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3232A - Tv에서 실시간 시청 중인 디지털 데이터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연관지식을 제공하는 데이터방송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Tv에서 실시간 시청 중인 디지털 데이터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연관지식을 제공하는 데이터방송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3232A
KR20170083232A KR1020160002426A KR20160002426A KR20170083232A KR 20170083232 A KR20170083232 A KR 20170083232A KR 1020160002426 A KR1020160002426 A KR 1020160002426A KR 20160002426 A KR20160002426 A KR 20160002426A KR 20170083232 A KR20170083232 A KR 20170083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erver
real
association knowledge
broadcas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무한
Original Assignee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2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3232A/ko
Publication of KR20170083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2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3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specifically related to the content, e.g. biography of the actors in a movie, detailed information about an article seen in a video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1Reference data, e.g. a movie identifier for ordering a movie or a product identifier in a home shopping appl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TV에서 실시간 시청 중인 디지털 데이터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연관지식을 제공하는 데이터방송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TV 데이터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에서 사용자가 궁금증을 갖을 만한 연관지식을 제공한다. 연관지식은 사전에 저장되어 서비스될 수도 있고, 실시간으로 구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는 TV 선생님을 두고 있는 것과 같은 사용자경험을 체험할 수 있다.

Description

TV에서 실시간 시청 중인 디지털 데이터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연관지식을 제공하는 데이터방송 제공방법 {METHOD FOR PROVIDING KNOWLEDGE RELATED TO DIGITAL DATA BROADCAST CONTENTS ON TV}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방송에 관한 것이다.
TV는 가정에서 콘텐츠를 유통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다양한 방송 콘텐츠 사업자의 등장으로 가용할 수 있는 콘텐츠의 양과 종류도 무궁무진하다. 시청자는 TV를 통해 사회를 배우고, 새로운 문화를 체험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다양한 방송 콘텐츠에는 낮선 전문용어나, 처음듣는 지명, 신기한 건축물과 같이 시청자의 궁금증과 호기심을 자극하는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TV라는 디바이스는 이와 같은 궁금증과 호기심을 충족시킬 수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못했다. 전통적인 TV는 콘텐츠를 TV 화면에 표시하는 것 자체를 목적으로 하였기 때문에 보다 큰 화면과 선명한 화질을 개발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청자는 TV를 보는 중 궁금한 사항이 생기면 자신이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열어 검색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TV를 보는 도중 스마트폰을 찾아, 이를 열고, 인터넷 검색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키워드를 직접 입력하여 정보를 검색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기 짝이 없다. 게다가 시청자의 시선은 TV를 떠나 한참동안 스마트폰에 묶여있게 되므로 문제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치며 개발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 콘텐츠에서 사용자가 궁금증을 갖을 만한 연관지식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른바 'TV 선생님' 서비스를 제공한다. 연관지식은 사전에 저장되어 서비스될 수도 있고, 실시간으로 구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는 TV 안에 선생님을 두고 있는 것과 같은 사용자경험을 체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TV 데이터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추가지식에 대한 인터넷 정보검색을 할 수 있도록 검색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방송 콘텐츠에 대한 연관지식을 자동으로 제공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연관지식을 보고 연쇄적으로 다른 추가지식을 원할 경우 원하는 추가지식을 검색할 수 있도록 TV화면에 검색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국면은 (a) 디지털 데이터방송을 수신하는 셋톱박스가 TV에서 재생 중인 실시간시청채널정보를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b) 부가정보구축서버가 사전저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방송 콘텐츠에 관련된 연관지식을 추출하는 단계;
(c) 콘텐츠인식서버가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음성 또는 영상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d) 부가정보구축서버가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연관지식을 검색하여 실시간저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및
(e) 상기 서비스서버가 사전저장 데이터베이스 및 실시간저장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저장된 연관지식을 상기 셋톱박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a) 단계 이전에 콘텐츠인식서버가 콘텐츠제공서버가 저장하고 있는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음성 또는 영상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부가정보구축서버가 상기 키워드를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연관지식을 검색하는 단계; 및
