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4867A - 칼럼 간격 광폭화와 저위 시추탑이 적용된 반잠수식 시추선 - Google Patents

칼럼 간격 광폭화와 저위 시추탑이 적용된 반잠수식 시추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4867A
KR20170084867A KR1020160004246A KR20160004246A KR20170084867A KR 20170084867 A KR20170084867 A KR 20170084867A KR 1020160004246 A KR1020160004246 A KR 1020160004246A KR 20160004246 A KR20160004246 A KR 20160004246A KR 20170084867 A KR20170084867 A KR 20170084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semi
column
upper deck
dr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3959B1 (ko
Inventor
박승균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04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959B1/ko
Publication of KR20170084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6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using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63B27/1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of gant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5/00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 E21B15/02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12Underwater dr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2003/147Moon-pools, e.g. for offshore drill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2Spar-type semi-submersible structures, i.e. shaped as single slender, e.g. substantially cylindrical or trussed vertical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잠수식 시추선 등 해양구조물의 전복에 대한 안전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이를 활용시 동일한 성능을 갖는 선박을 작고 가볍게 제작할 수 있어 초기 건조 투자원가와 연료비 등 장기적으로 지속적인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는 칼럼 간격 광폭화와 저위 시추탑이 적용된 반잠수식 시추선에 관한 것으로서, 칼럼의 좌,우측 외곽선 폭이 폰툰과 갑판의 폭 보다 넓게 설치되며, 시추탑이 큰 규모의 중량 절감과 동시에 중량 중심 하향화를 통하여 복원력 향상 및 선체를 소형화시킬 수 있도록 상부갑판에 바로 설치된다.

Description

칼럼 간격 광폭화와 저위 시추탑이 적용된 반잠수식 시추선{SEMI-SUBMERSIBLE DRILL RIG WITH WIDE COLUMN SPAN AND LOWERED DERRICK}
본 발명은 칼럼 간격 광폭화와 저위 시추탑이 적용된 반잠수식 시추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현 방향의 칼럼간 간격을 넓히고 시추탑을 상부갑판으로 낮춰서 설치하고 폰툰의 2중저 탱크에 비중이 큰 물질을 영구 밸러스트로 충전하여 횡경사시의 복원능력을 크게 향상시켜 통상선들이 필요로 하는 밸러스트가 필요 없게 되어 근본적인 성능의 저감 없이 선체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칼럼 간격 광폭화와 저위 시추탑이 적용된 반잠수식 시추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잠수식 시추선의 선체는 2개의 장방형 잠수선체(이하, '폰툰(pontoon)'이라고 함)와 상기 폰툰의 상부에 세워지는 4개 또는 그 이상의 칼럼(column) 그리고 칼럼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부갑판구조(deck unit)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2개의 폰툰 사이는 브레이스(brace)라는 연결봉으로 굳건하게 연결한다.
상기와 같은 선체의 최대 장점은 황천 시 파랑의 영향이 적어 안정적인 해상 작업이 가능한 것이며, 그 이유는 흘수선이 칼럼 부분에 형성되므로 파랑의 선체에 대한 작용력이 일반 선체에 비하여 현저하게 적어지기 때문이다.
반면에 칼럼들의 입면면적(profile)이 적어서 파랑에 의한 동요가 적어졌지만 흘수선의 수선면(water plane) 면적이 작아서 경사시의 복원력이 크지 않은 결점이 있다.
특히, 시추선은 대단히 무거운 시추탑(drilling derrick)이 높은 곳에 설치되어 있으며, 시추 파이프, 시추 라이저(riser), 시추용 머드(mud) 등 무게가 많은 소모재(consumable)들을 상부갑판부에 많이 적재해야 함으로써 부족해지는 복원력 확보를 위하여 해수 밸러스트를 많이 실을 수 있도록 불가피하게 폰툰과 칼럼을 크게 만들게 되어 현존하는 설계는 태생적 비능률성을 불가피하게 내포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125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선체 형태에 변화를 주고 중량요소의 설치를 하향화하여 경사시의 복원 성능을 근본적으로 향상시켜 선체의 크기를 축소하여도 모든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칼럼 간격 광폭화와 저위 시추탑이 적용된 반잠수식 시추선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작은 크기의 보통형 반잠수식 선체의 상부갑판과 폰툰은 그대로 두고 칼럼들의 횡방향 간격만 넓히면 작은 선체임에도 불구하고 복원력이 큰 선형이 된다.
