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5587A - 집진기를 이용한 잔해물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집진기를 이용한 잔해물 포집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95587A KR20170095587A KR1020160017178A KR20160017178A KR20170095587A KR 20170095587 A KR20170095587 A KR 20170095587A KR 1020160017178 A KR1020160017178 A KR 1020160017178A KR 20160017178 A KR20160017178 A KR 20160017178A KR 20170095587 A KR20170095587 A KR 201700955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rol valve
- debris
- dust collector
- unit
- su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a central suction system, e.g. for collecting exhaust gases in worksho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evention Of Fou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기를 이용하여 주택, 아파트, 건물 등과 같은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잔해물을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압축공기 흡입 방식의 이동식 집진기를 이용하여 잔해물을 포집한 다음 드레인부를 통해 외부에 구비된 집하부에 배출시켜 주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에어석션(Air Suction)기에서 생성된 흡입 압축공기를 집진기에서 배기되는 제1배기부로부터 공급받아 진공상태로 변환하여 제2배기부로 배기시켜 주는 진공변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압축공기에 의해 작업장(900)에 잔존하는 잔해물을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잔해물이 역류차단부를 거쳐 슬라이딩(Sliding)부가 형성된 포집실에 포집되는 집진기; 상기 집진기의 드레인(Drain)부에 연결되고, 제어부에서 설정된 기준시간에 따라 닫힘과 열림으로 가변 작동하는 제1제어밸브(Valve); 상기 제1제어밸브에 연결된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잔해물이 집하되는 집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에어석션(Air Suction)기에서 생성된 흡입 압축공기를 집진기에서 배기되는 제1배기부로부터 공급받아 진공상태로 변환하여 제2배기부로 배기시켜 주는 진공변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압축공기에 의해 작업장(900)에 잔존하는 잔해물을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잔해물이 역류차단부를 거쳐 슬라이딩(Sliding)부가 형성된 포집실에 포집되는 집진기; 상기 집진기의 드레인(Drain)부에 연결되고, 제어부에서 설정된 기준시간에 따라 닫힘과 열림으로 가변 작동하는 제1제어밸브(Valve); 상기 제1제어밸브에 연결된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잔해물이 집하되는 집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집진기를 이용하여 주택, 아파트, 건물 등과 같은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잔해물을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압축공기 흡입 방식의 이동식 집진기를 이용하여 작업장의 잔해물을 포집한 다음 드레인부를 통해 외부에 구비된 집하부에 배출시켜 주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지구촌은 산업의 발전과 함께 환경오염이 심각해지면서 이를 규제하기 위한 관련 법규도 한층 더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컨대, 각종 다양한 형틀에 의해 제작되는 주물 작업을 비롯한 페인트를 사용하는 스프레이 도장작업, 고무 타이어 제조작업, 섬유 및 피혁의 염색작업, 도금에 의한 금속의 표면처리작업 등을 수행할 때 발생하는 분진이나 쇳가루, 고무가루, 유기 화합물 등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각종 오염된 공기나 물질들을 그대로 작업장으로부터 실외로 배출시켜 주변 환경을 크게 오염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61462호(2004년 08월 31일)로 등록된 '실내공기 정화장치(이를 '문헌 1'이라 한다.)'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 언급된 문헌 1에 대해 살펴보면, 실내공기를 정화하여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용 정화유닛(10), 실내공기를 정화하여 실내로 되돌려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용 정화유닛(20), 오염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출용 정화유닛(10) 및 상기 순환용 정화유닛(20)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유닛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기 정화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복수 개의 제1 내지 제3필터(12, 13, 14), 원통형 필터(21)를 수시로 교체하거나 청소를 해주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고, 또한 작업장에 존재하는 상기 언급된 분진이나 쇳가루, 고무가루, 유기 화합물 등에 포함된 유해성 물질들을 포함하여, 특히 공사장 등에서 발생하는 무게가 있는 잔해물에 대해서는 신속하게 처리할 수 없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에어석션(Air Suction)기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진공변환기에서 진공상태로 변환시킨 압축공기 흡입 방식의 이동식 집진기를 이용하여 작업장의 잔해물을 포집한 다음 드레인부를 통해 외부에 구비된 집하부에 배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 에어석션(Air Suction)기에서 생성된 흡입 압축공기를 집진기에서 배기되는 제1배기부로부터 공급받아 진공상태로 변환하여 제2배기부로 배기시켜 주는 진공변환기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 압축공기에 의해 작업장에 잔존하는 잔해물을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잔해물이 역류차단부를 거쳐 슬라이딩(Sliding)부가 형성된 포집실에 포집되는 집진기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진기의 드레인(Drain)부에 연결되고, 제어부에서 설정된 기준시간에 따라 닫힘과 열림으로 가변 작동하는 제1제어밸브(Valve)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제어밸브에 연결된 배출관을 통해서 배출되는 잔해물이 집하되는 집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수단으로 에어석션(Air Suction)기에서 생성된 흡입 압축공기를 집진기에서 배기되는 제1배기부로부터 공급받아 진공상태로 변환하여 제2배기부로 배기시켜 주는 진공변환기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 압축공기에 의해 작업장에 잔존하는 잔해물을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잔해물이 역류차단부를 거쳐 슬라이딩(Sliding)부가 형성된 포집실에 포집되는 집진기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진기의 드레인(Drain)부에 연결되고, 제어부에서 설정된 기준부피와 부피감지부에서 감지된 잔해물의 감지부피를 비교하여 닫힘과 열림으로 가변 작동하는 제4제어밸브(Valve)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제어밸브에 연결된 배출관을 통해서 배출되는 잔해물이 집하되는 집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대한 구성수단 및 다양한 과정들은 첨부한 도면에 나타난 다양한 일실시사례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보다 더 명백하여 