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5532A - 비정상 상황을 고려한 sd 기반 다중수원 워터루프 수운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정상 상황을 고려한 sd 기반 다중수원 워터루프 수운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5532A
KR20170095532A KR1020160017034A KR20160017034A KR20170095532A KR 20170095532 A KR20170095532 A KR 20170095532A KR 1020160017034 A KR1020160017034 A KR 1020160017034A KR 20160017034 A KR20160017034 A KR 20160017034A KR 20170095532 A KR20170095532 A KR 20170095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onitoring
regional
treatment pla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9681B1 (ko
Inventor
김영화
Original Assignee
한국농어촌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농어촌공사 filed Critical 한국농어촌공사
Priority to KR1020160017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681B1/ko
Publication of KR20170095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2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supply for industr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Fina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취수된 다중수원을 워터블랜딩하여 저류하는 지역별 워터플랫폼과, 지역별 원터플랫폼에서 블랜딩된 원수를 정수하도록 지역별로 설치되는 지역별 정수처리장과, 지역별 정수처리장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공급되어 저장되는 지역별 배수지와, 지역별 배수지의 처리수를 해당 지역의 물 사용처로 공급하는 메인 송수 경로와, 지역별 정수처리장 또는 배수지를 타지역의 배수지 또는 정수처리장과 연결하는 연계수로망과, 다중수원의 취수 수질과 정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수질과 정수처리장에서 배출되는 처리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처리수 수질 모니터링장치, 다중수원의 취수량부터 배수지에서의 공급량까지의 수량을 지역별로 모니터링하는 처리수량 모니터링장치, 워터플랫폼과 정수처리장과 연계수로망과 배수지 각각의 처리용량과 운용에너지 및 송수펌프의 펌핑용량 및 에너지소비율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서버, 워터플랫폼과 정수처리장과 연계수로망 및 배수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지역별 시설의 이상발생을 확인하고 각 시설의 이상발생을 예측하는 비상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비상상황 모니터링 장치에서 전달받은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지역별로 다중수원을 취수하여 처리된 처리수를 연계수로망을 이용하여 배분공급하도록 관리하는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상 상황을 고려한 SD 기반 다중수원 워터루프 수운영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비정상 상황을 고려한 SD 기반 다중수원 워터루프 수운영 시스템{A water-loop operating system for allocationing and supplying multy-water source using SD}
본 발명은 지표수, 지하수, 해수, 우수 등 다중수원을 모니터링하여 수질과 수량을 고려하여 취수하여 워터 플랫폼에 저류하여 수처리 장치를 통하여 사용처가 원하는 수질의 수량을 안정적, 효율적으로 배분관리 할 수 있으며 비정상 상황을 고려하여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정상 상황을 고려한 SD 기반 다중수원 워터루프 수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물 이용은 하천호수의 물을 정화하여 사용자에게 송수하여 사용한 후 생활하수를 처리하여 하천에 방류하는 일방향 형태의 물공급시스템으로 이 시스템의 문제는 물의 운반과 처리에 많은 에너지 및 코스트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대량의 물을 확보할 수 있는 강이나, 하천, 댐, 저수지 등의 수자원을 이용하기 위한 수처리시설을 현장에 설치하고, 수처리시설로부터 수처리수 사용처로 물을 공급하는 시스템에 대부분이다. 이러한 종래의 수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대규모의 수처리시설로부터 다양한 장소의 사용처로 동시에 처리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펌프시설, 배관시설, 배수지, 송수로 등의 설치비용이 증가함은 물론, 원거리에서 처리수를 공급함에 따라 환경부하가 크게 발생하여 에너지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수처리 및 분배시스템은 상수도망을 이용한 일방향 공급시스템으로서, 사용처에서 필요한 수질과 관계없이 음용수의 기준에 맞춰서 일괄적으로 수처리한 뒤, 필요한 모든 사용처(음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 등)로 공급하였다. 이와 같이, 사용처에 무관하게 음용수 기준으로 수처리하고, 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시설비용과 처리비용 및 수송 비용이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각 지역 내에 크고 작은 하천수, 빗물, 하수, 지하수, 해수 등의 수자원이 있음에도, 먼 곳에 대용량 댐 등의 시설을 만들고, 원거리로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종래의 수처리 및 분배시스템은 비효율적이고 고비용에 에너지낭비가 큰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42596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다중수원을 이용하여 처리수를 공급하되, 정수장, 취수장, 펌프시설, 배수지, 송수로 등의 주요 시설의 유량 및 수위 등의 계측정보를 모니터링하여 환경부하를 최소화하고,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비정상 상황을 고려한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기반으로 하는 다중수원 워터루프 수운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정상 상황을 고려한 SD 기반 다중수원 워터루프 수운영 시스템은, 복수의 지역마다 설치되어 취수된 다중수원을 워터블랜딩하여 저류하는 지역별 워터플랫폼; 상기 지역별 워터플랫폼에서 블랜딩된 원수를 정수하도록 지역별로 설치되는 지역별 정수처리장; 상기 지역별 정수처리장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공급되어 저장되는 지역별 배수지; 상기 지역별 배수지의 처리수를 해당 지역의 물 사용처로 공급하는 메인 송수경로; 상기 지역별 정수처리장 또는 배수지를 타지역의 배수지 또는 정수처리장과 연결하는 연계수로망; 상기 다중수원의 취수 수질과, 상기 정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수질, 상기 정수처리장에서 배출되는 처리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처리수 수질 모니터링장치; 상기 다중수원의 취수량부터 배수지에서의 공급량까지의 수량을 지역별로 모니터링하는 처리수량 모니터링장치; 상기 워터플랫폼, 상기 정수처리장, 상기 연계수로망, 상기 배수지 각각의 처리용량과 운용에너지 및 송수펌프의 펌핑용량 및 에너지소비율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서버; 상기 워터플랫폼, 정수처리장, 연계수로망 및 배수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각 지역별 시설의 이상발생을 확인하고, 각 시설의 이상발생을 예측하는 비상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비상상황 모니터링 장치에서 전달받은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지역별로 다중수원을 취수하여 처리된 처리수를 연계수로망을 이용하여 배분공급하도록 관리하는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비상상황 모니터링 장치는, 지역별 워터플랫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워터플랫폼 모니터링부; 지역별 정수처리장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모니터링부; 지역별 배수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배수지 모니터링부; 지역별 송수 경로를 모니터링하여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송수 경로 모니터링부; 지역별 연계 수로망을 모니터링하여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연계 수로망 모니터링부 및 지역별 기상정보를 수입하여 지역별 수처리 시설의 사고 발생을 예측하는 사고 예측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고예측 모니터링부는, 일기예보를 모니터링하는 일기예보정보 수집부; 상기 일기예보정보 수집부에서 수집한 정보 중 주요 정보를 필터링하는 필터링부; 및 상기 필터링부에서 필터링한 정보를 분석하여 사고유발 가중치를 생성하는 사고유발 가중치 생성부;를 포함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사고유발 가중치 생성부에서 생성된 사고유발 가중치를 기준으로 하여 사고 발생 가능성이 큰 시설이 위치한 주변지역의 시설에서의 수처리 용량을 증가하도록 운영제어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비정상 상황을 고려한 SD 기반 다중수원 워터루프 수운영 시스템에 따르면, 다중수원을 이용하여 지역별로 소규모의 워터플랫폼과 정수처리장을 설치하여 지역별 사용수를 자체 처리하여 제공함은 물론, 연계수로망을 이용하여 복수 지역의 처리수를 서로 분배공급함으로써, 시설비용을 줄이고 물부족을 해소할 수 있다.
