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896A - 콘텐츠 재생 방법,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용 태그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콘텐츠 재생 방법,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용 태그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896A
KR20170092896A KR1020160014149A KR20160014149A KR20170092896A KR 20170092896 A KR20170092896 A KR 20170092896A KR 1020160014149 A KR1020160014149 A KR 1020160014149A KR 20160014149 A KR20160014149 A KR 20160014149A KR 20170092896 A KR20170092896 A KR 20170092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ag
tag information
broadcast
broadcas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기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앰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앰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앰버스
Priority to KR1020160014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2896A/ko
Priority to PCT/KR2017/000880 priority patent/WO2017135633A1/ko
Publication of KR20170092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8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되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들 각각에 대한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저장되어 있는 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되고 요청에 대응하는 태그 정보를 요청한 콘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태그 정보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 상에서 복수의 콘텐츠를 구별 가능하게 하는 것인 콘텐츠 재생 방법,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용 태그 제공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콘텐츠 재생 방법,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용 태그 제공 장치{CONTENTS PLAYING METHOD, CONTENTS PLAYING APPARATUS AND TAG PROVIDING APPARATUS FOR CONTENTS}
본 발명은 콘텐츠 재생 방법,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용 태그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방송 등을 통해서 방송된 콘텐츠에 대한 태그 정보를 태그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받아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콘텐츠 재생 방법,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용 태그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과 미디어 문화의 발달에 따라, 현재 세상은 정보가 넘쳐나고 있다. 사람들이 수신하고 이용 가능한 정보로서 단순 문자에서부터 공중파 라디오 방송이나 인터넷 라디오를 통한 음성 정보, 및/또는 공중파나 케이블 TV 방송이나 인터넷 TV 방송을 통한 비디오 정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의 정보가 존재한다.
이렇게 정보가 넘쳐나기 때문에, 역으로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없게 되고, 개인은 본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불필요한 정보를 수용해야 하는 부작용을 겪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서 정보 검색기술을 이용하거나, 검색된 정보를 분석하여 유용한 결론을 이끌어내는 빅 데이터 기술이 이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추세의 요구는 음성이나 비디오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에서도 동일하게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음악의 경우 어떤 사람들은 고전적인 연주 음악을 좋아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최신 음악을 좋아하며, 비디오 영상이나 방송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사람들의 취향에 따라 멀티미디어의 선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나 현재는 특정 취향에 특화된 라디오 방송, 바둑 채널 또는 뉴스 채널처럼 특화된 방송을 통해서 선택적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고 시청할 수 있다. 이 방식 역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송사나 콘텐츠 제공자의 계획에 따라 일방적으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소비되며, 최종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자유의 폭은 넓지 않다. 최종 이용자가 멀티미디어 선택에 있어 좀 더 많은 자유를 갖기 위해선 콘텐츠 제공자에게 더 큰 비용을 내야 하는데, 그 이유는 현재의 정보통신 기술에서 최종 이용자에게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통신 대역폭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곧 콘텐츠 제공자의 투자비용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좀 더 적은 비용으로 최종 소비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자유로운 선택과 이용을 가능토록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용 태그 제공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콘텐츠 소비자가 저비용으로 콘텐츠를 자유롭게 선택하고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용 태그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비자가 일련의 방송 콘텐츠 상에서 특정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고 나아가 특정 콘텐츠 내의 일부분을 선택하여 선택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용 태그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텐츠 소비자가 선택 가능한 콘텐츠를 원하는 대로 재배치 또는 재정렬하여 콘텐츠 재생과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용 태그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콘텐츠 재생 방법은 태그 제공 장치가 방송되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들 각각에 대한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태그 제공 장치가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태그 제공 장치가 저장되어 있는 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태그 정보를 요청한 콘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태그 정보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 상에서의 복수의 콘텐츠를 구별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콘텐츠용 태그 제공 장치는 방송되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들 각각에 대한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유닛,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유닛 및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되고 요청에 대응하는 태그 정보를 요청한 콘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통신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태그 정보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 상에서의 복수의 콘텐츠를 구별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콘텐츠 재생 장치는 태그 제공 장치로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는 통신부, 통신부를 통해서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에 따른 태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되어 있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에서 선택되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태그 정보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 상에서의 복수의 콘텐츠를 구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방법,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용 태그 제공 장치는 콘텐츠 소비자가 저비용으로 콘텐츠를 자유롭게 선택하고 즐길 수 있도록 하여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일방적인 방송에 벗어나 콘텐츠 최종 소비자가 자신의 취향과 상황에 맞게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방법,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용 태그 제공 장치는 소비자가 일련의 방송 콘텐츠 상에서 특정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고 나아가 특정 콘텐츠 내의 일부분을 선택하여 선택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방법,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용 태그 제공 장치는 콘텐츠 소비자가 선택 가능한 콘텐츠를 원하는 대로 재배치 또는 재정렬하여 콘텐츠 재생과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그에 따라 시간의 구애됨 없이 다양한 시간에 다양한 방식으로 방송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태그를 활용하여 저장되어 있는 방송 콘텐츠를 선별적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재생 시스템의 예시적인 시스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콘텐츠 재생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태그 제공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태그를 활용하여 저장되어 있는 방송 콘텐츠를 선별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예시적인 데이터 및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태그 데이터를 활용하여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구성된 예시적인 태그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태그를 활용하여 저장되어 있는 방송 콘텐츠를 선별적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재생 시스템의 예시적인 시스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A)는 제 1 실시 형태이고 도 1(B)는 제 2 실시 형태이다.
