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7313A - 스팀 집중분사를 통해 탈취살균기능을 갖는 옷보관장치 - Google Patents

스팀 집중분사를 통해 탈취살균기능을 갖는 옷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7313A
KR20170097313A KR1020160018903A KR20160018903A KR20170097313A KR 20170097313 A KR20170097313 A KR 20170097313A KR 1020160018903 A KR1020160018903 A KR 1020160018903A KR 20160018903 A KR20160018903 A KR 20160018903A KR 20170097313 A KR20170097313 A KR 20170097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lothes
nozzles
dus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8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수
Original Assignee
박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수 filed Critical 박재수
Priority to KR1020160018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7313A/ko
Publication of KR20170097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73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0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a container or its contents
    • G01N21/9018Dirt detection i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스팀 집중분사를 통해 탈취살균기능을 갖는 옷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체적인 구조를 매우 단순화 하여 기존에 비해 저렴한 단가로 제작 및 판매가 가능하여 제품의 대중성을 극대화 시키고, 각 옷별로 개별 케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각 옷별 집중적인 탈취 및 살균 구김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Description

스팀 집중분사를 통해 탈취살균기능을 갖는 옷보관장치{Clothes storage device having a deodorizing and sterilizing functions using the steam concentration injection function}
본 발명은 스팀 집중분사를 통해 탈취살균기능을 갖는 옷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히 옷걸이 형태로 벽이나 장농 등에 설치되거나 옷 상부 또는 하부에 비치된 상태에서 사용한 옷을 걸어 보관하는 과정에서 자체적으로 스팀을 분사하여 보관 과정에서 스팀에 의한 옷 표면의 살균 및 탈취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기존 고가의 캐비넷 형 옷케어장치에 비해 간소한 구조만으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제품의 대중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최근에는 착용했던 옷을 별도의 수납공간 내에 보관한 상태에서 밀폐된 공간 내부에서 각종 스팀 등이 분사됨에 따라 옷 보관 과정에서 옷의 살균과 더불어 다림질 효과를 얻도록 하는 옷 케어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하지만 기존의 옷 케어장치는 기본적으로 너무 고가이고 별도의 가구 개념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공간소비율이 너무 커 대중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단순히 공간 내부 전체에 스팀을 공급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수납되는 옷의 개수가 적더라도 스팀의 낭비가 클 뿐만 아니라, 해당 옷에 집중적인 스팀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옷별 개별 케어가 불가능한 단점도 갖는다.
또한 이러한 밀폐공간 내에서의 케어 방식은 옷에서 떨어지는 먼지가 다시 옷에 흡착하게 되어 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를 매우 단순화 하여 기존에 비해 저렴한 단가로 제작 및 판매가 가능하여 제품의 대중성을 극대화 시키고, 각 옷별로 개별 케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각 옷별 집중적인 탈취 및 살균 구김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해결과제의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은,
옷수용실을 가지는 케이스, 과 상기 케이스의 옷수용실로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토출노즐;과 상기 복수 개의 토출노즐을 개폐하는 복수 개의 개폐밸브, 상기 복수 개의 분사토출노즐에서 순차적으로 공기가 분사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개폐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하고 나머지 개폐밸브를 폐쇄시키는 제어부, 상기 케이스의 옷수용실 밖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구, 상기 복수 개의 분사토출노즐은 상기 배기부에서 가장 먼 곳에 위치하는 것에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것까지 순차적으로 공기를 분사하고, 상기 배기구가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분사토출노즐은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것에서부터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것까지 순차적으로 공기를 분사하며, 상기 복수 개의 분사토출노즐 