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8991A -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8991A
KR20170078991A KR1020150189034A KR20150189034A KR20170078991A KR 20170078991 A KR20170078991 A KR 20170078991A KR 1020150189034 A KR1020150189034 A KR 1020150189034A KR 20150189034 A KR20150189034 A KR 20150189034A KR 20170078991 A KR20170078991 A KR 20170078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mergency generator
generator
emergenc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9053B1 (ko
Inventor
한운기
임현성
정진수
조성구
Original Assignee
한국 전기안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전기안전공사 filed Critical 한국 전기안전공사
Priority to KR1020150189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053B1/ko
Publication of KR20170078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connecting networks of the same frequency but supplied from different sources
    • H02J3/08Synchronising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40Synchronising a generator for connection to a network or to another generator

Abstract

비상발전기와 계통의 전압차, 주파수차, 위상차를 기준치 이내로 만족시키기 위하여 비상발전기의 AVR 및 가버너(Governor) 신호를 제어하여 무정전 절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방법은, 상기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복원되면, 상기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원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비상발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원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전원정보를 비교 및 연산하고, 비교 및 연산결과가 기준 범위를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가 전압의 기준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AVR을 제어하여 상기 비상발전기의 전압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가 위상 및 주파수의 기준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가버너를 제어하여 상기 비상발전기의 위상 및 주파수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가 기준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계통으로부터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비상발전기로부터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상발전기와 계통의 동기 제어를 통해 무정전절체의 실패를 예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스템의 동작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단기 동작에 따른 순간 아크를 차단하여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시스템 및 방법{Standby generator synchronizing operation of closed transition transfer switch}
본 발명은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발전기와 계통의 전압차, 주파수차, 위상차를 기준치 이내로 만족시키기 위하여 비상발전기의 AVR 및 가버너(Governor) 신호를 제어하여 무정전 절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정전전원장치(UPS, Uninterrupted Power Supply)는 일반적으로 정전 등 비상시에 배터리나 별도의 보조 전원에서 생성된 전력을 부하로 제공하는 장치이다.
정전시 무정전전원장치가 동작하도록 하여 수 초 내지 수 시간 동안 보조 전원이 전력을 공급하므로 부하의 전기 설비들을 보호하고 안전하게 종료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전원전원장치는 컴퓨터 보호 장비에 국한되지 않고, 데이터 센터, 통신 장비 또는 기타 전기 장비의 예기치 않은 전원 중단에 의한 손상, 심각한 업무 중단이나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이용된다.
무정전전원장치는 크게 온-라인(On-Line) 방식과 오프-라인(Off-Line) 방식 및 라인 인터랙티브(Line Interactive) 방식이 있다.
이 중에서 온-라인 방식은 상용 전원을 컨버터 회로에 의해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직류 전원은 충전 회로를 통해 배터리에 충전하며 인버터 회로를 통해 다시 교류전원으로 변환해 출력한다.
오프-라인 방식은 상용 교류 전원을 그대로 출력하고, 충전 회로는 배터리를 충전한다.
그리고, 정전시에는 인버터 회로를 구동하여 배터리에 저장되어 있는 전력을 출력한다.
또한, 라인 인터랙티브 방식은 배터리와 인버터 회로가 항상 접속되어 서로 전력을 변환하고 상용 교류 전원도 같이 연계되어 상용 교류 전원이 정전 검출 레벨 이하로 될 때 입력단의 자동 절체 스위치를 턴 오프하여 짧은 시간에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한다.
한편, 무정전절체장치(Closed Transition Transfer Switch)는 정전으로 인하여 상용전원이 차단되어 배터리나 비상발전기의 전원으로 절체되거나, 반대로 상용전원이 복원되어 비상발전기 전원에서 상용전원으로 절체될때, 순간적인 정전이 없이 절체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종래의 ATS(Auto Transfer Switch, 자동절체스위치)는 두개의 서로 다른 전원 요소 간에 절체를 할때, 한쪽의 연결을 분리한 뒤 다른 전원 요소로 옮기는 방식이기 때문에 0.01 ~ 0.10초 가량 정전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반면, 무정전절체장치(CTTS)는 극히 짧은 절체 순간에 양 전원을 동시 투입했다가 하나의 전원을 끊어버리는 구조이기 때문에 무정전 절체가 가능하다.