제 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콘텐츠 재생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콘텐츠 재생 장치(100) 및 태그 제공 장치(200)를 포함하며, 제 2 실시 형태에 따르면 클라우드 서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재생 시스템 내의 장치나 서버는 다른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 프로그램,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의 각각의 장치들을 살펴보면,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임의의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기기이다.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콘텐츠 재생 장치(100)내에 디지털 포맷으로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비디오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일련의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비디오 콘텐츠들을 방송하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들을 방송 매체(예를 들어 무선 전파나 유선 라인)를 통해서 수신하고 이를 출력하거나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저장되어 있는 방송 콘텐츠의 재생시에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태그 제공 장치(200) 등을 통해서 제공되는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되어 있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콘텐츠들을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콘텐츠들 중 선별적인 재생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휴대형이거나 거치형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휴대형 또는 거치형의 오디오 기기, 방송 수신 기기이거나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전용 기기일 수 있다.
콘텐츠 재생 장치(100)에 관해서는 도 2 및 도 4를 통해서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태그 제공 장치(200)는 복수의 방송 콘텐츠 스트림들을 방송 매체를 통해서 수신하고 이 방송 콘텐츠 스트림들 각각에 대한 태그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한다. 각각의 태그 데이터는 지정된 시간동안에 송출되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 내에 포함된 콘텐츠들 각각을 다른 콘텐츠와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태그 데이터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 내의 각 콘텐츠의 시작 시각과 종료 시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태그 제공 장치(200)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된 콘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의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요청된 방송 콘텐츠 스트림에 대응하는 태그 정보를 생성하고 요청한 콘텐츠 재생 장치(100)로 생성된 태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은 명시적으로 콘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수신되거나 묵시적으로(예를 들어 콘텐츠 재생 장치(100)의 접속에 따라) 인지될 수 있다.
태그 제공 장치(200)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콘텐츠들을 위한 태그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로서 예를 들어 HTTP 서버로 동작하거나 프로그램(앱)과 연동할 수 있는 앱 서버로서 동작할 수 있다.
태그 제공 장치(200)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통해서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제 2 실시 형태에 따라 더 구비되는 클라우드 서버(300)는 가입 등을 통해 지정된 사용자를 위한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서버로서 기존 구글 또는 네이버 등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이거나 본 발명의 서비스를 위한 전용의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으며, 태그 제공 장치(200)와 함께 구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클라우드 서버(300)에 명시적 또는 묵시적 로그인이 가능하며, 클라우드 서버(300)의 저장 공간에 각종 콘텐츠를 저장하되, 특히 본 발명에 관한 방송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방송 콘텐츠 스트림을 방송 매체를 통해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이를 사용자의 전용 저장 공간에 또는 사용자들의 범용 저장 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특정 사용자의 콘텐츠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콘텐츠 재생 장치(100)로 요청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재생 장치(100)가 방송 매체를 통해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방송 콘텐츠 스트림을 수신한 후 이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해서 클라우드 서버(300)의 저장 공간에 저장을 요청함으로써, 클라우드 서버(300)가 저장토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콘텐츠 제공 서버 및 다운로더 서버 등이 본 발명에 관계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서버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을 인터넷 등을 통해 제공하는 서버이며, 다운로더 서버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요청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버이다. 다운로더 서버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유닛, 복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 유닛, 통신 유닛을 통한 프로그램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요청된 프로그램을 저장 유닛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프로그램을 통신 유닛을 통해 요청한 기기(예를 들어 콘텐츠 재생 장치(100))로 전송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다운로더 서버는 본 발명에 따라 태그를 활용하여 콘텐츠를 재생하는 프로그램을 적어도 저장 유닛에 저장한다.
이 프로그램은 태그 제공 장치(200)와 연동할 수 있고 콘텐츠 재생 장치(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이하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이라고도 한다)은 윈도우 환경 등에서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플랫폼상에서 수행될 수 있는 앱일 수 있다.
