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4831A - 휴대용 전기톱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기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4831A
KR20170084831A KR1020160004162A KR20160004162A KR20170084831A KR 20170084831 A KR20170084831 A KR 20170084831A KR 1020160004162 A KR1020160004162 A KR 1020160004162A KR 20160004162 A KR20160004162 A KR 20160004162A KR 20170084831 A KR20170084831 A KR 20170084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 blade
power transmission
rotation
transmitting portion
rotatio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4952B1 (ko
Inventor
김병수
Original Assignee
김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수 filed Critical 김병수
Priority to KR1020160004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952B1/ko
Publication of KR20170084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9/00Portable power-driven circular saws for manual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9/00Portable power-driven circular saws for manual operation
    • B27B9/04Guiding equipment, e.g. for cutting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운동이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되는 기술적 특징을 구비한 전기톱에 관한 발명으로, 모터; 상기 모터의 축이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한 제 1 동력전달부; 및 상기 제 1 동력전달부의 일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동력전달부가 회전됨에 따라 직선왕복운동 가능한 제 2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동력전달부는 상기 모터의 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회전되는 전기톱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전기톱{A portable power saw}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운동을 톱날의 직선왕복운동으로 효율적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한 전기톱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모터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동력전달부와 제 1 동력전달부의 일단이 삽입연결된 상태에서 타원형 형태의 제 1 동력전달부가 회전됨에 따라 직선왕복운동되는 제 2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전기톱에 관한 것이다.
전기톱은 전기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톱날을 동작시켜서 나무 등의 자재를 절단하는 장치로서, 대형나무의 벌목에서 집안의 정원에 있는 작은 나무의 가지치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과거에는 나무의 벌목 또는 절단에는 주로 도끼나 수동방식의 톱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편리성 및 효율성때문에 전기톱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전기톱은 원형의 톱날을 이용하거나, 크랭크축을 이용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왕복운동으로 변경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어 왔는데, 실용성에 있어서 문제점이 있었다.
회전식 전기톱의 경우, 모터의 축이 회전톱날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톱날이 회전하면서 대상물을 절단하는 방식으로 되어있다.
이와 같은 회전식 전기톱은 모터의 회전력을 변속과정을 거쳐서 그대로 이용한다는 점에서 기계구조가 간단한 장점은 있으나, 원형의 회전톱날로서 절단할 수 있는 대상의 크기의 제한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일정한 경우, 전기톱을 적당한 작업대에 고정시키고 목재를 그 위에서 이동시키는 고정식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어서 휴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체인식 전기톱은 외곽에 절단바이트가 장착된 체인형태의 톱날을 회전시키면서 절단하는 방식으로 회전식 전기톱과 같은 회전방식의 장점을 살리면서 휴대성과 대형목재의 절단성을 개선한 전기톱이다.
그러나, 체인식의 경우 특수한 형태의 톱날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제조비가 고가이고 톱날의 파손시에 즉각적인 수리가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그 외에 수동식 톱과 같이 왕복운동에 의하여 목재를 절단하는 크랭크식 전기톱이 있다. 크랭크식 전기톱은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휠과 그에 연결된 링크에 의하여 회전운동이 직선왕복운동으로 변경되어 톱날을 직선왕복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톱날의 직선왕복거리가 회전휠의 직경에 비례하게 되며, 그 결과 왕복거리를 늘리면 회전휠의 직경이 증가하여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모터에서 최종 톱날까지 연결축이 많기 때문에 동력이 100% 전달되지 않고 전달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서, 절단력 효율이 감소하고 소음이 많은 단점이 있다.