특히, 환경부하를 최대한 줄여서 운영할 수 있도록 복수의 지역의 수처리시설을 선택적으로 운영관리함으로써 최적의 비용으로 처리수를 생산하여 공급할 수 있고, 처리수의 사용처별로 원하는 수질의 처리수를 생산하고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지역별 수처리 시설을 모니터링하여 비정상 상황을 확인하여 이를 고려하여 수운영을 제어하되, 특히 기상예보, 단전상황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사고유발 가중치를 생성하여 이를 수운영에 반영함으로써, 비상상황에 대해 미리 대처하여 물 부족 없이 원활하게 물을 공급하여 운영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정상 상황을 고려한 SD 기반 다중수원 워터루프 수운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정상 상황을 고려한 SD 기반 다중수원 워터루프 수운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비상상황 모니터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송수 경로 모니터링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사고예측 모니터링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다이내믹스 모델링을 위한 연구 대상 시스템의 인과관계도의 예시이다.
도 7은 다이내믹스 모델링 도구의 변수 및 의미를 설명하기 위한 도표이다.
도 8은 다이내믹스를 이용한 컴퓨터 모의 실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저수지로부터의 유출에 대한 인과지도와 스텔라모형을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저수지 다이내믹스 모형의 유한차분방정식을 보인 도표이다.
도 11은 다이내믹스 모델 개발을 위한 다중수원 용수공급시스템의 예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2는 다중수원 수운영 다이내믹스 모형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수원 지능적 배분공급 워터루프 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수원과 정수장, 배수조 등이 있는 시스템에서 수요처별 사용량을 공급하는데 필요한 다중수원의 취수계획, 공급배분계획을 시스템 다이내믹스 제어 프로세스(dynamics control process)를 이용하여 수립하고 운영하는데 특징이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수원 지능적 배분공급 워터루프 시스템은, 복수의 지역마다 설치되어 취수된 다중수원을 워터블랜딩하여 저류하는 지역별 워터플랫폼(10)과, 지역별 워터플랫폼(10)에서 블랜딩된 원수를 정수처리하도록 지역별로 설치되는 지역별 정수처리장(20)과, 각 지역별 정수처리장(20)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공급되어 저장되는 지역별 배수지(30)와, 지역별 배수지(30)의 처리수를 해당 지역의 물 사용처로 공급하는 메인 송수경로(40)와, 지역별 정수처리장(20) 또는 배수지(30)를 타지역의 배수지 또는 정수처리장과 연결하는 연계수로망(50)과, 처리수 수질 모니터링장치(60)와, 다중수원의 취수량부터 배수지에서의 공급량까지의 수량을 모니터링하는 처리수량 모니터링장치(70)와, 각종 시설정보 및 운영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서버(80), 지역별로 처리된 다중수원을 연계수로망(50)과 메인 송수경로(40)를 이용하여 지능적으로 분배공급하는 통합관리서버(90) 및 비상 상황 모니터링장치(100)를 구비한다.
지역별 워터플랫폼(10)은 지역별 다중 수원, 즉, 지역 내에서 이용 가능한 수원인 하천수, 빗물, 하수, 지하수, 해수 등을 취수하고, 취수된 다중수원을 워터블랜딩조(11)에서 블랜딩하고, 블랜딩된 원수를 저류조(12)로 이동시켜 저류시킨다. 저류조(12)에 저류된 원수는 도수펌프를 이용하여 지역별로 구비된 정수처리장(20)으로 송수한다. 이때, 지역별 이용 가능한 수원을 취수할 때, 다중수원의 수질을 측정하고, 수질에 따라서 수원별 취수량을 결정하고, 블랜딩조(11)에서의 블랜딩 혼합비율을 적절히 조절하여 적정 수질(탁도 기준) 이상의 원수를 확보하여 정수처리장(2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지역별 워터플랫폼(10)의 블랜딩조(11)의 유량과, 다중수원의 유입량과, 수질 각각이 측정되어 통합관리서버(90)로 전송된다. 그리고 워터플랫폼(10)에서 배출되는 원수의 송수를 위한 펌프(13)의 용량과 환경부하 정보는 데이터서버(80)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또한, 원터플랫폼(10)은 하나의 정수장을 기준으로 가까운 인접 지역에서는 복수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정수처리장(20)은 지역별 취수되는 다중원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수처리시설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정수처리장(20)은 내륙의 경우에는 음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를 구분하여 수처리할 수 있는 수처리시설위주로 구비될 수 있고, 해안 도서지역의 경우에는 해수 담수화설비를 포함하는 정수처리시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지역별 다중원수의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별 정수처리장(20)의 처리용량, 처리부하, 처리수의 수질 등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고, 이러한 정수처리장(20)의 초기 수처리량과, 수처리 시설 처리용량, 오염부하에 따른 수처리 용량 및 수처리단가 등의 정보가 데이터서버(80)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상기 배수지(30)는 처리수의 사용처(도심지, 공업단지, 농업단지 등)별로 사용처의 근거리에 설치되어, 상기 각 정수처리장(20)에서 수처리된 처리수가 송수관을 통해 공급되어 저장된다. 이러한 배수지(30)는 설치된 지역별로 그 운용용량(배수지 버퍼용량), 저장용량이 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배수지(30)별 용량과, 초기용량, 운영효율 등의 설비정보가 데이터서버(80)에 저장된다. 그리고 배수지(30)의 수위, 유입량, 배출량 등이 측정되어 통합관리서버(90)로 전달된다.
