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6962A - Stabilizer bar of suspension having variable stiffness - Google Patents

Stabilizer bar of suspension having variable stiffne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6962A
KR20170086962A KR1020160006646A KR20160006646A KR20170086962A KR 20170086962 A KR20170086962 A KR 20170086962A KR 1020160006646 A KR1020160006646 A KR 1020160006646A KR 20160006646 A KR20160006646 A KR 20160006646A KR 20170086962 A KR20170086962 A KR 20170086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bar
spool
reaction force
housing
ba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6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06076B1 (en
Inventor
조재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6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076B1/en
Publication of KR20170086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69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0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60G21/0553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60G21/0553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 B60G21/0555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including an actuator inducing vehicle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forming a U-shaped recess for fitting a bu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입력에 따라 스스로 강성이 조절되는 강성이 조절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성이 조절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는, 차량의 좌우측 차륜측을 연결하여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롤을 제어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에 있어서, 좌우로 분리되어 차량의 좌, 우측 차륜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11)와 제2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12)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11)와 상기 제2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12)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외부로 입력되는 비틀림이 커지면 반력이 증가하는 반력가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bilizer bar of a vehicle suspension device which is formed in a simple structure and whose rigidity is adjusted by itself from the outside according to input.
A stabilizer bar of a vehicle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abilizer bar of a vehicle suspension device for controlling rolls generated when a vehicle is running by connecting left and right wheels of the vehicle, (11) and a second stabilizer bar member (12) which are connected to the wheel side, respectively, and are connected to the first stabilizer bar member (11) and the second stabilizer bar member Is provided with reaction force varying means for increasing the reaction force when the twist input to the outside increases.

Description

강성이 조절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STABILIZER BAR OF SUSPENSION HAVING VARIABLE STIFFNES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bilizer bar of a vehicle suspension,

본 발명은 차량의 현가장치에 설치되는 스태빌라이저 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입력에 따라 스스로 강성이 조절되는 강성이 조절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bilizer bar installed in a suspension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bilizer bar of a vehicle suspension device having a rigid structure which is formed in a simple structure and whose rigidity is adjusted by itself from the outside.

차량의 현가장치에는 차량의 롤을 제어하기 위해 좌우 양측의 차륜쪽을 연결하는 스태빌라이저 바(stabilizer bar)가 설치된다.A suspension device of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stabilizer bar for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wheels to each other to control the roll of the vehicle.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는 통상적으로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부재로서, 그 형태가 일정하게 형성되고, 차량의 주행시 롤이 발생하면 비틀리면서 롤을 제어한다.The stabilizer bar is a member that is formed long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stabilizer bar is formed in a constant shape and controls the roll while twisting when a roll occurs when the vehicle is running.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가 일체형 구조로 되어 있으면,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비틀림에 대한 반력이 발생하여, 롤 발생시 상기 롤을 억제한다.When the stabilizer bar has an integral structure, the stabilizer bar generates a reaction force against torsion input from the outside, and suppresses the roll at the time of roll generation.

그러나 차량의 주행시 차량의 승차감과 조향안정성을 양립시키기 위해서는 롤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반력이 작고, 상기 롤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반력을 크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However, when the size of the roll is small, the reaction force of the stabilizer bar is small, and when the size of the roll is large, it is advantageous to increase the reaction force of the stabilizer bar in order to achieve both ride comfort and steering stability at the time of traveling.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가변식 스태빌라이저 바가 제안되었으나,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반력을 가변시키기 위해서 각종 센서, 상기 센서로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모터기구 또는 유압기구 등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variable stabilizer bars have been proposed. However, various variable stabilizer bars have been proposed, but various sensors for varying the reaction force of the stabilizer bar, a control unit for processing signals input to the sensors, And so on.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롤강성 가변 스태빌라이저'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 discloses a technique relating to a " roll stiffness variable stabilizer ".

