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8267A - 멀티 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동기화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동기화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8267A
KR20170088267A KR1020160088578A KR20160088578A KR20170088267A KR 20170088267 A KR20170088267 A KR 20170088267A KR 1020160088578 A KR1020160088578 A KR 1020160088578A KR 20160088578 A KR20160088578 A KR 20160088578A KR 20170088267 A KR20170088267 A KR 20170088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content
playback
terminal
mast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길현
신현섭
Original Assignee
(주)인텔리안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텔리안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인텔리안시스템즈
Publication of KR20170088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6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the same content streams on multiple devices, e.g. when family members are watching the same movie on differ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6Gene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멀티 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동기화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서비스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과 동시에 재생할 동기화 컨텐츠 및 상기 동기화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스케줄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스케줄에 기초하여 동기화의 기준이 되는 재생 기준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재생 기준 시간을 포함하는 재생 메시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재생 기준 시간에 맞추어 상기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재생 기준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화 컨텐츠의 현재 재생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 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동기화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SYNCHRONIZING IMAGE OUTPUT VIA MULTI SCREEN USING SOFTWARE AND APPARATUS THEREOF}
아래 실시예들은 멀티 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동기화에 관한 것이다.
멀티 스크린의 재생 동기화는 컨텐츠를 재생함에 있어서 복수의 모니터를 하나의 모니터처럼 재생하는 것을 말한다. 재생 동기화는 제한된 사이즈의 스크린을 다수 활용하여 큰 사이즈의 영상을 구현하거나, 복수의 스크린을 통해 특수한 효과의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종래 재생 동기화는 매트록스와 같은 전문 그래픽 카드를 통해 소스를 여러 출력 장치로 내보내는 기술과, 산업용 모니터의 데이지 체인과 같이 모니터에서 입력 소스를 받아 입력 영상을 물리적으로 분할하여 다른 모니터로 전달하는 기술이 있다. 전문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들고, 확장 가능한 모니터의 수에 한계가 있다. 또한, 영상을 재생하는 단말의 사양에 따라 고해상도의 영상을 재생하는 것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데이지 체인의 경우 영상이 분배됨에 따라 해상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재생 동기화 기술이 요구된다.
아래 실시예들은 소프트웨어를 통한 재생 동기화에 따라 동기화 컨텐츠의 해상도 제한과 멀티 스크린 수의 한계를 없애고, 단말의 사양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일 측에 따른 마스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서비스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과 동시에 재생할 동기화 컨텐츠 및 상기 동기화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스케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에 기초하여 동기화의 기준이 되는 재생 기준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재생 기준 시간을 포함하는 재생 메시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재생 기준 시간에 맞추어 상기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을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 기준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화 컨텐츠의 현재 재생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마스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에서 상기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상태 체크 메시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생 메시지 및 상태 체크 메시지는 상기 동기화 컨텐츠의 동기화 ID, 상기 재생 기준 시간 및 마스터 단말의 현재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재 재생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재생 기준 시간과 마스터 단말의 현재 시간 간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경과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과 시간과 현재 재생 위치 간의 오차가 임계 값을 넘는 경우, 상기 현재 재생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단말은 상기 마스터 단말에게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마스터 스크린에 상기 동기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은 각각 자신에게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스크린에 상기 동기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동기화 컨텐츠는 다른 컨텐츠와 상기 동기화 컨텐츠를 구별하기 위한 동기화 ID를 포함하고, 마스터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은 상기 동기화 ID를 통해 상기 동기화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의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된 슬레이브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재생 메시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주소를 통해 상기 재생 메시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슬레이브 단말의 동작 방법은 서비스 서버로부터 마스터 단말과 동시에 재생할 동기화 컨텐츠 및 상기 동기화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스케줄을 수신하는 단계; 동기화의 기준이 되는 재생 기준 시간을 포함하는 재생 메시지를 상기 마스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생 기준 시간에 맞추어 상기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을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 기준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화 컨텐츠의 현재 재생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 기준 시간은 상기 스케줄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 단말에 의해 설정된다.
