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3644A -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3644A
KR20170093644A KR1020160015308A KR20160015308A KR20170093644A KR 20170093644 A KR20170093644 A KR 20170093644A KR 1020160015308 A KR1020160015308 A KR 1020160015308A KR 20160015308 A KR20160015308 A KR 20160015308A KR 20170093644 A KR20170093644 A KR 20170093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content
portable terminal
user
men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5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3644A/ko
Priority to PCT/KR2016/004420 priority patent/WO2017135515A1/ko
Priority to US16/075,340 priority patent/US20190042065A1/en
Publication of KR20170093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6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1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와; 및 복수의 메뉴 중에서 상기 컨텐츠와 관련되며 사용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중에서 상기 사용자입력에 따라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메뉴 중에서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메뉴를, 컨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컨텐츠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PORTAB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컨텐츠의 사용 정보와, 상기 컨텐츠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메뉴의 사용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휴대용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하여 제공될 수 있는 복수의 메뉴 중에서 최적화 메뉴만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기술의 발달로 인해,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사용자가 컨텐츠를 사용하는 도중에 컨텐츠와 관련된 메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던 컨텐츠를 종료하고 사용하고자 메뉴를 찾아야만 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야구 경기를 생방송으로 시청하던 중에, 생방송 중인 야구 경기와 관련된 채팅을 하기 위해서는, 야구 경기를 재생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 후에, 야구 경기와 관련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야구 경기에 대한 흐름이 끊어질 뿐만 아니라, 야구 경기와 관련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내해야만 했다.
특히, 사용자가 야구 경기 시청 중에 야구 관련 채팅을 반복적으로 해야 한다면, 야구 경기 시청과 채팅 모두에 집중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메뉴 중에서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메뉴를, 컨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컨텐츠와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메뉴 중에서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메뉴를, 컨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컨텐츠와 함께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와; 및 복수의 메뉴 중에서 상기 컨텐츠와 관련되며 사용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중에서 상기 사용자입력에 따라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타입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컨텐츠의 타입과 관련하여 제공될 수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메뉴 중에서 상기 복수의 메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 사용 시간 및 사용 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메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 사용 시간 및 사용 장소에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메뉴는, 상기 컨텐츠의 음성과 관련하여 제공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메뉴 중에서 상기 컨텐츠와 관련되며 사용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및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중에서 사용자입력에 따라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의 타입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컨텐츠의 타입과 관련하여 제공될 수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메뉴 중에서 상기 복수의 메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 사용 시간 및 사용 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메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 사용 시간 및 사용 장소에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메뉴는, 상기 컨텐츠의 음성과 관련하여 제공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은, 복수의 메뉴 중에서 상기 컨텐츠와 관련되며 사용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및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중에서 사용자입력에 따라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메뉴 중에서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메뉴를, 컨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컨텐츠와 함께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제공 시스템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제공 시스템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화 메뉴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최적화 메뉴 제공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최적화 메뉴 제공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모델의 생성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개인화 모델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최적화 메뉴 결정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에 관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성들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설명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제공 시스템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10)는 PDA폰, 스마트폰 등과 같은 스마트 