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4980A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4980A
KR20170084980A KR1020160114809A KR20160114809A KR20170084980A KR 20170084980 A KR20170084980 A KR 20170084980A KR 1020160114809 A KR1020160114809 A KR 1020160114809A KR 20160114809 A KR20160114809 A KR 20160114809A KR 20170084980 A KR20170084980 A KR 20170084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pload
uploading
time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9267B1 (ko
Inventor
아미트 판하르
프라사드 라나 사후
카티케얀 수브라마니암
홍영기
이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401,415 priority Critical patent/US10313978B2/en
Priority to PCT/KR2017/000388 priority patent/WO2017123011A1/en
Priority to EP17738640.6A priority patent/EP3354003A4/en
Publication of KR20170084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47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nditions of the access network or the infrastructur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외부 장치에 업로드하기 위한 업로드 명령이 입력되면, 기설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외부 장치에 업로드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시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기 설정된 파라미터는, 전자 장치의 내부 환경과 관련된 파라미터 및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환경과 관련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장치로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 장치(terminal apparatus)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고,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업로딩(uploading) 또는 다운로딩(downloading)할 수 있으며, 특정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를 확인 및 검색할 수도 있게 되었다. 특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사진첩(갤러리) 어플리케이션 등은 실시간 대화 어플리케이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웹 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 클라우드 백업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콘텐츠 공유가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 장치 상에서의 파일의 업로드는 많은 배터리 전력을 소모하게 되며, 따라서 배터리 전력의 관리는 단말 장치가 최대한의 기간 동안 동작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에서의 트래픽 관리는 배터리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데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신호 강도가 낮을 때, 콘텐츠의 업로드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많은 양의 배터리 전력이 소모될 수 밖에 없다. 특히, 콘텐츠의 업로드가 한번에 이루어지지 않고, 실패하게 되면 배터리의 고갈이 더 빨리지게 되고, 사용자가 업로드를 재시작해주어야 하는 등 사용자의 불편이 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텐츠의 업로드 시점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에 업로드하기 위한 업로드 명령이 입력되면, 기설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에 업로드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시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기 설정된 파라미터는,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 환경과 관련된 파라미터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환경과 관련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 환경과 관련된 파라미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용량,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 상기 업로드 명령이 입력된 시점의 상기 프로세서에 걸리는 부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환경과 관련된 파라미터는, 네트워크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네트워크의 가용 대역폭,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하는 셀 ID(cell IDentifier), 네트워크의 RTT(Round Trip Time), 적어도 하나의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경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업로드되는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산출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할 업로드 환경이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가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업로드 환경이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에 업로드하고, 상기 업로드 환경이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를 딜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가 딜레이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에 업로드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을 재산출하고, 상기 재산출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할 업로드 환경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 여부를 재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업로드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드 선택 명령에 따라 기 설정된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산출된 시간 및 상기 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이 최소가 되는 시점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시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산출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업로드되는 동안의 전력 소비량을 예측하고, 예측된 전력 소비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는, 기 설정된 강도 이상의 RSSI 값이 감지되는 이벤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가 딜레이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외부 장치에 업로드하기 위한 업로드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업로드 명령이 입력되면, 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에 업로드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시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파라미터는,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 환경과 관련된 파라미터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환경과 관련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 환경과 관련된 파라미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용량,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 상기 업로드 명령이 입력된 시점의 상기 프로세서에 걸리는 부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환경과 관련된 파라미터는, 네트워크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네트워크의 가용 대역폭,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하는 셀 ID(cell IDentifier), 네트워크의 RTT(Round Trip Time), 적어도 하나의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경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업로드되는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할 업로드 환경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시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가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업로드 환경이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에 업로드하고, 상기 업로드 환경이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를 딜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가 딜레이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에 