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1254A - 수직형 배관 플랜지의 용접용 보조장치기구 - Google Patents

수직형 배관 플랜지의 용접용 보조장치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1254A
KR20170091254A KR1020160012029A KR20160012029A KR20170091254A KR 20170091254 A KR20170091254 A KR 20170091254A KR 1020160012029 A KR1020160012029 A KR 1020160012029A KR 20160012029 A KR20160012029 A KR 20160012029A KR 20170091254 A KR20170091254 A KR 20170091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ipe
fixing
welding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천기
Original Assignee
도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천기 filed Critical 도천기
Priority to KR1020160012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1254A/ko
Publication of KR20170091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6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for maintaining flanges on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1) 상에 플랜지(2)를 용접하여 배관용 플랜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지면(L)에 안착되어 일정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높이조절수단(11)을 구비하는 지지대(10); 상기 지지대(10)의 상부에 플랜지(2)의 넓이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면서 프랜지(2)를 고정하는 고정부(20); 및 상기 지지대(10)와 고정부(20) 사이에 플랜지(2)와 파이프(1)를 회전시켜 용접이 용이하게 구비하는 회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무거운 하중을 가진 파이프와 플랜지의 상호 용접이 매우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 증진과 함께 작업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용접 작업이 매우 편리해 짐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성마저 획기적으로 담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직형 배관 플랜지의 용접용 보조장치기구{Organization auxiliary equipment for welding of the vertical pipe flanges}
본 발명은 수직형 배관 플랜지의 용접용 보조장치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거운 하중을 가진 파이프와 플랜지의 상호 용접이 매우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 증진과 함께 작업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용접 작업이 매우 편리해 짐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성마저 획기적으로 담보할 수 있는 수직형 배관 플랜지의 용접용 보조장치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배관용 플랜지는 주로 유체나 분체 등의 수송 및 지면 내부나 옥내의 배선공사로 인한 전선이나 케이블 등의 보호기구용 등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관용 플랜지는 다수의 배관을 하나로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배관의 끝단에 각각 배관용 플랜지가 서로 볼트 등으로 체결 고정이 되어져야 하는 데, 배관용 플랜지는 배관을 수용하는 구성과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플랜지의 구성이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 때 대부분은 용접방법을 통해 서로 고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한국 공개특허 제2008-0031710호에 따르면, ‘고압 배관 파이프(2)의 말단부(12)로부터 일정길이 내측에 중앙이 통공(6)으로 구성된 엽전 형상의 보강 플랜지(4)를 결합시키는 제 1 과정과; 상기 고압 배관 파이프(2)와 보강 플랜지(4)의 접면 상/하부에 보강 플랜지(4)를 고정하기 위해 용접을 수행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고압 배관 파이프(2)의 말단부(12) 내주연에 45도 금형부(20)를 삽입 한 후 이를 가압하여 고압 배관 파이프(2)의 말단부(12)를 외측으로 45도 절곡시키는 제 3 과정과; 상기 고압 배관 파이프(2)의 말단부(12) 내주연에 90도 금형부(30)를 삽입 한 후 이를 가압하여 그 말단부(12)를 90도로 절곡시켜 상기 고압 배관 파이프(2)의 일면과 보강 플랜지(4)의 일면을 상호 중첩시키는 제 4과정과; 상기 고압 배관 파이프(2)의 말단부(12)와 보강 플랜지(4)의 접촉면 테두리를 따라 용접하여 테두리 용접부(14)를 형성하는 제 5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배관파이프의 플랜지 형성방법.’을 제시한다.
하지만, 고압 배관파이프의 플랜지 형성방법은 고압 배관 파이프(2) 상에 보강 플랜지(4)를 일반적인 방식을 통해 용접함에 따라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무거운 하중을 가진 고압 배관 파이프(2)와 보강 플랜지(4)를 용접하기 위한 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제대로 담보하지 못하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2008-0031710호 “고압 배관파이프의 플랜지 형성방법”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거운 하중을 가진 파이프와 플랜지의 상호 용접이 매우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 증진과 함께 작업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용접 작업이 매우 편리해 짐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성마저 획기적으로 담보할 수 있는 수직형 배관 플랜지의 용접용 보조장치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파이프 상에 플랜지를 용접하여 배관용 플랜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안착되어 일정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플랜지의 넓이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면서 프랜지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지지대와 고정부 사이에 플랜지와 파이프를 회전시켜 용접이 용이하게 구비하는 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지지대의 하부에 일체로 체결 고정되는 하부판과, 하부판 상에 지면으로부터 하부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나사산을 갖는 핸들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지지대의 상부에 플랜지를 안착하면서 길이 방향의 요홈을 구비하는 상부판과, 상부판의 요홈에 삽설하여 플랜지의 넓이에 따라 이동하면서 플랜지를 고정하게 제2나사산을 구비하는 고정대와, 상부판의 요홈 내부에 고정대의 제2나사산과 서로 체결되어 고정대의 이탈을 방지하는 삽설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고정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무거운 하중을 가진 파이프와 플랜지의 상호 용접이 매우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 증진과 함께 작업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용접 작업이 매우 편리해 짐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성마저 획기적으로 