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401A -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6401A
KR20170076401A KR1020150186622A KR20150186622A KR20170076401A KR 20170076401 A KR20170076401 A KR 20170076401A KR 1020150186622 A KR1020150186622 A KR 1020150186622A KR 20150186622 A KR20150186622 A KR 20150186622A KR 20170076401 A KR20170076401 A KR 20170076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media resource
resource function
fun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준용
김용
강성균
우상우
허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50186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6401A/ko
Publication of KR20170076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4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통화를 연결하고 착신 단말로부터 착신 전환 번호를 수집하는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 및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에서 착신 전환 번호가 수집되면 발신 단말과 착신 전환 단말의 통화를 연결하는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여 단말 제약 없이 SIP방식으로 통화를 하는 모든 스마트폰에서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all forwarding services of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를 이용해서 통화를 설정하여 모든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통화 방식의 스마트폰에서 착신 전환이 가능하도록 한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내 유선폰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착신 전환(일명 돌려주기 기능)이 스마트폰에서는 지원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돌려주기 또는 착신 전환은 본인이 받은 전화를 다른 직원에게 손쉽게 전달하는 기능으로서, 유선폰에서는 후크버튼(혹은 수화기 거치버튼)을 누른 후, 다른 직원의 번호를 누르면 그 직원에게로 전화가 연결되는 기능이다.
스마트폰이 개인용도로 발전하면서 돌려주기 등의 기업용 부가서비스의 필요성이 적었으나, 근래에는 스마트폰을 회사 업무에 사용하는 빈도가 늘어나면서 스마트폰으로도 돌려주기 등 기업용 부가서비스를 할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스마트폰에서는 후크버튼 기능이 없기 때문에,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돌려주기가 불가능하다.
다만, 안드로이드(Android)폰에서는 통화대기(Hold)기능이 존재하므로 이를 이용해서 돌려주기 기능을 구현할 수는 있으나, 단말에 제약없이 모든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기반의 스마트폰에서 돌려주기를 하는 방법은 마땅치 않다.
국내공개특허번호 2012-0044680 국내공개특허번호 2012-0102745 국내공개특허번호 2010-004227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든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통화 방식의 스마트폰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를 이용해서 통화를 하고, 이를 이용하여 돌려주기를 구현하는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통화를 연결하고 착신 단말로부터 착신 전환 번호를 수집하는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에서 착신 전환 번호가 수집되면 발신 단말과 착신 전환 단말의 통화를 연결하는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로 제공하여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통화가 연결되도록 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가 착신 전환 번호를 수집하도록 하고, 착신 전환 번호가 수집되면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가 발신 단말과 착신 전환 단말의 통화를 연결하도록 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의 제1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발신 단말로부터 발신 단말의 세션 설정 정보를 포함한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제공하며,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수신된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와 세션 정보가 없는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로 제공하고,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는 자신의 세션 설정 정보를 포함한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제공하여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통화를 연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의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에 착신 전환 번호의 수집을 알리며,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가 착신 단말로부터 착신 전환 번호를 수집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의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착신 전환 번호가 수집되면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의 세션 설정 정보를 포함한 통화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로 전송하고,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는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세션을 연결하고, 발신 단말로 링백을 송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의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착신 전환 단말로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의 세션 설정 정보를 포함한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발신 단말과 착신 전환 단말로 통화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가 발신 단말과 착신 전환 단말의 통화를 연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의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착신 단말의 통화 해제 요청에 따라 통화 연결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통화를 연결하고 착신 단말로부터 착신 전환 번호를 수집하는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에서 착신 전환 번호가 수집되면 발신 단말과 착신 전환 단말의 통화를 연결하는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로 제공하여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통화가 연결되도록 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가 착신 전환 번호를 수집하도록 하고, 착신 전환 번호가 수집되면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가 발신 단말과 착신 전환 단말의 통화를 연결하도록 