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6283A -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 - Google Patents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96283A KR20170096283A KR1020160017368A KR20160017368A KR20170096283A KR 20170096283 A KR20170096283 A KR 20170096283A KR 1020160017368 A KR1020160017368 A KR 1020160017368A KR 20160017368 A KR20160017368 A KR 20160017368A KR 20170096283 A KR20170096283 A KR 201700962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duct
- eeg
- user
- similar
- preferen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 A61B5/0476—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 H05B37/02—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뇌파를 이용하여 소비자가 선호하는 상품을 도출하여 안내하는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은 뇌파를 수신하는 뇌파 수신 단계, 뇌파를 분속하여 선호하는 상품을 판단하는 선호 판단 단계, 선호하는 상품과 유사한 상품을 도출하는 유사상품 도출 단계, 및 바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유사상품이 존재하는 공간으로 안내하는 경로를 바닥에 표시하는 경로 형성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은 뇌파를 수신하는 뇌파 수신 단계, 뇌파를 분속하여 선호하는 상품을 판단하는 선호 판단 단계, 선호하는 상품과 유사한 상품을 도출하는 유사상품 도출 단계, 및 바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유사상품이 존재하는 공간으로 안내하는 경로를 바닥에 표시하는 경로 형성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쇼핑 유도 시스템 및 쇼핑 유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시스템 및 쇼핑 유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파란, 인간의 의식 또는 무의식 상태를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반영하는 생체신호를 말하며, 인간의 두피에 모든 영역에서 측정되고 수십 마이크로 볼트의 전위차로 주로 30Hz 이하의 주파수를 지닌 파장을 말한다.
이러한 뇌파는 주파수 대역별로 델타(delta)파, 세타(theta)파, 알파(alpha)파, 베타(beta)파, 감마(gamma)파로 분류된다. 델타(delta)파는 4Hz 이하의 주파수를 가진 뇌파로서 정상적인 수면상태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며, 세타파는 4∼8Hz 정도의 주파수를 가진 뇌파로서 정신적으로 상태가 불안하거나 주위가 산만할 때 주로 나타나며 학습장애가 있는 청소년에게 종종 나타난다.
알파파는 8∼12Hz 정도의 주파수를 가진 뇌파로서 대체로 정신적인 상태가 안정적이며 눈을 감고 편안한 심리적 상태를 취하고 있을 때 뚜렷하게 나타난다. 또한 알파파는 주변의 상황에서 분리될 정도로 고도의 집중이 이루어진 경우 또는 명상으로 인하여 심리적인 안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발생한다. 감마파는 30~50Hz의 주파수를 갖는 뇌파를 말하며 흥분 상태에서 나타난다.
베타파는 12∼30Hz 정도의 주파수를 가진 뇌파를 지칭하며, 약간의 긴장상태나 일정 이상의 주의를 기울일 때 주로 나타난다. 베타파는 운동이나 학습, 또는 업무를 수행일 때 뇌 전체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베타파는 12∼15Hz의 주파수를 갖는 SMR파, 15∼18Hz의 주파수를 갖는 중간 베타파, 20Hz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고 베타파로 구분된다. 베타파는 불안, 긴장 등의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더욱 강하게 나타나므로 스트레스파라고도 한다.
주의를 기울인 상태에서는 SMR파가 나타나며, 집중, 정상적인 활동을 할 때에는 좌측 뇌에서 15∼18Hz의 주파수를 갖는 중간 베타파가 나타나고 긴장과 불안이 계속될 때에는 20Hz 이상의 고베타파가 나타난다.
