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0039A - The System For Managing Docking Cart - Google Patents

The System For Managing Docking C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0039A
KR20170080039A KR1020150191200A KR20150191200A KR20170080039A KR 20170080039 A KR20170080039 A KR 20170080039A KR 1020150191200 A KR1020150191200 A KR 1020150191200A KR 20150191200 A KR20150191200 A KR 20150191200A KR 20170080039 A KR20170080039 A KR 20170080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king
cart
docking cart
observer module
rf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2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2136B1 (en
Inventor
추무창
김용환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91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136B1/en
Publication of KR20170080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0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1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96Identification of the cart or merchandise, e.g. by barcodes 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 관리 시스템은 RFID 태그를 부착한 도킹 카트; 상기 도킹 카트가 거치되면, 상기 RFID 태그를 읽어 상기 도킹 카트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RFID 리더기가 포함된 도킹 대기부; 상기 RFID 리더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킹 카트와 상기 도킹 대기부는, 복수로 형성되어 각각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cking cart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docking cart having an RFID tag attached thereto; A docking stand including an RFID reader for reading the RFID tag and receiv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docking cart when the docking cart is loaded;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RFID reader, wherein the docking cart and the docking waiting unit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units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Description

도킹 카트 관리 시스템{The System For Managing Docking Cart}The System For Managing Docking Cart < RTI ID = 0.0 >

본 발명은 도킹 카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 실장기에 부품을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도킹 카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도킹 카트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도킹 카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cking cart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cking cart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managing a docking cart necessary for supplying parts to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

일반적으로 실장기는 다양한 종류와 크기의 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장치로서 공급된 다양한 종류와 크기의 부품을 픽업할 수 있게 X, Y, Z축 이동 및 회전에 가능한 픽업헤드가 마련되어 있다.In general, a mounting machine mounts components of various types and sizes on a printed circuit board, and is provided with a pick-up head capable of moving and rotating in the X, Y, and Z axes so as to pick up various types and sizes of supplied components.

도 1은 일반적인 부품 실장 장비와 도킹 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a docking cart.

실장기에는 기판에 종류에 따라 최적의 공정으로 실장될 수 있게 테이프 피더가 배치되고 있다. 따라서 기판의 종류가 변경되면 배치된 테이프 피더를 일부 또는 전체를 교체하여야 한다.A tape feeder is disposed in a mounting machine so that it can be mounted in an optimal proces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ubstrate. Therefore, when the type of the substrate is changed, a part or all of the arranged tape feeders must be replaced.

그리고 테이프 피더를 교체하는 방법으로는 테이프 피더를 낱개씩 교체하는 방법과, 최적화 경로로 배치된 테이프 피더를 피더베이스에 설치하여 일괄로 교체하는 방법이 있는데 테이프 피더의 교체시간을 줄일 수 있게 일괄로 교체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There are two ways of replacing the tape feeder: one is to replace the tape feeders one at a time, and the other is to replace the tape feeders placed in the optimizing path on the feeder base and replace them in a batch. The replacement method is applied.

여기서 피더베이스를 이용하여 일괄로 테이프 피더를 교체하는 방법으로는 부품 실장기의 기준이 되는 면의 하부로 진입시킨 후 픽업되는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방법과, 피더베이스를 표면실장기의 기준이 되는 면의 상부로 진입시킨 후 픽업되는 위치까지 하강시키는 방법이 있다.As a method of replacing the tape feeders in a batch by using the feeder base, there is a method of raising the tape feeder to a position where the tape feeder is lowered and then picked up, And then lowered to a position where it is picked up.

이 때 피더베이스를 승강시켜 부품 실장기에 도킹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체가 구빈된 도킹 카트가 마련되는데, 도킹 카트는 부품 실장기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며 생산성 향상을 위해 미리 피더 배치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작업을 생성하고 부품 공급부 구성을 위해 사전에 각 장비에 대한 릴리스트를 프린트로 출력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된 릴리스트 페이지를 근거로 부품 공급부의 배치를 수행하며 필요에 따라 피더 또는 릴의 추가, 제거, 변경 등의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만약 프로그래머가 기존에 작성된 작업의 피더와 릴 배치를 변경할 경우에는 릴리스트의 갱신이 필요하다. 이 때, 작업자는 릴리스트의 출력 전에 프로그래머가 작업을 수정하면서 부품 공급부 구성을 변경하였는지 조회 과정이 필요하다.1, the docking cart is detachable from the part of the component. In order to improve the productivity, the docking cart is preliminarily placed in the feeder arrangement . However, it is necessary to generate a job and output a reel list for each equipment in advance in order to configure the parts supply part. Then, the component supplier is arranged on the basis of the output of the reel list page, and a feeder or reel is added, removed or changed as necessary. And if the programmer changes the feeder and reel layout of an existing job, the reel list needs to be updated. At this time, the operator needs to inquire whether the programmer has changed the component supply unit configuration while correcting the work before outputting the reel list.

