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315A - 출역관리기 케이스 및 케이스 거치구조 - Google Patents

출역관리기 케이스 및 케이스 거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315A
KR20170092315A KR1020160013515A KR20160013515A KR20170092315A KR 20170092315 A KR20170092315 A KR 20170092315A KR 1020160013515 A KR1020160013515 A KR 1020160013515A KR 20160013515 A KR20160013515 A KR 20160013515A KR 20170092315 A KR20170092315 A KR 20170092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wall surface
fastening
rear ca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올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올테크
Priority to KR1020160013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2315A/ko
Publication of KR20170092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3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2External fitting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02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 B65D25/2826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provided on a local area of the upper (top) wall, e.g. 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G07C9/00007
    • G07C9/00071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Handles; G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역관리기 케이스 및 케이스 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형의 함체형 케이스에 출입자의 신상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입력정보 및 설정변경용 키패드, 인식카드 스캔영역부, 카메라부, 메인보드, 음성출력부 등의 구성유닛이 케이스 내에 내장되고, 외부에 마련되는 각 연결포트 및 전원스위치가 구비되고, 벽면 거치대에 탈부착되어 출입통로의 출역을 관리하도록 된 출역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전방케이스와 후방케이스로 이루어지되, 후방케이스에 대해 전방케이스의 상부에는 상호 힌지부에 의해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손잡이부가 마련되며, 상기 후방케이스의 저면에는 상기 연결포트, 전원스위치 및 전방케이스를 단속할 수 있는 제1잠금부가 배치되고, 상기 후방케이스의 양측면에는 고정클립부를 두고, 상기 고정클립부에는 연결포트, 전원스위치 및 제1잠금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후방케이스의 배면에는 고정나사의 머리부와 축부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다수개 체결되고, 상기 고정나사의 머리부는 상기 벽면 거치대에 탈착되거나 잠금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본 발명에 따른 출역관리기 케이스는 구성유닛의 점검 및 교체시 후방케이스로부터 전방케이스를 회동시켜 개방하는 타입으로 내부에 정리된 해당 구성유닛이 한 눈에 쉽게 들어오고, 또한 해당 구성유닛의 교체가 쉬운 관리보수의 이점이 있고, 외부로부터 보호커버를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케이스측의 전원스위치를 포함한 각 연결포트부분의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면서 잠금부는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상태로 시건(施鍵)의 관리 보호가 이루어지며, 현장 출입통로측의 벽면에 설치된 벽면 거치대로부터 잠금부를 통해서만 탈착할 수 있어 관리자 외에 무단으로 출역관리기를 탈거가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도난방지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출역관리기 케이스 및 케이스 거치구조{A manpower management device case and case moun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출역관리기의 함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출역관리기 케이스를 개선하여 거치대로부터 탈부착이 용이함은 물론,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상태에서의 주요 연결포트부분 및 케이스를 개폐할 수 있는 시건(施鍵)의 관리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내부 각 구성유닛의 개별적인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비, 바람, 혹한 및 혹서 등의 열악한 기후조건하에서도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출역관리기 케이스 및 케이스 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대규모의 건설현장에서는 많은 인력이 출입하여 현장에서의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부분이 관리자들에 의한 수기기반의 출역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람은 물론, 현장 방문 차량, 물품공급차량, 회수차량 등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출역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략 관리자들에 의한 수기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출역관리는 정확한 출역정보의 데이터 구축이 어려우며 분실의 발생 우려가 있다.
또한, 관리자들이 수집한 출역 정보를 통합하는 과정에서 이중 업무로 인한 처리 시간이 증가하게 되고 업무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는 관리 인력의 낭비와 비효율적인 업무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를 양산하게 된다.
현재,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건설현장에서도 수기 기반의 출역관리를 자동화하여 관리하고자 하는 추세에 있으며, 그 일례로서 RFID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은 마이크로 칩을 내장한 RFID 태그에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RFID 리더에서 자동 인식하는 무선인식 기술로서, 태그 정보를 저장하고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RFID 태그와, RFID 태그에 있는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RFID 리더기, 및 RFID 리더기가 읽어들인 데이터를 처리하는 상위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RFID 시스템은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물류관리, 및 재고관리 등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RFID 시스템을 이용한 건설현장에서의 출역관리는, 건설현장의 노무자(근로자)들에게 RFID의 인식 카드를 제공하고, 그 RFID의 인식 카드를 특정 장소에 설치된 RFID 리더에 의해 체크되도록 함으로써 출역관리의 자동화를 꾀하고 있다.
