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440A - Air-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6440A
KR20170076440A KR1020150186704A KR20150186704A KR20170076440A KR 20170076440 A KR20170076440 A KR 20170076440A KR 1020150186704 A KR1020150186704 A KR 1020150186704A KR 20150186704 A KR20150186704 A KR 20150186704A KR 20170076440 A KR20170076440 A KR 20170076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blowing
front frame
rea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7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승대
허동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50186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6440A/en
Publication of KR20170076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44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1/007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2001/00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공기조화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전후로 관통된 흡입구를 형성하는 후면커버부와,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부와, 실내열환부의 전측에 구비되어 흡입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부와, 후면커버부와 결합되고, 토출구가 형성되는 전면프레임부와, 전면프레임부에 구비되어 송풍부에서 토출되는 공기 송풍방향을 조절하는 송풍방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vention relating to an air conditioner is disclosed. The disclosed air conditioner includes: a rear cover portion forming an inlet port penetrating front and rear; an indoor heat exchanging portion exchanging heat between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port; a blowing portion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 portion to blow the inhaled air; A front frame part coupled to the cover part and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and a blowing direction adjusting part provided in the front frame part to adjust an air blowing direction discharged from the blowing part.

Figure P1020150186704
Figure P1020150186704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CONDITIONER}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흡입구조, 냉난방구조 및 공기토출구조를 직렬로 배치하고, 블레이드 형상 및 블레이드의 개폐방식을 개선하여 개폐시 입체적인 미감을 제공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n air suction structure, a cooling / heating structure and an air discharge structure are arranged in series and a blade shape and a blade opening /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실내열교한기)를 통과하는 냉매의 흐름을 이용하여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의 정화를 수행하는 냉난방 장치로서, 공기조화기는 설치 형태에 따라 거실 등에 스탠드방식으로 설치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와, 벽체에 걸어 사용하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와, 천장에 매립 설치되는 천정형 공기조화기를 포함한다.[0002] Generally, an air conditioner is an air conditioner that performs cooling and heating by using a flow of a refrigerant passing through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d an evaporator (indoor heat exchanger) A stand type air conditioner installed in a stand manner, a wall-mounted type air conditioner used for hanging on a wall, and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embedded in a ceiling.

이 중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는 본체가 수직으로 서 있는 상태에서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필요한 냉기 또는 온기를 토출구를 통해 실내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의 본체의 하부에는 실내로부터 더운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하부 또는 측부에 구비되어 외부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송풍팬을 이용하여 상측으로 이송하고 실내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이동경로를 전환하여 본체의 전면으로 토출한다.The stand-typ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with the main body standing vertically, and is configured to supply necessary cool air or warmth 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por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stand-type air conditioner, a suction port for sucking hot outside air from the room is provided on the lower or side portion to suck the outside air, and the sucked air is transferred to the upper side using a blowing fan, The air is guid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by switching the movement path.

그리고,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에 사용되는 블레이드는 다수개의 수평블레이드와 다수개의 수직블레이드를 순차 배치하여 공기 송풍방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blades used in the stand-type air conditioner are configured to sequentially arrange a plurality of horizontal blades and a plurality of vertical blades to determine an air blowing direction.

그런데, 기존의 공기조화기는 본체 하부의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실내열교환기에서 열교환하여 송풍방향을 전측으로 전환하여 토출구로 토출하므로 본체 내부를 이동하는 공기의 이동경로가 길어지고 공기 저항을 많이 받아 토출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exchanges heat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by mov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port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to the upper side and discharges the air to the discharge port by switching the air blowing direction forwar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oil resistance is lowered due to a large amount of air resistance.

또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수직 블레이드 및 수평 블레이드가 전체적으로 같은 각도로 동작하므로 송풍방향의 범위가 제한되고, 블레이드의 단면 형상이 평면으로 형성되므로 송풍되는 바람이 부드럽지 못하고 외관상 미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vertical blades and the horizontal blades that adjust the direction of the air to be discharged operate at the same angle as a whole, the range of the blowing direction is limited, and the sectional shape of the blades is formed in a flat shape. Therefore, wind blowing is not smooth, .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8309호(발명의 명칭: 공기조화기, 등록일: 2013.01.25))가 제시되어 있다.BACKGROUND ART [0002]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28309 entitled Air Conditioner, Registered on Feb. 31, 20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공기흡입구조, 냉난방구조 및 공기토출구조를 직렬로 배치하고, 블레이드 형상과 블레이드 개폐방식을 개선하여 개폐시 입체적인 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needs, and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suction structure, a cooling / heating structure and an air discharge structure arranged in series, and improving the blade shape and blade opening / closing manner to provide three-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전후로 관통된 흡입구를 형성하는 후면커버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부; 상기 실내열환부의 전측에 구비되어 흡입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부; 상기 후면커버부와 결합되고, 토출구가 형성되는 전면프레임부; 및 상기 전면프레임부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부에서 토출되는 공기 송풍방향을 조절하는 송풍방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rear cover part forming a suction port penetrating front and back; An indoor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with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A blowing unit provided at a front 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 unit to blow the inhaled air; A front frame part coupled to the rear cover part and having a discharge port; And a blowing direction adjusting unit provided in the front frame unit to adjust an air blowing direction of the air blown out from the air blowing unit.

또한, 상기 후면커버부의 측면에는 필터부가 슬라이드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filter unit is inserted into the side surface of the rear cover unit.

또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후면커버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삽입부; 상기 제1삽입부의 하부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후면커버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삽입부; 상기 제1삽입부에 삽입 설치되는 제1필터부재; 및 상기 제2삽입구에 삽입 설치되는 제2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lter unit may include: a first insert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rear cover; A second insert disposed adjacent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insert and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rear cover; A first filter member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portion; And a second filter member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port.

또한, 상기 실내열교환부는 설치부에 의해 상기 후면커버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door heat exchanger is provided on the rear cover part by an installation part.

또한, 상기 설치부는, 상기 후면커버부의 형성되는 보스부; 상기 보스부에 접촉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실내열교환부에 구비되는 지지브라켓; 및 상기 지지브라켓의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보스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boss portion formed in the rear cover portion; A support bracket provid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having a hole to be in contact with the boss portion; And a fasten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hole of the support bracket and fastened to the boss portion.

또한, 상기 송풍부는, 송풍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모터를 고정하고, 상기 송풍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그릴부재를 구비하는 팬가드프레임; 및 상기 팬가드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송풍팬의 둘레 측에서 토출 공기를 안내하는 블로워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lowing unit may include: a blowing fan that is rotated by a blowing motor; A fan guard frame having a grill member fixing the blowing motor and guiding air discharged from the blowing fan; And a blower housing coupled to the fan guard frame and guiding discharged air on a circumferential side of the blower fan.

또한, 상기 전면프레임부의 하측에는 은은한 조명이 비춰지는 무드조명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mood illuminating unit for illuminating the soft illumination is provided below the front frame unit.

또한, 상기 송풍방향조절부는, 상기 전면프레임부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부에서 토출되는 바람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상하조절부; 및 상기 전면프레임부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부에서 토출되는 바람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좌우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lowing direction adjusting unit may include: a vertical adjusting unit provided in the front frame unit and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upward and downward, which is discharged from the blowing unit; And a left and right regulating unit provided on the front frame unit to adjust a wind direction to be horizontally ejected from the blowing unit.

또한, 상기 상하조절부는, 상기 전면프레임부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회동하는 다수개의 수평블레이드; 상기 전면프레임부에 구비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피니언기어부에 랙기어부가 치합되어 상기 전면프레임부에서 상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블록; 및 상기 이동블록의 길이방향 이동을 상기 수평블레이드의 회전작동으로 전환하는 동작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ertical adjustment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rizontal blades arranged horizontally and rotating in the front frame part; A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front frame unit to generate power; A movable block engaged with a pinion gear portion of the driving portion and moving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front frame portion; And an operation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moving block to a rotating operation of the horizontal blade.

또한, 상기 좌우조절부는, 상기 전면프레임부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회동하는 다수개의 수직블레이드; 상기 전면프레임부에 설치되고 구동하는 동력부; 및 상기 동력부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수직블레이드를 회동시키는 회동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ft and right regulat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vertical blades arranged vertically to the front frame unit and rotating; A power unit installed in and driving the front frame unit; And a rotating operation unit that slides by the power unit and rotates the vertical blade.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흡입구조, 냉난방구조 및 공기토출구조를 직렬로 배치하므로 공기 이동경로를 줄여 토출력을 높이고, 블레이드 형상과 블레이드 개폐방식을 개선하여 개폐시 입체적인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air movement path by increasing the output of the air by arranging the air suction structure, the cooling / heating structure and the air discharging structure in series and improving the blade shape and blade opening / have.

또한, 본 발명은 필터부를 후면커버의 측면에서 수납하도록 구상하므로 교체 작압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lter unit is configured to house the filter unit on the side of the rear cover, the replacement pressure can be simplified.

