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7284A -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한 보물쿠폰 찾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한 보물쿠폰 찾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7284A
KR20170097284A KR1020160018840A KR20160018840A KR20170097284A KR 20170097284 A KR20170097284 A KR 20170097284A KR 1020160018840 A KR1020160018840 A KR 1020160018840A KR 20160018840 A KR20160018840 A KR 20160018840A KR 20170097284 A KR20170097284 A KR 20170097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sure
information
coupon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8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오
이원진
Original Assignee
이민오
이원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오, 이원진 filed Critical 이민오
Priority to KR1020160018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7284A/ko
Publication of KR20170097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72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ore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H04W4/0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한 보물쿠폰 찾기 시스템으로, 고객에게 보물쿠폰을 찾는 과정에 재미와 즐거움을 더해줄 수 있는 힌트정보와 방해정보 요소를 제공하여 영업점 방문을 유도해 매출증대에 효과적인 마케팅시스템을 제공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식별정보를 가지고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로 이루어진 모바일단말기; 상기 모바일단말기와 연결되어 실내외 위치정보를 측정하여 발신하는 무선통신기기; 보물쿠폰정보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영업점에 구비된 관리자단말기; 및 서버(Server)와 관리DB로 구성되어, 상기 사용자식별정보, 상기 보물쿠폰정보, 위치식별정보, 영업점식별정보, 보물쿠폰위치정보, 보물힌트정보, 보물방해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자단말기와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식별정보, 상기 보물쿠폰정보, 상기 위치식별정보, 상기 영업점식별정보, 상기 보물쿠폰위치정보, 상기 보물힌트정보, 상기 보물방해정보를 입력 또는 수집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상기 무선통신기기가 발신하는 상기 위치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위치식별정보로 일정범위내의 보물쿠폰을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위치식별정보의 일정범위 이탈여부를 판단해 상기 보물힌트정보와 상기 보물방해정보를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전송하여 현시하고,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상기 보물힌트정보의 힌트점수로 상기 보물방해정보의 장애물을 제거하여 보물쿠폰이 숨겨진 장소에 도착할 수 있으며, 보물쿠폰 표식의 정보코드 유무에 따라 인식판독부나 근거리통신망을 이용해 보물을 다운로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한 보물쿠폰 찾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한 보물쿠폰 찾기 시스템{Treasure coupon search system using the posi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보물쿠폰을 찾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단말기와 연계된 무선통신기기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식별정보, 보물쿠폰관련 힌트정보 및 방해정보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상에서 숨겨진 보물쿠폰을 찾아 다운로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사물인터넷, O2O, 핀테크 등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기술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에서도 마케팅 활동을 위해 이들 기술들을 받아들이고 있다. 기존 매스마케팅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끌기위해 많은 마케팅 비용을 집행함에도 불구하고 나날이 그 효과는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비콘이나 위치기반 기술을 이용하여 소비자들에게 할인정보 및 쿠폰을 제공하는 어플이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이런 어플들은 단순히 현재 위치 부근의 할인정보 만을 제공하여, 수많은 업체 중에서 자신의 매장까지 고객을 유인하는데 어느 정도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한편, 일부 영업점에서는 단순히 쿠폰을 제공하는 것 외에, 재미적인 요소를 추가해 보물찾기 게임을 통해 소비자를 매장까지 유인하고 있다.
공개특허 10-2013-0012185, "보물찾기 서비스 시스템"은 오프라인상의 특정 위치에 숨겨진 보물에 관한 문제를 제공하여 정답을 맞히는 사람에게 보물 위치정보 등을 제공하여 줌으로써, 사용자들이 흥미를 갖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들이 보물찾기를 통해 특정 위치에 방문하도록 유도하여 이벤트 및 광고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또한, 공개특허 특2003-0081705,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보물찾기 게임방법"은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위치정보의 제공으로 보물찾기를 수행하여, 오프라인 제휴업체의 홍보마케팅 및 이벤트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게임과 위치정보를 이용한 모바일 데이터 이용률을 높여 수익을 창출하려는 것이다.