다운로드된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콘텐츠 재생 장치(100) 등에서 수행될 수 있고 이하에서 살펴볼(특히 도 4) 콘텐츠 재생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제어 흐름은 도 4 등을 통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네트워크(도면부호 미도시)는 장치나 서버 사이에 위치하여 장치나 서버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유선, 무선 또는 유선과 무선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인터넷망으로 구성되거나 포함한다. 네트워크는 이동통신사업자에 의해서 제공되는 이동통신망을 그 구성요소로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콘텐츠 재생 장치(1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입력부(101), 출력부(103), 콘텐츠 수신부(105), 통신부(107), 저장부(109), 연결부(111) 및 제어부(113)를 포함한다. 도 2의 블록도는 바람직하게는 기능 블록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설계 변형에 따라 특정 블록이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300)를 이용해 바로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콘텐츠들을 저장할 수 있고 액세스할 수 있는 경우에 설계 변형에 따라 콘텐츠 수신부(105) 및/또는 저장부(109)는 생략될 수 있다. 또는,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블록이 이 콘텐츠 재생 장치(100)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를 통해서 콘텐츠 재생 장치(100)를 하드웨어와 연관하여 살펴보면, 입력부(101)는 키보드, 터치 패널, 버튼, 마이크 등을 구비하여 콘텐츠 재생 장치(100)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입력부(101)는 콘텐츠 재생 장치(100)의 동작 시작(전원 입력)을 요청하는 입력이나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로컬 저장을 요청하는 입력이나 저장된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콘텐츠들의 재생을 위한 선택이나 선택후 선택된 콘텐츠들의 재생 순서의 결정이나 재생을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사용자 입력은 제어부(113)로 전달된다.
출력부(103)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부(103)는 LCD나 OLE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나(와) 스피커, 이어폰 잭 등을 구비하여 방송의 오디오 신호 및/또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거나 제어부(113)에 의해서 재생되는 콘텐츠의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콘텐츠 수신부(105)는 방송 매체를 통해서 송출되는 하나 이상의 방송 콘텐츠 스트림을 수신한다. 콘텐츠 수신부(105)는 무선 매체를 통해서 송출되거나 유선 매체를 통해서 송출되거나 인터넷을 통해서 송출되는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콘텐츠 수신부(105)는 라디오 튜너, TV 튜너, 유선 케이블 튜너 등을 구비하여 라디오 방송, 지상파 방송, 유선 케이블 방송의 방송 콘텐츠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콘텐츠 수신부(105)는 유선 랜이나 무선 랜에 접속하기 위한 칩셋 등을 구비하여 인터넷을 통해서 송출되는 인터넷 방송의 방송 콘텐츠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09)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대용량 저장매체를 구비하여 각종 데이터, 콘텐츠 및/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109)는 콘텐츠 수신부(105)에서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방송 콘텐츠 스트림을 제어부(113)의 제어에 따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09)는 제어부(113)에서 수행될 수 있는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콘텐츠 재생 장치(100)가 생산되거나 배포될 때 탑재되어 있거나 다운로더 서버(400)를 통해서 다운로딩될 수 있다.
콘텐츠 수신부(105)와 방송 콘텐츠 스트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09)의 구성은 설계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수신부(105)의 튜너와 대용량의 방송 콘텐츠 스트림을 저장하기 위한 하드디스크 등은 생략되고 클라우드 서버(300) 등에 해당 방송 콘텐츠 스트림이 저장될 수 있다.
통신부(107)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데이터의 통신 패킷을 송수신한다. 통신부(107)는 유선랜, 무선랜 또는/및 LTE 등에 연결되기 위한 통신 칩셋과 필요시 안테나를 구비하여 통신 패킷을 네트워크로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3)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107)는 태그 제공 장치(200)로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을 나타내는 데이터의 통신 패킷을 전송하고 태그 제공 장치(200)로부터 그 응답을 나타내는 데이터의 통신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에 대한 응답은 하나 이상의 방송 콘텐츠 스트림에 대한 태그 정보를 포함한다.
연결부(111)는 콘텐츠 재생 장치(100) 내의 블록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연결부(111)는 예를 들어 병렬 버스이거나 시리얼 버스일 수 있다. 연결부(111)는 제어부(113)에 의해서 제어되어 다른 블록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3)는 콘텐츠 재생 장치(100)의 블록들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13)는 프로그램 코드를 수행할 수 있는 실행 유닛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저장부(109)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로딩하고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다른 블록들을 제어할 수 있다.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수행에 따라 제어부(113)는 방송 매체를 통해서 방송된 방송 콘텐츠 스트림상에서 특정 콘텐츠를 식별하거나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콘텐츠들을 지정된 재생 순서에 따라서 재생할 수 있다.
제어부(113)에서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제어를 좀 더 살펴보면, 제어부(113)는 입력부(101)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수신 가능한 방송 채널들 중 저장할 하나 이상의 방송 채널의 방송 콘텐츠 스트림을 콘텐츠 수신부(105)를 통해서 수신하고 이를 인코딩(예를 들어 압축 포맷으로 또는 비압축 포맷으로)하여 저장부(109)에 저장한다. 저장 시작시에, 제어부(113)는 각각의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식별자와 수신 시작 시각(예를 들어 월, 일, 시간, 초)을 저장하고 저장 종료시에 수신 종료 시각(예를 들어 월, 일, 시간, 초)을 저장한다. 또한, 수신 시작 시각 및 수신 종료 시각이외에 일정 주기마다 현재 시각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식별자는 방송 채널 번호를 나타내거나 방송 채널 이름을 나타내거나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제공자를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식별자는 다른 방송과 구별할 수 있는 문자나 숫자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저장시에 특정 방송 콘텐츠 스트림은 출력부(103)를 통해서 출력될 수도 있다.