본 발명은 뇌파를 이용하여 소비자가 선호하는 상품을 도출하여 안내하는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은 뇌파를 수신하는 뇌파 수신 단계, 뇌파를 분속하여 선호하는 상품을 판단하는 선호 판단 단계, 선호하는 상품과 유사한 상품을 도출하는 유사상품 도출 단계, 및 바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유사상품이 존재하는 공간으로 안내하는 경로를 바닥에 표시하는 경로 형성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선호 판단 단계는 알파파와 SMR파가 증가할 때 픽업된 상품을 선호 상품으로 판단하는 선호 인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호 파단 단계는 고베타파가 증가할 때 픽업된 상품을 비선호 상품으로 판단하는 비선호 인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호 판단 단계는 두 곳에서 측정된 뇌파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위상 공간에서의 회전방향을 의미하는 편향성과, 두 곳에서 측정된 뇌파가 동시에 증가하거나 동시에 감소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변수인 동기율을 이용하여 선호 의사 또는 비선호 의사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기율은 로 정의되며, 여기서, 상기 s1과 s2는 두 위치에서 측정된 뇌파 신호, 상기 H(x)는 x가 음수이거나 0일 때에는 0, 양수일 때는 1의 값을 갖는 스텝 함수, 및 상기 w는 동기율을 계산하는 구간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t)는 편향성, 상기 벡터 s는 s1과 s2로 이루어진 2차원 벡터, 상기 단위 벡터 θ는 s1과 s2로 이루어지는 위상공간에서의 원점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의 단위 벡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쇼핑 유도 방법은 상품에 부착된 전자태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픽업한 상품을 특정하는 선택상품 특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상품 특정 단계는 전자 태그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스마트 기기와 전자 태그의 근접을 인식하는 선택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상품 특정 단계는 상품에 부착된 전자 태그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스마트 기기와 전자 태그의 신호가 주기적으로 변동됨을 인식하는 피팅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사상품 도출 단계는 선택된 상품과 디자인, 색상, 종류가 유사한 상품의 목록을 도출하는 유사목록 도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사상품 도출 단계는 선택된 상품을 픽업한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의 목록을 도출하는 선호목록 도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로 형성 단계는 바닥에 격자 형태로 배치된 조명 또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유사상품 또는 선호상품이 존재하는 공간으로 안내하는 바닥 경로 형성 단계와 유사상품 또는 선호상품이 존재하는 공간의 조명을 밝게 제어하는 조명 제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쇼핑 유도 방법은 사용자가 상품을 거울 앞으로 가져가거나 상품을 착용한 상태에서 거울 앞에 있을 때, 거울에 정보를 표시하는 상품정보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가 상품정보 표시 단계는 상품에 부착된 전자 태그와 무선통신으로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상품정보 수신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정보 표시 단계는 거울 디스플레이는 상품의 가격, 재질, 크기, 특징을 표시하는 정보 표시 단계와 상기 거울 디스플레이는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상품과 유사상품 또는 선택된 상품과 함께 착용할 수 있는 상품을 표시하는 유사상품 표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쇼핑 유도 방법은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단계와 사용자의 동공을 추적하는 동공 추적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추적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뇌파의 변화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상품과 유사상품을 도출하여 경로를 안내하거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쇼핑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바닥에 형성된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울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바닥에 형성된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울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시스템(100)은 뇌파 수신부(10), 뇌파 분석부(20), 전자태그 분석부(40), 상품 분석부(50), 거울 디스플레이(60), 경로 형성부(70)를 포함한다.
뇌파 수신부(10)는 사용자가 착용한 뇌파 측정 장치로부터 전송된 뇌파를 수신한다. 뇌파 수신부(10)는 자극에 의하여 발생된 뇌파를 수신하며, 수신된 뇌파를 증폭하고, 필터링하며, AD 변환하여 뇌파를 가공할 수 있다.
뇌파 분석부(20)는 뇌파를 분속하여 선호하는 상품을 판단한다. 뇌파 분석부(20)는 알파파와 SMR파가 증가할 때 픽업된 상품을 선호 상품으로 판단하는 선호 판단 모듈(21)과 고베타파가 증가할 때 픽업된 상품을 비선호 상품으로 판단하는 비선호 판단 모듈(2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호하는 상품을 발견할 때는 집중력이 향상되어 SMR파가 증가하며 만족감으로 인하여 알파파가 증가하는데 선호 판단 모듈(21)은 이와 같이 SMR파와 알파파의 증가를 인식할 경우 선호 상품으로 판단한다. 또한, 사용자가 비선호 상품을 발견할 때에는 스트레스파인 고베타파가 증가하는데 비선호 판단 모듈(22)은 고베타파가 증가하는 경우 비선호 상품으로 판단한다.
또한, 뇌파 분석부(20)는 두 곳에서 측정된 뇌파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위상 공간에서의 회전방향을 의미하는 편향성과, 두 곳에서 측정된 뇌파가 동시에 증가하거나 동시에 감소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변수인 동기율을 이용하여 선호 의사 또는 비선호 의사를 판단할 수 있다.
뇌파 분석부(20)는 뇌파의 시공간적 상호 관계를 계산하여 선호 뇌파인지 비선호 뇌파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뇌파 분석부(20)은 편향성과 동기율을 계산하고 이를 신경회로망의 논리판단 변수로 사용하여 선호와 비선호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편향성은 두 곳에서 측정된 뇌파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위상 공간에서의 회전방향을 의미하며, 동기율은 두 곳에서 측정된 뇌파가 동시에 증가하거나 동시에 감소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변수이다.
동기율은 로 정의되며, 여기서, 상기 s1과 s2는 두 위치에서 측정된 뇌파 신호, 상기 H(x)는 x가 음수이거나 0일 때에는 0, 양수일 때는 1의 값을 갖는 스텝 함수, 및 상기 w는 동기율을 계산하는 구간 크기이다.
한편, 편향성은 로 정의되며, 여기서 상기 P(t)는 편향성, 상기 벡터 s는 s1과 s2로 이루어진 2차원 벡터, 상기 단위 벡터 θ는 s1과 s2로 이루어지는 위상공간에서의 원점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의 단위 벡터이다.