또한, 등록특허 10-1479303, "보물찾기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오프라인 상에 숨겨놓은 보물을 찾고자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동하여 하이더단말이 보물을 숨기고, 헌터단말이 보물을 찾아 고유번호 인증을 하면 보물을 지급하는 방법으로 온라인에서의 레벨 목표달성과 오프라인 활동에서의 즐거움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등록특허 10-1213022,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가상 보물찾기 시스템 및 방법"은 인터넷을 통한 가상공간에서의 보물찾기가 아닌 실제 공간과 매핑된 증강 현실 속에서 보물을 찾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가상 보물찾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보물찾기는 아직 마케팅 수단으로써 널리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보물찾기가 마케팅 수단으로 활성화 되지 못한 이유는 다양하겠지만, 일반적 쿠폰과의 차별화에서 실패한 것이 이유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보물찾기 게임이 재미와 즐거움을 소비자에게 충분히 전달하지 못하여 고객의 매장 방문을 유도하지 못한 점이 부족하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12185, "보물찾기 서비스 시스템" 2.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81705,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보물찾기 게임방법" 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79303, "보물찾기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4.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13022,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가상 보물찾기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한 보물쿠폰 찾기 시스템으로, 고객에게 보물쿠폰을 찾는 과정에 재미와 즐거움을 더해줄 수 있는 힌트정보와 방해정보 요소를 제공하여 영업점 방문을 유도해 기업 매출증대에 효과적인 마케팅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GPS, 비콘, Wi-Fi 등의 무선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실내외에서 모바일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여 일정 범위내의 주변지역 보물쿠폰 제공하여, 모바일단말기 사용자가 보물쿠폰을 찾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기기의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신하여, 모바일단말기가 정해진 범위내에 있으면, 보물힌트정보를 현시하고, 정해진 범위에 없으면 경로이탈메시지를 보내 모바일단말기 사용자의 영업점 방문을 유도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물힌트정보로 영업점의 상품, 서비스 및 보물쿠폰 관련 퀴즈풀이, 주사위놀이, 가위바위보와 같은 게임, 광고시청으로 힌트점수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힌트점수를 통해서 보물방해정보의 장애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힌트를 통한 상품과 서비스 광고로 브랜드 인지도 및 기업이미지를 상승시키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단말기 사용자가 보물쿠폰을 쉽게 찾지 못하도록 보물방해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전자지도상에 축척, 가림효과, 투명도 등을 이용한 장애물을 제공하고, 장애물을 힌트점수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영업점을 방문하는 고객의 충성도를 높이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모바일단말기 사용자가 보물쿠폰이 숨겨진 장소에 도착하여 보물쿠폰 표식의 바코드, QR코드 등의 정보코드를 촬영하여 인식하거나, 블루투스, 비콘, NFC, Wi-Fi 등의 근거리통신망을 이용하여 보물쿠폰을 다운로드하여 보물쿠폰을 확보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식별정보를 가지고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로 이루어진 모바일단말기; 상기 모바일단말기와 연결되어 실내외 위치정보를 측정하여 발신하는 무선통신기기; 보물쿠폰정보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영업점에 구비된 관리자단말기; 및 서버(Server)와 관리DB로 구성되어, 상기 사용자식별정보, 상기 보물쿠폰정보, 위치식별정보, 영업점식별정보, 보물쿠폰위치정보, 보물힌트정보, 보물방해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자단말기와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식별정보, 상기 보물쿠폰정보, 상기 위치식별정보, 상기 영업점식별정보, 상기 보물쿠폰위치정보, 상기 보물힌트정보, 상기 보물방해정보를 입력 또는 수집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상기 무선통신기기가 발신하는 상기 위치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위치식별정보로 일정범위내의 보물쿠폰을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위치식별정보의 일정범위 이탈여부를 판단해 상기 보물힌트정보와 상기 보물방해정보를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전송하여 현시하고,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상기 보물힌트정보의 힌트점수로 상기 보물방해정보의 장애물을 제거하여 보물쿠폰이 숨겨진 장소에 도착하며, 보물쿠폰 표식의 정보코드 유무에 따라 인식판독부나 근거리통신망을 이용해 보물을 다운로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한 보물쿠폰 찾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무선통신기기는 실내외에서 GPS, 비콘, Wi-Fi 등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여 상기 위치식별정보를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발신하고,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상기 위치식별정보를 수신해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식별정보, 상기 영업점식별정보, 상기 보물쿠폰정보, 상기 보물쿠폰위치정보를 조합하여 일정 반경 내의 주변지역 보물쿠폰을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단말기로 전송하여 