출역관리는 정당하지 않은 사람이 노무자의 인식 카드를 절취하여 불법으로 현장에 출입하는지의 여부 확인과, 노무자들이 공모하여 출근하지 않은 노무자의 출역을 체크하여 등록시키는 경우와, 다른 노무자의 인식 카드를 이용하여 다른 노무자가 불법으로 사용하는 경우 등 보안상의 출입 통제와 정확한 출역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는 단위 사업장의 출역 현황을 다양하고 정확하게 집계, 분석할 수 있고, 수작업에 따른 오류 방지 및 보고서 작성 기능 자동화할 수 있으며, 계획대비 실적분석의 정확성 기여할 수 있고, 인적자원 상황을 영구 보존하여 실적자료 관리가 용이하며, 보고시간 단축 등의 효율적인 인적관리가 이루어진다.
이외, 생산성 관리자료의 투명한 관리, 가공 노무비 차단을 통한 합리적인 급료관리, 대리 체크(check) 문제점 해결을 통한 급료 정산분쟁 예방, 본사와 현장간의 인적자원 투명성 확보 등의 인력관리의 투명성 확보와 더불어 노무비 절감, 통상적으로 가공 투입될 수 있는 가공 노무비율의 절감, 안전의 기본인 일일, 월별 인원 투입 현황의 신속한 분석, 개인별 안전 교육 이수 현황을 관리, 상황분석 및 조치 가능하여 안전사고 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출역관리기는 출입자의 신상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LCD화면), 입력정보 및 설정변경용 키패드, 인식카드 스캔영역부, 카메라부, 메인보드, 음성출력부 등의 구성유닛이 케이스 내에 내장되고, 외부에 마련되는 각 연결포트 및 전원스위치를 구성한 것으로, 출입카운터 및 개찰구를 출입하기 이전의 출입통로 측의 벽면 혹은 기둥에 구비된 거치대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각 구성유닛이 내장되고, 외부로 표시되도록 된 출역관리기는 대부분 고가로 제작된다.
한편, 사용중의 출역관리기의 내부 이상점검, 구성유닛 교체를 위해서는 먼저, 거치대측으로부터 출역관리기를 분리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며, 이는 출역관리기 케이스측 덮개를 분리한 다음, 내부 해당 구성유닛을 찾아 점검 및 교체하거나 이를 분리하여 수리하는 방식이 대부분으로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출역관리기를 벽면 혹은 기둥에 별도로 고정된 거치대에 고정학시 위해서는 통상적인 나사체결구, 고정브라켓을 이용한 고정방식이기 때문에 나사체결구의 간단한 해체만으로 쉽게 출역관리기의 도난 위험성이 있다.
