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9415A - 리보솜 불활성화를 통한 중합체 면역글로불린 수용체 단백질의 발현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리보솜 불활성화를 통한 중합체 면역글로불린 수용체 단백질의 발현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9415A
KR20170089415A KR1020170011057A KR20170011057A KR20170089415A KR 20170089415 A KR20170089415 A KR 20170089415A KR 1020170011057 A KR1020170011057 A KR 1020170011057A KR 20170011057 A KR20170011057 A KR 20170011057A KR 20170089415 A KR20170089415 A KR 20170089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r
expression
protein
ribosome inactivation
ribos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1860B1 (ko
Inventor
문유석
도기헌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70089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4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involving specific cell typ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04Determining presence or kind of microorganism; Use of selective media for testing antibiotics or bacteriocides; Compositions containing a chemical indicator therefor
    • C12Q1/06Quantitative determ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82Supracellular entities, e.g. tissue, organisms
    • G01N33/5088Supracellular entities, e.g. tissue, organisms of vertebr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보솜 불활성화를 통한 중합체 면역글로불린 수용체(poly immunoglobulin receptor; pIgR) 단백질의 발현 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리보솜 불활성화를 통해 pIgR의 mRNA 안정성을 감소시켜, pIgR 단백질 발현을 억제시키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리보솜 불활성화에 의해, pIgR의 단백질 발현 억제, 마우스 장내 박테리아 부착 증가 및 인터페론 유도 pIgR의 mRNA 안정성 감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결과는 동물실험 모델에서 균총에 대한 감수성을 항진시키는데 기여하여 특정 균총에 의한 기능 활성 연구에 활용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리보솜 불활성화를 통한 중합체 면역글로불린 수용체 단백질의 발현 조절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expression of poly immunoglobulin receptor protein by ribosome inactivation}
본 발명은 리보솜 불활성화를 통한 중합체 면역글로불린 수용체(poly immunoglobulin receptor; pIgR) 단백질의 발현 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리보솜 불활성화를 통해 pIgR의 mRNA 안정성을 감소시켜, pIgR 단백질 발현을 억제시키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점막 상피 면역 시스템은 독성 화합물 및 병원균을 포함하는 다양한 환경적 영향에 대응하기 위한 1차 방어선이다. 중합체 면역글로불린 수용체(poly immunoglobulin receptor; pIgR)는 점막에서 면연글로불린 A(immunoglobulin A; IgA)의 수송을 통하여 외부의 병원균에 대하여 1차적인 방어를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IgR은 장관(intestinal tract) 및 폐의 점막 상피 세포 기저측막(basolateral membrane)에서 선택적으로 발현되는 막관통 당단백질(transmembrane glycoprotein)이다. 상피 내 pIgR 발현 감소는 IgA의 분비를 억제하는데, 이는 감염 및 염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즉, IgA 겹핍은 염증성 장 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을 포함하는 장내 염증 질환에 대한 예측인자가 될 수 있다. 병원성 박테리아는 IgA-결핍 개체에서 점막 상피 세포에 쉽게 정착하고, 점막하(sub-mucosa) 부위로 이동하는데, 이를 통해 염증성 반응이 시작된다. 즉, IgA는 점막에서 균의 침투를 억제하고 정착을 어렵게 하기 때문에 특정 균총의 활성 연구 측면에서는 감수성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리보솜 불활성화는 급성 및 만성 점막 염증을 유발하고, IBD를 포함하는 인간 장내 상피 염증 질환의 병리 인자인 것으로 알려졌다. 리보솜-불활성화 화합물에 대한 전신성 급성 반응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폭풍에 의한 심각한 패혈증 유사 증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론적으로, 리보솜 불활성화는 장내 및 전신성 염증 모두를 촉발시키는데, 이는 상피 및 다른 면역 관련 세포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산을 유도하는데 따른 것이다.
