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9627A - cleaner - Google Patents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9627A
KR20170089627A KR1020160010064A KR20160010064A KR20170089627A KR 20170089627 A KR20170089627 A KR 20170089627A KR 1020160010064 A KR1020160010064 A KR 1020160010064A KR 20160010064 A KR20160010064 A KR 20160010064A KR 20170089627 A KR20170089627 A KR 20170089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fan motor
unit
main body
gu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0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54763B1 (en
Inventor
조석희
김성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0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763B1/en
Publication of KR20170089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6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7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72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leaner comprises: an input unit to input a first mode or a second mode; a fan motor;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fan motor to generate a suction force by rotating the fan motor in a first direction when the first mode is set, and controlling the fan motor to generate an ejection force by rotating the fan motor in a second direction when the second mode is set. Therefore, with one fan motor, the suction force and the ejection force can be generated.

Description

청소기{cleaner}Cleaner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팬 모터를 이용하여 흡입력과 분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capable of generating a suction force and a minute output using a single fan motor.

일반적으로 청소기 중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의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공기와 먼지 등의 이물질을 함께 흡입한 다음, 이 중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먼지통에 저장하는 장치이다. BACKGROUND ART [0002] Generally, a vacuum cleaner in a vacuum cleaner sucks foreign substances such as air and dust together by using a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a suction motor mounted inside a main body, and then filters foreign substances in the vacuum cleaner.

특히, 흡입 노줄을 통해, 청소기 본체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하여 피청소면의 먼지 및 이물질 등을 흡입하고, 연결관을 통해, 청소기 본체로 이물질이 이송된 후, 필터링되어, 이물질이 먼지통에 저장된다.Particularly, dust and foreign matter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are sucked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in the cleaner main body through the suction line, and after the foreign matter is transferred to the cleaner main body through the connection pipe, the foreign matter is stored in the dust container.

한편, 사용자의 이용 편의를 위해, 청소기에 핸즈 프리(hands free) 기능이 장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전원 코드가 없는 경우에도 동작 가능하도록, 청소기에 배터리가 장착되는 추세이다.On the other hand, for convenience of use, a vacuum cleaner is equipped with a hands-free function. For this purpose, a battery is mounted on a vacuum cleaner so that the vacuum cleaner can operate even when there is no power cord.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팬 모터를 이용하여 흡입력과 분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capable of generating a suction force and a minute output by using one fan mot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팬 모터와, 제1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팬 모터를 제1 방향 회전시켜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며, 제2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팬 모터를 제2 방향 회전시켜, 분출력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including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first mode or a second mode, a fan motor for rotating the fan motor in a first direction And controls the fan motor to rotate in the second direction so as to generate minute outputs when the fan motor is set to the second mode.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팬 모터와, 제1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팬 모터를 제1 방향 회전시켜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며, 제2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팬 모터를 제2 방향 회전 및 제1 방향 회전이 반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first mode or a second mode; a fan motor; And controls the fan motor to repeat rotation in the second direction and rotation in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second mode is se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청소기는,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팬 모터와, 제1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팬 모터를 제1 방향 회전시켜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며, 제2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팬 모터를 제2 방향 회전시켜, 분출력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하나의 팬 모터를 이용하여 흡입력과 분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first mode or a second mode, and a fan motor. When the fan motor is set to the first mode, And when the fan motor is set to the second mode, the fan motor is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to control the minute fan motor to generate minute fan motors, so that the suction power and the minute fan power can be generated using one fan motor.

한편,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해, 제3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팬 모터를 제2 방향 회전 및 제1 방향 회전이 반복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원활히 흡입되지 않는 이물질이 분출력에 의해 비상하였다가 바로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청소기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an motor is set to the third mode through the input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an motor to repeat the second direction rotation and the first direction rotation so that the foreign matter, which is not sucked smoothly, The performance of the vacuum cleaner can be improved.

특히, 제3 모드 동작시, 본체와 연결부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는 경우, 팬 모터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분출력이 발생하도록 하고, 본체와 연결부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는 경우, 팬 모터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켜,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청소기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Particularly,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nnecting portion increases in the third mode operation, the fan motor is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to generate minute outpu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nnecting portion is reduced, And the suction force is generated by rotating the vacuum cleaner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performance of the vacuum cleaner can be improv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청소기는,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팬 모터와, 제1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팬 모터를 제1 방향 회전시켜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며, 제2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팬 모터를 제2 방향 회전 및 제1 방향 회전이 반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하나의 팬 모터를 이용하여 흡입력과 분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first mode or a second mode; a fan motor; and, when the mode is set to the first mode, And when the fan motor is set to the second mod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an motor to repeat the second direction rotation and the first direction rotation so that the suction force and the minute output can be generated using one fan motor .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한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손잡이 부근에 배치되는 초음파 센서와 본체에 배치되는 초음파 센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본체와 연결부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청소기 내부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청소기의 팬 구동부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6a 내지 도 9b는 도 1의 청소기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n ultrasonic sensor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handle of FIG. 1 and an ultrasonic sensor disposed in the body.
Figure 3 illustrates the calcul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body of Figure 1 and the connection.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inside of the cleaner shown in FIG.
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fan driving unit of the cleaner of FIG.
6A to 9B are views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of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Accordingly, the terms "module" and "par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한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과 관련한 청소기(100)는, 본체(130), 본체(130)를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들(176,177), 먼지통(140), 흡입구(110), 및 연결부(120)를 구비한다. 또한, 연결부(120) 상에 형성되는 손잡이(115), 및 손잡이(115) 부근에 형성되는 입력부(117)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30, wheels 176 and 177 for moving the main body 130, a dust box 140, a suction port 110, . Further, it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115 formed on the connection portion 120, and an input portion 117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handle 115.

본체(130)는, 팬(도 4의 142)과, 팬을 구동하는 팬 구동부(도 4의 143)를 구비하며, 팬(도 5의 141)의 회전에 의해,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The main body 130 includes a fan 142 (see FIG. 4) and a fan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fan (143 of FIG. 4), and generates a suction force by rotation of the fan 141 (FIG.

특히, 팬 구동부 내의 팬 모터(도 5의 141)가 정회전하는 경우,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발생되는 흡입력은, 본체(130)에 연결된 연결부(120)로 전달되며, 최종적으로, 연결부(120)에 접속되는 흡입구(110)에 전달된다.Particularly, when the fan motor (141 in Fig. 5) in the fan driving section performs forward rotation, it generates a suction force. The generated suction force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unit 120 connected to the main body 130 and finally to the suction port 11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120.

따라서, 진공 청소기(100)는, 흡입구(110) 주변의 이물질 등을 흡입할 수 있으며, 연결부(120)를 거쳐, 본체(130)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먼지통(140)에 저장된다.Accordingly, the vacuum cleaner 100 can absorb foreign substances around the suction port 110 and is stored in the dust container 140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130 via the connection part 120.

이때, 먼지통(140)과 연결부(120) 사이에, 흡입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먼지통(140)은, 필터링된 이물질을 저장할 수 있다.In this case, a filter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dust container 140 and the connection part 120 to filter the foreign substances to be sucked. The dust container 140 may store the filtered foreign matters.

한편, 연결부(120)는, 본체(130)에 접속되며, 휘어질 수 있는 연결관(124)과,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며 연결관(124)과 흡입구(110) 사이에 접속되는 연장관(122)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nnection unit 120 includes a connection pipe 124 connected to the main body 130 and capable of bending and an extension pipe 122 connected between the connection pipe 124 and the inlet 110, ).

한편, 연장관(1220) 상부에, 손잡이(115), 및 입력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knob 115 and an input unit 117 may be formed on the extension pipe 1220.

한편, 본 발명에서는, 팬 모터(도 5의 141)가 제1 방향 회전하는 제1 모드,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모드로 구동가능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n motor (141 in FIG. 5) is driven in a first mode in which the fan motor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mode in which the fan motor rotates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제1 모드에 의하면, 흡입력이 발생하여, 흡입구(110)를 통해 이물질이 흡입된다. 제2 모드는 블로워(blower) 모드로서, 제2 모드에 의하면, 분출력이 발생하여, 흡입구(110)의 외부 방향으로 바람이 불게 된다. 즉, 주변 이물질이 본체의 반대 방향으로 날아가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first mode, a suction force is generated, and the foreign matter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10. The second mode is a blower mode. In the second mode, a minute output is generated, and the air is blown outwardly of the inlet 110. That is,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surrounding foreign matter to fly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main body.