부가정보구축서버가 연관지식을 사전저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셋톱박스가 상기 연관지식을 방송 콘텐츠가 재생되는 VOD영역에 오버랩하여 표시하거나 상기 VOD영역과 분리되어 있는 제1애플리케이션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음성 또는 영상이 방송된 후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표시된 상기 연관지식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VOD영역과 분리되는 제1애플리케이션영역에 검색창과 검색결과반환창이 포함된 검색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검색창에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인터넷 검색결과를 상기 검색결과반환창에 반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국면은 (a) 디지털 데이터방송을 수신하는 셋톱박스가 TV에서 재생 중인 실시간시청채널정보를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b) 서비스서버가 실시간시청채널에서 방송 중인 방송 콘텐츠가 실시간으로 내용이 변경되는 생방송 콘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방송 콘텐츠가 생방송 콘텐츠인 경우 콘텐츠인식서버가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음성 또는 영상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d) 부가정보구축서버가 상기 키워드를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연관지식을 검색하여 실시간저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e) 상기 서비스서버가 실시간저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연관지식을 상기 셋톱박스에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셋톱박스가 상기 연관지식을 방송 콘텐츠가 재생되는 VOD영역에 오버랩하여 표시하거나 상기 VOD영역과 분리되어 있는 제1애플리케이션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생방송 콘텐츠는 스포츠 경기, 뉴스, 예술공연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에 의해서 본 발명은 방송 콘텐츠에 관련된 연관지식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는 TV를 보면서 궁금한 것을 바로바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효과적으로 연관지식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TV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는데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연관지식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관지식에 관한 추가지식을 검색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검색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검색인터페이스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더 알고 싶은 내용에 대한 인터넷 정보검색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TV를 보면서 궁금한 내용에 대해 1차적으로 연관지식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더욱 세부적인 지식을 원할 경우 2차적으로 추가지식에 대한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디지털방송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연관지식을 제공하는 디지털방송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콘텐츠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인터페이스의 바람직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검색인터페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디지털방송 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디지털방송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방송시스템(100)은 셋톱박스(200), 서비스서버(300), 콘텐츠제공서버(400), 콘텐츠인식서버(500), 부가정보구축서버(600)를 포함한다.
셋톱박스(200)는 데이터방송을 수신하며 TV(210)에 연결되어 데이터방송 채널을 TV(210)에 출력한다. 셋톱박스(200)에는 TV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TV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방송 서비스를 원할하게 즐길 수 있도록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인터페이스는 연관지식제공인터페이스 및 검색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관지식제공인터페이스는 서비스서버(300에서 전송한 연관지식을 TV(210) 화면에 표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관지식제공인터페이스는 연관지식을 방송 콘텐츠가 재생되는 VOD영역에 오버랩하여 표시하거나 VOD영역과 분리되어 있는 제1애플리케이션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연관지식제공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연관지식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음성 또는 영상이 방송된 후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표시된 연관지식을 삭제할 수 있다.
검색인터페이스는 검색창과 검색결과반환창이 표시되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에 대해 인터넷 정보검색을 실행한다. 검색인터페이스는 VOD영역과 분리되는 제1애플리케이션영역에 검색창과 검색결과반환창을 표시할 수 있다. 검색인터페이스는 검색창에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인터넷 검색결과를 검색결과반환창에 반환한다.
서비스서버(300)는 셋톱박스(200)에 데이터방송을 제공한다. 서비스서버(300)가 제공하는 데이터방송의 방송 콘텐츠는 생방송 콘텐츠 및 VOD 콘텐츠를 포함한다. 생방송 콘텐츠는 실시간으로 내용이 변경되는 콘텐츠이다. 예를 들어 생방송 콘텐츠는 스포츠 경기, 뉴스, 예술공연 콘텐츠와 같은 생방송되는 콘텐츠를 포함한다. VOD 콘텐츠는 이미 녹화된 콘텐츠로 생방송 콘텐츠가 아닌 콘텐츠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VOD 콘텐츠는 영화, 드라마와 같은 콘텐츠를 포함한다.
서비스서버(300)는 방송 콘텐츠 외에 사전저장 데이터베이스 및 실시간저장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저장된 연관지식을 셋톱박스(200)에 전송한다. 연관지식은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지식으로 시청자가 궁금해할 만한 것들에 대한 지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야구경기에 대한 생방송 콘텐츠에 대한 연관지식은 낯선 야구용어에 대한 설명일 수 있다.