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A)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통화를 연결하고 착신 단말로부터 착신 전환 번호를 수집하는 단계; 및 (B)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가 상기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에서 착신 전환 번호가 수집되면 발신 단말과 착신 전환 단말의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의 상기 (A) 단계의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는, (A1) 제1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발신 단말로부터 발신 단말의 세션 설정 정보를 포함한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A2)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수신된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와 세션 정보가 없는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로 제공하는 단계; 및 (A3) 상기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는 자신의 세션 설정 정보를 포함한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제공하여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A2) 단계 이전에 (A4)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착신 단말의 식별 번호를 확인한 후에 착신 단말이 착신 전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 (A2)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의 상기 (A) 단계의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가 착신 전환 번호를 수집하는 단계는, (A5)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에 착신 전환 번호의 수집을 알리는 단계; 및 (A6) 상기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가 착신 단말로부터 착신 전환 번호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의 상기 착신 전환 번호의 수집은 착신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버튼을 누름에 따라 발생되는 듀얼톤주파수 신호(Dual Tone Multi Frequency; DTMF)를 수신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A) 단계 이후에, (C)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착신 전환 번호가 수집되면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의 세션 설정 정보를 포함한 재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D)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세션을 연결하는 단계; 및 (E)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세션 연결후에 상기 발신 단말로 기본링백을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의 상기 (B) 단계는 (B1)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착신 전환 단말로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의 세션 설정 정보를 포함한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B2)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발신 단말과 착신 전환 단말로 재통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B3)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가 발신 단말과 착신 전환 단말의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F)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에서 착신 전환 번호가 수집되면 착신 단말과 착신 전환 단말의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G)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착신 단말의 통화 해제 요청에 따라 통화 연결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통화시에 단말간 직접 통화를 하는 대신에,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MRF:Media Resource Function)를 상시 경유하여 통화를 하도록 하여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사용자가 누르는 숫자버튼 전송방식)를 상시 검출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든 후, 해당 환경에서 DTMF를 검출하여 다른 폰으로 연결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AS)와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MRF or MS)를 경유하도록 하여, 모든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통화 방식의 스마트폰에서 돌려주기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선전화기 상에서만 존재하던 돌려주기 기능을 단말 제약없이 SIP방식으로 통화를 하는 모든 스마트폰에서 적용이 가능한 발명으로, 이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업무를 처리하면서 불편하던 문제를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스마트폰으로의 업무처리를 더욱 원활하게 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통해 통신시장의 흐름이 유선에서 무선으로 넘어가는 데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방법의 통화 연결 신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방법의 번호 수집 신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방법의 착신 전환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방법의 착신 전환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방법의 착신 전환 신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3개의 단말(10)과, 네트워크 요소들(20)과, 호 세션 제어 기능부(30)와, 적어도 2개의 애플리케이션 서버(40)와, 적어도 2개의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3개의 단말(10)에서 단말A(11)는 발신 통신 디바이스이고, 단말B(12)는 착신 통신 디바이스이며, 단말C(13)는 착신 전환 통신 디바이스이다. 연관된 단말들(10)은 각각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IMS) 네트워크(1)에 개별적으로 등록할 수 있다.
상기 단말들(10)은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을 이용하여 호 세션 제어 기능부(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CSCF; 30)와 통신한다.
호 세션 제어 기능부(30)는 IMS 네트워크(1) 내에서 SIP 시그널링 패킷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SIP 서버들 및/또는 프록시들의 집합일 수 있다.
호 세션 제어 기능부는 프록시-CSCF(Proxy-CSCF; P-CSCF), a 서빙-CSCF(Serving-CSCF; S-CSCF), 및 인터로게이팅-CSCF(Interrogating-CSCF; I-CSCF)를 포함할 수 있다.
P-CSCF는 제 1 접촉 지점일 수 있다. IMS 네트워크(1) 내에서 단말들(10)에 의해 송신 및/또는 수신되는 메시지들은 P-CSCF를 통해 이동한다(travel). S-CSCF는 SIP 시그널링면 내의 중심 노드일 수 있다. I-CSCF는 질의 기능일 수 있다. 인입 호들(예를 들면, SIP INVITE 요청들)은 I-CSCF를 통해 이동한다.