상기 배수지(30)는 단일 정수처리장(20)에 대비하여 단일형으로 구비되거나, 분산형으로 사용처별로 또는 수질급수별로 구분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배수지(30)와 처리수 사용처 간에 물공급을 위해서 메인 송수경로(40)가 구비되며, 이 메인 송수경로(40)는 소블록, 중블록, 대블록 단위로 구분되는 물 사용처별로 분기되어 연결되고, 각각의 블록 내에서는 별도의 지선들이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계수로망(50)은 서로 다른 지역에 설치된 정수장(20)과 배수지(30)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복수가 서로 교차연결될 수 있다. 즉, 복수 지역의 복수의 정수처리장(20) 및 복수의 배수지(30)가 서로 네트워크망 형식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연계수로망의 관로의 관경, 길이, 재질, 펌프 등의 정보가 데이터서버(80)에 저장된다. 각 연계수로망(50) 마다 송수펌프와 밸브 등이 설치되며, 연계수로망(50)을 이용한 처리수의 이송방향과 이송량 등은 통합관리서버(90)에 의해 통제되고 제어될 수 있다.
처리수 수질 모니터링장치(60)는 지역별로 취수되는 다중수원 각각의 수질을 측정하는 취수원 수질센서(61)와, 블랜딩조(11)에서 혼합된 뒤 이송되어 저류되는 저류조(12)의 수질을 측정하는 저류조 수질센서(62), 정수처리장(20)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처리장 유입수 수질센서(63)와, 정수처리장(20)에서 처리된 처리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처리수 수질센서(64)와, 배수지(30)에 저장된 배수지 수질센서(65)를 구비한다. 또한, 배수지(30)에서 사용처로 공급되는 배수망의 수질을 측정하는 배수망 수질센서(66)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처리수 수질 모니터링장치(60)는 지역별로 정수 처리를 위해 취수하는 다중수원의 수질부터 사용처에서 사용되기 직전의 처리수까지 각 단계에서 수질을 측정하여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수질측정 정보는 통합관리서버(90)로 제공된다.
상기 처리수량 모니터링장치(70)는 지역별로 수처리를 위해 취수되는 다중수원의 취수량을 측정하는 취수량 유량계(71)와, 블랜딩조(71)의 수위를 측정하는 블랜딩조 수위센서(72), 저류조(12)의 수위를 측정하는 저류조 수위센서(73), 저류조(12)에서 정수처리장(20)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유입량을 측정하는 원수 유량계(74)와, 각 정수처리장(20)에서 처리된 뒤 배출되는 처리수 배출량을 측정하는 처리수 배출유량계(75)와, 배수지(30)로 유입되는 처리수의 유입량을 측정하는 처리수 유입유량계(76)와, 배수지(30)의 수위를 측정하는 배수지 수위센서(77)와, 배수지(30)에서 배출되는 처리수의 배출량을 측정하는 배수지 배출유량계(78)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외에도, 처리수량 모니터링장치(70)는 연계수로망(50)을 통해 이송되는 처리수의 양을 측정하도록 연계망에 설치되는 별도의 연계망별 유량계(79a,79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처리수량 모니터링장치(70)는 각 지역의 다중수원의 취수량부터, 각 배수지(30)에서의 배출량까지 처리수의 이송단계별로 유량 및 수위를 측정하고, 측정한 정보를 통합관리서버(90)로 전달한다.
상기 저장부(80;데이터 서버)에는 지역별로 설치되는 워터플랫폼(10)의 용량, 운영효율(운영비용 등 포함), 환경부하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80)에는 지역별 정수처리장(20)의 처리용량, 수질별 처리능력, 수질별 처리비용 등의 정보가 저장되며, 지역별 배수조(30)의 용량과, 각 처리수의 이송단계에서 운용되는 펌프들의 용량과, 처리부하, 에너지효율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80)에는 지역별 처리수 사용처별로 처리수 사용량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계절별, 날씨별, 요일별로 누적된 통계치에 의해 사용처별로 음용수, 농업용수, 공급용수 등의 평균사용량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기존의 평균사용량을 기반으로 하여 산출된 예상사용량 등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80)에는 지역별로 야간 전기요금 적용시간대, 배수지 운영룰(야간 전기요금 적용시간대의 시작시각에 배수지 수위가 최저가 되도록 하고, 야간 전기요금 적용 시간대의 끝 시간에 배수지 수위가 최대로 되도록 함) 등의 정보가 저장관리될 수 있다.
