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5771A -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5771A
KR20170085771A KR1020160005312A KR20160005312A KR20170085771A KR 20170085771 A KR20170085771 A KR 20170085771A KR 1020160005312 A KR1020160005312 A KR 1020160005312A KR 20160005312 A KR20160005312 A KR 20160005312A KR 20170085771 A KR20170085771 A KR 20170085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search
user
search result
dr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6406B1 (ko
Inventor
백상희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5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6406B1/ko
Publication of KR20170085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5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643
    • G06F17/30864
    • G06F17/3097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를 카테고리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는 검색어 수신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검색어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관 키워드를 검색하는 연관 키워드 검색부, 검색된 상기 연관 키워드와 상기 검색어를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형으로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키워드 표시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검색 결과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lated Keywor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로 하여금 얻고자 하는 검색 결과를 시각적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표시하고, 검색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을 통한 정보 검색이 일반화되면서, 인터넷 포털 사이트, 인터넷 쇼핑몰 등에서는 효율적인 검색 알고리즘을 사용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정보를 검색하고자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찾기 위해서 가장 적절한 검색어를 선택하여야 한다.
이와 함께, 정보를 제공하는 입장에서는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정보를 예측하고, 예측되는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적절한 검색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검색 효율을 향상시키고 직관적인 검색 UI를 포함하는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를 카테고리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는 검색어 수신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검색어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관 키워드를 검색하는 연관 키워드 검색부, 검색된 상기 연관 키워드와 상기 검색어를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형으로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키워드 표시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검색 결과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검색 결과 표시부는 상기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 모두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검색 결과 표시부는 상기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를 상기 검색 결과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워드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에 대한 제2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검색 결과 표시부는 제2 드래그 입력이 제1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외한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워드 표시부는 상기 연관 키워드의 검색 빈도에 비례하여 상기 연관 키워드에 대응하는 도형의 크기를 다르게 표시하는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
또한, 상기 연관 키워드 검색부는 상기 사용자의 연령과 성별에 대응하는 상기 검색어의 연관 키워드를 검색하는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검색어 제공 방법은, 입력장치와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는 연관 검색어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를 카테고리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검색어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관 키워드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연관 키워드와 상기 검색어를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형으로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 모두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를 상기 검색 결과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관 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에 대한 제2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제2 드래그 입력이 제1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외한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관 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연관 키워드의 검색 빈도에 비례하여 상기 연관 키워드에 대응하는 도형의 크기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관 키워드를 검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연령과 성별에 대응하는 상기 검색어의 연관 키워드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관 검색어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검색 효율을 향상시키고 직관적인 검색 UI를 포함하는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와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표시부의 표시 방법 및 키워드 선택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제외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표시부의 표시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검색어 제공 방법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관 검색어 제공 방법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핵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와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와 서버는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기 서버는 본 발명에 따른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 가공하고, 가공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에는 3개의 사용자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3개 보다 더 많은 수의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서버가 상기 통신망에 연결되어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유의미한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설정에 따라 상기 데이터가 상기 서버로 자동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데이터 전송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설치된 것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110), 검색어 수신부(120), 연관 키워드 검색부(130), 키워드 표시부(140) 및 검색 결과 표시부(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서버에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고, 수신한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를 카테고리별로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는 상기 검색어는 복수의 사용자가 입력한 복수 개의 검색어일 수 있으며, 각각의 검색어는 본 발명에 따른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을 운영하는 운영 주체에 의해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된다. 예를 들어, '노트북', '스마트폰', '운동화' 와 같은 검색어는 검색어 자체로 하나의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상위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검색어가 입력되면 해당 상위 카테고리에 포함 가능한 하위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며, 동일한 검색어가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110)에 카테고리별로 저장되는 검색어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검색어 입력이 누적되면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검색어 수신부(120)는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는다. 상기 검색어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 폰, PDA, PC 등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입력되어 상기 검색어 수신부(120)로 전송될 수 있다.
연관 키워드 검색부(130)는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상기 검색어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관 키워드를 검색한다. 상기 연관 키워드는 상기 검색어와 동일 카테고리에 속하는 다른 검색어일 수 있으며, 상기 검색어의 하위 카테고리 또는 상기 검색어의 상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검색어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연관 키워드는 상기 검색어와 함께 입력되어 검색되는 문자, 숫자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검색어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는 복수 개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관 키워드는 각각이 독립된 검색어로 존재할 수 있으며, 검색어는 검색어 수신부(120)가 수신하고, 연관 키워드는 연관 키워드 검색부(130)에서 검색되는 것으로 구별될 수 있다.
