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985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1985A
KR20170081985A KR1020160001075A KR20160001075A KR20170081985A KR 20170081985 A KR20170081985 A KR 20170081985A KR 1020160001075 A KR1020160001075 A KR 1020160001075A KR 20160001075 A KR20160001075 A KR 20160001075A KR 20170081985 A KR20170081985 A KR 20170081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input
external device
conten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1611B1 (ko
Inventor
윤승일
이지효
윤현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1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611B1/ko
Priority to EP16207521.2A priority patent/EP3190787B1/en
Priority to CN201780001265.5A priority patent/CN108605109B/zh
Priority to PCT/KR2017/000007 priority patent/WO2017119682A2/en
Priority to US15/397,297 priority patent/US10032434B2/en
Publication of KR20170081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985A/ko
Priority to US16/014,157 priority patent/US1051560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27Monitoring of local network, e.g. connection or bandwidth variations; Detecting new devices in the 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4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04N5/505Invisible or silent tu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2Use of DVI or HDMI protocol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 H04N2005/44556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소스 중 기선택된 제1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복수의 소스 중 제2 소스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상태의 변화가 감지되면, 제1 소스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소스 전환이 가능함을 알리는 UI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제2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소스로부터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 중 대표적인 예로, TV가 있다. 최근 판매되는 TV는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방송 컨텐츠 뿐만 아니라, DVD 플레이어나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소스의 입력들까지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소스들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사용자는 특정 소스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소스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었다.
그러나, 소스 간의 전환을 위해, 사용자는 먼저 소스 선택을 위한 메뉴를 선택해야하고, 그리고 메뉴 안에서 원하는 소스를 선택해야하는 조작 등 단계적인 여러 조작을 수행하여야 하였다.
특히, 리모컨에 의해 이와 같은 조작이 수행되어야하는 경우엔 원하는 소스가 선택될 때까지 방향키를 반복하여 눌러야 하는 등 사용자 입장에선 불편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 더 편리하게 소스를 전환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소스 전환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소스 중 기선택된 제1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복수의 소스 중 제2 소스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상태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소스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소스 전환이 가능함을 알리는 UI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제2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복수의 소스 중 기선택된 제1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소스 중 제2 소스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상태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소스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소스 전환이 가능함을 알리는 UI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제2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복수의 소스 중 기선택된 제1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소스 중 제2 소스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상태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소스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소스 전환이 가능함을 알리는 UI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제2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2는 외부 장치의 전원 상태의 변화 감지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스 전환 방식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외부 장치의 전원 상태의 변화 감지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스 전환 방식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현재 선택된 소스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로부터의 컨텐츠 입력이 중단됨을 감지함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스 전환 방식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외부 장치의 전원 온을 감지한 경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8은 외부 장치의 전원 오프 또는 절전 모드로의 전환을 감지한 경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모두 도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스마트 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PC, 모니터, 프로젝터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구성이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CRT(cathode-ray tub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OLED(transparent 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소스 중 선택된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소스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영상 신호 및/또는 음향 신호를 제공하는 다양한 소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소스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입출력 포트(미도시)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외부 장치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메모리일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영상, 음성, 음악, 데이터 등을 의미한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CPU, 램(RAM), 롬(ROM), 시스템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롬은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가 저장되는 구성이고, CPU는 롬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장부에 저장된 운영체제를 램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는 저장부에 저장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램에 복사하고,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프로세서(120)가 하나의 CPU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복수의 CPU(또는 DSP, So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소스 중 제2 소스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상태의 변화가 감지되면, 기 선택된 제1 소스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소스 전환이 가능함을 알리는 UI(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제2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제1 소스" 와 "제2 소스"의 용어는 서로 다른 복수의 소스를 구분하기 위함이지, 어느 특정한 소스를 지칭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외부 장치의 전원 상태의 변화란, 외부 장치가 절전 상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전원 온 상태로 변화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오프 상태는 외부 장치에서 전원 케이블의 플러그가 전원 콘센트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며, 절전 상태란 외부 장치에서 전원 케이블의 플러그가 전원 콘센트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절전 상태와 전원 오프 상태 모두 외부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 입력이 중단된 상태, 즉 컨텐츠 입력이 가능하지 않은 상태이며, 외부 장치의 전원 온 상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 입력이 가능한 상태이다.
