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0386A - 중공채널을 갖는 이어셋 - Google Patents

중공채널을 갖는 이어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0386A
KR20170080386A KR1020160009572A KR20160009572A KR20170080386A KR 20170080386 A KR20170080386 A KR 20170080386A KR 1020160009572 A KR1020160009572 A KR 1020160009572A KR 20160009572 A KR20160009572 A KR 20160009572A KR 20170080386 A KR20170080386 A KR 20170080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tube
microphone
driver unit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6652B1 (ko
Inventor
김은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르페오사운드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르페오사운드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르페오사운드웍스
Priority to PCT/KR2016/01398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116021A1/ko
Publication of KR20170080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1/00Transducers of moving-armature or moving-core type
    • H04R11/02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H04R7/20Securing diaphragm or cone resiliently to support by flexible material, springs, cords, or str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1Centering
    • H04R9/043Inner suspension or damper, e.g. spi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5Mou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중공채널을 갖는 이어셋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중공채널을 갖는 이어셋은 케이스와, 케이스에 내장된 스피커와, 스피커의 전방에서 스피커 음향의 출력공간과 격리되는 튜브와, 튜브 내부에 삽입된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피커 음향의 출력공간에 마이크로폰이 설치되어 별도의 마이크로폰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이어셋의 전체 부피를 콤팩트화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 전방에 배치되는 마이크로폰이 튜브에 의해 스피커 음향의 출력공간과 격리되므로 하울링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이 동일방향으로 설치되므로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의 배선단자간 접촉 방지를 위한 별도의 공간 및 절연체를 구성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케이스 후미로 배선을 함께 인출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이 단순해져 대량생산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중공채널을 갖는 이어셋{Earset with center channel through speaker}
본 발명은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이 함께 설치되는 이어셋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스피커 전방에 마이크로폰이 내장되는 중공채널을 형성시켜 전체 부피를 콤팩트화하는 중공채널을 갖는 이어셋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헤드폰에 사용되는 진동판 드라이버는 다이나믹 드라이버 유닛(Dynamic driver unit)과 밸런스드 아마추어 드라이버 유닛(Balanced armature driver unit)으로 대별될 수 있다.
밸런스드 아마추어 드라이버 유닛은 다이나믹 드라이버 유닛에 대비하여 소형이지만 고가이다.
이에 다이나믹 드라이버 유닛을 사용하는 이어폰은 밸런스드 아마추어 드라이버 유닛을 사용하는 이어폰에 대비하여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
더구나, 이어폰에 마이크로폰이 함께 삽입되는 이어셋의 경우에는 그 크기가 더욱 커지게 된다.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을 일체화시킨 이어셋은, 외이도로 음향을 전달하는 기능과 사용자 음성을 집음하는 기능을 하나의 바디(Body)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통상, 스피커는 음향 전달을 위해 외이도 방향을 향하게 되며, 마이크로폰은 사용자 음성을 집음하기 위해 귓바퀴 외부로 노출시키게 된다.
그런데, 외부로 노출된 마이크로폰에는 사용자 음성뿐 아니라, 외부 소음도 함께 집음되게 된다.
이에 외부 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이크로폰을 외이도 방향으로 설치한 이어셋이 제안된 바 있으나, 마이크로폰을 외이도 근처에 위치시키게 되면, 스피커에서 출력된 음향이 마이크로폰으로 유입되어 하울링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하울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부 공간을 상하 또는 좌우 물리적으로 구분하여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향의 경로와 마이크로폰으로 집음되는 음성의 경로를 분리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어셋에는 소형인 밸런스드 아마추어 드라이버 유닛만 적용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그러면, 여기서 기존 이어셋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기존 이어셋의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 이어셋은, 케이스(1) 내부에 스피커(2)와 마이크로폰(3)이 함께 설치되며, 스피커(2)로부터 출력된 음향의 방향과 마이크로폰(3)으로 집음되는 음성의 방향을 고려하여 스피커(2)와 마이크로폰(3)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피커(2)에서 출력된 음향이 마이크로폰(3)으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피커(2)와 마이크로폰(3)은 캡(Cap)(4, 5)으로 커버되어 있다. 