한된 하드웨어 장치(예: 한정적인 메모리와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 영역)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상기 단말 전자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하드웨어 장치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설정에 따라, 단말 전자 장치(300)와 통신하여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촬영 제어와 관련한 사용자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설정에 따라,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 직접적으로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촬영 제어와 관련한 사용자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포함된 복수개의 카메라 모듈을 각각 또는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각각의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식을 지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영상 촬영 제어 동작에서, 설정에 따라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촬영된 영상 또는 저장된 영상을 지정된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하도록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로부터 이미지 획득 장치(100) 제어와 관련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촬영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저장하거나 또는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서,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장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전자 장치(300)는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촬영 제어와 관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저장된 또는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전송 제어와 관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시스템은 복수개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촬영 제어 및 영상 전송 제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연결되는 전자 장치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제1 카메라(110), 제2 카메라(120), 제1 메모리(130), 제1 프로세서(140), 제1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제1 디스플레이(160), 제1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110)는 예컨대, 일 방향에 위치한 피사체 또는 풍경 등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110)는 획득된 영상을 제1 프로세서(140) 제어에 대응하여 제1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110)가 획득한 영상은 제1 프로세서(140) 제어에 대응하여 제1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통하여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110)는 일정 촬영 각도(예: 180도 이상의 촬영 각도)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카메라(110)는 195도 정도의 촬영 각도를 가지는 어안렌즈가 배치된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제2 카메라(120)는 제1 카메라(110)와 유사하게 타 방향에 위치한 피사체 또는 풍경 등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2 카메라(120)는 제1 카메라(11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일정 촬영 각도(예: 180도 이상의 촬영 각도)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카메라(120)는 제1 카메라(110)와 유사하게 지정된 촬영 각도 범위를 촬영할 수 있는 어안렌즈가 배치된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제2 카메라(120)가 촬영한 영상은 제1 메모리(130)에 저장되거나 또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통하여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2 카메라(12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제1 카메라(110)와 대칭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카메라(110)가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제2 카메라(120)는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카메라(110) 및 제2 카메라(120)는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제1 카메라(110) 및 제2 카메라(120)는 상하좌우로 이동 가능하거나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카메라(110) 또는 제2 카메라(120) 중 적어도 하나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놓이는 면(예: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지정된 제1 방향(예: 전방 또는 후방)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고정되고, 해당 방향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메모리(13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 운용과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메모리(130)는 제1 카메라(110) 및 제2 카메라(120) 운용과 관련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모리(130)는 제1 프로세서(140) 제어에 대응하여 제1 카메라(110)가 촬영한 영상 및 제2 카메라(120)가 촬영한 영상을 각각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메모리(130)는 제1 카메라(110)가 촬영한 제1 영상 및 제2 카메라(120)가 촬영한 제2 영상을 스티칭한 환 형태, 원통 형태, 구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폐곡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메모리(130)에 저장된 폐곡 영상, 제1 영상,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따라 단말 전자 장치(300)에 실시간 또는 단말 전자 장치(300) 요청 시점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1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입출력 기능과 관련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1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 버튼,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예: 상기 제1 디스플레이(1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오디오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장치는 예컨대, 마이크를 포함하고, 오디오를 수집할 수 있다. 제1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제1 프로세서(140) 제어에 대응하여 수집된 오디오 정보를 영상과 함께 또는 오디오 정보만을 단말 전자 장치(300) 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16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제어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160)는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되고, 이미지 획득 장치(100) 제어와 관련한 메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60)는 예컨대,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현재 촬영 상태(예: 제1 카메라(110) 및 제2 카메라(120) 중 적어도 하나의 운용 상태), 촬영 종류(예: 비디오 촬영, 타임 랩스, 비디오 루핑 등) 등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1 디스플레이(160)는 촬영 종류를 변경할 수 있는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1 디스플레이(160)는 수신된 영상의 전송 상태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비디오 촬영은 촬영 요청 시점부터 연속된 촬영을 수행하고, 중지 요청 시 촬영을 중지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임 랩스는 일정 시간 단위로 일정 시간 동안 비디오 촬영을 수행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디오 루핑은 지정된 시간 동안만 비디오 촬영을 수행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블루투스 통신 인터페이스,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인터페이스, Soft AP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oft AP는 랜으로 받은 인터넷 데이터를 무선 랜을 통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140)는 제1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또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160)를 기반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카메라(110) 및 제2 카메라(12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영상 촬영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프로세서(140)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통해 수신되는 촬영 제어 신호 또는 영상 전송 신호 등에 대응하여, 지정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프로세서(14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 또는 단말 전자 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촬영 시작을 요청하는 촬영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촬영 제어 신호의 종류에 대응하여 제1 카메라(110) 및 제2 카메라(120)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영상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140)는 촬영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제1 카메라(110)가 촬영한 영상 또는 제2 카메라(120)가 촬영한 영상 중 어느 하나를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프로세서(140)는 제1 메모리(130)에 저장된 제1 카메라(110)의 영상 및 제2 카메라(120)의 영상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하거나 다운로드 방식으로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140)는 제1 카메라(110)가 획득한 제1 영상 및 제2 카메라(120)가 획득한 제2 영상을 스티칭하여 폐곡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40)는 생성된 폐곡 영상을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 방식은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전송한 영상을 단말 전자 장치(300)에서 출력하되, 단말 전자 장치(300)의 메모리에 별도의 저장 동작 없이 수행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운로드 방식은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전송한 영상을 단말 전자 장치(300)의 단말 메모리(330)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단말 메모리(330)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프로세서(14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로부터 촬영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제1 프로세서(140)는 예컨대, 지정된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제1 프로세서(140)는 단말 전자 장치(300)와 복수개의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프로세서(140)는 제1 통신 방식(예: 블루투스 통신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통신 방식)으로 단말 전자 장치(3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40)는 영상 전송이 중지되거나 없는 경우에는 제1 통신 방식의 통신 채널만을 유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어 신호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40)는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제2 통신 방식(예: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통신 방식)으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140)는 단말 전자 장치(300)가 중계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의 촬영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프로세서(14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여 촬영을 수행하고(예: 제1 통신 방식 기반으로 신호 수신), 촬영된 영상은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예: 제2 통신 방식 기반으로 영상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제2 메모리(230), 제2 프로세서(240), 제2 디스플레이(260), 제2 통신 인터페이스(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메모리(230)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 운용과 관련한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메모리(23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의 연결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메모리(23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 제어와 관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메모리(23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련 정보는 제2 디스플레이(260)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2 디스플레이(26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 운용과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디스플레이(26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에 관한 화면, 단말 전자 장치(300)와의 통신 연결에 관한 화면,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촬영 제어와 관련한 촬영 UI(user interface)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제2 디스플레이(260)의 촬영 UI를 후술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27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의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통신 인터페이스(270)는 예컨대,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 제1 통신 방식(예: 근거리 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예컨대, 블루투스 통신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27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촬영 제어와 관련한 촬영 제어 신호를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270)는 단말 전자 장치(3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통신 인터페이스(270)는 단말 전자 장치(300)와 근거리 통신 채널 또는 이동 통신 채널 등을 기반으로 신호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통신 인터페이스(270)는 제2 프로세서(240) 제어에 대응하여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촬영 제어 신호를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하면서,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로세서(24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의 기능 실행과 관련한 신호의 처리와 전송, 저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프로세서(24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또는 설정에 따라, 주변 검색을 수행하고 이미지 획득 장치(100) 또는 단말 전자 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40)는 통신 연결 과정에서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검색되거나 또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연결된 단말 전자 장치(3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경우,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촬영 제어와 관련한 촬영 UI를 제2 디스플레이(26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촬영 종류에 대응하는 촬영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촬영 제어 신호를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제2 프로세서(240)는 촬영 제어 신호를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직접 전송하거나(예: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 직접 연결된 경우) 또는 단말 전자 장치(300)를 통해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간접 전송(예: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단말 전자 장치(300)에만 연결된 경우)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로세서(240)는 설정에 따라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저장된 또는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실시간 획득하는 영상을 지정된 단말 전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제2 프로세서(240)는 촬영 제어 신호에 상기 영상 전송 요청 신호(예: 지정된 단말 전자 장치(300)에 영상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포함하여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이미지 획득 장치 제어와 관련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예: 제2 메모리)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예: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과 제2 방향에 대한 적어도 180도 이상의 뷰 각도를 가지는 제2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이미지 획득 장치의 촬영 제어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카메라를 기반으로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종류 및 상기 제2 카메라를 기반으로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촬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카메라는 제1 방향에 대한 적어도 180도 이상의 뷰 각도를 가지는 제1 영상 촬영이 가능하고, 상기 제2 카메라는 제2 방향(예: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서, 예컨대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에 대한 적어도 180도 이상의 뷰 각도를 가지는 제2 영상이 가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촬영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촬영 제어 신호를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와 직접 연결되거나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와 연결된 단말 전자 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촬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가 획득한 영상을 지정된 단말 전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카메라 및 상기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시작 요청 및 종료 요청 사이에 지속적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비디오 촬영 방식과 관련한 오브젝트, 상기 제1 카메라 및 상기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지정된 인터벌로 영상을 촬영하는 타임 랩스 촬영 방식과 관련한 오브젝트, 상기 제1 카메라 및 상기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지정된 시간 동안 영상을 촬영하는 비디오 루핑 촬영 방식과 관련한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촬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회전 가능한 입력 기능의 베젤 회전을 검출하고, 상기 회전 방향 및 회전 거리에 따라, 상기 촬영 방식들 중 지정된 촬영 방식의 오브젝트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통신 연결된 단말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하고, 상기 단말 전자 장치를 기반으로 상기 촬영 제어 신호를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와 직접 연결된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상기 촬영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설정에 따라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저장된 영상 또는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가 촬영하고 있는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을 지정된 단말 전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전자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 전자 장치(300)는 단말 메모리(330), 단말 프로세서(340), 단말 입출력 인터페이스(350), 단말 디스플레이(360),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3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 메모리(330)는 단말 전자 장치(300)의 기능 수행과 관련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단말 메모리(330)는 예컨대, 커널, 미들웨어, API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 메모리(33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와의 연결 정보,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의 연결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단말 메모리(33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저장된 영상 목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단말 메모리(33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제공한 제1 카메라 영상 및 제2 카메라 영상을 하나의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단말 메모리(33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제공한 폐곡 영상(예: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제1 카메라 영상 및 제2 카메라 영상을 스티칭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전자 장치(300)는 폐곡 영상을 기반으로 생성된 듀얼 뷰 영상을 별도로 메모리에 저장할 수도 있다.
