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8105A - 수상에 설치된 구조물 및 수상 구조물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수상에 설치된 구조물 및 수상 구조물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8105A
KR20170078105A KR1020150188271A KR20150188271A KR20170078105A KR 20170078105 A KR20170078105 A KR 20170078105A KR 1020150188271 A KR1020150188271 A KR 1020150188271A KR 20150188271 A KR20150188271 A KR 20150188271A KR 20170078105 A KR20170078105 A KR 20170078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water
nonwoven fabric
members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희
Original Assignee
(주)에코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원 filed Critical (주)에코원
Priority to KR1020150188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8105A/ko
Publication of KR20170078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1/00Details
    • H01K1/02Incandescent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체 부력에 의해 호수, 저수지, 보 등의 수상에 뜬 상태로 고정시켜 설치할 수 있는 수상에 설치된 구조물 및 수상 구조물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상 구조물은, 몸체를 형성하며 조립가능하도록 구성된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공이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연결부재가 끼워지고 수상에서 부유되는 재질로 구성된 부력부재; 상기 연결부재 간을 연결하는 연결관; 및 일측은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은 지상 또는 수상 내의 지면에 고정시킨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자체부력에 의해 수상에 뜬 상태로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고 이 전기를 이용하여 수상에 설치된 조명을 점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상에 설치된 구조물 및 수상 구조물 설치 방법{FLOA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TRUCTURE}
본 발명은 수상에 설치된 구조물 및 수상 구조물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체 부력에 의해 호수, 저수지, 보 등의 수상에 뜬 상태로 고정시켜 설치할 수 있는 수상에 설치된 구조물 및 수상 구조물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식물섬, 어류산란장, 수상발전소 등은 수면에 떠있으며 계류장치로 고정되어 있어 낮에는 그 모양과 모습이 잘 보이나 야간에는 보이지 않는다.
대부분의 수상구조물은 주변의 자연경관과 연계한 볼거리를 제공하는데, 이는 거의 낮에 한하여 제공된다. 또한 기존 수상 구조물에 추가로 야간에 아름다운 경관을 위한 제공하기 위하여 조명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발전기 등의 장치가 필요하므로 부력이 낮은 수상 구조물에는 조명을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10802호(인용발명이라 칭함)에는 기존 수상 구조물에 지지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설비하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인용발명의 경우에는 구조물의 부력이 넉넉하여 수상 작업이 가능한 경우에 국한된 것으로 부력이 낮은 경우에는 수상에서 작업이 불가능하므로 이를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체부력에 의해 수상에 뜬 상태로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고 이 전기를 이용하여 수상에 설치된 조명을 점등시킬 수 있는 수상에 설치된 구조물 및 수상 구조물 설치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육상에서 수상에 구조물 및 수상 구조물을 설치하고 수상 구조물 상에 LED 등으로 설치된 조명을 설치하고 이를 수상으로 옮겨 고정시킨 후에 태양광발전 시스템 또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제공할 수 있도하여 대부분의 작업이 지상에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상에 설치된 구조물 및 수상 구조물 설치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상 구조물을 제작시에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수변에서 손쉽게 작업하고 이를 수상에 띄워 고정시켜 수상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수상에 설치된 구조물 및 수상 구조물 설치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상에 설치된 구조물은, 몸체를 형성하며 조립 가능하도록 파이프 형태로 구성된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공이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연결부재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며 수상에서 부유되는 재질로 구성된 부력부재; 상기 연결부재들 간을 연결하는 연결관; 및 일측은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은 지상 또는 수상 내의 지면에 고정시킨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력부재는,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수상에서 부유되는 재질로 구성된 부력체; 상기 부력체를 감싸는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의 유실 및 망실을 방지하며 상기 부직포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부직포의 외부면을 감싸 구성된 보호망;을 포함하여 이루어는 것인 수상에 설치된 구조물.
상기 부력체는, 발포 폴리에스틸렌 또는 폴리우렌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그물망은, 합성수지망, 철망 및 지오그리드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질 수 있다.