또한, 캡(4, 5)을 케이스(1)에 밀착 형성시킴으로써 스피커(2)와 마이크로폰(3)의 설치공간을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3)을 커버하는 캡(5)은 집음을 위한 집음홀(Hole ; H)이 형성되며, 이는 케이스(1)에 형성된 집음홀(H)과 연통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존 이어셋은, 스피커(2)와 마이크로폰(3)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치함으로 인해 각각의 설치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전체 부피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더구나 스피커(2)로서 다이나믹 드라이버 유닛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더욱 부피가 커지게 된다. 또한, 스피커(2)와 마이크로폰(3)의 접속단자가 후미에 각각 배치되므로 스피커(2)와 마이크로폰(3)의 접속단자간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공간을 별도로 마련하거나 절연체를 삽입하여야 하므로 부피가 더욱 커지게 된다. 한편, 기존 이어셋은 상기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3)으로 외부 소음이 집음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스피커(2)와 마이크로폰(3)으로부터 인출되는 배선, 특히 마이크로폰(3)의 배선을 케이스(1) 후미로 인출하여야 하므로 케이스(1) 내부의 프레임 구조가 복잡해질 뿐 아니라 제조가 복잡해지게 된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제10-0388806호, "초소형 일체 이어마이크로폰"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제10-1185803호, "소형의 커널형 이어폰"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피커 음향의 출력공간과 격리되며 마이크로폰이 내장되는 중공채널을 스피커 전방에 형성시켜 설치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전체 부피를 콤팩트화할 수 있도록 하는 중공채널을 갖는 이어셋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중공채널을 갖는 이어셋은, 바람직하게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내장된 스피커; 상기 스피커의 전방에서 스피커 음향의 출력공간과 격리되는 튜브; 및 상기 튜브 내부에 삽입된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스피커 전방에는 마이크로폰이 내장된 중공채널이 형성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스피커로는 다이나믹 드라이버 유닛 또는 밸런스드 아마추어 드라이버 유닛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이나믹 드라이버 유닛 및 밸런스드 아마추어 드라이버 유닛은 상기 튜브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다이나믹 드라이버 유닛 및 밸런스드 아마추어 드라이버 유닛의 중앙을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피커에 다이나믹 드라이버 유닛을 적용한 경우, 상기 다이나믹 드라이버 유닛은, 중공된 콘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서 진동하는 중공된 콘형상의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전단을 상기 프레임의 전단에 탄력적으로 지지시키는 에지 서라운드(Edge surround); 상기 진동판의 후측에서 전단측이 상기 진동판의 중앙 부위에 고착되는 보빈; 외측 둘레는 상기 프레임에 고착 지지되고 내측 둘레는 상기 보빈에 고착된 댐퍼(Damper); 상기 보빈에 권선된 보이스 코일; 상기 보이스 코일을 지지하는 스파이더(Spider); 상기 보이스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는 링형상의 영구자석; 상기 프레임과 상기 영구자석 사이에 고착 배치되는 링형상의 프론트 플레이트(Front Plate); 상기 영구자석의 하부를 덮는 링형상의 리어 플레이트(Rear Plate); 및 상기 영구자석 및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기 보빈이 상하로 진동하는 진동공간을 두고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서 상기 보빈의 내측으로 돌출된 링형상의 폴 피스(Pole piece)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진동판의 중앙에 배치되는 중공된 더스트 캡(Dust Ca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튜브는 프론트 플레이트, 리어 플레이트, 폴 피스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튜브는 집음 입구측이 콘형상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튜브의 일측은 상기 스피커를 관통하여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지지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튜브의 타측은 집음 입구측에서 형성되는 고정프레임에 고정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튜브는 금속, 플라스틱, 고무 재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중공채널을 갖는 이어셋에 따르면, 스피커 음향의 출력공간에 마이크로폰이 설치되어 별도의 마이크로폰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이어셋의 전체 부피를 콤팩트화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 전방에 배치되는 마이크로폰이 튜브에 의해 스피커 음향의 출력공간과 격리되므로 하울링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이 동일방향으로 설치되므로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의 배선단자간 접촉 방지를 위한 별도의 공간 및 절연체를 구성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케이스 후미로 배선을 함께 인출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이 단순해져 대량생산이 용이하다.