또한, 본 발명은 전면프레임부 하부에 무드조명부를 설치하므로 사용자에게 은은하고 고급스러우며 부드러운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ild, luxurious and soft feeling to the user by providing the mood lighting unit under the front frame part.

또한, 본 발명은 실내열환부를 설치부를 이용하여 후면커버부에 수직으로 배치하여 설치하므로 설치공간을 줄이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vertically to the rear cover portion using the installation portion, the installation space can be reduced and the assembling propert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송풍팬, 팬가드프레임 및 블로워하우징을 일체화하여 후면커버부에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ing fan, the fan guard frame, and the blower housing can be integrated to easily assemble the rear cover unit.

또한, 본 발명은 송풍방향조절부를 전면프레임부에 일체로 조립하므로 검팩트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a blowing direction adjusting unit is integrally assembled to the front frame unit, thereby providing a searched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수평블레이드를 동작전환부를 이용하여 직진동작을 회전동작으로 전환하여 수평블레이드를 간편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blade can be easily rotated by switching the straight forward operation to the rotary operation using the operation switching unit.

또한, 본 발명은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블레이드와 하측블레이드의 회동방향을 반대로 형성하고, 송풍각도를 상하측으로 갈수혹 다르게 형성하므로 수평블레이드 개폐시 웨이브 형태로 개폐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verses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upper blade and the lower bla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and opens / closes in the form of a wave when the horizontal blade is opened / closed because the airflow angle is formed upward or downward.

또한, 본 발명은 수평블레이드에 굴곡돌부와 굴곡홈부를 반복 형성하므로 공기 흐름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urved protruding portion and the curved groove are repeatedly formed in the horizontal blade, the air flow can be smooth.

또한, 본 발명은 상측에 배치된 제1수평블레이드군과 하측에 배치된 제2수평블레이드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부를 이용하여 온/오프하므로 공기 토출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horizontal blade group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second horizontal blade group disposed on the lower side is turned on / off using the control unit, so that air discharge can be independently controlled.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동력부를 기준으로 한 쌍의 슬라이드블록을 상하로 배치하고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좌측의 수직블레이드와 우측의 수직블레이드를 각각 반대로 이동하여 토출 공기를 벌려주거나 오므려 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air of slide blocks are arrang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one power unit and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vertical blade on the left side and the vertical blade on the right side can be reversely moved to open or close the discharge air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면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조립 상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프레임부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드조명부의 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드조명부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드조명부의 조립 상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부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부의 조립 상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방향조절부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방향조절부의 배면 사시도이디..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방향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전환부의 조립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전환부의 조립 상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우조절부의 조립 상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우조절부에서 보호커버가 분리된 조립 상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블레이드의 개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블레이드의 개방 전후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ont assembly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of an assembled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front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od ligh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od ligh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ctional view of an assembled state of a mood ligh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low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low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blowing direction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blowing direction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lowing direction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assembled and dis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on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sectional view of an operation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ssembled condition of the left and right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state in which the protective cover is separated from the left and right regulating pa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horizontal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opening of a vertical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면 조립 서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조립 상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프레임부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드조명부의 전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드조명부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드조명부의 조립 상태 단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ron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front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front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exploded front view of a mood ligh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od ligh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od ligh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부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부의 조립 상태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방향조절부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방향조절부의 배면 사시도이디.FIG. 10 is a sectional view of the blow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low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blowing direction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방향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전환부의 조립 및 분해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전환부의 조립 상태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우조절부의 조립 상태 요부 단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우조절부에서 보호커버가 분리된 조립 상태 배면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블레이드의 개방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블레이드의 개방 전후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lowing direction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n assembled and dis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n operation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ssembled state of the left and right regulat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state of the left and right regulating pa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horizontal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opening of a vertical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후면커버부(100), 실내열교환부(200), 송풍부(300), 전면프레임부(400) 및 송풍방향조절부(500)를 포함한다.1 to 19,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r cover part 100, an indoor heat exchanging part 200, a blowing part 300, a front frame part 400, And a control unit 500.

후면커버부(100)는 전후로 관통된 흡입구(110)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후면커버부(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측면부위의 대부분을 커버하도록 전측으로 길게 형성된다.The rear cover part 100 is configured to form a suction port 110 penetrating front and back. The rear cover part 100 is formed long in the forward direction to cover most of the side portions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흡입구(110)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그릴 형태의 구멍이다. 흡입구(110)는 후면커버부(100)의 상측 부위에 형성되는 상측 흡입구와, 상측 흡입구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 흡입구를 포함한다. 흡입구 (110) 중 하측 흡입구는 상측 흡입구에 비해 후방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 이유는 후술하는 필터부(120)가 이중으로 수납되기 때문이다.The inlet port 110 is a hole in the form of a grill for sucking outside air. The suction port 110 includes an upper suction port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cover part 100 and a lower suction port disposed below the upper suction port. The lower suction port of the suction port 110 is formed to protrude further rearward than the upper suction port. This is because the filter unit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housed in a duplex manner.

실내열교환부(200)는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 한다. 즉, 실내열교환부(200)은 후면커버부(100)의 흡입구(110) 전측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흡입구(110)를 통해 수평으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를 냉난방 한다. 기존의 실내열교환기는 통상적으로 하단부위가 후방에 위치하고, 상단부위가 전방에 위치하면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공기조화기의 내부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열교환부(200)는 수직으로 배치되므로 설치공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이로써, 공기조화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The indoor heat exchanger 200 exchanges heat with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110. That is, the indoor heat exchanging unit 200 is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inlet 110 of the rear cover part 100 to cool / cool the outside air sucked horizontally through the inlet 110. The conventional indoor heat exchanger typically has a lower end located at the rear and an upper end located at an anterior side to be inclined and occupies a large internal space of the air conditioner. However,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nit 200 is disposed vertically, the installation spac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us, the size of the air conditioner can be reduced.

송풍부(300)는 실내열환부(200)의 전측에 구비되어 흡입된 공기를 송풍하는 구성이다. 송풍부(300)는 실내열교환부(200)에서 열교환된 냉난방 공기를 전측으로 토출하기 위해 축류팬을 적용할 수 있다. 송풍부(300)에서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후면커버부(100)의 흡입구(110)에서 실내열교환부(200)까지의 이동거리가 짧고 직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저항체가 별로 없으므로 기존과 달리 송풍부(300)의 출력 대비 공기의 토출력을 높일 수 있다.The blowing unit 30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 unit 200 to blow the sucked air. The blowing fan 300 may apply an axial fan to discharge the cooling / heating air heat-exchang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200 to the front side. The air discharged forward from the air supply portion 300 is short in moving distance from the air inlet 110 of the rear cover portion 100 to the indoor heat exchanging portion 200 and moves in the straight direc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oe output of the air compared to the output of the rich portion 300.

전면프레임부(400)는 후면커버부(100)와 결합되고, 토출구(410)가 형성된다. 전면프레임부(400)는 전방으로 길게 졸출된 후면커버부(100)의 가장자리부와 결합되도록 판체 형태로 이루어진다. 전면프레임부(400)는 후술하는 토출구(410)에 수평블레이드(610)가 배치되어 토출구(410)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전면프레임부(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블레이드(610)가 구비되지 않는 부위도 부드러운 미감을 주기 위해 수평블레이드(610)가 닫힌 형태로 구성된다. 이로써, 전면프레임부(400)는 전면에서 볼 때 일체감을 가지면서 미감이 향상되도록 형성된다.The front frame part 400 is coupled to the rear cover part 100, and a discharge port 410 is formed. The front frame part 400 is in the form of a plate so as to engage with the edge part of the rear cover part 100, which is elongated forwardly. The front frame part 400 is configured to open or close the discharge port 410 by disposing a horizontal blade 610 on a discharge port 410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 1, the front frame part 400 is configured such that a horizontal blade 610 is closed to provide smooth aesthetics in a part where the horizontal blade 610 is not provided. In this way, the front frame part 400 is formed so as to have a sense of unity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to improve the aesthetics.

송풍방향조절부(500)는 전면프레임부(400)에 구비되어 송풍부(300)에서 토출되는 공기 송풍방향을 조절하는 구성이다. 송풍방향조절부(500)는 전면프레임부(400)의 상측 배면부에 설치된다. 송풍방향조절부(500)는 공기의 토출범위와 토출방향을 고려하여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irflow direction adjusting unit 500 is provided in the front frame unit 400 to adjust the air blowing direction of the air blowing unit 300. The airflow direction adjusting unit 500 is install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front frame unit 400. The airflow direction adjusting unit 500 may have various sizes and shapes in consideration of a discharge range and a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후면커버부(100)의 측면에는 필터부(120)가 슬라이드 삽입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4, the filter unit 120 may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side surface of the rear cover unit 100.