단말 메모리(330)에 저장된 폐곡 영상(또는 제1 카메라 영상 및 제2 카메라 영상)을 기반으로, 단말 프로세서(340)는 다양한 형태의 영상(예: 듀얼 뷰 영상, 폐곡 영상, 파노라믹 영상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프로세서(340)는 듀얼 뷰 영상 출력 요청 시 단말 메모리(330)에 저장된 폐곡 영상을 분할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단말 프로세서(340)는 폐곡 영상 출력 요청 시, 상기 폐곡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단말 디스플레이(360)에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프로세서(340)는 원통의 중심에서 원통의 내벽을 바라보는 형태의 360도 뷰 각도를 가지는 폐곡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단말 프로세서(340)는 원통형(또는 띠 형태, 구형) 영상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일정 뷰 각도를 가지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 프로세서(340)는 상기 단말 메모리(330)에 저장된 폐곡 영상을 기반으로 변환된 파노라믹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파노라믹 영상은 상기 폐곡 영상의 일 지점이 절단되고, 양측으로 펼쳐진 형태의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 프로세서(340)는 단말 전자 장치(300)가 HMD(head mount device) 장치와 연동되는 동안, HMD 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폐곡 영상을 가상 VR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프로세서(34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하는 영상을 단말 메모리(330)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 프로세서(340)는 단말 메모리(330)에 저장되었다가, 이미지 획득 장치(100) 운용과 관련하여 로드되는 이미지 획득 매니저를 운용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획득 매니저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획득 매니저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촬영 제어 또는 영상 전송 제어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획득 매니저는 폐곡 영상(또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제1 카메라 영상 및 제2 카메라 영상)을 기반으로 듀얼 뷰 영상 출력, 폐곡 영상 출력, 파노라믹 영상 출력, 가상 VR 영상 출력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폐곡 영상은 제1 카메라(110)가 촬영한 제1 영상 및 제2 카메라(120)가 촬영한 제2 영상의 가장자리를 스티칭하여 원통형 또는 구형으로 마련한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 VR 영상은 상기 폐곡 영상을 헤드 마운트 장치를 통해 볼 수 있도록, 폐곡 영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으로 구분되는 표시 영역들로 배치한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 프로세서(340)는 단말 전자 장치(300) 운용과 관련한 신호의 전달과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프로세서(34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와의 통신 연결,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 등을 사용자 입력 또는 설정에 대응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는, 단말 프로세서(34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가 전송한 촬영 제어 신호를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전달하고,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한 영상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단말 프로세서(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된 촬영 제어 신호를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전송하고,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스트리밍 방식 또는 다운로드 방식으로 전송한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 또는 출력할 수 있다. 단말 프로세서(34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 제어와 관련하여 제어 UI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 UI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포함된 복수개의 카메라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상기 단말 입출력 인터페이스(350)는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단말 전자 장치(30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입출력 인터페이스(350)는 단말 전자 장치(30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 입출력 인터페이스(35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제어와 관련한 입력 신호를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검색과 연결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촬영 제어와 관련한 입력 신호,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영상 전송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제공한 컨텐츠 재생 중, 특정 영상을 캡쳐하는 입력 신호 등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입출력 인터페이스(35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와의 통신 연결 또는 해제 등과 관련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오디오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장치는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제어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정보(예: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촬영 상태 정보 또는 영상 전송 상태 정보와 관련하여 사전 저장된 안내 정보 또는 효과음)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오디오 장치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촬영 제어 또는 영상 전송 제어와 관련한 음성 신호를 수집하고, 음성 인식에 의해 추출된 음성 명령어를 단말 프로세서(34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오디오 장치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촬영 제어 또는 영상 전송 제어를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ED (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컨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처, 근접, 또는 호버링(hovering)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 제어와 관련한 다양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와의 통신 연결과 관련한 화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의 촬영 제어 신호 중계와 관련된 화면,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과 관련한 화면, 이미지 획득 장치(100) 제어와 관련한 제어 UI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제공한 영상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한 영상 컨텐츠 또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다운로드 방식으로 전송하여 단말 메모리(330)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듀얼 뷰 영상 출력 화면 또는 폐곡 영상 출력 화면(예: 전체 폐곡 영상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출력하는 화면), Panoramic 뷰 영상 출력 화면, HMD 장치를 위한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370)는 예를 들면, 단말 전자 장치(300)와 외부 장치(예: 이미지 획득 장치(100) 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37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37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 또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모듈(예: BT, WIFI 통신 하드웨어 인터페이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37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MST(magnetic stripe transmission), 스캐너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37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로부터 촬영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37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생성된 촬영 제어 신호를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37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제공하는 영상(예: 스트리밍 방식 또는 다운로드 방식 등으로 전송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획득과 관련한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시스템에서의 신호 흐름과 관련하여, 동작 501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와 단말 전자 장치(300) 또는 단말 전자 장치(300)와 이미지 획득 장치(100) 간의 통신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 또는 단말 전자 장치(3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지정된 통신 모듈(예: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주변 스캔을 수행하고, 스캔 정보를 기반으로, 상호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 및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지정된 원거리 통신 모듈(예: 이동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 연결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로부터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 수신에 대응하여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을 위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된 경우, 일정 주기 동안 또는 일정 주기에 걸쳐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와의 통신 연결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지정된 통신 모듈(예: 근거리 통신 모듈로서, BT, WiFi, Soft AP 방식 등)을 이용하여 주변 스캔을 수행하고, 스캔 정보를 기반으로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단말 전자 장치(300)를 검색하여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연결되면, 통신 연결 상태에 관한 정보를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503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 관련한 촬영 UI(User Interface)를 출력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이용 가능한 상태(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가 단말 전자 장치(300)에 연결되고, 단말 전자 장치(300)가 이미지 획득 장치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촬영 UI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촬영 제어와 관련한 아이콘이나 메뉴를 출력하고, 해당 아이콘이나 메뉴가 선택되면, 단말 전자 장치(300)에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단말 전자 장치(300)로부터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 연결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촬영 UI를 출력할 수 있다. 촬영 UI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를 기반으로 지정된 종류의 영상을 촬영을 요청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예: 가상 아이콘)를 출력할 수 있다.
동작 505에서,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촬영 제어와 관련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촬영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507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상기 촬영 제어 신호를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되는 촬영 제어 신호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도록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509에서,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촬영 제어 신호를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와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 연결된 통신 방식이 다른 경우,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의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형태로 촬영 제어 신호를 변경하고, 변경된 촬영 제어 신호를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가 전달하는 상기 촬영 제어 신호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촬영하는 영상을 지정된 방식(예: 스트리밍 방식 또는 다운로드 방식)으로 전송을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511에서,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촬영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촬영 및 저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촬영 제어 신호를 파싱하여, 촬영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촬영 종류(예: 제1 카메라(110), 제2 카메라(120)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영상을 촬영하되, 비디오 타입, 타입 랩스 타입, 비디오 루핑 타입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촬영할 수 있다.
동작 513에서, 단말 전자 장치(3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설정에 따라 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 전자 장치(300)는 영상 전송 요청과 관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예: 영상 전송을 요청할 수 있는 가상 버튼을 포함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단말 디스플레이(360)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단말 전자 장치(300)가 동작 509에서 영상을 전송 요청하는 정보를 촬영 제어 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한 경우, 동작 513은 생략될 수 있다.
동작 515에서,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촬영 또는 저장된 영상을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을 단말 전자 장치(300)에 지정된 방식(예: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프리뷰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프리뷰 영상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다운로드 방식으로 영상 전송을 요청한 경우,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일정 시간 단위로 수집된 영상을 다운로드 방식으로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에서,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 단말 전자 장치(300)는 통신 연결, 촬영 제어 신호의 전송, 영상 전송 요청 등을 제1 통신 방식(예: 블루투스 통신 방식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에 따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 단말 전자 장치(300)는 영상 전송을 제2 통신 방식(예: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방식 또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에 따라 송수신할 수 있다. 제2 통신 방식을 이용하기 위하여,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 단말 전자 장치(30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위한 연결 정보를 제1 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공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이미지 획득 장치 간의 신호 흐름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시스템의 신호 흐름과 관련하여, 동작 601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 및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 및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제1 통신 방식(예: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으로 통신 대기를 수행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이미지 획득 장치(100)를 스캔하고, 이전 연결 이력 또는 검색 결과 및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동작 603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촬영 UI를 출력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연결되면,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장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장치 정보에 기반하여,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촬영 제어와 관련한 촬영 UI를 제2 디스플레이(26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촬영 UI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를 기반으로 촬영 가능한 촬영 종류별 메뉴 또는 아이콘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동작 605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의 제2 디스플레이(260)는 입력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제2 디스플레이(260)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사용자 입력으로 수집할 수 있다.