단말들(10)과 호 세션 제어 기능부(30) 간의 통신들은 다양한 네트워크 요소들(20)을 이동한다. 그러나, 다양한 네트워크 요소들(20)을 이루는 각각의 중간 요소는 명확성을 높이기 위해 도시되지 않는다. 다양한 네트워크 요소들(20)은, (i) 액세스 네트워크들(예를 들면, 디지털 가입자 라인 액세스 다중화기 등), (ii) 게이트웨이들(예를 들면, 보더 게이트웨이(Border Gateway), IMS 게이트웨이, 시그널링 게이트웨이, 매체 게이트웨이 등), 및 (iii) 임의의 다른 중간매체 IMS 요소들(네트워크 첨부 서브시스템, 빌딩 자동화 시스템, 액세스-리소스 및 허가 기능, 정책결정 기능, 서비스-기반 정책 결정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호 세션 제어 기능부(30)는 SIP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들(Application Server; AS; 40) 및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들(Media Resource Function; MRF; 50)과 통신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들(40)는 단말들(10)에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실행하는 SIP 엔티티(entity)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들(40)에는 또한 연관된 단말들(10))이 공유 식별자를 갖는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들(40)에는 연관된 단말들(10)이 IMS 네트워크(1)에 등록하는지 여부 또는 언제 등록하는지가 알려질 수 있다.
한편,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들(50)는 매체 관련 기능들(예를 들면, 멀티-웨이 컨퍼런스 접속, 매체 조작, 알림들등)을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들(50)은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 제어기(MRFC) 및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 처리기(MRFP)를 포함할 수 있다. MRFC는 CSCF(30)에 대한 SIP 이용자 에이전트로서 동작할 수 있다. MRFP는 실제 매체 관련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인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발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1)는 발신 단말A(11)에서 통화 서비스가 선택되어 세션 설정 정보(SDP A)를 포함한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호 세션 제어 기능부(30)를 경유하여 수신하면, 세션 제어 기능부(30)를 경유하여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로 전달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발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1)는 발신 단말A(11)의 세션 설정 정보(SDP)를 확인한 후에 호 세션 제어 기능부(30)로 상기 발신 단말A(11)의 세션 설정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호 세션 제어 기능부(30)는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로 단말 A(11)의 세션 설정 정보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상기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는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 B(12)의 식별 번호를 확인한 후에 착신 단말B(12)가 착신 전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는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가 상기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에서 착신 단말B(12)의 식별 정보를 추출한 후에, 추출한 착신 단말B(12)의 식별 정보로 해당 사용자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조회하여 착신 전환 서비스 활성화 여부를 확인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사용자의 프로파일은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에 이미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착신 전환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이면,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는 일반 호 설정에서 처럼 바로 발신측 단말 B(12)로 호를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1)로 상기 발신 단말B(11)의 세션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는 세션 설정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착신 단말 B(12)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1)로 전송한다.
한편,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1)는 상기 발신 단말B(11)의 세션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발신 단말B(11)와 통화를 연결한다.
또한,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1)는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로부터 세션 설정 정보가 없는 착신 단말 B(12)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자신의 세션 설정 정보(SDP MRF1)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1)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가 수신하면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해당 단말 B(12)로 전송하여, 제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1)와 단말 B(12)간에 통화가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통화 연결에 따라 발신 단말 A(11) 및 발신 단말(B)와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1)는 발신 실시간 프로토콜(Real time Protocol; RTP) 패킷을 통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며, 그 결과 발신 단말 A(11)와 발신 단말 B(12) 간에 통화가 이루어진다.
이처럼 통화가 이루어지면,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가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1)로 착신 전환 번호 수집 메시지를 전송하여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1)는 단말 B(12)로부터 착신 전환 번호를 수집하도록 한다.
이러한 착신 전환 번호의 수집은 단말 B(12)로부터 사용자가 버튼을 누름에 따라 발생되는 듀얼톤주파수 신호(Dual Tone Multi Frequency; DTMF)를 수신하여 이루어진다. 일예로, 단말 B(12)는 착신번호 + 특수키(* or #)방식을 통해 착신번호를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MRF)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단말 B(12)로부터 착신 전환 단말C(13)의 착신 전환 번호가 수집되면 이를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1)는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52)로 알려준다.