상기 통합관리서버(90)는 저장부(80)에 저장된 정보들과, 상기 처리수 수질 모니터링장치(60) 및 처리수량 모니터링장치(70)에서 전달받은 정보를 근거로 하여 물 수송에 관련된 환경부하를 최소화하고, 에너지의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사용처별로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 지역에서 다중수원으로 취수되어 처리된 처리수를 분배공급하도록 전체 처리수 처리공정 및 배수공정을 제어관리한다. 즉, 통합관리서버(90)는 워터플랫폼, 정수처리장, 배수지, 송수로, 연계망, 펌프시설 등의 주요시설의 유량, 수질, 수위 등의 계측정보를 종합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각 배수지의 버퍼용량, 배수지와 배수지 간의 용수융통 및 송배수펌프의 최적운영을 통해 각 시설의 운영관리가 가장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별도의 입력부를 통해 각 시설의 운전계획을 설정할 수 있고, 수회 내지 수일 분에 걸친 운영계획을 미리 입력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시설마다 운전계획 중 해당 시설에 관한 제어량의 목표치를 송신하여 시설운전 지침으로 적용하도록 통제할 수 있다. 특히, 물의 지능적인 배분공급을 위해서는 각종 시설의 연계를 고려한 운영계획을 마련하고, 그에 따라 통제 및 제어관리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각각의 시설, 설비의 효율향상과 시설의 적절한 연계운용에 의하여 전체로서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효율적인 분배공급을 위해서는 시설의 환경부하를 고려해야 하는데, 그 중 고려 대상으로는 도수에 필요한 소비에너지가 있다. 또한, 강우에 의한 하천원수 탁도 상승시에 취수를 억제하는 고탁도시 피크 커트를 고려하여 정수오니의 발생량을 제거할 수 있다.
환경부하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펌프시설에서 정격유량에 대한 대수운전 등 효율이 높은 운전조건이 되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효율이 높은 지역의 시설의 가동률을 높이도록 설정하여 운전한다.
또한, 특정지역에서의 물 부족시 타지역에서 수처리한 처리수를 부족한 지역의 배수지로 공급하여 물부족을 해소할 수 있으며, 이는 처리수에 여유가 있는 지역과 부족한 지역을 연계망을 통해 연계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운영이 가능하여, 물관리 및 물공급운영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특정지역의 기후변화로 인하여 취수된 다중수원의 수질 즉, 탁도가 매우 높은 경우에는 정수장에서의 처리비용이 증가하게 되므로, 이 경우에는 다중수원의 수질이 개선될 때까지 타지역의 처리수량을 증가시켜서 정수처리비용이 증가한 지역으로 분배하여 공급하도록 운영함으로써, 전체적인 운영비용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지역마다 규모가 다른 워터플랫폼을 설치하여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다중수원을 통해 수원을 확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대규모 댐건설이나, 대용량 저류조, 대용량 수처리시설, 원거리 이송망 및 대용량 펌프 등의 시설이 불필요하여 수처리 및 공급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수처리 시설의 고정이나 문제 발생시의 피해를 분산시킬 수 있어 안정적인 물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상상황 모니터링 장치(100)를 통해 수운영 시스템의 전체적인 운영 동작에 있어서의 비상상황 발생을 감지하거나, 미리 예측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비상상황 모니터링 장치(100)는 워터플랫폼 모니터링부(110), 정수처리장 모니터링부(120), 배수지 모니터링부(130), 송수 경로 모니터링부(140), 연계 수로망 모니터링부(150), 사고 예측 모니터링부(160)를 구비한다.
상기 워터플랫폼 모니터링부(110)는 블랜딩조(11)의 상태를 촬영하는 블랜딩조 촬영부(111)와, 저류조(12)의 상태를 촬영하는 저류조 촬영부(112), 상기 촬영부(111,112) 각각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블랜딩조 및 저류조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1영상판독부(113)를 구비한다. 블랜딩조 촬영부(111) 및 저류조 촬영부(112)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며, 블랜딩조(11) 및 저류조(12) 각각을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 설정 단위 시간별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은 상기 제1영상판독부(113)로 전달한다.
영상판독부(113)에서는 블랜딩조(11) 및 저류조(12) 각각의 정상상태의 기준영상과, 촬영된 영상을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는 영역이 있는지, 변형된 영역이 있는지 확인하고, 오차범위 이상으로 변형 내지 불 일치하는 영역이 발견될 경우, 해당 영상정보와 함께 이상발생정보를 상기 통합관리서버(9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블랜딩조(11) 또는 저류조(12)가 지진, 폭발 등의 충격 등에 의해서, 또는 오랜 시간 사용에 의한 자연적인 크랙발생 내지 파손 등이 발생 될 경우, 해당 영역을 촬영한 영상과 정상적인 영상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블랜딩조(11) 또는 저류조(12)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영상판독부(113)는 판독한 결과를 통합관리서버(90)로 전달함으로써, 통합관리서버(90)에서는 이상이 발생된 워터플랫폼(10)의 운영능력을 재평가하고, 재설정하여 수원의 확보 및 처리에 대한 운영계획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운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정수처리장 모니터링부(120)는 정수 처리장(20)을 촬영하여 감시하는 정수처리장 촬영부(121)와, 정수처리장 촬영부(121)에서 촬영된 영상을 판독하는 제2영상판독부(122)를 구비한다. 정수처리장 촬영부(121)는 정수처리장(20)을 촬영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감시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정수처리장(20)의 처리용량, 시설크기, 시설위치 등에 따라서 복수 지점에 복수가 설치되어 주요 부분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정수처리장 촬영부(121)에서 촬영한 영상은 제2영상판독부(122)로 전달된다. 제2영상판독부(122)는 전달받은 촬영 영상들 각각을 기준영상과 비교하여, 촬영 영역의 이상발생 여부를 판독한다. 즉, 정수 처리장(20)의 손상, 변형, 파손, 정상작동 여부 등에 대해서 정상적인 기준영상과 비교하여 확인하여 이상발생 여부 내지 이상징후를 발견하게 된다. 그리고 이상(징후) 발견시 해당 영상과 함께 이상(징후) 발견정보를 통합관리서버(90)로 유선 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전달한다.
