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7068A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of terminal based on mot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of terminal based on mo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7068A
KR20170077068A KR1020170075676A KR20170075676A KR20170077068A KR 20170077068 A KR20170077068 A KR 20170077068A KR 1020170075676 A KR1020170075676 A KR 1020170075676A KR 20170075676 A KR20170075676 A KR 20170075676A KR 20170077068 A KR20170077068 A KR 20170077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mode
vehicl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6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유빈
Original Assignee
박유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유빈 filed Critical 박유빈
Priority to KR1020170075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7068A/en
Publication of KR20170077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06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4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user or terminal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moving direction, sp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H04W4/003
    • H04W4/008
    • H04W4/04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81Seat occupation; Driver or passenger pres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은, 차량의 운전석 착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는 앱 실행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앱 실행 메시지가 수신될 때, 통신 단말에 탑재된 안전 운전 앱을 실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안전 운전 앱이 실행될 때, 상기 통신 단말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이 감지될 때, 상기 통신 단말을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obile-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n app execution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a driver's seat of a vehicle, executing a safe driving app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app execution message is received Detecting a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safe driving app is executed; and forcibly switch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when the movement is detected.

Description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OF TERMINAL BASED ON MOTION}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통신 단말의 통신모드를 제어하는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 단말(모바일 단말)의 이동(움직임) 또는 차속에 기반하여 통신 단말의 모드를 통신 모드 또는 통신 차단 모드로 적응 제어할 수 있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mod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mod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movement (movement) 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근래 들어,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서비스와 경험 등을 제공하는 수많은 모바일 앱들이 상용화되면서 스마트폰 등과 같은 통신 단말을 이용하는 시간과 횟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as mobile apps providing various services and experiences to users have been commercialized, time and frequency of using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are increasing exponentially.

특히, 운전 중에 차량 운전자가 통신 단말을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운전 중의 통신 단말 사용에 기인하는 안전문제(차량사고 문제)가 사회적인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Especially, since the driver of a vehicle tends to use the communication terminal habitually during driving, the safety problem (vehicle accident problem) caused by the us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driving becomes a social issue.

예컨대, 차량의 운전 중에 운전자가 SNS 또는 교통정보를 보거나, TV 또는 유튜브 등의 영상을 시청하거나, 인터넷을 검색하거나, 전화통화를 하는 등의 행위는 운전자의 시야가 분산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제동거리 등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운전자 본인의 안전조차도 담보할 수 없는 교통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river views the SNS or the traffic information, views a video such as TV or YouTube, searches the Internet, or makes a telephone call while the driver is driving, the driver's view is dispersed, It is possible to cause a traffic accident that can not be secured even by the safety of the driver himself / herself.

일례로서, 차량이 시속 60km로 주행 중이라고 가정할 때, 스마트폰을 1초만 보더라도 차량이 전방으로 대략 17m 정도를 이동하기 때문에 돌발 상황 등이 발생할 경우 운전자의 회피 성공률이 상대적으로 낮게 되어 큰 교통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As an example, assuming that the vehicle is running at 60 km / h, if the smartphone is moved for about 1 second, the vehicle moves about 17 m in front of the vehicle. Therefore, when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s, the success rate of avoiding the driver is relatively low, The possibility of continuing is very high.

따라서, 차량의 운전 중에 스마트폰 등과 같은 통신 단말의 사용을 원천적으로 제한함으로써, 운전자의 부주의에 기인하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과 불특정 다수 사람들의 안전을 지킬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fundamentally limit the us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the like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to secure the safety of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due to the carelessness of the driver, and safety of many unspecified persons.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86909호(공개일: 2015. 07. 29.)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86909 (Disclosure Date: May 27, 2015)

본 발명은 운전석 참석 감지와 통신 단말의 이동 감지에 기반하여 통신 단말에 탑재된 안전 운전 앱을 실행시킴으로써, 통신 단말의 모드를 통신 모드에서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킬 수 있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capable of forcibly switching a mod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from a communication mode to a communication cut-off mode by executing a safe driving app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detection of attendance at the driver's seat and detection of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운전석 참석 감지와 차량의 차속신호에 기반하여 통신 단말에 탑재된 안전 운전 앱을 실행시킴으로써, 통신 단말의 모드를 통신 모드에서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킬 수 있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apable of forcibly switching a mod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from a communication mode to a communication cut-off mode by executing a safe driving app installe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a driver's seat attendance detection and a vehicle speed signal And an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운전석 참석 검출 결과와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된 차량의 차속신호에 기반하여 통신 단말의 모드를 통신 모드에서 통신 차단 모드로 원격 전환시킬 수 있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remotely switching a mod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from a communication mode to a communication-blocking mode based on a driver's seat attendance detection result and a vehicle speed signal of a vehicle collected through a network do.

본 발명은 운전석 참석 검출 결과와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된 통신 단말의 이동정보에 기반하여 통신 단말의 모드를 통신 모드에서 통신 차단 모드로 원격 전환시킬 수 있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remotely switching a mod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from a communication mode to a communication-blocking mode based on a result of detection of a driver's seat attendance and movement inform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I want to.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차량의 운전석 착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는 앱 실행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앱 실행 메시지가 수신될 때, 통신 단말에 탑재된 안전 운전 앱을 실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안전 운전 앱이 실행될 때, 상기 통신 단말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이 감지될 때, 상기 통신 단말을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an app launch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a driver's seat seating detection of a vehicle; executing a safe driving app installe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app launch message is received; Detecting a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safe driving app is executed; and forcibly switch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to a communication cut-off mode when the movement is detected, do.

본 발명은, 상기 차량의 운전석 이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는 앱 종료 메시지가 수신되어 상기 안전 운전 앱의 실행이 종료될 때, 상기 통신 차단 모드를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turning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an application termination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is received and execution of the safe driving app is terminated.

본 발명은, 상기 통신 단말의 이동이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을 때, 상기 통신 차단 모드를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storing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the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본 발명의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차량의 운전자 또는 소유자에 의해 기 설정된 단말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terminal set by a driver or owner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들 중 블루투스 활성화를 위한 비콘 신호에 대한 응답의 수신시간이 상대적으로 가장 짧은 단말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terminal having a relatively shortest reception time of a response to a beacon signal for Bluetooth activation among one or more terminals located inside the vehicle.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 따라,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causing a processor to perform a mobile-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o that a processor can perform a mobile-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차량의 운전석 착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는 앱 실행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와, 상기 앱 실행 메시지가 수신될 때, 통신 단말에 탑재된 안전 운전 앱을 실행시키는 앱 실행 제어부와, 상기 안전 운전 앱이 실행될 때, 상기 통신 단말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 감지부와, 상기 이동이 감지될 때, 상기 통신 단말을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는 모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messag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app execution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a driver's seat of a vehicle; an app for executing a safe driving app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app execution message is received; And a mode control unit for forcibly switch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when the movement is detected, wherein the movement control unit comprises: The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본 발명의 상기 앱 실행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석 이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는 앱 종료 메시지가 수신될 때, 상기 안전 운전 앱의 실행을 종료시키고,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안전 운전 앱의 실행이 종료될 때, 상기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킬 수 있다.The app execution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inates the execution of the safe driving app when an app end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is received and the mode control unit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returned to the communication mode.

본 발명의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통신 단말의 이동이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을 때, 상기 통신 차단 모드를 통신 모드로 복귀시킬 수 있다.The mod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turn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the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차량의 운전석 착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는 앱 실행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앱 실행 메시지가 수신될 때, 통신 단말에 탑재된 안전 운전 앱을 실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안전 운전 앱이 실행될 때, 상기 차량의 차속신호를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되는 상기 차속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이 이동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통신 단말의 모드를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an app execution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a driver's seat of a vehicle; executing a safe driving app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app execution message is received , Collecting a vehicle speed signal of the vehicle when the safe driving app is executed,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moving based on the vehicle speed signal collected,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moving And forcibly switching the mod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본 발명은, 상기 차량의 운전석 이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는 앱 종료 메시지가 수신되어 상기 안전 운전 앱의 실행이 종료될 때, 상기 통신 차단 모드를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turning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an application termination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is received and execution of the safe driving app is terminated.

본 발명은, 상기 차속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이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정지 중일 때, 상기 통신 차단 모드를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returning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the vehicle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vehicle speed signal.

본 발명의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차량의 운전자 또는 소유자에 의해 기 설정된 단말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terminal set by a driver or owner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들 중 블루투스 활성화를 위한 비콘 신호에 대한 응답의 수신시간이 상대적으로 가장 짧은 단말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terminal having a relatively shortest reception time of a response to a beacon signal for Bluetooth activation among one or more terminals located inside the vehicle.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causing a processor to perform a mobile-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5.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 accordance with yet another aspect,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for enabling a processor to perform a mobile-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5.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차량의 운전석 착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는 앱 실행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와, 상기 앱 실행 메시지가 수신될 때, 통신 단말에 탑재된 안전 운전 앱을 실행시키는 앱 실행 제어부와, 상기 안전 운전 앱이 실행될 때, 상기 차량의 차속신호를 수집하는 차속 수집부와, 수집되는 상기 차속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이 이동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모니터링부와, 상기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통신 단말을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는 모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messag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app execution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a driver's seat of a vehicle; an app for executing a safe driving app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app execution message is received; A vehicle speed monitor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vehicle is moving on the basis of the vehicle speed signal collected; And a mode control unit for forcibly switch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terminal is moving.

본 발명의 상기 앱 실행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석 이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는 앱 종료 메시지가 수신될 때, 상기 안전 운전 앱의 실행을 종료시키고,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안전 운전 앱의 실행이 종료될 때, 상기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킬 수 있다.The app execution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inates the execution of the safe driving app when an app end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is received and the mode control unit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returned to the communication mode.