저장부(109)에 저장되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은 방송 저장 시간에 따라 여러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콘텐츠를 내장하거나 포함하고 해당 콘텐츠가 언제 시작하는지 언제 종료되는지는 알 수 없다. 즉, 연속적인 방송 저장 시간 동안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은 음악 콘텐츠, 영상 콘텐츠, 토크쇼, 광고 등 다양한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으나 어떠한 콘텐츠가 존재하고 각각의 콘텐츠가 언제 시작하는지 또는 언제 종료하는지를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이 용이치 않다. 비록 채널 가이드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각 방송 채널 가이드가 실시간으로 정확히 시간이 맞지 않고 실시간으로 방송 콘텐츠가 변경되기에 유용하지 않다.
제어부(113)는 입력부(101)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저장 후 일정 시간 경과 후(예를 들어 저장 후에 1일 경과하여) 자동으로 저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방송 콘텐츠 스트림에 대응하는 태그 정보를 다운로딩하기 위한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을 통신부(107)를 통해서 태그 제공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은 다운로드 받고자 하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은 방송 콘텐츠 스트림(들)의 식별자 및/또는 태그 정보의 방송 시간(예를 들어 방송일 또는 받고자 하는 태그 정보의 시작 시각 및 종료 시각) 등을 포함한다.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이 묵시적으로(로그인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는 데, 이때에는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은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식별자와 태그 정보의 방송 시간 등의 정보는 생략될 수도 있다.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제어부(113)는 통신부(107)를 통해서 태그 제공 장치(200)로부터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이 응답은 방송 콘텐츠 스트림에서 콘텐츠들을 서로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태그 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13)는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태그 정보를 태그 제공 장치(200)로부터 수신한다.
응답으로 수신되는 태그 정보는 단일 정보로 구성되거나 식별자별로 대응하는 복수의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정보는 요청한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식별자들 각각에 대응하고 단일의 정보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식별자에 맵핑되어 각 방송 콘텐츠 스트림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구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어부(113)는 수신된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부(109)에 저장되어 있는 또는 클라우드 서버(300)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에서 선택된 특정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콘텐츠의 재생에 따라 제어부(113)는 오디오 신호 및/또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부(103)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113)는 먼저 태그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임시로 저장부(109)에 저장한다. 저장된 태그 정보는 제어부(113)에 의해서 선택가능한 방송 콘텐츠 스트림들의 콘텐츠를 구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데 예를 들어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식별자와 각 식별자에서 인식되는 콘텐츠들의 콘텐츠 이름, 콘텐츠의 시작 시각, 종료 시각, 콘텐츠 유형(예를 들어 음악, 뉴스, 코메디, 영화, 드라마, 토크 쇼, 광고 등), 각각의 콘텐츠 유형 내에서 구별가능한 서브 콘텐츠 유형(예를 들어 액션, 멜로, 발라드, 디스코, 팝, 자동차 광고, 핸드폰 광고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단일의 태그 정보에 복수의 방송 콘텐츠 스트림들에 대한 콘텐츠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태그 정보 각각에 복수의 방송 콘텐츠 스트림 각각에 대한 콘텐츠 정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수신된 태그 정보는 적어도 제어부(113)가 재생할 수 있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 내에서 특정 콘텐츠를 구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 정보는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에 포함된 식별자와 방송 시간에 대응하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들의 콘텐츠들을 구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만일 저장부(109) 등에 저장되지 않아 재생 불가능한 콘텐츠들에 대한 정보 또한 태그 정보가 포함하는 경우에 제어부(113)는 재생 불가능한 콘텐츠를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09)나 클라우드 서버(300) 등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식별자와 저장되어 있는 방송 시간의 비교로 재생 불가능한 콘텐츠를 구별할 수 있다.
제어부(113)는 태그 정보로부터 재생 가능한 콘텐츠들을 식별하고 재생 가능한 콘텐츠들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생성하여 출력부(103)를 통해서 출력한다. 콘텐츠 선택을 위한 이미지의 출력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부(101)를 통해서 재생을 원하는 콘텐츠들을 선택할 수 있다.
입력부(101)를 통한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따라, 제어부(113)는 여러 방송 콘텐츠 스트림 중에서 선택된 콘텐츠들을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하고 사용자에 의한 입력 등을 통해 재생 순서를 결정하여 저장부(109) 등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들의 콘텐츠들을 재생한다.
저장부(109)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은 이미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식별자와 방송 (저장) 시간에 맵핑되어 있거나 이를 포함하고 있다. 특정 콘텐츠는 특정 방송 콘텐츠 스트림 내에서 특정 시각에서 시작하고 종료하는 것이므로 제어부(113)는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태그 정보에서의 식별자와 시작 및 종료 시각을 이용하여 저장부(109)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에서 해당 콘텐츠를 검색하고 추출할 수 있다.
재생 순서에 따라 제어부(113)는 재생을 수행하고 그에 따라 생성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신호는 출력부(103)를 통해서 출력된다.