상기 배수지 모니터링부(130)는 배수지 촬영부(131)와, 배수지 촬영부(131)에서 촬영된 영상을 판독하는 제3영상판독부(133)를 구비한다. 배수지 촬영부(131)는 배수지를 촬영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수지의 주요 부분 및 주변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제3영상판독부(133)로 전달한다. 제3영상판독부(133)는 전달받은 촬영 영상을 정상적인 기준영상과 비교하여, 촬영부분의 이상 여부 내지 이상징후를 판독해낸다. 그리고 이상(징후) 발견시에는 제3영상판독부(133)는 해당 영상과 이상(징후) 발견정보를 통합관리서버(90)로 전달한다.
상기 송수경로 모니터링부(140)는 송수 경로의 이상 여부 내지 이상징후를 발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송수경로 모니터링부(140)는 지상에 배치된 송수경로를 모니터링하는 지상경로 모니터링부(141)와, 지하에 매설되거나 수중에 위치된 송수경로를 모니터링하는 비노출경로 모니터링부(143)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지상경로 모니터링부(141)는 지상에 위치한 지상경로(41)를 촬영하도록 설치되는 송수경로 촬영부(141a)와, 송수경로 촬영부(141a)에서 촬영된 영상을 판독하는 제4영상판독부(141b)를 구비한다. 송수경로 촬영부(141a)는 지상에 위치한 지상경로(41)를 촬영하도록 설치되며, 일정 구간마다 설치되는 감시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줌인 기능 및 팬틸팅 기능을 갖는 감시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중요 지점 내지 위험지역을 위주로 하여 감시카메라를 설치하여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은 제4영상판독부(141b)로 전달한다. 제4영상판독부(141b)는 송수경로 촬영부(141a)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준영상과 비교하여, 파손, 손상, 변형 등의 여부를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위험지역 등에서 송수 경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연환경의 변화나 기타 위험요소의 유무를 판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태풍, 폭우, 폭설 등으로 인한 자연지형의 변형 또는 기타 위험물질(바위, 나무, 기타 쓰레기 등)이 송수 경로에 걸리거나 올려져 있는 경우 등을 확인하여 판독하고, 이러한 이상발견시 통합관리서버(90)로 이상발견 정보 및 해당 영상을 전달한다.
상기 비노출경로 모니터링부(143)는 매설된 지하 송수경로(43) 부분의 이상 여부 내지 이상징후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비노출경로 모니터링부(143)는 지하 송수 경로(43)에 접촉 설치되는 주파수 감지부(143a)와, 주파수 감지부(143a)에서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는 주파수 판독부(143b)를 구비한다. 주파수 감지부(143a)는 지하 송수경로(43)의 일정 구간마다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지하 송수경로(43)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지상에 설치되는 주파수 판독부(143b)와 연결되는 것이 좋다. 주파수 판독부(143b)는 주파수 감지부(132a)를 통해 감지된 주파수를 판독하여, 일정 구간별로 지하 송수경로(43)의 이상 여부를 판독한다. 통합관리서버(90)에서 제어되어 지하 송수경로(43)를 통해 이동하는 처리수의 이동유량별 기준 주파수를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주파수 대비하여 주파수 감지부(143a)에서 감지된 주파수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판독하고, 판독 결과는 통합관리서버(90)로 전달한다. 따라서, 지하 송수 경로(43)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파손 등이 발생하여 누수가 발생 될 경우에 주파수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송수경로(40) 중에서 지하에 매설된 지하 송수경로(43)의 이상상태를 확인하여 처리수 공급운영계획에 반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계수로망 모니터링부(150)도 상기 송수 경로 모니터링부(140)와 마찬가지로 연계수로망의 이상 여부 내지 이상징후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계수로망 모니터링부(150)는 송수 경로 모니터링부(140)와 마찬가지로 지상에 설치되는 연계수로망과 지하 등에 매설된 비노출 연계수로망 각각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동일한 구성에 의해 모니터링이 가능하므로 자세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사고예측 모니터링부(160)는 일기예보를 모니터링하는 일기예보정보 수집부(161)와, 일기예보정보 수집부(161)에서 수집한 정보 중 주요 정보를 필터링하는 필터링부(163) 및 필터링부(163)에서 필터링한 정보를 분석하여 사고유발 가중치를 생성하는 사고유발 가중치 생성부(165)를 구비한다.
일기예보정보 수집부(161)에서는 일기예보를 하는 연관기관의 서버(220) 예를 들어, 기상청 서버 등으로부터 지역별 일기예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유사 기관에서 발표하는 주요 일기예보 예를 들어, 한파 관련특보, 태풍관련 주의보, 대설관련 주의보, 홍수주의보, 산사태 주의보, 낙뢰주의보, 폭염 주의보 등을 수집한다.
수집된 일기예보 관련 정보는 필터팅부(163)로 전달된다. 필터링부(163)는 전달된 일기예보 관련 정보 중에서, 수운영 관련 시설에 영상을 주는 주요 일기예보(판파 관련특보, 태풍관련특보, 홍수주의보, 지역별 산사태 주의보, 낙뢰 주의보 등)를 필터링하여 선별하고, 나머지 일기예보들은 노이즈 처리한다. 필터링부(163)에서 필터링되어 남은 주요 일기예보 정보는 사고유발 가중치 생성부(165)로 전달된다. 사고유발 가중치 생성부(165)는 전달된 주요 일기예보 정보를 지역별로 구분하여 지역별로 설치되는 수운영 관련시설별로 사고유발 가능성을 판단하여 가중치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한파주의보의 경우, 온도를 영하 5도 내지 10도는 가중치 1, 영하 10도 ~영하 15는 가중치 2, 영하 16도 ~ 영하 20도는 가중치 2, 영하 21도 이상은 가중치 3으로 하여 사고유발 가중치를 증가하여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사고유발 가중치는 통합관리서버(90)로 전달되며, 통합관리서버(90)에서는 전달된 사고유발 가중치를 반영한 다이내믹스 제어프로세스에 따라서 수운영이 최적의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수운영 계획을 수정하여 운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고예측 모니터링부(160)는 한전(전력공급기관) 서버로부터 지역별 단전상황 및 단전예정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된 정보는 따라서 지역별 단전발생 상황 및 단전예정 정보를 수운영계획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지역별 수운영 시설의 단전발생시를 대비하여 비상발전기를 지역별 시설마다 설치할 수도 있으며, 설치된 비상발전기에서 생성된 전력은 우선순위를 정하여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시설마다 처리수의 저장용량이 적은 순서대로 처리수를 공급하거나, 처리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전력공급 우선순위를 정하여 운영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구성에 의하면, 비상상황 모니터링부(100)에서 획득한 각 시설의 모니터링결과는 통합관리서버(90)로 전달된다. 통합관리서버(90)는 전달받은 모니터링결과를 시스템 다이내믹스 제어 프로세스에 적용하여 수운영 계획에 반영하여 최상의 운영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정수처리장 모니터링부(120)에서 모니터링할 결과, 특정 지역(A지역)의 정수처리장(20)의 처리시설에 문제가 발생된 것이 발견될 경우, 통합관리서버(90)는 해당 정수처리장(20)에서의 처리용량이 줄어들 것을 예상하여 해당 인접한 다른 지역(B 지역) 정수처리장에서의 처리량을 증가하도록 하고, 따라서 A 지역의 워터플랫폼(10)에서 처리한 처리수를 연계수로망을 이용하여 B 지역의 정수처리장으로 더 공급하도록 수운영 계획을 세울 수 있다. 따라서, A 지역의 정수처리장(20)이 구동 부하를 줄일 수 있어서 상태가 악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족해 질 수 있는 처리수의 공급량을 다른 지역에서 처리하여 대비할 수 있다.
