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0050A - Lamp for vehicle - Google Patents

Lamp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0050A
KR20170080050A KR1020150191219A KR20150191219A KR20170080050A KR 20170080050 A KR20170080050 A KR 20170080050A KR 1020150191219 A KR1020150191219 A KR 1020150191219A KR 20150191219 A KR20150191219 A KR 20150191219A KR 20170080050 A KR20170080050 A KR 20170080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lamp housing
lamp
moistur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2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충화
장호성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91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0050A/en
Publication of KR20170080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0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S48/34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F21S48/31
    • F21S48/33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3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with provision for venting
    • F21W2101/0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광원, 램프 하우징 및 렌즈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상기 램프 하우징 일측의 수납 홀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램프 하우징과 결합되는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더스트 커버에는 램프 하우징 내,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에는, 상기 램프 하우징 내부의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전기분해에 의해 산소 기체와 수소 기체로 분리한 후, 상기 분리된 산소 기체는 상기 램프 하우징 내부로 토출하고, 상기 분리된 수소 기체는 상기 연통홀을 통해 램프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는 습기제거 유닛을 더 포함한다.A lamp for a vehicle including a light source, a lamp housing, and a lens, the lamp including a dust cover coupled to the lamp housing to open and close a storage hole on one side of the lamp housing, A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the lamp housing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lamp housing. The communicating hole separates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inside the lamp housing into an oxygen gas and a hydrogen gas by electrolysis, Further comprises a moisture removal unit for discharging the hydrogen gas into the lamp housing and discharging the separated hydrogen gas to the outside of the lamp hous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램프 하우징 내부의 습기를 전기분해에 의해 제거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p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mp for a vehicle which can remove moisture inside the lamp housing by electrolysis.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Generally,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various kinds of lamps having a lighting function for easily confirming an object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at nighttime driving, and a signal function for notifying other vehicle or road users of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예를 들어,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헤드 램프(Head lamp) 및 포그 램프(Fog lamp)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턴 시그널 램프(Turn signal lamp), 테일 램프(Tail lamp), 브레이크 램프(Brake lamp),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For example, a head lamp and a fog lamp mainly for lighting function, a turn signal lamp, a tail lamp, a brake lamp, A brake lamp, a side marker, and the like. Such a lamp for a vehicle is regulated by regulations on installation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so that each function can be fully exercised.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내부에 마련되는 광원이 점등 또는 소등됨에 따라 램프의 내부 온도가 변화된다.In such a vehicle lamp, as the light source provided therein is turned on or off,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lamp is changed.

즉, 광원이 점등되면 광원의 발열에 의해 램프 내부 온도가 상승하게 됨에 따라 램프 내부의 공기가 열팽창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광원의 점등시 램프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반대로 광원의 소등시 외부의 공기가 램프 내부로 유입되도록 램프의 일측에는 벤트 홀(Vent hole)이 마련된다.That is, when the light source is turned o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lamp rises due to the hea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so that the air inside the lamp is thermally expanded. Accordingly, when the light source is turned on, the internal air of the lamp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on the contrary, when the light source is turned off, a vent hole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amp so that outside air flows into the lamp.

벤트 홀을 통한 램프의 내부공기 배출 시점은 광원이 점등되어 램프 내부의 온도가 상승됨에 따라 내부공기가 열팽창을 이루는 경우이고, 벤트 홀을 통한 외부공기의 흡입 시점은 광원이 소등되어 램프 내부의 온도가 저하되어 외부 온도와 유사하게 되는 경우이다.The inside air discharge point of the lamp through the vent hole is a case where the inside air thermally expands as the temperature of the lamp rises due to the lighting of the light source, and when the outside air is sucked through the vent hole, Deg.] And becomes similar to the external temperature.

그런데, 종래의 차량용 램프는, 광원의 점등과 소등이 반복되는 과정에 의해 벤트 홀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램프 내부로 유입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외부 공기에 포함된 습기 또한 램프의 내부로 유입되는데, 이러한 습기가 배출되지 않고 수분으로 변하여 렌즈 면에 결로를 생성시키게 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vehicle lamp,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lamp through the vent hole by repeating lighting and lighting of the light source, so that moisture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also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lamp. Moisture is not discharged but turned into moisture, which causes condensation on the lens surface.

이와 같이 램프 내부 즉, 렌즈의 내면에 결로가 생성되는 경우, 램프에서 조사되는 광이 산란,반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용 램프의 조명 기능 및/또는 신호 기능을 저하시키게 됨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where condensation is generated in the inside of the lamp, that is, the inside of the len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mp may be scattered and reflected, thereby degrading the lighting function and / or the signal function of the vehicle lamp.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isk becomes high.