담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배관 플랜지의 용접용 보조장치기구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배관 플랜지의 용접용 보조장치기구의 주요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배관 플랜지의 용접용 보조장치기구의 고정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정부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배관 플랜지의 용접용 보조장치기구의 높이조절수단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높이조절수단의 저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배관 플랜지의 용접용 보조장치기구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배관 플랜지의 용접용 보조장치기구의 주요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배관 플랜지의 용접용 보조장치기구의 고정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정부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배관 플랜지의 용접용 보조장치기구의 높이조절수단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높이조절수단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은 파이프(1) 상에 플랜지(2)를 용접하여 배관용 플랜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에 관련되며, 지지대(10), 고정부(20), 회전부(3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10)는 지면(L)에 안착되어 일정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높이조절수단(11)을 구비한다. 지지대(10)는 지면(L)으로부터 높이조절수단(11)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지지되는데, 후술하는 고정부(20)와 회전부(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수단(11)은 지지대(10)의 하부에 일체로 체결 고정되는 하부판(12)과, 하부판(12) 상에 지면(L)으로부터 하부판(12)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제1나사산(13)을 갖는 핸들(14)을 구비한다. 지지대(10)의 하부에는 하부판(12)이 다수개의 체결공(12a)이 형성된 상태를 유지하고, 체결공(12a) 상에 체결되는 핸들(14)이 지면판(14a)으로부터 지면(L)에 지지되도록 한다. 핸들(14)에는 제1나사산(13)이 형성되어 있어 하부판(12)에 형성된 체결공(12a)과 서로 맞물려 작업자가 핸들(14)을 회전함에 따라 지면(L)으로부터 하부판(12)이 상, 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높이조절수단(11)은 작업자의 키에 따라 조절할 수 있고, 지면의 상태에 따라 각각의 높이조절수단(11)이 각각 다른 높이로 조절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20)는 상기 지지대(10)의 상부에 플랜지(2)의 넓이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면서 프랜지(2)를 고정한다. 고정부(20)는 지지대(10)의 상부에 위치하여 플랜지(2)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플랜지(2)는 각각의 다양한 넓이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플랜지(2)를 수용하여 고정하도록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20)는 지지대(10)의 상부에 플랜지(2)를 안착하면서 길이 방향의 요홈(22)을 구비하는 상부판(21)과, 상부판(21)의 요홈(22)에 삽설하여 플랜지(2)의 넓이에 따라 이동하면서 플랜지(2)를 고정하게 제2나사산(24)을 구비하는 고정대(23)와, 상부판(21)의 요홈(22) 내부에 고정대(23)의 제2나사산(24)과 서로 체결되어 고정대(23)의 이탈을 방지하는 삽설대(25)를 구비한다. 고정부(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2)를 안착한 상태에서 가압고정이 가능해야만 하는 바, 플랜지(2)가 요홈(22)을 갖는 상부판(2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요홈(22)에 고정대(23)의 제2나사산(24)이 수용된다. 수용된 제2나사산(24)에는 상부판(21)의 하부에 위치한 삽설대(25)가 제2나사산(24)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먼저 작업자가 고정부(20)의 상부판(21)에 플랜지(2)를 안착시킨 상태로 고정대(23)가 요홈(22)을 따라 이동시켜 고정대(23)가 플랜지(2)의 상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 다음, 고정대(23)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2나사산(24)과 삽설대(25)가 서로 체결하게 됨으로써 고정대(23)는 플랜지(2)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고정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30)는 상기 지지대(10)와 고정부(20) 사이에 플랜지(2)와 파이프(1)를 회전시켜 용접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비한다. 회전부(30)는 상술한 지지대(10)와 고정부(20) 사이에 위치하여 고정부(2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부(30)는 플랜지(2)가 고정된 고정부(20)를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고정된 플랜지(2) 상에 파이프(1)를 안착시켜 일정지점에 가 용접(假鎔接)한 상태로 회전부(30)를 통해 상기 파이프(1)와 플랜지(2)를 회전시키면서 용접할 수 있어 작업자는 용접지점을 이동하면서 용접할 필요가 없이 제자리에서 작업이 가능함으로 작업의 편리성이 증진됨과 동시에 작업의 안전성까지 담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부(30)는 고정부(2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베어링(3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부(30)의 내부에는 베어링(31)이 삽설되어 고정부(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회전부(30)의 회전은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회전시키거나 별도의 지그(jig) 또는 모터 등을 통해 수동 또는 자동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한 본 발명의 사용에 있어서는, 먼저 작업자가 지지대(10)의 하부에 형성된 높이조절수단(11)을 통해 지면(L)의 상태 또는 작업자의 키(신장) 등에 맞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끔 핸들(14)을 회전시켜 조절한다. 그런 다음, 플랜지(2)를 고정부(20)의 상부판(2) 상에 안착시킨 상태로서 고정대(23)가 요홈(22)을 따라 플랜지(2)의 상부에 위치되어 삽설대(25)과 서로 체결시켜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된 플랜지(2)의 상부에 파이프(1)를 위치시켜 가 용접으로 일부분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회전부(30)의 회전을 통해 작업자는 제자리에서 플랜지(2)와 파이프(1)를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거운 하중을 가진 파이프와 플랜지의 상호 용접이 매우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 증진과 함께 작업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용접 작업이 매우 편리해 짐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성마저 획기적으로 담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파이프 2: 플랜지
10: 지지대 11: 높이조절수단
12: 하부판 12a: 체결공
13: 제1나사산 14: 핸들
14a: 지면판 20: 고정부
21: 상부판 22: 요홈
23: 고정대 24: 제2나사산
25: 삽설대 30: 회전부
31: 베어링 L: 지면

