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374A - 원거리에 위치한 다수개의 자동 공작기계작동의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및 진단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거리에 위치한 다수개의 자동 공작기계작동의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및 진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374A
KR20170098374A KR1020160019849A KR20160019849A KR20170098374A KR 20170098374 A KR20170098374 A KR 20170098374A KR 1020160019849 A KR1020160019849 A KR 1020160019849A KR 20160019849 A KR20160019849 A KR 20160019849A KR 20170098374 A KR20170098374 A KR 20170098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tool
machining
present
remote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5679B1 (ko
Inventor
김삼성
윤태정
김대진
여인웅
김승기
강필규
이효진
Original Assignee
건솔루션(주)
구미에이테크솔루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솔루션(주), 구미에이테크솔루션주식회사 filed Critical 건솔루션(주)
Priority to KR1020160019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679B1/ko
Publication of KR20170098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본사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자동공작기계의 공정별 생산관련 데이터 정보 들을 본사의 메인서버에 DB 구축하고, 상기 DB로부터 쳬계적인 관리에 의하여 생산량 및 가동률을 분석하여. 향후의 개개의 공작기계별 진단 및 공작기계의 수명관리를 예측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본사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현장 자동공작기계의 가동율, 가동종류, 고장 및 불량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공작기계의 불량 및 고장율을 줄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생산설비의 불시 정지로 인한 손실이 감소되며,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현장 모니터링 인력을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인건비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머시닝 센터의 작동상태를 주축모터와 이송모터의 인입선에 구비된 감지센서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가공 중에 원격지의 관리자에게 가공 진행 정도에 관한 정보를 제시하여 작업 진척에 따라 후속 공정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시간과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공정과 공정 중간에 작업자가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머시닝 센터의 주축모터 및 이송모터의 인입선에 구비된 홀센서와 더불어 웹 카메라를 이용하여 공정시의 실시간 데이터 획득으로 가공 공정중 기계에 아무런 영향 없이 상기 머시닝 센터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기반을 이용해 현장 정보인 공정 제어, 분석, 공작기계 모니터링 그리고 가공 공정 분석등을 원격지에서도 가능한 머시닝 센터의 원격관리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원거리에 위치한 다수개의 자동 공작기계작동의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및 진단시스템{Remote real monitoring and prediction system of auto-machine tool}
본 발명은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본사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자동공작기계의 공정별 생산관련 데이터 정보 들을 본사의 메인서버에 DB 구축하고, 상기 DB로부터 쳬계적인 관리에 의하여 생산량 및 가동률을 분석하여. 향후의 개개의 공작기계별 진단 및 공작기계의 수명관리를 예측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현재 머시닝 센터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공정 시스템은 오프라인 (Off-Line) 방식으로 이용되어 가공상태와 공작기계의 상태를 현장 작업자만이 알 수 있다.
즉, 상기 머시닝 센터에 가공상태와 공작기계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의 측정결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모니터링장치 및 모니터 인력이 상기 머시닝 센터가 설치된 단위공장에 필요한 상태이다.
한편, 오늘날 정보기술과 IT기술의 발달로 인해 많은 산업 분야에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통신망이 빠르게 확산되고 더불어 제조업의 형태는 컴퓨터 기반의 통합 제조 시스템과 정보화 기술이 융합된 형태로 자리 잡고 있다.
최근 수년 동안 첨단분야(non-Mechanics area)라고 할 수 있는 컴퓨터, 통신 및 전자공학 분야에서 급속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무선 인터넷은 기술 정보 통신분야에서 상당한 화두로 떠올랐지만, 기계공학과의 통합 시도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기계공학의 원천기술에 비기계 공학분야의 신기술을 통합하여 새로운 제품을 개발할 경우 경제성 면에서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이다.