기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자체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1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음악, 사진, 동영상 등과 같은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통화나 문자(SNS)의 전송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다자간의 채팅(chatting)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게임의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휴대용 단말기(110)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10)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메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로서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10)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복수의 메뉴 중에서 디스플레이부(111)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1)를 통해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휴대용 단말기(110)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컨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110)는,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메뉴 중에서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메뉴를 결정하고, 결정된 메뉴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휴대용 단말기(110)가 재생 중인 컨텐츠와 관련되는 메뉴를 컨텐츠의 사용 정보(160)와 메뉴 사용 정보(170)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휴대용 단말기(110)는 컨텐츠의 사용 정보(160)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의 사용 정보(160)는, 휴대용 단말기(110)에서 사용되는 컨텐츠의 타입 및 장르(161), 컨텐츠의 사용 시간(162), 컨텐츠의 사용 장소(163), 컨텐츠의 사용 시에 휴대용 단말기(110)의 이동 여부(164), 컨텐츠의 언어(16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의 타입은 음악, 사진, 동영상 등으로 분류될 수 있는 컨텐츠의 특성을 의미할 수 있으며, 컨텐츠의 장르는 스포츠, 드라마, 영화 등으로 분류될 수 있는 컨텐츠의 특성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타입과 장르에 대한 분류는 상기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녹화 방송인지 생방송인지에 따라 컨텐츠의 타입을 분류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10)는 컨텐츠와 관련되는 메뉴에 관한 정보인 메뉴의 사용 정보(170)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와 관련되는 메뉴란, 휴대용 단말기(110)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의 타입, 장르, 사용 시간, 사용 장소 등과 관련이 있게 사용되는 메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야구 동영상을 시청하던 중에 야구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였다면, 실행된 야구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야구 동영상의 장르, 사용 시간, 및 사용 장소 측면에서 관련이 있는 메뉴가 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메뉴는, 어플리케이션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휴대용 단말기(110)에서 실행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10)가 수집하는 메뉴의 사용 정보(170)는, 메뉴의 타입 및 장르(171), 메뉴의 사용 시간(172), 메뉴의 사용 장소(173), 메뉴의 사용 시에 휴대용 단말기(110)의 이동 여부(174), 메뉴의 언어(17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오전 6~8시 사이에 집에서 회사로 출근하면서 야구 경기 영상을 시청하던 중에, 시청하던 야구 경기 영상을 종료하고 야구 뉴스를 검색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사용자는 정해진 시간과 장소에서 야구 경기 영상의 시청과 야구 뉴스의 검색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고 가정한다. 휴대용 단말기(110)는 사용자가 시청하는 야구 경기 영상의 타입, 장르, 사용 시간, 사용 장소, 이동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110)는 사용자가 시청하는 야구 경기 영상에 대한 사용 정보를 '동영상/야구/6~8시/집에서 회사로/이동 중'과 같은 형식으로 수집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10)는 야구 경기 영상을 종료하고 사용한 야구 뉴스에 대한 사용 정보를 메뉴 사용 정보(170)로서 수집할 수 있다. 야구 뉴스에 대한 사용 정보는, 야구 뉴스의 장르, 사용 시간, 사용 장소, 이동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110)는 '야구 뉴스/6~8시/집에서 회사로/이동 중'과 같은 형식으로 수집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10)는 수집된 컨텐츠 사용 정보(160)와 메뉴 사용 정보(170)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응하는 개인화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즉, 개인화 모델은, 휴대용 단말기(110)에서 사용되는 컨텐츠의 사용 정보(160)에, 컨텐츠와 관련되어 사용되는 메뉴의 사용 정보(170)를 결합하여 생성된 모델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화 모델은, 특정 컨텐츠에 대응하여 사용되는 특정 메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화 모델은 사용자 별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A)(컨텐츠의 타입/컨텐츠의 장르)/(메뉴의 장르/메뉴의 사용 시간/메뉴의 사용 장소/메뉴의 사용 시 이동 여부/메뉴의 선호도)'와 같은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인화 모델은 '(사용자A)(동영상/야구)/(야구 뉴스/6~8시/집에서 회사로/이동 중/0.6)'와 같은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컨텐츠 사용 정보(160), 메뉴 사용 정보(170), 및 개인화 모델의 형식은 상기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식으로 수집되거나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메뉴의 선호도는 메뉴의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개인화 모델은 사용자의 컨텐츠 및 메뉴에 대한 반복 사용 정도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에 대한 특정 메뉴의 사용이 반복될수록 개인화 모델에서 특정 메뉴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질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10)에서 사용되는 컨텐츠의 특성 및 컨텐츠와 관련되어 사용되는 메뉴의 특성이 다양하기 때문에, 한 명의 사용자에 대하여 다수의 개인화 모델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일한 아구 경기 영상에 관한 개인화 모델은, 컨텐츠의 사용 시간에 따라서, 출근 시간 대인 오전 7~8시, 점심 시간 대인 오후 12~1시, 퇴근 시간 대인 오후 6~7시 별로 생성될 수 있으며, 집, 회사, 학원과 같이 컨텐츠의 사용 장소에 따라 생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10)는 컨텐츠 사용 정보(160) 및 메뉴 사용 정보(170)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다수의 개인화 모델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개인화 모델을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개인화 