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6181A - 초박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초박형 텔레비전 장치 - Google Patents

초박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초박형 텔레비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6181A
KR20170086181A KR1020160005627A KR20160005627A KR20170086181A KR 20170086181 A KR20170086181 A KR 20170086181A KR 1020160005627 A KR1020160005627 A KR 1020160005627A KR 20160005627 A KR20160005627 A KR 20160005627A KR 20170086181 A KR20170086181 A KR 20170086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nnection wiring
main body
case
ff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9071B1 (ko
Inventor
차승주
박성우
김성훈
홍영준
김근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5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071B1/ko
Publication of KR20170086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6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Holding-devices for protective discs or for picture mas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텔레비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상이 표시되는 부분을 초박형으로 구현하여 벽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 텔레비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패널부와 본체부로 분할하고, 이들을 연결배선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 때 패널부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요인이되는 구동회로부의 일부는 본체부에 배치함으로써 패널부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박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초박형 텔레비전 장치{ULTRA THIN DISPLAY DEVICE AND ULTRA THIN TELEVISION DEVICE}
본 발명은 초박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초박형 텔레비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텔레비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텔레비전 장치를 패널부와 본체부로 분할하여 패널부를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텔레비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LCD (Liquid Crystal Display), PDP (Plasma Display Panel), ELD (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 (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적용된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 및 제품화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공정의 고도화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박형 및 경량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디자인적인 측면 또한 강조되고 있다.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베젤의 폭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한 노력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디스플레이 패널(1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부(20)를 포함한다.
구동 회로부(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유연성을 가지는 연결회로부(25)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회로부(25)는 연성회로(flexible printed cicuit), 씨오에프(COF, chip on film) 또는 티씨피(TCP, tape carrier packag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현시에 구동 회로부(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배면으로 접혀진 상태가 된다.
이를 측면에서 살펴보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이다.
전체적인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에서 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결정하는 것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두께가 아니라 구동 회로부(20)의 두께가 된다.
도 3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보드(30)와 영상신호를 관장하는 시스템 보드(40)를 더 포함한다.
방송신호 수신과 음향 신호 출력이 가능한 텔레비전 장치는 시스템 보드(40)에서 방송신호 수신 기능과 음향 신호 출력 기능을 부가하여 구현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또는 텔레비전 장치)의 구현시에 전체 제품의 두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동 회로부(20), 전원보드(30) 및 시스템 보드(40)의 배치 등에 따라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배면 하부에 이들을 배치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는 두꺼운 부분과 얇은 부분이 존재하게 되고,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얇은 두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구동 회로부(20), 전원보드(30), 시스템 보드(40)를 균일하게 배치하면서 전체적으로 이들이 모두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구현해야 한다.
그런데, 시스템 보드(40)의 경우 각종 입출력 단자가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박형화에 한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전원보드(30)의 경우에도 변압기, 정류기 등의 구성으로 인하여 박형화에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도 5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구동회로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구동회로부는 데이터 구동부(D_D), 게이트 구동부(G_D), 타이밍 컨트롤러부(T_C)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에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DL)과, 다수의 게이트 센스 라인(GL1)과, 다수의 게이트 라인(GL2)이 구비된다.
데이터 라인(DL)은 데이터 구동부(D_D)에 연결되며, 센스 라인(GL1)과 게이트 라인(GL2)은 게이트 구동부(G_D)에 연결된다.
타이밍 컨트롤러부(T_C)는 데이터 구동부(D_D)와 게이트 구동부(G_D)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한다.
구동회로부 중에서 데이터 구동부(D_D)와 게이트 구동부(G_D)는 디스플레이 패널(10)에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GIP(Gate In Panel) 타입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데이터 구동부(D_D)와 게이트 구동부(G_D)는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의 두께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런데, 타이밍 컨트롤러(T_C)의 경우 독립적인 보드에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에서는 타이밍 컨트롤러(T_C)가 전체 두께를 결정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텔레비전 장치에 있어서는 타이밍 컨트롤러와 더불어 전원보드 및 시스템 보드의 배치 구조와 형태에 따라서 전체 제품의 두께가 결정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텔레비전 장치를 패널부와 본체부로 분할하여, 화상이 표시되는 패널부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패널부와 본체부로 분할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텔레비전 장치의 연결배선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연결배선으로 인하여 외관품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패널부와 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배선의 다양한 탈부착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텔레비전 장치를 화상이 표시되는 패널부와 패널부에 신호와 전원을 인가하는 본체부로 분할형성하고, 이들이 연결배선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패널부의 두께를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 때, 연결배선으로는 FPC 또는 FFC를 적용하여 연결배선의 두께와 폭을 최소화하여 연결배선이 눈에 띄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연결배선과 패널부의 연결구조로 다층의 FPC와 FFC 접합 구조를 적용하면, 패널부에서 연결배선이 연결되는 부분의 두께도 최소화할 수 있다.