본 발명의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차속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이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정지 중일 때, 상기 통신 차단 모드를 통신 모드로 복귀시킬 수 있다.The mod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turn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the vehicle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based on the vehicle speed signal.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차량의 운전석 착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되는 착석 검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착석 검출 메시지가 수신될 때, 상기 차량의 차속신호를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되는 상기 차속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이 이동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될 때,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의 모드를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기 위한 모드 전환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a seating detection message generated in response to sensing a driver's seat of a vehicle and being transmitted through a network;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moving on the basis of the collected vehicle speed signal;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moving or not when the vehicle is moving; determining a mode for forcibly switching the mode of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And generating a conversion message and transmitting the conversion message to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본 발명은, 상기 차량의 운전석 이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는 이석 검출 메시지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될 때,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기 위한 모드 복귀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mode return message for returning the preset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the voicing detection message generated upon detection of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is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To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수집되는 상기 차속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이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정지 중인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기 위한 모드 복귀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mode return message for returning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stopped for a preset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collected vehicle speed signal, To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causing a processor to perform a mobile-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1 to 23.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o that a processor can perform a mobile-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1 to 23.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차량의 운전석 착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되는 착석 검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와, 상기 착석 검출 메시지가 수신될 때, 상기 차량의 차속신호를 수집하는 차속 수집부와, 수집되는 상기 차속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이 이동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모니터링부와, 상기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될 때,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의 모드를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기 위한 모드 전환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말 관리부를 포함하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at occupant detection system comprising: a message receiver for receiving a seating detection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sensing a driver's seat of a vehicle and transmitted through a network; A vehicle monitor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moving based on the vehicle speed signal collecte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de of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moving And a terminal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a mode change message for forcibly switching and transmitting the mode change message to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본 발명의 상기 단말 관리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석 이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는 이석 검출 메시지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될 때,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기 위한 모드 복귀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The terminal managemen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mode return message for returning the preset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the voicing detection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is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To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상기 단말 관리부는, 수집되는 상기 차속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이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정지 중인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기 위한 모드 복귀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The terminal managemen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mode return message for returning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based on the collected vehicle speed signal, To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차량의 운전석 착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되는 착석 검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착석 검출 메시지가 수신될 때,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의 이동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되는 상기 이동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이 이동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이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의 모드를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기 위한 모드 전환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a seating detection message generated in response to sensing a driver's seat of a vehicle and transmitted through a network;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reset communication terminal is to be moved based on the movement information to be collected; and setting a mode of the preset communication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set communication terminal is moving Generating a mode switching message for forcibly switching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and transmitting the mode change message to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본 발명은, 상기 차량의 운전석 이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는 이석 검출 메시지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될 때,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기 위한 모드 복귀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mode return message for returning the preset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the voicing detection message generated upon detection of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is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To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수집되는 상기 이동정보에 의거하여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의 이동이 없는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기 위한 모드 복귀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mode return message for returning the preset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movement of the preset communication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based on the collected movemen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message to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제 29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causing a processor to perform a mobile-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9 to 31. [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제 29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 accordance with yet another aspect,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for enabling a processor to perform a mobile-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9 to 31.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차량의 운전석 착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되는 착석 검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와, 상기 착석 검출 메시지가 수신될 때,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의 이동정보를 수집하는 이동정보 수집부와, 수집되는 상기 이동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이 이동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말 모니터링부와,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이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의 모드를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기 위한 모드 전환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말 관리부를 포함하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at occupant detection system comprising: a message receiver for receiving a seating detection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sensing a driver's seat of a vehicle and transmitted through a network; A terminal monitor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is moved based on the movement information to be collected, and a terminal monitor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is moving, And a terminal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a mode switching message for forcibly switching the mode of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blocking mode and transmitting the mode switching message to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본 발명의 상기 단말 관리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석 이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는 이석 검출 메시지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될 때,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기 위한 모드 복귀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The terminal managemen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mode return message for returning the preset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the voicing detection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is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To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상기 단말 관리부는, 수집되는 상기 이동정보에 의거하여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의 이동이 없는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기 위한 모드 복귀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ode return message for returning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movement of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set on the basis of the collected movement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본 발명은 운전석 참석 감지와 통신 단말의 이동 감지에 기반하여 운전 중에 통신 단말의 모드를 통신 모드에서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킴으로써, 운전 중의 통신 단말 사용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차량사고 문제를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cibly switches the mod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communication mode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during operation based on the detection of the presence of the driver's seat and the det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reby fundamentally block the vehicle accident problem caused by the us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operation .

본 발명은 운전석 참석 감지와 차량의 차속신호에 기반하여 운전 중에 통신 단말의 모드를 통신 모드에서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킴으로써, 운전 중의 통신 단말 사용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차량사고 문제를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fundamentally block the vehicle accident problem caused by the us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operation by forcibly switching the mod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communication mode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during the operation based on the driver's seat attendance detection and the vehicle speed signal of the vehicle have.

본 발명은 운전석 참석 검출 결과와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된 차량의 차속신호에 기반하여 운전 중에 통신 단말의 모드를 통신 모드에서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킴으로써, 운전 중의 통신 단말 사용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차량사고 문제를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detecting a vehicle accident occurring due to us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operation by forcibly switching a mod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from a communication mode to a communication cutoff mode during operation based on a result of detection of a driver's seat attendance and a vehicle speed signal of a vehicle collected through a network The problem can be fundamentally blocked.

본 발명은 운전석 참석 검출 결과와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된 통신 단말의 이동정보에 기반하여 운전 중에 통신 단말의 모드를 통신 모드에서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킴으로써, 운전 중의 통신 단말 사용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차량사고 문제를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cibly switching a mod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from a communication mode to a communication cut-off mode during operation based on a driver's seat attendance detection result and movement inform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collected through a network, The problem of accident can be cut off fundamentally.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기법을 제도적으로 법제화할 경우, 운전 중의 통신 단말 사용에 기인하는 차량사고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ystematically enac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ehicle accident caused by the us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라 이동 기반으로 단말의 통신 모드를 자동 제어하는 주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라 이동 기반으로 단말의 통신 모드를 자동 제어하는 주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3 및 4를 실현하는데 적합한 네트워크 기반의 단말 제어 시스템의 계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라 이동 기반으로 단말의 통신 모드를 원격 제어하는 주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4에 따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4에 따라 이동 기반으로 단말의 통신 모드를 원격 제어하는 주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in procedur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communication mode of a mobile station based on a mobile st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in procedur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communication mode of a mobile station based on a mobile st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based terminal control system suitable for implementing embodiments 3 and 4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in procedure for remotely controlling a communication mode of a mobile station based on a mobile sta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in procedure for remotely controlling a communication mode of a mobile station based on movemen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실제로 필요한 경우 외에는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will be omitted unless otherwise described in order to describ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intention or the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 예1][Example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는 메시지 수신부(110), 앱 실행 제어부(120), 이동 감지부(130) 및 모드 제어부(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mobile-based termina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message receiving unit 110, an app execution control unit 120, a movement sensing unit 130, and a mode control unit 140.

먼저, 메시지 수신부(110)는 운전자가 차량의 운전석에 착석할 때 이의 감지에 따라 발생되는 앱 실행 메시지를 수신하여 앱 실행 제어부(120)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 단말은, 예컨대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북, 태블릿 PC, 넷북, 노트북 등과 같은 통화 기능 탑재의 모바일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First, the message receiving unit 110 may provide a function of receiving an app execution message generated when the driver is seated in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app execution message to the app execution control unit 120. Here, the communication terminal may mean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call function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smart pad, a smart book, a tablet PC, a netbook, a notebook, and the like.

또한, 메시지 수신부(110)는 운전석의 이석 감지에 의거하여 발생되는 앱 종료 메시지가 수신될 때 이를 앱 실행 제어부(120)와 모드 제어부(140)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message receiving unit 110 may provide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 app end message generated based on the detection of the driver's seat seizure to the app execution control unit 120 and the mode control unit 140.

이때, 운전석의 착석 감지 또는 이석 감지는, 예컨대 운전석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중량 센서를 이용하여 수행되거나 혹은 차량 블랙박스 등에 탑재된 카메라와 영상 검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앱 실행 메시지 또는 앱 종료 메시지의 발생은, 예컨대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의 표준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신호 발생기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at occupancy detection or the voucher detection of the driver's seat may be performed by using a weight sensor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river's seat, or by using a camera mounted on a vehicle black box, an image detection sensor, Or the occurrence of an app exit message may be performed using, for example, a signal generator that supports a standard protocol based on low power Bluetooth.

이를 위해, 중량 센서가 신호 발생기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거나 혹은 차량 블랙박스가 신호 발생기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weight sensor may be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to the signal generator, or the vehicle black box may be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to the signal generator.

다음에, 앱 실행 제어부(120)는, 통신 단말에 탑재된 안전 운전 앱의 실행을 제어하는 것으로, 메시지 수신부(110)로부터 앱 실행 메시지가 수신될 때 통신 단말에 탑재된 안전 운전 앱을 실행시키고, 안전 운전 앱의 실행을 이동 감지부(130)로 통지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Next, the app execution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execution of the safe driving app load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xecutes the safe driving app load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receiving the app executing message from the message receiving unit 110 , And notifying the movement detection unit 130 of the execution of the safe driving app.

또한, 앱 실행 제어부(120)는 메시지 수신부(110)로부터 앱 종료 메시지가 수신될 때 통신 단말에 탑재된 안전 운전 앱의 실행을 종료시키고, 안전 운전 앱의 실행 종료를 모드 제어부(140)로 통지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execution control unit 120 terminates the execution of the safe driving app load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receiving the append termination message from the message receiving unit 110 and notifies the mode control unit 140 of the end of execution of the safe driving app And so on.

그리고, 이동 감지부(130)는 앱 실행 제어부(120)로부터 안전 운전 앱의 실행이 통지될 때 통신 단말의 이동(움직임)을 감지하고, 그 이동 감지 결과를 모드 제어부(140)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 단말의 이동 감지는, 예컨대 통신 단말에 탑재된 자이로센서 등과 같은 가속도 센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The movement detection unit 130 detects the movement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execution of the safe driving app is notified from the app execution control unit 120 and transmits the movement detection result to the mode control unit 140 Can be provided. Here, the movement detec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performed through an acceleration sensor such as a gyro sensor mounted 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다음에, 모드 제어부(140)는 이동 감지부(130)를 통해 통신 단말의 이동이 감지될 때 통신 단말의 모드를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Next, the mode control unit 140 may provide a function of forcibly switching the mod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when the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tected through the movement detection unit 130. [

또한, 모드 제어부(140)는 운전석의 이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는 앱 종료 메시지가 수신되어 안전 운전 앱이 종료될 때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고,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된 환경에서 통신 단말의 이동이 기 설정된 소정시간(예컨대, 수십 초 등) 동안 감지되지 않을 때 통신 차단 모드를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mode control unit 140 returns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the safe operation app is terminated when the app end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the seated detection of the driver's seat is received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forcibly switched to the communication cut- And returning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movement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e.g., several tens of seconds).

