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7668A -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용 모빌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용 모빌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7668A
KR20170087668A KR1020160007522A KR20160007522A KR20170087668A KR 20170087668 A KR20170087668 A KR 20170087668A KR 1020160007522 A KR1020160007522 A KR 1020160007522A KR 20160007522 A KR20160007522 A KR 20160007522A KR 20170087668 A KR20170087668 A KR 20170087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mobile
body temperature
infants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7053B1 (ko
Inventor
이주원
강성인
박희정
남재현
김현진
오인식
정찬우
Original Assignee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07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053B1/ko
Publication of KR20170087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1/00Self-movable toy figur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용 모빌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빌에 아기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적외선 체온 측정 센서 및 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하여, 측정된 체온정보를 보호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아이가 요람에서 수면 중이거나 놀이를 하는 도중에도 아기의 보호자가 아기의 체온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여, 보호자의 영유아 육아에 대한 고충을 경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보다 즉각적으로 영유아의 건강 변화에 대한 대처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용 모빌 및 그 방법{MOBILE FOR AUTOMATIC MEASURING AND MONITORING BODY TEMPERATURE OF BABIES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용 모빌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빌에 아기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적외선 체온 측정 센서 및 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하여, 측정된 체온정보를 보호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아이가 요람에서 수면 중이거나 놀이를 하는 도중에도 아기의 보호자가 아기의 체온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 모빌에 관한 것이다.
영유아들은 자신의 상태를 표현하는데 미숙하므로 자칫 보호자의 잘못된 판단으로 인해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확률도 있으며, 실제로 영유아 돌연사증후군 (SIDS: Sudden Infant Death Syndrome)를 비롯하여, 태열, 경련, 발작과 감기에 의한 발열 등 영유아들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질병과 집안에서 크고 작은 사고로 인해 매해 많은 수의 영유아들이 다치거나 사망하고 있다.
일명 요람사(搖籃死)라고도 불리는 SIDS는 신생아가 잠자다 호흡이 끊겨 급사하는 것으로, 생후 2-4개월 된 신생아가 잠 잘 때 호흡이 끊겼다가 호흡을 회복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여아보다는 남아에게서 더 발생하고, 대부분의 돌연사는 가을, 겨울, 이른 봄에 발생한다. 이 죽음은 갑작스럽고 예측할 수 없으며, 대부분의 경우 아기들이 건강해 보였다가 갑작스럽게 호흡곤란 등을 동반하며 보통 수면 시간 동안에 발생하여 빠르게 사망에 이르게 된다.
상기와 같은 SIDS, 급작스러운 질병 및 사고로 인하여 영유아의 생명이 위험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모들은 항상 영유아 곁을 지키며 영유아의 상태를 직접 육안으로 체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영유아의 곁에서 상태를 항상 체크하는 것은,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에게 가장 큰 육아의 어려움으로 손꼽히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영유아의 건강 상태 및 실내 온도, 습도 등의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보호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발명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하여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08-0002006호(2008.06.23.)는 적외선 체온 측정 및 건강신호 알람 기능의 신생아 요람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요람의 기본적인 cradle(frame)과, 체온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체중을 측정하는 센서, 측정된 체온 및 체중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LCD 모니터, 인지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청각적으로 전달하는 알람센서, 전원 제어알람 등의 조작을 위한 조작 버튼으로 구성되어, 영유아 아동의 체온 및 체중 측정방법이 다소 번거로운 기존의 측정방법에서 벗어나 적외선 체온 측정 방식으로 영유아기 아기들에게 편의를 도모하며, 또한 측정된 데이터의 위험 신호를 알람 기능으로써 부모에게 전달해주어 아이의 건강상태에 즉각 대처할 수 있게 하는 신개념 요람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09-0121729호(2009.11.26.)는 영유아용 유비쿼터스 안전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유아용 요람 및 모빌 형태의 기구에 장착되는 안전관리 시스템을 이용해 영유아의 안전 상태를 측정하고 그 결과 또는 그에 대한 해석을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감시자의 감시용 단말기 혹은 중앙 감시 시스템 서버에 전달하여 영유아의 안전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4-0026910호(2014.03.06.)는 공기정화, 온도, 밝기, 음향 등의 제어를 통해 영유아의 안정된 휴식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고 영유아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영유아용 스마트 침대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측이 개방되고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측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영유아용 침대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 상측으로 수용공간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쿠션부와; 상기 수용공간 내측의 기온을 측정하는 온도측정부와; 보호자로부터 동작신호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시트부 하측에 구비되어 전기적인 수단을 통해 시트부의 온도를 높이는 히팅부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동작신호와 상기 온도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히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로 이루어지는 영유아용 스마트 침대장치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들은 