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7164A - 다층 자기-접착성 겔 및 적용기구 - Google Patents

다층 자기-접착성 겔 및 적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7164A
KR20170097164A KR1020177020132A KR20177020132A KR20170097164A KR 20170097164 A KR20170097164 A KR 20170097164A KR 1020177020132 A KR1020177020132 A KR 1020177020132A KR 20177020132 A KR20177020132 A KR 20177020132A KR 20170097164 A KR20170097164 A KR 20170097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
self
adhesive
layer
adhesive g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0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베 트레베
미하엘 호른
로버트 스티븐 캐플맨
베른하르트 오를리히
마린 카비롤
라르스 취히너
Original Assignee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filed Critical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ublication of KR20170097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716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4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combined with or containing other objects
    • C11D17/041Compositions releasably affixed on a substrate or incorporated into a dispen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33Distinct layers, e.g. core/shell sticks
    • A61K8/0237Strip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uric acid derivatives, e.g. sodium lauryl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53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eans allowing the stock of material to consist of at least two different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76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a piston as pressure exerting means, or of the co-operating container
    • B05C17/00579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a piston as pressure exerting means, or of the co-operating container comprising means for allowing entrapped air to escape to the atmosp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04Carboxylic acid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14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derived from aliphatic hydrocarbons or mono-alcohols
    • C11D1/143Sulfon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29Sulfates of polyoxyalkylene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5Amino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08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aqueous liquid non soap compositions
    • C11D17/003Colloidal solutions, e.g. gels; Thixotropic solutions or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47Detergents in the form of bars or tablets
    • C11D17/0056Lavatory cleansing bl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68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2Carbohydrate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0Amines; Substituted amines ; Quaternized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2Amides; Substituted amides
    • C11D3/323Amides; Substituted amides urea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4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53Polyvinylalcohol; Ethers or est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4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69(Co)polymerised monomers containing nitrogen, e.g. carbonamides, nitriles or amines
    • C11D3/3776Heterocyclic compounds, e.g. lactam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3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50Perfum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2009/026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using a gel-form substan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다층 자기-접착성 겔 및 적용기구. 본 발명은 i) 적어도 1종의 용매 (a1); (a1)과 상이한 적어도 1종의 접착 촉진제 (b1); 및 (a1) 및 (b1)과 상이한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 (c1)을 포함하는 제1 자기-접착성 겔 층 (A), ii) 제1 자기-접착성 겔 층 (A)와 상이하며, 적어도 1종의 용매 (a2); 및 (a2)와 상이한 적어도 1종의 접착 촉진제 (b2)를 포함하는 제2 자기-접착성 겔 층 (B)를 포함하는, 세정 및/또는 소독 및/또는 탈취 및/또는 발향을 위한 다층 자기-접착성 겔에 관한 것이며, 상기 다층 자기-접착성 겔은 기판의 편평한 표면 상에 적용될 때, (A) 및 (B)가 함께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연속적이고 본질적으로 고른 표면을 갖는다. 변기, 싱크대, 세면대, 욕조, 샤워기의 세정 및/또는 소독 및/또는 탈취 및/또는 발향, 및 샤워기, 욕조 또는 세면대에서 샤워 겔 또는 샴푸의 전달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자기-접착성 겔의 용도. 다층 자기-접착성 겔을 포함한 적용기구 및 적용기구의 충전 방법.

Description

다층 자기-접착성 겔 및 적용기구 {MULTI-LAYER SELF-ADHESIVE GEL AND APPLICATOR}
본 발명은,
i) 적어도 1종의 용매 (a1);
(a1)과 상이한 적어도 1종의 접착 촉진제 (b1); 및
(a1) 및 (b1)과 상이한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 (c2)
를 포함하는 제1 자기-접착성 겔 층 (A),
ii) 제1 자기-접착성 겔 층 (A)와 상이하며,
적어도 1종의 용매 (a2); 및
(a2)와 상이한 적어도 1종의 접착 촉진제 (b2); 및 바람직하게는
(a2) 및 (b2)와 상이한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 (c2)
를 포함하는 제2 자기-접착성 겔 층 (B)
를 포함하는, 세정 및/또는 소독 및/또는 탈취 및/또는 발향(scenting)에 적절한 다층 자기-접착성 겔에 관한 것이며,
상기 다층 자기-접착성 겔은 기판의 편평한 표면 상에 적용될 때, (A) 및 (B)가 함께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연속적이고 본질적으로 고른 표면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자기-접착성 겔의 용도는 변기, 싱크대, 세면대, 욕조, 샤워기의 세정 및/또는 소독 및/또는 탈취 및/또는 발향, 및 샤워기, 욕조 또는 세면대에서 샤워 겔 또는 샴푸의 전달을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겔을 방출하기 위해 제공된 제1 개구부, 및
피스톤을 보유하기 위해 제공된 제2 개구부
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자기-접착성 겔을 함유하는 하나의 수용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수용 챔버에서 이동될 수 있고 그에 의해 겔이 제1 개구부를 통해 밀어내어질 수 있고,
다층 자기-접착성 겔은 수용 챔버에서, 수용 챔버에 함유된 모든 자기-접착성 층의 일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접착성 층의 동일한 양이 제1 개구부를 통해 동시에 수용 챔버에서 나올 수 있도록 배열되는 것인,
바람직하게는 변기 세정 제품을 위한 적용기구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자기-접착성 겔을 수득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적용기구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적용기구의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 겔을 용융시키고, 제1 충전 단계에서 제1 개구부를 통해 수용 챔버 내에 충전하고, 후속적으로, 겔이 고형화되고 제1 자기-접착성 겔 층 (A)를 형성할 때까지 적용기구를 수평 위치로 두고 겔을 냉각되도록 하거나 능동적으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제2 겔을 용융시키고, 제2 충전 단계에서 제1 개구부를 통해 수용 챔버 내에 충전하고,
후속적으로, 겔이 고형화되고 제2 자기-접착성 겔 층 (B)를 형성할 때까지 겔을 냉각되도록 하거나 능동적으로 냉각시키고;
임의로, 이어서 제3 겔을 용융시키고, 제3 충전 단계에서 제1 개구부를 통해 수용 챔버 내에 충전하고, 단 제2 충전 단계의 냉각 단계에서 적용기구를 수평 위치로 두고;
단 피스톤이 충전 단계의 시작부터 수용 챔버에 존재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적용기구의 충전 방법.
제1 자기-접착성 겔 층 (A)를 형성하는 용융된 제1 겔, 및 제2 자기-접착성 겔 층 (B)를 형성하는 용융된 제2 겔 및 임의로 제3 자기-접착성 겔 층 (C)를 형성하는 용융된 제3 겔을 제2 개구부를 통해 겔 제공 장치의 노즐을 거쳐 수용 챔버 내에 동시에 충전하고; 여기서 수용 챔버 내에 충전되는 겔들의 혼합을 피하기 위해 노즐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분리 요소가 존재하고, 수용 챔버가 압력 보상을 위한 수단까지 충전될 때까지 적어도 하나의 분리 요소를 노즐과 함께 제2 개구부를 통해 수용 챔버로부터 철수시키는 것인, 본 발명에 따른 적용기구의 충전 방법.
수용 챔버를 수평 위치로 제공하는 단계;
제1 자기-접착성 겔 층 (A)를 형성하는 제1 겔을 그의 겔화점보다 적어도 60℃ 낮은 겔 온도를 갖는 수용 챔버 내로 펌프질하는 단계; 및
제2 자기-접착성 겔 층 (B)를 형성하는 용융된 제2 겔을 수용 챔버 내에 동시에 충전하는 단계이며, 여기서 제2 겔이 제1 겔과의 계면에서 응결되는 것인 단계
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적용기구의 충전 방법.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종속항에 제시한다.