또 다른 예로서 제2 소스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상태의 변화란, 전원 온 된 외부 장치가 제2 소스에 연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것은 가령, 전원 온 된 외부 장치의 케이블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입출력포트에 연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소스 중 제2 소스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상태의 변화가 감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기 선택된 제1 소스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기 선택된 제1 소스란, 현재 선택되어 있는 소스를 의미한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기 선택된 제1 소스의 영상이 표시되는지 또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기 선택된 제1 소스의 음향이 출력되는지에 기초하여 기 선택된 제1 소스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기 선택된 제1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기 선택된 제1 소스로부터의 컨텐츠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영상 분석은 공지된 다양한 방식에 의할 수 있다. 예컨대, 기 저장된 영상과 현재 표시 중인 영상과의 비교 분석 방식이 사용되거나, 현재 표시 중인 영상의 오브젝트 분석, 색상 분석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기 선택된 제1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이 스크램블 영상(scrambled image)인지를 판단하여 기 선택된 제1 소스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 선택된 제1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이 스크램블 영상이면 기 선택된 제1 소스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스크램블 영상이란, 선택된 소스로부터 컨텐츠 입력이 없는 경우에 표시되는 영상으로서, 이는 일 예에 불과하므로, 선택된 소스로부터 컨텐츠 입력이 없는 경우에 표시는 것으로 결정된 어떠한 영상이라도 스크램블 영상처럼 취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기 선택된 제1 소스가 외부 장치의 소스이면, 프로세서(120)는 기 선택된 제1 소스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상태에 기초하여 기 선택된 제1 소스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기 선택된 제1 소스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이 절전 상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인 경우 컨텐츠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외부 장치의 전원이 전원 온 상태인 경우 컨텐츠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와 같은 판단 결과, 기 선택된 제1 소스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을 바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현재 아무런 컨텐츠도 표시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 장치의 전원이 온 되었다는 것은, 사용자가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시청하겠다는 의도가 있다는 것이므로, 제1 소스로부터 제2 소스로 자동 소스 전환을 함으로써 사용자 의도에 부합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실시 예에 대해선 이하 도 2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반면에, 기 선택된 제1 소스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120)는 소스 전환이 가능함을 알리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UI는 제1 소스로부터 제2 소스로 전환이 가능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메시지, 제2 소스로 전환하기 위한 버튼 및 UI 제거를 위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외부 장치의 전원이 온 된 경우라도 사용자는 현재 시청 중이던 컨텐츠를 계속하여 시청할 의사가 있을 수도 있으므로, 자동 전환하지 않고 사용자 선택에 의해 수동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대해선 이하 도 3을 통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다른 소스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소스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현재 스크램블 영상(210)이 표시되고 있는 상황에 프로세서(120)가 제2 소스(HDMI 2)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상태의 변화를 감지하면, 즉, HDMI 2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이 온 되는 것을 감지하면, 프로세서(120)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영상이 스크램블 영상인 것을 파악하여, 현재 선택된 제1 소스(21)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제1 소스(21)의 전원 상태를 파악하여, 제1 소스(21)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고 있지 않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HDMI 2로 소스를 자동전환하여, HDMI 2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22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220)과 함께, 소스 전환이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23)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동 소스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현재 선택된 제1 소스의 영상(310)이 표시되고 있는 상황에 프로세서(120)가 제2 소스(HDMI 2)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상태의 변화를 감지하면, 즉, HDMI 2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이 온 되는 것을 감지하면, 프로세서(120)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영상을 분석하여, 현재 선택된 제1 소스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현재 선택된 제1 소스의 전원 상태에 기초하여, 제1 소스(21)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HDMI 2로 소스를 자동전환하기보다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영상(310) 위에 소스 전환이 가능함을 알리는 UI(311)를 표시할 수 있다. UI(311)는, 소스 전환이 가능한 외부 장치, 즉 전원의 상태 변화가 감지된 외부 장치에 대응되는 소스명과, 해당 소스로 전환할 것인지 문의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UI(311)는 소스 전환 동의 버튼(31)과 UI(311) 제거를 위한 버튼(32)을 포함할 수 있다.