상기 칼럼의 좌,우측 외곽선 폭이 상부갑판의 폭 보다 넓게 설치되며, 상부갑판으로 덮여지지 않고 노출되는 칼럼의 상면은 앵커 윈드라스(anchor windlass)를 설치하는 무어링 데크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칼럼의 하부는 폰툰의 상단을 향하여 경사부를 두어 경사지게 수렴시키고 안착시켜 견고하게 조립하면 된다.
상기 경사부의 경사각은 폰툰과 상부갑판 간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운행에 장애가 되지 않는 범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시추탑은 받침대 구조인 드릴 플로어를 없애고, 상부갑판으로 내려서 설치하면 큰 규모의 중량 절감과 동시에 중량 중심 하향화를 통하여 복원력 향상 및 선체의 소형화에 크게 기여한다.
상기 시추탑의 하부에서는 라이저(riser)와 비오피(BOP) 설치에 필요한 수직 공간의 높이 확보를 위해 상부갑판 하방에서 문풀 구역을 감싸는 수직 트렁크 구조를 상부갑판유니트의 이중저 바닥보다 더 낮게 연장하고 쎌라데크와 문풀을 설치하면 된다.
상기 상부갑판에 비오피(BOP)를 적치함에 있어, 상기 비오피(BOP)를 시추탑 하부로 장입시키는 비오피 크레인 높이가 너무 높아지지 않도록 상부갑판을 파내어 주갑판을 바닥으로 하는 적치장 리세스를 만들고 문풀까지 이어지게 하여야 한다.
상기 작은 크기의 상부갑판에 가장 긴 90피트 길이의 라이저를 적치함에 있어, 상기 라이저 길이의 일부분을 상부갑판 외부로 돌출시키고 상부갑판의 끝에 플랫폼을 이어 붙여서 갠트리형 라이저 크레인의 주행 레일을 설치하여야 한다.
상기 폰툰에는 밸러스트 탱크 4곳에 중간갑판을 설치하고 보통은 칼럼에 설치하는 벌크 탱크를 한 곳에 2개씩 하향설치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칼럼 간격 광폭화와 저위 시추탑이 적용된 반잠수식 시추선 선형에 의하면, 첫째 종래의 반잠수식 시추선 선체와 성능은 동일하면서 선체가 작고 가벼워져서 건조 원가가 저렴하고 이에 따라 투자 및 운영 경쟁력에 좋은 효과가 있다.
둘째, 선체가 작고 가벼우므로 자기 위치 고수를 위한 스러스터(thruster) 작동 연료 소모가 적으며, 밸러스트 펌프 작동 횟수도 작고 처리 수량도 적으므로 연료 소모가 적어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시추탑을 받치는 드릴 플로어와 라이저 및 시추 파이프 주입장치용 지지구조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크레인을 사용하는 중량물 취급이 편리하고 높은 곳에 오르내릴 일이 대폭 줄어서 작업 능률 향상과 승조원 건강 보건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잠수식 시추선의 전면에서 선미 쪽을 향해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잠수식 시추선의 우측 측면에서 좌측을 향해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잠수식 시추선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잠수식 시추선의 평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잠수식 시추선의 시추탑 아래쪽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a는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5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6d는 도 5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잠수식 시추선의 수직으로 마련된 칼럼과 액세스 트렁크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잠수식 시추선의 벌크 탱크의 아래 부분이 폰툰의 중간갑판에 하향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잠수식 시추선의 폰툰의 구획배치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잠수식 시추선의 상부갑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a는 실험설계선의 자중 추정서이며, 도 11b는 실험설계선의 시추 흘수시 적하상태의 복원력 계수(GM) 계산서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과 간단한 계산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생김새와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정된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특정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계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을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선형은 통상선과 같은 형태의 폰툰(100)과 상부갑판(300)을 가지고 있지만 칼럼(200) 간의 간격이 넓혀졌고 시추탑(600)이 받침대 구조인 드릴 플로어(drill floor) 없이 상부갑판(300)에 바로 설치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렇게 변화를 시킨 주요인은 소형선의 복원력 능력을 향상시켜서 대형선이라야 조업이 가능한 10,000피트 수심지역에서 시추 능력을 갖게 하기 위함이다. 복원력 능력을 향상시키는 구체적 방법은 경심(metacenter)을 더 높은 위치로 보내고 무게 중심(center of gravity)을 더 낮추는 길이며 칼럼(200)간 간격을 넓히면 경심이 올라가고, 시추탑(600) 등 중량물을 낮은 곳으로 이동 설치하면 중량 중심이 내려가는 것이다.