업로드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을 재산출하는 단계, 상기 재산출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할 업로드 환경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 여부를 재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업로드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모드 선택 명령에 따라 기 설정된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산출된 시간 및 상기 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이 최소가 되는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시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출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업로드되는 동안의 전력 소비량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된 전력 소비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는, 기 설정된 강도 이상의 RSSI 값이 감지되는 이벤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가 딜레이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의 업로드에 의한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의 업로드시 업로드 최적화 옵션을 제공하는 UI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로드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상에 나타난 업로드 목록에 있어서, 업로드 시점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 변화에 따른 TTU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를 업로드하기 위한 세 가지 모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를 업로드하기 위한 세 가지 모드에 따른 업로드 시점의 차이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의 TTU 및 콘텐츠의 업로드가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업로드가 수행되는 조건을 달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의 시스템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TU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업로드 시점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일 수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 요소를 모두 도시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 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름을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 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자 장치(100)는 비디오 파일, 오디오 파일, 이미지 파일, 텍스트 파일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콘텐츠로 이루어진 파일을 외부 장치에 업로드(upload)할 수 있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타블렛 PC(tablet PC),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portable terminal),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스마트 가전(smart appliance), 스마트 안경 및 스마트 시계 등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전자장치(100)에 대하여 데이터, 프로그램, 파일 같은 소프트웨어 자원이나 모뎀, 팩스 및 프린터 등의 하드웨어 자원을 공유하거나, 전자장치(100)의 요청에 응답하여 특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server) 또는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는 타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는 사진, 문서 및 동영상 등의 각종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클라우드(cloud) 서버가 될 수도 있고, 전자 장치(100)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다른 사용자의 스마트 폰이 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LAN(Local Area Network), 케이블(cable), 무선 LAN, 셀룰러(cellular), D2D(Device to Device), 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3G, Wi-Fi, LTE, 애드혹 방식의 Wi-Fi Direct 및 LTE Direct,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IR(Infrared) 등을 이용한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Zigbee 통신 모듈, Bluetooth 통신 모듈, BLE 통신 모듈 및 Wi-Fi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에 대하여 각종 컨텐츠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Wi-Fi 통신 방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에 대하여 전자 장치(100) 내에 포함된 저장부 또는 전자 장치(100)와 연결되어 있는 외부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업로드될 컨텐츠의 선택, 업로드 대상 선택 및 업로드 명령 등 콘텐츠의 업로드와 관련된 다양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구성으로, 키보드, 마우스 등의 하드웨어와 논리적인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터치 디스플레이는 그래픽 및 텍스트로 이루어져 있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GUI 상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사용자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가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경우, 터치 디스플레이의 구성에 대하여는 도 8에서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이 외에도,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마이크(미도시), 적외선 신호 수신부(미도시) 등과 같은 다양한 인터렉션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사용자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내부 저장소 또는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저장소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외부 장치에 업로드하기 위한 업로드 명령이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외부 장치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기 설정된 파라미터(parameter)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외부 장치에 업로드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Time Taken-to-Upload, 이하, TTU)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파라미터는, TTU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 또는 업로드 시점을 스케줄링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로서, 업로드 시점을 제어하는데 고려하도록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를 의미하며 전자 장치(100)의 내부 환경과 관련된 파라미터 및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환경과 관련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의 내부 환경과 관련된 파라미터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용량,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 업로드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프로세서(130)에 걸리는 부하 및 전자 장치의 메모리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용량, 업로드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프로세서(130)에 걸리는 부하 및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 용량은 TTU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량이 3MB인 이미지는 용량이 1MB인 이미지보다 TTU가 상대적으로 크게 된다. 또한, 업로드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프로세서(130)에 걸리는 부하가 클수록,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 용량이 작을 수록, TTU가 커질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의 배터리 잔량은 TTU를 예측하는데에 고려되는 파라미터는 아니지만, 배터리 잔량 및 예측된 TTU에 대응되는 배터리 소비량을 비교하여 업로드 시점을 판단하는데 기초가 되는 파라미터이다.