도 1은 기존 이어셋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어셋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어셋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다이나믹 드라이버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다이나믹 드라이버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콘형상 튜브가 적용된 이어셋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튜브의 고정프레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마이크로폰의 종류에 따른 튜브의 변형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마이크로폰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수단", "~부", "~모듈", "~블록"으로 명명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들 각각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중공채널을 갖는 이어셋이 구현된 일 예를 특정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어셋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어셋은, 케이스(11)와, 케이스(11)의 일측에 형성된 노즐(12)과, 잭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은 케이스(11) 내부로 인입된 케이블(13)과, 노즐(1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이어팁(1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12)을 형성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케이스(11)의 일측을 개방시키고 개방된 일측을 메쉬망 등으로 커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노즐(12) 입구에는 튜브를 고정지지하는 고정프레임(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어셋은, 케이스(11) 내부에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을 설치하고 있으며,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을 함께 설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부피증가를 방지하고 있다. 그러면, 이어셋의 부피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어셋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어셋은, 케이스(11)와, 케이스(11)에 내장된 스피커(16)와, 스피커(16) 전방에 설치되어 스피커(16) 음향의 출력공간과 격리되는 튜브(17)와, 튜브(17) 내부에 삽입된 마이크로폰(18)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이어셋은, 스피커(16) 전방에 마이크로폰(18)을 형성시키고 있으며, 스피커(16)와 마이크로폰(18)이 튜브(17)에 의해 격리되어 있다. 즉, 마이크로폰(18)을 위한 중공채널이 형성되며, 이 중공채널에 의해 스피커(16) 음향의 출력공간과 격리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스피커(16)의 설치공간에 마이크로폰(18)을 삽입함으로써 마이크로폰(18)의 설치공간이 필요없게 된다. 게다가, 스피커(16) 전방의 공간(S)을 기존 이어셋보다 더 확보했음에도 불구하고 콤팩트한 사이즈를 유지시킬 수 있다.
스피커(16)는 다이나믹 드라이버 유닛과 밸런스드 아마추어 드라이버 유닛을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다이나믹 드라이버 유닛을 이용할 경우에도 콤팩트한 이어셋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적용하는 다이나믹 드라이버 유닛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밸런스드 아마추어 드라이버 유닛을 적용할 경우에는 대역별로 다수의 밸런스드 아마추어 드라이버 유닛을 내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튜브(17)는 원통형 또는 각형의 중공관일 수 있으며,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튜브(17)는 노즐(12)부터 스피커(16)의 구성, 즉 벤트(Vent), 리어 플레이트, 폴 피스, 프론트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으나, 스피커(16) 전체를 관통하여 케이스(11) 내부에 형성된 지지대(미도시)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튜브(17)가 지지대(미도시)에 고정되어 스피커(16)의 구성과 이격됨으로써 스피커(16)의 진동이 튜브(17)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튜브(17)는 금속, 플라스틱, 고무 재질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의 경우에는 튜브(17) 직경보다 큰 마이크로폰(18)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타 위치의 튜브(17) 직경보다 노즐(12)측의 튜브(17) 직경을 크게 형성(콘(Corn)형상)시켜 효과적인 집음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노즐(12)측 튜브(17)의 직경이 커짐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16)로부터 출력된 음향이 방사상으로 퍼져 진행하게 되므로 마이크로폰(18)으로 음향이 입력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노즐(12)측 튜브(17)의 단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12)에 고정 및 지지되는 고정프레임(15)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15)은 메쉬망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노츨(12)측 입구에 고정되면서 튜브(17)를 고정시키는 구성을 충족하면 된다. 고정프레임(15)은 튜브(17)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되어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폰(18)이 삽입된 위치의 튜브(17)는 스피커(16)로부터 출력된 음향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튜브(17)는 노즐(12) 입구 또는 케이스(11) 입구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외이도 측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스피커(16) 음향의 출력 공간까지만 연장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직선 형태의 튜브(17)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곡선 형태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6) 전방 중앙을 형성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일측으로 편향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18)은 분리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튜브(17)에 삽입되거나 조립된다. 이에 케이스(11) 내부에 형성된 스피커(16)부터 노즐(12)까지의 스피커(16) 음향의 출력공간과 마이크로폰(18)이 격리되게 된다. 튜브(17) 내에서 마이크로폰(18)의 설치 위치는 스피커(16)로 인한 에코, 하울링을 고려하여 설정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폰(18)과 스피커(16)간의 이격거리는 멀수록 좋다. 만약, 기존 이어셋의 크기로 제조할 경우에는 스피커(16)와 마이크로폰(18)간의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하울링 현상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즉, 마이크로폰(18)의 위치는 노즐(12)측에 가깝게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마이크로폰(18)의 배선은 튜브(17)를 통해 케이스(11) 후미로 인출되게 된다.
