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4888A - 폐수열 히트펌프 시스템의 폐수열 저장탱크용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폐수열 히트펌프 시스템의 폐수열 저장탱크용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4888A
KR20170094888A KR1020160016167A KR20160016167A KR20170094888A KR 20170094888 A KR20170094888 A KR 20170094888A KR 1020160016167 A KR1020160016167 A KR 1020160016167A KR 20160016167 A KR20160016167 A KR 20160016167A KR 20170094888 A KR20170094888 A KR 20170094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hot
storage tank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6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9218B1 (ko
Inventor
고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아이텍
Priority to KR1020160016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9218B1/ko
Publication of KR20170094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3/00Rotary appliances
    • F28G3/16Rotary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 F28G3/163Rotary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from internal surfaces of heat exchange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 F25B27/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using waste heat, e.g. from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41/003
    • F25B41/0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8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a single plate-like element ;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integrated in one single plate-like el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1Turb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3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one three-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5/00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 F25B2345/004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with several tanks to collect or charge a cy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02A30/274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using waste energy, e.g. from internal combustion eng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63Off-grid food refrig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열 히트펌프 시스템의 폐수열 저장탱크용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류되는 폐수의 열을 임시보관 하는 폐수열 저장탱크 내부의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분사하는 세척장치를 설치하여 폐수열 저장탱크 내부를 효과적으로 세척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성은 다음과 같다.
산업체로부터 발생되어 버려지는 온열이 존재한 폐수(온열폐수라 함)를 임시 보관하는 온열폐수저장탱크(10)가 있고 상기 온열폐수저장탱크(10)의 온열폐수를 송수하고 환수하는 송수관(21)과 환수관(22)이 있으며 상기 송수관(21)과 환수관(22)에 연결되어 온열폐수가 경유하는 열교환판(30)의 일면(31)을 포함한 제1순환수로(20)와,
상기 온열폐수와 열교환된 온수를 임시 보관하는 온수저장탱크(40)가 있고 상기 온수저장탱크(40)의 열교환수(온열폐수와 열교환되는 냉수를 말함)를 송수하고 환수하는 제2송수관(51)과 제2환수관(52)이 있으며 상기 제2송수관(51)과 제2환수관(52)에 연결되어 열교환수가 경유하는 열교환판(30)의 이면(32)을 포함한 제2순환수로(50)와
상기 송수관(21)내지는 환수관(22)에 연결되어 상기 온열폐수저장탱크(10)의 온열폐수를 순환시키는 제1모터펌프(60)와,
상기 제2송수관(51) 내지는 제2환수관(52)에 연결되어 상기 온수저장탱크(40)의 열교환수(온열폐수와 열교환하는 냉수 임)를 순환시키는 제2모터펌프(70)를 포함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온수저장탱크(40)는 상기 온수저장탱크(40)의 온수를 세척수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온수저장탱크(40)의 온수를 펌프하는 제3모터펌프(301)와 상기 제3모터펌프(301)에 의해 펌프된 온수가 상기 온열폐수저장탱크(10) 내부 상측에서 토출되도록 상기 제3모터펌프와 연결된 온수배관(300)이 상기 온열폐수저장탱크(10)내부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온수배관(300)과 연결되어 스프링클러헤드(200)의 하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면 제1살수노즐(201)에 의해 회전하면서 제2살수노즐(202)을 통해 외부로 물이 분사되는 제1스프링클러(203)를 상기 온수배관(300)과 연결하되
상기 제2살수노즐(202)을 하단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제2살수노즐(202)에 제2스프링클러(350)의 스프링클러헤드(351)를 연결시켜 상기 제2살수노즐(202)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 의해 상기 제2스프링클러(350)가 상기 제2스프링클러(350)의 제3살수노즐(352)에 의해 회전하면서 제4살수노즐(353)을 통해 물이 온열폐수저장탱크(10)내부 벽면으로 분사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폐수열 히트펌프 시스템의 폐수열 저장탱크용 세척장치{Washing Apparatus for Weter Tank}
본 발명은 폐수열 히트펌프 시스템의 폐수열 저장탱크용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류되는 폐수의 열을 임시보관하는 폐수열 저장탱크 내부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분사하는 세척장치를 설치하여 폐수열 저장탱크 내부를 효과적으로 세척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목욕탕 및 공장 등지에서 배출되는 폐온수의 열을 열교환 하여 새로 유입되는 지하수를 예열시켜 온수를 공급함으로서 온수를 만들기 위한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절감시키기 위한 히트펌프식 폐열회수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목욕탕이나 공장등지에서는 사용하고 남은 30-40℃ 정도의 폐온수를 그대로 유출시켜 막대한 열에너지를 소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온의 폐온수가 그대로 유출되는 경우에는 물을 정화시키는 미생물의 증식이 불가능하여 폐수 처리비용이 증가하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처리비용의 증대로 인하여 폐온수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었다. 종래의 폐온수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는 고온의 폐온수를 열전도하여 저온의 지하수를 예열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히트펌프식 폐열회수장치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10-0435064호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니 참고 바란다.
