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6339A -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86339A KR20170086339A KR1020160006054A KR20160006054A KR20170086339A KR 20170086339 A KR20170086339 A KR 20170086339A KR 1020160006054 A KR1020160006054 A KR 1020160006054A KR 20160006054 A KR20160006054 A KR 20160006054A KR 20170086339 A KR20170086339 A KR 201700863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rver
- communication
- operation mode
- access
- electronic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1—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connectiv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87—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cross-functional networking aspects
- H04L67/1093—Some peer nodes performing special func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 H04L67/16—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버로의 액세스에 관한 복수의 동작모드를 가지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단말기의 일 기능에 이용되는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부; 상기 사용자단말기, 상기 서버 및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를 가지는 복수의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및 제1동작모드에서, 상기 서버에 엑세스를 시도하고, 상기 액세스 시도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가 정상적으로 통신을 수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정보생성부에서 생성된 정보가 상기 서버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액세스 시도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가 통신 보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로의 액세스를 제한하는 제2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1모드변경신호가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하여, 서버가 통신 보류 상태에 있을 때, 다른 전자장치들의 서버로의 액세스시도가 제한됨으로써, 전력효율이 향상되고, 통신채널경쟁이 약화되는 전자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로 인하여, 서버가 통신 보류 상태에 있을 때, 다른 전자장치들의 서버로의 액세스시도가 제한됨으로써, 전력효율이 향상되고, 통신채널경쟁이 약화되는 전자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버와 통신함에 있어, 전력 및 채널 점유 효율을 증대하기 위한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는 세상에서 존재하는 모든 사물(things)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언제 어디서나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정보통신 기반으로서, 유비쿼터스 공간을 구현하기 위한 인프라를 의미한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공간은 특정 기능이 내재된 컴퓨팅 기기들이 환경과 사물에 심어져 환경이나 사물 그 자체가 지능화되는 것으로 시작된다.
IOT는 우리에게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생활을 제공해주는 기술이다. 도1과 도2는 IOT의 구현예를 도시한다. IOT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도1을 참조하면, 주변환경을 센싱할 수 잇는 복수의 전자장치(1a~1d)와, 복수의 전자장치(1a~1d)로부터 센싱된 주변환경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단말기(2)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2)를 통해 복수의 전자장치(1a~1d)에서 센싱된 정보를 영상, 음성 등 다양한 형태로 전달 받을 수 있다. 또한, 도2를 참조하면, IOT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전자장치(1e~1i)와 복수의 전자장치(1e~1i)에 명령을 제공하거나, 복수의 전자장치(1e~1i)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단말기(2)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2)를 통해 복수의 전자장치(1e~1i)의 상태 등을 수신하며, 복수의 전자장치(1e~1i)의 상태 또는 동작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사용자단말기(2)를 이용하여 전달할 수 있다. IOT는 상술된 설명과 도면의 구현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전자장치(1a~1i)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단말기(2)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전자장치(1a~1f)가 서버(4)를 통해 정보를 사용자단말기(2)에 제공하는 예가 도시된다. 복수의 전자장치(1a~1f)는 사용자단말기(2)에 직접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등으로 연결된 서버(4)에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마찬가지로 사용자단말기(2)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4)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복수의 전자장치(1a~1f)는 각각 서버(4)에 액세스(Acess)를 주기적으로 시도하고, 서버로부터 승인(acknowledge)이 수신되면 센싱한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하지만 서버(4)가 오류, 통신 혼잡(congestion), 전력 저하 등의 이유로 통신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어 전자장치()들의 액세스에 승인을 할 수 없는 경우에도, 복수의 전자장치(1a~1f)는 서버가 승인할 때까지 액세스를 주기적으로 시도하게 된다. 이는 각 전자장치(1a~1f)의 전력 소모와 채널 혼잡(channel contention)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버가 응답하지 않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다른 전자장치에 액세스를 제한하도록 신호를 전파하는 전자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버로의 액세스에 관한 복수의 동작모드를 가지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단말기의 일 기능에 이용되는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부; 상기 사용자단말기, 상기 서버 및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를 가지는 복수의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및 제1동작모드에서, 상기 서버에 엑세스를 시도하고, 상기 액세스 시도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가 통신 정상적으로 통신 수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정보생성부에서 생성된 정보가 상기 서버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액세스 시도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가 통신 보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로의 액세스를 제한하는 제2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1모드변경신호가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가 제공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동작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모드변경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가 통신 보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제1모드변경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자장치가 제2동작모드로 동작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동작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생성부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동작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2모드변경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제2모드변경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동작모드로 동작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동작모드에서, 상기 서버에 주기적으로 액세스를 시도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에 기 설정된 임계 회수 이상 액세스 하는 동안, 상기 서버로부터 통신 승인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서버가 통신 보류인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모드변경신호를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한 뒤, 상기 주기적인 액세스 시도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가 정상적으로 통신을 수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2모드변경신호를 상기 제1모드변경신호가 전송된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일 기능에 이용되는 정보는 주변환경정보 및 상기 전자장치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일 기능에 이용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가 통신 보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제2동작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일 기능에 이용되는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있는지 여부를 탐색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탐색된 외부 장치에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일 기능에 이용되는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동작모드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 설정된 주기는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복수의 외부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버로의 액세스에 관한 복수의 동작모드를 