또한, 램프 내에 습기가 많은 경우, 차량용 램프 내에 설치되는 광원 등의 전자부품에 누전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용 램프 내부로 유입된 습기를 제거시키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when there is a large amount of moisture in the lamp, a short circuit may occur in an electronic part such as a light source installed in a lamp for a vehicle.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method for removing moisture introduced into a lamp for a vehicle.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5-0131523호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5-0131523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4990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4-00499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요구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램프 내부로 유입되는 습기를 전기분해에 의해 산소 기체와 수소 기체로 분리하고, 분리된 수소 기체를 램프 하우징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결로 현상에 따른 조명 기능 및/또는 신호 기능의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안전 사고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need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separating moisture into hydrogen gas and oxygen gas by electrolysi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lamp which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from occurring by preventing the illumination function and / or the signal function from deteriorating due to the condensation phenomenon as it is discharged outside the lamp housing.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램프 내부로 유입되는 습기를 전기분해에 의해 산소 기체와 수소 기체로 분리하고, 분리된 수소 기체를 램프 하우징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램프 내부에 설치되는 광원 등의 전기,전자부품에 누전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lasma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lamp housing for accommodating a lamp; a lamp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lamp housing; Which can prevent a short circuit from occurring in an electric or electronic part such as a vehicle.

특히,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더스트 커버에 연통홀을 형성하고, 이 연통홀에 전기분해로서 산소 기체와 수소 기체로 분리하는 습기제거 유닛을 배치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램프 하우징 내부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Particularly, a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st cover having a communication hole, and a moisture removal unit for separating oxygen gas and hydrogen gas by electrolysis into the communication hole, And to provide a vehicle lamp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 램프 하우징 및 렌즈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상기 램프 하우징 일측의 수납 홀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램프 하우징과 결합되는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더스트 커버에는 램프 하우징 내,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에는, 상기 램프 하우징 내부의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전기분해에 의해 산소 기체와 수소 기체로 분리한 후, 상기 분리된 산소 기체는 상기 램프 하우징 내부로 토출하고, 상기 분리된 수소 기체는 상기 연통홀을 통해 램프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는 습기제거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amp for a vehicle including a light source, a lamp housing, and a lens, wherein the dust cover is coupled to the lamp housing to open and close a storage hole at one side of the lamp housing, Wherein the dust cover is formed with a communication hole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lamp housing, and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inside the lamp housing is separated into an oxygen gas and a hydrogen gas by electrolysis The separated oxygen gas may be discharged into the lamp housing, and the separated hydrogen gas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to the outside of the lamp housing.

여기서, 상기 습기제거 유닛은, 상기 램프 하우징 내에 수분을 포함하는 내부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통과홀이 형성된 양극 단자; 상기 양극 단자와 접촉하여 통과되는 습기를 산소 기체와 수소 기체로 전기분해시키는 전기분해층; 및 상기 전기분해층에 의해 분해된 기체들 중, 수소 기체가 토출되기 위한 통과홀이 형성된 음극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oisture removal unit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having a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internal air including moisture is introduced into the lamp housing; An electrolytic layer for electrolyzing moistur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athode terminal and passed through oxygen gas and hydrogen gas; And a cathode terminal having a through-hole through which hydrogen gas is discharged, among the gases decomposed by the electrolysis layer.

또한, 상기 전기분해층은, 상기 유입되는 내부 공기 중, 습기를 산소 기체와 수소이온 및 전자로 분해시키는 양극층; 상기 양극층에 의해 분해된 상기 산소 기체와 수소이온 및 전자 중, 수소이온을 통과시키는 전해질층; 및 상기 전해질층을 통과한 수소이온과 상기 양극 단자 및 상기 음극 단자를 통해 전도된 전자의 결합으로 수소 기체를 생성하는 음극층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lytic layer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layer for decomposing moisture into oxygen gas, hydrogen ions, and electrons in the introduced air; An electrolyte layer for passing the oxygen gas, the hydrogen ions, and the hydrogen ions decomposed by the anode layer; And a cathode layer that generates hydrogen gas by the combination of hydrogen ion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electrolyte layer and electrons that are conducted through the cathode terminal and the cathode terminal.

이 경우, 상기 양극층은 티타늄 재질의 매쉬 형태를 이루고, 상기 양극층에 의해 분해된 산소 기체는, 상기 양극 단자의 통과홀을 통과하여 상기 램프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node layer has a mesh-like shape of titanium, and the oxygen gas decomposed by the anode layer can be discharg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lamp hou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anode terminal.

또한, 상기 습기제거 유닛은, 상기 양극 단자와 접촉되고, 상기 양극 단자의 통과홀과 연통되는 통과홀이 형성되는 제1 브래킷과; 상기 음극 단자와 접촉되고, 상기 음극 단자의 통과홀과 연통되는 통과홀이 형성되는 제2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isture removal unit may include: a first bracke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has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of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a second bracke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negative terminal and has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of the negative terminal.

한편, 상기 연통홀은, 상기 램프 하우징의 내측 방향에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크게 형성된 유입홀과; 상기 유입홀과 연통되고, 상기 램프 하우징의 외측 방향에 상기 유입홀 보다 단면적이 작게 형성된 유출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습기제거 유닛은, 상기 유입홀 선단 측에 장착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hole may include an inlet hole having a relatively large cross-sectional area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lamp housing; And an outle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hole and formed to have a cross 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e inlet hole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lamp housing. In this case, the moisture removal unit may be mounted on the inlet hole distal end side.