질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압축공기 흡입 방식의 집진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작업장 내에 잔존하는 각종 잔해물에 대한 신속한 제거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시켜 주고, 나아가서 쾌적한 작업환경을 유지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에 구비된 집하부에 집진기를 층간 이동하면서 잔해물을 일괄 배출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청소 인력과 시간을 줄여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잔해물에 대한 운반과 처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잔해물을 포집하기 위한 장치의 적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있어서, 집진기의 구성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제1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있어서, 집진기의 구성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제2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 있어서, 집진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잔해물을 포집하기 위한 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낸 제1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 있어서, 집진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잔해물을 포집하기 위한 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낸 제2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3에 있어서, 집진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잔해물을 포집하기 위한 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낸 제1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3에 있어서, 집진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잔해물을 포집하기 위한 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낸 제2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제어밸브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사례 테이블표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부피감지부 및 제2 내지 제4제어밸브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사례 테이블표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있어서, 집진기의 구성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제1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있어서, 집진기의 구성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제2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 있어서, 집진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잔해물을 포집하기 위한 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낸 제1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 있어서, 집진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잔해물을 포집하기 위한 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낸 제2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3에 있어서, 집진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잔해물을 포집하기 위한 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낸 제1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3에 있어서, 집진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잔해물을 포집하기 위한 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낸 제2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제어밸브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사례 테이블표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부피감지부 및 제2 내지 제4제어밸브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사례 테이블표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사례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도면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른 구성수단과 동작들은 적어도 하나의 일실시 사례로써 설명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로 인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적인 구성수단 및 일실시 사례들이 제한받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참고할 사항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각 도면들에 부호를 표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기되더라도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음에 특히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집진기를 이용한 잔해물 포집장치의 구성수단에 대해 그 일실시 사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주택, 아파트, 건물 등과 같은 건설현장이나 공사현장(이하 "작업장"이라고 함.)의 실내에서 발생하는 예컨대, 각종 쓰레기를 비롯한 흙, 자갈, 모래, 파편, 물, 분진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잔해물(410)을 집진기(100)를 이용하여 포집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이는 에어석션(Air Suction)기(300)(이를 "에어 컴프레서(Air Compressor)"라고도 함.)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에어(Air) 진공변환기(150)(이하 "진공변환기"라 함.)에서 진공상태로 변환시킨 압축공기 흡입 방식의 이동식 집진기(100)를 이용하여 싸이클론(Cyclone)을 발생하여 잔해물(410)을 포집한 다음 드레인(Drain)부(112)를 통해서 실외에 구비된 집하부(400) 즉, 쓰레기통에 배출시켜 주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집진기(100)에는 첨부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공변환기(150)가 일체로 구성되어 아파트 등과 같은 공사장의 경우 예컨대, 건물의 실내측에 비치시켜 주되 1층이나 2층 등에 컨베이어(Conveyor) 또는 사다리차 등에 의해 탑재되어 층간 이동시켜 가면서 흡입부(130)를 통해 작업장(900)의 잔해물(410)을 실외측에 구비된 집하부(400)에 편리하게 포집시켜 주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에어석션기(300)에서 생성된 흡입 압축공기를 집진기(100)에서 배기되는 제1배기부(710)로부터 공급받아 진공상태로 변환하여 제2배기부(720)로 배기시켜 주는 진공변환기(150)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진공변환기(150)는 잔해물(410)의 흡입을 위해 적어도 7바(Bar) 이상의 강한 진공 흡입력을 생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흡입 압축공기에 의해 작업장(900)에 잔존하는 앞에서 언급된 각종 잔해물(410)을 집진기(100)의 흡입구(131)에 연결된 흡입부(130)를 통해 흡입시켜 주는 구성으로 된다.