또한, 출역관리기의 메인보드측으로부터 구성되어 각각의 외부 입력단자를 갖는 연결포트 또는 시건 부분은 별도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방식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특히 우천시 빗물 유입 및 과도한 먼지 유입으로 인한 취약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출역관리기 케이스를 개선하여 거치대로부터 탈부착이 용이함은 물론,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상태에서의 주요 연결포트 부분 및 케이스를 개폐할 수 있는 시건(施鍵)의 관리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내부 각 구성유닛의 개별적인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출역관리기 케이스 및 케이스 거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각형의 함체형 케이스에 출입자의 신상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입력정보 및 설정변경용 키패드, 인식카드 스캔영역부, 카메라부, 메인보드, 음성출력부 등의 구성유닛이 케이스 내에 내장되고, 외부에 마련되는 각 연결포트 및 전원스위치가 구비되고, 벽면 거치대에 탈부착되어 출입통로의 출역을 관리하도록 된 출역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전방케이스와 후방케이스로 이루어지되, 후방케이스에 대해 전방케이스의 상부에는 상호 힌지부에 의해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손잡이부가 마련되며, 상기 후방케이스의 저면에는 상기 연결포트, 전원스위치 및 전방케이스를 단속할 수 있는 제1잠금부가 배치되고, 상기 후방케이스의 양측면에는 고정클립부를 두고, 상기 고정클립부에는 연결포트, 전원스위치 및 제1잠금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후방케이스의 배면에는 고정나사의 머리부와 축부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다수개 체결되고, 상기 고정나사의 머리부는 상기 벽면 거치대에 탈착되거나 잠금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후방케이스는 고정나사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벽면 거치대는 전면에 고정나사의 머리부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공부 및 안내공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개되어 고정나사의 축부를 안내 지지하는 축지지공부가 배면 상측에 2지점, 중앙에 1지점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관통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벽면 거치대의 측면에는 상기 상부측 축지지공부에 안내되는 고정나사의 머리부가 안내공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잠금부가 구비되고, 상기 벽면 거치대의 후면에는 상기 안내공부 및 관통공부를 통해 체결나사로서 벽면고정을 위한 고정공이 형성된 벽면지지부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캔영역부는 마그네틱 카드를 판독하는 마그네틱 카드리더기, RFID 신호를 판독하는 RFID 리더기 또는 지문인식수단, 홍채인식수단 및 정액인식수단 등과 같은 생체신호를 인식하는 생체신호 인식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출역관리기 케이스는 구성유닛의 점검 및 교체시 후방케이스로부터 전방케이스를 회동시켜 개방하는 타입으로 내부에 정리된 해당 구성유닛이 한 눈에 쉽게 들어오고, 또한 해당 구성유닛의 교체가 쉬운 관리보수의 이점이 있고, 외부로부터 보호커버를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케이스측의 전원스위치를 포함한 각 연결포트부분의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면서 잠금부는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상태로 시건(施鍵)의 관리 보호가 이루어지며, 현장 출입통로측의 벽면에 설치된 벽면 거치대로부터 잠금부를 통해서만 탈착할 수 있어 관리자 외에 무단으로 출역관리기를 탈거가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도난방지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출역관리기 및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출역관리기를 개방하여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출역관리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출역관리기를 도시한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출역관리기를 도시한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출역관리기의 보호케이스의 착탈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출력관리기를 거치대에 고정하는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출역관리기의 후방케이스측 고정나사를 도시한 도 6의 "A" 부분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출역관리기측 스캔영역부의 일 실시예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사각형의 함체형 케이스(110)에 출입자의 신상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01), 입력정보 및 설정변경용 키패드(102), 인식카드 스캔영역부(103), 카메라부(104), 메인보드(105), 음성출력부(106) 등의 구성유닛이 케이스 내에 내장되고, 외부에 마련되는 각 연결포트(107) 및 전원스위치(108)가 구비되고, 벽면 거치대(200)에 탈부착되어 출입통로의 출역을 관리하도록 된 출역관리기(100)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는 전방케이스(112)와 후방케이스(114)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구성유닛에는 충전용 배터리부(B), 작동표시 여부확인을 위한 작동표시램프부(L)를 더 포함한다.
상기 후방케이스(114)에 대해 전방케이스(112)의 상부에는 상호 힌지부(113)에 의해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방케이스의 상부에는 이동에 유리한 손잡이부(115)가 마련된다.
상기 후방케이스(114)의 저면에는 상기 연결포트(107), 전원스위치(108) 및 전방케이스(112)를 단속할 수 있는 제1잠금부(109)가 배치된다.
상기 연결포트(107)는 전원 어댑터 잭, 캠, 스피커입력 입력단자, 메인보드 연결포트, 랜케이블 연결포트, USB포트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제1잠금부(109)에 관련하여 상기 전방케이스(112)의 후면에는 상기 제1잠금부측 걸쇠(도면에서 생략함)을 걸어 지지하기 위한 걸이부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제1잠금부는 통상적으로 케비넷에 마련되는 열쇠뭉치를 가리킨다.