그리고 종래기술로서 첨부한 도 1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형 열교환기(1)는 두 유체간의 고온과 저온의 열교환에 사용하는 성능이 우수한 장비로 건설,산업,식품공장,수산분야 등에서 광범위한 열교환장치로 활용되고 있으며, 고온의 유체의 열이 저온의 유체로 열 이동을 하는 열판을 내부에 고정시키고 외부 양측면은 전면고정판(11)과 후방고정판(12)을 이용하여 열교환기의 형태를 유지하고, 제품을 견고히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열교환기(1)의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열교환판(2)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같이 판상체를 취하며, 상,하면으로 각각 2개의 수로공(4,4'4"4"')이 형성되므로서, 이 열교환판(2)의 전면과 이면 테두리에 수로공(4,4')으로 유입된 온수와 냉수를 차단하는 고무패킹(5)이 위치된다.
상기 열교환판(2)은 상기 고무패킹(2)을 맞닿는 형태로서 적층구성하여 복수의 열 교환실(A)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시한 2,3에서 확인되는 원형고무패킹(6)은 수로공(4,4',4",4"')의 외부 둘레에 밀착되어 물의 흐름을 차단한다. 예를들어 원형고무패킹(6)에 의해 차단된 곳에서는 수로가 차단되고 원형고무패킹(6)이 없는 곳은 수로가 열린 상태이다.
상기 원형고무패킹(6)은 상기 고무패킹(2)과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열교환판(2)은, 예를 들어 전면에는 온수가 흐르도록하고, 이면에는 냉수가 흐르도록 하여 열을 교환한다.
상세하게는 이어지는 후술에서 확인 되겠지만, 종래의 열교환기(1)는 원형고무패킹(6)을 이용하여 수로공(4,4',4",4"')의 외주연을 차단하거나 개방하여 복수의 열교환판(2)의 전면과 이면에 온수와 냉수가 흐르도록 하고 있다. 그 구성을 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면으로 온수가 흐르도록 하기 위해서 상측에 형성한 2개소의 수로공(4,4')중 1개소의 수로공(4) 외주연을 개방하고, 전면으로 냉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측에 형성한 다른 1개소의 수로공(4')의 외주연은 원형고무패킹(6)으로 차단한다.
그리고, 하단은 상측으로 유입된 온수가 온수배출배관(7')으로 배출되도록 2개소의 수로공(4",4"')중 1개소의 수로공(4")의 외주연을 개방하고 다른 한곳의 수로공(4"')은 원형고무패킹(6)으로 차단한다.