기계 공학적인 면을 살펴보면 산업의 발전과 시장경제의 가속화에 따라 기계 설비는 고출력, 고성능, 초고속, 경량화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발전이 가속화될수록 공작기계의 구조 역시 복잡해지게 되므로, 설비의 유지관리 측면
에서 많은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예기치 않은 고장으로 인한 생산중단(Down-time) 등의 큰 손실이 발생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심각한 고장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고장에 대한 예측(Prediction), 감시(Monitoring), 진단(Diagnosis) 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최근에는 공작기계설비의 고장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새로운 설비관리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적인 지동공작기계 보전비는 설비의 규모와 실제 설비 보존 능력에 따라 결정되는데, 보통 설비 보전비 지출은 매출액의 20% 정도에 해당되고 있으며 제조설비에 따라 더 큰 비중을 차지하기도 한다.
또한, 설비 보전비의 10% 절감은 순이익을 기준으로 볼 때 매출액 70% 이상의 증가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설비 보존비의 절감은 경제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할 것 이다.
그러므로, 공작기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요소를 살펴볼 수 있으며, 공작기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파라미터를 동시에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현재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제조업의 통합 솔루션은 구매와 제조를 연결하는 새로운 매개체로 등장하고 있으며, 공장과 공장, 그리고 공정과 공정, 그리고 머시닝 센터와 머시닝 센터를 연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요구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머시닝 센터의 원격관리 시스템 및 원격관리 방법은 상기 머시닝 센터에 별도의 센서를 구성하거나 상기 머시닝 센터의 컨트롤러에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정보를 송신 받는 것이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머시닝 센터는 센서는 정보전송을 위해 RS-232C통신을 통하여 모니터링 장치와 연결되므로 근거리에서만 사용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원거리에 위치한 단위공장에서 가동되는 개개의 공작기계의 현재 가공종류, 가동율등을 기준으로 분석하고,향후의 기계수명을 진단하는 종합적인 관리스템을 본사에서 모니터링하고, 조절하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10-1057030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10-2013-12246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각 공장단위 자동공작기계의 각종 상태 및 여러가지 가동율을 본사 센터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이 결과를 각 공장단위에서 보안이 유지된 인터넷공간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모니터링의 과도한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많은 제조공장인 공장단위의 공작기계설비상태 및 여러가지 가동율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가인 자동공작기계의 사용수명을 증가시킴에 그 목적이 있다.
자동공작기계 설비를 감시 및 제어하는 장치를 설치하고, 이 장치와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이용하여 기계 설비의 상태를 상시적으로 진단하고 기계 설비를 원격지에서 비상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작기계 설비의 상태를 예측하여 설비 보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공작기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하여, 원거리 지역단위에 위치한 각각의 자동공작기계의 가동정보상태를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본사의 메인서버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서버에 의하여 실시간의 가동정보상태가 본사 내부 네트워크 및 외부 네트워크에 전송되며; 상기 가동정보상태중에서, 설정된 기계장비문제가 발생되면, 관련 담당자에게 알람정보가 전송되도록 이루어진 원거리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이 형성되며,