그리고, 갱신 유무 조회 및 갱신 릴리스트 확인, 부품 공급부 재구성 과정은 실시간 동기화가 불가능하고 물리적 출력 과정이 포함되기 때문에 간접 비용이 존재한다. 또한 작업자 또는 프로그래머의 착오로 인한 작업 오차 발생 가능성이 농후하다. 더불어, 여유 도킹 카트의 수가 늘어날수록 차기 생산 계획에 따른 구성을 사전에 넉넉하게 구성할 수 있지만 관리가 비례적으로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are indirect costs because the update inquiry, update reel list confirmation, and component supplier reconfiguration process can not be synchronized in real time and include physical output process. In additio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a work error due to a mistake of a worker or a programmer.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spare docking carts increases,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next production plan can be configured in advance, but the management is complicated proportionally.

도킹 카트를 사전 준비 프로그램이 설치 되어있는 PC와 물리적으로 연결해야 한다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직접 사용자가 도킹 카트를 컴퓨터 앞으로 이동 시키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피더 내에 설치되어 있는 부품의 정보를 알기 위해서는 컴퓨터와 일일이 연결하여 확인하여야 한다.Another drawback is that the docking cart must b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PC where the pre-program is installed.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user to move the docking cart directly to the computer. In order to know the information of the parts installed in the feeder, the user should check with the computer one by one.

또한, 준비 되어있는 도킹 카트의 위치를 알기 위해서는 정해진 위치에 도킹 카트를 거치해 놓아야 하나 만약 다른 사용자가 도킹 카트 위치를 바꿀 경우에는 사용자가 일일이 도킹 카트를 준비 장치에 연결하거나, 도킹 카트에 부품 목록을 프린트하여 부착하는 등 불편한 작업이 수반된다. Also, in order to know the position of the prepared docking cart, it is necessary to mount the docking car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However, if another user changes the position of the docking cart, the user may individually connect the docking cart to the preparation device, Such as printing and attaching.

한국공개공보 제2007-0048987호Korean Laid-Open Publication No. 2007-004898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부품 실장기에 부품을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도킹 카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도킹 카트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도킹 카트 관리 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cking cart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managing a docking cart necessary for supplying parts to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and easily grasping the position of the docking cart.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 관리 시스템은 RFID 태그를 부착한 도킹 카트; 상기 도킹 카트가 거치되면, 상기 RFID 태그를 읽어 상기 도킹 카트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RFID 리더기가 포함된 도킹 대기부; 상기 RFID 리더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킹 카트와 상기 도킹 대기부는, 복수로 형성되어 각각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cking cart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docking cart having an RFID tag attached thereto; A docking stand including an RFID reader for reading the RFID tag and receiv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docking cart when the docking cart is loaded;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RFID reader, wherein the docking cart and the docking waiting unit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units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도킹 카트에 RFID 태그를 부착하고, 도킹 카트가 거치될 수 있는 도킹 대기부에 RFID 리더기가 내장됨으로써, 도킹 카트가 도킹 대기부에 거치되면 RFID 태그의 정보들이 RFID 리더기로 송신되어 도킹 카트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릴리스트 조회, 피더 및 릴 배치 등 도킹 카트와 부품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When the RFID tag is attached to the docking cart and the RFID reader is embedded in the docking base where the docking cart can be mounted, when the docking cart is hung on the docking base, information of the RFID tag is transmitted to the RFID reader, And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anage the docking carts and components such as reelist inquiry, feeder and reel placement.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도 1은 일반적인 부품 실장기와 도킹 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와 도킹 대기부(2) 각각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가 도킹 대기부(2)에 거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위치 추적의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기존 작업이 완료되어 새 작업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component mounting machine and a docking cart.
2 is a side view of the docking cart 1 and the docking base 2, respec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docking cart 1 mounted on the docking base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ocking car 1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information stored in a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location tracking using a docking cart management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rocess of replacing an existing job with a new job by using the docking car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ele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와 도킹 대기부(2) 각각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가 도킹 대기부(2)에 거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2 is a side view of each of the docking cart 1 and the docking standby portion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view of the docking car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RFID 태그(10)(Tag)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대기부(2)는 상면에 RFID 리더기(20)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RFID 리더기(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1)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docking car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RFID tag 10 (Tag) attached to a lower portion thereof. The docking standby unit 2 includes an RFID reader 20 on a top surface thereof and a power supply unit 21 for supplying power to the RFID reader 20.