각각은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배기구가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분사토출노즐은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것에서부터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것까지 순차적으로 공기를 분사하며, 상기 복수 개의 분사토출노즐은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배기구에 연결되어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 상기 먼지통에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에어펌프, 상기 복수 개의 토출노즐과 연결되는 분사덕트, 상기 분사덕트와 연결되는 에어펌프, 상기 케이스의 옷수용실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 상기 케이스의 옷수용실에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노즐; 상기 분사토출노즐을 개폐하는 개폐밸브, 상기 옷수용실 밖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구, 상기 배기구로 통과하는 먼지를 감지하는 이물질감지센서, 상기 이물질감지센서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개폐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옷수용실로 분사되는 공기 분사 압력 또는 공기 분사 횟수가 증감되도록 하고, 상기 이물질감지센서의 의한 먼지측정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옷수용실로 분사되는 공기 분사 압력 또는 공기 분사 횟수가 증가하며, 상기 이물질감지센서의 의한 먼지측정값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옷수용실로 분사되는 공기 분사 압력 또는 공기 분사 횟수가 감소하고, 상기 옷수용실 밖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구, 상기 복수 개의 분사토출노즐 중 상기 배기구에서 가장 먼 곳에 위치하는 것에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것에까지 순차적으로 공기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단순히 옷걸이 구조 내부에 스팀 분사기능이 구비됨에 따라, 단순히 착용했던 옷을 옷걸이에 걸어 보관하는 상태에서 스팀 분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존 캐비넷 형 옷케어장치에 비해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동일한 옷 케어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1은 옷걸이 형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2는 도1의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
도3은 행거 형태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
도4는 도3의 분해사시도
도5는 바닥 비치형태의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
도6은 장농 안에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 개략도
옷케어장치는 케이스(10)과 공기공급부(20), 먼지제거부(40), 스팀
공급유닛(50), 방향제공급부(60), 제습유닛(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전방에는 도어(11)가 설치된다. 도어(11)를 개방하여 케이스(10)의 내부 에 접근할 수 있다. 도어(11)에는 케이스(10)과 접촉하는 부분을 따라서 개스킷(12)(또는 댐퍼)가 설치된다. 개스킷(12)은 도어(11)와 케이스(10)의 틈새를 통한 공기 흐름을 차단한다. 또한, 도어(11)에는 동작 정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13)가 형성된다.
케이스(10)의 내부는 격벽(14, 15)에 의해서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제1격벽(14)은 케이스(10)의 좌우방향으로 설치되어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구획한다. 제1격벽(14)의 하측에는 기계실(16)이 형성된다. 기계실(16)에는 에어펌프(21), 먼지통(41), 물통(51), 방향제통(61)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제2격벽(15)은 케이스(10)의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어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을 좌우 방향으로 구획한다. 케이스(10)의 우측 에는 옷수용실(17)이 형성되고 좌측에는 덕트실(18)이 형성된다. 옷수용실(17)에는 옷가 수용되고, 덕트실(18)에는 공기가 이동하는 분사덕트(22)가 설치된다. 또한, 옷수용실(17)에는 옷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17a)가 설치된다.
한편, 제1격벽(14)에는 기계실(16)과 덕트실(18)을 연통시키는 분사구(14a) 가 형성되고, 옷수용실(17)과 기계실(16)을 연통시키는 배기구(14b)가 형성된다. 분사덕트(22)는 제1격벽(14)의 분사구(14a)와 연결되고, 먼지통(41)은 제1격벽(14)의 배기구(14b)와 연결된다.
공기공급부(20)은 에어펌프(21)와, 분사덕트(22), 복수 개의 토출노즐(23-27), 복수 개의 개폐밸브(33-3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에어펌프(21)는 기계실(16)에 설치된다. 에어펌프(21)의 공기배출부(21a)는 제1격벽(14)의 분사구(14a)를 통하여 분사덕트(22)와 연결된다. 에어펌프(21)의 공기흡입부(21b)는 먼지통(41)과 연결된다.
분사덕트(22)는 덕트실(18)에 설치된다. 분사덕트(22)는 복수 개의 토출노즐(23-27)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분기된다. 분기된 분사덕트(22)의 단부에는 복수 개의 토출노즐(23-27)이 연결된다.