그리고, 안전 운전 앱이 탑재되며, 운전석의 착석 감지 또는 이석 감지에 따라 신호 발생기로부터 선택 발생되는 앱 실행 메시지 또는 앱 종료 메시지에 의거하여 통신 모드가 제어(예컨대, 통신 차단 모드로의 강제 전환, 통신 모드로의 복귀 등)되는 통신 단말은 차량의 운전자 또는 소유자에 의해 기 설정된 통신 단말(즉, 차량에 장착된 신호 발생기와 페어링되어 있는 통신 단말)이거나 혹은 차량의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들(예컨대, 운전자의 단말, 탑승자의 단말 등) 중 블루투스 활성화를 위한 비콘 신호(예컨대, 운전석의 착석 감지에 의거하여 신호 발생기가 발생하는 비콘 신호)에 대한 응답의 수신시간이 상대적으로 가장 짧은 단말일 수 있다.In addition, a safe driving app is installed, and a communication mode is controlled based on an app execution message or an app termination message generated from a signal generator in response to a driver's seat detection or a voucher detection (for example, forced switching to a communication cut- (E.g., returning to the mode) may be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i.e., a communication terminal paired with a signal generator mounted on the vehicle) by the driver or owner of the vehicle, or one or more terminals (For example, a beacon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based on the detection of the seating position of the driver's seat) among the Bluetooth terminals (for example, the terminal of the driver, the terminal of the occupant, etc.) have.

여기에서, 신호 발생기를 운전석 바로 앞쪽에 설치하는 경우라면, 당연히 운전자의 통신 단말이 비콘 신호에 가장 빠르게 응답하게 될 것이기 때문에 비콘 신호에 대한 응답의 수신시간이 가장 짧은 단말(운전자의 통신 단말)을 제어 대상의 단말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운전자를 제외한 탑승자들은 자신의 통신 단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Here, if the signal generator is installed immediately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since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will most quickly respond to the beacon signal, the terminal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having the shortest reception time of the response to the beacon signal So that the passengers other than the driver can freely use his / her communication terminal.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의 단말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 기반으로 단말 통신을 제어하는 일련의 과정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a series of processes for controlling terminal communication on a mobile basis using the terminal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라 이동 기반으로 단말의 통신 모드를 자동 제어하는 주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in procedur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communication mode of a mobile station based on a mobile st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탑승)하게 되면 운전석 착석을 감지한 신호 발생기에서는 앱 실행 메시지를 발생하여, 예컨대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무선 송출하는데, 메시지 수신부(110)에서는 무선 송출된 앱 실행 메시지를 수신하여 앱 실행 제어부(120)로 전달한다(단계 202).2, when the driver sits (rides) in the driver's seat, the signal generator that senses the seating of the driver seat generates an application execution message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application execution message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or the like. And transmits the transmitted application execution message to the application execution control unit 120 (step 202).

여기에서, 운전석의 착석 감지는, 예컨대 운전석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중량 센서를 이용하여 수행되거나 혹은 차량 블랙박스 등에 탑재된 카메라와 영상 검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Here, the seating of the driver's seat can be detected, for example, by using a weight sensor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river's seat, or by using a camera mounted on a vehicle black box, an image detecting sensor, or the like.

그리고, 앱 실행 제어부(120)에서는 메시지 수신부(110)를 통해 앱 실행 메시지가 수신될 때 통신 단말에 탑재된 안전 운전 앱을 실행시키고, 안전 운전 앱의 실행을 이동 감지부(130)에 통지한다(단계 204).When the app execution message is received through the message receiving unit 110, the app execution control unit 120 executes the safe driving app load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notifies the movement detecting unit 130 of the execution of the safe driving app (Step 204).

다음에, 이동 감지부(130)에서는 앱 실행 제어부(120)로부터 안전 운전 앱의 실행이 통지될 때 통신 단말의 이동(움직임)을 감지하는데(단계 206),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의 이동이 감지될 때 이를 모드 제어부(140)로 통지한다(단계 208). 여기에서, 통신 단말의 이동 감지는, 예컨대 통신 단말에 탑재된 자이로센서 등과 같은 가속도 센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Next, the movement detecting unit 130 detects the movement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execution of the safe driving app is notified from the app execution control unit 120 (step 206) It notifies it to the mode control unit 140 (step 208). Here, the movement detec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performed through an acceleration sensor such as a gyro sensor mounted 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이에 응답하여, 모드 제어부(140)에서는 통신 단말의 현재 모드(즉, 통신 모드)를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킨다(단계 210).In response to this, the mode control unit 140 forcibly switches the current mode (i.e., communication mod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step 210).

그리고, 이동 감지부(130)에서는 기 설정된 소정시간(예컨대, 수십 초 등) 동안 통신 단말의 이동이 발생하지 않는지의 여부(차량의 정차 여부)를 모니터링하는데(단계 212), 여기에서의 모니터링 결과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통신 단말의 이동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통신 단말을 통신 차단 모드에서 통신 모드로 복귀시킨다(단계 214).Then, the movement detector 130 monitors whether or not the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ccurs for a predetermined time (e.g., several tens of seconds) (whether the vehicle is stopped or not) (step 212) If it is determined that no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has occurr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turned from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to the communication mode (step 214).

이후, 메시지 수신부(110)에서는 앱 종료 메시지가 수신되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데(단계 216), 앱 종료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동 감지부(130)를 통해 통신 단말의 이동이 다시 감지되면 처리는 전술한 단계(206)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들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Thereafter, the message receiving unit 110 monitors whether or not the app end message is received (step 216). If the append end message is not received, if the movement detecting unit 13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gain The process returns to step 206 and repeats the steps thereafter.

여기에서, 앱 종료 메시지는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벗어나는 운전석 이석이 감지될 때 신호 발생기에서 발생되어 무선 송출되는 메시지일 수 있는데, 운전석의 이석 감지는, 예컨대 운전석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중량 센서를 이용하여 수행되거나 혹은 차량 블랙박스 등에 탑재된 카메라와 영상 검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Here, the app end message may be a message that is generated in the signal generator when the driver departs from the driver's seat and is wirelessly transmitted. The driver's seat is detected by using a weight sensor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river's seat Or a camera mounted on a vehicle black box or the like, an image detecting sensor, or the like.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의 운행 중에는 운전자의 통신 단말을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고, 차량 운행이 기 설정된 소정시간 이상 정차하면 운전자의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며, 차량이 다시 운행될 때 운전자의 통신 단말을 통신 차단 모드로 다시 강제 전환시키는 방식으로 통신 단말의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is forcibly switched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is returned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the vehicle operation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mod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controll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is forcibly switched back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상기 단계(216)에서의 체크 결과, 앱 종료 메시지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앱 실행 제어부(120)에서는 통신 단말에 탑재된 안전 운전 앱의 실행을 종료시킴과 더불어 안전 운전 앱의 실행 종료를 모드 제어부(140)에 통지한다(단계 218).If it is determined in step 216 that the app end message has been received, the app execution control unit 120 terminates execution of the safe driving app load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notifies the control unit 140 (step 218).

여기에서, 앱 종료 메시지는 통신 단말이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된 상태일 때 수신되거나 혹은 통신 모드로 복귀된 상태일 때 수신될 수 있다.
Here, the app end message may be received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forcedly switched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or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turned to the communication mode.

[실시 예2][Example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는 메시지 수신부(310), 앱 실행 제어부(320), 차속 수집부(330), 차량 모니터링부(340) 및 모드 제어부(3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3, the mobile-based termina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essage receiving unit 310, an app execution control unit 320, a vehicle speed collecting unit 330, a vehicle monitoring unit 340, and a mode control unit 350, And the like.

먼저, 메시지 수신부(310)는 운전자가 차량의 운전석에 착석할 때 이의 감지에 따라 발생되는 앱 실행 메시지를 수신하여 앱 실행 제어부(320)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First, the message receiving unit 310 may provide a function of receiving an app execution message generated when the driver is seated in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app execution message to the app execution control unit 320.

또한, 메시지 수신부(310)는 운전석의 이석 감지에 의거하여 발생되는 앱 종료 메시지가 수신될 때 이를 앱 실행 제어부(320)와 모드 제어부(350)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ssage receiving unit 310 may provide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 app end message generated based on the detection of the driver's seat to the application execution control unit 320 and the mode control unit 350 when the app end message is received.

이때, 운전석의 착석 감지 또는 이석 감지는, 예컨대 운전석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중량 센서를 이용하여 수행되거나 혹은 차량 블랙박스 등에 탑재된 카메라와 영상 검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앱 실행 메시지 또는 앱 종료 메시지의 발생은, 예컨대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의 표준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신호 발생기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at occupancy detection or the voucher detection of the driver's seat may be performed by using a weight sensor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river's seat, or by using a camera mounted on a vehicle black box, an image detection sensor, Or the occurrence of an app exit message may be performed using, for example, a signal generator that supports a standard protocol based on low power Bluetooth.

이를 위해, 중량 센서가 신호 발생기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거나 혹은 차량 블랙박스가 신호 발생기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weight sensor may be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to the signal generator, or the vehicle black box may be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to the signal generator.

다음에, 앱 실행 제어부(320)는, 통신 단말에 탑재된 안전 운전 앱의 실행을 제어하는 것으로, 메시지 수신부(310)로부터 앱 실행 메시지가 수신될 때 통신 단말에 탑재된 안전 운전 앱을 실행시키고, 안전 운전 앱의 실행을 차속 수집부(330)로 통지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Next, the app execution control unit 320 controls the execution of the safe driving app load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the app executing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message receiving unit 310, executes the safe driving app load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 And notifying the vehicle speed collection unit 330 of the execution of the safe driving app.

또한, 앱 실행 제어부(320)는 메시지 수신부(310)로부터 앱 종료 메시지가 수신될 때 통신 단말에 탑재된 안전 운전 앱의 실행을 종료시키고, 안전 운전 앱의 실행 종료를 모드 제어부(350)로 통지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execution control unit 320 terminates the execution of the safe driving app load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appending termination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message receiving unit 310 and notifies the mode control unit 350 of the execution end of the safe driving app And so on.