가지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단말기의 일 기능에 이용되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제1동작모드에서, 상기 서버에 액세스를 시도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시도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가 정상적으로 통신을 수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정보생성부에서 생성된 정보가 상기 서버를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시도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가 통신 보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로의 액세스를 제한하는 제2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1모드변경신호가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동작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모드변경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가 통신 보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제1모드변경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2동작모드로 동작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동작모드에서, 정보 생성 동작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동작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2모드변경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제2모드변경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동작모드로 동작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에 액세스를 시도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 주기적으로 액세스를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에 주기적으로 액세스를 시도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 기 설정된 임계 회수 이상 액세스 하는 동안, 상기 서버로부터 통신 승인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서버가 통신 보류인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모드변경신호를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한 뒤, 상기 주기적인 액세스 시도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가 정상적으로 통신을 수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2모드변경신호를 상기 제1모드변경신호가 전송된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일 기능에 이용되는 정보는 주변환경정보 및 상기 전자장치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가 통신 보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제2동작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일 기능에 이용되는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있는지 여부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외부 장치에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일 기능에 이용되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기 설정된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동작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서버가 액세스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 주변의 다른 전자장치에 액세스를 제한하도록 신호를 전파하여 전력 및 통신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의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의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생성하여 제공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전자장치와 서버의 동작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전자장치와 서버의 동작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전자장치와 서버의 동작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전자장치와 서버의 동작이 진행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전자장치의 동작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전자장치와 서버의 동작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제어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의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생성하여 제공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전자장치와 서버의 동작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전자장치와 서버의 동작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전자장치와 서버의 동작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전자장치와 서버의 동작이 진행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전자장치의 동작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전자장치와 서버의 동작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제어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로 적절하기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포함하는 구성요소가 아닌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고자 함이 아니라, 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가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IOT는 복수의 전자장치(1a~1i)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복수의 전자장치(1a~1i)에 제어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단말기(2)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전자장치(1a-1d)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환경을 센싱하고, 센싱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2) 또는 다른 전자장치에 제공하도록 단순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전자장치(1e~1i)로서 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2)조작에 따라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1a~1i)는 도면과 상술된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IOT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전자장치(1a~1i)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전자장치(1a~1i)는 온도, 습도, 움직임, 바닥의 재질, 날씨 기타 주변환경을 센싱하는 센서로 구현되거나, 이런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1g), 청소기(1h), 에어컨(1f), 김치냉장고(1e), 운동기기(1i)등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센서(1a~1d)가 집 바닥의 먼지 상태, 집안의 온도를 체크하며, 관련 정보를 알릴 수 있다. 또는, 냉장고(1g)가 우유가 유통기한이 지났음 알리거나, 김치냉장고(1e)는 저장하고 있는 김치의 pH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운동기기(1i)를 사용하면, 얼마나 운동하였는지, 그에 따라 소모한 칼로리는 어느 정도인지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2)를 통해 제공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2)를 통해 제공받은 정보를 참조하여, 가장 더러운 곳을 청소하도록 청소기(1h)에 명령을 내릴 수 있으며, 온도가 높으니 에어컨(1f)이 냉방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우유를 새로 사와서 냉장고(1g)에 보관할 수 있고, 김치의 pH를 조절하기 위한 명령을 김치냉장고(1e)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다양한 전자장치(1a~1i)로부터 사용자단말기(2)를 통해 각종 정보를 제공 받으며, 제공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장치(1a~1i)를 효율적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전자장치(1a~1i)의 제어는 사용자단말기(2)를 통해서도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직접 전자장치(1a~1i)를 조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생성하여 제공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복수의 전자장치(1a~1i)는 센서로 구현되거나, 센서를 포함하여 주변환경정보를 센싱하며, 센싱된 정보 및 전자장치(1a~1i)의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300)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도3은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2)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복수의 전자장치(1a~1i)에서 생성한 정보(300)의 예를 도시한다. 정보(300)는 복수의 전자장치(1a~1i)의 목록(301)과 각 전자장치(1a~1i)에서 제공하는 주변환경 및 전자장치(1a~1i)의 상태를 포함하는 항목(303)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2)를 통해 정보(300)를 제공받으며, 제공받은 정보(300)에 기초하여 각 전자장치(1a~1i)를 직접 또는 사용자단말기(2)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면과 상술된 설명은 단지 예시일 뿐으로, IOT를 구현함에 있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는 보다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전자장치와 서버의 동작예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전자장치(1a~1f)는 사용자단말기(2)에 각 전자장치(1a~1f)에서 생성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보의 전달은 사용자단말기(2)와 직접 통신을 통해서도 이루어 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4)에 생성한 정보를 전달하고, 사용자단말기(2)가 서버로부터 정보를 다시 제공받는 것으로 설명한다.