또한, 상기 집진기(100)는 흡입 압축공기와 함께 흡입부(130)를 통해서 흡입된 잔해물(410)이 역류차단부(121)를 거쳐 싸이클론(Cyclone) 방식에 의해 그 원심력으로 슬라이딩(Sliding)부(111)가 형성된 포집실(110)에 빠르게 포집되는 구성으로 된다.
상기 포집실(110)은 원뿔 또는 반원뿔 형상으로 구비시켜 주되, 이는 첨부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에 구비된 드레인부(112)를 기준으로 흡입구(131) 쪽으로 기울어지게 슬라이딩부(111)가 형성되도록 30 내지 60도 범위의 포집각(K1)으로 구비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나, 더 나아가서 15 내지 75도 범위의 포집각(K1)으로 구비시켜 주는 것에 의해 싸이클론을 발생하여 잔해물(410)에 대한 포집실(110)로의 유입을 한층 더 용이하게 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포집실(110)은 바퀴(부호 생략함.) 등과 같은 이동수단이 구비된 바디(Body)(101)로 둘러싼 형태로 구성시킨 것에 의해 건물의 층간 이동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실내의 작업장(900)을 이동하면서 잔해물(410)의 포집에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포집실(110)에 구비된 상기 역류차단부(121)는 물리적 또는 전기적인 방식에 의해 잔해물(410)이 포집실(110)에 포집되거나, 또는 잔해물(410)이 포집실(110)로부터 집하부(400)에 배출되는 동안에만 열려있고, 그 외에는 닫힘으로 복원되어 상기 포집실(110)에 포집된 잔해물(410)이 흡입구(131)를 통해 집진기(100) 밖으로 역배출되는 것을 방지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포집실(110)의 하부위에 구비된 드레인부(112)에는 잔해물(410)이 진공변환기(150) 쪽으로 역배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2제어밸브(620)에 연동되어 정작동타입(Type)으로 닫힘(CLOSED)과 열림(OPEN) 동작하는 역배출억제부(122)가 구성된다.
상기 역배출억제부(122)는 일방향으로 흐름 제어되는 체크밸브(Check Valve) 또는 이와 동등한 기능을 가진 물리적 또는 전기적인 방식으로 구비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또한 잔해물(410)이 포집실(110)로부터 집하부(400)에 배출되는 동안에만 열려있고, 그 외에는 닫힘으로 복원되어 상기 포집실(110)에 포집된 잔해물(410)이 진공변환기(150) 쪽으로 역배출되는 것을 방지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집진기(100)의 하부에 구비된 드레인부(112)에 연결되고, 작업장(900)의 환경을 비롯하여 잔해물(410)의 량이나 잔해물(410)의 종류 등에 따라 제어부(160)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T0)(이를 "설정시간"이라고도 함.) 예컨대, 5분, 10분, 20분 등으로 선택적인 설정에 의해 닫힘(CLOSED)과 열림(OPEN)으로 가변 작동하는 제1제어밸브(Valve)(610)가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60)는 바디(101)에 구비되고,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제반적인 설정과 제어를 위해 상기 바디(101)의 전면에 설치된 조작패널(Panel)을 통해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첨부된 도 4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제어밸브(610)가 닫힘(CLOSED)으로 작동하면, 이때 닫힘(CLOSED) 작동된 역배출억제부(122)를 통해 드레인부(112)에 연결된 제2제어밸브(620)가 닫힘(CLOSED) 작동함과 함께 제2배기부(720)에 연결된 제3제어밸브(630)가 열림(OPEN) 작동하게 된다.