상기 수상에 설치되는 구조물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관에 의해 조립되어 상기 구조물의 상부로 연결되여 조립되는 지상부재;를 더포함고, 상기 지상부재에 조명을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상에 설치되는 구조물은, 상기 연결부재, 상기 부력부재 및 상기 연결관을 이용하여 다수의 다각형으로 구성된 공간을 포함하는 구조물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구조물이 제공하는 부력에 의해 띄워지는 인공섬;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은, LED 조합, 논네온 LED, 트리전구 LED, 백열전구, 할로겐 램프, 삼파장 램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연결관은,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로 이루어지고, 일자형 연결관, ㄱ자형 연결관, T자형 연결관, 십자형 연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일자형 연결관은 2개의 연결부재를 일직선으로 연결하며, 상기 ㄱ자형 연결관은 2개의 연결부재를 60도 내지 150의 각도로 연결하고, 상기 T자형 연결관은 3개의 연결부재를 각각 30도 내지 150도의 각도로 연결하며, 상기 십자형 연결관은 4개의 연결부재를 각각 30도 내지 150도의 각도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상 구조물 설치 방법은, 몸체를 형성하며 조립 가능하도록 파이프 형태로 구성된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공이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연결부재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며 수상에서 부유되는 재질로 구성된 부력부재; 상기 연결부재들 간을 연결하는 연결관; 및 일측은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은 지상 또는 수상 내의 지면에 고정시킨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수상 구조물 설치 방법으로서, 상기 연결부재에 다수의 부력부재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연결부재들을 연결관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단계; 상기 연결부재들과 상기 연결관을 연결하여 부유물의 형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부유물을 상부로 조명을 지지하기 위한 수상구조물을 조립하는 단계; 상기 수상구조물에 조명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조명이 설치된 수상구조물 및 부유물을 수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부유물을 수상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조명에 전기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기를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부유물 또는 수상구조물에 인접한 육상 또는 상기 부유물의 위에 전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전원과 상기 조명 사이에 케이블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케이블의 일측을 상기 조명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블의 타측을 상기 전원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력부재는,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의 중심에 상기 부력체를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부력체를 부직포로 감싸는 단계; 상기 부직포로 감싸진 부력체를 보호망으로 감싸 상기 부직포의 유실 및 망실을 방지하며 상기 부직포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상에 설치된 구조물 및 수상 구조물 설치 방법은 자체부력에 의해 수상에 뜬 상태로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고 이 전기를 이용하여 수상에 설치된 조명을 점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육상에서 수상에 구조물 및 수상 구조물을 설치하고 수상 구조물 상에 LED 등으로 설치된 조명을 설치하고 이를 수상으로 옮겨 고정시킨 후에 태양광발전 시스템 또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대부분의 작업이 지상에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상 구조물을 제작시에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수변에서 손쉽게 작업하고 이를 수상에 띄워 고정시켜 수상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0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물에 조명을 설치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물을 조립하는 것을 나타낸 조립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들의 종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물에 사용되는 부력부재를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조립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물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물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물을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전기를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부력부재를 조립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0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물에 조명을 설치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물을 조립하는 것을 나타낸 조립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들의 종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물에 사용되는 부력부재를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조립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조물(10, 20)은 다수의 파이프 형태의 연결부재(100), 연결부재(100)에 결합되고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부재(200), 다수의 연결부재(100) 간을 연결하는 연결관(310, 320, 330, 340) 및 구조물(10, 20)을 수상에 고정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0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구조물(10, 20)은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물(10)과 수상구조물(20)로 구분할 수 있다.
연결부재(100)는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어 수상구조물(10, 20)의 조립시 몸체를 형성하며 조립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연결부재(100)는 가벼우며 부식의 우려가 없는 재질로 구성한다. 연결부재(100)의 재질은 탄소강,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PVC, FRP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00)는 일정한 크기로 직선 형태의 파이프로 구성된다. 연결부재(100)의 단말측에는 연결관(310, 320, 330, 340)과 조립시 결합에 필요한 다수의 결합공(302)이 구성된다.
부력부재(200)는 연결부재(100)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공(202)이 중심에 형성되고, 관통공(202)에 연결부재(100) 끼워지는 방식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부력부재(200)는 수상에서 부유되는 재질로 구성된다.
수상구조물(20)은 부유물(10)의 상부로 연장되어 구성된다. 수상구조물(20)은 지상에 설치되는 조명의 특성에 따라 2개 이상이 연장된 파이프가 지주 형태로 돌출되도록 하고 다시 2개 이상의 지상부재들을 연결하여 수상구조물(20)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도 1에서와 같이 1개의 파이프를 상부로 연장시켜 수상구조물(20)를 형성하고 그 주변으로 조명(22)을 설치할 수 있다.