모델이 생성된 경우에,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10)를 통해 컨텐츠(112)를 재생하면, 휴대용 단말기(110)는 재생되는 컨텐츠(112)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재생되는 컨텐츠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재생되는 컨텐츠(112)는 음악, 동영상 등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으나, 도 1에서는 동영상(112)이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재생되는 컨텐츠(112)의 정보는 컨텐츠의 타입, 장르, 사용 시간, 사용 장소 등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10)는 재생되는 컨텐츠의 지문(content fingerprint)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지문은 다른 컨텐츠와 구별될 수 있는 해당 컨텐츠의 고유한 음성 및 영상신호의 패턴으로써, 컨텐츠의 밝기(luminance), 주파수(gradie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10)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112)가 인식되면, 인식된 컨텐츠와 관련하여 제공될 수 있는 복수의 메뉴 중에서 사용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110)는 컨텐츠 별로 생성된 복수의 개인화 모델 중에서 인식된 컨텐츠(112)에 대응되는 컨텐츠 사용 정보(160)를 포함하고 있는 개인화 모델을 결정하고, 결정된 개인화 모델에 포함된 메뉴 사용 정보(170)에 기초하여 인식된 컨텐츠(112)와 관련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인화 모델이 생성된 이후에, 사용자A가 6~8시 사이에 집에서 회사로 출근하면서 야구 경기 영상(112)을 재생한다고 가정한다. 휴대용 단말기(110)는 재생되는 야구 경기 영상(112)의 정보와 컨텐츠 지문에 기초하여 야구 경기 영상(112)을 인식하고, 인식된 영상(112)의 타입, 장르, 사용 시간, 사용 장소, 이동 여부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개인화 모델을 결정할 수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110)는 재생되는 야구 경기 영상(112)의 타입 및 장르가 '동영상/야구'이므로, 복수의 개인화 모델 중에서 컨텐츠의 타입 및 장르가 '동영상/야구'인 개인화 모델 '(사용자A)(동영상/야구)/(야구 뉴스/6~8시/집에서 회사로/이동 중/0.6)'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개인화 모델은, 야구 경기 영상에 대한 모델로서, 사용자는 해당 시간과 장소에서 야구 경기 영상을 시청하던 중에 야구 뉴스를 자주 검색한다는 정보를 내포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10)는 개인화 모델에 기초하여 재생 중인 야구 경기 영상(112)에 대한 최적화 메뉴인 '야구 뉴스' 메뉴를 최적화 메뉴(115)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정된 개인화 모델에 포함되는 메뉴의 개수가 복수이거나 결정된 개인화 모델이 복수인 경우에는, 다수의 메뉴가 최적화 메뉴(115)로 구성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10)는 사용자로부터 최적화 메뉴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구성된 최적화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10)는, 컨텐츠(112)가 재생되는 동안 사용자에 의한 최적화 메뉴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컨텐츠(112)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요청에 의한 최적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110)는 배경화면이 최적화 메뉴(115)를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사용자의 최적화 메뉴 요청에 대응하여 컨텐츠(112)의 일부 영역에 최적화 메뉴(115)를 표시함으로써, 컨텐츠(112)와 함께 최적화 메뉴(115)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최적화 메뉴의 요청은, 디스플레이부(111)의 좌측 하단을 드래그 또는 트리거링(113)하는 사용자의 동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의 일부 영역(114)이 책장처럼 넘겨지도록 표시하고, 넘겨진 영상의 일부 영역(114)이 위치하던 배경화면에 최적화 메뉴(115, 116)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10)는, 컨텐츠 및 컨텐츠와 관련되는 메뉴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생성된 개인화 모델을 사용하여,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하여 제공될 수 있는 복수의 메뉴 중에서 사용자에 대응하는 최적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메뉴를 찾기 위한 번거로운 과정없이 신속하게 메뉴를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기(110)는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컨텐츠와 관련되는 메뉴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컨텐츠를 종료하지 않고 메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제공 시스템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메뉴 제공 시스템(200)은 휴대용 단말기(110)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110)와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서버(120)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도 2의 휴대용 단말기(110)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110)와 대응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즉, 도 1에서는, 휴대용 단말기(110)가 개인화 모델을 생성하고, 생성된 개인화 모델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응하는 최적화 메뉴를 구성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메뉴 제공 시스템(200)은 서버(120)가 개인화 모델을 생성하고, 휴대용 단말기(11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최적화 메뉴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메뉴 제공 시스템(200)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10)는, 휴대용 단말기(110)에서 사용되는 컨텐츠의 사용 정보(160) 및 컨텐츠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의 사용 정보(170)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정보(160, 170)를 서버(120)로 전송한다.
서버(120)의 개인화 모델 생성모듈(130)은, 휴대용 단말기(110)에 의해 수집된 정보(160, 170)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응하는 개인화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서버(120)는 휴대용 단말기(11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 및 휴대용 단말기(110)에 관한 정보를 미리 획득할 수 있으므로, 휴대용 단말기(11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개인화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개인화 모델 생성모듈(130)은 휴대용 단말기(110)의 사용자 별로 개인화 모델을 생성할 수 있으며, 동일한 사용자라도, 컨텐츠의 타입, 장르, 사용 시간, 사용 장소, 사용 언어 등과, 컨텐츠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메뉴의 타입, 종류, 사용 시간, 사용 장소, 선호도 등에 따라 다수의 개인화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개인화 모델 생성모듈(130)은 생성된 개인화 모델을 저장할 수 있다.
