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3837A -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다루는 공구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다루는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3837A
KR20170083837A KR1020160003209A KR20160003209A KR20170083837A KR 20170083837 A KR20170083837 A KR 20170083837A KR 1020160003209 A KR1020160003209 A KR 1020160003209A KR 20160003209 A KR20160003209 A KR 20160003209A KR 20170083837 A KR20170083837 A KR 20170083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tray
wire frame
to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0645B1 (ko
Inventor
박재홍
박영근
Original Assignee
(주)선일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일이엔지 filed Critical (주)선일이엔지
Priority to KR1020160003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645B1/ko
Publication of KR20170083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다루는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트레이는, 양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설정 간격마다 배치되는 종방향 와이어 프레임과 상기 종방향 와이어 프레임들을 설정 간격마다 직교 상태로 연결하는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으로 구성된 단위별 트레이 본체; 및 상기 단위별 트레이 본체의 이웃한 상기 종방향 와이어 프레임에 각각 안착되도록 클램프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안착홈부와, 상기 단위별 트레이 본체의 이웃한 상기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의 단부에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클램프 본체의 양단에 상기 제1 및 제2 안착홈부와 직교된 상태로 형성되는 끼움부 및 상기 클램프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를 당겨 상기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의 단부에서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킬 수 있도록 공구의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공구 걸림홀로 구성된 클램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설정 간격마다 배치되는 종방향 와이어 프레임을 설정 간격마다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으로 연결한 단위별 트레이 본체에서 단위별로 구성된 일측 트레이 본체와 타측 트레이 본체들을 구성하는 대향된 종방향 와이어 프레임과 이와 직교 상태로 연결되는 대향된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을 간단한 구조의 클램프를 통해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으며, 공구를 통해 클램프를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의 단부에서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키는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다루는 공구 {CABLE TRAY AND CABLE TRAY HANDLING TOOL}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다루는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케이블을 보호 및 정렬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위별 케이블 트레이를 클램프를 통해 상호 연결 가능한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다루는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는 천장이나 벽면에 설치되어, 전력, 제어 및 통신용 케이블을 보호함과 동시에 정렬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는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한 쌍의 사이드레일(Side Rail)과, 이 사이드레일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는 다수개의 렁(Rung)으로 구성되어, 케이블의 길이에 따라 필요한 길이만큼 서로 연결 설치하여 사용된다.
한편, 케이블 트레이의 일종으로 사이드레일과 렁을 와이어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강성은 유지하면서 저중량으로 구현 가능한 메쉬 케이블 트레이(Mesh Cable Tray)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메쉬 케이블 트레이와 관련된 기술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74132호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27865호에 제안된 바 있다.
이하에서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74132호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27865호에 개시된 메쉬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 및 메쉬형 트레이를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74132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에서 메쉬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가 트레이 섹션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1의 메쉬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는 인접하는 트레이 섹션의 길이방향 상부에서 각각의 트레이 섹션(1)의 측벽에 덮어 씌워지는 커넥터(30)를 포함하는 메쉬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30)는, 각각의 트레이 섹션 측벽에 덮어 씌워지는 "∩"자형의 한 쌍의 고정구(31)와, 상기 트레이 섹션의 외측에서 상기 고정구(31)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35)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구(31)에는 접지용 샹크볼트(7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볼트설치홈(3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1에 의한 메쉬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는 제1와프 와이어프레임(21)와 제2와프 와이어프레임(23)을 서로 이웃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웃면에 이격클램프(80)와 받침클램프(83)를 상하방향으로 결합한 후 샹크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면서 스트레이트 와이어프레임(10)은 결속시키지 않으므로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27865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함)에서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2의 메쉬형 트레이는 철선(11, 12)을 수평 수직방향으로 배치하여 서로 접착시킨 후 양측면을 상부로 들어올려 U자 형을 갖도록 하되 수직으로 세워진 철선(11, 12)의 선단 외측으로 수평 철선이 고정되게 하여 트레이를 구성한 메쉬형 트레이(20)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20)의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철선의 선단 내측으로 보강 철선(21)을 길이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2에 의한 조립식 주택 역시 종래기술 1과 마찬가지로 단위별로 구성되는 메쉬형 트레이(20)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이웃 부위를 클램프로 연결하는데 소요 시간 단축 및 견고한 결속이 