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0182A - 복수의 플래쉬 장치와 연동하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 및 플래쉬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플래쉬 장치와 연동하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 및 플래쉬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0182A
KR20170090182A KR1020160010724A KR20160010724A KR20170090182A KR 20170090182 A KR20170090182 A KR 20170090182A KR 1020160010724 A KR1020160010724 A KR 1020160010724A KR 20160010724 A KR20160010724 A KR 20160010724A KR 20170090182 A KR20170090182 A KR 20170090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unit
auxiliary
portab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상권
박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렘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렘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렘퍼스
Priority to KR1020160010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0182A/ko
Publication of KR20170090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1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4Combinations of cameras with non-electronic flash apparatus; Non-electronic flash units
    • G03B15/0452Electrical ignition means connected to the shutter
    • G03B15/0457Ignition mechanisms for sequential ignition of flash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H05B37/021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14Separate unit
    • G03B2215/0517Housing
    • G03B2215/0553Housing with second integrated fl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단말기와 연동하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 및 플래쉬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촬영 모드를 결정하고, 촬영 모드에 따라 설정된 조도값에 근거하여 휴대용 플래쉬 장치 및 휴대용 플래쉬 장치와 연동하는 보조 플래쉬 장치의 전체 또는 일부를 구동하는 복수의 플래쉬 장치와 연동하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 및 플래쉬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수의 플래쉬 장치와 연동하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 및 플래쉬 제어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e Flash Interworking Plurality Flash}
본 실시예는 단말기와 연동하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 및 플래쉬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휴대 단말기는 음성 통화 및 텍스트 송수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카메라 및 기본 플래쉬를 구비하여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촬영을 하는 기술은 매우 보편화되어 있다.
하지만,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기본 플래쉬만을 이용하여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 주변 환경 예컨대, 어두운 환경에 의해 저해상도의 촬영 결과물이 생성되게 된다.
일반 카메라의 경우 스튜디오 같은 장소에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대형 플래쉬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러한 대형 플래쉬 장치는 휴대하기 어렵고, 외부에 설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촬영을 수행할 때, 휴대가 간편하고, 상황에 적합한 조명을 제공하는 장치가 필요로 한다.
본 실시예는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촬영 모드를 결정하고, 촬영 모드에 따라 설정된 조도값에 근거하여 휴대용 플래쉬 장치 및 휴대용 플래쉬 장치와 연동하는 보조 플래쉬 장치의 전체 또는 일부를 구동하는 복수의 플래쉬 장치와 연동하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 및 플래쉬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플래쉬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기, 복수의 보조 플래쉬 장치와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부;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을 센싱하고, 센싱된 결과에 대응하는 센싱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센싱 결과정보에 근거하여 촬영 시 상기 플래쉬부의 조도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조도값에 대응하는 조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촬영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가 촬영되도록 하고, 상기 카메라의 촬영과 동일한 시점에 상기 조도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구동신호를 상기 복수의 보조 플래쉬 장치 및 상기 플래쉬부로 전송하여 상기 플래쉬부의 전체 또는 일부가 동작되도록 하는 플래쉬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휴대용 플래쉬 장치가 복수의 보조 플래쉬 장치와 연동하여 플래쉬 조명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기, 복수의 보조 플래쉬 장치와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과정;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을 센싱하고, 센싱된 결과에 대응하는 센싱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동작과정; 상기 센싱 결과정보에 근거하여 촬영 시 플래쉬부의 조도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조도값에 대응하는 조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과정;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촬영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가 촬영되도록 하고, 상기 카메라의 촬영과 동일한 시점에 상기 조도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구동신호를 상기 복수의 보조 플래쉬 장치 및 상기 플래쉬부로 전송하여 상기 플래쉬부의 전체 또는 일부가 동작되도록 하는 플래쉬 구동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플래쉬 장치와 연동하는 플래쉬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촬영시 조명을 제공하기 위해 간편히 플래쉬 장치를 휴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용 플래쉬 장치를 이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고화질의 촬영 결과물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용 플래쉬 장치는 필요시 단말기로 보조 전력을 제공하여 보조 배터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용 플래쉬 장치는 주변에 위치한 복수의 보조 플래쉬 장치와 연동함으로써, 필요시 강한 조명 또는 여러 방향에서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플래쉬 장치를 이용한 촬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플래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플래쉬 장치의 플래쉬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보조 플래쉬 장치와 연동하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의 플래쉬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플래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플래쉬 장치의 사용 및 결과물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플래쉬 장치를 이용한 촬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영 시스템은 단말기(110) 및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를 포함한다.
