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1241A -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1241A
KR20170091241A KR1020160011815A KR20160011815A KR20170091241A KR 20170091241 A KR20170091241 A KR 20170091241A KR 1020160011815 A KR1020160011815 A KR 1020160011815A KR 20160011815 A KR20160011815 A KR 20160011815A KR 20170091241 A KR20170091241 A KR 20170091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tilever
vibration
case
energy recovery
vibration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4177B1 (ko
Inventor
신응수
윤현창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1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177B1/ko
Publication of KR20170091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5/00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35/02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with moving magnets and stationary coil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20Cathode-ray oscilloscop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이 간편하면서도 다양한 환경에서 진동 에너지 회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를 제공하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 공간부가 구비된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의 작동 시 상기 케이스부에 진동을 일으키기 위해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구비되는 편심발생부와, 상기 케이스부에 설치되며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외팔보와, 상기 외팔보의 일단에 설치되는 자석부 및 상기 자석부가 인입 및 인출되는 위치로 구비되며 상기 외팔보의 진동에 따른 상기 자석부의 이동 시 전력을 발생시키는 코일링부를 포함하는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DETECTING DEVICE FOR OSCILLATION ENERGY HARVESTING}
본 발명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 및 실험용도로 적용이 가능함과 동시에 진동 등이 발생하는 환경에서 실제 회수되는 에너지양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에너지 하베스팅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에너지 하베스팅은 주변에서 버려지는 에너지를 수확(harvest)하여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이용하는 것으로, 주로 진동이나 사람의 움직임, 빛, 열, 전자기파와 같이 의도하지 않거나 버려지는 에너지원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전기를 얻기 위한 여러 기술들을 의미한다.
이러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중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분야는 진동 에너지를 회수하기 위한 기술로, 주로 대형 회전기나 구조물의 진동, 다양한 충격 에너지를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기술이다.
실질적으로 최근 들어서는 사람의 보행 시 지면 충돌 에너지나 도로면에서 차량 주행에 따른 지면 충돌 에너지를 압전소자를 통해서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방식이 연구되고 있고, 보행이 빈번한 구역이나 고속도로 혹은 철도 구간에 충격 에너지를 수집하기 위한 구조물을 매설하는 실험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진동 에너지 하베스트 기술은 대부분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발생되는 전기를 충전하는 방식이어서 많은 수량 및 상당한 고가의 압전소자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특히, 이러한 압전소자에는 직접적으로 충격이 전달되어야 하기 때문에 용도에 따른 내충격 특성을 가져야 하므로 비용이 높으며 허용량 이상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수명이 줄어들거나 파손되므로 관리 비용이 높은 문제가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에너지 하베스팅 관련하여 학교 등에서도 학생들을 대상으로 많은 수업이 진행되고 있는데, 종래와 같은 고가의 장치는 효용성이 너무 낮았다.
이에 따라서.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으면서 그 설치 비용이나 관리 비용이 낮은 학습용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에 대한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15-0068110 (2015년06월19일) 한국등록특허 10-1464668 (2014년11월18일)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진동을 발생시키고 진동 시 발생되는 에너지를 다양한 방법으로 회수 가능한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작동 및 측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 공간부가 구비된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의 작동 시 상기 케이스부에 진동을 일으키기 위해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구비되는 편심발생부와, 상기 케이스부에 설치되며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외팔보와, 상기 외팔보의 일단에 설치되는 자석부 및 상기 자석부가 인입 및 인출되는 위치로 구비되며 상기 외팔보의 진동에 따른 상기 자석부의 이동 시 전력을 발생시키는 코일링부를 포함하는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외팔보에 설치되는 압전소자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팔보의 진동 시 발생하는 전압을 측정하는 오실로스코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부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콘트롤러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부에 다수 행 및 다수 열로 배치된 삽입공이 구비된 베이스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상기 케이스부와 코일링부 하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발생부에 구비된 외팔보와 자석부 및 코일링부를 이용하여 간단한 작동으로 진동을 발생시키고 이때 발생되는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에 삽입공을 형성하되 진동발생부와 코일링부의 위치를 가변시키면서 진동발생 및 에너지 회수가 가능하여, 환경에 따른 변수를 달리하면서 달라지는 측정 값의 변화 정도를 용이하게 검측 및 시험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와 케이스부 및 베이스부와 코일링부 사이에 완충부재가 적용되도록 하되 베이스부 자체도 두 개 이상의 부분으로 나누고 상기 나뉘어진 베이스부 사이에 별도의 보조완충부재를 적용하여 진동발생부의 진동이 코일링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정확한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들이 결합된 사시도;
도 3은 케이스부 내 모터부와 편심발생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코일링으로 자석부가 이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외팔보의 진동에 따른 압전소자모듈의 움직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들이 결합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들이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100)는 베이스부(110), 진동발생부, 외팔보(130), 자석부(138) 및 코일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110)는 강직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다수 행 및 다수 열로 배치된 삽입공(112)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부(110) 재질로는 합성수지 또는 철질 재질 등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진동발생부를 이루는 주요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진동발생부는 케이스부(120), 모터부(127) 및 편심발생부(12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부(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120)는 내부 공간부가 구비된 박스 형태를 이루며, 상기 내부 공간부에 상기 모터부(127)와 편심발생부(128)가 설치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편심발생부(128)는 무게 중심이 일측으로 편심된 형태인 소정의 캠과 같은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상기 편심발생부(128)가 상기 모터부(127)의 회전축(125)에 고정되어 상기 모터부(127)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편심을 일으키게 되고, 이에 따라 케이스부(120) 자체가 진동을 발생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부(120) 하부에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삽입공(112)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부(120)가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결합돌기(122)가 구비된다.