복수의 전자장치(1a~1f)는 서버(4)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액세스(Access)를 시도하며, 서버(4)로부터 승인(acknowledge)이 되면, 서버(4)에 생성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전자장치와 서버의 동작예를 도시한다.
복수의 전자장치(1a~1f)가 서버(4)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각자 액세스(Access)를 시도할 수 있다. 하지만, 서버(4)가 오류, 통신 혼잡 등의 이유로 통신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경우, 전자장치(1a~1f)의 액세스에 대응하여 응답이 없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4)가 통신 보류 또는 통신 불능 상태에 있을 때, 모든 전자장치(1a~1f)가 서버(4)에 액세스를 시도하는 것은 전력 낭비 또는 불필요한 통신 채널 경쟁(communication channel contention)을 야기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a~1f)는 서버로의 액세스에 관한 복수의 동작모드를 가질 수 있다. 제1동작모드에서 전자장치(1a~1f)는 주기적으로 서버에 액세스를 시도할 수 있으며, 제2동작모드에서 전자장치(1a~1f)는 서버에 액세스를 시도하는 것이 일정부분 제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전자장치(1a~1f) 중 하나의 전자장치(1a)는 제1모드에서 동작 중에, 기 설정된 회수만큼 액세스를 시도하는 동안 서버(4)로부터 승인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서버(4)가 통신 보류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고, 연결된 다른 전자장치(1b~1f)에 액세스를 제한하도록 제1모드변경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1모드변경신호의 전송은 P2P전송 또는 브로드캐스팅을 포함한다. 제1모드변경신호를 수신한 다른 전자장치(1b~1f)들은 제2동작모드로 동작모드를 변경하며, 제2모드변경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서버에 액세스가 제한될 수 있다. 액세스의 제한은 액세스 시도의 횟수가 제1동작모드에서 동작할 때에 비해서 일정 빈도만큼 줄어드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자장치(1b~1f)는 제2동작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서버(4)로의 액세스를 시도하지 않거나, 제1동작모드로 동작할 때와 비교하여 같은 시간 동안 훨씬 적게 시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동작모드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전자장치(1b~1f)의 서버(4)로의 액세스가 제한됨에 따라, 액세스에 소비되는 전력의 소비가 절감되며, 채널 경쟁이 완화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전자장치와 서버의 동작예를 도시한다.
다른 전자장치(1b~1f)에 제1모드변경신호를 전송한 전자장치(1a)는 대표 전자장치(1a)로 동작하여 서버(4)에 주기적으로 액세스를 시도할 수 있다. 다른 전자장치(1b~1f)가 제2동작모드로 동작하여 서버(4)에 액세스가 제한되는 동안, 대표 전자장치(1a)는 제1동작모드로 동작하여, 서버(4)에 주기적으로 액세스를 시도함으로써 서버(4)의 통신 보류 상태가 해제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서버(4)의 통신 보류 또는 불능 상태가 해제되고 서버(4)가 정상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즉, 서버(4)가 정상적으로 통신을 수행 할 수 있는, 즉, 서버(4)가 통신 대기 상태가 된 후, 대표 전자장치(1a)가 다시 통신을 위해 액세스를 시도하면, 서버(4)는 대표 전자장치(1a)에 승인을 전송하게 되고, 대표 전자장치(1a)는 연결된 다른 전자장치(1b~1f)에 제1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2모드변경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2모드변경신호를 수신한 다른 복수의 전자장치(1b~1f)는 제1동작모드로 동작모드를 변경하며, 액세스의 제한이 없어져, 생성한 정보를 상기 서버(4)를 통하여 사용자단말기(2)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전자장치(1)는 주변환경을 센싱하거나, 기타 전자장치(1)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한 정보를 서버(4)를 통해 사용자단말기(2)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이를 위해, 정보생성부(700), 저장부(701), 통신부(703) 및 제어부(705)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생성부(700)는 사용자단말기(2)의 기능에 이용되는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변환경정보, 전자장치(1)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생성부(700)는 주변환경을 센싱하여 주변환경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는 온도, 날씨, 움직임, 습도, 등 기타 주변환경을 센싱하며, 센싱된 값에 기초하여 주변환경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정보생성부(700)는 또한, 전자장치(1)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현재 상태는 전자장치(1)가 동작되고 있는 모드, 동작 시간, 소모 전력, 저장하는 물건의 개수, 물건의 종류 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701)는 상기 정보생성부(700)에서 생성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1)는 서버(4)가 통신 보류 상태에 있다고 판단되거나 제2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서버(4)에 생성된 정보를 전송할 수 없으므로, 생성된 정보를 우선 저장부(701)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701)는 전자장치(1)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데이터들이 남아있어야 하며, 변동 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writable ROM)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저장부(701)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또는 EPROM 또는 EEPROM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주변 환경은 시간대, 주변 조도의 변화, 주변 날씨의 변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701)는 동작 모드의 개시 시, 복수의 외부 전자장치(1)의 변경 전 상태에 관한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703)는 전자장치(1)로 하여금 서버(4), 사용자단말기(2) 및 복수의 다른 전자장치(1)와 직접 또는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통신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등 다양한 규격에 따른 접속 포트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통신부(703)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을 통해 복수의 서버들과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703)가 수행하는 통신을 무선통신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의 경우, 통신부(703)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수신하는 RF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03)는 무슨 LAN, Wi-Fi(Wireless Fidelity) 등과 같은 방식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703)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방식으로 외부장치 또는 네트워크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나아가, 통신부(703)는 인터넷 전화, 메시지송수신 등을 위한 통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703)는 전자장치(1)의 동작모드에 따라 동작을 달리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1)는 서버(4)로의 액세스에 관한 복수의 동작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동작모드는 서버(4)로의 액세스가 제한되지 않는 동작모드를, 제2동작모드는 서버(4)로의 액세스가 제한되는 동작모드를 의미한다. 전자장치(1)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여러 종류 동작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의 제1동작모드 및 제2동작모드는 서버에의 액세스와 관련된 동작모드를 의미한다.