상기의 경심점은 선체의 여러 가지 경사상태에 따라 자연히 잡혀지는 부심(center of buoyancy)들 즉, 선체가 수중에서 차지하고 있는 부피의 중심점들로부터 수면을 항하여 연직선을 그으면 배의 중심 수직선과 만나는 교합점이 거의 한 곳에 집중되어 이점이 하나의 고유한 특성점이라고 보아 경심으로 삼는다. 경심점을 "M", 무게중심을 "G"로 표기하고 두 점 간의 거리 값 GM을 복원력의 척도로 삼는다. G가 낮은 곳에 있고 M이 높은 곳에 있을 때 GM값은 양수가 되며 그 값이 클수록 복원 능력이 커진다. GM값이 0 이하 즉 0과 음수이면 작은 경사에도 복원력의 발동시킴 없이 오히려 전복 모멘트가 작용하여 선체가 뒤집히게 된다. 경사각의 sin값과 GM의 적이(곱한 값) 경사진 배를 일으켜 세우는 복원력 모멘트의 팔(arm) 길이가 되기 때문이다. 이 원리는 조선공학의 가장 기초적인 선박안정이론인 동시에 사물의 무게 중심점이 낮은 위치에 있을 때가 안정적인 놓임이라는 상식과도 부합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칼럼(200)은 좌,우측 외곽선 폭이 폰툰(100)과 상부갑판(300)의 외곽선 폭 보다 넓게 설치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칼럼(200)을 외현 쪽으로 넓게 벌려놓는 변화에 의하여 경심점(metacenter,M)이 상,하 이동되는 효과를 계산상으로 살펴보면,
일 예로 실험설계선의 2척의 폰툰(100)은 길이 100m, 폭 17m, 깊이 10m 크기이고 양 폰툰(100)의 좌,우측 외곽선간 거리는 70m이다.
그리고, 폰툰(100)의 선수/선미 쪽 상부갑판(300) 위에 얹힌 4개의 칼럼(200)은 폭 17m, 길이 16m, 높이 25m이고 칼럼(200)의 좌,우측 외곽선간 거리는 80m이다.
시추 흘수선 21m에서 수중 선체의 배수 용적은 45,968㎥(100×17×10×2+17×16×11×4)이고, 계산상 부력 중심(center of buoyancy)은 선저로부터 7.734m 상방이다.
또한, 경심점(M)까지의 높이를 알기 위해서는 선분 BM의 길이를 알아야 하는데 흘수선면의 면적 모멘트를 배수 용적으로 나누어 구하도록 정의하고 있으므로 간단히 계산이 가능한 것으로, I=4×(16×17×17×17×1/12+16×17×31.5×31.5=1,105,768이며, 여기서 31.5는 선체 중심선에서 흘수선 면적의 중심점까지의 거리이다.
BM=1,105,768/45,968....24.055m이므로 경심의 위치는 부심점 7.734m를 더한 값 31.79m가 된다. 실험설계선의 적하 시 추정 중심점(G)이 도 1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약 27.6m임으로 복원성(GM값)에 충분한 여유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도 11a 및 도 11b에서와 같이 고양된 경심점 M과 하향화된 중심점 G 사이의 간격이 많이 커져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심지어 3,237톤으로 산입한 앵커 체인을 싣지 않을 경우에도 중심점이 29.22m로 상승하지만 새로운 흘수선 18.1m에 의하여 만들어진 경심점 높이 32.68m에 대비하여 3.4m 이상으로 충분한 여유치를 가지고 있다.(계산서는 생략함)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칼럼(200)은 좌,우측 외곽선 폭이 폰툰(100)의 외곽선 폭 보다 넓게 설치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칼럼(200)은 좌,우측 외곽선 폭이 상부갑판(300)의 폭 보다 넓게 설치되어지게 된다.