한편, 연관 키워드 검색부(130)는 상기 사용자의 연령과 성별에 대응하는 상기 검색어의 연관 키워드를 검색할 수 있다. 사용자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연관되는 키워드가 다를 수 있으므로, 연관 키워드 검색부(130)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반영하여 연관 키워드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연관 키워드 검색부(130)는 사용자 단말기에 부여되는 고유 번호 또는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원을 구분할 수 있다.
키워드 표시부(140)는 검색된 상기 연관 키워드와 상기 검색어를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형으로 표시 장치에 표시한다. 상기 연관 키워드 및 상기 검색어는 각각 하나의 도형에 포함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도형은 원, 삼각형, 오각형 등 어떤 형태의 도형도 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표시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모니터 등일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터치 입력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 패널은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입력 장치, 그리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키워드 표시부(140)는 상기 검색어를 표시하는 도형을 중심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관 키워드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형을 표시할 수 있으며, 각각의 도형은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100)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도형으로 표시되는 검색어 및 연관 키워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자신이 입력한 검색어, 그리고 해당 검색어와 함께 검색되는 연관 키워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검색 결과 표시부(150)는 사용자로부터 드래그(drag)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표시한다. 상기 드래그 입력을 통해 상기 사용자는 상기 검색어를 포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관 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검색 결과 표시부(150)는 상기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 모두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키워드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표시부의 표시 방법 및 키워드 선택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사용자가 '기저귀'를 검색어로 입력한 경우 키워드 표시부(140)에 의해 표시되는 검색어 및 연관 키워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검색어 및 상기 연관 키워드를 포함하는 전체 키워드는 동일한 형태의 도형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검색어를 중심으로 연관 키워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로켓배송'을 제외한 연관 키워드는 검색어 '기저귀'의 하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로 이해할 수 있으며, '로켓배송'은 다수의 사용자들이 '기저귀'와 함께 높은 빈도로 검색하는 연관 키워드일 수 있다. 상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키워드가 연관 키워드로 검색되는 경우, 도 3(a)의 예에서 '유아용품'이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검색어는 상기 연관 키워드와 구별되도록 연관 키워드와 다른 색으로 표시되거나,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음영 처리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검색어와 연관 키워드는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도형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도 3(a)에서 '기저귀'와 '남아'는 직접 연결되며, '프리미엄'과 '2단계'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3(b)는 드래그 입력을 통해 복수의 키워드를 선택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3(b)에서 화살표는 드래그 입력 방향을 나타내며, 상기 드래그 입력을 통해 '기저귀', '4단계', '프리미엄', '남아' 및 '팬티형'의 키워드가 선택된다. 상기 드래그 입력을 통해 선택된 키워드는 선택되지 않은 키워드와 구별되도록 다른 색상 또는 음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검색 결과 표시부(150)는 상기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 모두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100)은 상기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를 상기 검색 결과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기저귀', '4단계', '프리미엄', '남아' 및 '팬티형'의 키워드가 선택되면, 검색 결과 표시부(150)는 선택된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표시하되, 상기 검색 결과와 상기 선택된 키워드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제외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검색어 및 연관 키워드를 도시하며, 음영으로 표시되는 키워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워드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키워드 표시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제1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에 대한 제2 드래그 입력을 수신한다. 도 4에서 상기 제1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는 '기저귀', '4단계', '프리미엄', '남아' 및 '팬티형'이다.
그리고, 검색 결과 표시부(150)는 상기 제2 드래그 입력이 제1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외한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기저귀', '4단계', '프리미엄', '남아' 및 '팬티형'을 제외한 나머지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가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방향은 도 4에서와 같이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서와 같이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외하는 구성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며,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의해 선택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AND 또는 OR 조건으로 선택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가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검색 결과가 포함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 키워드를 제외하고 검색 결과를 제공받고자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직관적인 조작에 의하여 특정 키워드를 제외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표시부의 표시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키워드 표시부(140)는 연관 키워드의 검색 빈도에 비례하여 상기 연관 키워드에 대응하는 도형의 크기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키워드 표시부(140)는 타원 형태의 도형을 이용하여 연관 키워드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키워드 표시부(140)는 상기 검색어 및 상기 연관 키워드를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도형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5에서 '나이키'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를 나타내며, 다른 도형은 '나이키'의 연관 키워드를 나타낸다. 검색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하므로 가장 큰 도형으로 표시되며, 나머지 연관 키워드들은 검색 빈도에 비례하여 크기가 결정되는 도형으로 표시된다.