사용상의 편의성을 위해서, 연결배선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연결배선의 탈부착은 FFC와 FFC 커넥터를 이용하거나, 암수커넥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텔레비전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패널부가 초박형의 두께를 가지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패널부를 벽면에 부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텔레비전 장치는 패널부와 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배선을 슬림화하여, 패널부가 독립적으로 벽면에 부착된 것처럼 느껴지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텔레비전 장치는 연결배선의 다양한 탈부착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설치 및 유지 보수의 편의성과 이동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구동회로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배선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A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B 부분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결배선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연결배선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 상에 있다라고 함은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과 접촉한 상태로 바로 위에 있다를 의미할 뿐만 아니라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과 비접촉한 상태이거나 제3의 부분이 중간에 더 형성되어 있는 상태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를 의미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2)을 포함하는 패널부(100)와, 표시부(100)와 연결배선(200)으로 연결된 본체부(300)를 포함한다.
패널부(100)와, 본체부(300)는 각각 독립된 케이스에 수용되며, 서로 연결배선(200)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본체부(300)로는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며, 각종 신호의 입출력 단자가 연결된다.
패널부(100)는 본체부(300)로부터 전원과 영상신호를 연결배선을 통해 입력받아 구동된다.
패널부(100)는 패널케이스(104)에 수용된다. 패널케이스(104)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2)과, 디스플레이 패널(102)에 연결되는 구동회로부의 일부가 포함된다. 이 때, 패널케이스(104)는 별도의 외장케이스로 구성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의 탑 케이스가 패널 케이스(104)의 역할을 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회로부의 일부라 함은 게이트 구동부와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회로부 중에서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2)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GIP(Gate In Panel) 타입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2)에 형성될 수도 있는 게이트 구동부와 데이터 구동부는 디스플레이 패널(102)과 함께 패널 케이스(104)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와 데이터 구동부를 패널 케이스(104)의 내부에 수용하더라도 패널부(104) 전체 두께는 수 밀리미터(mm) 수준으로 박형화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의 구현이 가능하다.
다만, 상대적으로 아직까지 박형화에 한계를 가지고 있는 타이밍 컨트롤러부는 본체부(300)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밍 컨트롤러부를 본체부에 수용하고, 디스플레이 패널로 OLED 패널로 적용하는 경우 패널부의 두께를 2~3mm 수준으로 박형화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OLED 패널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액정표시패널 또는 PDP 패널을 디스플레이 패널로 적용할 수도 있다.
연결배선(200)은 가능하면 눈에 띄지 않도록 은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관 품질 향상을 위한 상품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연결배선은 눈에 잘 시인되지 않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배선을 투명기판에 전극배선을 구비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 때 전극배선으로는 투명전극(예를 들면 ITO)을 적용할 수 있다.
연결배선을 투명하게 형성하면, 제품 설치시 연결배선이 눈에 잘 띄지 않아 제품의 외관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한 도면은 예시적으로 본체부(300)가 패널부(100)의 하부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체부(300)는 설치 장소의 특성 또는 디자인에 따라서 패널부(100)의 위쪽 또는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패널부(100)의 경우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형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나, 세로축이 긴 형태인 세로형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부(100)의 내부에는 브릿지 보드(bridge board)(110)가 구비된다.