상기 RFID 태그(10)는 트랜스폰더(Transponder)라고도 한다. RFID 태그(10)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IC 회로, 마이크로프로세서, 안테나 등을 내장하고 있다. 그리고 에너지원에 따라 구분되는 능동형 태그(Active Tag)와 수동형 태그(Passive Tag)를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다.The RFID tag 10 is also referred to as a transponder. The RFID tag 10 includes a memory storing data, an IC circuit, a microprocessor, and an antenna. In addition, active tags and passive tags can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energy sour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 관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상기 RFID 통신 가운데, NFC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mong the RFID communications used in the docking car 1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NFC.

NFC(근거리 무선 통신: Near Field Communication)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의 하나로서, 휴대폰, 스마트폰, PDA 등과 같은 디바이스(10)가 13.56 MHz 주파수 대역에서 낮은 전력으로 근접거리(1cm ~ 10cm)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비접촉식 단말기간 데이터 교환기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대기부(2)에는 NFC 리더기가 내장되어, 도킹 카트(1)가 도킹 대기부(2)에 거치하면 도킹 카트(1)에 부착된 NFC 태그와 NFC 리더기가 상호 인식 및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Near Field Communication (NFC) is one of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ies in which a device 10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DA or the like transmits a signal at a short distance (1 cm to 10 cm) And a data exchange technology for exchanging data between the contactless terminals. The NFC reader and the NFC reader attached to the docking cart 1 can be mounted on the docking carriage 2 when the docking cart 1 is mounted on the docking carriage 2. [ Mutual recognition a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re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NFC 리더기를 장착한 도킹 대기부(2)는 통상의 NFC 통신방식을 통해 NFC 태그와 통신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NFC 태그에는 고유의 태그 킷값이 있다. NFC 태그가 NFC 리더기에 태그하면, NFC 리더기는 NFC 태그의 태그 킷값을 수신하고, 태그 킷값을 식별하여 수신된 태그 킷값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킷값을 비교한다. 이렇게 비교한 두 킷값이 서로 일치하면 NFC 리더기에서 NFC 태그의 인증 정보를 수신한다. NFC 리더기에서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확인하면, 옵저버 모듈(5)에 해당 도킹 카트(1)가 도킹 대기부(2)에 거치되었다는 정보를 송신한다. 그리고 옵저버 모듈(5)에서 도킹 카트(1)가 도킹 대기부(2)에 거치된 사실을 디스플레이로 보여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통신은 NFC에 제한되지 않고, 상호간에 정보를 용이하게 송수신할 수 있다면 다양한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a docking standby unit 2 equipped with an NFC reader can communicate with an NFC tag through a normal NFC communication method. More specifically, the NFC tag has its own tag kits value. When an NFC tag is tagged to an NFC reader, the NFC reader receives the tag tag value of the NFC tag, identifies the tag tag value, and compares the received tag tag value with a predetermined tag value. If the compared two sets of values match, the NFC reader receiv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tag. When the NFC reader receives and confirm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t sends information to the observer module 5 that the docking cart 1 has been placed in the docking standby section 2. The display shows the fact that the docking cart 1 is mounted on the docking base 2 in the observer module 5. The RFID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NFC, and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can be used as long as information can be easily transmitted and received to each other.

전원 공급부(21)는 RFID 리더기(20)가 작동하도록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21)는 외부의 AC 전원을 DC로 변압하는 AC-DC 컨버터일 수도 있고, 또는 외부에서 DC 전원이 공급되면 RFID 리더기(20)에 적정 전압이 조절하는 DC-DC 컨버터일 수도 있다. 또는 직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21)는, RFID 리더기(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1 supplies power to operate the RFID reader 20. The power supply unit 21 may be an AC-DC converter for converting an external AC power source to DC or a DC-DC converter for controlling an appropriate voltage to the RFID reader 20 when DC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Or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directly. The power supply unit 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as long as it can supply power to the RFID reader 2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ocking car 1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 카트(1)와 도킹 대기부(2)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docking ca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docking cart 1 and the docking standby unit 2 can be formed in plural.

