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0275A - Op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phone associated with a car - Google Patents

Op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phone associated with a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0275A
KR20110050275A KR1020090107182A KR20090107182A KR20110050275A KR 20110050275 A KR20110050275 A KR 20110050275A KR 1020090107182 A KR1020090107182 A KR 1020090107182A KR 20090107182 A KR20090107182 A KR 20090107182A KR 20110050275 A KR20110050275 A KR 20110050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oving speed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1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7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0275A/en
Publication of KR20110050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2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52Determining velo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n operating method of a vehicle relat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o realize a intellectu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thinks a safety of a user. CONSTITUTION: A first terminal receive s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information from a GPS receiver if a call is received(S310, S320). If a moving speed exceeds a setting value, the first terminal enters an auto response mode(S330, S350). The first terminal outputs a recorded auto response message. Therefore, the first terminal performs simple receiving denial if a denial of reception is set. The first terminal informs receiving according to a call if a moving speed exceeds the setting value.

Description

차량 관련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시스템{Op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phone associated with a car}Op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rel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속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기능을 제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차량 관련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that supports starting of a vehicle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upports to limit user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moving spee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 중에 타 이동통신 단말기 소지자와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며, 다양한 사용자 기능 예를 들면 음악 재생 기능, 파일 검색 기능, 카메라 기능, 게임 기능 등을 지원하고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s a communication function with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lder while moving, and supports various user functions such as a music play function, a file search function, a camera function, and a game function.

한편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동하면서도 사용하게 되는데, 특히 차량 운행 중에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기능을 이용하는 사례가 많다. 그런데 이러한 차량 운행 간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은 집중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발생시키는 큰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차량 운행 간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을 제한할 수 있는 방법의 제안이 요구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ser moves whil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there are many cases of us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ven while driving. However, the us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between vehicles is emerging as a big factor in generating safety accidents by dispersing concentration.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method of limiting the u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tween vehicle operations.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기반으로 차량이 운행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속도를 기반으로 사용의 제한을 둘 수 있는 차량 관련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that can limit the use based on the mobile spee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vehicle is operated bas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정보들을 기반으로 차량 운행 중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을 억제할 수 있는 차량 관련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vehicle-rel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suppress the u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driving a vehicle based on simple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 관련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은 상기 차량 시동을 위한 시동데이터를 차량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차량 운행 중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속도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기능 제한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rel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ransmitting a start data for starting the vehicle to a vehicle, detecting a moving spee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driving the vehicle; And determining whether to limit a user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moving spee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 관련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 시스템은 시동데이터를 상기 차량에 전송하고 이동 속도를 검출하여 이동 속도에 따라 사용자 기능을 제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시동데이터를 전송받아 차량의 시동을 걸고 차량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차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operating system of a vehicle-rel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start data to the vehicle, detects a moving speed, and limits a user function according to the moving speed, and the starting data. The vehic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ehicle for starting the vehicle and transmitting the vehicle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차량 관련 이동통신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의 단순한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는 차원을 넘어서 사용자의 안전까지 생각하는 지능적 이동통신 단말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 영역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자가 운전 중 이동통신 단말로 인해서 위험을 유발할 수 있는 행동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생명과 안전을 지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rel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rating method and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n intellig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onsiders the safety of the user beyond the response of a simple user reques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 area can be expand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life and safety of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by preventing the behavior that may cause a risk due to the mobile terminal during the self-driving of the mobile terminal user.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that are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 of componen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will be omitted.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relative size or spacing dra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험 행동 유발 방지 시스템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에 대해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 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and 1B for a system for preventing dangerous behavio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통신부(105), 오디오 처리부(103), 입력부(102), 표시부(101), 저장부(104), 및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도 1a를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1A and 1B,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05, an audio processing unit 103, an input unit 102, a display unit 101, a storage unit 104,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100.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A.