복수 개의 토출노즐(23-27)은 적어도 일 부분이 옷수용실(17)에 노출되도록 제2격벽(15)에 설치된다. 복수 개의 토출노즐(23-27)은 도어(11)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복수 개의 토출노즐(23-27)에서 분사
되는 공기는 하향 경사를 가지고 분사된다. 복수 개의 토출노즐(23-27) 각각에는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개폐밸브(33-37)는 복수 개의 토출노즐(23-27)에서 분사되는 공기 흐름을 개폐한다. 제어부(100)는 복수 개의 개폐밸브(33-37)를 제어하여 복수 개의 토출노즐(23-27)이 순차적으로 동작되도록 한다. 즉, 복수 개의 토출노즐(23-27)에서 순차적으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한다. 일 예로, 제1격벽(14)의 가장 상측에 배치된 제1토출노즐(23)에서 가장 먼저 공기가 분사되고, 그 아래에 배치된 제2토출노즐(24)에서 다음으로 공기가 분사되고, 그 아래에 배치된 제3토출노즐(25), 제4토출노즐(26)에서 차례로 공기가 분사되고, 가장 하측에 배치된 제5토출노즐(27)에서 마지막으로 공기가 분사된다.
먼지제거부(40)은 먼지통(41)과, 배기구(14b), 제1필터(42), 제2필터(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지분리유닛(40)은 옷에서 떨어진 먼지 등의 이물질을 공기 중에서 분리하여 따로 저장한다.
먼지통(41)은 기계실(16)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먼지통(41)은 배기구(14b)와 연결된다. 배기구(14b)에는 제1필터(42)가 설치된다. 또한, 먼지통(41)은 에어펌프(21)의 공기흡입부(21b)와 연결된다. 이 연결부분에 제
2필터(43)가 설치된다. 미세 먼지는 제1필터(42)를 통과하여 먼지통(41)으로 유입되지만, 제2필터(43)를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먼지통(41)에 분리 저장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먼지통(41)은 에어펌프(21)의 공기흡입부(21b)와 연결되지 않고, 별도의 배기펌프(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에어펌프(21)는 공기를 옷수용실(17)로 분사하는데 사용되고, 배기펌프는 옷수용실(17)의 공기를 배출하는데 사용된다.
배기구(14b)는 제1격벽(14)에 형성된다. 배기구(14b)는 옷수용실(17)과 먼지통(41)을 연통시킨다. 옷수용실(17)의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배기구(14b)를 통하여 먼지통(41)으로 유입된다. 배기구(14b)에는 먼지 유입을 감지할 수 있는 이물질감지센서(70)가 설치된다. 이물질감지센서(70)는 광센서 또는 초음파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이물질감지센서(70)의 먼지 감지량에 따라 공기 분사 압력 또는 공기 분사횟수를 제
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00)는 이물질감지센서(70)의 먼지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옷에 묻어있는 먼지가 많다고 판단하고, 옷수용실로 분사되는 공기 분사 압력 또는 공기 분사 횟수를 증가시킨다. 이와 반대로 제어부(100)는 이물질감지센서(70)의 먼지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옷에 묻어 있는 먼지가 작다고 판단하고, 공기 분사 압력 또는 공기 분사 횟수를 감소시킨다.
스팀공급부(50)은 물통(51)과 히터(52), 스팀덕트(53), 스팀분사토출노즐(5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통(51)은 기계실(16)에 설치된다. 물통(51)의 내부에는 히터(52)가 설치되고, 히터(52)는 물통(51)에 저장된 물을 데워서 수증기로 증발시킨다. 스팀은 스팀덕트(53)를 타고 스팀분사토출노즐(54)로 이동한다. 스팀분사노즐(54)은 스팀을 옷수용실(17)로 분사한다.