현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현시된 보물쿠폰은 상기 보물쿠폰정보의 보물내용 공개 여부에 따라 공개용 보물쿠폰과 비공개용 보물쿠폰으로 구분하여 현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상기 무선통신기기로부터 위치식별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신하여,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정해진 범위내에 있으면, 상기 관리서버에 상기 보물힌트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현시하고, 정해진 범위 내에 없으면 상기 경로이탈메시지를 전송하여 현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현시된 상기 보물힌트정보는 영업점의 상품, 서비스 및 보물쿠폰과 관련된 간단한 퀴즈풀이 점수, 주사위놀이, 가위바위보와 같은 간단한 게임을 통한 점수 및 광고시청 점수로 힌트점수를 획득하고, 힌트점수를 통해 상기 보물방해정보의 장애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현시된 상기 보물방해정보는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상기 위치식별정보를 나타내는 전자지도상에 축척, 가림효과, 투명도를 이용하여 보물쿠폰의 위치 파악이 쉽지 않도록 장애물을 적용한 것으로, 축척은 전자지도상에 모바일단말기의 현재위치와 보물쿠폰 숨져진 거리가 멀리면 소축척지도를 적용하고, 가까우면 대축척지도를 적용하며, 가림효과는 전자지도상에 지도가 뿌옇게 보이는 정도를 가림효과(블러)를 주어 조절하며, 투명도는 전자지도상에 지도가 투명도하게 보이는 정도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상기 보물힌트정보의 상기 힌트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보물방해정보의 장애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보물쿠폰이 숨겨진 장소에 도착하여 보물쿠폰 표식의 바코드, QR코드 등의 정보코드를 인식판독부로 인식하여 보물쿠폰을 다운로드하거나, 통신부의 블루투스, 비콘, NFC, Wi-Fi 등의 근거리통신망을 이용하여 보물쿠폰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와 상기 보물쿠폰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영업점은 기존에 제공하는 일반적인 쿠폰과는 다르게 위치식별정보를 활용한 쿠폰으로 재미와 즐거움이 있는 보물쿠폰을 고객에게 제공하여, 고객 충성도 및 브랜드 이미지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보물쿠폰을 통한 상품과 서비스의 할인으로 많은 고객의 방문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매출 증대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고객은 기존 일반 쿠폰이 영업점에서 제공하는 수동적 형태의 쿠폰이었다면, 보물쿠폰은 고객에게 재미와 즐거움을 제공하는 대신에 보다 능동적인 행동을 요구한다. 보물쿠폰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보물과 관련된 퀴즈풀이나 게임하기, 광고시청 등으로 힌트점수를 확보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보물쿠폰이 숨겨진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축척, 가림효과, 투명도 등의 장애물을 제거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보물쿠폰을 발견하게 되어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보물쿠폰 할인을 받을 수가 있다.
또한, 고객은 퀴즈풀이나 광고시청을 통해서 해당 제품에 대한 이해 및 지식을 쌓을 수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한 보물찾기 시스템의 기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모바일단말기의 구성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관리서버의 구성 개념도이다.
[도 4]는 관리서버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관리자단말기가 정보를 입력하는 흐름도이다.
[도 5]은 모바일단말기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보물쿠폰을 찾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모바일단말기 이용자가 보물쿠폰을 발견하여 다운로드 받는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9]은 모바일단말기가 보물쿠폰을 찾기 위해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한 보물쿠폰 찾기 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한 보물찾기 시스템의 기본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기반으로 모바일단말기(100), 관리서버(200), 관리자단말기(300), 무선통신기기(400)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관리서버(200)는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서버(Server) (210)와 관리DB(220)를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단말기(100)는 스마트폰, PDA, 태블릿PC, 웨어러블 컴퓨터 등의 통상적인 모바일 컴퓨팅이 가능한 휴대단말기로 바코드, QR코드 등의 정보코드 인식을 위한 인식판독부, 퀴즈풀이 및 게임하기 등의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GPS, 비콘 등의 무선통신기기(400)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 무선통신기기(400)나 관리서버(200)와 통신하는 통신부, 각종 정보처리 및 기능 제어를 위한 제어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화면표시부와 데이터 저장을 위한 저장부가 구비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단말기(100)는 실내외에서 위치측정이 가능한 GPS, 비콘, Wi-Fi 등의 상기 무선통신기기(400)가 발신하는 상기 위치식별정보를 수신하여 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200)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일정 범위 내의 주변지역 보물쿠폰정보, 보물힌트정보, 보물방해정보를 수신하여 현시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단말기(100)는 보물쿠폰이 숨겨진 장소에서 인식판독부를 통해 바코드, QR코드 등의 정보코드로 구성된 보물쿠폰을 인식하여 보물쿠폰을 다운로드하거나, 통신부의 근거리통신망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비콘, NFC, Wi-Fi 등의 보물쿠폰 알림창에 알림메시지를 띄워 보물쿠폰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 정보를 관리서버(200)에 전송한다.