단말기(110)는 카메라를 구비하며,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와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한다. 단말기(110)는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단말기(110)는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구비하고, 카메라와 연동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설치 및 구동하여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예컨대, SNS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카메라, 포토샵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카메라 등을 포함하는 단말기(110)일 수 있다.
단말기(110)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구비된 기본 플래쉬에 대한 기본 플래쉬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기본 플래쉬 정보는 기본 플래쉬가 평균 또는 최대로 발광 가능한 광량 정보, 발광가능 시간정보 등을 포함한다.
단말기(110)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로부터 촬영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촬영 요청신호에 근거하여 카메라를 구동시킨다. 한편, 단말기(110)는 촬영 요청신호의 수신에 의해서만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기(110)에서 촬영 요청신호를 입력받아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로부터 수신된 촬영 요청신호는 단말기(110)에 구비된 기본 플래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10)는 촬영 요청신호에 포함된 구동 신호에 근거하여 구비된 기본 플래쉬를 ON / OFF 한다.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말한다.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단말기(110)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단말기(110)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시 플래쉬 조명을 제공한다. 또한,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단말기(110)와 포트로 연결되는 경우 단말기(110)로 전력을 공급하는 휴대용 보조 배터리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구비된 센서 예컨대, 거리센서, 조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촬영 모드를 결정하고, 촬영 모드에 따라 조도값을 설정한다.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설정된 조도값에 근거하여 구비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의 전체 또는 일부를 구동하여 플래쉬 조명을 제공한다.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복수의 보조 플래쉬 장치와 연동하여 플래쉬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플래쉬 장치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와 동일한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순히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후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플래쉬 구동을 수행하는 보조 조명장치일 수 있다.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구비된 센서 예컨대, 거리센서, 조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촬영 모드를 결정하고, 촬영 모드에 따라 복수의 보조 플래쉬 장치의 광량 정보를 추가로 고려하여 조도값을 설정한다.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설정된 조도값에 근거하여 구비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의 전체 또는 일부를 구동하여 플래쉬 조명을 제공한다.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의 도 2에서 기재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플래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근거리 통신부(210), 입력부(220), 제어부(230), 센서부(240), 플래쉬 구동부(250), 플래쉬부(260), 배터리부(270) 및 포트 연결부(280)를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부(210)는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단말기(110)와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를 연결한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FI), UWB(Ultra Wideband),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적외선 통신(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등 중 하나의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부(210)는 블루투스 기반의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여 단말기(110) 및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 간을 연결할 수 있다.
단말기(110)와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 간 연결을 수행한 후 근거리 통신부(210)는 단방향 통신 또는 양방향 통신 기반의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각종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방향 통신일 경우, 근거리 통신부(210)는 단말기(110)에 구비된 카메라를 동작시키기 위한 촬영 요청신호를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여기서, 단말기(110)는 촬영 요청신호를 기초로 카메라를 동작시켜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한다.
양방향 통신일 경우, 근거리 통신부(210)는 단말기(110)로부터 기본 플래쉬 정보를 획득하고, 단말기(110)에 구비된 카메라 및 기본 플래쉬를 동작시키기 위한 촬영 요청신호를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여기서, 단말기(110)는 촬영 요청신호를 기초로 기본 플래쉬를 ON / OFF 동작시키고 카메라를 동작시켜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한다.