방향제공급부(60)은 방향제통(61), 방향제덕트(62), 방향제분사토출노즐(6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방향제통(61)은 물통(51)과 함께 기계실(16)에 설치된다. 방향제통(61)에 저장된 방향제는 방향제덕트(62)를 통하여 방향제분사토출노즐(63)로 이동한다. 방향제분사토출노즐(63)은 방향제를 옷수용실(17)로 분사한다. 방향제는 옷수용실(17)의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고 향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밖에, 옷케어장치는 제습유닛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습유닛은 히트펌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옷수용실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옷케어장치의 초기 동작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옷케어장치의 중간 동작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옷케어장치의 최종 동작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도어(11)를 개방하여 케이스(10)의 옷수용실(17)에 옷를 거치시킨다. 이후 도어(11)를 닫고 디스플레이부(13)의 시작 버튼을 눌러서 옷케어장치를 동작시킨다.
제어부(100)는 복수 개의 개폐밸브(33-37)를 순차적으로 개방하여 옷수용실(17)에 공기를 분사하여 옷에묻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털어 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0)는 먼저 제2격벽(15)의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제1개폐밸브(33)를 개방하여 제1토출노즐(23)에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한다. 이때 다른 개폐밸브(34-37)는 모두 닫혀 있는 상태이다. 제1토출노즐(23)은 하향 경사를 이루고 있으므로 제1토출노즐(23)에서 분사되는 공기도 하향으로 분사된다. 따라서 제1토출노즐(23)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서 옷에서 이탈되는 이물질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후 제2개폐밸브(34)를 개방하여 제2토출노즐(24)에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한다. 이때 다른 개폐밸브(33, 35, 36,37)는 모두 닫혀 있는 상태이다. 제2토출노즐(24)도 하향 경사를 이루고 있으므로 제2토출노즐(24)에서 분사되는 공기
도 하향으로 분사된다. 따라서 제2토출노즐(24)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서 옷에서 이탈되는 이물질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2토출노즐(24)에서 분사되는 공기는 제1토출노즐(23)에 의해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물질도 함께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3개폐밸브(35)와 제4개폐밸브(36)를 순차적으로 개방하여 제3토출노즐(25), 제4토출노즐(26)에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한다. 제3토출노즐(25)과 제4토출노즐(26)에 의해서 이물질은 점점 옷수용실(17)의 하측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후 제5개폐밸브(37)를 개방하여 제5토출노즐(27)에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한다. 이때 다른 개폐밸브(33-36)는 모두 닫혀 있는 상태이다. 제5토출노즐(27)도 하향 경사를 이루고 있으므로 제5토출노즐(27)에서 분사되는 공기도 하향으로 분사된다. 따라서 제5토출노즐(27)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서 옷에서 이탈되는 이물질은 하측으로 이동하고, 다른 토출노즐(23-26)에 의해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이물질도 하측으로 이동한다. 결국 이물질은 배기구(14b)를 통과하여 먼지통(41)에 저장된다.
한편, 이물질감지센서(70)는 배기구(14b)를 통과하는 먼지량을 측정한다. 이물질감지센서(70)는 먼지 측정값을 제어부(100)에 제공하고, 제어부(100)는 먼지 측정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복수 개의 분사토출노즐(23-27)에서 분사되는 공기 분사 압력 또는 공기 분사 횟수를 조절한다. 즉, 먼지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제어부(100)는 공기 분사 압력을 증가시키거나 공기 분사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먼지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공기 분사 압력을 낮추거나 공기 분사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이후 스팀공급부(50)을 이용하여 옷수용실(17)에 스팀을 제공한다. 스팀은 스팀드라이의 역할을 해주고 살균 작용도 하게 된다.
또한, 방향제공급부(60)을 통하여 옷수용실(17)에 섬유탈취제 등의 방향제가 뿌려진다. 방향제는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고 좋은 향기를 내뿜어 준다.
또한, 제습유닛(미도시)을 통하여 옷수용실(17)의 습기를 제거한다. 옷에 포함된 수분이 없어지므로 옷를 빳빳하게 다린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격벽(14)의 상측에서부터 하측에 이르기까지 토출노즐이 하나씩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제1격벽(14)의 동일 높이에 둘 이상의 토출노즐이 설치될 수 있고, 이와 같은 둘 이상의 토출노즐들은 동시에 제어될 수 있다.