필터부(120)는 후면커버부(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삽입부(130)와, 제1삽입부(130)의 하부에 인접 배치되고, 후면커버부(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삽입부(140)와, 제1삽입부(130)에 삽입 설치되는 제1필터부재(150)와, 제2삽입구(140)에 삽입 설치되는 제2필터부재(160)를 포함한다.The filter unit 120 includes a first insertion unit 130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rear cover unit 100 and a second insertion unit 130 disposed adjacent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insertion unit 130 and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rear cover unit 100 A first filter member 150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30 and a second filter member 160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opening 140 .

제1필터부재(150)는 프리필터이다.The first filter element 150 is a pre-filter.

제1필터부재(150)는 상부가이드부(170)에 의해 제1삽입부(130)에서 안내될 수 있다. 제1삽입부(130)는 후면커버부(100)의 상부 측면에 직사각형 형태의 구명으로 형성된다.The first filter member 150 may be guided by the first inserting portion 130 by the upper guide portion 170.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3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on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rear cover portion 100.

상부가이드부(170)는 제1필터부재(150)의 하측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레일(172)과, 제1필터부재(150)의 상측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레일(174)을 포함한다.The upper guide part 170 includes a first guide rail 172 for guiding the lower side of the first filter member 150 and a second guide rail 174 for guiding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ilter member 150 .

제2필터부재(160)는 후면커버부(100)의 후측에 배치되는 프리필터(162)와, 프리필터(162)의 전측에 구비되는 전기집진필터(164)를 포함한다.The second filter member 160 includes a pre-filter 162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rear cover part 100 and an electrostatic dust filter 164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pre-filter 162.

제2필터부재(160)는 하부가이드부(180)에 의해 제2삽입부(140)에서 안내된다, 제2삽입부(140)는 후면커버부(100)의 중심부 측면에 직사각형 형태의 구명으로 형성된다. 제2삽입부(140)의 너비는 제1삽입부(130)의 너비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된다.The second filter member 160 is guided by the second inserting part 140 by the lower guide part 180. The second inserting part 14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 the central side face of the rear cover part 100 . The width of the second inserting portion 140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inserting portion 130.

하부가이드부(180)는 제2필터부재(160)의 하측을 가이드하는 제3가이드레일(182)과, 제2필터부재(160)의 상측을 가이드하는 제4가이드레일(184)을 포함한다.The lower guide portion 180 includes a third guide rail 182 for guiding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filter member 160 and a fourth guide rail 184 for guiding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filter member 160 .

제3가이드레일(182)은 실내열교환부(20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저장케이스(210)에 구비될 수 있다. 저장케이스(210)는 후방부위가 실내열교환부(200)의 저면을 지지하면서 실내열교환부(200)에서 낙하하는 응축수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일시 모아주고 이동호스(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The third guide rail 182 may be provided in the storage case 210 for storing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indoor heat exchanging unit 200. The storage case 210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200 while the rear portion thereof moves the condensed water falling from the indoor heat exchanger 200 forward and discharges the condensed water to the outside through a transfer hose (not shown) .

제2삽입부(140)는 프리필터(162)와 전기집진필터(164)가 함께 수납되므로 프리필터 1개만 수납되는 제1삽입부(130)의 크기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삽입부(120)에는 프리필터(161)와 전지집진필터(164)가 모두 설치되는 반면에, 제1삽입부(130)에는 1개의 프리필터만 설치되는 이유는, 실내에서 순환하는 공기는 흡입부(110)를 통해 반복적으로 흡입되면서 어떤 때는 상측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되고, 어떤 때는 하측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되면서 반드시 전기집진필터(164)를 거치게 된다. 이로써, 전기집진필터(174)를 1개만 설치하므로 제조비용을 줄이면서 필터링 효과는 큰 차이 없이 유지할 수 있다.Since the pre-filter 162 and the electric dust filter 164 are accommodated together, the second inserting unit 14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first inserting unit 130, which accommodates only one pre-filter. In this way, the pre-filter 161 and the battery dust collecting filter 164 are both installed in the second inserting portion 120, but only one pre-filter is installed in the first inserting portion 130 because the in- Circulating air is sucked repeatedly through the suction unit 110 and is sometimes sucked through the upper suction port 110 and sometimes sucked through the lower suction port 110 to pass through the electrostatic dust filter 164. Thus, since only one electric dust filter 174 is provided, the filtering effect can be maintained without a large difference while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실내열교환부(20)는 설치부(220)에 의해 후면커버부(100)에 구비된다.The indoor heat exchanging unit 20 is installed in the rear cover unit 100 by the installation unit 220.

설치부(220)는 후면커버부(100)에 형성되는 보스부(222)와, 보스부(222)에 접촉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실내열교환부(200)에 구비되는 지지브라켓(224)과, 지지브라켓(224)의 구멍을 관통하여 보스부(222)에 체결되는 체결부재(226)를 포함한다.The mounting portion 220 includes a boss portion 222 formed in the rear cover portion 100 and a supporting bracket 224 provided in the indoor heat exchanging portion 200 and having a hole for contacting the boss portion 222, And a fastening member 226 which penetrates through the hole of the support bracket 224 and is fastened to the boss 222.

지지브라켓(224)은 실내열교환부(220)의 상측 가장자리에 지지되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구멍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 형성된다. 체결부재(226)는 나사 또는 볼트이다.The support bracket 224 is supported by the upper edg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220 and protrudes upward. The hole is formed through from the front to the rear. The fastening member 226 is a screw or a bolt.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송풍부(300)는 송풍모터(312)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310))과, 송풍모터(312)를 고정하고, 송풍팬(31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그릴부재(322)를 구비하는 팬가드프레임(320)과, 팬가드프레임(320)에 결합되고, 송풍팬(310)의 둘레 측에서 토출 공기를 안내하는 블로워하우징(330)을 포함한다.9 and 10, the blowing fan 300 is fixed to the blowing motor 312 and the air blowing fan 310 rotates by the air blowing motor 312, And a blower housing 330 coupled to the fan guard frame 320 and guiding discharged air on the circumferential side of the blowing fan 310. The fan guard frame 320 includes a grill member 322, do.

송풍팬(310)은 축류팬을 이용하여 공기를 송풍하도록 한다. 축류팬은 공기의 흐름 방향이 송풍모터(312)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송풍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팬으로서, 공기저항이 작으면서 송풍량이 많을 때 주로 사용된다. The blowing fan 310 blows air using an axial flow fan. The axial flow fan is used for the purpose of blowing ai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rection of air flow is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air blowing motor 312, and is mainly used when the air resistance is small and the blowing amount is large.

팬가드프레임(320)은 송풍부(3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송풍모터(312)를 고정하여 송풍팬(310)을 그릴부재(322)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한다. 팬가드프레임(320)에는 상하측으로 설정 간격으로 2개의 송풍모터(312) 설치부위가 형성되지만, 경우에 따라 1개 또는 3개 이상의 송풍모터(312)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릴부재(322)는 중심 기준으로 다수개의 단위 그릴을 나선형으로 형성한다. 즉, 그릴부재(322)는 사류그릴로 형성될 수 있다.The fan guard frame 320 is configured to form the outer shape of the fan-blowing portion 300 and fixes the fan motor 312 so that the fan 310 is positioned behind the grill member 322. The fan guard frame 320 is provided with two blowing motors 312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but one or more blowing motors 312 may be provided in some cases. The grill member 322 forms a plurality of unit grills spirally on the basis of the center. That is, the grill member 322 may be formed of a grill grill.

팬가드프레임(320)은 양측에 걸림후크(324)가 형성되어 후면커버부(100)의 내측 가장자리에 함몰 형성된 걸림홈부(326)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결합이 이루어진다.The fan guard frame 320 is engaged by engaging hooks 324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an guard frame 320 and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portions 326 recessed in the inner edge of the rear cover portion 100.

걸림후크(324)는 팬가드프레임(320)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전측으로 ㄱ자로 굴곡 형성된다. 걸림홈부(326)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함몰되므로 팬가드프레임(320)이 후면커버부(100)의 내부에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여 걸림으로써 송풍부(300)가 상하조절부(600) 또는 좌우조절부(700)의 후측에 접하여 일체화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후크(324)는 팬가드프레임(320)의 양측에 4개씩 모두 8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또한, 걸림홈부(326)는 후면커버부(100)의 내부 양측 가장자리에 4개씩 모두 8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물론, 걸림후크(324)와 걸림홈부(326)의 형성개수와 형성위치는 변경 가능하다.The hooking hooks 324 are bent in a forward direction at both side edges of the fan guard frame 320. The fan guard frame 320 mov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nside the rear cover part 100 and is hooked so that the blowing part 30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upper and lower control part 600, And is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it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ide of the regulating unit 700 and integrated. As shown in FIGS. 2 and 3, four hooking hooks 324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an guard frame 320, eight of which are formed.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the four engaging grooves 326 are formed on both inner side edges of the rear cover part 100. [ Of course, the number of the engaging hooks 324 and the number of the engaging groove portions 326 and the forming positions thereof can be changed.

