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3301A - 휴대기기용 크래들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용 크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3301A
KR20170083301A KR1020160002599A KR20160002599A KR20170083301A KR 20170083301 A KR20170083301 A KR 20170083301A KR 1020160002599 A KR1020160002599 A KR 1020160002599A KR 20160002599 A KR20160002599 A KR 20160002599A KR 20170083301 A KR20170083301 A KR 20170083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rtable device
cradle
lifting plate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Priority to KR1020160002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3301A/ko
Publication of KR20170083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3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크래들에 설치된 단자가 휴대기기와의 연결시에만 노출되도록 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크래들은 본체, 휴대기기의 단자에 연결되는 크래들 단자가 배치되고 상기 휴대기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지지부 및 상기 휴대기기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크래들 단자가 상기 지지부에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휴대기기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크래들 단자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함몰되도록 하는 단자 단속부를 포함하므로, 단자의 오염, 손상 등을 미연에 방지하여 크래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뿐만 아니라, 휴대기기의 오작동, 배터리의 폭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기기용 크래들{automatic feeding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기기용 크래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기기를 거치하여 휴대기기에 내설된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휴대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기기용 크래들에 관한 것이다.
크래들은 휴대폰, 캡슐 내시경용 수신기 등과 같은 휴대기기를 꽂아서 세워둘 수 있는 거치대의 형태로, 충전 기능뿐만 아니라 PC나 TV와 같은 타 기기와 연결해 정보를 주고받는 기능도 있으며, 특히 영상을 감상할 때 휴대폰을 보기 좋은 각도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충전까지 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크래들에 대해서는 이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93459호;디지털 기기용 크래들'에 의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공개특허를 참조하면, 종래의 트래들은 휴대기기에 마련된 단자에 연결되는 단자가 상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크래들에 설치된 단자가 상시 노출되면, 단자가 쉽게 오염되고, 물리적인 압력에 취약하여 쉽게 손상 또는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단자에 접속되는 휴대기기의 오작동의 원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심하게는 휴대기기에 내설된 배터리 충전 단자들의 쇼트로 인한 배터리 폭발 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93459호 (2012. 10. 24.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크래들에 설치된 단자가 휴대기기와의 연결시에만 노출되도록 한 휴대기기용 크래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크래들은 본체, 휴대기기의 단자에 연결되는 크래들 단자가 배치되고 상기 휴대기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지지부 및 상기 휴대기기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크래들 단자가 상기 지지부에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휴대기기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크래들 단자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함몰되도록 하는 단자 단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 단속부는 상기 단자의 출몰을 위해 개구되는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휴대기기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될 때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크래들 단자가 상기 지지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승강판 및 상기 휴대기기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승강판이 상승되어 상기 크래들 단자가 상기 승강판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승강판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휴대기기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내측면에는 상기 휴대기기의 단자가 상기 크래들 돌기에 정렬되도록 상기 휴대기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기기용 크래들은 상기 가이드돌기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크래들 단자에 상기 휴대기기 단자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기기의 하부면에는 상기 휴대기기 단자와 상기 크래들 단자의 정렬을 위한 정렬홈이 형성되며, 상기 휴대기기용 크래들은 상기 정렬홈에 대응되어 상기 승강판을 관통하는 정렬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트래들은 휴대기기에 마련된 단자에 연결되는 단자가 상시 노출됨에 따른, 단자의 오염, 손상 등을 미연에 방지하여 크래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휴대기기의 오작동, 배터리의 폭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에 휴대기기가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로부터 휴대기기가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의 지지부와 단자 단속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에서 단자가 승강판의 아래로 숨겨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에서 단자가 승강판의 위로 나타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크래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에 휴대기기가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로부터 휴대기기가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크래들(100)은 휴대기기(10)가 거치되는 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의 정면에는 전원 표시등(111))이 배치될 수 있다. 전원 표시등(111)은 크래들(100)에 휴대기기(10)의 거치 여부 및 휴대기기(10)에 결합된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그 점등되는 색깔이 변화되는 3색 LED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100)에 휴대기기(10)가 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110)에 전원이 연결되면 녹색, 황색, 적색의 램프가 순차적으로 점멸되다가 소등될 수 있다. 또한 크래들(100)에 휴대기기(10)가 거치된 상태에서 본체(110)에 전원이 연결되면, 배터리의 충전 중을 표시하는 적색 램프가 점등되다가 배터리가 완충되면 녹색 램프가 점등될 수 있다.