그러면,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는 단말 C(13)와 통화를 제공할 수 있는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2)의 세션 설정 정보를 포함한 통화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단말 A(11)와 단말 B(12)로 전송하여, 단말 A(11)와 단말 B(11)가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2)와 세션을 연결하도록 한다.
이처럼 단말 A(11)와 단말 B(12)가 세션이 연결되면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는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2)로 기본링백 신호를 단말 A로 송출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대기하도록 한다.
이처럼 안내 방송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2)는 단말 A(11)로 기본링백 신호를 송출하여 단말 A(11)의 사용자가 대기하도록 한다.
한편, 이와 같은 상황에서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는 착신 전환 단말 C(13)로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의 세션 설정 정보를 포함한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의 세션 정보를 포함한 통화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단말 A(11)와 단말 C(13)로 전송하여 통화를 재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통화 재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단말 A(11)와 단말 C(13)가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2)와 통화를 재설정하면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2)는 단말 A(11)와 단말 C(13)간에 통화를 연결한다.
이러한 통화 연결에 따라 발신 단말 A(11)와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2)는 발신 실시간 프로토콜(Real time Protocol; RTP) 패킷을 통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며(S316),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2)와 단말C(13) 간에 발신 실시간 프로토콜(Real time Protocol; RTP) 패킷을 통하여 통화가 이루어져(S318) 단말 A(11)와 단말 C(13) 간에 통화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착신 전환 과정 중에서 단말 B와 단말 C를 연결하여 단말 B 사용자가 단말 C의 사용자에게 착신 전환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도록 구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방법에서 단말 B(12)의 사용자가 통화를 종료하게 되면 이에 따라 단말 B(12)는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로 통화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여 통화를 해제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단말 B의 통화를 계속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는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의 세션 정보를 포함한 통화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단말 A(11)와, 단말 B(12) 그리고 단말 C(13)로 전송하여 통화를 재설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착신 전환 과정은 단말 B(12)의 호 종료가 없어 단말 A와, 단말 B 그리고 단말 C간의 회의 통화가 가능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방법의 통화 연결 신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방법의 통화 연결 과정은 발신 단말A(11)에서 통화 서비스를 선택하면, 상기 발신 단말A(11)가 연결된 발신측 호세션 제어 기능부(31)로 세선 설정 정보(SDP A)를 포함한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100). 이러한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는 INVITE 메시지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발신측 호 세션 제어 기능부(31)는 단말 A(11)로부터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를 발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1)로 전달한다(S102).
그러면 발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1)는 착신 단말B(12)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하는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로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발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1)는 발신 단말A(11)의 세션 설정 정보(SDP)를 확인한 후에 발신측 호 세션 제어 기능부(31)로 상기 발신 단말A(11)의 세션 설정 정보를 전송한다(S104).
그러면, 상기 발신측 호 세션 제어 기능부(31)는 착신 단말 B(12)의 관련 정보를 확인한 후에 해당 착신측 호세션 제어 기능부(32)로 발신 단말A(11)의 세션 설정 정보를 전송한다(S106).
이에 따라 착신측 호 세션 제어 기능부(32)는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로 단말 A(11)의 세션 설정 정보를 전송한다(S108).
이와 같이 착신 애플리케이션 서버(42)는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 B(12)의 식별 번호를 확인한 후에 착신 단말B(12)이 착신 전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는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가 상기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에서 착신 단말B(12)의 식별 정보를 추출한 후에, 추출한 착신 단말B(12)의 식별 정보로 해당 사용자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조회하여 착신 전환 서비스 활성화 여부를 확인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사용자의 프로파일은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에 이미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착신 전환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이면,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는 일반 호 설정에서 처럼 바로 발신측 단말 B(12)로 호를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1)로 상기 발신 단말B(11)의 세션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110).
이와 같이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1)는 상기 발신 단말B(11)의 세션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발신 단말B(11)와 통화를 연결한다(S118).