KR 10-2004-0104995AKR 10-2004-0104995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스태빌라이저 바의 반력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강성이 조절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abilizer bar of a vehicle suspension device whose stiffness is controlled so as to vary the reaction force of the stabilizer bar with a simple structu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성이 조절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는, 차량의 좌우측 차륜측을 연결하여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롤을 제어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에 있어서, 좌우로 분리되어 차량의 좌, 우측 차륜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와 제2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와 상기 제2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외부로 입력되는 비틀림이 커지면 반력이 증가하는 반력가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tabilizer bar of a vehicle suspen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abilizer bar of a vehicle suspens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rolls generated when a vehicle is traveling by connecting right and left wheel sides of the vehicle, A first stabilizer bar member and a second stabilizer bar member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wheel sides of the vehicle, respectively, and a portion where the first stabilizer bar member and the second stabilizer bar member are connected, And a reaction force varying means for increasing the reaction force when the twist becomes large.

상기 반력가변수단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비틀림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와 상기 제2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가 서로 회전하고,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와 상기 제2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 사이에 작용하는 탄성력이 커지면서, 상기 반력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reaction force varying means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an externally input twist is inputted, the first stabilizer bar member and the second stabilizer bar member rotate with each other, and the reaction force varying means acts between the first stabilizer bar member and the second stabilizer bar member The elastic force is increased, and the reaction force is increased.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 또는 상기 제2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 중 어느 한 쪽에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 또는 상기 제2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 중 나머지 한 쪽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풀홀더와, 상기 스풀홀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 또는 상기 제2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로 비틀림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비틀림의 크기가 정해진 크기보다 작으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되고, 상기 비틀림의 크기가 정해진 크기보다 크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되는 스풀과, 상기 스풀홀더와 상기 스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풀홀더에 대하여 상기 스풀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stabilizer bar member or a second stabilizer bar member formed on one of the first stabilizer bar member and the second stabilizer bar member and configured to be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Wherein when the twist is inputted to the first stabilizer bar member or the second stabilizer bar member while being slidably installed in the spool holder, if the magnitude of the twist with respect to the housing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size, A spool which is relative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nd which is installed to slide relative to the housing when the size of the torsion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size; And It shall be.

상기 스풀의 외측면과 상기 스풀홀더의 내측면 중 어느 한 쪽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한 쪽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돌기를 수용하고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guide protrusion is formed on one of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pool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pool holder and the guide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pool in a sliding direction of the guide protrusion.

상기 스풀의 외측면에는 상기 스풀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풀홀더의 내측면에는 상기 스풀홀더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poo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pool, and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pool hold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pool holder.

상기 스풀의 외측에는 상기 스풀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스풀홀더를 관통하는 반력제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풀홀더에는 상기 스풀의 슬라이딩방향으로 형성된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고, 상기 반력제어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비틀림의 크기가 정해진 크기보다 작으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되게하고, 상기 비틀림의 크기가 정해진 크기보다 크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반력제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eaction force control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pool and passing through the housing and the spool holder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spool, a penetrating portion formed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pool is formed in the spool holder, And the reaction force control protrusion is inserted to rotate relative to the housing when the magnitude of the torsion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magnitude and to slide relative to the housing when the magnitude of the torsion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magnitude A reaction force control groove is formed.

상기 반력제어홈은, 개방된 부분이 상기 탄성부재가 설치된 쪽을 향하는 U자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reaction force control groove is formed in a U-shape in which the opened portion is directed to the side where the elastic member is installed.

상기 스풀과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스풀 스톱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pool stopper formed in a plate shape is installed between the spool and the elastic member.

상기 하우징과 상기 스풀홀더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bea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spool holder.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성이 조절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에 따르면, 유압기구나 모터기구 등이 없이 간단한 구조로, 스태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가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abilizer bar of the vehicle susp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rigidity of the stabilizer bar can be varied with a simple structure without a hydraulic device or a motor mechanism.