조명(22)은 LED 조합, 논네온 LED, 트리전구 LED, 백열전구, 할로겐 램프, 삼파장 램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연결관(310, 320, 330, 340)은 일자형 연결관(310), ㄱ자형 연결관(320), T자형 연결관(330) 및 십자형 연결관(340) 등의 연결관일 수 있다. 연결관(310, 320, 330, 340)을 이용하여 부조물(10) 및 수상구조물(20)을 여러가지 형태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T자형 연결관(330) 또는 십자형 연결관(340) 중 하나의 브랜치가 상부를 향하도록 하고 상부을 향한 브랜치에 연결부재(100)와 연결관(310, 320, 330, 340)을 이용하여 을 수상구조물(2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의 (a)에서와 같이 일자형 연결관(310)은 2개의 연결부재(100)를 일직선으로 연결하여 부유물(10) 및 수상구조물(20)의 크기를 확장할 수 있다.
도 3의 (b)에서와 같이 ㄱ자형 연결관(320)은 2개의 연결부재(100)를 30도 내지 175의 각도로 연결하여 다양한 형태의 부유물(10) 또는 수상구조물(20)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육각형의 부유물(10)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2개의 브랜치가 상호 120도 각도를 이루는 ㄱ자형 연결관(320) 6개와 다수의 연결부재(100), 부력부재(200) 및 일자형 연결관(310)들을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160도 내지 175도 각도로 형성된 ㄱ자형 연결관(320)과 연결부재(100), 부력부재(200) 및 일자형 연결관(310)을 연속하여 연결하면 원형에 가까운 형태의 다각형 부유물(10)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ㄱ자형 연결관(320)이 175도의 각도를 사용하는 경우에 형성된 부유물(10)은 다각형을 형성하지만, 외관상으로는 원형에 가까운 다각형이 형성된다.
도 3의 (c)에서와 같이 T자형 연결관(330)은 3개의 연결부재(100)를 각각 30도 내지 150도의 각도로 연결한다. T자형 연결관(330)은 상부로 돌출되는 수상구조물(20)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복합적인 다각형 형태의 부유물(1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의 (d)에서와 같이 십자형 연결관(340)은 4개의 연결부재(100)를 각각 30도 내지 150도의 각도로 연결한다. 십자형 연결관(340)도 상부로 돌출되는 수상구조물(20)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복합적인 다각형 형태의 부유물(10) 또는 수상구조물(20)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관(310, 320, 330, 340)은 일자형 연결관(310), ㄱ자형 연결관(320), T자형 연결관(330), 십자형 연결관(3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관(310, 320, 330, 340)은 연결부재(100)의 연결공(102)과 대응되는 부분에 결합공(302)이 형성된다. 연결공(102)과 결합공(302)을 나사로 결합하여 연결부재(100)와 연결관(310, 320, 330, 340)을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전술한 연결관(310, 320, 330, 340)만으로 부유물(10) 또는 수상구조물(20)의 형태를 만들 수 없는 경우에는 웰딩(welding)에 의해 연결부재(100)간을 연결하여 원하는 형태의 부유물(10) 또는 수상구조물(20)을 만들 수 있다. 또는 원하는 부유물(10) 또는 수상구조물(20)의 형상에 적합한 연결관을 만들어 조립할 수 있다.