상기 통신부(105)는 제어부(100) 제어 하에 통신을 위하여 설정된 채널을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외부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 등으로 무선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웹 서버(Web Server)와의 연동을 통한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에 관련된 제어 신호 등을 송수신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05)는 시동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이동통신을 위한 통신부 이외에 부가적인 통신부를 구비하며, 이는 BLUETOOTH, IRDA, 지그비, 등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모든 형태가 가능하다. 즉 통신부(105)는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한 통신 모듈, 차량 운행과 관련된 정보 송수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한 통신 모듈은 GSM 모듈, CDMA 모듈, WCDMA 모듈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 운행 관련 통신 모듈은 전술한 바와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이 될 수 있다. 통신부(105)는 차량(112)으로 시동데이터를 송신하고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차량으로부터 시동확인 데이터 또는 차량 ID를 수신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차량(112)은 상기 통신부(105)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차량(112)은 블루투스 모듈을 통신부로서 채용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05 wirelessly transmits user data to another exter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a channel set for communic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0, or content and interworking with an external web server. Transmits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unit 10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ditional communication unit in addition to the communication unit for mobile communication to transmit and receive the start data, which can be any form that supports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IRDA, Zigbee, etc. Do. 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105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for supporting a call function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driving a vehicle. The communication module for supporting the call function may be a GSM module, a CDMA module, a WCDMA module, or the like. The vehicle driving related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unit 105 transmits startup data to the vehicle 112 and receives startup confirmation data or vehicle ID from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started. To this end, the vehicle 112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exampl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which may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unit 105. For example, the vehicle 112 may employ a Bluetooth module as a communication unit.

상기 오디오 처리부(103)는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 를 통해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00)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오디오 처리부(103)는 음성/음향 데이터를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스피커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거나,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103)는 차량(112)으로부터 차량 상태정보 등을 수신하는 경우 차량의 시동여부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The audio processor 103 performs a function of playing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100 through a speaker 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such as a voice input from a microphone to the controller 100. That is, the audio processor 103 converts the voice / sound data into an audible sound through the speak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or converts an analog signal such as a voice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into a digital audio signal and then controls the controller 100. ) In particular, the audio processor 10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whether the vehicle is started through the speaker when receiving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112.

상기 입력부(102)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102)는 시동데이터를 직접 입력하기 위한 핫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02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keys and function keys for receiving numeric or character information and setting various functions. The function keys may include a direction key, a side key, and an accelerator key set for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In particular, the input unit 10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t key for directly inputting startup data.

상기 표시부(101)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기능 설정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01)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LCD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입력수단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01)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기 위한 메뉴 화면, 차량이 전송한 차량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은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전송한 시동데이터를 기반으로 차량이 시동가능한지에 대한 메시지, 시동 상태에 대한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01)는 외부로부터 발신 콜(통화 호)을 수신한 화면, 발신 콜을 수신거부하거나, 자동응답처리하거나, 착신전환하는 경우에 따른 정보 출력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01)는 외부로부터 메시지 수신 시, 현재 상태에 따라 메시지를 수신거부한 내용을 출력하는 화면, 메시지에 대한 수신알림을 수행하지 않은 이유를 출력하는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01)는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110) 상태에 따라 메시지 작성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화면, 메뉴 화면 진입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01 displays various menu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user data input by the user, function setting information, or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The display unit 101 may be form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When the LCD is form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01 may be included in an input means. In particular, the display unit 1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utput a menu screen for starting the vehicle and a screen for outputting vehicl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vehicl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e screen for outputting the vehicle information may include a message about whether the vehicle can be started, a message about a starting state, and the like based on the start data transmit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01 may output a screen for receiving an outgoing call (call call) from the outside, an information output screen for rejecting the outgoing call, automatically answering the call, or transferring the incoming call.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01 may output a screen for outputting the rejection of the message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e, a screen for outputting the reason for not receiving the message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e when receiving the message from the outside. The display unit 101 may output a screen indicating that a message cannot be created, a screen indicating that a menu screen cannot be entered, etc.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상기 저장부(104)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외부 웹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는 콘텐츠,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104)는 소정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04)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04)는 시동데이터를 통해 컨트롤 할 수 있는 차량의 정보를 저장 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정보는 시동데이터를 수신한 차량이 그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한 차량 정보와 비교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 사용자가 운행할 수 있는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이용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04 stores application programs necessary for the functiona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content downloaded from an external web server, user data generated by the user, and the like. The storage unit 104 may include one or more buffers for temporarily storing user data generated while execut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program. The storage unit 104 may largely include a program area and a data area.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10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tore the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at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start data. The vehicle information may be used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that has received the starting data is a vehicle that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can operate in comparison with the vehicle information transmitted in response thereto.

상기 GPS 모듈(106)은 지속적으로 GPS 정보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상기 GPS 모듈(106)이 수신한 GPS 정보는 제어부(100)에서 처리되어 현재 위치 및 사용자의 속도를 기록하고 관련 정보 분석에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GPS 모듈(106)은 차량의 속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제어부(100)로 제공하고, 제어부(100) 를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동작 제어가 가능하게 해준다.The GPS module 106 is a module for continuously receiving GPS information. The GPS information received by the GPS module 106 may be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00 to record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speed of the user and to be used for analyzing related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GPS module 106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ly monitors the speed of the vehicle, provides the control unit 100, and enables operation contro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rough the control unit 100.