이와 같이, 스태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가변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입력이 작을 때에는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비틀림을 줄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외부로부터 입력이 클 때에는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비틀림을 크게 하여 롤 억제 성능이 향상되도록 한다.By varying the stiffness of the stabilizer ba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put from the outside is small, the torsion of the stabilizer bar is reduced to improve ride comfort, and when the input from the outside is large, the torsion of the stabilizer bar is increased to improve the roll restraining performance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성이 조절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성이 조절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성이 조절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의 길이방향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성이 조절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성이 조절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회전각에 따른 강성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bilizer bar of a vehicle suspension device in which rigidity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abilizer bar of a vehicle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rigidity is controlled.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stabilizer bar of a vehicle suspension device in which rigidity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bilizer bar of the vehicle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abilizer bar.
5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of the stiffness according to the stabilizer bar rotation angle according to the stabilizer bar of the vehicle suspension apparatus in which the rigidity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성이 조절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stabilizer bar of a vehicle suspen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강성이 조절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는, 좌우로 분리되어 차량의 좌, 우측 차륜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11)와 제2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12)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11)와 상기 제2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12)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외부로 입력되는 비틀림이 커지면 반력이 증가하는 반력가변수단이 구비되도록 한다.The stabilizer bar of the vehicle suspen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stabilizer bar member (11) and a second stabilizer bar member (12)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b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wheel sides of the vehicle And a reaction force varying means is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stabilizer bar member 11 and the second stabilizer bar member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reaction force increases when the torsion input to the outside increases.

즉, 본 발명에서는 스태빌라이저 바를 제1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11)와 제2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12)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11)와 상기 제2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12)가 연결되는 부위에 반력가변수단을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비틀림이 매우 작은 경우에는 상기 반력가변수단에서 비틀림을 흡수하여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가 스태빌라이저 바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지 않도록하고, 상기 비틀림이 정해진 크기 이내에서는 종래의 스태빌라이저 바보다 작은 반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승차감을 확보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비틀림이 정해진 크기를 넘는 경우에는 종래의 스태빌라이저 바보다 큰 반력이 작용하도록하여 조종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bilizer bar is divided into the first stabilizer bar member 11 and the second stabilizer bar member 12, and the first stabilizer bar member 11 and the second stabilizer bar member 12 are connected And when the torsion input from outside is very small, the torsion is absorbed by the reaction force varying means so that the stabilizer bar does not exhibit the function of the stabilizer bar, and when the torsion is within a predetermined size, A reaction force smaller than that of the stabilizer bar of the vehicle is generated to secure a ride comfort. On the other hand, when the twist exceeds the predetermined size, a reaction force great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stabilizer bar acts to secure steering stability.

상기 반력가변수단의 구조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structure of the reaction force varying mea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반력가변수단은,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11) 또는 상기 제2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12)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는 하우징(13)과,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11) 또는 상기 제2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12) 중 나머지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는 스풀홀더(14)와, 상기 스풀홀더(14)의 내부에 삽입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비틀림에 따라 회전하거나 슬라이딩하는 스풀(15) 및 상기 스풀홀더(14)와 상기 스풀(15)을 서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7)를 포함한다.The reaction force varying means includes a housing 13 formed at an end of either the first stabilizer bar member 11 or the second stabilizer bar member 12 and the first stabilizer bar member 11, A spool holder 14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tabilizer bar member 12 and a spool 15 inserted into the spool holder 14 and rotating or sliding according to a torsion input from the outside, And an elastic member 17 elastically supporting the spool holder 14 and the spool 15 together.

하우징(13)은 내부가 빈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11) 또는 상기 제2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12)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된다.The housing 13 is formed with an hollow hollow and is formed at an end of either the first stabilizer bar member 11 or the second stabilizer bar member 12. [

상기 하우징(13)에는 반력제어홈(13a)이 형성된다. 상기 반력제어홈(13a)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3)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도록 U자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반력제어홈(13a)에서 개방된 부분은 후술되는 탄성부재(17)를 향하도록 형성된다.A reaction force control groove 13a is formed in the housing 13.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reaction force control groove 13a is formed in a U-shape so as to pass throug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housing 13. [ Particularly, the portion opened in the reaction force control groove 13a is formed to face the elastic member 17 described later.