상술한 전기톱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인 등록실용신안 제20-0442289호를 살표본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42289호는, 전기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한 전기톱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무한궤도벨트; 일측은 상기 무한궤도벨트의 측면에 끼워져 상기 무한궤도벨트와 함께 회전하고, 타측에는 상기 무한궤도벨트가 회전함에 따라 무한궤도벨트의 직선구간에서는 직선운동을 곡선구간에서는 상기 무한궤도벨트의 곡률반경 중심에 위치하여 회전운동을 하도록 돌기가 구비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돌기와 함께 왕복운동 하는 톱날을 포함하는 전기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인 등록실용신안 제20-0442289호에서는 톱날의 직선왕복운동이 동일 직선 상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즉, 무한궤도를 따라 이동되는 톱날은 앞으로 전진할 때와 뒤로 후진할 때의 서로 다른 직선 상에서 이동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절단 대상 물체에 접하는 톱날의 전진할 때의 위치와 후진할 때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라 절단의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톱날의 직선왕복운동 길이를 늘이기 위해서 무한궤도의 길이를 늘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 톱날의 직선왕복운동 속도가 모터의 회전속도에 상응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모터의 축 1회전은 톱날의 1회의 직선왕복운동에 해당하지 않는다. 모터의 축의 수회에 걸친 회전으로 톱날의 1회의 직선왕복운동이 일어나게 되며, 무한궤도의 길이가 늘어나면 날수록 톱날의 1회 직선왕복운동은 더 많은 모터의 축의 회전이 필요하게 되어 에너지 효율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무한궤도의 이동에 의한 소음이 많이 발생하며, 무한궤도를 장착해야 하는 바 소형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20-0442289 B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모터의 회전운동을 톱날의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과정 중에서 절단 효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동력전달장치를 구비한 전기톱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나아가 소형화가 가능한 동력전달장치를 구비한 전기톱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전기톱을 이용하여 절단 대상 물체를 절단하고자 할 때 절단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절단 대상 물체가 전기톱에 지지될 수 있는 전기톱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전기톱은, 모터(100); 상기 모터의 축(120)이 연결되는 회전력전달부(220) 및 상기 회전력전달부(220)가 삽입되는 회전부(240)를 포함하는 제 1 동력전달부(200); 및 상기 제 1 동력전달부(200)의 일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동력전달부(200)가 회전됨에 따라 직선왕복운동 가능한 제 2 동력전달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240)는 상기 회전력전달부(22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회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부(240)는 경사진 타원형 형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동력전달부(300)의 일측에는 회전부 삽입홈(320)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회전부(240)의 일단이 상기 회전부 삽입홈(320)에 삽입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동력전달부(200) 및 상기 제 2 동력전달부(300)를 둘러싼 중공 형상의 동력전달부 하우징(6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동력전달부 하우징(600)의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제 2 동력전달부(300)의 직선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620)이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부(240)는 일측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244); 및 상기 회전력전달부(220)가 삽입되는 회전력전달부 삽입구(242)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220)의 일측에는 단턱(22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회전력전달부(220)가 상기 회전력전달부 삽입구(242)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단턱(222)이 상기 회전력전달부 삽입구(242)에 걸린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동력전달부(300)의 일단에 연결된 톱날(400); 및 상기 톱날(400)의 직선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톱날 가이드부(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톱날 가이드부(500)는 상기 톱날이 삽입되는 톱날 삽입구(520); 상기 톱날 삽입구(520)의 양측방에 형성된 돌출부(540); 및 상기 돌출부(540)에 의해 형성된 톱밥 배출홈(56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톱날 가이드부(500)의 일측에는 톱날 탈부착홀(58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톱날 탈부착홀(580)의 길이는 상기 제 2 동력전달부(300)가 직선왕복운동하는 길이에 상응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기톱에서는 모터의 회전력 및 회전속도에 상응하여 톱날이 직선왕복운동되기 때문에 절단의 효율이 종래의 기술에 비해 월등히 증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톱의 동력전달장치에서는 슬라이딩 방식이 이용되어 회전운동이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되는 바, 동력전달 과정 중 마찰이 최소화되어 종래 기술에 비해 소음이 적고, 절단 효율을 최대화시키면서 전기톱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톱날 가이드부에 포함된 돌출부에 의해 절단 대상 물체가 지지될 수 있는 상태에서 대상 물체가 절단되는 바, 절단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톱에서 제 1 동력전달부 및 제 2 동력전달부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톱에서 분해된 제 1 동력전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톱에서 톱날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톱에서 동력전달부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톱에서 모터의 회전운동이 톱날의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 구성요소 설명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톱은 모터(100), 제 1 동력전달부(200), 제 2 동력전달부(300), 톱날(400), 톱날 가이드부(500) 및 동력전달부 하우징(600)을 포함한다.