물론, 콘텐츠 재생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나 선택된 콘텐츠들은 제어부(113)에 의한 콘텐츠 다운로드 요청으로 클라우드 서버(300) 등을 통해 통신부(107)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 클라우드 서버(300)는 지정된 사용자를 위한 저장 공간을 제공하고 나아가 사용자 요청에 따라 하나 이상의 방송 콘텐츠 스트림을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태그 제공 장치(2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태그 제공 장치(200)는 통신 유닛(201), 콘텐츠 수신 유닛(203), 저장 유닛(205), 연결 유닛(207) 및 제어 유닛(209)을 포함한다. 도 3은 바람직하게는 기능 블록도를 나타내며 대응하는 하드웨어 블록을 각 기능 블록들은 구비한다. 도 3의 태그 제공 장치(200)는 다양한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 제공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PC, 워크스테이션 및/또는 메인 프레임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블록들이 설계 변형에 따라 이 블록도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도 3의 태그 제공 장치(200)는 클라이언트(콘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의 요청을 처리하고 처리 결과를 응답으로 전송할 수 있는 서버로서 동작할 수 있다.
도 3을 통해서 태그 제공 장치(200)를 살펴보면, 통신 유닛(201)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 유닛(201)은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콘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의 각종 요청을 나타내는 데이터의 통신 패킷을 수신하고 요청에 대한 응답을 나타내는 데이터의 통신 패킷을 요청한 콘텐츠 재생 장치(100)로 전송한다. 통신 유닛(201)은 구비된 유선 랜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각종 요청을 나타내는 데이터의 통신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에 대한 응답을 나타내는 데이터의 통신 패킷을 제어 유닛(209)으로부터 수신하여 네트워크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유닛(201)은 콘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을 나타내는 데이터의 패킷을 수신하고 이를 제어 유닛(209)으로 전달하고 제어 유닛(209)으로부터 요청에 대한 응답을 나타내는 데이터의 패킷을 전달받아 네트워크로 출력한다.
콘텐츠 수신 유닛(203)은 방송 매체를 통해서 복수의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서 송출되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들을 수신한다. 콘텐츠 수신 유닛(203)은 무선 매체를 통해서 송출되거나 유선 매체를 통해서 송출되거나 인터넷을 통해서 송출되는 방송들을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콘텐츠 수신 유닛(203)은 모든(대다수, 또는 지정된 복수 개의 ) 라디오 채널과 모든(대다수, 또는 지정된 복수 개의 ) 공중파 TV 채널, 모든(대다수, 또는 지정된 복수 개의 ) 유선 케이블 채널의 방송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콘텐츠 수신 유닛(203)은 유선 랜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인터넷을 통해서 송출되는 모든(대다수, 또는 지정된 복수 개의 ) 인터넷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 유닛(205)은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대용량 저장 매체를 구비하여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 유닛(205)은 콘텐츠 수신 유닛(203)을 통해서 수신된 방송 콘텐츠 스트림들을 압축 포맷이나 비압축 포맷에 따른 디지털 포맷으로 저장한다. 또한, 저장 유닛(205)은 각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데이터를 방송 날짜별로 저장할 수 있고 각 방송 콘텐츠 스트림에 대한 태그 데이터를 각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식별자 등에 맵핑시켜 저장할 수 있다. 각각의 태그 데이터는 각각의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식별자에 대응하고 날짜별로 대응시켜 제어 유닛(209)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 유닛(205)은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들을 저장하되, 후술하겠으나 이는 태그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일 뿐 콘텐츠 재생 장치(100)로 직접 방송 콘텐츠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저장 유닛(205)은 각종 프로그램을 더 저장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라 태그 데이터를 생성하고 태그 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태그 제공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연결 유닛(207)은 태그 제공 장치(200) 내의 블록 간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연결 유닛(207)은 근거리 네트워크, 병렬 버스, 시리얼 버스 등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제어 유닛(209)은 하나 이상의 실행 유닛을 구비하여 저장 유닛(205)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로딩하고 실행 유닛을 통해서 프로그램의 명령어 코드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209)은 태그 제공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방송 콘텐츠 스트림에 대한 태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에 따른 태그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 유닛(201)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 유닛(209)에서 이루어지는 예시적인 제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제어 유닛(209)은 콘텐츠 수신 유닛(203)을 통해서 수신된 방송 콘텐츠 스트림들을 지정된 디지털의 포맷에 따라 인코딩하여 저장 유닛(205)에 저장한다. 저장 유닛(205)에 저장되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은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식별자에 맵핑되고 방송 시간(예를 들어 날짜나 날짜 내에서의 방송 시작 및 종료 시각)에 맵핑된다.
제어 유닛(209)은 저장된 각각의 방송 콘텐츠 스트림내의 콘텐츠들을 구별하기 위한 태그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 예를 들어 하루 동안 저장되어 있는 각 방송 콘텐츠 스트림에 대해서 각각의 태그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되는 태그 데이터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내에 포함된 콘텐츠들을 구별할 수 있는 데이터(정보)를 포함한다.