복수의 도킹 카트(1)에는 각각 RFID 태그(10)가 부착되어 있고, 복수의 도킹 대기부(2)에는 각각 RFID 리더기(20)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 관리 시스템은 라인 제어부(4)와 옵저버 모듈(5)을 더 포함한다.An RFID tag 10 is attach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ocking carts 1 and an RFID reader 20 is embed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docking bases 2. [ The docking car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ine control unit 4 and an observer module 5.

옵저버 모듈(5)이란 라인 제어부(4)에 접속하여 도킹 상태, 릴 리스트 등의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조회가 가능하도록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옵저버 모듈(5)을 이용하여 생산확정 작업 조회, 각 도킹의 릴리스트 조회, 각 도킹의 위치 조회, 도킹의 현 피더 배치와 차후 피더 배치간 상호 비교 등이 가능하다.The observer module 5 is connected to the line control unit 4 and receives information such as a docking status and a reel list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r so that the observer module 5 can inquire. The user can inquire the production confirmation work, the reel list inquiry of each docking, the position inquiry of each docking, the comparison between the current feeder arrangement of the docking and the subsequent feeder arrangement by using the observer module 5.

옵저버 모듈(5)은 각각의 도킹 대기부(2)와 도킹 카트(1)의 현황을 영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화면 표시부(50), 상기 라인 제어부(4)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51)를 포함한다. 그리고 라인 제어부(4)는, 해당 상기 복수의 도킹 카트(1), 복수의 도킹 대기부(2), 복수의 실장 장비(3)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옵저버 모듈(5)로 송신하며, 옵저버 모듈(5)로부터 전송된 명령 신호를 다시 상기 복수의 도킹 카트(1)로 전송한다.The observer module 5 includes a screen display unit 50 for displaying the status of each docking station 2 and the docking cart 1 as an image and displaying it to a user, a communication unit 51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line control unit 4 ). The line control unit 4 forms a network with the plurality of docking carts 1, the plurality of docking standby units 2 and the plurality of mounting equipment 3 to receive information, (5), and transmits the comma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bserver module (5) back to the plurality of docking carts (1).