나아가서, 에어석션기(300)에서 생성된 흡입 압축공기에 의해 집진기(100)의 제1배기부(710)로부터 연결관(820)으로 배출되는 압축공기는 진공변환기(150)에서 진공상태로 변환되어, 상기 제3제어밸브(630)를 거쳐 제2배기부(720)를 통해 대기 즉, 외부로 배기시켜 주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에어석션기(300)에서 생성된 흡입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작업장(900) 내에 잔존하는 무게가 있는 잔해물(410)은 흡입부(130)을 통해 집진기(100)의 포집실(110)에 역류차단부(121)를 거쳐 빠르게 포집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배기부(710) 및 제2배기부(720)에 구비된 제1필터(Filter)(711)와 제2필터(Filter)(721)는 집진기(100)를 통해서 유입된 잔해물(410)에 포함된 미세 먼지 즉, 분진 등을 필터를 거쳐 정화처리하여 줌으로써, 압축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대기 오염 문제를 방지하여 깨끗한 환경을 유지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반면에, 첨부된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제어밸브(610)가 열림(OPEN) 작동하면, 이때 열림(OPEN) 작동된 역배출억제부(122)를 통해 드레인부(112)에 연결된 제2제어밸브(620)가 열림(OPEN) 작동함과 함께 제2배기부(720)에 연결된 제3제어밸브(630)가 닫힘(CLOSED) 작동하게 된다.
나아가서, 에어석션기(300)에서 생성된 흡입 압축공기에 의해 집진기(100)의 제1배기부(710)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는 진공변환기(150)에서 진공상태로 변환되어, 상기 드레인부(112)에 연결된 제1제어밸브(610)를 거쳐 배출관(810)을 통해 포집실(110)의 잔해물(410)을 외부에 구비된 집하부(400)에 빠르게 배출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에어석션기(300)에서 생성된 흡입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작업장(900) 내에 잔존하는 무게가 있는 잔해물(410)은 흡입부(130)을 통해 집진기(100)의 포집실(110)에 역류차단부(121)를 거쳐 빠르게 포집시켜 줌과 함께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드레인부(112)에 연결되어 열림(OPEN) 작동 중인 제1제어밸브(610)를 거쳐 배출관(810)을 통해 포집실(110)에 포집된 잔해물(410)을 빠르게 배출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첨부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제어밸브(610)에 연동되어 종속으로 작동하는 제2제어밸브(Valve)(620)와 제3제어밸브(Valve)(630) 중에서 상기 제2제어밸브(620)는 제1제어밸브(610)와 정작동하는 타입(Type)이고, 상기 제3제어밸브(630)는 제1제어밸브(610)와 역작동하는 타입(Type)으로 구성시켜 주는 것에 의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제어밸브(610)에 연결된 배출관(810)을 통해 배출되는 잔해물(410)을 일괄적으로 집하시켜 주기 위해 외부에 구비된 집하부(400) 즉, 쓰레기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는 첨부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집진기(100)의 드레인(Drain)부(112)에 연결되고, 앞에서 언급된 제어부(160)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부피(V0)(이를 "설정부피"이라고도 함.)와 부피감지부(140)에서 실제로 감지된 잔해물(410)의 감지부피(V1)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닫힘(CLOSED)과 열림(OPEN)으로 가변 작동하는 제4제어밸브(Valve)(640)가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기준부피(V0)와 감지부피(V1)는 포집실(110)에 채워지는 잔해물(410)의 량을 설정하거나 이를 감지하기 위한 부피를 의미하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6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부피감지부(140)에서 감지된 잔해물(410)의 감지부피(V1)가 제어부(160)에서 설정된 기준부피(V0) 예컨대, 첨부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집실(11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부피감지부(140)가 설치된 높이 즉, 30Cm, 50Cm, 80Cm 등과 같이 선택적으로 설정된 높이보다 낮으면 다시 말해서, 잔해물(410)의 포집량(이를 "부피"라고도 함.)이 적으면(V1<V0), 이때 제4제어밸브(640)가 닫힘(CLOSED) 작동하여 닫힘(CLOSED) 작동된 역배출억제부(122)를 통해 드레인부(112)에 연결관(820)으로 연결된 제2제어밸브(620)가 닫힘(CLOSED) 작동함과 함께 제2배기부(720)에 연결된 제3제어밸브(630)가 열림(OPEN) 작동하게 된다.