일본공개특허 제2006-213671호(2006.08.17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리보솜 불활성화를 통한 중합체 면역글로불린 수용체(poly immunoglobulin receptor; pIgR) 단백질의 발현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보솜 불활성화를 통해 pIgR mRNA의 안정성을 감소시켜 pIgR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IgR 단백질의 발현 조절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리보솜 불활성화를 통한 중합체 면역글로불린 수용체(poly immunoglobulin receptor; pIgR) 단백질의 발현 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리보솜 불활성화를 통해 pIgR의 mRNA 안정성을 감소시켜, pIgR 단백질 발현을 억제시키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리보솜 불활성화에 의해, pIgR의 단백질 발현 억제, 마우스 장내 박테리아 부착 증가 및 인터페론 유도 pIgR의 mRNA 안정성 감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결과는 동물실험 모델에서 균총에 대한 감수성을 항진시키는데 기여하여 특정 균총에 의한 기능 활성 연구에 활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리보솜 불활성화에 의한 마우스 장내 pIgR의 발현 억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리보솜 결합 에니소마이신(ANS)에 의한 마우스 장내 박테리아 부착 증가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장 상피세포에서 리보솜 결합 조성물의 농도에 따른 pIgR 단백질 발현 감소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장상피세포주에서 다양한 리보솜 결합 조성물에 의한 pIgR 단백질 발현 감소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리보솜 결합 데옥시니발레놀(DON)에 의한 pIgR mRNA 안정성 감소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리보솜 불활성화가 pIgR mRNA 안정성을 감소시키는데 있어, HuR 단백질과의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세포 내에서 pIgR 전사체와 결합하는 HuR 단백질을 측정하기 위한 RNA 면역침전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리보솜 불활성화에 의한 pIgR 억제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인간 점막 상피세포에서 리보솜 불활성화-매개 점막 면역질환 발병 기작의 추정 모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리보솜 불활성화가 점막에서 IgA 수송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가정하고, 장내 상피 및 장세포(enterocytes)에서 리보솜 불활성화에 따른 pIgR 수준을 측정하였다. 상피 pIgR 수준의 변화는 점막 방어 및 IgA 수준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즉, 리보솜 불활성화에 따른 상피 IgA 수송의 조절 기작이 인간 점막-관련 질환과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리보솜 불활성화를 통한 중합체 면역글로불린 수용체(poly immunoglobulin receptor; pIgR) 단백질의 발현 조절 방법을 제공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기 pIgR 단백질의 발현 조절은 pIgR mRNA의 안정성을 감소시켜 pIgR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pIgR mRNA의 안정성 감소는 HuR 단백질의 세포질 내 유출 억제를 통한 것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리보솜 불활성화는 데옥시니발레놀(deoxynivalenol; DON), 에니소마이신(anisomycin; ANS), 니발레놀(nivalenol; NIV) 또는 15-아세틸 DON(15-acetyl DON)을 처리하여 유도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세하게는, 상기 pIgR 단백질의 발현은 RT-PCR, 경쟁적 RT-PCR(Competitive RT-PCR), 실시간 RT-PCR (Real-time RT-PCR), 웨스턴 블랏팅,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ay), 유세포분석(Flow Cytometry) 및 조직면역염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 실시예 1> 리보솜 불활성화에 의한 마우스 장내 pIgR의 발현 억제
1. 실험방법
리보솜 결합 조성물에 의한 리보솜 불활성화를 통해 마우스 장내 pIgR 발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25mg/kg의 농도로 리보솜 결합 조성물인 데옥시니발레놀(deoxynivalenol; DON) 또는 에니소마이신(anisomycin; ANS)을 경구 투여하였다. 24 시간 후, 장을 적출하여 고정하고 횡단면을 절단 후 pIgR 특이적 항체(Santa Cruz, 미국)를 반응시켰다. 그 다음 DAB 및 헤마톡실린(Hematoxylin) 염색을 통하여 단백질 발현 양을 확인하고, 이를 Histo-Quest software를 통하여 정량화하였다. 마우스 장내의 pIgR mRNA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적출한 장을 RNA 추출 키트 RiboEX(GeneAll, 한국)에 넣고 바로 질소에 얼린 다음 homogenization beads (Becton Dickinson, 미국)를 이용하여 균질화시켰다. 이후 RNA의 분리는 RiboEX 에 제공된 메뉴얼을 참고로 수행하였으며, UV-Vis 형광분광광도계(UV-Vis fluorescence spectrophotometer; Thermo, 미국)을 사용하여 정량화하였다. 분리된 RNA는 TOPscript RT DryMIX 키트(Enzynomics, 한국)를 사용하여 키트에 제공된 메뉴얼을 참고로 cDNA로 변환 시킨 다음 각각 특이적인 primer를 사용하여 PCR을 한 후 정량화 하였다. 대조군으로 GAPDH(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의 mRNA 발현량을 이용하였다.