동작 607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촬영 제어 신호를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제어 신호는 예컨대,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촬영할 수 있는 다양한 촬영 종류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촬영 제어 신호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디폴트로 수행하도록 설정된 촬영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609에서,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촬영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촬영 및 저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가 제공한 촬영 제어 신호에서 촬영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촬영 종류 정보에 따라, 제1 카메라(110), 제2 카메라(120)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활성화된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120)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비디오, 타임 랩스, 비디오 루핑 중 적어도 하나의 종류에 대응하는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해당 촬영 종류에 따라 획득된 영상을 제1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촬영 중지와 관련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촬영 중지와 관련한 제어 신호를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촬영 중지와 관련한 제어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촬영을 중지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촬영 중지 이전 동안 수집된 영상을 제1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설정에 따라,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획득된 영상을 지정된 외부 장치(예: 단말 전자 장치(300))에 자동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획득된 영상의 전송 여부단말 전자 장치(300)에 확인하고, 단말 전자 장치(300)의 수락 시, 획득된 영상을 다운로드 방식 또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전자 장치와 이미지 획득 장치 간의 신호 흐름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미지 획득 시스템의 신호 흐름에 있어서, 동작 701에서, 단말 전자 장치(300)와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통신 대기 상태를 가지고, 단말 전자 장치(3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근거리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주변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검색 결과 및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또는 이전 연결 이력에 대응하여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단말 전자 장치(300)는 제1 통신 방식(예: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통신 연결할 수 있다.
동작 703에서,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제어 UI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단말 전자 장치(3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통신 연결되면 자동으로 제어 UI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단말 전자 장치(3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 관련한 메뉴(예: 촬영 제어 항목 또는 영상 전송 제어 항목)를 출력하고, 메뉴 선택에 따른 제어 UI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 UI는 촬영 제어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로 구성된 UI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 UI는 예컨대 촬영 제어 또는 영상 전송 제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한 오브젝트(예: 가상 버튼 또는 가상 아이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705에서,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촬영 관련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를 기반으로 촬영 가능한 종류의 메뉴 또는 아이콘들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촬영 제어와 관련한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또는 촬영 제어와 관련한 사용자 음성 입력)이 발생하면, 단말 전자 장치(300)는 해당 입력을 촬영 관련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촬영 관련 입력에 따른 촬영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제어 신호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디폴트로 수행할 촬영 종류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른 촬영 종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707에서,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촬영 제어 신호를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09에서,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수신된 촬영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촬영 및 저장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711에서,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촬영된 영상을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촬영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획득된 영상의 저장 없이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 전자 장치(300)는 설정 또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영상을 단말 디스플레이(360)의 출력과 단말 메모리(330)의 저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713에서,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수신된 영상을 라이브 뷰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라이브 뷰는 예컨대,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획득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영상일 수 있다.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제공한 영상(예: 제1 카메라(110) 영상 및 제2 카메라(120) 영상)을 스티칭하여 폐곡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단말 전자 장치(300)는 생성된(또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폐곡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단말 디스플레이(360)에 출력할 수 있다. 단말 전자 장치(300)는 사용자 입력(예: 단말 전자 장치(300)의 움직임을 일 방향으로 이동(또는 회전)시키는 입력-파지 후 일 방향으로 장치를 이동시키거나 회전, 단말 디스플레이(360)를 통해 지정된 방향을 지시하는 터치 입력-스윕 또는 드래그 등)에 대응하여 폐곡 영상 중 현재 표시되지 않는 다른 영역을 단말 디스플레이(360)에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라이브 뷰는 예컨대, 듀얼 뷰 영상일 수 있다. 듀얼 뷰 영상을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경우, 단말 전자 장치(300)는 단말 디스플레이(360)를 화면 분할하고, 분할된 화면 영역에 폐곡 영상을 기반으로 변환한 영상들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전자 장치(3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제1 카메라(110)가 획득한 영상 및 제2 카메라(120)가 획득한 영상을 각각 제공할 경우, 각각의 영상을 분할된 화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사용자 입력(예: 폐곡 영상 출력 요청)에 대응하여 듀얼 뷰 영상 출력을 중지하고, 폐곡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753에서, 단말 전자 장치(300)는 제어 UI를 출력하고, 동작 755에서, 영상 전송 요청과 관련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 UI는 영상 전송 요청과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 UI는 촬영 제어 및 영상 전송 제어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로 구성된 UI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전송 제어와 관련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동작 757에서, 단말 전자 장치(300)는 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전송 요청 신호는 예컨대, 영상 전송 방식 정보(예: 스트리밍 방식, 다운로드 방식)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759에서, 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한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단말 전자 장치(300)가 요청한 방식(예: 다운로드 방식)으로 영상을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전자 장치(3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전송한 영상을 단말 메모리(3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저장된 영상과 관련한 리스트를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하고, 단말 전자 장치(300)로부터 영상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영상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만을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영상 전송 이력을 확인하고, 전송한 이력이 있는 영상 이외의 영상을 자동으로 선택하고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동작 761에서, 단말 전자 장치(3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설정에 따라 저장된 영상을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단말 전자 장치(300)는 저장된 영상을 설정에 따라 듀얼 뷰 영상 또는 폐곡 영상, 파노라믹 영상, 가상 VR 영상 중 어느 하나로 출력할 수 있다. 단말 전자 장치(300)는 각 영상 타입들 간의 전환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전자 장치(3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듀얼 뷰 영상 출력 중 폐곡 영상으로 전환하거나, 폐곡 영상 출력 중 듀얼 뷰 영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는, 단말 전자 장치(300)는 듀얼 뷰 영상 출력 중 파노라믹 영상으로 전환하거나, 파노라믹 영상 출력 중 폐곡 영상 출력으로 전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저장된 영상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전자 장치(300)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된 영상을 단말 디스플레이(360)에 출력할 수 있다. 단말 전자 장치(3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된 영상을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요청하여 단말 메모리(33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관련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801 화면에서와 같이,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메뉴 화면 또는 대기 화면을 제2 디스플레이(260)에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슬립 상태(예: 제2 디스플레이(260) 턴-오프 상태)에서 지정된 사용자 입력 또는 제스처가 발생하면, 801 화면에서와 같은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 또는 단말 전자 장치(3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801 화면은 예컨대, 비행기 모드 전환과 관련한 제1 아이콘(811), 이미지 획득 장치(100) 제어와 관련한 제2 아이콘(812) 및 음악 재생과 관련한 제3 아이콘(81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 연결 시, 제2 아이콘(812)만을 제2 디스플레이(260)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아이콘(812)의 위치는 화면 중앙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아이콘(812) 선택 시, 803 화면에서와 같이,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 제어와 관련한 촬영 제어 UI를 제2 디스플레이(260)에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 연결 시, 803 화면과 같은 촬영 제어 UI를 디폴트로 출력할 수도 있다. 예컨대,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슬립 상태에서 이미지 획득 장치(100) 연결 시 촬영 제어 UI를 제2 디스플레이(260)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촬영 제어 UI를 제2 디스플레이(26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제어 UI는 예컨대, 제1 카메라 영역(820), 제2 카메라 영역(830), 통합 영역(8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 영역(820)에는 제1 카메라(110)를 이용하여 촬영할 수 있는 촬영의 종류에 따라 제1 비디오 아이콘(821), 제1 타임 랩스 아이콘(822), 제1 비디오 루핑 아이콘(8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카메라 영역(830)에는 제2 카메라(120)를 이용하여 촬영할 수 있는 촬영의 종류에 따라 제2 비디오 아이콘(831), 제2 타임 랩스 아이콘(832), 제2 비디오 루핑 아이콘(8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콘들은 각각 비디오 촬영을 지시할 수 있는 아이콘, 타임 랩스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하도록 지시하는, 지정된 시간 동안 비디오 촬영을 지시할 수 있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임 랩스 아이콘이 선택되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디폴트로 지정된 인터벌에 따라 타임 랩스 촬영을 지시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타임 랩스 아이콘 선택 시, 인터벌을 조정할 수 있는 UI를 제공하거나 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의 회전 베젤을 기반으로 인터벌을 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비디오 루핑 아이콘이 선택되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비디오 촬영할 시간 지정과 관련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영역(850)은 제1 카메라(110) 및 제2 카메라(120)를 동시에 운용하여 지정된 방식(예: 비디오 촬영)으로 영상을 촬영하도록 지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는, 통합 영역(850) 선택 시,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비디오, 타임 랩스, 또는 비디오 루핑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UI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촬영 제어 UI는 예컨대, 단말 전자 장치(300)를 통해 연결되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제어 또는 직접 연결된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전자 장치(300)를 통한 간접 제어 환경에서의 촬영 제어 UI와, 직접 연결된 제어 환경에서의 촬영 제어 UI는 다를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촬영과 관련한 촬영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합 영역(850)이 선택되는 경우, 805 화면에서와 같이,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상태와 관련한 상태 오브젝트(예: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 비디오 촬영 중) 및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촬영 제어와 관련한 제어 오브젝트(예: 촬영을 중지시키기 위한 중지 버튼(860))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촬영 상태 화면은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촬영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관련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901 