나아가서, 에어석션기(300)에서 생성된 흡입 압축공기에 의해 집진기(100)의 제1배기부(710)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는 진공변환기(150)에서 진공상태로 변환되어, 상기 제3제어밸브(630)를 거쳐 제2배기부(720)를 통해 외부에 대기로 배기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기준부피(V0)는 작업장(900)의 환경을 비롯하여 잔해물(410)의 량이나 잔해물(410)의 종류 등에 따라 제어부(160)에서 미리 설정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에어석션기(300)에서 생성된 흡입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작업장(900) 내에 잔존하는 무게가 있는 잔해물(410)은 흡입부(130)을 통해 집진기(100)의 포집실(110)에 역류차단부(121)를 거쳐 빠르게 포집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배기부(710) 및 제2배기부(720)에 구비된 제1필터(Filter)(711)와 제2필터(Filter)(721)는 집진기(100)를 통해서 유입된 잔해물(410)에 포함된 미세 먼지 즉, 분진 등을 필터를 거쳐 정화처리하여 줌으로써, 압축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대기 오염 문제를 방지하여 깨끗한 환경을 유지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반면에, 첨부된 도 7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부피감지부(140)에서 감지된 잔해물(410)의 감지부피(V1)가 제어부(160)에서 설정된 기준부피(V0) 예컨대, 첨부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집실(11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부피감지부(140)가 설치된 높이 즉, 30Cm, 50Cm, 80Cm 등과 같이 선택적으로 설정된 높이보다 높으면 다시 말해서, 잔해물(410)의 포집량(이를 "부피"라고도 함.)이 많으면(V1>V0), 이때 제4제어밸브(640)가 열림(OPEN) 작동하여 열림(OPEN) 작동된 역배출억제부(122)를 통해 드레인부(112)에 연결관(820)으로 연결된 제2제어밸브(620)가 열림(OPEN) 작동함과 함께 제2배기부(720)에 연결된 제3제어밸브(630)가 닫힘(CLOSED) 작동하게 된다.
나아가서, 에어석션기(300)에서 생성된 흡입 압축공기에 의해 집진기(100)의 제1배기부(710)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는 진공변환기(150)에서 진공상태로 변환되어, 상기 드레인부(112)에 연결된 제4제어밸브(640)를 거쳐 배출관(810)을 통해 포집실(110)의 잔해물(410)을 빠르게 배출시켜 주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에어석션기(300)에서 생성된 흡입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작업장(900) 내에 잔존하는 무게가 있는 잔해물(410)은 흡입부(130)을 통해 집진기(100)의 포집실(110)에 역류차단부(121)를 거쳐 빠르게 포집시켜 줌과 함께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드레인부(112)에 연결되어 열림(OPEN) 작동 중인 제4제어밸브(640)를 거쳐 배출관(810)을 통해 포집실(110)에 포집된 잔해물(410)을 빠르게 배출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첨부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4제어밸브(640)에 연동되어 종속으로 작동하는 제2제어밸브(Valve)(620)와 제3제어밸브(Valve)(630) 중에서 상기 제2제어밸브(620)는 제4제어밸브(640)와 정작동하는 타입(Type)이고, 상기 제3제어밸브(630)는 제4제어밸브(610)와 역작동하는 타입(Type)으로 구성시켜 주는 것에 의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4제어밸브(640)에 연결된 배출관(810)을 통해 배출되는 잔해물(410)을 일괄적으로 집하시켜 주기 위해 외부에 구비된 집하부(400) 즉, 쓰레기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앞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부피감지부(140)의 동작에 추가되어 상기 제1제어밸브(610)에 대해 제어부(160)에서 설정된 기준시간(T0) 예컨대, 5분, 10분, 20분 등으로 선택적인 설정에 의해 닫힘(CLOSED)과 열림(OPEN)으로 가변 작동하도록 하는 병행적 구성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포집실(110)에 포집된 잔해물(410)을 배출관(810)을 통해서 집하부(400)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수단으로 첫째, 제1제어밸브(610)가 작동하도록 제어부(160)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T0)과 둘째, 제어부(160)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부피(V0)에 대한 부피감지부(140)에서 감지되는 잔해물(410)의 감지부피(V1) 중에서 비교하여, 예컨대 상기 기준시간(T0)과 기준부피(V0)의 설정치(이를 "설정 값"이라고도 함.)에 먼저 도달한 쪽을 우선으로 제어시켜 주는 것에 의해 잔해물(410)에 대한 포집과 집하부(400)로의 배출을 좀 더 병행적인 수단에 의해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만약에 상기 기준시간(T0)의 설정치에 먼저 도달할 경우에는 제1제어밸브(610)가 우선적으로 작동하게 될 것이고, 그에 따른 동작은 앞에서 이미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하기에 생략하기로 한다.
반면에, 상기 기준부피(V0)의 설정치에 잔해물(410)의 감지부피(V1)가 먼저 도달할 경우에는 상기 제1제어밸브(610)는 부피감지부(140)의 동작에 연동되어 열림(OPEN) 작동하고, 이와 더불어 열림(OPEN) 작동된 역배출억제부(122)를 통해 드레인부(112)에 연결된 제2제어밸브(620)가 열림(OPEN) 작동함과 함께 제2배기부(720)에 연결된 제3제어밸브(630)가 닫힘(CLOSED) 작동하게 된다.