뇌파 분석부(20)은 동기율과 편향성을 신경회로망, 선형결정함수와 같은 분별 방법의 변수로 대입하여 선호와 비선호를 판단한다. 동기율과 편향성은 단독으로 각각 사용될 수 있으며, 2개의 변수가 모두 입력될 수도 있다. 신경회로망은 입력층(input layer), 은닉층(hidden layer) 및 출력층(node level output layer)을 갖는 다중 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으로 구성되며, 논리 판단을 위하여 이미 학습이 되어 있다.
전자태그 분석부(40)는 상품에 부착된 전자태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픽업한 상품을 특정한다. 전자태그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으로 상품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태그 분석부(40)는 전자 태그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스마트 기기와 전자 태그의 근접을 인식하는 선택 판단 모듈(41)을 포함한다.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자 태그와 무선 통신으로 전자 태그를 읽고 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스마트 기기는 이러한 정보를 선택 판단 모듈(41)로 전송하며 선택 판단 모듈(41)은 정보를 전달받아 선택 상품을 특정한다.
전자태그 분석부(40)는 상품에 부착된 전자 태그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스마트 기기와 전자 태그의 신호가 변동됨을 인식하는 피팅 판단 모듈(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피팅 판단 모듈(42)은 사용자가 피팅한 상품을 특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피팅할 때 전자 태그가 움직이게 되므로 스마트 기기와 전자 태그의 통신이 변동된다. 피팅 시에 통신이 변동되는 특징을 추출할 수 있으며, 피팅 판단 모듈(42)은 이러한 특징을 감지하여 피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품 분석부(50)는 선호하는 상품과 유사한 상품을 도출한다. 상품 분석부(50)는 선택된 상품과 디자인, 색상, 종류가 유사한 상품의 목록을 도출하는 유사상품 도출 모듈(51)과, 선택된 상품을 픽업한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의 목록을 도출하는 선호상품 도출 모듈(52)을 포함할 수 있다.
선호상품 도출 모듈(52)은 메타 데이터를 검색하여 선택된 상품과 관련된 상품 목록을 도출하는데, 선택된 상품을 선호하는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들을 검색하여 목록을 도출할 수 있다. 선호상품 도출 모듈(52)은 선택된 상품과 코디 가능한 상품의 목록을 도출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형성부(70)는 바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120)를 이용하여 유사상품이 존재하는 공간으로 안내하는 경로(125)를 바닥에 표시한다.
경로 형성부(70)는 바닥에 격자 형태로 배치된 조명 또는 디스플레이(120)로 이루어진 바닥 표시 모듈을 포함하고 바닥 표시 모듈(71)은 유사상품 또는 선호상품이 존재하는 공간으로 안내하는 경로(125)를 바닥에 표시한다. 또한, 경로 형성부는 유사상품 또는 선호상품이 존재하는 공간의 조명을 밝게 제어하는 조명 제어 모듈(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바닥에 표시된 경로와 조명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유사상품 또는 선호상품을 찾을 수 있으며, 판매자는 사용자의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울 디스플레이(60)는 상품을 거울 앞으로 가져가거나 상품을 착용한 상태에서 거울 앞에 있을 때, 거울에 정보를 표시한다. 거울 디스플레이(60)는 상품에 부착된 전자 태그와 무선통신으로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칩을 포함할 수 있다.
거울 디스플레이(60)는 선택된 상품의 가격, 재질, 크기, 특징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상품정보 표시 모듈(6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울 디스플레이(60)는 선택된 상품과 유사상품 또는 선택된 상품과 함께 착용할 수 있는 상품을 표시하는 유사상품 표시 모듈(62)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은 뇌파 수신 단계(S101), 선호 판단 단계(S102), 선택상품 특정 단계(S103), 상품정보 표시 단계(S104), 유사상품 도출 단계(S105), 경로 형성 단계(S106)를 포함한다.
뇌파 수신 단계(S101)는 사용자가 착용한 뇌파 측정 장치로부터 전송된 뇌파를 수신한다. 뇌파 수신 단계(S101)는 자극에 의하여 발생된 뇌파를 수신하며, 수신된 뇌파를 증폭하고, 필터링하며, AD 변환하여 뇌파를 가공할 수 있다.
선호 판단 단계(S102)는 뇌파를 분속하여 선호하는 상품을 판단한다. 선호 판단 단계(S102)는 알파파와 SMR파가 증가할 때 픽업된 상품을 선호 상품으로 판단하는 선호 인정 단계와 고베타파가 증가할 때 픽업된 상품을 비선호 상품으로 판단하는 비선호 인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호하는 상품을 발견할 때는 집중력이 향상되어 SMR파가 증가하며 만족감으로 인하여 알파파가 증가하는데 선호 인정 단계는 이와 같이 SMR파와 알파파의 증가를 인식할 경우 선호 상품으로 판단한다. 또한, 사용자가 비선호 상품을 발견할 때에는 스트레스파인 고베타파가 증가하는데 비선호 인정 단계는 고베타파가 증가하는 경우 비선호 상품으로 판단한다.
