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375A - 전문가중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문가중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375A
KR20170098375A KR1020160019850A KR20160019850A KR20170098375A KR 20170098375 A KR20170098375 A KR 20170098375A KR 1020160019850 A KR1020160019850 A KR 1020160019850A KR 20160019850 A KR20160019850 A KR 20160019850A KR 20170098375 A KR20170098375 A KR 20170098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xpert
information
experts
recommen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우
Original Assignee
(주) 전문가닷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전문가닷컴 filed Critical (주) 전문가닷컴
Priority to KR1020160019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8375A/ko
Publication of KR20170098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3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문가중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문가중개 방법은 전문가가 전문분야 정보를 입력하여 등록하는 단계, 사용자가 관심분야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입력된 관심분야 정보에 대응하여 등록한 전문가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하는 추천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전문가 추천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문가중개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of Intermediation for Expert}
본 발명은 전문가중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의 급속한 발전은 기존의 시장 환경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인터넷을 통한 소위 "사이버 시장" 환경의 구현은 기존의 공급자 중심의 시장 체계를 소비자 중심의 시장 체계로 전환시키고 있으며, 나아가 공급자(전문가)와 소비자의 요구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공생적인 시장체계를 요구하고 있다.
법률 시장과 같은 전문 직종의 서비스 분야의 경우에 있어서, 기존에는 대부분 의뢰인(이하 "사용자"라 칭함)이 인맥이나 타인의 소개를 통해 변호사, 법무사, 공인 노무사, 손해사정사 등의 전문가를 찾아가 자신의 사건 수임을 의뢰하면, 해당 전문가가 소정의 수임료를 받고 그 사건을 수임하여 소비자의 법률 문제 해결을 위한 제반업무를 수행하였다.
또한, 최근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에 힘입어, 이메일이나 게시판을 통해 무료(또는 유료)로 고객들에게 전문적인 상담을 해주는 싸이트들이 증가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이들 싸이트에 접속하고,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자신의 법률 문제에 관한 사전 지식을 얻거나 법률 문제해결을 위한 어느 정도의 사전 준비를 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전문가 서비스 체계는 소비자 입장에서 볼 때,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종래에는 사용자가 직접 변호사, 법무사, 공인노무사, 손해사정사 등의 전문가를 직접 찾아서 상담 혹은 사건을 의뢰해야 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입장에서는 전문가를 검색하는 과정에서 시간 및 비용을 소모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정보의 부족으로 인해 원하는 전문가를 효과적으로 검색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관심분야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전문가를 검색하여 그 결과를 제공하는 전문가중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문가중개 방법은 전문가가 전문분야 정보를 입력하여 등록하는 단계, 사용자가 관심분야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입력된 관심분야 정보에 대응하여 등록한 전문가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하는 추천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전문가 추천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문가가 상기 사용자에 대해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문가가 평가한 사용자의 평가 점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점수보다 낮은 경우에 해당 사용자의 접속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전문가 추천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상기 전문가의 비용등급이 차등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게시판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용자의 의견을 게시하는 단계 및 상기 의견의 분석을 통해 해당 전문가를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추가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정보는 지역정보 및 연령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추천단계에서는 입력된 관심분야 정보 및 추가정보에 대응하여 등록한 전문가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단계에서는 복수의 전문가를 추천하고, 상기 사용자는 추천된 복수의 전문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문가의 가중치 점수가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중치 점수에 따라 상기 전문가의 비용 등급이 차등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문가중개 시스템은 전문가가 입력한 전문분야 정보를 저장하는 전문가 서버, 사용자가 입력한 관심분야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서버 및 입력된 관심분야 정보에 대응하여 등록한 전문가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하고,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전문가 추천에 대한 만족도 정보를 저장하는 중개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문가중개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로서 사용자가 필요한 전문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추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문가중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2 