서비스서버(300)와 셋톱박스(200) 사이에는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채널이 형성된다. 따라서 서비스서버(300)는 일방적으로 방송 콘텐츠를 송출하는 것 외에 셋톱박스(200)로부터 TV(210)에서 재생 중인 채널에 대한 실시간시청채널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콘텐츠제공서버(400)는 방송 콘텐츠를 저장한다. 저장되는 방송 콘텐츠는 VOD 콘텐츠일 수 있다. VOD 콘텐츠는 영화, 드라마와 같이 사전에 제작된 콘텐츠이다. 생방송된 콘텐츠를 재방송하는 경우라면 VOD 콘텐츠로 분류될 수 있고 콘텐츠제공서버(400)에 저장될 수 있다. 콘텐츠제공서버(400)는 스케줄에 따라 혹은 셋톱박스의 요청에 따라 방송 콘텐츠를 서비스서버(300)에 제공한다.
콘텐츠인식서버(500)는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음성 또는 영상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한다. 콘텐츠인식서버(500)는 콘텐츠제공서버(400) 또는 서비스서버(300)를 통해 방송 콘텐츠를 입력받는다. 콘텐츠인식서버(500)는 방송 콘텐츠에서 음성을 추출하고 음성으로부터 특정 키워드를 추출한다. 이를 위해 콘텐츠인식서버(500)는 음성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콘텐츠인식서버(500)는 방송 콘텐츠에서 영상을 추출하고 영상으로부터 특정 키워드를 추출한다. 콘텐츠인식서버(500)는 영상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고 문자로부터 특정 키워드를 추출한다. 또한 콘텐츠인식서버(500)는 영상 자체를 분석하여 특정 키워드를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영상에 포함된 인물을 분석하여 인물의 이름을 키워드로 추출할 수 있고, 영상에 포함된 특정 건축물로부터 건축물의 이름을 키워드로 추출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콘텐츠인식서버(500)는 영상인식부(얼굴인식모듈을 포함함)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정보구축서버(600)는 콘텐츠인식서버(500)가 추출한 키워드에 관련된 연관지식을 구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부가정보구축서버(600)는 추출한 키워드에 대한 인터넷 정보검색을 이용하여 연관지식을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구경기 중 '오프사이드'라는 키워드가 추출된 경우 '오프사이드'에 대한 사전적 정의를 연관지식으로 구축할 수 있다.
구축된 연관지식은 실시간저장 데이터베이스 또는 사전저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연관지식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때는 방송 콘텐츠의 이름, 추출한 키워드, 방송 콘텐츠에서 키워드가 추출된 위치 등이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추후 검색을 통해 연관지식을 셋톱박스에 제공할 때 용이한 검색을 위함이다. 부가정보구축서버(600)는 사전저장 데이터베이스 또는 실시간저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방송 콘텐츠에 관련된 연관지식을 추출하여 서비스서버(300)에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연관지식을 제공하는 디지털방송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2를 사용하여 사전저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실시예 및 실시간저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콘텐츠인식서버(500)는 콘텐츠제공서버(400) 또는 서비스서버(300)를 통해 방송 콘텐츠를 입력받는다. 음성인식부(510)가 방송 콘텐츠에서 음성을 추출하여 이를 텍스트로 변환한다. 영상인식부(520)는 방송 콘텐츠에서 특정 장면에 대한 이미지를 추출한다. 키워드 추출부(530)는 음성인식부(510)가 변환한 텍스트를 분석하여 특정 키워드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음성인식부(510)가 '박찬호 선수가 보크 판정을 받았네요'라는 텍스트를 생성하면 키워드추출부(530)는 해당 문장을 형태소분석하여 '박찬호', '보크'와 같은 키워드를 추출한다. 키워드추출부(530)는 영상인식부(520)가 추출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특정 키워드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영상인식부(520)가 '에펠탑' 이미지를 추출하면 키워드추출부(530)는 '에펠탑' 이미지로부터 '에펠탑'이라는 키워드를 추출한다.
부가정보구축서버(600)가 추출된 키워드를 입력받는다. 정보검색부(610)는 해당 키워드에 대한 인터넷 정보검색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박찬호'라는 키워드에 대한 정보검색 결과로 박찬호 선수의 사진, 경력, 현재 시즌 성적 등을 반환할 수 있다. '보크'라는 키워드에 대한 정보검색 결과로는 위키피디아의 야구경기규칙 중 '보크'에 대한 내용을 정보검색 결과로 반환할 수 있다.
