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0862A - 플리퍼, 및 이를 포함하는 카드 프린터 - Google Patents

플리퍼, 및 이를 포함하는 카드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0862A
KR20170090862A KR1020160011778A KR20160011778A KR20170090862A KR 20170090862 A KR20170090862 A KR 20170090862A KR 1020160011778 A KR1020160011778 A KR 1020160011778A KR 20160011778 A KR20160011778 A KR 20160011778A KR 20170090862 A KR20170090862 A KR 20170090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roller
flipper
stacker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7699B1 (ko
Inventor
김태완
길영배
Original Assignee
(주)티아이티 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아이티 이엔지 filed Critical (주)티아이티 이엔지
Priority to KR1020160011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699B1/ko
Publication of KR20170090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4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concerning sheet refeed sections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e.g. intermediate stac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2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specially adapted for small cards, envelopes, or the like, e.g. credit cards, cut visiting 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6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on both faces of the printing material

Landscapes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플리퍼, 및 이를 포함하는 카드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플리퍼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1,2 회전 원판은 서로 간에 동축으로 배치되며, 서로 간격을 둔 상태로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카드를 통과시킨다. 구동 롤러는 양단이 제1,2 회전 원판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1,2 회전 원판 사이에서 제1,2 회전 원판의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아이들 롤러는 양단이 제1,2 회전 원판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구동 롤러와의 사이로 카드를 이송시킨다. 제1,2 가이드 레일은 구동 롤러와 아이들 롤러 사이로 카드가 이송될 때 카드의 양쪽 옆 부위를 각각 끼워서 이송 안내하도록 제1,2 회전 원판에 각각 장착된다. 이송용 구동기구는 구동 롤러를 회전 구동시킨다. 반전용 구동기구는 제1,2 회전 원판을 회전 구동시킨다.

Description

플리퍼, 및 이를 포함하는 카드 프린터{FLIPPER AND CARD PRINT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각종 카드의 표면에 카드 정보를 인쇄하는 카드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카드 프린터는 신분증, 신용카드 등과 같은 각종 카드의 표면에 카드 정보를 인쇄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카드의 양면 인쇄가 가능한 카드 프린터는 플리퍼를 구비한다. 플리퍼는 카드의 한쪽 면이 인쇄되면 카드의 다른 쪽 면이 인쇄될 수 있도록 카드를 180도 뒤집어주는 역할을 하는 반전 장치이다.
카드 프린터용 카드 반전 장치의 일 예로는 미국특허등록 제5,771,058호에 제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 따르면, 회전체는 카드 이송로 상에 배열된 두 쌍의 롤러들을 구비한다. 회전체는 양측으로부터 돌출된 회전 중심축에 의해 지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반전용 모터는 회전체의 회전 중심축을 회전 구동시킨다. 따라서, 회전체가 반전용 모터에 의해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하면, 한쪽의 롤러 쌍과 다른 쪽의 롤러 쌍 간에 위치가 교체됨으로써, 카드가 반전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전술한 예에 따른 카드 반전 장치는 두 쌍의 롤러들을 구비하므로, 그에 따른 제조 단가가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카드 반전 장치는 두 쌍의 롤러들이 서로 간격을 두고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구성되므로, 카드 프린터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비교적 큰 편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인쇄 효율성을 높이고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플리퍼, 및 카드 프린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리퍼는 제1,2 회전 원판과, 구동 롤러와, 아이들 롤러와, 제1,2 가이드 레일과, 이송용 구동기구, 및 반전용 구동기구를 포함한다. 제1,2 회전 원판은 서로 간에 동축으로 배치되며, 서로 간격을 둔 상태로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카드를 통과시킨다. 구동 롤러는 양단이 제1,2 회전 원판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1,2 회전 원판 사이에서 제1,2 회전 원판의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아이들 롤러는 양단이 제1,2 회전 원판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구동 롤러와의 사이로 카드를 이송시킨다. 제1,2 가이드 레일은 구동 롤러와 아이들 롤러 사이로 카드가 이송될 때 카드의 양쪽 옆 부위를 각각 끼워서 이송 안내하도록 제1,2 회전 원판에 각각 장착된다. 이송용 구동기구는 구동 롤러를 회전 구동시킨다. 반전용 구동기구는 제1,2 회전 원판을 회전 구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 프린터는 전술한 플리퍼와, 케이스와, 상측 호퍼 유닛과, 하측 호퍼 유닛과, 상측 이송 유닛과, 하측 이송 유닛과, 인쇄 유닛, 및 스태커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내부 공간의 전방 중앙에 제1,2 회전 원판을 좌우로 위치시킨 상태로 플리퍼를 장착하며, 앞면 중앙에 카드가 메뉴얼로 1장씩 플리퍼로 투입되는 카드 투입구가 형성되며, 앞면 하측에 카드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상측 호퍼 유닛은 케이스의 후방 개구 상측에 배치되어 상측 카드 적재함을 장착하며, 상측 카드 적재함에 적층된 카드들을 케이스 내로 1장씩 공급한다. 하측 호퍼 유닛은 케이스의 후방 개구 하측에 배치되어 하측 카드 적재함을 장착하며, 하측 카드 적재함에 적층된 카드들을 케이스 내로 1장씩 공급한다. 상측 이송 유닛은 상측 호퍼 유닛과 플리퍼 사이에서 카드를 이송시킨다. 하측 이송 유닛은 하측 호퍼 유닛과 플리퍼 사이에서 카드를 이송시킨다. 