내지 도 20은 전문가중개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문가중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전문가"는 법률, 보험, 금융, 교육 등의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 및 경험 등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급자를 의미할 수 있으며, 변호사, 법무사, 공인 노무사, 손해사정사, 교수, 교사, 보험설계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문가는 위에서 언급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자신의 분야에서 전문적인 지식/경험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사람이면 누구든지 전문가에 해당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자는 전문가에게 전문적인 지식/경험 등을 문의하는 의뢰인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문가중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전문가중개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기(400), 사용자서버(100), 전문가 단말기(500), 전문가서버(200) 및 중개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정보, 예컨대 관심정보 및/또는 추가정보를 전송 받아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서버(100)는 사용자의 인적사항, 식별정보(ID), 비밀번호 등의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전문가서버(200)는 전문가 단말기(500)로부터 전문가에 대한 정보, 예컨대 전문분야 정보, 비용정보, 위치정보, 결재정보 등의 정보를 전송 받아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전문가서버(200)는 다수의 전문가 단말기(500)로부터 전송 받은 전문가에 대한 정보를 분야별, 지역별, 성별, 비용 등급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와 전문가는 인터넷의 웹 환경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개인자격 혹은 법인자격으로 회원에 가입할 수 있다. 개인회원과 법인회원은 모두 전문가와 사용자가 될 수 있으며, 각각 사용자 거래 신청과 제공자 거래 신청을 해서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사용자서버(100)로 회원가입을 할 수 있고, 전문가는 전문가 단말기(500)를 이용하여 전문가서버(200)로 회원가입을 할 수 있다.
중개서버(300)는 사용자서버(100)에 저장된 사용자의 관심정보와 전문가서버(200)에 저장된 전문가의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관심정보에 대응하여 등록한 전문가 중 적어도 하나를 검색/추출할 수 있다. 아울러, 중개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400)로 추천하는 전문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사용자와 전문가를 중개할 수 있다.
아울러, 중개서버(3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전문가 추천에 대한 만족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전문가중개 시스템을 이용한 전문가중개 방법에 대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20은 전문가중개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전문가중개 방법은 전문가가 전문분야 정보를 입력하여 등록하는 단계(S200), 사용자가 관심분야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100), 입력된 관심분야 정보에 대응하여 등록한 전문가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하는 추천단계(S300) 및 사용자가 전문가 추천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3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사용자 정보를 입력(S11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거주지, 연령, 성별, 주민번호, 이름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를 회원가입 단계로 간주해도 무방하다.
사용자는 회원가입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전문가중개 서비스를 받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회원가입은 선택사항일 수 있다.
반면에, 전문가는 사용자에게 전문적인 지식/경험 등을 제공하고 금전적 이득을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회원가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관심분야 정보를 입력(S120)할 수 있다. 관심분야 정보는 필수정보로서 사용자가 반드시 입력해야 하는 정보일 수 있다.
관심분야 정보는 사용자가 전문가로부터 도움을 받고자 하는 분야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관심분야 정보는, 예를 들면 도 4의 (A)와 같이, 교육, 법률 등의 항목으로 분류될 수 있다.
아울러, 1차적으로 분류된 항목을 다시 소항목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육 분야를 초등교육, 중등교육, 고등교육, 대학교육으로 분류하고, 법률분야를 민사, 형사, 특허 분야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아울러,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소항목을 다시 더 작은 항목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허분야를 특허출원, 특허매입, 로얄티, 특허회피 등의 분야로 다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S110)한 이후에 관심정보를 입력(S120)하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와는 다르게 관심정보를 입력한 이후에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이후, 추가정보를 입력할 것인지를 판단(S130)할 수 있다.
판단결과, 추가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추가정보를 등록(S140)하고, 완료(S150)할 수 있다.
추가정보는 지역정보 및 연령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 (B)의 경우와 같이, 추가정보는 지역정보, 연령정보, 비용정보, 성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정보는 전문가를 보다 정밀하게 추천 받기 위해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법률/민사 분야를 관심분야로 설정하면, 중개서버는 법률/민사 분야의 전문가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법률/민사 분야를 관심분야로 설정하고, 추가정보로서 지역정보를 강원도를 선택하면, 중개서버는 강원도 지역의 법률/민사 분야의 전문가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이처럼, 중개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관심분야 정보 및 추가정보에 대응하여 등록한 전문가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할 수 있는 것이다.
