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106A - 이미지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106A
KR20170092106A KR1020170012314A KR20170012314A KR20170092106A KR 20170092106 A KR20170092106 A KR 20170092106A KR 1020170012314 A KR1020170012314 A KR 1020170012314A KR 20170012314 A KR20170012314 A KR 20170012314A KR 20170092106 A KR20170092106 A KR 20170092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light
image forming
ima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제영
Original Assignee
(주)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텍 filed Critical (주)코텍
Publication of KR20170092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1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6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individual cut-out symbols or cut-out silhouettes, e.g. perforate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8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both translucent and non-translucent layers
    • G09F13/10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both translucent and non-translucent layers using transparenc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12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a transparent mirror or other light reflecting surface transparent to transmitted light whereby a sign, symbol, picture or other is visible only when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정된 이미지를 형성하는 이미지 형성부 및 상기 이미지 형성부의 후면 측에 구비되고, 상기 이미지 형성부의 배면에 광을 투영할 수 있는 이미지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형성부는 상기 이미지 표시부에 의한 광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키거나, 확산시키거나, 투과 및 확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미지 표시 장치{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이미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이미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정된 이미지를 표현하는 영상물, 예를 들어 간판이나 슬롯머신의 토퍼(topper), 라이트 링(light ring)과 같은 장치에 있어서, 장치가 완성되면 그 내용물인 영상물의 변경이 용이하지 않고, 표현 가능한 형태 또한 2D에 그쳐, 이미지 표시의 효과가 크기 않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LCD 등을 활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으나, 슬롯머신 등에 있어서는, 주변 이미지(배경)와 게임 내용을 표시하는 이미지를 위해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고 있으며, 주변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프레임의 형태로 제작하여(즉, 게임 내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만큼 구멍을 형성하거나, 해당 영역에 투명판을 배치하여), 주변 이미지와 게임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것과 같이 이미지 표시 장치를 구성할 경우, 프레임 형태의 디스플레이 제작해야하는 등, 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디자인의 제약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45753호(2011.05.04.)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 표현이 가능한 이미지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는 고정된 이미지를 형성하는 이미지 형성부; 및 상기 이미지 형성부의 후면 측에 구비되며, 상기 이미지 형성부의 배면에 광을 투영할 수 있는 이미지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형성부는 상기 이미지 표시부에 의한 광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키거나, 확산시키거나, 투과 및 확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미지 형성부는 3차원(3D)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미지 형성부는, 일정한 패턴구조의 볼록렌즈와 상기 볼록렌즈의 초점거리와 상응하는 두께로 형성되는 투명부를 가지는 렌즈 및 투명부; 상기 렌즈 및 투명부의 후면 측에 구비되고, 3D 패턴이 인쇄되어 있는 인쇄부; 및 상기 인쇄부의 후면 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미지 형성부가 형성하는 이미지의 선명도를 향상시키는 배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경부는 타공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미지 표시부는, 일부 영역의 광투과가 가능한 영상물부; 및 상기 영상물부 중 광투과가 가능한 영역을 투과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영상물부에는, 각각의 광투과 가능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는 일정한 패턴구조의 볼록렌즈와 상기 볼록렌즈의 초점거리와 상응하는 두께로 형성되는 투명부를 가지는 렌즈 및 투명부; 상기 렌즈 및 투명부의 후면 측에 구비되고, 3D 패턴이 인쇄되어 있는 인쇄부; 상기 인쇄부의 후면 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미지 형성부가 형성하는 이미지의 선명도를 향상시키는 배경부; 상기 배경부의 후면 측에 구비되어,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및 상기 렌즈 및 투명부의 전면 측에 구비되고, 광투과가 가능하며 표시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보다 낮은 광투과율을 가지는 제2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영상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는 고정된 이미지를 형성하는 이미지 형성부와 광 투영을 통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이미지 표시부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선을 집중시키고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에서 이미지 표시부를 오프시킨 경우의 전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에서 이미지 표시부를 통해 이미지를 투영하는 경우의 전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에서 이미지 표시부를 오프시킨 경우의 전면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에서 이미지 표시부를 통해 이미지를 투영하는 경우의 전면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의 이미지 형성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의 이미지 형성부의 적층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의 이미지 표시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의 영상물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의 이미지 표시부의 구성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의 이미지 표시부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를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는 이미지 형성부(100) 및 이미지 표시부(200)를 포함한다.