스풀홀더(14)는 내부가 빈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11) 또는 상기 제2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12) 중 상기 하우징(13)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단부에 형성된다. 만약, 상기 하우징(13)이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11)의 단부에 형성되었다면, 상기 스풀홀더(14)는 상기 제2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12)의 단부에 형성된다. The spool holder 14 is formed in an hollow hollow and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stabilizer bar member 11 or the second stabilizer bar member 12 where the housing 13 is not formed . If the housing 13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stabilizer bar member 11, the spool holder 14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stabilizer bar member 12.

상기 스풀홀더(14)는 상기 하우징(13)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비틀림에 따라 상기 하우징(1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상기 스풀홀더(14)의 둘레를 따라 돌출부(14c)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4c)의 외측에 베어링(18)을 삽입하여, 상기 스풀홀더(14)가 상기 하우징(13)에 대하여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pool holder 14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3 and rotates relative to the housing 13 in accordance with a torsion input from the outside. A protrusion 14c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pool holder 14 and a bearing 18 is inserted outside the protrusion 14c so that the spool holder 14 can smoothly move relative to the housing 13 So that it can rotate.

상기 스풀홀더(14)의 전단으로부터 정해진 길이로 상기 스풀홀더(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형태로 관통부(14a)가 형성된다.A through hole 14a is formed in a lengthwise direction from the front end of the spool holder 14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pool holder 14.

상기 스풀홀더(14)의 내측면에는 스풀(15)의 슬라이딩시 스풀(15)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4b)이 형성된다.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pool holder 14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14b for guiding the sliding of the spool 15 when the spool 15 is slid.

스풀(15)은 상기 스풀홀더(14)의 내부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스풀홀더(14)의 내부에 설치된다.The spool 15 is installed inside the spool holder 14 so as to be able to slide inside the spool holder 14.

상기 스풀(15)이 상기 스풀홀더(14)의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되, 상기 스풀홀더(14)에 대해서는 회전하지 않다록 상기 스풀(15)의 외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14b)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15b)가 상기 스풀(15)의 슬라이디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15b)와 상기 가이드홈(14b)은 각각 상기 스풀홀더(14)와 상기 스풀(15)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spool 15 is slid inside the spool holder 14 but is not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pool holder 14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spool 15 is guided by the guide projection 14b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4b, (15b) may be formed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pool (15). The guide protrusion 15b and the guide groove 14b may be formed in the spool holder 14 and the spool 15, respectively.

상기 스풀(15)의 외측면에는 상기 하우징(13)과 상기 스풀홀더(14)를 관통하는 반력제어돌기(15a)가 형성된다. 상기 반력제어돌기(15a)는 상기 스풀(15)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반력제어돌기(15a)는 상기 스풀(15)이 상기 스풀홀더(14)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면, 상기 스풀홀더(14)의 관통부(14a)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한편, 상기 반력제어돌기(15a)는 상기 반력제어홈(13a)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11)와 상기 제2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12)로 입력되는 비틀림에 따라, 상기 반력제어홈(13a)의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반력을 제어하게 된다.A reaction force control protrusion 15a penetrating the housing 13 and the spool holder 14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pool 15. [ The reaction force control protrusion 15a is formed to exten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pool 15. [ The reaction force control protrusion 15a sl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penetration portion 14a of the spool holder 14 when the spool 15 slides with respect to the spool holder 14. [ On the other hand, the reaction force control projection 15a is located inside the reaction force control groove 13a, and according to the twist that is input to the first stabilizer bar member 11 and the second stabilizer bar member 12, The reaction force is controlled while moving within the reaction force control groove 13a.