인쇄 유닛은 상측 이송 유닛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측 이송 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카드에 인쇄한다. 스태커는 배출구에 장착되며, 배출구로 배출되는 카드를 보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 롤러와 아이들 롤러로 구성된 한 쌍의 롤러들만을 이용하여 카드를 반전시키고 다양한 경로로 카드를 이송시키고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인쇄 효율성을 높이고,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플리퍼가 카드 프린터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3가지 종류의 카드가 인쇄될 수 있고, 스태커는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리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제2 회전 원판의 외측을 나타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 제1,2 가이드 레일에 카드가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프린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있어서, 상,하측 호퍼 유닛 쪽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 상측 호퍼 유닛에 상측 카드 적재함이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플리터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6에 있어서, 스태커가 케이스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있어서, 좌,우 커버가 스태커 본체로부터 젖혀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있어서, 좌,우 커버가 스태커 본체로부터 완전히 젖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리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제2 회전 원판의 외측을 나타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 제1,2 가이드 레일에 카드가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플리퍼(100)는 제1 회전 원판(110)과, 제2 회전 원판(120)과, 구동 롤러(130)와, 아이들 롤러(140)와, 제1 가이드 레일(150)과, 제2 가이드 레일(160)과, 이송용 구동기구(170), 및 반전용 구동기구(180)를 포함한다.
제1,2 회전 원판(110, 120)은 서로 간에 동축으로 배치된다. 제1,2 회전 원판(110, 120)은 서로 간격을 둔 상태로 지지대(101)에 의해 지지되어 카드(10)를 통과시킨다. 지지대(101)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양단이 제1,2 회전 원판(110, 120)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대(101)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제1,2 회전 원판(110, 120) 사이를 지지할 수 있다.
구동 롤러(130)는 양단이 제1,2 회전 원판(110, 12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1,2 회전 원판(110, 120) 사이에서 제1,2 회전 원판(110, 120)의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아이들 롤러(140)는 양단이 제1,2 회전 원판(110, 12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구동 롤러(130)와의 사이로 카드(10)를 이송시킨다. 카드(10)가 구동 롤러(130)의 회전력을 받아 이송될 때, 아이들 롤러(140)는 카드(10)의 이송력에 의해 구동 롤러(13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카드(10)의 이송을 안내한다.
구동 롤러(130) 및 아이들 롤러(140)는 제1,2 회전 원판(110, 120)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하겠지만, 플리퍼(100)가 케이스(200)의 카드 투입구(210)로부터 카드(10)를 전달받도록 위치될 때, 구동 롤러(130)와 카드 투입구(210) 간의 거리가 최소화되므로, 카드(10)는 구동 롤러(130)에 의해 케이스(200) 내측으로 최대한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플리퍼(100)가 케이스(200)의 배출구(220)로 카드(10)를 배출하도록 위치될 때, 구동 롤러(130)는 배출구(220)로부터 최대한 멀리 위치되므로, 카드(10)는 구동 롤러(130)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고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플리퍼(100)가 하측 이송 유닛(600)으로부터 카드를 전달받거나 하측 이송 유닛(600)으로 카드(10)를 전달하도록 위치될 때, 구동 롤러(130)와 하측 이송 유닛(600) 간의 거리가 최소화되므로, 카드(10)는 플리퍼(100)가 하측 이송 유닛(600) 간에 원활히 전달될 수 있다.
아이들 롤러(140)는 양단이 제1,2 회전 원판(110, 120)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구동 롤러(130)에 근접 또는 이격될 수 있다. 제1,2 회전 원판(110, 120)은 가이드 브래킷(141)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브래킷(141)들은 아이들 롤러(140)의 양단을 각각 끼워서 아이들 롤러(140)의 양단이 선형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아이들 롤러(140)의 양단에는 아이들 롤러용 스프링(142)이 설치될 수 있다. 아이들 롤러용 스프링(142)들은 아이들 롤러(140)를 구동 롤러(130)에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아이들 롤러(140)의 양단에 탄성력을 가한다. 이에 따라, 카드(10)가 구동 롤러(130)와 아이들 롤러(140) 사이로 투입되면, 아이들 롤러(140)는 카드(10)의 두께에 상관 없이 카드(10)를 구동 롤러(130) 쪽으로 아이들 롤러용 스프링(142)들에 의해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카드(10)는 구동 롤러(130)에 밀착되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아이들 롤러용 스프링(142)은 압축 코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2 가이드 레일(150, 160)은 구동 롤러(130)와 아이들 롤러(140) 사이로 카드(10)가 이송될 때 카드(10)의 양쪽 옆 부위를 각각 끼워서 이송 안내하도록 제1,2 회전 원판(110, 120)에 각각 장착된다. 따라서, 카드(10)는 구동 롤러(130)와 아이들 롤러(140) 사이로 투입될 때 제1,2 가이드 레일(150, 160)을 따라 지지되어 이송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레일(150)은 카드(10)의 한쪽 옆 부위를 끼우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제1 회전 원판(110)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 레일부재들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레일부재들은 한쪽 단부들이 서로 벌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반대쪽 단부들이 서로 벌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카드(10)의 한쪽 옆 부위는 제1 레일부재들 사이로 원활하게 끼워질 수 있다.