추가정보에서 연령정보, 지역정보, 성별정보 등은 사용자의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추가정보에서 연령정보, 지역정보, 성별정보 등은 사용자가 전문가에게 요구하는 정보일 수 있다.
전문가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5를 살펴보면, 전문가는 전문가 정보를 입력(S210)할 수 있다. 전문가 정보는 이름, 주민번호, 성별, 지역 등의 기본적인 정보일 수 있다.
아울러, 전문가는 전문분야 정보를 입력(S220)할 수 있다. 전문분야 정보는 앞선 도 4의 (A)에서 설명한 바 있다.
아울러, 전문가는 추가정보를 입력(S230)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정보는 경력정보, 학력정보 등일 수 있다. 또는, 추가정보는 경력, 학력 등을 증명하기 위한 증명서(졸업장, 자격증)일 수 있다. 이러한, 전문가의 정보들은 전문가서버(200)에 업로드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전문가의 정보 입력 과정을 회원가입 과정이라고 볼 수도 있다.
전문가는 사용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세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문분야, 학력, 자격증, 경력, 연령, 성별, 지역, 법인 등의 단체인 경우 규모에 대한 정보 등을 자세히 입력할 필요가 있다.
전문가가 다양한 정보를 입력한 이후에 사용자와 정보를 나눌 수 있는 페이지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문가의 입장에서 마이크로 페이지를 생성할 것인지를 판단(S240)할 수 있다.
판단결과, 마이크로 페이지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마이크로 페이지(A, B, C)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 페이지(A, B, C)는 전문가서버 혹은 중개서버 측에서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전문가와의 접촉을 위해 접속할 수 있다.
전문가가 마이크로 페이지를 선택하면 결재가 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270)할 수 있다.
판단결과, 결재가 완료되는 경우에 전문가의 등록을 완료(S280)할 수 있다.
만약, S240단계에서 판단결과, 마이크로 페이지를 생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른 홈페이지를 선택할 것인지를 판단(S250)할 수 있다.
판단결과, 다른 홈페이지(9D)를 선택하는 경우 결재가 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270)하고, 결재가 완료되는 경우에는 등록을 완료(S280)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홈페이지(D)는 전문가서버나 중개서버에서 제공하는 것이 아니고, 전문가가 자체적으로 마련한 홈페이지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중개인 측에서 제공하는 마이크로 페이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자체적으로 마련한 홈페이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S250단계에서 판단결과, 다른 홈페이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다른 기능(Default)을 수행(S260)할 수 있다.
사용자와 전문가를 중개하는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도 6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서비스를 신청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31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관심분야 정보와 추가정보를 입력하고, 그에 대응하는 전문가를 추천해줄 것을 요청하는 방법으로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판단결과, 서비스를 신청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기능을 수행명령의 입력 여부를 판단(S320)하여, 입력되는 경우에는 다른 기능을 수행(S330)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기능은 게시판 관리, 게시판 의견 분석, 회원관리 등 다양할 수 있다.
반면에, S310단계에서 판단결과, 사용자가 서비스를 신청한 경우에는 서비스를 신청한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분석(S340)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관심분야 정보와 함께 추가정보를 입력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추가정보도 함께 분석할 수 있다.
이후, 관심분야 및/또는 추가정보에 대응하여 전문가를 검색(S350)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관심분야 및/또는 추가정보에 부합되는 전문가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360)할 수 있다.
판단결과, 관심분야 및/또는 추가정보에 부합하는 전문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S370).
반면에, 판단결과 관심분야 및/또는 추가정보에 부합하는 전문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검색한 전문가를 사용자에게 추천(S38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의 (A)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관심분야 정보로서 법률/민사를 선택하고, 추가정보로서 수원지역과 40대 연령을 선택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에는, 법률/민사를 전문분야로 하는 수원지역의 40대 전문가를 검색하여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의 (B)의 경우와 같이, A, B, C, D, E, F 법률사무소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도 7의 (B)에서 각 법률사무소에 표시된 금액은 사용자가 해당 전문가를 이용하는 경우에 지불해야 하는 비용일 수 있다.