이 경우, 상기 습기제거 유닛에서상기 램프 하우징의 내부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산소 기체가 토출되는 부위는 상기 램프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향하고, 상기 수소 기체가 토출되는 부위는 상기 유출홀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ir in the lamp housing flows in the moisture removal unit, the portion where the oxygen gas is discharged is directed to the inner space of the lamp housing, and the portion where the hydrogen gas is discharged is disposed to face the outlet hole .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하면, 램프 내부로 유입되는 습기가 전기분해에 의해 산소 기체와 수소 기체로 분리되고, 분리된 수소 기체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램프 하우징 내부에 습기가 제거됨으로써, 결로 현상에 따른 조명 기능 및/또는 신호 기능의 저하가 방지되어 안전 사고의 우려가 불식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isture introduced into the lamp is separated into the oxygen gas and the hydrogen gas by the electrolysis, and the separated hydrogen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deterioration of the lighting function and / or the signal function due to the condensation phenomenon can be prevented, and the concern of safety accidents can be avoi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하면, 램프 내부로 유입되는 습기가 전기분해에 의해 산소 기체와 수소 기체로 분리되고, 분리된 수소 기체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램프 내부에 설치되는 광원 등의 전기,전자부품에 누전이 발생되는 것이 예방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lamp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isture introduced into the lamp is separated into oxygen gas and hydrogen gas by electrolysis, and the separated hydrogen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hort circuit in an electric or electronic part such as a vehicle.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하면, 더스트 커버에 형성된 연통홀에 전기분해로서 습기를 산소 기체와 수소 기체로 분리하는 습기제거 유닛이 배치됨에 따라, 램프 하우징 내부의 습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isture removal unit for separating moisture into oxygen gas and hydrogen gas as electrolysis is disposed in the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the dust cover, the moisture inside the lamp housing is more efficiently Can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적용되는 습기제거 유닛이 장착되는 더스트 커버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더스트 커버에 대하여 습기제거 유닛이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더스트 커버에 장착되는 습기제거 유닛의 분리 사시도.
도 10은 습기가 전기분해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 9의 측면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st cover to which a moisture removal unit applied to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Fig.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3; Fig.
Fig. 5 is a front view of Fig. 4;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5;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moisture removing unit is detached from a dust cover.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isture removal unit mounted on a dust cover in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ide view of Fig. 9 showing the process of electrolysis of moisture.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process steps, well-known structure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u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ing and / or comprising the te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nd / or operations other than the stated components, steps and / . And "and / or" include each and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Fur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erspective view, cross-sectional view, side view, and / or schematic views, which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shape of the illustrations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forms that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in the respective drawings show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pectiv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somewhat enlarged or reduced in view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램프(10)는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수행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vehicle lamp 10 performs a lighting function for easily confirming an object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and a signal function for notifying other vehicle or road users of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차량의 전방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과 같은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차량용 램프는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등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일 수 있다.The vehicle lamp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head lamp which is installed on both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to form various beam patterns such as a low beam pattern and a high beam pattern in order to secure the front view of the vehic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vehicle lamp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 kinds of lamps installed in a vehicle such as a tail lamp, a brake lamp, a turn signal lamp and the lik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램프 하우징(20), 렌즈(30) 및 광원(40)을 포함하며, 램프 하우징(2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홀을 차폐시키는 습기제거 유닛(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a vehicle lamp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mp housing 20, a lens 30, and a light source 40, and includes a lamp housing 20, And a moisture removal unit (200) for shielding the communication ho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에서는, 램프 하우징(2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홀이 더스트 커버(Dust cover)(100)에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vehicle lamp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lamp housing 20 is formed on a dust cover 100. [

참고로, 더스트 커버(100)는 수명을 다한 광원(40)의 교체 등을 위하여 광원(40)이 수납될 수 있는 크기로 램프 하우징(20)의 일측에 형성되는 수납 홀(도면부호 미부여)을 개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dust cover 100 has a receiving hole (not shown) formed at one side of the lamp housing 20 so as to accommodate the light source 40 for replacing the light source 40 having a shortened life span, As shown in FIG.

즉, 램프 하우징(20)의 수납 홀을 통하여 차량 주행 중, 빗물 등이 램프 하우징(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평상시에는 램프 하우징(20)의 수납 홀은 더스트 커버(100)에 의해 수밀 있게 차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at is, in order to prevent rainwater or the like from flowing into the lamp housing 20 through the storage hole of the lamp housing 20 during the running of the vehicle, normally, the storage hole of the lamp housing 20 is connected to the dust cover 100 Thereby maintaining the watertightly blocked state.

이와 같이, 램프 하우징(20)의 수납 홀에 대하여 더스트 커버(100)를 수밀 있게 차폐시키기 위하여, 더스트 커버(100)는 O-링과 같은 별도의 수밀성 부품(60)을 사이에 두고 수납 홀과 결합이 이루어진다.In order to waterproof the dust cover 100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hole of the lamp housing 20, the dust cover 10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water-tight component 60 such as an O-ring, Combining is done.