제2 가이드 레일(160)은 카드(10)의 다른 쪽 옆 부위를 끼우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레일부재들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레일부재들은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레일부재들은 한쪽 단부들이 서로 벌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반대쪽 단부들이 서로 벌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가이드 레일(160)은 제2 회전 원판(120)의 홈에 일부 삽입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레일(160)은 길이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제2 회전 원판(120)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이드 레일용 스프링(16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레일(160)은 설정 각도를 넘어 기울어지지 않도록 제2 회전 원판(120)의 스토퍼(162)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가이드 레일(160)은 카드(10)의 한쪽 옆 부위를 끼우면, 기울어진 상태로부터 세워지면서 카드(10)를 제1 가이드 레일(150) 쪽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레일(160)은 카드(10)의 투입 여부에 따라 센서도그(166)를 동작시킬 수 있다. 센서도그(166)는 제2 회전 원판(120)의 중심을 관통한 상태에서 제2 회전 원판(120)의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다. 센서도그(166)는 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도그(166)는 제2 회전 원판(120)의 도그 브래킷(167)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센서도그(166)의 한쪽 단은 가이드 레일용 스프링(161)에 의해 제2 가이드 레일(160)에 맞닿은 상태로 유지된다. 가이드 레일용 스프링(161)은 압축 코일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져 도그 브래킷(167)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도그(166)는 제2 가이드 레일(160)로 카드(10)가 투입될 때 제2 가이드 레일(160)에 의해 밀려서 카드투입 확인센서(190)의 센싱 부위로 돌출된다. 즉, 카드(10)가 제2 가이드 레일(160)로 투입되면, 제2 가이드 레일(160)은 기울어진 상태로 세워지면서 센서도그(166)를 밀게 되며, 그에 따라 센서도그(166)는 카드투입 확인센서(190)의 센싱 부위로 돌출된다. 이때, 카드투입 확인센서(190)는 센서도그(166)를 검출하게 되므로, 제2 가이드 레일(160)로 카드(10)가 투입된 상태임을 감지하게 된다.
센서도그(166)는 제2 가이드 레일(160)로부터 카드(10)가 배출될 때 가이드 레일용 스프링(161)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즉, 카드(10)가 제2 가이드 레일(160)로부터 배출되면, 제2 가이드 레일(160)은 기울어진 상태로 복귀하게 되며, 그에 따라 센서도그(166)는 가이드 레일용 스프링(161)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카드투입 확인센서(190)는 센서도그(166)를 검출하지 못하게 되므로, 제2 가이드 레일(160)로부터 카드(10)가 배출된 상태임을 감지하게 된다.
이송용 구동기구(170)는 구동 롤러(130)를 회전 구동시킨다. 예컨대, 이송용 구동기구(170)는 이송용 모터(171)와, 이송용 모터 기어(172)와, 구동 기어(173), 및 아이들 기어(17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용 모터(171)는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이송용 모터 기어(172)는 이송용 모터(171)의 구동축에 동축으로 고정된다.
구동 기어(173)는 제1 회전 원판(110)의 외측에 배치된다. 구동 롤러(130)는 한쪽 단이 제1 회전 원판(110)을 관통하여 구동 기어(173)에 동축으로 고정된다. 아이들 롤러(174)는 한쪽 부위가 이송용 모터 기어(172)에 치합되고 다른 쪽 부위가 구동 기어(173)에 치합된다. 아이들 롤러(174)는 제1 회전 원판(110)에 동축으로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아이들 롤러(174)는 이송용 모터 기어(172)의 회전력을 구동 기어로 전달한다. 따라서, 구동 롤러(130)는 이송용 모터(17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회전 구동할 수 있다.
반전용 구동기구(180)는 제1,2 회전 원판(110, 120)을 회전 구동시킨다. 예컨대, 반전용 구동기구(180)는 반전용 모터(181)와, 반전용 모터 기어(182), 및 링 기어(183)를 포함할 수 있다. 반전용 모터(181)는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반전용 모터 기어(182)는 반전용 모터(181)의 구동축에 동축으로 고정된다.