옷케어장치는 케이스(10)과 공기공급부(20), 먼지제거부(30), 스팀공급유닛(50), 방향제공급부(60), 제습유닛(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기구(14b)는 제2격벽(15)의 상측에 마련된다. 배기덕트(44)는 배기구(14b)와 먼지통(41)을 연결한다. 배기구(14b)를 통과한 먼지 등의 이물질은 배기덕트(44)를 통과한 후 먼지통(41)으로 이동한다.
복수 개의 토출노즐(23-27)은 적어도 일 부분이 옷수용실(17)에 노출되도록 제2격벽(15)에 설치된다. 복수 개의 토출노즐(23-27)은 도어(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복수 개의 토출노즐(23-27)에서 분사되는 공기는 상향 경사를 가지고 분사된다.
복수 개의 개폐밸브(33-37)는 복수 개의 토출노즐(23-27)에서 분사되는 공기 흐름을 개폐한다. 제어부(100)는 복수 개의 개폐밸브(33-37)를 제어하여 복수 개의 토출노즐(23-27)이 순차적으로 동작되도록 한다. 즉, 복수 개의 토출노즐(23-27)에서 순차적으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한다. 일 예로, 제1격벽(14)의 가장 하측에 배치된 제5토출노즐(27)에서 가장 먼저 공기가 분사되고, 그 위에 배치된 제4토출노즐(26)에서 다음으로 공기가 분사되고, 그 위에 배치된 제3토출노즐(25), 제2토출노즐(24)에서 차례로 공기가 분사되고, 가장 상측에 배치된 제1토출노즐(23)에서 마지막으로 공기가 분사된다.
제어부(100)는 복수 개의 개폐밸브(33-37)를 순차적으로 개방하여 옷수용실(17)에 공기를 분사하여 옷에 묻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털어 낸다.
먼저 제2격벽(15)의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제5개폐밸브(37)를 개방하여 제5토출노즐(27)에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한다. 이때 다른 개폐밸브(23-26)는 모두 닫혀 있는 상태이다. 제5토출노즐(27)은 상향 경사를 이루고 있으므로 제5토출노즐(27)에서 분사되는 공기도 상향으로 분사된다. 따라서 제5토출노즐(27)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서 옷에서 이탈되는 이물질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후 제4개폐밸브(36)를 개방하여 제4토출노즐(26)에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한다. 이때 다른 개폐밸브(33, 34, 35,37)는 모두 닫혀 있는 상태이다. 제4토출노즐(26)도 상향 경사를 이루고 있으므로 제4토출노즐(26)에서 분사되는 공기도 상향으로 분사된다. 따라서 제4토출노즐(26)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서 옷에서 이탈되는 이물질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4토출노즐(26)에서 분사되는 공기는 제5토출노즐(27)에 의해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물질도 함께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3개폐밸브(35)와 제2개폐밸브(34)를 순차적으로 개방하여 제3토출노즐(25), 제2토출노즐(24)에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한다. 제3토출노즐(25)과 제2토출노즐(24)에 의해서 이물질은 점점 옷수용실(17)의 상측으로 올라가게 된다.
이후 제1개폐밸브(33)를 개방하여 제1토출노즐(23)에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한다. 이때 다른 개폐밸브(34-37)는 모두 닫혀 있는 상태이다. 제1토출노즐(23)도 상향 경사를 이루고 있으므로 제1토출노즐(23)에서 분사되는 공기도 상향으로 분사된다. 따라서 제1토출노즐(23)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서 옷에서 이탈되는 이물질은 상측으로 이동하고, 다른 토출노즐(24-27)에 의해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이물질도 상측으로 이동한다. 결국 이물질은 상측에 배치되는 배기구(14b)를 통과하고, 이후 배기덕트(44)를 통하여 먼지통(41)에 저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옷케어장치는 케이스(10)과, 공기공급부(20), 먼지제거부(40), 스팀공급부(50), 방향제공급부(60), 제습유닛(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제1격벽(14)은 좌우로 설치되어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고, 케이스(10)의 하측에는 기계실(16)이 마련된다. 기계실(16)에는 에어펌프(21)와 먼지통(41), 물통(51), 방향제통(61)이 설치된다.