그리고, 이면은 전면부와 반대로 냉수가 흐르도록 원형고무패킹(6)이 상측 수로공(4,4')과 하측수로공(4",4"')의 외주연을 개방하거나 차단하여 상측수로공(4')으로 유입된 냉수가 하측수로공(4"')을 지나 하측에 있는 냉수배출배관(8")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열교환판(2)들은 전면에 온수가 흐르고 이면은 냉수가 흐르도록함으로써 수로공(4,4')으로 유입된 온수와 냉수가 동시에 전면부와 이면으로 흘러 동시에 하측수로공(4",4"')을 경유하여 온수배출배관(7")과 냉수배출배관(8")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온수는 상측수로공(4)과 연결시킨 온수유입배관(7')으로부터 온수를 유입받고 냉수는 상측수로공(4")과 연결시킨 냉수유입배관(8')으로부터 냉수를 유입받는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장기간 사용하게되면 열교환판(2) 온수에 포함된 여러가지 이물질이 쌓여 결국 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 열교환판(2)으로 보내기 위해 폐수열(본원에서 온열폐수라 함)을 임시로 보관하는 폐수열보관탱크(본원에서 온열폐수저장탱크라 함) 내부 벽면에 이물질이 흡착되면 이물질 제거작업을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방류되는 폐수의 열을 임시보관 하는 폐수열(온열폐수라 함) 저장탱크 내부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분사하는 세척장치를 설치하여 폐수열 저장탱크(온열폐수저장탱크라 함) 내부를 효과적으로 세척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과제이다.
좀 더 상세한 과제는 후술로 이어지는 구체적인 내용에서 언급된다.
첨부한 도면에 의하면, 산업체로부터 발생되어 버려지는 온열이 존재한 폐수(온열폐수라 함)를 임시 보관하는 온열폐수저장탱크(10)가 있고 상기 온열폐수저장탱크(10)의 온열폐수를 송수하고 환수하는 송수관(21)과 환수관(22)이 있으며 상기 송수관(21)과 환수관(22)에 연결되어 온열폐수가 경유하는 열교환판(30)의 일면(31)을 포함한 제1순환수로(20)와,
상기 온열폐수와 열교환된 온수를 임시 보관하는 온수저장탱크(40)가 있고 상기 온수저장탱크(40)의 열교환수(온열폐수와 열교환되는 냉수를 말함)를 송수하고 환수하는 제2송수관(51)과 제2환수관(52)이 있으며 상기 제2송수관(51)과 제2환수관(52)에 연결되어 열교환수가 경유하는 열교환판(30)의 이면(32)을 포함한 제2순환수로(50)와
상기 송수관(21) 내지는 환수관(22)에 연결되어 상기 온열폐수저장탱크(10)의 온열폐수를 순환시키는 제1모터펌프(60)와,
상기 제2송수관(51) 내지는 제2환수관(52)에 연결되어 상기 온수저장탱크(40)의 열교환수(온열폐수와 열교환하는 냉수 임)를 순환시키는 제2모터펌프(70)를 포함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온수저장탱크(40)는 상기 온수저장탱크(40)의 온수를 세척수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온수저장탱크(40)의 온수를 펌프하는 제3모터펌프(301)와 상기 제3모터펌프(301)에 의해 펌프된 온수가 상기 온열폐수저장탱크(10) 내부 상측에서 토출되도록 상기 제3모터펌프와 연결된 온수배관(300)이 상기 온열폐수저장탱크(10) 내부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온수배관(300)과 연결되어 스프링클러헤드(200)의 하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면 제1살수노즐(201)에 의해 회전하면서 제2살수노즐(202)을 통해 외부로 물이 분사 되는 제1스프링클러(203)를 상기 온수배관(300)과 연결하되
상기 제2살수노즐(202)을 하단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제2살수노즐(202)에 제2스프링클러(350)의 스프링클러헤드(351)를 연결시켜 상기 제2살수노즐(202)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 의해 상기 제2스프링클러(350)가 상기 제2스프링클러(350)의 제3살수노즐(352)에 의해 회전하면서 제4살수노즐(353)을 통해 물이 온열폐수저장탱크(10) 내부 벽면으로 분사되는 구성이다.