오랫동안, 변기의 세정, 소독 및 발향에서 위생제가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3가지 유형의 변기 세정제가 존재하는데, 한 유형은 변기에서 사용될 때 행거를 필요로 하는 고형 블록 (관련 기술분야에서 림블록(rimblock)으로 언급됨)이다. 제2 유형은 변기에 넣는 전달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액체 세정제이고, 제3 유형은 겔 물질을 기재로 하고 종종 자기-접착성이며, 따라서 변기의 벽에 직접 놓일 수 있다. 최근에, 위생제가 완전히 용해된 후에 이것을 제거하기 위해 소비자가 변기에서 빈 행거를 만질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겔 기재 세정제가 더욱 더 인기를 끌고 경제적으로 중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자기-접착성 겔 및 적용기구가 일반적으로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EP 1 325 103 A 및 EP 1 086 199 A는 위생 물체에 직접 접착되는 특정한 위생제를 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응용은 단지 하나의 균일 조성물을 개시한다. WO2007008531 A는 유동성 접착성 물질의 조절된 용량을 표면에 적용하기 위한 특정한 장치를 개시하지만, 단지 한 종류의 균질 겔만이 장치에서 사용된다.
상이한 겔의 사용이 단일 겔에 의해서는 얻을 수 없는 전체 생성물의 특징을 보장할 수 있다면, 예를 들어 변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층 자기-접착성 겔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변기의 세정 및/또는 소독을 위해 하나의 겔이 사용되는 한편, 다른 겔이 공기에 영구적으로 발향할 수 있다. 또 다른 장점은, 예를 들어 2개의 목적 화합물이 하나의 조성물에 함유된다면 겔을 형성하지 않거나 또는 원하지 않는 방식으로 겔을 변경시키기 때문에 하나의 겔로 전달될 수 없는 2개의 목적 화합물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허문헌 WO2013020597 A는 동시에 2개의 겔을 변기 몸체에 제공할 수 있는 적용기구를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출원의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수득된 생성물은 다소 매력적이지 않은 외관을 갖는다. 또한, 2개의 별개의 챔버로 인하여, 이러한 적용기구의 사용자가 동일한 중량을 갖는 2개의 겔을 동시에 쉽게 적용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 결과, 최종 생성물의 원하지 않는 불균일한 자국이 얻어지고, 챔버 중의 하나가 조기에 마감되거나 챔버의 하나를 다시 밀어내야 한다는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가 얻어지며, 그 결과 변기 몸체에서 최종 생성물의 2개 겔의 상이한 형태가 얻어질 것이다. 이러한 세정 조성물의 추가의 단점은, 상이한 형태로 인한 상이한 표면적이 상이한 용해 속도를 유발한다는 것이다. 또한, 2개의 챔버로 인해, 거의 모든 경우에서 2개의 적용된 겔의 계면이 연속적이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몇 회의 플러시 후에도, 2개의 단일 겔 점이 변기에 남을 것이고, 이것은 시각적으로 매력적이지 않다. 또한, 2개의 피스톤 및 챔버가 필요하고 따라서 사용자는 적용을 편하지 않게 만드는 더 많은 힘을 필요로 한다. 추가로, 2개의 피스톤 등을 갖는 2개의 챔버 적용기구를 위해서 더 많은 원료 물질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적용기구는 더 많은 폐기물을 발생시킨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자기-접착성 겔 및 적용기구로 이러한 단점이 극복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용어 "겔"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으로 공지된 의미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면 "겔"은 극복되지 않은 중력 작용을 통해 25℃에서 적용 조건 하에 항복점을 갖고, 25℃에서 회전 유량계 (진동 측정, 1Hz, 평판-평판, 크로스-해치)를 통해 측정된 1%의 전단 변형에 의한 저장 모듈러스가 상응하는 손실 모듈러스보다 더 높은 값을 갖는 조성물을 가리킨다. 용어 "자기-접착성"은 행거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이들이 적용되는 위생 물체에 직접적으로 접착되는 조성물에 관련된다.
하기에서, 조성물의 화합물을 국제 명명법 화장품 성분 (INCI) 명명법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 Seventh Edition (1997) published by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CTFA), 1 101 17th Street, NW, Suite 300, Washington, DC 20036, USA]에 따라 명명할 수도 있다.
용어 "CAS"는 이후 일련 번호가 케미컬 앱스트랙트 서비스(Chemical Abstracts Service)의 표시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 표현 및 "적어도 하나"는 용어 "하나 이상"과 동일하고 서로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방산 및 지방 알콜 각각 또는 이들의 유도체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바람직하게는 6 내지 22개 탄소 원자,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개 탄소 원자,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8개 탄소 원자, 가장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6개 탄소 원자를 갖는 분지쇄 또는 비분지쇄 탄소 산 또는 알콜 각각 또는 이들의 유도체로서 간주된다. 지방산은 식물-유래이고 따라서 재생가능한 자원으로부터 유래되기 때문에 생태학적 관점으로부터 특히 바람직하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9개 탄소 원자, 더욱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9개 탄소 원자,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7개 탄소 원자, 가장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5개 탄소 원자를 갖는, 로엘렌(Roelen)의 옥소-합성에 따라 수득가능한 옥소-알콜 또는 그의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2종 이상의 겔이 그들의 조성 또는 특징, 예를 들어 상이한 용매, 접착 촉진제, 계면활성제, 향료, 첨가제 또는 단지 1개의 겔에서 계면활성제, 향료, 첨가제의 존재, 또는 상이한 색, 냄새, 점도, 하나 이상의 성분의 양, 용해도 속도, 용해 속도, 불투명성, 투과율, 발향 강도, 항미생물 강도, 또는 세정 강도에서 적어도 하나의 차이를 가져야 함을 의미하는 다층 겔에 관한 것이다. 상기 언급된 예는 단지 일례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어서는 안된다.
하기에서 "겔"이라고 또한 언급되는 겔 (A), (B) 및 임의로 (C)를 포함하는 다층 겔을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용매
하기에서 "용매"로서 또한 언급되는 본 발명에 따른 용매 (a1), (a2) 및 (a3)은 25℃에서 액체인 화합물이다. 바람직하게는, (a1) 및/또는 (a2) 및/또는 (a3)은 물; 글리콜 또는 그의 유도체, 예컨대 1,2-에틸렌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2-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n-부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폴리메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및 그의 유도체, 예컨대 글리세린 트리아세테이트, 디히드록시 화합물, 예컨대 1,3-디히드록시 프로판, 1,3-디히드록시 부탄, 1,4-디히드록시 부탄, 디히드록시 이소 부탄, 디히드록실 펜탄, 트리히드록시 헥산, 트리히드록시 헵탄; 알파-히드록시 산, 예컨대 락트산; 알콜, 예컨대 주쇄에 1 내지 10개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콜; 주쇄에 1 내지 10개 탄소 원자를 갖는 디올; 주쇄에 1 내지 10개 탄소 원자를 갖는 트리올; 및 폴리올, 예컨대 올리고당, 단당류, 이당류, 솔비톨, 펜타에리트리톨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이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각각의 겔 내의 용매는 각각 물이고,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용매는 각각 상기 언급된 용매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물 및 추가의 용매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용매는 각각의 겔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5 내지 7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wt%,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5 wt%으로 존재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물은 각각 5 내지 6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wt%,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wt%의 양으로 겔에 존재한다.
접착 촉진제
하기에서 또한 "접착 촉진제"로 언급된, 본 발명에서 적절한 접착 촉진제 (b1), (b2) 및 (b3)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1종의 접착 촉진제 (b1) 및/또는 (b2) 및/또는 (b3)은 지방 알콜 에톡실레이트,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의된 것과 같은 지방 알콜 에톡실레이트, 셀룰로스, 다당류 또는 그의 유도체, 올리고당 또는 그의 유도체, 단당류 또는 그의 유도체, 알기네이트, 디우레탄, 펙틴, 올레일 아민, 알킬 디메틸 아민 옥시드, 스테아레이트, 소듐 도데실벤젠 술포네이트, 젤라틴, 전분, 개질 전분, 한천, 아카시아 검, 캐럽 콩 가루, 올리고머 및 중합체,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적절한 단당류, 올리고당류 및 다당류 및 이들의 유도체는 예를 들어 WO2014180579 A에 개시되어 있다.