한편, 상기 후방케이스(114)의 양측면에는 고정클립부(120)를 두고, 상기 고정클립부(120)에는 연결포트, 전원스위치 및 제1잠금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13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클립부(120)는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일측에는 걸이부(121)를 두어 상기 보호커버(130)의 양측에 마련되는 걸이편(131)을 걸어 당기는 작용으로서, 상기 보호커버(1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보편적인 덮개 및 커버의 체결에 흔히 사용되는 구성요소로서 그 구체적인 형상의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후방케이스(114)의 배면에는 첨부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나사(S1)의 머리부와 축부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다수개 체결되고, 상기 고정나사(S1)의 머리부는 상기 벽면 거치대(200)에 탈착되거나 잠금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후방케이스(114)는 고정나사(S1)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114a)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114a)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14a)는 케이스를 형성함에 있어, 고정나사의 안정된 체결을 위해 암나사가 형성되며, 이는 케이스의 제작두께보다 두껍게 원형이나 사각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벽면 거치대(200)는 첨부된 도 6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에 고정나사(S1)의 머리부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공부(201) 및 안내공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개되어 고정나사(S1)의 축부를 안내 지지하는 축지지공부(202)가 배면 상측에 2지점, 중앙에 1지점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관통공부(203)가 형성되며, 상기 벽면 거치대(200)의 측면에는 상부측 축지지공부(202)에 안내되는 고정나사(S1)의 머리부가 안내공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잠금부(210)가 구비되고, 상기 벽면 거치대(200)의 후면에는 상기 안내공부(201) 및 관통공부(203)를 통해 체결나사(S2)로서 벽면 고정을 위한 고정공(204a)이 형성된 벽면지지부(204)가 일체로 마련된다.
상기 제2잠금부(210)는 걸이축(211)이 회동된 잠금상태에서 고정나사(S1)의 머리부가 상향 이동할 수 없게 단속하거나 이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벽면지지부(204)는 벽면과 밀착되는 평면부분을 지칭한다.
한편, 첨부된 도 9는 상기 스캔영역부(103)는 지문, 홍채 및 정맥 등과 같은 생체신호를 인식하기 위한 생체신호 인식수단(103-1) 및 인식카드의 마그네틱상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카드삽입구(103-2)가 마련되어 건설현장으로 출입하는 근로자 등의 출역관리 데이터를 쉽게 인식시켜 출입통로를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W는 벽면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출역관리기 케이스 및 케이스의 거치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출역관리기의 케이스를 살피면, 전방케이스(112)에는 주로 건설현장의 근로자, 방문객, 차량 등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 디스플레이부(101), 입력정보 및 설정변경용 키패드(102), 인식카드 스캔영역부(103), 카메라부(104)가 배치되고 후방케이스(114) 내에는 상기 각 구성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가 이루어지는 메인보드(105) 및 음성출력부(106)가 마련된다.
즉, 현장으로부터 출입통로를 통해 출입하는 근로자, 차량 들은 자신들이 소지하고 있는 인식카드를 인식카드 스캔영역부(103)에 접촉하면, 인식카드 내의 IC칩의 고유번호 스캔으로 이와 카메라부(104)에서 촬영된 데이터가 상호 일치하는지, 일치되었다면 이를 음성출력부(106)를 통해 확인 여부 등을 무인으로 체크하고, 출입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9에서와 같이 건설현장에 출입하는 근로자의 보완을 더 고려하여 상기 스캔영역부(103)는 지문인식창(103-1)과 카드삽입구(103-2)를 일 실시예로 구성함으로써, 인식카드 또는 지문인식을 통해서 출입의 통제 및 이들을 관리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출역관리기(100)는 주로 무인관리로 이루어지며, 설치장소에 이동이 쉽고, 전원을 연결하거나 각 연결포트(107)를 통해 해당 프로그램의 수정이나 건설현장의 출입구를 통과하고자 하는 통행자의 신규입력 등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출역관리기(100)의 이상 여부가 발생하면, 관리자는 후방케이스(114)의 저부에 고정클립부(120)로부터 고정된 보호커버(130)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제1잠금부(109)를 통해 해당 열쇠로 전방케이스(112)를 개방할 수 있으며, 상기 전방케이스(112)의 개방에 따라 그 내부의 각 구성유닛을 쉽게 점검 및 해당 부품을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박스형태로 제작된 기존의 출역관리기 케이스에 비해 본 발명은 출역관리기의 케이스 내부에 장치된 각종 구성유닛들의 점검이 용이하고, 해당부품을 케이스로부터 탈부착이 용이하기 때문에, 부품교체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케이스측 힌지부(113)를 통해 회동시켜 전방케이스(112)를 후방케이스(114)에 밀착한 상태에서 제1잠금부(109)를 통해 잠금상태를 유지시키고, 다시 고정클립부(120)를 통해 보호커버(130)를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출역관리기는 상기 제1잠금부(109) 및 연결포트(107), 전원스위치(108)를 외부에서 이를 인지하고 쉽게 조작할 수 없게 하거나 보호커버로서 각종 비나 눈, 먼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사례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출역관리기(100)는 벽면 거치대(200)를 이용한 벽면 고정은,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탈부착 가능하다.