상기 제어부(100)는 자동차 시동 제어 모듈의 활성화를 제어하고, 통신부(105)에 포함된 특정 통신 모듈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시동을 걸 수 있는 시동데이터를 차량(112)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GPS 모듈(106)이 수신한 GPS 정보를 처리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이동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 기능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00)는 AGENT(11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00)에 포함되는 AGENT(117) 구성에 대하여 도 1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activation of the vehicle starting control module and supplies the starting data for starting the vehicle to the vehicle 112 using a specific communication module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105, for exampl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Can be controlled to transmit. The controller 100 processes the GPS information received by the GPS module 106 to analyz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nd activates the user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ccording to the result. Can be controlled.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00 may include an AGENT 117. The configuration of the AGENT 117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B.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AGENT(117)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1B shows an AGENT 117 configu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AGENT(117)는 GPS 정보 모듈(GPS Information module)(113), 제어 모듈(Control module)(114), 제어 정보 저장소(116) 및 자동차 시동 제어 모듈(115)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B, the AGENT 117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PS information module 113, a control module 114, a control information store 116, and a vehicle starting control module 115. It may include.

상기 GPS 정보 모듈(113)은 GPS 모듈(106)이 지속적으로 GPS 수신단(111)으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GPS 정보를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GPS 정보 모듈(113)은 처리된 GPS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사용자가 어떠한 속도로 이동 중인지를 기록하며, 관련 정보 분석을 수행한다.The GPS information module 113 processes the received GPS information when the GPS module 106 continuously receives the GPS information from the GPS receiver 111. The GPS information module 113 records at what speed the user is currently moving based on the processed GPS information, and performs related information analysis.

상기 자동차 시동 제어 모듈(115)은 자동차에 시동을 걸도록 제어하는 모듈이다. 이러한 자동차 시동 제어 모듈(115)은 사용자 메뉴를 통하여 차량 시동을 걸기 위한 항목을 선택하거나, 기 설정된 핫 키를 운용하여 차량 시동을 걸기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시동데이터를 차량(112)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즉 자동차 시동 제어 모듈(115)은 입력 신호에 따라 저장부(104)에 저장된 시동데이터를 통신부(105)를 통하여 차량(112)에 전송되도록 제어한다.The vehicle starting control module 115 is a module for controlling to start a vehicle. When the vehicle start control module 115 selects an item for starting the vehicle through a user menu or generates an input signal for starting the vehicle by operating a preset hot key, the vehicle start control module 115 may display the corresponding start data for the vehicle ( 112). In other words, the vehicle start control module 115 controls the start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4 to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112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5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상기 제어 정보 저장소(116)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이동 속도에 대한 참조값을 저장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 정보 저장소(116)는 이동통신 단말기(110) 사용 제한을 위한 설정값을 저장한다. 상기 설정값은 예를 들면 60Km/h와 같은 속도 값이 될 수 있으며, 설계자의 의도나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The control information store 116 is configured to store a reference value for the moving spee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e control information storage 116 stores setting values for limiting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e set value may be, for example, a speed value such as 60 km / h, and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designer or the intention of the user.

상기 제어 모듈(114)은 사용자가 자가 운전 중에 전화통화를 하거나 메시지 확인을 하거나 메시지 작성을 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이용한 위험 유발 행동을 하려고 할 때 이를 제어하는 모듈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 모듈(114)은 이동통신 단말기(110) 사용 제약이 있는 경우와 이동통신 단말기(110) 사용 제약이 없는 경우로 각각 나누어 판단하고, 각 경우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10) 사용 가능 또는 사용 억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 모듈(114)은 이동 속도에 따라 통화 걸기 또는 통화 수신을 포함하는 통화 기능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메시지 작성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할 경우 메시지 작성 기능을 비활성화하도록 억제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14 is a module for controlling when a user makes a phone call, checks a message, writes a message, or tries to cause a risk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while driving. In more detail, the control module 114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has a use restric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has no use restriction, and determin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each case. 110) can be used or inhibited use. That is, the control module 114 may suppress a call function including making a call or receiving a call according to the moving speed, and may suppress the message writing function to be deactivated when an input signal for writing a message occurs.