화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복수개의 카메라 모듈 제어와 관련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260)는 제1 영역(911), 제2 영역(912), 제3 영역(921), 제4 영역(922)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260)는 제1 핸들러(915), 제2 핸들러(925), 제3 핸들러(910)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영역(911)은 예컨대, 제1 카메라(110)를 이용하여 타임 랩스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하도록 지시하는 입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912)은 예컨대, 제1 카메라(110)를 이용하여 비디오 촬영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하도록 지시하는 입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영역(921)은 예컨대, 제2 카메라(120)를 이용하여 타임 랩스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하도록 지시하는 입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영역(922)은 예컨대, 제2 카메라(120)를 이용하여 비디오 촬영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하도록 지시하는 입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핸들러(915)는 예컨대, 제1 카메라(110)를 타임 랩스 방식으로 촬영하도록 지시하면서 실질적으로 동시에 제2 카메라(120)를 타임 랩스 방식으로 촬영하도록 지시하는 입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핸들러(925)는 예컨대, 제1 카메라(110)를 비디오 촬영 방식으로 촬영하도록 지시하면서 실질적으로 동시에 제2 카메라(120)를 비디오 촬영 방식으로 촬영하도록 지시하는 입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핸들러(910)는 예컨대, 제1 카메라(110)와 제2 카메라(120)를 동시 운용하되 타임 랩스 방식과 비디오 촬영 방식 중 설정된 방식(예: 이전 촬영 방식)으로 촬영하도록 지시하는 입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핸들러(930) 선택 시, 제2 디스플레이(260)는 타임 랩스 방식, 비디오 촬영 방식 또는 비디오 루핑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창을 출력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선택된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촬영 제어 신호를 통신 연결된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촬영 제어 신호를 단말 전자 장치(300)를 통해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회전 가능하고 입력 기능을 가지는 베젤(201)과 제2 디스플레이(26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젤(201)을 제1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903 화면에서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260)는 제1 촬영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촬영 제어 오브젝트(930)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제어 오브젝트(930)는 베젤(201)의 회전에 따라 지시 항목이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촬영 제어 오브젝트(930)의 유효 영역(예: 리스트의 중앙 영역)에는 제1 카메라(110)를 비디오 촬영 방식으로 촬영하도록 지시하는 LV 항목(9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하거나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해당 촬영 제어 신호를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베젤(201)이 제1 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되는 경우, 촬영 제어 오브젝트(930)에는 ALL 항목(933)이 출력될 수 있다. ALL 항목(933)은 예컨대, 제1 카메라(110)와 제2 카메라(120)를 동시 운용하여 지정된 방식(예: 비디오 촬영 방식, 타임 랩스 방식 또는 비디오 루핑 방식)으로 촬영하도록 지시하는 항목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베젤(201)이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촬영 제어 오브젝트(930)의 유효 영역에는 LT 항목(932)이 표시될 수 있다. LT 항목(932)이 유효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지정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1 카메라(110)를 이용하여 타임 랩스 방식으로 촬영하도록 지시하는 촬영 제어 신호를 생성되고, 상기 촬영 제어 신호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전송될 수 있다.
베젤(201)을 제2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905 화면에서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260)는 제2 촬영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촬영 제어 오브젝트(930)를 출력할 수 있다. 촬영 제어 오브젝트(930)에는 예컨대, RV 항목(951)이 출력될 수 있으며, 대기 영역(예: RV 항목(951)의 상부 또는 하부 리스트 항목 영역)에는 RT 항목(952) 및 ALL 항목(933)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대기 영역 항목들은 베젤(20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유효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RV 항목(951)은 제2 카메라(120)를 기반으로 비디오 촬영을 지시하는 입력 항목일 수 있다. RT 항목(952)은 제2 카메라(120)를 기반으로 타임 랩스 촬영을 지시하는 입력 항목일 수 있다. 상술한 항목들의 순서는 설정에 따라 또는 설계 방식 변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전자 장치의 폐곡 영상 관련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단말 전자 장치(3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면, 수신된 영상을 단말 디스플레이(360)에 출력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단말 전자 장치(300)는 설정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폐곡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폐곡 영상은 예컨대,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제1 카메라(110) 및 제2 카메라(120)가 촬영한 영상의 가장자리를 스티칭하여 원통형 또는 구형의 형태로 생성한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상태는 단말 디스플레이(360)에 폐곡 영상의 일부 영역이 출력되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단말 전자 장치(300)는 폐곡 영상을 단말 디스플레이(360)에 출력하는 경우, 전체 영상(예: 디스플레이 전체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단말 전자 장치(300)는 예컨대, 제1 사용자 입력(361)이 발생하면, 메뉴 영역을 폐곡 영상 위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메뉴 영역은 예컨대, 영상 출력을 중지하거나,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영상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포함된 화면일 수 있다. 상기 메뉴 영역은 예컨대, 단말 디스플레이(360)의 상부 일정 위치 및 하부 일정 위치 중 적어도 한 곳에 표시될 수 있다. 메뉴 영역이 오버레이되지 않은 페곡 영상의 나머지 영역 상에서 제1 사용자 입력(361)이 다시 발생하면, 메뉴 영역은 화면에서 제거되고, 폐곡 영상이 단말 디스플레이(360)에 출력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입력(362)이 발생하는 경우,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현재 표시되는 폐곡 영상과 연이어진 다른 부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제2 사용자 입력(362)이 발생하는 방향(예: 좌측 방향)으로 화면으로 이동시키면서, 폐곡 영상 중 이전에 표시되지 않던 우측 일부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이전에 표시되던 좌측 가장자리 일부 영상을 좌측 화면 밖으로 이동시키면서 점진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입력(363)이 발생하는 경우,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현재 표시되는 폐곡 영상과 연이어진 또 다른 부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제3 사용자 입력(363)이 발생하는 방향(예: 우측 방향)으로 화면으로 이동시키면서, 폐곡 영상 중 이전에 표시되지 않던 좌측 일부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이전에 표시되던 우측 가장자리 일부 영상을 우측화면 밖으로 이동시키면서 점진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제4 사용자 입력(364)이 발생할 경우,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폐곡 영상의 확대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제5 사용자 입력(365)이 발생할 경우,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폐곡 영상의 축소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전자 장치(300)는 장치의 움직임(예: 이동 또는 회전) 또는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여, 영상을 회전 시킬 수 있다. 예컨대, 단말 전자 장치(300)는 자이로 센서 및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장치 이동을 판단하고, 판단된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폐곡 영상을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전자 장치(300)는 장치가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현재 표시되고 있는 일부 폐곡 영상의 좌측에 위치하는 다른 폐곡 영상의 일부를 단말 디스플레이(360)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전자 장치의 듀얼 뷰 관련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단말 전자 장치(3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면, 설정에 따라 또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듀얼 뷰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듀얼 뷰 영상은 예컨대,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각 카메라들이 제공한 영상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1021 화면에서와 같이 세로 모드에서, 상측에 위치한 제1 표시 영역에 제1 카메라(110)가 촬영한 제1 영상(1020a)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세로 모드에서, 하측에 위치한 제2 표시 영역에 제2 카메라(120)가 촬영한 제2 영상(1020b)을 출력할 수 있다. 화면 확대와 관련한 사용자 입력(예: 핀치 줌 인에 대응하는 화면 터치)이 발생하면, 1022 화면에서와 같이, 확대된 제1 영상(1020c)을 제1 표시 영역에 출력하고, 확대된 제2 영상(1020d)을 제2 표시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화면 축소와 관련한 사용자 입력(예: 핀치 줌 아웃에 대응하는 화면 터치)이 발생하면,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1021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화면 회전에 대응하여 가로 모드 기반의 듀얼 뷰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1031 화면에서와 같이 가로 모드에서, 좌측에 위치한 제3 표시 영역에 제1 카메라(110)가 촬영한 제3 영상(1030a)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가로 모드에서, 우측에 위치한 제4 표시 영역에 제2 카메라(120)가 촬영한 제4 영상(1030b)을 출력할 수 있다. 화면 확대와 관련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면, 1032 화면에서와 같이, 확대된 제3 영상(1030c)을 제3 표시 영역에 출력하고, 확대된 제3 영상(1030d)을 제4 표시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화면 축소와 관련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면,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1031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화면 확대 시, 현재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부분들을 검색(예: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하좌우 화면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전자 장치(300)는 장치를 이동시키는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여, 표시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을 회전 시킬 수 있다. 예컨대, 단말 전자 장치(300)는 센서를 이용하여 장치 움직임(예: 이동 또는 회전)을 판단하고, 판단된 움직임(예: 방향과 거리)에 대응하여 각각의 표시 영역에 표시된 영상 범위를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전자 장치(300)는 장치가 좌측으로 이동(또는 회전)하는 경우, 현재 표시되고 있는 제1 표시 영역(또는 제3 표시 영역) 내에서 제1 카메라(110) 영상을 좌측으로 화면 이동시키고, 제2 표시 영역(또는 제4 표시 영역) 내에서 제2 카메라(120) 영상을 우측으로 화면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0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전자 장치의 파노라믹 뷰 관련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c를 참조하면, 단말 전자 장치(3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면, 설정에 따라 또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파노라믹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전자 장치(3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로부터 파노라믹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단말 전자 장치(3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폐곡 영상을 기반으로 파노라믹 뷰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전자 장치(300)는 파노라믹 영상 출력이 요청되면, 단말 메모리(330)에 저장된 폐곡 영상(또는 스티칭 영상)의 일정 지점을 절단하여 파노라믹 뷰로 전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1041 화면에서와 같이,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제1 방향(예: 세로 모드)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제1 파노라믹 영상(1040a)을 출력할 수 있다. 화면 확대와 관련한 사용자 입력(예: 핀치 줌 인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1042 화면에서와 같이, 일정 영역을 확대한 확대된 제1 파노라믹 영상(1040b)를 출력할 수 있다. 확대된 제1 파노라믹 영상(1040b)는 제1 파노라믹 영상(1040a)을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확대한 후, 화면 비율에 맞추어 일부가 표시된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1051 화면에서와 같이,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제2 방향(예: 가로 모드)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제2 파노라믹 영상(1040c)을 출력할 수 있다. 화면 확대와 관련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면,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1052 화면에서와 같이, 일정 영역을 확대한 확대된 제2 파노라믹 영상(1040c)를 출력할 수 있다. 확대된 제2 파노라믹 영상(1040c)는 제2 파노라믹 영상(1040c)을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확대한 후, 화면 비율에 맞추어 일부가 표시된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면 확대에 대응하여, 확대된 제2 파노라믹 영상(1040d)은 전체 화면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파노라믹 영상의 일부가 출력되는 확대된 제1 파노라믹 영상(1040b) 또는 확대된 제2 파노라믹 영상(1040d)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단말 디스플레이(360)에 표시되지 않은 확대된 영역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화면이 이동하면서 단말 디스플레이(360)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자동으로 화면으로 일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확대된 파노라믹 영상 전체를 표시할 수 있다. 파노라믹 영상의 끝 부분이 단말 디스플레이(360)의 가장자리에 일치되면, 파노라믹 영상의 이동 방향이 바뀌거나, 파노라믹 영상의 이동이 중지될 수 있다.