즉, 통신부(703)는 전자장치(1)가 제1동작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서버(4)에 주기적으로 액세스를 시도할 수 있으며, 제2동작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서버(4)에 액세스를 시도하지 않거나, 제1동작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비해 적게 시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동작모드로 동작하는 도중에도, 통신부(703)는 다른 전자장치(1)와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정보생성부(700)에서 생성된 사용자단말기(2)의 기능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다른 전자장치(1)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는 후술한다.
제어부(70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5)는 전자장치(1)가 제1동작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서버(4)에 주기적으로 액세스를 시도하며, 서버(4)로부터 통신이 승인되면, 서버(4)에 생성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통신부(703)를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서버(4)가 통신 불능 또는 보류 상태에 있어 전자장치(1)에 통신 승인을 전송하지 못하는 경우, 제어부(705)는 통신부(703)를 제어하여 연결된 다른 전자장치(1)에 모드변경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버(4)의 통신 보류 상태를 가장 먼저 파악한 전자장치(1)는 다른 전자장치(1)에 모드변경신호를 전송한 뒤, 대표 전자장치(1)로 동작하며, 제2동작모드로 동작모드를 변경하지 않은 상태로 서버(4)에 주기적으로 액세스를 시도하여 서버(4)가 다시 정상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지, 즉 서버(4)가 통신 대기 상태인지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표 전자장치(1)는 서버(4)와 가장 지리적으로 가까운 전자장치(1)가 될 수 있다. 대표 전자장치(1)는 서버(4)에 다른 전자장치(1)보다 많이 액세스를 시도할 수 있으며, 서버(4)가 통신 보류 상태가 되는 경우, 다른 전자장치(1)에 모드변경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액세스에 응답하는 서버(4)의 통신 승인이 전송되지 않는 경우 또는 서버(4)로부터 모드변경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연결된 다른 전자장치(1)에 모드변경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버(4)는 전자장치(1)로부터 액세스가 시도되고 통신이 가능한 상태임에도, 전자장치(1)들로 하여금 제2동작모드로 동작하고 있도록 모드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4)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대표 전자장치(1)는 서버(4)로부터 이런 모드변경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다른 전자장치(1)에 모드변경신호를 제공하고, 이 경우, 대표 전자장치(1)도 제2동작모드로 동작하여 서버(4)에 액세스가 제한될 수 있다. 서버(4)는, 제2동작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복수의 전자장치(1)가 다시 제1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모드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자장치(1)들은 농장, 비닐하우스 등 넓은 지역에 설치되어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전자장치(1)들 모두가 항상 동작하고 있다면, 전력이 낭비될 수 있으므로, 전자장치(1)는 기 설정된 스케쥴에 기초하여 동작모드를 선택적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자장치(1)는 제1동작모드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며, 제2동작모드에서 최소한의 전력을 사용하는 슬립모드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버(4)가 다시 정상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즉 서버(4)가 통신 대기 상태가 되고, 대표 전자장치(1)가 통신부(703)를 통해 서버(4)에 액세스를 시도하면, 서버(4)는 전자장치(1)에 통신 승인을 전송한다. 통신 승인이 수신되면, 통신부(703)는 제2동작모드에서 제1동작모드로 모드 변경을 위한 모드변경신호를 다른 전자장치(1)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703)를 통해 모드변경신호가 다른 전자장치(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면, 제어부(705)는 모드변경신호를 제공한 전자장치(1)를 제외한 다른 전자장치(1)에 모드변경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703)를 제어하며, 전자장치(1)로 하여금 제2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서버(4)에 액세스를 통해 서버(4)가 통신 보류 상태임을 확인한 경우와 달리, 다른 전자장치(1)로부터 모드변경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전자장치(1)는 제2동작모드로 동작모드를 변경하며, 모드변경신호를 제공한 전자장치(1)와는 다른 전자장치(1)에 모드변경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모드변경신호를 계속하여 전파한다.