그리고, 차속 수집부(330)는 앱 실행 제어부(320)로부터 안전 운전 앱의 실행이 통지될 때 차량에 장착된 차속 센서로부터 감지되어 전장부로 전달되는 차속신호를 수집(예컨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무선 송수신 수집)하고, 이 수집되는 차속신호를 차량 모니터링부(340)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execution of the safe driving app is notified from the app execution control unit 320, the vehicle speed collecting unit 330 collects vehicle speed signals sensed by the vehicle speed sensor mounted on the vehicle and transmitted to the electric vehicle (for example, And transmits the collected vehicle speed signals to the vehicle monitoring unit 340. [0033]

또한, 차량 모니터링부(340)는 차속 수집부(330)를 통해 수집되는 차속신호에 의거하여 차량이 이동 중(운행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이 운행 중인 것으로 판단될 때 이를 모드 제어부(350)로 통지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vehicle monitoring unit 34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moving (in operation) based on the vehicle speed signal collected through the vehicle speed collecting unit 33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running, (Not shown), and the like.

다음에, 모드 제어부(350)는 차량 모니터링부(340)로부터 차량이 이동 중(운행 중)인 것으로 통지될 때 통신 단말의 모드를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Next, the mode control unit 350 may provide a function such as forcibly switching the mod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when it is notified from the vehicle monitoring unit 340 that the vehicle is moving (in operation).

또한, 모드 제어부(350)는 운전석의 이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는 앱 종료 메시지가 수신되어 안전 운전 앱이 종료될 때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고,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된 환경에서 차량이 기 설정된 소정시간(예컨대, 수십 초 등) 동안 정지(정차) 중일 때 통신 차단 모드를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de control unit 350 returns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the safe operation app is terminated when the app end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seated seat of the driver's seat is received, And returning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the vehicle is stopped (stopp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e.g., several tens of seconds).

그리고, 안전 운전 앱이 탑재되며, 운전석의 착석 감지 또는 이석 감지에 따라 신호 발생기로부터 선택 발생되는 앱 실행 메시지 또는 앱 종료 메시지에 의거하여 통신 모드가 제어(예컨대, 통신 차단 모드로의 강제 전환, 통신 모드로의 복귀 등)되는 통신 단말은 차량의 운전자 또는 소유자에 의해 기 설정된 통신 단말(즉, 차량에 장착된 신호 발생기와 페어링되어 있는 통신 단말)이거나 혹은 차량의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들(예컨대, 운전자의 단말, 탑승자의 단말 등) 중 블루투스 활성화를 위한 비콘 신호(예컨대, 운전석의 착석 감지에 의거하여 신호 발생기가 발생하는 비콘 신호)에 대한 응답의 수신시간이 상대적으로 가장 짧은 단말일 수 있다.In addition, a safe driving app is installed, and a communication mode is controlled based on an app execution message or an app termination message generated from a signal generator in response to a driver's seat detection or a voucher detection (for example, forced switching to a communication cut- (E.g., returning to the mode) may be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i.e., a communication terminal paired with a signal generator mounted on the vehicle) by the driver or owner of the vehicle, or one or more terminals (For example, a beacon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based on the detection of the seating position of the driver's seat) among the Bluetooth terminals (for example, the terminal of the driver, the terminal of the occupant, etc.) have.

여기에서, 신호 발생기를 운전석 바로 앞쪽에 설치하는 경우라면, 당연히 운전자의 통신 단말이 비콘 신호에 가장 빠르게 응답하게 될 것이기 때문에 비콘 신호에 대한 응답의 수신시간이 가장 짧은 단말(운전자의 통신 단말)을 제어 대상의 단말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운전자를 제외한 탑승자들은 자신의 통신 단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Here, if the signal generator is installed immediately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since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will most quickly respond to the beacon signal, the terminal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having the shortest reception time of the response to the beacon signal So that the passengers other than the driver can freely use his / her communication terminal.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의 단말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 기반으로 단말 통신을 제어하는 일련의 과정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a series of processes for controlling terminal communication on a mobile basis using the terminal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라 이동 기반으로 단말의 통신 모드를 자동 제어하는 주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in procedur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communication mode of a mobile station based on a mobile st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탑승)하게 되면 운전석 착석을 감지한 신호 발생기에서는 앱 실행 메시지를 발생하여, 예컨대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무선 송출하는데, 메시지 수신부(310)에서는 무선 송출된 앱 실행 메시지를 수신하여 앱 실행 제어부(320)로 전달한다(단계 402).Referring to FIG. 4, when the driver is seated (boarded) in the driver's seat, the signal generator that senses the seating of the driver seat generates an application execution message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application execution message through a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And transmits the transmitted application execution message to the application execution control unit 320 (step 402).

여기에서, 운전석의 착석 감지는, 예컨대 운전석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중량 센서를 이용하여 수행되거나 혹은 차량 블랙박스 등에 탑재된 카메라와 영상 검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Here, the seating of the driver's seat can be detected, for example, by using a weight sensor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river's seat, or by using a camera mounted on a vehicle black box, an image detecting sensor, or the like.

그리고, 앱 실행 제어부(320)에서는 메시지 수신부(310)를 통해 앱 실행 메시지가 수신될 때 통신 단말에 탑재된 안전 운전 앱을 실행시키고, 안전 운전 앱의 실행을 차속 수집부(330)에 통지한다(단계 404).The application execution control unit 320 executes the safe driving app load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receiving the app execution message through the message receiving unit 310 and notifies the vehicle speed collection unit 330 of the execution of the safe driving app (Step 404).

다음에, 차속 수집부(330)에서는 앱 실행 제어부(320)로부터 안전 운전 앱의 실행이 통지될 때 차량에 장착된 차속 센서로부터 감지되어 전장부로 전달되는 차속신호를 수집, 예컨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무선 송수신을 통해 차속신호를 수집하고, 이 수집되는 차속신호를 차량 모니터링부(340)로 전달한다(단계 406).Next, when the execution of the safe driving app is notified from the app execution control unit 320, the vehicle speed collecting unit 330 collects a vehicle speed signal sensed by the vehicle speed sensor mounted on the vehicle and transmitted to the electric power unit, The vehicle speed signal is collected through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and the collected vehicle spee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monitoring unit 340 (step 406).

또한, 차량 모니터링부(340)에서는 수집되는 차속신호에 의거하여 차량이 이동 중(운행 중)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데(단계 408),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모드 제어부(350)로 통지한다.In addition, the vehicle monitoring unit 340 checks whether the vehicle is moving (in operation) based on the collected vehicle speed signal (step 408).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moving as a result of the check here, (350).

이에 응답하여, 모드 제어부(350)에서는 통신 단말의 현재 모드(즉, 통신 모드)를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킨다(단계 410).In response, the mode control unit 350 forcibly switches the current mode (i.e., communication mod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step 410).

그리고, 차량 모니터링부(340)에서는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된 환경에서 차량이 기 설정된 소정시간(예컨대, 수십 초 등) 동안 정지(정차) 중인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데(단계 412), 여기에서의 모니터링 결과 차량이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정지 중이면 통신 단말을 통신 차단 모드에서 통신 모드로 복귀시킨다(단계 414).The vehicle monitoring unit 340 monitors whether the vehicle is stopped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several tens of seconds) in an environment switched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step 41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turned to the communication mode in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step 414).

이후, 메시지 수신부(310)에서는 앱 종료 메시지가 수신되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데(단계 416), 앱 종료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상황에서 차량 모니터링부(340)를 통해 차량의 운행이 다시 감지되면 처리는 전술한 단계(406)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들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Thereafter, the message receiving unit 310 monitors whether or not the app end message is received (step 416). If the vehicle monitoring is again detected through the vehicle monitoring unit 340 while the app end message is not received, The process returns to the above-described step 406 to repeat the subsequent steps.

여기에서, 앱 종료 메시지는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벗어나는 운전석 이석이 감지될 때 신호 발생기에서 발생되어 무선 송출되는 메시지일 수 있는데, 운전석의 이석 감지는, 예컨대 운전석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중량 센서를 이용하여 수행되거나 혹은 차량 블랙박스 등에 탑재된 카메라와 영상 검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Here, the app end message may be a message that is generated in the signal generator when the driver departs from the driver's seat and is wirelessly transmitted. The driver's seat is detected by using a weight sensor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river's seat Or a camera mounted on a vehicle black box or the like, an image detecting sensor, or the like.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의 운행 중에는 운전자의 통신 단말을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고, 차량 운행이 기 설정된 소정시간 이상 정차하면 운전자의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며, 차량이 다시 운행될 때 운전자의 통신 단말을 통신 차단 모드로 다시 강제 전환시키는 방식으로 통신 단말의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is forcibly switched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is returned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the vehicle operation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mod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controll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is forcibly switched back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상기 단계(416)에서의 체크 결과, 앱 종료 메시지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앱 실행 제어부(320)에서는 통신 단말에 탑재된 안전 운전 앱의 실행을 종료시킴과 더불어 안전 운전 앱의 실행 종료를 모드 제어부(350)에 통지한다(단계 418).If it is determined in step 416 that the app end message has been received, the app execution control unit 320 terminates the execution of the safe driving app load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notifies the control unit 350 (step 418).

여기에서, 앱 종료 메시지는 통신 단말이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된 상태일 때 수신되거나 혹은 통신 모드로 복귀된 상태일 때 수신될 수 있다.
Here, the app end message may be received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forcedly switched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or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turned to the communication mode.

[실시 예3][Example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3 및 4를 실현하는데 적합한 네트워크 기반의 단말 제어 시스템의 계통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based terminal control system suitable for implementing embodiments 3 and 4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단말 제어 시스템은 다수의 차량들(510/1 - 510n)을 포함할 수 있는 차량 그룹(510), 네트워크(520), 단말 관제 서버(530) 및 서버 DB(5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5, the terminal control system includes a vehicle group 510, a network 520, a terminal control server 530, and a server DB 540, which may include a plurality of vehicles 510/1 - 510n . ≪ / RTI >

먼저, 차량 그룹(510) 내 각 차량(510/1 - 510n)에는 운전석의 착석 또는 이석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 장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운전석의 착석 감지 또는 이석 감지는, 예컨대 운전석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중량 센서를 이용하여 수행되거나 혹은 차량 블랙박스 등에 탑재된 카메라와 영상 검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착석 또는 이석 감지신호는 운전자의 통신 단말과 페어링되어 있는 신호 발생기(안전 운전 장비)를 통해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운전자의 통신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First, means for sensing the seated or seated seat of the driver's seat may be mounted on each vehicle 510/1 - 510n in the vehicle group 510. Such seat detection or seizure detection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Or may be performed using a mounted weight sensor or a camera mounted on a vehicle black box or the like and an image detecting sensor. At this time, the seated or deaf-mute detection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driver's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through a signal generator (safe operation equipment) paired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그리고, 차량 운전자의 통신 단말은,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라, 운전석 착석이 감지될 때 운전자 정보(예컨대, 차량 소유주의 통신 단말 번호) 등을 포함하는 착석 검출 메시지를 생성하여 네트워크(520)를 통해 원격지의 단말 관제 서버(530)로 무선 송출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차속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차량의 차속신호를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수집하여 네트워크(520)를 통해 원격지의 단말 관제 서버(530)로 무선 송출할 수 있다.T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vehicle driver generates a seating detection message including driver information (e.g., the vehicle owner's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and the like when the driver's seat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remote terminal control server 530 through the network 520. The terminal control server 530 transmits the vehicle speed signal of the vehicle detected by the vehicle speed sensor to the terminal control server 530 through the network 520, As shown in FIG.