나아가서, 에어석션기(300)에서 생성된 흡입 압축공기에 의해 집진기(100)의 제1배기부(710)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는 진공변환기(150)에서 진공상태로 변환되어, 상기 드레인부(112)에 연결된 제1제어밸브(610)를 거쳐 배출관(810)을 통해 포집실(110)의 잔해물(410)을 외부에 구비된 집하부(400)에 빠르게 배출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에어석션기(300)에서 생성된 흡입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작업장(900) 내에 잔존하는 무게가 있는 잔해물(410)은 흡입부(130)을 통해 집진기(100)의 슬라이딩부(111)가 형성된 포집실(110)에 역류차단부(121)를 거쳐 빠르게 포집시켜 줌과 함께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드레인부(112)에 연결되어 열림(OPEN) 작동 중인 제1제어밸브(610)를 거쳐 배출관(810)을 통해 포집실(110)에 포집된 잔해물(410)을 빠르게 배출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 850은 집진기(100), 진공변환기(150), 에어석션(300), 집하부(400) 간에 연결관(820)이나 배출관(810) 등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커플링(Coupling)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내지 제4제어밸브(610 내지 640)는 제어부(160)에 의해 닫힘(CLOSED)과 열림(OPEN)으로 가변 작동하는 솔레노이드밸브(Solenoid Valve)로 구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압축공기 흡입 방식의 집진기(100)를 이용하기 때문에 작업장(900) 내에 잔존하는 각종 잔해물(410)에 대한 신속한 제거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시켜 줌과 함께 쾌적한 작업환경을 유지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에 구비된 집하부(400)에 집진기(100)를 층간 이동하면서 잔해물(410)을 일괄 배출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청소 인력과 시간을 줄여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잔해물(410)에 대한 운반과 처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 등이 가능함을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언급된 바와 같은 다양한 일실시사례들에 기재된 내바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함이 람직할 것이다.
100 : 집진기
101 : 바디(Body)
110 : 포집실
111 : 슬라이딩(Sliding)부
112 : 드레인(Drain)부
121 : 역류차단부
122 : 역배출억제부
130 : 흡입부
131 : 흡입구
140 : 부피감지부
150 : 진공변환기
300 : 에어석션(Air Suction)기
400 : 집하부
410 : 잔해물
160 : 제어부
610 : 제1제어밸브(Valve)
620 : 제2제어밸브(Valve)
630 : 제3제어밸브(Valve)
640 : 제4제어밸브(Valve)
710 : 제1배기부
711 : 제1필터(Filter)
720 : 제2배기부
721 : 제2필터(Filter)
810 : 배출관
820 : 연결관
850 : 커플링(Coupling)
900 : 작업장
101 : 바디(Body)
110 : 포집실
111 : 슬라이딩(Sliding)부
112 : 드레인(Drain)부
121 : 역류차단부
122 : 역배출억제부
130 : 흡입부
131 : 흡입구
140 : 부피감지부
150 : 진공변환기
300 : 에어석션(Air Suction)기
400 : 집하부
410 : 잔해물
160 : 제어부
610 : 제1제어밸브(Valve)
620 : 제2제어밸브(Valve)
630 : 제3제어밸브(Valve)
640 : 제4제어밸브(Valve)
710 : 제1배기부
711 : 제1필터(Filter)
720 : 제2배기부
721 : 제2필터(Filter)
810 : 배출관
820 : 연결관
850 : 커플링(Coupling)
900 : 작업장
Claims (12)
- 에어석션기(300)에서 생성된 흡입 압축공기를 집진기(100)에서 배기되는 제1배기부(710)로부터 공급받아 진공상태로 변환하여 제2배기부(720)로 배기시켜 주는 진공변환기(150);
상기 흡입 압축공기에 의해 작업장(900)에 잔존하는 잔해물(410)을 흡입하는 흡입부(130);
상기 흡입부(130)를 통해 흡입된 잔해물(410)이 역류차단부(121)를 거쳐 슬라이딩부(111)가 형성된 포집실(110)에 포집되는 집진기(100);
상기 집진기(100)의 드레인부(112)에 연결되고, 제어부(160)에서 설정된 기준시간(T0)에 따라 닫힘(CLOSED)과 열림(OPEN)으로 가변 작동하는 제1제어밸브(610);