만약, 도 8의 (A)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관심분야 정보로서 법률/민사를 선택하고, 추가정보로서 수원지역, 40대 연령 및 100만원에서 200만원 사이의 비용을 선택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에는, 법률/민사를 전문분야로 하는 수원지역의 40대 전문가 중 100만원 내지 200만원의 비용을 지불하여 이용할 수 있는 전문가를 검색하여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의 (B)의 경우와 같이, A, B, C, D, E, F 법률사무소 중 비용이 100만원 내지 200만원인 A, B, C, E, F 법률 사무소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이처럼, 전문가 추천단계에서는 복수의 전문가를 추천하고, 사용자는 추천된 복수의 전문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 내지 도 8에는 사용자에게 복수의 전문가를 추천하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와는 다르게 단 하나의 전문가만을 추천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는, 추천단계에서는 전문가의 등급에 따라 단계적으로 추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9를 살펴보면, 전문가 그룹, 예컨대 법률/민사 전문가 그룹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B, C 법률사무소를 제 1 그룹, D, E, F 법률사무소를 제 2 그룹, G, H, I 법률사무소를 제 3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그룹은 제 2 그룹보다 우선하고, 제 2 그룹은 제 3 그룹보다 우선한다고 가정한다.
도 10을 살펴보면, 제 1 그룹을 먼저 추천(S381)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추천 받은 제 1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를 선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382)할 수 있다.
판단결과, 사용자가 제 1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추천을 완료(S383)할 수 있다.
반면에, 판단결과 사용자가 제 1 그룹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중개서버는 다시 제 2 그룹을 추천(S384)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추천 받은 제 2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를 선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385)하고, 판단결과 사용자가 제 2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추천을 완료(S383)하고, 판단결과 사용자가 제 2 그룹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중개서버는 다시 제 3 그룹을 추천(S386)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추천 받은 제 3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를 선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387)하고, 판단결과 사용자가 제 3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추천을 완료(S383)하고, 판단결과 사용자가 제 3 그룹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다른 기능(S388)을 수행할 수 있다.
전문가 그룹의 분류 기준은 경력, 수임하는 사건 수, 평판, 단체(법인)의 경우에는 규모(인원, 매출 등)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전문가의 최초 등록 시에는 모든 전문가를 동일한 등급으로 설정하고, 이후에 사건 수임, 매출, 평판 등을 고려하여 등급을 나누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전문가들에게 가중치 점수를 부여하고, 부여한 가중치 점수 별로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전문가 추천단계에서 복수의 전문가를 추천하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문가의 가중치 점수가 상승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1의 (A)의 경우와 같이, 법률/민사 전문가 그룹에서 A, B, C 법률사무소를 제 1 그룹, D, E, F 법률사무소를 제 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그룹의 가중치는 150이고, 제 2 그룹의 가중치는 130인 것으로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에, 중개서버는 사용자에게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을 순차적으로 사용자에게 추천하고,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D 법률사무소를 선택한다면, 사용자가 선택한 D 법률사무소의 가중치가 상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 법률사무소의 가중치가 150으로 상승하여 D 법률사무소가 제 2 그룹에서 제 1 그룹으로 등급이 상승할 수 있다. 그러면, D 법률사무소는 E, F 법률사무소보다 우선적으로 추천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D 법률사무소는 E, F 법률사무소보다 앞서 우선적으로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전문가를 추천하고, 추천한 전문가를 사용자가 선택한 이후에 사용자는 전문가에게 궁금한 점을 웹상에서 문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는 전문가의 홈페이지 혹은 마이크로 페이지에서 질문을 입력(S301)할 수 있다.
그러면, 전문가는 질문을 확인(S302)하고, 질문에 대한 답변(S303)을 입력(S303)할 수 있다.