태그 데이터는 각 콘텐츠의 시작 시각, 종료 시각, 해당 콘텐츠의 유형, 해당 콘텐츠 유형에서 구별 가능한 서브 콘텐츠 유형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별 정보를 포함한다. 태그 데이터는 자동으로 생성되거나 작업자에 의해서 생성되거나 자동 및 수동의 조합으로 생성될 수 있다.
콘텐츠 유형은 예를 들어 음악, 뉴스, 코메디, 영화, 드라마, 토크 쇼, 광고 등이 있을 수 있다. 각각의 콘텐츠 유형 내에서 구별 가능한 서브 콘텐츠 유형은 콘텐츠 유형에 따라서 세분화되고 달라질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액션, 멜로, 발라드, 디스코, 팝이나 자동차 광고, 핸드폰 광고 등이 있을 수 있다.
태그 데이터의 콘텐츠 정보는 그 외 각 콘텐츠에 대한 식별자(이름 등)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콘텐츠 이름은 콘텐츠를 나타내는 프로그램의 이름이거나 제목 등일 수 있다. 생성되는 태그 데이터는 대응하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식별자와 방송 날짜(시간)에 맵핑되어 저장된다. 또한, 콘텐츠 정보는 세분화된 콘텐츠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정보는 분할된 구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구간 정보는 해당 콘텐츠 내에서 액세스 가능한 부분일 수 있다. 구간 정보는 예를 들어 특정 음악의 시작과 종료 구간이거나 특정 대화(Talk)의 부분이거나 특정 광고에 대한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209)은 저장되어 있는 태그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태그 정보를 콘텐츠 재생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태그 정보의 제공을 위해, 제어 유닛(209)은 통신 유닛(201)을 통해 특정 콘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한다. 수신된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이 요청에 대응하는 태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태그 정보를 요청한 콘텐츠 재생 장치(100)로 통신 유닛(201)을 제어하여 전송한다. 전송되는 태그 정보는 특정 방송 콘텐츠 스트림 내의 복수의 콘텐츠들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태그 정보의 생성을 위해, 제어 유닛(209)은 수신된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에 포함된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식별자와 콘텐츠가 방송된 방송 시간(예를 들어 방송일 또는 시작 시각 및 종료 시각)을 추출한다. 방송 시간은 모든 방송 콘텐츠 스트림에 대하여 지정되거나 각각의 방송 콘텐츠 스트림별로 개별적으로 지정될 수 있다.
제어 유닛(209)은 추출된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식별자(들)과 대응하는 방송 시간(들)을 이용하여 저장 유닛(205)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태그 데이터(들)를 검색한다.
검색된 각각의 태그 데이터를 식별자에 맵핑하고 각각의 태그 데이터와 맵핑된 방송 콘텐츠 스트림을 알 수 있도록 하는 태그 정보를 제어 유닛(209)이 생성하고 생성된 태그 정보를 통신 유닛(201)을 통해서 요청한 콘텐츠 재생 장치(100)로 전송한다. 생성되는 태그 정보는 요청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 내의 콘텐츠를 구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태그 정보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식별자, 각 식별자에 맵핑되어 있는 콘텐츠들 각각의 정보를 포함하고 콘텐츠 정보는 콘텐츠 유형, 서브 콘텐츠 유형, 콘텐츠 이름, 콘텐츠 시작 시각 및 콘텐츠 종료 시각 등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 4는 태그를 활용하여 저장되어 있는 방송 콘텐츠를 선별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예시적인 데이터 및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미 도 1 내지 3을 통해서 태그 정보를 활용하여 방송 콘텐츠의 선별적인 재생이 이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았으므로 여기서는 예시적인 태그 정보의 구성 예(도 5 참조)를 중심으로 하여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여기서, 콘텐츠 재생 장치(100)에서 이루어지는 처리와 데이터 송수신은 제어부(113)에 의한 제어로 이루어지고 태그 제공 장치(200)에서 이루어지는 처리와 데이터 송수신은 제어 유닛(209)에 의한 제어로 바람직하게 이루어진다.
먼저,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입력부(101)를 통한 사용자 입력 등에 따라 콘텐츠 수신부(105)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방송 콘텐츠 스트림을 수신하고 방송 콘텐츠 스트림에 식별자 및 수신된 방송 시간을 맵핑시켜 저장부(109)에 저장(① 참조)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 재생 장치(100)의 제어부(113)는 콘텐츠 제공자 1, 2, 3(여기서 1, 2, 3은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식별자임)에 의해서 방송된 방송 콘텐츠 스트림들을 식별자 및 그 방송 시간과 함께 저장한다.
한편, 태그 제공 장치(200)는 콘텐츠 수신 유닛(203)을 통해서 복수의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서 각각 송출된 방송 콘텐츠 스트림들을 수신(② 참조)한다.
태그 제공 장치(200)는 수신된 방송 콘텐츠 스트림 각각의 태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태그 데이터를 저장 유닛(205)에 저장(③)한다. 예를 들어 태그 제공 장치(200)는 날짜별로 콘텐츠 제공자 1,2,3을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자들로부터의 방송 콘텐츠 스트림을 유무선을 통해서 수신하고 각각의 방송 콘텐츠 스트림을 식별자 및 방송 기간에 맵핑시켜 저장하고 이 방송 콘텐츠 스트림 내의 콘텐츠를 구별할 수 있는 태그 데이터를 생성하여 태그 데이터를 또한 저장 유닛(205)에 저장할 수 있다.