상기 벽면 거치대(200)는 벽면(W)에 대해 선고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장착하도록 한다.
상기 벽면 거치대(200)의 벽면지지부(204)를 해당 벽면에 위치시키고, 안내공부(201), 관통공부(203)를 통해 벽면지지부(204)의 고정공(204a)에 체결나사(S2)를 앵커나사와 같은 형태로 고정하여 벽면 거치대(200)를 벽면(W)에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벽면 거치대(200)에 있어, 안내공부(201)에는 상기 출역관리기(100)의 후방케이스(114)측 체결부(114a)에 체결된 고정나사(S1)의 머리부를 관통시켜 준다.
이는 도면을 기준으로 3지점의 안내공부(201)에 일치시켜 안내한 다음, 안내공부에서 하부로 연장된 축지지공부(202)에 고정나사(S1)의 축부를 걸치게 함으로써, 출역관리기(100)를 간단히 걸어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첨부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잠금부(210)를 이용하여 잠금 상태로 만들어주면, 제2잠금부(210)측 걸이축(211)은 고정나사(S1)중 후방케이스(114)의 배면 상부측에 위치한 2개의 고정나사(S1)의 머리부를 단속하는 형태가 되어 외부에서 무단으로 출역관리기(100)를 쉽게 탈거할 수 없게 함으로써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정상적으로 제2잠금부(210)를 통해 출역관리기(100)를 탈거하고, 손잡이부(115)를 통해 출역관리기(100)의 이동이 쉽기 때문에 관리자는 해당 출입통제 위치에 출역관리기를 다시 세팅하기 용이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출역관리기 101: 디스플레이부
102: 키패드 103: 스캔영역부
103-1: 지문인식창 103-2: 카드삽입구
104: 카메라부 105: 메인보드
107: 연결포트 108: 전원스위치
110: 케이스 112: 전방케이스
113: 힌지부 114: 후방케이스
114a: 체결부 120: 고정클립부
130: 보호커버 200: 벽면 거치대
201: 안내공부 202: 축지지공부
203: 관통공부 204: 벽면지지부
204a: 고정공 210: 제2잠금부
S1: 고정나사 S2: 체결나사

Claims (5)

  1. 사각형의 함체형 케이스(110)에 출입자의 신상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01), 입력정보 및 설정변경용 키패드(102), 인식카드 스캔영역부(103), 카메라부(104), 메인보드(105), 음성출력부(106) 등의 구성유닛이 케이스 내에 내장되고, 외부에 마련되는 각 연결포트(107) 및 전원스위치(108)가 구비되고, 벽면 거치대(200)에 탈부착되어 출입통로의 출역을 관리하도록 된 출역관리기(100)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는 전방케이스(112)와 후방케이스(114)로 이루어지되, 후방케이스(114)에 대해 전방케이스(112)의 상부에는 상호 힌지부(113)에 의해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손잡이부(115)가 마련되며, 상기 후방케이스(114)의 저면에는 상기 연결포트(107), 전원스위치(108) 및 전방케이스(112)를 단속할 수 있는 제1잠금부(109)가 배치되고, 상기 후방케이스(114)의 양측면에는 고정클립부(120)를 두고, 상기 고정클립부(120)에는 연결포트, 전원스위치 및 제1잠금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13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후방케이스(114)의 배면에는 고정나사(S1)의 머리부와 축부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다수개 체결되고, 상기 고정나사(S1)의 머리부는 상기 벽면 거치대(200)에 탈착되거나 잠금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역관리기 케이스 및 케이스 거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케이스(114)는 고정나사(S1)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114a)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114a)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역관리기 체
    케이스 및 케이스 거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거치대(200)는 전면에 고정나사(S1)의 머리부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공부(201) 및 안내공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개되어 고정나사(S1)의 축부를 안내 지지하는 축지지공부(202)가 배면 상측에 2지점, 중앙에 1지점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관통공부(203)가 형성되며, 상기 벽면 거치대(200)의 측면에는 상부측 축지지공부(202)에 안내되는 고정나사(S1)의 머리부가 안내공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잠금부(210)가 구비되고, 상기 벽면 거치대(200)의 후면에는 상기 안내공부(201) 및 관통공부(203)를 통해 체결나사(S2)로서 벽면 고정을 위한 고정공(204a)이 형성된 벽면지지부(204)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역관리기 케이스 및 케이스 거치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영역부(103)는 생체신호를 인식하기 위한 생체신호 인식수단(103-1) 및 인식카드의 마그네틱을 긁어서 정보를 스캔하기 위한 카드삽입구(103-2)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역관리기 케이스 및 케이스 거치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인식수단(103-1)은,