탄성부재(17)는 상기 스풀홀더(14)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17)의 일단은 상기 스풀홀더(14)의 내측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스풀(15)의 일측면과 인접하게 위치한다. 상기 스풀(15)이 상기 탄성부재(17)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반력이 제어되지 않고, 상기 스풀(15)이 상기 탄성부재(17)와 접촉하면서부터 반력이 제어된다.The elastic member (17) is installed inside the spool holder (14).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17 is fixed to the inner end of the spool holder 14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spool 15. The reaction force is not controlled in a state where the spool 15 does not contact the elastic member 17 and the reaction force is controlled as the spool 15 contacts the elastic member 17. [

한편, 상기 탄성부재(17)의 타단, 즉 상기 스풀(15)과 인접한 단부에는 스풀 스톱퍼(16)가 설치된다. 상기 스풀 스톱퍼(16)는 판상(板狀)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풀(15)이 상기 탄성부재(17)에 안정적으로 접촉하도록 한다.Meanwhile, a spool stopper 16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17, that is, at an end adjacent to the spool 15. The spool stopper 16 is formed in a plate shape so that the spool 15 stably contacts the elastic member 17.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성이 조절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stabilizer bar of the vehicle suspension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elow.

본 발명에 따른 강성이 조절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비틀림에 따라 반력이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비틀림의 크기가 작으면 승차감이 향상되도록 하고, 비틀림의 크기가 크면 승차감보다 롤억제를 우선시 하여 조향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한다.The stabilizer bar of the vehicle suspen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vary the reaction force according to the torsion inputted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ride feeling is improved when the torsion is small and when the torsion is large, So that the steering stability is secured.

도 3에는 중립상태, 즉 비틀림이 입력되지 않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외부에서 비틀림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11)와 상기 제2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12)는 서로 상대회전하고, 이때 상기 반력제어돌기(15a)가 상기 반력제어홈(13a)의 내부에서 이동하고, 상기 스풀(15)가 상기 탄성부재(17)를 압축하는 탄성력에 따라 스태빌라이저 바의 반력이 제어된다.FIG. 3 shows a neutral state, that is, a state in which no twist is input. When the torsion is externally input from this state, the first stabilizer bar member 11 and the second stabilizer bar member 12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and at this time, the reaction force control protrusion 15a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action force control groove 13a And the reaction force of the stabilizer bar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elastic force by which the spool 15 compresses the elastic member 17.

외부로부터 매우 작은 비틀림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11)와 상기 제2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12)는 서로 상대 회전하지만, 그 양이 아주 작으므로, 상기 반력제어돌기(15a)는 상기 반력제어홈(13a)에서 곡선부분을 이동하면서, 상기 스풀(15)은 상기 스풀홀더(14)의 내부로 슬라이딩하고, 상기 스풀홀더(14)는 상기 하우징(13)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전체 스태빌라이저 바로부터 반력이 발생되지 않는다.The first stabilizer bar member 11 and the second stabilizer bar member 12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but the amount thereof is very small, so that the reaction force control projection 15a The spool 15 slides into the spool holder 14 while the curved portion moves in the reaction force control groove 13a and the spool holder 14 rotates relative to the housing 13, No reaction force is generated from the stabilizer bar.

즉, 도 3과 도 5의 구간 a에서는 비틀림이 입력되어도 상기 스풀(15)은 슬라이딩하고, 상기 스풀홀더(14)는 회전하면서 스태빌라이저 바로부터 반력이 발생되지 않아,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잔진동을 흡수하고, 롤을 억제하는 스태빌라이저 바로서의 기능을 하지 않는다.3 and 5, the spool 15 slides and the spool holder 14 does not generate a reaction force from the stabilizer bar while the spool holder 14 rotates to absorb the residual vibration input from the outside , It does not function as a stabilizer bar restraining the roll.