상기 가동정보상태는 (1)개개의 자동공작기계의 온/오프 및 온시간, (2)가공프로그램에 주어진 전체 이동경로에서의 현재 가공중인 위치 ,가동시간 및 가동율, (3)좌표 기준에 의한 현재공구의 좌표 및 가공종류, 공구 이동속도, (4)현재 작업중인 공구종류 및 공구번호, (5)공구 스핀들 회전여부 및 회전속도, (6)설치된 카메라에 의한 가공상태파악,(7) 공작기계의 상태 및 보정정보를 제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알람정보는 각각의 공작기계의 과부하, 절삭유 부족, 주어진 작업영역을 벗어난 공구상태, 설정이상의 진동감지인 경우에 자동으로 전송되도록 형성되어. 개개의 공작기계의 작업진행, 운영 및 고장 및 공실을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파악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에 위치한 다수개의 공작기계작동의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다수개의 자동 공작기계작동의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및 진단시스템은 본사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현장 자동공작기계의 가동율, 가동종류, 고장 및 불량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공작기계의 불량 및 고장율을 줄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생산설비의 불시 정지로 인한 손실이 감소되며,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현장 모니터링 인력을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인건비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머시닝 센터의 작동상태를 주축모터와 이송모터의 인입선에 구비된 감지센서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가공 중에 원격지의 관리자에게 가공 진행 정도에 관한 정보를 제시하여 작업 진척에 따라 후속 공정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시간과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공정과 공정 중간에 작업자가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머시닝 센터의 주축모터 및 이송모터의 인입선에 구비된 홀센서와 더불어 웹 카메라를 이용하여 공정시의 실시간 데이터 획득으로 가공 공정중 기계에 아무런 영향 없이 상기 머시닝 센터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기반을 이용해 현장 정보인 공정 제어, 분석, 공작기계 모니터링 그리고 가공 공정 분석등을 원격지에서도 가능한 머시닝 센터의 원격관리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거리에 위치한 다수개의 자동 공작기계작동의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및 진단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하여, 원거리 지역단위에 위치한 각각의 자동공작기계(10)의 가동정보상태를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본사의 메인서버(20)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서버(20)에 의하여 실시간의 가동정보상태가 본사 내부 네트워크(30) 및 외부 네트워크(40)에 전송되며;
상기 가동정보상태중에서, 설정된 기계장비문제가 발생되면, 관련 담당자(50)에게 알람정보가 전송되도록 이루어진 원거리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이 형성되며,
상기 가동정보상태는
(1)개개의 자동공작기계의 온/오프 및 온시간, (2)가공프로그램에 주어진 전체 이동경로에서의 현재 가공중인 위치 ,가동시간 및 가동율,(3)좌표 기준에 의한 현재공구의 좌표 및 가공종류, 공구 이동속도, (4)현재 작업중인 공구종류 및 공구번호, (5)공구 스핀들 회전여부 및 회전속도, (6)설치된 카메라에 의한 가공상태파악,(7) 공작기계의 상태 및 보정정보를 제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알람정보는
각각의 공작기계(10)의 과부하, 절삭유 부족, 주어진 작업영역을 벗어난 공구상태, 설정이상의 진동감지인 경우에 자동으로 전송되도록 형성되어.
개개의 공작기계(10)의 작업진행, 운영 및 고장 및 공실을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파악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에 위치한 다수개의 자동 공작기계작동의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및 진단시스템.
또한, 상기 가공종류는
공구교환, 공구세팅, hole가공, 3D가공, 2D가공, 측정, 세팅으로
상기 공작기계의 상태는
X축 및 Y축의 백래쉬, X축 및 Y축의 가역스파이크, X축 및 Y축의 수평플레이, X축 및 Y축의 주기적 오차, 직각도, X축 및 Y축의 진진도, X축 및 Y축의 중심이동, 원형도, 위치공차으로 ;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일단위, 월단위, 분기단위, 연단위별로 개개의 공작기계(10)의 공정별 생산관련 데이터를 메인서버(20)의 DB에 저장하고, 가동시간 분석에 의한 원가산출, 해당공작기계의 수명관리가 예측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서버(20)에 연결된 화면에는 개개의 공작기계(10)의 고유번호 따른 설정된 고유화면으로 주어진 메뉴에 의하여 상기 (1) 내지 (7)의 정보가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도 1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다수개의 자동 공작기계작동의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및 진단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본사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자동공작기계의 공정별 생산관련 데이터 정보 들을 본사의 메인서버에 DB 구축하고, 상기 DB로부터 쳬계적인 관리에 의하여 생산량 및 가동률을 분석하여. 향후의 개개의 공작기계별 진단 및 공작기계의 수명관리를 예측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원거리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이 형성되기 위하여,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하여, 원거리 지역단위에 위치한 각각의 자동공작기계(10)의 가동정보상태를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본사의 메인서버(20)가 형성되는 것이다.
개개의 자동공작기계(10)들은 각각의 지역에 위치한 공장단위별로 다시 정리되어, 단위 지역별로 관리되는 것이다.
