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8214A - 태양광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8214A
KR20170078214A KR1020150188522A KR20150188522A KR20170078214A KR 20170078214 A KR20170078214 A KR 20170078214A KR 1020150188522 A KR1020150188522 A KR 1020150188522A KR 20150188522 A KR20150188522 A KR 20150188522A KR 20170078214 A KR20170078214 A KR 20170078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frame
vibration
coupled
protru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1553B1 (ko
Inventor
박기주
이광진
라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너솔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너솔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너솔라
Priority to KR1020150188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553B1/ko
Publication of KR20170078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에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저면에 결합되어 지지프레임을 설치면 상에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과 고정프레임 사이에 결합되어 지지프레임과 고정프레임 사이에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방진패드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복수개 결합되어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방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장치{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진과 같은 외력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태양광 발전장치의 구조물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유,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가 고갈되어 가고,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하여 대체에너지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데, 특히 태양 에너지를 활용하는 에너지 자원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태양 에너지를 활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술로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열기관을 구동시켜 전기를 발전시키는 태양열 발전과, 태양광을 이용하여 태양전지로 부터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광 발전이 있다.
상기 태양광 발전에 이용되는 태양전지는, 태양광을 직류 전기로 바꾸어 전력을 생산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주로 실리콘과 복합재료가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태양전지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태양 빛을 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광전효과를 이용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태양전지는 대면적의 P-N 접합 다이오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P-N 접합 다이오드의 양극단에 발생된 기전력을 외부 회로에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태양전지의 최소 단위를 셀(Cell)이라 하는데, 실제 사용되는데 필요한 전압이 수 V에서 수십 혹은 수백 V 이상인데 비하여 셀 1개로부터 나오는 전압은 약 0.5V로 매우 작기 때문인데, 이 때문에 다수의 단위 태양전지들을 필요한 단위 용량으로 직렬 또는 병렬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태양전지가 야외에서 사용되는 경우 여러 가지 혹독한 환경에 처하게 되므로, 필요한 단위 용량으로 연결된 다수의 셀을 혹독한 환경에서 보호하기 위하여 복수의 셀을 하나의 단일 판형 부재로 형성한 태양전지모듈(solar cell module)로 구성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단일 판형 부재로 형성된 태양전지 모듈을 설치 공간(예를 들어, 건물 옥상이나 옥외 시설물 등)에 설치하는 경우, 종래기술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지지어셈블리는 태양전지 모듈의 전방부분을 지지하는 전방 지지구조물, 태양전지 모듈의 중간부분을 지지하는 중간 지지구조물 및 태양전지 모듈의 후방부분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구조물로 구성된다.
태양광 발전장치는 소형은 대부분 주택 옥상이나 지붕 위에 설치되고, 대규모의 태양광 발전장치는 일조량이 풍부한 야산이나 대지 등에 설치되어 왔으나, 지금은 시설물의 재활용과 경제적인 효과 측면에서 기존 대형공장 등의 건축물 옥상 바닥이나 지붕 위에도 많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지진 발생 시, 설치면인 콘크리트 구조물을 가진 영역으로 하여 진동이 전달되면서 피 가진 영역인 태양광 발전장치의 태양전지 모듈에 영향을 끼쳐 쉽게 파손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태양광발전시스템에 대해 생산원가의 상승과 우리나라에 지진 강도가 미약하다는 이유로 지진이나 진동에 대한 내진 또는 면진설계를 적용하지 않았다.