이에 상기 상부갑판(300)으로 덮여지지 않고 노출되는 칼럼(200)의 상면을 앵커 윈드라스(anchor windlass)를 설치할 수 있도록 무어링 데크(mooring deck,220)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칼럼(200) 간의 폭이 넓어진 데 상관없이 상부갑판(300)의 폭은 필요한 면적으로 최적화하고, 상기 상부갑판(300)으로 덮여지지 않고 노출되는 칼럼(200)의 상면은 그대로 합계중량 250톤 정도의 무어링 윈드라스 설치장소(갑판구조 두께 9m만큼 하방)인 무어링 데크(220)로 활용하여 물량 절감과 함께 선체 중량 하향화에도 기여하게 된다.
상기에서 실험설계선의 추정 자중과 추정 중심점이 27,000톤과 약 30m임을 참고로 하여 윈드라스의 설치 하향화의 효과를 계산해 보면, 1/27,000×(27.000×30-9×250)=29.917m, 결과는 전체 자중 중심의 8.3cm 하향화에 기여하게 된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컬럼(200)의 하부는 폰툰(100)의 상부갑판(300)을 향하여 수렴시키고 안착시켜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흘수선의 중심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경사부(230)가 설치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폰툰(100) 보다 더 외현 쪽으로 벌려놓은 칼럼(200)과의 구조이음 방식으로 칼럼(200)의 아래 부분을 경사지게 경사부(230)가 설치되는데 상기 경사부(230)의 경사의 범위는 원만한 선체의 필요 강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폰툰(100)까지의 수직 접속로인 엘리베이터 설치가 가능해야하고 비상 환자/부상자의 수동 인양이 가능한 배치를 만족하는 범위로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좁게 만든 양 폰툰(100)의 간격에 의하여 양 폰툰(100) 서로를 구조적으로 이어주는 수평 브레이스(400) 물량이 절감되며, 시추탑(600)을 받쳐주는 수직 브레이스(410)의 직립도가 커짐으로 지지 효율성이 향상되어 구조 물량이 절감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약 1,000톤되는 시추탑(600)을 드릴 플로어 없이 상부갑판(300)에 바로 설치함으로써 상식적인 평가의 강재 절감만 최소 300톤 발생된다고 볼 수 있으며, 10m 하향화 설치시 자중 중심 하향화 효과는 1/27,000×(27,000×30-1,000×10)=29.63m이며, 전체 자중 중심의 37cm 하향화에 기여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시추탑(600)의 하부에서는 라이저(riser)와 비오피(BOP, Blow Off Preventer,10) 설치에 필요한 수직 공간의 높이를 확보할 수 있도록 쎌라데크(cellar deck,340)와 문풀 구조를 상부갑판(300)의 바닥 보다 하방으로 돌출시켜 연장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쎌라데크(340)와 문풀은 그대로 두고 쎌라데크(340)를 감싸는 문풀보호트렁크(341)를 더욱 하방으로 연장하게 된다.
상기 시추탑(600) 아래쪽에서는 비오피(BOP)(10)와 라이저 설치 작업을 위하여 약 10m 이상의 수직공간이 필요하며 그 밑바닥을 쎌라데크(340)라고 하고 그곳에 문풀(moon pool)이라고 하는 개구를 뚫어 놓게 된다.
그런데, 상기 상부갑판(300)부터 맨 밑바닥판까지 높이가 9m임으로 필요한 위치에 쎌라데크(340)와 문풀을 구성하기 위하여 쎌라데크(340) 주위를 감싸고 있는 문풀보호트렁크(341)를 최소 4m 하향 연장하여 수직 트렁크의 전체 구조 깊이를 13m로 만들고 쎌라데크(340) 구조 두께를 1m로 만들면 쎌라데크(340)까지의 수직 공간 높이가 12m가 되어 합당한 높이가 된다.
이때, 시추 흘수 21m로부터 쎌라데크(340)까지의 에어갭(air gap/air draft라고도 부름)이 11m가 되어 대개는 문제가 없는 범주에 드는 수준의 값이 얻어졌다.
