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3498A - Combine - Google Patents

Comb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3498A
KR20170073498A KR1020160170274A KR20160170274A KR20170073498A KR 20170073498 A KR20170073498 A KR 20170073498A KR 1020160170274 A KR1020160170274 A KR 1020160170274A KR 20160170274 A KR20160170274 A KR 20160170274A KR 20170073498 A KR20170073498 A KR 20170073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pressure
curling
curled
grapefr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2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다다시 하마니시
유우키 후쿠이
요오헤이 시모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70073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49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60Grain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Abstract

곡립이 곡립 탱크 내에 투입되었을 때, 곡립 탱크의 내압이 상승하기 어려운 콤바인을 제공한다.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측벽에 곡립 투입구(6a)가 설치되고, 탈곡된 곡립이 저류되는 곡립 탱크(6)와, 탈곡 장치와 곡립 투입구(6a)를 연결하고, 또한 탈곡된 곡립을 탈곡 장치로부터 곡립 투입구(6a)까지 반송하여, 곡립 투입구(6a)로부터 투입하는 곡립 반송 장치(10)를 구비하고, 곡립 탱크(6)의 내부에 감압 센서(11a, 11b, 11c)가 설치되어 있고, 곡립 탱크(6)의 측벽에 있어서의 감압 센서(11a, 11b, 11c)보다 높은 위치에, 곡립 탱크(6)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압력 방출 개구(6b)가 설치되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bine in which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grape tanks is unlikely to rise when the grains are fed into the grape tanks.
A grazing tank 6 in which curled grains are stored, a graining tank 6 in which a graining inlet 6a is provided on a sidewall of the graining tank 6, (10a, 10b, 11c) are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grapefruit tank (6), and the grapefruit feeder (10) feeds the grapefruit to the grapefruit filling port (6a) And a pressure discharge opening 6b is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pressure sensors 11a, 11b and 11c on the side wall of the curling tank 6 so as to communicate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urling tank 6. [

Figure P1020160170274
Figure P1020160170274

Description

콤바인 {COMBINE}Combine {COMBINE}

본 발명은, 곡립 탱크가 구비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ine equipped with a grape tanks.

상기한 바와 같은 콤바인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이미 알려져 있다. 이 콤바인은,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측벽에 곡립 투입구(도입구)가 설치되고, 탈곡된 곡립이 저류되는 곡립 탱크(그레인 탱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콤바인은, 탈곡 장치와 곡립 투입구를 연결하고, 또한 탈곡된 곡립을 탈곡 장치로부터 곡립 투입구까지 반송하여, 곡립 투입구로부터 투입하는 곡립 반송 장치(리프팅 스크루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콤바인의 곡립 탱크의 내부에는, 감압 센서(벼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감압 센서에 의해, 곡립 탱크 내에 있어서의 곡립의 저류량이 검지된다.As such combiners, for example, thos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are already known. The combine has a threshing device for performing a threshing process on a cutting gap, and a grapefruit tank (grain tank) having a curved feeding opening (inlet) on the side wall and storing the curled grains. The combine also has a curling conveyor (lifting screw conveyor) for connecting a threshing device and a curling inlet, further transferring the curled curl from the threshing device to the curling inlet, and feeding the curled curling from the curling inlet. Further, a decompression sensor (rice sensor) is provided inside the curling tank of the combine. By this pressure-reducing sensor, the amount of accumulated curl in the grainy tank is detected.

일본 특허 공개 평9-308367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9-308367

상기 콤바인에서는, 곡립이 곡립 탱크 내에 투입되었을 때, 곡립 탱크 내의 공기가 압축됨으로써 곡립 탱크의 내압이 상승하기 쉽다. 그리고, 이러한 곡립 탱크의 내압의 상승에 의해, 감압 센서가 반응하여, 곡립 탱크 내에 있어서의 곡립의 저류량이 잘못 검지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In the combine, when the grains are introduced into the grape tanks, the pressure in the grape tanks tends to rise because the air in the grape tanks is compressed. The increase in the internal pressure of such a grapefruit tank may cause the pressure sensor to react and erroneously detect the amount of stored grains in the grapefruit tank.

본 발명의 목적은, 곡립이 곡립 탱크 내에 투입되었을 때, 곡립 탱크의 내압이 상승하기 어려운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bine in which the inner pressure of the grape tanks is hard to rise when the grains are fed into the grape tanks.