상기 개개의 공작기계들의 실시간 가동정보상태는 상기 메인서버(20)로 전송되며, 이를 필요한 정보별로 구분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사의 메인서버(20)의 가동정보상태는 본사의 내부 네트워크(30)를 포함하여, 외부 네트워크(40)로 전송되는 것이다.
상기 외부 네트워크(40)는 본사와 연결되는 관련 연구소 및 자회사들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동정보상태중에서, 설정된 기계장비문제가 발생되면, 관련 담당자(50)에게 알람정보가 전송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알람정보로 인하여, 공작기계는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수리되어, 가동 수명이 연장되고, 고장율을 저감시키고, 생산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상기 가동정보상태는
(1)개개의 자동공작기계의 온/오프 및 온시간, (2)가공프로그램에 주어진 전체 이동경로에서의 현재 가공중인 위치 ,가동시간 및 가동율을 포함하며, 이는 공작기계의 생산율 및 가동율을 파악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의미하는 것이다.
개개의 공작기계의 온시간이 120시간이며, 가동시간이 100시간이며, 절삭시간시간이 80시간이라면, 가동시간 절삭율은 80%이며, 보유시간 절삭율은 67%이라는 것을 진단할 수 있는 것이며, 이를 지역공장단위별로 수집하여, 분석하면, 해당 공장의 가동율 및 생산율등을 파악하여, 향후에 보다 효과적인 공작기계의 관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해당 공작기계의 구체적인 가공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3)좌표 기준에 의한 현재공구의 좌표 및 가공종류, 공구 이동속도를 감지하여, 이를 본사(20)의 DB에 구축하는 것이며, 해당 공작기계의 가공종류를 제공하여, 몇개의 가공종류에만 편중하지 않고, 향후에는 다른 종류의 가공 및 공구도 가능하게 하여, 균일하고, 효율적인 가공종류를 제공하는 분석 및 진단이 가능하고자 하는 것이다.
(4)현재 작업중인 공구종류 및 공구번호, (5)공구 스핀들 회전여부 및 회전속도의 정보를 본사의 DB에 구축하여, 현재의 가동상태정보를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생산율을 파악하고, 이를 기준으로 앞으로의 공구종류를 제공하고자 하며, 현재의 공구 회전속도정보의 DB를 구축하여, 너무 느린 회전속도가 지속되며, 적절한 회전속도 정보를 제공하여, 생산효율을 증가시키고, 너무 빠른 경우에는, 과부하방지를 위하여, 적절한 회전속도를 분석하고,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6)개개의 공작기계에 앱 카메라를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현재의 가공 및 가동상태를 파악하여, 이를 기준으로 현재의 가동상태를 포함하여 향후의 가동상태의 참고 자료로 제공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1) 내지 (6)의 정보를 기준으로 (7) 공작기계의 상태를 제공하고, 향후의 공작기계를 보정하고자 하는 정보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해당 공작기계의 고장이나, 이상여부인 경우에
공작기계의 수명 연장 및 보전을 위하여, 신속하게 해당 담당자에게 전송되어, 수리 및 유지보수를 처리하는 기술적 특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알람정보에 있어서, 각각의 해당 공작기계(10)의 과부하인 경우에 담당자에게 알람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다. 과부하는 공구의 회전속도가 설정된 속도이상의 경우등에 모터나 동력전달계통에 무리한 경우로서, 공작기계의 수명을 단축시킬수 있는 경우이다.
또한, 해당 공작기계에 필요한 절삭유 부족에도, 제품의 품질불량이나, 공작기계의 냉각에도 이상을 줄수 있으므로, 절삭유 공급계통에 관련된 유량계을 통하거나, 설정된 위치에서의 온도가 갑자기 상승되는 경우등에는 절삭유의 부족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이다.