적절한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는 폴리이소부테닐 숙신산을 기재로 할 수 있고, EP WO 2014033259 A에 개시된 것이 또한 적절하다. 추가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각각의 겔은 WO 2014033259 A에 개시된 특정한 조성을 가질 수 있다.
적절한 올리고- 또는 중합체는 EP 1 318 191 A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올리고- 또는 폴리에틸렌 옥시드 및/또는 올리고-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옥시드 및/또는 올리고- 및/또는 폴리부틸렌 옥시드로부터 유래된 폴리아크릴레이트, 아크릴 공중합체 및 블록 공중합체를 또한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접착 촉진제는 지방 알콜 에톡실레이트, 폴리이소부테닐 숙신산을 기재로 한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 다당류 또는 그의 유도체, 올리고당류 또는 그의 유도체, 단당류 또는 그의 유도체 및 소듐 도데실 벤젠 술포네이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접착 촉진제는 각각의 겔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1 내지 6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wt%,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wt%로 존재한다.
계면활성제
이하에서 "계면활성제"라고 또한 언급되는 계면활성제 (c1), (c2) 및 (c3)은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쪽성 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각각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알콕실레이트, 예컨대 폴리글리콜 에테르, 지방 알콜 폴리글리콜 에테르, 알킬페놀 폴리글리콜 에테르, 말단-캡형성 폴리글리콜 에테르, 혼합된 에테르 및 히드록시 혼합된 에테르, 및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에틸렌 옥시드/프로필렌 옥시드 블록 중합체,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및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테르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될 수도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또 다른 중요한 부류는 폴리올 계면활성제, 특히 글리콜 계면활성제, 예컨대 알킬 폴리글리코시드 및 지방산 글루카미드이다. 알킬 폴리글리코시드, 특히 알킬 폴리글루코시드 뿐만 아니라 특히 지방 알콜 알콕실레이트 (지방 알콜 폴리글리콜 에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되는 바람직한 지방 알콜 알콕실레이트는 30 이하의 알콕실화도를 갖는 에틸렌 옥시드 (EO) 및/또는 프로필렌 옥시드 (PO)로 알콕실화된 비분지화 또는 분지화, 포화 또는 불포화 C8-C22 알콜, 바람직하게는 30 미만,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8, 특히 20 내지 28, 특히 바람직하게는 25의 에톡실화도를 갖는 에톡실화 C12-22 지방 알콜, 예를 들어 25 EO를 함유한 C16-18 지방 알콜 에톡실레이트이다.
알킬 폴리글리코시드는 제조 유기 화학의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당 및 알콜의 반응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계면활성제이고, 이에 의해 제조 방법에 따르면, 모노알킬화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 당의 혼합물이 수득된다. 바람직한 알킬 폴리글리코시드는 알킬 폴리글루코시드이고, 여기서 알콜이 특히 바람직하게는 분지쇄 또는 비분지쇄 C8 내지 C18 알킬 사슬을 갖는 장쇄 지방 알콜 또는 장쇄 지방 알콜들의 혼합물이며, 당의 올리고머화 도 (DP)는 1 내지 10, 유리하게는 1 내지 6, 특히 1.1 내지 3, 가장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7, 예를 들어 C8-10 알킬-1.5-글루코시드 (1.5의 DP)이다.
아민 옥시드 유형, 예를 들어 N-코코알킬-N,N-디메틸아민 옥시드 및 N-수지-알킬-N,N-디히드록시에틸아민 옥시드, 및 지방산 알칸올아민 유형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또한 적절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하기에서 정의된 에톡실화 지방 알콜의 양보다 많지 않고, 특히 그의 절반보다 많지 않다.
지방 알콜 에톡실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겔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30 wt%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5 wt%의 양으로 사용된다. 추가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컨대 지방산 모노알칸올아미드 및/또는 알킬 폴리글리코시드가 10 wt% 이하의 양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지방족 술페이트, 예컨대 지방 알콜 술페이트, 지방 알콜 술포네이트, 지방 알콜 에테르 술페이트, 디알킬 에테르 술페이트, 모노글리세리드 술페이트, 및 지방족 술포네이트, 예컨대 알칸 술포네이트, 에테르 술포네이트, n-알킬 에테르 술포네이트, 에스테르 술포네이트, 알킬 벤젠 술포네이트 및 리그닌 술포네이트이다. 지방산 시안아미드, 술포숙시네이트, 특히 숙신산의 C8 내지 C18 알킬 모노 및 디에스테르, 술포숙신아메이트, 술포숙신아미드, 술포에스톨리드, 지방산 이세티오네이트, 아실아미노알칸 술포네이트 (지방산 타우라이드), 지방산 사르코시네이트, 에테르 카르복실산 및 알킬(에테르)포스페이트 뿐만 아니라 알파-술포지방산 염, 아실글루타메이트, 모노글리세리드 디술페이트 및 글리세린 디술페이트의 알킬 에테르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내용에서 사용될 수 있다.
지방 알콜 술페이트 및/또는 지방 알콜 에테르 술페이트, 특히 지방 알콜 술페이트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지방 알콜 술페이트는 해당하는 알콜 상에서 술페이트화 반응으로부터의 생성물인 한편, 지방 알콜 에테르 술페이트는 알콕실화 알콜 상에서 술페이트화 반응의 생성물이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알콕실화 알콜은 일반적으로 알킬렌 옥시드,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옥시드와 알콜, 바람직하게는 장쇄 알콜의 반응 생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된다. 일반적으로, n 몰의 에틸렌 옥시드가 1 몰의 알콜과 반응하여 반응 조건에 의존하여 상이한 에톡실화도를 갖는 첨가 생성물의 착물 혼합물을 형성한다. 알콕실화의 또 다른 실시양태는 알킬렌 옥시드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옥시드와 프로필렌 옥시드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지방 알콜 에테르 술페이트는 1 내지 4 에틸렌 옥시드 단위 (EO), 특히 1 내지 2 EO, 예를 들어 1.3 EO를 갖는 저-에톡실화 지방 알콜의 술페이트이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그의 소듐 염으로서 바람직하게 첨가되지만, 다른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마그네슘 염 뿐만 아니라 암모늄 또는 모노-, 디-, 트리- 또는 테트라알킬암모늄 염을 포함한다. 술포네이트의 경우에, 산 형태, 예를 들어 도데실벤젠 술폰산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미 언급된 계면활성제 유형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겔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적절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화학식 (RIII)(RIV)(RV)N+CH2COO- (식 중, RIII은 헤테로원자 또는 헤테로원자기가 임의로 개재된 8 내지 25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1개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기를 나타내고, RIV 및 RV는 1 내지 3개 탄소 원자를 갖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알킬 기를 나타낸다)의 베타인을 포함한다. 화학식에 상응하는 이러한 물질은 예를 들어 C10 내지 C18 알킬 디메틸 카르복시메틸 베타인 및 C11 내지 C17 알킬아미도프로필 디메틸카르복시메틸 베타인을 포함한다.
적절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특히 화학식 (RVI)(RVII)(RVIII)(RIX)N+X- (식 중, RVI 내지 RIX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개 탄소 원자를 갖는, 4개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유형, 특히 2개의 장쇄 및 2개의 단쇄 알킬 기를 나타내고, X-는 음이온, 특히 할라이드 이온을 나타낸다)의 4급 암모늄 화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에 상응하는 이러한 물질은 예를 들어 디데실-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알킬-벤질-디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계면활성제는 각각 비이온성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계면활성제는 각각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가장 바람직하게는 지방 알콜 에톡실레이트 및 알킬 폴리글리코시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계면활성제는 각각의 겔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1 내지 6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wt%,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wt%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겔은 관련 기술분야에서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적어도 1종의 향료를 임의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단지 하나의 겔이 적어도 1종의 향료를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2개의 겔이 적어도 1종의 향료를 포함한다.
적어도 1종의 향료는 각각의 겔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8 wt%, 특히 0.005 내지 5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5 wt%의 양으로 혼입된다.