개인화 모델이 생성되는 경우에, 휴대용 단말기(110)에서 새로운 컨텐츠(212)가 재생되면, 휴대용 단말기(110)는 재생되는 컨텐츠(212)에 관한 관한 정보(260)와 컨텐츠 지문(270)을 수집하여, 서버(120)의 컨텐츠 인식모듈(14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되는 컨텐츠 정보(260)는, 재생되는 컨텐츠의 타입, 장르, 사용 시간, 사용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인식모듈(140)은 수신된 컨텐츠 정보(260)와 컨텐츠 지문(270)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11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를 인식할 수 있다. 컨텐츠 인식모듈(140)는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인식결과를 휴대용 단말기(110)에 전송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10)는 컨텐츠 인식모듈(140)이 재생되는 컨텐츠를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재생되는 컨텐츠에 관련되는 최적화 메뉴를 최적화 메뉴 생성모듈(150)에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최적화 메뉴는,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하여 제공될 수 있는 복수의 메뉴 중에서 휴대용 단말기(11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의미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10)는 최적화 메뉴를 요청할 때, 사용자의 동일성 인증을 위한 사용자의 아이디(identification, ID)를 최적화 메뉴 생성모듈(15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120)의 최적화 메뉴 생성모듈(150)은 수신된 컨텐츠 정보(260)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11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를 확인하고, 수신된 사용자 ID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동일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최적화 메뉴 생성모듈(150)은 확인된 컨텐츠 및 확인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개인화 모델을 개인화 모델 생성모듈(130)에 요청할 수 있다. 최적화 메뉴 생성모듈(150)은 개인화 모델 생성모듈(130)로부터 수신된 개인화 모델에 기초하여 확인된 컨텐츠와 관련하여 제공될 수 있는 복수의 메뉴 중에서, 확인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포함하는 최적화 메뉴를 구성할 수 있다.
최적화 메뉴 생성모듈(150)은 구성된 최적화 메뉴를 휴대용 단말기(110)에 전송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110)는 수신된 최적화 메뉴를 포함하는 배경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최적화 메뉴의 요청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일부 영역에 최적화 메뉴(115, 116)를 포함하는 배경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화 메뉴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메뉴 제공 시스템(200)은 휴대용 단말기(110)와 서버(1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버(120)는 개인화 모델 생성모듈(130), 컨텐츠 인식모듈(140), 및 최적화 메뉴 생성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10)와 서버(120)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와 도 2의 서버(120)에 각각 대응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10)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고(S301), 재생되는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하여 컨텐츠 인식모듈(140)에 전송할 수 있다(S302). 경우에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10)는 재생되는 컨텐츠의 지문(270)을 컨텐츠 인식모듈(140)에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인식모듈(140)은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의 정보(260) 및 컨텐츠의 지문(270)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를 휴대용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S303).
휴대용 단말기(110)는 컨텐츠 인식모듈(140)이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를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최적화 메뉴 생성모듈(150)로 최적화 메뉴를 요청할 수 있다(S304). 경우에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10)는 컨텐츠 정보(260) 및 사용자 ID를 최적화 메뉴 생성모듈(150)로 전송할 수 있다
최적화 메뉴 생성모듈(150)은 수신된 컨텐츠 정보와 사용자 ID에 기초하여 컨텐츠와 사용자를 확인하고, 확인된 컨텐츠와 사용자에 대응하는 개인화 모델을 개인화 모델 생성모듈(150)에 요청할 수 있다(S305). 즉,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단말기(110)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110)에서 사용되는 컨텐츠 및 메뉴에 기초하여 이미 개인화 모델이 생성된 것으로 가정한다.
개인화 모델 생성모듈(130)은 확인된 컨텐츠와 사용자에 대응하는 개인화 모델을 최적화 메뉴 생성모듈(150)로 전송할 수 있다(S306).
최적화 메뉴 생성모듈(150)은 수신된 개인화 모델에 기초하여 확인된 컨텐츠와 관련하여 제공될 수 있는 복수의 메뉴 중에서 확인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포함하는 최적화 메뉴를 구성하여 휴대용 단말기(110)에 전송할 수 있다(S307).
휴대용 단말기(110)는 배경화면에 수신된 최적화 메뉴를 포함하는 최적화 메뉴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S308).
또한, 휴대용 단말기(110)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안 최적화 메뉴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S309),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컨텐츠의 재생 중에 최적화 메뉴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310).