제 1 동력전달부(200)는 연결브라켓(150)을 거쳐 모터의 축(120)에 연결되어 모터(100)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된다.
제 1 동력전달부(200)는 모터의 축(120)이 삽입연결되는 회전력전달부(220) 및 회전력전달부(220)가 삽입되는 회전부(240)를 포함한다(도 3 참조).
모터의 축(120)이 연결된 상태에서 모터(100)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력전달부(200)가 회전된다.
회전부(240)는 회전전달부 삽입구(242) 및 일측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244)을 포함한다.
회전력전달부(220)가 회전전달부 삽입구(242)에 삽입된 이후, 회전력전달부(220)의 회전으로 회전부(240)가 회전되는 바, 회전력전달부 삽입구(242)는 회전부(240)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력전달부(220)의 형상은 회전력의 전달 과정 중에서 회전력전달부(220)와 회전력전달부 삽입구(240)의 연결부분에 있을 수 있는 마모의 발생 여지를 최소화하기 위한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회전력전달부(220)가 회전력전달부 삽입구(242)에 소정의 길이만큼 삽입된 이후 회전력전달부(220)의 양측면에 형성된 단턱(222)이 회전력전달부 삽입구(242)에 걸리게 됨에 따라 회전력전달부(220)가 회전부(240)에 삽입연결된다(도 4 참조).
제 1 동력전달부(200)에서의 회전력전달부(220)와 회전부(240)는 분리된 상태에서 체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체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회전부(240)에 회전력전달부(2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용접, 가공 또는 금형 소결화 등에 의해 회전부(240)와 회전력전달부(220)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회전력전달부(220) 및 회전부(240)는 후술할 중공 형상의 동력전달부 하우징(600) 내부에서 회전되는 바, 회전부(240)의 회전시 발생할 수 있는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고자 회전부(240)의 일측에는 공기가 관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홀(244)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력전달부(220)의 일측에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동력전달부(200)가 회전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공기의 저항에 따른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회전부(240)는 경사진 타원형 형상이며, 나아가 회전력전달부(22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상태에서 회전력전달부(22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된다. 기울어진 각도는 20도에서 40도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한 각도는 35도이다.
제 2 동력전달부(300)의 일측에 제 1 동력전달부(200)의 일단이 삽입연결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 2 동력전달부(300)는 제 1 동력전달부(200)가 회전됨에 따라 직선왕복운동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 2 동력전달부(300)의 일측에는 회전부(240)의 일단이 삽입연결되는 회전부 삽입홈(320)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부 삽입홈(320)에는 상부턱(324)와 하부턱(322)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부턱(324)과 하부턱(322) 사이에 회전부(240)의 일단이 삽입연결된다(도 3 참조).
즉, 타원형 형상인 회전부(240)의 원주면 일단이 상부턱(324)과 하부턱(322) 사이에 삽입연결된 상태에서 회전부(240)가 회전된다.
제 2 동력전달부(300)는 후술할 동력전달부 하우징(600)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홈(620)을 따라 직선왕복운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부(240)의 원주면 일단이 회전부 삽입홈(320)에 삽입된 상태에서, 모터의 축(120)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타원형 형상의 회전부(240)가 회전되면, 회전부 삽입홈(320)은 회전부(240)의 원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하지만, 회전부 삽입홈(320)을 포함한 제 2 동력전달부(300)는 후술할 동력전달부 하우징(600)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홈(620)에서만 직선왕복운동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회전부(240)의 회전에 의해 회전부 삽입홈(320)에 삽입연결된 회전부(240)의 원주면 일단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회전부 삽입홈(320)의 위치는 위아래로만 변경될 뿐이다.