또한, 주어진 작업영역을 벗어난 공구상태인 경우에는, 해당 공작기계의 가동범위지역을 벗어난 경우로서, 이는 인접한 공작기계와의 충돌이나, 작업자의 안전사고등에도 발생될수 있는 경우로서, 반드시 담당자에게 이러한 경우에 알람신호가 전송되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설정이상의 진동감지인 경우에도 자동으로 전송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해당공작기계의 설정위치에 진동감지센서등을 설치하여, 설정된 진동범위를 벗어나서, 급격한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에도, 다양한 이유로 해당공작기계가 정상적인 작업이 진행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신속하게 담당자에게 알람신호가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개개의 공작기계(10)의 작업진행, 운영 및 고장 및 공실을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파악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가공종류는
공구교환, 공구세팅, hole가공, 3D가공, 2D가공, 측정, 세팅으로 설정되어,
본사의 DB에 각각의 경우에 전송되고, 관리 및 파악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공작기계의 상태는
X축 및 Y축의 백래쉬, X축 및 Y축의 가역스파이크, X축 및 Y축의 수평플레이, X축 및 Y축의 주기적 오차, 직각도, X축 및 Y축의 진진도, X축 및 Y축의 중심이동, 원형도, 위치공차으로 ; 이루어지며, 상기 공작기계의 상태는 해당 가공공정이 완료되며, 다음 공정을 위하여, 초기 상태로 캘리브레션등을 통하여, 원점조정이 이루어지도록 관리되고, 조절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해당 공작기계의 해당공정이 완료되면, 이에 따른 원가분석이나, 수명예측을 위하여, 일단위, 월단위, 분기단위, 연단위별로 개개의 공작기계(10)의 공정별 생산관련 데이터를 메인서버(20)의 DB에 저장되도록 전송되는 기술적 특징에 있다.
또한, 본사에서 전반적인 공정관리 및 조절을 위하여, 상기 메인서버(20)에 연결된 화면에는 개개의 공작기계(10)의 고유번호 따른 설정된 고유화면으로 주어진 메뉴에 의하여 상기 (1) 내지 (7)의 정보가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자동공작기계 20: 메인서버
30: 내부 네트워크 40: 외부 네트워크
50: 담당자

Claims (4)

  1.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하여, 원거리 지역단위에 위치한 각각의 자동공작기계(10)의 가동정보상태를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본사의 메인서버(20)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서버(20)에 의하여 실시간의 가동정보상태가 본사 내부 네트워크(30) 및 외부 네트워크(40)에 전송되며;
    상기 가동정보상태중에서, 설정된 기계장비문제가 발생되면, 관련 담당자(50)에게 알람정보가 전송되도록 이루어진 원거리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이 형성되며,
    상기 가동정보상태는
    (1)개개의 자동공작기계의 온/오프 및 온시간, (2)가공프로그램에 주어진 전체 이동경로에서의 현재 가공중인 위치 ,가동시간 및 가동율,(3)좌표 기준에 의한 현재공구의 좌표 및 가공종류, 공구 이동속도, (4)현재 작업중인 공구종류 및 공구번호, (5)공구 스핀들 회전여부 및 회전속도, (6)설치된 카메라에 의한 가공상태파악,(7) 공작기계의 상태 및 보정정보를 제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알람정보는
    각각의 공작기계(10)의 과부하, 절삭유 부족, 주어진 작업영역을 벗어난 공구상태, 설정이상의 진동감지인 경우에 자동으로 전송되도록 형성되어.
    개개의 공작기계(10)의 작업진행, 운영 및 고장 및 공실을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파악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에 위치한 다수개의 자동공작기계작동의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및 진단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종류는
    공구교환, 공구세팅, hole가공, 3D가공, 2D가공, 측정, 세팅으로
    상기 공작기계의 상태는
    X축 및 Y축의 백래쉬, X축 및 Y축의 가역스파이크, X축 및 Y축의 수평플레이, X축 및 Y축의 주기적 오차, 직각도, X축 및 Y축의 진진도, X축 및 Y축의 중심이동, 원형도, 위치공차으로 ;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에 위치한 다수개의 자동 공작기계작동의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및 진단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일단위, 월단위, 분기단위, 연단위별로 개개의 공작기계(10)의 공정별 생산관련 데이터를 메인서버(20)의 DB에 저장하고, 가동시간 분석에 의한 원가산출, 해당공작기계의 수명관리가 예측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에 위치한 다수개의 자동 공작기계작동의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및 진단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20)에 연결된 화면에는 개개의 공작기계(10)의 고유번호 따른 설정된 고유화면으로 주어진 메뉴에 의하여 상기 (1) 내지 (7)의 정보가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에 위치한 다수개의 자동 공작기계작동의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및 진단시스템.