블로워하우징(330)은 송풍팬(310)의 둘레 일부 구간에 링 형태로 형성되어 팬가드프레임(320)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송풍팬(310)에 의해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주변으로 흩어지지 않고 효율적으로 안내되도록 한다.The blower housing 330 is formed in a ring shape in a part of a circumference of the blowing fan 310 and is screwed to the fan guard frame 320 so that the air blown forward by the blowing fan 310 is not scattered around So that it can be efficiently guided.

송풍모터(312)는 고정부(350)에 의해 팬가드프레임(320)에 설치된다. The fan motor 312 is installed in the fan guard frame 320 by the fixing portion 350.

고정부(350)는 송풍모터(312)의 둘레에 형성되는 장착브라켓(352)과, 장착브라켓(352)에 접촉되어 결합되도록 팬가드프레임(32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고정부재(354)를 포함한다.The fixing unit 350 includes a mounting bracket 352 formed around the fan motor 312 and a fixing member 354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an guard frame 320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ounting bracket 352 .

장착브라켓(352)은 송풍모터(312)의 회전축 방향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캡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장착브라켓(352)의 단부에는 ㄱ자로 굴곡되고 구멍을 갖는 플랜지부가 형성된다. 고정부재(354)는 송풍모터(312)의 후단부가 삽입 설치되면서 나사 또는 볼트를 통해 장착브라켓(352)의 플랜지부와 결합되어 송풍모터(312)를 고정한다. The mounting bracket 352 protrudes in the shape of a cap while extending rearward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blowing motor 312. [ At the end of the mounting bracket 352, a flange portion bent in a line and having a hole is formed. The fixing member 354 is engaged with the flange of the mounting bracket 352 through screws or bolts while the rear end of the blowing motor 312 is inserted and fixes the blowing motor 312.

실내열교환부(200)는 팬가드프레임(320)의 상측에 형성된 분리격벽부(340)에 의해 상부와 하부가 분리된다. 분리격벽부(340)는 팬가드프레임(320)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수평으로 2단 굴곡되어 실내열교환부(200) 상측까지 연장 형성된다. 이로써, 실내열교환부(200)에서 열교환된 냉난방 공기가 상측으로 분산되는 것을 차단하여 열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200 are separated by the partition wall portion 340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an guard frame 320. The partition wall 340 is bent horizontally in two stages at the upper edge of the fan guard frame 320 and extends to the upper 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200. Thus, the cooling / heating air exchanged in the indoor heat exchanging unit 200 is prevented from being dispersed upward, thereby preventing the thermal efficiency from being lowered.

전면프레임부(400)와 후면커버부(100)는 상호간에 걸림 결합된 후에 하부로부터 나사 또는 볼트 결합되는 바닥프레임(450)에 의해 지지된다. 바닥프레임(450)은 전면프레임부(400)와 후면커버부(100)의 바닥 면적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안정적인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The front frame part 400 and the rear cover part 100 are supported by a bottom frame 450 which is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n screwed or bolted from below. Since the bottom frame 45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bottom area of the front frame part 400 and the rear cover part 100,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면프레임부(400)는 양측에 형성된 걸림돌부가 후면커버부(100)의 내측면에 함몰 형성된 삽입홈부에 삽입되므로 가고정되고, 바닥프레임(450)에서 나사 결합됨으로써, 전면프레임부(400)와 후면커버부(100)를 상호 조립한다.The front frame part 400 is temporarily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over part 100. The front frame part 400 is screwed to the front frame part 400, The rear cover portions 100 are assembled together.

전면프레임부(400)의 하측에는 은은한 조명이 비춰지는 무드조명부(510)가 구비된다. 무드조명부(510)는 공기조화기가 가동되는 동안에 조명을 비추므로 고급스럽고 부드러운 느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야간에 실내에 은은하게 비춰지므로 주변 분위기를 상승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무드조멍부(510)는 직접 조명을 비추는 것이 아니라 전면프레임부(400)의 하부 내측으로 함몰된 부위에 설치되므로 은은하고 품위 있는 간접 조명을 비춘다.A mood illuminating unit 510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ont frame unit 400 to illuminate the soft illumination. The mood lighting unit 510 illuminates the lighting while the air conditioner is in operation, so that the mood lighting unit 510 can provide a luxurious and soft feeling to the user. In particular, since it is lightly illuminated indoors at night, it has an effect of raising the surrounding atmosphere. The mood bores (510) are not directly illuminated, but ar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front frame part (400), so that the indirect illumination of the mood is refined.

무드조명부(510)는 전면프레임부(400)의 하부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520)와, 함몰부(520)의 후방에서 결합되는 조명커버부(530)와, 조명커버부(530)의 천장에 설치되는 조명부(540)를 포함한다. The mood illumination unit 510 includes a depression 520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frame unit 400 to be recess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an illumination cover unit 530 coupled to the rear of the depression 520, And an illumination unit 540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display unit 530.

조명부(540)는 조명커버부(530)의 천장에 형성되는 개방부(541)와, 개방부(541)를 덮어주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투과플레이트(542)와, 투과플레이트(542)의 후방에 배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543)와, 발광부(543)의 후방에 결합되는 마감플레이트(544)를 포함한다.The illuminating unit 540 includes an opening 541 formed in the ceiling of the illumination cover 530,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transmissive plate 542 covering the opening 541, A light emitting portion 543 arranged to irradiate light, and a finishing plate 544 coupled to the rear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543.

발광부(543)는 기판부재(545)에 설정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는 엘이디(546)를 포함한다.The light emitting portion 543 includes a plurality of LEDs 546 arranged on the substrate member 545 at predetermined intervals.

조명커버부(530)는 결속부(550)에 의해 전면프레임부(400)에 결합된다.The illumination cover portion 530 is coupled to the front frame portion 400 by the binding portion 550.

결속부(550)는 조명커버부(530)의 측면부위를 전면프레임부(400)의 양측부위에 결속하는 측면결속부(560)와, 조명커버부(530)의 상측부위를 전면프레임부(400)의 상측부위에 결속하는 상측결속부(570)를 포함한다.The binding portion 550 includes a side binding portion 560 binding th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illumination cover portion 530 to both sides of the front frame portion 400 and a side binding portion 560 connecting the upper side portion of the illumination cover portion 530 to the front frame portion And an upper binding portion 570 bound to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binding portion 570. [

측면결속부(560)는 전면프레임부(400)의 측면에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는 제1측면결속부(562)와, 조명커버부(400)의 측면에 함몰 또는 돌출 형성되는 제2측면결속부(564)를 포함한다.The side binding portion 560 includes a first side binding portion 562 protruding or sinking on the side surface of the front frame portion 400 and a second side binding portion 562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illumination cover portion 400, (564).

제1측면결속부(562)는 볼록돌기 형태로 형성되고, 제2측면결속부(564)는 오목홈부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탄성 결합된다.The first side binding portions 562 are formed in a convex shape and the second side binding portions 564 are formed in a concave groove shape and are elastically bonded to each other.

상측결속부(570)는 전면프레임부(400)의 상측에 함몰 또는 돌출 형성되는 제1상측결속부(572)와, 조명커버부(530)의 상측에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는 제2상측결속부(574)와, 제2측면결속부(574)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조명커버부(530)와 전면프레임부(400)를 나사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결합부(576)를 포함한다. The upper binding section 570 includes a first upper binding section 572 which is recessed or protruded above the front frame section 400 and a second upper binding section 572 which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llumination cover section 530, And at least one thread engaging portion 576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side engaging portion 574 and screwing the illumination cover portion 530 and the front frame portion 400 into engagement with each other.

조명커버부(530)는 하측결속부(580)에 의해 전면프레임부(400)에 결속된다. 하측결속부(580)는 조명커버부(530)의 하부에 형성된 후크부재가 전면프레임부(400)이 하부에 형성된 후크홈부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결합된다.The illumination cover portion 530 is bound to the front frame portion 400 by the lower binding portion 580. The lower binding portion 580 is coupled by hooking a hook member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llumination cover portion 530 into a hook groove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ront frame portion 400. [

제1상측결속부(572)는 삽입홈부 형태로 형성되고, 제2상측결속부(574)는 삽입홈부 형태의 제1상측결속부(672)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삽입되도록 끼움돌기 형태로 형성된다.The first upper binding portion 572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insertion groove and the second upper binding portion 574 is inserted into the first upper binding portion 672 in the shape of an insertion groove so as to be mov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

도 11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송풍방향조절부(500)는 전면프레임부(400)에 구비되어 송풍부(300)에서 토출되는 바람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상하조절부(600)와, 전면프레임부(400)에 구비되어 송풍부(300)에서 토출되는 바람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좌우조절부(700)를 포함한다.11 to 18, the blowing direction adjusting unit 500 includes a vertical adjusting unit 600 provided in the front frame unit 400 and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of the blowing unit 300 up and down, And a left and right regulating unit 700 provided in the frame unit 400 and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discharged from the blowing unit 300 to the left and right.