제어부(705)는 전자장치(1)가 제2동작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통신부(703)가 서버(4)로 액세스를 시도함을 제한할 수 있다. 제2동작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통신부(703)는 제1동작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비하여 같은 시간 동안 더 적은 회수만큼 서버(4)에 액세스를 시도하거나, 제1동작모드로 모드가 변경될 때까지 서버(4)에 액세스를 시도하지 못하게 제한될 수도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705)는 서버(4)가 통신 불능 또는 보류 상태인 경우이거나, 전자장치(1)가 제2동작모드에서 동작 중, 정보생성부(700)에서 생성한 정보를 서버(4)에 전달할 수 없어, 저장부(701)에 저장할 수 있다. 정보를 전달할 수 없는 상황에서, 차선책으로 저장부(701)에 저장하고, 이후 서버(4)와 다시 통신이 개시되면,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703)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저장부(701)에 더 이상 저장할 메모리가 부족한 경우, 제어부(705)는 통신부(703)를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전자장치(1)가 있는지 탐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전자장치(1)가 있는 경우, 제어부(705)는 통신부(703)를 통해서 정보생성부(700)에서 생성된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전송되는 정보는 정보의 우선순위(priority)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는 서버(4)가 통신 불능 또는 보류 상태이거나, 제2동작모드에서 단지 서버(4)에의 액세스가 제한될 뿐 아니라 전자장치(1)의 동작이 최소한으로 제한되는 슬립모드로 동작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 있다. 이는 이를 테면, 정보생성부(700)에서 생성되는 정보가 현재 주변의 온도, 습도 등 실시간으로 전달되지 않으면 정보의 가치가 없는 경우 구태여 정보를 생성하거나 저장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서버(4)가 통신 불능 또는 보류 상태이거나, 제2동작모드에서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서버(4)로 액세스를 제한할 뿐 아니라, 정보생성부(700) 및 기타 다른 전자장치(1)의 구성의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전자장치와 서버의 동작이 진행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제1전자장치(1a) 와 제2전자장치(1b)는 제1동작모드로 동작 중에 있다(S800, S801). 또한, 서버(4)는 통신 보류 또는 불능상태에 있다(S802). 제1전자장치(1a)가 통신을 위해 서버(4)에 액세스를 시도 하면(S803), 서버(4)는 통신 불능 상태이므로 제1전자장치(1a)에 통신 승인을 전송하지 못하므로, 제1전자장치(1a)는 서버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다(S804). 제1전자장치(1a)는 주기적으로 액세스를 시도하며, 기 설정된 임계 회수인 N번째 액세스 시도(S805)에 불구하고, 서버(4)로부터 응답이 없으면(S806), 연결된 제2전자장치(1b)에 동작모드를 제2동작모드로 변경하도록 모드변경신호를 전송한다(S807).
제2전자장치(1b)는 모드변경신호에 기초하여 제2동작모드로 동작모드를 변경한다(S808). 제2전자장치(1b)가 제2동작모드로 동작 중에, 서버(4)에 액세스를 시도하는 것이 제한되어, 제2전자장치(1b)의 정보생성부(700) 에서 생성된 정보를 서버(4)로 전송할 수 없다. 제2전자장치(1b)는 이에 따라, 생성된 정보를 저장부(701)에 저장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S809). 생성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면, 저장부(701)에 저장하고(S810), 생성된 정보를 저장할 수 없다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전자장치(1a, 1c~1f)가 있는지 탐색한다. 탐색은 통신부(703)를 통해 연결된 다른 전자장치(1a, 1c~1f)에 요청을 전송하고, 요청이 전송된 전자장치(1a)로부터 승인 또는 거절이 수신되면 완료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전자장치(1a)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 제2전자장치(1b)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제1전자장치(1a)로 생성된 정보를 전송하고(S811), 제1전자장치(1a)는 수신된 정보를 저장한다(S812).