영유아의 체온 등의 건강상태를 측정하여 이를 보호자에게 제공하는 요람, 모빌 및 침대 등의 장치에 관한 것이라는 점에서 본 발명과 기술적 발상에 있어 일부 유사점이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소리 및 체온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영유아로부터 발생한 소리 및 체온을 측정 및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거나 보호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보호자가 아이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음성, 멜로디, 모빌 회전을 포함하는 모빌 동작을 수행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본 발명과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과의 차이점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빌에서는 영유아에게 자극을 전달하여 영유아의 예상되는 반응을 모니터링함으로써, 해당 영유아의 상태를 더욱 면밀하게 측정 및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더욱 정교한 분석 결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적외선 체온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영유아의 체온을 측정하고, 이를 보호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거나 보호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보호자가 지속적으로 영유아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용 모빌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용 모빌은 체온 이외에도 영유아가 뒤집혀 호흡을 못하게 되어 사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영유아 뒤집힘을 감지하여 이를 상기한 방법으로 보호자에게 알리도록 함으로써, 영유아가 뒤집힘으로 인해 질식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빌은 소리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영유아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를 수집하고, 이로부터 영유아의 수면, 수면 중 깨어남, 울음, 응급상황 등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이를 상기한 방법으로 보호자에게 알리도록 함으로써, 영유아가 뒤집힘으로 인해 질식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빌은 상기와 같이 체온측정 센서 및 소리측정 센서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기반으로, 이에 부합하는 음성, 멜로디, 모빌 회전 등의 모빌 동작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빌은 영유아에게 주기적으로 혹은 어떤 징후가 포착될 때 마다 일정한 자극(음성, 멜로디, 모빌의 회전)을 전달하여 영유아의 예상되는 반응을 모니터링함으로써, 해당 영유아의 상태를 더욱 면밀하게 측정 및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더욱 정교한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용 모빌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와 통신하는 통신부,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영유아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 측정부, 음성, 멜로디, 모빌 회전을 포함하는 모빌 동작을 수행하는 모빌 몸체부 및 상기 체온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영유아의 체온 정보를 분석한 후, 분석 결과에 맞춰 설정되어 있는 모빌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모빌 몸체부에 제어신호를 전송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분석 결과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영유아의 상태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온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영유아의 체온 정보를 분석한 후, 분석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온 측정부에서 측정된 영유아의 체온 정보를 기반으로, 영유아의 뒤집힘 여부를 감지하여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거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소리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영유아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를 측정하는 소리 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리 측정부를 통해 측정되는 소리정보를 수집하고, 이로부터 영유아의 수면, 수면 중 깨어남, 울음 및 응급상황을 포함하는 영유아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거나, 분석 결과에 맞춰 설정되어 있는 모빌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모빌 몸체부에 제어신호를 전송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분석 결과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무선 통신망은, 블루투스, WiFi, NFC, ZIGBEE, RFID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과 3G, 4G, Wibro를 포함하는 원거리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영유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응급상황 발생 시 이에 대한 정보를 119, 의사 및 병원을 포함하는 설정된 응급상황 케어 기관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모빌을 이용한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 방법은, 모빌에 장착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영유아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 단계, 상기 체온측정 단계에서 측정한 영유아의 체온 정보를 기반으로 영유아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는 분석 단계, 상기 분석 단계에서 분석한 결과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모빌 동작을 수행하거나,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분석 결과를 전송하는 모빌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모빌 제어 단계는, 상기 체온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영유아의 체온 및 상기 분석 단계에서 분석한 영유아의 현재 상태를 모빌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모빌 제어 단계는, 상기 체온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영유아의 체온 정보를 기반으로, 영유아의 뒤집힘 여부를 감지하여 이를 모빌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거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소리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영유아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를 측정하는 소리측정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석 단계는, 상기 소리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소리정보를 수집하고, 이로부터 영유아의 수면, 수면 중 깨어남, 울음 및 응급상황을 포함하는 영유아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모빌 