특히,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팬 모터(도 5의 141)를 이용하여, 흡입력 또는 분출력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두 개의 모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등의 제조 비용, 공간 배치의 장점이 있게 된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single fan motor (141 in FIG. 5) to generate a suction force or a minute output, there is an advantage of manufacturing cost and space disposition such as not using two motors.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 외에, 팬 모터(도 5의 141)의 제2 방향 회전 및 제1 방향 회전이 교호하게 반복되는 제3 모드도 가능한 것으로 기술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cribed that in addition to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a third mode in which the fan motor (141 in Fig. 5) is alternately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in the first direction is also possible.

제3 모드에 의하면, 제2 방향 회전 및 제1 방향 회전이 가능하므로, 카페트 등에 부착된 이물질이 블로워(blower) 기능에 의해, 본체(130) 반대 방향으로 비산하였다가,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다시,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된다. 이에 따라, 강력하게 부착된 이물질도, 제3 모드에 의해, 용이하게 본체(130) 내로 흡입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third mode, since the second direction rotation and the first direction rotation are possible,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carpet or the like is scatter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main body 130 by the blower function, And then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10 again. As a result, the strongly adhered foreign matter can be easily sucked into the main body 130 by the third mode.

한편, 제1 모드 내지 제3 모드는, 입력부(117) 내의 조작에 의해 선택 가능하다. 이를 위해, 입력부(117) 내의 제1 모드 버튼과 제2 모드 버튼, 제3 모드 버튼이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mode to the third mode can be selected by an operation in the input unit 117. [ For this purpose, the first mode button, the second mode button, and the third mode button in the input unit 117 may be separately provided.

한편, 본 발명에서의 청소기(100)는, 코드선(105)과 전원 코드(107)를 통해,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구동이 가능하며, 또한, 배터리(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교류 전원 미 입력시, 배터리 전원으로도 동작이 가능한 청소기일 수 있다.Meanwhile, the vacuum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riven by receiving an AC power through a code line 105 and a power cord 107, and further includes a battery (not shown) It may be a vacuum cleaner that can operate with battery power when no power is supplied.

청소기(100)가 교류 전원으로 동작하는 경우, 교류 전원 동작 모드라 명명할 수 있으며, 청소기(100)가 직류 전원으로 동작하는 경우, 직류 전원 동작 모드로 명명할 수 있다.When the vacuum cleaner 100 operates with an AC power source, it may be called an AC power source operation mode. When the vacuum cleaner 100 operates with a DC power source, it may be called a DC power source operation mode.

한편, 직류 전원 동작 모드시, 배터리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DC power supply operation mod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구체적으로, 본체(130)는, 배터리(230), 회전에 의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142), 교류 전원 모드로 동작시 입력되는 교류 전원에 기초하여 팬(142)을 구동하며, 직류 전원 모드로 동작시 배터리(230)에 저장된 직류 전원에 기초하여 팬(142)을 구동하는 팬 구동부(143)를 구비하며, 팬 구동부(143)는, 본체(130)와 연결부(120)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여, 팬(142)을 구동하는 팬 모터(141)의 출력 또는 속도를 가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터리(230)의 전력 소모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Specifically, the main body 130 includes a battery 230, a fan 142 that generates a suction force by rotation, a fan 142 that drives the fan 142 based on an AC power input in operation in the AC power mode, And a fan driving unit 143 for driving the fan 142 based on the DC power stored in the battery 230. The fan driving unit 143 drives the fan 142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130 and the connection unit 120 The output or speed of the fan motor 141 that drives the fan 142 can be varied in proportion to the output of the fan motor 141. [ Thus,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230 can be reduced.

특히, 본체(130)와 본체(120)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팬을 구동하는 모터 출력 또는 모터 속도를 증가시키고, 본체(130)와 본체(120) 사이의 거리가 감소될수록, 팬을 구동하는 모터 출력 또는 모터 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배터리(230)의 전력 소모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Particularly, as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130 and the main body 120 increases, the motor output or the motor speed for driving the fan is increased, an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130 and the main body 120 is reduce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230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motor output or the motor speed.

도 2는 도 1의 손잡이 부근에 배치되는 초음파 센서와 본체(130)에 배치되는 초음파 센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ultrasonic sensor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handle of Fig. 1 and an ultrasonic sensor disposed in the body 130. Fig.

도면을 참조하면, 청소기(100)는, 연결부(120)와 본체(13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초음파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vacuum cleaner 100 may use an ultrasonic sensor to sense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part 120 and the main body 130.

이를 위해, 도 2(a)와 같이, 연결부(120) 상에 배치되는 손잡이(11) 부근에, 제1 초음파 센서(320a)가 배치될 수 있다.2 (a), the first ultrasonic sensor 320a may be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handle 11 disposed on the connection portion 120. In this case,

또한, 본체(130)의 후방에, 제2 내지 제3 초음파 센서(320b,320c)가 배치될 수 있으며, 본체(130)의 전방에, 제4 초음파 센서(320c)가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to third ultrasonic sensors 320b and 320c may be disposed behind the main body 130 and the fourth ultrasonic sensor 320c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main body 130. [

각 초음파 센서들(320a,...,320d)은 초음파 출력부(미도시)와 초음파 수신부(미도시)를 각각 구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연결부(120)에 배치되는 제1 초음파 센서(320a)에서 출력되는 초음파를, 본체(130)에 배치되는 제2 내지 제4 초음파 센서들(320b,...,320d))이 수신하여, 연결부(120)와 본체(13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Each of the ultrasonic sensors 320a to 320d may include an ultrasonic output unit (not shown) and an ultrasonic receiver unit (not shown). For example, the first ultrasonic sensors 320a, The second ultrasonic sensors 320b and 320d disposed on the main body 130 receive the ultrasonic waves output from the main body 320a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120 and the main body 130 Can be detected.

도 3은 도 1의 본체와 연결부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는 것을 예시한다. Figure 3 illustrates the calcul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body of Figure 1 and the connection.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300)가, 손잡이(115)를 밀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 흡입구(110)를 통해, 이물질 등이 연결부(120)를 통해 본체(130) 내의 먼지통(140)으로 전달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when the user 300 performs cleaning while pushing the handle 115, foreign matter or the like is transferred to the dust box 140 in the main body 130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120 through the suction port 110 do.

한편, 도 2와 같이, 연결부(120)에 배치되는 제1 초음파 센서(320a)에서 출력되는 초음파를, 본체(130)에 배치되는 제2 내지 제4 초음파 센서들(320b,...,320d))이 수신하여, 연결부(120)와 본체(130) 사이의 거리(Dis)를 감지할 수 있다.2, the ultrasonic waves output from the first ultrasonic sensor 320a disposed at the connection unit 120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hrough fourth ultrasonic sensors 320b, ..., 320d ) Can receive and detect the distance Dis between the connection part 120 and the main body 130.

특히, 제어부(310)가, 수신되는 초음파 신호에 기초하여, 연결부(120)와 본체(130) 사이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310 may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unit 120 and the main body 130 based on the received ultrasound signal.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청소기 내부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inside of the cleaner shown in FIG.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4의 청소기(100)는, 팬(142), 팬 구동부(143), 배터리(230), 제어부(31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청소기(100)는, 교류 전원 감지부(315), 센서부(320), 통신부(330), 주행부(144), 주행 구동부(145), 및 입력부(117), 유로 스위치(1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4, the vacuum cleaner 100 may include a fan 142, a fan driving unit 143, a battery 230, and a control unit 310. The vacuum cleaner 100 includes an AC power sensing unit 315, a sensor unit 320, a communication unit 330, a travel unit 144, a travel driving unit 145, an input unit 117, a flow switch 1120, As shown in FIG.

유로 스위치(112)는, 먼지통(140)과 팬 모터(141) 사이에 배치되며, 흡입력 발생하는 제1 모드에서 제1 유로 가이드부(905)는 개방되고, 제2 유로 가이드부(907)는 폐쇄되도록 동작하며, 분출력 발생하는 제2 모드에서 제2 유로 가이드부(907)는 개방되고, 제1 유로 가이드부(905)가 폐쇄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The first flow guide portion 905 is opened in the first mode in which the suction force is generated and the second flow guide portion 907 is opened in the second mode in which the suction force is generated, And the second flow path guide portion 907 is opened and the first flow path guide portion 905 is closed in the second mode in which a minute output is generated.

한편, 유로 스위치(112)는, 제3 모드에서 제1 유로 가이드부(905)와 제2 유로 가이드부(907)가 교호하게 개방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low path switch 112 can be operated such that the first flow path guide portion 905 and the second flow path guide portion 907 are alternately opened in the third mode.