또한, 차량 운전자의 통신 단말은, 본 발명의 실시 예4에 따라, 운전석 착석이 감지될 때 운전자 정보(예컨대, 차량 소유주의 통신 단말 번호) 등을 포함하는 착석 검출 메시지를 생성하여 네트워크(520)를 통해 원격지의 단말 관제 서버(530)로 무선 송출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자이로센서 등의 가속도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통신 단말의 이동정보를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수집하여 네트워크(520)를 통해 원격지의 단말 관제 서버(530)로 무선 송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vehicle driver generates a seating detection message including driver information (e.g., the vehicle owner's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and the like when the driver's seat is detected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terminal control server 530 at a remote location. In addition, movement inform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ed through an acceleration sensor such as a gyro sensor is collected at a predetermined periodic interval,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server 530 by radio.

그리고, 차량 운전자의 통신 단말은 운전석 이석이 감지될 때 운전자 정보(예컨대, 차량 소유주의 통신 단말 번호) 등을 포함하는 이석 검출 메시지를 생성하여 네트워크(520)를 통해 원격지의 단말 관제 서버(530)로 무선 송출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vehicle driver generates a seizure detection message including driver information (e.g., the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of the vehicle owner) when the driver's seat is detected and transmits the seizure detection message to the terminal control server 530 at the remote site via the network 520. [ As shown in FIG.

여기에서, 네트워크(520)는, 예컨대 2세대(2G) 통신망, 3세대(3G) 통신망, 4세대(4G) 통신망, 5세대(5G)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이거나 혹은 적어도 둘 이상의 통신망을 복합적으로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과 유선 인터넷 등으로 된 유선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단말 통신의 원격 제어를 위해 운전자의 통신 단말과 단말 관제 서버(530) 간의 데이터 네트워킹을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network 520 includes any one of, or at least two,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ing a second generation (2G) communication network, a third generation (3G) communication network, a fourth generation (4G) communication network, and a fifth generation And can provide data networking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and the terminal control server 530 for remote control of the termin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다음에, 단말 관제 서버(5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3 및 4에 따른 단말 통신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웹 클라우드 서버로 정의될 수 있는데, 단말 관제 서버(530)에서 제공하는 구체적인 서비스들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8을 참조하여 후에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Next, the terminal control server 530 may include the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control server 530 may be defined as a web cloud server. The servic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6 and FIG.

그리고, 서버 DB(5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3 및 4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로 하는 각종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The server DB 540 may stor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required to provide the services according to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장치는 메시지 수신부(610), 차속 수집부(620), 차량 모니터링부(630) 및 단말 관리부(6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6, the mobile-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message receiving unit 610, a vehicle speed collecting unit 620, a vehicle monitoring unit 630, and a terminal management unit 640 .

먼저, 메시지 수신부(610)는 차량의 운전석에 운전자가 탑승(운전석 착석 검출)할 때 차량에 장착된 신호 발생기(안전 운전 장비)와 운전자의 통신 단말 간의 교신에 의해 통신 단말로부터 발생되어 네트워크(520)를 통해 무선 송출되는 착석 검출 메시지(운전자의 통신 단말 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될 때 이를 차속 수집부(620) 및 단말 관리부(640)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First, the message receiving unit 610 receives a signal generated from a communication terminal by communication between a signal generator (safe driving equipment) mounted on the vehicle and a driver's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driver boarding (detecting the driver's seat seating) To the vehicle speed detector 620 and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640 when a seating detection message (a message including a driver's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is received wirelessly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20. [

또한, 메시지 수신부(610)는 차량의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운전석을 이석(운전석 이석 검출)할 때 차량에 장착된 신호 발생기와 운전자의 통신 단말 간의 교신에 의해 통신 단말로부터 발생되어 네트워크(520)를 통해 무선 송출되는 이석 검출 메시지(운전자의 통신 단말 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될 때 이를 단말 관리부(640)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ssage receiving unit 610 receives a message generat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by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ignal generator mounted on the vehicle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when the driver aboard the driver's seat seats the driver's seat To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640 when the e-mail detection message (message includ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of the driver) is received wirelessly.

다음에, 차속 수집부(620)는 착석 검출 메시지가 수신될 때 차속 요청신호를 발생하여 네트워크(520)를 통해 운전자의 통신 단말로 전송하고, 이 요청에 응답하여 운전자의 통신 단말에서 무선 송출하는 차속신호가 네트워크(520)를 통해 수신될 때 이를 수집하여 차량 모니터링부(630)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Next, the vehicle speed collecting unit 620 generates a vehicle speed request signal when the seating detection message is received, transmits the vehicle speed request signal to the driver's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520,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driver's communication terminal in response to the request When the vehicle speed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520, and collecting it and delivering it to the vehicle monitoring unit 630.

그리고, 차량 모니터링부(630)는 차속 수집부(620)를 통해 수집되는 차속신호에 의거하여 차량이 이동 중(운행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될 때 이를 단말 관리부(640)로 통지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vehicle monitoring unit 630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moving (in operation) based on the vehicle speed signal collected through the vehicle speed acquiring unit 62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moving, (640), and so on.

다음에, 단말 관리부(640)는 차량 모니터링부(630)로부터 차량이 이동 중(운행 중)인 것으로 통지될 때 운전자의 통신 단말을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기 위한 모드 전환 메시지를 생성하여 네트워크(520)를 통해 운전자의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차량을 운행 중인 운전자의 통신 단말을 모드 전환 메시지의 지령에 따라 통신 차단 모드로 원격 제어할 수 있다.Next,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640 generates a mode switching message for forcibly switch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when it is notified from the vehicle monitoring unit 630 that the vehicle is moving (in operation) 520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so th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operating the vehicle can remotely control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mode switching message.

또한, 단말 관리부(640)는 메시지 수신부(610)를 통해 이석 검출 메시지가 수신될 때 운전자의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기 위한 모드 복귀 메시지를 생성하여 네트워크(520)를 통해 운전자의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차량 운행을 종료한 운전자의 통신 단말이 모드 복귀 메시지의 지령에 따라 통신 모드로 복귀되도록 원격 제어할 수 있다.Also,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640 generates a mode return message for return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receiving the vacancy detection message through the message receiving unit 610, and transmits the mode return message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through the network 520 The remote terminal can remotely control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who has finished the vehicle operation to return to the communication mode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mode return message.

더욱이, 단말 관리부(640)는 차량 모니터링부(630)로부터 차량이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정지 중인 것으로 통지될 때 운전자의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기 위한 모드 복귀 메시지를 생성하여 네트워크(520)를 통해 운전자의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은 하였으나 차량을 운행(이동)하지 않는 상황일 때 운전자의 통신 단말이 정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원격 제어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640 generates a mode return message for return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it is notified from the vehicle monitoring unit 630 that the vehicle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o the driver's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driver's terminal. In this case, when the driver boarded the driver's seat but the driver does not travel (move) the driver's terminal, the operator can remotely control the communication terminal have.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의 단말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 기반으로 단말 통신을 원격 제어하는 일련의 과정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a series of procedures for remotely controlling terminal communication on a mobile basis using the terminal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라 이동 기반으로 단말의 통신 모드를 원격 제어하는 주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in procedure for remotely controlling a communication mode of a mobile station based on a mobile sta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메시지 수신부(610)에서는 네트워크(520)를 통해 착석 검출 메시지(운전자의 통신 단말 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를 차속 수집부(620) 및 단말 관리부(640)로 전달한다(단계 702).7, when a seating detection message (a message including a driver's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is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520, the message receiving unit 610 transmits the message to the vehicle speed collecting unit 620 and the terminal managing unit 640 (Step 702).

여기에서, 착석 검출 메시지는, 차량의 운전석에 운전자가 탑승(운전석 착석 검출)할 때 차량에 장착된 신호 발생기(안전 운전 장비)와 운전자의 통신 단말 간의 교신에 의해 통신 단말에서 생성되는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seating detection message means a message generated 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by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ignal generator (safe driving equipment) mounted on the vehicle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when the driver boarding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can do.

그리고, 차속 수집부(620)에서는 착석 검출 메시지가 수신될 때 차속 요청신호를 발생하여 네트워크(520)를 통해 운전자의 통신 단말로 전송하고, 이 요청에 응답하여 운전자의 통신 단말에서 무선 송출하는 차속신호가 네트워크(520)를 통해 수신될 때 이를 수집하여 차량 모니터링부(630)로 전달한다(단계 704).The vehicle speed collection unit 620 generates a vehicle speed request signal when the seating detection message is received, transmits the vehicle speed request signal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through the network 520, When the signal is received via the network 520, it is collected and delivered to the vehicle monitoring unit 630 (step 704).

즉, 운전자의 통신 단말은 네트워크(520)를 통해 차속 요청신호가 수신될 때 차속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차량의 차속신호를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수집하여 네트워크(520)를 통해 원격지의 단말 관제 서버(530)로 무선 송출한다.That is,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collects the vehicle speed signal of the vehicle detected by the vehicle speed sensor when the vehicle speed request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520 at a predetermined fixed period, and transmits the vehicle speed signal through the network 520 to the remote terminal control server 530 ).

다음에, 차량 모니터링부(630)에서는 차속 수집부(620)를 통해 수집되는 차속신호에 의거하여 차량이 이동 중(운행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데(단계 706), 여기에서의 판단 결과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될 때 이를 단말 관리부(640)로 통지한다.Next, the vehicle monitoring unit 6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moving (in operation) based on the vehicle speed signals collected through the vehicle speed collecting unit 620 (step 706)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640 notifies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640 of the movement.