단방향 통신 또는 양방향 통신의 사용 여부는 근거리 통신부(210)의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프트웨어적인 설정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부(210)는 단말기(110)로부터 단말기(110)에 구비된 기본 플래쉬에 대한 기본 플래쉬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획득한 기본 플래쉬 정보를 제어부(230)로 전송한다. 여기서, 기본 플래쉬 정보는 단말기(110)에 구비된 기본 플래쉬가 평균 또는 최대로 발광 가능한 광량 정보, 발광가능 시간정보 등을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부(210)가 기본 플래쉬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는 단방향 통신에 의한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기(110)에 기본 플래쉬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기본 플래쉬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근거리 통신부(210)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의 주변에 위치한 보조 플래쉬 장치를 검색하기 위해 연동 요청신호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전송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플래쉬 장치로부터 연동 응답신호가 수신된 경우, 근거리 통신부(210)는 연동 응답신호를 제어부(230)로 전송한다. 제어부(230)는 연동 응답신호에 근거하여 복수의 보조 플래쉬 장치와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 간의 연동 처리를 수행한다.
입력부(220)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의 동작에 대한 각종 신호를 입력받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220)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의 외측에 구비된 버튼입력, 음성인식에 의한 음성입력 등에 의한 촬영 요청신호, 모드 선택신호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촬영 요청신호는 카메라 및 플래쉬(기본 플래쉬 또는 휴대용 플래쉬)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의미하고, 모드 선택신호는 셀카 모드, 일반 모드, 거울 모드 등과 같은 촬영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한다.
입력부(220)는 촬영 요청신호 또는 모드 선택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신호를 제어부(230)로 전송하여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 플래쉬 구동 등이 수행되도록 한다.
제어부(230)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30)는 연동 처리부(231), 총 광량 산출부(232), 모드 설정부(234) 및 조도 결정부(236)를 포함한다.
연동 처리부(231)는 근거리 통신부(210)로부터 연동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연동 응답신호에 포함된 보조 플래쉬 장치 각각에 대한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식별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보조 플래쉬 장치와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 간의 연동 처리를 수행한다.
연동 처리부(231)는 복수의 보조 플래쉬 장치와 연동된 후 각각의 보조 플래쉬 장치로부터 보조 플래쉬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보조 플래쉬 정보는 보조 플래쉬 장치 각각에 구비된 보조 플래쉬의 평균 또는 최대로 발광 가능한 광량 정보, 발광가능 시간정보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보조 플래쉬 장치는 각각 서로 다른 성능을 갖는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할 수 있고, 각각의 보조 플래쉬 장치마다 고장 또는 문제가 발생하여 동작할 수 없는 발광다이오드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연동 처리부(231)는 발광다이오드의 성능 또는 동작 가능 상태를 반영한 보조 플래쉬 정보를 획득한다.
총 광량 산출부(232)는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촬영시 사용 가능한 총 광량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총 광량 산출부(232)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에 구비된 플래쉬부(260), 단말기(110)에 구비된 기본 플래쉬 등을 광량을 기반으로 총 광량을 산출한다.
근거리 통신부(210)로부터 기본 플래쉬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총 광량 산출부(232)는 플래쉬부(260)에 대한 휴대용 플래쉬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 가능한 총 광량을 산출한다.
한편, 근거리 통신부(210)로부터 기본 플래쉬 정보가 수신된 경우, 총 광량 산출부(232)는 플래쉬부(260)에 대한 휴대용 플래쉬 정보와 수신된 기본 플래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 가능한 총 광량을 산출한다.
총 광량 산출부(232)는 연동 처리부(231)로부터 보조 플래쉬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보조 플래쉬 정보를 추가로 고려하여 사용 가능한 총 광량을 산출한다. 다시 말해, 총 광량 산출부(232)는 단말기(110)에 대한 기본 플래쉬 정보, 플래쉬부(260)에 대한 휴대용 플래쉬 정보 및 보조 플래쉬 장치에 대한 보조 플래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 가능한 총 광량을 산출한다.
모드 설정부(234)는 센서부(240)로부터 센싱 결과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센싱 결과정보에 근거하여 촬영 모드를 설정한다. 여기서, 센싱 결과정보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에 인접한 사물의 존재 여부에 대한 근접 센싱정보 또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의 주변의 조도에 대한 조도 센싱정보를 포함한다.