또한, 선호 판단 단계(S102)는 두 곳에서 측정된 뇌파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위상 공간에서의 회전방향을 의미하는 편향성과, 두 곳에서 측정된 뇌파가 동시에 증가하거나 동시에 감소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변수인 동기율을 이용하여 선호 의사 또는 비선호 의사를 판단할 수 있다.
선호 판단 단계(S102)는 뇌파의 시공간적 상호 관계를 계산하여 선호 뇌파인지 비선호 뇌파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뇌파 분석부(20)은 편향성과 동기율을 계산하고 이를 신경회로망의 논리판단 변수로 사용하여 선호와 비선호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편향성은 두 곳에서 측정된 뇌파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위상 공간에서의 회전방향을 의미하며, 동기율은 두 곳에서 측정된 뇌파가 동시에 증가하거나 동시에 감소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변수이다.
동기율은 로 정의되며, 여기서, 상기 s1과 s2는 두 위치에서 측정된 뇌파 신호, 상기 H(x)는 x가 음수이거나 0일 때에는 0, 양수일 때는 1의 값을 갖는 스텝 함수, 및 상기 w는 동기율을 계산하는 구간 크기이다.
한편, 편향성은 로 정의되며, 여기서 상기 P(t)는 편향성, 상기 벡터 s는 s1과 s2로 이루어진 2차원 벡터, 상기 단위 벡터 θ는 s1과 s2로 이루어지는 위상공간에서의 원점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의 단위 벡터이다.
선호 판단 단계(S102)는 동기율과 편향성을 신경회로망, 선형결정함수와 같은 분별 방법의 변수로 대입하여 선호와 비선호를 판단한다. 동기율과 편향성은 단독으로 각각 사용될 수 있으며, 2개의 변수가 모두 입력될 수도 있다. 신경회로망은 입력층(input layer), 은닉층(hidden layer) 및 출력층(node level output layer)을 갖는 다중 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으로 구성되며, 논리 판단을 위하여 이미 학습이 되어 있다.
선택상품 특정 단계(S103)는 상품에 부착된 전자태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픽업한 상품을 특정한다. 전자태그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으로 상품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선택상품 특정 단계(S103)는 전자 태그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스마트 기기와 전자 태그의 근접을 인식하는 선택 판단 단계를 포함한다.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자 태그와 무선 통신으로 전자 태그를 읽고 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스마트 기기는 이러한 정보를 선택 판단 모듈(41)로 전송하며 선택 판단 모듈(41)은 정보를 전달받아 선택 상품을 특정한다.
선택상품 특정 단계(S103)는 상품에 부착된 전자 태그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스마트 기기와 전자 태그의 신호가 주기적으로 변동됨을 인식하는 피팅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팅 판단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피팅한 상품을 특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피팅할 때 전자 태그가 움직이게 되므로 스마트 기기와 전자 태그의 통신이 변동된다. 피팅 시에 통신이 변동되는 특징을 추출할 수 있으며, 피팅 판단 단계는 이러한 특징을 감지하여 피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품정보 표시 단계(S104)는 사용자가 상품을 거울 앞으로 가져가거나 상품을 착용한 상태에서 거울 앞에 있을 때, 거울 디스플레이(60)에 정보를 표시한다. 상품정보 표시 단계(S104)는 상품에 부착된 전자 태그와 무선통신으로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상품정보 수신 단계와 선택된 상품의 가격, 재질, 크기, 특징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 단계와 선택된 상품과 유사상품 또는 선택된 상품과 함께 착용할 수 있는 상품을 표시하는 유사상품 표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상품 도출 단계(S105)는 선호하는 상품과 유사한 상품을 도출한다. 유사상품 도출 단계(S105)는 선택된 상품과 디자인, 색상, 종류가 유사한 상품의 목록을 도출하는 유사목록 도출 단계, 선택된 상품을 픽업한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의 목록을 도출하는 선호목록 도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호목록 도출 단계는 메타 데이터를 검색하여 선택된 상품과 관련된 상품 목록을 도출하는데, 선택된 상품을 선호하는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들을 검색하여 목록을 도출할 수 있다. 선호목록 도출 단계는 선택된 상품과 코디 가능한 상품의 목록을 도출할 수도 있다.
경로 형성 단계(S106)는 바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120)를 이용하여 유사상품이 존재하는 공간으로 안내하는 경로(125)를 바닥에 표시한다.