링 기어(183)는 제1 회전 원판(110)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제1 회전 원판(110)의 외측에 고정된다. 링 기어(183)는 반전용 모터 기어(182)와 치합된다. 따라서, 제1 회전 원판(110)은 반전용 모터(18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제2 회전 원판(120)과 함께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제1,2 회전 원판(110, 120)이 180도 회전하게 되면, 구동 롤러(130)와 아이들 롤러(140) 사이에 끼워진 카드(10)를 180도 반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프린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있어서, 상,하측 호퍼 유닛 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 상측 카드 적재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카드 프린터는 전술한 플리퍼(100)와, 케이스(200)와, 상측 호퍼 유닛(300)과, 하측 호퍼 유닛(400)과, 상측 이송 유닛(500)과, 하측 이송 유닛(600)과, 인쇄 유닛(700), 및 스태커(800)를 포함한다.
케이스(200)는 내부 공간의 전방 중앙에 제1,2 회전 원판(110, 120)을 좌우로 위치시킨 상태로 플리퍼(100)를 장착한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케이스(200) 내에는 플리퍼(100)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센서들이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플리퍼(100)가 상측 이송 유닛(500)과 카드(10)를 주고 받는 위치, 플리퍼(100)가 하측 이송 유닛(600)과 카드(10)를 주고 받는 위치, 플리퍼(100)가 카드(10)를 배출하는 위치, 플리퍼(100)가 상측 이송 유닛(500)으로부터 카드(10)를 받은 후 180도 회전한 위치를 위치 센서들에 의해 감지할 수 있다. 위치 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정보는 카드 프린터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로 제공되며, 제어부에 의해 플리퍼(100)의 회전 위치가 제어될 수 있다.
케이스(200)는 앞면 중앙에 카드(10)가 메뉴얼로 1장씩 플리퍼(100)로 투입되는 카드 투입구(210)가 형성된다. 카드 투입구(210)는 가로로 긴 형태로 이루어진다. 케이스(200)는 앞면 하측에 카드(10)가 배출되는 배출구(220)가 형성된다. 케이스(200)는 배출구(220) 내에 스태커(800)가 장착되는 공간을 갖는다.
상측 호퍼 유닛(300)은 케이스(200)의 후방 개구 상측에 배치되어 상측 카드 적재함(360)을 장착하며, 상측 카드 적재함(360)에 적층된 카드(10)들을 케이스(200) 내로 1장씩 공급한다. 하측 호퍼 유닛(400)은 케이스(200)의 후방 개구 하측에 배치되어 하측 카드 적재함(460)을 장착하며, 하측 카드 적재함(460)에 적층된 카드(10)들을 케이스(200) 내로 1장씩 공급한다.
이와 같이, 케이스(200)의 후방 개구에 상,하측 호퍼 유닛(300, 400)이 배치되므로, 상,하측 호퍼 유닛(300, 400)을 통해 서로 다른 종류의 카드가 인쇄 유닛(700)으로 공급되어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상,하측 호퍼 유닛(300, 400)을 통해 공급되는 카드와 다른 종류의 카드가 카드 투입구(210)를 통해 인쇄 유닛(700)으로 공급되어 인쇄될 수 있다. 따라서, 3가지 종류의 카드가 인쇄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상,하측 호퍼 유닛(300, 400)은 상,하측 카드 적재함(360, 460)을 각각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종류의 카드로 교체할 때, 다른 종류의 카드가 적재된 카드 적재함을 상,하측 카드 적재함(360, 460) 중 어느 하나와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더 많은 양의 카드를 공급하기 위한 큰 사이즈의 카드 적재함이 필요할 경우, 그 크기에 맞는 카드 적재함을 상측 카드 적재함(360)과 교체할 수 있다.
상측 호퍼 유닛(300)은 상측 호퍼(310), 상측 공급 롤러(320), 및 상측 공급 가이드(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호퍼(310)는 상측 카드 적재함(360)을 수용하며 상부와 후부가 트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측 호퍼(310)는 상측 카드 적재함(360)으로부터 상측 이송 유닛(500)으로 카드(10)를 공급하기 위한 상측 공급구를 갖는다. 상측 공급구는 상측 카드 적재함(360)에 적재된 최하층 카드(10)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상측 호퍼(310)는 상측 카드 적재함(360)을 안착시키는 면 상에 상측 카드 적재함(360)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311)가 설치될 수 있다. 상측 호퍼(310)와 상측 카드 적재함(360) 중 어느 한쪽에 탄성 고정편이 형성되고, 다른 쪽에 고정홈이 형성됨으로써, 상측 카드 적재함(360)이 상측 호퍼(310)에 착,탈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측 카드 적재함(360)은 전방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측 카드 적재함(360)의 전방 개구는 셔터(36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셔터(361)는 상측 카드 적재함(360)에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지지된다. 셔터(361)는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 편향된다. 상측 카드 적재함(360)이 상측 호퍼 유닛(30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셔터(361)는 셔터용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상측 카드 적재함(360)의 전방 개구를 닫은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상측 카드 적재함(360) 내의 카드(10)가 배출되지 않게 한다.