PCR에 수행된 각 프라이머는 (주)코스모진텍(한국)에 의뢰하여 합성하였으며, 각 프라이머의 서열정보는 하기 표 1과 같다.
프라이머 서열
h-pIgR forward 5'-TGC TAC TAC CCA CCC ACC TC-3'
reverse 5'-AAC CAC TGG AGT CGA TGA CC-3'
m-pIgR forward 5'-GGT GAC TCT CGC TGG AGA AC-3'
reverse 5'-TGC ATC TGT TGG GTT GAC AT-3'
GAPDH forward 5'-TCA ACG GAT TTG GTC GTA TT-3'
reverse 5'-CTG TGG TCA TGA GTC CTT CC-3'
2. 실험결과
리보솜 기능장애를 가진 실험동물에서의 IgA 생산 변화가 장내 pIgR 발현과 관련될 수도 있다고 가정하고, 본 발명자들은 마우스 장내에서 리보솜 불활성화에 따른 상피 pIgR 발현을 측정하였다. 정상 내장 상피조직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pIgR이 발현되었으나, 리보솜 불활성화를 일으키는 리보솜 결합 조성물(ANS 또는 DON)을 위장관에 처리하면 pIgR 단백질의 발현이 억제되었다(도 1A). 또한, 리보솜을 불활성화시키는 ANS는 용량-의존적 방법으로 상피 pIgR mRNA 발현을 감소시켰다(도 1B).
< 실시예 2> 리보솜 불활성화에 의한 마우스 장내 박테리아 부착 증가
1. 실험방법
장내 존재하는 기존의 우점균으로부터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5g/l 농도의 항생제(streptomycin)를 물에 섞어 24시간 동안 먹인 후 리보솜 결합 조성물인 에니소마이신(Anisomycin, ANS)을 25mg/kg의 농도로 경구 투여하였다. 24시간 후, 형광발색을 하는 EPEC-GFP (Enteropathogenic Escherichia coli)을 각 마우스에 109의 개수로 경구 투여하고, 4일 후에 장을 적출하여 고정하고 횡단면을 절단 후 형광현미경 (AXIO Imager. M2 ;ZEISS, 독일)으로 분석하였다.
2. 실험결과
본 발명자들은 pIgR 결핍 또는 리보솜 기능장애를 가진 마우스 장내 상피에서 GFP-표지된 EPEC(Enteropathogenic Escherichia coli)의 분포를 관측하였다. pIgR에 대한 IgA 분비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이미 보고된 EPEC 감염 마우스 모델을 사용하였다(Infect Immun 73:1161-1170, 2005). 특히, C57BL/6J 마우스는 EPEC 감염에 민감하지만, 심각한 설사를 동반하지 않고도 EPEC 감염에 대한 상피 반응을 연구하기 위해 적합한 in vivo 모델이다. 우선, EPEC는 소장의 상피 내층에 콜로니를 형성함으로써 염증성 위장 질환을 유발한다.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상피 표면상에 도입된 EPEC 확립 콜로니의 일부가 지속적으로 관측되고, 이의 장내 부착이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대장 상피 표면으로의 박테리아 부착은 pIgR 결핍 또는 리보솜 불활성화에 의해 향상되었다(도 2). pIgR 결핍 또는 리보솜 불활성화된 마우스에서, EPEC의 지속적인 표면 부착은 대조군 마우스보다 빠르게 일어났다. 이는 내장 상피로의 박테리아 이동이 IgA 분비-매개 방어 기작의 붕괴로 인해 촉진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 실시예 3> 리보솜 불활성화에 의한 pIgR의 단백질 발현 억제효과
1. 실험방법
리보솜 자극제에 의한 pIgR의 단백질 발현조절을 확인하기 위하여, HCT-8 인간 장내 상피세포를 5*10^5개의 수로 60mm 세포배양전용 플레이트에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20 ng/ml 농도의 인터페론 감마와 각 농도별 데옥시니발레놀(deoxynivalenol; DON)(Sigma, 미국) 및 에니소마이신(anisomycin; ANS)(Sigma, 미국)을 48시간 동안 처리 후 고정하여 pIgR 특이적 항체를 반응시켜 단백질 발현을 유세포분석기(FACS Canto II; Becton Dickinson, 미국)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2. 실험결과