상기 관리서버(200)는 대용량 컴퓨터장치로서 서버(Server)(210)와 관리DB (22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서버(Server)(210)는 정보처리모듈, 데이터입출력모듈, 데이터저장모듈, 제어및관리모듈,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관리DB(220)는 사용자식별정보, 위치식별정보, 보물쿠폰정보, 영업점식별정보, 보물쿠폰위치정보, 보물힌트정보, 보물방해정보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200)는 상기 모바일단말기(100) 및 관리자단말기(300)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단말기(100)와 상기 관리자단말기(300)의 입력정보를 상기 서버(Server)(210) 및 상기 관리DB(220)와 연계 처리하여 리턴된 값을 상기 모바일단말기(100) 또는 상기 관리자단말기(300)에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관리서버(200)는 상기 모바일단말기(100) 및 상기 관리자단말기(300)의 인터페이스를 마련하여 사용자식별정보 및 보물쿠폰정보, 영업점식별정보, 보물쿠폰위치정보, 보물힌트정보, 보물방해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단말기(300)는 스마트폰, 태블릿PC, PC 등으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데이터 저장 및 연산처리가 가능한 컴퓨터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단말기(300)는 상기 관리서버(200)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업점식별정보, 보물쿠폰정보, 보물쿠폰위치정보, 보물힌트정보, 보물방해정보 등을 수집하여 상기 관리서버(20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기기(400)는 실내외에서 위치식별정보 수집이 가능한 상기 무선통신기기(400)로 GPS, 비콘, Wi-Fi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GPS는 Global positioning system으로 GPS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위성항법시스템이고, 비콘은 블루투스4.0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로서 최대 70m 이내의 장치들과 교신할 수 있는 단말기로 사용자의 위치를 찾아 메시지 전송을 가능하게 해주는 스마트폰 근거리통신기술이고, Wi-Fi는 Wi-Fi 이동 단말에서 주변 AP의 신호세기를 측정한 후, 사전 구축된 AP들의 수신 패턴 DB와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패턴을 갖는 위치를 선택하는 방식, 또는 삼각측량(Triangulation) 방식과 핑거프린팅(Fingerprinting) 방식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모바일단말기(100)의 구성 개념도이다. 상기의 모바일단말기(100)는 바코드, QR코드 등의 정보코드 인식을 위한 인식판독부, 퀴즈풀이 및 게임하기 등의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GPS, 비콘 등의 무선통신기기(400)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 무선통신기기(400), 관리서버(20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각종 정보처리 및 기능 제어를 위한 제어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화면표시부와 데이터 저장을 위한 저장부가 구비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단말기(100)는 상기 무선통신기기(400)로부터 위치식별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신하여, 상기 모바일단말기(100)가 정해진 범위내에 있으면, 상기 관리서버(200)에 보물힌트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모바일단말기(100)에 현시하고, 정해진 범위내에 없으면 경로이탈메시지를 수신하여 현시한 후 보물힌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단말기(100)는 영업점의 상품, 서비스 및 보물쿠폰과 관련된 간단한 퀴즈풀이 점수, 주사위놀이, 가위바위보와 같은 간단한 게임을 통한 점수 및 광고시청 점수로 힌트점수를 획득할 수 있는 보물힌트정보를 현시하고, 획득한 점수를 관리서버(20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단말기(100)에 전자지도상의 지도축척, 가림효과. 투명도를 이용하여 보물쿠폰의 위치 파악이 쉽지 않도록 장애물을 적용한 보물방해정보를 현시하고, 보물힌트정보의 힌트점수를 이용하여 보물방해정보의 장애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단말기(100)는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보물쿠폰정보를 수신하여 현시할 때, 참여인원, 시작시간, 종료시간, 중복참여여부, 보물쿠폰의 할인율을 차등 적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관리서버(200)의 구성 개념도이다. 상기 관리서버(200)는 대용량 컴퓨터장치로서 상기 서버(Server)(210)와 상기 관리DB(22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Server)(210)는 정보처리모듈, 데이터입출력모듈, 데이터저장모듈, 제어및관리모듈,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DB(220)는 사용자식별정보, 위치식별정보, 보물쿠폰정보, 영업점식별정보, 보물쿠폰위치정보, 보물힌트정보, 보물방해정보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200)는 상기 모바일단말기(100) 및 상기 관리자단말기(3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단말기(100)와 상기 관리자단말기(300)의 입력정보를 상기 서버(Server)(210) 및 상기 관리DB(220)와 연계 처리하여 리턴된 값을 상기 모바일단말기(100) 또는 상기 관리자단말기(300)에 전송하여 현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관리서버(200)는 상기 모바일단말기(100)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식별정보, 위치식별정보, 보물힌트정보결과값 등을 수집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30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보물쿠폰정보, 상기 영업점식별정보, 상기 보물쿠폰위치정보, 보물힌트정보, 보물방해정도 등을 수집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200)의 관리DB(220)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 것으로, 사용자식별정보는 상기 모바일단말기(100)의 전화번호, Mac address 등으로 구성되며, 이를 통해 중복참여여부, 보물쿠폰의 할인율 차등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위치식별정보는 관리서버(200)가 무선통신기기(400)의 발신 위치정보를 상기 모바일단말기(100)를 통하여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것으로, 만약 상기 모바일단말기(100)가 정해진 이전 시간과 비교하여 일정 범위내에 있으면 보물힌트정보를 상기 모바일단말기(100)에 발신하고, 정해진 일정범위를 벗어나면 경로이탈메시지를 상기 모바일단말기(100)에 발신하고 난후, 보물힌트정보를 발신한다.