한편, 마이크로폰(18)은 그 형상에 대응하여 스피커(16)로부터 출력된 음향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설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수직 상태의 마이크로폰(18)을 수평 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폰(18)을 수평 상태로 설치할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음홀(SH)을 고려하여 마이크로폰(18)에 집음커버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어셋은, 튜브(17)를 통해 마이크로폰(18)과 스피커(16) 음향의 출력공간을 서로 격리시킴으로써 스피커(16)로부터 출력된 음향이 마이크로폰(18)으로 입력되는 것을 방지 및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음성이 생성되면 음성에 대응한 진동이 턱뼈를 거쳐 외이도로 전파되고, 이에 외이도에서 진동에 대응한 파장이 발생되어 마이크로폰(18)으로 입력된다. 마이크로폰(18)이 외이도에 근접하게 되므로 사용자 음성을 효과적으로 집음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다이나믹 드라이버 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다이나믹 드라이버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일례로서 제시하는 다이나믹 드라이버 유닛은, 중공된 콘형상의 프레임(21)(요크)과, 프레임(21) 내측에서 진동하는 중공된 콘형상의 진동판(22)과, 진동판(22)의 전단을 프레임(21)의 전단에 탄력적으로 지지시키는 에지 서라운드(23)(Edge surround)와, 진동판(22)의 후측에서 전단측이 진동판(22)의 중앙 부위에 고착되는 보빈(24)과, 외측 둘레는 프레임(21)에 고착 지지되고 내측 둘레는 보빈(24)에 고착된 댐퍼(25)(Damper)와, 보빈(24)에 권선된 보이스 코일(26)과, 보이스 코일(26)을 지지하는 스파이더(27)(Spider)와, 보이스 코일(26)의 외측에 배치되는 링형상의 영구자석(28)과, 프레임(21)과 영구자석(28) 사이에 고착 배치되는 링형상의 프론트 플레이트(29)(Front Plate)와, 영구자석(28)의 하부를 덮는 링형상의 리어 플레이트(30)(Rear Plate)와, 영구자석(28) 및 프론트 플레이트(29)와의 사이에 보빈(24)이 상하로 진동하는 진동공간을 두고 리어 플레이트(30)에서 보빈(24)의 내측으로 돌출된 링형상의 폴 피스(31)(Pole piece)와, 진동판(22) 중앙에 배치되는 중공된 더스트 캡(32)(Dust Cap)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이나믹 드라이버 유닛은, 튜브(17)가 관통할 수 있도록 모두 구성의 중앙에 홀(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이 튜브(17)는 프론트 플레이트(29), 리어 플레이트(30), 폴 피스(31) 등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 때, 튜브(17)는 백홀(Back hole)과 연통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더스트 캡(32)에 홀을 형성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더스트 캡(32) 전체가 제거될 수도 있다.
한편, 영구자석(28), 프론트 플레이트(29), 리어 플레이트(30) 및 폴 피스(31)는 자기회로를 구성하게 되며, 보이스 코일(26)에 전류가 인가되어 자성을 갖게 되면, 보이스 코일(26)의 자력 극성에 따라 보이스 코일(26)을 당기거나 밀어내게 된다. 즉, 보이스 코일(26)과 영구자석(28)이 동일한 자력 극성이 되면 밀어내고, 보이스 코일(26)과 영구자석(28)이 서로 다른 자력 극성이 되면 잡아당겨 보이스 코일(26)이 진동하게 된다. 보이스 코일(26)이 진동하면, 보이스 코일(26)에 고정된 진동판(22)이 진동되고 이에 소리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어셋은 스피커(16)와 마이크로폰(18)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스피커(16) 음향의 출력공간에 마이크로폰(18)을 배치하고 있으며, 스피커(16)의 음향이 마이크로폰(18)을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튜브(17)를 이용하여 스피커(16) 음향의 출력공간과 격리시키고 있다. 이에 스피커(16)로부터 출력된 음향에 의한 에코, 하울링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6)와 마이크로폰(18)의 설치 간격은 실험적으로 최적 위치로 세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 음성이 생성되면 턱뼈와 외이도를 거쳐 마이크로폰(18)으로 입력된다. 이 때, 콘형상의 노즐(12)측 튜브(17)에 의해 효과적인 집음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집음홀과 스피커(16) 음향 출력홀의 크기는, 스피커(16) 음향을 최대로 출력할 수 있으면서 최대로 집음할 수 있는 크기로 세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콘형상의 집음홀에 대응하여 음향 출력 방향이 방향성을 갖고 출력되므로 출력된 음향이 집음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하울링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1 : 케이스
12 : 노즐
13 : 케이블
14 : 이어팁
15 : 고정프레임
16 : 스피커
17 : 튜브
18 : 마이크로폰

Claims (9)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내장된 스피커;
    상기 스피커의 전방에서 스피커 음향의 출력공간과 격리되는 튜브; 및
    상기 튜브 내부에 삽입된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중공채널을 갖는 이어셋.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다이나믹 드라이버 유닛 또는 밸런스드 아마추어 드라이버 유닛을 포함하는 중공채널을 갖는 이어셋.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나믹 드라이버 유닛 및 밸런스드 아마추어 드라이버 유닛은 상기 튜브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중공채널을 갖는 이어셋.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나믹 드라이버 유닛은,
    중공된 콘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서 진동하는 중공된 콘형상의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전단을 상기 프레임의 전단에 탄력적으로 지지시키는 에지 서라운드(Edge surround);