상기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파노라믹 영상이 확대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표시되지 않은 나머지 영상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파노라믹 영상을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표시되지 않은 나머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전자 장치의 폐곡 영상의 변경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d를 참조하면, 단말 전자 장치(300)는 폐곡 영상 출력 요청이 발생하거나 또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의 연결에 따라 폐곡 영상을 단말 디스플레이(360)에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1061 화면에서와 같이,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세로 모드 환경에서, 폐곡 영상 전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제1 카메라의 영상과 제2 카메라 영상을 스티칭하여 원형, 또는 구형 등에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1061 화면 출력 상태에서 화면 확대와 관련한 입력(예: 핀치 줌 인)이 발생하면,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1063 화면에서와 같이 폐곡 영상의 일정 부분을 출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화면 확대와 관련한 입력이 추가적으로 발생하면,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1065 화면에서와 같이, 폐곡 영상의 일부 영역이 확대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1065 화면 상태에서 화면 축소와 관련한 입력(예: 핀치 줌 아웃)이 발생하면,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1063 화면 또는 1061 화면 등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1071 화면에서와 같이,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가로 모드 환경에서, 폐곡 영상 전체를 출력할 수 있다. 1071 화면 출력 상태에서 화면 확대와 관련한 입력(예: 핀치 줌 인)이 발생하면,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1073 화면에서와 같이 폐곡 영상의 일정 부분(예: 세로 모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일정 영역)을 출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화면 확대와 관련한 입력이 추가적으로 발생하면,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1075 화면에서와 같이, 폐곡 영상의 일부 영역이 확대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1075 화면 상태에서 화면 축소와 관련한 입력(예: 핀치 줌 아웃)이 발생하면,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1073 화면 또는 1071 화면 등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전자 장치의 촬영 제어와 관련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 전자 장치(3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연결되는 경우, 1101 화면에서와 같이,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촬영 제어와 관련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전자 장치(3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제1 카메라(110) 제어와 관련한 제1 제어 영역(1111) 및 제2 카메라(120) 제어와 관련한 제2 제어 영역(1112)을 포함하는 제어 입력 영역(1110)을 단말 디스플레이(360)에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제어 영역(1112)이 선택되면, 단말 전자 장치(300)는 디폴트로 설정된 촬영 제어 신호(예: 제2 카메라(120)를 비디오 촬영 방식으로 촬영하도록 제어 요청하는 신호)를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전자 장치(300)는 제2 제어 영역(1112)이 선택되면, 선택된 제어 영역을 기반으로 촬영할 촬영 종류 항목을 출력하고,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는 촬영 제어 신호를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카메라(120) 운용에 따라,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영상을 전송한 경우,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1103 화면에서와 같이 제어 영역(1130) 중 제2 제어 영역(1132)에 제2 카메라(120)가 전송한 영상을 라이브 뷰(예: 실시간 영상 표시)로 출력할 수 있다.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제어 영역(1130) 중 제1 제어 영역(1131)에는 제1 카메라(110) 제어와 관련한 제어 항목들 예컨대, 비디오 촬영을 요청하는 항목(1131a), 타임 랩스 촬영을 요청하는 항목(1131b), 비디오 루핑 촬영을 요청하는 항목(1131c)를 출력할 수 있다.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비디오 루핑 항목이 선택되면, 지정된 시간 설정을 위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타임 랩스 항목이 선택되면, 인터벌 설정을 위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카메라(110) 영상 및 제2 카메라(120) 영상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듀얼 뷰 영상이 수신되면, 단말 디스플레이(360)는 1105 화면에서와 같이 제1 제어 영역(1151) 및 제2 제어 영역(1152)을 포함하는 제어 영역(1150)에 각각 카메라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 영역(1150)에 출력되는 영상들은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현재 촬영하여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한 영상들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 운용 방법과 관련하여, 동작 1201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의 제2 프로세서(240)는 촬영 기능 제어와 관련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프로세서(24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연결되거나, 이미지 획득 장치(100) 제어와 관련하여 단말 전자 장치(300)가 연결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제2 프로세서(240)는 설정 또는 사용자 입력이 촬영 기능 제어와 관련한 이벤트인지 확인할 수 있다. 촬영 기능 제어와 관련한 이벤트가 아닌 경우, 제2 프로세서(240)는 동작 1203에서,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는 기능 수행을 처리할 수 있다.
촬영 기능 제어와 관련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동작 1205에서, 제2 프로세서(240)는 촬영 UI를 제2 디스플레이(26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촬영 UI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촬영 제어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207에서, 제2 프로세서(240)는 촬영 지시와 관련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촬영 지시와 관련한 사용자 입력이 없는 경우, 제2 프로세서(240)는 이하 동작 1209를 스킵할 수 있다. 촬영 지시와 관련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면, 동작 1209에서, 제2 프로세서(24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촬영 제어 신호를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제2 프로세서(240)는 이미지 획득 설정에 따라, 직접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촬영 제어 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단말 전자 장치(300)를 통해 촬영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촬영 제어 신호 전송과 함께, 이미지 획득 장치(100)로부터 촬영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 제2 프로세서(240)는 촬영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을 제2 디스플레이(260)에 출력할 수 있다.
동작 1211에서, 제2 프로세서(240)는 촬영 중지와 관련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2 프로세서(240)는 촬영 상태 정보 출력 시, 촬영 중지와 관련한 오브젝트(예: 가상 중지 버튼)를 제2 디스플레이(260)에 출력할 수 있다. 중지와 관련한 사용자 입력이 없는 경우, 제2 프로세서(240)는 이하 동작 1213을 스킵할 수 있다. 중지와 관련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동작 1213에서, 제2 프로세서(240)는 촬영 중지 신호를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제2 프로세서(24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로부터 촬영 중지 상태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프로세서(24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촬영 중지와 관련한 상태 정보를 일시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동작 1215에서, 제2 프로세서(24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 제어와 관련한 기능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프로세서(240)는 촬영 중지 상태 정보 수신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기능 종료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2 프로세서(24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 제어 종료와 관련한 가상 버튼을 출력하고, 해당 가상 버튼 선택에 따른 입력 신호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기능 종료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제2 프로세서(240)는 동작 1205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동작을 재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2 프로세서(24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촬영 중인 경우, 동작 1205에서,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촬영 중임을 안내하는 상태 정보를 촬영 UI로서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방향에 대한 적어도 180도 이상의 뷰 각도를 가지는 제1 영상과 제2 방향에 대한 적어도 180도 이상의 뷰 각도를 가지는 제2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이미지 획득 장치의 촬영 제어에 있어서, 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은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동작, 상기 제1 카메라를 기반으로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종류 및 상기 제2 카메라를 기반으로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촬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촬영 제어 신호를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촬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와 직접 연결되거나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와 연결된 단말 전자 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촬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가 획득한 영상을 지정된 단말 전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촬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카메라 및 상기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시작 요청 및 종료 요청 사이에 지속적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비디오 촬영 방식과 관련한 오브젝트, 상기 제1 카메라 및 상기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지정된 인터벌로 영상을 촬영하는 타임 랩스 촬영 방식과 관련한 오브젝트, 상기 제1 카메라 및 상기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지정된 시간 동안 영상을 촬영하는 비디오 루핑 촬영 방식과 관련한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회전 가능한 입력 기능의 베젤 회전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회전 방향 및 회전 거리에 따라, 상기 촬영 방식들 중 지정된 촬영 방식의 오브젝트를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통신 연결된 단말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하고, 상기 단말 전자 장치를 기반으로 상기 촬영 제어 신호를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전송하는 동작,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와 직접 연결된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상기 촬영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저장된 영상 또는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가 촬영하고 있는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을 지정된 단말 전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 전자 장치 운용 방법과 관련하여, 동작 1301에서, 단말 전자 장치(300)의 단말 프로세서(34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 제어와 관련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 제어와 관련한 이벤트는 예컨대,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촬영 제어를 목적으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가 통신 연결되는 이벤트 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로부터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 및 촬영 제어 중계를 요청하는 신호 수신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 제어와 관련한 이벤트는 예컨대,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단말 전자 장치(300)에 연결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발생한 이벤트가 이미지 획득 장치 제어와 관련한 이벤트가 아니면, 동작 1303에서, 단말 프로세서(340)는 이벤트 종류에 따른 해당 기능(예: 단말 전자 장치(300)가 제공하는 통신 기능, 파일 재생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 장치(100) 제어와 관련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동작 1305에서, 단말 전자 장치(30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 및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단말 프로세서(340)는 근거리 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 및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307에서, 단말 프로세서(34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로부터 제어 신호 수신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어 신호 수신이 없는 경우, 단말 프로세서(340)는 이하 동작 1309, 동작 1311을 스킵할 수 있다.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동작 1309에서, 단말 프로세서(340)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통신 방식이 다른 경우, 단말 프로세서(34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의 통신 방식에 맞도록 신호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촬영한 영상의 전송을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 1311에서, 단말 프로세서(34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로부터의 수신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프로세서(34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전송한 영상을 단말 디스플레이(360)에 출력하거나 또는 단말 메모리(33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 신호에 영상 전송을 요청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 단말 프로세서(340)는 동작 1311을 생략할 수 있다.