이에 응답하여, 단말 관리부(640)에서는 운전자의 통신 단말을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기 위한 모드 전환 메시지를 생성하여 네트워크(520)를 통해 운전자의 통신 단말로 전송한다(단계 708).In response,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640 generates a mode change message for forcibly switch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and transmits the mode change message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through the network 520 (step 708).

따라서, 차량을 운행 중인 운전자의 통신 단말은 네트워크(520)를 통해 수신되는 모드 전환 메시지의 지령에 따라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되며, 이를 통해 차량을 운행 중인 운전자의 통신 단말 사용이 원천적으로 차단된다.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who is operating the vehicle is forcibly switched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mode switching message received via the network 520, whereby the us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who is operating the vehicle is intrinsically blocked .

한편, 차량 모니터링부(630)에서는 운전자의 통신 단말이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된 상황에서 기 설정된 소정시간(예컨대, 수십 초 등) 동안 차량이 정지(정차)하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데(단계 710), 여기에서의 모니터링 결과 차량이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정지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단말 관리부(640)로 통지한다.Meanwhile, the vehicle monitoring unit 630 monitors whether the vehicle is stopped (stopp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or example, several tens of seconds) in a state where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is forcibly switched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ha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640 is notified.

이에 응답하여, 단말 관리부(640)에서는 운전자의 통신 단말을 통신 차단 모드에서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기 위한 모드 복귀 메시지를 생성하여 네트워크(520)를 통해 운전자의 통신 단말로 전송한다(단계 712).In response,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640 generates a mode return message for return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from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to the communication mode, and transmits the mode return message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through the network 520 (step 712).

따라서, 운전자의 통신 단말은 네트워크(520)를 통해 수신되는 모드 복귀 메시지의 지령에 따라 통신 차단 모드에서 통신 모드로 자동 복귀되며, 이를 통해 운전석의 탑승 상태에서 차량을 운행(이동)하지 않는 상황일 때 운전자는 자신의 통신 단말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communication mode in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mode return message received via the network 520, and thereby, the vehicle is not operated (moved) in the boarding state of the driver's seat The driver can normally use his own communication terminal.

이후, 메시지 수신부(610)에서는 이석 검출 메시지가 수신되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데(단계 714), 이석 검출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상황에서 차량 모니터링부(630)를 통해 차량의 운행이 다시 감지되면 처리는 전술한 단계(704)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들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Thereafter, the message receiving unit 610 monitors whether or not the segregation detecting message is received (step 714). If the vehicle monitoring unit 630 detects the vehicle driving again in a situation where the segregation detecting message is not receiv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704 described above, and the subsequent steps are repeated.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의 운행 중에는 네트워크 기반의 원격 제어를 통해 운전자의 통신 단말을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고, 차량 운행이 기 설정된 소정시간 이상 정차하면 네트워크 기반의 원격 제어를 통해 운전자의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며, 차량이 다시 운행될 때 네트워크 기반의 원격 제어를 통해 운전자의 통신 단말을 통신 차단 모드로 다시 강제 전환시키는 방식으로 통신 단말의 모드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vehicle is runn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is forcibly switched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through the remote control based on the network, and when the vehicle stop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turned to the communication mode and the mod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remotely controlled by switch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again through network-based remote control when the vehicle is operated again.

상기 단계(714)에서의 체크 결과, 이석 검출 메시지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 관리부(640)에서는 운전자의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기 위한 모드 복귀 메시지를 생성하여 네트워크(520)를 통해 운전자의 통신 단말로 전송한다(단계 716). 여기에서, 이석 검출 메시지가 수신된다는 것은 운전자가 운적석을 이석하여 더 이상 차량을 운행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714 that the binary detection message has been received,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640 generates a mode return message for return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to the communication mode, (Step 716). Here, the receipt of the segregation detection message may mean that the driver is away from the lunft and is no longer driving the vehicle.

따라서, 운전자의 통신 단말은 네트워크(520)를 통해 수신되는 모드 복귀 메시지의 지령에 따라 통신 차단 모드에서 통신 모드로 자동 복귀되며, 이를 통해 운전자는 자신의 통신 단말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communication mode in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mode return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520, so that the driver can use his / her communication terminal normally.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단말 관제 서버 측에서 운전자의 통신 단말 측에 차속신호를 요청할 때 운전자의 통신 단말이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차속신호를 수집하여 단말 관제 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 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운전석 착석 검출에 따라 발생되는 착석 검출 메시지를 단말 관제 서버로 전송한 이후에 바로 이어서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차속신호를 수집하여 단말 관제 서버로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terminal control server requests the vehic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side of the driver,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collects the vehicle speed signal at a predetermined period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control server sid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also possible to collect the vehicle speed signal at predetermined predetermined intervals immediately after transmitting the seating detection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driver's seat occupancy to the terminal control server, and transmit the collected vehicle speed signal to the terminal control server.

[실시 예4][Example 4]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8에 따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장치는 메시지 수신부(810), 이동정보 수집부(820), 단말 모니터링부(830) 및 단말 관리부(8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8, the mobile-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message receiving unit 810, a mov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820, a terminal monitoring unit 830, and a terminal managing unit 840 have.

먼저, 메시지 수신부(810)는 차량의 운전석에 운전자가 탑승(운전석 착석 검출)할 때 차량에 장착된 신호 발생기(안전 운전 장비)와 운전자의 통신 단말 간의 교신에 의해 통신 단말로부터 발생되어 네트워크(520)를 통해 무선 송출되는 착석 검출 메시지(운전자의 통신 단말 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될 때 이를 이동정보 수집부(820) 및 단말 관리부(840)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First, the message receiving unit 810 receives a message generated from a communication terminal by communication between a signal generator (safe driving equipment) mounted on the vehicle and a driver's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driver boarding (detecting the driver's seat seating) To the movem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820 and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840 when a seating detection message (a message includ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of the driver) is received wirelessly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820 and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840.

또한, 메시지 수신부(810)는 차량의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운전석을 이석(운전석 이석 검출)할 때 차량에 장착된 신호 발생기와 운전자의 통신 단말 간의 교신에 의해 통신 단말로부터 발생되어 네트워크(520)를 통해 무선 송출되는 이석 검출 메시지(운전자의 통신 단말 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될 때 이를 단말 관리부(840)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ssage receiving unit 810 receives a message generat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by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ignal generator mounted on the vehicle and the driver's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driver aboard the driver's seat seats the driver's seat To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840 when the e-mail detection message (message including the driver's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is received wirelessly.

다음에, 이동정보 수집부(820)는 착석 검출 메시지가 수신될 때 이동정보 요청신호를 발생하여 네트워크(520)를 통해 운전자의 통신 단말로 전송하고, 이 요청에 응답하여 운전자의 통신 단말에서 무선 송출하는 이동정보가 네트워크(520)를 통해 수신될 때 이를 수집하여 단말 모니터링부(830)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Next, the movem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820 generates a movem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when the seating detection message is received, and transmits the movem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through the network 520. In response to the request, When the mobil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is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520, the mobile terminal 520 may collect and transmit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terminal monitoring unit 830.

그리고, 단말 모니터링부(830)는 이동정보 수집부(820)를 통해 수집되는 통신 단말의 이동정보에 의거하여 차량이 이동 중(운행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될 때 이를 단말 관리부(840)로 통지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terminal monitoring unit 8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moving (in operation) based on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ollected through the movem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82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moving And notifying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840 of the time.

다음에, 단말 관리부(840)는 단말 모니터링부(830)로부터 통신 단말이 이동 중(움직임 중)인 것으로 통지될 때 운전자의 통신 단말을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기 위한 모드 전환 메시지를 생성하여 네트워크(520)를 통해 운전자의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차량을 운행 중인 운전자의 통신 단말을 모드 전환 메시지의 지령에 따라 통신 차단 모드로 원격 제어할 수 있다.Next,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840 generates a mode switching message for forcibly switch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when notified from the terminal monitoring unit 830 th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ving (moving)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through the control unit 520, thereby enabl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operating the vehicle to remotely control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communication blocking mode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mode switching message.

또한, 단말 관리부(840)는 메시지 수신부(810)를 통해 이석 검출 메시지가 수신될 때 운전자의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기 위한 모드 복귀 메시지를 생성하여 네트워크(520)를 통해 운전자의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차량 운행을 종료한 운전자의 통신 단말이 모드 복귀 메시지의 지령에 따라 통신 모드로 복귀되도록 원격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840 generates a mode return message for return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receiving the vacancy detection message through the message reception unit 810, and transmits the mode return message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through the network 520 The remote terminal can remotely control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who has finished the vehicle operation to return to the communication mode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mode return message.

더욱이, 단말 관리부(840)는 단말 모니터링부(830)로부터 통신 단말의 이동이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없는 것으로 통지될 때 운전자의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기 위한 모드 복귀 메시지를 생성하여 네트워크(520)를 통해 운전자의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은 하였으나 차량을 운행하지 않는 상황(즉, 통신 단말의 이동이 없는 상황)일 때 운전자의 통신 단말이 정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원격 제어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840 generates a mode return message for return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it is notified from the terminal monitoring unit 830 that the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present for a predetermined time, To the driver's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driver's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case, when the driver boarded the driver's seat but did not drive the vehicle (that is, the state in which there is no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terminal can be remotely controlled so as to be normally used.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의 단말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 기반으로 단말 통신을 원격 제어하는 일련의 과정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a series of procedures for remotely controlling terminal communication on a mobile basis using the terminal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4에 따라 이동 기반으로 단말의 통신 모드를 원격 제어하는 주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in procedure for remotely controlling a communication mode of a mobile station based on movemen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메시지 수신부(810)에서는 네트워크(520)를 통해 착석 검출 메시지(운전자의 통신 단말 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를 이동정보 수집부(820) 및 단말 관리부(840)로 전달한다(단계 902).9, when a seating detection message (a message including a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of a driver) is received via the network 520, the message reception unit 810 transmits it to the movem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820 and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840 (Step 902).

여기에서, 착석 검출 메시지는, 차량의 운전석에 운전자가 탑승(운전석 착석 검출)할 때 차량에 장착된 신호 발생기(안전 운전 장비)와 운전자의 통신 단말 간의 교신에 의해 통신 단말에서 생성되는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seating detection message means a message generated 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by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ignal generator (safe driving equipment) mounted on the vehicle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when the driver boarding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can do.