    지문 데이터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수단, 홍채 데이터를 인식하는 홍채인식수단 및 정맥 데이터를 인식하는 정맥인식수단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역관리기 케이스 및 케이스 거치구조.
KR1020160013515A 2016-02-03 2016-02-03 출역관리기 케이스 및 케이스 거치구조 KR201700923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515A KR20170092315A (ko) 2016-02-03 2016-02-03 출역관리기 케이스 및 케이스 거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515A KR20170092315A (ko) 2016-02-03 2016-02-03 출역관리기 케이스 및 케이스 거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315A true KR20170092315A (ko) 2017-08-11

Family

ID=59651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515A KR20170092315A (ko) 2016-02-03 2016-02-03 출역관리기 케이스 및 케이스 거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23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6684A (zh) * 2021-12-27 2022-03-29 国网新疆电力有限公司信息通信公司 大数据计算机网络安全智能防护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6684A (zh) * 2021-12-27 2022-03-29 国网新疆电力有限公司信息通信公司 大数据计算机网络安全智能防护装置
CN114256684B (zh) * 2021-12-27 2023-10-27 国网新疆电力有限公司信息通信公司 大数据计算机网络安全智能防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489272A (zh) 一种专用于园区的智能安防控制系统
US1008355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gate using an automated installation entrance (AIE) system
EP2442286B1 (en) Suspicious person detection device, suspicious person detection method, and suspicious person detection program
CN204423477U (zh) 一种整体式通关设备
KR20190128478A (ko) 키오스크 무인 출입카드 관리 방법
CN102819881A (zh) 精密仪器预约和使用管理系统
CN104794827A (zh) 用于避免监视系统中的假警报的方法和装置
CN212208379U (zh) 一种自动考勤测温系统
WO2003098835A1 (en) Enter and leave managing system using electronic identification card
CN212009680U (zh) 一种机房智能门禁监控系统
KR101094657B1 (ko) 건설공사 현장의 안전모를 매개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KR101521947B1 (ko) 출입 및 관리 시스템
CN204423476U (zh) 一种分体式通关设备
US201900805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Pass Control Using an Automated Installation Entry Device
KR20190019315A (ko) 건설현장 자원통제관리시스템용 단말기 케이스 구조
CN212341991U (zh) 一种自助式警用物品借还系统
KR20100109705A (ko) Rfid와 dvr을 이용한 건설현장의 출역관리 시스템
KR20170092315A (ko) 출역관리기 케이스 및 케이스 거치구조
CN208705952U (zh) 一种权限管理设备
TWM383736U (en) Projection apparatus and connection module thereof
CN208110708U (zh) 识别设备及门禁
CN215495176U (zh) 一种具有防拆报警的智慧楼宇门禁装置
TWM560675U (zh) 停車場資訊顯示裝置與停車場管理系統
US201400769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Entrants In A Pass Control System Using An Automated Installation Entrants (AIE) System
CN208654938U (zh) 一种多功能储物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