이후, 추가질문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S304)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질문은 사용자가 전문가의 답변을 확인한 이후에 답변이 만족스럽지 못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처음부터 복수의 질문을 입력하는 경우에 해당될 수도 있다.
판단결과, 추가질문이 없는 경우에는 답변이 완료(S305)될 수 있다.
반면에, 판단결과 추가질문이 있는 경우에는 추가질문에 대한 질문확인(S302), 답변확인(S303), 추가질문여부판단(S304)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사용자가 마이크로 페이지 및/또는 홈페이지 등의 웹상에서 질문을 입력하고 답변을 받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와는 다르게 사용자는 전화번호 등을 제공하여 오프라인 상에서 질문과 답변을 전문가와 주고 받을 수도 있다.
질문과 답변이 완료되면 사용자와 전문가는 서로를 평가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3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전문가 추천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S410)할 수 있다.
아울러, 전문가도 사용자와의 거래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S420)할 수 있다.
이후, 중개서버는 사용자의 만족도와 전문가의 만족도를 종합하여 평가를 완료(S430)할 수 있다.
전문가가 사용자에 대해 평가하는 것은 사용자가 전문가를 평가하는 것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조심스럽게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사용자마다 질문의 난이도, 분량이 다를 수 있고, 사용자마다 취향, 성향이 달라서 동일한 답변에 대한 만족도마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4를 살펴보면, 전문가는 사용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 이후에 사용자에 대해 점수를 입력(S421)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와의 거래 과정에서 발생하는 특이 사항 등을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와의 거래 과정에서 발생한 결재 대금의 미입금, 욕설, 협박 등의 특이사항을 입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점수가 기준점수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S422)할 수 있다.
단 한번의 거래에서 발생하는 점수로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고, 동일 사용자의 복수(예컨대 3회 이상)의 거래에서 발생하는 점수로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판단결과, 기준점수보다 높은 경우에는 사용자에 대한 평가를 완료(S425)할 수 있다.
반면에, 판단결과 사용자의 점수가 기준점수보다 낮은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해당 사항을 알리고(S423), 해당 사용자의 접속을 제한(S424)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비용을 입력하지 않는 경우에 전문가는 사용자의 점수를 기준점수보다 낮게 주고, 해당 사항을 중개서버에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중개서버는 해당 사용자에게 비용의 미입금으로 인해 접속이 제한된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비용을 입금하지 않은 이유를 적절히 소명하게 되면 중개서버는 해당 사용자의 접속 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문가에 대해 다양한 항목에 대해 만족도를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5의 (A)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는 전문가에 대해 기술적인 면, 비용적인 면, 종합적인 면에 대해 만족도를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문가에 대한 만족도 평가에서 좋은 평가를 받는 경우에는 해당 전문가의 비용 등급도 상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의 (B)의 경우와 같이, 전문가에 대한 만족도 평가결과에 따라 전문가 그룹의 비용 등급을 1 등급, 2 등급, 3 등급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등급은 만족도 평균점수가 200점 초과, 2등급은 만족도 평균점수가 100 내지 200점, 3 등급은 만족도 평균점수가 100점 미만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전문가에 대한 평가에서 만족은 250점, 보통은 150점, 불만족은 80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1 등급은 1회 비용이 15만원, 2등급은 1회 비용이 12만원, 3등급은 1회 비용이 10만원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5의 (B)와 같은 방법에서 평균점수는 복수의 사용자가 해당 전문가를 평가한 점수를 평균한 값일 수 있다. 즉, 도 15의 (B)와 같은 방법은 일정 횟수 이상 혹은 일정 수 이상의 사용자와 거래한 전문가에게 해당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사용자의 전문가 추천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전문가의 비용등급이 차등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가중치(점수)에 따라 상기 전문가의 비용 등급이 차등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6의 경우와 같이, 법률/민사 전문가 그룹에서 A, B, C 법률사무소의 가중치는 각각 155, 160, 145이고, D, E, F 법률사무소의 가중치는 각각 132, 135, 139이고, G, H, I 법률사무소의 가중치는 각각 99, 105, 102인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제 1 그룹의 가중치는 140초과, 제 2 그룹의 가중치는 120 내지 140, 제 3 그룹의 가중치는 120미만인 것으로 가정하면, A, B, C 법률사무소는 제 1 그룹, D, E, F 법률사무소는 제 2 그룹, G, H, I 법률사무소는 제 3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그룹의 비용등급(1회 비용)은 10만원, 제 2 그룹의 비용등급은 제 3 그룹보다 높은 13만원, 제 1 그룹의 비용등급은 제 2 그룹보다 높은 15만원으로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앞서 설명한 내용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등의 이유로 인해 가중치가 변동되는 경우에는 비용등급도 함께 변동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의 비용결재는 전문가를 이용하기 전에 하는 것이 가능하고 혹은 전문가를 이용한 이후에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7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전문가를 선택한 이후에 해당 전문가의 비용등급에 따라 결재(S389)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는, 사용자가 전문가에게 질문을 입력하기 이전에 비용을 우선적으로 결재하는 경우라고 볼 수 있다.