케이스(10)의 제2격벽(15)은 상하로 설치되어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을 좌우로 구획한다. 제2격벽(15)의 좌측에는 덕트실(18)이 마련되고, 우측에는 옷수용실(17)이 마련된다. 덕트실(18)에는 분사덕트(22)와 배기덕트(44)가 설치된다. 분사덕트(22)와 배기덕트(44)는 복수 개의 토출노즐(23-27)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분기된다.
복수 개의 토출노즐(23-27)은 적어도 일 부분이 옷수용실(17)에 노출되도록 제2격벽(15)에 설치된다. 복수 개의 토출노즐(23-27) 각각은 분사토출노즐(23a-27a)과 배기토출노즐(23b-27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분사토출노즐(23a-27a)은 중앙에 위치하고, 배기토출노즐(23b-27b)은 분사토출노즐(23a-27a)의 바깥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한다. 분사노즐(23a-27a)은 분사덕트(22)와 연결되고, 배기토출노즐(23b-27b)은 배기덕트(44)와 연결된다.
복수 개의 개폐밸브(33-37)는 복수 개의 분사토출노즐(23a-27a)에서 분사되는 공기 흐름을 개폐한다. 제어부(100)는 복수 개의 개폐밸브(33-37)를 제어하여 복수 개의 분사토출노즐(23a-27a)이 하나씩 동작되도록 한다.
즉, 복수 개의 분사토출노즐(23a-27a) 중 어느 하나의 토출노즐에서 공기가 분사되는 경우 다른 토출노즐에서는 공기가 분사되지 않는다. 또한, 공기가 분사되는 토출노즐은 임의적으로 선정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분사토출노즐(23a-27a)은 상측 또는 하측 방향을 따라서 순서대로 동작될 수 있고, 순서에 관계없이 무작위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00)는 복수 개의 개폐밸브(33-37)를 개방하여 옷수용실(17)에 공기를 분사하여 옷에 묻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털어 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0)는 제2격벽(15)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3개폐밸브(35)를 개방하여 제3분사토출노즐(25a)에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한다. 이때 다른 분사토출노즐(23a, 24a, 26a, 27a)은 모두 닫혀 있는 상태이다. 제3분사토출노즐(25a)에서 분사되는 공기는 옷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털어 내고, 부유하는 이물질은 제3배기토출노즐(25b)을 통하여 흡입된다. 이때 이물질은 다른 배기토출노즐(23b, 24b, 26b, 27b)을 통해서도 흡입될 수 있다. 다만, 이와 다르게 제3배기토출노즐(25b)을 통해서만 흡입되도록 하려면 제3배기토출노즐(25b)에 별도의 개폐밸브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제1개폐밸브(33)를 개방하여 제1분사토출노즐(23a)에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한다. 이때 다른 개폐밸브(34-37)는 모두 닫혀 있는 상태이다. 제1분사토출노즐(23a)에서 분사되는 공기는 옷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털어 내고, 부유하는 이물질은 배기토출노즐들(23b-27b)을 통하여 흡입될 수 있다.
이후, 제5개폐밸브(37)를 개방하여 제5분사토출노즐(27a)에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한다. 이때 다른 개폐밸브(33-36)는 모두 닫혀 있는 상태이다. 제5분사토출노즐(27a)에서 분사되는 공기는 옷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털어 내고, 부유하는 이물질은 배기토출노즐들(23b-27b)을 통하여 흡입될 수 있다.
이처럼 제2개폐밸브(34)와 제4개폐밸브(36)도 같은 방식으로 개방하여 제2분사토출노즐(24a)과 제4분사토출노즐(26a)에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한다. 분사된 공기에 의해서 부유하는 이물질은 배기토출노즐들(23b-27b)을 통하여 흡입될 수 있다.