경로 형성 단계(S106)는 바닥에 격자 형태로 배치된 조명 또는 디스플레이(120)를 이용하여 유사상품 또는 선호상품이 존재하는 공간으로 안내하는 바닥 경로 형성 단계와 유사상품 또는 선호상품이 존재하는 공간의 조명을 밝게 제어하는 조명 제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바닥에 표시된 경로와 조명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유사상품 또는 선호상품을 찾을 수 있으며, 판매자는 사용자의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시스템(200)은 뇌파 수신부(10), 뇌파 분석부(20), 카메라부(30), 전자태그 분석부(40), 상품 분석부(50), 거울 디스플레이(60), 경로 형성부(70)를 포함한다.
뇌파 수신부(10)는 사용자가 착용한 뇌파 측정 장치로부터 전송된 뇌파를 수신한다. 뇌파 수신부(10)는 자극에 의하여 발생된 뇌파를 수신하며, 수신된 뇌파를 증폭하고, 필터링하며, AD 변환하여 뇌파를 가공할 수 있다.
뇌파 분석부(20)는 뇌파를 분속하여 선호하는 상품을 판단한다. 뇌파 분석부(20)는 알파파와 SMR파가 증가할 때 픽업된 상품을 선호 상품으로 판단하는 선호 판단 모듈(21)과 고베타파가 증가할 때 픽업된 상품을 비선호 상품으로 판단하는 비선호 판단 모듈(2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호하는 상품을 발견할 때는 집중력이 향상되어 SMR파가 증가하며 만족감으로 인하여 알파파가 증가하는데 선호 판단 모듈(21)은 이와 같이 SMR파와 알파파의 증가를 인식할 경우 선호 상품으로 판단한다. 또한, 사용자가 비선호 상품을 발견할 때에는 스트레스파인 고베타파가 증가하는데 비선호 판단 모듈(22)은 고베타파가 증가하는 경우 비선호 상품으로 판단한다.
또한, 뇌파 분석부(20)는 두 곳에서 측정된 뇌파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위상 공간에서의 회전방향을 의미하는 편향성과, 두 곳에서 측정된 뇌파가 동시에 증가하거나 동시에 감소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변수인 동기율을 이용하여 선호 의사 또는 비선호 의사를 판단할 수 있다.
뇌파 분석부(20)는 뇌파의 시공간적 상호 관계를 계산하여 선호 뇌파인지 비선호 뇌파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뇌파 분석부(20)은 편향성과 동기율을 계산하고 이를 신경회로망의 논리판단 변수로 사용하여 선호와 비선호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편향성은 두 곳에서 측정된 뇌파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위상 공간에서의 회전방향을 의미하며, 동기율은 두 곳에서 측정된 뇌파가 동시에 증가하거나 동시에 감소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변수이다.
동기율은 로 정의되며, 여기서, 상기 s1과 s2는 두 위치에서 측정된 뇌파 신호, 상기 H(x)는 x가 음수이거나 0일 때에는 0, 양수일 때는 1의 값을 갖는 스텝 함수, 및 상기 w는 동기율을 계산하는 구간 크기이다.
한편, 편향성은 로 정의되며, 여기서 상기 P(t)는 편향성, 상기 벡터 s는 s1과 s2로 이루어진 2차원 벡터, 상기 단위 벡터 θ는 s1과 s2로 이루어지는 위상공간에서의 원점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의 단위 벡터이다.
뇌파 분석부(20)은 동기율과 편향성을 신경회로망, 선형결정함수와 같은 분별 방법의 변수로 대입하여 선호와 비선호를 판단한다. 동기율과 편향성은 단독으로 각각 사용될 수 있으며, 2개의 변수가 모두 입력될 수도 있다. 신경회로망은 입력층(input layer), 은닉층(hidden layer) 및 출력층(node level output layer)을 갖는 다중 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으로 구성되며, 논리 판단을 위하여 이미 학습이 되어 있다.
전자태그 분석부(40)는 상품에 부착된 전자태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픽업한 상품을 특정한다. 전자태그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으로 상품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태그 분석부(40)는 전자 태그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스마트 기기와 전자 태그의 근접을 인식하는 선택 판단 모듈(41)을 포함한다.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자 태그와 무선 통신으로 전자 태그를 읽고 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스마트 기기는 이러한 정보를 선택 판단 모듈(41)로 전송하며 선택 판단 모듈(41)은 정보를 전달받아 선택 상품을 특정한다.
전자태그 분석부(40)는 상품에 부착된 전자 태그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스마트 기기와 전자 태그의 신호가 변동됨을 인식하는 피팅 판단 모듈(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피팅 판단 모듈(42)은 사용자가 피팅한 상품을 특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피팅할 때 전자 태그가 움직이게 되므로 스마트 기기와 전자 태그의 통신이 변동된다. 피팅 시에 통신이 변동되는 특징을 추출할 수 있으며, 피팅 판단 모듈(42)은 이러한 특징을 감지하여 피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품 분석부(50)는 선호하는 상품과 유사한 상품을 도출한다. 상품 분석부(50)는 선택된 상품과 디자인, 색상, 종류가 유사한 상품의 목록을 도출하는 유사상품 도출 모듈(51)과, 선택된 상품을 픽업한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의 목록을 도출하는 선호상품 도출 모듈(52)을 포함할 수 있다.