또한,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환경과 관련된 파라미터는, 네트워크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네트워크의 가용 대역폭, 전자 장치(100)가 위치하는 셀 ID(cell Identifier) 및 네트워크의 RTT(Round Trip Time), 적어도 하나의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경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업로드되는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의 RSSI는 통신부(110)와 외부 장치간에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100)의 네트워크 환경에 있어서,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 전력의 세기를 의미하는 지표이다. 단위로는 dBm이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RSSI 값이 클수록, 네트워크 환경이 양호하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SSI 값의 레인지는 보통 -99에서 -35까지이며, 절대값이 높으면 높을수록 신호의 강도가 세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RSSI 값이 클수록, TTU의 값이 작아진다. 또한, 네트워크의 가용 대역폭이 클수록, TTU의 값이 작아진다. 한편, 전자 장치(100)가 위치하는 셀 ID를 통해 기지국이 서비스하는 네트워크 셀 중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가 위치하는 셀에서의 업로드 속도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TTU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RTT(Round Trip Time), 패킷 손실률 등 여러 파라미터의 변화에 따라 성능 차이가 발생하므로 프로세서(130)는 이러한 파라미터들을 고려하여 TTU를 예측하게 된다. 또한, 콘텐츠의 업로드가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 간에 배분되는 TCP 경로의 네트워크 대역폭에 따라 TTU의 차이가 생길 수 있다. 이때, 업로드가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TCP 경로의 네트워크의 대역폭이 클수록 TTU가 작아지게 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업로드되는 목적지가 전자 장치(10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TTU가 커질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TTU가 예측되면, 예측된 TTU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업로드 명령을 수신하면, 업로드 명령이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를 적절히 딜레이시켜 업로드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업로드 명령이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TTU 및 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업로드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를 수행할 때 필요한 TTU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예측되는 경우에는, 일정 시간 이후에 TTU를 재측정하고, TTU가 기 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측정되는 시점에 업로드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예측된 TTU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할 업로드 환경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조건이란 기 설정된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여, TTU 또는 업로드에 의해 소비되는 배터리의 전력량이 기 설정된 값 이하가 되는 조건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로, 프로세서(130)는 배터리의 잔량, 예측된 TTU에 따라 소비될 배터리 전력, 네트워크의 RSSI의 측정값에 특정 조건을 설정하고, 설정된 조건이 만족될 때에만, 콘텐츠를 업로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배터리의 잔량이 15%이고, 예측된 TTU에 따라 소비될 배터리 전력이 20%인 경우라면, 업로드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배터리가 모두 소진될 것이므로 프로세서(130)는 콘텐츠의 업로드 명령이 수신되더라도 콘텐츠의 업로드 시점을 배터리 전력이 20% 이상으로 충분히 확보될 때까지 딜레이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TTU의 예측 값과 상관 없이 네트워크의 RSSI의 측정값이 기 설정된 값 미만으로 매우 낮은 상태인 경우, 네트워크의 RSSI 의 측정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될 때까지 업로드를 딜레이시킬 수 있다. RSSI의 측정값이 기 설정된 값 미만으로 낮은 상태라면, 업로드의 실패로 인해 사용자가 업로드를 계속적으로 재시도해야하며 이에 따른 배터리 소비량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세서(130)는 기 설정된 값 이상의 RSSI 값이 측정됨으로써 사용자의 개입이 최소화될 수 있는 시점에 업로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프로세서(130)는 업로드 환경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외부 장치에 업로드하고, 업로드 환경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를 딜레이시킬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할 업로드 환경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기 설정된 조건은,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가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콘텐츠의 업로드가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는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콘텐츠를 자동으로 백업(backup)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을 서비스하는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드롭박스(Dropbox), 구글 드라이브(Google Drive), 구글 포토(Google photos), 플리커(flickr) 등이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콘텐츠의 업로드에 있어 딜레이가 어느정도 발생하더라도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에서 배터리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딜레이의 시간적 허용 범위가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즉,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딜레이 톨레랑스 팩터(delay tolerance factor) 값이 상대적으로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라고 명명하도록 한다.
또한, 콘텐츠의 업로드가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는 사용자가 업로드 명령을 직접 입력함으로써 외부 서버에 해당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이를 외부 서버와 연결된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eeter), 구글 플러스(google plus) 등과 같은 SNS(social network service) 어플리케이션이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콘텐츠의 업로드에 있어 배터리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딜레이의 시간적 허용 범위가 제1 어플리케이션보다는 작을 수 있다. 즉,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딜레이 톨레랑스 팩터(delay tolerance factor) 값이 제1 어플리케이션보다 상대적으로 작다고 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제2 어플리케이션이라고 명명하도록 한다.
또한, 콘텐츠의 업로드가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는 사용자가 업로드 명령을 직접 입력하면, 콘텐츠를 즉시 외부 장치에 업로드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실시간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왓츠앱(whatsapp), 라인(line), 카카오톡(kakaotalk) 등과 같은 실시간 대화가 가능한 메신저(real-time messenger) 어플리케이션이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실시간 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콘텐츠의 업로드 명령이 수신되는 즉시 업로드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콘텐츠의 업로드에 있어 배터리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딜레이의 시간적 허용 범위가 상대적으로 가장 작다. 즉,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딜레이 톨레랑스 팩터(delay tolerance factor) 값이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보다 상대적으로 가장 작다고 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제3 어플리케이션이라고 명명하도록 한다.