RFID 리더기(20)는 RFID 통신으로 제공된 인증 정보와 태그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확인하는 매칭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매칭부는 RFID 태그(10)에 저장된 도킹 카트(1)의 고유 인증 정보와 도킹 대기부(2)의 해당 위치를 매칭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킹 카트(1)에는 RFID 태그(10)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안테나와 같은 RF 송수신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해당 도킹 카트(1)에 대한 인증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인증 정보 설정부와, 상기 인증 정보 설정부에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부를 구비한다. 회로부는 복조기(Demodulator), 필터,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꿔주는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RFID reader 20 may include a matching unit for compar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ovided in the RFID communication with the data stored in the tag and checking whether the matching is performed. The matching unit matches the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docking cart 1 stored in the RFID tag 10 with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docking standby unit 2. [ Meanwhile, the docking cart 1 includes an RF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such as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of the RFID tag 10.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setting unit for sett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the docking cart 1, and a circuit unit for processing the signal input to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etting unit. The circuitry may include a demodulator, a filter, and a decoder that converts the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상기 옵저버 모듈(5)을 통해 임의의 작업을 선택하면, 현재 준비되어 있는 도킹 카트(1) 목록, 도킹 카트(1)가 도킹되어 있는 위치, 현재 도킹 카트(1) 준비율(준비된 피더 개수/ 필요한 전체 피더 개수) 등을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옵저버 모듈(5)은 일반적인 감시 컴퓨터일 수도 있지만,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는 휴대를 하며 상기 도킹 카트(1)의 도킹 대기부(2) 거치 여부 및 부품 실장기 도킹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라인 제어부(4)와 옵저버 모듈(5)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간에 통신할 수도 있지만,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When the user selects an arbitrary operation through the observer module 5, the list of currently prepared docking carts 1, the position where the docking cart 1 is docked, the current preparation rate of the docking cart 1 (number of prepared feeders / required Total number of feeders) and so on. The observer module 5 may be a general monitoring computer, but may be a smart phone, a tablet PC, or the like, and may be carried by a user to check whether the docking cart 1 is docked at the docking station 2, . At this time, the line control unit 4 and the observer module 5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wired network, but may als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wireless network.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위치 추적의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FIG.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information stored in a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ethod of location tracking using a docking car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원칙적으로는 복수의 도킹 카트(1)와 도킹 대기부(2)가 존재하면, 각각의 도킹 카트(1)는 거치될 도킹 대기부(2)가 정해져 있다. 즉, 제1 도킹 카트(1a)는 제1 도킹 대기부(2a)에, 제2 도킹 카트(1b)는 제2 도킹 대기부(2b)에 거치된다. 그러나, 도킹 카트(1)에 의해 운반될 피더 및 릴의 종류와 개수, 그리고 작업의 순서와 작업이 수행될 시간 등을 고려하면, 도킹 카트(1)가 항상 정해진 도킹 대기부(2)에 거치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킹 카트(1)가 많아질수록, 이를 관리하는 것이 복잡해지며, 필요한 도킹 카트(1)가 어느 도킹 대기부(2)에 거치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도킹 대기부(2)에 도킹 카트(1)가 거치되면, RFID 리더기(20)가 도킹 카트(1)에 부착된 RFID 태그(10)를 통해 거치된 해당 도킹 카트(1)를 식별한다.In principle, if there are a plurality of the docking carts 1 and the docking bases 2, the docking bases 2 to which the respective docking carts 1 are to be mounted are determined. That is, the first docking cart 1a is mounted on the first docking waiting portion 2a and the second docking cart 1b is mounted on the second docking waiting portion 2b. However, taking into account the type and number of feeders and reels to be carried by the docking cart 1, and the time and order in which the operations are performed, the docking cart 1 is always placed in the predetermined docking base 2 It is not. As the number of the docking carts 1 increases, management of the docking carts 1 becomes complicated, and it is not easy to confirm which docking carriage 1 is mounted on which docking base 2.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ocking cart 1 is mounted on each docking base 2, the RFID reader 20 can be connected to the docking cart 1 via the RFID tag 10 Thereby identifying the corresponding docking cart 1 to be mounted.

그리고, 상기 RFID 태그(10)에는 도킹 카트(1)의 인증 정보, 도킹 카트(1)에 포함된 피더 및 릴의 종류와 개수, 피더의 배치, 사용 여부 및 여유분의 개수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를 각각의 도킹 대기부(2)가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 서버로 송신한다. 데이터 베이스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 카트(1)의 인증 정보, 작업의 이름, 장비의 이름, 도킹 카트(1)의 위치 등이 저장된다. 그리고 라인 제어부(4)를 통해 옵저버 모듈(5)로 상기 정보를 송신한다.The RFID tag 10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docking cart 1, the type and number of feeders and reels included in the docking cart 1, the arrangement of feeders, the number of feeders, have. Therefore, each docking standby unit 2 receives this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database server. 5,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docking cart 1, the name of the job, the name of the equipment, the location of the docking cart 1, and the like are stored in the database. Then,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observer module 5 through the line control unit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옵저버 모듈(5)에서도 도 6에 도시된 실 레이아웃이 도식화된 영상이 화면에 출력된다.Also in the observer module 5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of the thread layout shown in Fig. 6 is displayed on the scree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에는 상기 도킹 대기부(2)의 설치 위치가 나타나며, 도 6에 도시된 N-N 은 해당 보관대의의 위치를 표시하는 도킹 대기부(2)의 ID를 나타낸다.As shown in FIG. 6,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ocking standby unit 2 is shown in the image, and N-N shown in FIG. 6 represents the ID of the docking standby unit 2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storage unit.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도킹 카트(1)를 쉽게 찾기 위해 도킹 대기부(2) 조회 기능을 사용한다.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는 상기 각 도킹 카트(1)별로 현재 거치되어 있는 RFID 태그(10)의 ID가 저장된다. 사용자는 옵저버 모듈(5)의 화면 표시부(50)를 이용하여 공장 레이아웃에서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도킹 카트(1)가 거치되어 있는 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The user uses the docking waiting unit 2 inquiry function to easily find the docking cart 1 he wants to use. In the database server, the ID of the RFID tag 10 currently stored for each of the docking carts 1 is stored. The user can recognize the position where the docking cart 1 to be used in the factory layout is mounted using the screen display unit 50 of the observer module 5. [