이어서, 서버(4)가 정상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즉, 서버(4)가 통신 대기 상태로 전환되고(S814), 제1전자장치(1a)가 다시 액세스를 시도하면(S813), 서버(4)는 제1전자장치(1a)에 통신 승인을 전송한다(S815). 제1전자장치(1a)는 통신 승인이 수신됨에 따라, 제2전자장치(1b)에 동작모드를 제1동작모드로 변경하도록 모드변경신호를 전송한다(S816). 제2전자장치(1b)는 제1전자장치(1a)로부터 모드변경신호를 수신하고, 제1동작모드로 동작모드를 변경한다(S817). 제2전자장치(1b)는 제1동작모드에서, 서버(4)에 액세스를 시도하고, 마찬가지로 통신이 승인되면, 생성한 정보를 서버(4)로 전송한다(S818). 서버(4)는 제2전자장치(1b)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2)로 전송한다(S819).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전자장치(1a~1f)중 제1전자장치(1a), 제2전자장치(1b) 그리고 서버(4)만의 동작이 도면의 흐름도에 기초하여 설명되나, 본 발명에 따른 IOT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복수의 전자장치(1a~1f)의 개수를 2개로 한정하거나 IOT시스템의 동작을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전자장치의 동작예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전자장치(1a~1l)는 농장이나 비닐하우스 등 큰 면적을 갖는 대지의 일 부분에 마련되어 온도, 습도, 풍향 등 주변환경을 센싱하거나 물 공급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복수의 전자장치(1a~1l) 모두가 항시 동작하는 것은 센싱하는 정보와 기능의 특성상 전력의 낭비가 될 수 있다. 이를테면, 전자장치(1a~1l)들의 상호간 거리가 10미터 이내인 경우, 날씨 또는 온도를 모든 전자장치(1a~1l)들이 항상 센싱하는 것은 같은 결과를 반복할 뿐이므로, 무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시스템은 복수의 전자장치(1a~1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900a~900e)으로 구분하며, 복수의 그룹(900a~900e) 내에서 스케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1a~1l)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그룹(900a~900e) 내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1a~1l)가 동작하며, 전자장치(1a~1l)는 연속적으로 1시간 이상 동작하지 않도록 하여, 넓은 지역의 전자장치(1a~1l)들이 스케쥴에 따라 순환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각 그룹(900a~900e)은 지역별로 설정되며, 그룹(900a~900e)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1a~1l)가 동작중이다. 전자장치(1a~1l)는 저장부(701)에 기 저장된 스케쥴에 기초하여 서버(4)가 통신 가능 상태인지 여부와 무관하게, 제1동작모드 또는 제2동작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2동작모드는 서버(4)에 액세스만을 제한할 수 있으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전자장치(1a~1l)의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 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전자장치와 서버의 동작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버(4)가 통신 불능 또는 보류 상태인 경우뿐 아니라, 서버(4)가 연결된 복수의 전자장치(1a~1f)의 액세스를 제한하기 위해 직접 대표 전자장치(1a)에 모드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대표 전자장치(1a)는 서버(4)와 지리적으로 가장 가깝거나 이거나, 서버(4)에 가장 최근 액세스를 시도했을 수 있다.
모드변경요청을 수신한 대표 전자장치(1a)는 연결된 다른 전자장치(1b~1f)에 제2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모드변경신호를 전송한다. 모드변경신호를 수신한 다른 전자장치(1b~1f) 들은 모드변경신호를 전송한 전자장치(1a~1f)를 제외하고, 다른 전자장치(1b~1f)에 모드변경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서버(4)와 통신할 수 있는 모든 전자장치(1a~1f)들은 제2동작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버(4)가 직접 모드변경을 요청하는 경우로서, 대표 전자장치(1a) 역시 제2동작모드로 동작하여 서버로의 액세스가 제한될 수 있다.
서버로의 액세스가 제한된 중에, 생성된 정보는 저장부(701)에 저장되거나, 정보를 더 이상 저장할 수 없다고 판단되면, 연결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탐색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4)가 복수의 전자장치(1a~1f)와 다시 통신을 하기 위해, 대표 전자장치(1a)에 모드변경요청을 하면, 모드변경요청을 수신한 대표 전자장치(1a)는 마찬가지로, 연결된 다른 전자장치(1b~1f)들에 제1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모드변경신호를 전송한다. 제1동작모드로 동작모드를 변경한 전자장치(1a~1f)들은 서버(4)에 직접 액세스를 시도하고, 생성한 정보를 서버(4)에 전송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제어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먼저, 동작 S1300에서, 정보생성부(700)는 사용자단말기(2)의 일 기능에 이용되는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동작 S1301에서, 통신부(703)는 사용자단말기(2), 서버(4) 및 복수의 외부 전자장치(1)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어서, 동작 S1302에서, 전자장치(1)가 제1동작모드인 경우, 통신부(703)는 서버(4)에 액세스를 시도한다. 동작 S1303에서, 제어부(705)는 서버(4)로부터 액세스에 응답하여 통신 승인이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서버로부터 통신 승인이 수신되면, 서버가 정상적으로 통신을 수행 중인 것이므로, 동작 S1304에서, 제어부(705)는 정보생성부(700)에서 생성된 사용자단말기의 일 기능에 이용되는 정보를 서버(4)를 통해 사용자단말기(2)에 전송한다. 만약, 서버로부터 통신 승인이 수신되지 않는다면, 동작 S1305에서, 제어부(705)는 서버(4)가 통신 보류 상태에 있다고 판단한 후, 통신부(703)를 제어하여 제2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모드변경신호를 복수의 외부 전자장치(1)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한다.