셔터(361)는 상측 카드 적재함(360)의 측면으로 연장된 부위에 셔터 돌기(36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측 호퍼(310)는 측벽에 리프링 가이드(312)를 갖는다. 상측 카드 적재함(360)이 상측 호퍼 유닛(300)에 장착될 때, 리프팅 가이드(312)는 셔터 돌기(362)를 밀어 올림에 따라 셔터(361)를 상승시킨다. 이때, 상측 카드 적재함(360)의 전방 개구는 상측 카드 적재함(360)에 적재된 카드(10)들이 배출될 수 있는 크기로 열릴 수 있다. 하측 카드 적재함(460)은 상측 카드 적재함(360)과 크기가 다를 수는 있으나,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측 공급 롤러(320)는 상측 카드 적재함(360)에 적재된 최하층 카드(10)의 앞쪽 하면에 맞닿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측 공급 롤러(320)는 상측 카드 적재함(360)에 적재된 카드(10)들이 최하층으로 위치될 때마다 1장씩 인출해서 상측 공급구로 공급할 수 있다. 상측 공급 롤러(320)는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상측 공급 가이드(330)는 상측 공급 롤러(32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측 공급 가이드(330)는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측 호퍼(310)에 지지된다. 상측 공급 가이드(330)는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 편향된다. 상측 공급 가이드(330)는 하단에 가이드 롤러(331)가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331)는 상측 공급 롤러(320)의 상측에 카드(10)의 두께보다 작은 간격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측 공급 롤러(320)에 의해 인출된 카드(10)는 가이드 롤러(331)와의 사이로 1장씩 통과할 수 있게 된다.
하측 호퍼 유닛(400)은 하측 호퍼(410), 하측 공급 롤러(420), 및 하측 공급 가이드(430)를 포함한다. 하측 호퍼(410), 하측 공급 롤러(420), 및 하측 공급 가이드(430)는 상측 호퍼(310), 상측 공급 롤러(320), 및 상측 공급 가이드(330)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측 이송 유닛(500)은 상측 호퍼 유닛(300)과 플리퍼(100) 사이에서 카드(10)를 이송시킨다. 플리퍼(100)가 상측 이송 유닛(500)과 카드(10)를 주고받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측 이송 유닛(500)의 카드 이송로는 플리퍼(100)의 카드 이송로와 일직선을 이루게 설정될 수 있다.
상측 이송 유닛(500)은 상측 이송대(510)의 상,하측에 이송 방향을 따라 이송롤러(520)들이 배열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송롤러(520)들은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아서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카드(10)는 상,하측 이송롤러(520) 사이에 끼워져 상측 이송 유닛(500)의 카드 이송로를 따라 이송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상측 이송 유닛(500)의 카드 이송로 상에는 IC 카드 리더/라이터 모듈(reader/writer module)이 배치될 수 있다. IC 카드 리더/라이터 모듈은 상측 이송 유닛(500)에 의해 이송되는 IC 카드에 특정 정보를 기록하고 기록된 카드 정보를 읽어서 확인할 수 있다.
하측 이송 유닛(600)은 하측 호퍼 유닛(400)과 플리퍼(100) 사이에서 카드(10)를 이송시킨다. 플리퍼(100)가 하측 이송 유닛(600)과 카드(10)를 주고받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하측 이송 유닛(600)의 카드 이송로는 플리퍼(100)의 카드 이송로와 일직선을 이루게 설정될 수 있다. 하측 이송 유닛(600)의 카드 이송로는 플리퍼(100) 쪽으로 갈수록 경사가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측 이송 유닛(600)은 하측 이송대(610)의 상,하측에 이송 방향을 따라 이송롤러(620)들이 배열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송롤러(620)들은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아서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카드(10)는 상,하측 이송롤러(620) 사이에 끼워져 하측 이송 유닛(600)의 카드 이송로를 따라 이송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하측 이송 유닛(600)의 카드 이송로 상에는 마그네틱 스트립(Magnetic strip) 리더/라이터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틱 스트립 리더/라이터 모듈은 하측 이송 유닛(600)에 의해 이송되는 마그네틱 카드에 특정 정보를 기록하고 기록된 카드 정보를 읽어서 확인할 수 있다.