한편,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는 세션 설정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착신 단말 B(12)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1)로 전송한다(S112).
이처럼,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로부터 세션 설정 정보가 없는 착신 단말 B(12)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1)가 수신하면 자신의 세션 설정 정보(SDP MRF1)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로 전송한다(S114). 이러한 응답 메시지를 OK 메시지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1)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가 수신하면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해당 단말 B(12)로 전송하여(S116), 제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1)와 단말 B(12)간에 통화가 연결되도록 한다(S118).
이러한 통화 연결에 따라 발신 단말 A(11)와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1)는 발신 실시간 프로토콜(Real time Protocol; RTP) 패킷을 통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며(S120),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1)와 착신 단말B(12) 간에 발신 실시간 프로토콜(Real time Protocol; RTP) 패킷을 통하여 통화가 이루어져(S122) 단말 A(11)와 단말 B(12) 간에 통화가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방법의 번호 수집 신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방법의 번호 수집 신호 흐름은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가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1)로 착신 전환 번호 수집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러한 착신 전환 번호 수집 메시지는 PC(play collect) 지시를 포함한 INFO 메시지 형태로 제공된다(S200).
이와 같은 착신 전환 번호 수집 메시지를 수신한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1)는 단말 B(12)로부터 착신 전환 번호를 수집한다(S202).
이러한 착신 전환 번호의 수집은 단말 B(12)로부터 사용자가 버튼을 누름에 따라 발생되는 듀얼톤주파수 신호(Dual Tone Multi Frequency; DTMF)를 수신하여 이루어진다. 일예로, 단말 B(12)는 착신번호 + 특수키(* or #)방식을 통해 착신번호를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MRF)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단말 B(12)로부터 착신 전환 단말C(13)의 착신 전환 번호가 수집되면 이를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1)는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52)로 알려준다(S204). 이러한 과정은 INFO 메시지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면,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는 단말 C(13)와 통화를 제공할 수 있는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2)의 세션 설정 정보를 포함한 통화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단말 A(11)와 단말 B(12)로 전송한다(S206, S208). 이러한 통화 재설정 요청 메시지는 reINVITE 메시지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의 세션 설정 정보를 포함한 통화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 A(11)와 단말 B(11)는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2)와 세션을 연결한다(S210, S212).
이처럼 단말 A(11)와 단말 B(12)가 세션이 연결되면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는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2)로 기본링백 신호를 송출하도록 하기 위한 안내 방송 지시 메시지를 전송한다(S214). 이러한 안내 방송 지시 메시지는 안내 방송 지시(Play announce)를 포함한 INFO 메시지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안내 방송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2)는 단말 A(11)로 기본링백 신호를 송출하여 단말 A(11)의 사용자가 대기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방법의 착신 전환 과정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방법의 착신 전환 과정은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가 착신 전환 단말 C(13)로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의 세션 설정 정보를 포함한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300).
이러한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단말 C(13)의 사용자가 수락하여 통화를 설정하기를 원하면 단말C(13)는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302). 이러한 응답 메시지는 200 OK 메시지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 C(13)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S304). 확인 메시지는 ACK 메시지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통화가 설정되면 단말 B(12)의 사용자는 통화를 종료하게 되며 이에 따라 단말 B(12)는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로 통화 해제 메시지를 전송한다(S306). 상기 통화 해제 메시지는 BYE 메시지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단말 B로부터 통화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면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고(S308),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의 세션 정보를 포함한 통화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단말 A(11)와 단말 C(13)로 전송하여 통화를 재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통화 재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단말 A(11)와 단말 C(13)가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2)와 통화를 재설정하면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2)는 단말 A(11)와 단말 C(13)간에 통화를 연결한다(S314).