작업 순서에 따라 필요한 부품이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 해당 부품들이 배치된 피더 및 릴이 포함된 도킹 카트(1)가 도킹 대기부(2)에서 제거된다. 그리고 해당 도킹 카트(1)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실장 장비(3)로 이동된 후, 상기 실장 장비(3)에 도킹된다. 그리고 상기 도킹된 사실은 상기 실장 장비(3)가 네트워크를 통해 라인 제어부(4)로 전달된다. 라인 제어부(4)는 이를 실시간으로 옵저버 모듈(5)로 전송하여 업데이트된다. 상기 옵저버 모듈(5)을 통해 해당 도킹 카트(1)가 어느 실장 장비(3)에 도킹이 되었는지 사용자가 알 수 있다. 실장 작업이 종료되면, 피더 및 릴의 사용 여부 및 여유분의 개수가 자동으로 라인 제어부(4)로 전달된다.When necessary parts are to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rder, the docking cart 1 including the feeder and the reel in which the parts are disposed is removed from the docking base 2. Then, the docking cart 1 is moved to the mounting equipment 3 to be operated, and then the docking cart 3 is docked. The fact that the mounting equipment 3 is docked is transmitted to the line control unit 4 through the network. And the line control unit 4 updates it by transmitting it to the observer module 5 in real time. The observer module 5 allows the user to know which docking cart 3 is docked. When the mounting operation is completed, whether or not the feeder and the reel are used and the number of spare parts ar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line control unit 4. [

사용자는 상기의 방법으로 도킹 카트(1)가 거치된 도킹 대기부(2), 도킹 카트(1)가 도킹된 실장 장비(3), 피더 및 릴의 종류와 개수, 사용 여부, 여유분의 개수 등을 한 눈에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The user can select the type and number of the docking carriage 1 on which the docking cart 1 is mounted, the mounting equipment 3 to which the docking cart 1 is docked, the feeder and the reel, Can be easily confirmed at a glanc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기존 작업이 완료되어 새 작업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rocess of replacing an existing job with a new job by using a docking car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옵저버 모듈(5)에는 복수의 생산 장비들과, 상기 생산 장비들 각각에 도킹된 도킹 카트(1)가 도식화된 공장 레이아웃이 표시된다. 그리고, 일측에는 당일 작업 계획 목록이 나열되어 있다. 상기 당일 작업 계획 목록은 사용자가 미리 작업의 계획을 세우고, 계획대로 작업의 순서를 등록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 계획 목록에는 완료된 작업, 진행중인 작업이 표시되고, 진행중인 작업에는 남은 시간이 표시된다. 추후 진행해야 될 작업에는 작업을 착수할 시간이 표시된다.As shown in FIG. 7, the observer module 5 displays a plurality of production equipments and a factory layout in which the docking carts 1 docked in each of the production equipments are illustrated. On the other hand, a list of the day's work plan is listed. The day job plan list can be formed by the user in advance planning the job and registering the order of the job as planned. In the task plan list, completed tasks and work in progress are displayed, and remaining tasks are displayed in the work in progress. Tasks that need to be done later show the time to start work.

현재 진행중인 기존 작업이 완료된다면, 새 작업으로 변경하여야 한다. 그리고 작업이 변경되면 상기 작업에 대응되는 부품이 사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킹 카트(1)도 함께 변경되어야 한다.If an existing work in progress is completed, you must change it to a new job. If the job is changed,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job should be used. Therefore, the docking cart 1 must also be changed.

사용자가 다음 작업을 선택하면, 상기 옵저버 모듈(5)은 다음 작업에 사용되어야 할 부품이 포함된 도킹 카트(1)를 파악한다. 또한, 해당 도킹 카트(1)가 거치된 도킹 대기부(2) 또는 해당 도킹 카트(1)가 도킹된 실장 장비(3)를 파악한다. 그리고 옵저버 모듈(5)은 상기 도킹 카트(1)가 위치한 도킹 대기부(2) 또는 실장 장비(3)에 대응되는 레이아웃을 표시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아웃은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위치를 인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옵저버 모듈(5)에서 상기 레이아웃이 깜박이거나, 상기 레이아웃을 나타낸 글씨가 굵어지는 등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도킹 카트(1)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방식으로 레이아웃을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the next job, the observer module 5 grasps the docking cart 1 containing the parts to be used for the next job. Further, the docking carriage 2 on which the docking cart 1 is mounted or the mounting equipment 3 to which the docking cart 1 is docked is recognized. The observer module 5 displays a layout corresponding to the docking standby unit 2 or the mounting equipment 3 where the docking cart 1 is located. As shown in FIG. 7, it is preferable that the layout is displayed in a different colo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f the observer module 5 can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docking cart 1 easily, for example, the layout blinks or the letter indicating the layout becomes thick, can do.