또한, 해양 조건이 아주 나쁜 해역에서는 앵커체인을 적재하지 않는다면 흘수선이 18.1m로 내려가서 쎌라데크(340)까지 에어갭이 3m 증가한 14m까지도 확보가 되므로 운영의 한 수단으로 고려가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선택할 수 있는 또 다른 설계 옵션으로 상기 문풀보호트렁크(341) 구조를 더 많이 내려서 파랑으로부터 받을 수 있는 작업의 장애를 줄일 수 있으며, 물론 파랑이 문풀보호트렁크(341) 외벽에 작용하는 힘이 선체동요를 유발하는 힘의 부분이 되므로 어느 쪽이 더 절실히 추구해야 할 편인지는 운영자가 주종 현장의 현지 사정을 감안해서 선택할 사항이다.
도 6d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갑판(300)에 비오피(BOP)(10)를 적치함에 있어, 상기 비오피(BOP)(10)를 시추탑(600) 하부로 장입시키는 비오피 크레인(313)의 높이를 줄일 수 있도록 상부갑판(300)을 파내고 주갑판(330)에 리세스 형태의 비오피 적치장(331)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비오피 적치장(331)의 리세스 범위를 비오피(BOP)(10) 적치 위치부터 문풀 상방으로 이어져야 한다.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칼럼(200)에 수직으로 액세스 트렁크(210)가 설치되며, 상기 액세스 트렁크(210)의 해수 쪽 외판은 손상시의 침수 파급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중 벽채로 설치되어지게 된다.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폰툰(100)에는 밸러스트 탱크(120) 4곳에 중간갑판(110)을 설치하고 한 곳에 1개에 20 ~ 25톤되는 벌크 탱크(111) 2개씩 설치하며 이는 보통보다 12m 하향 설치하게 된다.
이들 벌크 탱크(111)를 180ton으로 볼 때 이에 대한 계산은 1/27,000×(27,000×30-180×12)=29.92m에 의하여 중심 하향 효과는 8cm이다.
그리고,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폰툰(100)의 선저 부분에 비중이 큰 물질을 밸러스트로 충전하면 중심의 하향화를 가장 능률적으로 달성하게 된다.
이때, 실험설계선의 중심 계산에 산입하지 않았지만 작은 조처로 극적인 효과가 얻어진다는 사실만 보여주기 위해 간단한 계산을 해보면, 일 예로 폰툰(100)의 구획에 머드(mud) 탱크로 표기된 곳의 밑에 깊이 2m, 길이 10m, 폭 5m의 밸러스트 탱크(120)가 좌,우현 폰툰(100)에 각각 2개씩 4곳에 있다.
이에 총 400㎥가 되어 비중 4.48인 철광석을 채우면 충전률을 고려해도 1,500톤 충전이 가능하다고 보고 중심 하향화 효과를 보면, 계산 (27,000×30+1,500×1)×1/(27,000+1,500)=28.474m에 의하여 중심 하향화 효과는 1.526m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1,500톤 중량 증가로 발생되는 흘수 증가는 상당 해수 용적 1,463,4㎥을 수선면적 1,088㎡로 나누어 1.345m가 된다.
그리하여 상세 설계를 진행하면서 어떤 포인트를 최적화의 초점으로 잡느냐에 따른 설계자의 좋은 선택 여지가 된다.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좁은 상부갑판(300)임에도 불구하고 가장 긴 90피트짜리 라이저(riser)(도시하지 않음)를 적치함에 있어, 상기 라이저 길이의 일부분을 상부갑판(300) 외부로 돌출하므로 상부갑판(300)의 끝에서 그곳을 지나도록 플랫폼을 이어 붙여서 갠트리형(gantry type) 라이저 크레인(312)의 주행레일(315)을 설치하게 된다.
즉, 상기 라이저를 라이저 크레인(312)으로 양끝을 잡고 들어야 하기 때문에 크레인 주행바퀴가 적치장 끝에 있어야 한다.
다시 한번 요약 정리하면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칼럼 간격 광폭화와 저위 시추탑이 적용된 반잠수식 시추선의 적용으로 중량 중심(G점: Center Of Gravity에서 옴)으로부터 경심(Metacenter)까지의 거리를 키우기 위하여 경심을 더 높은 곳으로 올리고 중심을 더 낮은 곳으로 낮추게 된다.