이러한 더스트 커버(100)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램프 하우징(2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홀(110,120,130)이 형성될 수 있다.(도 6 및 도 8 참조)As described above, the dust cover 100 may be formed with communication holes 110, 120, and 130 that communicate wi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lamp housing 20. (See FIGS. 6 and 8)

즉, 연통홀(110,120,130)은 광원(40)의 점등 시 램프 하우징(2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반대로 광원의 소등 시 외부의 공기가 램프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벤트 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communication holes 110, 120 and 130 serve as a vent hole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lamp housing 20 to the outside when the light source 40 is turned on, and for allowing the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lamp when the light source is turned off .

여기서, 연통홀(110,120,130)은 램프 하우징 내측 방향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큰 유입홀(110)과, 이 유입홀(110)과 연통되고 유입홀(110)보다는 단면적이 작은 중간홀(120)과, 이 중간홀(120)과 연통되고 중간홀(120)보다는 단면적이 작은 유출홀(13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통홀(110,120,130)은 3단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communication holes 110, 120 and 130 include an inlet hole 110 having a relatively large sectional area from the inside of the lamp housing, an intermediate hole 120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hole 110 and having a smaller sectional area than the inlet hole 110, The communication holes 110, 120 and 130 may be formed in a three-tiered structure. The communication holes 110, 120 and 130 may be formed of an outflow hole 130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termediate hole 120 and has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intermediate hole 120.

즉, 램프 하우징의 내부 공간과 마주보는 유입홀(110)은, 램프 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많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고, 램프 하우징의 외부 공간과 마주보는 유출홀(130)은, 램프 하우징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이 제한되도록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inflow hole 110 facing the inner space of the lamp housing has a relatively large cross-sectional area so that a large amount of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lamp housing, and the outflow hole 130 facing the outer space of the lamp housing Sectional area may be relatively small so that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from the outside of the lamp housing is limited.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는, 더스트 커버(100)에 형성될 수 있는 연통홀(110,120,130)이, 유입홀(110)과 중간홀(120) 및 유출홀(130)의 3단 구조로 형성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중간홀(120)이 배제되고 서로 단면적이 다른 유입홀(110)과 유출홀(130)의 2단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holes 110, 120, and 130, which can be formed in the dust cover 100, are formed in the three sides of the inlet hole 110, the intermediate hole 120, Stage structure of the inlet hole 110 and the outlet hole 130 having different sectional areas from each other may be formed.

이와 같이, 더스트 커버(100)의 연통홀(110,120,130) 중, 램프 하우징 내부 공간과 마주보는 유입홀(110) 선단 측에는 습기제거 유닛(200)이 장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isture removal unit 200 can be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inlet hole 110, which faces the inner space of the lamp housing, of the communication holes 110, 120 and 130 of the dust cover 10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적용되는 습기제거 유닛이 장착되는 더스트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st cover to which a moisture removal unit applied to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Fig.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3, Fig. 5 is a front view of Fig. 5 is an AA line sectional view.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더스트 커버에 대하여 습기제거 유닛이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더스트 커버에 장착되는 습기제거 유닛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습기가 전기분해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 9의 측면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isture removal unit is detached from the dust cover in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ectional view of Fig. 7, and Fig. Fig. 10 is a side view of Fig. 9 showing the process of moisture electrolysis.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isture removal unit mounted on a dust cover.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더스트 커버(100)의 연통홀(110,120,130)들 중, 램프 하우징 내 측의 유입홀(110) 선단 측에는, 유입홀(110)을 차폐시키는 습기제거 유닛(200)이 장착될 수 있다.3 to 10, a moisture removal unit 200 for shielding the inflow hole 110 is formed at the tip of the inflow hole 110 on the inner side of the lamp housing among the communication holes 110, 120 and 130 of the dust cover 100, Can be mounted.

여기서, 습기제거 유닛(200)은 기체만 램프 하우징의 내,외부로 통과될 수 있도록 더스트 커버(100)의 연통홀(110,120,130)을 차폐시킬 수 있다.Here, the moisture removal unit 200 can shield the communication holes 110, 120, and 130 of the dust cover 100 so that only the gas can pass through the lamp housing.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용 램프는 내부에 마련되는 광원(40)이 점등 또는 소등됨에 따라 램프의 내부 온도가 변화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lamp is changed as the light source 40 provided inside the vehicle lamp is turned on or off.

즉, 광원(40)이 점등되면 광원(40)의 발열에 의해 램프 내부 온도가 상승하게 됨에 따라 램프 내부의 공기가 열팽창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더스트 커버(100)에 형성되는 연통홀(110,120,130)을 통하여 광원(40)의 점등 시 램프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반대로 광원(40)의 소등 시 외부의 공기가 램프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light source 40 is turned o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lamp is increased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40, so that the air inside the lamp is thermally expanded. Accordingly, when the light source 40 is turned on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s 110, 120, and 130 formed in the dust cover 100, the air inside the lamp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n the contrary, when the light source 40 is turned off, .