[표 1] 범위에 따른 보물힌트정보의 예
Figure pat00001

상기 보물쿠폰정보는 보물쿠폰에 관한 이미지, 텍스트 등으로 보물쿠폰명, 보물쿠폰 상세내역, 할인율, 참여혜택, 참여인원, 시작시간, 종료시간, 공개여부, 인식형태, 인식형태값 등의 정보를 상기 관리자단말기(300)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관리DB(22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영업점식별정보는 보물쿠폰을 제공하는 영업점관련 정보로 영업점명, 영업점소개, 연락처, 주소 등을 상기 관리자단말기(300)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관리DB(22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보물쿠폰위치정보는 보물쿠폰이 숨겨진 실제 위치 정보로 영업점내부 또는 영업점 부근의 특정 장소로 좌표값으로 상기 관리자단말기(300)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단말기(100) 사용자가 보물이 숨겨진 실제 장소에 도착하여 바코드, QR코드 등의 정보코드를 인식판독하여 보물쿠폰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고, 블루투스, 비콘, NFC, Wi-Fi 등의 상기 무선통신기기(400)와의 근거리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기기(400)가 발신하는 위치식별정보를 모바일단말기(100)가 수신하여 보물쿠폰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상기 보물힌트정보는 상기 관리자단말기(30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일정 범위를 임의단계로 구분하여, 상기 모바일단말기(100)가 해당 범위내에 위치하면 힌트정보를 상기 모바일단말기(100)에 현시하고, 해당 범위밖에 위치하면 경로이탈메시지 확인 후 힌트정보를 상기 모바일단말기(100)에 현시 할 수 있다. 보물힌트정보는 제품과 서비스관련 간단한 퀴즈풀이, 가위바위보, 주사위놀이 등의 간단한 게임, 동영상광고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모바일단말기(100) 사용자가 힌트정보를 통해 주어진 퀴즈를 해결하면 힌트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보물힌트정보는 사전에 상기 관리DB(220)의 보물힌트정보에 내장될 수 있고, 영업점별로 상기 관리자단말기(300) 인터페이스를 통해 별도의 퀴즈나 게임, 광고 등의 힌트정보를 구성할 수도 있다.
[표 2] 보물힌트정보의 종류 및 예시
Figure pat00002

상기 보물방해정보는 상기 관리자단말기(30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로 상기 모바일단말기(100)의 위치 범위에 따라 전자지도상의 장애물을 설정할 수 있다. 전자지도상에 축척, 가림효과, 투명도를 이용하여 보물쿠폰의 위치 파악이 쉽지 않도록 장애물을 적용할 수 있다.