또는, 도 18의 경우와 같이, 전문가가 사용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완료한 이후에 결재(S306)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게시판에 적어도 하나의 의견을 게시할 수 있다. 즉, 중개서버는 게시판을 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중개서버에서는 게시판에 올려지는 의견을 분석하여 해당 전문가를 평가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19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9를 살펴보면, 게시판에 사용자의 의견이 올라오면, 중개서버는 사용자의 의견에서 형태소를 분석(S500)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는 내장된 한글 형태소 분리 알고리즘을 통해 문장의 문형을 분해하고 의미를 지닌 실질형태소와 조사 등의 어휘형태소를 분리하여 각각의 단어 객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형태소를 분석한 사용자 의견을 구문분석(S510)할 수 있다. 여기서는, 분류된 실질형태소와 어휘형태소의 순서와 규칙을 보존한 채 단위 문장의 구분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이후, 상황분석(S520)을 실시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사용자 의견에서 상황에 대한 정보, 즉 상황정보를 분석/추출할 수 있다.
이후, 분석된 정보들을 바탕으로 해당 전문가를 평가(S53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0의 (A)의 경우와 같이, "A 법률사무소에게 민사사건에 대해 질문을 하였다......답변 내용이 매우 훌륭하여 큰 도움이 되었다"라는 사용자 의견이 게시판에 게시된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사용자 의견에서 전문가는 "A 법률사무소"이고 전문분야는 "법률/민사"이다. 아울러, 평가 내용은 '매우 훌륭" 및 "큰 도움"으로서 긍정적인 내용이다.
따라서, 본 사용자 의견에 따라 A 법률사무소의 평가점수(혹은 가중치)는 상승할 수 있다.
반면에, 도 20의 (B)의 경우와 같이, "B 법률사무소에게 폭행사건에 대해 의뢰를 하였는데......답변을 너무 늦게 주었고, 답변 내용도 크게 도움되지 못하였다"라는 사용자 의견이 게시판에 게시된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사용자 의견에서 전문가는 "B 법률사무소"이고 전문분야는 "법률/형사"이다. "폭행"이라는 단어를 분석하여 "형사사건'"으로 판단하였다.
평가 내용은 '너무 늦게" 및 "도움 되지 못하였다"로서 부정적인 내용이다.
따라서, 본 사용자 의견에 따라 B 법률사무소의 평가점수(혹은 가중치)는 하락하거나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게시판에 올려진 사용자 의견을 분석하여 전문가를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전문가가 전문분야 정보를 입력하여 등록하는 단계;
    사용자가 관심분야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입력된 관심분야 정보에 대응하여 등록한 전문가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하는 추천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전문가 추천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문가중개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문가가 상기 사용자에 대해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문가가 평가한 사용자의 평가 점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점수보다 낮은 경우에 해당 사용자의 접속이 제한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전문가 추천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상기 전문가의 비용등급이 차등적으로 적용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게시판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용자의 의견을 게시하는 단계; 및
    상기 의견의 분석을 통해 해당 전문가를 평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추가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정보는 지역정보 및 연령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추천단계에서는 입력된 관심분야 정보 및 추가정보에 대응하여 등록한 전문가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단계에서는 복수의 전문가를 추천하고,
    상기 사용자는 추천된 복수의 전문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문가의 가중치 점수가 상승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점수에 따라 상기 전문가의 비용 등급이 차등적으로 적용되는 방법.