    상기 진동판의 후측에서 전단측이 상기 진동판의 중앙 부위에 고착되는 보빈;
    외측 둘레는 상기 프레임에 고착 지지되고 내측 둘레는 상기 보빈에 고착된 댐퍼(Damper);
    상기 보빈에 권선된 보이스 코일;
    상기 보이스 코일을 지지하는 스파이더(Spider);
    상기 보이스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는 링형상의 영구자석;
    상기 프레임과 상기 영구자석 사이에 고착 배치되는 링형상의 프론트 플레이트(Front Plate);
    상기 영구자석의 하부를 덮는 링형상의 리어 플레이트(Rear Plate); 및
    상기 영구자석 및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기 보빈이 상하로 진동하는 진동공간을 두고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서 상기 보빈의 내측으로 돌출된 링형상의 폴 피스(Pole piece)를 포함하는 중공채널을 갖는 이어셋.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중앙에 배치되는 중공된 더스트 캡(Dust Cap)을 더 포함하는 중공채널을 갖는 이어셋.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프론트 플레이트, 리어 플레이트, 폴 피스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중공채널을 갖는 이어셋.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집음 입구측이 콘형상을 한 중공채널을 갖는 이어셋.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스피커를 관통하여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지지대에 고정되는 중공채널을 갖는 이어셋.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금속, 플라스틱, 고무 재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중공채널을 갖는 이어셋.
KR1020160009572A 2015-12-30 2016-01-26 중공채널을 갖는 이어셋 KR101756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13988 WO2017116021A1 (ko) 2015-12-30 2016-11-30 중공채널을 갖는 이어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219 2015-12-30
KR20150189219 2015-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386A true KR20170080386A (ko) 2017-07-10
KR101756652B1 KR101756652B1 (ko) 2017-07-25

Family

ID=59355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572A KR101756652B1 (ko) 2015-12-30 2016-01-26 중공채널을 갖는 이어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6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808A (ko) * 2019-03-05 2020-09-15 주식회사 이엠텍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
KR102225124B1 (ko) * 2020-07-20 2021-03-09 주식회사 블루콤 하이브리드 능동 노이즈 저감 이어폰
US11297407B2 (en) 2019-03-05 2022-04-05 Em-Tech Co., Ltd. Earset having inner microphon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321Y1 (ko) * 2000-09-26 2001-03-15 김경숙 마이크겸용 이어폰
KR101469908B1 (ko) * 2013-08-21 2014-12-08 크레신 주식회사 이어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808A (ko) * 2019-03-05 2020-09-15 주식회사 이엠텍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
US11297407B2 (en) 2019-03-05 2022-04-05 Em-Tech Co., Ltd. Earset having inner microphone
KR102225124B1 (ko) * 2020-07-20 2021-03-09 주식회사 블루콤 하이브리드 능동 노이즈 저감 이어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652B1 (ko) 2017-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405624U (zh) 具备气压平衡装置的耳机
US10939217B2 (en) Audio device with acoustic valve
JP6136016B2 (ja) イヤホン
EP3783909A1 (en) Earphone
CN102196329B (zh) 耳机
KR101767467B1 (ko) 소음 차폐 이어셋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476353B (zh) 具有滤音器的噪音屏蔽耳机
JP2012015580A (ja) イヤホン
KR101501898B1 (ko) 일체형 2웨이 스피커 및 이를 포함하는 기기
CN109862486B (zh) 一种扬声组件
US11051094B2 (en) Interchangeable port acoustical cap for microphones
KR101756652B1 (ko) 중공채널을 갖는 이어셋
CN112788459A (zh) 与管道结合成一体的接收器模块
US7076074B2 (en) Bearing of an electroacoustic miniature transducer in a device, particularly a hearing aid device, as well as an electroacoustic miniature transducer
KR101760428B1 (ko) 초소형 스피커 및 그 조립방법
KR101032989B1 (ko) 초슬림형 스피커
KR101828262B1 (ko)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
KR102118424B1 (ko) 이어폰
WO2012005433A2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CN204157050U (zh) 同轴同音源扬声器
EP1737269B1 (en) Shallow loudspeaker
KR102576983B1 (ko) 연성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이어폰용 스피커
KR20150097372A (ko) 외자형 스피커 어셈블리
WO2017116021A1 (ko) 중공채널을 갖는 이어셋
KR20040014645A (ko) 진동력을 증대시키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양방향 마이크로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