pIgR 발현에 대한 리보솜 불활성화의 효과를 HCT-8 인간 장내 상피세포에서도 확인하였다. HCT-8 세포주는 염증성 질환 및 미생물 감염에 대한 장 세포 모델로서 널리 사용된다. 또한, HCT-8 세포의 기원인 소장의 회맹장(ileocecum)은 리보솜 불활성화와 관련된 발병에 가장 민감한 부위 중 하나이다. 하지만, 분리된 장내 상피 세포는 일반적으로 pIgR 발현이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생리학적으로 염증성 내장 상피 환경을 촉진하기 위해서, 인터페론 감마(interferon gamma; IFNγ)와 같은 pIgR 촉진 내재성 인자를 추가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pIgR 발현을 증가시켜, 장내 상피 세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IFNγ를 첨가하였다. 리보솜 불활성화 스트레스 하에 놓인, IFNγ-유도 pIgR 단백질의 발현은 유세포분석을 통하여 측정하였다(도 3). in vivo 결과와 유사하게, 리보솜 불활성화 화합물(DON 또는 ANS)에 의한 pIgR 발현은 용량-의존적 방식으로 상당히 감소하였다(도 3).
<실시예 4> 장 상피세포에서 리보솜 결합 조성물에 의한 pIgR 단백질 발현 감소
1. 실험방법
다양한 인간 장 상피세포주에서 데옥시니발레놀(deoxynivalenol; DON), 에니소마이신(anisomycin; ANS), 니발레놀(nivalenol; NIV) 또는 15-아세틸 DON(15-acetyl DON) 에 의한 리보솜 불활성화가 IFNγ에 의해 유도된 pIgR 단백질 발현조절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피세포를 5*10^5 개의 수로 60mm 세포배양전용 플레이트에 48 시간동안 배양 하였다. 그 다음 20 ng/ml 농도의 인터페론감마와 1000 ng/ml 농도의 리보솜결합 조성물을 48시간 동안 처리 후 고정하여 pIgR 특이적 항체를 반응시켜 단백질 발현을 유세포분석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2. 실험결과
인간 장내 상피세포주인 HCT-8, Intestine 407 및 HT-29에서 데옥시니발레놀(deoxynivalenol; DON), 에니소마이신(anisomycin; ANS), 니발레놀(nivalenol; NIV) 또는 15-아세틸 DON(15-acetyl DON) 에 의한 리보솜 불활성화가 IFNγ에 의해 유도된 pIgR 단백질 발현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 실시예 5> 리보솜 불활성화에 의한 인터페론 유도 pIgR의 mRNA 안정성 감소 효과
1. 실험방법
리보솜 자극제에 의한 pIgR mRNA의 안정성 기여도를 보기 위하여 HCT-8 인간 장내 상피세포를 2.5*10^5개의 수로 35mm 세포배양전용 플레이트에 48시간 동안 배양을 하였다. 그 다음 500 ng/ml 농도의 데옥시니발레놀(Deoxynivalenol)을 12시간 동안 전처리 후 20 ng/ml 농도의 인터페론 감마를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대조군 및 실험군에 전사 억제 인자인 액티노마이신 D(Actinomycin D) (Sigma, 미국)를 5 μM 농도로 처리를 하고 각각의 시간대에 회수하여 RNA 추출을 하였다. 이후 역전사 효소를 사용하여 추출된 남은 RNA를 cDNA로 변환시킨 다음 정량화하여 반감기를 계산하였다.
2. 실험결과
IRF-1 또는 NF-κB를 통한 전사 조절은 리보솜 불활성화에 의한 pIgR 발현 억제를 설명할 수 없었으므로, 본 발명자들은 pIgR mRNA 안정성과 관련된 전사 후 조절에 대한 리보솜 불활성화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IFNγ-촉진 조건하에서, 리보솜 불활성화는 pIgR mRNA 안정성을 상당히 감소시켰다(도 5).