상기 슬레이브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마스터 단말로부터 상기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상태 체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생 메시지 및 상태 체크 메시지는 상기 동기화 컨텐츠의 동기화 ID, 상기 재생 기준 시간 및 상기 마스터 단말의 현재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기화 컨텐츠가 재생 중이지 않은 경우, 상기 상태 체크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상기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재 재생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재생 기준 시간과 마스터 단말의 현재 시간 간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경과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과 시간과 현재 재생 위치 간의 오차가 임계 값을 넘는 경우, 상기 현재 재생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기화 컨텐츠는 다른 컨텐츠와 상기 동기화 컨텐츠를 구별하기 위한 동기화 ID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단말 및 슬레이브 단말은 상기 동기화 ID를 통해 상기 동기화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은 마스터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에서 동시에 재생될 동기화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동기화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 컨텐츠 및 상기 스케줄을 상기 마스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단말은 상기 스케줄에 기초하여 동기화의 기준이 되는 재생 기준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재생 기준 시간을 포함하는 재생 메시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마스터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은 상기 재생 기준 시간에 맞추어 상기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을 시작하고, 상기 재생 기준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화 컨텐츠의 현재 재생 위치를 보정한다.
상기 마스터 단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에서 상기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상태 체크 메시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에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재생 메시지 및 상태 체크 메시지는 상기 동기화 컨텐츠의 동기화 ID, 상기 재생 기준 시간 및 마스터 단말의 현재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기화 컨텐츠는 다른 컨텐츠와 상기 동기화 컨텐츠를 구별하기 위한 동기화 ID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은 상기 동기화 ID를 통해 상기 동기화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다.
아래 실시예들에 따르면 소프트웨어를 통한 재생 동기화 기법을 통해 동기화 컨텐츠의 해상도에 제한을 없애고, 멀티 스크린의 수에 한계를 없애면서, 단말의 사양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재 재생 위치의 보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메시지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ID를 통한 스크린의 할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ID를 통한 동기화 컨텐츠의 식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시 스크린의 표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동기화 시스템은 서비스 서버(110), 마스터 단말(130) 및 슬레이브 단말들(151, 153, 155)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슬레이브 단말이 복수인 경우에 관해 설명하겠지만 슬레이브 단말은 단수일 수도 있다. 마스터 단말(130) 및 슬레이브 단말들(151, 153, 155)은 각각 마스터 스크린(171) 및 슬레이브 스크린들(173, 175, 177)에 컨텐츠를 재생한다. 도 1에는 마스터 단말(130) 및 슬레이브 단말들(151, 153, 155)이 하나의 스크린에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가 나타나 있으나, 마스터 단말(130) 및 슬레이브 단말들(151, 153, 155)은 각각 하나 이상의 스크린에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10)는 스크린들(171, 173, 175, 177)에서 동시에 재생하고자 하는 동기화 컨텐츠 및 동기화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스케줄을 결정한다. 스케줄은 동기화 컨텐츠가 재생될 단말, 스크린 및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10)는 동기화 컨텐츠에 동기화 ID를 부여할 수 있다. 동기화 ID는 마스터 단말(130) 및 슬레이브 단말들(151, 153, 155)이 해당 동기화 컨텐츠를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10)는 동기화 컨텐츠 및 스케줄을 마스터 단말(130) 및 슬레이브 단말들(151, 153, 155)에 전송한다.
마스터 단말(130) 및 슬레이브 단말들(151, 153, 155)은 동기화 컨텐츠 및 스케줄을 수신하고 자신의 저장 장치에 동기화 컨텐츠 및 스케줄을 저장할 수 있다. 마스터 단말(130) 및 슬레이브 단말들(151, 153, 155)은 스케줄에 따라 동기화 컨텐츠를 자신에게 할당된 스크린을 통해 재생할 수 있다. 마스터 단말(130) 및 슬레이브 단말들(151, 153, 155)은 단일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고, 이 때 서로간에 주고받는 메시지는 지연 없이 실시간으로 수신될 수 있다. 마스터 단말(130) 및 슬레이브 단말들(151, 153, 155)은 동기화 ID를 통해 저장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에 재생하고자 하는 동기화 컨텐츠를 식별하고, 정해진 시간에 맞추어 동시에 재생할 수 있다.