요구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7413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2786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양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설정 간격마다 배치되는 종방향 와이어 프레임을 설정 간격마다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으로 연결한 단위별 트레이 본체에서 단위별로 구성된 일측 트레이 본체와 타측 트레이 본체들을 구성하는 대향된 종방향 와이어 프레임과 이와 직교 상태로 연결되는 대향된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을 간단한 구조의 클램프를 통해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으며, 공구를 통해 클램프를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의 단부에서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키는 작업이 용이한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다루는 공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설정 간격마다 배치되는 종방향 와이어 프레임과 상기 종방향 와이어 프레임들을 설정 간격마다 직교 상태로 연결하는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으로 구성된 단위별 트레이 본체; 및 상기 단위별 트레이 본체들의 이웃한 상기 종방향 와이어 프레임에 각각 안착되도록 클램프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안착홈부와, 상기 단위별 트레이 본체들의 이웃한 상기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의 단부에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클램프 본체의 양단에 상기 제1 및 제2 안착홈부와 직교된 상태로 형성되는 끼움부 및 상기 클램프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를 당겨 상기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의 단부에서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킬 수 있도록 공구의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공구 걸림홀로 구성된 클램프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는 상기 클램프 본체의 전면에서 중간 기점까지 절개되어 개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끼움부와 이웃한 상기 클램프 본체의 양단에 상기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별 트레이 본체들의 이웃한 종방향 와이어 프레임과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 중 클램프가 장착되지 않은 다른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에 걸리도록 걸림부가 일단에 형성되는 공구 본체; 및 상기 공구 본체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선단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상기 클램프의 공구 걸림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후단을 전방으로 밀면 상기 클램프의 끼움부가 당겨지면서 이웃한 상기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되거나 분리되게 하는 당김 레버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다루는 공구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걸림부는 상기 클램프가 장착되지 않은 단위별 트레이 본체들의 이웃한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에 각각 걸릴 수 있도록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구 본체는 상면에 상기 당김 레버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설정 간격마다 배치되는 종방향 와이어 프레임을 설정 간격마다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으로 연결한 단위별 트레이 본체에서 단위별로 구성된 일측 트레이 본체와 타측 트레이 본체들을 구성하는 대향된 종방향 와이어 프레임과 이와 직교 상태로 연결되는 대향된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을 간단한 구조의 클램프를 통해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으며, 공구를 통해 클램프를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의 단부에서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키는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1에 의한 메쉬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가 트레이 섹션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 2에 의한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 중 일측 트레이 본체와 단위별 타측 트레이 본체를 클램프를 통해 결속시킨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의 구성 중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를 다루는 공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를 다루는 공구를 통해 클램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를 다루는 공구를 통해 클램프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 중 일측 트레이 본체와 단위별 타측 트레이 본체를 클램프를 통해 결속시킨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의 구성 중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100)는 트레이 본체(110) 및 클램프(120)를 포함한다.
트레이 본체(110)는 양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설정 간격마다 배치되는 종방향 와이어 프레임(112)과 상기 종방향 와이어 프레임(112)들을 설정 간격마다 직교 상태로 연결하는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으로 구성되며, 이를 설정 길이를 갖도록 단위별로 제조한다.
더욱이, 상기 트레이 본체(110)는 단위별 구성 중 일측 트레이 본체(110a)와 단위별 타측 트레이 본체(110b)의 이웃한 종방향 와이어 프레임(112)의 절곡부들 상단과 상기 절곡부들 상단에 위치된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들을 동시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116)와, 상기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들과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평행하게 배치된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들을 일률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118)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연결부재(116)는 직립된 판상의 금속부재 등의 상하단을 내측 방향으로 절곡한 후 이 절곡 부위를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을 파지하도록 말아 단위별로 구성된 일측 트레이 본체(110a)와 타측 트레이 본체(110b)의 상기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들을 결속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 연결부재(118)는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과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단을 부분 절개한 후 상기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의 위치마다 절개부로 상기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의 도중을 말아 결속시킨다.
클램프(120)는 단위별로 구성된 일측 트레이 본체(110a)와 타측 트레이 본체(110b)를 서로 결속시키며, 클램프 본체(122), 제1 및 제2 안착홈부(124, 126), 끼움부(128), 경사부(130) 및 공구 걸림홈(132)을 포함한다.