다음은 다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송수관(21)에 수로(유로)의 방향을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3방밸브(100)를 설치하여 제1순환수로(20)의 내부를 세척할 경우 온열폐수저장탱크(10)로부터 열교환판(30)으로 이동하는 수로를 차단하고 동시에 열교환판(30)으로부터 역으로 순환되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개방하며,
상기 환수관(22)은 상기 환수관(22)에 수로(유로)의 방향을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3방밸브(101)를 설치하여 열교환판(30)으로부터 온열폐수저장탱크(10)로 이동하는 수로를 차단하고 동시에 온수저장탱크(40)와 연결된 세척수배관(53)의 수로를 개방하여 세척수를 환수관(22)을 통해 열교환판(30)으로 이동하도록하며
상기 제2순환수로(50)는 상기 제2송수관(51) 내지는 상기 제2환수관(52)에 수로(유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개폐밸브(102)를 설치하여 제1순환수로(20)의 내부를 세척할 경우 상기 제2순환수로(50)의 수로를 차단하는 구성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은 방류되는 폐수의 열을 임시보관하는 온열폐수저장탱크 내부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분사하는 세척장치를 설치하여 온열폐수저장탱크 내부를 세척함으로서 온열폐수저장탱크 내부 벽면이 깨끗하고,
특히 고압으로 분사할 수 있는 시중의 스프링클러를 온열폐수저장탱크에 효과적으로 적용함으로서 온열폐수저장탱크 내부를 더욱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판내부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감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 제1순환수로에 쌓인 이물질에 온수를 흘려보내 제1순환수로 외부로 배출하되, 그 배출은 수로 라인을 변경한 다음 변경된 수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함으로서 이물질제거에 있어 시간이 대폭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이상의 효과는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 밝혀진다.
제 4도는 본 발명의 폐수열 열교환기 시스템의 폐수열 저장탱크용 세척장치의 사시도,
제 5도는 제 4도의 상태에서 온열폐수정장태크를 절단한 사시도,
제 6도는 본 발명의 제1,2스프링클러의 실시예로서
가)는 제1스프링클러가 회전하는 과정이고,
나)는 제2스프링클러가 회전하는 과정이며,
다)는 제1스프링클러에서 제2스프링클러가 이격되는 과정을 나타낸 상태이다.
제 7도의 가)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스프링클러에 연장부재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나)는 제1스프링클러에 연장부재를 연결한 상태에서 제1스프링클러 를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제 8도는 제 4도에서 요부를 확대한 사시도,
제 9도는 본 발명의 제1순환수로와 제2순환수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원은 산업체(양식장, 수영장 목욕탕 등) 등의 수조(미도시)로부터 온수를 펌프하여 냉수와 열교환 한다.
첨부한 도면에 의하면, 산업체로부터 발생되어 버려지는 온열이 존재한 폐수(온열폐수라 함)를 임시 보관하는 온열폐수저장탱크(10)가 있고 상기 온열폐수저장탱크(10)의 온열폐수를 송수하고 환수하는 송수관(21)과 환수관(22)이 있으며 상기 송수관(21)과 환수관(22)에 연결되어 온열폐수가 경유하는 열교환판(30)의 일면(31)을 포함한 제1순환수로(20)와,
상기 온열폐수와 열교환된 온수를 임시 보관하는 온수저장탱크(40)가 있고 상기 온수저장탱크(40)의 열교환수(온열폐수와 열교환되는 냉수를 말함)를 송수하고 환수하는 제2송수관(51)과 제2환수관(52)이 있으며 상기 제2송수관(51)과 제2환수관(52)에 연결되어 열교환수가 경유하는 열교환판(30)의 이면(32)을 포함한 제2순환수로(50)와,
상기 송수관(21)내지는 환수관(22)에 연결되어 상기 온열폐수저장탱크(10)의 온열폐수를 순환시키는 제1모터펌프(60)와,
상기 제2송수관(51)내지는 제2환수관(52)에 연결되어 상기 온수저장탱크(40)의 열교환수(온열폐수와 열교환하는 냉수임)를 순환시키는 제2모터펌프(70)를 포함한 구성에 있어서,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구성의 상태에서 온수저장탱크(40)에 있는 냉수(이 냉수는 수도관과 연결될 수 있음)가 제2송수관(51)을 통해 송수되어 열교환판(30)의 이면(32)을 경유하여 다시 제2환수관(52)을 통해 온수저장탱크(40)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제2모터펌프(70)에 의해 지속적으로 순환을 반복한다.