스크린들(171, 173, 175, 177)에서 재생되는 동기화 컨텐츠의 타이밍은 1차 동기화 및 2차 동기화를 통해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다. 1차 동기화는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 시작 단계에서 재생 기준 시간을 통해 동기화 컨텐츠를 동기화하는 것이고, 2차 동기화는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 단계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모니터링하여 보정하는 것이다. 마스터 단말(130)은 재생 기준 시간을 결정하고, 자신의 현재 시간을 슬레이브 단말들(151, 153, 155)에 지속적으로 알릴 수 있다. 마스터 단말(130) 및 슬레이브 단말들(151, 153, 155)은 하나의 기준 시간에 맞추어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을 시작할 수 있고, 슬레이브 단말들(151, 153, 155)은 자신의 현재 시간을 마스터 단말(130)에 지속적으로 맞추고,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 단계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슬레이브 단말들(151, 153, 155)은 밀리 세컨드(mille second) 단위로 자신의 현재 시간과 마스터 단말(130)의 현재 시간을 지속적으로 맞출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210)에서, 서비스 서버는 마스터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에서 동시에 재생될 동기화 컨텐츠를 결정한다. 서비스 서버는 동기화 컨텐츠에 동기화 ID를 부여할 수 있다.
단계(220)에서, 서비스 서버는 동기화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스케줄을 결정한다. 서비스 서버는 동기화 컨텐츠를 재생할 마스터 단말, 슬레이브 단말 및 각각의 스크린을 편성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는 동기화 컨텐츠가 재생될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이러한 정보를 스케줄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단계(230)에서, 서비스 서버는 동기화 컨텐츠 및 스케줄을 마스터 단말 및 슬레이브 단말로 전송한다. 서비스 서버는 마스터 단말로 슬레이브 단말에 관한 슬레이브 목록을 전송할 수 있다. 슬레이브 목록은 슬레이브 단말의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240)에서, 마스터 단말은 스케줄에 기초하여 동기화의 기준이 되는 재생 기준 시간을 설정한다. 마스터 단말 및 슬레이브 단말은 이러한 재생 기준 시간에 맞추어 동기화 컨텐츠를 동시에 재생함으로써 동기화를 구현할 수 있다. 스케줄에 의한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 시간이 도래한 경우, 마스터 단말은 마스터 단말의 현재 시간에 일정 시간을 더하여 재생 기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스케줄에 따른 특정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 시간이 1시인 경우, 마스터 단말의 현재 시간이 1시가 됨에 따라 그로부터 1초 이후인 1시 1초를 재생 기준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단계(250)에서, 마스터 단말은 스케줄에 기초하여 재생 대상을 설정한다. 마스터 단말은 스케줄에 포함된 동기화 ID에 기초하여 재생 대상이 되는 동기화 컨텐츠를 식별하고, 스케줄에 포함된 편성 정보에 기초하여 동기화 컨텐츠를 재생하는 슬레이브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마스터 단말은 마스터 단말의 저장 장치에서 재생 대상이 되는 동기화 컨텐츠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서비스 서버에 동기화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재생 기준 시간은 동기화 컨텐츠가 정상적으로 수신된 이후에 다시 설정될 수 있다.
단계(260)에서, 마스터 단말은 슬레이브 단말에 재생 메시지를 전송한다. 재생 메시지는 동기화 컨텐츠의 동기화 ID, 재생 기준 시간 및 마스터 단말의 현재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단말은 슬레이브 단말의 네트워크 주소를 통해 슬레이브 단말에 재생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슬레이브 단말은 동기화 ID를 통해 재생의 대상이 되는 동기화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다. 슬레이브 단말은 재생 메시지에 포함된 마스터 단말의 현재 시간에 기초하여 자신의 시간을 마스터 단말의 현재 시간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다. 마스터 단말과 슬레이브 단말이 동일 네트워크에 존재할 경우 패킷 전송에 소요되는 시간은 무시 가능한 수준이므로, 마스터 단말과 슬레이브 단말은 동일한 시간을 갖게 될 수 있다.
단계(271)에서, 마스터 단말은 재생 기준 시간에 맞추어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을 시작한다. 앞선 예시와 같이 재생 기준 시간이 1시 1초로 설정된 경우, 마스터 단말은 1시 1초에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을 시작할 수 있다.
단계(272)에서, 슬레이브 단말도 재생 기준 시간에 맞추어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을 시작한다. 앞선 예시에서 슬레이브 단말은 1시 1초에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을 시작할 수 있다. 마스터 단말과 슬레이브 단말의 시간이 재생 메시지에 포함된 마스터 단말의 현재 시간에 따라 맞춰지게 되므로, 마스터 단말과 슬레이브 단말은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을 동시에 시작할 수 있다.