우선 이동통신 단말기(110) 사용의 제약이 있는 경우는 사용자가 운전 중 위험을 유발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기능을 사용하려고 하는 경우로 볼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있는 자동차 시동기능을 이용 하여 자동차에 시동을 걸게 되면 자동차 시동 제어 모듈(114)은 이를 감지하여 제어 모듈(114)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114)은 이동통신 단말기(110) 사용자가 자가 운전을 시작한다는 정보를 인지하게 된다. 한편 GPS 정보 모듈(113)은 주기적으로 GPS 수신단(111)으로부터 수신된 GPS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110) 사용자가 어떤 속도로 이동 중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동 속도 계산은 일정 시간 간격에서 이전 GPS 정보로부터 얻은 위치 값과 현재 GPS 정보로부터 얻은 위치 값의 차이로 계산하며, 이렇게 매번 계산된 값을 평균값에 반영한다. GPS 정보를 이용 할 수 없는 경우에는 기지국에서 받은 위치값을 이용해서 이동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통신부(105)를 기반으로 일정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기지국뿐만 아니라 중계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도 있다. 상기 제어 모듈(114)은 차량(112)의 이동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기지국 정보의 변화 또는 중계기로부터 수신되는 중계기 정보의 변화를 통하여 차량의 이동 속도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이동 속도를 연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 모듈(114)은 각 기지국의 위치 정보와 기지국 간 거리 정보, 중계기의 위치 정보와 중계기 간 거리 정보 등을 저장부(104)에 기 저장할 수 있다.First, when there is a restriction on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e user may be considered to use a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at may cause a danger while driving. Then, when the user starts the car by using the vehicle starting func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e vehicle starting control module 114 detects this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control module 114. Accordingly, the control module 114 recognizes the information that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starts self-driving. Meanwhile, the GPS information module 113 periodically determines the speed at which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moving by using the GP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PS receiver 111. The moving speed calculation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 value obtained from the previous GPS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value obtained from the current GPS inform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reflects the calculated value every time in the average value. If GPS information is not available, the moving speed can be calculated using the location value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In more detai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may receive base station information from a predetermined base station based on the communication unit 105.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repeater as well as the base station. The control module 114 calculates the moving speed of the vehicle or the moving spee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rough the change of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or the change of the repeat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peat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vehicle 112. can do. To this end, the control module 114 may sto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base statio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base stations, location information of a repeater,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repeaters, and the like in the storage unit 104.

이렇게 수집된 GPS 정보 및 속도 정보는 주기적으로 제어 모듈(114) 로 보고된다. 이때 사용자가 위험을 유발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기능 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 입력, 전화 걸기/받기, 전화번호 찾기, 다이어리 입력 등 을 사용하려고 하면, 제어 모듈(114) 은 자동차 시동 제어 모듈(115)로부터 입력 받은 정 보를 분석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시동데이터를 차량(112)에 전송한 정보가 존재하면 사용자가 자동차를 자가 운전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차량(112) 운전을 인지하면 제어 모듈(114)은 GPS 정보 모듈(113) 로부터 받은 정보를 분석한다. 즉 제어 모듈(114) 은 GPS 정보 모듈(113) 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평균 이동 속도를 검사한 후 평균 속도가 기 설정된 설정값에 비하여 낮은지 여부를 확인하고, 설정값에 비하여 현저히 낮다고 판단된 경우 정상처리 한다. 이때 속도가 현저히 낮다라고 판단하는 기준은 제어 정보 저장소(116)에 있는 설정값을 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어 법규나 이동통신 사업자가 평균 이동 속도 60Km/h 이하일 때만 속도가 설정값보다 낮다고 판단하고 미만일 때는 현저히 낮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제어 정보 저장소(116)에 저장된 설정값을 기준으로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이동 속도가 설정값을 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지 않도록 억제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이동 속도가 설정값 이하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때 설정값은 다양하게 설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위험을 유발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에 대하여 설정값을 각기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10) 설계자 또는 사용자는 통화 걸기 기능에 대한 설정값을 60km/h로 설정할 수 있으며, 메시지 수신 확인 기능에 대한 설정값을 30km/h로 설정할 수 있으며, 메시지 작성 기능에 대한 설정값을 10km/h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값 조정은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조정하지 않도록 설계될 수 도 있다.The GPS information and speed information thus collected are periodically reported to the control module 114. At this time, if the user attempts to use a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at may cause a danger, for example, inputting a text message, making / receiving a call, finding a phone number, or entering a diary, the control module 114 controls the vehicle starti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dule 115 is analyzed. In this case, if there i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tart-up data to the vehicle 112 b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t may be recognized that the user is driving the car by itself. Recogniz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112, the control module 114 analyze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PS information module 113. That is, the control module 114 checks whether the average speed is lower than the preset value after checking the average moving speed of the user stored in the GPS information module 113, and determines that the average speed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preset value. In case of normal processing.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that the speed is remarkably low is based on the setting value in the control information store 116. For example, a law or a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may determine that the speed is lower than the set value only when the average moving speed is less than 60Km / h, and that it is significantly lower when it is less than.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suppresses activation of the user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exceeds the setting value based on the setting value stored in the control information storage 116. .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ctivating a user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less than or equal to a set value. At this time, the set value can be set in various ways. Accordingly, setting values may be set differently for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which may cause a danger. In more detai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designer or user can set the setting value for the call dialing function to 60km / h, the setting value for the message reception confirmation function can be set to 30km / h, messages The setting value for the creation function can be set to 10 km / h. This setpoint adjustment may be designed so that it is not substantially adjusted by the user.