동작 1313에서, 단말 프로세서(340)는 기능 종료와 관련한 이벤트 발생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기능 종료와 관련한 이벤트 발생이 없으면, 단말 프로세서(340)는 이전 동작 예컨대, 동작 1311을 재수행할 수 있다. 동작 1311이 생략된 경우, 단말 프로세서(340)는 대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기능 종료와 관련한 이벤트는 예컨대, 단말 전자 장치(30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발생하는 이벤트 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로부터 기능 종료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 프로세서(34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촬영 종료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 프로세서(34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 및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와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 전자 장치 운용 방법과 관련하여, 동작 1401에서, 단말 전자 장치(300)의 단말 프로세서(34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 제어와 관련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 제어와 관련한 이벤트는 예컨대,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촬영 제어를 목적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이벤트 및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단말 전자 장치(300)에 연결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발생한 이벤트가 이미지 획득 장치 제어와 관련한 이벤트가 아니면, 동작 1403에서, 단말 프로세서(340)는 이벤트 종류에 따른 해당 기능(예: 단말 전자 장치(300)가 제공하는 통신 기능, 파일 재생 기능, 파일 편집 기능, 이메일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 장치(100) 제어와 관련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동작 1405에서, 단말 전자 장치(3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 통신 연결되면, 동작 1407에서,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제어와 관련한 제어 UI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 UI는 예컨대,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촬영과 관련한 촬영 제어 UI 및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영상 수신과 관련한 영상 전송 제어 UI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409에서, 단말 프로세서(340)는 촬영 제어와 관련한 제어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입력 신호는 예컨대, 촬영 제어 UI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선택 버튼 선택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입력 신호 수신이 없는 경우, 단말 프로세서(340)는 이하 동작 1411, 동작 1413 등을 스킵할 수 있다. 제어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동작 1411에서, 단말 프로세서(340)는 제어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촬영 제어 신호를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영상을 전송하면, 단말 프로세서(340)는 해당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413에서, 단말 프로세서(340)는 수신된 영상을 라이브 뷰로 출력하거나 단말 메모리(33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라이브 뷰 출력은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스트리밍 방식으로 영상을 전송하는 경우 수행될 수 있다.
동작 1415에서, 단말 프로세서(340)는 영상 전송 제어와 관련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프로세서(340)는 영상 전송 제어와 관련한 이벤트 발생이 없으면, 이하 동작 1417, 동작 1419를 스킵할 수 있다. 영상 전송 제어와 관련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동작 1417에서, 단말 프로세서(340)는 영상 전송을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요청하고,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전송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419에서, 단말 프로세서(340)는 사용자 입력 또는 설정에 따라 수신된 영상을 단말 디스플레이(360)에 출력하거나 단말 메모리(33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프로세서(340)는 영상 공유와 관련한 사용자 입력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영상 공유와 관련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한 경우,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제공한 영상을 공유 기능을 통해 지정된 서버(예: SNS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제공한 영상은 예컨대, 제1 카메라 영상 및 제2 카메라 영상을 포함하는 하나의 파일, 또는 제1 카메라 영상과 제2 카메라 영상을 스티칭한 폐곡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다르면, 단말 프로세서(340)는 영상 공유 기능 중 BT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의 메뉴가 선택되면, 주변 전자 장치를 검색하고, 사용자 선택에 의해 지정된 주변 전자 장치에 선택된 폐곡 영상을 1:1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421에서, 단말 프로세서(340)는 기능 종료와 관련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기능 종료와 관련한 이벤트 발생이 없으면, 단말 프로세서(340)는 동작 1407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동작을 재수행할 수 있다. 기능 종료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 프로세서(34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촬영 종료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 프로세서(34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시스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시스템은 이미지 획득 장치(100), 단말 전자 장치(300) 및 단말 전자 장치(300) 탑재가 가능한 헤드 마운트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획득 시스템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 또는 원격 제어기(500)(리모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복수개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사용자 입력 또는 통신 연결되는 단말 전자 장치(300)의 제어 신호,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의 제어 신호, 또는 원격 제어기(5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획득된 영상을 저장하거나 또는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이미지 획득 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이미지 획득 장치(100)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제공한 영상(예: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가 획득한 영상)을 기반으로 가상 VR 컨텐츠(또는 가상 VR 영상)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가상 VR 컨텐츠는 예컨대, 제1 카메라 영상 및 제2 카메라 영상의 가장자리를 스티칭한 폐곡 영상을 기반으로 출력될 수 있다. 가상 VR 컨텐츠는 상기 폐곡 영상 중 현재 표시되고 있는 일부 영역을 좌안 영역 및 우안 영역에 각각 출력하도록 마련된 영상을 기반으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가상 VR 컨텐츠를 단말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 전자 장치(300)는 화면을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예: 좌안 영역, 우안 영역)에 각각 동일한 가상 VR 컨텐츠의 일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 사이를 일정 폭만큼 떨어지게 유지하고, 해당 폭에는 지정된 이미지를 출력하거나, 좌안 영역의 우측 가장자리 일부 영상 및 우안 영역의 좌측 가장자리 일부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 전자 장치(300)가 장착된 헤드 마운트 장치를 착용하는 경우, 단말 전자 장치(300)는 폐곡 영상의 일부 영역을 가상 VR 컨텐츠로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예: 머리 회전 또는 몸 회전 등에 따라 단말 전자 장치(300)가 회전-단말 전자 장치(300)의 센서 또는 헤드 마운트 장치에 포함된 센서가 감지하여 판단)이 발생하면, 단말 전자 장치(300)는 입력 방향(예: 상하 좌우, 대각선 방향 등)에 대응하는 폐곡 영상의 다른 일부 영역을 가상 VR 컨텐츠로서 단말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전자 장치(300)는 헤드 마운트 장치(400)에 장착되면, 설정에 따라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폐곡 영상을 가상 VR 컨텐츠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단말 전자 장치(300)는 가상 VR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도록 준비된 상태에서, 헤드 마운트 장치(400)에 장착되면 자동으로 가상 VR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전자 장치(3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전송한 영상(예: 제1 카메라 영상 및 제2 카메라 영상)을 기반으로 실시간 가상 VR 컨텐츠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헤드 마운트 장치(400)에 장착되면서, 물리적 결합이 수행되어, 헤드 마운트 장치(400) 삽입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헤드 마운트 장치(400)는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가 장착되고, 단말 전자 장치(300)의 단말 디스플레이(360)에 출력되는 화면을 좌안 및 우안으로 각각 시청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헤드 마운트 장치(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헤드에 착용할 수 있는 벨트 등의 구조물을 포함하며, 단말 전자 장치(300)가 장착될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 마운트 장치(400)는 장착되는 단말 전자 장치(300)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단말 전자 장치(300)의 제어와 관련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버튼 또는 터치 패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 통신 연결(예: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한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촬영 제어와 관련한 촬영 제어 신호를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전송되는 촬영 제어 신호는 촬영한 영상을 지정된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앞서 설명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제어기(5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 근거리 통신 모듈(예: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통신 연결되고, 이미지 획득 장치(100) 제어와 관련한 신호를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원격 제어기(500)는 지정된 주파수 대역(예: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제어기(500)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 버튼 또는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 전자 장치(300)가 안착된 헤드 마운트 장치(400)를 장착한 상태에서, 원격 제어기(500) 제어에 따라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영상 획득 및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시스템은 단말 전자 장치(300)가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전송한 영상을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을 헤드 마운트 장치(400)에서 실행될 수 있는 가상 VR 컨텐츠로 변환하여 단말 전자 장치(300)에 출력할 수도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획득 시스템은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실시간으로 또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하는 영상(예: 복수개의 카메라가 제공하여 가장자리를 스티칭하여 폐곡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영상)을 기반으로 가상 VR 영상을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에서, 사용자는 헤드 마운트 장치(400)를 착용하고, 가상 VR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상태에서, 지정된 입력(또는 제스처-사용자의 머리를 움직여서 헤드 마운트 장치(400)를 지정된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이동시키는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지정된 입력에 따라, 시청하고 있는 가상 VR 컨텐츠에서 정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정된 컨텐츠 운용과 관련한 단말 전자 장치와 이미지 획득 장치 간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미지 획득 시스템의 신호 흐름과 관련하여, 동작 1601에서,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와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주변 검색을 수행하여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검색되면, 사용자 입력 또는 연결 이력을 기반으로 이미지 획득 장치(100)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동작 1603에서, 단말 전자 장치(300)는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영상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 전자 장치(3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 제어와 관련한 제어 UI를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605에서,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에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목록을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영상을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전자 