또한, 통합관리서버(90)는 비상상황 모니터링장치(100)에서 비상상황 발생을 확인하거나, 예상되는 정보를 전달받을 경우 해당 시설의 관리자 단말기(210)로 해당 정보를 전달하여 관리자가 해당 시설의 상태를 즉시 점검하여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워터루프 수운영 시스템은 신도시와 기존도시에서 자연형 수자원뿐만 아니라 빗물이용시스템과의 연계, 하수처리수이용을 위한 재이용시스템 추가, 비상시 이용을 위한 시스템 간 관망연계 등 수자원을 통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신도시는 상하수도 인프라를 새롭게 구축하므로 지역 내의 이용 가능한 수자원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수자원 통합이용 시스템으로 구축할 수 있으며, 신도시는 상수와 중수 이용 및 하수처리수를 재이용할 수 있도록 구축할 수 있다.
본 시스템 구축시 음용수는 댐, 하천수, 지하수를 이용하고, 하수처리수는 이용하지 않으며, 신도시 내의 화장실수, 친수용수, 조경용수, 공업용수 등 비음용수는 하수처리수, 빗물 등 다양한 수자원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중수 사용처에 대해서는 상수와는 별도의 공급체계를 도입할 수 있으며 다중수원 이용을 위한 관망체계는 상수와 중수를 동시에 공급하는 이중관망 방식, 사용처 단위로 중수를 별도로 공급하는 중수 단독공급 방식 등 지역 내의 수자원 사용처에 따라 수질 맞춤형으로 상수, 중수를 조합하여 공급하는 복합 관망시스템으로 구축할 수 있다.
다중수원을 활용하여 도시 내 물 공급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음용 및 비음용을 고려하여 수자원을 분배할 수도 있다.
지하수는 간단한 처리만으로 상수도용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 적절하게 개발하면 지표수 의존도 경감 가능하고, 비음용의 경우는 지하수 외에 이용 가능한 다양한 수원을 이용할 수 있다.
음용 및 비음용을 고려하고 시스템 내에 원수와 정수의 저류 기능과 정수처리 기능을 포함시켜 구축 가능하며, 다중수원의 조합은 지역별 특성과 사용용도(공업용수, 농업용수 등)에 맞추어 선택취수 및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워터루프에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한 지능형 시스템으로, 실시간 모니터링을 기반으로 한 지능형 수자원 확보, 지능형 수처리 조합공정, 최적화 기법을 활용한 공급배분기술 등을 포함하는 지능형 운영관리시스템과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시킨 고효율의 차세대 워터루프 구축기술에 해당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통합관리서버에서 전체적인 워터루프 시스템을 제어할 수도 있으나, 각 지역별 시설관리자나 운영자, 또는 시설별 운영관리서버로 운전정보 및 제어정보를 제공하여 지역별 시설관리자나 운영자가 직접 운전하도록 하거나, 시설별 운영관리서버에 의해 시설별로 자동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통제할 수 있다. 즉, 통합관리서버에서는 수요예측에 근거하여 배수지의 버퍼기능을 활용하여 적절한 운용계획을 수립하고, 수립된 운용계획을 시설별로 제공하여 지능적인 분배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정상 상황을 고려한 SD 기반 다중수원 워터루프 수운영 시스템에 따르면, 여러 지역 각각에서 확보할 수 있는 다중수원을 취수하여 원수를 쉽게 확보할 수 있으며, 이렇게 지역별로 확보된 원수들을 블랜딩하여 수처리하고, 수처리된 처리수를 해당지역의 사용처로 공급하거나, 타지역과 연계하여 상호 공급하거나 공급받는 분배공급설비를 갖춤으로써, 물부족을 방지하고 물을 효율적으로 운영공급할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원거리에 대규모 취수설비나 저류설비 및 정수설비 등을 갖출 필요가 없고, 지역별로 작은 용량의 시설들을 설치하면 되므로, 시설비용이 적게 들고, 원거리에서의 송출을 위한 대용량 펌프 등을 사용할 필요 없이, 환경부하가 적은 펌프 등을 이용하면 되므로, 설치비용은 물론 운용비용도 줄일 수 있다.
또한, 시설별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비상상황 발생 및 비상상황 발생을 예측하여 이를 시스템 다이내믹스 제어 프로세스에 적용함으로써, 최소의 환경부하 및 운영에너지를 적용하여 최적의 수처리 및 배분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비용을 줄이고, 물을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다이내믹스 제어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상기 시스템에 대한 모형을 정립하고 모형화하여 제어 프로세스를 도출하여 시스템 운영에 적용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다중수원 지능적 분배공급 시스템의 모형의 모델링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이용한 컴퓨터 모델은 저장변수, 유량변수, 그리고 변환자라고 하는 세 가지의 기본적인 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들 요소 간의 관계를 유한차분방정식의 형태로 표현하여 시스템의 시간적 변화를 모의한다.