상하조절부(600)는 전면프레임부(400)의 전측에 배치되고, 좌우조절부(700)는 상하조절부(600)의 후측에 접하는 상태로 전면프레임부(400)에 설치된다. 상하조절부(600)와 좌우조절부(700)의 위치는 상호 반대로 바뀔 수 있다.The vertical adjustment unit 600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frame unit 400 and the left and right adjustment unit 700 is disposed on the front frame unit 400 in a state contacting the rear side of the vertical adjustment unit 600. The positions of the vertical adjustment unit 600 and 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700 may be reversed.

상하조절부(600)는 전면프레임부(400)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회동하는 다수개의 수평블레이드(610)와, 전면프레임부(400)에 구비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620)와, 구동부(620)의 피니언기어부(622)에 랙기어부(632)가 치합되어 전면프레임부(400)에서 상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블록(630)과, 이동블록(630)의 길이방향 이동을 수평블레이드(610)의 회전작동으로 전환하는 동작전환부(650)를 포함한다.The vertical adjustment unit 600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tal blades 610 horizontally disposed in the front frame unit 400 and a driving unit 620 provided in the front frame unit 400 to generate power, A movable block 630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frame part 400 by engaging the rack gear part 632 with the pinion gear part 622 of the movable block 620, And an operation switching unit 650 for switching to the rotating operation of the blade 610. [

구동부(620)는 스텝모터를 적용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구동부(620)는 다양한 다른 구동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620 may be a stepping motor. Of course, if necessary, the driving unit 620 can apply various other driving means.

수평블레이드(610)는 사용자에게 부드럽게 접촉되도록 웨이브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horizontal blade 610 is in wave form so as to be in smooth contact with the user.

수평블레이드(610)는 길이방향으로 굴곡돌부(612)와 굴곡홈부(514)가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어느 하나의 수평블레이드(610)의 굴곡돌부(612)는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수평블레이드(610)의 굴곡홈부(614)와 접하고, 어느 하나의 수평블레이드(610)의 굴곡홈부(514)는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수평블레이드(510)의 굴곡돌부(612)와 접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상측에 배치된 수평블레이드(610)와 하측에 배치된 수평블레이드(610)가 상호 어긋나게 굴곡지게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전면에서 볼 때, 파도치는 것과 같은 물결무뉘 형태로 보이게 하므로 미감이 향상된다.The horizontal blade 610 is repeatedly formed with the bending protrusion 612 and the bending groove 51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urved protrusion 612 of one of the horizontal blades 610 contacts the curved groove 614 of the adjacent one of the horizontal blades 610 and the curved groove 514 of one of the horizontal blades 610 is adjacent And the other one of the horizontal blades 510 is in contact with the curved protrusion 612 of the other horizontal blade 510. Thus, since the horizontal blade 610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horizontal blade 610 disposed on the lower side are formed to be bent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the user looks like a wave like a wave, and the aesthetics is improved.

특히, 수평블레이드(610)가 굴곡돌부(612)와 굴곡홈부(614)가 반복 형성되므로 수평블레이드(610)를 통해 안내되는 공기의 흐름이 물 흐르듯이 부드럽게 이동하여 신체에 부딪힘으로써, 사용자에게 부드러운 바람의 느낌을 갖게 한다. 이로써, 인위적인 바람이 아니라 자연에서 부는 바람의 느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므로 공기조화기의 제품 신뢰성과 품격을 높일 수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horizontal blade 610 repeatedly forms the curved protrusion 612 and the curved groove 614, the flow of air guided through the horizontal blade 610 smoothly moves as the water flows and hits the body, Have a feeling of wind. As a result, the user can feel the wind blowing from the nature rather than the artificial wind, thereby enhancing the reliability and dignity of the air conditioner.

수평블레이드(610)는 도 4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에서 볼 때, 수평블레이드(610)의 중심부위가 후측에서 전측으로 돌출되도록 반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도 18에서와 같이, 수평블레이드(610)가 회동하여 토출구(410)를 통해 바람이 토출될 때, 수평블레이드(610)의 굴곡돌부(612)와 굴곡홈부(614)와 더불어 반원형상의 단면으로 인해 토출 공기가 더욱더 부드럽게 이동하게 해준다.As shown in FIGS. 4 and 12, the horizontal blade 610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rizontal blade 610 protrudes forward from the rear side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18, when the horizontal blade 610 rotates and the wind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410, the curved protrusion 612 and the curved groove 614 of the horizontal blade 610, as well as the semicircular cross section So that the discharged air can be moved more smoothly.

동작전환부(650)는 이동블록(630)에 경사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사홈부(660)와, 경사홈부(660)에 삽입 설치되어 이동블록(630)의 직진이동에 따라 승강하여 수평블레이드(610)를 회동시키는 링크부(670)를 포함한다.The operation switching portion 650 includes an inclined groove portion 660 formed in the moving block 630 in an oblique direction and an inclined groove portion 660 inserted in the inclined groove portion 660 to move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linear movement of the moving block 630, (Not shown).

랙기어부(632)는 이동블록(630)의 양측 단부에 각각 한 쌍 구비된다. 즉, 각각의 랙기어부(632)에 구동부(620)가 설치되어 맞물린다. 구동부(620)가 복수개 형성되어 각각의 랙기어부(632)에 치합되어 이동블록(630)을 이동시키므로 하나의 구동부(620) 만으로 이동블록(630)을 이동시키는 것과는 달리 구동부(62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구동부(630)가 하나인 경우, 큰 동력이 필요함으로 인해 구동부(620)의 크기가 커지므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설치가 어려울 수 있다. 이로써, 하나의 이동블록(630)에 대해 2개의 구동부(620)를 형성하는 것이 설치 및 작동에 유리하다.Each of the rack gear portions 632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moving block 630, respectively. That is, the driving unit 620 is installed and engaged with each rack gear unit 632. Since the plurality of the driving units 620 are formed and engaged with the respective rack gears 632 to move the moving block 630, unlike the case where the moving block 630 is moved by only one driving unit 620, . When the number of the driving units 630 is one, since the size of the driving units 620 is increased due to a large power requirement, it takes a lot of space and may be difficult to install. Thus, it is advantageous for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to form the two driving portions 620 for one moving block 630.

링크부(670)는 경사홈부(660)에 승강돌기(671)가 삽입 설치되어 이동블록(630)의 직진이동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링크부재(672)와, 승강링크부재(672)의 타측에 형성되는 장착부(674)와, 장착부(674)에 일단에 형성된 걸림부(677)가 설치되어 타단에 결합된 수평블레이드(610)를 회전시키는 회동링크부재(676)를 포함한다.The link portion 670 includes an ascending link member 672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clined groove portion 660 and is lifted and lowered in accordance with the rectilinear movement of the moving block 630 and a lifting link member 672 which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lifting link member 672 And a rotating link member 676 for rotating the horizontal blade 610 coupled to the other end with a locking portion 677 formed at on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674.

장착부(674)는 승강링크부재(672)의 너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으로 도시한다. 걸림부(677)는 장착부(674)에 삽입 설치되는 돌기로 도시한다. 한편, 반대로 장착부(674)는 돌기이고, 걸림부(677)는 홈부일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674 is shown as a long hol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ifting link member 672. The engaging portion 677 is shown as a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674. Conversely, the mounting portion 674 may be a projection, and the engagement portion 677 may be a groove.

구동부(620)가 설치되고, 랙기어부(632), 이동블록(630) 및 승강링크부재(672)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브라켓(680)을 포함한다.And a guide bracket 680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rack gear portion 632, the moving block 630, and the elevating link member 672. [

가이드브라켓(680)은 구동부(620)에 형성된 플랜지부에 나사 결합되는 보스부재(682)와, 피니언기어부(622)의 회전중심부가 삽입 설치되는 축설치홈부(684)와, 랙기어부(632)와 이동블록(630)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레일부(686)와, 승강링크부재(672)가 삽입되어 승강안내되는 승강홈부(68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uide bracket 680 includes a boss member 682 screwed to the flange portion formed in the driving unit 620, a shaft mounting groove portion 684 into which the rotational center portion of the pinion gear portion 622 is inserted, A movable rail portion 686 to which the movable block 630 slides and a lift groove portion 688 to which the lift link member 672 is inserted to be guided up and down.

가이드브라켓(680)에는 이동블록(630)을 덮어주기 위한 덮개부재(689)가 포함될 수 있다. 덮개부재(689)는 가이드브라켓(680)의 내측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이동블록(630)의 노출 및 이탈을 방지한다.The guide bracket 680 may include a cover member 689 for covering the moving block 630. The lid member 689 is installed inside the guide bracket 680 to prevent exposure and release of the moving block 630 moving.