장치(3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제공하는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단말 전자 장치(300) 요청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영상을 촬영(예: 제1 카메라 영상 촬영 및 제2 카메라 영상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제1 카메라 영상 및 제2 카메라 영상을 스티칭한 폐곡 영상을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607에서,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수신된 영상을 가상 VR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전자 장치(300)는 복수개의 카메라가 수집한 영상을 이어 붙여 마련된 폐곡 영상을 가상 VR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단말 전자 장치(300)는 현재 단말의 위치 또는 단말 전자 장치(300)의 단말 디스플레이(360)가 지향하는 방향에 대응하는 폐곡 영상 일부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전자 장치(300)는 획득된 폐곡 영상 일부를 두 개의 화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도록 변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전자 장치(300)는 단말 메모리(330)에 저장된 폐곡 영상(또는 스티칭 영상)의 공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전자 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폐곡 영상들과 관련한 목록 화면 또는 썸네일 화면 또는, 폐곡 영상에 대응하는 아이콘 화면 상에서, 공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공유 기능 선택과 관련한 입력이 발생하면, 단말 전자 장치(300)는 해당 폐곡 영상을 근거리 통신 방식(예: 블루투스,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으로 전송할 수 있는 메뉴 또는 SNS(예: 페이스북, 유튜브, 카카오톡, 라인, 인스타 그램 등)에 업로드할 수 있는 메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메뉴 선택에 따라, 단말 전자 장치(300)는 선택된 폐곡 영상을 다른 사용자 전자 장치에 1:1로 전송하거나 또는 서버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609에서,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변환된 가상 VR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전자 장치(300)는 화면을 분할하고, 제1 분할 영역 및 제2 분할 영역에 획득된 일부 폐곡 영상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기능 종료와 관련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가상 VR 영상 변환, 가상 VR 영상 출력 등을 종료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전자 장치(300)는 듀얼 뷰 영상 또는 폐곡 영상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단말 전자 장치(300)는 실시간으로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영상을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가상 VR 영상을 변환하여 출력한 경우, 이미지 획득 장치(100)의 영상 촬영 중지를 요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획득 시스템은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저장된 또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에 저장된 영상을 등록하여 다른 사용자 전자 장치와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버(예: SNS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 또는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제공하는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듀얼 뷰 영상으로 제공하는 기능, 폐곡 영상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기능, 폐곡 영상을 기반으로 가상 VR 영상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제공하는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별도의 플레이어가 설치되지 않은 사용자 전자 장치라도,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재생 환경 또는 웹 브라우저 등을 기반으로,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제공한 영상에 대한 듀얼 뷰 보기 기능, 폐곡 영상 보기 기능, 파노라믹 영상 보기 기능, 가상 VR 영상으로 보기 기능 등에 따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와 관련한 가상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영상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영상(예: 제1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 및 제2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전송 요청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전자 장치, 단말 전자 장치(300), 헤드 마운트 장치(400), 원격 제어기(500)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영상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수신된 영상을 기반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폐곡 영상(1710)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폐곡 영상(1710)은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제1 카메라 영상 및 제2 카메라 영상을 스티칭하여 전송한 폐곡 영상일 수 있다.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폐곡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단말 전자 장치(300)는 별도의 폐곡 영상 생성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 전자 장치(300)는 헤드 마운트 장치(400)에 장착된 상태에서, 헤드 마운트 장치(400)가 사용자의 헤드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폐곡 영상(1710)을 가상 VR 영상(1720)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가상 VR 영상(1720)은 예컨대, 헤드 마운트 장치(400)에서 좌안 영역 및 우안 영역에 각각 출력되는 동일 또는 유사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실시간으로 영상을 획득하여 단말 전자 장치(300)에 전송하는 경우, 상기 가상 VR 영상(1720)은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이미지의 변화에 대응하여 변화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폐곡 영상(1710)은 단말 전자 장치(300)의 단말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일 수 있다. 폐곡 영상(1710)은 헤드 마운트 장치(400)에 장착된 단말 전자 장치(300)의 영상 변환에 대응하여 가상 VR 영상으로 변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영상 캡쳐와 관련한 사용자 입력(예: 헤드 마운트 장치(400), 단말 전자 장치(300),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 또는 원격 제어기(50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캡쳐 요청)에 대응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가상 VR 영상을 캡쳐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전자 장치(300)는 회전 또는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를 포함하고, 사용자 움직임에 대응하여 센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전자 장치(300)는 센서 정보를 기반으로 회전 방향과 회전 거리(또는 이동 방향과 이동 거리)를 판단하고, 해당 방향 및 거리에 대응하도록 가상 VR 영상의 표시를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화면 이동은 단말 전자 장치(300)의 메모리에 저장되었다가 재생된 컨텐츠 뿐만 아니라, 이미지 획득 장치(100)가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컨텐츠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가상 VR 영상을 원형의 형상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가상 VR 영상은 구 형상, 다각 띠 형상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폐곡 영상도 구 형상, 다각의 띠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단말 전자 장치)는 제1 방향에 대해 적어도 180도 이상의 뷰 각도를 가지는 제1 영상과 제2 방향에 대해 적어도 180도 이상의 뷰 각도를 가지는 제2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상의 가장자리 및 상기 제2 영상의 가장자리를 스티칭하여 폐곡면을 형성하는 폐곡 영상 또는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하나의 화면으로 보는 듀얼 뷰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선택과 관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카메라의 촬영 제어와 관련한 제어 영역과 상기 제2 카메라의 촬영 제어와 관련한 제어 영역, 시작 신호와 종료 신호 사이에 연속적으로 비디오를 촬영하는 비디오 촬영 방식으로 촬영하도록 요청할 수 있는 오브젝트, 지정된 인터벌 주기로 비디오를 촬영하는 타임 랩스 촬영 방식으로 촬영하도록 요청할 수 있는 오브젝트, 지정된 시간 동안 비디오를 촬영하는 비디오 루핑 촬영 방식으로 촬영하도록 중 요청할 수 있는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폐곡 영상 보기 선택에 따라, 상기 폐곡 영상 전체 중 일부분을 단말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설정되거나,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폐곡 영상을 이동시켜 상기 폐곡 영상 중 현재 표시되지 않는 일부 영역을 상기 단말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설정되거나,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표시 중인 상기 폐곡 영상을 확대하여 출력하도록 설정되거나,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표시 중인 상기 폐곡 영상을 축소하여 출력하도록 설정되거나, 상기 단말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폐곡 영상의 화면 이동을 처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듀얼 뷰 영상 보기 선택에 따라, 화면을 분할하고, 상기 제1 영상을 분할된 제1 표시 영역에 출력하고, 상기 제2 영상을 분할된 제2 표시 영역에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확대하여 출력하도록 설정되거나,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표시 중인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각각 축소하여 출력하도록 설정되거나, 사용자 터치 입력 또는 상기 단말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표시 중인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화면 이동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스트리밍 방식 또는 다운로드 방식으로 수신하도록 설정되거나,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실시간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폐곡 영상을 기반으로 헤드 마운트 장치 운용과 관련하여 상기 폐곡 영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동일하게 분할된 화면 표시되도록 변환된 가상 브이알(VR, virtual reality) 영상을, 상기 헤드 마운트 장치의 장착 시, 상기 가상 브이알 영상 재생에 따라, 상기 폐곡 영상의 일부 영역을 분할된 화면에 실질적으로 동시에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캡쳐와 관련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가상 브이알 영상에 대응하는 화면을 캡쳐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되는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 또는 폐곡 영상을 상기 가상 브이알 영상으로 변환하도록 설정되거나, 다운로드 방식으로 수신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 또는 폐곡 영상을 상기 가상 브이알 영상으로 변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이미지 획득 장치와의 통신 연결 또는 제어 신호의 송수신과 관련한 제1 방식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설정되거나, 상기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 전송과 관련하여 상기 제1 방식과 다른 제2 방식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기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을 지정된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단말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 동작과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단말 전자 장치)는 제1 방향에 대해 적어도 180도 이상의 뷰 각도를 가지는 제1 영상과 제2 방향에 대해 적어도 180도 이상의 뷰 각도를 가지는 제2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 또는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메모리 또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헤드 마운트 장치와 관련한 재생 요청 시,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에 대응하는 폐곡 영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분할된 화면에 동일하게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폐곡 영상은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스티칭하여 생성하거나, 또는 이미지 획득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130)가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 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한 실시 예에 따른 저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예: 단말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예: 단말 전자 장치의 단말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는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제1 방향에 대해 적어도 180도 이상의 뷰 각도를 가지는 제1 영상과 제2 방향에 대해 적어도 180도 이상의 뷰 각도를 가지는 제2 영상을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영상의 가장자리 및 상기 제2 영상의 가장자리를 스티칭하여 폐곡면을 형성한 폐곡 