모드 설정부(234)는 센싱 결과정보에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에 인접한 사물이 존재하는 근접 센싱정보가 포함된 경우, 촬영 모드를 셀카 모드로 설정한다. 즉, 모드 설정부(234)는 센싱 결과정보에 근거하여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에 인접한 사물이 기 설정된 거리 미만인 경우, 촬영 모드를 셀카 모드로 설정한다.
모드 설정부(234)는 센싱 결과정보에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에 인접한 사물이 없거나, 기 설정된 거리 이상에 위치한 사물에 대한 근접 센싱정보가 포함된 경우, 촬영 모드를 일반 모드로 설정한다.
모드 설정부(234)는 센싱 결과정보에 포함된 조도 센싱정보에 근거하여 촬영 모드를 '밝은 촬영 모드', '중간 촬영 모드', '어두운 촬영 모드'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모드 설정부(234)는 촬영 모드가 근접 센싱정보에 근거하여 셀카 모드 또는 일반 모드로 기 설정된 경우, 조도 센싱정보를 추가로 적용하여 '밝은 셀카 모드', '밝은 일반 모드', '중간 셀카 모드', '중간 일반 모드', '어두운 셀카 모드' 및 '어두운 일반 모드'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모드 설정부(234)에서 촬영 모드는 3 가지 모드로 설정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도레벨1' 내지 '조도레벨 10' 중 하나에 대한 촬영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모드 설정부(236)는 입력부(220)로부터 거울 모드 요청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거울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거울 모드는 사용자가 거울에 반사하여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조도 결정부(236)는 모드 설정부(234)에서 설정된 촬영 모드에 근거하여 조도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조도값에 대한 조도 제어신호를 플래쉬 구동부(250)로 전송한다. 조도 결정부(236)는 조도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조도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단말기(110)에 구비된 기본 플래쉬 또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에 구비된 플래쉬부(260)가 구동되도록 한다.
조도 결정부(236)는 산출된 총 광량 및 촬영 모드에 근거하여 조도값을 설정한다. 여기서, 조도값은 기 설정된 조도 레벨 예컨대, 조도 레벨 1 내지 조도 레벨 1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조도 결정부(236)는 설정된 조도 값에 근거하여 기본 플래쉬의 ON / OFF 여부 및 플래쉬부(260)의 동작 개수를 포함하는 조도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밝은 셀카 모드'인 경우, 조도 결정부(236)는 총 광량에 근거하여 기본 플래쉬 ON 및 플래쉬부(260) 8 개(최대) 동작하기 위한 조도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어두운 셀카 모드'인 경우, 조도 결정부(236)는 총 광량에 근거하여 기본 플래쉬 OFF 및 플래쉬부(260) 4 개 동작하기 위한 조도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조도 결정부(236)는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조도값에 근거하여 기본 플래쉬의 ON / OFF 여부 및 플래쉬부(260)의 동작 개수를 포함하는 조도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한편, 조도 결정부(236)는 보조 플래쉬 장치와 연동하는 경우, 보조 플래쉬 장치의 광량을 포함하여 산출된 총 광량 및 촬영 모드에 근거하여 조도값을 설정한다. 여기서, 조도 결정부(236)는 설정된 조도 값에 근거하여 기본 플래쉬의 ON / OFF 여부, 보조 플래쉬 장치의 플래쉬 동작 개수 및 플래쉬부(260)의 동작 개수를 포함하는 조도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조도 제어신호에 포함된 보조 플래쉬 장치의 플래쉬 동작 개수는 보조 플래쉬 장치의 플래쉬 ON / OFF 여부로 대체될 수도 있다.
보조 플래쉬 장치와 연동하는 경우, 조도 결정부(236)는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플래쉬의 ON / OFF 여부, 보조 플래쉬 장치의 플래쉬 동작 개수 및 플래쉬부(260)의 동작 개수를 포함하는 조도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센서부(240)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며,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의 주변 환경정보를 센싱한다. 센서부(240)는 주변 환경정보를 센싱하여 센싱 결과정보를 생성한다. 센서부(240)는 거리 센서(242) 및 조도 센서(244)를 포함한다.