서버(4)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아, 서버(4)를 통신 보류 상태로 판단하고, 다른 전자장치(1)에 모드변경신호를 전송한 전자장치(1)는 대표 전자장치(1)로 작동하며, 제2동작모드로 동작모드를 변경하지 않고, 주기적으로 서버(4)에 액세스를 시도하여 서버(4)가 정상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지 즉, 서버(4)가 통신 대기 상태로 변경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제2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모드변경신호를 수신한 전자장치(1)는 제2동작모드로 동작모드를 변경하고, 모드변경신호를 전송한 전자장치(1)이외의 다른 연결된 전자장치(1)에 제2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모드변경신호를 전파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제2동작모드에서 동작 중, 다른 전자장치(1)로부터 제1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모드변경신호가 수신되면, 제1동작모드로 동작모드를 변경하고, 모드변경신호를 전송한 전자장치(1)이외의 다른 연결된 전자장치(1)에 제1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모드변경신호를 전파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는 서버(4)로부터 모드변경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서버(4)는 복수의 전자장치(1)로부터의 액세스를 제한하기 위해 통신 보류 상태가 아님에도, 복수의 전자장치(1) 중 하나를 대표 전자장치(1)로 선정하여 제2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모드변경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서버(4)로부터 모드변경요청이 수신되면, 연결된 다른 전자장치(1)에 모드변경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4)가 모드변경을 직접 요청하는 경우, 대표로 선정된 전자장치(1) 또한, 다른 전자장치(1)와 마찬가지로 제2동작모드로 동작모드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표 전자장치(1)는 복수의 전자장치(1) 중에서, 지리적인 요소, 액세스 시도 횟수 등 다양한 기준에 의해 선정될 수 있다.
이어서, 서버(4)가 전자장치(1)로부터의 액세스를 다시 허용하기 위해 서버(4)는 대표 전자장치(1)에 제1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모드변경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대표 전자장치(1)는 복수의 전자장치(1) 중에서, 기 선정된 대표 전자장치(1)일 수 있으며, 복수의 전자장치(1) 중에서, 새로이 선정된 대표 전자장치(1)일 수 있다. 대표 전자장치(1)는 모드변경요청을 수신한 뒤, 연결된 다른 전자장치(1)에 제1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모드변경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대표 전자장치(1)를 포함한 복수의 전자장치(1)는 제1동작모드로 동작모드를 변경한 뒤, 서버(4)와 통신하여 생성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1 - 전자장치
2 - 사용자단말기
4 - 서버
700 - 정보생성부
701 - 저장부
703 - 통신부
705 - 제어부
2 - 사용자단말기
4 - 서버
700 - 정보생성부
701 - 저장부
703 - 통신부
705 - 제어부
Claims (24)
- 서버로의 액세스에 관한 복수의 동작모드를 가지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단말기의 일 기능에 이용되는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부;
상기 사용자단말기, 상기 서버 및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를 가지는 복수의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및
제1동작모드에서, 상기 서버에 엑세스를 시도하고, 상기 액세스 시도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가 통신을 정상적으로 수행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정보생성부에서 생성된 정보가 상기 서버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액세스 시도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가 통신 보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로의 액세스를 제한하는 제2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1모드변경신호가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동작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모드변경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가 통신 보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제1모드변경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자장치가 제2동작모드로 동작모드를 변경하는 전자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작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생성부의 동작을 제한하는 전자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동작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2모드변경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제2모드변경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동작모드로 동작모드를 변경하는 전자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동작모드에서, 상기 서버에 주기적으로 액세스를 시도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에 기 설정된 임계 회수 이상 액세스 하는 동안, 상기 서버로부터 통신 승인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서버가 통신 보류인 상태로 판단하는 전자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모드변경신호를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한 뒤, 상기 주기적인 액세스 시도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가 정상적으로 통신을 수행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2모드변경신호를 상기 제1모드변경신호가 전송된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일 기능에 이용되는 정보는 주변환경정보 및 상기 전자장치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일 기능에 이용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가 통신 보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제2동작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일 기능에 이용되는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전자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있는지 여부를 탐색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탐색된 외부 장치에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일 기능에 이용되는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동작모드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전자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주기는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복수의 외부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전자장치. - 서버로의 액세스에 관한 복수의 동작모드를 가지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단말기의 일 기능에 이용되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제1동작모드에서, 상기 서버에 액세스를 시도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시도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가 통신을 정상적으로 수행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정보생성부에서 생성된 정보가 상기 서버를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시도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가 통신 보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로의 액세스를 제한하는 제2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1모드변경신호가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작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모드변경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가 통신 보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제1모드변경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2동작모드로 동작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작모드에서, 정보 생성 동작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작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2모드변경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제2모드변경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동작모드로 동작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액세스를 시도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 주기적으로 액세스를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주기적으로 액세스를 시도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 기 설정된 임계 회수 이상 액세스 하는 동안, 상기 서버로부터 통신 