도 5의 연관 키워드 중 검색 빈도가 가장 높은 '바지'는 연관 키워드 중 가장 큰 도형으로 표시되고, 검색 빈도가 가장 낮은 '조던'은 연관 키워드 중 가장 작은 도형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드래그 입력을 통하여 검색어 및 연관 키워드 중 검색 키워드로 사용하고자 하는 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검색 결과 표시부(150)는 상기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 모두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검색 결과 표시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1 및 제2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특정 키워드를 검색 키워드에서 제외하여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검색어 제공 방법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검색어 제공 방법은, 입력장치와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며, 검색어 수신 단계(S110), 연관 키워드 검색 단계(S120), 연관 키워드 표시 단계(S130) 및 드래그 입력 수신 및 검색 결과 표시 단계(S140)를 포함한다.
검색어 수신 단계(S110)에서는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고, 연관 키워드 검색 단계(S120)에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를 카테고리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검색어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관 키워드를 검색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상기 검색어는 복수의 사용자가 입력한 복수 개의 검색어일 수 있으며, 각각의 검색어는 본 발명에 따른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을 운영하는 운영 주체에 의해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된다. 예를 들어, '노트북', '스마트폰', '운동화' 와 같은 검색어는 검색어 자체로 하나의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상위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검색어가 입력되면 해당 상위 카테고리에 포함 가능한 하위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며, 동일한 검색어가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카테고리별로 저장되는 검색어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검색어 입력이 누적되면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상기 연관 키워드는 상기 검색어와 동일 카테고리에 속하는 다른 검색어일 수 있으며, 상기 검색어의 하위 카테고리 또는 상기 검색어의 상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검색어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연관 키워드는 상기 검색어와 함께 입력되어 검색되는 문자, 숫자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검색어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는 복수 개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관 키워드는 각각이 독립된 검색어로 존재할 수 있으며, 검색어는 검색어 수신 단계(S110)에서 수신되고, 연관 키워드는 연관 키워드 검색 단계(S120)에서 검색되는 것으로 구별될 수 있다.
한편, 연관 키워드 검색 단계(S120)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연령과 성별에 대응하는 상기 검색어의 연관 키워드를 검색할 수 있다. 사용자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연관되는 키워드가 다를 수 있으므로, 연관 키워드 검색 단계(S120)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반영하여 연관 키워드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으며, 연관 키워드 검색 단계(S12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에 부여되는 고유 번호 또는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원을 구분할 수 있다.
연관 키워드 표시 단계(S130)에서는 상기 연관 키워드와 상기 검색어를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형으로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한다.
상기 연관 키워드 및 상기 검색어는 각각 하나의 도형에 포함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도형은 원, 삼각형, 오각형 등 어떤 형태의 도형도 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표시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모니터 등일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터치 입력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 패널은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입력 장치, 그리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연과 키워드 표시 단계(S130)에서는 상기 검색어를 표시하는 도형을 중심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관 키워드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형을 표시할 수 있으며, 각각의 도형은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관 검색어 제공 방법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도형으로 표시되는 검색어 및 연관 키워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자신이 입력한 검색어, 그리고 해당 검색어와 함께 검색되는 연관 키워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연관 키워드 표시 단계(S130)에서는 상기 연관 키워드의 검색 빈도에 비례하여 상기 연관 키워드에 대응하는 도형의 크기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드래그 입력 수신 및 검색 결과 표시 단계(S140)에서는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표시한다.
상기 드래그 입력을 통해 상기 사용자는 상기 검색어를 포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관 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드래그 입력 수신 및 검색 결과 표시 단계(S140)는 상기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 모두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키워드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포함한다.
한편, 드래그 입력 수신 및 검색 결과 표시 단계(S140)에서는 상기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를 상기 검색 결과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기저귀', '4단계', '프리미엄', '남아' 및 '팬티형'의 키워드가 선택되면, 드래그 입력 수신 및 검색 결과 표시 단계(S140)에서는 선택된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표시하되, 상기 검색 결과와 상기 선택된 키워드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관 검색어 제공 방법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관 검색어 제공 방법은, 검색어 수신 단계(S210), 연관 키워드 검색 단계(S220), 연관 키워드 표시 단계(S230), 제1 및 제2 드래그 입력 수신 단계(S240) 및 검색 결과 표시 단계(S250)를 포함한다.