한편, 연결관(310, 320, 330, 340)에 대하여 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부유물(10) 또는 지상구조물(20)의 형태에 따라 연결관(310, 320, 330, 340)의 브랜치 간의 간격 및 형태를 형성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조립할 수 있다. 연결관(310, 320, 330, 340)의 재질은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부력부재(200)는 부력체(210), 부직포(220) 및 보호망(230)으로 구성된다. 부력체(210)는 발포 폴리에스틸렌 또는 폴리우렌탄 재질과 같이 가벼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부력체(210)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관 형태로 구성되며 관의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공(202)이 형성된다. 부력체(210)의 관통공(202)에 연결부재(100)를 끼워 넣는 방식으로 삽입하여 연결부재(100)와 결합시킨다. 부력체(210)는 발포 폴리에스틸렌 또는 폴리우렌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직포(220)는 부력체(210)의 손상을 방지한다. 이는 부력체(210)가 수상에 있는 불순물 또는 수상의 외부조건 등에 의하여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 부력체(210)에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직포(220)는 부력체(210)를 감싸도록 한 겹 이상 감아 구성한다. 부직포(220)의 재질은 코이어섬유로 구성되는 코이어펠트, 합성섬유 부직포 및 직포매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보호망(230)은 부직포(220)를 부력체(210)에 고정시키고 부직포(220)와 부력체(210)의 유실 및 망실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보호망(230)은 부직포(220)를 1회 이상 감싼 이후에 고정시켜 구성한다. 보호망(230)의 겹치는 부분을 철사 등으로 고정시켜 고정시킨다. 보호망(230)의 재질은 합성수지망, 철망 및 지오그리드망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부유물(10)은 자체적인 부력을 갖게 된다. 부유물(10)에 자체적인 부력을 갖는 인공섬(500) 또는 부력이 낮아 자체적으로는 부유할 수 없는 인공섬(500)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인공섬(500)은 부유물(10)에 지탱시킨 상태로 부유물(10)에 의해 형성된 다각형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물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물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서 보면, 6각형의 형태가 2중의 구조로 형성된 부유물(10)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부유물(10)은 크기에 따라 다수의 연결부재(100) 및 일자형 연결관(310)이 사용되며, 12개의 T자형 연결관(330)이 사용되었다. 6개의 T자형 연결관(330)은 브랜치 간의 간격이 120도를 이루는 형태이며 나머지 6개의 T자형 연결관(330)은 브랜치 간의 간격이 60도를 이루는 형태이다. 이때, 부력부재(200)는 예상되는 부력에 따라 대응하여 그 갯수를 조정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중간에 T자형 연결관(330)을 연결하고 T자형 연결관(330)의 브랜치가 상부를 향하도록 하고 수상구조물(20)을 부유물(10)의 상부로 올릴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수상구조물(20)에는 조명을 설치할 수 있다.
도 5에서 보면, 3개의 사각형이 띠 형태로 연장된 부유물(10)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부유물(10)을 형성하기 위하여 크기에 따라 다수의 연결부재(100) 및 일자형 연결관(310)이 사용되며, 4개의 T자형 연결관(330)이 사용되었다. 또한, 4개의 ㄱ자형 연결관(320)이 사용되었다. 4개의 T자형 연결관(330)은 각 브랜치 간의 간격이 90도인 것을 사용하였다. 마찬가지로 부력부재(200)는 예상되는 부력에 따라 대응하여 그 갯수를 조정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물을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202과정에서 연결부재(100)에 다수의 부력부재(200)를 결합시킨다. 이때, 원하는 부유물(10)의 특성에 맞춰 부여하고자 부력에 따라 연결부재(100)와 결합되는 부력부재(200)의 갯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부력부재(200)는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생성되는 부유물(10)의 대칭점에 동일한 갯수의 부력부재(200)를 설치하도록 한다. 부력부재(200)와 연결부재(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력부재(200)에 구성된 관통공(202)에 연결부재(100)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삽입하여 결합한다.
S204단계에서 부력부재(200)가 결합된 연결부재(100)들을 연결관(310, 320, 330, 340)을 이용하여 연결시킨다.
S206단계에서 상기 연결부재(100)들과 상기 연결관(310, 320, 330, 340)을 연결하여 원하는 부유물(10)의 형상을 형성한다. 원하는 부유물(10)의 형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원형 또는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S208단계에서 부유물(10)의 상부로 조명을 지지하기 위한 수상구조물(20)을 조립하여 형성되도록 한다.
S210단계에서 상기 수상구조물(20)에 의해 지지되는 조명(22)을 설치한다. 이때, 설치된 조명(22)은 전기가 공급되지 않은 상태이며 안전을 위하여 전기는 이후에 연결하여 공급하도록 한다.
S212단계에서 상기 조명(22)이 설치된 수상구조물(20) 및 이를 지지하는 부유물(10)을 수상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S214단계에서 상기 부유물(10) 및 수상구조물(20)을 수상에 고정시킨다. 이때, 부유물(10) 및 수상구조물(20)을 고정부재(400)를 이용하여 육상 또는 물 밑의 지면 또는 수상에 고정된 고정물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수상에 고정된 고정물은 물 밑의 지면에 의해 지지되는 말뚝 일 수 있다.