여기서, 최적화 메뉴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11)에 드래그 또는 트리거링과 같은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최적화 메뉴 제공에 관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 따른 휴대용 단말기(110)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110)와 대응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10)는 컨텐츠의 사용 정보 및 컨텐츠와 타입, 장르, 사용 시간, 사용 장소, 사용 언어 측면에서 연관성이 있는 메뉴의 사용 정보에 기초하여 개인화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개인화 모델을 생성한 이후에, 휴대용 단말기(110)는 디스플레이부(111)에 야구 경기 영상(212)을 표시하던 중에 현재 표시되는 영상(212)에 관한 최적화 메뉴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재생 중인 영상(212)의 한 모서리에 대하 드래그 또는 트리거링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영상(212)의 일부 영역에 복수의 최적화 메뉴(115, 116)를 포함하는 바탕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10)는 '야구 뉴스' 메뉴(115)와 '야구 채팅' 메뉴(116)를 최적화 메뉴로서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야구 뉴스' 메뉴(115)를 선택하면, 야구 뉴스(413)에 관한 내용을 야구 경기 영상(212)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야구 경기 영상(212)과 야구 뉴스(413)에 관한 내용은 알파 블렌딩 처리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1)에는 야구 경기 영상(212)과 야구 뉴스(413)에 관한 내용이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10)는 선택된 '야구 뉴스' 메뉴를 나타내는 아이콘(412)을 야구 경기 영상(212)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10)에 의하면, 사용자는 재생 중인 야구 경기 영상(212)을 시청하면서, 야구 경기 영상(212)에 대한 야구 뉴스(413)를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최적화 메뉴 제공에 관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10)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110)와 대응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 따른 휴대용 단말기(110)는 디스플레이부(111)에 야구 경기 영상(212)을 표시할 수 있고, 현재 표시되는 영상(212)에 관한 최적화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10)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11)에 영상(212)이 표시되는 동안 영상(212)의 일부 영역에 복수의 최적화 메뉴(115, 116)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복수의 최적화 메뉴(115, 116) 중에서 '야구 채팅' 메뉴(116)를 선택하면, 휴대용 단말기(110)는 야구 채팅 기능을 실행하고, 소정 투명도로 채팅 화면(513)을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채팅 화면(513)은 소정 투명도로 야구 경기 영상(212)의 일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야구 경기 영상(212)를 중단하지 않고 야구 경기 영상(212)과 관련된 채팅을 즐길 수 있다. 여기서, '야구 채팅' 메뉴를 나타내는 아이콘(512)을 야구 경기 영상(212)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10)에 의하면, 사용자는 야구 경기 영상(212)을 시청하면서, 야구 경기와 관련되는 채팅을 실시간으로 즐길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10)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110)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하고, UI를 통한 사용자입력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10)는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UI를 표시하고, UI를 통한 사용자입력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1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사용되는 컨텐츠의 사용 정보(160)를 수집할 수 있다. 컨텐츠의 사용 정보(160)는 음악, 사진,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의 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의 타입이 동영상인 경우에는, 스포츠, 드라마, 뉴스 등과 같은 컨텐츠의 장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의 타입이 음악인 경우에는, 클래식, 가요, 민요 등과 같은 컨텐츠의 장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10)는 컨텐츠의 사용 정보(160)를 수집하여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하, 휴대용 단말기(11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휴대용 단말기(110)는 입력부(610), 디스플레이부(111), 센서부(630) 및 제어부(640)를 포함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10)는 통신부(650), 사용자 입력부(660), 저장부(670), 배터리(680), 음향출력부(691) 및 햅틱부(692)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1)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을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 패널, OLED 패널, AMOLED 패널, 또는 PDP 패널 등으로 형성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1)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1)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출력되는 이미지, 동영상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기(110)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센서부(63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630)는 6개의 축(6-axis)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감지 할 수 있는 센서(631),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sensor, 632), 및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6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속도 센서(632)는 x, y, 및 z 축에 대한 중력 가속도 및 운동 가속도를 측정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110)의 이동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자이로스코프 센서(633)는 x, y, 및 z 축에 대한 각속도를 측정하여 변화한 각도를 측정하는 센서로, 휴대용 단말기(110)의 이동 방향을 측정 할 수 있다. 센서부(630)는 가속도 센서(632) 및 자이로스코프 센서(633)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6개의 축방향으로의 사용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63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40)는 CPU,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110)의 각 구성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40)는 휴대용 단말기(110)에서 사용되는 컨텐츠의 사용 정보(160)와 컨텐츠에 관한 메뉴의 사용 정보(170)를 수집하고, 수집된 컨텐츠의 사용 정보(160)와 메뉴의 사용 정보(170)에 기초하여 개인화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개인화 모델이 생성되면, 제어부(640)는 휴대용 단말기(11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개인화 모델을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640)는 컨텐츠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고 부여된 가중치에 따라 개인화 모델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40)는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컨텐츠 타입/장르/사용 시간/사용 장소/사용 언어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정보 중에서 컨텐츠의 타입/장르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어부(640)는 복수의 개인화 모델 중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의 사용 시간/사용 장소/사용 언어보다는 컨텐츠의 타입/장르에 대응되는 개인화 모델을 우선적으로 선별하여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640)는 우선적으로 결정된 개인화 모델에 포함된 메뉴의 사용 정보(170)에 따라 최적화 메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40)는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사용자가 재생되는 컨텐츠에 관한 최적화 메뉴를 요청하면, 재생되는 컨텐츠를 종료하지 않고 구성된 최적화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서버(120)에 의해서 최적화 메뉴가 구성되는 경우에, 제어부(640)는 수집된 컨텐츠의 사용 정보(160)와 메뉴의 사용 정보(170)를 통신부(650)를 통해서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고, 서버(120)에 의해 구성된 최적화 메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640)는 최적화 메뉴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최적화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할 수 있다.
통신부(65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650)는 블루투스(bluetooth), WLAN(Wireless LAN), Wi -Fi, 3G,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CDMA, WCDMA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650)는 근거리 통신기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에 따른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660)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또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과 같은 조그 방식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66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11)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6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 메모리(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670)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재생되는 다량의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670)는 제어부(6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휴대용 단말기(110)의 고유 정보,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및 휴대용 단말기(11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의 사용 정보(160)를 저장할 수 있다.