이미지 형성부(100)는 고정된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이미지 형성부(100)는 상시 표시되는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형성부(100)는 3차원(3D)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렌즈 및 투명부(110), 인쇄부(120) 및 배경부(130)를 포함하여 3D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렌즈 및 투명부(110)는 일정한 패턴구조의 볼록렌즈와 상기 볼록렌즈의 초점거리와 상응하는 두께로 형성되는 투명부를 가지고, 인쇄부(120)에는 3D 패턴이 인쇄되어 있으며, 배경부(130)는 이미지 형성부(100)가 형성하는 이미지의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록렌즈는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져 종 또는 횡으로 배열되거나 방사형태로 배열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록렌즈의 중심을 투과하는 가상선의 교차각을 90ㅀ로 하고 볼록렌즈의 경사는 45ㅀ가 되도록 배열하거나, 볼록렌즈의 중심을 투과하는 가상선의 교차각을 60ㅀ로 하고 볼록렌즈의 경사는 60ㅀ가 되도록 배열하는 패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투명부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술한 것과 같이, 볼록렌즈의 초점거리와 상응하는 두께로 형성된다. 즉, 투명부는 렌즈 및 투명부(110)의 후면 측에 구비되는 인쇄부(120)가 볼록렌즈의 초점거리에 위치하도록 하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인쇄부(120)에는 3D 패턴이 인쇄되어 있으며, 상하 좌우의 연속패턴의 입체 표현 또는 특수 효과 등의 표현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3D 패턴은 렌즈 및 투명부(110)의 볼록렌즈와 동일한 패턴구조 및 배열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인쇄부(120)가 볼록렌즈의 초점거리에 위치하도록 투명부가 형성되므로, 인쇄부(120)는 깊이감, 표면감, 돌출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인쇄부(120)는 원색 4도(C, M, Y, K)프로세스 또는 별색으로 인쇄되며, 컴퓨터그래픽의 영상 분리 작업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분리 작업은 좌우의 렌티큘러(lenticular)의 영상 분할 방식과 상하의 렌티큘러(lenticular)의 영상 분할방식을 동시에 실행하여 출력물을 얻는 것을 의미한다. 즉, 좌우 눈의 시차를 고려한 분리 화상을 상하, 좌우의 양방향에 대하여 배치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배경부(130)는 광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고, 인쇄부(120)의 후면 측에 구비되어, 이미지 형성부(100)가 형성하는 이미지의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경부(130)는 흰색으로 구성되어, 인쇄부(120)에 의한 이미지가 좀 더 깨끗하고 진한 색상으로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후술할 이미지 표시부(120)에 의한 광 이미지는 이러한 배경부(130)로 인하여 휘도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배경부(130)로 타공 필름을 채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타공 필름은 통상적으로 원웨이 필름이라고도 불리며, 일면은 흰색으로 그 후면은 검은 색으로 구성되며, 많은 개구홀을 가지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다만 타공 필름의 구체적인 작용 효과는 널리 알려진 것에 해당하므로, 본 실시예에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렌즈 및 투명부(110), 인쇄부(120) 및 배경부(130)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그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라미네이팅 작업에 의해 열접착 되거나,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이미지 형성부(100)를 바라볼 경우, 빛의 굴절 및 양쪽 눈의 시차에 의해 입체이미지가 구현되며, 본 실시예에서 인쇄부(120)는 원색 4도(C, M, Y, K) 프로세스 또는 별색으로 인쇄될 수 있으므로 시각적으로 혼란이 있는 무아레(moire)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이미지 형성부(100)는 마이크로렌즈를 이용한 Integral Image 방식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패럴렉스 베리어, 렌티큘러, Integral Image, 홀로그램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미지 표시부(200)는 이미지 형성부(100)의 후면 측에 구비되고, 이미지 형성부(100)의 배면에 광을 투영할 수 있다. 즉, 이미지 표시부(200)는 광 이미지를 이미지 형성부(100)에 투영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이미지 형성부(100)는 광을 투과 및/또는 확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이미지 표시부(200)에 의한 광 이미지는 이미지 형성부(100)를 거쳐 사용자에게 보이게 된다.
즉, 도 2 및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이미지 표시부(200)에 의해 이미지가 투영되지 않을 경우에는, 이미지 형성부(100)가 형성하는 이미지만 보이다가, 도 3 및 도 5와 같이, 이미지 표시부에 의해 이미지가 투영되면, 투영되는 광에 의한 이미지가 사용자에게 관측되게 되므로, 다양한 효과의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미지 형성부(100)가 3D 이미지를 형성할 경우, 예를 들어, 이미지 형성부(100)에 의한 이미지가 들어가 보이는 형태로 표현되는 상태에서, 이미지 표시부(200)에 의해 이미지가 투영되면, 이미지 표시부(200)에 의한 광 이미지는 이미지 형성부(100)에 의한 이미지 위에 떠 보이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한편 하나의 실시예로, 이러한 이미지 표시부(200)는 영상물부(210) 및 광원부(220)로 구성될 수 있다.