제어 단계는, 상기 분석 단계에서의 분석 결과를 모빌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거나, 상기 분석 결과에 맞춰 설정되어 있는 모빌 동작을 수행하거나,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분석 결과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모빌 제어 단계는, 상기 분석 단계에서 영유아의 상태가 응급상황으로 분석되면, 이에 대한 정보를 119, 의사 및 병원을 포함하는 설정된 응급상황 케어 기관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용 모빌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영유아의 건강 상태를 자동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적절한 모빌 동작이 수행되는 것과 함께 영유아의 건강 및 상황 분석 결과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보호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보호자가 영유아의 건강 및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호자의 영유아 육아에 대한 고충을 경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보다 즉각적으로 영유아의 건강 변화에 대한 대처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빌은 영유아에게 특정 징후가 포착되면, 즉시 미리 준비된 자극을 전달하여 예상되는 반응과 비교하여 구체적인 영유아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뿐만 아니라 영유아에게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상황에 따라 119, 병원 등 지정된 기관에 통보하여 응급상황 발생 시 바로 필요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영유아의 안전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용 모빌의 개념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용 모빌의 뒤집힘 감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용 모빌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용 모빌 및 그 방법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각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사이즈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고, 특징적 구성이 드러나도록 공지의 구성들은 생략하여 도시하였으므로 도면으로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용 모빌(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용 모빌(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용 모빌(100)은, 모빌 몸체부(110), 체온 측정부(120), 소리 측정부(130), 디스플레이부(140), 통신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모빌 몸체부(110)는 영유아의 관심을 끌기 위한 음성, 멜로디, 모빌 회전을 포함하는 모빌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모빌 몸체부(110)의 형태는 종래 공지되어 있는 모든 영유아용 모빌(100)의 형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빌 몸체부(110)에는 모빌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디바이스(미도시)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스피커, 모터,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체온 측정부(120)는 비접촉 온도센서인 적외선 센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영유아의 체온을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측정 방법으로서, 모빌의 위치를 조정하여 모빌에 설치되어 있는 적외선 센서가 영유아의 얼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비접촉식 온도센서인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영유아의 얼굴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영유아의 체온을 측정할 때, 영유아의 움직임에 따라 적외선 센서에서 측정되는 부위가 달라질 수 있어 정확한 영유아의 체온을 측정하는데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본 발명은 다수개의 적외선 센서를 구비하여 영유아의 얼굴 주위 복수 지점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 중 제일 높은 온도로 측정되는 부위를 영유아의 현재 위치로 판단하여, 해당 위치에서 측정되는 온도를 영유아의 현재 체온으로 판단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영유아의 얼굴에서 벗어난 부분에서 비정상적으로 온도가 높게 측정되면 이는 영유아의 체온으로 인식하지 않고, 별도의 분석과정을 거쳐 알람을 발생할 수 있도록 조치한다.
상기 소리 측정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리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소리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영유아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를 측정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모빌은 영유아의 관심을 끌기 위해 상기 모빌 몸체부(11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와는 별도의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영유아의 보호자를 위한 것으로, 상기 체온 측정부(120) 및 소리 측정부(130)에서 측정되는 데이터 및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 분석한 영유아의 상태 데이터를 표시하여, 보호자가 쉽게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으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알람을 울려 근처의 보호자에게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정보를 즉각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일단 보호자가 영유아에게 발생한 상황을 인식하기 전에도, 상기 모빌은 영유아의 체온이나 움직임 및 소리를 감지하여 지나치게 조용하거나 체온이 너무 높거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이러한 징후에 따라 영유아에게 소리, 멜로디, 움직임을 포함한 모빌의 동작을 통해서 자극을 전달하고, 해당 자극에 따른 유아의 행동 변화를 다시 감지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인터랙티브하게 영유아의 상태변화를 더욱 정밀하게 모니터링하고자 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모빌에 의한 인터랙티브한 영유아 모니터링 방법은 먼저 영유아로부터 특정 징후가 발생하였는지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징후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보호자에게 알람을 보내는 것 이외에 징후의 상태를 다시 정밀하게 모니터링하는 절차에 돌입한다. 징후의 상태에 따라 자극을 제공하게 되는데 자극은 모빌의 움직임이나 멜로디의 변화를 말한다. 필요한 경우 보호자의 녹음된 목소리와 보호자의 모습을 디스플레이 모니터를 통해서 보여줄 수 있다. 그 결과 영유아의 움직임, 목소리(울음소리 등), 체온 등의 변화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모빌의 움직임이나 멜로디에 따라 영유아의 평소 반응을 기억하고 있다가, 해당 움직임이나 멜로디에 따른 영유아의 반응이 평소와 다른 경우, 이를 상기 자극을 좀 더 변화시켜가면서 영유아의 주위를 끌어보고, 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영유아에게 위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분석한다.