즉, 프로세서(130)가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할 업로드 환경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기 설정된 조건은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가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무엇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3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업로드되는 콘텐츠는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업로드되는 콘텐츠보다 상대적으로 업로드가 수행되기 위한 조건이 완화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가 딜레이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외부 장치에 업로드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 즉 TTU를 재산출하고, 재산출된 TTU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할 업로드 환경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 여부를 재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이벤트는 네트워크의 RSSI 값의 변화, 전자 장치(100)가 위치하는 셀 ID의 변화 등 TTU의 예측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파라미터의 변화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값 이상의 RSSI 값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TTU가 재산출될 수 있다. 한편, 기 설정된 이벤트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가 딜레이되는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로드될 콘텐츠의 업로드 시점이 딜레이 한계 시간인 3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즉시 업로드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가 딜레이된 상태에서, 즉시 업로드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 입력을 우선하여, TTU와 관계없이 즉시 딜레이된 콘텐츠의 업로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콘텐츠의 업로드 시점이 제어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제공하는 실시 예와 관련하여, 업로드 시점이 제어되는 다양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특히,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140)는 터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현된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의 업로드시 업로드 최적화 옵션을 제공하는 UI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업로드가 수행될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UI 화면에서, 이미지 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관리되는 복수의 이미지 중 업로드가 수행될 이미지 22-1 내지 22-4를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미지 22-1 내지 22-4를 선택한 후, UI 화면의 상단 바에 나타난 메뉴 중 공유 메뉴(21)를 선택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이미지 22-1 내지 22-4를 업로드 또는 공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 창(23)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된 메뉴 창(23)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30)는 콘텐츠의 업로드에 필요한 TTU를 계산하고, 업로드 시점을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스마트 업로더)을 실행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된 콘텐츠를 업로드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TTU)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업로더는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기 전부터 미리 전자 장치(100)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스마트 업로더에 의해 산출된 TTU에 기초하여, 업로드 환경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도 2의 (c)와 같이 스마트 업로더에 의해 제공되는 메뉴 창(24)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메뉴 창(24)은 현재 업로드 환경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므로, 업로드 시점이 딜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리는 메시지(예를 들어, “경고: 나중에 다시 시도”와 같은 문구), 업로드 용량 및 업로드에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영역(24-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업로드 시점을 최적화하여 업로드 환경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이 도래하면 자동적으로 업로드를 수행하도록 하는 최적화 메뉴(24-2) 및 경고를 무시하고 즉시 업로드를 수행하도록 하는 계속 메뉴(24-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계속 메뉴(24-3)를 선택하면, 기 설정된 조건의 만족 여부에 대한 판단보다 사용자의 선택 명령을 우선순위로 하여 선택된 콘텐츠가 즉시 업로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로드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상에 나타난 업로드 목록에 있어서, 업로드 시점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가 업로드되는 중이거나 업로드가 딜레이되는 경우, 선택된 콘텐츠의 업로드 상태는 스마트 업로더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업로더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40)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스마트 업로더에서 업로드 예정인 또는 업로드 중인 콘텐츠가 있음을 알리는 정보(31)를 간단한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UI 화면상에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 알림 정보(31)을 선택하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업로더의 실행화면 상에서 업로드 대기 중인 콘텐츠 항목(32-1), 업로드 중인 콘텐츠 항목(32-2), 업로드가 완료된 콘텐츠 항목(32-3, 32-4)으로 구성되는 업로드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각 콘텐츠 항목(32-1 ~ 32-4)에는 콘텐츠를 업로드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콘텐츠 파일명, 콘텐츠의 크기 및 업로드 상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특히 업로드 중인 콘텐츠(32-2) 항목에는 업로드 진행 현황을 나타내는 프로그레스 바(32-5)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가 업로드 대기 중인 콘텐츠 항목(32-1)을 선택하면,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업로드 환경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므로, 업로드 시점이 딜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뉴 창(33)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메뉴 창(3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업로드 시점을 최적화하여 업로드 환경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이 도래하면 자동적으로 업로드를 수행하도록 하는 최적화 메뉴(33-2) 및 경고를 무시하고 즉시 업로드를 수행하도록 하는 계속 메뉴(33-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계속 메뉴(33-3)를 선택하는 경우,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기 설정된 조건의 만족 여부에 대한 판단보다 사용자의 선택 명령을 우선순위로 하여 선택된 콘텐츠를 즉시 업로드할 수 있으며, 업로드 진행 현황을 나타내는 프로그레스 바(32-6)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 변화에 따른 TTU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30)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가 딜레이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외부 장치에 업로드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을 재산출하고, 재산출된 시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할 업로드 환경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 여부를 재결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가 자전거를 타고 집으로 이동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의 위치 변화에 따라 업로드가 딜레이된 콘텐츠의 TTU가 재산출되고, 재산출된 TTU에 따라 업로드가 수행되는 시점이 스케쥴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현재 A 위치에서 집으로 이동 중인 경우를 일 예로 상정할 수 있다. 이때, 집의 위치, 현재 위치에서 집으로 이동하는 경로 및 그에 따른 네트워크 신호 세기의 패턴은 전자 장치(100)에 미리 기록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의 신호 세기는 기 설정된 값의 범위에 따라 상(high), 중(medium), 하(low)의 3 레벨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네트워크 신호 세기의 패턴은 현재 전자 장치(100)가 위치하는 영역의 네트워크의 신호 세기가 ‘상’,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집의 중간인 B 위치의 네트워크 신호 세기가 ‘중’, 집(C 위치)에서의 네트워크 신호 세기가 ‘상’이라고 가정하면, 사용자가 현재 A 위치에서 B 위치를 거쳐 C 위치로 이동하면서, 네트워크 신호 세기의 변경에 따라 TTU가 재산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A 위치, B 위치 및 C 위치에서의 TTU가 다르게 산출될 수 있다.