온열폐수저장탱크(10)에 있는 온열은 송수관(21)을 통해 송수되어 열교환판(30)의 일면(31)을 경유하여 다시 환수관(22)을 통해 온열폐수저장탱크(10)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제1모터펌프(60)에 의해 지속적으로 순환을 반복한다.
그러므로 온열폐수저장탱크(10)에 임시 보관중인 온열이 수도관(미도시)의 냉수와 열 교환되어 온수저장탱크(40)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방법으로 온열폐수저장탱크(10)를 장기간 저장하다 보면 온열폐수저장탱크(10)
내부에 온열폐수에 혼합된 이물질이 쌓이게 된다.
다음은 온열폐수저장탱크(10) 내부를 세척하는 기술을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온수저장탱크(40)는 상기 온수저장탱크(40)의 온수를 세척수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온수저장탱크(40)의 온수를 펌프하는 제3모터펌프(301)와 상기 제3모터펌프(301)에 의해 펌프된 온수가 상기 온열폐수저장탱크(10) 내부 상측에서 토출되도록 상기 제3모터펌프와 연결된 온수배관(300)이 상기 온열폐수저장탱크(10) 내부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온수배관(300)과 연결되어 스프링클러헤드(200)의 하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면 제1살수노즐(201)에 의해 회전하면서 제2살수노즐(202)을 통해 외부로 물이 분사되는 제1스프링클러(203)를 상기 온수배관(300)과 연결하되
상기 제2살수노즐(202)을 하단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제2살수노즐(202)에 제2스프링클러(350)의 스프링클러헤드(351)를 연결시켜 상기 제2살수노즐(202)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 의해 상기 제2스프링클러(350)가 상기 제2스프링클러(350)의 제3살수노즐(352)에 의해 회전하면서 제4살수노즐(353)을 통해 물이 온열폐수저장탱크(10) 내부 벽면으로 분사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모터펌프(301)를 통해 온수저장탱크(40)에 저장된 온수를 펌프하면 온수폐수저장탱크(10) 내부에 위치된 온수배관(300)으로 토출한다.
그러므로 상기 온수배관(300) 끝단과 연결한 제1스프링클러(203)의 스프링클러헤드(200)로 유입된 온수가 제1,2살수노즐(201,202)로 토출되는데 여기서 제1살수노즐(201)은 제1스프링클러(203)를 회전시키는 타격부(203')를 타격하여 상기 제1스프링클러(203)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2살수노즐(202)은
제2스프링클러(350)의 스프링클러헤드(351)로 배출한다.
그러므로 스프링클러헤드(351)로 유입된 온수가 제3,4살수노즐(352,353)로 토출되는데 여기서 제3살수노즐(352)은 제2스프링클러(350)를 회전시키는 타격부(352')를 타격하여 상기 제2스프링클러(350)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4살수노즐(353)은
온열폐수저장탱크(10) 내부로 배출하는데 제2스프링클러(350)가 제1스프링클러(203)에 의해 회전함으로 온열폐수저장탱크(10) 내부 사방으로 분사되고 이 분사에 의해 온열폐수저장탱크(10) 내부를 수압으로 세척하는 것이다.
상기의 제1,2스프링클러에 대한 기술적인 사상은 농작물을 살수하는 종래의 스프링클러를 이용하되, 본원은 2개의 스프링클러를 적절하게 결합시켜 온수폐수저장탱크(10) 내부를 세척하는 기술이다.