태그 데이터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 내에서 각각의 콘텐츠를 구별할 수 있는 콘텐츠 정보들을 포함하고 각 콘텐츠 정보는 해당 콘텐츠의 시작 시각, 종료 시각 해당 콘텐츠의 유형, 해당 콘텐츠 유형에서 구별 가능한 서브 콘텐츠 유형 등을 포함한다.
일정 시간(예를 들어 1일 경과)의 경과에 따라 및/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을 생성하고 생성된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을 태그 제공 장치(200)로 전송(④ 참조)한다.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은 하나 이상의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식별자와 방송 시간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자 1, 2, 3과 저장된 방송 시간(예를 들어 날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태그 제공 장치(200)는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에 대응하는 태그 정보를 저장 유닛(205)에 저장되어 있는 태그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생성(⑤)한다.
예를 들어, 태그 제공 장치(200)는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의 식별자 1, 2, 3에 대응하고 방송 시간에 대응하는 태그 데이터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태그 데이터들의 콘텐츠 정보와 식별자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생성한다.
도 5는 콘텐츠 제공자 1, 2, 3에 의해서 방송된 콘텐츠를 구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생성된 태그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요청한 식별자(1,2,3)에 대한 방송 시간(a1 ~ a5, b1 ~ b3, c1 ~ c5) 내에 포함된 콘텐츠들을 구별할 수 있는 태그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태그 정보는 각각의 콘텐츠의 시작 시각, 종료 시각, 콘텐츠 유형, 서브 콘텐츠 유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태그 정보는 콘텐츠별 그 외 부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콘텐츠 이름이나 가수에 대한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태그 제공 장치(200)는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생성된 태그 정보를 요청한 콘텐츠 재생 장치(100)로 통신 유닛(201)을 통해서 전송(⑥ 참조)한다.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태그 정보를 통신부(107)를 통해서 수신하고 수신된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될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콘텐츠를 로딩하여 재생(⑦ 참조)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태그 정보에 포함된 콘텐츠를 나타내기 위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를 출력부(103)를 통해서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콘텐츠 재생 장치(100)의 사용자는 입력부(101)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콘텐츠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한다.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따라 선택에 따라 재생될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을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한다. 태그 정보에서 특정 콘텐츠에 대한 선택을 인식한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식별자와 시작 시각 및 종료 시각을 이용하여 저장부(109)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특정 구간을 지정함으로써 특정 콘텐츠를 식별하여 재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입력부(101)를 통해 선택된 콘텐츠들 사이의 재생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 순번을 사용자가 입력하거나 콘텐츠의 선택 순서에 따라 재생 순서가 결정될 수 있다.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결정된 재생 순서에 따라 선택된 콘텐츠를 식별자와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부(109)(클라우드 서버(300) 등으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음)로부터 로딩하고 해당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콘텐츠 재생 장치(100)의 사용자는 자신의 원하는 콘텐츠를 편리하게 구별할 수 있고 원하는 데로 편성하여 재시청하거나 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저장하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과 태그 데이터 사이를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식별자 및 시각 정보를 링크로 하여 양자를 연결시킨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저장하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을 재생하면서도, 태그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태그 정보에 의해 기 저장된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구성 내역(콘텐츠 정보)을 용이하게 알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과 선별 재생을 도울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콘텐츠 재생 장치
101 : 입력부 103 : 출력부
105 : 콘텐츠 수신부 107 : 통신부
109 : 저장부 111 : 연결부
113 : 제어부
200 : 태그 제공 장치
201 : 통신 유닛 203 : 콘텐츠 수신 유닛
205 : 저장 유닛 207 : 연결 유닛
209 : 제어 유닛
300 : 클라우드 서버

Claims (14)

  1. (c) 태그 제공 장치가 방송되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들 각각에 대한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d) 태그 제공 장치가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e) 태그 제공 장치가 저장되어 있는 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태그 정보를 요청한 콘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태그 정보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 상에서 복수의 콘텐츠를 구별 가능하게 하는 것인,
    콘텐츠 재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이전에, (a) 복수의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서 각각 송출된 방송 콘텐츠 스트림들을 태그 제공 장치가 수신하는 단계; 및 (b) 수신된 방송 콘텐츠 스트림들에서 복수의 콘텐츠 각각의 시작 및 종료 시각을 포함하는 태그 데이터들을 태그 제공 장치가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은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e)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태그 데이터로부터 태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태그 정보를 요청한 콘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이전에, 콘텐츠 재생 장치가 하나 이상의 방송 콘텐츠 스트림을 수신하여 자체 저장하거나 사용자를 위해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 (e) 이후에, (f) 콘텐츠 재생 장치가 수신된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되어 있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은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는 저장된 방송 콘텐츠 스트림에 대응하고 태그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된 태그 정보에 기초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하나 이상의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복수의 콘텐츠에서 재생될 콘텐츠를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하는 단계; 및 재생 순서에 따라 방송 콘텐츠 스트림에서 식별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정보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에서의 복수의 콘텐츠 각각에 대한 시작 시각, 종료 시각, 콘텐츠 유형, 상기 콘텐츠 유형에서 구별 가능한 서브 콘텐츠 유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7. 콘텐츠용 태그 제공 장치로서,
    방송되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들 각각에 대한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유닛;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유닛; 및
    상기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태그 정보를 요청한 콘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통신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태그 정보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 상에서 복수의 콘텐츠를 구별 가능하게 하는 것인,
    태그 제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복수의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서 각각 송출된 방송 콘텐츠 스트림들을 수신하는 콘텐츠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수신된 방송 콘텐츠 스트림들에서 복수의 콘텐츠 각각의 시작 및 종료 시각을 포함하는 태그 데이터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태그 데이터를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식별자에 맵핑시켜 저장 유닛에 저장하는,
    태그 제공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은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태그 데이터로부터 태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태그 정보를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요청한 콘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태그 제공 장치.