예를 들면, 회전부(240) 회전시 회전부 삽입홈(320)에 삽입된 회전부(240)의 원주면 일단이 동력전달부 하우징(6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라면 회전부 삽입홈(320)도 이에 따라 동력전달부 하우징(60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회전부 삽입홈(320)도 이에 따라 동력전달부 하우징(60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부(240)의 회전운동이 슬라이딩 방식을 통하여 제 2 동력전달부(300)의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톱날(400)은 제 2 동력전달부(300)의 일단에 연결된다. 제 2 동력전달부(300)의 직선왕복운동에 따른 톱날(400)의 직선왕복운동으로 절단 대상 물체가 절단된다.
톱날 가이드부(500)는 톱날(400)의 직선왕복운동을 가이드한다. 톱날 가이드부(500)는 톱날 삽입구(520), 돌출부(540) 및 톱밥 배출홈(560)을 포함한다(도 5 참조).
톱날 삽입구(520)에 톱날(400)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 2 동력전달부가 직선왕복운동함에 따라 톱날(400)이 톱날 삽입구(520)를 통하여 직선왕복운동을 한다.
톱날 삽입구(520)의 양측방에는 돌출부(54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540)는 톱날 삽입구(520) 양측방 뿐만 아니라 연속하여 톱날 삽입구(520)의 아래 일정길이만큼 더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절단 대상 물체를 절단하고자 하는 경우, 이러한 돌출부(540)에 절단 대상 물체를 지지시키지 않고 톱날(400)만이 절단 대상 물체 상에서 직선왕복운동을 하면 절단 대상 물체가 흔들려 절단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손으로 절단 대상 물체를 잡고 절단한다 하더라고 흔들림을 고정할 수 있는 장치가 없는 상태에서 여전히 절단 대상 물체가 흔들릴 수 밖에 없다.
톱날 삽입구(520) 아래에 형성된 돌출부(450)에 절단 대상 물체(예를 들어 나뭇가지)를 밀접시킨 상태에서 톱날(400)이 절단 대상 물체 상에서 직선왕복운동하는 경우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어 절단의 효율성이 증가된다.
톱날 삽입구(520)의 양측방에 형성된 돌출부(540)가 톱날 삽입구(520)의 아래 일정길이만큼 더 연장되어 형성됨에 따라 돌출부(540) 사이로 톱밥이 배출될 수 있는 톱밥 배출홈(560)이 형성된다.
톱날(400)이 앞으로 전진하면서 발생하는 톱밥은 톱날(400)이 전진되는 방향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톱밥 배출에 문제가 없지만, 뒤로 후진하면서 발생하는 톱밥은 톱날 삽입구(520) 또는 돌출부(540)의 일측의 단턱진 부분에 쌓일 수 있어 절단 효율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전기톱은 돌출부(540) 사이에 형성된 톱밥 배출홈(560)을 포함하고 있어 절단시 톱밥 배출이 원할히 이루어져 절단의 효율이 증가된다.
톱날 가이드부(500)는 일측에 형성된 톱날 탈부착홀(580)을 포함한다. 이러한 톱날 탈부착홀(580)은 제 2 동력전달부(300)가 직선왕복운동하는 길이에 상응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톱날(400)을 제 2 동력전달부(300)에 연결 고정시키는 톱날 고정부(450)가 직선왕복운동하는 길이만큼 톱날 탈부착홀(580)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톱날(400)을 제 2 동력전달부(300)에서 분리하여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톱날 가이드부(500)를 분해할 필요없이 톱날 탈부착홀(580)을 통하여 톱날 고정부(450)를 조작하여 톱날(400)을 분리하고 다시 다른 톱날(400)로 교체시킬 수 있다. 톱날 고정부(450)에서 제 2 동력전달부(300)에 톱날(400)을 고정하는 수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톱은 제 1 동력전달부(200) 및 제 2 동력전달부(300)를 둘러싼 중공 형상의 동력전달부 하우징(600)을 포함한다.