제어부(310)는, 모드에 따라, 유로 스위치(11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1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low path switch 112 according to the mode.

입력부(117)는, 다수개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여, 사용자 조작에 의한, 청소기(100)의 동작 온/오프, 팬 회전 속도 조절 등의 입력 신호를 제어부(310)로 전달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17 includes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and can transmit an input signal such as an operation on / off of the vacuum cleaner 100 and a fan rotation speed control to the control unit 310 by a user operation.

한편, 입력부(117)는, 제1 모드 내지 제3 모드의 선택을 위한, 제1 모드 버튼 내지 제3 모드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put unit 117 may include first mode button to third mode button for selecting the first mode to the third mode.

교류 전원 감지부(315)는, 청소기(100) 내부에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감지한다. 이를 위해, 교류 전원 감지부는, 교류 전류 검출부 또는 교류 전압 검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AC power sensing unit 315 senses an AC power input when the AC power is input into the vacuum cleaner 100. To this end, the AC power sensing unit may include an AC current detection unit or an AC voltage detection unit.

교류 전원 검출부로,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교류 전압 검출부로, VT(voltage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As the AC power detecting unit, a CT (current trnasformer), a shunt resistor,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AC voltage detecting unit, a voltage trnasformer (VT) and a shunt resistor may be used.

예를 들어, 청소기(100)의 전원 코드(107)가 전원 콘센트에 접속된 상태인 경우, 또는 전원 코드(107)가 전언 콘센트에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부(117) 조작에 의해 동작 온 입력이 있는 경우, 교류 전원이 청소기(100) 내부로 입력되며, 교류 전원 감지부(15)는, 교류 전원의 입력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power cord 107 of the vacuum cleaner 100 is connected to the power outlet, or when the power cord 107 is connected to the outlet, The AC power is input into the cleaner 100, and the AC power sensing unit 15 can sense whether or not the AC power is input.

한편, 교류 전원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 신호는, 제어부(310)로 전달될 수 있다.Meanwhile, when AC power is detected, the detec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310.

센서부(320)는, 본체(130)와 연결부(12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초음파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320 may include an ultrasonic sensor or the like to sense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130 and the connection unit 120.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센서부(320)는, 연결부(120) 상에 배치되는 제1 초음파 센서(320a)와, 본체(130) 내에 배치되는 제2 내지 제4 초음파 센서(320b,...320d)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320)에서 센싱된 신호는, 제어부(310)로 전달될 수 있다.2, the sensor unit 320 includes a first ultrasonic sensor 320a disposed on the connection unit 120, and second through fourth ultrasonic sensors 320b, 320b disposed in the main body 130. [ 320d). Meanwhile,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320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10.

통신부(330)는, 주변 외부 기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 장치(미도시)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무선 통신부(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부(미도시)는, WiFi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330)는, AP 장치(미도시)를 통해, 이동 단말기(미도시)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330 can wirelessly exchange data with peripheral external device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AP apparatus (not shown). 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can perform WiFi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330 can perform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a mobile terminal (not shown) through an AP apparatus (not shown).

팬(142)은, 팬 모터(14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팬(142)을 구동하기 위해, 팬 구동부(143)가 사용된다.The fan 142 rotates by the driving force of the fan motor 141. To drive the fan 142, a fan drive 143 is used.

팬 구동부(143)는, 팬(142)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The fan driving unit 143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to the fan 142. [

팬 구동부(143)는, 교류 전원 모드로 동작시 입력되는 교류 전원에 기초하여 팬(142)을 구동할 수 있다. The fan driving unit 143 can drive the fan 142 based on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inputted in the operation in the AC power mode.

한편, 팬 구동부(143)는, 직류 전원 모드로 동작시 배터리(230)에 저장된 직류 전원에 기초하여 팬(142)을 구동할 수 있다. 이때, 팬 구동부(143)는, 본체(130)와 연결부(120)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여, 팬(142)을 구동하는 모터의 출력을 가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an driving unit 143 can drive the fan 142 based on the DC power stored in the battery 230 when operating in the DC power mode. At this time, the fan drive unit 143 can vary the output of the motor that drives the fan 142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130 and the connection unit 120. As a result,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can be reduced.

팬 구동부(143)는, 본체(130)와 연결부(120)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팬(142)을 구동하는 모터 출력을 증가시키고, 본체(130)와 연결부(120) 사이의 거리가 감소될수록, 팬(142)을 구동하는 모터 출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fan drive unit 143 increases the motor output driving the fan 142 as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130 and the connection unit 120 increases and decreases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130 and the connection unit 120 The motor output for driving the fan 142 can be reduced.

이를 위해, 팬 구동부(143)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도 5의 410), 컨버터로부터의 직류 전원과 배터리(230)로부터의 직류 전원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스위칭부(도 5의 415),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동작에 의해, 스위칭부(415)에서 출력된 직류 전원을 소정의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팬(142)을 구동하는 인버터(도 5의 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5) for converting the alternating-current power into the direct-current power, a switching unit (not shown) for outputting either the direct-current power from the converter or the direct-current power from the battery 230 5) 415), an inverter (420 in Fig. 5)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and converts the DC power outputted from the switching section 415 to a predetermined AC power by the switching operation and drives the fan 142 ).

또한, 팬 구동부(143)는, 인버터 제어부(430), 전류 검출부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팬 구동부(143)에 대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The fan driving unit 143 may further include an inverter control unit 430, a current detection unit, and the like. The description of the fan driving unit 14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주행부(144)는, 청소기를 주행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주행부(144)는, 도 1에서 도시한 좌측 바퀴(176)와, 우측 바퀴(177)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주행부(144)를 구동하기 위해, 주행 구동부(145)가 사용된다.The running section 144 can run the cleaner. To this end, the traveling unit 144 may include a left wheel 176 and a right wheel 177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drive the traveling section 144, the traveling driving section 145 is used.

주행 구동부(145)는, 주행부(144)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모터,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travel drive unit 145 may include a motor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to the travel unit 144, a mot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tor, and the like.

특히, 주행 구동부(145)는, 본체(130)와 연결부(120)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주행부(144)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Particularly, the travel driving part 145 can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o the traveling part 144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130 and the connecting part 120. [

예를 들어, 본체(130)와 연결부(120)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 이상인 경우, 본체(130)가 연결부(120)에 추종하도록, 주행 구동부(145)가 동작하여, 주행부(144)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30)와 연결부(120)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로 유지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130 and the connecting portion 12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distance, the traveling driving portion 145 operates so that the main body 130 follows the connecting portion 120,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130 and the connecting portion 120 is mai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제어부(310)는, 청소기(100) 내부의 각 유닛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10 can control each unit in the vacuum cleaner 100.

제어부(310)는, 제1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팬 모터(141)를 제1 방향 회전시켜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며, 제2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팬 모터(141)를 제2 방향 회전시켜, 분출력이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mode is set to the first mode, the controller 310 controls the fan motor 141 to generate suction force by rotating the fan motor 141 in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fan motor 141 is set to the second mode, So that minute output can be generated.

제어부(310)는, 입력부(117)를 통해, 제3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팬 모터(141)를 제2 방향 회전 및 제1 방향 회전이 반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10 can control the fan motor 141 to repeat the second direction rotation and the first direction rotation through the input unit 117 when the third mode is set.

제어부(310)는, 제3 모드 동작시, 본체(130)와 연결부(120)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는 경우, 팬 모터(141)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본체(130)와 연결부(120)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는 경우, 팬 모터(141)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10 controls the fan motor 141 to rotate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130 and the connection unit 120 increases in the third mode operation, The fan motor 141 can be controlled to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an motor 141 and the fan motor 141 is reduced.

제어부(310)는, 본체(130)와 연결부(120)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는 경우, 팬 모터(141)의 속도의 크기가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10 may control the fan motor 141 so that the speed of the fan motor 141 increase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130 and the connection unit 120 increases.

제어부(310)는, 제3 모드 동작시, 제2 회전시 회전 속도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제어하며, 제1 회전시 회전 속도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제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10 controls the magnitude of the rotation speed in the second rotation to increase sequentially in the third mode operation and controls the magnitude of the rotation speed in the first rotation to increase sequentially.

한편, 제어부(310)는, 팬 모터(141)를 제1 방향 회전시켜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제어하거나, 팬 모터(141)를 제2 방향 회전 및 제1 방향 회전이 반복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310 may control the fan motor 141 to generate suction force by rotating the fan motor 141 in the first direction, or may control the fan motor 141 to repeat the second direction rotation and the first direction rotation.