현재 A 위치에서,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이동 속도와 기 저장된 네트워크 신호 세기의 패턴 변화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TTU를 계산할 수 있으며 A 위치에서 업로드를 시작하는 경우, TTU는 20분으로 예측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B 위치 및 C 위치로 이동하면서, B 위치 및 C 위치에서의 TTU를 예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A 위치에서 B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10분이 소요된다고 가정할 때, A위치에서부터 B 위치까지의 범위에서의 신호의 세기가 ‘상’으로 일정하다면, 사용자가 B 위치에 도달할 때, 업로드되는 콘텐츠의 총 용량의 반이 이미 업로드 되어야 하며, B 위치에서의 TTU는 10분으로 예측되어야 한다. 그러나, B 위치에서의 신호 세기가 ‘중’이고, A 위치에서 B 위치까지 이동하면서 신호의 세기가 점점 나빠지는 경우, 업로드되는 콘텐츠의 총 용량 중 10분의 1만 업로드될 수 있다. 이때, B 위치에서 예측되는 TTU는 18분이 된다. 한편, 사용자가 A 위치에서 C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20분이 소요된다고 가정할 때, A 위치에서부터 C 위치까지의 범위에서의 신호의 세기가 ‘상’으로 일정하다면, 사용자가 C 위치에 도달할 때, 업로드되는 콘텐츠의 업로드가 완료되어야 하며, C 위치에서의 TTU는 0분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B 위치에서의 신호 세기가 ‘중’이고, B 위치에서 C 위치까지 이동하면서 신호의 세기가 점점 나빠지다가 C 위치에서 신호의 세기가 ‘상’으로 좋아지는 경우, 업로드되는 콘텐츠의 총 용량 중 5분의 1만 업로드될 수 있다. 이때, C 위치에서 예측되는 TTU는 16분이 된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TTU가 가장 작은 위치인 C 위치에 도달했을 때, 콘텐츠 업로드를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A 위치나 B 위치에 존재할 때보다 TTU를 단축함으로써, 업로드에 따른 배터리 전력 소비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를 업로드하기 위한 세 가지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업로드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즉시 업로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모드(즉시 업로드 모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이후에 업로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모드(업로드 딜레이 모드) 및 기 설정된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여 산출된 TTU에 기초하여 판단된 업로드 시점에 업로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3 모드(업로드 최적화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따라 업로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산출된 TTU에 기초하여, 각각의 모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업로드되는 동안의 전력 소비량을 예측하고, 예측된 전력 소비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콘텐츠에 대한 업로드 명령이 입력되면, 스마트 업로더를 통해 제공되는 UI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업로드 모드의 선택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모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모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업로드는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콘텐츠 용량, 업로드에 소요되는 시간 등)를 나타내는 항목(51), 제1 모드 내지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 메뉴(52-1 ~ 52-3)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모드 선택 메뉴(52-1 ~ 52-3)는 각각의 모드에 따라 업로드가 수행될 때, 소비되는 배터리의 전력량을 나타내는 정보(52-4 ~ 52-6)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모드에서 소비되는 배터리의 전력량을 나타내는 정보(52-4 ~ 52-6)는 프로세서(130)를 통해 산출된 TTU 및 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예측될 수 있다. 또한, 모드 선택 메뉴(52-1 ~ 52-3)는 사용자로부터 모드 선택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52-7 ~ 52-9)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3 모드(업로드 최적화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TTU 및 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선택된 콘텐츠의 업로드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이 최소가 되는 업로드 시점을 판단하고, 판단된 업로드 시점에 선택된 콘텐츠를 업로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배터리의 잔량, 프로세서(130)에 걸리는 부하, 네트워크의 상태 등 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선택된 콘텐츠의 업로드가 가능해지는 시점에 업로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를 업로드하기 위한 세 가지 모드에 따른 업로드 시점의 차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업로드 딜레이 모드, 업로드 최적화 모드 및 즉시 업로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따라 업로드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네트워크 상태가 시간에 따라 네트워크가 활성화된 ON 상태(통신 연결이 이루어져 콘텐츠의 업로드가 가능한 상태)(61), 과도현상(transient) 상태(62), 네트워크가 비활성화된 OFF 상태(통신 연결이 끊어져 콘텐츠의 업로드가 불가능한 상태)(63), ON 상태(64), 과도응답 상태(transient)(65), ON 상태(66)로 순차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6의 (b)는 업로드 딜레이 모드에 따라 업로드가 수행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기 설정된 시간 이후에 네트워크가 ON 상태로 변경될 때 업로드가 수행되도록 설정한 것이다. 네트워크가 ON 상태일 때 업로드되는 콘텐츠의 예측되는 TTU가 360초라고 가정하면, 사용자가 업로드 딜레이 모드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후에 업로드가 수행되도록 설정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기 설정된 시간 이후 처음으로 네트워크가 ON 상태(64)로 변경될 때 업로드가 수행되도록 업로드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업로드에 따른 배터리 소비량이 업로드 최적화 모드보다는 작고, 즉시 업로드 모드보다는 클 수 있다.
도 6의 (c)는 업로드 최적화 모드에 따라 업로드가 수행되는 경우에 360초 동안 온전히 업로드가 수행될 수 있도록 최적화된 시점에 업로드가 수행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프로세서(130)는 시간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를 예측하고, 네트워크의 ON 상태(61, 64)에 있어서 업로드가 끊기지 않고 수행될 수 있는지 판단한다. 프로세서(130)는 네트워크의 ON 상태(61, 64)가 네트워크의 OFF 상태로의 변경 또는 정전기(electrostatic discharge, ESD), 전기적 급속 과도(electrical fast transient, EFT), 서지(surge) 등의 과도현상에 의해 TTU(360초)보다 짧은 것으로 판단되면, 360초 이상의 ON 상태가 지속될 수 있는 ON 상태(66)에 업로드가 수행될 수 있도록 과도현상(65) 이후의 ON 상태(66)로 변경되는 시점에 업로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업로드에 따른 배터리 소비량이 최소가 될 수 있다.