인쇄 유닛(700)은 상측 이송 유닛(500)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측 이송 유닛(500)에 의해 이송되는 카드(10)에 인쇄한다. 인쇄 유닛(700)은 열전사헤드(710)와 인쇄리본(720)에 의해 카드(10)의 표면에 카드 정보를 인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태커(800)는 배출구(220)에 장착되며, 배출구(220)로 배출되는 카드(10)를 보관한다. 스태커(80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전술한 카드 프린터의 작용 예에 대해,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카드 적재함(360)에 적재된 카드(10)가 상측 호퍼 유닛(300)을 통해 케이스(200) 내로 공급되는 경우, 플리퍼(100)는 구동 롤러(130)가 상측 이송 유닛(500)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됨과 아울러 제2 가이드 레일(160)이 상측 이송 유닛(500)의 카드 이송로와 나란하게 위치된다. 상측 호퍼 유닛(300)을 통해 투입된 카드(10)는 상측 이송 유닛(500)에 의해 인쇄 유닛(700)을 거치도록 플리퍼(100)로 이송된다. 이 과정에서, 카드(10)의 한쪽 면이 인쇄 유닛(700)에 의해 인쇄된다.
한쪽 면이 인쇄된 카드(10)가 플리퍼(100)로 투입 완료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리퍼(100)는 180도 회전한다. 그러면, 카드(10)는 180도 반전된 후, 플리퍼(100)로부터 상측 이송 유닛(500)으로 전달된다. 카드(10)는 상측 이송 유닛(500)에 의해 인쇄 유닛(700)을 거치도록 이송된다. 이 과정에서, 카드(10)의 다른 쪽 면이 인쇄 유닛(700)에 의해 인쇄된다.
양쪽 면이 모두 인쇄된 카드(10)는 상측 이송 유닛(500)에 의해 플리퍼(100)로 이송된 후, 플리퍼(100)로 투입된다. 그러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리퍼(100)는 가동 롤러(130)로부터 멀리 위치된 제2 가이드 레일(160)의 단이 스태커(800)를 향하도록 회전하게 되며, 카드(10)는 플리퍼(100)로부터 스태커(800)로 배출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카드 적재함(460)에 적재된 카드(10)가 하측 호퍼 유닛(400)을 통해 케이스(200) 내로 공급되는 경우, 플리퍼(100)는 구동 롤러(130)가 하측 이송 유닛(600)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됨과 아울러 제2 가이드 레일(160)이 하측 이송 유닛(600)의 카드 이송로와 나란하게 위치된다. 하측 호퍼 유닛(400)을 통해 투입된 카드(10)는 하측 이송 유닛(600)에 의해 플리퍼(100)로 이송된다. 카드(10)가 플리퍼(100)로 투입 완료되면, 플리퍼(100)는 제2 가이드 레일(160)이 상측 이송 유닛(500)의 카드 이송로와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회전한다.
이어서, 카드(10)는 플리퍼(100)로부터 상측 이송 유닛(500)으로 전달된 후, 상측 이송 유닛(500)에 의해 인쇄 유닛(700)을 거치도록 이송된다. 이 과정에서, 카드(10)의 한쪽 면이 인쇄 유닛(700)에 의해 인쇄된다. 한쪽 면이 인쇄된 카드(10)는 플리퍼(100)로 투입된 후, 플리퍼(100)에 의해 180도 반전된다. 반전된 카드(10)는 플리퍼(100)로부터 상측 이송 유닛(500)에 의해 인쇄 유닛(700)을 거치도록 이송된다. 이 과정에서, 카드(10)의 다른 쪽 면이 인쇄 유닛(700)에 의해 인쇄된다. 이렇게 양쪽 면이 모두 인쇄된 카드(10)는 플리퍼(100)로 투입된 후, 플리퍼(100)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함에 따라 스태커(800)로 배출된다.
카드(10)가 카드 투입구(210)를 통해 매뉴얼로 케이스(200) 내로 투입되는 경우, 플리퍼(100)는 구동 롤러(130)가 카드 투입구(210)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됨과 아울러 제2 가이드 레일(160)이 카드 투입구(210)로부터 카드(10)를 받도록 위치된다. 카드 투입구(210)를 통해 투입된 카드(10)는 플리퍼(100)에 의해 상측 이송 유닛(500)으로 전달된다. 이후, 카드(10)의 양쪽 면이 인쇄된 후 스태커(800)로 배출되는 과정은 하측 호퍼 유닛(400)으로 공급된 카드(10)에 대한 인쇄 및 배출 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 롤러(130)와 아이들 롤러(140)로 구성된 한 쌍의 롤러들만을 이용하여 카드(10)를 반전시키고 다양한 경로로 카드(10)를 이송시키고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인쇄 효율성을 높이고,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플리퍼(100)가 카드 프린터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스태커(800)는 케이스(200)의 배출구(220)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스태커(800)는 스태커 본체(810), 및 좌,우 커버(821, 82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태커 본체(810)는 내부 공간을 갖고 전방과 상방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스태커 본체(810)는 케이스(200)의 배출구(220)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다.