단계(280)에서, 마스터 단말은 슬레이브 단말이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상태 체크 메시지를 슬레이브 단말에 전송한다. 영상 처리와 같은 단말들의 내부적인 처리 과정이나 통신 상의 문제 등에 따라 마스터 단말과 슬레이브 단말 또는 슬레이브 단말들 간의 컨텐츠의 재생 위치에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상태 체크 메시지를 통해 보정되어 동기화 컨텐츠의 동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태 체크 메시지는 동기화 컨텐츠의 동기화 ID, 재생 기준 시간 및 마스터 단말의 현재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슬레이브 단말은 상태 체크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도 동기화 컨텐츠가 재생 중이지 않은 경우, 상태 체크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을 시작할 수 있다.
단계(291)에서, 마스터 단말은 재생 기준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동기화 컨텐츠의 현재 재생 시간을 보정한다. 또한, 단계(292)에서, 슬레이브 단말은 재생 기준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동기화 컨텐츠의 현재 재생 시간을 보정한다. 마스터 단말과 슬레이브 단말은 재생 기준 시간과 마스터 단말의 현재 시간 간의 차에 기초하여 경과 시간을 계산하고, 경과 시간과 현재 재생 시간 간의 오차에 기초하여 현재 재생 시간을 보정할 수 있다.
이처럼 마스터 단말 및 슬레이브 단말은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 시작 단계에서 재생 기준 시간을 통해 동기화 컨텐츠를 동기화(1차 동기화)하고,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 단계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모니터링하여 보정(2차 동기화)함으로써, 동기화 컨텐츠의 동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재 재생 위치의 보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는 동기화 시간에 관한 그래프와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 시간에 관한 그래프가 나타나 있다. 동기화 시간에 관한 그래프를 참조하면, 마스터 단말의 현재 시간과 재생 기준 시간의 차에 의해 경과 시간(T)이 계산될 수 있다. 슬레이브 단말은 재생 메시지나 상태 체크 메시지를 통해 마스터 단말의 현재 시간을 알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내용에 따르면 실시예에서는 재생 기준 시간에 동기화가 시작되므로, 경과 시간(T)은 동기화가 시작된 이후에 경과된 시간을 나타낸다. 실시예에서는 경과 시간(T)일 기준으로 올바른 재생 위치가 결정되며, 이러한 올바른 재생 위치와의 오차에 따라 현재 재생 위치를 보정하게 된다.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 시간에 관한 그래프를 참조하면,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 시작점(0)으로부터 경과 시간(T) 이후의 재생 위치와 현재 재생 위치의 차에 의해 오차가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재생 시작점(0)으로부터 경과 시간(T) 이후의 재생 위치는 올바른 재생 위치를 나타낸다. 마스터 단말과 슬레이브 단말 모두 재생 기준 시간에 재생을 시작했고, 마스터 단말의 현재 시간에는 오차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경과 시간(T)는 정확한 시간 정보를 나타낸다. 따라서, 마스터 단말과 슬레이브 단말 모두 경과 시간(T)에 기초하여 현재 재생 위치를 보정함으로써 동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마스터 단말과 슬레이브 단말은 임계 값을 설정하고, 오차가 임계 값을 넘을 경우 현재 재생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예컨대, 마스터 단말과 슬레이브 단말은 오차가 1초가 넘을 경우 현재 재생 위치를 올바른 재생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 임계 값은 사용자에 의해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메시지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동기화 메시지는 동기화 ID(410), 재생 기준 시간(420), 마스터 현재 시간(430) 및 메시지 식별자(440)를 포함한다. 메시지 식별자(440)는 동기화 메시지가 재생 메시지인지 또는 상태 체크 메시지인지를 나타낸다. 예컨대, 메시지 식별자(440)가 'S'인 경우 해당 동기화 메시지는 재생 메시지를 나타내고, 메시지 식별자(440)가 'K'인 경우 해당 동기화 메시지는 상태 체크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다. 마스터 단말은 동기화의 시작 단계에서는 재생 메시지를 생성하여 슬레이브 단말로 전송할 수 있고, 동기화의 진행 단계에서는 상태 체크 메시지를 생성하여 슬레이브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슬레이브 단말은 항상 동기화 메시지의 수신을 위해 대기할 수 있고, 동기화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관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ID를 통한 스크린의 할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마스터 단말(511) 및 슬레이브 단말(513, 515)들은 서비스 서버로부터 동기화 컨텐츠 및 스케줄을 수신한다. 마스터 단말(511) 및 슬레이브 단말(513, 515)들은 동기화 컨텐츠 별로 상이한 스크린을 할당 받을 수 있고, 마스터 단말(511) 및 슬레이브 단말들(513, 515)은 스케줄을 통해 할당된 스크린을 인지할 수 있다. 스케줄에는 동기화 컨텐츠 별로 각각의 단말에 할당된 스크린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동기화를 통해 재생될 컨텐츠로 동기화 컨텐츠(X), 동기화 컨텐츠(Y) 및 동기화 컨텐츠(Z)가 있을 수 있다. 이 때, 동기화 컨텐츠(X)에 대해 마스터 단말(511)에는 스크린(1 내지 5)이 할당되고, 슬레이브 단말(513)에는 스크린(6 내지 10)이 할당되고, 슬레이브 단말(515)에는 스크린(11 내지 15)이 할당될 수 있다. 또한, 동기화 컨텐츠(Y)에 대해 마스터 단말(511)에는 스크린(1 내지 10)이 할당되고, 슬레이브 단말(513)에는 스크린(10 내지 15)이 할당될 수 있다. 