이와 같이, 경심을 가장 효율적으로 높이는 수단으로는 역할이 없는 폰툰(100)과 상부갑판(300)을 그대로 두고 좌,우 칼럼(200) 간 간격을 넓게 벌려 설치하고 중심을 낮추는 수단으로는 가장 무거운 요소인 시추탑(600)을 받치게 되는 드릴 플로어(drill floor)를 설치하지 않고 시추탑(600)을 상부갑판(300)에 바로 내려놓게 되어 일련의 중량 절감 및 중량 중심 하향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칼럼(200)의 하부를 안쪽 즉 중심선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부(230)를 구비하게 되어 칼럼(200)의 하단부위가 폰툰(100) 상부에 어긋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렴되면서 견고한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시추탑(600)과 문풀(moon pool)이 있는 쎌라데크(340) 사이에 라이저와 비오피(BOP)(10)가 설치되는데 상기 시추탑(600)을 상부갑판(300) 상에 설치함에 따라 라이저와 비오피(BOP)(10)의 설치 공간이 부족하여 이에 문풀 구역을 형성하는 문풀보호트렁크(341)를 상부갑판(300) 하부보다 더 낮은 곳까지 하향 연장함으로써 시추탑(600) 바닥과 쎌라데크(340) 사이에 라이저와 비오피(BOP)(10)의 설치 공간이 확보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해양 특성과 운영자의 선호에 맞춰 다양한 규모, 생김새, 배치의 특성을 살려서 제품화 설계를 할 수 있어 산업상 활용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비오피(BOP) 100 : 폰툰
110 : 중간갑판 111 : 벌크 탱크
120 : 밸러스트 탱크 200 : 칼럼
210 : 액세스 트렁크 220 : 무어링 데크
230 : 경사부 300 : 상부갑판
311 : 라이저 적치장 312 : 라이저 크레인
313 : 비오피 크레인 315 : 주행레일
320 : 중간갑판 330 : 주갑판
331 : 비오피 적치장 340 : 쎌라데크
341 : 문풀보호트렁크 400 : 수평 브레이스
410 : 수직 프레이스 600 : 시추탑

Claims (9)

  1. 부력을 형성하는 폰툰, 상기 폰툰의 상부에 설치되고 시추에 필요한 각종 장비들이 설치되며 중앙부에 시추 작업이 가능하도록 문풀이 형성되는 상부갑판, 상기 폰툰과 상부갑판을 연결하는 복수의 칼럼, 및 문풀의 상부에 설치되는 시추탑을 구비하여 칼럼에 흘수선면을 갖는 반잠수식 시추선에 있어서,
    상기 칼럼의 좌,우측 외곽선 폭이 폰툰의 외곽선 폭 보다 넓게 설치되며,
    상기 문풀의 상부에 설치되는 시추탑을 큰 규모의 중량 절감과 동시에 중량 중심 하향화를 통하여 복원력 향상 및 선체를 소형화시킬 수 있도록 상부갑판에 바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럼 간격 광폭화와 저위 시추탑이 적용된 반잠수식 시추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의 좌,우측 폭은 상부갑판의 폭 보다 넓게 설치되며, 상부갑판으로 덮여지지 않고 노출되는 칼럼의 상면은 앵커 윈드라스를 설치하는 무어링 데크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럼 간격 광폭화와 저위 시추탑이 적용된 반잠수식 시추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의 좌,우측 외곽선 폭은 폰툰과 상부갑판의 외곽선 폭 보다 넓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럼 간격 광폭화와 저위 시추탑이 적용된 반잠수식 시추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의 하부는 폰툰의 상단을 향하여 수렴시키고 안착시켜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흘수선의 중심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경사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럼 간격 광폭화와 저위 시추탑이 적용된 반잠수식 시추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경사각은 폰툰과 상부갑판 간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운행에 장애가 되지 않는 범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럼 간격 광폭화와 저위 시추탑이 적용된 반잠수식 시추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추탑의 하부에서는 라이저와 비오피(BOP) 설치에 필요한 수직 공간의 높이를 확보할 수 있도록 쎌라데크와 문풀 구조를 상부갑판의 바닥 보다 하방으로 돌출시켜 연장하되 쎌라데크와 문풀은 그대로 두고 쎌라데크를 감싸는 문풀보호트렁크를 더욱 하방으로 연장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럼 간격 광폭화와 저위 시추탑이 적용된 반잠수식 시추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갑판에 비오피(BOP)를 적치함에 있어, 상기 비오피(BOP)를 시추탑 하부로 장입시키는 비오피 크레인의 높이를 줄일 수 있도록 주갑판에 비오피 적치장을 형성하되 비오피 적치장의 범위를 비오피(BOP) 적치 위치부터 문풀에 이르는 전 경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럼 간격 광폭화와 저위 시추탑이 적용된 반잠수식 시추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갑판에 라이저를 적치함에 있어, 상기 90피트 라이저 길이의 일부분을 상부갑판 외부로 돌출시키고 상부갑판의 끝에 플랫폼을 이어 붙여서 갠트리형 라이저 크레인의 주행레일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럼 간격 광폭화와 저위 시추탑이 적용된 반잠수식 시추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폰툰에는 밸러스트 탱크 4곳에 중간갑판을 설치하고 한 곳에 벌크탱크 2개씩 하향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럼 간격 광폭화와 저위 시추탑이 적용된 반잠수식 시추선.