거리 센서(242)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의 주변에 위치한 사물을 센싱하고,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와 인접한 사물이 존재하는 경우 근접 센싱정보를 생성한다. 조도 센서(244)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의 주변의 조도를 센싱하고, 센싱된 조도에 대응하는 조도 센싱정보를 생성한다.
센서부(240)는 거리 센서(242) 또는 조도 센서(244)에서 생성된 근접 센싱정보 및 조도 센싱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싱 결과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230)로 전송한다. 여기서, 센서부(240)는 거리 센서(242) 및 조도 센서(244)를 모두 이용하여 생성된 센싱 결과정보를 제어부(230)로 전송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거리 센서(242) 및 조도 센서(244) 중 하나의 센서만을 이용하여 센싱 결과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플래쉬 구동부(250)는 제어부(230)로부터 조도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조도 제어신호를 기초로 단말기(110)의 기본 플래쉬, 플래쉬부(260)의 전체 또는 일부를 구동시킨다.
플래쉬 구동부(250)는 조도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근거리 통신부(210)를 경유하여 생성된 구동 신호를 단말기(110)로 전송하여 기본 플래쉬의 ON / OFF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단말기(110)로 전송되는 구동 신호는 촬영 요청신호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또한, 플래쉬 구동부(250)는 조도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생성된 구동 신호를 플래쉬부(260)로 전송하여 플래쉬부(260)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의 전체 또는 일부가 구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구동 신호는 조도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조도값으로 발광하기 위한 발광다이오드의 위치(식별)정보를 포함한다.
플래쉬부(260)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는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LS(Plasma Lighting System) 등일 수도 있다.
직육면체 형태의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인 경우, 플래쉬부(260)는 전면부(일측면)에 일부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상하좌우 측면부에 일부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는 형태로 구현된다.
플래쉬부(260)는 플래쉬 구동부(250)로부터 구동 신호를 입력받고, 구동 신호에 근거하여 전면부(일측면) 및 상하좌우 측면부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의 전체 또는 일부를 발광시킨다.
배터리부(270)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의 내측에 구비되며, 플래쉬부(260)와 연결되어 전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배터리부(270)는 플래쉬부(260)에 포함된 발광다이오드를 구동하기 위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나, 포트 연결부(280)에 의해 외부 장치(미도시)가 연결된 경우, 외부 장치로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포트 연결부(280)에 충전포트가 연결된 경우, 배터리부(270)는 충전포트를 이용하여 공급된 충전전력으로 충전을 수행한다.
도 3a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플래쉬 장치의 플래쉬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기(110)와 연결을 수행한다(S310).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FI), UWB(Ultra Wideband),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적외선 통신(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등 중 하나의 방식일 수 있다.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단말기(110)로부터 기본 플래쉬 정보의 획득 여부를 판단한다(S320).
단말기(110)로부터 기본 플래쉬 정보를 수신한 경우,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플래쉬부(260)에 대한 휴대용 플래쉬 정보와 수신된 기본 플래쉬 정보를 결합하고(S330), 사용 가능한 총 광량을 산출한다(S340).
한편, 단말기(110)로부터 기본 플래쉬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플래쉬부(260)에 대한 휴대용 플래쉬 정보를 추출하고(S332), 사용 가능한 총 광량을 산출한다(S340).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주변 환경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정보를 생성한다(S350). 여기서,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거리 센서(242) 또는 조도 센서(244)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을 센싱하며, 근접 센싱정보 및 조도 센싱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싱 결과정보를 생성한다.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센싱 결과정보에 근거하여 조도값을 설정한다(S360).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센싱 결과정보에 근거하여 촬영 모드를 설정하고, 총 광량 및 촬영 모드에 근거하여 조도값을 설정한다.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설정된 조도값에 대응하는 조도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370). 다시 말해,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설정된 조도 값에 근거하여 기본 플래쉬의 ON / OFF 여부 및 플래쉬부(260)의 동작 개수를 포함하는 조도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촬영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조도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110)의 카메라, 기본 플래쉬 및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의 휴대용 플래쉬를 구동하여 촬영을 수행한다(S380).
도 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보조 플래쉬 장치와 연동하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의 플래쉬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기(110)와 연결을 수행한다(S310).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주변에 위치한 보조 플래쉬 장치를 검색한다(S320).