축척은 전자지도상에 상기 모바일단말기(100)의 현재위치와 보물쿠폰 숨져진 거리가 멀면 소축척지도를 적용하고, 가까우면 대축척지도를 적용하며, 가림효과는 전자지도상에 지도가 뿌옇게 보이는 정도를 가림효과(블러)를 주어 조절하며, 투명도는 전자지도상에 지도가 투명도하게 보이는 정도를 조절하는 방법이다. 가림효과와 투명도 설정은 상기 관리자단말기(300)를 통해서 %단위로 설정을 할 수 있다. 상기의 보물방해정보의 장애물은 단수 또는 복수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일례로 축적은 소축척, 가림효과는 95%를 주어 전자지도의 대략적인 위치만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상기 관리서버(200)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관리자단말기(300)가 정보를 입력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관리자단말기(300)가 상기 관리서버(200)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 접속하여 회원 여부를 판단하여 회원이면 로그인 절차를 거치고, 비회원이면 회원가입 및 각종 정보 동의를 요청한다. 로그인을 한 상기 관리자단말기(300)는 상기 관리서버(200)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영업점식별정보, 보물쿠폰정보, 보물쿠폰위치정보, 보물힌트정보, 보물방해정보 등을 수집하여 관리서버(200)로 보내 관리DB(220)에 저장한다.
[도 5]은 모바일단말기(100)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보물쿠폰을 찾는 흐름도이다. 상기 모바일단말기(100)가 응용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상기 무선통신기기(400)가 발신하는 위치식별정보를 상기 모바일단말기(100)의 센서부를 통해 수집하여 위치식별정보를 상기 모바일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단말기(100)는 수집된 위치식별정보를 상기 관리서버(200)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200)는 위치식별정보와 보물쿠폰위치정보를 조합해 일정반경내의 보물쿠폰정보리스트와 보물쿠폰정보를 모바일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단말기(100)는 수신한 보물쿠폰정보리스트와 대축척을 적용한 전자지도에 보물쿠폰 정보를 현시할 수 있다. 현시되는 전자지도는 축척, 가림효과, 투명도 등을 이용한 장애물이 있어, 전자지도상에서 정확한 보물쿠폰의 위치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고 대략적인 위치 파악만 가능하다. 복수의 보물쿠폰 중에서 상기 모바일단말기(100) 사용자가 원하는 보물쿠폰을 선택하면, 상기 모바일단말기(100)는 상기 관리서버(200)에 보물힌트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관리서버(200)는 사전에 설정된 보물힌트정보와 보물방해정보를 상기 모바일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단말기(100)는 문제풀이, 게임, 광고보기 등의 보물힌트정보를 현시하고 사용자의 입력값이나 결과값을 확인하여 힌트점수에 반영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단말기(100)는 획득한 힌트점수를 이용하여 보물방해정보의 장애물을 제거하여 좀 더 정확한 위치식별정보를 얻을 수가 있다. 상기 모바일단말기(100)가 보물쿠폰이 위치한 장소를 계속해서 파악하기 위해서는 추가 힌트정보가 필요하며, 힌트정보를 얻으려면 이전 장소보다 더 가까운 사전 설정된 범위내로 이동해야 한다.
한편, 상기 관리서버(200)는 상기 무선통신기기(400)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단말기(100)의 위치 이동경로를 주기적으로 요청하여, 상기 관리DB(220)의 보물쿠폰위치정보와 상기 모바일단말기(100)의 위치식별정보를 비교하여 경로이탈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모바일단말기(100)가 경로를 이탈하였으면, 경로이탈메시지를 보낸 다음 보물힌트정보를 현시하고, 경로를 이탈하지 않았으면 보물힌트정보를 현시할 수 있다. 경로를 이탈하였을 때의 보물힌트정보는 사전 설정된 퀴즈를 내거나, 기존 보물힌트정보에서 힌트점수를 일정 점수 차감하여 지급할 수 있다.
[도 6]은 모바일단말기(100) 이용자가 보물쿠폰을 발견하여 다운로드 받는 흐름도이다. 상기 모바일단말기(100)가 보물힌트정보를 이용하여 보물방해정보의 장애물을 극복하여 보물쿠폰이 숨겨진 장소에 도착하면, 보물쿠폰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보물쿠폰 표식에 바코드나 QR코드와 같은 정보코드가 있으면, 상기 모바일단말기(100)의 인식판독부를 이용해 바코드나 QR코드 인식으로 보물쿠폰을 다운로드 할 수 있고, 정보코드가 없으면 블루투스, 비콘, NFC, Wi-Fi 등의 근거리통신망을 이용하여 보물쿠폰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단말기(100)는 다운로드한 보물쿠폰의 사용자식별정보와 보물쿠폰정보를 상기 관리서버(200)에 전송하여 관리DB(220)에 저장하며, 상기 모바일단말기(100) 사용자는 다운로드한 쿠폰을 영업점에서 사용하거나 SNS 공유 기능을 이용해 친구에게 선물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은 모바일단말기(100)가 보물쿠폰을 찾기 위해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이다. [도 7]은 전자지도상에 일정 범위내의 보물쿠폰의 위치와 상기 모바일단말기(100) 사용자가 선택한 보물쿠폰의 대략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보물쿠폰은 설정에 따라 소축척이 적용되었으며, 투명도가 95% 적용이 되었다.