KR1020160004246A 2016-01-13 2016-01-13 칼럼 간격 광폭화와 저위 시추탑이 적용된 반잠수식 시추선 KR101793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246A KR101793959B1 (ko) 2016-01-13 2016-01-13 칼럼 간격 광폭화와 저위 시추탑이 적용된 반잠수식 시추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246A KR101793959B1 (ko) 2016-01-13 2016-01-13 칼럼 간격 광폭화와 저위 시추탑이 적용된 반잠수식 시추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867A true KR20170084867A (ko) 2017-07-21
KR101793959B1 KR101793959B1 (ko) 2017-11-06

Family

ID=59462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246A KR101793959B1 (ko) 2016-01-13 2016-01-13 칼럼 간격 광폭화와 저위 시추탑이 적용된 반잠수식 시추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9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102B1 (ko) * 2017-11-17 2019-04-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데크박스 구조의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06287C2 (nl) * 1997-06-11 1998-12-14 Workships Contractors Bv Semi-afzinkbaar, mobiel boorvaartui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102B1 (ko) * 2017-11-17 2019-04-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데크박스 구조의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959B1 (ko) 2017-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90406A (en) Stabilized column platform
US7958835B2 (en) Offshore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 for use in ice-covered and clear water applications
CN103917439B (zh) 具有外置柱的离岸平台
US6375391B1 (en) Guide device for production risers for petroleum production with a “dry tree semisubmersible” at large sea depths
KR101151091B1 (ko) 부체식 구조물의 보조 부력체 및 부체식 구조물의 개조 방법
AU581871B2 (en) Semi-submersible vessel
US6953308B1 (en) Offshore platform stabilizing strakes
US7140317B2 (en) Central pontoon semisubmersible floating platform
CN110099845B (zh) 自推进自升式船舶
US8707882B2 (en) Offshore platform with outset columns
US7467912B2 (en) Extendable draft platform with buoyancy column strakes
US4232625A (en) Column stabilized semisubmerged drilling vessel
CN105035278B (zh) 低升沉半潜式海上结构
US6190089B1 (en) Deep draft semi-submersible offshore structure
NO340240B1 (no) SPAR lastebøyekonstruksjon
NO330247B1 (no) En halvt neddykkbar fralandsinnretning og en fremgangsmate for a posisjonere operasjonsmoduler pa innretningen.
CN105121270A (zh) 具有用于减少垂荡运动的连接至浮筒的延伸板的浮式海上平台
US20020090270A1 (en) Column-stabilized offshore vessel
AU2010216206B2 (en) Skid beam assembly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large structures
KR101793959B1 (ko) 칼럼 간격 광폭화와 저위 시추탑이 적용된 반잠수식 시추선
KR102117387B1 (ko)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
KR200435392Y1 (ko) 선박의 문풀 유동 억제구조
US20120114421A1 (en) Semi-submersible floating structure
NO337402B1 (no) Et flytende skrog med stabilisatorparti
ES2745750T3 (es) Unidad flotante para operaciones de perforació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