형성된 제품의 미적 외관을 개선하고 제품의 성능 뿐만 아니라 감각적인 "전형적이고 틀림없는"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향료를 첨가한다. 향료가 향료 오일 및/또는 방향을 포함하기 때문에, 개개의 취기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의 예는 에스테르, 에테르, 알데히드, 케톤, 알콜 및 탄화수소 유형의 합성 생성물이다. 에스테르 유형의 취기제 화합물은 예를 들어 벤질 아세테이트, 페녹시에틸 이소부티레이트, p-tert-부틸시클로헥실 아세테이트, 리날릴 아세테이트, 디메틸벤질카르비닐 아세테이트, 페닐에틸 아세테이트, 리날릴 벤조에이트, 벤질 포르메이트, 에틸 메틸페닐글리시네이트, 알릴 시클로헥실프로피오네이트, 스티르알릴 프로피오네이트 및 벤질 살리실레이트이다. 에테르는 예를 들어 벤질 에틸 에테르를 포함하고; 알데히드는 예를 들어 8 내지 18개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알카날, 시트랄, 시트로넬랄, 시트로넬릴옥시-아세트알데히드, 시클라멘 알데히드, 히드록시시트로넬랄, 릴리알 및 보르게오날을 포함하고; 케톤은 예를 들어 이오논, [알파]-이소메틸리오논 및 메틸 세드릴 케톤을 포함하고; 알콜은 아네톨, 시트로넬롤, 유게놀, 게라니올, 리날룰, 페닐에틸 알콜 및 테르피네올을 포함하고; 탄화수소는 주로 테르펜, 예컨대 리모넨 및 피넨을 포함한다. 그러나, 매력적인 방향 특징을 함께 생성하는 상이한 취기제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향료 오일은 식물성 원료로부터 수득될 수 있는 천연 취기제 혼합물을 또한 함유할 수도 있고, 그의 예는 소나무 오일, 감귤 오일, 자스민 오일, 패출리 오일, 장미 오일 또는 일랑-일랑 오일이다. 마찬가지로, 머스커텔, 클라리 세이지 오일, 카모마일 오일, 클로브 오일, 박하 오일, 민트 오일, 신나몬잎 오일, 라임 블러섬 오일, 주니퍼베리 오일, 베티버 오일, 유향 오일, 풍자향 오일 및 랍다넘 오일, 및 또한 오렌지 블러섬 오일, 네롤리올, 오렌지껍질 오일 및 백단향 오일이 적절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겔은 관련 기술분야에서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적어도 1종의 첨가제를 임의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충전제, 빌더, 증점제, 금속 비누, 산, 염기, 염, 증점제, 항미생물제, 보존제, 금속이온봉쇄제, 착색제, 발향제, 향료 증진제, 충전제, 표백제, 부식 억제제, 플러시 조절제, 효소, 미생물, 생물막 제거를 위한 활성 물질, 석회-자국 억제제, 오물-접착 억제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전체적으로, 각각의 겔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60 wt%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60 wt%, 특히 0.2 내지 15 wt%의 첨가제가 각각의 겔에 포함되어야 한다.
사용될 수 있는 일례의 증점제는 무기 증점제 (예컨대 폴리규산, 점토 광물, 예컨대 몬모릴로나이트, 제올라이트, 실리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겔은 석회 자국 및 뇨 자국에 대한 세정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산 및/또는 그의 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유기 산, 예컨대 포름산, 아세트산, 시트르산, 글리콜산, 락트산, 숙신산, 아디프산, 말산, 타르타르산 및 글루콘산 뿐만 아니라 이들의 혼합물이 본 발명을 위한 산으로서 특히 적절하다. 추가로, 무기산 염산, 황산, 인산 및 질산 또는 심지어 아미도 술폰산 또는 그의 혼합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산 및/또는 그의 염은 시트르산 및 락트산, 이들의 임의의 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이들은 각각의 겔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10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 wt%의 양으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겔은 무기 염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 특히 카르보네이트, 술페이트, 할라이드, 포스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황산나트륨 및/또는 탄산나트륨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염기
추가로, 다양한 알칼리가 본 발명에 따른 겔에 포함될 수도 있다.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 히드록시드 및 카르보네이트, 특히 탄산나트륨 또는 수산화나트륨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알칼리 물질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염기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추가로 암모니아 및/또는 분자에 9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칸올아민,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아민, 특히 모노에탄올아민이 사용될 수 있다.
항미생물제
소독 및 위생은 세정의 특별한 측면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겔은 각각의 겔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wt%, 유리하게는 0.02 내지 1 wt%, 특히 0.05 내지 0.5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 wt%, 가장 바람직하게는 0.2 wt%의 양으로 하나 이상의 항미생물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용어 소독, 위생, 항미생물 작용 및 항미생물제는 일상적인 기술적 의미를 갖는다. 의료 행위의 엄격한 의미에서의 소독은 감염성 병원균을 -이론적으로 전부- 사멸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한편, 위생에서는 모든 -심지어 인간에게 보통 해롭지 않은 부패 영양성 병원균을 가능한 최대로 제거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여기서, 소독 또는 위생의 정도는 사용되는 조성물의 항미생물 작용에 의존되며, 항미생물제의 함량이 감소하거나 사용된 조성물의 희석도가 증가함에 따라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 적절한 일례의 항미생물제는 알콜, 아민, 알데히드, 항미생물 산 및 그의 염,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산 아미드, 페놀, 페놀 유도체, 디페닐, 디페닐알칸, 우레아 유도체, 산소 및 질소 아세탈 및 포르말, 벤즈아미딘, 이소티아졸린, 프탈이미드 유도체, 피리딘 유도체, 항미생물 표면-활성 화합물, 구아니딘, 항미생물 양쪽성 화합물, 퀴놀린, 1,2-디브로모-2,4-디시아노부탄, 아이오도-2-프로피닐 부틸 카르바메이트, 아이오딘, 아이오도포르(iodophore), 활성 염소를 분열시키는 화합물, 퍼옥시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바람직한 항미생물제는 에탄올, n-프로판올, i-프로판올, 1,3-부탄디올, 페녹시에탄올, 1,2-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운데실렌산, 시트르산, 락트산, 벤조산, 살리실산, 티몰, 2-벤질-4-클로로페놀, 2,2'-메틸렌-비스-(6-브로모-4-클로로페놀),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디페닐 에테르, N-(4-클로로페닐)-N-(3,4-디클로로페닐)우레아, N,N'-(1,10-데칸디일디-1-피리디닐-4-일리덴)비스-(1-옥탄아민)디히드로클로라이드, N,N'-비스-(4-클로로페닐)-3,12-디이미노-2,4,11,13-테트라아자테트라데칸디이미다미드, 항미생물 4급 표면 활성 화합물, 구아니딘 및 소듐 디클로로이소시아누레이트 (DCI, 1,3-디클로로-5H-1,3,5-트리아진-2,4,6-트리온 소듐 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바람직한 항미생물 활성 표면 활성 4급 화합물은 암모늄, 술포늄, 포스포늄, 아이오도늄 또는 아르소늄 기를 포함한다. 또한, 향료 장점을 동시에 제공하는 항미생물적 활성 에테르성 오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항미생물제는 살리실산, 4급 계면활성제, 특히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퍼옥시 화합물, 특히 과산화수소, 알칼리 금속 하이포클로라이트, 소듐 디클로로이소시아누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정의된 것과 같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본 발명의 겔에 존재해야 하는 경우에, 임의로 추가로 함유된 항미생물제는 이러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상이하다.
보존제
본 발명에 따른 겔에 보존제가 또한 혼입될 수도 있다. 본질적으로, 항미생물제로서 상기 언급된 물질은 또한 보존제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킬레이트화제
금속이온 봉쇄제로서 또한 공지된 INCI 용어 킬레이트화제는 안정성 또는 약제의 외관, 예를 들어 혼탁도에 대한 유해한 작용을 막기 위하여 금속 이온을 착화 및 불활성화할 수 있는 성분이다. 칼슘 및 마그네슘 이온이 다수의 성분과 비친화성이기 때문에, 이러한 이온을 경수에서 착물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철 또는 구리와 같은 중금속의 이온의 착물화는 최종 조성물의 산화적 분해를 또한 지연시킨다. 추가로, 킬레이트화제가 세정 작용을 뒷받침한다.