동기화 컨텐츠(Z)에도 대해서도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기화 컨텐츠(X) 및 동기화 컨텐츠(Y)와 상이한 방식으로 단말들에 스크린이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스케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ID를 통한 동기화 컨텐츠의 식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마스터 단말(610)은 두 개의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고, 슬레이브 단말(620)은 세 개의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다. 마스터 단말(610) 및 슬레이브 단말(620)은 서비스 서버로부터 동기화 컨텐츠를 수신한 수 있다. 앞서 언급된 것처럼 동기화 컨텐츠는 고유의 동기화 ID를 가질 수 있다. 마스터 단말(610) 및 슬레이브 단말(620)은 내부적으로 동기화 컨텐츠에 컨텐츠 ID를 부여하여 동기화 컨텐츠를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마스터 단말(610)은 동기화 컨텐츠에 내부적으로 C1 및 C2의 컨텐츠 ID를 부여할 수 있다. 슬레이브 단말(620)은 동기화 컨텐츠에 내부적으로 D1 내지 D3의 컨텐츠 ID를 부여할 수 있다.
마스터 단말(610) 및 슬레이브 단말(620)은 동기화 재생 시 스케줄에 포함된 동기화 ID에 기초하여 동기화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동기화 ID가 S1인 컨텐츠 A를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마스터 단말(610)은 컨텐츠 ID가 C1인 동기화 컨텐츠를 재생하고, 슬레이브 단말(620)은 컨텐츠 ID가 D2인 동기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처럼 실시예에 따르면 동기화 컨텐츠에 고유의 ID인 동기화 ID를 부여하고, 스케줄이나 메시지에서 해당 동기화 ID로 동기화 대상이 되는 컨텐츠를 명확히 특정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시 스크린의 표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동기화 전후로 제1 스크린, 제2 스크린 및 제3 스크린의 표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스크린은 마스터 단말에 의해 제어되고, 제2 스크린은 제1 슬레이브 단말에 의해 제어되고, 제1 스크린은 제2 슬레이브 단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초기에 제1 스크린은 C3를 재생하고, 제2 스크린은 D1을 재생하고, 제3 스크린은 E3를 재생한다. C3, D1 및 E3가 각각 재생되는 상황에서 마스터 단말은 스케줄에 따라 재생 기준 시간을 설정하고, 슬레이브 단말들에 재생 기준 시간을 포함하는 재생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마스터 단말 및 슬레이브 단말들은 재생 기준 시간 직전에 동기화 컨텐츠 및 재생 기준 시간을 확인하고, 재생 준비를 위한 멈춤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멈춤 상태 이후에 재생 기준 시간이 도래하면 제1 스크린, 제2 스크린 및 제3 스크린에는 동일한 동기화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다. 예컨대, 동기화 ID가 S1인 동기화 컨텐츠가 동시에 재생될 수 있다. 동기화 컨텐츠 S1은 마스터 단말 및 슬레이브 단말들에서 각각 C1, D2 및 E5라는 컨텐츠 ID로 관리될 수 있다. 마스터 단말은 동기화 재생 중에 슬레이브 단말들에게 상태 체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슬레이브 단말들은 상태 체크 메시지에 기초하여 재생 위치를 보정할 수 있고, 동기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동기화가 종료된 이후에는 각각의 스크린에 서로 다른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스크린에는 동기화 상태 이전에 출력되던 영상인 C3, D1 및 E3가 각각 출력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시스템은 프로세서(810), 통신부(820) 및 메모리(83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810), 통신부(820) 및 메모리(830)는 버스(84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모듈(module)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 명칭에 따른 기능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의미할 수도 있고, 특정 기능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특정 기능과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탑재된 전자적 기록 매체, 예를 들어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듈이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또는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및/또는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서비스 서버, 마스터 단말 및 슬레이브 단말은 전자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시스템은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및 넷북 등의 컴퓨팅 장치와, 이동 전화, 스마트 폰, PDA, 태블릿 컴퓨터 및 랩톱 컴퓨터 등의 모바일 장치와, 텔레비전 및 스마트 텔레비전 등의 영상 출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앞서 설명된 도 1 내지 도 7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10)는 도 2에서 설명된 각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전자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830)에 저장될 수 있다. 전자 시스템은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스크린과 같은 외부 장치에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통신부(820)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820)는 외부 장치에 다양한 컨텐츠나 스케줄을 전송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다양한 컨텐츠나 스케줄을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830)는 다양한 컨텐츠나 스케줄 및 프로세서(810)의 동작을 위한 각종 함수, 수학식 및 연산 결과 등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830)는 스케줄에 저장된 정보 중 필요한 정보를 프로세서(810)로 전달하거나, 동기화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프로세서(810)로 전달할 수 있다. 메모리(83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6)