배터리(680)는 휴대용 단말기(110)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며, 충전 등을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110)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음성수신부(611)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음성수신부(611)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영상획득부(612)는 이미지를 촬상하고, 촬상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될 수 있도록 촬상된 이미지를 처리한다.
음향출력부(691)는 통신부(65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6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부(691)에는 스피커(speaker) 또는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부(692)는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부(692)가 촉각 효과로써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을 변경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모델의 생성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640)는 도 6의 제어부(640)에 대응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640)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10) 내에서 사용한 컨텐츠의 사용 목록(701) 및 현재 사용하고 있는 컨텐츠의 실시간 사용 목록(702), PC 및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같은 외부장치에서 사용한 컨텐츠의 사용 목록(705) 등에 포함되는 컨텐츠의 사용 정보(706)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640)는 각 컨텐츠로부터 추출된 메타 데이터와, 각 컨텐츠가 사용될 때 센서부(630)에 의해 센싱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사용 정보(706)를 수집할 수 있다.
제어부(640)가 수집하는 컨텐츠의 사용 정보(706)는, '컨텐츠의 타입/ 컨텐츠의 장르/ 컨텐츠의 사용 시간/ 컨텐츠의 사용 장소/ 컨텐츠의 사용 시 이동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40)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10) 내에서 사용한 메뉴의 사용 목록(703) 및 현재 사용하고 있는 메뉴의 실시간 사용 목록(704)에 기초하여, 컨텐츠와 관련된 메뉴의 사용 정보(707)를 수집할 수 있다.
제어부(640)가 수집하는 메뉴의 사용 정보(707)는, '메뉴의 타입/메뉴의 장르/메뉴의 종류/메뉴의 사용 시간/메뉴의 사용장소/메뉴 사용 시 이동여부/메뉴에 대한 선호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40)는 수집된 컨텐츠의 사용 정보(706)의 각 구성요소와, 메뉴의 사용 정보(707)의 각 구성요소를 각각 매칭하여 개인화 모델(706)은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전 6~8시 사이에 집에서 회사로 출근하는 동안 클래식 음악을 반복적으로 듣는 경우, 컨텐츠의 사용 정보(707)는 '음악/클래식/오전 6~8시/집에서 회사까지/이동 중'와 같이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와 동일한 시간 대에 동일한 장소에서 클래식 음악을 듣다가 반복적으로 클래식 음악 관련 채팅을 하는 경우, 메뉴의 사용 정보(707)는 '음악/클래식/클래식 음악 관련 채팅/오전 6~8시/집에서 회사까지/이동 중/선호도 0.1'와 같이 수집될 수 있다.
개인화 모델이 '(컨텐츠의 타입/컨텐츠의 장르)/(메뉴의 장르/메뉴의 사용 시간/메뉴의 사용 장소/메뉴의 사용 시 이동 여부/메뉴의 선호도)'와 같은 형식을 가진다면, 제어부(640)는 '(음악/클래식)/(클래식 음악 관련 채팅/오전 6~8시/집에서 회사까지/이동 중/선호도 0.1)'과 같이 개인화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개인화 모델의 형식은 상기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한 형식과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640)는 생성된 개인화 모델을 저장부(670)에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서버(120)가 최적화 메뉴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생성된 개인화 모델을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한 명의 사용자에 대해 생성된 다수의 개인화 모델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개인화 모델에 관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640)는 도 6의 제어부(640)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640)는 사용자A가 사용하는 컨텐츠의 사용 정보(706)와, 컨텐츠와 관련되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에 관한 정보(707)에 기초하여 사용자A의 개인화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와 관련되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는, 컨텐츠의 타입, 장르, 사용 시간, 사용 장소 등과 연관성이 있도록 사용되는 메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A가 오전 6~8시 사이에 집에서 회사로 출근하는 동안, '클래식 음악'을 항상 들으며, '클래식 음악'을 듣다가 주로 '음악 관련 뉴스' 메뉴를 사용하여 최신 음악 관련 뉴스를 검색하지만, 종종 '음악 관련 채팅'을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사용자A가 오전 7~8시 사이에 가끔 회사에 일찍 도착하면, 회사 로비에서 '영어 강의'를 시청하다가, '영어 사전'을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이와 같은 패턴이 소정 횟수 이상 반복되는 경우, 제어부(640)는 사용자A가 사용하는 '클래식 음악'의 사용 정보(706)와 '클래식 음악'과 관련되어 사용되는 '음악 관련 뉴스' 및 '음악 관련 채팅' 메뉴의 사용 정보(707)에 기초하여 사용자A에 관한 개인화 