다음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10) 사용의 제약이 없는 경우는 사용자가 자가 운전 중에 있지 않은 경우로 볼 수 있다.Next, when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may be regarded as a case in which the user is not in a self driving.

사용자가 위험을 유발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기능을 사용하려고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조작하면, 사용자가 요청한 기능을 수행하기 전에 제어 모듈(114)에서 현재 사용자가 자가 운전 중인지를 확인한다. 이러한 확인은 자동차 시동 제어 모듈(115)로부터 받은 정보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시동이 본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걸려진 것이 아닐 경우, 제어 모듈(114)은 현재 사용자가 운전 중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요청한 기능을 처리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제어한다.When a user operates the mobile terminal 110 to use a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10 that may cause a danger, the control module 114 checks whether the user is currently operating by himself before performing the function requested by the user. do. This confirmation is determined by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start control module 115.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is not star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e control module 114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s not currently driving, and perform the function requested by the user to process the function requested by the user. 110).

한편 차량(112)은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시동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시동데이터를 기반으로 차량의 시동을 건다. 그리고 상기 차량(112)은 차량의 상태 정보 예를 들면 시동이 걸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차량(112)은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자동차 시동 제어 모듈(115)을 이용하여 차량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vehicle 112 receives the startup data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e vehicle 112 starts the vehicle based on the received startup data. In addition, the vehicle 112 may transmit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is star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o this end, the vehicle 112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may receive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using the vehicle starting control module 115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ler 100.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동작을 도 1a, 도 1b,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S210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차량(112)으로 시동데이터를 송신한다. S250단계에서 차량(112)은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시동데이터를 수신하고 시동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량의 시동을 건다. 이후 S260단계에서 차량(112)은 차량(112)의 상태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송신한다. 이로써 차량(112)과 이동통신 단말기(110)간 통신(COMMUNICATION)이 종료가 되면 이 후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동작은 이동통신 단말기(110) 내부의 AGENT(117)에 의해 동작된다. S220 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차량(112)으로부터 차량(112) 상태정보를 수신 받아 이를 분석하여 자신이 송신한 시동데이터에 의한 차량인지 분석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A, 1B, and 2. Referring to FIG. 2, in step S21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ransmits start data to the vehicle 112. In operation S250, the vehicle 112 receives starting data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nd analyzes the starting data to start the vehicle. Thereafter, the vehicle 112 transmit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112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 step S260. Thus the vehicle 112 and the mobile terminal 110 communications (COMMUNICATION) is the behavior of this aft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when the end is operated by the AGENT (117) with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 operation S22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receives the vehicle 112 state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112 and analyzes it to analyze whether the vehicle is started by the start data transmitted by the vehicle 112.

그리고 S230 단계에서 정보분석이 일치하는 경우 S240 단계로 진입한다. 그리고 S230 단계에서 정보분석이 일치하는 않는 경우, 차량(112)이 일치되는 않음을 알람하고, 차량 시동 걸기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If the information analysis is identical in step S230,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40. When the information analysis does not match at step S230, the vehicle 112 may be alarmed and the vehicle starting operation may be terminated.

한편, S230 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 내부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시동데이터를 이용하여 시동 가능한 차량(112)의 리스트가 등록 되어 있으며 차량(112)의 상태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10) 내부의 리스트와 비교 분석결과 차량(112)이 이동통신 단말기(11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차량(112) 정보와 일치할 경우 S240 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차량을 운전 중임을 인식하게 된다. Meanwhile, in step S230, a list of vehicles 112 that can be started using the startup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registe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nd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112 is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 When the vehicle 112 matches the information of the vehicle 112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with the internal list,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recognizes that the user is driving the vehicle in step S240. do.

이하 도 3을 중심으로 운전 중 다른 제2단말로부터 시동을 건 제1단말로 INCOMING CALL이 오는 상황을 확인해 본다. 설명에 앞서 이하 설명에서 시동데이터를 차량에 전송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제1단말로, 제1단말에 CALL을 발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제2단말로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ituation in which the INCOMING CALL comes to the first terminal that is started from another second terminal during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Prior to the descrip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ransmitting the start data to the vehicle is referred to as a first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ransmitting a CALL to the first terminal is referred to as a second terminal. .