한편, 외부로부터 조금 더 큰 진동이 입력되는 경우(도 3, 도 5에서 구간 b)에서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비틀림에 대하여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가 입력되는 비틀림에 비례하는 반력이 발생된다. 즉, 구간 b에서는 상기 반력제어돌기(15a)가 상기 반력제어홈(13a)의 직선구간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스풀(15)이 상기 스풀 스톱퍼(16)에 접촉한 상태이다. 상기 스풀(15)과 상기 스풀 스톱퍼(16)가 접촉하고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7)가 상기 스풀(15)을 밀어내려 하는 힘이 발생한다. 외부로부터 입력된 비틀림의 일부는 상기 스풀(15)을 상기 탄성부재(17)를 압축하려는 힘으로 소진되므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비틀림에 비례하는 반력이 발생하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비해서는 작다.On the other hand, when a slightly larger vibration is input from the outside (interval b in Figs. 3 and 5), a reaction force proportional to the twist to which the stabilizer bar is input is generated with respect to the twist input from the outside. That is, in the section b, the reaction force control projection 15a is located in the linear section of the reaction force control groove 13a, and the spool 15 is in contact with the spool stopper 16. The spool 15 and the spool stopper 16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elastic member 17 generates a force to push down the spool 15. A part of the torsion input from the outside is exhausted by the force for compressing the elastic member 17 of the spool 15, so that a reaction force proportional to the torsion inputted from the outside is generated. However, as shown in Fig. 5, It is small compared to technology.

만약, 외부로부터 더 큰 비틀림이 입력되는 경우(도 3, 도 5의 구간 c)에는 상기 스풀(15)이 최대로 회전하여 상기 반력제어돌기(15a)가 상기 반력제어홈(13a)의 단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하우징(13)에 대하여 상기 스풀홀더(14)가 비틀리면서 비틀림에 비례하는 반력이 발생한다. 이때에는 상기 탄성부재(17)는 최대로 압축된 상태로 상기 비틀림이 상기 탄성부재(17)를 압축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외부로부터 입력된 비틀림은 모두 반력으로 작용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반력의 증가가 종래의 반력 증가보가 크고, 도 5의 A지점을 기준으로 작용하는 반력은 종래의 스태빌라이저 바의 반력보다 큰 반력이 작용하므로, 롤 억제 성능이 향상된다.3 and 5), the spool 15 rotates to its maximum and the reaction force control protrusion 15a is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reaction force control groove 13a The spool holder 14 is twist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3, and a reaction force proportional to the twist is generated. At this time, since the elastic member 17 does not need to compress the elastic member 17 in the maximum compressed state, the twisting inputted from outside acts as a reaction force. At this time, the increase in the reaction force in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conventional reaction force increase beam, and the reaction force acting on the point A in FIG. 5 acts on the reaction force larger than the reaction force of the conventional stabilizer bar.

11 : 제1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
12 : 제2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
13 : 하우징
13a : 반력제어홈
14 : 스풀홀더
14a : 관통부
14b : 가이드홈
14c : 돌출부
15 : 스풀
15a : 반력제어돌기
15b : 가이드돌기
16: 스풀 스톱퍼
17 : 탄성부재
18 : 베어링
11: first stabilizer bar member
12: second stabilizer bar member
13: Housing
13a: reaction force control groove
14: Spool holder
14a:
14b: Guide groove
14c:
15: spool
15a: reaction force control projection
15b: guide projection
16: Spool stopper
17: Elastic member
18: Bearings

Claims (9)