그리고, 이동정보 수집부(820)에서는 착석 검출 메시지가 수신될 때 이동정보 요청신호를 발생하여 네트워크(520)를 통해 운전자의 통신 단말로 전송하고, 이 요청에 응답하여 운전자의 통신 단말에서 무선 송출하는 이동정보(운전자 통신 단말의 움직임 정보)가 네트워크(520)를 통해 수신될 때 이를 수집하여 단말 모니터링부(830)로 전달한다(단계 904).The movem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820 generates a movem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when the seating detection message is received and transmits the movem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through the network 520. In response to the request, (Movement information of the driver communication terminal) is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520, and transmits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terminal monitoring unit 830 (step 904).

즉, 운전자의 통신 단말은 네트워크(520)를 통해 이동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될 때 내장된 자이로센서 등을 통해 검출되는 단말의 이동정보(움직임 정보)를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수집하여 네트워크(520)를 통해 원격지의 단말 관제 서버(530)로 무선 송출한다.That is, when the mobile inform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520, the driver's communication terminal collects the movement information (mo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tected through the built-in gyro sensor or the like at a predetermined periodic interval, To the terminal control server 530 at a remote location.

다음에, 단말 모니터링부(830)에서는 이동정보 수집부(820)를 통해 수집되는 이동정보에 의거하여 차량이 이동(단말의 이동)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데(단계 906), 여기에서의 판단 결과 단말이 이동 중(차량의 운행 중)인 것으로 판단될 때 이를 단말 관리부(840)로 통지한다.Next, the terminal monitoring unit 830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moving (moving the terminal) based on the movement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movem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820 (step 906) And informs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840 of the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is in motion (during operation of the vehicle).

이에 응답하여, 단말 관리부(840)에서는 운전자의 통신 단말을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기 위한 모드 전환 메시지를 생성하여 네트워크(520)를 통해 운전자의 통신 단말로 전송한다(단계 908).In response to this,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840 generates a mode change message for forcibly switch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and transmits the mode change message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through the network 520 (step 908).

따라서, 차량을 운행 중인 운전자의 통신 단말은 네트워크(520)를 통해 수신되는 모드 전환 메시지의 지령에 따라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되며, 이를 통해 차량을 운행 중인 운전자의 통신 단말 사용이 원천적으로 차단된다.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who is operating the vehicle is forcibly switched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mode switching message received via the network 520, whereby the us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operating the vehicle is intrinsically blocked .

한편, 단말 모니터링부(830)에서는 운전자의 통신 단말이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된 상황에서 기 설정된 소정시간(예컨대, 수십 초 등) 동안 단말의 이동이 없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데(단계 910), 여기에서의 모니터링 결과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단말의 이동(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단말 관리부(840)로 통지한다.In step 910, the terminal monitoring unit 830 monitors whether the terminal is moved for a predetermined time (e.g., several tens of seconds) in a state where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is forcibly switched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movement (movement) of the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840 notifies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840 of the movement.

이에 응답하여, 단말 관리부(840)에서는 운전자의 통신 단말을 통신 차단 모드에서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기 위한 모드 복귀 메시지를 생성하여 네트워크(520)를 통해 운전자의 통신 단말로 전송한다(단계 912).In response,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840 generates a mode return message for return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from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to the communication mode, and transmits the mode return message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through the network 520 (step 912).

따라서, 운전자의 통신 단말은 네트워크(520)를 통해 수신되는 모드 복귀 메시지의 지령에 따라 통신 차단 모드에서 통신 모드로 자동 복귀되며, 이를 통해 운전석의 탑승 상태에서 차량을 운행(이동)하지 않는 상황일 때 운전자는 자신의 통신 단말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communication mode in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mode return message received via the network 520, and thereby, the vehicle is not operated (moved) in the boarding state of the driver's seat The driver can normally use his own communication terminal.

이후, 메시지 수신부(810)에서는 이석 검출 메시지가 수신되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데(단계 914), 이석 검출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상황에서 단말 모니터링부(830)를 통해 단말의 이동이 다시 감지되면 처리는 전술한 단계(904)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들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Thereafter, the message receiving unit 810 monitors whether or not the binary detection message is received (step 914). If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is detected again through the terminal monitoring unit 830 in a situation where the binary detection message is not receiv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904 described above and the subsequent steps are repeated.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의 이동 중에는 네트워크 기반의 원격 제어를 통해 운전자의 통신 단말을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고, 단말 이동이 기 설정된 소정시간 이상 없으면 네트워크 기반의 원격 제어를 통해 운전자의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며, 단말이 다시 이동될 때 네트워크 기반의 원격 제어를 통해 운전자의 통신 단말을 통신 차단 모드로 다시 강제 전환시키는 방식으로 통신 단말의 모드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uring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is forcibly switched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through the network-based remote control. If the terminal movement is not longer than the predetermined time, It is possible to remotely control the mod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by return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mode and forcibly switch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through network-based remote control when the terminal is moved again.

상기 단계(914)에서의 체크 결과, 이석 검출 메시지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 관리부(840)에서는 운전자의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기 위한 모드 복귀 메시지를 생성하여 네트워크(520)를 통해 운전자의 통신 단말로 전송한다(단계 916). 여기에서, 이석 검출 메시지가 수신된다는 것은 운전자가 운적석을 이석하여 더 이상 차량을 운행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914 that the binary detection message has been received,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840 generates a mode return message for return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to the communication mode, (Step 916). Here, the receipt of the segregation detection message may mean that the driver is away from the lunft and is no longer driving the vehicle.

따라서, 운전자의 통신 단말은 네트워크(520)를 통해 수신되는 모드 복귀 메시지의 지령에 따라 통신 차단 모드에서 통신 모드로 자동 복귀되며, 이를 통해 운전자는 자신의 통신 단말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communication mode in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mode return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520, so that the driver can use his / her communication terminal normally.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단말 관제 서버 측에서 운전자의 통신 단말 측에 이동정보(통신 단말의 이동정보)를 요청할 때 운전자의 통신 단말이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이동정보를 수집하여 단말 관제 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 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운전석 착석 검출에 따라 발생되는 착석 검출 메시지를 단말 관제 서버로 전송한 이후에 바로 이어서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통신 단말의 이동정보를 수집하여 단말 관제 서버로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terminal control server side requests movement information (movement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side of the driver,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collects movement information at a predetermined period and transmits the movemen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control server si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fter the seating detection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driver's seat seating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control server,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llec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s shown in FIG.

다른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each block of the accompanying block diagrams and combinations of steps of the flowchart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loaded into a processor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so that the instructions, which may be executed by a processor of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step are created.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 등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capable of directing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to implement the functionality in a particular manner,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block diagram to produce a manufacturing item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r flowchart of the block diagram.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loaded onto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a series of operating steps may be perform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instructions that perform the data processing equipment are capable of providing th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and at each step of the flowchart.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Also, each block or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specified logical function (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e blocks or steps may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or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the blocks or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is easy to see that this is possible. That is,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310, 610, 810 : 메시지 수신부
120, 320 : 앱 실행 제어부
130 : 이동 감지부
140, 350 : 모드 제어부
330, 620 : 차속 수집부
340, 630 : 차량 모니터링부
640, 840 : 단말 관리부
110, 310, 610, 810:
120, and 320:
130:
140, 350:
330, 620: vehicle speed collecting unit
340, 630: vehicle monitoring unit
640 and 840:

Claims (36)