S380 단계에서 제2단말이 CALL을 제1단말로 발신하면, 자동차 시동 제어 모 듈(115)을 이용하여 시동을 건 제1단말은 S310 단계에서 CALL을 수신한다. CALL이 수신되면, S320 단계에서 제1단말은 주기적으로 혹은 CALL 수신과 동시에 이벤트를 발생하여 GPS 수신단(111)으로부터 GPS정보를 수신하고, 제1단말의 이동속도를 감지한다. GPS 정보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기지국에서 받은 위치 값을 이용하여 이동속도를 계산 할 수 있다. S330 단계에서 제1단말은 습득한 속도가 설정값(ex) 60km)을 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330 단계에서 CALL 수신시 속도가 설정값을 넘은 경우 자동응답으로 빠지도록 세팅 되어 있다면 제1단말은 S350 단계로 진입하여 자동응답 모드로 진입하여 이미 녹음된 자동응답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terminal sends a CALL to the first terminal in step S380, the first terminal that is started using the vehicle start control module 115 receives the CALL in step S310. When the CALL is received, in step S320, the first terminal generates an event periodically or simultaneously with the reception of the CALL to receive GPS information from the GPS receiver 111 and detects the movement speed of the first terminal. If GPS information is not available, the moving speed can be calculated using the location value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In step S330, the first terminal checks whether the acquired speed exceeds a set value (ex 60 km). If the speed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call exceeds the set value in step S330 is set to fall out as an automatic response, the first terminal may enter the step S350 to enter the auto-response mode to control to output the already recorded auto-response message.

한편 제1단말은 350 단계에서 CALL 수신시 속도가 설정값을 넘는 경우 지정된 번호로 착신전환 되도록 세팅이 되어 있는 경우 기존에 저장된 번호로 착신전환 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1단말은 S350 단계에서 CALL 수신시 속도가 설정값을 넘는 경우 단순히 수신거부를 하도록 세팅이 되어 있는 경우 단말에 전화 왔음을 알리지 않고 단순 수신 거부를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terminal controls to forward the call to the previously stored number if the call is set to be forwarded to the designated number when the speed exceeds the set value when receiving the CALL in step 350. In addition, the first terminal, if it is set to simply reject the call when the speed exceeds the set value when receiving the CALL in step S350 and performs a simple rejection without notifying the terminal that the call.

상기 S330 단계에서 속도가 설정값을 넘지 않는 경우, 제1단말은 S360 단계에서 CALL 수신에 따른 수신알림을 수행한다. 즉 제1단말은 설정에 따라 램프, 진동이나 벨소리 출력 등을 제어할 수 있다.If the speed does not exceed the set value in step S330, the first terminal performs a reception notification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CALL in step S360. That is, the first terminal can control the lamp, vibration or ring tone output according to the setting.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문자메시지 작성 또는 문자메시지 수신 상태를 예로 들 수 있다. 차량정보 데이터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GPS데이터 또는 기지국 데이터를 확인하여 차량(112)이 운행 중임을 확인한 단계에서는 문자메시지 작성 모드 또는 문자메시지 확인 모드 진입을 하지 못하도록 단말의 사용을 제한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text message creation or text message reception state. In the step of confirming that the vehicle 112 is in operation by checking the GPS data or the base station data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at receives the vehicle information data, the use of the terminal is restricted so as not to enter the text message writing mode or the text message checking mode. do.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단말은 상기 차량이 운행 중이라 판단하는 경우, 메시지 수신 시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수신알림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단말은 상기 차량이 운행 중이라 판단하는 경우, 운전 중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메시지 작성이 불가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기능을 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단말은 상기 차량이 운행 중이라 판단하는 경우, 운전 중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메뉴진입이 불가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기능을 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단말은 수신된 GPS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운행이 중단됨을 판단하는 경우, 상기 이동속도에 따른 단말 제어 모드를 해제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대기(IDLE)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단말은 차량이 일시적으로 멈추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므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이동속도가 없는 경우 차량 운행이 중단된 것으로 판단할 수 도 있다.In more detail, when the first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in operation, the first terminal may control not to perform a reception notification for the received message when the message is received. In addition, when the first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in operation, the first terminal may control a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such that a mess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cannot be written while driving. When the first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in operation, the first terminal may control the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such that the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cannot be entered while driving. Meanwhile, when the first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driving of the vehicle is stopped based on the received GPS information, the first terminal releases the terminal control mode according to the moving speed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enters the idle mode. Can be controlled. In this case, since the vehicle may be temporarily stopped, the first terminal may determine that the vehicle is stopped when there is no moving speed for a preset time.