브릿지 보드(110)는 패널부(100)에 구비된 구동회로부와 연결배선(200)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브릿지 보드(110)는 패널부 내부에 수용되는 게이트 구동부(미도시) 및 데이터 구동부(미도시)와 연결배선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FPC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질의 인쇄회로기판보다는 FPC가 박형화의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본체부(300)는 전원보드(320)와, 시스템 보드(330)와, 타이밍 컨트롤러부(310)를 포함한다. 전원보드(320)는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시스템 보드(330)는 외부 신호를 입력받는 단자부 등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의 시스템 신호를 관장한다. 타이밍 컨트롤러부(3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동회로부의 일부로 게이트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와 연결된다.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원보드(320), 시스템 보드(330) 및 타이밍 컨트롤러부(310)는 모두 회로기판을 포함하며, 기판으로 약칭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타이밍 컨트롤러부(310)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일체로 연결되는 형태를 가지고 있었으나, 본 발명은 타이밍 컨트롤러부(310)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이격시키고, 연결배선(200)과 브릿지 보드(11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스템 보드(330)에서 방송신호 수신 기능과 음향 신호 출력 기능 등을 처리할 수 있도록 구현하면 텔레비전 장치가 되므로,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텔레비전 장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패널부(100)는 연결배선(200)을 통해서 본체부(300)로부터 전원과 신호를 인가 받는다.
타이밍 컨트롤러부(310)를 본체부(300)에 배치하는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부(310)에서 인가되는 신호, 데이터 신호, 전원 등이 연결배선(200)을 통해서 패널부로 인가되어야 하므로, 연결배선은 백개 이상의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신호들을 압축하여 전송하는 경우 압축비율에 따라 연결배선(200)의 라인수는 달라질 수 있다.
그런데, 패널부(100)와 본체부(300)를 분리하여 형성하더라도, 연결배선(200)이 두드러져 보이는 경우 제품 전체의 외관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배선(200)도 가능한 컴팩트 하고 슬림하게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배선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B 부분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ot)와 FFC(Flexible flat cable)로 연결배선을 구현한 것이다. 연결배선을 일반케이블이 아닌 FPC 또는 FFC를 적용하면, 연결배선의 폭과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외관 품질 향상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패널부(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브릿지 보드(110)는 박형화를 위하여 FPC를 적층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FPC를 적층하는 것은 많은 수의 배선을 단층으로 배치하는 경우 연결배선(200)의 폭이 증가하여 외관상으로나 취급상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단층으로 수백개의 배선을 배치하는 경우 폭이 넓어지는 문제도 있지만 취급시에 손상될 가능성도 높아지기 때문에, 복층으로 적층하여 연결배선(200)의 폭을 감소시키고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FPC를 다층으로 적층하되, 연결배선(200)과 연결되는 패드(211)가 계단형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패드(211)에 FFC(210)를 접합할 수 있다. 이 때 FFC(210)와 패드(211)의 접합은 이방도전성필름(ACF)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연결배선(200)과 브릿지 보드(110)과 연결되는 부분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FPC로 길이가 긴 연결배선 전체를 형성하는 경우보다 제조원가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물론 FPC를 연결배선의 길이만큼 길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FPC를 크게 형성하는 경우 제조원가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도시한 도면의 경우 FFC(210)를 3층으로 형성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FFC의 적층수는 연결배선의 라인수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또한 복층으로 적층된 FFC(210)는 취급상의 편의성과 내구성을 위하여 서로 접착될 수 있으며, 적층된 FFC(210) 외부를 별도의 피복층으로 감쌀 수도 있다. 아울러, 연결배선(200)에서 방출되는 전자파 차단을 위한 차폐층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배선(200)으로 사용되는 FFC(210)는 본체부 내부의 기판에 구비된 FFC 소켓(312)에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기판은 타이밍 컨트롤러부(310)의 기판일 수 있다. 