최근 지구환경의 이상 급변과 함께, 몇 년 사이에 아시아권 지진대의 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정부는 지진 발생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지진 응답계측 장비의 과학화 등을 통해 선진화된 지진대응시스템 구축은 물론 3층 이상 건물에 대한 내진 설계 의무화를 발표(2005)에 이어 소방시설 내진설계 기준(안)의 마련(2013년)과 더불어 모든 시설물에 대한 내진 설계의 강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시설물 및 발전설비에 대한 내진 설계란, 지진 발생 시 건축물을 통해 시설물 및 발전설비에 전달되는 지진력을 흡수하고 감소 및 소멸시켜서 내진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설계기법인 면진 설계를 포함하는 지진에 대한 포괄적인 설계기술을 말한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04314호의 '태양광 발전설비의 내진장치'를 비롯한 대부분의 내진 설계 특허기술에는 코일형 내진 스프링을 적용하였다. 이들 코일형 내진 스프링은 지진 발생에 관계없이 무거운 하중을 갖는 시설물을 상시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고장력의 코일형 내진 스프링이라 하더라도 가변 하중을 갖는 물체가 아닌 대규모의 태양광 발전장치와 같은 정지 상태에서 오랫동안 중(重) 하중을 받다 보면, 결국 고장력의 코일형 내진 스프링은 수축되어 정작 지진이 발생하였을 때는 그 탄성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진동을 감쇠시키는 구조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과 같은 외력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태양광 발전장치와 같은 구조물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전달된 진동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에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저면에 결합되어 지지프레임을 설치면 상에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과 고정프레임 사이에 결합되어 지지프레임과 고정프레임 사이에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방진패드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복수개 결합되어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방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하측 단부에 상기 방진패드의 상부가 일부 삽입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방진패드의 상부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내부에서 상기 방진패드의 상면을 지지하는 결합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진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일 단부가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의 타 단부에 결합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고정프레임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진유닛은 상기 돌출부재의 상면 또는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고정프레임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돌출부재와 결합된 지지프레임이 고정프레임 상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돌출부재의 외주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내면에 상기 돌출부재의 상면 또는 측면과 접촉 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서 수직방향을 따라서 접철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서 등간격 또는 등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에 따르면,
첫째, 설치면 상에서 태양광 발전장치로 진동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둘째, 방진유닛을 통하여 수직방향은 물론 수평방향으로의 외력에 대응하여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방진유닛을 통하여 설치면 상에서 구조물이 넘어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넷째, 태양광 발전장치의 구성에 필요로 하는 접속반과 인버터에도 적용이 용이하여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태양광 발전장치의 방진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태양광 발전장치의 방진유닛을 상부에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태양광 발전장치의 방진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방진유닛의 고정부재와 돌출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태양광 발전장치에 수평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진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7은 도 4에 나타낸 태양광 발전장치에 수직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진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태양광 발전장치의 방진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태양광 발전장치의 방진유닛을 상부에서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태양광 발전장치의 방진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방진유닛의 고정부재와 돌출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100)는 상부에 태양전지 패널(11)이 복수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10)과,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저면에 결합되어 지지프레임(110)을 설치면 상에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120)과, 상기 지지프레임(110)과 고정프레임(120) 사이에 결합되어 지지프레임(110)과 고정프레임(120) 사이에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방진패드(130) 및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측면에 복수개 결합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20)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방진유닛(14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상측 단부에는 복수개의 태양전지 모듈(11)이 다양한 패턴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상부에는 별도의 기둥(12)을 구비하여 기둥(12) 상부에 태양전지 모듈(11)을 지지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태양의 고도각 또는 방위각을 따라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기능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100)는 각각의 태양전지 모듈(11)에서 생산한 전기를 전달하는 접속반(미도시)과, 상기 접속반에서 공급된 전류를 병렬에서 직렬로 변환하는 인버터(미도시)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반과 인버터에도 각각 방진유닛(140)을 구비하여 외력에 의한 진동에 대응하여 내진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20)은 지지프레임(110)의 하측 단부에서 플렌지 형상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120)은 지지프레임(110)을 설치면 상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고정프레임(120)은 설치면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앵커(Anchor, 121)를 고정시킨 후 앵커볼트(122)를 이용하여 설치면에 고정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프레임(120)과 설치면 사이에 별도의 내진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120)은 중심에 상기 지지프레임(110)이 배치되고, 고정프레임(120)과 고정프레임(120) 사이에 방진패드(1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방진패드(130) 상에 지지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10)과 방진패드(130)가 결합되기 위해서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하측 단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에는 방진패드(130)의 상부가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방진패드(130)의 상부 측면을 지지하도록 결합홈의 측면에 측면프레임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10) 내부에서 상기 방진패드(130)의 상면을 지지하는 결합프레임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방진패드(130)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측면프레임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지지되고, 상기 결합프레임에 의해서 수직방향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에 상기 방진패드(130)가 삽입되어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프레임(110)이 수평방향으로 가압되더라도 상기 지지프레임(110)과 방진패드(13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방진패드(130)는 고무나 합성고무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탄성을 가지는 패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110)과 고정프레임(120) 사이에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방진유닛(140)은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각 측면에 결합되어 복수개가 마련된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방진유닛(140)은 상기 지지프레임(110) 상에서 서로 등간격 또는 등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고정프레임(120)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방진유닛(140)을 통하여 지지프레임(110)에 균일한 압력이 전달되어 다시 원위치로 복원할 수 있다.