< 실시예 6> 리보솜 불활성화에 의한 HuR 단백질 세포질 내 유출억제를 통한 pIgR mRNA 안정성 감소
1. 실험방법
리보솜 불활성화가 pIgR mRNA 안정성을 감소시키는데, HuR 단백질이 관련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공벡터 또는 센스(sense) HuR 발현 플라스미드-형질감염된 HCT-8 세포에 20 ng/ml IFN-γ 존재 하에서, 500 ng/ml DON 또는 50 ng/ml ANS를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한편, 세포 내에서 pIgR 전사체와 결합하는 HuR 단백질을 측정하기 위해서 RNA 면역침전분석을 수행하였다. HCT-8 세포에 500 ng/ml DON (D) 존재 유무에 따라, 20 ng/ml IFN-γ (I)를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면역침전된 전사체는 실시간 RT-PCR로 측정하였다. *p < 0.05, 대조군과의 유의적 차이를 나타낸다.
2. 실험결과
mRNA 안정화에 주요한 기능을 하는 HuR 단백질이 비교적 긴 시간(12시간 이상)의 리보솜스트레스에 의해서 세포질로 유출이 제한되고 이로 인하여 pIgR의 mRNA 안정화가 저해되었다. 따라서 HuR 과발현 해주면 pIgR의 mRNA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 또한, IFN-γ는 pIgR 전사체와 HuR 단백질의 결합을 상당히 증가시켰는데, 이는 리보솜 불활성화에 의해 pIgR이 완전히 억제된다는 것을 나타낸다(도 7).
결론적으로, 도 8에서는 리보솜 불활성화에 의한 pIgR 억제 모식도를 나타냈고, 도 9에는 인간 점막 상피세포에서 리보솜 불활성화-매개 점막 면역질환 발병 기작의 추정 모식도를 나타냈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동물실험 모델에서 균총에 대한 감수성을 항진시키는데 기여하여 특정 균총에 의한 기능 활성 연구에 활용될 수도 있다.

Claims (6)

  1. 리보솜 불활성화를 통한 중합체 면역글로불린 수용체(poly immunoglobulin receptor; pIgR) 단백질의 발현 조절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IgR 단백질의 발현 조절은 pIgR mRNA의 안정성을 감소시켜 pIgR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IgR 단백질의 발현 조절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IgR mRNA의 안정성 감소는 HuR 단백질의 세포질 내 유출 억제를 통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pIgR 단백질의 발현 조절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보솜 불활성화는 데옥시니발레놀(deoxynivalenol; DON), 에니소마이신(anisomycin; ANS), 니발레놀(nivalenol; NIV) 또는 15-아세틸 DON(15-acetyl DON)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IgR 단백질의 발현 조절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보솜 불활성화는 박테리아의 장내 상피 표면 부착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IgR 단백질의 발현 조절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IgR 단백질의 발현은 RT-PCR, 경쟁적 RT-PCR(Competitive RT-PCR), 실시간 RT-PCR (Real-time RT-PCR), 웨스턴 블랏팅,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ay), 유세포분석(Flow Cytometry) 및 조직면역염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IgR 단백질의 발현 조절 방법.