동력전달부 하우징(600)은 제 2 동력전달부(300)의 직선왕복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내주면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홈(620) 및 회전력전달부(220)의 삽입부(224)가 삽입되는 회전력전달부 삽입홈(640)을 포함한다(도 6 참조).
제 1 동력전달부(200)에 포함된 회전부(240)는 원주면이 동력전달부 하우징(600)의 내주면에 근접한 상태에서 회전된다.
회전부(240)는 회전력전달부(22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바, 회전력전달부(220)의 일단은 모터의 축(120)에 연결되고, 회전력전달부(220)의 타단인 삽입부(224)는 회전력전달부 삽입홈(640)에 삽입된다.
회전력전달부 삽입홈(640)은 동력전달부 하우징(600) 내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내부 일측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동력전달부(200)에서 회전력전달부(220)는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회전부(240)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바, 삽입부(224)가 회전력전달부 삽입홈(64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됨에 따라 회전축 비틀림 모멘트가 최소화될 수 있다.
2. 작동 설명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모터(100)의 회전력이 모터의 축(120)을 통하여 제 1 동력전달부(200)의 회전력전달부(220)에 전달된다. 비틀림 모멘트를 최소화하고자 삽입부(224)가 동력전달부 하우징(600)의 회전력전달부 삽입홈(64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력전달부(220)가 회전된다. 회전력전달부(220)의 회전력이 회전부(240)에 전달된다. 회전부(240)는 타원형 형상이며 모터의 축(120)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에서 회전된다.
회전부(240)의 원주면 일단이 제 2 동력전달부(300)의 회전부 삽입홈(32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된다. 회전부 삽입홈(320)은 회전부(240)의 원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고, 이에 따라 회전부 삽입홈(320)을 포함하는 제 2 동력전달부(300)는 가이드홈(620)을 따라 직선왕복운동된다.
도면 7에서 (a)→(b)→(c)는 회전부(240)의 회전에 의해 회전부 삽입홈(320)의 슬라이딩 이동되고,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제 2 동력전달부(300)가 직선왕복운동하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a)는 회전부(240)의 상부에 해당하는 원주면 일단이 회전부 삽입홈(320)에 삽입연결된 상태이고, (b)는 회전부(3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회전부 삽입홈(320)은 회전부(240)의 원주면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회전부(240)의 중간 부분에 해당하는 원주면 일단이 회전부 삽입홈(320)에 삽입된 상태이고, (c)는 회전부(240)의 하부에 해당하는 원주면 일단이 회전부 삽입홈(320)에 삽입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회전부(240)의 회전운동은 회전부 삽입홈(320)의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즉, 제 1 동력전달부(200)의 회전운동이 제 2 동력전달부(300)에서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제 2 동력전달부(300)의 직선왕복운동으로 톱날 고정부(450)에 고정된 톱날(400)이 직선왕복운동되면서 절단 대상 물체가 절단된다.