INCI에 따라 명명된 하기 일례의 킬레이트화제가 적절하다: 아미노트리메틸렌 포스폰산, 베타-알라닌 디아세트산, 칼슘 디소듐 EDTA, 시트르산, 시클로덱스트린, 시클로헥산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디암모늄 시트레이트, 디암모늄 EDTA, 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메틸렌 포스폰산, 디포타슘 EDTA, 디소듐 아자시클로헵탄 디포스포네이트, 디소듐 EDTA, 디소듐 피로포스페이트, EDTA, 에티드론산, 갈락타르산, 글루콘산, 글루쿠론산, HEDTA, 히드록시프로필 시클로덱스트린, 메틸 시클로덱스트린, 펜타포타슘 트리포스페이트, 펜타소듐 아미노트리메틸렌 포스포네이트, 펜타소듐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 포스포네이트, 펜타소듐 펜테테이트, 펜타소듐 트리포스페이트, 펜테트산, 피트산, 포타슘 시트레이트, 포타슘 EDTMP, 포타슘 글루코네이트, 포타슘 폴리포스페이트, 포타슘 트리포스포노메틸아민 옥시드, 리본산, 소듐 키토산 메틸렌 포스포네이트, 소듐 시트레이트, 소듐 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메틸렌 포스포네이트, 소듐 디히드록시에틸글리시네이트, 소듐 EDTMP, 소듐 글루셉테이트, 소듐 글루코네이트, 소듐 글리세레트-1- 폴리포스페이트, 소듐 헥사메타포스페이트, 소듐 메타포스페이트, 소듐 메타실리케이트, 소듐 피테이트, 소듐 폴리디메틸글리시노페놀술포네이트, 소듐 트리메타포스페이트, TEA-EDTA, TEA-폴리포스페이트, 테트라히드록시에틸 에틸렌디아민, 테트라히드록시프로필 에틸렌디아민, 테트라포타슘 에티드로네이트, 테트라포타슘 피로포스페이트, 테트라소듐 EDTA, 테트라소듐 에티드로네이트, 테트라소듐 피로포스페이트, 트리포타슘 EDTA, 트리소듐 디카르복시메틸 알라니네이트, 트리소듐 EDTA, 트리소듐 HEDTA, 트리소듐 NTA 및 트리소듐 포스페이트.
착색제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세정제 블록은 추가의 성분으로서 하나 이상의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뿐만 아니라 지용성 착색제 양쪽 모두가 착색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착색제의 선택에서, 존재하는 다른 성분, 예를 들어 표백제와의 상용성을 주의해야 하고, 첨가된 착색제가 장기간의 작용 후에도 변기 도기를 실질적으로 오염시키지 않도록 보장해야 한다. 착색제는 각각의 겔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01 내지 0.1 wt%, 특히 0.0005 내지 0.05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01 wt%의 양으로 바람직하게 혼입된다.
빌더
본 발명에 따른 겔에서 수용성 및/또는 수-불용성 빌더가 임의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성 빌더는 경질 표면 상에 불용성 잔류물을 남기는 경향이 일반적으로 적기 때문에 수용성 빌더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존재할 수도 있는 종래의 빌더는 저 분자량 폴리카르복실산 및 그의 염,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폴리카르복실산 및 그의 염, 시트르산 및 그의 염, 카르보네이트, 포스페이트 및 실리케이트를 포함한다. 수-불용성 빌더는 제올라이트를 포함하고, 이것 뿐만 아니라 상기 기재된 빌더 물질의 혼합물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표백제
본 발명의 겔에 표백제가 또한 포함될 수도 있다. 적절한 표백제는 퍼옥시드, 과산 및/또는 퍼보레이트를 포함한다. 과산화수소가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하다. 반대로, 소듐 하이포클로라이트는 독성 염소 가스 증기의 방출로 인하여 산성 세정제에서 덜 적절하지만, 알칼리성 pH로 조절된 세정제에서 사용될 수 있다. 특정한 상황에서, 표백제에 추가로 표백 활성화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부식 억제제
적절한 부식 억제제는 예를 들어 INCI에 따라 명명된 하기 물질을 포함한다: 시클로헥실아민, 디암모늄 포스페이트, 디리튬 옥살레이트, 디메틸아미노 메틸프로판올, 디포타슘 옥살레이트, 디포타슘 포스페이트, 디소듐 포스페이트, 디소듐 피로포스페이트, 디소듐 테트라프로페닐 숙시네이트, 헥스옥시에틸 디에틸암모늄, 포스페이트, 니트로메탄, 포타슘 실리케이트, 소듐 알루미네이트, 소듐 헥사메타포스페이트, 소듐 메타실리케이트, 소듐 몰리브데이트, 소듐 니트레이트, 소듐 옥살레이트, 소듐 실리케이트,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 디메티콘, 테트라포타슘 피로포스페이트, 테트라소듐 피로포스페이트,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플러시 조절제
플러시 조절제로서 명명된 물질은 의도된 수명을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사용 동안에 약제의 소모를 조절하는 역할을 주로 한다. 고체 장쇄 지방산, 예컨대 스테아르산이 바람직한 조절제이다. 또한, 지방산 에탄올아미드, 예컨대 코코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또는 고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예컨대 폴리스티렌 표준을 사용하는 GPC를 통해 결정되는 10,000 내지 50,000 g/mol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이 적절한 플러시 조절제이다. 겔에 존재한다면, 플러시 조절제는 계면활성제와 상이하다.
효소
겔은 또한 효소, 예를 들어 프로테아제, 포스파타제, 리파제, 아밀라제, 히드롤라제 및/또는 셀룰라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선행 기술에 따라 설정된 각각의 형태로 각각의 겔에 효소를 첨가할 수 있다. 이들은 무수 및/또는 첨가된 안정화제와 함께 유리하게는 가능한 한 농축된 효소의 용액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효소를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천연 중합체와 함께 분무 건조 또는 효소 용액의 압출에 의해, 또는 캡슐, 예를 들어 효소가 고형화 겔에 매립된 캡슐의 형태, 또는 효소-함유 코어가 물-, 공기- 및/또는 화합물-비침투성 보호 층으로 코팅된 코어-쉘 유형의 형태로 캡슐화할 수 있다. 추가의 활성 요소, 예를 들어 안정화제, 유화제, 안료, 표백제 또는 착색제가 추가의 층에 적용될 수 있다.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진동 과립화 또는 롤 압축에 의해 또는 유동층 공정에 의해 이러한 캡슐을 제조한다.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코팅된 중합성 필름 형성제를 갖는 이러한 유형의 과립은 먼지-비함유이고 코팅의 결과로서 저장 안정성이다.