차량의 운전석 착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는 앱 실행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앱 실행 메시지가 수신될 때, 통신 단말에 탑재된 안전 운전 앱을 실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안전 운전 앱이 실행될 때, 상기 통신 단말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이 감지될 때, 상기 통신 단말을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
Receiving an app execution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a driver's seat seating detection of the vehicle;
Executing a safe driving app installe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application execution message is received;
Detecting a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safe driving app is executed;
Forcibly switch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when the movement is detected
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전석 이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는 앱 종료 메시지가 수신되어 상기 안전 운전 앱의 실행이 종료될 때, 상기 통신 차단 모드를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turning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the execution of the safe operation app is terminated by receiving an app end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river's seat detection of the vehicle
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의 이동이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을 때, 상기 통신 차단 모드를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turning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the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차량의 운전자 또는 소유자에 의해 기 설정된 단말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on terminal,
A terminal set by the driver or the owner of the vehicle
Based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들 중 블루투스 활성화를 위한 비콘 신호에 대한 응답의 수신시간이 상대적으로 가장 짧은 단말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on terminal,
A terminal having a relatively shortest reception time of a response to a beacon signal for Bluetooth activation among one or more terminals located inside the vehicle
Based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 computer program for causing a processor to perform a mobile-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for enabling a processor to perform a mobile-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차량의 운전석 착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는 앱 실행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와,
상기 앱 실행 메시지가 수신될 때, 통신 단말에 탑재된 안전 운전 앱을 실행시키는 앱 실행 제어부와,
상기 안전 운전 앱이 실행될 때, 상기 통신 단말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 감지부와,
상기 이동이 감지될 때, 상기 통신 단말을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는 모드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장치.
A messag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app execution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a driver's seat seating detection of the vehicle;
An app execution control unit that executes a safe driving app load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app execution message is received;
A movement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safe driving app is executed;
A mode control unit for forcibly switch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when the movement is detected,
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앱 실행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석 이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는 앱 종료 메시지가 수신될 때, 상기 안전 운전 앱의 실행을 종료시키고,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안전 운전 앱의 실행이 종료될 때, 상기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pplication execution control unit,
When the app end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river's seats detection of the vehicle is received, execution of the safe driving app is terminated,
The mode control unit includes:
When the execution of the safe driving app is terminated,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turned to the communication mode
Based mobile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통신 단말의 이동이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을 때, 상기 통신 차단 모드를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mode control unit includes:
When the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returning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to the communication mode
Based mobile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차량의 운전석 착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는 앱 실행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앱 실행 메시지가 수신될 때, 통신 단말에 탑재된 안전 운전 앱을 실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안전 운전 앱이 실행될 때, 상기 차량의 차속신호를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되는 상기 차속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이 이동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통신 단말의 모드를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
Receiving an app execution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a driver's seat seating detection of the vehicle;
Executing a safe driving app installe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application execution message is received;
Collecting a vehicle speed signal of the vehicle when the safe driving app is executed,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moving based on the collected vehicle speed signal;
Forcibly switching the mod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moving
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전석 이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는 앱 종료 메시지가 수신되어 상기 안전 운전 앱의 실행이 종료될 때, 상기 통신 차단 모드를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Returning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the execution of the safe operation app is terminated by receiving an app end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river's seat detection of the vehicle
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속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이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정지 중일 때, 상기 통신 차단 모드를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Returning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the vehicle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based on the vehicle speed signal
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차량의 운전자 또는 소유자에 의해 기 설정된 단말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mmunication terminal,
A terminal set by the driver or the owner of the vehicle
Based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들 중 블루투스 활성화를 위한 비콘 신호에 대한 응답의 수신시간이 상대적으로 가장 짧은 단말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mmunication terminal,
A terminal having a relatively shortest reception time of a response to a beacon signal for Bluetooth activation among one or more terminals located inside the vehicle
Based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causing a processor to perform a mobile-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5.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for enabling a processor to perform a mobile-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5.
차량의 운전석 착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는 앱 실행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와,
상기 앱 실행 메시지가 수신될 때, 통신 단말에 탑재된 안전 운전 앱을 실행시키는 앱 실행 제어부와,
상기 안전 운전 앱이 실행될 때, 상기 차량의 차속신호를 수집하는 차속 수집부와,
수집되는 상기 차속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이 이동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모니터링부와,
상기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통신 단말을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는 모드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장치.
A messag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app execution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a driver's seat seating detection of the vehicle;
An app execution control unit that executes a safe driving app load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app execution message is received;
A vehicle speed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a vehicle speed signal of the vehicle when the safe driving app is executed,
A vehicle monitoring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moving based on the vehicle speed signal collected;
A mode control unit for forcibly switch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moving;
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앱 실행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석 이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는 앱 종료 메시지가 수신될 때, 상기 안전 운전 앱의 실행을 종료시키고,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안전 운전 앱의 실행이 종료될 때, 상기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application execution control unit,
When the app end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river's seats detection of the vehicle is received, execution of the safe driving app is terminated,
The mode control unit includes:
When the execution of the safe driving app is terminated,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turned to the communication mode
Based mobile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차속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이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정지 중일 때, 상기 통신 차단 모드를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mode control unit includes:
When the vehicle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based on the vehicle speed signal, returning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to the communication mode
Based mobile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차량의 운전석 착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되는 착석 검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착석 검출 메시지가 수신될 때, 상기 차량의 차속신호를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되는 상기 차속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이 이동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될 때,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의 모드를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기 위한 모드 전환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
Receiving a seating detection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a driver's seat seating detection of the vehicle and transmitted through a network;
Collecting a vehicle speed signal of the vehicle when the seating detection message is received,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moving based on the collected vehicle speed signal;
Generating a mode switching message for forcibly switching the mode of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moving, and transmitting the mode switching message to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전석 이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는 이석 검출 메시지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될 때,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기 위한 모드 복귀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A mode return message for returning the preset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the eavesdropping detection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is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is transmitted to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Steps to transfer
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제 21 항에 있어서,
수집되는 상기 차속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이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정지 중인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기 위한 모드 복귀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A mode return message for returning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stopped for a preset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collected vehicle speed signal, ≪ / RTI >
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 computer program for causing a processor to perform a mobile-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1 to 23.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for enabling a processor to perform a mobile-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1 to 23.
차량의 운전석 착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되는 착석 검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와,
상기 착석 검출 메시지가 수신될 때, 상기 차량의 차속신호를 수집하는 차속 수집부와,
수집되는 상기 차속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이 이동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모니터링부와,
상기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될 때,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의 모드를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기 위한 모드 전환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말 관리부
를 포함하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장치.
A messag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eating detection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driver's seat occupancy of the vehicle and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A vehicle speed acquiring unit for acquiring a vehicle speed signal of the vehicle when the seating detection message is received,
A vehicle monitoring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moving based on the vehicle speed signal collected;
A terminal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a mode change message for forcibly switching the mode of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and transmitting the mode change message to the preset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when the vehicle is determined to be moving;
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관리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석 이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는 이석 검출 메시지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될 때,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기 위한 모드 복귀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장치.
27. The method of claim 26,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A mode return message for returning the preset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the eavesdropping detection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is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is transmitted to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Transmitting
Based mobile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관리부는,
수집되는 상기 차속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이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정지 중인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기 위한 모드 복귀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장치.
27. The method of claim 26,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A mode return message for returning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stopped for a preset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collected vehicle speed signal, To send
Based mobile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차량의 운전석 착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되는 착석 검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착석 검출 메시지가 수신될 때,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의 이동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되는 상기 이동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이 이동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이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의 모드를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기 위한 모드 전환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
Receiving a seating detection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a driver's seat seating detection of the vehicle and transmitted through a network;
Collecting movement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seating detection message is received;
Determining whether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is to be moved based on the movement information to be collected,
Generating a mode switching message for forcibly switching the mode of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moves, and transmitting the mode change message to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전석 이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는 이석 검출 메시지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될 때,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기 위한 모드 복귀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
30. The method of claim 29,
A mode return message for returning the preset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the eavesdropping detection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is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is transmitted to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Steps to transfer
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제 29 항에 있어서,
수집되는 상기 이동정보에 의거하여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의 이동이 없는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기 위한 모드 복귀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
30. The method of claim 29,
A mode return message for returning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movement of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based on the collected movement information, Transmitting to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제 29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31. A computer program for causing a processor to perform a mobile-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9 to 31.
제 29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31.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for enabling a processor to perform a mobile-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9 to 31.
차량의 운전석 착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되는 착석 검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와,
상기 착석 검출 메시지가 수신될 때,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의 이동정보를 수집하는 이동정보 수집부와,
수집되는 상기 이동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이 이동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말 모니터링부와,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이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의 모드를 통신 차단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기 위한 모드 전환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말 관리부
를 포함하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장치.
A messag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eating detection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driver's seat occupancy of the vehicle and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A movem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movement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seating detection message is received;
A terminal monitoring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moves based on the movement information collected;
And a mode switching message for forcibly switching the mode of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cut-off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moves, and transmitting the mode change message to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Based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관리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석 이석 감지에 따라 발생되는 이석 검출 메시지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될 때,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기 위한 모드 복귀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장치.
35. The method of claim 34,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A mode return message for returning the preset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the eavesdropping detection messag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is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is transmitted to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Transmitting
Based mobile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관리부는,
수집되는 상기 이동정보에 의거하여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의 이동이 없는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을 통신 모드로 복귀시키기 위한 모드 복귀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이동 기반의 단말 통신 제어 장치.
35. The method of claim 34,
The terminal management unit,
A mode return message for returning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movement of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based on the collected movement information, To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mobile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KR1020170075676A 2017-06-15 2017-06-1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of terminal based on motion KR2017007706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676A KR20170077068A (en) 2017-06-15 2017-06-1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of terminal based on mo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676A KR20170077068A (en) 2017-06-15 2017-06-1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of terminal based on mo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068A true KR20170077068A (en) 2017-07-05

Family

ID=59352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676A KR20170077068A (en) 2017-06-15 2017-06-1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of terminal based on mo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7068A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465B1 (en) * 2010-02-01 2010-08-02 박상준 Method and device for prohibiting use of text message in mobile terminal on driving
KR20110040280A (en) * 2009-10-14 2011-04-20 조동혁 The method or service for prohibiting sms of handphone in driving
KR20110050275A (en) * 2009-11-06 2011-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Op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phone associated with a car
KR20120049925A (en) * 2009-08-27 2012-05-17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크.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particular user interface functions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 a vehicle
KR20150014498A (en) * 2012-11-12 2015-02-06 시아오미 아이엔씨. Mobile terminal standby method and device
KR20150085009A (en) * 2012-11-12 2015-07-22 윌프레드 루딕 Intra-vehicular mobile device management
JP2015134556A (en) * 2014-01-17 2015-07-27 船井電機株式会社 On-vehicle apparatus and method of suppressing operation in the same
KR20150086875A (en) * 2014-01-21 2015-07-29 정재락 Device for restricting function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9925A (en) * 2009-08-27 2012-05-17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크.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particular user interface functions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 a vehicle
KR20110040280A (en) * 2009-10-14 2011-04-20 조동혁 The method or service for prohibiting sms of handphone in driving
KR20110050275A (en) * 2009-11-06 2011-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Op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phone associated with a car
KR100973465B1 (en) * 2010-02-01 2010-08-02 박상준 Method and device for prohibiting use of text message in mobile terminal on driving
KR20150014498A (en) * 2012-11-12 2015-02-06 시아오미 아이엔씨. Mobile terminal standby method and device
KR20150085009A (en) * 2012-11-12 2015-07-22 윌프레드 루딕 Intra-vehicular mobile device management
JP2015134556A (en) * 2014-01-17 2015-07-27 船井電機株式会社 On-vehicle apparatus and method of suppressing operation in the same
KR20150086875A (en) * 2014-01-21 2015-07-29 정재락 Device for restricting function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카달로그(iOS 11, 운전 중 아이폰 사용 제한 기능 추가, 2017.06.13)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9340B1 (en) Parking control method and parking control device
KR102027921B1 (en) Telematic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elematics service in the same
US8989820B2 (en) Method for suspend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ext messages and phone calls
CN108632347A (en) Use the collision detection of GNSS tachometric surveys and bus monitoring
CN106131790B (en) Control method of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JP4747125B2 (en) Mobile equipment
KR2015007522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f control service
WO2007097210A1 (en) Mobile object monitoring system and mobile object monitoring method
KR2014009670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getting on and off bus
CN109196566A (en) Transmit the auxiliary system and method for the data of accident or failure in relation to the vehicles
CN10704086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itiating urgent call using personal communicator
JP2018094983A (en) Flying device, reporting method and program
KR20120057684A (en) System and method to protect an accident of train
CN106165459B (en) Monitoring system
KR201700770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of terminal based on motion
JP2022053576A (en) Vehicle with automatic notification function
KR20090055139A (en) Safeguard area management system, safeguard equipment and managing method thereof
KR20140106338A (en) Noticing apparatus for motocycle accident and its method
KR101882476B1 (en) Emergency cal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emergency call system using this
KR101487208B1 (en)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message using push method and device using the same
KR20170075302A (en) Bus stop button control system using smart device
KR101293881B1 (en) System for transferring rescue message, and a method for transferring rescue messageusing the same
KR20190009008A (en) Safety accident detection apparatus in vehicle and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JP4479634B2 (en) School bus communication system
CN204087300U (en) Drive recor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