즉, 상기 클램프(120)는 단위별로 구성된 일측 트레이 본체(110a)와 타측 트레이 본체(110b)의 이웃한 종방향 와이어 프레임(112)의 수평부와, 상기 종방향 와이어 프레임(112)들과 직교 상태로 고정된 이웃한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들을 고정시킨다.
클램프 본체(122)는 금속 판재 등을 절곡하여 중심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안착홈부(124, 126)와, 상기 제1 및 제2 안착홈부(124, 126)의 양쪽 외벽면에 형성된 끼움부(128)와, 상기 끼움부(128)와 이웃한 양쪽 단부에 형성되는 경사부(130) 및 상기 제1 및 제2 안착홈부(124, 126)의 사이에 형성된 공구 걸림홈(13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안착홈부(124, 126)는 단위별로 구성된 일측 트레이 본체(110a)와 타측 트레이 본체(110b)의 이웃한 종방향 와이어 프레임(112)들에 각각 안착되도록 클램프 본체(122)의 저면에 곡면 형태로 평행하게 함몰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제1 및 제2 안착홈부(124, 126)의 사이에는 후술할 공구 걸림홈(132)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평면을 유지하도록 가공한다.
끼움부(128)는 제1 및 제2 안착홈부(124, 126)가 안착되는 종방향 와이어 프레임(112)과 직교 방향으로 배치된 단위별 일측 트레이 본체(110a)와 타측 트레이 본체(110b)의 이웃한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들에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클램프 본체(122)의 양단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끼움부(128)는 클램프 본체(122)의 전면에서 중간 기점까지 한 번에 절개되어 개구 형성되므로 단위별로 구성된 일측 트레이 본체(110a)와 타측 트레이 본체(110b)의 이웃한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에 상기 클램프 본체(122)의 중간 기점이 강제로 끼워지게 한다.
더욱이, 상기 끼움부(128)는 클램프 본체(122)를 측면에서 봤을 때 상기 클램프 본체(122)의 전면에서 직선 형태로 절개된 직선부(128a)와 상기 직선부(128a)의 끝단에 확장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원호부(128b)로 구성된다.
이렇게, 상기 끼움부(128)는 직선부(128a)가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에 삽입된 후 통과할 때는 틈이 없으므로 외력에 의해 강제 삽입되며, 상기 직선부(128a)를 통과하여 원호부(128b)에 도달되게 하면 상기 원호부(128b)의 면적이 확장되므로 상기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과의 결합 부위에 틈이 형성된다.
경사부(130)는 끼움부(128)와 이웃한 클램프 본체(122)의 양단에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어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에 삽입될 때 경사면을 따라 삽입 방향을 안내하여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공구 걸림홈(132)은 클램프 본체(122) 중 수평한 제1 및 제2 안착홈부(124, 126)의 사이 선단에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 본체(122)를 당겨 끼움부(128)를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의 단부에서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후술할 공구(200)의 걸림돌기(222)가 삽입되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를 다루는 공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를 다루는 공구를 통해 클램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를 다루는 공구를 통해 클램프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를 다루는 공구(200)는 단위별로 구성된 일측 트레이 본체(110a)와 타측 트레이 본체(110b)의 이웃한 종방향 와이어 프레임(112)의 수평부와, 상기 종방향 와이어 프레임(112)들과 직교 상태로 고정된 이웃한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들에 클램프(120)를 결속을 위해 상기 클램프(120)를 결합시키거나, 상기 클램프(120)를 분리시키는 기능을 하며, 세부적으로 공구 본체(210) 및 당김 레버(22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를 다루는 공구(200)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단위별로 구성된 일측 트레이 본체(110a)와 타측 트레이 본체(110b)를 클램프(120)를 이용하여 상호 결속시키기 난해할 때 이를 공구를 통해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공구 본체(210)는 단위별로 구성된 일측 트레이 본체(110a)와 타측 트레이 본체(110b)의 이웃한 종방향 와이어 프레임(112)들과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들에 클램프(120)를 장착하거나, 상기 클램프(120)를 분리하고자 할 때 상기 클램프(120)가 장착되지 않은 다른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들의 이웃단에 걸리도록 일단에 후크(hook) 형태의 걸림부(2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구 본체(2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금속 판재의 후단에 각각 걸림부(212)가 형성되고, 이격된 상면 중심부에 후술할 당김 레버(22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금속 판재로 연결한 스토퍼(214)가 구비되며, 선단 대향면에 당김 레버(220)를 설치하기 위한 축(216)이 연결된다.