  1. 서비스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과 동시에 재생할 동기화 컨텐츠 및 상기 동기화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스케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에 기초하여 동기화의 기준이 되는 재생 기준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재생 기준 시간을 포함하는 재생 메시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재생 기준 시간에 맞추어 상기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을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 기준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화 컨텐츠의 현재 재생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마스터 단말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에서 상기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상태 체크 메시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마스터 단말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메시지 및 상태 체크 메시지는 상기 동기화 컨텐츠의 동기화 ID, 상기 재생 기준 시간 및 마스터 단말의 현재 시간을 포함하는, 마스터 단말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재생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재생 기준 시간과 마스터 단말의 현재 시간 간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경과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과 시간과 현재 재생 위치 간의 오차가 임계 값을 넘는 경우, 상기 현재 재생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마스터 단말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마스터 단말은 상기 마스터 단말에게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마스터 스크린에 상기 동기화 컨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은 각각 자신에게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스크린에 상기 동기화 컨텐츠를 출력하는,
    마스터 단말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컨텐츠는 다른 컨텐츠와 상기 동기화 컨텐츠를 구별하기 위한 동기화 ID를 포함하고, 마스터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은 상기 동기화 ID를 통해 상기 동기화 컨텐츠를 식별하는, 마스터 단말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의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된 슬레이브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생 메시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주소를 통해 상기 재생 메시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터 단말의 동작 방법.
  8. 서비스 서버로부터 마스터 단말과 동시에 재생할 동기화 컨텐츠 및 상기 동기화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스케줄을 수신하는 단계;
    동기화의 기준이 되는 재생 기준 시간을 포함하는 재생 메시지를 상기 마스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생 기준 시간에 맞추어 상기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을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 기준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화 컨텐츠의 현재 재생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 기준 시간은 상기 스케줄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 단말에 의해 설정되는,
    슬레이브 단말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단말로부터 상기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상태 체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슬레이브 단말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메시지 및 상태 체크 메시지는 상기 동기화 컨텐츠의 동기화 ID, 상기 재생 기준 시간 및 상기 마스터 단말의 현재 시간을 포함하는, 슬레이브 단말의 동작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컨텐츠가 재생 중이지 않은 경우, 상기 상태 체크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상기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슬레이브 단말의 동작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재생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재생 기준 시간과 마스터 단말의 현재 시간 간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경과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과 시간과 현재 재생 위치 간의 오차가 임계 값을 넘는 경우, 상기 현재 재생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슬레이브 단말의 동작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컨텐츠는 다른 컨텐츠와 상기 동기화 컨텐츠를 구별하기 위한 동기화 ID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단말 및 슬레이브 단말은 상기 동기화 ID를 통해 상기 동기화 컨텐츠를 식별하는, 슬레이브 단말의 동작 방법.