그러나, 무정전절체장치(CTTS)는 두개의 전원 요소간에 전압, 주파수 및 위상과 같은 전원의 동기가 일치될 경우에만 동작하기 때문에 동기 조건 불만족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서의 무정전절체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17492호 (2014년 07월 08일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단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비상발전기와 계통의 동기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비상발전기와 계통의 전압차, 주파수차 및 위상차를 기준치 이내로 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서 무정전절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시스템은,
계통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이상 발생시 비상발전기에서 비상 전원을 생산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시스템으로서,
상기 계통, 부하 및 비상발전기의 사이에 구성되고, 상기 계통 및 비상발전기로부터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무정전자동절체장치;
상기 계통 및 비상발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전원정보를 비교 및 판단하며, 판단 결과를 토대로 상기 비상발전기를 제어하는 동기제어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동기제어장치는, 상기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원정보를 측정하는 계통 측정부; 상기 비상발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원정보를 측정하는 발전기 측정부; 상기 비상발전기의 전압 크기를 조정하는 AVR(Automatic Voltage Regulator, 자동전압조정기); 상기 비상발전기의 위상 및 주파수 크기를 조정하는 엔진; 상기 엔진에 조정신호를 보내 상기 비상발전기의 위상 및 주파수를 조정하는 가버너(Governor, 발전기 속도 조정기); 상기 계통 측정부 및 발전기 측정부를 제어하고, 상기 계통 측정부 및 발전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전원정보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를 토대로 상기 AVR 및 가버너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계통 측정부 및 발전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전원정보와,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에게 알람 및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방법은,
계통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이상 발생시 비상발전기에서 비상 전원을 생산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방법으로서,
상기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복원되면, 제어부가 계통 측정부를 제어하여 상기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원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발전기 측정부를 제어하여 상기 비상발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원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계통 측정부 및 발전기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전원정보를 비교 및 연산하고, 비교 및 연산결과가 기준 범위를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가 전압의 기준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알람부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가 전압의 기준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AVR을 제어하여 상기 비상발전기의 전압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가 위상 및 주파수의 기준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알람부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가 위상 및 주파수의 기준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가버너를 제어하여 상기 비상발전기의 위상 및 주파수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가 기준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메인스위칭부를 연결하여 상기 계통으로부터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비상스위칭부를 차단하여 비상발전기로부터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시스템 및 방법은,
비상발전기와 계통의 동기 제어를 통해 무정전절체의 실패를 예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스템의 동작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단기 동작에 따른 순간 아크를 차단하여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시스템을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정전절체장치의 동기 제어 알고리즘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시스템을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계통(100), 부하(200), 비상발전기(300), 무정전절체장치(400), 동기제어장치(500)로 구성된다.
상기 계통(100)은 한전전원과 같은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부하(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비상발전기(300)는 상기 계통(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낙뢰나 단락으로 인한 정전사고가 일어날 경우, 비상 전원을 생산하여 부하(200)에 공급한다.
또한, 상기 무정전절체장치(400)는 상기 계통(100), 부하(200) 및 비상발전기(300)의 사이에 구성되고,
상기 계통(100)과 부하(200)의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계통(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부하(200)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메인스위칭부(410)와,
상기 비상발전기(300)와 부하(200)의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비상발전기(3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부하(200)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비상스위칭부(4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동기제어장치(500)는,
상기 계통(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원정보를 측정하는 계통 측정부(510);
상기 비상발전기(3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원정보를 측정하는 발전기 측정부(520);
상기 비상발전기(300)의 전압 크기를 조정하는 AVR(Automatic Voltage Regulator, 자동전압조정기)(530);
상기 비상발전기(300)의 위상 및 주파수 크기를 조정하는 엔진(550);
상기 엔진(550)에 조정신호를 보내 상기 비상발전기(300)의 위상 및 주파수를 조정하는 가버너(Governor, 발전기 속도 조정기)(540);
상기 계통 측정부(510) 및 발전기 측정부(520)를 제어하고, 상기 계통 측정부(510) 및 발전기 측정부(520)에서 측정된 전원정보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를 토대로 상기 AVR(530) 및 가버너(540)를 제어하는 제어부(560);
상기 계통 측정부(510) 및 발전기 측정부(520)에서 측정된 전원정보와,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570);
사용자에게 알람 및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부(580);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가진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계통(1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부하(200)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계통(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이상 발생시 비상발전기(300)에서 비상 전원을 생산하여 부하(200)에 공급하는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방법으로서,
상기 계통(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복원되면, 제어부(560)가 계통 측정부(510)를 제어하여 상기 계통(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원정보를 측정하는 단계(S10);
상기 제어부(560)가 발전기 측정부(520)를 제어하여 상기 비상발전기(3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원정보를 측정하는 단계(S20);
상기 제어부(560)가 상기 계통 측정부(510) 및 발전기 측정부(520)로부터 측정된 전원정보를 비교 및 연산하고, 비교 및 연산결과가 기준 범위를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30);
상기 판단결과가 전압의 기준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560)가 알람부(58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S40);
상기 판단결과가 전압의 기준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560)가 AVR(530)을 제어하여 상기 비상발전기(300)의 전압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S50);
상기 판단결과가 위상 및 주파수의 기준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560)가 알람부(58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S60);
상기 판단결과가 위상 및 주파수의 기준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560)가 가버너(540)를 제어하여 상기 비상발전기(300)의 위상 및 주파수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S70);
상기 판단결과가 기준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메인스위칭부(410)를 연결하여 상기 계통(100)으로부터 부하(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S80);
비상스위칭부(420)를 차단하여 상기 비상발전기(300)로부터 부하(2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S9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기준 범위는 계통(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과 비상발전기(3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차가 5%이내, 주파수차가 0.2Hz이내, 위상차가 5°이내로 한다.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계통(100)으로부터 부하(200)에 공급되는 전원이 낙뢰나 단락과 같은 정전사고로 인하여 이상이 발생할 경우, 상기 무정전절체장치(400)가 동작되어 비상발전기(300)의 전원이 부하(200)에 공급된다.