결국 제어부(100)는 복수 개의 개폐밸브(33-37)를 순서없이 무작위로 개폐하면서 복수 개의 분사토출노즐(23a-27a)이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옷케어장치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복수 개의 개폐밸브(33-37)를 개폐하였으나, 옷케어장치는별도의 순서없이 무작위로 복수 개의 개폐밸브(33-37)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할 수 있다.
배기토출노즐(23b-27b)을 통하여 흡입되는 이물질은 배기덕트(44)를 통하여 먼지통(41)으로 이동한다. 이후 먼지통(41)에 분리 저장된다. 또한, 배기덕트(44) 또는 배기토출노즐(23b-27b)에는 이물질감지센서(70)가 설치될 수 있
다. 이물질감지센서(70)는 배기덕트(44) 또는 배기토출노즐(23b-27b)을 통과하는 먼지량을 측정한다. 이물질감지센서(70)는 먼지 측정값을 제어부(100)에 제공하고, 제어부(100)는 먼지 측정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복수 개의 분사토출노즐(23a-27a)에서 분사되는 공기 분사 압력 또는 공기 분사 횟수를 조절한다. 즉, 먼지 측정값이 기준값 보다 큰 경우 제어부(100)는 공기 분사 압력을 증가시키거나 공기 분사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먼지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공기 분사 압력을 낮추거나 공기 분사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이후 스팀공급부(50)을 이용하여 옷수용실(17)에 스팀을 제공한다. 스팀은 스팀드라이의 역할을 해주고 살균 작용도 하게 된다.
또한, 방향제공급부(60)을 통하여 옷수용실(17)에 섬유탈취제 등의 방향제가 뿌려진다. 방향제는 불쾌한냄새를 제거하고 좋은 향기를 내뿜어 준다.
또한, 제습유닛(미도시)을 통하여 옷수용실(17)의 습기를 제거한다. 옷에 포함된 수분이 없어지므로 옷를 빳빳하게 다린 효과가 있다.
200:옷걸이
170: 케이스 180: 도어
182: 공기공급부 115: 토출노즐
113: 밸브 111: 먼지분리부
77: 스팀공급부 71: 방향제공급부
73: 이물질감지센서 78: 제어부
791: 구동부싱 793: 위치감지센서
713: 밀폐캡 72: 고정틀
773: 유입팬 775:구동밸트
777: 구동축 771: 회전부재
93: 연결편 95: 차단프레임
915: 연통캡 97: 외부프레임
951: 체결편 9111: 지지리브
911: 모서리마감부재 9151: 공급틀
9113: 유입구 971: 체결리브
100: 외부본체 9: 상부 분사부
51: 상부분사케이스 1: 측부 분사부
4: 격벽 11: 하부 세정액
13: 하부 분사부 7: 저장부

Claims (1)

  1. 이러한 해결과제의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은,
    옷수용실을 가지는 케이스,
    과 상기 케이스의 옷수용실로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토출노즐;과 상기 복수 개의 토출노즐을 개폐하는 복수 개의 개폐밸브,
    상기 복수 개의 분사토출노즐에서 순차적으로 공기가 분사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개폐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하고 나머지 개폐밸브를 폐쇄시키는 제어부,
    상기 케이스의 옷수용실 밖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구,
    상기 복수 개의 분사토출노즐은 상기 배기부에서 가장 먼 곳에 위치하는 것에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것까지 순차적으로 공기를 분사하고,
    상기 배기구가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분사토출노즐은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것에서부터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것까지 순차적으로 공기를 분사하며,
    상기 복수 개의 분사토출노즐 각각은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배기구가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분사토출노즐은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것에서부터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것까지 순차적으로 공기를 분사하며,
    상기 복수 개의 분사토출노즐은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배기구에 연결되어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
    상기 먼지통에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에어펌프,
    상기 복수 개의 토출노즐과 연결되는 분사덕트,
    상기 분사덕트와 연결되는 에어펌프,
    상기 케이스의 옷수용실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
    상기 케이스의 옷수용실에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노즐;
    상기 분사토출노즐을 개폐하는 개폐밸브,
    상기 옷수용실 밖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구,
    상기 배기구로 통과하는 먼지를 감지하는 이물질감지센서,
    상기 이물질감지센서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개폐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옷수용실로 분사되는 공기 분사 압력 또는 공기 분사 횟수가 증감되도록 하고,
    상기 이물질감지센서의 의한 먼지측정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옷수용실로 분사되는 공기 분사 압력 또는 공기 분사 횟수가 증가하며,
    상기 이물질감지센서의 의한 먼지측정값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옷수용실로 분사되는 공기 분사 압력 또는 공기 분사 횟수가 감소하고,
    상기 옷수용실 밖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구,
    상기 복수 개의 분사토출노즐 중 상기 배기구에서 가장 먼 곳에 위치하는 것에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것에까지 순차적으로 공기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집중분사를 통해 탈취살균기능을 갖는 옷보관장치.