경사홈부(660)는 이동블록(5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으로 갈수록 경사각도를 다르게 형성하여 상측과 하측의 수평블레이드(510)의 개방각도가 입체감을 갖도록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홈부(660)는 이동블록(630)의 중심부위에서 경사각도가 가장 크고 이동블록(630)의 상측과 하측(세워진 경우)으로 갈수록 경사각도가 점차 작아지므로 경사홈부(660)에 삽입된 승강돌기(671)에 의해 승강링크부재(672)의 승강 높이가 작아짐에 따라 장착부(674)에 삽입된 걸림부(677)에 의해 회동링크부재(676)의 회전량이 점차 작아지게 되고, 회동링크부재(676)의 타단에 연결된 수평블레이드(610) 역시 중심부에서 상하측으로 갈수록 회전각도가 작아지게 된다.The inclined groove portion 660 may have different inclination angles toward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moving block 530 so that the opening angle of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blades 51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at is, as shown in FIGS. 12 to 14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groove portion 660 has the largest inclination angle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oving block 630, and as it goes up and down (when erected) The height of the elevating link member 672 is reduced by the elevating projection 671 inserted into the inclined groove portion 660 so that the hooking portion 677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674 is pushed by the pivotal link 677, The rotation amount of the member 676 gradually decreases and the horizontal angle of the horizontal blade 61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link member 676 also decreases from the center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즉,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프레임부(400)의 토출구(410)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의 수평블레이드(610)의 회전각도를 상측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90도, 85도, 80도, 75도 70도, 65도로 보이도록 개방하고, 하측의 수평블레이드(610) 역시 중심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갈수록 회전각도를 90도, 85도, 80도, 75도 70도, 65도로 보이도록 개방함으로써, 사용자가 전면에서 볼 때 수평블레이드(610)가 각각 다르게 보이게 함과 동시에 굴곡돌부(612)와 굴곡홈부(614)가 웨이브형태로 보이게 하므로 수평블레이드(61)에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디자인적인 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수평블레이드(610)의 개방각도를 점차 줄어드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상하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회전각도 차이가 5도 아니라 5도보다 작거나 크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18, the rotation angle of the upper horizontal blade 610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discharge port 410 of the front frame part 400 is gradually increased to 90 degrees, 85 degrees, 80 degrees, 75 degrees, 70 degrees and 65 degrees, and the lower horizontal blade 610 is also opened so that the rotation angles become 90 degrees, 85 degrees, 80 degrees, 75 degrees, 65 degrees, The horizontal blades 610 are seen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the user looks at the front side and the curved protrusions 612 and the curved groove portions 614 are seen in a wave shape. As a result, aesthetic sense of design can be improved. Of course, although the opening angle of the horizontal blade 610 is shown to be gradually reduced, it may be configured so as to increase toward the upper and lower sides, or 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difference in rotational angle is smaller than 5 degrees or smaller than 5 degrees.

상측의 수평블레이드(610)와 하측의 수평블레이드(610)의 회전방향은 상호 반대방향을 갖도록 링크부(670)를 대응되게 배치할 수 있다. 즉, 도 12, 도 13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상측 수평블레이드(610)를 연결하는 회동링크부재(676)가 상측(세워진 경우)에 배치되는 경우, 6개의 하측 수평블레이드(610)을 연결하는 회동링크부재(676)가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상측 수평블레이드(6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반면에 하측 수평블레이드(610)를 연결하는 회동링크부재(676)가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하측 수평블레이드(6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The link portions 670 may be correspondingly arranged so that the rotational directions of the upper horizontal blade 610 and the lower horizontal blade 610 are opposite to each other. 12, 13 and 18, when the pivotal link member 676 connecting the six upper horizontal blades 610 is disposed at the upper side (when erected), six lower horizontal blades 610 The upper horizontal blade 610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while the rotary link member 676 connecting the lower horizontal blade 610 rotates in the lower direction So that the lower horizontal blade 610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상하조절부(600)는 전면프레임부(400)의 상측 영역에 다수의 수평블레이드(610)가 구비되는 제1수평블레이드군(B1)과, 전면프레임부(400)의 하측 영역에 다수의 수평블레이드(610)가 구비되는 제2수평블레이드군(B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vertical adjustment unit 600 includes a first horizontal blade group B1 having a plurality of horizontal blades 610 on an upper region of the front frame unit 400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And a second group of horizontal blades B2 having blades 610.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1수평블레이드군(B1)은 상술한 바와 같이, 6개의 수평블레이드(610)를 갖는 상측 제1수평블레이드군(B1)과, 6개의 수평블레이드(610)를 갖는 하측 제1수평블레이드군(B1)이 제1수평블레이드군(B1)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으로 갈수록 각도가 점차 작아지면서 반대로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제1수평블레이드군(B1)은 12개의 수평블레이드(610)를 갖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형성되는 개수는 변경 가능하다,11 and 12, the first horizontal blade group B1 includes an upper first horizontal blade group B1 having six horizontal blades 610, six horizontal blades 610, The lower first horizontal blade group B1 having the first horizontal blade group B1 and the second horizontal blade group B1 having the lower horizontal blade group B1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with the angle gradually decreasing toward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irst horizontal blade group B1. Although the first horizontal blade group B1 is illustrated as having twelve horizontal blades 610, the number formed is variable,

또한, 제2수평블레이드군(B2)은 상술한 바와 같이, 6개의 수평블레이드(610)를 갖는 상측 제2수평블레이드군(B2)과 6개의 수평블레이드(610)를 갖는 하측 제2수평블레이드군(B2)이 제2수평블레이드군(B2)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으로 갈수록 각도가 점차 작아지면서 반대로 회동한다. 제2수평블레이드군(B2)은 12개의 수평블레이드(610)를 갖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형성되는 개수는 변경 가능하다,The second group of horizontal blades B2 is composed of an upper second horizontal blade group B2 having six horizontal blades 610 and a lower second horizontal blade group having six horizontal blades 610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blades B2 and B2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as the angle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econd horizontal blade group B2. Although the second group of horizontal blades B2 is illustrated as having twelve horizontal blades 610, the number formed is variable,

한편, 상하조절부(600)는 2개 이상의 수평블레이드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adjustment unit 600 may be composed of two or more horizontal blades.

구동부(620)는 제1수평블레이드군(B1)을 구동하는 한 쌍의 제1구동부(624)와, 제2수평블레이드군(B2)을 구동하는 한 쌍의 제2구동부(626)을 포함한다.The driving unit 620 includes a pair of first driving units 624 for driving the first horizontal blade group B1 and a pair of second driving units 626 for driving the second horizontal blade group B2 .

제1구동부(624)와 제2구동부(626)는 제어부(690)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즉, 제1구동부(624)와 제2구동부(626)를 모두 가동하거나, 제1구동부(624)를 정지하고 제2구동부(626)만 가동하거나, 제1구동부(624)를 가동하고, 제2구동부(626)만 정지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제어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690)를 이용하여 수평블레이드(610)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The first driver 624 and the second driver 626 are independently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690. That is, both the first driving unit 624 and the second driving unit 626 may be operated, the first driving unit 624 may be stopped and only the second driving unit 626 may be operated, or the first driving unit 624 may be operated, 2 driving unit 626 is stopped, it is possible to select various control methods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user. Further, the control unit 690 may be used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horizontal blade 610.

또한, 제어부(690)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좌우조절부(700)의 동력부(7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Further, the control unit 690 may be used to control the power unit 720 of the laterally adjusting unit 700 described later.

도 11 내지 도 17 및 도 19를 참조하면, 좌우조절부(700)는 전면프레임부(400)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회동하는 다수개의 수직블레이드(710)와, 전면프레임부(400)에 설치되고 구동하는 동력부(720)와, 동력부(720)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수직블레이드(710)를 회동시키는 회동작동부(730)를 포함한다,.11 to 17 and 19, the left and right regulating unit 700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blades 710 vertically disposed and rotating in the front frame unit 400, and a plurality of vertical blades 710 installed in the front frame unit 400 And a rotating operation unit 730 that slides by the power unit 720 and rotates the vertical blade 710. [

수직블레이드(710)는 수평블레이드(610)의 후측에 모두 6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개수는 변경 가능하다. 수직블레이드(710)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측 3개와 우측 3개가 회동 방향을 반대로 구성하므로 중심을 기준으로 벌려지거나 오므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Although six vertical blades 710 are shown on the rear side of the horizontal blade 610, the number of vertical blades 710 is variable. The vertical blade 7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ree left and three right sides of the vertical blade 710 are opposed to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so that the vertical blade 710 is opened or clos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동력부(720)는 스텝모터를 적용할 수 있다. 물론, 동력부(720)는 다양한 다른 구동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The power unit 720 may be a stepping motor. Of course, the power unit 720 can apply various other driving means.

회동작동부(730)는 동력부(720)의 피니언기어부(722)가 랙기어부(746)에 치합되고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블록(740)과, 슬라이드블록(740)의 좌우이동을 수직블레이드(710)의 회동작동으로 전환하는 회동링크부(750)를 포함한다.The rotating operation unit 730 includes a slide block 740 in which the pinion gear portion 722 of the power unit 720 meshes with the rack gear portion 746 and sl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rotation link portion 750 for converting the rotation of the vertical blade 710 into a rotation operation of the vertical blade 710.