즉, 비상스위칭부(420)가 연결되어 상기 비상발전기(300)의 전원이 부하에 공급되고, 메인스위칭부(410)가 차단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계통(100)의 전원이 다시 복원 되면, 상기 동기제어장치(500)의 제어부(560)가 계통 측정부(510)를 제어하여 계통(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원정보를 측정한다(S10).
그리고, 상기 제어부(560)가 발전기 측정부(520)를 제어하여 상기 비상발전기(3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원정보를 측정한다(S20).
여기에서, 상기 전원정보는 전압(Voltage), 위상 및 주파수(Frequency)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전원정보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다른 항목을 더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60)가 상기 계통 측정부(510) 및 발전기 측정부(520)로부터 측정된 전원정보를 비교 및 연산하고, 비교 및 연산결과가 기준 범위를 만족하는지 판단한다(S30).
여기에서, 상기 기준 범위는 계통(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원정보와 비상발전기(3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원정보를 비교 및 연산하여, 상기 두 전원 사이의 전압차가 5%이내, 주파수차가 0.2Hz이내, 위상차가 5°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기준 범위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다른 기준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에서 전압의 기준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60)가 알람부(58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S40).
또한, 상기 판단결과가 전압의 기준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560)가 AVR(530)을 제어하여 상기 비상발전기(300)의 전압 크기를 조정한다(S50).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가 위상 및 주파수의 기준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560)가 알람부(58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S60).
또한, 상기 판단결과가 위상 및 주파수의 기준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560)가 가버너(540)를 제어하여 엔진(550)에 제어신호를 보냄으로써 상기 비상발전기(300)의 위상 및 주파수 크기를 조정한다(S70).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가 기준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스위칭부(410)를 연결하여 상기 계통(100)으로부터 부하(200)에 전원을 공급한다(S80).
이때, 상기 계통(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과, 상기 비상발전기(3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병렬연결되어 부하(200)에 동시에 공급된다.
또한, 두 전원의 전압차, 주파수차 및 위상차가 기준 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정하였기 때문에 상기 메인스위칭부(410)를 연결하는 과정에서의 순간 아크는 일어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비상스위칭부(420)를 차단하여 상기 비상발전기(300)로부터 부하(2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계통(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만이 부하(200)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 계통 200 : 부하
300 : 비상발전기 400 : 무정전절체장치
410 : 메인스위칭부 420 : 비상스위칭부
500 : 동기제어장치 510 : 계통 측정부
520 : 발전기 측정부 530 : AVR
540 : 가버너 550 : 엔진
560 : 제어부 570 : 저장부
580 : 알람부

Claims (5)

  1. 계통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이상 발생시 비상발전기에서 비상 전원을 생산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시스템으로서,
    상기 계통, 부하 및 비상발전기의 사이에 구성되고, 상기 계통 및 비상발전기로부터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무정전절체장치;
    상기 계통 및 비상발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전원정보를 비교 및 판단하며, 판단 결과를 토대로 상기 비상발전기를 제어하는 동기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제어장치는,
    상기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원정보를 측정하는 계통 측정부;
    상기 비상발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원정보를 측정하는 발전기 측정부;
    상기 비상발전기의 전압 크기를 조정하는 AVR(Automatic Voltage Regulator, 자동전압조정기);
    상기 비상발전기의 위상 및 주파수 크기를 조정하는 엔진;
    상기 엔진에 조정신호를 보내 상기 비상발전기의 위상 및 주파수를 조정하는 가버너(Governor, 발전기 속도 조정기);
    상기 계통 측정부 및 발전기 측정부를 제어하고, 상기 계통 측정부 및 발전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전원정보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를 토대로 상기 AVR 및 가버너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계통 측정부 및 발전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전원정보와,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에게 알람 및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정전절체장치는,
    상기 계통과 부하의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부하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메인스위칭부와,
    상기 비상발전기와 부하의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비상발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부하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비상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시스템.