  10. 태그 제공 장치로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태그 정보 다운로드 요청에 따른 태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되어 있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에서 선택되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태그 정보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 상에서 복수의 콘텐츠를 구별 가능하게 하는 것인,
    콘텐츠 재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방송 콘텐츠 스트림을 수신하는 콘텐츠 수신부;
    상기 콘텐츠 수신부를 통해서 수신된 방송 콘텐츠 스트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태그 정보를 통해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지정된 사용자를 위한 저장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저장 공간에 방송 콘텐츠 스트림을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통신부를 통해서 수신하고 수신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선택된 재생 순서에 따라서 재생하여 상기 출력부로 재생에 따른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 또는 사용자를 위해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에 이미 저장된 방송 콘텐츠 스트림을 재생하는 데 있어서 상기 태그 정보가 이용되는,
    콘텐츠 재생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방송 콘텐츠 스트림과 상기 태그 제공 장치의 테그 데이터는 방송 콘텐츠 스트림의 식별자와 시각 정보를 링크로 하여 연결되는,
    콘텐츠 재생 방법.
KR1020160014149A 2016-02-04 2016-02-04 콘텐츠 재생 방법,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용 태그 제공 장치 KR2017009289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149A KR20170092896A (ko) 2016-02-04 2016-02-04 콘텐츠 재생 방법,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용 태그 제공 장치
PCT/KR2017/000880 WO2017135633A1 (ko) 2016-02-04 2017-01-25 콘텐츠 재생 방법,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용 태그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149A KR20170092896A (ko) 2016-02-04 2016-02-04 콘텐츠 재생 방법,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용 태그 제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896A true KR20170092896A (ko) 2017-08-14

Family

ID=59499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149A KR20170092896A (ko) 2016-02-04 2016-02-04 콘텐츠 재생 방법,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용 태그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92896A (ko)
WO (1) WO201713563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677B1 (ko) * 2009-07-20 2015-10-23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태그 기반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136116B1 (ko) * 2010-06-03 2012-04-1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개인 비디오 녹화기를 이용한 개인화 방송 제공 장치
MX2015014412A (es) * 2013-04-16 2016-02-16 Lg Electronics Inc Dispositivo de transmision de radiodifusion, dispositivo de recepcion de radiodifusion, metodo de operacion del dispositivo de transmision de radiodifusion y metodo de operacion de dispositivo de recepcion de radiodifusion.
KR20150008797A (ko) * 2013-07-15 2015-0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50065023A (ko) * 2013-12-04 2015-06-12 주식회사 케이티 키워드 기반 epg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35633A1 (ko) 201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1101B1 (en) Real time popularity based audible content acquisition
US8886009B2 (en) Creation of video bookmarks via scripted interactivity in advanced digital television
US20150006618A9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atched multimedia video content
KR20100009384A (ko) 워터마크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2055717A (zh) 快速播放的方法、终端及服务器
US20100107082A1 (en) Comment delivery system, terminal device, comment deliver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herefor
CN102707914B (zh) 信息处理设备及方法
US10028012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audio content shuffling
CN105451039A (zh) 一种多媒体信息交互方法及系统
US9532107B2 (en) Content distribution
KR100724983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콘텐츠 저장 및 재생 방법
KR20170092896A (ko) 콘텐츠 재생 방법,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용 태그 제공 장치
US20080285952A1 (en) Internet-Based Digital Content Recording System and Method
CN104427396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US10805682B2 (en) Reading of multimedia content
KR20090006036A (ko) 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
EP1691554A1 (en) System for providing a media item
KR20020024475A (ko) 인터넷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
GB2500654A (en) Selecting and inserting content into specified time periods within a real-time audio-video broadcast programme
KR20090065008A (ko) 단말기 및 그의 컨텐츠 정보 저장 방법
KR20090059614A (ko)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채널 설정방법
KR20120126164A (ko) 컨텐츠 재생장치, 컨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68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213

Effective date: 201812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