주변에 위치한 보조 플래쉬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S330),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복수의 보조 플래쉬 장치와 연동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연동 처리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와 보조 플래쉬 장치 간 식별정보를 송수신하여 각종 신호가 송수신 될 수 있도록 하는 처리를 의미한다.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단말기(110),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 및 보조 플래쉬 장치의 광량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 가능한 총 광량을 산출한다(S350).
한편, 단계 S330에서 주변에 위치한 보조 플래쉬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도 3a의 단계 S320 내지 S340을 수행하여 총 광량을 산출한다.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주변 환경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정보를 생성한다(S360). 여기서,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거리 센서(242) 또는 조도 센서(244)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을 센싱하며, 근접 센싱정보 및 조도 센싱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싱 결과정보를 생성한다.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센싱 결과정보에 근거하여 보조 플래쉬 장치의 동작 설정 및 조도값을 설정한다(S370).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센싱 결과정보에 근거하여 촬영 모드를 설정하고, 총 광량 및 촬영 모드에 근거하여 조도값을 설정하고, 조도값에 대응하는 보조 플래쉬 장치의 동작 여부를 결정한다.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설정된 조도값에 대응하는 조도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380). 다시 말해,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설정된 조도 값에 근거하여 기본 플래쉬의 ON / OFF 여부, 보조 플래쉬 장치의 동작 여부 및 플래쉬부(260)의 동작 개수를 포함하는 조도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촬영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조도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110)의 카메라, 기본 플래쉬, 보조 플래쉬 장치의 플래쉬 및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의 휴대용 플래쉬를 구동하여 촬영을 수행한다(S390).
도 4a 내지 도 4e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플래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a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b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의 좌우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4c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의 상하 측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4d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도 4e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에 장착 가능한 거치대(130) 연결 구조를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의 전면부에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410) 예컨대, 8 개의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되고, 거리센서(480) 및 조도 센서(490)은 전면부의 중앙에 구비된다.
또한,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의 좌우 측면부에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420) 예컨대, 각각의 좌우 측면부에 3 개의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되고, 좌우 중 하나의 측면부에는 촬영 요청버튼(440) 및 모드 설정버튼(450)을 구비한다. 여기서, 촬영 요청버튼(440)은 플래쉬를 동작시키면서, 단말기(110)에 구비된 카메라를 구동하도록 하는 버튼이고, 모드 설정버튼(450)은 셀카 모드, 일반 모드, 거울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버튼이다. 여기서,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모드 설정버튼(450)의 입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의 상하 중 하나의 측면부에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430) 예컨대, 각각의 좌우 측면부에 3 개의 발광다이오드와 전원 버튼(460) 및 연결 포트(470)가 구비된다. 여기서, 전원 버튼(460)은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의 전원을 ON / OFF하기 위한 버튼이고, 연결 포트(470)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에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단말기(110)로 보조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유선포트를 체결하는 포트이다.
상하 중 나머지 하나의 측면부에는 거치대(130)의 거치대 연결부(122)를 구비한다. 여기서, 거치대 연결부(122)는 상하 중 나머지 하나의 측면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치대 연결부(122)는 상하 중 나머지 하나의 측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우 중 하나의 측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입력포트 및 회로기판(494) 상에 복수의 발광다이오드(410) 및 각종 센서(480, 490)를 구비한다.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는 입력포트, 회로기판(494), 배터리(496) 등을 본체 내에 구비하고, 본체와 투명 보호덮개(492)를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 연결부(122)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의 일 측면부를 타공하여 홀을 형성한 요홈부의 형태로 구현된다. 거치대 연결부(122)는 나선형의 나사 구조를 갖으며, 이를 이용하여 거치대(130)와 결합 가능하다.