이러한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2)에 의한 통화 연결은 단말 A(11)와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2)의 통화 연결과,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2)와 단말 C(13)간의 통화 연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통화 연결에 따라 발신 단말 A(11)와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2)는 발신 실시간 프로토콜(Real time Protocol; RTP) 패킷을 통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며(S316),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2)와 단말C(13) 간에 발신 실시간 프로토콜(Real time Protocol; RTP) 패킷을 통하여 통화가 이루어져(S318) 단말 A(11)와 단말 C(13) 간에 통화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착신 전환 과정 중에서 S300와 S306 사이에 단말 B와 단말 C를 연결하여 단말 B 사용자가 단말 C의 사용자에게 착신 전환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도록 구현 가능하다. 즉,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S305와 같이 단말 B(12)와 단말 C(13) 간에 통화를 설정하여 착신 전환에 대한 설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방법의 착신 전환 과정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방법의 착신 전환 과정은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가 착신 전환 단말 C(13)로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의 세션 설정 정보를 포함한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300).
이러한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단말 C(13)의 사용자가 수락하여 통화를 설정하기를 원하면 단말C(13)는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302). 이러한 응답 메시지는 200 OK 메시지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 C(13)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S304). 확인 메시지는 ACK 메시지로 이루어져 있다.
이후에, 착신측 애플리케이션 서버(42)는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의 세션 정보를 포함한 통화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단말 A(11)와, 단말 B(12) 그리고 단말 C(13)로 전송하여 통화를 재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S310, S311, S312).
이러한 통화 재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단말 A(11)와, 단말 (B) 그리고 단말 C(13)가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2)와 통화를 재설정하면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2)는 단말 A(11)와, 단말 B(12) 그리고 단말 C(13)간에 통화를 연결한다(S314).
이러한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2)에 의한 통화 연결은 단말 A(11)와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2)의 통화 연결과, 단말 B(12)와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2)의 통화 연결 그리고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2)와 단말 C(13)간의 통화 연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통화 연결에 따라 발신 단말 A(11)와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2)는 발신 실시간 프로토콜(Real time Protocol; RTP) 패킷을 통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며(S316), 발신 단말 A(11)와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2)는 발신 실시간 프로토콜(Real time Protocol; RTP) 패킷을 통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며(S317),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52)와 단말B(12) 간에 발신 실시간 프로토콜(Real time Protocol; RTP) 패킷을 통하여 통화가 이루어져(S318) 단말 A(11)와 단말B(12) 그리고 단말 C(13) 간에 통화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전환 과정은 도 4와 달리 단말 B(12)의 호 종료가 없어 단말 A와, 단말 B 그리고 단말 C간의 회의 통화가 가능하게 한다.
10, 11, 12, 13 : 단말 20 : 네트워크 요소들
30 : 호 세션 제어 기능부 40, 41, 42 : 애플리케이션 서버
50, 51, 52 :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

Claims (15)

  1.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통화를 연결하고 착신 단말로부터 착신 전환 번호를 수집하는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에서 착신 전환 번호가 수집되면 발신 단말과 착신 전환 단말의 통화를 연결하는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로 제공하여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통화가 연결되도록 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가 착신 전환 번호를 수집하도록 하고, 착신 전환 번호가 수집되면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가 발신 단말과 착신 전환 단말의 통화를 연결하도록 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제1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발신 단말로부터 발신 단말의 세션 설정 정보를 포함한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제공하며,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수신된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와 세션 정보가 없는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로 제공하고,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는 자신의 세션 설정 정보를 포함한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제공하여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통화를 연결하는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시스템.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에 착신 전환 번호의 수집을 알리며,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가 착신 단말로부터 착신 전환 번호를 수집하는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시스템.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착신 전환 번호가 수집되면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의 세션 설정 정보를 포함한 통화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로 전송하고,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는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세션을 연결하고, 발신 단말로 기본링백을 송출하는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시스템.
  5.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착신 전환 단말로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의 세션 설정 정보를 포함한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발신 단말과 착신 전환 단말로 통화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가 발신 단말과 착신 전환 단말의 통화를 연결하는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시스템.
  6.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착신 단말의 통화 해제 요청에 따라 통화 연결을 종료하는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시스템.
  7. (A)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통화를 연결하고 착신 단말로부터 착신 전환 번호를 수집하는 단계; 및
    (B)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가 상기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에서 착신 전환 번호가 수집되면 발신 단말과 착신 전환 단말의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방법.