UI(311)에서 소스 전환 동의 버튼(31)이 선택되면 프로세서(120)는 HDMI 2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32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320)과 함께, 소스 전환이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33)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UI(311) 제거를 위한 버튼(32)이 선택되면, 프로세서(120)는 UI(311)를 제거하고, 제1 소스(21)의 영상이 계속하여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UI 상의 버튼 선택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리모컨에 의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 자체에 마련된 조작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현재 선택된 소스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로부터 컨텐츠 입력이 중단되면, 복수의 소스 중 컨텐츠 제공이 가능한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외부 장치로부터 컨텐츠 입력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외부 장치의 전원이 전원 온 상태에서 절전 상태 또는 전원 오프 상태로 변환되는 경우, 외부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케이블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현재 선택된 소스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로부터 컨텐츠 입력이 중단된 것을 감지하면, 다른 소스에서 컨텐츠가 제공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입출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신호 및/또는 사운드 신호를 분석하여 컨텐츠가 재생중인 외부 장치를 판단하고, 컨텐츠가 재생 중인 외부 장치를 컨텐츠 제공 가능한 소스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소스가 하나 있으면, 그 소스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소스가 복수 개이면, 프로세서(120)는 기 설정된 방식에 따라, 복수 개의 소스 중 하나의 소스를 선택하여 선택된 소스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방식이란, 랜덤으로 소스를 선택하는 방식, 가장 최근에 선택된 소스를 선택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우들에 있어서, 컨텐츠를 제공 가능한 소스의 영상이 바로 표시되도록 하는 대신에, 프로세서(120)는 해당 소스로 전환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UI는 도 3에서 설명한 UI 와 유사한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를 제공 가능한 소스가 복수 개이면, 복수의 소스에 대한 리스트를 포함하는 UI가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소스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 예에 대해선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소스 전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복수의 소스가 존재하고, 각각은 TV 소스(41), HDMI 1 소스(42), HDMI 2 소스(43), AV 1 소스(44)이다. 그리고 현재 선택된 소스는 HDMI 1 소스(42)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HDMI 1 소스(42)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가 전원이 오프 또는 절전 모드로 변환되면, 프로세서(120)는 나머지 소스들 중 컨텐츠 제공이 가능한 소스를 탐색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제공이 가능한 소스가 HDMI 2 소스(43)이면, 프로세서(120)는 HDMI 2 소스(43)에 대응되는 영상(410)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소스 전환을 알리는 메시지(415)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 컨텐츠 제공이 가능한 소스가 없다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절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외부 장치의 전원이 오프 또는 절전 모드가 되었을 때,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소스들의 컨텐츠 제공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되거나 절전 모드로 되고, 또는, 자동으로 컨텐츠 제공 가능한 다른 소스로 전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프로세서(120) 이외에도, 무선 인터페이스(130), 입출력포트(140), 저장부(150), 튜너(160), 신호처리부(170), USB 포트(175), USB 호스트(180), HDMI 스위치(185), 스피커(190) 등과 같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 프로세서(120)의 동작중에서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동작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무선 인터페이스(130)는 각종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인터페이스(130)는 와이파이, 와이파이 다이렉트, 와이기그(WiGig, Wireless Gigabit Alliance), Zigbee, 블루투스, IR(Infrare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방식으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무선 인터페이스(130)는 원격제어장치(미도시)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서와 같이 소스 전환이 가능함을 알리는 UI(311)가 표시되고,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소스 전환 동의 버튼(31)에 대응되는 제어신호가 무선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수신되면, 프로세서(120)는 소스 전환을 할 수 있다.