상기 스프링클러에 대한 기술 내용은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번호 10-2013-0031986호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어 상기 제1,2스프링클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은 제1,2스프링클러(203)를 더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제1스프링클러(203)의 제2살수노즐(202)로부터 상기 제2스프링클러(350)의 간격을 필요에 띠라 이격되도록 하여 온열폐수저장탱크(10)의 크기에 따라 간격이 가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격을 가변하면 온열폐수저장탱크(10)의 원둘레가 작은(예를들어 지름이 1m 이내) 경우 서로 간격을 좁혀 분사면적을 좁히고, 원둘레가 크면(예를들어 지름이 1m 이상) 이격간격을 넓혀 더 넓은 면적에 분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살수노즐(202)을 가요성 부재로하여 온열폐수저장탱크(1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2스프링클러(350)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제2살수노즐(202)이 가요성 부재일 경우 상기 제2스프링클러(350)의 각도를 가변할 수 있어 온열폐수저장탱크(10)의 크기에 따라 분사 위치와 분사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연장부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스프링클러(203)의 제2살수노즐(202)에 상기 제2살수노즐(20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노즐(204)을 갖되 상기 연장노즐(204)은 온열폐수저장탱크(10)의 길이방향과 상/하측에 분사되도록 절곡시켜 상기 연장노즐(204)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시킨 복수의 노즐(205)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모터펌프(301)를 통해 온수저장탱크(40)에 저장된 온수를 펌프하면 온수폐수저장탱크(10) 내부에 위치된 온수배관(300)으로 토출한다.
그러므로 상기 온수배관(300) 끝단과 연결한 제1스프링클러(203)의 스프링클러헤드(200)로 유입된 온수가 제1,2살수노즐(201,202)로 토출되는데 여기서 제1살수노즐(201)은 제1스프링클러(203)를 회전시키는 타격부(203')를 타격하여 상기 제1스프링클러(203)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2살수노즐(202)은
연장부재(204)로 배출한다.
상기 연장부재(204)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온열폐수저장탱크(10)의 중앙부로 휘여지는 형상으로 한다.
이렇게 중앙으로 향할수록 연장부재(204)가 휘여져 있어 온열폐수저장탱크 내부 전체를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노즐(205)과 노즐(205')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에 세척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그 부분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필요에 따라 제3모터펌프(301)의 회전수를 가변시켜 수압을 가변되므로 이때 온수분사 방향이 승하강한다. 이 경우 노즐(205)과 노즐(205')에 해당하는 온열폐수저장탱크(10) 내부 벽면이 세척된다.
따라서 연장부재(204)의 길이방향에 형성한 복수의 노즐(205)을 통해 동시에 물이 분사되므로 온열폐수저장탱크(10) 내부 360°방향을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온열폐수저장탱크(10) 내부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온열폐수저장탱크(10) 내부에 충전된 온수폐수를 배출배관(99)을 통해 비운다음 세척을 실시하면 된다.
따라서 다음은 제1순환수로(20) 내부에 쌓인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구성을 재차 살펴보고 그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송수관(21)에 수로(유로)의 방향을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3방밸브(100)를 설치하여 제1순환수로(20)의 내부를 세척할 경우 온열폐수저장탱크(10)로부터 열교환판(30)으로 이동하는 수로를 차단하고 동시에 열교환판(30)으로부터 역으로 순환되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개방하며,
상기 환수관(22)은 상기 환수관(22)에 수로(유로)의 방향을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3방밸브(101)를 설치하여 열교환판(30)으로부터 온열폐수저장탱크(10)로 이동하는 수로를 차단하고 동시에 온수저장탱크(40)와 연결된 세척수배관(53)의 수로를 개방하여 세척수를 환수관(22)을 통해 열교환판(30)으로 이동하도록하며
상기 제2순환수로(50)는 상기 제2송수관(51) 내지는 상기 제2환수관(52)에 수로(유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개폐밸브(102)를 설치하여 제1순환수로(20)의 내부를 세척할 경우 상기 제2순환수로(50)의 수로를 차단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구성에서 알 수 있듯이 3방밸브(100,101)와, 개폐밸브(102)에 전원을 공급하면 송수관(21)에 장착된 3방밸브(100)는 온열폐수저장탱크(10)로부터 열교환판(30)으로 이동하는 수로를 차단하고 동시에 열교환판(30)으로부터 역으로 순환되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개방한다.