추가로, 예를 들어 물리적 효과, 산화 또는 단백질분해 절단에 의한 예를 들어 불활성화, 변성 또는 분해와 같은 손상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약제에 포함된 효소를 보호하기 위하여 효소 안정화제가 효소-함유 약제에 존재할 수 있다. 각각 사용된 효소에 의존하여, 효소 안정화제로서 다음이 적절하다: 벤즈아미딘 히드로클로라이드, 보랙스, 붕산, 보론산(boronic acid) 또는 이들의 염 또는 에스테르, 주로 방향족 기를 함유한 유도체, 예를 들어 치환된 페닐보론산 또는 그의 염 또는에스테르; 펩티드 알데히드 (환원된 C-말단을 갖는 올리고펩티드), 아미노 알콜, 예컨대 모노-, 디-, 트리에탄올아민 및 모노-, 디-, 트리프로판올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 C12 이하의 지방족 카르복실산, 예컨대 숙신산, 기타 디카르복실산 또는 언급된 산의 염, 말단 차단된 지방산 아미드 알콕실레이트; 지방족 저급 알콜 및 주로 폴리올, 예를 들어 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솔비톨, 뿐만 아니라 환원제 및 항산화제, 예컨대 아황산나트륨 및 환원 당. 추가의 적절한 안정화제는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안정화제 조합의 사용, 예를 들어 폴리올, 붕산 및/또는 보랙스의 조합, 붕산 또는 보레이트, 환원 염 및 숙신산 또는 기타 디카르복실산의 조합, 또는 붕산 또는 보레이트와 폴리올 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 및 환원 염의 조합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겔은 적어도 15,000 mPas,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000 mPas,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000 mPas,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0,000 mPas의 점도를 갖는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한선은 기껏해야 25,000,000 mPas, 바람직하게는 기껏해야 10,000,000 mPas,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기껏해야 1,000,000 mPas, 가장 바람직하게는 기껏해야 300,000 mPas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인접한 겔, 즉 자기-접착성 겔 층은 그들의 점도에서 0.1 내지 100,00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00 mPas,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0 mPas만큼 상이하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점도 (레오미터로 측정됨: 20℃에서 AR G2 (2 cm 펠레티어(Peletier) 평판 및 300 ㎛의 틈 간격))는 50,000 mPas 내지 1,200,000 mPas, 바람직하게는 80,000 mPas 내지 1,100,000 mPas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겔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레오미터 텍스쳐 분석기 디스커버리(Texture Analyzer Discovery) HR-2, 원추형-평판 유형, 원추 직경 40 mm, 각 1°; 20℃에서 10 1/sec의 전단 속도; 또는 20℃에서 레오미터:AR G2 (2 cm 펠레티어 평판 및 300 ㎛의 틈 간격)로 측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겔은 0.9E+02 내지 1.8E+05 Pa, 바람직하게는 1.0E+02 내지 1.6E+05 Pa의 저장 모듈러스 G' (진동 측정, 바람직하게는 레오미터: 키네서스 울트라(Kinexus Ultra)+, 2cm 펠레티어 평판, 300 ㎛의 틈 간격으로 20℃, 1Hz, 0.1% 응력 변형에서 측정됨)를 갖는다.
다층 겔이 이것이 적용된 기판의 편평한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연속적이고 본질적으로 고른 표면을 갖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하기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다층 자기-접착성 겔을 고른 스테인레스 강철 판 또는 세라믹 타일에 적용한다. 이어서, 상이한 겔 사이에서 틈이 관찰되지 않는다면 겔을 시각적으로 검사한다. 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겔이 연속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후속적으로, 겔을 액체 질소로 동결시키고, 경계의 폭 및 길이를 측정하고, 각각의 측면에서 20% (+/-0.5%)가 돌출되도록 각각의 가장자리의 길이 및 폭의 140%를 갖는 경질의 고른 플라스틱 시트 (약 1 내지 3 mm의 두께를 가짐)를 겔 위에 놓는다. 샘플 크기는 기껏해야 8 cm 폭 및 10 cm 길이를 가져야 한다. 예를 들어, 2 cm의 폭 및 4 cm의 길이를 갖는 겔을 측정할 때, 2.8 cm 및 5.6 cm를 갖는 플라스틱 판이 사용된다. 플라스틱 판은 모든 측면에서 폭에서 0.4 cm 만큼 그리고 길이에서 0.8 cm 만큼 돌출될 것이다. 이어서, 각각의 4개 측면의 중간 및 가장 바깥 위치에서, 예를 들어 슬라이딩 캘리퍼로 플라스틱 판의 돌출된 아래 표면과 스테인레스 강철 판 또는 세라믹 타일 사이의 수직 거리를 측정한다. 폭 및 길이에 대해 2개의 측정된 값을 각각 비교하고 길이 및 폭의 편차가 20% 이내, 바람직하게는 15%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내인 경우에, 표면은 본질적으로 고른 것으로 간주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다층 자기-접착성 겔의 4 내지 8 g의 양을 적용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적용기구는 각각 4 내지 8 g을 갖는 다층 자기-접착성 겔의 1 내지 5회 분량을 포함할 수 있다. 변기에 적용 후의 겔은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회 플러시 후에 완벽히 용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겔은 관련 기술분야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제조된다. 예를 들어, EP 1 325 103A, EP 1 086 199 및 WO 2014033259A에 개시된다.
(A) 및 (B) 및 임의로 (C)의 일례의 조합을 하기 표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적용기구
추가로, 다층 자기-접착성 겔, 특히 변기 세정 제품을 위한 적용기구가 본원에 제공된다.
적용기구는
겔을 방출하기 위해 제공된 제1 개구부, 및
피스톤을 보유하기 위해 제공된 제2 개구부
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자기-접착성 겔을 함유하는 하나의 수용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수용 챔버에서 이동될 수 있고 그에 의해 겔이 제1 개구부를 통해 밀어내어질 수 있고,
다층 자기-접착성 겔은 수용 챔버에서, 수용 챔버에 함유된 모든 자기-접착성 층의 일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접착성 층의 동일한 양이 제1 개구부를 통해 동시에 수용 챔버에서 나올 수 있도록 배열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적용기구의 제1 개구부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 가장자리를 갖고,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제1 개구부는 정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적용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수용 공간의 제1 개구부 주위에서, 특히 다층 자기-접착성 겔이 적용되어질 도기 변기 표면 상으로 적용기구를 압착할 때, 제1 개구부와 표면 사이에 틈 A가 형성되고 다층 자기-접착성 겔이 방출 시에 스페이서 요소 주위에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의 스페이서 요소가 배열된다.
제제(들)가 스페이서 요소 주위에서 상응하는 방식으로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스페이서 요소의 수 및 배열은 적용되는 다층 자기-접착성 겔을 원하는 대로 형상화할 수 있다. 적용기구와 적용 표면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설계에서의 작은 접촉 표면이 적용 과정 동안에 적용기구 또는 다층 자기-접착성 겔의 피할 수 없는 오염 (박테리아, 미생물)을 최소화한다.
수용 공간의 제1 개구부와 제1 개구부 주위에 적용 및 스페이서의 배열을 위한 표면 사이에서 틈 A의 발생은, 표면과 생성물의 접촉 면적이 제1 개구부로부터의 생성물 배출 면적보다 크도록 보장한다. 관련 표면으로부터 적용기구를 철수할 때 얻어지는 상이한 수준의 접착력은 다층 자기-접착성 겔이 적용기구로부터 쉽고 깨끗하게 벗겨지도록 보장한다.
겔-형태 제제가 스페이서 요소 주위를 유동할 수 있는 것에 기인하여, 겔-형태 제제의 적용 시에 스페이서 요소가 단지 그 위치에서만 그의 유동을 한정하기 때문에, 상황에 적절한 분배가 또한 가능해지고, 그 결과 예를 들어 변기 몸체 내에서 다층 자기-접착성 겔의 원하는 세정 성능에 의존하여 사용자가 겔-형태 제제의 더 많거나 더 작은 양을 분배할 수 있다.
제제가 그 주위에 유동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요소를 사용하면 1배 분배 양과는 상이한 분배 양, 특히 2배 분배 양을 변기 몸체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페이서 요소 주위의 유동이 단지 2배 분배 양으로부터 발생하는 방식으로 적용기구를 설계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고, 그 결과 사용자가 분배 양의 1배, 2배 또는 다수 배가 방출되었는지의 여부를 적용된 겔 바디의 기하구조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추가로, 적용기구의 이러한 설계에서, 적용된 겔이 스페이서 요소 주위를 유동하고 따라서 적용기구 외형의 돌출부로부터 나오기 시작할 때 사용자가 적용 과정 동안에 다수의 분배를 검출하는 것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사출 금형으로부터의 양호한 이형가능성 및 적용 과정 동안에 제제에 의해 습윤가능한 최소의 표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스페이서 요소가 막대-형태, 특히 원통형 구조인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막대-형태 스페이서 요소의 단면은 예를 들어 정사각형, 직사각형, 계란형, 삼각형, 십자가-형 또는 별-형일 수도 있다.