한편, 각각의 도킹 카트(1)에는 램프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제로 도킹 대기부(2)에 거치되어 있거나 실장된 장비에 도킹되어 있는 해당 도킹 카트(1)에도, 상기 램프에 광이 방출됨으로써 현재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는, 도킹 카트(1)에는 램프가 아닌 스피커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해당 도킹 카트(1)에 설치된 스피커에서 소리가 방출됨으로써 현재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ach docking cart 1 is provided with a lamp. The light is emitted to the docking cart 1 which is actually mounted on the docking base 2 or is docked on the mounted equipment, thereby informing the user of the current position. Alternatively, the docking cart 1 may be provided with a speaker other than a lamp. In this case, sound is emitted from the speaker installed in the docking cart 1, thereby informing the user of the current position.

상기 램프는 LED 램프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할로겐 램프, 백열등 등 상기 도킹 카트(1)를 나타내도록 광을 방출할 수 있다면 다양한 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The lamp is preferably an LED lamp,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Various lamps can be used as long as they can emit light to represent the docking cart 1 such as a halogen lamp, an incandescent lamp, and the like.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진행중인 기존 작업의 남은 시간, 새로운 작업을 착수할 시간, 새로운 작업에 필요한 도킹 카트(1)의 위치 등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의 진행이 빠르고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remaining time of the existing work in progress, the time to start a new work, the position of the docking cart 1 required for a new work, and the like. And the work progresses quickly and smoothly.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 도킹 카트 2: 도킹 대기부
3: 실장 장비 4: 라인 제어부
5: 옵저버 모듈 10: RFID 태그
20: RFID 리더기 21: 전원 공급부
50: 화면 표시부
1: Docking cart 2: Docking base
3: mounting equipment 4: line control unit
5: observer module 10: RFID tag
20: RFID reader 21: power supply
50:

Claims (6)

실장 장비에 부품을 제공하며, RFID 태그를 부착한 도킹 카트;
상기 도킹 카트가 거치되면, RFID 통신을 통해 상기 RFID 태그를 읽어 상기 도킹 카트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RFID 리더기가 포함된 도킹 대기부;
상기 RFID 리더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킹 카트와 상기 도킹 대기부는,
복수로 형성되어 각각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도킹 카트 관리 시스템.
A docking cart with RFID tags, providing parts to mounting equipment;
A docking stand including an RFID reader for reading the RFID tag through RFID communication and receiv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docking cart when the docking cart is loaded;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RFID reader,
Wherein the docking cart and the docking waiting unit comprise:
Wherein the plurality of docking cart management system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통신은,
근접 거리에서 손실이 적으며 정확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NFC인, 도킹 카트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RFID communication,
NFC is a docking cart management system that can deliver accurate, low-loss information at close ran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카트가 거치된 도킹 대기부, 상기 도킹 카트가 도킹된 실장 장비, 상기 도킹 카트의 사용 여부, 작업 목록, 부품의 여분 개수를 영상으로 출력하여 나타내는 옵저버 모듈을 더 포함하는 도킹 카트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bserver module for outputting an image of a docking base portion on which the docking cart is mounted, a mounting equipment to which the docking cart is docked, whether or not the docking cart is used, a work list, and a spare number of part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옵저버 모듈에 나타난 상기 작업 목록에서 작업이 선택되면,
상기 옵저버 모듈에서,
상기 작업에 사용될 상기 도킹 카트가 거치된 상기 도킹 대기부 또는 상기 도킹 카트가 도킹된 상기 실장 장비에 대응되는 레이아웃이 표시됨으로써, 상기 도킹 카트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킹 카트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n an operation is selected from the job list displayed in the observer module,
In the observer module,
Wherein a layout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equipment to which the docking cart to be used for the operation is mounted is docked or the layout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equipment to which the docking cart is docked is displayed to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docking car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카트는,
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이 선택되면,
상기 작업에 사용될 상기 도킹 카트의 램프에서 광이 방출되는, 도킹 카트 관리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ocking cart comprises:
Comprising a lamp,
When the job is selected,
Wherein light is emitted from the lamp of the docking cart to be used for the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도킹 카트, 상기 도킹 대기부, 상기 실장 장비들의 정보를 수신하여 옵저버 모듈에 전송하고, 옵저버 모듈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도킹 카트, 상기 도킹 대기부, 상기 실장 장비에 전송하는 라인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도킹 카트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the information of the docking cart, the docking standby unit, and the mounting equipment through the connected network,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observer module, and transmitting the signal input from the observer module to the docking cart, the docking standby unit, And a line control unit.
KR1020150191200A 2015-12-31 2015-12-31 The System For Managing Docking Cart KR1024821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200A KR102482136B1 (en) 2015-12-31 2015-12-31 The System For Managing Docking C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200A KR102482136B1 (en) 2015-12-31 2015-12-31 The System For Managing Docking Ca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039A true KR20170080039A (en) 2017-07-10
KR102482136B1 KR102482136B1 (en) 2022-12-27