스태커 본체(810)는 좌,우 측면에 탄성 고정편(811)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배출구(220)는 좌,우 내벽에 고정 턱(22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스태커 본체(810)가 배출구(220)에 장착 위치까지 삽입되면, 탄성 고정편(811)들은 탄성 변형되어 배출구의 고정 턱(221)들에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스태커 본체(810)는 케이스(200)의 배출구(220)에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태커 본체(810)를 배출구(220) 밖으로 당기게 되면, 탄성 고정편(811)들은 탄성 변형되어 배출구(220)의 고정 턱(221)들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스태커 본체(810)는 케이스(200)의 배출구(2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배출구(220)는 좌,우 내벽에 지지 턱(222)들이 형성될 수 있다. 스태커 본체(810)는 배출구(220)의 지지 턱(222)들에 얹어져 지지될 수 있다.
좌,우 커버(821, 822)는 스태커 본체(810)의 전방에 좌우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좌,우 커버(821, 822)는 스태커 본체(810)의 좌,우 측면까지 감싸도록 연장되고 굽어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좌,우 커버(821, 822)는 각 하단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피벗 동작함에 따라 스태커 본체(810)의 전방 좌우 개구를 개폐한다. 좌,우 커버(821, 822)의 각 하단은 스태커 본체(810)의 하단보다 낮게 배치된 상태로 스태커 본체(810)의 하면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커버용 스프링들은 좌,우 커버(821, 822)가 스태커 본체(810)의 전방 좌우 개구를 닫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좌,우 커버(821, 822)에 탄성력을 가한다. 커버용 스프링은 토션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져 좌,우 커버(821, 822)와 스태커 본체(810)의 힌지 결합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좌,우 커버(821, 822)는 각 하단에 고정 홀(823)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태커 본체(810)의 하면에는 고정 후크(812)들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후크(812)들은 좌,우 커버(821, 822)가 스태커 본체(810)로부터 완전히 젖혀진 상태에서 고정 홀(823)들에 각각 끼워져 좌,우 커버(821, 822)를 고정한다. 사용자가 좌,우 커버(821, 822)를 밀어 올리면, 고정 후크(812)들로부터 고정 홀(823)들이 이탈되며, 좌,우 커버(821, 822)는 커버용 스프링에 의해 스태커 본체(810)의 전방 좌우 개구를 닫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스태커(800)의 작용 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쇄가 완료된 카드(10)가 배출구(220)로 배출되면, 스태커(800)에 쌓이게 된다. 만일, 좌,우 커버(821, 822)가 스태커 본체(810)의 전방 좌우 개구를 닫은 상태에서, 스태커 본체(810)에 쌓여 있는 카드(10)의 양이 많지 않다면, 사용자는 좌,우 커버(821, 822) 사이로 검지와 엄지를 이용하여 카드(10)들을 집어서 꺼낼 수 있다. 이때, 좌,우 커버(821, 822)가 젖혀지면서 스태커 본체(810)로부터 카드(10)들이 배출될 수 있다. 카드(10)들이 스태커 본체(810)로부터 완전히 배출되면, 좌,우 커버(821, 822)는 커버용 스프링에 의해 스태커 본체(810)의 전방 좌우 개구를 닫도록 복귀하게 된다.
만일, 스태커 본체(810)에 쌓여 있는 카드의 양이 많다면, 사용자는 스태커(800)를 케이스(200)의 배출구(220)로부터 분리해서 스태커 본체(810)로부터 카드(10)들을 꺼낸 후, 스태커(800)를 케이스(200)의 배출구(220)로 다시 밀어 넣어 장착할 수 있다. 만일, 많은 양의 카드(10)가 연속해서 스태커 본체(810)로 배출된다면, 사용자는 좌,우 커버(821, 822)를 완전히 젖혀서 고정함으로써, 스태커 본체(810)의 전방 개구를 열어둔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태커(800)는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플리퍼 110..제1 회전 원판
120..제2 회전 원판 130..구동 롤러
140..아이들 롤러 150..제1 가이드 레일
160..제2 가이드 레일 170..이송용 구동기구
180..반전용 구동기구 190..카드투입 확인센서
200..케이스 210..카드 투입구
300..상측 호퍼 유닛 400..하측 호퍼 유닛
500..상측 이송 유닛 600..하측 이송 유닛
700..인쇄 유닛 800..스태커

Claims (9)

  1. 서로 간에 동축으로 배치되며, 서로 간격을 둔 상태로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카드를 통과시키는 제1,2 회전 원판;
    양단이 상기 제1,2 회전 원판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1,2 회전 원판 사이에서 상기 제1,2 회전 원판의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동 롤러;
    양단이 상기 제1,2 회전 원판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구동 롤러와의 사이로 카드를 이송시키는 아이들 롤러;
    상기 구동 롤러와 아이들 롤러 사이로 카드가 이송될 때 카드의 양쪽 옆 부위를 각각 끼워서 이송 안내하도록 상기 제1,2 회전 원판에 각각 장착되는 제1,2 가이드 레일;
    상기 구동 롤러를 회전 구동시키는 이송용 구동기구; 및
    상기 제1,2 회전 원판을 회전 구동시키는 반전용 구동기구;
    를 포함하는 플리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롤러 및 아이들 롤러는 상기 제1,2 회전 원판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리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롤러는 양단이 상기 제1,2 회전 원판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구동 롤러에 근접 또는 이격되며;