이 경우, 연통홀(110,120,130)을 통한 램프의 내부공기 배출 시점은 광원(40)이 점등되어 램프 내부의 온도가 상승됨에 따라 내부공기가 열팽창을 이루는 경우이고, 연통홀(110,120,130)을 통한 외부공기의 흡입 시점은 광원(40)이 소등되어 램프 내부의 온도가 저하되어 외부 온도와 유사하게 되는 경우이다.In this case, the inside air discharge timing of the lamp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s 110, 120, and 130 is a case where the inside air thermally expands as the light source 40 is turned on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lamp is increased. The light source 40 is turned off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lamp is lowered to become similar to the external temperature.

습기제거 유닛(200)은, 상기와 같이 램프 하우징(20) 내부의 공기가 연통홀(110,120,1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 내부 공기에 포함된 습기(H2O)가 동시에 통과될 수 있으며, 이 때 통과되는 습기(H2O)를 전기분해하여 산소 기체(O2)와, 수소 기체(H2)로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air inside the lamp housing 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s 110, 120 and 130 as described above, the moisture removal unit 200 can simultaneously pass moisture (H 2 O) contained in the internal air , And the function of separating the moisture (H 2 O) passed through at this time into the oxygen gas (O 2 ) and the hydrogen gas (H 2 ) by electrolysis can be performed.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습기제거 유닛(200)은 통과홀(222)이 형성되는 양극 단자(220)와, 통과홀(242)이 형성되는 음극 단자(240) 및 양극 단자(220)와 음극 단자(240)에 개재되는 적어도 한 겹의 전기분해층(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9 and 10, the moisture removal unit 200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220 in which a through hole 222 is formed,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240 and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220 in which a through hole 242 is formed, And at least one layer of electrolytic layer 230 interposed between the cathode terminal 240 and the cathode terminal 240.

또한, 습기제거 유닛(200)은 양극 단자(220)가 밀착되게 설치되어 접지 기능을 수행하고 통과홀(212)이 형성되는 제1 브래킷(210)과, 음극 단자(240)가 밀착되게 설치되어 접지 기능을 수행하고 역시 통과홀(252)이 형성되는 제2 브래킷(2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isture removal unit 200 includes a first bracket 210 and a cathode terminal 240 which are closely attached to each other to perform a grounding function and have a through hole 212 formed therein, And a second bracket 250 performing a grounding function and also having a through hole 252 formed therein.

따라서, 습기제거 유닛(200)은 제1 브래킷(210)과 제2 브래킷(250) 사이에 양극 단자(220)와 전기분해층(230) 및 음극 단자(240)가 차례대로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isture removal unit 200 can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bracket 210 and the second bracket 250 in order of the anode terminal 220, the electrolytic layer 230, and the cathode terminal 240.

여기서, 전기분해층(230)은 각각 박막 형태의 양극층(232)과 고분자 전해질층(234) 및 음극층(236)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electrolytic layer 230 may be composed of a thin film anode layer 232, a polymer electrolyte layer 234, and a cathode layer 236, respectively.

양극층(232)은 티타늄 재질의 메쉬(Nesh)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극 단자(220)로부터 전도되는 전류에 의해 제1 브래킷(210)의 통과홀(212)과 양극 단자(220)의 통과홀(222)을 통해 유입되는 습기 즉, 수분을 포함하는 내부 공기를 산소 기체(O2)와, 수소이온(H+) 및 전자(e-)로 분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anode layer 232 may be formed in a Nesh shape of a titanium material and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that the through hole 212 of the first bracket 210 and the cathode terminal 220 (H + ) and electrons (e - ) into the oxygen gas (O 2 ), the internal air including moisture, which is introduced through the holes 222.

또한, 고분자 전해질층(234)은 양극층(232)에 의해 분해된 산소 기체(O2)와 수소이온(H+) 및 전자(e-) 중에서, 수소이온(H+)을 음극층(236) 쪽으로 통과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Further, the polymer electrolyte layer 234 is the cathode layer 232, the oxygen gas (O 2) and hydrogen ions (H +) and electron (e -) decomposed by these, the hydrogen ion (H +) to the negative electrode layer (236 ) To pass through.

또한, 음극층(236)은 고분자 전해질층(234)을 통과한 수소이온(H+)과 전자(e-)의 결합으로 수소 기체(H2)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athode layer 236 may function to generate a hydrogen gas H 2 by a combination of hydrogen ions (H + ) and electrons (e - )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polymer electrolyte layer 234.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습기제거 유닛(200)은, 제1 브래킷(210)과 양극 단자(220)가 램프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2 브래킷(250)과 음극 단자(240)는 연통홀의 유출홀(130)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bracket 210 and the anode terminal 220 are disposed to face the internal space of the lamp housing 100 and the second bracket 250 and the cathode The terminal 24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outlet hole 130 of the communication hol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램프의 습기제거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oisture removal process of the vehicle lamp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now be described.