제어부(310)는, 교류 전원 모드로 동작시 입력되는 교류 전원에 기초하여 팬(142)을 구동하도록 제어하며, 직류 전원 모드로 동작시 배터리(230)에 저장된 직류 전원에 기초하여 팬(142)을 구동하도록, 팬 구동부(143) 또는 팬(144)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10)는, 본체(130)와 연결부(120)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여, 팬(142)을 구동하는 모터의 출력을 가변하도록, 팬 구동부(143) 또는 팬(144)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The control unit 310 controls the fan 142 to drive the fan 142 based on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inputted in the AC power mode and controls the fan 142 based on the DC power stored in the battery 23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an driving unit 143 or the fan 144 so as to drive the fan driving unit 143 or the fan 144. [ The control unit 310 controls the fan driving unit 143 or the fan 144 so as to vary the output of the motor that drives the fan 142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130 and the connection unit 120. In this case, can do. As a result,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can be reduced.

제어부(310)는, 제1 초음파 센서(320a)와 제2 내지 제4 초음파 센서(20b,...320d)에 기초하여, 연결부(120)와 본체(130) 사이의 거리를 연산할f다.The control unit 310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unit 120 and the main body 130 based on the first ultrasonic sensor 320a and the second to fourth ultrasonic sensors 20b to 320d .

그리고, 제어부(310)는, 본체(130)와 연결부(120)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며, 연산된 거리에 비례하여 팬(142)을 구동하는 모터의 출력을 가변하도록, 팬 구동부(143)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10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130 and the connection unit 120 and controls the fan drive unit 143 to vary the output of the motor that drives the fan 142 in proportion to the calculated distance Can be controlled.

제어부(310)는, 본체(130)와 연결부(120)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팬(142)을 구동하는 모터 출력을 증가시키고, 본체(130)와 연결부(120) 사이의 거리가 감소될수록, 팬(142)을 구동하는 모터 출력을 감소시키도록, 팬 구동부(143) 또는 팬(144)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10 increases the motor output driving the fan 142 as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130 and the connection unit 120 increases and decrease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unit 130 and the connection unit 120 decreases , The fan drive 143 or the fan 144 may be controlled to reduce the motor output driving the fan 142. [

한편, 제어부(310)는, 본체(130)와 연결부(120)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주행 구동부(145)를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310 can control the travel driving unit 145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130 and the connecting unit 120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본체(130)와 연결부(120)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 이상인 경우, 본체(130)가 연결부(120)에 추종하도록, 주행 구동부(145)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30)와 연결부(120)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로 유지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130 and the connecting portion 12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distance, the controller 310 controls the driving driving portion 145 so that the main body 130 follows the connecting portion 120 . Accordingly,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130 and the connecting portion 120 is mai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도 5는 도 4의 청소기의 팬 구동부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fan driving unit of the cleaner of FIG.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팬 구동부(143)는, 컨버터(410), 인버터(420), 인버터 제어부(430), dc 단 전압 검출부(B), 평활 커패시터(C), 및 출력전류 검출부(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팬 구동부(143)는, 입력 전류 검출부(A), 리액터(L)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fan driving unit 143 of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erter 410, an inverter 420, an inverter control unit 430, a dc voltage detection unit B, a smoothing capacitor C, and an output current detection unit E. The fan driving unit 143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current detecting unit A, a reactor L, and the like.

리액터(L)는, 상용 교류 전원(405, vs)과 컨버터(410) 사이에 배치되어, 역률 보정 또는 승압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리액터(L)는 컨버터(410)의 고속 스위칭에 의한 고조파 전류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reactor L is disposed between the commercial AC power source 405 (v s ) and the converter 410, and performs a power factor correcting or boosting operation. The reactor L may also function to limit the harmonic current due to the fast switching of the converter 410.

입력 전류 검출부(A)는, 상용 교류 전원(405)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류(is)를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입력 전류 검출부(A)로,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검출되는 입력 전류(is)는,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에 입력될 수 있다.The input current detection section A can detect the input current (i s ) input from the commercial AC power source 405. To this end, a current transformer (CT), a shunt resistor,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input current detector A. The detected input current i s can be input to the inverter control unit 430 as a discrete signal in the form of a pulse.

한편, 입력 전류 검출부(A)는 도 4의 교류 전원 감지부(315)일 수 있다.Meanwhile, the input current detection unit A may be the AC power detection unit 315 of FIG.

컨버터(410)는, 리액터(L)를 거친 상용 교류 전원(405)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면에서는 상용 교류 전원(405)을 단상 교류 전원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삼상 교류 전원일 수도 있다. 상용 교류 전원(405)의 종류에 따라 컨버터(410)의 내부 구조도 달라진다. The converter 410 converts the commercial AC power source 405,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reactor L, into DC power and outputs the DC power. Although the commercial AC power source 405 is shown as a single-phase AC power source in the figure, it may be a three-phase AC power sourc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nverter 410 also change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ommercial AC power source 405.

한편, 컨버터(410)는, 스위칭 소자 없이 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스위칭 동작 없이 정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nverter 410 may include a diode without a switching element, and may perform a rectifying operation without a separate switching operation.

예를 들어, 단상 교류 전원인 경우, 4개의 다이오드가 브릿지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삼상 교류 전원인 경우, 6개의 다이오드가 브릿지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ingle-phase AC power source, four diodes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bridge, and in the case of a three-phase AC power source, six diodes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bridge.

한편, 컨버터(410)는, 예를 들어, 2개의 스위칭 소자 및 4개의 다이오드가 연결된 하프 브릿지형의 컨버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삼상 교류 전원의 경우, 6개의 스위칭 소자 및 6개의 다이오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verter 410 may be, for example, a half-bridge type converter in which two switching elements and four diodes are connected, and in the case of a three-phase AC power source, six switching elements and six diodes may be used .

컨버터(410)가,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경우, 해당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승압 동작, 역률 개선 및 직류전원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converter 410 includes a switching element, the boosting operation, the power factor correction, and the DC power conversion can be performed by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element.

스위칭부(415)는, 컨버터(410) 및 배터리(2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교류 전원 모드인 경우, 컨버터(410)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출력하도록 스위칭하며, 직류 전원 모드인 경우, 배터리(230)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출력하도록 스위칭한다.The switching unit 41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verter 410 and the battery 230 and switches to output the DC power from the converter 410 in the AC power mode. 230 to output DC power.

스위칭부(415)는, 교류 전원 감지부(315)에서 감지되는 교류 전원의 레벨이 소정치 이상인 경우, 스위칭부(415)가 컨버터(410)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출력하며, 교루 전원의 레벨이 소정치 미만인 경우, 스위칭부(415)가 배터리(230)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출력한다.The switching unit 415 outputs the DC power from the converter 410 when the level of the AC power detected by the AC power sensing unit 315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f it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the switching unit 415 outputs the DC power from the battery 230.

평활 커패시터(C)는, 입력되는 전원을 평활하고 이를 저장한다. 도면에서는, 평활 커패시터(C)로 하나의 소자를 예시하나, 복수개가 구비되어, 소자 안정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The smoothing capacitor C smoothes the input power supply and stores it. In the drawing, one element is exemplified by the smoothing capacitor C, but a plurality of elements are provided so that the element stability can be ensured.

한편, 평활 커패시터(C) 양단은, 직류 전원이 저장되므로, 이를 dc 단 또는 dc 링크단이라 명명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both ends of the smoothing capacitor C are referred to as a dc stage or a dc stage because the dc power source is stored.

dc 단 전압 검출부(B)는 평활 커패시터(C)의 양단인 dc 단 전압(Vdc)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dc 단 전압 검출부(B)는 저항 소자,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되는 dc 단 전압(Vdc)은,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에 입력될 수 있다.The dc voltage detection unit B can detect the dc voltage Vdc at both ends of the smoothing capacitor C. [ For this purpose, the dc voltage detection unit B may include a resistance element, an amplifier, and the like. The detected dc voltage source Vdc can be input to the inverter control unit 430 as a discrete signal in the form of a pulse.

인버터(420)는, 복수개의 인버터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평활된 직류 전원(Vdc)을 소정 주파수의 삼상 교류 전원(va,vb,vc)으로 변환하여, 삼상 동기 모터(141)에 출력할 수 있다.The inverter 420 includes a plurality of inverter switching elements and converts the smoothed DC power supply Vdc into a three-phase AC power supply va, vb, vc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by on / off operation of the switching element, And outputs it to the synchronous motor 141.