[도 8]은 전자지도상에서 상기 모바일단말기(100) 사용자가 보물힌트정보를 이용해 보물방해정보의 장애물을 제거하여 보물쿠폰이 위치한 곳에 조금 가까이 이동한 예이다. 실시예에서 보물쿠폰은 설정에 따라 대축척이 적용되었으며, 투명도가 30% 적용이 되었다.
[도 9]는 상기 모바일단말기(100)가 일정 범위내의 보물쿠폰 요청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200)가 보물쿠폰정보의 리스트와 보물쿠폰위치, 현재 참여인원, 보물쿠폰의 공개/ 비공개 등의 실시예가 현시되어있다. 비공개 보물쿠폰의 경우 쿠폰의 내역을 비공개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와 같은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0 : 모바일단말기 200 : 관리서버
210 : 서버(Server) 220 : 관리DB
300 : 관리자단말기 400: 무선통신기기

Claims (8)

  1. 사용자식별정보를 가지고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로 이루어진 모바일단말기;
    상기 모바일단말기와 연결되어 실내외 위치정보를 측정하여 발신하는 무선통신기기;
    보물쿠폰정보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영업점에 구비된 관리자단말기; 및 서버(Server)와 관리DB로 구성되어, 상기 사용자식별정보, 상기 보물쿠폰정보, 위치식별정보, 영업점식별정보, 보물쿠폰위치정보, 보물힌트정보, 보물방해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자단말기와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식별정보, 상기 보물쿠폰정보, 상기 위치식별정보, 상기 영업점식별정보, 상기 보물쿠폰위치정보, 상기 보물힌트정보, 상기 보물방해정보를 입력 또는 수집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상기 무선통신기기가 발신하는 상기 위치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위치식별정보로 일정범위내의 보물쿠폰을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위치식별정보의 일정범위 이탈여부를 판단해 상기 보물힌트정보와 상기 보물방해정보를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전송하여 현시하고,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상기 보물힌트정보의 힌트점수로 상기 보물방해정보의 장애물을 제거하여 보물쿠폰이 숨겨진 장소에 도착할 수 있으며, 보물쿠폰 표식의 정보코드 유무에 따라 인식판독부나 근거리통신망을 이용해 보물을 다운로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한 보물쿠폰 찾기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무선통신기기는 실내외에서 GPS, 비콘, Wi-Fi 등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여 상기 위치식별정보를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발신하고,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상기 위치식별정보를 수신해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식별정보, 상기 영업점식별정보, 상기 보물쿠폰정보, 상기 보물쿠폰위치정보를 조합하여 일정 반경 내의 주변지역 보물쿠폰을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단말기로 전송하여 현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한 보물쿠폰 찾기 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현시된 보물쿠폰은 상기 보물쿠폰정보의 보물내용 공개 여부에 따라 공개용 보물쿠폰과 비공개용 보물쿠폰으로 구분하여 현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한 보물쿠폰 찾기 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상기 무선통신기기로부터 위치식별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신하여,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정해진 범위내에 있으면, 상기 관리서버에 상기 보물힌트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현시하고, 정해진 범위내에 없으면 경로이탈메시지를 전송한 후 보물힌트정보를 현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한 보물쿠폰 찾기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현시된 상기 보물힌트정보는 영업점의 상품, 서비스 및 보물쿠폰과 관련된 간단한 퀴즈풀이 점수, 주사위놀이, 가위바위보와 같은 간단한 게임을 통한 점수 및 광고시청 점수로 힌트점수를 획득하고, 상기 힌트점수를 통해 상기 보물방해정보의 장애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한 보물쿠폰 찾기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5항에서,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현시된 상기 보물방해정보는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위치식별정보를 나타내는 전자지도상에 축척, 가림효과, 투명도를 이용하여 보물쿠폰의 위치 파악이 쉽지 않도록 장애물을 적용한 것으로, 축척은 전자지도상에 모바일단말기의 현재위치와 보물쿠폰이 숨겨진 거리가 멀면 소축척지도를 적용하고, 가까우면 대축척지도를 적용하며, 가림효과는 전자지도상에 지도가 뿌옇게 보이는 정도를 가림효과(블러)를 주어 조절하며, 투명도는 전자지도상에 지도가 투명도하게 보이는 정도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상기 보물힌트정보의 상기 힌트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보물방해정보의 장애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한 보물쿠폰 찾기 시스템.