슬라이드블록(740)은 피니언기어부(722) 상측에 랙기어부(746)가 치합되어 수평으로 이동하는 제1슬라이드블록(742)과, 피니언기어부(722) 하측에 랙기어부(746)가 치합되어 제1슬라이드블록(742)의 반대측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슬라이드블록(744)을 포함한다.The slide block 740 includes a first slide block 742 that horizontally moves with the rack gear portion 746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portion 722 and a rack gear portion 746 below the pinion gear portion 722, And a second slide block 744 that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lide block 742.

제1,제2슬라이드블록(742,744)은 가이드슬롯(770)을 따라 수평 이동한다. 가이드슬롯(770)은 제1,제2슬라이드블록(742,744)의 측면과 전면에 접촉되어 안정적으로 직진이동하도록 해준다.The first and second slide blocks 742 and 744 move horizontally along the guide slot 770. The guide slot 770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s and the front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lide blocks 742 and 744 so that the guide slot 770 stably moves straight.

회동링크부(750)는 제1,제2슬라이드블록(742,744)에 형성되는 걸림홈부(752)와, 수직블레이드(710)에 구비되는 회동축부재(754)와, 걸림홈부(752)에 일단의 걸림축(758)이 결합되고, 타단이 회동축부재(754)에 결합되어 수평블레이드(710)를 회동시키는 회동링크부재(756)를 포함한다.The pivotal link portion 750 includes a locking groove portion 752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lide blocks 742 and 744, a pivot shaft member 754 provided in the vertical blade 710, And a pivotal link member 756 coupled to the pivot shaft 758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pivot shaft member 754 to rotate the horizontal blade 710.

걸림홈부(752)는 회동링크부재(756)의 걸림축(758)이 전후로 이동하는 거리를 보상하기 위해 전후방향으로 길게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 The engaging groove 75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ompensate for the distance that the engaging shaft 758 of the rotating link member 756 moves back and forth.

걸림홈부(752)는 제1,제2슬라이드블록(742,744)의 일측 가장자리에 상측 또는 하측으로 개방되도록 함몰 형성된다.The latching groove portion 752 is recessed to open upward or downward at one side edge of the first and second slide blocks 742 and 744.

회동링크부재(756)는 외측으로 골곡진 판재 형태로 형성된다.The pivot link member 756 is formed in the form of an outwardly curved plate member.

회동축부재(754)는 제1수평블레이드군(B1)의 후방에 배치되는 상측 수직블레이드(710)와, 제2수평블레이그군(B2)의 후방에 배치되는 하측 수직블레이드(710) 사이에 배치된다, 회동축부재(756)는 상측과 하측의 수직블레이드(710)를 각각 연결하도록 원형봉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pivot member 754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vertical blade 710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irst horizontal blade group B1 and the lower vertical blade 710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econd horizontal blade group B2 The rotary shaft member 756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bar so as to connect the upper and lower vertical blades 710, respectively.

회동링크부재(756)는 회동축부재(754)를 감싸는 형태로 일체로 결합된다. The pivot link member 756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pivot shaft member 754 so as to surround the pivot shaft member 754.

회동링크부재(756)는 동력부(720)를 기준으로 제1슬라이드블록(742)과 제2슬라이드블록(744)에 연결부위가 상호 반대 측으로 배치되어 좌측의 수직블레이드(710)와 우측의 수직블레이드(710)의 회전방향이 각각 반대방향으로 이루어진다. The rotation link member 756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first slide block 742 and the second slide block 744 with respect to the power unit 720 so that the left vertical blade 710 and the right vertical The rotational directions of the blades 710 are opposite to each other.

동력부(720)와 회동작동부(730)는 보호커버(760)에 의해 전면프레임부(400)의 후면에서 덮여질 수 있다.The power section 720 and the turning motion section 730 can be covered at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frame section 400 by the protective cover 760. [

도 12, 도 17 및 도 19를 참조하면, 후방 및 상측에서 볼 때, 동력부(720)가 반시계방향으로 작동하면, 피니언기어부(722)에 치합된 상측과 하측의 랙기어부(746)가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이동함에 따라 제1슬라이드블록(742)은 좌측으로 이동하고, 제2슬라이드블록(744)은 우측으로 이동한다.Referring to Figs. 12, 17 and 19, when the power section 720 is oper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s viewed from the rear and the upper side, the upper and lower rack gear portions 746 The first slide block 742 moves to the left side and the second slide block 744 moves to the right side.

연이어, 제1슬라이드블록(742)의 좌측 이동에 따라 걸림홈부(752)에 삽입된 걸림축(758)에 의해 회동링크부재(756)가 회동하고 회동축부재(754)가 상측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우측의 수직블레이드(710)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수직블레이드(710)의 전단부가 우측방향으로 벌려진다.The pivoting link member 756 is rotated by the latching shaft 758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 portion 752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slide block 742 to the left and the pivoting member 754 is rotated clockwise The right vertical blade 710 also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front end of the vertical blade 710 spreads in the right direction.

그리고, 제2슬라이드블록(744)의 우측 이동에 따라 걸림홈부(752)에 삽입된 걸림축(758)에 의해 회동링크부재(756)가 회동하고 회동축부재(754)가 상측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좌측의 수직블레이드(710)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좌측방향으로 벌려진다.When the pivotal link member 756 is rotated by the latching shaft 758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 portion 752 as the second slide block 744 moves to the right and the pivotal member 754 is viewed from above, The left vertical blade 710 also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is spread in the left direction while rotating in the clockwise direction.

이로써, 3개의 우측 블레이드(710)가 반대로 회동함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전측에서 볼 때, 양측으로 벌려지는 형태로 작동함으로써 공기의 토출 범위를 넓게 확장하면서 토출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three right blades 710 ar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they act in such a manner as to be opened to both sides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of the air conditioner, thereby allowing the air to be discharged while widening the discharge range.

싱기와 반대로 동력부(720)가 시계방향으로 작동하면, 수직블레이드(610)는 전측에서볼 때 오므려지는 형태로 작동한다. 이 경우, 토출 공기를 집중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공기의 토출 범위는 좁지만, 토출 공기를 멀리 보낼 수 있다.When the power unit 720 is oper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s opposed to the squeeze unit, the vertical blade 610 operates in a form in which the vertical blade 610 is closed when seen from the front side. In this case, since the discharged air can be concentrated, the discharge range of the air is narrow, but the discharged air can be sent away.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흡입구조, 냉난방구조 및 공기토출구조를 직렬로 배치하고, 블레이드 형상과 블레이드 개폐방식을 이용하여 개폐시 입체적인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부를 후면커버의 측면에서 수납하도록 구성하므로 교체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프레임부 하부에 무드조명부를 설치하므로 사용자에게 은은하고 고급스러우며 부드러운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rrange the air suction structure, the air-cooling structure and the air discharge structure in series, and provide the three-dimensional beauty feeling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are performed using the blade shape and the blade opening / closing method. In addition, since the filter unit is hous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rear cover, the replacement operation can be simplifi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ild, luxurious and soft feeling to the user by providing the mood lighting unit under the front frame part.

또한, 본 발명은 실내열환부를 설치부를 이용하여 후면커버부에 수직으로 배치하여 설치하므로 설치공간을 줄이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송풍팬, 팬가드프레임 및 블로워하우징을 일체화하여 후면커버부에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송풍방향조절부를 전면프레임부에 일체로 조립하므로 검팩트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블레이드를 동작전환부를 이용하여 직진동작을 회전동작으로 전환하여 간편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vertically to the rear cover portion using the installation portion, the installation space can be reduced and the assembling property can be improved.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ing fan, the fan guard frame, and the blower housing can be integrated to easily assemble the rear cover uni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a blowing direction adjusting unit is integrally assembled to the front frame unit, thereby providing a searched structure.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blade can be easily rotated by switching the straight forward operation to the rotary operation using the operation switching unit.