  8.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는,
    (A1) 제1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발신 단말로부터 발신 단말의 세션 설정 정보를 포함한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A2)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수신된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와 세션 정보가 없는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로 제공하는 단계; 및
    (A3) 상기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는 자신의 세션 설정 정보를 포함한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제공하여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방법.
  9. 청구항 8항에 있어서,
    상기 (A2) 단계 이전에
    (A4)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착신 단말의 식별 번호를 확인한 후에 착신 단말이 착신 전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 (A2)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방법.
  10.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가 착신 전환 번호를 수집하는 단계는,
    (A5)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에 착신 전환 번호의 수집을 알리는 단계; 및
    (A6) 상기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가 착신 단말로부터 착신 전환 번호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방법.
  11. 청구항 10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전환 번호의 수집은 착신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버튼을 누름에 따라 발생되는 듀얼톤주파수 신호(Dual Tone Multi Frequency; DTMF)를 수신하여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방법.
  12.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에,
    (C)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착신 전환 번호가 수집되면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의 세션 설정 정보를 포함한 재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로 전송하여 단계;
    (D)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세션을 연결하는 단계; 및
    (E)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세션 연결후에 상기 발신 단말로 기본링백을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시스템.
  13.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착신 전환 단말로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의 세션 설정 정보를 포함한 통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B2)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발신 단말과 착신 전환 단말로 재통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B3) 제2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가 발신 단말과 착신 전환 단말의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시스템.
  14. 청구항 7항에 있어서,
    (F)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제1 미디어 리소스 기능부에서 착신 전환 번호가 수집되면 착신 단말과 착신 전환 단말의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방법.
  15. 청구항 7항에 있어서,
    (G) 제2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착신 단말의 통화 해제 요청에 따라 통화 연결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방법.
KR1020150186622A 2015-12-24 2015-12-24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764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622A KR20170076401A (ko) 2015-12-24 2015-12-24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622A KR20170076401A (ko) 2015-12-24 2015-12-24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401A true KR20170076401A (ko) 2017-07-04

Family

ID=59357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622A KR20170076401A (ko) 2015-12-24 2015-12-24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64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002B1 (ko) Ims 등록 사용자를 위한 호 처리
KR100933121B1 (ko) Ims 도메인을 통한 실시간 서비스를 포함하는 ims 단말의 호 요청을 csi 단말이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EP173718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ing communications sessions to form a communications connection and method of seamless handoff between cellular and wireless packet services
KR100775349B1 (ko) 서비스 도메인 선택 방법 및 장치
US8494527B2 (en) Method for transferring a communication session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from a first connection to a second connection
WO2008119272A1 (fr) Procédé, terminal et système de mise en oeuvre d'une liaison vidéo dans un réseau de communication vocale
RU2592857C2 (ru) Сервер приложений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с группой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х объектов
WO2006064347A1 (en) Method and system to the instant transfer of multimedia files between mobile radio users within the scope of combinational services
US20080070528A1 (en) Mid-Call Features
EP1914973B1 (en)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combinational services to anonymous callers
KR101089046B1 (ko) 멀티미디어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922953B1 (ko)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 호 변경 요청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JP2007325191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セッション継続方法
KR20170078426A (ko)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9521267B2 (en) Method, network node and application service for making available call detail records in an IP multimedia subsystem type network
KR20170076401A (ko)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057701B (zh) 在通信网络中实现呼叫等待功能的方法
CN101286951B (zh) 一种会话抢占方法
KR100705581B1 (ko) SIP를 이용한 VoIP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MCID등록 장치 및 방법
KR102049587B1 (ko) 착신망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장애 처리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383031B1 (ko) 음성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패킷 서비스 시스템 및 부가서비스 제어기
KR101208119B1 (ko)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sip 기반 영상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6549523B2 (ja) 要求先端末のオプション機能の非使用を整合する網間制御方法、sip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KR100963010B1 (ko)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sip 기반 영상통화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US20140134973A1 (en) Voice communication server apparatus and voic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