여기서 모빌의 자극에 대한 변화와 영유아의 반응에 대한 관계를 모니터링하여 해당 관계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함으로써, 모빌에서 제공한 특정 자극에 대한 예상되는 반응을 예측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측의 결과가 실제 반응과 상이하게 나타나는 경우 이를 새로운 반응으로 업데이트함과 동시에 해당 상황을 보호자에게 전달하여 그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정은 보호자가 영유아의 성장과정에서 어떠한 반응의 변화를 보이는지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가 된다.
상기 통신부(150)는 본 발명의 모빌에서 측정되거나 분석되는 데이터를 유선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 단말기 및 서버 등의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무선 통신망으로서, 블루투스, WiFi, NFC, ZIGBEE, RFID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과 3G, 4G, Wibro를 포함하는 원거리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상기 체온 측정부(120) 및 소리 측정부(130)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들을 수집 및 분석하여, 그 결과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체온 측정부(120)에서 측정되는 영유아의 체온 정보 또는 상기 소리 측정부(130)에서 측정되는 영유아의 체온 정보을 수집 및 분석하여, 영유아의 현재 상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측정되는 온도가 평소 측정되는 높아진 경우 건강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또는 측정되는 소리로부터 수면, 수면 중 깨어남, 울음 및 응급상황 등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체온 측정부(120)에서 측정되는 영유아의 체온 정보를 기반으로 영유아의 뒤집힘 여부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개의 비접촉식 온도센서인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영유아의 얼굴과 주변의 온도를 측정할 때, 영유아의 얼굴부위로 판단되는 곳의 온도가 갑자기 하락 할 경우 영유아가 뒤집혔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영유아는 푹신한 곳에서 뒤집힘이 발생하면 다시 몸을 뒤집을 수 없기 때문에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있으나,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모빌은 영유아의 뒤집힘도 측정할 수 있어 영유아의 안전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와 같이 파악된 영유아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아래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첫째로, 분석 결과 즉, 영유아의 상태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모빌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모빌 몸체부(110)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영유아의 상태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모빌 동작이란 보호자가 도착하기 전까지 영유아의 현재 상태에 따른 케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영유아가 울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빌이 상하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하도록 하거나 또는 레코딩되어 있는 보호자의 음성 및 영상이 재생되도록 하는 등 영유아의 울음을 그치게 하기 위한 모빌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영유아가 수면 중 깨어난 상태로 판단되면 자장가가 재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체온 측정부(120)에서 측정되는 영유아의 체온 정보 또는 상기 소리 측정부(130)에서 측정되는 영유아의 체온 정보을 수집 및 분석한 영유아의 상태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출력하여 보호자가 근거리에 있을 때 요람 내의 유아를 살펴보지 않더라도 모빌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확인하여 영유아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통신부(150)를 통하여 상기와 같이 수집 및 분석한 영유아의 상태정보를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영유아의 보호자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본 발명의 모빌용 전용 단말기 등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영유아의 현재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에 대응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서버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들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 관리 및 분석하여 이를 보호자들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모빌과 서버를 이용하여 영유아의 상태를 측정하거나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영유아의 현재 상태가 응급상황으로 판단되면, 이에 대한 정보를 119, 의사 및 병원을 포함하는 설정된 응급상황 케어 기관으로 직접 전송함으로써, 즉각적으로 영유아의 상태에 대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 방법은, 먼저 모빌에 장착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영유아의 체온을 측정하고, 소리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영유아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를 측정한다(S101).
상기 측정한 영유아의 체온 및 소리 정보를 기반으로 영유아의 현재 상태를 분석한다(S102).
상기 분석한 결과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모빌 동작을 수행하거나, 상기 분석 결한 결과를 모빌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거나,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서버로 전송하거나, 119, 의사 및 병원을 포함하는 설정된 응급상황 케어 기관으로 전송한다(S103).