한편,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즉시 업로드 모드에 따라 업로드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현재 네트워크 상태를 고려함이 없이 즉시 업로드 모드가 선택된 시점에 업로드가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업로드에 따른 배터리 소비량이 최대가 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의 TTU 및 콘텐츠의 업로드가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업로드가 수행되는 조건을 달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30)는 산출된 TTU 및 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업로드 환경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를 딜레이시킬 수 있다. 이때, 딜레이된 콘텐츠는 딜레이된 콘텐츠들로 구성되는 펜딩 리스트(pending list)에 추가될 수 있으며, 펜딩 리스트(pending list)에 포함되는 콘텐츠들은 펜딩된 순서대로 업로드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순서대로 업로드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산출된 TTU 및 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한 다양한 기준을 통해 펜딩 리스트 내의 콘텐츠를 분류할 수 있다(702). 특히 프로세서(130)는 콘텐츠의 업로드가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무엇인지를 기준으로 하여 펜딩 리스트 내의 콘텐츠를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 대화 메신저와 같은 딜레이 톨레랑스 팩터 값이 낮은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업로드가 수행되는 경우, 펜딩 리스트 내의 업로드 우선 순위를 높게 설정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비스와 같은 딜레이 톨레랑스 팩터 값이 높은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업로드가 수행되는 경우, 펜딩 리스트 내의 업로드 우선 순위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콘텐츠가 백업되는 경우와 같이,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높은 레벨의 딜레이 톨레랑스 팩터 값을 가지는 경우(704), 프로세서(130)는 네트워크의 RSSI가 상(High)인 조건 및 전자 장치(100)의 배터리 잔량이 75% 이상인 조건이 모두 만족될 때 업로드가 수행되도록 업로드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706). 또한,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SNS와 같이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중간 레벨의 딜레이 톨레랑스 팩터 값을 가지는 경우(708), 프로세서(130)는 네트워크의 RSSI가 중(medium)인 조건 및 전자 장치(100)의 배터리 잔량이 35% 이상인 조건이 모두 만족될 때 업로드가 수행되도록 업로드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710). 또한, 카카오톡, 왓츠앱 등 실시간 대화 메신저와 같이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낮은 레벨의 딜레이 톨레랑스 팩터 값을 가지는 경우(712), 프로세서(130)는 네트워크의 RSSI 및 배터리 잔량과 관계없이 업로드가 즉시 수행되도록 업로드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714).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전자 장치(100)가 스마트폰, 외부 장치가 스마트폰(100)과 근거리에서 통신하는 웨어러블 기기(스마트 시계 등)로 구현되는 경우에 있어서, 스마트폰(100)은 웨어러블 기기와 하우스 키핑(house keeping) 데이터 및 운동 기록 등 각종 센싱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폰(100)이 웨어러블 기기에 대하여 데이터를 업로드할 때, 업로드 시점이 제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웨어러블 기기에 대한 업로드에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높은 딜레이 톨레랑스 팩터를 가질 수 있다. 반대로, 전자 장치(100)가 웨어러블 기기로, 외부 장치가 스마트 폰으로 구현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웨어러블 기기(100)는 스마트 폰에 대하여 높은 딜레이 톨레랑스 팩터를 가지는 업로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가 스마트폰, 외부 장치가 건강 측정 기기로 구현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스마트폰(100)이 사용자로부터 센싱된 생체 데이터를 건강 측정 기기로 업로드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낮은 딜레이 톨레랑스 팩터를 가지는 업로드를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강 측정 기기에 대하여 생체 데이터를 즉시 업로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프로세서(130), 디스플레이(140), 저장부(150), 오디오 처리부(160), 오디오 출력부(170), 비디오 처리부(180) 및 배터리(19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1에서의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프로세서(1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M(131), ROM(132),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및 버스(136)를 포함한다. 이때, RAM(131), ROM(132),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등은 버스(13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3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RAM(131), ROM(132), CPU(133) 및 그래픽 처리부(134)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ROM(13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CPU(133)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31)에 복사하고, RAM(13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CPU(133)는 저장부(150)에 복사된 모듈을 실행시켜 업로드될 콘텐츠의 TTU를 예측하고, 해당 콘텐츠의 업로드 시점을 스케쥴링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13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CPU(133)는 저장부(15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5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CPU(133)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콘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각종 GUI 및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이다. 특히, 디스플레이(14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업로드될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 콘텐츠를 업로드할 외부 장치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 업로드 현황을 나타내는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40)가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입력된 터치에 대응되는 기능이 실행될 수 있도록, 감지된 터치가 입력된 위치에 대응되는 좌표를 프로세서(13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14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140)가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140)는 상술한 바와 같은 LCD, OLED 등으로 구성된 표시패널과 입력 감지 패널이 구조적으로 통합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입력 감지 패널은 손가락, 전자펜 등의 각종 물체를 이용한 사용자의 싱글 또는 멀티 터치 입력, 드래그 입력, 필기 입력, 드로잉 입력 등의 각종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 감지 패널은 손가락 입력 감지 및 펜 입력 감지가 모두 가능한 하나의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손가락 입력 감지가 가능한 터치 패널과 펜 입력 감지가 가능한 펜 인식 패널과 같이 두 개의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150)는 업로드될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전자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저장하는 구성이다. 저장부(150)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DRAM 메모리, SRAM 메모리, FRAM 메모리 또는 플래시 메모리 중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50)의 구성에 대하여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의 시스템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에 따르면, 저장부(150)에는 베이스 모듈(151), 센싱 모듈(152), 통신 모듈(153), 프레젠테이션 모듈(154), 웹 브라우저 모듈(155), 서비스 모듈(156), TTU 예측 모듈(157) 및 업로드 스케쥴링 모듈(158)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베이스 모듈(151)이란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을 의미한다. 베이스 모듈(151)은 스토리지 모듈(151-1), 보안 모듈(151-2) 및 네트워크 모듈(151-3) 등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모듈(151-1)이란 데이터베이스(DB)나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보안 모듈(151-2)이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네트워크 모듈(151-3)이란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로 DNET 모듈, UPnP 모듈 등을 포함한다.