거치대(130)의 삽입부(133) 및 캡(134)을 포함하는 헤더(132)는 거치대 연결부(122)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갖으며, 거치대(130)의 지지부(136)는 접이식 형태일 수 있으나, 유연한 재질로 구현되어 플랙서블(Flexible)한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플래쉬 장치의 사용 및 결과물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a는 사용자가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를 사용하는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한 손에는 단말기(110)를 잡고, 다른 한 손에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를 잡은 상태로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양손에 각각 단말기(110) 및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를 휴대한 상태에서 복수의 보조 플래쉬 장치(510, 520, 530)를 주변에 위치시켜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의 촬영 요청버튼(440)을 누르면,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 복수의 보조 플래쉬 장치(510, 520, 530) 또는 단말기(110)에 구비된 플래쉬를 터트리면서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5b는 종래의 촬영 결과물 및 본 실시예에 따른 촬영 결과물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b의 (a)는 어두운 환경에서 사진을 촬영할 경우, 사용자가 어둡게 찍힌 촬영 결과물을 나타내고, 도 5b의 (b)는 주변 조명 또는 별도의 플래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너무 밝게 찍힌 촬영 결과물을 나타낸다. 한편, 도 5b의 (c)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플래쉬 장치(120)를 이용하여 최적의 조도 상태로 사용자가 찍힌 촬영 결과물을 나타낸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단말기 120: 휴대용 플래쉬 장치
130: 거치대
210: 근거리 통신부 220: 입력부
230: 제어부 240: 센서부
250: 플래쉬 구동부 260: 플래쉬부
270: 배터리부 280: 포트 연결부

Claims (18)

  1.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플래쉬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기, 복수의 보조 플래쉬 장치와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부;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을 센싱하고, 센싱된 결과에 대응하는 센싱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센싱 결과정보에 근거하여 촬영 시 상기 플래쉬부의 조도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조도값에 대응하는 조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촬영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가 촬영되도록 하고, 상기 카메라의 촬영과 동일한 시점에 상기 조도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구동신호를 상기 복수의 보조 플래쉬 장치 및 상기 플래쉬부로 전송하여 상기 플래쉬부의 전체 또는 일부가 동작되도록 하는 플래쉬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연동 요청신호를 브로트캐스트(Broadcast)하고, 상기 복수의 보조 플래쉬 장치로부터 연동 응답신호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연동 응답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휴대용 플래쉬 장치 및 보조 플래쉬 장치가 연동 처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플래쉬 장치 및 보조 플래쉬 장치가 연동 처리된 경우, 상기 보조 플래쉬 장치로부터 보조 플래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보조 플래쉬 정보와 상기 플래쉬부의 휴대용 플래쉬 정보를 결합한 크기로 총 광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결과정보 및 상기 총 광량에 근거하여 상기 조도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값에 근거하여 상기 조도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조도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보조 플래쉬 장치에 구비된 보조 플래쉬 및 상기 플래쉬부의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쉬 구동부는,
    상기 조도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보조 플래쉬를 ON 또는 OFF하는 동작 제어 및 상기 플래쉬부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의 구동 개수를 포함하는 상기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쉬 구동부는,
    상기 조도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보조 플래쉬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의 구동 개수 및 상기 플래쉬부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의 구동 개수를 포함하는 상기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플래쉬 장치로부터 상기 보조 플래쉬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플래쉬부의 휴대용 플래쉬 정보를 이용하여 총 광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플래쉬 장치 및 상기 보조 플래쉬 장치는,
    소정의 일 측면부에 거치대 연결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 연결부에 거치대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연결부는,
    상기 일 측면부를 타공하여 홀을 형성한 요홈부의 형태로 구현되고, 나선형의 나사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
  11. 휴대용 플래쉬 장치가 복수의 보조 플래쉬 장치와 연동하여 플래쉬 조명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기, 복수의 보조 플래쉬 장치와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과정;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을 센싱하고, 센싱된 결과에 대응하는 센싱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동작과정;
    상기 센싱 결과정보에 근거하여 촬영 시 플래쉬부의 조도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조도값에 대응하는 조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과정;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촬영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가 촬영되도록 하고, 상기 카메라의 촬영과 동일한 시점에 상기 조도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구동신호를 상기 복수의 보조 플래쉬 장치 및 상기 플래쉬부로 전송하여 상기 플래쉬부의 전체 또는 일부가 동작되도록 하는 플래쉬 구동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플래쉬 장치와 연동하는 플래쉬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과정은,