즉, 인버터(420)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팬 모터인 삼상 동기 모터(141)에 삼상 전류(ia,ib,ic)가 흐를 수 있게 된다. That is, by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inverter 420, the three-phase currents ia, ib and ic can flow through the three-phase synchronous motor 141 which is a fan motor.

인버터(420)는, 각각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암 스위칭 소자(Sa,Sb,Sc) 및 하암 스위칭 소자(S'a,S'b,S'c)가 한 쌍이 되며, 총 세 쌍의 상,하암 스위칭 소자가 서로 병렬(Sa&S'a,Sb&S'b,Sc&S'c)로 연결된다. 각 스위칭 소자(Sa,S'a,Sb,S'b,Sc,S'c)에는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연결된다. The inverter 420 includes a pair of upper arm switching elements Sa, Sb and Sc and lower arm switching elements S'a, S'b and S'c seri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witching elemen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parallel (Sa & S a, Sb & S'b, Sc & S'c). Diodes are connected in anti-parallel to each switching element Sa, S'a, Sb, S'b, Sc, S'c.

인버터(420) 내의 스위칭 소자들은 인버터 제어부(430)로부터의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에 기초하여 각 스위칭 소자들의 온/오프 동작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해, 소정 주파수를 갖는 삼상 교류 전원이 삼상 동기 모터(141)에 출력되게 된다. The switching elements in the inverter 420 perform ON / OFF operations of the respective switching elements based on the inverter switching control signal Sic from the inverter controller 430. [ Thus, three-phase AC power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is output to the three-phase synchronous motor 141.

인버터 제어부(430)는, 팬 모터(141)에 흐르는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인버터(14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인버터 제어부(430)는, 인버터(4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버터 제어부(430)는, 출력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되는 출력전류(io)를 입력받을 수 있다.The inverter control unit 430 can control the inverter 141 based on the output current flowing to the fan motor 141. [ In other words, the inverter control unit 430 can control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inverter 420. [ To this end, the drive controller 430, and can receive the output current (i o) detected by the output current detector (E).

인버터 제어부(430)는, 인버터(4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를 인버터(420)에 출력한다.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는 펄스폭 변조 방식(PWM)의 스위칭 제어신호로서, 출력전류 검출부(E)로부터 검출되는 출력전류값(io)을 기초로 생성되어 출력된다. The inverter control unit 430 outputs the inverter switching control signal Sic to the inverter 420 to control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inverter 420. [ Inverter switching control signal (Sic) is output is generated by a switching control signal of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based on the output current (i o) detected by the output current detector (E).

이를 위해, 인버터 제어부(430)는, 축변환부(미도시), 속도 연산부(미도시), 전류 지령 생성부(미도시), 전압 지령 생성부(미도시), 축변환부(미도시), 및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inverter control unit 430 includes an axis conversion unit (not shown), a speed calculation unit (not shown), a current command generation unit (not shown), a voltage command generation unit (not shown), an axis conversion unit , And a switching control signal output unit (not shown).

축변환부(미도시)는, 출력 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된 삼상 출력 전류(ia,ib,ic)를 입력받아,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로 변환한다.(Not shown) receives the three-phase output currents (ia, ib, ic) detected by the output current detecting unit E and converts the three-phase output currents ia, ib and ic into two phase currents iα and iβ in the stationary coordinate system.

한편, 축변환부(미도시)는,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를 회전좌표계의 2상 전류(id,iq)로 변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xial conversion unit (not shown) can convert the two-phase current i ?, i? Of the still coordinate system into the two-phase current id, iq of the rotational coordinate system.

속도 연산부(미도시)는, 축변환부(미도시)에서 축변화된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에 기초하여, 연산된 위치(

Figure pat00001
)와 연산된 속도(
Figure pat00002
)를 출력할 수 있다.Based on the two-phase current (i?, I?) Of the stationary coordinate system changed in the axis in the axial conversion unit (not shown), the speed calculating unit (not shown)
Figure pat00001
) And the calculated speed (
Figure pat00002
Can be output.

한편, 전류 지령 생성부(미도시)는, 연산 속도(

Figure pat00003
)와 속도 지령치(ω* r)에 기초하여, 전류 지령치(i* q)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류 지령 생성부(미도시)는, 연산 속도(
Figure pat00004
)와 속도 지령치(ω* r)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미도시)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전류 지령치(i* q)를 생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command generator (not shown)
Figure pat00003
(I * q ) on the basis of the speed command value? * R and the speed command value? * R. For example, the current command generator (not shown)
Figure pat00004
(PI) controller (not shown)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speed command value? * R and the speed command value? * R , thereby generating the current command value i * q .

다음, 전압 지령 생성부(미도시)는, 축변환부에서 2상 회전 좌표계로 축변환된 d축, q축 전류(id,iq)와, 전류 지령 생성부(미도시) 등에서의 전류 지령치(i* d,i* q)에 기초하여, d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를 생성한다. Next, the voltage command generator (not shown) generates a voltage command generator (not shown) based on the d-axis and q-axis currents (i d , i q ) The d-axis and q-axis voltage instruction values (v * d , v * q ) are generated based on the instruction values (i * d and i * q ).

한편, 생성된 d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는, 축변환부(미도시)에 입력된다.On the other hand, the generated d-axis and q-axis voltage command values (v * d , v * q ) are input to an axial conversion unit (not shown).

축변환부(미도시)는, 속도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된 위치(

Figure pat00005
)와, d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를 입력받아, 축변환을 수행한다.The axis converting unit (not shown) is connected to a position calculating unit (not shown)
Figure pat00005
) And the d-axis and q-axis voltage command values (v * d , v * q ).

먼저, 축변환부(미도시)는, 2상 회전 좌표계에서 2상 정지 좌표계로 변환을 수행한다. 이때, 속도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된 위치(

Figure pat00006
)가 사용될 수 있다.First, the axis converting unit (not shown) performs conversion from the two-phase rotating coordinate system to the two-phase stationary coordinate system. At this time, the position calculated in the speed calculation unit (not shown)
Figure pat00006
) Can be used.

그리고, 축변환부(미도시)는, 2상 정지 좌표계에서 3상 정지 좌표계로 변환을 수행한다. 이러한 변환을 통해, 축변환부(미도시)는, 3상 출력 전압 지령치(v*a,v*b,v*c)를 출력하게 된다.Then, the axial conversion unit (not shown) performs conversion from the two-phase stationary coordinate system to the three-phase stationary coordinate system. Through this conversion, the axial conversion unit (not shown) outputs three-phase output voltage instruction values v * a, v * b, and v * c.

스위칭 제어 신호 출력부(미도시)는, 3상 출력 전압 지령치(v*a,v*b,v*c)에 기초하여 펄스폭 변조(PWM) 방식에 따른 인버터용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output unit (not shown) outputs the inverter switching control signal Sic according to the pulse width modulation (PWM) method based on the three-phase output voltage instruction values v * a, v * b and v * And outputs it.

출력되는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는, 게이트 구동부(미도시)에서 게이트 구동 신호로 변환되어, 인버터(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에 입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버터(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들(Sa,S'a,Sb,S'b,Sc,S'c)이 스위칭 동작을 하게 된다.The output inverter switching control signal Sic may be converted into a gate driving signal in a gate driving unit (not shown) and input to the gate of each switching element in the inverter 420. As a result, the switching elements Sa, S'a, Sb, S'b, Sc, and S'c in the inverter 420 perform the switching operation.

출력전류 검출부(E)는, 인버터(420)와 삼상 모터(141) 사이에 흐르는 출력전류(io)를 검출한다. 즉, 모터(141)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 출력전류 검출부(E)는 각 상의 출력 전류(ia,ib,ic)를 모두 검출할 수 있으며, 또는 삼상 평형을 이용하여 두 상의 출력 전류를 검출할 수도 있다.The output current detection unit E detects the output current i o flowing between the inverter 420 and the three-phase motor 141. That is, the current flowing in the motor 141 is detected. The output current detection unit E can detect all of the output currents ia, ib, ic of each phase or can detect the output currents of two phases using the three-phase balance.

한편, 삼상 모터(141)는, 고정자(stator)와 회전자(rotar)를 구비하며, 각상(a,b,c 상)의 고정자의 코일에 소정 주파수의 각상 교류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자가 회전을 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three-phase motor 141 has a stator and a rotor, and an alternating-current power source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is applied to a coil of a stator of each phase (a, b, c) .