정보검색부(610)는 반환된 정보검색 결과를 해당방송 콘텐츠에 대한 연관지식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VOD 콘텐츠에 대한 연관지식은 사전에 구축되어 사전저장 데이터베이스(620)에 저장된다. 생방송 콘텐츠에 대한 연관지식은 실시간으로 구축되어 실시간저장 데이터베이스(630)에 저장된다. 실시간저장 데이터베이스(630)에 저장된 연관지식은 추후 사전저장 데이터베이스(620)로 이동될 수 있다.
서비스서버(300)가 개별 셋톱박스로부터 TV에서 재생 중인 실시간시청채널정보를 입력받는다. 서비스서버(300)는 실시간시청채널정보에서 시청 중인 방송 콘텐츠의 유형을 결정한다. 방송 콘텐츠는 VOD 콘텐츠와 생방송 콘텐츠를 포함한다. 시청 중인 방송 콘텐츠가 VOD 콘텐츠인 경우 해당 VOD 콘텐츠에 관련한 연관지식이 있는지 부가정보구축서버(600)에 조회한다. 부가정보구축서버(600)는 해당 VOD 콘텐츠에 대한 연관지식이 사전저장 데이터베이스(620)에 있는 경우 연관지식을 서비스서버(300)에 전송한다. 이때 부가정보구축서버(600)는 연관지식을 구축하는데 사용한 키워드가 추출된 위치를 연관지식과 함께 서비스서버(300)에 전송한다. 시청 중인 방송 콘텐츠가 생방송 콘텐츠인 경우 콘텐츠인식서버(500) 및 부가정보구축서버(600)가 연관지식을 실시간으로 구축하고, 구축된 연관지식을 서비스서버(300)에 전송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서비스서버(300)는 시청 중인 방송 콘텐츠가 VOD 콘텐츠인 경우에도 콘텐츠인식서버(500) 및 부가정보구축서버(600)가 연관지식을 실시간으로 구축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VOD 콘텐츠에 대한 연관지식은 사전저장 데이터베이스 및 실시간저장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저장될 수 있다.
서비스서버(300)는 전송받은 연관지식을 셋톱박스에 전송한다. 이때 정보제공부(310)는 연관지식을 언제 표시할지 결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정보제공부(310)는 연관지식을 구축하기 위한 키워드가 추출된 위치에 연관지식이 표시되도록 한다. 인터페이스부(320)는 연관지식을 어디에 표시할지 결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관지식은 방송 콘텐츠가 재생되는 VOD영역에 오버랩하여 표시하거나 VOD영역과 분리되어 있는 제1애플리케이션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콘텐츠에서 키워드를 추출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방송 콘텐츠(10)가 재생된다. 예를들어 방송 콘텐츠는 영화 '히말라야'이다. 특정 화면에 'HIMALAYAS'(11)라는 단어가 표시되고, 배경으로 설산(12)이 등장한다. 전경으로는 주인공(13)이 등장한다. '누가 히말라야에 가자고 시키드나'라는 대사가 음성으로 재생된다.
음성인식부는 주인공(13)의 대사에서 '히말라야'라는 키워드를 추출한다. 영상인식부는 HIMALAYAS(11)에서 추출한 영문자와, 배경으로 보이는 설산(12)을 분석하여 '히말라야', 또는 '에베레스트'를 키워드로 추출한다. 정보검색부는 '히말라야', 또는 '에베레스트'에 대한 인터넷 정보를 검색하여 연관지식으로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연관지식을 표시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700)에는 독립된 기능 및 독립된 영역을 갖는 복수의 TV 애플리케이션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VOD영역(710)은 서비스서버가 스트리밍한 방송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제1 TV 애플리케이션영역(720)은 홈쇼핑 방송의 실시간 순위 리스트일 수 있다. 제2 TV 애플리케이션영역(730)은 날씨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제3 TV 애플리케이션영역(740)은 서비스 서버에 의해 미리 정해진 상품 기획 콘텐츠 혹은 다른 방식으로 미리 정해진 추천 상품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벤트영역(750)에는 안내정보 또는 이벤트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관지식은 VOD영역(710)에 오버랩(711)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오버랩된 연관지식은 VOD 시청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소정의 크기 이하로 표시될 수 있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사라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관지식은 VOD영역(710)과 독립적인 영역인 제1 TV 애플리케이션 영역(720)에 표시(721)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된 연관지식(721)은 VOD영역을 침해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시청을 방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VOD영역(710)에 오버랩(711)되어 표시되는 것보다 오랜 시간동안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연관지식이 표시되면서 자연스럽게 화면 위로 밀려 사라질 때까지 지속적으로 표시되어도 무방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검색인터페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제1 TV 애플리케이션 영역(720)이 화면 일측에 확장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제1 TV 애플리케이션 영역(720)에는 연관지식(721), 및 검색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검색인터페이스는 검색창(723) 및 검색결과반환창(725)이 포함된다. 검색창(723)은 연관지식(721)을 확인한 사용자가 더욱 구체적인 검색을 실행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인터넷 검색창이다.