영상물부(210)는 일부 영역의 광투과가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광원부(220)는 영상물부(210) 중 광투과가 가능한 영역을 투과할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영상물부(210)는 광투과가 가능한 영역(A, B, C로 도시된 영역)과 광을 차단하는 나머지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광원부(220)에서 조사된 광은 영상물부(210)의 광투과가 가능한 영역을 통하여 투과되며, 이렇게 투과된 광은 이미지 형성부(100)를 거쳐 결국 광투과가 가능한 영역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로 이미지 표시 장치의 전면에서 관측되게 된다.
영상물부(210)는 별도 필름 또는 시트와 같은 형태로 구성하여 영상물부(210)만을 용이하게 교체함으로써, 표시되는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미지 형성부(100)의 후면에 영상물부(210)를 인쇄함으로써 영상물부(210) 자체의 제작비용, 이미지 형성부(100)의 점착 또는 합지 작업으로 인한 비용 발생을 줄이고 이로 인한 불량률을 줄 일 수도 있다.
영상물부(210)가 필름 또는 시트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 이미지 표시부(200)와 이미지 형성부(100)는 이격 없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미지 표시부(200)에 의한 이미지가 흐르는 효과 등을 나타낼 때에는 이미지 표시부(200)와 이미지 형성부(100) 사이를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 할 수도 있다.
광원부(220)로는 LED, OLED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광원이 채택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RED, GREEN, BLUE와 같은 색상의 조절 및 휘도를 조절 할 수 있는 RGB LED가 채용될 수 있다. 또한 광원부(220)는 영상물부(210)와 같은 크기의 면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점광원의 형태일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영상물부(210)의 광투과 가능 영역에 대응하는 형태로만 광원을 배치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으나, 영상물부(210)의 교체 가능성을 고려하여 영상물부(210)의 전체 면적에 대응하게 광원을 배치하고, 영상물부(210)의 광투과 가능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만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한편 각각의 광투과 가능 영역(즉, A영역, B영역, C영역)을 통과하는 광원의 색상이나 밝기를 다르게 하고자 할 경우에는, 각각의 광투과 가능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을 광원부(220)에 배치하거나, 광원부(220)의 제어를 통해, 원하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광투과 가능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211)을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광투과 가능 영역을 통과하는 광원의 휘도나 색상 등을 달리하였을 때, 서로 간에 간섭을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이러한 이미지 표시부(200)는 이미지 형성부(100)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투사 유닛(2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영상물(231), 렌즈(232) 및 광원(233)을 포함하는 광투사 유닛(230)이 영사기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다양한 이미지의 표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광투사 유닛(230)이 배치되는 각도에 따라 이미지의 표시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프로젝터(projector)에서 사용되는 기술의 적용을 통해 원하는 이미지의 형상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 표시부(200)로 프로젝터를 채용할 수도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 형성부(100)나 이미지 표시부(200)(또는 이미지 표시부(200)의 영상물부(210))는 곡면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미지 형성부(100)나 이미지 표시부(200)의 형태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다양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2차원 및 3차원 형태의 영상표시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의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영상물부(210)가 이미지 형성부(100)의 전면 즉, 렌즈 및 투명부(110)의 전면 측에 구비되고, 이러한 영상물부(210)는 광투과가 가능하며 표시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제1영역(212)과 상기 제1영역보다 낮은 광투과율을 가지는 제2영역(213)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즉, 영상물부(210)의 제2영역(213)의 차단율이 100%가 아닌 값(예: 20% 또는 30%)일 경우, 배경부(130)의 후면 측에 구비된 광원부(220)의 OFF시에는 이미지 형성부(100)에 의한 이미지는 보이지 않게 되지만, 광원부(200) ON시 이미지 형성부(100)에 의한 이미지 또한 보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도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다시 말해, 이미지 형성부(100)에 의한 이미지가 "-"Depth, 즉 관측자에게 가까이 있는 것처럼(튀어나와) 보이는 이미지일 경우, 광원부(220)의 OFF시에는 단순히 영상물부(210)만 보이다가 광원부(220)의 ON시에는 이미지가 튀어나와 보이게 됨으로써, 광원부의 단순한 ON/OFF만으로 2D또는 3D 이미지의 ON/OFF를 가능하게 한다. 이는 기존 PDLC와 같은 광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서 훨씬 더 저렴하게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를 광고형 표시 장치뿐만 아니라 카지노 슬롯머신의 Topper Display 및 Light Ring과 같은 부분에 적용할 경우, 영상의 ON/OFF 및 다채로운 영상의 표시가 가능하게 됨에 따라, 단순히 하나의 이미지만을 표현하던 표시장치의 단조로움을 탈피하여 무료함을 없애고 사용자의 시선의 집중 및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기존의 슬롯머신의 Light Ring과 같은 부분의 경우, 전면에 노출된 흰색 인쇄면에 광이 조사되고, 그 부분이 빛남에 따라서 이미지가 표시되었기에, 흰색 인쇄면이 필수적이었고, 이는 디자인을 제약하는 요인이 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의 경우 별도로 노출된 흰색 인쇄면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다양한 디자인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된 이미지를 형성하는 이미지 형성부와 광 투영을 통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이미지 표시부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선을 집중시키고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이미지 형성부