본체(110)의 배면에는 전원 잭(115)과 통신 잭(117)이 배치될 수 있다. 전원 잭(115)에는 어댑터와 같은 전원공급모듈의 플러그가 연결되어 크래들(10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통신 잭(117)에는 PC, TV, LCD 등과 같은 외부기기가 연결되는 통신 케이블의 플러그가 연결되어 본체(110)에 거치된 휴대기기(10)와 외부기기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체(110)의 내부에는 휴대기기(10)의 배터리의 과충전 및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충전 회로와, 휴대기기(10)와 외부기기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 실장된 회로기판이 내설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10)에는 휴대기기(10)를 지지하는 지지부(13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의 지지부와 단자 단속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130)에는 휴대기기(10)가 수용되는 수용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기기(10)에 설치되는 휴대기기 단자(11)는 암(Female) 단자 형태로 설치되므로, 지지부(130)에는 휴대기기 단자(11)에 연결되는 수(Male) 단자 형태의 크래들 단자(21)가 마련될 수 있다. 크래들 단자(21)는 USB A타입 단자, USB 2.0 B타입 단자, USB 2.0 mini A타입 단자, USB 2.0 mini B타입 단자, USB 2.0 micro A타입 단자, USB 2.0 micro B타입 단자, USB A타입 단자, USB 3.0 B타입 단자, USB 3.0 mini A타입 단자, USB 3.0 mini B타입 단자, USB 3.0 micro A타입 단자, USB 3.0 micro B타입 단자, 8핀 mini B 단자, 8핀 라이트닝 USB 단자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크래들 단자(21)는 수용홈(131)의 바닥면 거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수용홈(131)의 내측면에는 휴대기기 단자(11)가 크래들 단자(21)에 정렬될 수 있도록 휴대기기(10)를 안내하는 가이드돌기(133)가 형성될 수 있다. 휴대기기 단자(11)가 크래들 단자(21)에 연결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가이드돌기(133)에는 가이드돌기(133)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돌기(133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130)의 바닥면에는 개구부(135)가 형성되며, 개구부(135)에는 단자 단속부(150)가 설치될 수 있다. 단자 단속부(150)는 승강판(151)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판(151)은 하방으로 개방되는 캡(cap)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판(151)은 지지부(130)에 휴대기기(10)가 지지되지 않는 평상시에 크래들 단자(21)의 상단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반면, 지지부(130)에 휴대기기(10)가 지지됨에 따라 휴대기기(10)의 자중, 또는 휴대기기 단자(11)를 크래들 단자(21)에 연결하기 위해 가해지는 압력 등에 의해, 승강판(151)은 크래들 단자(21)의 상단보다 아래로 하강될 수 있다. 물론, 승강판(151)에는 크래들 단자(21)의 출몰을 위해 개구되는 출입구(151a)가 형성될 수 있다.
승강판(151)의 하측에는 승강판(151)을 지지하는 지지판(155)이 배치될 수 있다. 승강판(151)은 본체(110)에 체결되어 고정위치를 가진다. 승강판(151)과 지지판(155)의 사이에는 탄성체(153)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체(153)는 크래들(100)에 거치된 휴대기기(10)가 지지부(130)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승강판(151)이 상승되도록 탄발력을 발휘한다. 탄성체(153)로는 압축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탄성체(153)가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됨에 따라 승강판(151)의 하부면에는 압축코일 스프링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 돌기(151b)가 돌출되며, 지지판(155)에는 스프링 돌기(151b)의 승강 구동이 가능하도록 승강홀(155a)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탄성체(153)의 탄발력에 의해 승강판(151)이 개구부(13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판(151)의 하부에는 지지부(130)의 하부면에 걸리는 걸림턱(151c)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승강판(151)과 지지판(155)의 사이에는 크래들 단자(21)를 지지하고 회로기판(미도시)과 크래들 단자(21)를 연결하는 단자 보드(170)가 배치될 수 있다. 단자 보드(170)의 하부면에는 단자 보드(170)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보드 고정돌기(171)가 돌출되며, 지지판(155)에는 보드 고정돌기(171)에 대응되는 보드 고정홀(155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기기(10)에는 휴대기기 단자(11)와 크래들 단자(21)의 정밀한 정렬을 위한 정렬홈(13)이 형성될 수 있다. 단자 보드(170)에는 정렬홈(13)에 대응되는 정렬돌기(173)가 결합될 수 있으며, 정렬돌기(173)는 승강판(151)을 관통하여 수용홈(131)에 돌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크래들의 작용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에서 단자가 승강판의 아래로 숨겨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크래들(100)에 휴대기기(10)가 거치되지 않은 평상시, 탄성체(153)는 승강판(151)을 탄성 지지한다. 이에 따라 승강판(151)은 크래들 단자(21)의 상단보다 위에 위치한다. 이때, 승강판(151)은 지지부(130)의 하부면에 걸림턱(151c)이 걸려 개구부(135)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100)은 크래들(100)에 휴대기기(10)가 거치되지 않은 평상시에 크래들 단자(21)가 승강판(151)의 아래에 위치하므로, 크래들 단자(21)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크래들 단자(21)의 오염, 손상 등을 미연에 방지하여 크래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휴대기기(10)의 오작동, 배터리의 폭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휴대기기(10)를 크래들(100)에 거치하면 크래들 단자(21)는 수용홈(131)에 노출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에서 단자가 승강판의 위로 나타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휴대기기(10)를 크래들(100)에 거치하기 위해 휴대기기(10)를 수용홈(131)에 위치시키면 휴대기기(10)는 가이드돌기(133)를 따라 승강판(151)의 상부면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정렬돌기(173)는 휴대기기(10)에 형성된 정렬홈(13)에 삽입되어 휴대기기(10)에 마련된 단자가 크래들 단자(21)에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휴대기기(10)가 지지부(130)에 지지됨에 따라, 휴대기기(10)의 자중, 또는 휴대기기(10)를 크래들 단자(21)에 연결하기 위해 가해지는 압력 등에 의해, 승강판(151)은 하강할 수 있다. 승강판(151)이 하강됨에 따라 출입구(151a)를 통해 크래들 단자(21)가 노출되고, 휴대기기 단자(11)는 크래들 단자(2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100)은 휴대기기(10)를 크래들(100)에 거치할 때 승강판(151)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정밀하게 정렬된 휴대기기 단자(11)와 크래들 단자(21)이 간편하게 연결되어 휴대기기(10)의 배터리 충전 및 휴대기기(10)와 외부기기 간의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휴대기기 11 : 휴대기기 단자