또한, 본 발명은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블레이드와 하측블레이드의 회동방향을 반대로 형성하고, 송풍각도를 상하측으로 갈수록 다르게 형성하므로 개폐시 수평블레이드를 웨이브 형태로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블에이드에 굴곡돌부와 굴곡홈부를 반복 형성하므로 공기 흐름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측에 배치된 제1수평블레이드군과 하측에 배치된 제2수평블레이드군을 제어부를 구비하여 공기 토출량을 조절하기 위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upper blades and the lower blades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and forms a different blowing angle toward the upper and lower sides, so that the horizontal blades can be opened and closed in the form of a wave upon opening and closing.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urved protruding portion and the curved groove are repeatedly formed in the horizontal blades, the air flow can be smooth.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first horizontal blade group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second horizontal blade group disposed on the lower sid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n order to control the air discharge amount.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동력부를 기준으로 한 쌍의 슬라이드블록을 상하로 배치하고 반대방향을 이동하므로 좌측과 우측의 수직블레이드를 각각 반대로 동작하여 토출공기를 벌려주거나 오므려줄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air of slide blocks are arrang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one power unit and are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left and right vertical blades can be reversely operated to open or close the discharge air.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 후면커버부 110 : 흡입구
120 : 필터부 130 : 제1삽입부
140 : 제2십입부 150 : 제1필터부재
160 : 제2필터부재 162 : 프리필터
164 : 전기집진필터 170 : 상부가이드부
172 : 제1가이드레일 174 : 제2가이드레일
180 : 하부가이드부 182 : 제3가이드레일
184 ; 제4가이드레일 200 : 실내열교환부
210 : 저장케이스 220 : 설치부
222 : 보스부 224 : 지지브라켓
226 : 체결부재 300 : 송풍부
310 : 송풍팬 312 ; 송풍모터
320 : 팬가드프레임 330 : 블로워하우징
340 : 분리격벽부 350 : 고정부
352 : 장착브라켓 354 : 고정부재
400 : 전면프레임부 500 : 송풍방향조절부
510 : 무드조명부 520 : 함몰부
530 : 조명커버부 540 : 조명부
541 : 개방부 542 : 투과플레이트
543 : 발광부 544 : 마감플레이트
545 : 기판부재 546 ; 엘이디
550 : 결속부 560 : 측면결속부
562 : 제1측면결속부 564 : 제2측면결속부
570 : 상측결속부 572 : 제1상측결속부
574 : 제2상측결속부 576 : 나사결합부
580 : 하측결속부 600 : 상하조정부
610 : 수평블레이드 612 : 굴곡돌부
614 : 굴곡홈부 B1 : 제1수평블레이드군
B2 : 제2수평블레이드군 620 : 구동부
622 : 피니언기어부 530 : 이동블록
632 : 랙기어부 650 : 동작전환부
660 : 경사홈부 670 : 링크부
672 : 승강링크부재 674 : 장착부
676 : 회동링크부재 680 : 가이드브라켓
682 : 보스부재 684 : 축설치홈부
686 : 이동레일부 688 : 승강홈부
689 : 덮개부재 690 : 제어부
700 : 좌우조절부 710 : 수직블레이드
720 : 동력부 730 : 회동작동부
740 : 슬라이드블록 742 : 제1슬라이드블록
744 : 제2슬라이드블록 750 : 회동링크부
752 : 걸림홈부 754 : 회동축부재
756 : 회동링크부재 758 : 걸림축
760 : 보호커버 770 : 가이드슬롯
100: rear cover part 110:
120: filter part 130: first insertion part
140: second nipple 150: first filter member
160: second filter member 162: pre-filter
164: electric dust filter 170: upper guide part
172: first guide rail 174: second guide rail
180: lower guide portion 182: third guide rail
184; Fourth guide rail 200: indoor heat exchanger
210: storage case 220:
222: boss portion 224: support bracket
226: fastening member 300:
310: a blowing fan 312; Blowing motor
320: Fan guard frame 330: Blower housing
340: partition wall part 350:
352: mounting bracket 354: fixing member
400: front frame part 500: blowing direction adjusting part
510: mood lighting part 520: depression
530: illumination cover part 540: illumination part
541: opening part 542: transmission plate
543: light emitting portion 544: finishing plate
545: substrate member 546; LED
550: binding portion 560: side binding portion
562: first side binding portion 564: second side binding portion
570: upper binding portion 572: first upper binding portion
574: second upper binding portion 576:
580: lower binding portion 600: upper and lower adjustment portion
610: horizontal blade 612: curved projection
614: curved groove portion B1: first horizontal blade group
B2: second horizontal blade group 620:
622: Pinion gear portion 530: Moving block
632: rack gear unit 650: operation switching unit
660: Inclined groove portion 670: Link portion
672: lifting link member 674:
676: rotation link member 680: guide bracket
682: boss member 684: shaft mounting groove
686: moving rail part 688: lifting groove part
689: lid member 690:
700: left / right adjusting portion 710: vertical blade
720: Power section 730:
740: Slide block 742: First slide block
744: second slide block 750:
752: engagement groove portion 754:
756: rotation link member 758:
760: protective cover 770: guide slot

Claims (10)

전후로 관통된 흡입구를 형성하는 후면커버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부;
상기 실내열환부의 전측에 구비되어 흡입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부;
상기 후면커버부와 결합되고, 토출구가 형성되는 전면프레임부; 및
상기 전면프레임부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부에서 토출되는 공기 송풍방향을 조절하는 송풍방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A rear cover part forming a suction port penetrating forward and backward;
An indoor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with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A blowing unit provided at a front 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 unit to blow the inhaled air;
A front frame part coupled to the rear cover part and having a discharge port; And
An air blowing direction adjusting unit provided in the front frame unit for adjusting an air blowing direction of the air blown out from the air blowing unit;
The air conditioner compri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부의 측면에는 필터부가 슬라이드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lter unit is slidably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rear cover uni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후면커버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삽입부;
상기 제1삽입부의 하부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후면커버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삽입부;
상기 제1삽입부에 삽입 설치되는 제1필터부재; 및
상기 제2삽입구에 삽입 설치되는 제2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lter unit includes:
A first insert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rear cover;
A second insert disposed adjacent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insert and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rear cover;
A first filter member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portion; And
And a second filter member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port
The air condition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열교환부는 설치부에 의해 상기 후면커버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door heat exchanger is installed on the rear cover part by an installation par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후면커버부의 형성되는 보스부;
상기 보스부에 접촉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실내열교환부에 구비되는 지지브라켓; 및
상기 지지브라켓의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보스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ounting portion
A boss portion formed in the rear cover portion;
A support bracket provid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having a hole to be in contact with the boss portion; And
And a fastening member penetrating through the hole of the support bracket and fastened to the boss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송풍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모터를 고정하고, 상기 송풍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그릴부재를 구비하는 팬가드프레임; 및
상기 팬가드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송풍팬의 둘레 측에서 토출 공기를 안내하는 블로워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lower
A blowing fan that is rotated by a blowing motor;
A fan guard frame having a grill member fixing the blowing motor and guiding air discharged from the blowing fan; And
A blower housing coupled to the fan guard frame and guiding discharged air on a circumferential side of the blower fan;
The air conditioner compri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프레임부의 하측에는 은은한 조명이 비춰지는 무드조명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mood illumination unit for illuminating a soft illumination is provided below the front frame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방향조절부는,
상기 전면프레임부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부에서 토출되는 바람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상하조절부; 및
상기 전면프레임부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부에서 토출되는 바람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좌우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lowing-
A top and bottom adjuster provided on the front frame part to vertically adjust a wind direction to be discharged from the wind-up part; And
A left and right adjusting unit provided on the front frame part and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to be horizontally ejected from the blowing unit;
The air conditioner comprising: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조절부는,
상기 전면프레임부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회동하는 다수개의 수평블레이드;
상기 전면프레임부에 구비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피니언기어부에 랙기어부가 치합되어 상기 전면프레임부에서 상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블록; 및
상기 이동블록의 길이방향 이동을 상기 수평블레이드의 회전작동으로 전환하는 동작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up-
A plurality of horizontal blades horizontally disposed in the front frame portion to rotate;
A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front frame unit to generate power;
A movable block engaged with a pinion gear portion of the driving portion and moving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front frame portion; And
And an operation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moving block to a rotating operation of the horizontal blade
The air conditioner comprising: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조절부는,
상기 전면프레임부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회동하는 다수개의 수직블레이드;
상기 전면프레임부에 설치되고 구동하는 동력부; 및
상기 동력부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수직블레이드를 회동시키는 회동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left-
A plurality of vertical blades vertically disposed and rotating in the front frame portion;
A power unit installed in and driving the front frame unit; And
And a rotating operation unit slidably moved by the power unit to rotate the vertical blade;
The air conditioner comprising:
KR1020150186704A 2015-12-24 2015-12-24 Air-conditioner KR2017007644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704A KR20170076440A (en) 2015-12-24 2015-12-24 Air-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704A KR20170076440A (en) 2015-12-24 2015-12-24 Air-conditio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440A true KR20170076440A (en) 2017-07-04

Family

ID=59357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704A KR20170076440A (en) 2015-12-24 2015-12-24 Air-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644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9969B1 (en) Air conditioner
KR101781845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170076446A (en) Air-conditioner
KR20170076445A (en) Air-conditioner
KR20060050138A (en) Air conditioner
CN101370676B (en) Horizontal louvers supporting stand used for evaporator unit
KR20090043232A (en) Air conditioner
KR20170076441A (en) Air-conditioner
KR100506896B1 (en) Air conditioner
KR200433894Y1 (en) The tilting rotation moter fan structure
KR20170076443A (en) Air-conditioner
KR20170070476A (en) Air-conditioner
KR20170076453A (en) Air-conditioner
KR100642364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1663831B1 (en)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KR20170076440A (en) Air-conditioner
KR20070094052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170069549A (en) Air-conditioner
KR20100051957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1328531B1 (en) Front cover of an air-conditioner and refrigerating apparatus outdoor unit
KR102508904B1 (en) Apparatus opening and shutting blade of air conditioner
KR20050105646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442268B1 (en) In-door-unit of ceiling type air-conditioner
JP2020024060A (en) Air treatment device
KR20230133615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