차량용 램프의 광원(110)이 점등되면 램프 내부의 온도는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내부 공기는 열팽창을 이루게 됨으로써, 램프 내부의 공기는 더스트 커버(100)의 연통홀(110,120,130)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When the light source 110 of the vehicle lamp is turned on, the temperature inside the lamp rises, and the internal air is thermally expanded, so that the air inside the lamp is drawn out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s 110, 120 and 130 of the dust cover 100 Out.

이 때, 차량용 램프의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은 증발되어 수증기 등의 기체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수증기 등의 기체 상태를 이루는 습기(H2O)는 내부 공기와 함께 더스트 커버(100)의 연통홀(110,120,130)에 설치되는 습기제거 유닛(200)을 통과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moisture present inside the vehicle lamp is evaporated to form a gas state such as water vapor. Humidity (H 2 O) forming a gaseous state such as water vapor, etc., And passes through the moisture removal unit 200 installed in the first, second,

습기(H2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기제거 유닛(200)의 제1 브래킷(210)의 통과홀(212)과 양극 단자(220)의 통과홀(222)을 연속해서 통과하게 되며, 전기분해층(230) 중에서 양극층(232)에 먼저 접촉하게 된다.9 and 10, the moisture (H 2 O) is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212 of the first bracket 210 of the moisture removal unit 200 and the through hole 222 of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220 And is first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anode layer 232 in the electrolysis layer 230.

이 때, 양극 단자(220)와 음극 단자(24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직류 전원이 인가되며, 이에 따라 양극층(232)은 아래의 식에 의한 반응으로 습기를 산소 기체(O2)와, 수소이온(H+) 및 전자(e-)로 전기분해시키게 된다.In this case, the cathode terminal 220 and the anode terminal 240 are supplied with DC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so that the anode layer 232 reacts moisture with the oxygen gas O 2 and the hydrogen Ions (H + ) and electrons (e - ).

2H2O → O2 + 4H+ + 4e- 2H 2 O - > O 2 + 4H + + 4e -

이와 같이 양극층(232)에서 전기분해된 산소 기체(O2)와 수소이온(H+) 및 전자(e-) 중에서, 산소 기체(O2)는 고분자 전해질층(234)을 통과하지 못하고 다시 양극 단자(220)의 통과홀(222)과 제1 브래킷(210)의 통과홀(212)을 통해 램프 하우징(100) 내부로 토출되고, 수소이온(H+)만 고분자 전해질층(234)을 통과하여 음극층(236)과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oxygen gas O 2 can not pass through the polymer electrolyte layer 234 out of the oxygen gas O 2 , the hydrogen ions H + , and the electrons e - electrolyzed in the anode layer 232, The hydrogen ions H + are discharged only into the polymer electrolyte layer 234 through the through hole 222 of the anode terminal 220 and the through hole 212 of the first bracket 210 And contact with the cathode layer 236 is made.

한편, 양극층(232)에서 전기분해된 산소 기체(O2)와 수소이온(H+) 및 전자(e-)들 중, 전자(e-)는 각각 전도성을 갖는 양극 단자(220)를 통해 음극 단자(240)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음극 단자(240)를 통해 음극층(236)에도 전자(e-)가 존재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 oxygen gas (O 2 ), the hydrogen ions (H + ) and the electrons (e - ) electrolyzed in the anode layer 232, the electrons e - Electrons (e - ) are also present in the cathode layer 236 through the anode terminal 240.

이와 같이 음극층(236)에 존재하게 되는 전자(e-)는 고분자 전해질층(234)을 통과한 수소이온(H+)과 아래의 식에 의한 반응으로 수소 기체(H2)를 생성하게 된다.The electrons e - existing in the cathode layer 236 produce the hydrogen gas H 2 by the reaction of the hydrogen ions H + passing through the polymer electrolyte layer 234 with the following equation .

4H+ + 4e- → 2H2 4H + + 4e - → 2H 2

위의 반응 식에 의해 생성된 수소 기체(H2)는 음극 단자(240)의 통과홀(242)과 제2 브래킷(250)의 통과홀(252)을 연속적으로 통과한 후, 램프 하우징(100) 내부로 토출되며, 이와 같이 토출된 수소 기체(H2)는 광원(110)의 점등에 의한 램프 하우징(100) 내부 공기의 열팽창에 의해 연통홀(110,120,1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램프 하우징(100) 내부의 습기는 제거될 수 있다.The hydrogen gas H 2 produced by the above reaction formula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42 of the anode terminal 240 and the through hole 252 of the second bracket 25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lamp housing 100 The hydrogen gas H 2 thus discharge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s 110, 120 and 130 by thermal expansion of the air inside the lamp housing 100 due to lighting of the light source 110, The moisture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0 can be removed.