한편, 제어부(310)는, 인버터 제어부(320)와 스위칭부(415)를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310 can control the inverter control unit 320 and the switching unit 415.

구체적으로 제어부(310)는, 스위칭부(415)는, 교류 전원 감지부(315)에서 감지되는 교류 전원의 레벨이 소정치 이상인 경우, 스위칭부(415)가 컨버터(410)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교루 전원의 레벨이 소정치 미만인 경우, 스위칭부(415)가 배터리(230)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level of the AC power detected by the AC power sensing unit 315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switching unit 415 controls the switching unit 415 to switch the DC power from the converter 410 And controls the switching unit 415 to output the DC power from the battery 230 when the level of the auxiliary power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도 6a 내지 도 9b는 도 1의 청소기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6A to 9B are views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of FIG.

도 6a는 흡입력이 발생하는 제1 모드가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며, 도 6b는 분출력이 발생하는 제2 모드가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며, 도 6c는 분출력 및 흡입력이 교호하게 발생하는 제3 모드가 수행되는 것을 예시한다.FIG. 6A illustrates a first mode in which a suction force is generated, FIG. 6B illustrates a second mode in which minute outputs are generated, FIG. 6C illustrates a third mode in which minute outputs and suction forces alternately occur, Is performed.

먼저, 도 6a은, 제1 모드(mode 1)로서, 팬 모터(141)가 제1 방향 회전하는 것을 예시한다. 즉, 정방향 회전(Rco)하는 것을 예시한다.6A illustrates a first mode (mode 1) in which the fan motor 141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That is, forward rotation (Rco) is exemplified.

도 6a의 (a)는, 제1 모드(mode 1) 하에서, 사용자가 연결부(120)와 흡입구(110)를 앞으로 전진시키는 경우로서, 연결부(120)와 본체(130) 사이의 거리가 멀어 지게되며, 그 거리가, 제1 거리(Dis1)인 것을 예시한다. 이때, 팬 모터(141)는 정방향 회전(Rco)하게 된다.6A shows a state in which the user advances the connection part 120 and the suction port 110 forward in the first mode (mode 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part 120 and the main body 130 is increased And that the distance is the first distance Dis1. At this time, the fan motor 141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Rco).

도 6a의 (b)는, 제1 모드(mode 1) 하에서, 사용자가 연결부(120)와 흡입구(110)를 뒤로 후진시키는 경우로서, 연결부(120)와 본체(13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 지게되며, 그 거리가, 제2 거리(Dis2)인 것을 예시한다. 이때, 팬 모터(141)는 정방향 회전(Rco)하게 된다.6A shows a state in which the user reverses the connection part 120 and the suction port 110 backward in the first mode (mode 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part 120 and the main body 130 approaches And that the distance is the second distance Dis2. At this time, the fan motor 141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Rco).

한편, 도 7a는 도 6a의 제1 모드에서의, 모터 속도(Mwa)를 예시한다. 제어부(310)는, 제1 모드에서, 모터 속도(Mwa)가 w1으로서 일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 7A illustrates the motor speed Mwa in the first mode of FIG. 6A. The control unit 310 can control the motor speed Mwa to be constant as w1 in the first mode.

한편, 이와 달리, 제어부(310)는, 제1 모드에서, 모터의 속도가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310 may control the speed of the motor to be variable in the first mode.

통상, 사용자들이, 청소기(100)를 사용하는 경우, 연결부(120)와 흡입구(110)를 앞으로 밀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청소기를 사용한다.Normally, when a user uses the vacuum cleaner 100, a vacuum cleaner is us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while pushing the connection part 120 and the suction port 110 forward.

이에 따라, 제어부(310)는, 제1 모드에서, 연결부(120)와 흡입구(110) 사이가 멀어질수록, 흡입력이 증가하도록 하기 위해, 모터의 속도 또는 모터의 출력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고, 연결부(120)와 흡입구(110) 사이가 가까워질수록, 흡입력 감소를 위해, 모터의 속도 또는 모터의 출력이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10 controls the speed of the motor or the output of the motor to increase as the suction force increase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unit 120 and the suction port 110 increases in the first mode, The speed of the motor or the output of the motor can be controlled so as to decreas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intake port 120 and the intake port 110 decreases.

다음, 도 6b는, 제2 모드(mode 2)로서, 팬 모터(141)가 제2 방향 회전하는 것을 예시한다. 즉, 역방향 회전(Rcco)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분출력이 발생하며, 흡입구(110)를 통해, 불어나가는 바람에 의해, 주변 이물질이 비산할 수 있게 된다.Next, FIG. 6B illustrates a second mode (mode 2) in which the fan motor 141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That is, reverse rotation (Rcco) is exemplified. As a result, a minute output is generated, and surrounding foreign matter can be scattered by wind blowing through the inlet 110.

도 6b의 (a)는, 제2 모드(mode 2) 하에서, 사용자가 연결부(120)와 흡입구(110)를 앞으로 전진시키는 경우로서, 연결부(120)와 본체(130) 사이의 거리가 멀어 지게되며, 그 거리가, 제1 거리(Dis1)인 것을 예시한다. 이때, 팬 모터(141)는 역방향 회전(Rcco)하게 된다.6A shows a case where the user advances the connection part 120 and the suction port 110 forward in the second mode (mode 2),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part 120 and the main body 130 is increased And that the distance is the first distance Dis1. At this time, the fan motor 141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Rcco).

도 6b의 (b)는, 제2 모드(mode 2) 하에서, 사용자가 연결부(120)와 흡입구(110)를 뒤로 후진시키는 경우로서, 연결부(120)와 본체(13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 지게되며, 그 거리가, 제2 거리(Dis2)인 것을 예시한다. 이때, 팬 모터(141)는 역방향 회전(Rcco)하게 된다.6B shows a state in which the user reverses the connection portion 120 and the suction port 110 backward in the second mode (mode 2),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120 and the main body 130 is shortened And that the distance is the second distance Dis2. At this time, the fan motor 141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Rcco).

한편, 도 7b는 도 6b의 제2 모드에서의, 모터 속도(Mwb)를 예시한다. 제어부(310)는, 제2 모드에서, 역방향으로서 모터 속도(Mwb)가 -w1으로서 일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 7B illustrates the motor speed Mwb in the second mode of Fig. 6B. The control unit 310 can control the motor speed Mwb to be constant as -w1 in the reverse direction in the second mode.

한편, 이와 달리, 제어부(310)는, 제2 모드에서, 모터(141)의 속도가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310 may control the speed of the motor 141 to be variable in the second mode.

이에 따라, 제어부(310)는, 제2 모드에서, 연결부(120)와 흡입구(110) 사이가 멀어질수록, 분출력이 증가하도록 하기 위해, 모터의 속도 또는 모터의 출력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고, 연결부(120)와 흡입구(110) 사이가 가까워질수록, 분출력 감소를 위해, 모터의 속도 또는 모터의 출력이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10 controls the motor speed or the output of the motor to increase in order to increase the minute output as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unit 120 and the intake port 110 increases in the second mod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120 and the inlet 110 becomes closer, the speed of the motor or the output of the motor can be controlled so as to decrease the minute power output.

다음, 도 6c는, 제3 모드(mode 3)로서, 팬 모터(141)가 제2 방향 회전 및 제1 방향 회전이 교호하게 반복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역방향 회전(Rcco), 및 정방향 회전(Rco)이 교호하게 반복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분출력, 및 흡입력이 교호하게 발생하며, 흡입구(110)를 통해, 불어나가는 바람에 의해, 주변 이물질이 비산하다가,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흡입구(110)로 비산된 주변 이물질이 흡입될 수 있게 된다.Next, FIG. 6C illustrates that the fan motor 141 is alternately repeat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first direction as the third mode (mode 3). That is, it is exemplified that the reverse rotation (Rcco) and the forward rotation (Rco) are alternately repeated. As a result, the minute power and the suction force are alternately generated, and surrounding foreign matter is scattered by the wind blowing through the suction port 110, and the ambient foreign matter scattered to the suction port 110 So that it can be sucked.

도 6c의 (a)는, 제3 모드(mode 3) 하에서, 사용자가 연결부(120)와 흡입구(110)를 앞으로 전진시키는 경우로서, 연결부(120)와 본체(130) 사이의 거리가 멀어 지게되며, 그 거리가, 제1 거리(Dis1)인 것을 예시한다. 이때, 팬 모터(141)는 역방향 회전(Rcco)하게 된다. 이에 의해 분출력이 발생하게 된다.6C shows a state in which the user advances the connecting portion 120 and the inlet 110 forward in the third mode (mode 3),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120 and the main body 130 is increased And that the distance is the first distance Dis1. At this time, the fan motor 141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Rcco). As a result, minute output is generated.