본 발명의 특징은,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A threshing device for performing a threshing process on the cut-

측벽에 곡립 투입구가 설치되고, 탈곡된 곡립이 저류되는 곡립 탱크와,A graining tank in which a curved inlet is provided in a side wall,

상기 탈곡 장치와 상기 곡립 투입구를 연결하고, 또한 탈곡된 곡립을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상기 곡립 투입구까지 반송하여, 상기 곡립 투입구로부터 투입하는 곡립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And a curled conveying device which connects the curling device and the curling inlet and further transports the curled curling from the curling device to the curling inlet and feeds the curled curling from the curling inlet,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에 감압 센서가 설치되어 있고,A pressure reducing sensor is installed inside the curling tank,

상기 곡립 탱크의 측벽에 있어서의 상기 감압 센서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압력 방출 개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있다.And a pressure-releasing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orrugated tank is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pressure-reducing sensor on the sidewall of the corrugated tank.

본 발명이면, 곡립 탱크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압력 방출 개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곡립 탱크 내의 공기는, 압력 방출 개구로부터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그로 인해, 곡립이 곡립 탱크 내에 투입되었을 때, 곡립 탱크 내의 공기가 압축되기 어렵다. 따라서, 곡립 탱크의 내압이 상승하기 어렵다. 게다가, 압력 방출 개구는, 곡립 탱크의 측벽에 있어서의 감압 센서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적어도, 곡립 탱크 내에 있어서의 곡립의 퇴적 높이가 감압 센서의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은, 압력 방출 개구가 곡립에 의해 묻히지 않아, 확실하게 압력 방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essure-releasing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urling tank is provided, the air in the curling tank can escape from the pressure-releasing opening to the outside. As a result, when the grains are introduced into the grape tanks, the air in the grape tanks is less likely to be compressed. Therefore, the inner pressure of the grape tanks is unlikely to rise. In addition, the pressure release opening is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pressure reduction sensor in the side wall of the curling tank. Therefore, at least until the accumulated height of the curled grains in the grained tank reaches the height of the pressure-reducing sensor, the pressure-releasing opening is not buried by the curled-up so that the pressure can reliably be release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압력 방출 개구가, 상기 곡립 투입구의 하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ure-releasing opening is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curling inlet.

이 구성에 따르면, 적어도, 곡립 탱크 내에 있어서의 곡립의 퇴적 높이가 곡립 투입구의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은, 압력 방출 개구가 곡립에 의해 묻히지 않아, 더욱 확실하게 압력 방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t least the pressure discharge opening is not buried by the curvature during the time until the accumulated height of the curled graft in the curled tank reaches the height of the grooved inlet, thereby reliably releasing the pressur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압력 방출 개구는, 상기 곡립 탱크의 측벽 중, 상기 곡립 투입구가 설치된 측벽에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The pressure releasing opening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curled tank provided with the curved inlet.

곡립 투입구로부터 곡립 탱크 내로 투입된 곡립은, 곡립 투입구가 설치된 측벽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퇴적되어 가기 쉽다. 따라서, 곡립 탱크 내에 있어서의 곡립의 퇴적 높이는, 곡립 투입구가 설치된 측벽의 근방에서는, 비교적 낮아지기 쉽다. 그로 인해, 이 구성에 따르면, 압력 방출 개구가 곡립에 의해 묻히기 어려워, 압력 방출의 확실성이 향상된다.The grains fed into the grapefruit tank from the grapefruit inlet are liable to be deposit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side wall provided with the grapefruit inlet. Therefore, the accumulation height of the curled grains in the grained tank is relatively low in the vicinity of the side wall provided with the grooved inlet. Therefor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pressure-releasing opening is hardly buried by the curvature, and the reliability of the pressure releasing is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에, 상기 압력 방출 개구를 덮으면서, 하측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압력 방출 개구와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내부 덕트 커버를 구비하고 있으면 적합하다.And an inner duct cover which opens in the lower direction while covering the pressure discharge openings and communicates the pressure discharge openings with the inside of the corrugated tank is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corrugated tank.