KR1020160018903A 2016-02-18 2016-02-18 스팀 집중분사를 통해 탈취살균기능을 갖는 옷보관장치 KR20170097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903A KR20170097313A (ko) 2016-02-18 2016-02-18 스팀 집중분사를 통해 탈취살균기능을 갖는 옷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903A KR20170097313A (ko) 2016-02-18 2016-02-18 스팀 집중분사를 통해 탈취살균기능을 갖는 옷보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313A true KR20170097313A (ko) 2017-08-28

Family

ID=59759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903A KR20170097313A (ko) 2016-02-18 2016-02-18 스팀 집중분사를 통해 탈취살균기능을 갖는 옷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731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4137A (zh) * 2018-05-23 2018-10-19 夏文才 一种新能源汽车空调过滤装置
CN110025130A (zh) * 2019-03-18 2019-07-19 宿州市鑫尧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课堂用教师讲台
CN111184881A (zh) * 2020-02-24 2020-05-22 温州云耀服饰有限公司 一种衣物蒸汽消毒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4137A (zh) * 2018-05-23 2018-10-19 夏文才 一种新能源汽车空调过滤装置
CN110025130A (zh) * 2019-03-18 2019-07-19 宿州市鑫尧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课堂用教师讲台
CN111184881A (zh) * 2020-02-24 2020-05-22 温州云耀服饰有限公司 一种衣物蒸汽消毒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4557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ES2365225T3 (es) Procedimiento de limpieza y lavavajillas que hace uso del mismo.
KR20170097313A (ko) 스팀 집중분사를 통해 탈취살균기능을 갖는 옷보관장치
EP2061923B1 (en) Washing machine
ES2696203T3 (es) Método y máquina para limpieza de agujas para inyectar fluidos en productos cárnicos
EP3567153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1566204B1 (ko) 진공청소기의 습식분리형 집진장치
KR20100121201A (ko) 의류 클리닝 기능이 구비된 공기정화기
RU2611281C2 (ru) Водопотребляющий бытовой прибор с генератором газ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и подводящим узлом
US20200022550A1 (en) Multifunction vacuum cleaner
KR20170102589A (ko) 스팀을 통한 살균 및 탈취가 가능한 다기능 옷케어장치
US20200113409A1 (en) Dishwash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97312A (ko) 스팀 집중분사를 통해 탈취살균기능을 갖는 옷보관장치
KR101446633B1 (ko) 젖병 살균 세척기
KR101409900B1 (ko) 기화식 가습기
JP6105683B2 (ja) 食器洗い機
KR20160093971A (ko) 텀블러 세척장치
KR20170096388A (ko) 스팀 집중분사를 통해 탈취살균기능을 갖는 옷보관장치
KR102578442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102057418B1 (ko) 건조 및 살균장치
KR100896433B1 (ko) 방취제 분무장치
KR101679577B1 (ko) 상부급수식 초음파 가습기
JP2022090949A (ja) オゾンミスト発生装置
CN102388174A (zh) 具有液体喷射功能的衣物处理设备
KR20140087347A (ko) 변좌 세척기능이 구비된 비데 및 그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