사용자가 검색창(723)에 검색하고자 하는 키워드를 입력하면, 입력된 키워드에 대해 인터넷 정보검색한 결과가 검색결과반환창(725)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검색결과반환창(725)에 표시된 검색결과를 선택하면, 검색인터페이스가 해당 검색내용 전문을 검색결과반환창(725)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검색창(723)에는 연관지식(721)에 표시된 키워드가 자동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바로 선택하여 해당 연관지식에 대한 추가지식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관지식으로 '박찬호'와 박찬호의 약력이 제공된 경우, 검색창에 '박찬호'라는 이름이 자동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검색단추를 눌러 검색을 시작하면 겸색결과반환창에 박찬호에 대한 인터넷 검색결과가 반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방송 콘텐츠를 VOD영역(710)에서 시청하는 동시에 연관지식에 대한 인터넷 정보검색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화면을 이리저리 옮겨다니지 않아도 되며, 스마트폰과 같은 별도의 디바이스를 통해 검색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매우 편리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디지털방송 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디지털 데이터방송을 수신하는 셋톱박스가 TV에 방송 콘텐츠를 출력한다(S1100). 셋톱박스는 TV에서 재생 중인 실시간시청채널정보를 서비스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가 실시간시청채널에서 방송 중인 방송 콘텐츠가 실시간으로 내용이 변경되는 생방송 콘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방송 콘텐츠가 생방송 콘텐츠인 경우 콘텐츠인식서버가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음성 또는 영상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한다(S1200). 생방송 콘텐츠는 스포츠 경기, 뉴스, 예술공연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콘텐츠가 VOD 콘텐츠인 경우 부가정보구축서버가 사전저장 데이터베이스에서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연관지식을 검색한다(S1300).
부가정보구축서버가 상기 키워드를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연관지식을 검색하여 실시간저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S1400).
서비스서버가 실시간저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연관지식을 상기 셋톱박스에 전송한다(S1500).
셋톱박스가 연관지식을 방송 콘텐츠가 재생되는 VOD영역에 오버랩하여 표시하거나 VOD영역과 분리되어 있는 제1애플리케이션영역에 표시한다(S1600).
참고로, 본 발명의 디지털방송 제공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언어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6)

  1. (a) 디지털 데이터방송을 수신하는 셋톱박스가 TV에서 재생 중인 실시간시청채널정보를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b) 부가정보구축서버가 사전저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방송 콘텐츠에 관련된 연관지식을 추출하는 단계;
    (c) 콘텐츠인식서버가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음성 또는 영상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d) 부가정보구축서버가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연관지식을 검색하여 실시간저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및
    (e) 상기 서비스서버가 사전저장 데이터베이스 및 실시간저장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저장된 연관지식을 상기 셋톱박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에서 실시간 시청 중인 디지털 데이터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연관지식을 제공하는 데이터방송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콘텐츠인식서버가 콘텐츠제공서버가 저장하고 있는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음성 또는 영상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부가정보구축서버가 상기 키워드를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연관지식을 검색하는 단계; 및
    부가정보구축서버가 연관지식을 사전저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TV에서 실시간 시청 중인 디지털 데이터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연관지식을 제공하는 데이터방송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셋톱박스가 상기 연관지식을 방송 콘텐츠가 재생되는 VOD영역에 오버랩하여 표시하거나 상기 VOD영역과 분리되어 있는 제1애플리케이션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TV에서 실시간 시청 중인 디지털 데이터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연관지식을 제공하는 데이터방송 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음성 또는 영상이 방송된 후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표시된 상기 연관지식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TV에서 실시간 시청 중인 디지털 데이터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연관지식을 제공하는 데이터방송 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VOD영역과 분리되는 제1애플리케이션영역에 검색창과 검색결과반환창이 포함된 검색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검색창에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인터넷 검색결과를 상기 검색결과반환창에 반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TV에서 실시간 시청 중인 디지털 데이터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연관지식을 제공하는 데이터방송 제공방법.