저장변수는 시스템 내의 시간에 딸 축적되는 양을 나타내며, 유량변수는 저장변수의 양이 단위시간 동안 변하는 정도를 나타내고, 변환자는 유량변수의 변화율을 저장변수의 값을 기준으로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에서 변수 간의 상호 관계에 대한 수학적 의미와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
L =f(I,a,b,R(iR,oR))라는 함수가 있다고 하면, 이들 함수 간의 관계에서 먼저 저장변수와 유량변수의 관계식은 수학식 1과 같이 정의한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L은 수준변수, R은 변화율변수, iR=inflow, oR=outflow, t=시간(t시간), 0=초기시간을 나타낸다.
수학식1을 시간 t에 대하여 미분하면, 수학식2와 같으며, 저장변수와 유량변수의 관계식이 된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iR(t) = a×L(t), oR(t)=b×L(t)
다음의 수학식3은 수학식1과 2를 결합한 방적 식이며, 시스템 다이내믹스 시뮬레이션 모델 방정식의 수학적 알고리즘이다.
Figure pat00003
다음으로, 인과관계도(causal map)는 연구대상 시스템의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 - 부호와 화살표를 이용하여 표현된 그림으로서, +,- 부호는 어떤 변수의 변화가 다른 변수의 변화에 양의 효과(+)를 미치느냐 음의 효과(-)로 작용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도 6은 인과관계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인구수는 출생자수가 늘면 인구수가 늘고, 인구수가 늘면 출생자수도 늘어나는 양의 피드백 루프(자기강화피드백, 일탈강화적 피드백)가 지배하면 인구증가라는 행태가 되고, 또한 인구수가 늘면 사망자수가 늘고, 사망자수가 늘면 인구수가 줄어드는 음의 피드백 루프(목표 지향형 피드백, 안정화 피드백, 자기억제 피드백)가 지배하면 인구감소라는 행태가 됨을 모형화한 것이다.
다음으로, 모델링을 위한 모형을 정립한다.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저장변수(Stock variable), 유량변수(Flow variable), 보조변수(Converter variable), 시간변수(Time variable), 연결(Action Connector)의 5가지로 구분하고, 이러한 변수들의 상호 관계와 순환과정(Feedback loop)을 나타내기 위해 시스템 흐름도(Flow Diagram)를 작성하게 되며 이러한 시스템 흐름도상의 변수 속성에 적분 및 미분방정식, 수리적 또는 논리적인 방정식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을 모형의 정립이라 하며, 도 7은 시스템 흐름도를 작성하는데 사용되는 도구의 변수 및 의미를 나타낸다.
모델링을 위한 모형을 정립하고,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이용한 컴퓨터 모의실험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검증한다.
도 9는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간단한 예로서 저수지에서 중력에 의한 유출이 발생하는 시스템에 대한 인과지도와 이를 STELLA를 이용하여 구현한 예를 나타낸 모형이고, 도 10은 저수지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형의 유한차분방정식을 나타내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정립된 모형은 일련의 타당성평가방법(모델구조, 모델형태, 정책시사점)을 통해 평가하여 검증과 보정과정을 거쳐서 확정 및 수립된다.
도 11은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 개발을 위한 다중수원 용수공급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도 11과 같은 가상의 다중수원 용수공급시스템의 수운영을 모의하기 위해 스텔라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개발된 다중수원 수운영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형을 나타낸다. 도 11의 모형은 가상의 용수공급시스템에 대한 모형으로서 다중수원 용수공급시스템의 기본 구성요소 즉, 도수시설, 취수시설, 집수지, 수처리시설, 송수시설 및 배수지와 펌핑시설을 모두 포함하고, 이러한 시설들에 대한 모형을 모듈화시켜 모델링의 적용 대상이 변경되더라도 모듈의 조합을 통하여 모형의 변형과 확장이 용이하다. 또한, 기본적인 용수의 흐름 외에도 시스템의 운영시 발생하는 펌핑 및 수처리 비용의 산정이 가능하며, 다중수원의 수질변동에 따른 수원별 취수량의 결정이 시스템의 미리 결정된 기준 수질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모델링 하였으며, 또한 배수지 펌핑룰에 따른 배수지의 수위를 모의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른 펌핑비용을 산정할 수 있다. 다만, 개발된 모델링의 범위는 용수공급시스템의 취수원으로부터 배수지까지이며 배수지 이후의 배수관망의 용수흐름 및 압력에 관한 모델링은 미포함되어 있다.
다중수원 수운영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형의 개발에 필요한 입력정보 및 자료는 다음과 같다.