도 6c의 (b)는, 제3 모드(mode 3) 하에서, 사용자가 연결부(120)와 흡입구(110)를 뒤로 후진시키는 경우로서, 연결부(120)와 본체(13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 지게되며, 그 거리가, 제2 거리(Dis2)인 것을 예시한다. 이때, 팬 모터(141)는 정방향 회전(Rco)하게 된다. 이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하게 된다.6C shows a state in which the user reverses the connection part 120 and the suction port 110 backward in the third mode (mode 3),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part 120 and the main body 130 approaches And that the distance is the second distance Dis2. At this time, the fan motor 141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Rco). As a result, a suction force is generated.

한편, 도 6c와 달리, 연결부(120)와 본체(130) 사이의 거리가 멀어 지게되는 경우, 팬 모터(141)는 정방향 회전(Rco)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키며, 연결부(120)와 본체(13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 지게되는 경우, 팬 모터(141)는 역방향 회전(Rcco)하여, 분출력을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6C,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part 120 and the main body 130 is increased, the fan motor 141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Rco) to generate a suction force, and the connection part 120 and the main body 130 130 are close to each other, the fan motor 141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Rcco) to generate minute outputs.

한편, 도 7c는 도 6c의 제3 모드에서의, 모터 속도(Mwc)를 예시한다. 제어부(310)는, 제3 모드에서, 역방향 회전 및 정방향 회전을 반복하며, 그에 따라, 모터 속도(Mwc)가 -w1과 w1로 교호하게 반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 7C illustrates the motor speed Mwc in the third mode of FIG. 6C. The control unit 310 repeats the reverse rotation and the forward rotation in the third mode so that the motor speed Mwc can be controlled so as to be alternately repeated at -w1 and w1.

한편, 도 7c는 모터(141)의 회전 방향만 바뀌면서, 모터(141)의 속도의 크기는 일정한 것을 예시하였다.On the other hand, FIG. 7C illustrates that the magnitude of the speed of the motor 141 is constant while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otor 141 is changed.

이와 달리, 제어부(310)는, 제3 모드에서, 모터(141)의 속도의 크기가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310 may control the magnitude of the speed of the motor 141 to be variable in the third mode.

이에 따라, 제어부(310)는, 도 7d와 같이, 제3 모드에서, 연결부(120)와 흡입구(110) 사이가 멀어질수록, 모터(1410)가 역방향((Rcco) 회전하되, 역방향 회전 속도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7D, the control unit 310 determines whether the motor 1410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Rcco), and the reverse rotation speed (Rco) is higher as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unit 120 and the intake port 110 increases in the third mode, Can be controlled so as to increase in size sequentially.

한편, 어부(310)는, 도 7d의 모터 속도(Mwd) 그래프와 같이, 제3 모드에서, 연결부(120)와 흡입구(110) 사이가 가까워질수록, 모터(1410)가 정방향((Rco) 회전하되, 정방향 회전 속도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7 (d), in the third mod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120 and the intake port 110 becomes closer, the motor 1410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Rco) as shown in the graph of the motor speed (Mwd) And the magnitude of the forward rotation speed is sequentially increased.

이와 같이, 순차 증가하는 모터 속도의 크기로 인해, 효율적으로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magnitude of the motor speed increasing gradually,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move the foreign matter.

도 8a 내지 도 8b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에서의 모터(141)에 인가되는 삼상 전류를 예시한다.8A to 8B illustrate three-phase currents applied to the motor 141 in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도 8a는 제1 모드에서의 모터(141)에 인가되는 삼상 전류(ia,ib,ic)를 예시한다. 특히, 도면에서는, 위상 순서가, ia,ib,ic 인 것을 예시한다.8A illustrates the three-phase currents ia, ib, ic applied to the motor 141 in the first mode. Particularly, in the figure, it is exemplified that the phase order is ia, ib, ic.

한편, 인버터 제어부(430) 또는 제어부(310)는, 제2 모드의 분출력이 발생하도록 하기 위해, 즉, 제1 방향 회전과 반대인 제2 방향 회전하기 위해, 삼상 전류 중 두 상 전류의 위상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verter control unit 430 or the control unit 310 controls the phases of the two phase currents of the three-phase currents in order to generate the second mode output, that is, to rotate in the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rotation Can be controlled to be variable.

구체적으로, 인버터 제어부(430) 또는 제어부(310)는, ia,ib,ic 중 a 상과 c 상을 역상으로 변환시켜, 도 8b와 같이, 위상 순서가, ic,ib,ia로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verter control unit 430 or the control unit 310 converts the a-phase and the c-phase of ia, ib, and ic into a reverse phase to control the phases to be ic, ib, ia as shown in FIG. .

이에 따라, 하나의 모터(141)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제1 방향 회전 또는 제2 방향 회전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first direction rotation or the second direction rotation simply by using the single motor 141. [

한편, 흡입력과 분출력을 하나의 모터(141)로 구현시, 공기 유로 상 흡입력 발생시에만 먼지통(140)으로 유로가 형성되고, 분출력 발생시에는 먼지통(140) 외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when the suction force and the minute output are realized by the single motor 141, a flow path is formed in the dust container 140 only when a suction force is generated on the air flow path, and a flow path outside the dust container 140 is formed when minute output is generated .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00)는, 하나의 모터(141)를 통해, 2개의 공기 유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 9a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기술한다.In this regard, it is preferable that the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air flow path guide portions through one motor 141. [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A to 9B.

도 9 및 도 9b를 참조하면, 청소기(100)는, 흡입구(110)와, 제1 유로 가이드부(905)와, 제2 유로 가이드부(907)와, 먼지통(140)과, 유로 스위치(112), 배출구(111)를 구비할 수 있다.9 and 9B, the vacuum cleaner 100 includes a suction port 110, a first flow path guide portion 905, a second flow path guide portion 907, a dust box 140, 112, and a discharge port 111, as shown in FIG.

흡입구(110)와 배출구(110) 사이에 서로 다른, 제1 유로 가이드부(905)와, 제2 유로 가이드부(907)가 형성될 수 있다.A first flow path guide portion 905 and a second flow path guide portion 907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inlet 110 and the outlet 110 may be formed.

제1 유로 가이드부(905)는, 흡입력 발생시의 유로를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제1 유로 가이드부(905) 내에, 먼지통(140), 필터(1130), 유로 스위치(112)가 배치될 수 있다.The dust channel 140, the filter 1130, and the flow path switch 112 can be disposed in the first flow guide portion 905. The first flow guide portion 905 guides the flow path when the suction force is generated.

제2 유로 가이드부(907)는, 분출력 발생시의 유로를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제1 유로 가이드부(905)와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flow path guide portion 907 guides the flow path at the time of generating minute power and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first flow path guide portion 905.

한편, 먼지통(140)은, 흡입구(110)와 팬 모터(141)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유로 가이드부(905) 내에 배치되며,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되는 이물질치 축적할 수 있다.The dust container 140 is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port 110 and the fan motor 141 and is disposed in the first flow guide portion 905 and can accumulate foreign substance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10.

한편, 유로 스위치(112)는, 먼지통(140)과 팬 모터(141) 사이에 배치되며, 제1 모드에서, 도 9a와 같이, 제1 유로 가이드부(905)는 개방되고, 제2 유로 가이드부(907)는 폐쇄되도록 동작하며, 제2 모드에서, 도 9b와 같이, 제2 유로 가이드부(907)는 개방되고, 제1 유로 가이드부(905)가 폐쇄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low path switch 112 is disposed between the dust container 140 and the fan motor 141. In the first mode, as shown in Fig. 9A, the first flow path guide portion 905 is opened, In the second mode, the second flow guide portion 907 is opened and the first flow guide portion 905 is closed as shown in FIG. 9B.

한편, 도면에서는, 하나의 유로 스위치(112)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나, 제1 유로 가이드부(905)와, 제2 유로 가이드부(907) 각각의 개방, 폐쇄를 위한 2ㄱ개의 유로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Although one flow path switch 112 is shown in the drawing, two flow path switches for opening and closing each of the first flow path guide portion 905 and the second flow path guide portion 907 Or the like.