센싱 모듈(152)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이다.
통신 모듈(153)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 모듈(153)은 IR 통신 모듈 및 RF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시징 모듈 및 전화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젠테이션 모듈(154)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레젠테이션 모듈(154)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한다.
웹 브라우저 모듈(155)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웹 브라우저 모듈(155)은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웹 뷰(web view) 모듈,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다운로드 에이전트 모듈, 북마크 모듈, 웹킷(Webkit)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모듈(156)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모듈(156)은 SNS 프로그램,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 게임 프로그램, 전자 책 프로그램, 달력 프로그램, 알람 관리 프로그램, 기타 위젯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TU 예측 모듈(157)은 SVR(Support Vector Regression) 수학 툴을 활성화시켜 TTU를 예측할 수 있다. 일반적인 리니어 회귀(linear regression) 기법과 달리, SVR 수학 툴을 이용한 SVR 분석은 현재 기 설정된 파라미터의 TTU 예측에 대한 실제 기여도에 기초하여 각 파라미터에 가중치를 다르게 할당할 수 있다. 이렇게 예측된 특정 콘텐츠의 TTU 및 과거 예측된 TTU의 가중 평균 값을 이용하여 콘텐츠의 TTU를 최종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예측된 TTU 및 실제 TTU의 차이(에러)값은 향후 TTU 예측에 가중치로 이용될 수 있다.
업로드 스케쥴링 모듈(158)은 예측된 TTU 및 기 설정된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여, 콘텐츠를 업로드할 업로드 환경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업로드 시점을 판단하는 모듈이다. 이때, 업로드 스케쥴링 모듈(158)은 콘텐츠의 업로드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이 최소가 되는 시점을 업로드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업로드 스케쥴링 모듈(158)은 복수의 콘텐츠에 대한 업로드 요청이 있을 때, 각각의 콘텐츠의 업로드 시점을 판단하여 스케쥴링할 수 있다.
다시 도 8에 대해 설명하면, 오디오 처리부(16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6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160)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오디오 처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70)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스피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80)는 각종 영상 콘텐츠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80)에서는 영상 콘텐츠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비디오 처리부(180)는 복수의 콘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영상 처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TU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업로드 시점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업로드 명령을 수신한다(S1010).
이 후, 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TTU를 산출한다(S1020).
이때, 산출된 TTU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할 업로드 환경이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30).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단되면(S1030:Y),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즉시 업로드한다(S1070).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S1030:N),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를 딜레이시킨다(S1040).
이 후, 기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050), 기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되면(S1050:Y),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TTU를 재산출하고(S1060), 재산출된 TTU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재판단한다(S1030). 기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되지 않으면(S1050;N),TTU의 재산출없이 S1030 단계로 회귀하여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30).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외부 장치에 업로드하기 위한 업로드 명령을 입력받는다(S1110).
업로드 명령이 입력되면, 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저거도 하나의 콘텐츠를 외부 장치에 업로드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을 산출한다(S1120). 이때, 기 설정된 파라미터는 전자 장치의 내부 환경과 관련된 파라미터 및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환경과 관련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의 내부 환경과 관련된 파라미터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용량,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 업로드 명령이 입력된 시점의 프로세서(CPU)에 걸리는 부하 및 전자 장치의 메모리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환경과 관련된 파라미터는, 네트워크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네트워크의 가용 대역폭, 전자 장치가 위치하는 셀 ID(cell IDentifier), 네트워크의 RTT(Round Trip Time), 적어도 하나의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경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업로드되는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산출된 시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시점을 제어한다(S1130). 이때, 산출된 시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할 업로드 환경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조건은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가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업로드 환경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외부 장치에 업로드하고, 업로드 환경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를 딜레이시킬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가 딜레이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외부 장치에 업로드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을 재산출하고, 재산출된 시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할 업로드 환경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 여부를 재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업로드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모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모드 선택 명령에 따라 기 설정된 모드가 선택되면, 산출된 시간 및 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이 최소가 되는 시점을 판단하고, 판단된 시점에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개입 없이 콘텐츠의 업로드 시점을 제어함으로써, 콘텐츠의 업로드에 따른 배터리의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즉, 각종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어 상술한 다양한 제어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 매체에 저장된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외부 장치에 업로드하기 위한 업로드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업로드 명령이 입력되면, 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외부 장치에 업로드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시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시점을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한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통신부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0: 프로세서
140: 디스플레이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에 업로드하기 위한 업로드 명령이 입력되면, 기설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에 업로드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시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기 설정된 파라미터는,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 환경과 관련된 파라미터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환경과 관련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 환경과 관련된 파라미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용량,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 상기 업로드 명령이 입력된 시점의 상기 프로세서에 걸리는 부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환경과 관련된 파라미터는,