- 수원 : 각 수원의 초기 수위 또는 용수 사용 가능량(취수 가능량) 및 초기 수질, 수원별 오염 부하량
- 정수장 : 정수장의 초기 수 처리량, 수처리 시설 처리용량, 오염부하에 따른 수처리 단가
- 배수지 : 초기 배수지 수위 또는 저류량, 펌프용량 및 규격(펌프커브 등), 배수지 유출량(시간 단위 유출량), 야간 전기 요금 적용 시간대, 배수지 운영룰(야간 전기요금 적용 시간대의 시작시각에 배수지 수위가 최저가 되도록 함; 야간 전기요금 적용 시간대의 끝시간에 배수지 수위가 최대)
- 각 시설 간의 연결관로 : 관경, 길이, 재질 등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워터 플랫폼 20..정수처리장
30..배수지 40..메인 송수경로
50..연계수로망 60..처리수 수질 모니터링장치
70..처리수 수량 모니터링장치 80..데이터서버
90..통합관리서버 100..비상상황 모니터링 장치
210..관리자 단말기 220..연관기관 서버

Claims (2)

  1. 복수의 지역마다 설치되어 취수된 다중수원을 워터블랜딩하여 저류하는 지역별 워터플랫폼;
    상기 지역별 원터플랫폼에서 블랜딩된 원수를 정수하도록 지역별로 설치되는 지역별 정수처리장;
    상기 지역별 정수처리장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공급되어 저장되는 지역별 배수지;
    상기 지역별 배수지의 처리수를 해당 지역의 물 사용처로 공급하는 메인 송수경로;
    상기 지역별 정수처리장 또는 배수지를 타지역의 배수지 또는 정수처리장과 연결하는 연계수로망;
    상기 다중수원의 취수 수질과, 상기 정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수질, 상기 정수처리장에서 배출되는 처리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처리수 수질 모니터링장치;
    상기 다중수원의 취수량부터 배수지에서의 공급량까지의 수량을 지역별로 모니터링하는 처리수량 모니터링장치;
    상기 워터플랫폼, 상기 정수처리장, 상기 연계수로망, 상기 배수지 각각의 처리용량과 운용에너지 및 송수펌프의 펌핑용량 및 에너지소비율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서버;
    상기 워터플랫폼, 정수처리장, 연계수로망 및 배수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지역별 시설의 이상발생을 확인하고, 각 시설의 이상발생을 예측하는 비상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비상상황 모니터링 장치에서 전달받은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지역별로 다중수원을 취수하여 처리된 처리수를 연계수로망을 이용하여 배분공급하도록 관리하는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상 상황을 고려한 SD 기반 다중수원 워터루프 수운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상황 모니터링 장치는,
    지역별 워터플랫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워터플랫폼 모니터링부;
    지역별 정수처리장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모니터링부;
    지역별 배수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배수지 모니터링부;
    지역별 송수 경로를 모니터링하여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송수 경로 모니터링부;
    지역별 연계 수로망을 모니터링하여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연계 수로망 모니터링부 및
    지역별 기상정보를 수입하여 지역별 수처리 시설의 사고 발생을 예측하는 사고 예측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고예측 모니터링부는,
    일기예보를 모니터링하는 일기예보정보 수집부;
    상기 일기예보정보 수집부에서 수집한 정보 중 주요 정보를 필터링하는 필터링부; 및
    상기 필터링부에서 필터링한 정보를 분석하여 사고유발 가중치를 생성하는 사고유발 가중치 생성부;를 포함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사고유발 가중치 생성부에서 생성된 사고유발 가중치를 기준으로 하여 사고 발생 가능성이 큰 시설이 위치한 주변지역의 시설에서의 수처리 용량을 증가하도록 운영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상 상황을 고려한 SD 기반 다중수원 워터루프 수운영 시스템.
KR1020160017034A 2016-02-15 2016-02-15 비정상 상황을 고려한 sd 기반 다중수원 워터루프 수운영 시스템 KR101849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034A KR101849681B1 (ko) 2016-02-15 2016-02-15 비정상 상황을 고려한 sd 기반 다중수원 워터루프 수운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034A KR101849681B1 (ko) 2016-02-15 2016-02-15 비정상 상황을 고려한 sd 기반 다중수원 워터루프 수운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532A true KR20170095532A (ko) 2017-08-23
KR101849681B1 KR101849681B1 (ko) 2018-04-17

Family

ID=59759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034A KR101849681B1 (ko) 2016-02-15 2016-02-15 비정상 상황을 고려한 sd 기반 다중수원 워터루프 수운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6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25406A (zh) * 2020-09-21 2020-12-25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小型景观水体水质保持系统及方法
CN117250870A (zh) * 2023-11-16 2023-12-19 清控环境(北京)有限公司 一种基于数据信息处理的再生水回用控制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25406A (zh) * 2020-09-21 2020-12-25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小型景观水体水质保持系统及方法
CN117250870A (zh) * 2023-11-16 2023-12-19 清控环境(北京)有限公司 一种基于数据信息处理的再生水回用控制系统
CN117250870B (zh) * 2023-11-16 2024-03-26 清控环境(北京)有限公司 一种基于数据信息处理的再生水回用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681B1 (ko) 201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1625B1 (ko) 스마트 워터 시티 구축을 위한 ict 통합 모니터링 물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통합관제서버
Keung et al. Smart city application and analysis: Real-time urban drainage monitoring by iot sensors: A case study of Hong Kong
KR101146207B1 (ko) 상하수도시설 컴팩트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53532B1 (ko) 하수관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CN104460577A (zh) 一种水质安全预警决策系统
WO2011159620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controlling, and recording performance of a storm water runoff network
CN107516167A (zh) 城市排水一体化运行智能调度管理系统
KR101907140B1 (ko) 차집장치 원격 제어 및 하수시설 통합 관리를 위한 하수시설제어시스템
Friedrich et al. Vulnerability of wastewater infrastructure of coastal cities to sea level rise: A South African case study
CN112348383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慧园区服务系统
KR101849681B1 (ko) 비정상 상황을 고려한 sd 기반 다중수원 워터루프 수운영 시스템
KR101797142B1 (ko) 수요 및 공급의 불균형을 대비한 선제적 다중수원 수운영 시스템
Hamilton Resilience and the city: the water sector
Gade Reinventing smart water management system through ICT and IoT driven solution for smart cities
KR100779545B1 (ko)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
Stip et al. Water infrastructure resilience
KR200426248Y1 (ko)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
CN116167547A (zh) 一种智能水务管控系统及方法
KR101685165B1 (ko) 다중수원 지능적 배분공급 스케줄링 방법
KR101638553B1 (ko) Ict 활용 대수용가 압력제어 및 펌프 최적 운영관리 융합 기술
Einfalt et al. Real-Time Control for two communities-technical and administrational aspects
Campos et al. Adaptation of UK wastewater infrastructure to climate change
KR20230102277A (ko) 기상청 데이터기반 홍수 예방시스템
Banerjee et al. Digitalization in Urban Water Governance: Case Study of Bengaluru and Singapore
Montestruque 6 An Agent-Based St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