13 : 정렬홈 21 : 크래들 단자
100 : 크래들 110 : 본체
130 : 지지부 131 : 수용홈
133 : 가이드돌기 133a : 걸림돌기
150 : 단자 단속부 151 : 승강판
153 : 탄성체 155 : 지지판
170 : 단자 보드 173 : 정렬돌기

Claims (5)

  1. 본체;
    휴대기기의 단자에 연결되는 크래들 단자가 배치되고 상기 휴대기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지지부;및
    상기 휴대기기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크래들 단자가 상기 지지부에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휴대기기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크래들 단자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함몰되도록 하는 단자 단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크래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단속부는
    상기 단자의 출몰을 위해 개구되는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휴대기기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될 때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크래들 단자가 상기 지지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승강판;및
    상기 휴대기기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승강판이 상승되어 상기 크래들 단자가 상기 승강판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승강판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크래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휴대기기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내측면에는 상기 휴대기기의 단자가 상기 크래들 돌기에 정렬되도록 상기 휴대기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크래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크래들 단자에 상기 휴대기기 단자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크래들.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의 하부면에는 상기 휴대기기 단자와 상기 크래들 단자의 정렬을 위한 정렬홈이 형성되며,
    상기 정렬홈에 대응되어 상기 승강판을 관통하는 정렬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크래들.
KR1020160002599A 2016-01-08 2016-01-08 휴대기기용 크래들 KR201700833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599A KR20170083301A (ko) 2016-01-08 2016-01-08 휴대기기용 크래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599A KR20170083301A (ko) 2016-01-08 2016-01-08 휴대기기용 크래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301A true KR20170083301A (ko) 2017-07-18

Family

ID=59430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599A KR20170083301A (ko) 2016-01-08 2016-01-08 휴대기기용 크래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330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153B1 (ko) * 2022-01-24 2022-10-12 주식회사 유창바이오 의료용 스콥 워머 보관 겸용 충전 발열시스템
KR102484285B1 (ko) * 2022-09-13 2023-01-04 주식회사 유창바이오 의료용 스콥 워머 보관 겸용 충전 발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153B1 (ko) * 2022-01-24 2022-10-12 주식회사 유창바이오 의료용 스콥 워머 보관 겸용 충전 발열시스템
KR102484285B1 (ko) * 2022-09-13 2023-01-04 주식회사 유창바이오 의료용 스콥 워머 보관 겸용 충전 발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54927B (zh) 用于便携式电子装置的坞站
US20150097519A1 (en) Wireless charger with coil position adjustability
US10141758B2 (en) Power card and base
KR101356309B1 (ko)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10312651B2 (en) Electronic device
CN105991801B (zh) 一种可扩展功能的智能终端配件系统
US9496642B1 (en) Charging connector having a body with a magnetic member
JP2016514863A (ja) 光コネクタ組立体
CN206148691U (zh) 光电混合连接器
US6348776B2 (en) Flexible battery charger adaptable to the batteries of the mobile phones of different sizes
KR20170083301A (ko) 휴대기기용 크래들
KR101845832B1 (ko) 아답터 일체형 무선 충전기
CN210431802U (zh) 一种蓝牙耳机组件及耳机充电盒
CN201690073U (zh) 一种led外挂式的连接器接头
KR20090113732A (ko) 핸드폰 충전기
US9722377B1 (en) Pluggable power supply device
CN108808384A (zh) 一种具有锁紧结构的hdmi电连接器组件
CN104238029B (zh) 光纤耦合连接器
KR20020093348A (ko)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
US20140247012A1 (en) Holding platform for mobile information terminals, desktop telephone, and fixing method connector for mobile information terminals
KR101993840B1 (ko) 바타입 led 램프용 소켓
KR20170000026U (ko) 보조 배터리 겸용 충전기
KR101679678B1 (ko) Usb 커넥터용 퓨즈 조립장치
WO2021042708A1 (zh) 一种用于多国插头的充电器
CN217036257U (zh) 一种充电转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