    네트워크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네트워크의 가용 대역폭,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하는 셀 ID(cell IDentifier), 네트워크의 RTT(Round Trip Time), 적어도 하나의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경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업로드되는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산출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할 업로드 환경이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시점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가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서로 다른, 전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업로드 환경이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에 업로드하고, 상기 업로드 환경이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를 딜레이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가 딜레이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에 업로드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을 재산출하고, 상기 재산출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할 업로드 환경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 여부를 재결정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업로드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시점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드 선택 명령에 따라 기 설정된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산출된 시간 및 상기 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이 최소가 되는 시점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시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산출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업로드되는 동안의 전력 소비량을 예측하고, 예측된 전력 소비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는,
    기 설정된 강도 이상의 RSSI 값이 감지되는 이벤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가 딜레이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외부 장치에 업로드하기 위한 업로드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업로드 명령이 입력되면, 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에 업로드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시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파라미터는,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 환경과 관련된 파라미터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환경과 관련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 환경과 관련된 파라미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용량,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 상기 업로드 명령이 입력된 시점의 상기 프로세서에 걸리는 부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환경과 관련된 파라미터는,
    네트워크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네트워크의 가용 대역폭,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하는 셀 ID(cell IDentifier), 네트워크의 RTT(Round Trip Time), 적어도 하나의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경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업로드되는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할 업로드 환경이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시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가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업로드 환경이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에 업로드하고, 상기 업로드 환경이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를 딜레이하는,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가 딜레이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에 업로드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을 재산출하는 단계;
    상기 재산출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할 업로드 환경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 여부를 재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업로드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시점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모드 선택 명령에 따라 기 설정된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산출된 시간 및 상기 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이 최소가 되는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시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업로드되는 동안의 전력 소비량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된 전력 소비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는,
    기 설정된 강도 이상의 RSSI 값이 감지되는 이벤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업로드가 딜레이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160114809A 2016-01-13 2016-09-07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69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401,415 US10313978B2 (en) 2016-01-13 2017-01-09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7/000388 WO2017123011A1 (en) 2016-01-13 2017-01-12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7738640.6A EP3354003A4 (en) 2016-01-13 2017-01-12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01641001307 2016-01-13
IN201641001307 2016-0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980A true KR20170084980A (ko) 2017-07-21
KR102569267B1 KR102569267B1 (ko) 2023-08-23

Family

ID=59462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809A KR102569267B1 (ko) 2016-01-13 2016-09-07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3354003A4 (ko)
KR (1) KR1025692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59945A (zh) * 2018-04-19 2018-07-06 腾讯音乐娱乐科技(深圳)有限公司 处理播放多媒体数据的播放请求的方法和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1851A1 (en) * 2008-12-12 2010-06-17 Bhatia Randeep S Method and apparatus for uploading content over wireless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63000B (en) * 2008-07-25 2012-11-07 Vodafone Plc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US20130144968A1 (en) * 2011-12-02 2013-06-06 Adam L. Berger Sharing files on a wireless device
US20130282869A1 (en) * 2012-04-24 2013-10-24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cheduling file uploads
KR20140093088A (ko) * 2013-01-17 2014-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장치
US9680953B2 (en) * 2013-04-15 2017-06-1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Cache and delivery based application data schedul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1851A1 (en) * 2008-12-12 2010-06-17 Bhatia Randeep S Method and apparatus for uploading content over wireless network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59945A (zh) * 2018-04-19 2018-07-06 腾讯音乐娱乐科技(深圳)有限公司 处理播放多媒体数据的播放请求的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267B1 (ko) 2023-08-23
EP3354003A4 (en) 2018-08-15
EP3354003A1 (en)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9693B2 (en) Operating method for multiple windows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WO2021082739A1 (zh) 多任务界面管理方法及电子设备
US9432314B2 (en) Quick navigation of message conversation history
US9904737B2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curation ser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332675B1 (ko) 전자 장치의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2064952B1 (ko) 수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전자 장치
KR102150514B1 (ko)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 방법
EP358209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screen
US1108649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notification displaying method for electronic apparatus
US9398142B2 (en) Mobile computing terminal with more than one lock scree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P3452907B1 (en) Control of applications that use system resources
US11481229B2 (en) Method for application processing,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US20170139554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20140078178A1 (en) Adaptive Display Of A Visual Object On A Portable Device
CN110168487A (zh) 一种触摸控制方法及装置
BR112016007127B1 (pt) Método implementado por computador para rolar uma interface de usuário e meio de armazenamento legível por computador
EP2763131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figuring screen
KR20200058511A (ko)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102234400B1 (ko) 컨텐츠의 순서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40244805A1 (en) Bandwidth estimation-based streaming content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of terminal
US20170147164A1 (en) Touch heat map
US9065872B1 (en) Sharing service management
US9380438B2 (en) Method and device for forwarding an incoming call according to a remaining battery capacity
US10250943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utomatic grouping and management of content in real-time
KR102569267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