KR1020170011057A 2016-01-25 2017-01-24 리보솜 불활성화를 통한 중합체 면역글로불린 수용체 단백질의 발현 조절 방법 KR1019718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08622 2016-01-25
KR1020160008622 2016-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415A true KR20170089415A (ko) 2017-08-03
KR101971860B1 KR101971860B1 (ko) 2019-04-26

Family

ID=59655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057A KR101971860B1 (ko) 2016-01-25 2017-01-24 리보솜 불활성화를 통한 중합체 면역글로불린 수용체 단백질의 발현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8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7472A (ja) * 1999-07-06 2003-02-25 エンファーマ エル.ピー. 消化管運動および食物摂取を調節するための方法ならびに組成物
JP2006213671A (ja) 2005-02-04 2006-08-17 Taiyo Kagaku Co Ltd 粘膜免疫賦活組成物
US20090325868A1 (en) * 2007-05-11 2009-12-3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Materials And Methods For FOXP3 Tumor Suppression
KR20100044432A (ko) * 2008-10-22 2010-04-30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초상자성 특성을 갖는 마이크론 크기의 실리카 코어/자성체쉘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7472A (ja) * 1999-07-06 2003-02-25 エンファーマ エル.ピー. 消化管運動および食物摂取を調節するための方法ならびに組成物
JP2006213671A (ja) 2005-02-04 2006-08-17 Taiyo Kagaku Co Ltd 粘膜免疫賦活組成物
US20090325868A1 (en) * 2007-05-11 2009-12-3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Materials And Methods For FOXP3 Tumor Suppression
KR20100044432A (ko) * 2008-10-22 2010-04-30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초상자성 특성을 갖는 마이크론 크기의 실리카 코어/자성체쉘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arnhart MD et al., Cell Reports, Vol 5, pp 909-917.(2013.11.27.)* *
S Bouhet et al., The effects of mycotoxins, fungal food contaminants, on the intestinal epithelial cell-drived innate immune response, Veterinary immunology and immunopathology, 2005, v.108, pp199-20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860B1 (ko) 201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horenz et al. Enhanced activation of interleukin-10, heme oxygenase-1, and AKT in C5aR2-deficient mice is associated with protection from ischemia reperfusion injury–induced inflammation and fibrosis
Seregin et al. NLRP6 function in inflammatory monocytes reduces susceptibility to chemically induced intestinal injury
Ohtake et al. Hepcidin is down‐regulated in alcohol loading
Hayakawa et al. Apoptosis signal-regulating kinase 1 regulates colitis and colitis-associated tumorigenesis by the innate immune responses
O'Brien et al. IL-17A synergistically enhances bile acid–induced inflammation during obstructive cholestasis
Fragiadaki et al. STAT5 drives abnormal proliferation in autosomal dominant polycystic kidney disease
Tsuji et al.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1 agonists as candidates for anti-inflammatory and immunomodulatory agents
Okuda et al. Intracellular replication of Edwardsiella tarda in murine macrophage is dependent on the type III secretion system and induces an up-regulation of anti-apoptotic NF-κB target genes protecting the macrophage from staurosporine-induced apoptosis
Gu et al. Macrophage migration inhibitory factor is essential for osteoclastogenic mechanisms in vitro and in vivo mouse model of arthritis
Berger et al. The Citrobacter rodentium type III secretion system effector EspO affects mucosal damage repair and antimicrobial responses
Zeng et al. An engineering probiotic producing defensin-5 ameliorating dextran sodium sulfate-induced mice colitis via Inhibiting NF-kB pathway
Ni et al. CX3CL1/CX3CR1 interaction protects against lipotoxicity-induced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by regulating macrophage migration and M1/M2 status
Lee et al. Clostridium difficile toxin A promotes dendritic cell maturation and chemokine CXCL2 expression through p38, IKK, and the NF-κB signaling pathway
Nahidi et al. Osteoprotegerin exerts its pro-inflammatory effects through nuclear factor-κB activation
Jain et al. Gene expression profiling of gastrin target genes in parietal cells
Hashiguchi et al. Peyer's patch innate lymphoid cells regulate commensal bacteria expansion
Hitkova et al. Caveolin-1 protects B6129 mice against Helicobacter pylori gastritis
Bao et al. Interleukin‐4 up‐regulation of epidermal interleukin‐19 expression in keratinocytes involves the binding of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6 (Stat6) to the imperfect Stat6 sites
Kader et al. Interferon type i regulates inflammasome activation and high mobility group box 1 translocation in hepatocytes during Ehrlichia‐induced acute liver injury
Li et al. SIGIRR participates in negative regulation of LPS response and tolerance in human bladder epithelial cells
Yan et al. Involvement of multiple transcription factors in regulation of IL-β-induced MCP-1 expression in alveolar type II epithelial cells
KR101971860B1 (ko) 리보솜 불활성화를 통한 중합체 면역글로불린 수용체 단백질의 발현 조절 방법
Eshleman et al. Microbiota-derived butyrate restricts tuft cell differentiation via histone deacetylase 3 to modulate intestinal type 2 immunity
Zhong et al. Endothelin-1 induces interleukin-18 expression in human osteoblasts
WO2022137964A1 (ja) 軟骨・骨・関節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用医薬組成物および軟骨・骨・関節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用薬剤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