도시한 도면에서는 연결배선(200)과 접속되는 FFC 소켓(312)이 모두 타이밍 컨트롤러부(310)의 기판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FFC 소켓(312)이 전원보드나 시스템보드에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타이밍 컨트롤러부(310)도 브릿지 보드(110)와 마찬가지로 다층의 FPC로 구성하고, 다층의 FPC에 FFC(210)가 계단형으로 접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연결배선(200)이 패널부(100) 및 본체부(300)에 양측이 모두 고정된 상태가 되므로, 취급이나 사용에 불편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FFC(210)가 본체부(300) 측에서는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타이밍 컨트롤러부(310)에 FFC 소켓(312)을 구비하여, FFC(210)가 타이밍 컨트롤러부(3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배선(200)이 본체부(300)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운반시나 사용시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결배선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연결배선으로 FFC(210)을 다층으로 이용하고, FFC의 양측이 모두 탈부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실시예의 경우 FFC(210)가 브릿지 보드(110)에 접합되는 형태로, FFC(210)가 브릿지 보드(110)에 접합된 이후에는 분리할 수 없어 취급에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제3실시예의 경우 브릿지 보드(110)에도 FFC 소켓(112)을 구비하여, FFC(210)를 브릿지 보드(110) 측에도 탈부착 가능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연결배선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브릿지 보드(110)에 구비되는 FFC 소켓(112)을 방사상으로 배치하여, FFC(210)를 다층으로 적층하여 연결배선을 폭을 좁히면서, FFC 소켓(112) 위로 연결배선이 넘어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FFC(210) 연결부의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다층으로 적층된 FPC(210)는 피복으로 감싸 손상을 방지하고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FFC(210)를 3층으로 구성하는 경우, 도시한 바와 같이 FFC 소켓(210)을 상부와 양측에 배치하여, FFC 소켓(112)의 위로 연결배선이 통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FPC(210)와 본체부(300)의 연결에 있어서도 타이밍 컨트롤러부(310)에 FFC 소켓(312)을 방사상으로 배치하여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앞선 실시예들은 연결배선이 브릿지 보드 또는 타이밍 컨트롤러부에 구비된 FFC 소켓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연결배선을 탈부착하기는 곤란하며, 제품 제조시 또는 설치시 설치기사에 의해서만 제한적으로 탈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에 의한 연결배선의 탈부착이 본체부(300)를 분해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암수커넥터에 의합 접속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연결배선(200)을 본체부(3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를 위하여, 연결배선이 본체부(300) 측에 암수커넥터로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연결배선은 다층으로 적층된 FFC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적층된 FFC의 외부를 감싸는 피복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탈부착이 예정된 실시형태이므로, 반복적인 연결배선의 탈부착에 대하여 내부의 FFC를 보호할 수 있도록 피복으로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300)에 암커넥터(315)를 구비하고, 연결배선(200)의 단부에 수커넥터(225)를 구비하여, 연결배선(200)을 본체부(300)로부터 사용자가 쉽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시한 도면의 경우 본체부(300)에 암커넥터를 구비하고 연결배선(200)의 단부에 수커넥터를 구비한 형태이나, 반대로 본체부(300)에 수커넥터를 구비하고 연결배선에 암커넥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체부(300)의 암커넥터(315)는 본체부(300) 내부의 타이밍 컨트롤러부(310)에 연결된다.
이 때, 연결배선(200)과 브릿지 보드(110)의 연결은 앞선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다층의 FPC에 계단형으로 접합되는 방식이 적용되거나, FFC 소켓에 연결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는 연결배선의 양측이 모두 암수커넥터로 패널부(100) 및 본체부(300)와 모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는 연결배선(200)을 사용자가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를 위하여, 패널부(100)의 브릿지 보드(110)에서 암커넥터(115)로 연장되는 연장부(117)를 구비한다. 연장부(117)는 브릿지 보드(110)와 일체로 FPC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17)는 FPC로 브릿지 보드(110)에서 연장된 것으로 패널 케이스(104)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간이 존재할 수 있다. 이경우 연장부(117)에서 방출되는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차폐층을 구비할 수도 있다.
브릿지 보드(110)에서 일체로 연장된 연장부(117)에 암커넥터(115)를 연결하고, 연결배선(200)의 상단에 수커넥터(220)를 구비하여, 연결배선(200)이 패널부(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다.