그리고 또 다른 3방밸브(101)는 온열폐수저장탱크(10)로 이동하는 수로를 차단하고 동시에 온수저장탱크(40)와 연결된 세척수배관(53)의 수로를 개방한다.
그리고 개폐밸브(102)를 설치하여 제1순환수로(20)의 내부를 세척할 경우 상기 제2순환수로(50)의 수로를 차단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밸브를 조작한 상태에서 온수저장탱크(40)에 저장된 온수를 제2송수관(51)을 통해 송수하면 송수된 온수는 세척수배관(53)과 환수관(22)을 지나 열교환판(30)의 일면(31)을 경유한 후 송수관(21)을 지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시간은 미리 설정해둔 시간이 되면 각각의 밸브들(100,101,102)이 원위치되어 온열폐수와 냉수가 열교환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온수를 세척수배관(53)을 통해 세척수배관(53)과 연결시킨 환수관(22)에 역방향으로 흘려보내 열교환판(30)의 일면(31)과 송수관(21)을 세척한다. 즉 정방향으로 인해 흡착된 이물질을 역방향으로 흐르는 온수에 의해 제거된다.
여기서 참고로, 본원의 경험에 의하면 제1순환수로(20)의 내부에 흐르는 온열폐수가 정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제1순환수로(20) 내부의 모서리 부분에 흡착된다. 이러한 흡착물은 온수를 역으로 흘려보내면 제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이 건을 살펴보기 바란다.
이상과 같은 방법의 제어는 컨트롤장치에 미리 입력한 설정한 시간이 되면 제1순환수로(20) 세척시간으로 간주하고 각각의 밸브들(100,101,102)을 제어하여 세척하는 것이다.
10 : 온열폐수정장탱크 20 ; 제1순환수로
21 : 송수관 22 : 환수관
30 : 열교환판 31 ; 일면
32 : 이면 40 : 온수저장탱크
51 : 제2송수관 52 : 제2환수관

Claims (2)

  1. 산업체로부터 발생되어 버려지는 온열이 존재한 폐수(온열폐수라 함)를 임시 보관하는 온열폐수저장탱크(10)가 있고 상기 온열폐수저장탱크(10)의 온열폐수를 송수하고 환수하는 송수관(21)과 환수관(22)이 있으며 상기 송수관(21)과 환수관(22)에 연결되어 온열폐수가 경유하는 열교환판(30)의 일면(31)을 포함한 제1순환수로(20)와

    상기 온열폐수와 열교환된 온수를 임시 보관하는 온수저장탱크(40)가 있고 상기 온수저장탱크(40)의 열교환수(온열폐수와 열교환되는 냉수를 말함)를 송수하고 환수하는 제2송수관(51)과 제2환수관(52)이 있으며 상기 제2송수관(51)과 제2환수관(52)에 연결되어 열교환수가 경우하는 열교환판(30)의 이면(32)을 포함한 제2순환수로(50)와

    상기 송수관(21)내지는 환수관(22)에 연결되어 상기 온열폐수저장탱크(10)의 온열폐수를 순환시키는 제1모터펌프(60)와,

    상기 제2송수관(51)내지는 제2환수관(52)에 연결되어 상기 온수저장탱크(40)의 열교환수(온열폐수와 열교환하는 냉수임)를 순환시키는 제2모터펌프(70)를 포함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송수관(21)에 수로(유로)의 방향을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3방밸브(100)를 설치하여 제1순환수로(20)의 내부를 세척할 경우 온열폐수저장탱크(10)로부터 열교환판(30)으로 이동하는 수로를 차단하고 동시에 열교환판(30)으로부터 역으로 순환되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개방하며,

    상기 환수관(22)은 상기 환수관(22)에 수로(유로)의 방향을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3방밸브(101)를 설치하여 열교환판(30)으로부터 온열폐수저장탱크(10)로 이동하는 수로를 차단하고 동시에 온수저장탱크(40)와 연결된 세척수배관(53)의 수로를 개방하여 세척수를 환수관(22)을 통해 열교환판(30)으로 이동하도록하며

    상기 제2순환수로(50)는 상기 제2송수관(51) 내지는 상기 제2환수관(52)에 수로(유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개폐밸브(102)를 설치하여 제1순환수로(20)의 내부를 세척할 경우 상기 제2순환수로(50)의 수로를 차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열 히트펌프 시스템의 폐수열 저장탱크용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송수관(21) 내지는 환수관(22)에 우회배관(80)을 설치하여 상기 송수관(21) 내지는 환수관(22)내에 흐르는 온열폐수가 상기 우회배관(80)을 경유하도록 하되 상기 우회배관(80) 외부에 상기 우회배관(80) 내부의 탁도를 감지하는 탁도감지센서(85)를 설치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열 히트펌프 시스템의 폐수열 저장탱크용 세척장치.