나아가, 절단 대상 물체는 톱날 가이드부(500)에 지지된 상태에서 절단되며, 절단에 의해 발생된 톱밥 중 일부는 톱밥 배출홈(560)으로 배출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모터
120: 모터의 축
150: 연결브라켓
200: 제 1 동력전달부
220: 회전력전달부
222: 단턱
224: 삽입부
240: 회전부
242: 회전력전달부 삽입구
244: 홀
300: 제 2 동력전달부
320: 회전부 삽입홈
322: 하부턱
324: 상부턱
400: 톱날
450: 톱날 고정부
500: 톱날 가이드부
520: 톱날 삽입구
540: 돌출부
560: 톱밥 배출홈
580: 톱날 탈부착홀
600: 동력전달부 하우징
620: 가이드홈
640: 회전력전달부 삽입홈

Claims (7)

  1. 모터(100);
    상기 모터의 축(120)이 연결되는 회전력전달부(220) 및 상기 회전력전달부(220)가 삽입되는 회전부(240)를 포함하는 제 1 동력전달부(200); 및
    상기 제 1 동력전달부(200)의 일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동력전달부(200)가 회전됨에 따라 직선왕복운동 가능한 제 2 동력전달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240)는 상기 회전력전달부(22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회전되는 전기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240)는 경사진 타원형 형상인 전기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동력전달부(300)의 일측에는 회전부 삽입홈(320)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회전부(240)의 일단이 상기 회전부 삽입홈(320)에 삽입연결되는 전기톱.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력전달부(200) 및 상기 제 2 동력전달부(300)를 둘러싼 중공 형상의 동력전달부 하우징(6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동력전달부 하우징(600)의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제 2 동력전달부(300)의 직선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620)이 위치하는 전기톱.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240)는 일측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244); 및 상기 회전력전달부(220)가 삽입되는 회전력전달부 삽입구(242)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220)의 일측에는 단턱(22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회전력전달부(220)가 상기 회전력전달부 삽입구(242)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단턱(222)이 상기 회전력전달부 삽입구(242)에 걸리는 전기톱.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동력전달부(300)의 일단에 연결된 톱날(400); 및
    상기 톱날(400)의 직선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톱날 가이드부(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톱날 가이드부(500)는 상기 톱날이 삽입되는 톱날 삽입구(520); 상기 톱날 삽입구(520)의 양측방에 형성된 돌출부(540); 및 상기 돌출부(540)에 의해 형성된 톱밥 배출홈(560)을 포함하는 전기톱.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톱날 가이드부(500)의 일측에는 톱날 탈부착홀(58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톱날 탈부착홀(580)의 길이는 상기 제 2 동력전달부(300)가 직선왕복운동하는 길이에 상응하는 전기톱.

KR1020160004162A 2016-01-13 2016-01-13 휴대용 전기톱 KR101784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162A KR101784952B1 (ko) 2016-01-13 2016-01-13 휴대용 전기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162A KR101784952B1 (ko) 2016-01-13 2016-01-13 휴대용 전기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831A true KR20170084831A (ko) 2017-07-21
KR101784952B1 KR101784952B1 (ko) 2017-10-12

Family

ID=59462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162A KR101784952B1 (ko) 2016-01-13 2016-01-13 휴대용 전기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95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0474A1 (en) * 2008-07-21 2010-01-28 Trevor Charles Crozier A rotary power driven sa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4952B1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0541B2 (en) Reciprocating saw
US6021573A (en) In-line oscillating cam assembly
EP2694260B1 (en) Jigsaw
CN211889238U (zh) 电动工具
US20230226628A1 (en) Reciprocating saw
JP5695021B2 (ja) 高所枝切り機
EP3088148A1 (en) Dual speed gearboxes, tranmissions and apparatuses incorporating the same
US20060107810A1 (en) Mitre saw
US9962779B2 (en) Counterweight device
US20070214660A1 (en) Reciprocating saw, timing fork and gearbox for use therewith
KR101784952B1 (ko) 휴대용 전기톱
JP5795608B2 (ja) 高所枝切り機
KR101730566B1 (ko) 진동저감이 가능한 전동공구
US10293471B2 (en) Adapter for multifunctional electric drill
US5678292A (en) Hand-held machine for sanding having swash plate oscillation means
US20220176478A1 (en) Hand-Held Machine Tool
JP4097248B2 (ja) 高枝刈取機
JP2009072149A (ja) 園芸工具
KR200442289Y1 (ko) 휴대용 전기톱
JP2016123321A (ja) 作業工具
US7484301B1 (en) Hacksaw with a reciprocating blade
AU2013100091A4 (en) Eccentric drive mechanism
US20080060496A1 (en) Transmission device for a band saw
KR20090003452U (ko) 휴대용 전기톱
GB2202025A (en) Oscillating right angle driv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