입출력 포트(140)는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의미한다.
입출력포트(140)에는 안테나 입력 포트(141-1, 141-2), 컴포넌트 포트(142), 오디오 입력 포트(143),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입력포트 1 ~ n(144-1 ~ 144-n)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5에서는 입출력 포트(140)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일 뿐이며, 각 포트의 종류, 배치 위치, 개수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포트(140)는 PC 입력 포트, EX-LINK 포트, LAN(Local Area Network) 포트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소스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의 변화를 다양한 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입력포트 1 ~ n(144-1 ~ 144-n)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의 전원 상태 변화를 HDMI-CEC(Consumer Electronic Control) 기능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장치가 절전 모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전원 온 상태로 변하거나, 전원 온 상태에서 절전 모드 또는 전원 오프 상태로 변하면, 프로세서(120)는 이를 감지하여, 상술한 것과 같이 소스를 전환하거나, 특정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 상태를 절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튜너(160)는 안테나 입력 포트 1 또는 2(141-1, 141-2)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채널을 선국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안테나 입력 포트 1(141-1)은 디지털 방송 전용이고, 안테나 입력 포트 2(141-2)는 아날로그 방송, 유선 방송, 디지털 방송 공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안테나 입력 포트 2(141-2)를 통해 아날로그 방송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신호 처리부(170)를 제어하여 아날로그 방송 컨텐츠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한다.
신호 처리부(170)는 아날로그 방송이 수신되면, 그 신호를 임의의 주파수로 샘플링한 후, ADC(Analog to Digital Converting)을 수행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5에서는 하나의 신호 처리부(170)만을 도시하고, 그 신호 처리부(170)가 아날로그 신호 처리를 전부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디오 프로세서, 오디오 프로세서 등과 같이 복수의 신호 처리부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에서는 오디오 입력 포트(143)를 하나만 도시하였으나, 디지털 오디오 입력 포트 및 아날로그 오디오 입력 포트와 같이 복수 개의 입력 포트가 구비될 수도 있다.
스피커(190)는 오디오 입력 포트(143)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거나, 그 밖의 입출력 포트, USB 포트 등을 통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입출력 포트(14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포트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USB 포트(175)는 각종 USB 소스가 연결될 수 있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USB 포트(175)에는 USB 메모리 스틱이나 외부 단말 장치 등이 연결될 수 있다.
USB 호스트(180)는 USB 포트(175)에 연결된 외부 소스와 연동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USB 포트(175)에 USB 메모리 스틱이 연결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USB 호스트(180)를 통해 그 USB 메모리 스틱에 저장된 파일을 독출한 후, 독출된 파일을 디스플레이부(110)에서 표시할 수 있다.
HDMI 스위치(185)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의해 복수의 HDMI 포트(144-1 ~ 144-n)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본체 버튼 등을 이용하여 HDMI 포트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프로세서(120)는 그 선택 신호를 HDMI 스위치(185)로 제공한다. HDMI 스위치(185)는 선택 신호에 대응되는 HDMI 포트를 선택하여, 그 선택된 HDMI 포트를 통해 컨텐츠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도 4에서 설명한 실시 예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현재 선택된 소스로부터 컨텐츠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HDMI 포트들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들에서 영상 및/또는 사운드가 재생중인지 순차적으로 감지하고, 재생이 감지된 HDMI 포트를 선택하여, 그 선택된 HDMI 포트를 통해 컨텐츠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저장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저장부(150)는 RAM, ROM, HDD(Hard Disk Drive), 플래시 메모리, 버퍼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메모리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입출력포트(140)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도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장치의 전원 상태 변화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소스 중 기선택된 제1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한다(S610). 기 선택된 제1 소스에서 영상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크램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기 선택된 제1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은 스크램블 영상일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 기 선택된 제1 소스에서 영상이 제공되는 경우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그 제공되는 영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제1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 표시 중에, 복수의 소스 중 제2 소스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상태의 변화가 감지되면, 제1 소스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620).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제1 소스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 중인 영상 분석을 통하거나, 제1 소스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컨텐츠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판단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스 전환이 가능함을 알리는 UI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제2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630). 구체적으로, 제1 소스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을 바로 표시하는 대신에, 제2 소스로 소스 전환을 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고, 반면에, 제1 소스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소스로 자동전환을 한다.