  4. 계통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이상 발생시 비상발전기에서 비상 전원을 생산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방법으로서,
    상기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복원되면, 제어부가 계통 측정부를 제어하여 상기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원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발전기 측정부를 제어하여 상기 비상발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원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계통 측정부 및 발전기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전원정보를 비교 및 연산하고, 비교 및 연산결과가 기준 범위를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가 전압의 기준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알람부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가 전압의 기준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AVR을 제어하여 상기 비상발전기의 전압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가 위상 및 주파수의 기준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알람부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가 위상 및 주파수의 기준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가버너를 제어하여 상기 비상발전기의 위상 및 주파수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가 기준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메인스위칭부를 연결하여 상기 계통으로부터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비상스위칭부를 차단하여 상기 비상발전기로부터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범위는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과 비상발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차가 5%이내, 주파수차가 0.2Hz이내, 위상차가 5°이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방법.
KR1020150189034A 2015-12-29 2015-12-29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1859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034A KR101859053B1 (ko) 2015-12-29 2015-12-29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034A KR101859053B1 (ko) 2015-12-29 2015-12-29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991A true KR20170078991A (ko) 2017-07-10
KR101859053B1 KR101859053B1 (ko) 2018-05-21

Family

ID=59356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034A KR101859053B1 (ko) 2015-12-29 2015-12-29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0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894B1 (ko) * 2018-11-28 2019-03-15 디아이케이(주) 계통과 비상 발전기에 적용된 위상 제어 장치
KR102087607B1 (ko) * 2019-11-22 2020-03-11 주식회사 우경일렉텍 상수도 설비의 무정전 계통 절체 운전장치
KR20200041592A (ko) 2018-10-12 2020-04-22 주식회사 지엔이피에스 계통연계 및 무정전 전원 장치를 갖는 발전기 절환 시스템
KR102172452B1 (ko) * 2020-04-20 2020-10-30 주식회사 우경일렉텍 전력 계통의 무순단 절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237B1 (ko) * 2011-04-20 2012-11-08 서울기연(주) 자가진단형 전원 자동 절체 시스템
KR101466162B1 (ko) * 2014-01-02 2014-11-27 주식회사 리젠코 상용전원과 비상발전기 간의 최적 부하이동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1592A (ko) 2018-10-12 2020-04-22 주식회사 지엔이피에스 계통연계 및 무정전 전원 장치를 갖는 발전기 절환 시스템
KR101958894B1 (ko) * 2018-11-28 2019-03-15 디아이케이(주) 계통과 비상 발전기에 적용된 위상 제어 장치
KR102087607B1 (ko) * 2019-11-22 2020-03-11 주식회사 우경일렉텍 상수도 설비의 무정전 계통 절체 운전장치
KR102172452B1 (ko) * 2020-04-20 2020-10-30 주식회사 우경일렉텍 전력 계통의 무순단 절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053B1 (ko) 201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3863B2 (en) Power systems and methods using an uniterruptible power supply to transition to generator-powered operation
US6611068B2 (en) Power system
JP5877480B2 (ja) 分散型電源の自立運転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9077208B2 (en) Method of detecting instability in islanded electrical systems
KR101859053B1 (ko)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A2534929C (en) Continuous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0868372B1 (ko) 무정전 전원장치 및 정전 보상 시스템
US8767362B2 (en) Islanded power system with distributed power supply
KR101617346B1 (ko)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70078989A (ko) 비상발전기-eess 연계 운전 시스템 및 그의 품질 평가 방법
KR101021598B1 (ko) 순간정전 보상장치
US11451063B2 (en) Power supply system
US8829714B2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power supplying method thereof
KR20170123021A (ko) 분산전원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및 그의 무순단 절체 방법
KR20140075472A (ko) 계통 연계형 오프라인 교류 무정전 전원 장치
KR101989774B1 (ko) 기계 및 전자스위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무정전 전환 스위치 시스템
JP3839643B2 (ja) 無瞬断自立移行発電システム
KR102105090B1 (ko) 무정전전원장치 병렬운전을 위한 출력위상 궤환 동기화 장치 및 방법
KR20180096090A (ko)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
JP2017073854A (ja) 電力供給システム
CN106655461B (zh) 不断电供电系统
US11942818B2 (en) Arrangement of converters and fast switches to provide BESS and UPS combined function
KR20090037555A (ko) 선박용 전기장치 보호형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KR20170142238A (ko) 정전을 대비하기 위한 전원 시스템
US20230402851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disconnecting a grid power source from a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