110: 렌즈 및 투명부
120: 인쇄부
130: 배경부
200: 이미지 표시부
210: 영상물부
211: 격벽
212: 제1영역
213: 제2영역
220: 광원부
230: 광투사 유닛
231: 영상물
232: 렌즈
233: 광원

Claims (8)

  1. 고정된 이미지를 형성하는 이미지 형성부; 및
    상기 이미지 형성부의 후면 측에 구비되며, 상기 이미지 형성부의 배면에 광을 투영할 수 있는 이미지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형성부는 상기 이미지 표시부에 의한 광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키거나, 확산시키거나, 투과 및 확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형성부는 3차원(3D)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형성부는,
    일정한 패턴구조의 볼록렌즈와 상기 볼록렌즈의 초점거리와 상응하는 두께로 형성되는 투명부를 가지는 렌즈 및 투명부;
    상기 렌즈 및 투명부의 후면 측에 구비되고, 3D 패턴이 인쇄되어 있는 인쇄부; 및
    상기 인쇄부의 후면 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미지 형성부가 형성하는 이미지의 선명도를 향상시키는 배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부는 타공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표시부는,
    일부 영역의 광투과가 가능한 영상물부; 및
    상기 영상물부 중 광투과가 가능한 영역을 투과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물부에는, 각각의 광투과 가능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표시부는, 상기 이미지 형성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투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8. 일정한 패턴구조의 볼록렌즈와 상기 볼록렌즈의 초점거리와 상응하는 두께로 형성되는 투명부를 가지는 렌즈 및 투명부;
    상기 렌즈 및 투명부의 후면 측에 구비되고, 3D 패턴이 인쇄되어 있는 인쇄부;
    상기 인쇄부의 후면 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미지 형성부가 형성하는 이미지의 선명도를 향상시키는 배경부;
    상기 배경부의 후면 측에 구비되어,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및
    상기 렌즈 및 투명부의 전면 측에 구비되고, 광투과가 가능하며 표시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보다 낮은 광투과율을 가지는 제2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영상물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KR1020170012314A 2016-02-01 2017-01-25 이미지 표시 장치 KR201700921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579 2016-02-01
KR20160012579 2016-0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106A true KR20170092106A (ko) 2017-08-10

Family

ID=59652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314A KR20170092106A (ko) 2016-02-01 2017-01-25 이미지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21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024B1 (ko) 2018-02-26 2019-06-11 김수영 이미지 투영 장치
WO2021066789A1 (en) * 2019-09-30 2021-04-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ogrammable film display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024B1 (ko) 2018-02-26 2019-06-11 김수영 이미지 투영 장치
WO2021066789A1 (en) * 2019-09-30 2021-04-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ogrammable film display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8035B2 (en)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having 3D sheet
JP4973794B1 (ja) 表示装置
US8422131B2 (en) Liquid elastic membrane prism and 3 dimension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U20053322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3D images
TWI417630B (zh) 用以顯示多重視角影像之顯示裝置
JP5545068B2 (ja) 光源デバイスおよび立体表示装置
KR100752336B1 (ko) 패럴랙스-배리어 방식 입체영상 표시 장치
US9274345B2 (en) Multiple view display
TWI537604B (zh) 顯示裝置、可變視差屏障模組及顯示方法
TW200523587A (en) A multiple-view directional display
JPH08242470A (ja) 自動立体表示装置および自動立体表示装置を制御する方法
JP5651840B2 (ja) 図柄表示装置
KR20100026761A (ko) 백라이트 유닛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평면 및 입체 겸용 영상 표시 장치
EP1705927B1 (en) Autostereoscopic display using time-sequential method
JP2012226199A (ja) 光源デバイスおよび表示装置
JP7005297B2 (ja) 画像表示装置
KR20170092106A (ko) 이미지 표시 장치
US7296901B2 (en) Projection display
KR102130133B1 (ko) 백 라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TWI679473B (zh) 顯示裝置
KR101897964B1 (ko) 2차원과 3차원 전환이 가능한 3d디스플레이장치
JP2009265309A (ja) 三次元画像表示装置
TWI479197B (zh) And a conversion means for converting the 2D image into a 3D image
JP5573570B2 (ja) 透過型表示装置
CN108535879A (zh) 显示设备以及显示设备的驱动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