    상기 아이들 롤러를 상기 구동 롤러에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아이들 롤러의 양단에 탄성력을 가하는 아이들 롤러용 스프링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리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은 길이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회전 원판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이드 레일용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리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레일로 카드가 투입될 때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에 의해 밀려서 카드투입 확인센서의 센싱 부위로 돌출되며, 상기 제2 가이드 레일로부터 카드가 배출될 때 상기 가이드 레일용 스프링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센서도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리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플리퍼;
    내부 공간의 중앙 전방에 상기 제1,2 회전 원판을 좌우로 위치시킨 상태로 상기 플리퍼를 장착하며, 앞면 중앙에 카드가 메뉴얼로 1장씩 상기 플리퍼로 투입되는 카드 투입구가 형성되며, 앞면 하측에 카드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후방 개구 상측에 배치되어 상측 카드 적재함을 장착하며, 상기 상측 카드 적재함에 적층된 카드들을 상기 케이스 내로 1장씩 공급하는 상측 호퍼 유닛;
    상기 케이스의 후방 개구 하측에 배치되어 하측 카드 적재함을 장착하며, 상기 하측 카드 적재함에 적층된 카드들을 상기 케이스 내로 1장씩 공급하는 하측 호퍼 유닛;
    상기 상측 호퍼 유닛과 플리퍼 사이에서 카드를 이송시키는 상측 이송 유닛;
    상기 하측 호퍼 유닛과 플리퍼 사이에서 카드를 이송시키는 하측 이송 유닛;
    상기 상측 이송 유닛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상측 이송 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카드에 인쇄하는 인쇄 유닛; 및
    상기 배출구에 장착되며,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카드를 보관하는 스태커;
    를 포함하는 카드 프린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 호퍼 유닛은 상기 상,하측 카드 적재함을 각각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프린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커는,
    내부 공간을 갖고 전방과 상방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스태커 본체; 및
    상기 스태커 본체의 전방에 좌우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각 하단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피벗 동작함에 따라 상기 스태커 본체의 전방 좌우 개구를 개폐하며, 상기 스태커 본체의 전방 좌우 개구를 닫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는 좌,우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프린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커버는 각 하단에 고정 홀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스태커 본체의 하면에는 상기 좌,우 커버가 상기 스태커 본체로부터 완전히 젖혀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 홀들에 각각 끼워져 상기 좌,우 커버를 고정하는 고정 후크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프린터.
KR1020160011778A 2016-01-29 2016-01-29 플리퍼, 및 이를 포함하는 카드 프린터 KR101797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778A KR101797699B1 (ko) 2016-01-29 2016-01-29 플리퍼, 및 이를 포함하는 카드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778A KR101797699B1 (ko) 2016-01-29 2016-01-29 플리퍼, 및 이를 포함하는 카드 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862A true KR20170090862A (ko) 2017-08-08
KR101797699B1 KR101797699B1 (ko) 2017-11-15

Family

ID=59653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778A KR101797699B1 (ko) 2016-01-29 2016-01-29 플리퍼, 및 이를 포함하는 카드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69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0355B2 (ja) * 1999-08-31 2002-09-30 ニスカ株式会社 カード類の記録装置
CN203158863U (zh) * 2013-04-18 2013-08-28 航天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卡片翻转传送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699B1 (ko)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6792B2 (ja) カード処理装置
EP2704908B1 (en) Media processing device and associated system
CN107555227B (zh) 介质处理装置
CN105247977B (zh) 盒式吸嘴更换单元及其替换系统
JP2001063893A (ja) カード類の記録装置
JP4813950B2 (ja) 情報書き込み装置及び媒体発行装置
EP1484709B1 (en) Recording medium dispensing machine
WO2010004748A1 (ja) カード処理ユニットおよびカード発行装置
KR101797699B1 (ko) 플리퍼, 및 이를 포함하는 카드 프린터
JP7048222B2 (ja) カード発行装置
WO2018061631A1 (ja) カード処理装置
JP4813945B2 (ja) 媒体発行装置
US11186096B2 (en) Card-issuing device
JP2018002400A (ja) 媒体処理装置
JP2007055707A (ja) 排紙トレイ、排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210144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8108309A (ja) メディア処理装置
JP6069912B2 (ja) 記録装置
JP2003104591A (ja) カード記録装置
JP2018036682A (ja) カード処理装置
JP2019210143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4813948B2 (ja) 使用済み媒体廃棄装置及び媒体発行装置
JP2018002399A (ja) 媒体処理装置
JP6745182B2 (ja) カード処理装置
JP6869654B2 (ja) 媒体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