또한 상기 제1단말은 차량(112)이 전송하는 차량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운행이 중단된 것을 판단할 수 도 있으며, 그에 따라 기 설정된 단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차량(112)은 차량의 운행이 중단된 경우, 해당 상태에 따른 상태 정보를 제1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erminal may determine that the driving of the vehicle is stopped based on the vehicle stat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112, thereby controlling the preset terminal operation. To this end, when the vehicle 112 is stopped, the vehicle 112 may transmit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state to the first terminal.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서는 안되며 후술하 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equivalent scope of the claims.

도 1a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1A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b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1B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operatio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operatio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3)

차량 관련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vehicle-rel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차량 시동을 위한 시동데이터를 차량에 전송하는 과정과;Transmitting starting data for starting the vehicle to a vehicle; 상기 차량 운행 중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속도를 검출하는 과정과;Detecting a moving spee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driving the vehicl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기능 제한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련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Determining whether to limit a user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moving spee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 속도를 검출하는 과정은The process of detecting the moving speed GPS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Receiving GPS information; 상기 GPS 정보 변화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속도를 연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련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And calculating a moving spee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hange of the GPS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 속도를 검출하는 과정은The process of detecting the moving speed 상기 기지국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Receiving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상기 기지국 정보의 변화를 기반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속도를 연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련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And calculating a moving spee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change of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제 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한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restriction is 상기 이동 속도와 기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고 상기 이동 속도가 상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기능을 제한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련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And comparing the movement speed with a preset setting value and limiting a user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movement spe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ting value.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사용자 기능을 제한하는 과정은The process of limiting the user function is 통화 호 수신 시 수신된 통화 호에 대한 자동응답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과;Entering an automatic answering mode for a received call when receiving a call; 통화 호 수신 시 수신된 통화 호에 대한 착신전환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과;Entering a call forwarding mode for a received call when receiving a call; 통화 호 수신 시 수신된 통화 호에 대한 수신거부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련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Entering a reject mode for a received call when receiving a call; Operation method of a vehicle-rel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ny one of.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사용자 기능을 제한하는 과정은The process of limiting the user function is 메시지 수신 시, 메시지 수신알림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과정과;Controlling not to perform a message reception notification upon receiving a message; 메시지 작성 시 메시지 작성 기능을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련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Controlling the message creation function to be deactivated when the message is written; Operation method of a vehicle-rel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ny one of.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사용자 기능을 제한하는 과정은The process of limiting the user function is 메뉴 진입이 불가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련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rel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menu entry is impossible. 제 4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7, 상기 차량의 운행이 중단되는 경우, 대기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련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If the vehicle is stoppe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vehicle-rel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entering a standby mode. 차량 관련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 시스템에 있어서, In the operation system of the vehicle-rel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시동데이터를 상기 차량에 전송하고 이동 속도를 검출하여 이동 속도에 따라 사용자 기능을 제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transmits starting data to the vehicle and detects a moving speed to limit a user function according to the moving speed; 상기 시동데이터를 전송받아 차량의 시동을 걸고 차량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차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련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 시스템.And a vehicle configured to receive the start data, start the vehicle, and transmit vehicle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시동데이터를 상기 차량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와;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tarting data to the vehicle; 상기 이동 속도 검출을 위해 GPS 정보를 수신하는 GPS 모듈과;A GPS module for receiving GPS information for detecting the moving speed; 상기 이동 속도와 기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기능을 제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련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 시스템.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user function by limiting the user function by comparing the moving speed with a preset setting value.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수신된 GPS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 속도를 연산하는 GPS 정보 모듈과;A GPS information module for calculating a moving speed based on the received GPS information; 상기 시동데이터를 차량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자동차 시동 제어 모듈과;A vehicle starting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starting data to be transmitted to a vehicle; 상기 설정값을 저장하는 제어 정보 저장소와;A control information store for storing the set value; 상기 설정값과 이동 속도 비교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기능 제한을 수행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련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 시스템.And a control module for performing the user function limitation based on the comparison of the set value and the moving speed.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통화 호 수신 시 수신된 통화 호에 대하여 자동응답 모드, 착신전환 모드, 수신거부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고, 메시지 수신 시, 메시지 수신알림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며, 메시지 작성 시 메시지 작성 기능을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하고, 메뉴 진입이 불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련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 시스템. Controls to activate at least one of an auto answer mode, call forwarding mode, and reject mode on a received call when receiving a call, controls not to perform a message receiving notification when receiving a message, and composes a message when creating a message Control to deactivate, and to prevent the entry of the menu operating system of a vehicle-rel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차량의 운행이 중단되는 경우, 대기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련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 시스템.And when the driving of the vehicle is stopped, controlling to enter a standby mode.
KR1020090107182A 2009-11-06 2009-11-06 Op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phone associated with a car KR201100502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182A KR20110050275A (en) 2009-11-06 2009-11-06 Op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phone associated with a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182A KR20110050275A (en) 2009-11-06 2009-11-06 Op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phone associated with a c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275A true KR20110050275A (en) 2011-05-13