선호상품 도출 모듈(52)은 메타 데이터를 검색하여 선택된 상품과 관련된 상품 목록을 도출하는데, 선택된 상품을 선호하는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들을 검색하여 목록을 도출할 수 있다. 선호상품 도출 모듈(52)은 선택된 상품과 코디 가능한 상품의 목록을 도출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형성부(70)는 바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120)를 이용하여 유사상품이 존재하는 공간으로 안내하는 경로(125)를 바닥에 표시한다.
경로 형성부(70)는 바닥에 격자 형태로 배치된 조명 또는 디스플레이(120)로 이루어진 바닥 표시 모듈을 포함하고 바닥 표시 모듈(71)은 유사상품 또는 선호상품이 존재하는 공간으로 안내하는 경로(125)를 바닥에 표시한다. 또한, 경로 형성부는 유사상품 또는 선호상품이 존재하는 공간의 조명을 밝게 제어하는 조명 제어 모듈(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바닥에 표시된 경로와 조명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유사상품 또는 선호상품을 찾을 수 있으며, 판매자는 사용자의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울 디스플레이(60)는 상품을 거울 앞으로 가져가거나 상품을 착용한 상태에서 거울 앞에 있을 때, 거울에 정보를 표시한다. 거울 디스플레이(60)는 상품에 부착된 전자 태그와 무선통신으로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칩을 포함할 수 있다.
거울 디스플레이(60)는 선택된 상품의 가격, 재질, 크기, 특징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상품정보 표시 모듈(6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울 디스플레이(60)는 선택된 상품과 유사상품 또는 선택된 상품과 함께 착용할 수 있는 상품을 표시하는 유사상품 표시 모듈(62)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30)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를 추적하는데,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모듈(31)과 사용자의 동공을 추적하는 동공 추적 모듈(32)을 포함한다. 위치 추적 모듈(31)은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선택 상품을 특정하는 보조 정보로 활용할 수 있으며, 동공 추적 모듈(32)은 사용자가 고개를 흔드는 경우 비선호로 판단하는 보조 정보로 활용하고, 사용자가 고개를 끄덕이는 경우 선호로 판단하는 보조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은 뇌파 수신 단계(S201), 선호 판단 단계(S202), 사용자 추적 단계(S203), 선택상품 특정 단계(S204), 상품정보 표시 단계(S205), 유사상품 도출 단계(S206), 경로 형성 단계(S207)를 포함한다.
뇌파 수신 단계(S201)는 사용자가 착용한 뇌파 측정 장치로부터 전송된 뇌파를 수신한다. 뇌파 수신 단계(S201)는 자극에 의하여 발생된 뇌파를 수신하며, 수신된 뇌파를 증폭하고, 필터링하며, AD 변환하여 뇌파를 가공할 수 있다.
선호 판단 단계(S202)는 뇌파를 분속하여 선호하는 상품을 판단한다. 선호 판단 단계(S202)는 알파파와 SMR파가 증가할 때 픽업된 상품을 선호 상품으로 판단하는 선호 인정 단계와 고베타파가 증가할 때 픽업된 상품을 비선호 상품으로 판단하는 비선호 인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호하는 상품을 발견할 때는 집중력이 향상되어 SMR파가 증가하며 만족감으로 인하여 알파파가 증가하는데 선호 인정 단계는 이와 같이 SMR파와 알파파의 증가를 인식할 경우 선호 상품으로 판단한다. 또한, 사용자가 비선호 상품을 발견할 때에는 스트레스파인 고베타파가 증가하는데 비선호 인정 단계는 고베타파가 증가하는 경우 비선호 상품으로 판단한다.
또한, 선호 판단 단계(S202)는 두 곳에서 측정된 뇌파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위상 공간에서의 회전방향을 의미하는 편향성과, 두 곳에서 측정된 뇌파가 동시에 증가하거나 동시에 감소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변수인 동기율을 이용하여 선호 의사 또는 비선호 의사를 판단할 수 있다.
선호 판단 단계(S202)는 뇌파의 시공간적 상호 관계를 계산하여 선호 뇌파인지 비선호 뇌파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뇌파 분석부(20)은 편향성과 동기율을 계산하고 이를 신경회로망의 논리판단 변수로 사용하여 선호와 비선호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편향성은 두 곳에서 측정된 뇌파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위상 공간에서의 회전방향을 의미하며, 동기율은 두 곳에서 측정된 뇌파가 동시에 증가하거나 동시에 감소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변수이다.