이렇게, 상기 공구 본체(210)의 후단에 각각 형성된 걸림부(212)는 단위별로 구성된 일측 트레이 본체(110a)와 타측 트레이 본체(110b) 중 클램프(120)가 장착되지 않은 후방의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에 각각 걸리게 된다.
또한, 스토퍼(214)는 당김 레버(220)가 위치되는 선단에 홈을 형성되므로 회전되는 상기 당김 레버(220)의 선단이 걸리지 않도록 하므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다.
당김 레버(220)는 공구 본체(210)의 선단 대향면을 연결하는 축(216) 상에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며, 선단 저면에 걸림돌기(222)가 다수 형성된다.
즉, 상기 당김 레버(220)는 선단 저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22)가 클램프(120)의 공구 걸림홈(132)에 결합된 상태에서 후단을 전방으로 회전시켜 밀면 상기 클램프(120)의 끼움부(128)가 당겨지면서 이웃한 일측 트레이 본체(110a)와 타측 트레이 본체(110b)의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 단부에 결합되거나 분리되게 한다.
이때, 이웃한 일측 트레이 본체(110a)와 타측 트레이 본체(110b)의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 단부에 클램프(120)의 끼움부(128)를 결합시킬 때 공구 본체(210)의 걸림돌기(222)가 걸리는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 위치와, 이웃한 일측 트레이 본체(110a)와 타측 트레이 본체(110b)의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 단부에 클램프(120)의 끼움부(128)를 분리시킬 때 공구 본체(210)의 걸림돌기(222)가 걸리는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 위치는 서로 반대 방향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트레이(100)를 클램프(120)를 이용하면서 공구(200)로 일측 트레이 본체(110a)와 타측 트레이 본체(110b)를 결속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일측 트레이 본체(110a)와 타측 트레이 본체(110b)를 길이 방향으로 연속 배치시킨다.
다음으로, 이웃한 일측 트레이 본체(110a)와 타측 트레이 본체(110b) 중 종방향 와이어 프레임(112)들에 클램프(120)의 제1 및 제2 안착홈부(124, 126)를 안착시킨다.
다음으로, 클램프(120)가 장착될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과 이격된 다른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끼움부(128)의 개구된 전방]에 케이블 트레이를 다루는 공구(200)의 공구 본체(210)에 형성된 걸림부(212)를 걸리게 한 상태에서 당김 레버(220)의 선단 저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22)를 상기 클램프(120)의 공구 걸림홀(132)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당김 레버(220)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밀면 클램프(120)가 공구(200)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끼움부(128)가 일측 트레이 본체(110a)와 타측 트레이 본체(110b)의 이웃한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에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끼움부(128)가 일측 트레이 본체(110a)와 타측 트레이 본체(110b)의 이웃한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들에 끼워질 때 직선부(128a)에 통과할 때는 틈이 없어 외력에 의해 강제 삽입되고, 상기 직선부(128a)를 통과시켜 원호부(128b)에 도달되게 하면 면적이 확장되면서 상기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과의 결합 부위에 틈이 형성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와 반대로, 일측 트레이 본체(110a)와 타측 트레이 본체(110b)를 결속시킨 클램프(120)를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는 클램프(120)가 장착된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과 이격된 다른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끼움부(128)의 개구된 후방]에 케이블 트레이를 다루는 공구(200)의 공구 본체(210)에 형성된 걸림부(212)를 걸리게 한 상태에서 당김 레버(220)의 선단 저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22)를 상기 클램프(120)의 공구 걸림홀(132)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당김 레버(220)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밀면 클램프(120)가 공구(200)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끼움부(128)가 일측 트레이 본체(110a)와 타측 트레이 본체(110b)의 이웃한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114)에서 분리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케이블 트레이 110: 트레이 본체
112: 종방향 와이어 프레임 114: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
120: 클램프 122: 클램프 본체
124, 126: 제1 및 제2 안착홈부 128: 끼움부
130: 경사부 132: 공구 걸림홈

Claims (6)

  1. 양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설정 간격마다 배치되는 종방향 와이어 프레임과 상기 종방향 와이어 프레임들을 설정 간격마다 직교 상태로 연결하는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으로 구성된 단위별 트레이 본체; 및
    상기 단위별 트레이 본체들의 이웃한 상기 종방향 와이어 프레임에 각각 안착되도록 클램프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안착홈부와, 상기 단위별 트레이 본체들의 이웃한 상기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의 단부에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클램프 본체의 양단에 상기 제1 및 제2 안착홈부와 직교된 상태로 형성되는 끼움부 및 상기 클램프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를 당겨 상기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의 단부에서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킬 수 있도록 공구의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공구 걸림홀로 구성된 클램프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상기 클램프 본체의 전면에서 중간 기점까지 절개되어 개구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와 이웃한 상기 클램프 본체의 양단에 상기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경사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