Claims (4)

  1. 파이프(1) 상에 플랜지(2)를 용접하여 배관용 플랜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지면(L)에 안착되어 일정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높이조절수단(11)을 구비하는 지지대(10);
    상기 지지대(10)의 상부에 플랜지(2)의 넓이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면서 프랜지(2)를 고정하는 고정부(20); 및
    상기 지지대(10)와 고정부(20) 사이에 플랜지(2)와 파이프(1)를 회전시켜 용접이 용이하게 구비하는 회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배관 플랜지의 용접용 보조장치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11)은 지지대(10)의 하부에 일체로 체결 고정되는 하부판(12)과, 하부판(12) 상에 지면(L)으로부터 하부판(12)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제1나사산(13)을 갖는 핸들(1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배관 플랜지의 용접용 보조장치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는 지지대(10)의 상부에 플랜지(2)를 안착하면서 길이 방향의 요홈(22)을 구비하는 상부판(21)과, 상부판(21)의 요홈(22)에 삽설하여 플랜지(2)의 넓이에 따라 이동하면서 플랜지(2)를 고정하게 제2나사산(24)을 구비하는 고정대(23)와, 상부판(21)의 요홈(22) 내부에 고정대(23)의 제2나사산(24)과 서로 체결되어 고정대(23)의 이탈을 방지하는 삽설대(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배관 플랜지의 용접용 보조장치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30)는 고정부(2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베어링(3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배관 플랜지의 용접용 보조장치기구.
KR1020160012029A 2016-01-30 2016-01-30 수직형 배관 플랜지의 용접용 보조장치기구 KR201700912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029A KR20170091254A (ko) 2016-01-30 2016-01-30 수직형 배관 플랜지의 용접용 보조장치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029A KR20170091254A (ko) 2016-01-30 2016-01-30 수직형 배관 플랜지의 용접용 보조장치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254A true KR20170091254A (ko) 2017-08-09

Family

ID=59652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029A KR20170091254A (ko) 2016-01-30 2016-01-30 수직형 배관 플랜지의 용접용 보조장치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12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66782A (zh) * 2023-06-27 2023-11-17 沈阳汉科半导体材料有限公司 一种工艺管小法兰焊接模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66782A (zh) * 2023-06-27 2023-11-17 沈阳汉科半导体材料有限公司 一种工艺管小法兰焊接模具
CN117066782B (zh) * 2023-06-27 2024-04-16 沈阳汉科半导体材料有限公司 一种工艺管小法兰焊接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116B1 (ko) 척 클램프 용접장치
KR100991201B1 (ko) 엘보관 자동용접장치용 엘보관클램핑장치
US6367788B1 (en) Workpiece support apparatus
US9358679B2 (en) Mobile work station
US9073152B2 (en) Elliptical bearing manipulator
US20020130456A1 (en) Portable pipe fitting table
KR101896093B1 (ko) 3방향 클램프 용접을 위한 회전형 용접 클램핑 장치
US4570842A (en) Conduit weld positioner with arc length adjustor
KR20170091255A (ko) 수평형 배관 플랜지의 용접용 보조장치기구
US6799494B1 (en) Mounting brace for a journal turning lathe
KR101354183B1 (ko) 밸브 용접 보조장치
CN105710573B (zh) 一种角度可调的焊接平台
KR101708046B1 (ko) 파이프 용접물 고정장치
KR20170091254A (ko) 수직형 배관 플랜지의 용접용 보조장치기구
CN105436809A (zh) 一种主管的水平支撑装置
CN106392454A (zh) 一种双面开孔管加强管的焊接装置
KR100609019B1 (ko) 용접캐리지의 용접구간 연장장치
US20050087581A1 (en) Welding Alignment Device,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991490A (en) Portable threading die support and pipe support stand
KR102233789B1 (ko) 파이프 절삭 및 용접장치
CN212398677U (zh) 一种用于零件加工夹具
CN210818234U (zh) 一种用于法兰、钢弯头焊接的法兰钢弯对口器
KR20130001927U (ko) 링플랜지 용접용 지그장치
CN209632422U (zh) 一种用于焊接钢结构的夹紧装置
CN206898667U (zh) 一种焊接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06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105

Effective date: 2017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