이러한 기본적인 과정 이외에, 보호자가 영유아에게 발생한 상황을 인식하기 전이라고 하더라도, 모빌은 영유아의 체온이나 움직임 및 소리를 감지해 보고, 지나치게 조용하거나 체온이 너무 높거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이러한 징후에 따라 영유아에게 소리, 멜로디, 움직임을 포함한 미리 프로그램된 모빌의 동작을 통해서 자극(시각, 청각 및 후각)을 전달하고, 해당 자극에 따른 유아의 행동 변화를 다시 감지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인터랙티브하게 영유아의 상태변화를 더욱 정밀하게 모니터링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빌에 의한 인터랙티브한 영유아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와 같이 먼저 영유아로부터 특정 징후가 발생하였는지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징후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보호자에게 알람을 보내는 것 이외에 징후의 상태를 다시 정밀하게 모니터링하는 절차에 돌입한다. 징후의 상태에 따라 자극을 제공하게 되는데 자극은 모빌의 움직임이나 멜로디의 변화를 말한다. 필요한 경우 보호자의 녹음된 목소리와 보호자의 모습 및 보호자의 냄새를 디스플레이 모니터와 이에 장착된 스피커나 노즐 등을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그 결과 영유아의 움직임, 목소리(울음소리 등), 체온 등의 변화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모빌의 움직임이나 멜로디에 따라 영유아의 평소 반응을 기억하고 있다가, 해당 움직임이나 멜로디에 따른 영유아의 반응이 평소와 다른 경우, 이를 상기 자극을 좀 더 변화시켜가면서 영유아의 주위를 끌어보고, 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영유아에게 위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분석한다.
여기서 모빌의 자극에 대한 변화와 영유아의 반응에 대한 관계를 모니터링하여 해당 관계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함으로써, 모빌에서 제공한 특정 자극에 대한 예상되는 반응을 예측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측의 결과가 실제 반응과 상이하게 나타나는 경우 이를 새로운 반응으로 업데이트함과 동시에 해당 상황을 보호자에게 전달하여 그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정은 일종의 특정 유아에 대한 자극과 반응 사이의 관계를 매핑하여 매칭 정도에 따라 학습해 나가는 것으로, 유아의 반응을 해당 자극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학습하여 항상 최상의 성능을 얻고자 함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유아의 건강 상태를 자동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적절한 모빌 동작이 수행되는 것과 함께 영유아의 건강 및 상황 분석 결과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보호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보호자가 영유아의 건강 및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호자의 영유아 육아에 대한 고충을 경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보다 즉각적으로 영유아의 건강 변화에 대한 대처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빌은 영유아에게 특정 징후가 포착되면, 즉시 미리 준비된 자극을 전달하여 예상되는 반응과 비교하여 구체적인 영유아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뿐만 아니라 영유아에게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상황에 따라 119, 병원 등 지정된 기관에 통보하여 응급상황 발생 시 바로 필요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영유아의 안전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모빌 110 : 모빌 몸체부
120 : 체온 측정부 130 : 소리 측정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통신부
160 : 제어부 200 : 사용자 단말기
300 : 서버 400 : 응급상황 케어 기관

Claims (7)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영유아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 측정부;
    음성, 멜로디, 움직임을 포함하는 모빌 동작을 수행하는 모빌 몸체부; 및
    상기 체온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영유아의 체온 정보를 분석한 후, 분석 결과에 맞춰 설정되어 있는 모빌 동작을 수행하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분석 결과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영유아의 소리, 체온, 움직임을 포함한 반응을 모니터링하여, 영유아의 뒤집힘을 포함한 비정상적인 상태에 대한 징후를 감지하여, 상기 영유아에게 새로운 음성, 멜로디, 움직임을 포함하는 모빌 동작을 포함하는 자극을 제공하여 그 결과인 반응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해당 징후에 대한 자극과 이에 대한 반응을 학습하여 상기 영유아의 성장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보호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빌은,
    소리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영유아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를 측정하는 소리 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리 측정부를 통해 측정되는 소리정보로부터 영유아의 수면, 수면 중 깨어남, 울음 및 응급상황을 포함하는 영유아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결과에 맞춰 설정되어 있는 모빌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5. 모빌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영유아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 단계;
    상기 체온측정 단계에서 측정한 영유아의 체온 정보를 기반으로 영유아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는 분석 단계; 및
    상기 분석 단계에서 분석한 결과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모빌 동작을 수행하거나,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분석한 결과를 전송하는 모빌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을 이용한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영유아의 소리, 체온, 움직임을 포함한 반응을 모니터링하여, 영유아의 뒤집힘을 포함한 비정상적인 상태에 대한 징후를 감지하여, 상기 영유아에게 새로운 음성, 멜로디, 움직임을 포함하는 모빌 동작을 포함하는 자극을 제공하여 그 결과인 반응을 모니터링함으로써, 해당 징후에 대한 자극과 이에 대한 반응을 학습하여 상기 영유아의 성장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보호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을 이용한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모빌 제어 단계는,
    소리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영유아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를 측정하는 소리 측정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리 측정 단계를 통해 측정되는 소리정보로부터 영유아의 수면, 수면 중 깨어남, 울음 및 응급상황을 포함하는 영유아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결과에 맞춰 설정되어 있는 모빌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을 이용한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 방법.