도 7은 외부 장치의 전원 상태가 절전 모드였다가 전원 온 되었을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먼저 외부 장치(A)의 전원이 온된 것을 감지하면(S71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장치(A)가 현재 선택된 소스에 대응되는지 판단한다(S720).
외부 장치(A)가 현재 선택된 소스에 대응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현재 선택된 소스의 영상을 분석한다(S74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현재 선택된 소스의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 및/또는 사운드가 재생중인지 판단하고(S740), 영상 및/또는 사운드가 재생중이 아닌 경우, 바로 외부 기기(A)로 소스를 전환한다(S750).
만약, 현재 선택된 소스에서 영상 및/또는 사운드가 재생중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바로 외부 기기(A)로 소스를 전환하지 않고, 소스를 전환할 것인지 문의한다(S760).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스를 전환할 것인지 문의하는 음성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소스를 전환할 것인지 문의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표시하거나, 그러한 UI 화면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원격제어장치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원격제어장치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전환 동의가 있는지 판단하여(S770), 전환 동의가 있으면(예컨대 표시된 UI의 OK 버튼 선택), 외부 기기(A)로 소스 전환을 한다(S750). 전환이 비동의되면(예컨대 표시된 UI의 취소 버튼 선택), 그대로 현재 선택된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을 계속하여 표시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의 전원이 온 되었을 때, 현재 표시 중인 영상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전원 온된 외부 장치로 소스 전환을 하거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소스 전환을 할 수게 되므로, 상황에 맞게 적절한 소스 전환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 8은 외부 장치의 전원 상태가 전원 온 상태였다가 절전 모드 또는 전원 오프가 되었을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먼저, 먼저 외부 장치(A)의 전원이 오프 또는 절전 모드로된 것을 감지하면(S81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장치(A)가 현재 선택된 소스에 대응되는지 판단한다(S820).
외부 장치(A)가 현재 선택된 소스에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른 소스에 외부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지 감지한다(S830).
다른 소스에 외부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연결되어 있는 외부 장치별로 영상 및/또는 사운드를 분석한다(S840). 분석을 통해, 영상 및/또는 사운드를 재생중인 소스가 있는지 판단한다(S850). 만약 그러한 소스가 없는 경우라면, 바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상태를 절전 모드로 전환한다(S860).
분석을 통해,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를 재생중인 소스가 외부 장치(B)에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외부 장치(B)로 소스를 바로 전환하거나, 소스 전환을 할 것인지 문의한다(S870).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스를 전환할 것인지 문의하는 사운드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소스를 전환할 것인지 문의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표시하거나, 그러한 UI 화면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원격제어장치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원격제어장치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전환 동의가 있으면, 외부 장치(B)로 소스를 전환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의 전원이 오프 또는 절전 모드로 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장치에서 컨텐츠가 재생 가능한지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추가 조작 없이도, 바로 컨텐츠가 재생 가능한 외부 장치로 소스 전환을 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절전 모드로 전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존재한다.