모델 1 및 개인화 모델 2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A가 사용하는 '영어 강의'의 사용 정보(706)와 '영어 강의'와 관련되어 사용하는 '영어 사전' 메뉴의 사용 정보(707)에 기초하여 개인화 모델 3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인화 모델 1 및 개인화 모델 2는, '(음악/클래식)/(클래식 음악 뉴스/오전 6~8시/집에서 회사까지/이동 중/선호도 0.4)' 및 '(음악/클래식)/(클래식 음악 관련 채팅/오전 6~8시/집에서 회사까지/이동 중/선호도 0.1)와 같이 각각 생성될 수 있으며, 개인화 모델 3은 '(동영상/영어 강의)/(영어 사전/오전 7~8시/회사 로비/고정/선호도 0.5)'와 같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개인화 모델이 생성된 경우에, 사용자가 임의의 컨텐츠를 재생한다면, 제어부(640)는 재생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대응되는 개인화 모델을 결정하고, 결정된 개인화 모델에 포함된 메뉴를 최적화 메뉴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A에 대한 개인화 모델 1, 2, 및 3이 상기와 같이 생성된 경우에, 사용자A가 7~8시 사이에 클래식 음악을 재생한다면, 제어부(640)는 클래식 음악이 재생되는 클래식 음악의 타입, 장르, 사용 시간, 사용 장소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어부(640)는 수집된 클래식 음악의 사용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화 모델 1 및 개인화 모델 2를 결정할 수 있고, 각 개인화 모델에 포함된 '음악 관련 뉴스' 메뉴와 '음악 관련 채팅' 메뉴를 최적화 메뉴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개인화 모델 3은 사용자A가 7~8시 사이에 사용하는 메뉴의 사용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었지만, 컨텐츠의 타입과 장르가 재생되는 클래식 음악과 상이하기 때문에, 제어부(640)는 개인화 모델 3에 포함된 '영어 사전' 메뉴를 최적과 메뉴로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640)는 재생되는 클래식 음악에 관한 정보의 구성요소와 개인화 모델의 구성요소 간에 대응되는 구성요소의 비율에 따라 개인화 모델을 결정할 수 있고, 클래식 음악의 정보의 구성요소 마다 상이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개인화 모델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뉴의 '사용 시간'에 가중치가 적용된 경우에, 사용자A가 6~7시 사이에 회사의 로비에 있더라도 '영어 사전' 메뉴보다는 '음악 관련 뉴스' 메뉴와 '음악 관련 채팅' 메뉴를 최적화 메뉴로 구성할 수 있다.
반면에, 메뉴의 '사용 장소'에 가중치가 적용된 경우에, 사용자A가 7~8시 사이에 집에서 회사로 이동 중이더라도 '영어 사전' 메뉴를 최적화 메뉴로 구성할 수 있다.
메뉴의 '선호도'에 가중치가 적용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A가 7~8시 사이에 클래식 음악을 듣더라도, '영어 사전'을 최적화 메뉴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개인화 모델의 각 구성요소 마다 가중치의 비율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화 모델의 '사용 시간': '사용 장소': '선호도'=2:3:5의 비율로 가중치를 각각 적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최적화 메뉴 결정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10)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110)와 대응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10)는, 이전에 휴대용 단말기(110)를 통해 사용되었던 컨텐츠의 사용 정보(160)와, 컨텐츠와 관련하여 사용된 메뉴의 사용 정보(170)에 기초하여 사용자 별로 개인화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S901).
휴대용 단말기(110)는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902).
휴대용 단말기(110)는 수집된 컨텐츠의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화 모델을 결정하고, 결정된 개인화 모델에 기초하여 최적화 메뉴를 구성할 수 있다(S903).
특히, 최적화 메뉴가 다수의 사용자가 가상의 공간에서 채팅을 할 수 있는 소셜 그룹에 관한 메뉴일 때에는, 복수의 소셜 그룹 메뉴 중에서 결정된 개인화 모델에 대응되는 소셜 그룹 메뉴를 최적화 메뉴로 구성할 수 있다(S904).
예를 들면, 휴대용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특정 시간과 특정 장소에서 음악 관련 채팅과 야구 관련 채팅을 즐긴다면, 휴대용 단말기(110)는 특정 시간과 특정 장소에서 야구 경기 영상이 재생될 때, 음악 관련 소셜 그룹 메뉴 대신에 야구 관련 소셜 그룹 메뉴를 최적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에 관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1000)는 도 6의 휴대용 단말기(110)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1000)는 음성수신부(611, 1011)와 영상획득부(612)를 포함하는 입력부(610), 디스플레이부(111, 1020), 센서부(630) 및 제어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단말기(1000)는 통신부(650), 사용자 입력부(660), 저장부(670), 배터리(680), 음향출력부(691, 1012) 및 햅틱부(692)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웨어러블 단말기(1000)의 본체(1010)는 원형 또는 사각형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체(1010)에는 음성수신부(1011), 음향출력부(1012) 및 디스플레이부(1020)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20)는 각기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1030)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아이콘(1030)은 웨어러블 단말기(1000)에서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거나 웨어러블 단말기(1000)의 특정 기능에 대응한다.