이때,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케이스부(120)와 상기 베이스부(110) 사이로 상기 케이스부(120)의 진동이 상기 베이스부(11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완충부재(미도시)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완충부재(미도시)는 소정 탄성을 지니는 고무재질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외팔보(130)는 상기 케이스부(120)에 일단이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형태로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외팔보(130)는 강직성 물질로 이루어지되 일측에서 외력을 가하는 경우 타측으로 소정 탄성을 지니며 휘어짐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당한 길이를 가지며 얇은 두께를 가지는 쇠자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팔보(130)의 타단에는 자석부(138)가 설치되며, 상기 자석부(138)가 인입 및 인출되는 위치로 상기 베이스부(110)에 고정되도록 상기 코일링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코일링부는 상기 베이스부(110)에 결합되는 받침부(166)와, 상기 받침부(166)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수직지지부(164) 및 상기 수직지지부(164)에 고정되며 다수 회 감긴 형태의 코일링(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링(150) 내측으로 상기 자석부(138)가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배치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받침부(166)의 하부에도 상기 베이스부(110)의 삽입공(112)에 삽입되어 코일링부의 받침부(166)가 결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결합돌기(162)가 구비되며, 이 경우에도 상기 받침부(166)와 베이스부(110) 사이로 완충부재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100)는 상기 외팔보(130)에 설치되는 압전소자모듈(14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압전소자모듈(140)은 상기 외팔보(130)의 벤딩 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하여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팔보(13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팔보(130)는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눈금부(13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압전소자모듈(140)은 상기 외팔보(130)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소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클립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팔보(130)의 진동 시 발생하는 전압을 측정하는 오실로스코프(180)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부(127)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콘트롤러부(170)가 구비된다.
상기 오실로스코프(180)에는 코일링(150) 등에 연결되어 전압 감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공지된 접속핀 형태로 별도의 프로브핀(182, 183)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100)에 의하면, 상기 모터부(127)의 작동에 따라서 케이스부(120)에 발생된 진동을 외팔보(130)로 전달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코일링(150)에 접근하는 자석부(138) 운동,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외팔보(130)의 진동 시 압전소자모듈(140)에 가하여지는 압력을 이용 전력을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미리 오실로스코프(180)를 이용하여 공진주파수를 측정한 후에 이에 대응되는 공진주파수를 갖는 외팔보(130)를 적용하여 진동 크기를 증대시키며 시험이 가능하다.
즉, 단순한 조작 및 간단한 작동으로 진동을 발생시키고 이때 생성되는 에너지를 회수하되, 상기 오실로스코프(180) 등을 이용 공진주파수와 회수되는 에너지를 예측 및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부(110)에 삽입공(112)을 형성하되 진동발생부와 코일링부의 위치를 가변시키면서 진동발생 및 에너지 회수가 가능하여, 외팔보의 길이에 따른 측정 값의 변화 정도를 용이하게 측정 및 시험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들이 결합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는 다른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와 모두 같으나, 상기 베이스부(110)가 다른 구성을 이루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에 있어서 베이스부(110)는 일측부와 타측부가 분리된 상태를 이루되, 분리된 부위를 연결하는 보조완충부재(1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부(110)와 케이스부(120) 및 베이스부(110)와 코일링부 사이에 완충부재가 적용되도록 하되 베이스부(110) 자체도 두 개 이상의 부분으로 나누고 상기 나뉘어진 베이스부 사이에 별도의 보조완충부재(111)를 적용하여 진동발생부의 진동이 코일링부로 전달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정확한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일링부의 위치 변경에 따라서 상기 자석부 또한 설치 위치가 외팔보를 따라서 변형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외팔보를 기준으로 상기 자석부가 자력에 의하여 외팔보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외팔보가 철질 재질이 아닌 경우에는 별도의 자석부가 외팔보의 반대편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팔보(130)가 케이스부(120)에 설치되는 부분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외팔보(130)의 길이에 따른 진동 시험을 위하여 주름관 부위를 가변시키며 실험 및 진동에 따라 발생하는 에너지의 측정 값을 파악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100: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 111: 보조완충부재
112: 삽입공 120: 케이스부
122: 결합돌기 127: 모터부
128: 편심발생부 130: 외팔보
133: 눈금부 138: 자석부
140: 압전소자모듈 150: 코일링
164: 수직지지부 166: 받침부
170: 콘트롤러부 180: 오실로스코프

Claims (5)

  1. 내부 공간부가 구비된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작동 시 편심 운동을 발생시키는 편심발생부;
    상기 케이스부에 설치되며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외팔보;