    연동 요청신호를 브로트캐스트하고, 상기 복수의 보조 플래쉬 장치로부터 연동 응답신호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연동 응답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휴대용 플래쉬 장치 및 보조 플래쉬 장치가 연동 처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플래쉬 장치와 연동하는 플래쉬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과정은,
    상기 휴대용 플래쉬 장치 및 보조 플래쉬 장치가 연동 처리된 경우, 상기 보조 플래쉬 장치로부터 보조 플래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보조 플래쉬 정보와 상기 플래쉬부의 휴대용 플래쉬 정보를 결합한 크기로 총 광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플래쉬 장치와 연동하는 플래쉬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과정은,
    상기 센싱 결과정보 및 상기 총 광량에 근거하여 상기 조도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플래쉬 장치와 연동하는 플래쉬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과정은,
    상기 조도값에 근거하여 상기 조도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조도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보조 플래쉬 장치에 구비된 보조 플래쉬 및 상기 플래쉬부의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플래쉬 장치와 연동하는 플래쉬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쉬 구동과정은,
    상기 조도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보조 플래쉬를 ON 또는 OFF하는 동작 제어 및 상기 플래쉬부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의 구동 개수를 포함하는 상기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플래쉬 장치와 연동하는 플래쉬 제어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쉬 구동과정은,
    상기 조도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보조 플래쉬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의 구동 개수 및 상기 플래쉬부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의 구동 개수를 포함하는 상기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플래쉬 장치와 연동하는 플래쉬 제어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과정은,
    상기 보조 플래쉬 장치로부터 상기 보조 플래쉬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플래쉬부의 휴대용 플래쉬 정보를 이용하여 총 광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플래쉬 장치와 연동하는 플래쉬 제어 방법.
KR1020160010724A 2016-01-28 2016-01-28 복수의 플래쉬 장치와 연동하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 및 플래쉬 제어 방법 KR201700901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724A KR20170090182A (ko) 2016-01-28 2016-01-28 복수의 플래쉬 장치와 연동하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 및 플래쉬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724A KR20170090182A (ko) 2016-01-28 2016-01-28 복수의 플래쉬 장치와 연동하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 및 플래쉬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182A true KR20170090182A (ko) 2017-08-07

Family

ID=59654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724A KR20170090182A (ko) 2016-01-28 2016-01-28 복수의 플래쉬 장치와 연동하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 및 플래쉬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01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523B1 (ko) * 2019-10-04 2020-05-28 다보오에스티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기와 조명장치가 연동된 운행상태정보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523B1 (ko) * 2019-10-04 2020-05-28 다보오에스티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기와 조명장치가 연동된 운행상태정보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5209B1 (ko) 플래시 장치,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CN103019014B (zh) 投影装置以及投影控制方法
US8872442B2 (en) Illumination system
US11098889B2 (en) Light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lighting system
US9357119B2 (en) Imaging apparatus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JP2003259182A (ja) 携帯情報端末機
JP6643650B2 (ja) ライト調整システムおよびライト
US20140240950A1 (en) Flash device and image capture device provided with flash device
US10536627B2 (en) Display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document camera, and method of controlling document camera
JP2010153137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7138743B2 (ja) 画像収集モジュール、電子機器、画像収集方法および記憶媒体
CN105042304A (zh) 具有照明功能的自拍杆
US20150091792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928269A1 (en)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6668855A (zh) 补光控制方法、补光灯配件及电子设备
US20150092104A1 (en) Strobe device and photography device provided with same
KR20170090182A (ko) 복수의 플래쉬 장치와 연동하는 휴대용 플래쉬 장치 및 플래쉬 제어 방법
US9625788B2 (en) Flash illumination device for use with electronic apparatus or mobile device
KR101606726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JP7029657B2 (ja) 撮影装置、及び、屋外照明装置
JP2006179984A (ja) 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方法
EP3096185A1 (en) Flash illumination device for use with electronic apparatus or mobile device
CN214504524U (zh) 一种可控光照环境的自助照相房
JP2014197162A (ja) 撮像装置
JP2014022961A (ja) 表示装置、携帯端末、プログラム及び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