검색어 수신 단계(S210), 연관 키워드 검색 단계(S220), 연관 키워드 표시 단계(S230) 및 검색 결과 표시 단계(S250)에서는 도 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검색어 수신 단계(S110), 연관 키워드 검색 단계(S120), 연관 키워드 표시 단계(S130) 및 드래그 입력 수신 및 검색 결과 표시 단계(S140)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이 수행되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한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드래그 입력 수신 단계(S240)는 제2 드래그 입력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드래그 검색을 제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드래그 입력 수신은 연관 키워드 표시 단계(S230)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드래그 입력에 이은 제2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드래그 입력이 제1 방향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1 드래그 입력에 의해 선택된 키워드는 검색에서 제외되며, 검색 결과 표시 단계(S250)에서는 상기 제1 드래그 입력에 의해 선택된 키워드를 제외한 나머지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 결과만을 표시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 110: 데이터베이스
120: 검색어 수신부 130: 연관 키워드 검색부
140: 키워드 표시부 150: 검색 결과 표시부

Claims (13)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를 카테고리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는 검색어 수신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검색어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관 키워드를 검색하는 연관 키워드 검색부;
    검색된 상기 연관 키워드와 상기 검색어를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형으로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키워드 표시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검색 결과 표시부;
    를 포함하는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 표시부는 상기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 모두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 표시부는 상기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를 상기 검색 결과와 함께 표시하는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에 대한 제2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검색 결과 표시부는 제2 드래그 입력이 제1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외한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표시부는 상기 연관 키워드의 검색 빈도에 비례하여 상기 연관 키워드에 대응하는 도형의 크기를 다르게 표시하는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키워드 검색부는 상기 사용자의 연령과 성별에 대응하는 상기 검색어의 연관 키워드를 검색하는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
  7. 입력장치와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는 연관 검색어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를 카테고리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검색어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관 키워드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연관 키워드와 상기 검색어를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형으로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관 검색어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 모두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연관 검색어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를 상기 검색 결과와 함께 표시하는 연관 검색어 제공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에 대한 제2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2 드래그 입력이 제1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 드래그 경로에 포함되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외한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연관 검색어 제공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연관 키워드의 검색 빈도에 비례하여 상기 연관 키워드에 대응하는 도형의 크기를 다르게 표시하는 연관 검색어 제공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키워드를 검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연령과 성별에 대응하는 상기 검색어의 연관 키워드를 검색하는 연관 검색어 제공 방법.
  13. 제7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60005312A 2016-01-15 2016-01-15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766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312A KR101766406B1 (ko) 2016-01-15 2016-01-15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312A KR101766406B1 (ko) 2016-01-15 2016-01-15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771A true KR20170085771A (ko) 2017-07-25
KR101766406B1 KR101766406B1 (ko) 2017-08-08

Family

ID=59422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312A KR101766406B1 (ko) 2016-01-15 2016-01-15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64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9984A1 (en) * 2018-03-30 2019-10-03 Phill It Co., Ltd. Mobile apparatus and method of receiving recommended word continuously from virtual keyboard
US11379900B1 (en) 2021-03-05 2022-07-05 Coupang Corp. Electronic apparatus, manufacture,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US11423460B1 (en) 2021-03-31 2022-08-23 Coupang Corp. Electronic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2671A (ja) 2003-03-28 2004-10-28 Hitachi Software Eng Co Ltd データベース検索経路指定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9984A1 (en) * 2018-03-30 2019-10-03 Phill It Co., Ltd. Mobile apparatus and method of receiving recommended word continuously from virtual keyboard
US11379900B1 (en) 2021-03-05 2022-07-05 Coupang Corp. Electronic apparatus, manufacture,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US11423460B1 (en) 2021-03-31 2022-08-23 Coupang Corp. Electronic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6406B1 (ko)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74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ual mail recommendations
US20210232631A1 (en) Persisted enterprise graph queries
JP5603337B2 (ja) バーティカル提案により検索要求を支援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1720641B2 (en) Database search optimizer and themed filters
US9390142B2 (en) Guided predictive analysis with the use of templates
JP5661200B2 (ja) 検索情報の提供
US20180114136A1 (en) Trend identification using multiple data sources an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US11609942B2 (en) Expanding search engine capabilities using AI model recommendations
US20130346439A1 (en) Pushing Business Objects
US10410273B1 (en)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identification of item attributes associated with negative user sentiment
US9177066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comments associated with a query
US11748429B2 (en) Indexing native application data
US20120330728A1 (en) Dynamic business performance tagging and monitoring
KR101766406B1 (ko) 연관 검색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1756832B (zh) 推送信息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546633A (zh) 文档的基于命名实体的类别标签添加
CN112818111A (zh) 文档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CN112818230A (zh) 内容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2200604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rendering intent-based actionable content using input interface
US20180039699A1 (en) Search term prediction
US8756120B2 (en) Hybrid context-sensitive matching algorithm for retrieving product catalogue information
US20170193115A1 (en) Query classifier
EP2680172A2 (en) Other user content-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US10185982B1 (en) Service for notifying users of item review status changes
KR101618314B1 (ko) 랜덤 검색 엔진을 포함한 검색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