즉, 더스트 커버(100)의 연통홀(110,120,130) 중, 램프 하우징(20) 내부 공간과 마주 보는 방향에 배치되는 유입홀(110)에 장착된 습기제거 유닛(200)은, 램프 하우징(100) 내부의 습기를 전기분해하여 산소 기체(O2)는 다시 램프 하우징(100) 내부로 토출시키고, 수소 기체(H2)는 중간홀(120) 및 유출홀(130)을 통해 램프 하우징(20)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램프 하우징(20) 내부의 습기를 제거시킬 수 있다.The moisture removal unit 200 mounted in the inlet hole 110 disposed in the direction facing the inner space of the lamp housing 20 among the communication holes 110, by electrolyzing the moisture inside of the oxygen gas (O 2) is and discharged again into the lamp housing 100, the hydrogen gas (H 2) is a lamp housing 20 through the intermediate hole 120 and outlet holes 130, The moisture inside the lamp housing 20 can be remov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더스트 커버(100)는 내측 주변 둘레에 복수의 후크(150)가 형성되고, 이 후크(150)는 램프 하우징(20)의 수납 홀 주변부에 형성되는 체결홈(미도시됨)과 결합될 수 있다.In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ver 100 has a plurality of hooks 150 formed around its inner periphery, and the hooks 150 are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storage hole of the lamp housing 20 (Not shown) which is fastened to the base.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램프 하우징(20)의 수납 홀 주변부에는 더스트 커버(100)의 후크(150)와 대응되는 위치에 후크 삽입을 위한 체결홈이 형성되고, 이 체결홈으로부터 일정 각도만큼 연장되는 인입홈(미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스트 커버(100)의 후크(150)를 체결홈과 일치시킨 상태로 삽입시킨 후, 더스트 커버(100)를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키게 되면, 더스트 커버(100)의 후크(150)가 인입홈을 따라 일정 각도 회전되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coupling groove for insertion of the hook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ok 150 of the dust cover 100 at the periphery of the accommodation hole of the lamp housing 20, When the dust cover 100 is rotated by a certain angle after inserting the hook 150 of the dust cover 100 in a state where the hook 150 is aligned with the fastening groove, The hook 150 of the cover 100 can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lead-in groove to maintain the engaged state.

이 경우, 외부의 빗물 등이 더스트 커버(100)와 램프 하우징(20)의 결합 부위를 통해 램프 하우징(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크(150)의 안쪽에는 수밀을 위한 O 링 등의 수밀성 부품(16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밀성 부품(160)은 더스트 커버(100)가 램프 하우징(20)의 수납 홀 주변부와 밀착될 수 있도록 후크(150)의 안쪽에 원주 둘레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external rainwater or the like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lamp housing 20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dust cover 100 and the lamp housing 20, an O- And the waterproof component 160 may be installed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hook 150 so that the dust cover 10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eriphery of the storage hole of the lamp housing 20. [ .

이와 같은 후크(150)와 체결홈에 의한 체결 구조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하여 더 이상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fastening structure by the hook 150 and the fastening groove is a well-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습기제거 유닛(200)이 장착되는 더스트 커버(100)는 종래에서와 같이 나사 체결식으로 램프 하우징(20)의 수납 홀을 차폐시키도록 장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in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ver 100 to which the moisture removal unit 200 is mounted is mounted to shield the accommodation hole of the lamp housing 20 in a screw- Of course it is possibl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rang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0 : 램프 하우징 100 : 더스트 커버
110,120,130 : 연통홀 110 : 유입홀
120 : 중간홀 130 : 유출홀
200 : 습기제거 유닛 210 : 제1 브래킷
212 : 통과홀 220 : 양극 단자
222 : 통과홀 230 : 전기분해층
232 : 양극층 234 : 전해질층
236 : 음극층 240 : 음극 단자
242 : 통과홀 250 : 제2 브래킷
252 : 통과홀
20: Lamp housing 100: Dust cover
110, 120, 130: communication hole 110: inlet hole
120: Middle hole 130: Outlet hole
200: a moisture removal unit 210: a first bracket
212: Through hole 220: Positive electrode terminal
222: through hole 230: electrolysis layer
232: anode layer 234: electrolyte layer
236: cathode layer 240: cathode terminal
242: through hole 250: second bracket
252: Through hole

Claims (7)