  10. 전문가가 입력한 전문분야 정보를 저장하는 전문가 서버;
    사용자가 입력한 관심분야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서버; 및
    입력된 관심분야 정보에 대응하여 등록한 전문가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하고,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전문가 추천에 대한 만족도 정보를 저장하는 중개서버;
    를 포함하는 전문가중개시스템.
KR1020160019850A 2016-02-19 2016-02-19 전문가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983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850A KR20170098375A (ko) 2016-02-19 2016-02-19 전문가중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850A KR20170098375A (ko) 2016-02-19 2016-02-19 전문가중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375A true KR20170098375A (ko) 2017-08-30

Family

ID=59760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850A KR20170098375A (ko) 2016-02-19 2016-02-19 전문가중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837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064A (ko) * 2018-11-27 2020-06-15 황은기 전문 중개인을 통한 차등 수수료 지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42557A (ko) 2019-10-10 2021-04-20 강도경 네트워크를 통한 전자 세금 신고 원격 지원 방법 및 시스템
US11677079B2 (en) 2018-08-27 2023-06-13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77079B2 (en) 2018-08-27 2023-06-13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00068064A (ko) * 2018-11-27 2020-06-15 황은기 전문 중개인을 통한 차등 수수료 지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42557A (ko) 2019-10-10 2021-04-20 강도경 네트워크를 통한 전자 세금 신고 원격 지원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13009B (zh) 用于为请求实体调整第二实体的信任得分的方法和系统
D’Espallier et al. Aid volatility and social performance in microfinance
Ganguly et al. A fuzzy AHP approach for inbound supply risk assessment
US9135294B2 (en) Systems and methods using reputation or influence scores in search queries
Büyüközkan Determining the mobile commerce user requirements using an analytic approach
Peng et al. Exploring tourist adoption of tourism mobile payment: An empirical analysis
US8768759B2 (en) Advertising based on influence
De Silva Lokuwaduge et al. The impact of governance on the performance of the higher education sector in Australia
CN109690608A (zh) 外推信任得分中的趋势
US20100153185A1 (en) Mediating and pricing transactions based on calculated reputation or influence scores
KR101909706B1 (ko) 금융상품 및 투자자의 분석 데이터 기반의 로보어드바이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투자 포트폴리오 제공 방법
Sharma et al. Muslim religiosity, generational cohorts and buying behaviour of Islamic financial products
Huseynov et al. The influence of knowledge-based e-commerce product recommender agents on online consumer decision-making
KR102009902B1 (ko) 복수 지표의 다중가점 기반의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고객 투자 성향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2092906B1 (ko) 결혼정보매칭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한 매니저 매칭 방법
Gomez-Vega et al. Clustering and country destination performance at a global scale: Determining factors of tourism competitiveness
Beyari et al. An empirical study of how social influence impacts customer satisfaction with social commerce sites
Werth et al. What determines FinTech success?—A taxonomy-based analysis of FinTech success factors
Meschi et al. Match-making in international joint ventures in emerging economies: aligning asymmetric financial strength and equity stake
KR20180049277A (ko) 채팅 사용자 플랫폼을 이용한 비대면 상품 추천 방법 및 장치
KR20210157767A (ko) 재무관리시스템 및 방법
Zhang et al. Investigating participants’ attributes for participant estimation in knowledge-intensive crowdsourcing: a fuzzy DEMATEL based approach
KR20170098375A (ko) 전문가중개 시스템 및 방법
JP2022538925A (ja) 製品およびサービスに関連する知的所有権データの分析
US201502939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inion Sharing and Recommending Social Conne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