Family

ID=44361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182A KR20110050275A (en) 2009-11-06 2009-11-06 Op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phone associated with a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0275A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9288A (en) * 2011-10-11 2013-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 conveyance of notifications and/or alerys to a mobile terminal
KR20140038805A (en) * 2012-09-21 2014-03-3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pparatus for supporting safe driving and method for operating apparatus
WO2015006578A1 (en) * 2013-07-10 2015-01-15 Ciaran Hynes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the use of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20150086875A (en) * 2014-01-21 2015-07-29 정재락 Device for restricting function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WO2016145793A1 (en) * 2015-07-23 2016-09-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Driving mode switching method and device
KR20170077068A (en) * 2017-06-15 2017-07-05 박유빈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of terminal based on motion
CN107623773A (en) * 2016-07-14 2018-01-23 松本美司 Mobile terminal and the games and method for gaming performed on mobile terminals
US10484948B2 (en) 2012-11-12 2019-11-19 Xiaomi Inc. Mobile terminal standby method, device thereof, and medium
KR102148361B1 (en) * 2019-03-18 2020-08-26 노대훈 Safety accident prevention system for mobile terminals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9288A (en) * 2011-10-11 2013-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 conveyance of notifications and/or alerys to a mobile terminal
US10165107B2 (en) 2011-10-11 2018-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 conveyance of notifications and/or alerts to a mobile terminal
KR20140038805A (en) * 2012-09-21 2014-03-3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pparatus for supporting safe driving and method for operating apparatus
US10484948B2 (en) 2012-11-12 2019-11-19 Xiaomi Inc. Mobile terminal standby method, device thereof, and medium
WO2015006578A1 (en) * 2013-07-10 2015-01-15 Ciaran Hynes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the use of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20150086875A (en) * 2014-01-21 2015-07-29 정재락 Device for restricting function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WO2016145793A1 (en) * 2015-07-23 2016-09-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Driving mode switching method and device
CN107623773A (en) * 2016-07-14 2018-01-23 松本美司 Mobile terminal and the games and method for gaming performed on mobile terminals
CN107623773B (en) * 2016-07-14 2021-08-31 松本美司 Mobile terminal, game program and game method executed on mobile terminal
KR20170077068A (en) * 2017-06-15 2017-07-05 박유빈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of terminal based on motion
KR102148361B1 (en) * 2019-03-18 2020-08-26 노대훈 Safety accident prevention system for mobile termina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50275A (en) Op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phone associated with a car
US9680986B2 (en) Automatically disabling the on-screen keyboard of an electronic device in a vehicle
US20060052141A1 (en) Handsfree system and mobile phone
US10880708B1 (en) Early notification of driving status to a mobile device
US20130318168A1 (en) Vehicle-based social networks
JP2010192985A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O2011071210A1 (en) Method for mobile device to autonomously report emergency, and recording medium and system thereof
CN102857275A (e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9571631B1 (en) Mobile device lock-out system
US9241363B2 (e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ystem
JP2006303584A (en) On-vehicle receiver for receiving remote control command from mobile phone, program for on-vehicle receiver, mobile phone, and program for mobile phone
JP2016050964A (en) Reading control unit and telephone call control unit
US11546456B2 (en) Hands-free device, hands-free system, and data transfer method
JP2010263558A (en) Mail operation apparatus wit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KR100608773B1 (en) Response mode control method for mobile station
US20230122465A1 (en) Vehicle hands-free call connection system
JP4161908B2 (en) Mobile phone, hands-free device, and hands-free system
KR20160029913A (en) Method for receiving call while using navig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5286553A (en) Hands-free speech unit and control method
JP2006238090A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mode switching method therefor
EP27729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Control Of A Mobile Device
KR2022008182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media of vehicle
JP4355275B2 (e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12048713A (en) Mail handling apparatus with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JP4039166B2 (en) Emergency cal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