광원, 램프 하우징 및 렌즈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상기 램프 하우징 일측의 수납 홀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램프 하우징과 결합되는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더스트 커버에는 램프 하우징 내,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에는, 상기 램프 하우징 내부의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전기분해에 의해 산소 기체와 수소 기체로 분리한 후, 상기 분리된 산소 기체는 상기 램프 하우징 내부로 토출하고, 상기 분리된 수소 기체는 상기 연통홀을 통해 램프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는 습기제거 유닛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A vehicle lamp comprising a light source, a lamp housing and a lens,
And a dust cover coupled to the lamp housing to open and close a storage hole on one side of the lamp housing,
The dust cover is formed with a communication hole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lamp housing,
The separated hydrogen gas is discharged into the lamp housing after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inside the lamp housing is separated into an oxygen gas and a hydrogen gas by electrolysis in the communication hole, Further comprising: a moisture removal unit that discharges the moisture to the outside of the lamp hous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제거 유닛은,
상기 램프 하우징 내에 수분을 포함하는 내부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통과홀이 형성된 양극 단자;
상기 양극 단자와 접촉하여 통과되는 습기를 산소 기체와 수소 기체로 전기분해시키는 전기분해층; 및
상기 전기분해층에 의해 분해된 기체들 중, 수소 기체가 토출되기 위한 통과홀이 형성된 음극 단자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isture removal unit comprises: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having a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internal air including moisture is introduced into the lamp housing;
An electrolytic layer for electrolyzing moistur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athode terminal and passed through oxygen gas and hydrogen gas; And
And a cathode terminal formed with a through-hole through which hydrogen gas is discharged out of the gases decomposed by the electrolysis lay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층은,
상기 유입되는 내부 공기 중, 습기를 산소 기체와 수소이온 및 전자로 분해시키는 양극층;
상기 양극층에 의해 분해된 상기 산소 기체와 수소이온 및 전자 중, 수소이온을 통과시키는 전해질층; 및
상기 전해질층을 통과한 수소이온과 상기 양극 단자 및 상기 음극 단자를 통해 전도된 전자의 결합으로 수소 기체를 생성하는 음극층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lectrolytic layer comprises:
A cathode layer for decomposing moisture into oxygen gas, hydrogen ions and electrons in the incoming air;
An electrolyte layer for passing the oxygen gas, the hydrogen ions, and the hydrogen ions decomposed by the anode layer; And
And a cathode layer which generates hydrogen gas by hydrogen ion passing through the electrolyte layer and electrons conducted through the cathode terminal and the cathode terminal.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층은 티타늄 재질의 매쉬 형태를 이루고,
상기 양극층에 의해 분해된 산소 기체는, 상기 양극 단자의 통과홀을 통과하여 상기 램프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토출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of claim 3,
The anode layer may be in the form of a titanium mesh,
And the oxygen gas decomposed by the anode layer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anode terminal and is discharg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lamp housing.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제거 유닛은,
상기 양극 단자와 접촉되고, 상기 양극 단자의 통과홀과 연통되는 통과홀이 형성되는 제1 브래킷과;
상기 음극 단자와 접촉되고, 상기 음극 단자의 통과홀과 연통되는 통과홀이 형성되는 제2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oisture removal unit comprises:
A first bracke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positive terminal and has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of the positive terminal;
And a second bracket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negative terminal and in which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of the negative terminal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은,
상기 램프 하우징의 내측 방향에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크게 형성된 유입홀과;
상기 유입홀과 연통되고, 상기 램프 하우징의 외측 방향에 상기 유입홀 보다 단면적이 작게 형성된 유출홀을 포함하며,
상기 습기제거 유닛은, 상기 유입홀 선단 측에 장착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on hole
An inflow hole having a relatively large cross-sectional area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lamp housing;
And an outflow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flow hole and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e inflow hole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lamp housing,
And the moisture removal unit is mounted on the inflow hole distal end sid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제거 유닛에서,
상기 램프 하우징의 내부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산소 기체가 토출되는 부위는 상기 램프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향하고, 상기 수소 기체가 토출되는 부위는 상기 유출홀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n the moisture removal unit,
Wherein a portion where the air inside the lamp housing is introduced and a portion where the oxygen gas is discharged is directed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lamp housing and a portion where the hydrogen gas is discharged is disposed toward the outlet hole.
KR1020150191219A 2015-12-31 2015-12-31 Lamp for vehicle KR201700800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219A KR20170080050A (en) 2015-12-31 2015-12-31 Lamp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219A KR20170080050A (en) 2015-12-31 2015-12-31 Lamp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050A true KR20170080050A (en) 2017-07-10

Family

ID=59355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219A KR20170080050A (en) 2015-12-31 2015-12-31 Lamp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005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221945B1 (en) Lighting system with high pressure discharge lamp
JP3193618B2 (en) Lamp with discharge bulb
JP2014127381A (en) Lamp fitting for vehicle
KR20170080050A (en) Lamp for vehicle
KR20170080045A (en) Lamp for vehicle
KR20170080048A (en) Lamp for vehicle
JP2016149353A (en) Dehumidification unit and vehicular lighting device
JP2009212060A (en) External illuminating lamp for aircraft
US7128452B2 (en) Automobile compound taillight
KR101948530B1 (en) Lamp for vehicle
JP3162680B2 (en) Discharge tube base for vehicle headlamp
CN100587325C (en) Vehicle headlight and lamp
JP6045246B2 (en) Light source lighting device
JPH07114813A (en) Lighting fixture for vehicle
JP2005302743A (en) Front light for vehicle
CN213630275U (en) Automobile lamp assembly
KR101856353B1 (en) M0isture electrolysis apparatus for headlamp
KR20170080038A (en) Lamp for vehicle
JP6102842B2 (en) Desmear processing method and desmear processing apparatus
CN217247918U (en) Electrolytic dehumidifier and vehicle-mounted lamp
CN216079637U (en) Lens formula headlight
JPH07201203A (en) Discharge type head light device
JPH09282927A (en) Lighting device for discharge lamp
CN216213260U (en) Excimer lamp with isolation hood
JPH09282906A (en) Lighting device for vehicle having discharge bul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