  7. 제1항에서,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보물쿠폰이 숨겨진 장소에 도착하여 보물쿠폰 표식의 바코드, QR코드 등의 정보코드를 인식판독부로 인식하여 보물쿠폰을 다운로드하거나, 통신부의 블루투스, 비콘, NFC, Wi-Fi 등의 근거리통신망을 이용하여 보물쿠폰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와 상기 보물쿠폰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한 보물쿠폰 찾기 시스템.
  8. 제1항에서,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보물쿠폰정보를 수신하여 현시할 때,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식별번호를 구분하여 참여인원, 시작시간, 종료시간, 중복참여여부, 보물쿠폰의 할인율을 차등 적용하여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한 보물쿠폰 찾기 시스템.
KR1020160018840A 2016-02-18 2016-02-18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한 보물쿠폰 찾기 시스템 KR201700972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840A KR20170097284A (ko) 2016-02-18 2016-02-18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한 보물쿠폰 찾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840A KR20170097284A (ko) 2016-02-18 2016-02-18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한 보물쿠폰 찾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284A true KR20170097284A (ko) 2017-08-28

Family

ID=59759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840A KR20170097284A (ko) 2016-02-18 2016-02-18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한 보물쿠폰 찾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728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2937A (zh) * 2017-09-07 2018-02-0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终端及存储介质
KR101949660B1 (ko) * 2019-01-17 2019-02-18 진현창 큐알(qr) 코드를 이용한 게임 시스템 및 게임 방법
KR102071691B1 (ko) * 2018-08-30 2020-01-30 엔티콘 주식회사 특정 오프라인 장소 홍보를 위한 미션달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11511663B1 (en) 2020-03-04 2022-11-29 BlueOwl,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contextually-sensitive braking informatio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2937A (zh) * 2017-09-07 2018-02-0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终端及存储介质
KR102071691B1 (ko) * 2018-08-30 2020-01-30 엔티콘 주식회사 특정 오프라인 장소 홍보를 위한 미션달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0046040A1 (ko) * 2018-08-30 2020-03-05 엔티콘 주식회사 특정 오프라인 장소 홍보를 위한 미션달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949660B1 (ko) * 2019-01-17 2019-02-18 진현창 큐알(qr) 코드를 이용한 게임 시스템 및 게임 방법
US11511663B1 (en) 2020-03-04 2022-11-29 BlueOwl,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contextually-sensitive braking information
US11752930B2 (en) 2020-03-04 2023-09-12 BlueOwl,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contextually-sensitive braking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6783B1 (en) Linking real world activities with a parallel reality game
JP7364627B2 (ja) 並行現実ゲーム内の活動を用いたプレイヤーの現実世界位置の検証
US20190088086A1 (en) Location-aware player loyalty system
US20120215617A1 (en) Location based value dissemination system and method
US10424167B2 (en) Lottery game system and method with augmented reality scratch-off lottery ticket
US20210252384A1 (en) Linking real world activities with a parallel reality game
CN105283896A (zh) 营销系统以及营销方法
US10431049B2 (en) Lottery game system and method with augmented reality component
KR20130137968A (ko) 사용자 단말에서 증강 현실을 통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70097284A (ko) 위치식별정보를 이용한 보물쿠폰 찾기 시스템
EP2988473A1 (en) Argument reality content screen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101213022B1 (ko)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가상 보물찾기 시스템 및 방법
US1136710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active advertisements
KR20130012228A (ko) 가상 공간과 실공간을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이벤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이벤트 서비스 방법
US20190272701A1 (en) Lottery Game System and Method with Augmented Reality Component
KR101074825B1 (ko) 위치-아이템을 이용한 모바일 마케팅 방법 및 시스템
US10650411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based delivery of determined pertinent data
KR20130012185A (ko) 보물 찾기 서비스 시스템
KR20180058525A (ko) 매장내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TWI799337B (zh) 用於提供用於在一平行實境體驗中顯示之一虛擬元素之方法及電腦可讀儲存媒體
JP2006099299A (ja) アプリケーション配信システム、配信装置、携帯端末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配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KR101387402B1 (ko)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네트워크 게임 시스템 및 방법
US20240075391A1 (en) Content item for display in location-based game
KR20180070319A (ko) 오프라인 리워드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42952B1 (ko) 좌표 기반 이벤트 제공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