연결배선(200)과 본체부(300)의 탈부착 구조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6실시예는 연결배선(200)의 양측이 모두 탈부착 가능한 형태이므로, 다양한 길이의 연결배선(200)을 이용하여 본체부(300)와 패널부(100)의 이격거리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널부(100) 측에 배치되는 커넥터를 외관 향상을 위하여, 패널부 케이스(104)에 매립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부 케이스(104)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돌기부(104a)를 구비하고, 돌기부(104a)의 내부에 커넥터(115)를 매립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패널부
102 : 디스플레이 패널
104 : 패널 케이스
110 : 브릿지 보드
112 : FFC 커넥터
115 : 커넥터
200 : 연결배선
210 : FFC
220, 225 : 커넥터
300 : 본체부
310 : 타이밍 컨트롤러부
312 : FFC 커넥터
315 : 커넥터
320 : 전원보드
330 : 시스템 보드

Claims (18)

  1.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는 패널 케이스를 포함하는 패널부와,
    상기 패널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배선과,
    상기 연결배선을 통해 상기 패널부와 연결되며 상기 패널 케이스와 독립된 본체 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게이트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게이트 구동부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부와,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부와, 상기 게이트 구동부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선은
    FPC 또는 FFC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선은
    FPC 또는 FFC 가 복층으로 적층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선은
    투명기판과, 상기 투명기판에 구비된 전극배선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는 패널 케이스를 포함하는 패널부와,
    상기 패널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배선과,
    상기 연결배선을 통해 상기 패널부와 연결되며 상기 패널 케이스와 독립된 본체 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배선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는 부분이 탈부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선은 FFC이고,
    상기 FFC는 상기 본체부 내부의 기판에 구비된 커넥터에 탈부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선은 상기 패널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브릿지 보드에 일체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보드는
    다층의 FPC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배선은 다층의 FPC에 연결된 다층의 FFC인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의 FPC와 상기 다층의 FFC는 계단형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11.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는 패널 케이스를 포함하는 패널부와,
    상기 패널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배선과,
    상기 연결배선을 통해 상기 패널부와 연결되며 상기 패널 케이스와 독립된 본체 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배선과 상기 본체부는 암수커넥터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선은 다층으로 적층된 FFC와, 적층된 FFC 외부를 감싸는 피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된 브릿지 보드와, 상기 브릿지 보드에 구비된 커넥터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는 패널 케이스를 포함하는 패널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부로 신호와 전원을 인가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구비되는 커넥터와, 상기 패널 케이스와 독립된 본체 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양단이 각각 상기 패널부의 커넥터와 상기 본체부의 커넥터에 결합되며, 상기 패널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배선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선은 FFC인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선은 다층으로 적층된 FFC와 적층된 FFC를 감싸는 피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된 브릿지 보드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는 패널 케이스와, 상기 브릿지 보드와 연결되며 상기 패널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패널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부로 신호와 전원을 인가하는 본체회로기판과, 상기 패널 케이스와 독립된 본체 케이스와,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양단에 각각 상기 패널부의 커넥터와 상기 본체부의 커넥터에 탈부착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연결배선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보드는 상기 패널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연장부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처리하는 시스템보드를 구비하는 텔레비전 장치.
KR1020160005627A 2016-01-15 2016-01-15 초박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초박형 텔레비전 장치 KR102659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627A KR102659071B1 (ko) 2016-01-15 2016-01-15 초박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초박형 텔레비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627A KR102659071B1 (ko) 2016-01-15 2016-01-15 초박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초박형 텔레비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181A true KR20170086181A (ko) 2017-07-26
KR102659071B1 KR102659071B1 (ko) 2024-04-19

Family

ID=59426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627A KR102659071B1 (ko) 2016-01-15 2016-01-15 초박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초박형 텔레비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0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64414A4 (en) * 2018-07-12 2021-12-29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4654A (ko) * 2001-12-26 2003-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형 커넥터를 갖는 액정표시모듈과 이를 구비하는액정표시장치
KR20120056621A (ko) * 2010-11-25 2012-06-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KR20150074725A (ko) * 2013-12-24 2015-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패널 구동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4654A (ko) * 2001-12-26 2003-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형 커넥터를 갖는 액정표시모듈과 이를 구비하는액정표시장치
KR20120056621A (ko) * 2010-11-25 2012-06-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KR20150074725A (ko) * 2013-12-24 2015-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패널 구동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64414A4 (en) * 2018-07-12 2021-12-29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11653456B2 (en) 2018-07-12 2023-05-16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9071B1 (ko) 2024-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2943B2 (en) Display device
US10088863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cover layers mounted to displays
US9230467B2 (en) Display modul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TWI386706B (zh) 印刷電路板及使用該板之顯示裝置
KR20180071657A (ko) 표시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표시 장치
US11038295B2 (en) Display device
KR20190085199A (ko)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US2011006326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improved circuit substrate connection
KR20190024270A (ko)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EP2357637B1 (en) Backlight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70045785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9510473B2 (en) Display device
US9877403B2 (en) Display device
JP2002333606A (ja) 液晶表示装置
KR101463575B1 (ko) 액정 표시 장치
US20160162083A1 (en) Touch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JP4516579B2 (ja) 携帯用表示装置
KR20180053996A (ko) 표시 장치
KR20170086181A (ko) 초박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초박형 텔레비전 장치
KR20140143538A (ko) 표시장치
EP3667830B1 (en) Device comprising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hinged connecting module.
US10225938B2 (en) Ultra thin display device
KR20170062937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1388160B (zh) 显示器装置及具有该显示器装置的多显示器装置
KR102649522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을 위한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