S216단계에서 상기 고정된 수상구조물(20)에 의해 지지되는 조명(22)에 전기케이블을 연결하고 전기를 공급한다. 이때, 조명(22)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미도시 됨)는 육상 또는 수상에 설치된 구조물에 배치할 수 있다. 또는 육상 또는 수상에서 조명(22)을 온오프(on/off)시킬 수 있도록 3로 스위치로 구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전기를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S302단계에서 부유물(10) 및 수상구조물(20)에 인접한 육상 또는 부유물(10) 위에 전원을 설치한다.
S304단계에서 상기 육상 또는 부유물(10)과 수상구조물(20) 사이에 전원 케이블을 설치한다. 전원 케이블은 안전성을 보상하기 위하여 수저케이블 또는 해저케이블을 사용하며, 육상으로부터 수상의 구조물까지 연장되도록 설치한다.
S306단계에서 전원 케이블의 일측을 수상구조물(20)에 설치된 조명(22)에 연결시킨다.
S308단계에서 상기 케이블의 타측을 상기 전원에 연결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명(22)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미도시 됨)는 육상 또는 수상에 설치된 구조물중 어느 한쪽에 배치할 수 있다. 또는 육상 또는 수상에서 조명()을 온오프(on/off)시킬 수 있도록 3로 스위치로 구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부력부재를 조립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S402단계에서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210)의 중심에 상기 부력체(210)를 관통하는 관통공(202)을 형성한다.
S404단계에서 부력체(210)를 부직포(220)로 감싼다.
S406단계에서 부직포(220)로 감싸진 부력체(210)를 보호망(230)으로 감싸 부력체(210) 및 부직포(220)의 유실 및 망실을 방지하며 부직포(220)와 부력체(210)를 고정시키도록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부유물 20 : 수상구조물
22 : 조명 100 : 연결부재
102 : 연결공 200 : 부력부재
202 : 관통공 210 : 부력체
220 : 부직포 230 : 보호망
302 : 결합공 310, 320, 330, 340 : 연결관
400 : 고정부재 500 : 인공섬

Claims (11)

  1. 몸체를 형성하며 조립 가능하도록 파이프 형태로 구성된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공이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연결부재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며 수상에서 부유되는 재질로 구성된 부력부재;
    상기 연결부재들 간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연결관; 및
    일측은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은 지상 또는 수상 내의 지면에 고정시킨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수상에 설치된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재는,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수상에서 부유되는 재질로 구성된 부력체;
    상기 부력체를 감싸는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의 유실 및 망실을 방지하며 상기 부직포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부직포의 외부면을 감싸 구성된 보호망;을 포함하여 이루어는 것인 수상에 설치된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발포 폴리에스틸렌 또는 폴리우렌탄 재질로 이루어지는 수상에 설치된 구조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은,
    합성수지망, 철망 및 지오그리드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지는 것인 수상에 설치된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관에 의해 조립되어 상기 구조물의 상부로 연결되여 조립되는 지상부재;를 더포함고,
    상기 지상부재에 조명을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인 수상에 설치된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상기 부력부재 및 상기 연결관을 이용하여 다수의 다각형으로 구성된 공간을 포함하는 구조물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구조물이 제공하는 부력 또는 자체 부력에 의해 띄워지는 인공섬;을 더 포함하는 것인 수상에 설치된 구조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은,
    LED 조합, 논네온 LED, 트리전구 LED, 백열전구, 할로겐 램프, 삼파장 램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인 수상에 설치된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로 이루어지고, 일자형 연결관, ㄱ자형 연결관, T자형 연결관, 십자형 연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일자형 연결관은 2개의 연결부재를 일직선으로 연결하며,
    상기 ㄱ자형 연결관은 2개의 연결부재를 60도 내지 150의 각도로 연결하고,
    상기 T자형 연결관은 3개의 연결부재를 각각 30도 내지 150도의 각도로 연결하며,
    상기 십자형 연결관은 4개의 연결부재를 각각 30도 내지 150도의 각도로 연결하도록 구성하는 것인 수상에 설치된 구조물.