이 구성에 따르면, 내부 덕트 커버에 의해, 압력 방출 개구가 덮임과 함께, 압력 방출 개구와 곡립 탱크의 내부가 연통된다. 그로 인해, 곡립 탱크 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면서도, 곡립이 압력 방출 개구를 통과하여 곡립 탱크의 외부로 튀어나가 버리는 사태가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게다가, 내부 덕트 커버는 하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으므로, 상측 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내부 덕트 커버 내로 곡립이 들어가기 어렵다. 또한, 가령 내부 덕트 커버 내로 곡립이 들어가도, 그 곡립은 곡립 탱크 내로 낙하하므로, 내부 덕트 커버 내에 곡립이 체류하지 않는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inner duct cover covers the pressure-releasing opening, and communicates the pressure-releasing opening with the inside of the corrugated tank.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air in the grape tanks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but it is also difficult to cause the grains to protrude out of the grape tanks through the pressure discharge openings. In addition, since the inner duct cover is opened in the lower direction, it is difficult to allow the curved portion to enter into the inner duct cover,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inner duct cover is opened upwardly or laterally. Further, even if the curved lid enters into the inner duct cover, the curled lid drops into the curled tank, so that the curled lid does not stay in the inner duct cover.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곡립 탱크의 외부에, 상기 압력 방출 개구를 덮으면서, 하측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압력 방출 개구와 상기 곡립 탱크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외부 덕트 커버를 구비하고 있으면 적합하다.And an outer duct cover which is opened to the lower side and covers the pressure discharge openings and communicates the pressure discharge openings with the outside of the corrugated tank is provided outside the corrugated tank.

이 구성에 따르면, 외부 덕트 커버에 의해, 압력 방출 개구가 덮임과 함께, 압력 방출 개구와 곡립 탱크의 외부가 연통된다. 그로 인해, 곡립 탱크 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면서도, 비나 눈 등이 압력 방출 개구를 통과하여 곡립 탱크의 내부로 들어가 버리는 사태가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게다가, 외부 덕트 커버는 하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으므로, 상측 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외부 덕트 커버 내로 비나 눈 등이 들어가기 어렵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pressure discharge opening is covered by the external duct cover, and the pressure discharge opening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grapefruit tank. This makes it possible to allow the air in the grappling tank to escape to the outside, but it is also less likely that rain, snow, etc. will pass through the pressure discharge opening and enter the inside of the grape tanks. In addition, since the outer duct cover is opened downward, rain, snow, etc. are hard to enter into the outer duct cover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outer duct cover is opened upwardly or laterally.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곡립 탱크의 측벽에, 복수의 상기 압력 방출 개구가 설치되어 있고,Wherein a plurality of the pressure-releasing openings are provided on side walls of the curling tanks,

상기 복수의 압력 방출 개구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곡립 탱크에 있어서의 상기 곡립 투입구가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일방 측의 영역과 타방 측의 영역에 분산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pressure-releasing openings are dispersedly disposed on one side region and the other side region with reference to a position where the curled-in injection port in the curling tank is installed as viewed from the top.

복수의 압력 방출 개구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모든 압력 방출 개구가 곡립에 의해 묻히면, 곡립 탱크 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기 어려워진다. 그러나, 이 구성에 따르면, 일방 측의 영역에 배치된 압력 방출 개구가 곡립에 의해 묻힌 경우라도, 타방 측의 영역에 배치된 압력 방출 개구가 묻히지 않으면, 모든 압력 방출 개구가 묻혀 버리는 일은 없다. 따라서, 모든 압력 방출 개구를 일방 측의 영역에 집중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 모든 압력 방출 개구가 묻혀 버리는 것이 방지되어, 곡립 탱크 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기 어려워지는 사태를 회피하기 쉽다.When a plurality of pressure-releasing openings are provided, if all the pressure-releasing openings are buried by the grooves, the air in the grouting tanks becomes difficult to escape to the outside. However,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if the pressure-releasing opening disposed in the region on one side is buried by the curled-up, all of the pressure-releasing openings will not be buried unless the pressure-releasing opening disposed in the region on the other side is buried. Therefor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all of the pressure-releasing openings are concentrically arranged in the region on one side, all of the pressure-releasing openings are prevented from being buried, and it is easy to avoid the situation that air in the corrugated tank is difficult to escape to the outside.