승인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서버가 통신 보류인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변경신호를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한 뒤, 상기 주기적인 액세스 시도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가 정상적으로 통신을 수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2모드변경신호를 상기 제1모드변경신호가 전송된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일 기능에 이용되는 정보는 주변환경정보 및 상기 전자장치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가 통신 보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제2동작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일 기능에 이용되는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있는지 여부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외부 장치에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일 기능에 이용되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 제 13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동작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주기는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복수의 외부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6054A KR20170086339A (ko) | 2016-01-18 | 2016-01-18 |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US15/565,581 US10749697B2 (en) | 2016-01-18 | 2016-12-08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PCT/KR2016/014372 WO2017126806A1 (ko) | 2016-01-18 | 2016-12-08 |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6054A KR20170086339A (ko) | 2016-01-18 | 2016-01-18 |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6339A true KR20170086339A (ko) | 2017-07-26 |
Family
ID=59362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6054A KR20170086339A (ko) | 2016-01-18 | 2016-01-18 |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0749697B2 (ko) |
KR (1) | KR20170086339A (ko) |
WO (1) | WO201712680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176296B2 (ja) * | 2018-08-23 | 2022-11-22 | 株式会社リコー |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ログデータ送信方法、プログラム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027809B2 (en) | 1992-11-17 | 2011-09-27 | Health Hero Network, Inc. | Home power management system |
US20060293788A1 (en) | 2005-06-26 | 2006-12-28 | Pavel Pogodin | Robotic floor care appliance with improved remote management |
US7603138B2 (en) | 2005-08-22 | 2009-10-13 | Toshiba American Research, Inc. | Environmental monitoring using mobile devices and network information server |
US8323189B2 (en) | 2006-05-12 | 2012-12-04 | Bao Tran | Health monitoring appliance |
GB0816721D0 (en) | 2008-09-13 | 2008-10-22 | Daniel Simon R | Systems,devices and methods for electricity provision,usage monitoring,analysis and enabling improvements in efficiency |
US20100102930A1 (en) | 2008-10-23 | 2010-04-29 | Whirlpool Corporation | Introduction of a self-reporting portable container into an inventory system |
KR101071527B1 (ko) * | 2009-05-21 | 2011-10-10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무선 통신 단말기 및 이의 엑세스 포인트 접속 제어 방법 |
US9134964B2 (en) | 2011-04-06 | 2015-09-15 | Media Direct,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a specialized application development and deployment platform |
KR101237165B1 (ko) | 2011-10-17 | 2013-02-25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서버 및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와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
KR102058918B1 (ko) * | 2012-12-14 | 2019-12-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홈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
WO2014193166A1 (ko) * | 2013-05-28 | 2014-12-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게이트웨이 및 그 제어방법 |
KR102132245B1 (ko) * | 2014-03-19 | 2020-07-0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홈 게이트웨이에서 스마트 플러그와 연결된 전자장치의 자동 매핑 방법 및 그 장치 |
KR20160057958A (ko) * | 2014-11-14 | 2016-05-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KR102302327B1 (ko) * | 2014-12-08 | 2021-09-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단말 장치, 정보 표시 시스템 및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
CA2981608A1 (en) * | 2015-04-03 | 2016-10-06 | Lucis Technologies Holdings Limited |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
-
2016
- 2016-01-18 KR KR1020160006054A patent/KR20170086339A/ko unknown
- 2016-12-08 WO PCT/KR2016/014372 patent/WO201712680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12-08 US US15/565,581 patent/US10749697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749697B2 (en) | 2020-08-18 |
WO2017126806A1 (ko) | 2017-07-27 |
US20180123809A1 (en) | 2018-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03717B2 (en) | Security application for residential electrical switch sensor device platform | |
US10476581B2 (en) | Extending wireless signal coverage with drones | |
US10362536B2 (en) | Dynamic connection path detection and selection for wireless controllers and accessories | |
US9807621B1 (en) | Distributed channel sampling across a mesh network | |
US20170345290A1 (en) | Remote control docking station and system | |
US10952174B2 (en) | Distributed coordination of mesh network configuration updates | |
KR101648434B1 (ko) | 신호전송 제어방법 및 장치, 전자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
CN108695997B (zh) | 输电设备及其控制方法和存储介质 | |
US10462053B2 (en) | Automatic rerouting in thread networks | |
US11849310B2 (en) | Synchronized reception in mesh networks | |
KR101065092B1 (ko) | 네트워크 컨트롤러 및 소형 기지국 | |
US11818599B2 (en) | Determination of user presence and absence using WiFi connections | |
KR20170104953A (ko) | 시스템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 |
US20240029549A1 (en) |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and/or relative environment of a controlling device | |
KR20170086339A (ko) |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US11343774B2 (en) | Enhanced frame pending | |
CN112532741A (zh) | 智能设备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
EP4195720B1 (en) | Home network | |
KR101025436B1 (ko) | 사이버 물리 시스템을 위한 IPv6 기반 동적 제어 관리 시스템, 그리고, 제어 및 관리장치 | |
JP6334476B2 (ja) | 通信システム | |
WO2024205648A1 (en) | Smart-home management runtime | |
KR101531003B1 (ko) | 단말기의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망에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과 장치 | |
CN118605199A (zh) | 智能家居的远程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
JP2019216328A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