  9. 몸체를 형성하며 조립 가능하도록 파이프 형태로 구성된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공이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연결부재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며 수상에서 부유되는 재질로 구성된 부력부재; 상기 연결부재들 간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연결관; 및 일측은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은 지상 또는 수상 내의 지면에 고정시킨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수상 구조물 설치 방법으로서,
    상기 연결부재에 다수의 부력부재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연결부재들을 연결관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단계;
    상기 연결부재들과 상기 연결관을 연결하여 부유물의 형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부유물의 상부로 조명을 지지하기 위한 수상구조물을 조립하는 단계;
    상기 수상구조물에 조명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조명이 설치된 수상구조물 및 부유물을 수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부유물을 수상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조명에 전기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상 구조물 설치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를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부유물 또는 수상구조물에 인접한 육상 또는 상기 부유물의 위에 전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전원과 상기 조명 사이에 케이블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케이블의 일측을 상기 조명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케이블의 타측을 상기 전원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수상 구조물 설치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재는,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의 중심에 상기 부력체를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부력체를 부직포로 감싸는 단계;
    상기 부직포로 감싸진 부력체를 보호망으로 감싸 상기 부직포의 유실 및 망실을 방지하며 상기 부직포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수상 구조물 설치 방법.
KR1020150188271A 2015-12-29 2015-12-29 수상에 설치된 구조물 및 수상 구조물 설치 방법 KR20170078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271A KR20170078105A (ko) 2015-12-29 2015-12-29 수상에 설치된 구조물 및 수상 구조물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271A KR20170078105A (ko) 2015-12-29 2015-12-29 수상에 설치된 구조물 및 수상 구조물 설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105A true KR20170078105A (ko) 2017-07-07

Family

ID=59353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271A KR20170078105A (ko) 2015-12-29 2015-12-29 수상에 설치된 구조물 및 수상 구조물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810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25284A (zh) * 2018-01-04 2018-06-29 姚屠乾 一种用于水文地质的水上漂浮勘测装置
KR101974065B1 (ko) * 2018-05-28 2019-04-30 김용은 인공 산란 장치
CN111008794A (zh) * 2019-12-31 2020-04-14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黑龙江水产研究所 一种江河湖库大型水域草上产卵鱼类产卵场多维度一站式调查方法
IL279932B (en) * 2021-01-03 2022-08-01 Solatics Ltd Installation of an array of floating solar panels and docking and assembly metho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25284A (zh) * 2018-01-04 2018-06-29 姚屠乾 一种用于水文地质的水上漂浮勘测装置
KR101974065B1 (ko) * 2018-05-28 2019-04-30 김용은 인공 산란 장치
CN111008794A (zh) * 2019-12-31 2020-04-14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黑龙江水产研究所 一种江河湖库大型水域草上产卵鱼类产卵场多维度一站式调查方法
CN111008794B (zh) * 2019-12-31 2023-04-07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黑龙江水产研究所 一种江河湖库大型水域草上产卵鱼类产卵场多维度一站式调查方法
IL279932B (en) * 2021-01-03 2022-08-01 Solatics Ltd Installation of an array of floating solar panels and docking and assembly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8105A (ko) 수상에 설치된 구조물 및 수상 구조물 설치 방법
EP2510231B1 (en) Floating energy producing plant
CN105660475B (zh) 一种适用于珊瑚礁生态修复的玄武岩纤维网格结构
CN204198494U (zh) 生态浮岛
CN212510916U (zh) 太阳能景观装置
CN101828531B (zh) 可沉浮笼式海参生态养殖网箱
WO2017118998A1 (en) Floating solar platform
KR20130132015A (ko) 태양광 발전 및 수질 정화를 위한 수상 구조물
CN104093910A (zh) 轮胎组件及采用轮胎在海洋环境中建造支撑结构的方法
TW201636506A (zh) 離岸風力發電設備及其施工方法
CN104872008A (zh) 一种深远海防风浪养殖网箱装置
CN207045634U (zh) 一种光伏变压器水上平台
KR200489239Y1 (ko) 수상 태양광발전용 부력구조물과 이것이 구비된 수상 태양광발전시스템
US20190222165A1 (en) Connectors for modular support platforms
CN205883111U (zh) 水上中空浮体式光伏电站
KR20140145698A (ko) 태풍에도 안전한 심해 부유 기초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양 구조물
CN206994096U (zh) 一种人工渔礁
WO2011058595A2 (en) Floating platform for panels
KR102322875B1 (ko) 해조류 양식용 부력체 결합구조
KR200481058Y1 (ko) 수상태양광 발전모듈용 식생장치
CN212381817U (zh) 一种园林景观绿化树木支撑装置
CN107323629A (zh) 一种光伏变压器水上平台
CN208561853U (zh) 一种景观式生态浮岛
CN102673748B (zh) 一种绿色安全军民两用人工岛的建造方法
KR100519738B1 (ko) 인공 해중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