한편, 유로 스위치(112)는, 제어부(310)의 동작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low switch 112 can be controlled by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310. [

한편, 유로 스위치(112)는, 제1 모드에서 제1 유로 가이드부(905)는 개방되고, 제2 유로 가이드부(907)는 폐쇄되도록 동작하며, 제2 모드에서 제2 유로 가이드부(907)는 개방되고, 제1 유로 가이드부(905)가 폐쇄되도록 동작하며, 제3 모드에서 제1 유로 가이드부(905)와 제2 유로 가이드부(907)가 교호하게 개방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mode, the flow path switch 112 operates so that the first flow path guide portion 905 is opened and the second flow path guide portion 907 is closed. In the second mode, the second flow path guide portion 907 The first flow guide portion 905 and the second flow guide portion 907 may be alternately opened and closed in the third mode.

이와 같이, 제1 유로 가이드부(905)와 제2 유로 가이드부(907)를 선택적으로 개방함으로써, 흡입력 또는 분출력시의 유로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by selectively opening the first flow guide portion 905 and the second flow guide portion 907, it is possible to clearly distinguish the suction force or the flow path at the time of minute output.

한편, 상술한 청소기의 동작 방법은, 진공 청소기, 배터리가 장착된 코드리스 청소기, 로봇 청소기 등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method of the vacuum cleaner can be applied to a vacuum cleaner, a cordless cleaner equipped with a battery, a robot cleaner,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팬 모터;
상기 제1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팬 모터를 제1 방향 회전시켜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팬 모터를 제2 방향 회전시켜, 분출력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first mode or a second mode;
Fan motor;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an motor to generate a suction force by rotating the fan motor in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fan motor is set to the first mode and controls the fan motor to rotate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fan motor is set to the second mod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제1항에 있어서,
흡입구;
제1 유로 가이드부;
제2 유로 가이드부;
상기 흡입구와 상기 팬 모터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유로 가이드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이물질치 축적되는 먼지통;
상기 먼지통과 상기 팬 모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유로 가이드부는 개방되고, 상기 제2 유로 가이드부는 폐쇄되도록 동작하며,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유로 가이드부는 개방되고, 상기 제1 유로 가이드부가 폐쇄되도록 동작하는 유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let;
A first flow path guide portion;
A second flow path guide part;
A dust container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fan motor, the dust container being disposed in the first flow path guide portion and storing a foreign substance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Wherein the first flow guide part is disposed between the dust container and the fan motor, the first flow guide part is opened and the second flow guide part is closed in the first mode, the second flow guide part is opened in the second mode, And a flow path switch operable to close the first flow path guid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제3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팬 모터를 상기 제2 방향 회전 및 상기 제1 방향 회전이 반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controls the fan motor to repeat the second direction rotation and the first direction rotation when the third mode is set through the input unit.
제3항에 있어서,
흡입구;
제1 유로 가이드부;
제2 유로 가이드부;
상기 흡입구와 상기 팬 모터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유로 가이드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이물질치 축적되는 먼지통;
상기 먼지통과 상기 팬 모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유로 가이드부는 개방되고, 상기 제2 유로 가이드부는 폐쇄되도록 동작하며,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유로 가이드부는 개방되고, 상기 제1 유로 가이드부가 폐쇄되도록 동작하며,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제1 유로 가이드부와 상기 제2 유로 가이드부가 교호하게 개방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Inlet;
A first flow path guide portion;
A second flow path guide part;
A dust container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fan motor, the dust container being disposed in the first flow path guide portion and storing a foreign substance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the second flow guide portion is opened in the second mode, the second flow guide portion is opened in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flow guide portion is opened in the first mode, Wherein the first channel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channel guide portion are operated so that the first channel guide portion is closed and the first channel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channel guide portion are alternately opened in the third mod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흡입력을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본체;
상기 본체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을 흡입구로 전달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모드 동작시, 상기 본체와 상기 연결부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는 경우, 상기 팬 모터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연결부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는 경우, 상기 팬 모터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A main body for generating the suction force by the suction force in the first mode;
And a connection part for transmitting the suction force generated in the main body to the suction port,
Wherein,
Wherei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nnection portion is increased in the third mode operation, the fan motor is controlled to rotat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nnection portion is reduced, So as to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연결부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는 경우, 상기 팬 모터의 속도의 크기가 증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peed of the fan motor to increas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nnection unit increas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모드 동작시, 상기 제2 회전시 회전 속도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회전시 회전 속도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magnitude of the rotation speed in the second rotation to increase sequentially in the third mode, and controls the magnitude of the rotation speed in the first rotation to increase sequentially.
제1항에 있어서,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삼상의 상기 팬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인버터는, 상기 제2 모드 동작시, 상기 제1 모드 동작시에 상기 팬 모터에 흐르는 삼상 전류 중 두 상 전류의 위상이 가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inverter for converting the AC power to a three-phase fan motor using a DC power source,
Wherein the inverter controls the phases of the two phase currents of the three-phase currents flowing through the fan motor during the second mode operation and during the first mode operation to be variab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팬 모터에 흐르는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n invert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verter based on an output current flowing to the fan mot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배치되는 제1 초음파 센서;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제2 초음파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초음파 센서와 상기 제2 초음파 센서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부와 상기 본체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6. The method of claim 5,
A first ultrasonic sensor disposed at the connection portion; And
And a second ultrasonic sensor disposed on the main body,
Wherein,
And calculates a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unit and the main body based on the first ultrasonic sensor and the second ultrasonic sens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주행부; 및
상기 주행부를 구동하는 주행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연결부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6. The method of claim 5,
A traveling part for moving the main body; And
And a traveling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traveling unit,
Wherein,
And controls the traveling drive unit based on a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nnection unit.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팬 모터;
상기 제1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팬 모터를 제1 방향 회전시켜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팬 모터를 상기 제2 방향 회전 및 상기 제1 방향 회전이 반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first mode or a second mode;
Fan motor;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an motor to generate a suction force by rotating the fan motor in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fan motor is set to the first mode and controls the fan motor to rotat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first direction,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vacuum cleaner to repeatedly control the vacuum cleaner.
KR1020160010064A 2016-01-27 2016-01-27 cleaner KR1024547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064A KR102454763B1 (en) 2016-01-27 2016-01-27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064A KR102454763B1 (en) 2016-01-27 2016-01-27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627A true KR20170089627A (en) 2017-08-04
KR102454763B1 KR102454763B1 (en) 2022-10-13

Family

ID=59654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064A KR102454763B1 (en) 2016-01-27 2016-01-27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76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262B1 (en) * 2021-08-30 2022-03-21 (주) 캐치웰 Cleaning apparatus with automatic electric charging and dust discharg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5801A (en) * 2007-06-01 200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40077437A (en) * 2012-12-14 2014-06-24 김성준 Vaccum cleaner with air cleaner fun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5801A (en) * 2007-06-01 200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40077437A (en) * 2012-12-14 2014-06-24 김성준 Vaccum cleaner with air cleaner fun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262B1 (en) * 2021-08-30 2022-03-21 (주) 캐치웰 Cleaning apparatus with automatic electric charging and dust discharging
WO2023033453A1 (en) * 2021-08-30 2023-03-09 (주) 캐치웰 Cleaning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 power charging and dust empty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4763B1 (en)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213B1 (en) Clean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0631700B2 (en) Motor driving apparatus and home appliance comprising same
JP4896166B2 (en) Stick type vacuum cleaner
EP3767817B1 (en) Motor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70089627A (en) cleaner
JP4383576B2 (en) Vacuum cleaner and inverter device
KR101864278B1 (en) MOtor driver and cleaner including the same
KR102292252B1 (en) cleaner
KR102184546B1 (en) Motor driving apparatus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JP4785908B2 (en) Stick type cleaner
KR20190143261A (en) Motor driving apparatus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KR101882215B1 (en) MOtor driver and cleaner including the same
KR102278212B1 (en) Motor driving apparatus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KR102278219B1 (en) Motor driving apparatus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KR102201292B1 (en) Motor driving apparatus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KR102396562B1 (en) Motor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13647010A (en) Motor drive device, electric blower, electric vacuum cleaner, and hand dryer
KR102187749B1 (en) Motor driving apparatus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JP7105914B2 (en) Motor controllers, electric blowers and vacuum cleaners
JP2004248395A (en) Motor drive
JP2006167239A (en) Vacuum cleaner
WO2020194753A1 (en) Motor drive device, electric vacuum cleaner, and hand dryer
KR20210003483A (en) Motor driving apparatus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