실시양태에서, 양호한 제품 벗겨짐 및 표면에 대한 제제의 만족스런 접착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다층 자기-접착성 겔이 적용되어지는 표면 상에 적용기구를 압착할 때 수용 공간의 제1 개구부와 관련 표면 사이에 약 0.5 mm 내지 약 30 mm, 바람직하게는 약 2 mm 내지 약 10 mm의 틈이 형성되도록 스페이서 요소가 설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적용기구에 형태-적합하게 및/또는 마찰에 의해 떼어낼 수 있게 또는 떼어낼 수 없게 고정될 수 있는 어댑터 상에 스페이서 요소가 배열된다. 이것은 상이하게 배치된 스페이서 요소를 제공할 수 있고, 이는 각각의 경우에 다층 자기-접착성 겔이 적용되어지는 표면 상에서 이들의 상이한 형태화를 가능하게 하고, 그 결과 사용자가 예를 들어 바람직한 형태를 선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용기구는 다층 자기-접착성 겔을 표면 상에 적용하기에 적절하다. 특히, 적용기구는 도기 변기 표면에 변기 세정 제제를 적용하기에 적절하다. 추가로, 예를 들어 텍스타일 세정제 및/또는 세정 보조제와 같은 다층 자기-접착성 겔 제제를 표면, 예를 들어 세척기 문 내부 또는 세척기의 분배 서랍의 분배 구획에 적용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적용기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추가로, 식기 세척기 문 내부에, 식기 세척기의 분배 챔버 내에, 또는 기타에 식기 세척 제제를 본 발명에 따른 적용기구에 의해 적용하는 것도 실행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적용기구를 하기 방법으로 충전할 수 있다:
제1 겔을 용융시키고, 제1 충전 단계에서 제1 개구부를 통해 수용 챔버 내에 충전하고, 후속적으로, 겔이 고형화되고 제1 자기-접착성 겔 층 (A)를 형성할 때까지 적용기구를 수평 위치로 두고 겔을 냉각되도록 하거나 능동적으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제2 겔을 용융시키고, 제2 충전 단계에서 제1 개구부를 통해 수용 챔버 내에 충전하고,
후속적으로, 겔이 고형화되고 제2 자기-접착성 겔 층 (B)를 형성할 때까지 겔을 냉각되도록 하거나 능동적으로 냉각시키고;
임의로, 이어서 제3 겔을 용융시키고, 제3 충전 단계에서 제1 개구부를 통해 수용 챔버 내에 충전하고, 단 제2 충전 단계의 냉각 단계에서 적용기구를 수평 위치로 두고;
단 피스톤이 충전 단계의 시작부터 수용 챔버에 존재하는 것인,
본 발명에 따른 적용기구의 제1 충전 방법.
제1 자기-접착성 겔 층 (A)를 형성하는 용융된 제1 겔, 및 제2 자기-접착성 겔 층 (B)를 형성하는 용융된 제2 겔 및 임의로 제3 자기-접착성 겔 층 (C)를 형성하는 용융된 제3 겔을 제2 개구부를 통해 겔 제공 장치의 노즐을 거쳐 수용 챔버 내에 동시에 충전하고; 여기서 수용 챔버 내에 충전되는 겔들의 혼합을 피하기 위해 노즐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분리 요소가 존재하고, 수용 챔버가 압력 보상을 위한 수단까지 충전될 때까지 적어도 하나의 분리 요소를 노즐과 함께 제2 개구부를 통해 수용 챔버로부터 철수시키는 것인,
본 발명에 따른 적용기구의 제2 충전 방법.
수용 챔버를 수평 위치로 제공하는 단계;
제1 자기-접착성 겔 층 (A)를 형성하는 제1 겔을 그의 겔화점보다 적어도 60℃ 낮은 겔 온도를 갖는 수용 챔버 내로 펌프질하는 단계; 및
제2 자기-접착성 겔 층 (B)를 형성하는 용융된 제2 겔을 수용 챔버 내에 동시에 충전하는 단계이며, 여기서 제2 겔이 제1 겔과의 계면에서 응결되는 것인 단계
를 포함하는, 제10항 또는 제11항에 따른 적용기구를 충전하는 제3 방법.
제3 방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이축 압출기 또는 모노 펌프(progressive cavity pump)와 같은 포지티브 배수 펌프를 사용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포지티브 배수 펌프는 예를 들어, 보관 용기 및 가열 요소를 통해 원하는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실시예
하기 제형에서 양은 wt%를 가리킨다.
제제(F) 1 내지 4
Figure pct00002
호스타퍼(Hostapur) SAS 60은 클라리언트(Clariant)로부터의 2차 C13-17-알칸 술포네이트이다.
제제 5 및 6
Figure pct00003
제제 1 내지 6을 각각 본 발명의 제1 및 제2 방법에 따라 적용기구에 충전하였다. 후속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자기-접착성 겔을 변기에 적용하였다. 얻어진 겔은 고른 용해를 나타내었고, 약 120회 플러시 후에 완전히 용해되었다.

Claims (14)

  1. i) 적어도 1종의 용매 (a1);
    (a1)과 상이한 적어도 1종의 접착 촉진제 (b1); 및
    (a1) 및 (b1)과 상이한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 (c1)
    을 포함하는 제1 자기-접착성 겔 층 (A),
    ii) 제1 자기-접착성 겔 층 (A)와 상이하며,
    적어도 1종의 용매 (a2); 및
    (a2)와 상이한 적어도 1종의 접착 촉진제 (b2); 및 바람직하게는
    (a2) 및 (b2)와 상이한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 (c2)
    를 포함하는 제2 자기-접착성 겔 층 (B)
    를 포함하는, 세정 및/또는 소독 및/또는 탈취 및/또는 발향을 위한 다층 자기-접착성 겔이며,
    상기 다층 자기-접착성 겔은 기판의 편평한 표면 상에 적용될 때, (A) 및 (B)가 함께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연속적이고 본질적으로 고른 표면을 갖는 것인
    다층 자기-접착성 겔.
  2. 제1항에 있어서,
    iii) 제1 자기-접착성 겔 층 (A) 및 제2 자기-접착성 겔 층 (B)와 상이하며,
    적어도 1종의 용매 (a3); 및
    (a3)과 상이한 적어도 1종의 접착 촉진제 (b3); 및 바람직하게는
    (a3) 및 (b3)과 상이한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 (c3)
    을 포함하는 제3 자기-접착성 겔 층 (C)
    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다층 자기-접착성 겔은 기판의 편평한 표면 상에 적용될 때, (A), (B) 및 (C)가 함께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연속적이고 본질적으로 고른 표면을 갖는 것인
    다층 자기-접착성 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접착 촉진제 (b1) 및/또는 (b2) 및/또는 (b3)이 지방 알콜 에톡실레이트, 셀룰로스, 다당류 또는 그의 유도체, 올리고당 또는 그의 유도체, 단당류 또는 그의 유도체, 알기네이트, 디우레탄, 펙틴, 올레일 아민, 알킬 디메틸 아민 옥시드, 스테아레이트, 소듐 도데실벤젠 술포네이트, 젤라틴, 전분, 개질 전분, 한천, 아카시아 검, 캐럽 콩 가루, 올리고머 및 중합체,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것인 다층 자기-접착성 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 (c1) 및/또는 (c2) 및/또는 (c3)이 음이온성-계면활성제, 비이온성-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것인 다층 자기-접착성 겔.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및 (B) 및 임의로 (C)의 점도가 적어도 15,000 mPas,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000 mPas,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000 mPas,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0,000 mPas인 다층 자기-접착성 겔.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접착 촉진제 (b1) 및/또는 (b2) 및/또는 (b3)이 각각의 겔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1 내지 60 wt%,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wt%로 존재하는 것인 다층 자기-접착성 겔.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 (c1) 및/또는 (c2) 및/또는 (c3)이 각각의 겔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1 내지 50 wt%,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wt%로 존재하는 것인 다층 자기-접착성 겔.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접한 자기-접착성 겔 층이 그들의 점도에서 0.1 내지 100,00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00 mPas,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0 mPas만큼 상이한 것인 다층 자기-접착성 겔.