KR1020160019849A 2016-02-19 2016-02-19 원거리에 위치한 다수개의 자동 공작기계작동의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및 진단시스템 KR101855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849A KR101855679B1 (ko) 2016-02-19 2016-02-19 원거리에 위치한 다수개의 자동 공작기계작동의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및 진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849A KR101855679B1 (ko) 2016-02-19 2016-02-19 원거리에 위치한 다수개의 자동 공작기계작동의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및 진단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374A true KR20170098374A (ko) 2017-08-30
KR101855679B1 KR101855679B1 (ko) 2018-05-09

Family

ID=59760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849A KR101855679B1 (ko) 2016-02-19 2016-02-19 원거리에 위치한 다수개의 자동 공작기계작동의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및 진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6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1953A (zh) * 2019-04-04 2019-06-21 哈尔滨理工大学 一种基于机器视觉的服务器故障巡检系统
CN115415828A (zh) * 2022-09-08 2022-12-02 杭州大天数控机床有限公司 一种拥有数据库的智能高效立式加工中心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487B1 (ko) 2018-12-28 2020-08-24 (주) 유노믹 에이전트 기반의 공작기계 데이터 수집 방법
KR20200084721A (ko) 2019-01-03 2020-07-13 신라정보기술(주) 아이오티 기반의 데이터 자동수집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0617A (ja) * 2001-08-03 2003-02-21 Nst:Kk 異常予知・寿命管理システム
JP2003242579A (ja) * 2002-02-20 2003-08-29 Nippon Reliance Kk 遠隔故障診断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1953A (zh) * 2019-04-04 2019-06-21 哈尔滨理工大学 一种基于机器视觉的服务器故障巡检系统
CN115415828A (zh) * 2022-09-08 2022-12-02 杭州大天数控机床有限公司 一种拥有数据库的智能高效立式加工中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5679B1 (ko) 201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0151B2 (en) Automation operating and management system
Liu et al. A method of NC machine tools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in smart factories
US20200356069A1 (en) Machine tool management system
KR101855679B1 (ko) 원거리에 위치한 다수개의 자동 공작기계작동의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및 진단시스템
CN108241343A (zh) 一种智能工厂管理平台系统
KR100640700B1 (ko) 반도체 프로세싱 방법 및 그 장치
Snatkin et al. Real time production monitoring system in SME.
KR20190093604A (ko)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장치
CN105171748A (zh) 一种机器人及其生产线设备远程状态监控方法及系统
CN110347124A (zh) 利用了网络的诊断服务系统以及诊断方法
CN109895137B (zh) 机器人应用设备监控和预测分析
CN205193566U (zh) 机器人及其生产线设备远程状态监控系统的硬件结构
CN204143226U (zh) 一种生产线数据采集系统
Prickett An integrated approach to autonomous maintenance management
Palasciano et al. A new approach for machine's management: from machine's signal acquisition to energy indexes
CN113627878A (zh) 一种车间生产信息化管理系统
CN109661620A (zh) 用于监控至少一个机床的方法和生产机组
EP3514641A1 (en) System to manage and monitor a plurality of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s
KR20200001304A (ko) 센서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생산설비 관리 시스템
CN115510150A (zh) 一种设备可视化管理平台
CN101699359A (zh) 故障状态监测的可视化方法
CN111290333B (zh) 制造装置的数据收集装置
US11675347B2 (en) Industrial machine monitoring device
CN102254788B (zh) 具有虚拟测量功能的制造执行系统与制造系统
KR20200072069A (ko) 모터 정보 기반 로봇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