상기 방진유닛(140)은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측면에 일 단부가 결합되는 돌출부재(141)와, 상기 돌출부재(141)의 타 단부에 결합되는 탄성부재(142)와, 상기 고정프레임(120)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142)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지지부재(143)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재(141)는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각 측면에 결합되되 수직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재(141)는 지지프레임(110)의 측면 상에서 접철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는 상기 지지프레임(110)이 고정프레임(120) 상에 설치될 때 상기 탄성부재(142)로 인하여 결합이 어려워 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141)는 지지프레임(110)의 일 측면과 인접한 다른 측면에 배치되는 돌출부재(141)만이 힌지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회동하지 않는 돌출부재(141)와 탄성부재(142)가 먼저 상기 지지부재(143)에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회동하는 돌출부재(141)를 수평방향으로 회동하여 나머지 지지부재(143)와 접촉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42)는 상기 돌출부재(141)의 타 단부에 고정되어 돌출부재(141)와 지지부재(143)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143)와 돌출부재(141)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흡수하거나, 전달되는 진동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지지부재(143)는 상기 돌출부재(141)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프레임(120)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프레임(120)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탄성부재(142)의 탄성복원력을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돌출부재(141)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탄성부재(142)와 지지부재(143)가 서로 접촉하게 배치되는 경우, 수직방향으로 진동이 발생되면 탈거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재(141)가 수직방향으로 발생한 진동에 의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방진유닛(140)은 고정부재(14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144)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 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120) 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재(141)의 측면과 상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20) 상에서 돌출부재(141)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44)와 돌출부재(141) 사이에는 서로 이격된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44)의 내면에는 상기 돌출부재(141)의 외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패드가 마련된다.
상기 탄성패드는 상기 고정부재(144)의 내부 저면과 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재(141)에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144)는 돌출부재(141)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패드를 통하여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태양광 발전장치에 수평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진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고, 도 7은 도 4에 나타낸 태양광 발전장치에 수직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진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태양광 발전장치가 진동을 흡수하고, 또한 구조물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대응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외력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10)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방진패드(130)의 일부가 상기 지지프레임(110)과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방진패드(130)의 형상이 대략 평행사변형으로 변형된다. 그리고 우측에 배치된 방진유닛(140)은 상기 탄성부재(142)가 돌출부재(141)와 지지부재(143) 사이에서 압축되어 탄성복원력이 형성된다. 또한 좌측에 배치된 방진유닛(140)은 상기 탄성부재(142)가 늘어나면서 돌출부재(141)와 지지부재(143) 사이에 탄성복원력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다시 원위치로 복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43)는 수직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재(144)와 돌출부재(141)가 서로 접촉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외력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10)이 상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방진패드(130)가 수직방향으로 늘어나면서 지지프레임(110)과 고정프레임(120)이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탄성복원력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44)의 내부 저면에 상기 돌출부재(141)가 밀착되면서 탄성패드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양 측의 상기 돌출부재(141)가 고정부재(144)에 간섭되면서 상측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탄성패드에 의해 추가적인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110)과 지지프레임(110) 상부의 태양전지 모듈이 가지는 하중과 방진패드(1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110) 및 돌출부재(141)는 원위치로 복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장치(100)에 따르면, 방진패드(130)를 구비하여 지지프레임(110)과 고정프레임(120) 사이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방진유닛(140)을 통하여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발생한 외력에 대응하여 방진기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방진유닛(140)을 통하여 진동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설치면 또는 고정프레임(120) 상에서 지지프레임(110)이 서로 이탈되지 않고 탄력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설치면 상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효과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된 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태양광 발전장치