  4. 단위별 트레이 본체들의 이웃한 종방향 와이어 프레임과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 중 클램프가 장착되지 않은 다른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에 걸리도록 걸림부가 일단에 형성되는 공구 본체; 및
    상기 공구 본체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선단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상기 클램프의 공구 걸림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후단을 전방으로 밀면 상기 클램프의 끼움부가 당겨지면서 이웃한 상기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되거나 분리되게 하는 당김 레버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다루는 공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클램프가 장착되지 않은 단위별 트레이 본체들의 이웃한 횡방향 와이어 프레임에 각각 걸릴 수 있도록 이격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를 다루는 공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본체는 상면에 상기 당김 레버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스토퍼가 구비되는 케이블 트레이를 다루는 공구.
KR1020160003209A 2016-01-11 2016-01-11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다루는 공구 KR101830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209A KR101830645B1 (ko) 2016-01-11 2016-01-11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다루는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209A KR101830645B1 (ko) 2016-01-11 2016-01-11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다루는 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837A true KR20170083837A (ko) 2017-07-19
KR101830645B1 KR101830645B1 (ko) 2018-02-21

Family

ID=59427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209A KR101830645B1 (ko) 2016-01-11 2016-01-11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다루는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6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4984A (zh) * 2018-10-06 2019-01-18 东台市飞凌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多层桥架
KR101941816B1 (ko) * 2018-04-17 2019-01-24 주식회사 하이메쉬코리아 무볼트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KR102292555B1 (ko) * 2021-02-18 2021-08-24 주식회사 디엠케이 메쉬형 케이블 트레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293B1 (ko) * 2014-12-02 2015-09-15 (주)선일이엔지 메시 트레이 섹션들의 연결 장치 및 그것이 적용된 메시 트레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816B1 (ko) * 2018-04-17 2019-01-24 주식회사 하이메쉬코리아 무볼트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CN109244984A (zh) * 2018-10-06 2019-01-18 东台市飞凌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多层桥架
KR102292555B1 (ko) * 2021-02-18 2021-08-24 주식회사 디엠케이 메쉬형 케이블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0645B1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645B1 (ko)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다루는 공구
US6637704B2 (en) Flexible cable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US20180162614A1 (en) Lateral pull rod mechanism configured to lock steel tube support assembly
CA2788878C (en) Fastener-less track assembly for supporting wall studs
US8093501B2 (en) Universal variable transmission line hanger
RU2321934C1 (ru) Аксессуар для повышения уровня и стыкового соединения проволочных кабель-каналов
CA2768281C (en) Wedge dead end clamp assembly
US8985530B2 (en) Cable management system
US20140130849A1 (en) Rooftop photovoltaic modules
KR102575473B1 (ko) 케이블 트레이 접합부 및 이음매 판 결합 시스템
KR101402169B1 (ko)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고정장치
CN109964379A (zh) 用于安装电缆和电缆吊架的适配器
EP2198191B1 (en) Rigidly attached cable support for ductwork having at least three flat side surfaces
CA2972117A1 (en) Holding frame for plug connector modules
GB2485071A (en) Coupleable wire mesh cable tray
US6520345B1 (en) Self-squaring relay rack assembly
JP6263448B2 (ja) 配線ケーブルの整線具
US10649169B2 (en) Sliding jaw drop clamp
EP3989376A1 (en) Locking snap-on splice for cable basket
US9837185B2 (en) Mounting systems for power, communication and fiber optic cables
CA3014819A1 (en) Splice plate assembly for cable tray
KR200474132Y1 (ko) 메쉬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
KR101351977B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체결구
KR20170025729A (ko) 케이블 트레이
JP2005312215A (ja) 縦型メッシュラック、及び縦型メッシュラックに取付けられる支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