  9. 변기, 싱크대, 세면대, 욕조, 샤워기의 세정 및/또는 소독 및/또는 탈취 및/또는 발향, 및 샤워기, 욕조 또는 세면대에서 샤워 겔 또는 샴푸의 전달을 위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층 자기-접착성 겔의 용도.
  10. 겔을 방출하기 위해 제공된 제1 개구부, 및
    피스톤을 보유하기 위해 제공된 제2 개구부
    를 갖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층 자기-접착성 겔을 함유하는 하나의 수용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수용 챔버에서 이동될 수 있고 그에 의해 겔이 제1 개구부를 통해 밀어내어질 수 있고,
    다층 자기-접착성 겔은 수용 챔버에서, 수용 챔버에 함유된 모든 자기-접착성 층의 일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접착성 층의 동일한 양이 제1 개구부를 통해 동시에 수용 챔버에서 나올 수 있도록 배열되는 것인,
    바람직하게는 변기 세정 제품을 위한 적용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수용 챔버가 제2 개구부에 압력 보상을 위한 수단, 바람직하게는 통기 구멍을 갖는 것인 적용기구.
  12. 제1 겔을 용융시키고, 제1 충전 단계에서 제1 개구부를 통해 수용 챔버 내에 충전하고, 후속적으로, 겔이 고형화되고 제1 자기-접착성 겔 층 (A)를 형성할 때까지 적용기구를 수평 위치로 두고 겔을 냉각되도록 하거나 능동적으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제2 겔을 용융시키고, 제2 충전 단계에서 제1 개구부를 통해 수용 챔버 내에 충전하고,
    후속적으로, 겔이 고형화되고 제2 자기-접착성 겔 층 (B)를 형성할 때까지 겔을 냉각되도록 하거나 능동적으로 냉각시키고;
    임의로, 이어서 제3 겔을 용융시키고, 제3 충전 단계에서 제1 개구부를 통해 수용 챔버 내에 충전하고, 단 제2 충전 단계의 냉각 단계에서 적용기구를 수평 위치로 두고;
    단 피스톤이 충전 단계의 시작부터 수용 챔버에 존재하는 것인,
    제10항 또는 제11항에 따른 적용기구의 충전 방법.
  13. 제1 자기-접착성 겔 층 (A)를 형성하는 용융된 제1 겔, 및 제2 자기-접착성 겔 층 (B)를 형성하는 용융된 제2 겔, 및 임의로 제3 자기-접착성 겔 층 (C)를 형성하는 용융된 제3 겔을 제2 개구부를 통해 겔 제공 장치의 노즐을 거쳐 수용 챔버 내에 동시에 충전하고; 여기서 수용 챔버 내에 충전되는 겔들의 혼합을 피하기 위해 노즐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분리 요소가 존재하고, 수용 챔버가 압력 보상을 위한 수단까지 충전될 때까지 적어도 하나의 분리 요소를 노즐과 함께 제2 개구부를 통해 수용 챔버로부터 철수시키는 것인,
    제11항에 따른 적용기구의 충전 방법.
  14. 수용 챔버를 수평 위치로 제공하는 단계;
    제1 자기-접착성 겔 층 (A)를 형성하는 제1 겔을 그의 겔화점보다 적어도 60℃ 낮은 겔 온도를 갖는 수용 챔버 내로 펌프질하는 단계; 및
    제2 자기-접착성 겔 층 (B)를 형성하는 용융된 제2 겔을 수용 챔버 내에 동시에 충전하는 단계이며, 여기서 제2 겔이 제1 겔과의 계면에서 응결되는 것인 단계
    를 포함하는, 제10항 또는 제11항에 따른 적용기구의 충전 방법.
KR1020177020132A 2014-12-23 2015-12-18 다층 자기-접착성 겔 및 적용기구 KR201700971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99972.2 2014-12-23
EP14199972 2014-12-23
PCT/EP2015/080422 WO2016102345A1 (en) 2014-12-23 2015-12-18 Multi-layer self-adhesive gel and applic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164A true KR20170097164A (ko) 2017-08-25

Family

ID=52144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0132A KR20170097164A (ko) 2014-12-23 2015-12-18 다층 자기-접착성 겔 및 적용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70283743A1 (ko)
EP (1) EP3237074A1 (ko)
JP (1) JP2018503721A (ko)
KR (1) KR20170097164A (ko)
AU (1) AU2015371398A1 (ko)
MX (1) MX2017008356A (ko)
WO (1) WO20161023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31143B1 (en) * 2017-07-21 2024-02-28 Procter & Gamble International Operations SA. Gels comprising a hydrophobic material
EP3431144B1 (en) * 2017-07-21 2023-06-14 Procter & Gamble International Operations SA Gels comprising a hydrophobic material
JP7078365B2 (ja) * 2017-09-01 2022-05-31 アース製薬株式会社 トイレ用固形洗浄剤
EP3476926A1 (de) * 2017-10-26 2019-05-01 Henkel AG & Co. KGaA Selbsthaftende sanitärmittel
WO2020035369A1 (en) * 2018-08-13 2020-02-20 Unilever Plc Homecare and personal care articles with multilayer structure
US11193095B2 (en) * 2019-01-14 2021-12-07 Wizard Labs, Llc Rinsing solution for metal blades
EP3722401B1 (de) * 2019-04-10 2024-01-17 Henkel AG & Co. KGaA Gelförmige sanitärmittel zur biofilm vermeidung
EP4067467A1 (de) * 2021-03-31 2022-10-05 Henkel AG & Co. KGaA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lförmigen reinigungsmittel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26293A1 (de) 1998-06-12 2000-03-23 Buck Chemie Gmbh Sanitärmittel
US6881776B2 (en) * 1998-10-29 2005-04-19 Penreco Gel compositions
DE10048887A1 (de) 2000-09-29 2002-04-18 Buck Chemie Gmbh Haftendes Sanitärreinigungs- und Beduftungsmittel
DE10159984A1 (de) 2001-12-06 2003-06-26 Buck Chemie Gmbh Haftende Paste zur Duftstoffabgabe, insbesondere für den Sanitärbereich
EP1840280A3 (en) * 2003-04-15 2007-10-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lavatory bowl rim-block providing a combination of ongoing perfume delivery with a perfume boost upon flushing
US7520406B2 (en) 2005-07-08 2009-04-21 S. C. Johnson & Son, Inc. Device for dispensing a controlled dose of a flowable material
DE102005037844A1 (de) * 2005-08-04 2007-04-05 Intendis Gmbh Wasserfreies Mehr-Phasen-Gel-System
DE102011004771A1 (de) * 2011-02-25 2012-08-30 Henkel Ag & Co. Kgaa WC-Gel
WO2013020597A1 (de) 2011-08-11 2013-02-14 Henkel Ag & Co. Kgaa Applikator für gelförmige wc-reinigungsprodukte direkt auf der oberfläche der wc-schüssel
DE102012215615A1 (de) * 2012-04-04 2013-10-10 Henkel Ag & Co. Kgaa Streifenförmiges WC-Reinigungsprodukt
DE102012215536A1 (de) 2012-08-31 2014-03-06 Henkel Ag & Co. Kgaa WC-Gel
EP2872613B1 (en) 2013-05-10 2020-12-02 Eurvest S.A. New sanitary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7008356A (es) 2017-10-24
US20170283743A1 (en) 2017-10-05
AU2015371398A1 (en) 2017-08-10
WO2016102345A1 (en) 2016-06-30
EP3237074A1 (en) 2017-11-01
JP2018503721A (ja) 2018-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512B1 (ko) 구형 변기 세정제 블록, 이의 제조 방법, 및 구형 변기 세정제 블록을 포함하는 세정 홀더
KR20170097164A (ko) 다층 자기-접착성 겔 및 적용기구
AU2014277247B2 (en) Device for dispensing an active-substance preparation into a toilet bowl
CA2817413C (en) Ball-shaped toilet blocks based on anionic surfactants
US10781581B2 (en) Toilet rim block and rim block cage
CN114207100A (zh) 具有改进光泽度的马桶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