또한,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프로세서

Claims (17)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소스 중 기선택된 제1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복수의 소스 중 제2 소스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상태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소스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소스 전환이 가능함을 알리는 UI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제2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제1 소스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이 스크램블 영상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1 소스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스가 외부 장치의 소스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소스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소스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소스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가 절전 상태에서 전원 온 상태로 변환되면, 상기 제1 소스로부터의 컨텐츠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전원 온 된 외부 장치가 상기 제2 소스에 연결되면, 상기 제1 소스로부터의 컨텐츠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현재 선택된 소스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로부터 컨텐츠 입력이 중단되면, 상기 복수의 소스 중 컨텐츠 제공이 가능한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소스 중 컨텐츠 제공이 가능한 소스가 없으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 상태를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소스 중 기선택된 제1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소스 중 제2 소스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상태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소스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소스 전환이 가능함을 알리는 UI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제2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제1 소스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이 스크램블 영상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1 소스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스가 외부 장치의 소스이면,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소스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소스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소스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가 절전 모드에서 전원 온 상태로 변환되면, 상기 제1 소스로부터의 컨텐츠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전원 온 된 외부 장치가 상기 제2 소스에 연결되면, 상기 제1 소스로부터의 컨텐츠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현재 선택된 소스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로부터 컨텐츠 입력이 중단되면, 상기 복수의 소스 중 컨텐츠 제공이 가능한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스 중 컨텐츠 제공이 가능한 소스가 없으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 상태를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7.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복수의 소스 중 기선택된 제1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소스 중 제2 소스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상태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소스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소스 전환이 가능함을 알리는 UI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제2 소스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KR1020160001075A 2016-01-05 2016-01-0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411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075A KR102411611B1 (ko) 2016-01-05 2016-01-0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EP16207521.2A EP3190787B1 (en) 2016-01-05 2016-12-30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780001265.5A CN108605109B (zh) 2016-01-05 2017-01-02 显示装置和用于控制该显示装置的方法
PCT/KR2017/000007 WO2017119682A2 (en) 2016-01-05 2017-01-02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5/397,297 US10032434B2 (en) 2016-01-05 2017-01-03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6/014,157 US10515607B2 (en) 2016-01-05 2018-06-21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075A KR102411611B1 (ko) 2016-01-05 2016-01-0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985A true KR20170081985A (ko) 2017-07-13
KR102411611B1 KR102411611B1 (ko) 2022-06-21

Family

ID=57868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075A KR102411611B1 (ko) 2016-01-05 2016-01-0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032434B2 (ko)
EP (1) EP3190787B1 (ko)
KR (1) KR102411611B1 (ko)
CN (1) CN108605109B (ko)
WO (1) WO2017119682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0956A1 (en) * 2016-12-12 2018-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presenting status of external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90035145A (ko) * 2017-09-26 2019-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WO2021206213A1 (en) * 2020-04-09 2021-10-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611B1 (ko) * 2016-01-05 2022-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WO2018236337A1 (en) * 2017-06-19 2018-12-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OCESSORS OF AUDIO, VIDEO AND VOICE COMMUNICATION
KR102369121B1 (ko) * 2017-10-12 2022-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KR102417418B1 (ko) * 2017-12-12 2022-07-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JP6936165B2 (ja) * 2018-02-19 2021-09-15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及び表示制御方法
WO2020171245A1 (ko) * 2019-02-18 202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7003079B2 (ja) * 2019-03-14 2022-01-20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TWI722577B (zh) * 2019-09-20 2021-03-21 技嘉科技股份有限公司 可切換影像來源的顯示器及操作系統