Family

ID=59356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200A KR102482136B1 (en) 2015-12-31 2015-12-31 The System For Managing Docking C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136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9090A (en) * 1998-08-03 2000-02-25 Yamaha Motor Co Ltd Program tim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mounting equipment
KR20070048987A (en) 2005-11-07 2007-05-1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eeder recognition system for chip mounter using rfid
JP2008040640A (en) * 2006-08-03 2008-02-21 Hitachi Ltd Work management apparatus, work management system, work management method, and picking carriage
JP2008103418A (en) * 2006-10-17 2008-05-01 Yamaha Motor Co Ltd Mounting machine and feeder
KR20080068736A (en) * 2008-06-10 2008-07-23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Operation supporting system for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method for recognizing component arrangement and method for recognizing cassette arrangement
WO2014010083A1 (en) * 2012-07-13 2014-01-16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Component mounting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9090A (en) * 1998-08-03 2000-02-25 Yamaha Motor Co Ltd Program tim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mounting equipment
KR20070048987A (en) 2005-11-07 2007-05-1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eeder recognition system for chip mounter using rfid
JP2008040640A (en) * 2006-08-03 2008-02-21 Hitachi Ltd Work management apparatus, work management system, work management method, and picking carriage
JP2008103418A (en) * 2006-10-17 2008-05-01 Yamaha Motor Co Ltd Mounting machine and feeder
KR20080068736A (en) * 2008-06-10 2008-07-23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Operation supporting system for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method for recognizing component arrangement and method for recognizing cassette arrangement
WO2014010083A1 (en) * 2012-07-13 2014-01-16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Component moun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136B1 (en)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3653B2 (en) Asset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JP5909650B2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system
CN206209389U (en) For the device of the multi-mode RFST communications in Process Control System
KR100861512B1 (en) Total control system of a plurality of chip mounter
CN108377639B (en) Component providing device and component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JP4736881B2 (en) Storage management system, worker terminal constituting the system, storage management method, and storage management program
CN102509202B (en) Realization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warehouse-in and warehouse-out of shuttle rack
US20180042091A1 (en) Method for configuring an electronic element in a lighting system, electronic element and configuring system
US20160086790A1 (en) Component preparation instruction system, component preparation instruction method, and portable terminal
CN104204972B (en) For the method for the radio operation of field apparatus
EP3893621B1 (en) Machine management system for substrate-working machines
US11160201B2 (en) Component mounting system and component data creation method
EP2908613B1 (en) Tape feeder component comparison system
JP2016143270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05204412A (en) Wiring management system
KR102482136B1 (en) The System For Managing Docking Cart
US11048241B2 (en) Production schedule creating method and production schedule creating apparatus
KR101899046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he Reels for SMD Components
JP2018125383A (en) Component supply device
CN1897017B (en) 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parameters of a field st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10258490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lexible production line management
JP2017102691A (en) RFID communication method
WO2022259677A1 (en) Property management assistance system, property management system, and property management assistance method
JP4357880B2 (en) Surface mount machine
CN202142091U (en) Hybrid active-passiv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electronic labe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