차량의 좌우측 차륜측을 연결하여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롤을 제어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에 있어서,
좌우로 분리되어 차량의 좌, 우측 차륜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와 제2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와 상기 제2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외부로 입력되는 비틀림이 커지면 반력이 증가하는 반력가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이 조절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A stabilizer bar of a vehicle suspension device for connecting roller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to control rolls generated when the vehicle is running,
And a first stabilizer bar member and a second stabilizer bar member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to left and right wheel sides of the vehicle,
Wherein a portion of the first stabilizer bar member and the second stabilizer bar member connected to each other is provided with reaction force varying means for increasing the reaction force when an external twist is increa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가변수단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비틀림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와 상기 제2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가 서로 회전하고,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와 상기 제2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 사이에 작용하는 탄성력이 커지면서, 상기 반력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이 조절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action force varying means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an externally input twist is inputted, the first stabilizer bar member and the second stabilizer bar member rotate with each other, and the reaction force varying means acts between the first stabilizer bar member and the second stabilizer bar member And the reaction force is increased while the elastic force is increas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 또는 상기 제2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 중 어느 한 쪽에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 또는 상기 제2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 중 나머지 한 쪽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풀홀더와,
상기 스풀홀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 또는 상기 제2 스태빌라이저 바 부재로 비틀림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비틀림의 크기가 정해진 크기보다 작으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되고, 상기 비틀림의 크기가 정해진 크기보다 크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되는 스풀과,
상기 스풀홀더와 상기 스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풀홀더에 대하여 상기 스풀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이 조절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housing formed on either the first stabilizer bar member or the second stabilizer bar member,
A spool holder formed on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stabilizer bar members and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Wherein when a torsion is inputted to the first stabilizer bar member or the second stabilizer bar member while being slidably installed in the spool holder, if the magnitude of the tors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magnitude, A spool installed to slide relative to the housing when the size of the twist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size,
And a resilient member provided between the spool holder and the spool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spool with respect to the spool hold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의 외측면과 상기 스풀홀더의 내측면 중 어느 한 쪽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한 쪽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돌기를 수용하고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이 조절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guide protrusion is formed on on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pool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pool holder and a guide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of the spool holder and the spool holder in a sliding direction of the guide protrusion. The stabilizer bar of this controlled suspension of the vehic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의 외측면에는 상기 스풀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풀홀더의 내측면에는 상기 스풀홀더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이 조절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5. The method of claim 4,
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poo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pool,
Wherein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pool hold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pool hold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의 외측에는 상기 스풀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스풀홀더를 관통하는 반력제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풀홀더에는 상기 스풀의 슬라이딩방향으로 형성된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고, 상기 반력제어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비틀림의 크기가 정해진 크기보다 작으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되게하고, 상기 비틀림의 크기가 정해진 크기보다 크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반력제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이 조절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5. The method of claim 4,
A reaction force control protrusion protruding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spool and passing through the housing and the spool holder is formed on an outer side of the spool,
Wherein the spool holder is formed with a through-hole formed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pool,
Wherein the housing penetrates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llows the reaction force control protrusion to be inserted so that the housing is rotated relative to the housing when the size of the twist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size, And a reaction force control groove for sliding the housing with respect to the housing is formed on the stabilizer ba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제어홈은,
개방된 부분이 상기 탄성부재가 설치된 쪽을 향하는 U자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이 조절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reaction force control groove
And the open portion is formed in a U-shape toward the side where the elastic member is install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과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는 판상(板狀)으로 형성되는 스풀 스톱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이 조절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spool stopper formed in a plate shape is provided between the spool and the elastic memb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스풀홀더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이 조절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bearing is provid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spool holder.
KR1020160006646A 2016-01-19 2016-01-19 Stabilizer bar of suspension having variable stiffness KR1024060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646A KR102406076B1 (en) 2016-01-19 2016-01-19 Stabilizer bar of suspension having variable stiffn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646A KR102406076B1 (en) 2016-01-19 2016-01-19 Stabilizer bar of suspension having variable stiffn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962A true KR20170086962A (en) 2017-07-27
KR102406076B1 KR102406076B1 (en) 2022-06-08