영상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폐곡 영상 또는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하나의 화면으로 보는 듀얼 뷰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선택과 관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른 저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2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는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동작, 제1 방향에 대한 적어도 180도 이상의 뷰 각도를 가지는 제1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상기 제1 카메라 관련 촬영 종류 및 제2 방향에 대한 적어도 180도 이상의 뷰 각도를 가지는 제2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상기 제2 카메라 관련 촬영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촬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동작, 사용자 입력에 따른 촬영 제어 신호를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 제1 방향에 대해 적어도 180도 이상의 뷰 각도를 가지는 제1 영상과 제2 방향에 대해 적어도 180도 이상의 뷰 각도를 가지는 제2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상의 가장자리 및 상기 제2 영상의 가장자리를 스티칭하여 폐곡면을 형성하는 폐곡 영상 또는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하나의 화면으로 보는 듀얼 뷰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선택과 관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카메라의 촬영 제어와 관련한 제어 영역과 상기 제2 카메라의 촬영 제어와 관련한 제어 영역, 시작 신호와 종료 신호 사이에 연속적으로 비디오를 촬영하는 비디오 촬영 방식으로 촬영하도록 요청할 수 있는 오브젝트, 지정된 인터벌 주기로 비디오를 촬영하는 타임 랩스 촬영 방식으로 촬영하도록 요청할 수 있는 오브젝트, 지정된 시간 동안 비디오를 촬영하는 비디오 루핑 촬영 방식으로 촬영하도록 중 요청할 수 있는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폐곡 영상 보기 선택에 따라, 상기 폐곡 영상 전체 중 일부분을 단말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설정되거나,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폐곡 영상을 이동시켜 상기 폐곡 영상 중 현재 표시되지 않는 일부 영역을 상기 단말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설정되거나,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표시 중인 상기 폐곡 영상을 확대하여 출력하도록 설정되거나,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표시 중인 상기 폐곡 영상을 축소하여 출력하도록 설정되거나, 상기 단말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폐곡 영상의 화면 이동을 처리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듀얼 뷰 영상 보기 선택에 따라, 화면을 분할하고, 상기 제1 영상을 분할된 제1 표시 영역에 출력하고, 상기 제2 영상을 분할된 제2 표시 영역에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확대하여 출력하도록 설정되거나,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표시 중인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각각 축소하여 출력하도록 설정되거나, 사용자 터치 입력 또는 상기 단말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표시 중인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화면 이동시키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스트리밍 방식 또는 다운로드 방식으로 수신하도록 설정되거나,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실시간 수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 또는 제1 영상과 제2 영상이 스티칭된 폐곡 영상을 기반으로 헤드 마운트 장치 운용과 관련하여 상기 폐곡 영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동일하게 분할된 화면에 표시되도록 가상 브이알 영상으로 변환하고 상기 헤드 마운트 장치의 장착 시, 상기 폐곡 영상의 일부 영역을 분할된 화면에 실질적으로 동시에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캡쳐와 관련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가상 브이알 영상에 대응하는 화면을 캡쳐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되는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가상 브이알 영상으로 변환하도록 설정되거나, 다운로드 방식으로 수신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상기 가상 브이알 영상으로 변환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이미지 획득 장치와의 통신 연결 또는 제어 신호의 송수신과 관련한 제1 방식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설정되거나, 상기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 전송과 관련하여 상기 제1 방식과 다른 제2 방식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1 방향에 대해 적어도 180도 이상의 뷰 각도를 가지는 제1 영상과 제2 방향에 대해 적어도 180도 이상의 뷰 각도를 가지는 제2 영상을 수신하거나, 상기 제1 영상의 가장자리 및 상기 제2 영상의 가장자리를 스티칭하여 폐곡면을 형성하는 폐곡 영상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폐곡 영상 또는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하나의 화면으로 보는 듀얼 뷰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선택과 관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단말 전자 장치 운용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카메라의 촬영 제어와 관련한 제어 영역, 상기 제2 카메라의 촬영 제어와 관련한 제어 영역;
시작 신호와 종료 신호 사이에 연속적으로 비디오를 촬영하는 비디오 촬영 방식으로 촬영하도록 요청할 수 있는 오브젝트;
지정된 인터벌 주기로 비디오를 촬영하는 타임 랩스 촬영 방식으로 촬영하도록 요청할 수 있는 오브젝트;
지정된 시간 동안 비디오를 촬영하는 비디오 루핑 촬영 방식으로 촬영하도록 중 요청할 수 있는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단말 전자 장치 운용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폐곡 영상 보기 선택에 따라, 상기 폐곡 영상 전체 중 일부분을 단말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동작;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폐곡 영상을 이동시켜 상기 폐곡 영상 중 현재 표시되지 않는 일부 영역을 상기 단말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동작;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표시 중인 상기 폐곡 영상을 확대하여 출력하는 동작;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표시 중인 상기 폐곡 영상을 축소하여 출력하는 동작;
상기 단말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폐곡 영상의 화면 이동을 처리하는 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더 포함하는 단말 전자 장치 운용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뷰 영상 보기 선택에 따라, 화면을 분할하고, 상기 제1 영상을 분할된 제1 표시 영역에 출력하고, 상기 제2 영상을 분할된 제2 표시 영역에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단말 전자 장치 운용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확대하여 출력하는 동작;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표시 중인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각각 축소하여 출력하는 동작;
사용자 터치 입력 또는 상기 단말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표시 중인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화면 이동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단말 전자 장치 운용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스트리밍 방식 또는 다운로드 방식으로 수신하는 동작;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실시간 수신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전자 장치 운용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폐곡 영상을 기반으로 헤드 마운트 장치 운용과 관련하여 상기 폐곡 영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동일하게 분할된 화면 표시되도록 하는 가상 브이알 영상으로 변환하는 동작;
상기 헤드 마운트 장치의 장착 시, 상기 가상 브이알 영상 재생에 따라, 상기 폐곡 영상의 일부 영역을 분할된 화면에 실질적으로 동시에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단말 전자 장치 운용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캡쳐와 관련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가상 브이알 영상에 대응하는 화면을 캡쳐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단말 전자 장치 운용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되는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가상 브이알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동작;
다운로드 방식으로 수신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상기 가상 브이알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단말 전자 장치 운용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과 관련하여, 이미지 획득 장치와의 통신 연결 또는 제어 신호의 송수신과 관련한 제1 방식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 전송과 관련하여 상기 제1 방식과 다른 제2 방식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단말 전자 장치 운용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0158A KR20170098412A (ko) | 2016-02-20 | 2016-02-20 | 이미지 획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0158A KR20170098412A (ko) | 2016-02-20 | 2016-02-20 | 이미지 획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8412A true KR20170098412A (ko) | 2017-08-30 |
Family
ID=59760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0158A KR20170098412A (ko) | 2016-02-20 | 2016-02-20 | 이미지 획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98412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23179B1 (ko) * | 2019-01-28 | 2020-06-15 | 안정호 | 회전식 영상 촬영 장치 |
US20210001999A1 (en) * | 2018-03-21 | 2021-01-07 | Massimo Massa | Deployable flight data recorder with data recovery and method |
-
2016
- 2016-02-20 KR KR1020160020158A patent/KR20170098412A/ko unkno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10001999A1 (en) * | 2018-03-21 | 2021-01-07 | Massimo Massa | Deployable flight data recorder with data recovery and method |
KR102123179B1 (ko) * | 2019-01-28 | 2020-06-15 | 안정호 | 회전식 영상 촬영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3251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 service | |
EP3293962B1 (en) | Electronic apparatus | |
US10771686B2 (en) | Method and terminal for acquire panoramic image | |
KR102289837B1 (ko) | 촬영 방법 및 전자 장치 | |
US9742995B2 (en) | Receiver-controlled panoramic view video share | |
US10551833B2 (en) | Method for image capturing using unmanned image captur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 |
US11006030B2 (en)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acquiring image by using camera comprising driving apparatus capable of rotating mirror | |
KR102225947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2123945B1 (ko) | 전자 기기 및 그 구동 방법 | |
US10818057B2 (en) | Spherical content edi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 |
AU2014221568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image area using image sensor location | |
KR20170055213A (ko) | 비행이 가능한 전자 장치를 이용한 촬영 방법 및 장치 | |
KR20170055869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773116B1 (ko) |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촬영 방법 | |
KR20160061133A (ko) | 이미지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KR20180040409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EP2930924A1 (en) | Method of displaying on a single screen images captured by plural cameras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hereto | |
KR20170112493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WO2022033272A1 (zh) | 图像处理方法以及电子设备 | |
KR20180020043A (ko) | 다시점 영상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KR101672268B1 (ko) | 전시공간 제어 시스템 및 전시공간 제어방법 | |
KR20170098412A (ko) | 이미지 획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EP3520071B1 (en) | Consistent spherical photo and video orientation correction | |
JP6756103B2 (ja) | 電子機器、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撮像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20170039994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