  6. (a) 디지털 데이터방송을 수신하는 셋톱박스가 TV에서 재생 중인 실시간시청채널정보를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b) 서비스서버가 실시간시청채널에서 방송 중인 방송 콘텐츠가 실시간으로 내용이 변경되는 생방송 콘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방송 콘텐츠가 생방송 콘텐츠인 경우 콘텐츠인식서버가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음성 또는 영상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d) 부가정보구축서버가 상기 키워드를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연관지식을 검색하여 실시간저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e) 상기 서비스서버가 실시간저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연관지식을 상기 셋톱박스에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셋톱박스가 상기 연관지식을 방송 콘텐츠가 재생되는 VOD영역에 오버랩하여 표시하거나 상기 VOD영역과 분리되어 있는 제1애플리케이션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생방송 콘텐츠는 스포츠 경기, 뉴스, 예술공연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인,
    TV에서 실시간 시청 중인 디지털 데이터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연관지식을 제공하는 데이터방송 제공방법.
KR1020160002426A 2016-01-08 2016-01-08 Tv에서 실시간 시청 중인 디지털 데이터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연관지식을 제공하는 데이터방송 제공방법 KR201700832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426A KR20170083232A (ko) 2016-01-08 2016-01-08 Tv에서 실시간 시청 중인 디지털 데이터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연관지식을 제공하는 데이터방송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426A KR20170083232A (ko) 2016-01-08 2016-01-08 Tv에서 실시간 시청 중인 디지털 데이터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연관지식을 제공하는 데이터방송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232A true KR20170083232A (ko) 2017-07-18

Family

ID=59430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426A KR20170083232A (ko) 2016-01-08 2016-01-08 Tv에서 실시간 시청 중인 디지털 데이터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연관지식을 제공하는 데이터방송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323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125A (ko)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세븐픽쳐스 개인 취향을 고려한 문학콘텐츠를 제공하는 문학자판기
KR20190066126A (ko)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세븐픽쳐스 개인 취향을 고려한 문학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KR20230021497A (ko) * 2021-08-05 2023-02-14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동영상 스트리밍 방법, 동영상 스트리밍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46584B1 (ko) * 2022-12-26 2024-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125A (ko)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세븐픽쳐스 개인 취향을 고려한 문학콘텐츠를 제공하는 문학자판기
KR20190066126A (ko)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세븐픽쳐스 개인 취향을 고려한 문학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KR20230021497A (ko) * 2021-08-05 2023-02-14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동영상 스트리밍 방법, 동영상 스트리밍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46584B1 (ko) * 2022-12-26 2024-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598B1 (ko) 디지털 티비 방송 제공 시스템과 디지털 티비 및 그 제어방법
US1018226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enabling subtitles based on detecting an accent
US8494346B2 (en) Identifying a performer during a playing of a video
US119628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ing a display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media asset
US92025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broadcast programs
EP336440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sr in the presence of heterographs
US20070136755A1 (en) Video content viewing support system and method
KR101293301B1 (ko) 동영상 자막을 키워드로 이용한 영상 검색 시스템 및 방법
US1172132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content corresponding to a language spoken in a household
US201101384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rogram summary information regarding broadcasting content, method of providing program summary information regarding broadcasting content, and broadcasting receiver
US106022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amification of real-time instructional commentating
US1018227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layback of summary media content
US95423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lternative names
KR20150083355A (ko) 증강 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2101499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supplemental content for a media asset based on a user's personal media collection
KR20170083232A (ko) Tv에서 실시간 시청 중인 디지털 데이터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연관지식을 제공하는 데이터방송 제공방법
US11968428B2 (en) Navigating content by relevance
US2015001294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esenting tag lines associated with media assets
US20090037387A1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and system therefor
KR20200087225A (ko) 전자책에 대한 보충 콘텐츠를 필터링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203315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local event listings with video
CN112291585A (zh) 多媒体资源的搜索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801766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user experience of a user watching video content
JP2019522404A (ja) ユーザデバイス上のメディアアセットの提示中にユーザデバイスの近傍の表示のために補充コンテンツを選択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WO201921261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supplemental content for a media asset based on a user's personal media coll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