    상기 외팔보의 일단에 설치되는 자석부; 및
    상기 자석부가 인입 및 인출되는 위치로 구비되며 상기 외팔보의 진동에 따른 상기 자석부의 이동 시 전력을 발생시키는 코일링부;
    를 포함하는,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팔보에 설치되는 압전소자모듈이 더 구비되는,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팔보의 진동 시 발생하는 전압을 측정하는 오실로스코프가 더 구비되는,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콘트롤러부가 더 구비되는,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부에 다수 행 및 다수 열로 배치된 삽입공이 구비된 베이스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상기 케이스부와 코일링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
KR1020160011815A 2016-01-29 2016-01-29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 KR101804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815A KR101804177B1 (ko) 2016-01-29 2016-01-29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815A KR101804177B1 (ko) 2016-01-29 2016-01-29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241A true KR20170091241A (ko) 2017-08-09
KR101804177B1 KR101804177B1 (ko) 2017-12-05

Family

ID=59652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815A KR101804177B1 (ko) 2016-01-29 2016-01-29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1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245B1 (ko) * 2018-11-01 2020-03-1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WO2020055367A3 (en) * 2018-09-11 2020-07-23 Telci Emre Energy harvesting from loudspeaker vibra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285B1 (ko) * 2007-06-15 2008-08-2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속 에어스핀들용 진동 진단장치
JP5341652B2 (ja) 2009-07-17 2013-11-13 リコーエレメックス株式会社 振動モータ保持構造
KR101301695B1 (ko) * 2012-07-27 2013-08-30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에너지 수확장치
KR101504867B1 (ko) 2014-03-27 2015-03-2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능동형 에너지 수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5367A3 (en) * 2018-09-11 2020-07-23 Telci Emre Energy harvesting from loudspeaker vibration
KR102088245B1 (ko) * 2018-11-01 2020-03-1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177B1 (ko) 201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wang et al. Design of piezoelectric ocean-wave energy harvester using sway movement
Saha et al. Electromagnetic generator for harvesting energy from human motion
CN102217184B (zh) 用于振动能量最大化检测的能量采集装置
Cho et al.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system with magnetic pendulum movement for self-powered safety sensor of trains
US20110048133A1 (en) Vibration element coupled with non-linear force to improve non-resonant frequency response
Bai et al. Multi-modal vibration energy harvesting utilizing spiral cantilever with magnetic coupling
US20100187835A1 (en) Electromagnetic Energy Scavenger Based on Moving Permanent Magnets
JP4510068B2 (ja) 微小構造体の変位量測定装置および変位量測定方法
Wang et al. Desig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mplitude-limiting rotational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 excited by a radially dragged magnetic force
WO2010151738A2 (en) Piezomagnetoelastic structure for broadband vibration energy harvesting
Galchev et al. A parametric frequency increased power generator for scavenging low frequency ambient vibrations
KR101804177B1 (ko) 진동 에너지 회수 검사장치
JP5904540B2 (ja) エレクトレット型振動検出システム、外部振動情報の生成方法、外部振動に関する伝達関数情報を生成する方法、外部振動情報の生成プログラム、外部振動に関する伝達関数情報を生成するプログラム
Panthongsy et al.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from machine vibrations for wireless sensor system
Park Vibratory electromagnetic induction energy harvester on wheel surface of mobile sources
KR101243645B1 (ko) 미세먼지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검출방법
Boco et al. Optimization of coil parameters for a nonlinear two Degree-of-Freedom (2DOF) velocity-amplified electromagnetic vibrational energy harvester
CN113804284B (zh) 振动式黏弹性传感器的振动位移测量方法
JP6042812B2 (ja) 集電装置構造及び方法
Doria et al. Tuning of vibration energy harvesters by means of liquid masses
Rashidi et al. A dual-purpose piezoelectric multi-beam energy harvesting and frequency measurement device for rotational applications
Chen et al. A magnetic force induced frequency-up-conversion energy harvesting system
KR101429402B1 (ko) 팬듈럼 기반의 에너지 하베스터
Zorlu et al. A mechanical frequency up-conversion mechanism for vibration based energy harvesters
KR101971593B1 (ko) 마찰 대전 발전기의 효율을 측정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