상기 제1제어밸브(610)에 연결된 배출관(116)을 통해 배출되는 잔해물(410)이 집하되는 집하부(4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를 이용한 잔해물 포집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밸브(610)가 닫힘(CLOSED) 작동하면 닫힘(CLOSED) 작동된 역배출억제부(122)를 통해 드레인부(112)에 연결된 제2제어밸브(620)가 닫힘(CLOSED) 작동함과 함께 제2배기부(720)에 연결된 제3제어밸브(630)가 열림(OPEN) 작동하고, 에어석션기(300)에서 생성된 흡입 압축공기에 의해 집진기(100)의 제1배기부(710)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는 진공변환기(150)에서 진공상태로 변환되어, 상기 제3제어밸브(630)를 거쳐 제2배기부(720)를 통해 대기로 배기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를 이용한 잔해물 포집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밸브(610)가 열림(OPEN) 작동하면 열림(OPEN) 작동된 역배출억제부(122)를 통해 드레인부(112)에 연결된 제2제어밸브(620)가 열림(OPEN) 작동함과 함께 제2배기부(720)에 연결된 제3제어밸브(630)가 닫힘(CLOSED) 작동하고, 에어석션기(300)에서 생성된 흡입 압축공기에 의해 제1배기부(710)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는 진공변환기(150)에서 진공상태로 변환되어, 상기 드레인부(112)에 연결된 제1제어밸브(610)를 거쳐 배출관(810)을 통해 포집실(110)의 잔해물(410)을 배출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를 이용한 잔해물 포집장치.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밸브(610)에 연동되어 종속으로 작동하는 제2제어밸브(620)와 제3제어밸브(630) 중에서 상기 제2제어밸브(620)는 제1제어밸브(610)와 정작동타입(Type)이고, 상기 제3제어밸브(630)는 제1제어밸브(610)와 역작동타입(Ty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를 이용한 잔해물 포집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밸브(610)가 작동하도록 제어부(160)에서 설정된 기준시간(T0)과 제어부(160)에서 설정된 기준부피(V0)에 대한 부피감지부(140)에서 감지되는 잔해물(410)의 감지부피(V1)를 비교하여, 상기 기준시간(T0)과 기준부피(V0)의 설정치 중에서 먼저 도달한 쪽을 우선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를 이용한 잔해물 포집장치.
- 에어석션기(300)에서 생성된 흡입 압축공기를 집진기(100)에서 배기되는 제1배기부(710)로부터 공급받아 진공상태로 변환하여 제2배기부(720)로 배기시켜 주는 진공변환기(150);
상기 흡입 압축공기에 의해 작업장(900)에 잔존하는 잔해물(410)을 흡입하는 흡입부(130);
상기 흡입부(130)를 통해 흡입된 잔해물(410)이 역류차단부(121)를 거쳐 슬라이딩부(111)가 형성된 포집실(110)에 포집되는 집진기(100);
상기 집진기(100)의 드레인부(112)에 연결되고, 제어부(160)에서 설정된 기준부피(V0)와 부피감지부(140)에서 감지된 잔해물(410)의 감지부피(V1)를 비교하여 닫힘(CLOSED)과 열림(OPEN)으로 가변 작동하는 제4제어밸브(640);
상기 제4제어밸브(640)에 연결된 배출관(116)을 통해 배출되는 잔해물(410)이 집하되는 집하부(4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를 이용한 잔해물 포집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피감지부(140)에서 감지된 잔해물(410)의 감지부피(V1)가 제어부(160)에서 설정된 기준부피(V0)보다 작으면(V1<V0)), 제4제어밸브(640)가 닫힘(CLOSED) 작동하여 닫힘(CLOSED) 작동된 역배출억제부(122)를 통해 드레인부(112)에 연결된 제2제어밸브(620)가 닫힘(CLOSED) 작동함과 함께 제2배기부(720)에 연결된 제3제어밸브(630)가 열림(OPEN) 작동하고, 에어석션기(300)에서 생성된 흡입 압축공기에 의해 집진기(100)의 제1배기부(710)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는 진공변환기(150)에서 진공상태로 변환되어, 상기 제3제어밸브(630)를 거쳐 제2배기부(720)를 통해 대기로 배기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를 이용한 잔해물 포집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피감지부(140)에서 감지된 잔해물(410)의 감지부피(V1)가 제어부(160)에서 설정된 기준부피(V0)보다 크면(V1>V0)), 제4제어밸브(640)가 열림(OPEN) 작동하여 열림(OPEN) 작동된 역배출억제부(122)를 통해 드레인부(112)에 연결된 제2제어밸브(620)가 열림(OPEN) 작동함과 함께 제2배기부(720)에 연결된 제3제어밸브(630)가 닫힘(CLOSED) 작동하고, 에어석션기(300)에서 생성된 흡입 압축공기에 의해 제1배기부(710)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는 진공변환기(150)에서 진공상태로 변환되어, 상기 드레인부(112)에 연결된 제1제어밸브(610)를 거쳐 배출관(810)을 통해 포집실(110)의 잔해물(410)을 배출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를 이용한 잔해물 포집장치.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제어밸브(610)에 연동되어 종속으로 작동하는 제2제어밸브(620)와 제3제어밸브(630) 중에서 상기 제2제어밸브(620)는 제4제어밸브(640)와 정작동타입(Type)이고, 상기 제3제어밸브(630)는 제4제어밸브(640)와 역작동타입(Ty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를 이용한 잔해물 포집장치.