  14. 마스터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에서 동시에 재생될 동기화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동기화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 컨텐츠 및 상기 스케줄을 상기 마스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단말은 상기 스케줄에 기초하여 동기화의 기준이 되는 재생 기준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재생 기준 시간을 포함하는 재생 메시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마스터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은 상기 재생 기준 시간에 맞추어 상기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을 시작하고, 상기 재생 기준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화 컨텐츠의 현재 재생 위치를 보정하는,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단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에서 상기 동기화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상태 체크 메시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재생 메시지 및 상태 체크 메시지는 상기 동기화 컨텐츠의 동기화 ID, 상기 재생 기준 시간 및 마스터 단말의 현재 시간을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컨텐츠는 다른 컨텐츠와 상기 동기화 컨텐츠를 구별하기 위한 동기화 ID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은 상기 동기화 ID를 통해 상기 동기화 컨텐츠를 식별하는,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
KR1020160088578A 2016-01-22 2016-07-13 멀티 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동기화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882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07885 2016-01-22
KR1020160007885 2016-01-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267A true KR20170088267A (ko) 2017-08-01

Family

ID=59650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578A KR20170088267A (ko) 2016-01-22 2016-07-13 멀티 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동기화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826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3818A1 (ko) * 2017-11-13 2019-05-16 주식회사 카이 영상 장치 및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31919B1 (ko) * 2018-11-21 2019-11-08 (주)에이텐시스템 능동형 동기화 시간 기능을 제공하는 다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WO2021225379A1 (ko) * 2020-05-07 2021-11-11 (주)뮤직몹 음원 재생정보 제공시스템
CN116506672A (zh) * 2023-06-29 2023-07-28 北京朝歌数码科技股份有限公司 内网设备的音视频同步播放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3818A1 (ko) * 2017-11-13 2019-05-16 주식회사 카이 영상 장치 및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CN109788368A (zh) * 2017-11-13 2019-05-21 株式会社Kai 影像设备及影像设备的动作方法
KR101961841B1 (ko) * 2017-11-13 2019-07-17 주식회사 카이 영상 장치 및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31919B1 (ko) * 2018-11-21 2019-11-08 (주)에이텐시스템 능동형 동기화 시간 기능을 제공하는 다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WO2021225379A1 (ko) * 2020-05-07 2021-11-11 (주)뮤직몹 음원 재생정보 제공시스템
US11711457B2 (en) 2020-05-07 2023-07-25 Musicmob Co, Ltd. System for providing sound source reproduction information
CN116506672A (zh) * 2023-06-29 2023-07-28 北京朝歌数码科技股份有限公司 内网设备的音视频同步播放方法
CN116506672B (zh) * 2023-06-29 2023-09-08 北京朝歌数码科技股份有限公司 内网设备的音视频同步播放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0518B2 (ja) バスシステム
US8755785B2 (en) Collaborative image control
US10203924B2 (en)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controlling method of display system
KR20170088267A (ko) 멀티 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동기화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US10313426B2 (en) Method of managing control right, client device therefor, and master device therefor
CN107066300B (zh) 一种存储设备的固件升级方法和存储设备
KR20150026069A (ko) 컨텐츠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US11381333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CN111147906B (zh) 同步播放系统及同步播放方法
WO2015144024A1 (zh) 多屏互动方法及装置
EP3200079A1 (en) Snapshot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US9568944B2 (en) Distributed timer subsystem across multiple devices
US8793402B2 (en) Synchronizing time across a plurality of devices connected to a network
US10674188B2 (en) Playback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playback apparatus, playback method and server apparatus
CN112749123A (zh) 用于管理文件系统的方法、设备和计算机程序产品
US20210152322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9660310B (zh) 一种时钟同步的方法、装置、计算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US2013013906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14144758B (zh) 显示方法、显示控制方法、显示终端、服务器和显示系统
KR102284043B1 (ko) 단말 간 시간 동기화 및 이를 이용한 멀티 단말의 동시 실행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CN111193570A (zh) 指令执行的方法、装置、系统、介质和电子设备
KR20140101622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서버 테스트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1758139B1 (ko) Hdmi 동글에서 와이파이 상태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1160018A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9858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server media throughput in mismatched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