US10848829B1 (en) * 2019-11-20 2020-11-24 Roku, Inc. Automatic audio source selection system
KR102364317B1 (ko) 2020-07-14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TW202227961A (zh) * 2021-01-12 2022-07-16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98656A1 (en) * 2006-06-22 2007-12-27 Good Mind Industries Co., Ltd. Switch apparatus for multiple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sources
US20130083243A1 (en) * 2011-09-29 2013-04-04 Joseph M. Freund Digital television with improved input selection functionality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248A (ja) * 1994-07-20 1996-02-02 Fujitsu General Ltd 省電力型映像表示システム
US6587154B1 (en) * 1998-09-30 2003-07-01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video signals
KR100297526B1 (ko) 1998-11-21 2002-03-15 권준상 외부음성/영상신호를자동으로텔레비젼에표시하는장치
KR100487303B1 (ko) 2000-07-18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외부기기의 자동 절환 제어장치 및 방법
EP1529397A2 (en) 2002-07-18 2005-05-11 Thomson Licensing S.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number of video titles available at power on
KR100510142B1 (ko) * 2003-06-24 2005-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다중 비디오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장치 및 방법
US7643706B2 (en) * 2005-01-07 2010-01-05 Apple Inc. Image management tool with calendar interface
KR20060131160A (ko) 2005-06-15 2006-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기기의 외부 입력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20070058925A (ko) * 2005-12-05 2007-06-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텔레비전의 제어방법
TWI384870B (zh) * 2006-01-03 2013-02-01 Mstar Semiconductor Inc 自動偵測影音訊號的影音切換方法及其相關裝置
US20070220150A1 (en) * 2006-03-01 2007-09-20 Cypress Semiconductor Corp. Source Switching Method for Multimedia Interface
JP2008177935A (ja) * 2007-01-19 2008-07-31 Toshiba Corp 表示装置
US8810732B1 (en) * 2007-02-09 2014-08-19 Aliphcom Auto-select algorithm for a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switch
JP5193523B2 (ja) * 2007-08-06 2013-05-08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および出力切替制御方法
KR20090032229A (ko) * 2007-09-27 2009-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입력 장치와 연결된 영상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방법을 채용한 영상기기
KR20090075216A (ko) * 2008-01-03 2009-07-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텔레비전의 외부입력모드 자동전환방법
JP2011086992A (ja) 2009-10-13 2011-04-28 Funai Electric Co Ltd 映像表示システム
KR102411611B1 (ko) * 2016-01-05 2022-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98656A1 (en) * 2006-06-22 2007-12-27 Good Mind Industries Co., Ltd. Switch apparatus for multiple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sources
US20130083243A1 (en) * 2011-09-29 2013-04-04 Joseph M. Freund Digital television with improved input selection functionalit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0956A1 (en) * 2016-12-12 2018-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presenting status of external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90035145A (ko) * 2017-09-26 2019-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WO2021206213A1 (en) * 2020-04-09 2021-10-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455083B2 (en) 2020-04-09 2022-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90787B1 (en) 2020-04-22
EP3190787A1 (en) 2017-07-12
US10032434B2 (en) 2018-07-24
US20180301112A1 (en) 2018-10-18
US10515607B2 (en) 2019-12-24
US20170193962A1 (en) 2017-07-06
WO2017119682A3 (en) 2018-07-19
CN108605109A (zh) 2018-09-28
WO2017119682A2 (en) 2017-07-13
CN108605109B (zh) 2020-12-15
KR102411611B1 (ko)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161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406380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8478910B2 (en) Supply device and processing device as well as instruction method
KR20150030507A (ko) 오디오 처리 장치, 오디오 처리 방법, 초기화 모드 설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200029854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255406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5033433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90306555A1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US8928818B2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070159555A1 (en) Video displaying device
US10681462B2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nd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246099B1 (ko) 영상처리시스템, 영상표시장치, 영상송신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영상송신장치의 구동방법
JP5777727B2 (ja) テレビジョン装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及び操作信号指示装置
KR20150096880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0004289A (ja) 表示装置
JP2013186707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2015002473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90065601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54575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429801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メニューディスプレイ方法
KR20100025701A (ko) 영상표시기기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 및 방법
JP2009218716A (ja) 接続装置及び接続方法
JP2013223006A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