110 : 지지프레임 111 : 결합홈
112 : 측면 프레임 113 : 결합 프레임
120 : 고정프레임 130 : 방진패드
140 : 방진유닛 141 : 돌출부재
142 : 탄성부재 143 : 지지부재
144 : 고정부재 145 : 탄성패드
10 : 태양광 구조물 11 : 태양전지 패널
12 : 기둥

Claims (7)

  1. 상면에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저면에 결합되어 지지프레임을 설치면 상에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과 고정프레임 사이에 결합되어 지지프레임과 고정프레임 사이에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방진패드;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복수개 결합되어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방진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하측 단부에 상기 방진패드의 상부가 일부 삽입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방진패드의 상부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내부에서 상기 방진패드의 상면을 지지하는 결합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진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일 단부가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의 타 단부에 결합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고정프레임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진유닛은,
    상기 돌출부재의 상면 또는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고정프레임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돌출부재와 결합된 지지프레임이 고정프레임 상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돌출부재의 외주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내측면에 상기 돌출부재의 상면 또는 측면과 접촉 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서 수직방향을 따라서 접철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서 등간격 또는 등각으로 배치되는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KR1020150188522A 2015-12-29 2015-12-29 태양광 발전장치 KR101771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522A KR101771553B1 (ko) 2015-12-29 2015-12-29 태양광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522A KR101771553B1 (ko) 2015-12-29 2015-12-29 태양광 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214A true KR20170078214A (ko) 2017-07-07
KR101771553B1 KR101771553B1 (ko) 2017-08-29

Family

ID=59353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522A KR101771553B1 (ko) 2015-12-29 2015-12-29 태양광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55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978B1 (ko) * 2019-03-07 2019-08-07 박길수 태양광패널의 지지장치
KR20200070861A (ko) * 2018-12-10 2020-06-18 염기훈 태양광 패널 지지 스파이럴 체결용 커플러 장치
KR102362374B1 (ko) * 2021-10-13 2022-02-14 (주)삼진에너지 태양광 발전장치 지지구조체
KR102416008B1 (ko) * 2022-03-15 2022-07-01 주식회사 부력에너지 태양광 패널 지지구조체
WO2022250459A1 (ko) * 2021-05-25 2022-12-01 주식회사 넥스트스퀘어 다방향 내진 기능을 갖는 내진 유닛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821B1 (ko) 2022-04-18 2022-08-30 이에스솔라 주식회사 태양광발전장치 지지대용 면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165B1 (ko) * 2012-11-28 2013-04-30 주식회사 신우엔지니어링 태양광 발전용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363071B1 (ko) * 2013-09-17 2014-02-17 (주)엔지피 면진 기능을 갖는 태양광발전시스템 내진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0861A (ko) * 2018-12-10 2020-06-18 염기훈 태양광 패널 지지 스파이럴 체결용 커플러 장치
KR102007978B1 (ko) * 2019-03-07 2019-08-07 박길수 태양광패널의 지지장치
WO2022250459A1 (ko) * 2021-05-25 2022-12-01 주식회사 넥스트스퀘어 다방향 내진 기능을 갖는 내진 유닛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장치
KR102362374B1 (ko) * 2021-10-13 2022-02-14 (주)삼진에너지 태양광 발전장치 지지구조체
KR102416008B1 (ko) * 2022-03-15 2022-07-01 주식회사 부력에너지 태양광 패널 지지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553B1 (ko)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553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753641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734139B1 (ko) 충격방지용 스프링 플레이트
KR101847402B1 (ko) 면진기능 및 제진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59165B1 (ko) 태양광 발전용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602207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20120004314A (ko) 태양광 발전설비의 내진장치
KR101578680B1 (ko)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가 결합된 부유식 결합구조체
KR102269570B1 (ko) 면진 기능이 적용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2437821B1 (ko) 태양광발전장치 지지대용 면진장치
KR20120029293A (ko) 내진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20180029707A (ko) 내진 기능을 갖는 접속반
KR102354602B1 (ko) 다방향 내진 기능을 갖는 내진 유닛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장치
KR101879153B1 (ko) 내진 발전기
KR102138303B1 (ko) 태양광 패널 지지 장치
KR101485054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2353950B1 (ko) 태양광 발전설비의 내진 구조물
KR101945303B1 (ko) 제진 시스템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KR102096929B1 (ko) Ess 내장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20210131840A (ko) 태양발전 접속반 및 인버터를 구성한 금속함체의 내진장치
KR101319998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366865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20190143615A (ko) 풍력저감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20230081236A (ko) 건물일체형 태양광 모듈 고정장치
KR101292688B1 (ko) 태양광 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