동기율은 로 정의되며, 여기서, 상기 s1과 s2는 두 위치에서 측정된 뇌파 신호, 상기 H(x)는 x가 음수이거나 0일 때에는 0, 양수일 때는 1의 값을 갖는 스텝 함수, 및 상기 w는 동기율을 계산하는 구간 크기이다.
한편, 편향성은 로 정의되며, 여기서 상기 P(t)는 편향성, 상기 벡터 s는 s1과 s2로 이루어진 2차원 벡터, 상기 단위 벡터 θ는 s1과 s2로 이루어지는 위상공간에서의 원점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의 단위 벡터이다.
선호 판단 단계(S202)는 동기율과 편향성을 신경회로망, 선형결정함수와 같은 분별 방법의 변수로 대입하여 선호와 비선호를 판단한다. 동기율과 편향성은 단독으로 각각 사용될 수 있으며, 2개의 변수가 모두 입력될 수도 있다. 신경회로망은 입력층(input layer), 은닉층(hidden layer) 및 출력층(node level output layer)을 갖는 다중 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으로 구성되며, 논리 판단을 위하여 이미 학습이 되어 있다.
사용자 추적 단계(S203)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를 추적하는데,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단계와 사용자의 동공을 추적하는 동공 추적 단계를 포함한다. 위치 추적 단계는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선택 상품을 특정하는 보조 정보로 활용할 수 있으며, 동공 추적 단계는 사용자가 고개를 흔드는 경우 비선호로 판단하는 보조 정보로 활용하고, 사용자가 고개를 끄덕이는 경우 선호로 판단하는 보조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선택상품 특정 단계(S204)는 상품에 부착된 전자태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픽업한 상품을 특정한다. 전자태그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으로 상품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선택상품 특정 단계(S204)는 전자 태그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스마트 기기와 전자 태그의 근접을 인식하는 선택 판단 단계를 포함한다.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자 태그와 무선 통신으로 전자 태그를 읽고 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스마트 기기는 이러한 정보를 선택 판단 모듈(41)로 전송하며 선택 판단 모듈(41)은 정보를 전달받아 선택 상품을 특정한다.
선택상품 특정 단계(S204)는 상품에 부착된 전자 태그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스마트 기기와 전자 태그의 신호가 주기적으로 변동됨을 인식하는 피팅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팅 판단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피팅한 상품을 특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피팅할 때 전자 태그가 움직이게 되므로 스마트 기기와 전자 태그의 통신이 변동된다. 피팅 시에 통신이 변동되는 특징을 추출할 수 있으며, 피팅 판단 단계는 이러한 특징을 감지하여 피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품정보 표시 단계(S205)는 사용자가 상품을 거울 앞으로 가져가거나 상품을 착용한 상태에서 거울 앞에 있을 때, 거울 디스플레이(60)에 정보를 표시한다. 상품정보 표시 단계(S205)는 상품에 부착된 전자 태그와 무선통신으로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상품정보 수신 단계와 선택된 상품의 가격, 재질, 크기, 특징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을 표시하는 정보 표시 단계와 선택된 상품과 유사상품 또는 선택된 상품과 함께 착용할 수 있는 상품을 표시하는 유사상품 표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상품 도출 단계(S206)는 선호하는 상품과 유사한 상품을 도출한다. 유사상품 도출 단계(S206)는 선택된 상품과 디자인, 색상, 종류가 유사한 상품의 목록을 도출하는 유사목록 도출 단계, 선택된 상품을 픽업한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의 목록을 도출하는 선호목록 도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호목록 도출 단계는 메타 데이터를 검색하여 선택된 상품과 관련된 상품 목록을 도출하는데, 선택된 상품을 선호하는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들을 검색하여 목록을 도출할 수 있다. 선호목록 도출 단계는 선택된 상품과 코디 가능한 상품의 목록을 도출할 수도 있다.
경로 형성 단계(S207)는 바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120)를 이용하여 유사상품이 존재하는 공간으로 안내하는 경로(125)를 바닥에 표시한다.