도 1은 자탈형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2는 곡립 탱크 내의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3은 자탈형 콤바인의 일부 파단 배면도이다.
도 4는 내부 덕트 커버 및 외부 덕트 커버의 설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그 밖의 다른 실시 형태 (6)에 있어서의 복수의 압력 방출 개구의 배치를 도시하는 횡단 평면도이다.
도 6은 제1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곡립 탱크 내의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 평면도이다.
도 7은 제1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곡립 탱크 내의 구획의 구조를 도시하는 횡단 평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 self-removing combine.
2 is a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a grape tanks.
3 is a partially broken rear view of the self-removing type combine.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inner duct cover and the outer duct cover.
5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pressure-releasing openings in another embodiment (6).
6 is a longitudinal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in a curling tank according to the first alternative embodiment.
Fig. 7 is a transverse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mpartment in a curling tank according to the first alternative embodiment. Fig.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 1, 도 5, 도 7에 나타내는 화살표 F의 방향을 「전방」, 화살표 B의 방향을 「후방」, 화살표 L의 방향을 「좌측」, 화살표 R의 방향을 「우측」으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 shown in Figs. 1, 5 and 7 is referred to as "front",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as "backward", the direction of the arrow L as "left" Quot; right side ".

〔자탈형 콤바인의 전체 구성〕[Overall configuration of self-debulking combine]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6조 예취식 자탈형 콤바인의 기체 전방부에는, 포장의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1)가 설치되어 있다. 예취부(1)의 후방에는, 운전부(3)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부(3)는 운전 좌석(4)을 구비하고 있다. 운전부(3)의 후방에는, 곡립 탱크(6)가 설치되어 있다. 곡립 탱크(6)의 좌측에는, 탈곡 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부(3)의 하방측에는, 구동용 엔진(7)이 구비되어 있다. 이 자탈형 콤바인은, 엔진(7)의 동력이 각 부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 pre-loading section 1 is provided in the front part of the base of the six-group pre-formatter demoulding combine, taking an example of the space between the packages. An operation section 3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preload section 1. The operation section 3 is provided with a driver's seat 4. At the rear of the operation section 3, a grapefruit tank 6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grapefruit tank 6, a threshing device 5 is provided. Further, a drive engine 7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operation section 3. This decoupling combine is configured so that the power of the engine 7 is transmitted to each part.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6)는, 전방, 후방, 좌측, 우측의 4개의 측벽을 갖고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6)에 있어서의 좌측의 측벽(6A)에는, 곡립 투입구(6a)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5)와 곡립 투입구(6a)는, 곡립 반송 장치(1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탈곡 장치(5) 및 곡립 탱크(6)는, 기체 프레임(8)에 지지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grapefruit tank 6 has four side walls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As shown in Fig. 2, a curved inlet 6a is provided in the left side wall 6A of the curling tank 6.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3, the threshing device 5 and the curling inlet 6a are connected by a curled-conveying device 10. The threshing device 5 and the grainy tank 6 are supported by the base frame 8.

예취부(1)에 의해 예취된 곡간은, 탈곡 장치(5)로 반송된다. 탈곡 장치(5)에 있어서, 예취 곡간은 탈곡 처리된다. 탈곡된 곡립은, 스크루식 곡립 반송 장치(10)에 의해, 탈곡 장치(5)로부터 곡립 투입구(6a)까지 반송되고, 곡립 반송 장치(10)의 반송 종단부에 설치된 회전 날개(10a)에 의해, 곡립 투입구(6a)로부터 곡립 탱크(6) 내로 투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탈곡된 곡립은 곡립 탱크(6)에 저류된다.The curtain cut by the pre-loading unit (1) is conveyed to the threshing unit (5). In the threshing device (5), the cut grooves are throttled. The curled curl is conveyed from the curling apparatus 5 to the curling inlet 6a by the screw-type curling conveyor 10 and is conveyed by the rotary blade 10a provided at the conveying end of the curling conveyor 10 , And is fed into the grapefruit tank 6 from the grapefruit inlet 6a. In this manner, the curled grains are stored in the grapefruit tank 6.