-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실(110)은 드레인부(112)를 기준으로 흡입구(131) 쪽으로 슬라이딩부(111)가 형성되게 15 내지 75도의 포집각(K1)으로 구비되고, 이동 가능한 바디(Body)(101)로 둘러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를 이용한 잔해물 포집장치.
-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실(110)에 구비된 역류차단부(121)는 잔해물(410)이 포집실(110)에 포집되거나, 또는 잔해물(410)이 상기 포집실(110)로부터 집하부(400)에 배출되는 동안에만 열림(OPEN)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를 이용한 잔해물 포집장치.
-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실(110)의 드레인부(112)에는 잔해물(410)이 진공변환기(150) 쪽으로 역배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제2제어밸브(620)와 정작동타입(Type)으로 동작하는 역배출억제부(12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를 이용한 잔해물 포집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7178A KR20170095587A (ko) | 2016-02-15 | 2016-02-15 | 집진기를 이용한 잔해물 포집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7178A KR20170095587A (ko) | 2016-02-15 | 2016-02-15 | 집진기를 이용한 잔해물 포집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5587A true KR20170095587A (ko) | 2017-08-23 |
Family
ID=59759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7178A KR20170095587A (ko) | 2016-02-15 | 2016-02-15 | 집진기를 이용한 잔해물 포집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95587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838113A (zh) * | 2018-05-23 | 2018-11-20 | 邓志明 | 一种建筑监测用监测系统机箱除尘设备 |
-
2016
- 2016-02-15 KR KR1020160017178A patent/KR20170095587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838113A (zh) * | 2018-05-23 | 2018-11-20 | 邓志明 | 一种建筑监测用监测系统机箱除尘设备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E602008002635D1 (de) | Staubsaugvorrichtung mit automatischer Filterreinigung | |
CN101879395B (zh) | 一种滤芯组件及其除尘装置 | |
MX2007002690A (es) | Aparato para limpiar pisos con sistema de limpieza de filtro. | |
CN107692924B (zh) | 一种多功能吸尘器 | |
KR101823839B1 (ko) | 중앙 집진식 진공 청소 시스템 | |
KR20170095587A (ko) | 집진기를 이용한 잔해물 포집장치 | |
US4745655A (en) | Air-powered vacuum-producing apparatus | |
CN207429929U (zh) | 一种建筑工地用除尘装置 | |
KR20120029061A (ko) | 집진기 차량 | |
CN211815905U (zh) | 一种多功能道路污染清除车 | |
CN205412554U (zh) | 一种油磨除尘设备 | |
CN105289187A (zh) | 一种油磨除尘设备 | |
CN206391779U (zh) | 一种中央集尘工作站 | |
KR101433087B1 (ko) | 음압과 양압에 의해 실내를 청소하는 붙박이 청소기 | |
CN208320337U (zh) | 一种地砖切割用除灰装置 | |
US20160058254A1 (en) | Exhaust Turbulence Attenuator for Industrial and Shop Vacuum Cleaning Units | |
CN213356308U (zh) | 一种原料堆存用防尘装置 | |
CN109260861B (zh) | 一种建筑施工用降尘装置 | |
KR101572436B1 (ko) | 구석 청소 기능이 있는 진공청소기 | |
KR100878427B1 (ko) | 이중 탱크 구조의 잔수 처리장치 | |
KR101656998B1 (ko) | 분산 설치된 집진기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 |
CN204020681U (zh) | 一种吸运车 | |
CN216020845U (zh) | 一种新型积水收集装置 | |
CN209349243U (zh) | 一种火化机床面粉尘处理装置 | |
KR100488464B1 (ko) |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