KR1020160007522A 2016-01-21 2016-01-21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용 모빌 및 그 방법 KR101767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522A KR101767053B1 (ko) 2016-01-21 2016-01-21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용 모빌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522A KR101767053B1 (ko) 2016-01-21 2016-01-21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용 모빌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668A true KR20170087668A (ko) 2017-07-31
KR101767053B1 KR101767053B1 (ko) 2017-08-10

Family

ID=59418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522A KR101767053B1 (ko) 2016-01-21 2016-01-21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용 모빌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0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338A (ko) * 2017-09-05 2019-03-13 이재호 영아 수면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아 수면관리방법
CN109758281A (zh) * 2018-12-25 2019-05-17 广东三水合肥工业大学研究院 一种基于身体位置调节的安全系统
KR20200100418A (ko) 2019-02-18 2020-08-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기반 육아환경측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686A (ko) 2018-01-19 2019-07-2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모빌을 이용한 영유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US11279041B2 (en) * 2018-10-12 2022-03-22 Dream Face Technologies, Inc. Socially assistive robot
KR20220107806A (ko) 2021-01-26 2022-08-02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고열 방지 알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579B1 (ko) * 2013-05-03 2014-11-27 주식회사 엔솔브 외부 시스템에 연동되는 베이비시터 시스템
US20150105608A1 (en) * 2013-10-14 2015-04-16 Rest Devices, Inc. Infant Sleeping Aid and Infant-Bed Accessor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338A (ko) * 2017-09-05 2019-03-13 이재호 영아 수면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아 수면관리방법
CN109758281A (zh) * 2018-12-25 2019-05-17 广东三水合肥工业大学研究院 一种基于身体位置调节的安全系统
KR20200100418A (ko) 2019-02-18 2020-08-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기반 육아환경측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7053B1 (ko) 201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053B1 (ko)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용 모빌 및 그 방법
Baker et al. Wireless sensor networks for home health care
US9572528B1 (en) Monitor for SIDS research and prevention
US2019037861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Person's Position Based On A Personal Health Factor
JP6261879B2 (ja) 使用者離床予測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JP6012758B2 (ja) 吸収性製品の使用を監視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720430B1 (ko) 스마트 베이비 침대, 및 스마트 베이비 침대 시트
CN107920754A (zh) 监测婴幼儿情绪状态并确定与婴幼儿相关联的生理测量值
US200702046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conditions and events
CN107230321A (zh) 智能监护器及婴幼儿智能监护系统
US20200334967A1 (en) Monitor and System for Monitoring
KR20100080730A (ko) 영ㆍ유아용 안전관리 기능이 있는 침대
CN109276384A (zh) 一种智能婴儿床
JP2010148700A (ja) 寝床上の被験者の情報検出システム
CN108024712A (zh) 预测婴幼儿睡眠模式并基于与婴幼儿相关联的观察结果来推导婴幼儿模型
KR20190088686A (ko) 스마트 모빌을 이용한 영유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08012560A (zh) 智能婴幼儿监测系统和婴幼儿监测中心及婴幼儿学习接受度检测系统
KR101790944B1 (ko) 원격 수면 모니터링 시스템
CN109757928A (zh) 一种防摔智能婴儿床
TW201322191A (zh) 嬰幼兒生理監視與安撫裝置
GB2549099A (en) Monitor and system for monitoring
KR101021155B1 (ko) 유아 돌연사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아 모니터링 시스템
El-Aziz et al. Real time monitoring and control of neonatal incubator using IOT
CN107924643A (zh) 远程地聚集和分析来自多个婴幼儿监测系统的测量数据
CN206497552U (zh) 婴儿尿床踢被监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