웨어러블 단말기(1000)는 웨어러블 단말기(1000)에서 사용되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 정보(160)와, 사용되는 컨텐츠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메뉴에 대한 사용 정보(170)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응하는 개인화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웨어러블 단말기(1000)의 센서부(630)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감지할 수 있는 심박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므로, 개인화 모델에 사용자의 심박수에 관한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단말기(1000)는 좀더 세분화된 개인화 모델을 생성할 수 있고, 세분화된 개인화 모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더욱 적합한 최적화 메뉴를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0: 최적화 메뉴 제공 시스템
110: 휴대용 단말기
111: 디스플레이부
120: 서버
130: 개인화 모델 생성모듈
140: 컨텐츠 인식모듈
150: 최적화 메뉴 생성모듈
610: 입력부
630: 센서부
640: 제어부
650: 통신부
660: 사용자 입력부
670: 저장부
680: 배터리
690: 출력부

Claims (13)

  1.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와; 및
    복수의 메뉴 중에서 상기 컨텐츠와 관련되며 사용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중에서 상기 사용자입력에 따라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타입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컨텐츠의 타입과 관련하여 제공될 수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결정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메뉴 중에서 상기 복수의 메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 사용 시간 및 사용 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결정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메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 사용 시간 및 사용 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가중치를 적용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뉴는, 상기 컨텐츠의 음성과 관련하여 제공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메뉴 중에서 상기 컨텐츠와 관련되며 사용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및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중에서 사용자입력에 따라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타입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컨텐츠의 타입과 관련하여 제공될 수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메뉴 중에서 상기 복수의 메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 사용 시간 및 사용 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메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 사용 시간 및 사용 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뉴는, 상기 컨텐츠의 음성과 관련하여 제공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13.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은,
    복수의 메뉴 중에서 상기 컨텐츠와 관련되며 사용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및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중에서 사용자입력에 따라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160015308A 2016-02-05 2016-02-05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9364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308A KR20170093644A (ko) 2016-02-05 2016-02-05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CT/KR2016/004420 WO2017135515A1 (ko) 2016-02-05 2016-04-27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6/075,340 US20190042065A1 (en) 2016-02-05 2016-04-27 Portab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308A KR20170093644A (ko) 2016-02-05 2016-02-05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644A true KR20170093644A (ko) 2017-08-16

Family

ID=59501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308A KR20170093644A (ko) 2016-02-05 2016-02-05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042065A1 (ko)
KR (1) KR20170093644A (ko)
WO (1) WO2017135515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019458A1 (es) * 1998-07-23 2002-02-2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Una disposicion de guia de programacion televisiva interactiva que sirve como entrada
KR100723711B1 (ko) * 2005-01-07 2007-05-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단말기에서 컨텐츠별 메뉴 리스트 동적 변경 방법 및시스템
TW200823740A (en) * 2006-11-28 2008-06-01 Inst Information Industry Mobile electronic apparatus, method, application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of for dynamically arranging the display sequence of function options
JP5591450B2 (ja) * 2008-02-12 2014-09-17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ンテンツ表示処理装置、コンテンツ表示処理方法、コンテンツ表示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表示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524616B1 (ko) * 2008-07-07 2015-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이로센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1253462A (ja) * 2010-06-03 2011-12-15 Sony Corp コンテンツ推薦システム、コンテンツ推薦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推薦方法
KR20120072953A (ko) * 2010-12-24 2012-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33505A (ko) * 2011-09-09 2013-04-04 유비벨록스(주) 사용자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35515A1 (ko) 2017-08-10
US20190042065A1 (en)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01015A1 (zh) 音频信号处理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04063175B (zh) 元数据标记系统和用户终端装置
KR101971624B1 (ko) 이동 단말의 정보 표시 방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 이동 단말의 제어 신호 생성 방법
JP6157603B2 (ja) コンテキスト・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
KR101984915B1 (ko) 증강 현실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와 시스템
US964147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message in electronic device
JP2021002399A (ja) ユーザー相互作用を共有するための装置
US20180137097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013338B1 (ko) 서비스 페이지 공유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2104123B1 (ko)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N110061900B (zh) 消息显示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20391060A1 (en) Methods for displaying and providing multimedia resources
CN110740262A (zh) 背景音乐的添加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14002748A (ja) 遠隔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40081636A (ko) 콘텐트 재생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KR101943988B1 (ko) 컨텐트 전송 방법 및 시스템, 기기와 그 기록 매체
CN109426343B (zh) 基于虚拟现实的协作训练方法及系统
CN111628925B (zh) 歌曲交互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20130120249A1 (en) Electronic device
US20210373843A1 (en) Audio detection and subtitle presence
CN114564604B (zh) 媒体合集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908627A (zh) 投屏方法及第一电子设备
CN108763475B (zh) 一种录制方法、录制装置及终端设备
KR20150110319A (ko)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N111031391A (zh) 视频配乐方法、装置、服务器、终端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