Family

ID=59428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646A KR102406076B1 (en) 2016-01-19 2016-01-19 Stabilizer bar of suspension having variable stiffne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076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383B1 (en) * 2018-08-31 2020-01-28 대원강업주식회사 Semi-active Anti-roll Stabilizer Bar
KR102168454B1 (en) * 2019-05-31 2020-10-21 대원강업주식회사 Semi-active stabilizer device
KR102168446B1 (en) * 2019-05-31 2020-10-21 대원강업주식회사 Semi-active stabilizer device
KR20210157075A (en) * 2020-06-19 2021-12-28 대원강업주식회사 Semi-active stabilizer device
CN113942356A (en) * 2020-07-15 2022-01-18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Stabilizer bar structure and automobile with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039U (en) * 1997-12-10 1999-07-05 정몽규 Car Stabilizer Bar
KR20040104995A (en) 2003-06-03 2004-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abilizer with variable roll stiffness
KR20050047557A (en) * 2002-10-25 2005-05-20 이나-쉐플러 카게 Roll stabiliser for the chassis of a motor vehicle
JP2006503743A (en) * 2002-10-25 2006-02-02 アイエヌエイ−シャエフラー カーゲー Roll stabilizer for automobile chassis
US20070170681A1 (en) * 2006-01-26 2007-07-26 Polaris Industries Inc. Variable rate stabilizer ba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039U (en) * 1997-12-10 1999-07-05 정몽규 Car Stabilizer Bar
KR20050047557A (en) * 2002-10-25 2005-05-20 이나-쉐플러 카게 Roll stabiliser for the chassis of a motor vehicle
JP2006503743A (en) * 2002-10-25 2006-02-02 アイエヌエイ−シャエフラー カーゲー Roll stabilizer for automobile chassis
KR20040104995A (en) 2003-06-03 2004-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abilizer with variable roll stiffness
US20070170681A1 (en) * 2006-01-26 2007-07-26 Polaris Industries Inc. Variable rate stabilizer ba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383B1 (en) * 2018-08-31 2020-01-28 대원강업주식회사 Semi-active Anti-roll Stabilizer Bar
US10987990B2 (en) * 2018-08-31 2021-04-27 Daewon Kang Up Co., Ltd. Semi-active anti-roll stabilizer bar
KR102168454B1 (en) * 2019-05-31 2020-10-21 대원강업주식회사 Semi-active stabilizer device
KR102168446B1 (en) * 2019-05-31 2020-10-21 대원강업주식회사 Semi-active stabilizer device
US11285777B2 (en) 2019-05-31 2022-03-29 Daewon Kang Up Co., Ltd. Semi-active stabilizer device
KR20210157075A (en) * 2020-06-19 2021-12-28 대원강업주식회사 Semi-active stabilizer device
CN113942356A (en) * 2020-07-15 2022-01-18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Stabilizer bar structure and automobile with same
CN113942356B (en) * 2020-07-15 2023-08-15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Stabilizer bar structure and have its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076B1 (en)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6962A (en) Stabilizer bar of suspension having variable stiffness
JP6051804B2 (en) Steering device
EP3274242B1 (en) A gearbox assembly for an electric power steering assembly
US9469333B2 (en) Rack and pinion mechanism
JP6728974B2 (en) Ball screw mechanism and steering device
KR102168446B1 (en) Semi-active stabilizer device
KR102207576B1 (en) Rack bush of steering device for vehicle
JP2006264631A (en) Rack-pinion type steering device,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and rack displacement adjusting method of rack-pinion type steering device
KR102349870B1 (en) Rack Assist Type Power Steering Apparatus
KR102362991B1 (en) Semi-active stabilizer device
JP2016128311A (en) Rack guide mechanism
JP2009113689A (en) Steering device
JP2007008216A (en) Steering device
US20180313127A1 (en) Flexible rack for linear free-run damper
JP6710174B2 (en) Rack guide and gear mechanism
JP2015107683A (en) Rack shaft support device and steer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08049756A (en) Rack/pinion type steering device
KR102168454B1 (en) Semi-active stabilizer device
KR102349847B1 (en) Semi-active stabilizer device
KR102203297B1 (en) Steering device for vehicle
JP2016141343A (en) Steering device
JP2013010390A (en) Rack guide mechanism and steering device
KR102371017B1 (en) Reducer support device of MDPS
US11001291B2 (en) Power column rake slider mechanism
JP5056222B2 (en) Steering reaction force addi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