경로 형성 단계(S207)는 바닥에 격자 형태로 배치된 조명 또는 디스플레이(120)를 이용하여 유사상품 또는 선호상품이 존재하는 공간으로 안내하는 바닥 경로 형성 단계와 유사상품 또는 선호상품이 존재하는 공간의 조명을 밝게 제어하는 조명 제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바닥에 표시된 경로와 조명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유사상품 또는 선호상품을 찾을 수 있으며, 판매자는 사용자의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200: 쇼핑 안내 시스템
10: 뇌파 수신부
20: 뇌파 분석부
30: 카메라부
40: 전자태그 분석부
50: 상품 분석부
60: 거울 디스플레이
70: 경로 형성부
10: 뇌파 수신부
20: 뇌파 분석부
30: 카메라부
40: 전자태그 분석부
50: 상품 분석부
60: 거울 디스플레이
70: 경로 형성부
Claims (16)
- 뇌파를 수신하는 뇌파 수신 단계;
뇌파를 분속하여 선호하는 상품을 판단하는 선호 판단 단계;
선호하는 상품과 유사한 상품을 도출하는 유사상품 도출 단계; 및
바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유사상품이 존재하는 공간으로 안내하는 경로를 바닥에 표시하는 경로 형성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판단 단계는 알파파와 SMR파가 증가할 때 픽업된 상품을 선호 상품으로 판단하는 선호 인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파단 단계는 고베타파가 증가할 때 픽업된 상품을 비선호 상품으로 판단하는 비선호 인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판단 단계는 두 곳에서 측정된 뇌파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위상 공간에서의 회전방향을 의미하는 편향성과, 두 곳에서 측정된 뇌파가 동시에 증가하거나 동시에 감소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변수인 동기율을 이용하여 선호 의사 또는 비선호 의사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유도 방법은 상품에 부착된 전자태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픽업한 상품을 특정하는 선택상품 특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상품 특정 단계는 전자 태그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스마트 기기와 전자 태그의 근접을 인식하는 선택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상품 특정 단계는 상품에 부착된 전자 태그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스마트 기기와 전자 태그의 신호가 주기적으로 변동됨을 인식하는 피팅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상품 도출 단계는 선택된 상품과 디자인, 색상, 종류가 유사한 상품의 목록을 도출하는 유사목록 도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상품 도출 단계는 선택된 상품을 픽업한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의 목록을 도출하는 선호목록 도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형성 단계는 바닥에 격자 형태로 배치된 조명 또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유사상품 또는 선호상품이 존재하는 공간으로 안내하는 바닥 경로 형성 단계와 유사상품 또는 선호상품이 존재하는 공간의 조명을 밝게 제어하는 조명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유도 방법은 사용자가 상품을 거울 앞으로 가져가거나 상품을 착용한 상태에서 거울 앞에 있을 때, 거울에 정보를 표시하는 상품정보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
- 제13 항에 있어서,
상가 상품정보 표시 단계는 상품에 부착된 전자 태그와 무선통신으로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상품정보 수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 표시 단계는 거울 디스플레이는 상품의 가격, 재질, 크기, 특징을 표시하는 정보 표시 단계와 상기 거울 디스플레이는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상품과 유사상품 또는 선택된 상품과 함께 착용할 수 있는 상품을 표시하는 유사상품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유도 방법은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단계와 사용자의 동공을 추적하는 동공 추적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추적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7368A KR20170096283A (ko) | 2016-02-15 | 2016-02-15 |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7368A KR20170096283A (ko) | 2016-02-15 | 2016-02-15 |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6283A true KR20170096283A (ko) | 2017-08-24 |
Family
ID=5975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7368A KR20170096283A (ko) | 2016-02-15 | 2016-02-15 |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96283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421141A (zh) * | 2020-07-29 | 2021-09-21 |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 基于脑机、脑神经信号的购物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
-
2016
- 2016-02-15 KR KR1020160017368A patent/KR2017009628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421141A (zh) * | 2020-07-29 | 2021-09-21 |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 基于脑机、脑神经信号的购物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69061B2 (en) | System and methods for recommendations based on wearable sensors | |
US10382804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exposure to a recognizable item | |
KR20160144305A (ko) |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
US10482724B2 (en) |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system for providing a sensor-based environment | |
US8369939B2 (en) | Activ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brainwave interface system | |
KR20170060740A (ko) | 오프라인 패션/의류 매장 판매 활성화 솔루션 | |
KR20110051145A (ko) | 소비자 쇼핑 비헤이비어를 결정하기 위한 센서―통합 미러 | |
TWI533151B (zh) | 展示裝置 | |
EP2136329A2 (en) | Comprehensive computer 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adapting the content of digital signage displays | |
JP6076304B2 (ja) | 物品情報提供装置、物品情報提供システム、物品情報提供方法及び物品情報提供プログラム | |
Alharbi et al. | Investigating barriers and facilitators to wearable adherence in fine-grained eating detection | |
KR20170096283A (ko) |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방법 | |
US11462006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consumption | |
KR20140107734A (ko) | 가상의 피팅 방법 및 시스템 | |
KR20170096284A (ko) | 뇌파를 이용한 쇼핑 유도 시스템 | |
KR20140134785A (ko) |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를 이용한 상품 추천 방법 및 장치 | |
KR101306827B1 (ko) | 무빙워크의 광고장치 및 광고방법 | |
JP7498086B2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101764791B1 (ko) | 매장에서의 물품 선택 계수 장치 | |
JP2016118926A (ja) | 電子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