KR1020160016167A 2016-02-12 2016-02-12 폐수열 히트펌프 시스템의 폐수열 저장탱크용 세척장치 KR101829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167A KR101829218B1 (ko) 2016-02-12 2016-02-12 폐수열 히트펌프 시스템의 폐수열 저장탱크용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167A KR101829218B1 (ko) 2016-02-12 2016-02-12 폐수열 히트펌프 시스템의 폐수열 저장탱크용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888A true KR20170094888A (ko) 2017-08-22
KR101829218B1 KR101829218B1 (ko) 2018-02-14

Family

ID=59757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167A KR101829218B1 (ko) 2016-02-12 2016-02-12 폐수열 히트펌프 시스템의 폐수열 저장탱크용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92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969B1 (ko) * 2020-12-10 2021-06-28 김후배 스팀을 이용한 필터세척 폐열회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0766A (ja) * 2003-07-07 2005-02-03 Hakuto Co Ltd 付着汚れ測定装置及び付着汚れ測定方法
JP2008076030A (ja) 2006-09-25 2008-04-03 Niigata Kiki Kk 洗浄装置及びユニットクーラーの洗浄装置
KR101348952B1 (ko) * 2013-02-28 2014-01-16 이종수 폐수열 회수장치의 여과 및 자동역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969B1 (ko) * 2020-12-10 2021-06-28 김후배 스팀을 이용한 필터세척 폐열회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9218B1 (ko) 201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69411B (zh) 用于清洁管道的清洁系统
JP2008076030A (ja) 洗浄装置及びユニットクーラーの洗浄装置
KR101829218B1 (ko) 폐수열 히트펌프 시스템의 폐수열 저장탱크용 세척장치
JP5496555B2 (ja) ユニットクーラーの洗浄装置
KR100766879B1 (ko) 표면세척기
KR20170094885A (ko) 폐수열 히트펌프의 열교환기 세척 시스템
CN104128335A (zh) 管道清洗装置
US20070241209A1 (en) Flow equalization baffle for multi-nozzle spray systems
KR20160093121A (ko) 세척이 가능한 퇴수용 열회수장치
JPH1161902A (ja) 水槽内洗浄装置
WO2007038904A1 (en) Washer for the hand washing and rinsing of beverage glasses
KR20200083765A (ko) 다중 유체 분사형 브러쉬 청소기
CN102364292B (zh) 一种高压冲污的多管程壳管换热设备及方法
KR101525348B1 (ko) 관로 청소장치
CN210450148U (zh) 一种管件医用器械灌流清洗盆
WO2020036558A2 (en) A dishwasher with improved washing performance
CN107424945B (zh) 一种湿制程机台的腔室
JP2009106896A (ja) 洗浄装置
CN211368888U (zh) 一种易于清理毛发的新型洗脸池
KR20200105083A (ko) 분사노즐의 이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오염배관 세척장치
EP3986627B1 (en) Apparatus for cleaning thermal or hydraulic plants
KR101688981B1 (ko) 임펠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배관 세정 시스템
CN216664875U (zh) 一种建筑装修喷涂装置用便于清理的涂料罐
JP2019111482A (ja) 膜エレメントの洗浄方法
CN217379099U (zh) 功能性水路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