〔감압 센서 및 압력 방출 개구에 관한 구성〕[Configuration relating to the pressure-reducing sensor and the pressure-releasing opening]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6)의 내부에는, 3개의 감압 센서(11a, 11b, 11c)가 설치되어 있다. 감압 센서(11a, 11b)는, 곡립 탱크(6)에 있어서의 좌측의 측벽(6A)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감압 센서(11c)는, 곡립 탱크(6)에 있어서의 후방의 측벽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감압 센서(11a, 11b, 11c) 중, 감압 센서(11a)가 가장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감압 센서(11c)가 가장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감압 센서(11b)는, 높이 방향에서, 감압 센서(11a)와 감압 센서(11c) 사이에 있어서의 중앙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ree depressurization sensors 11a, 11b and 11c are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grapefruit tank 6. As shown in Fig. The pressure sensors 11a and 11b are provided inside the left side wall 6A of the grapefruit tank 6. [ Further, the pressure-reducing sensor 11c is provided inside the rear side wall of the curling tank 6. Of these pressure sensors 11a, 11b and 11c, the pressure sensor 11a is installed at the highest position and the pressure sensor 11c is installed at the lowest position. The decompression sensor 11b is provided at the center between the decompression sensor 11a and the decompression sensor 11c in the height direction.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부(3)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4)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위치에, 표시부(12)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12)는, 곡립 탱크(6) 내의 곡립 저류량을 포함하여, 이 자탈형 콤바인에 있어서의 각종 상황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display section 12 is provided at a position visible from the driver's seat 4 in the operation section 3. [ The display unit 12 is configured to be able to display various conditions in the self-deactivating combine, including the curled-up amount in the curling tank 6.

감압 센서(11a, 11b, 11c)는, 곡립 탱크(6) 내에 퇴적된 곡립의 압력을 받으면, 이 자탈형 콤바인에 구비되는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온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 장치는, 수신한 온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부(12)에 있어서의 표시 내용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부(12)에 있어서의 표시 내용은, 곡립 탱크(6) 내의 곡립 저류량에 대응한 표시 내용이 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는, 곡립 탱크(6) 내의 곡립은,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압 센서(11a)와 감압 센서(11b) 사이의 높이까지 퇴적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감압 센서(11b) 및 감압 센서(11c)는 곡립의 압력을 받고 있으므로, 제어 장치에 온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감압 센서(11a)는 곡립의 압력을 받고 있지 않으므로, 제어 장치에 온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어 장치는, 감압 센서(11b) 및 감압 센서(11c)로부터 수신한 온 신호에 기초하여, 감압 센서(11a)와 감압 센서(11b) 사이의 높이까지 곡립이 퇴적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도록, 표시부(12)에 있어서의 표시 내용을 제어한다.When the pressure sensors 11a, 11b, and 11c receive the pressure of the curved sediment accumulated in the curling tank 6, the pressure sensors 11a, 11b, and 11c transmit an on signal to a control device (not shown) The control device controls the display contents on the display unit 12 based on the received ON signal. In this manner, the contents of the display on the display unit 12 correspond to the display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the curved storage in the curling tank 6. For example, in Fig. 2, the curvature in the curling tank 6 is deposited to a height between the pressure-reducing sensor 11a and the pressure-reducing sensor 11b, as indicated by a chain double-dashed line. In this state, the decompression sensor 11b and the decompression sensor 11c receive the pressure of the curved line, and thus transmit the ON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On the other hand, the pressure-reducing sensor 11a does not receive the on-signal to the control device since it is not under the pressure of the curvature. The control device then controls the control device so that the curvature is accumulated to the height between the pressure-reducing sensor 11a and the pressure-reducing sensor 11b based on the ON signal received from the pressure-reducing sensor 11b and the pressure- And controls display contents in the display unit 12. [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6)의 측벽에 있어서의 감압 센서(11a, 11b, 11c)보다 높은 위치에는, 곡립 탱크(6)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직사각 형상의 개구인 압력 방출 개구(6b)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 방출 개구(6b)는, 곡립 투입구(6a)의 하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압력 방출 개구(6b)는, 곡립 탱크(6)에 있어서의 전방, 후방, 좌측, 우측의 4개의 측벽 중, 곡립 투입구(6a)가 설치된 측벽인 좌측의 측벽(6A)에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pressure-reducing sensors 11a, 11b, and 11c on the sidewall of the grapefruit tank 6, a pressure of a rectangular opening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grapefruit tank 6 And a discharge opening 6b is provided. The pressure releasing opening 6b is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curling inlet 6a. The pressure release openings 6b are provided on the side wall 6A on the left side of the four side walls of the front side, rear side, left side and right side of the corrugated tank 6 on which side the curved inlet 6a is provided .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6)의 내부에는, 내부 덕트 커버(13)가 구비되어 있다. 내부 덕트 커버(13)는, 압력 방출 개구(6b)를 덮으면서, 하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압력 방출 개구(6b)와 곡립 탱크(6)의 내부를 연통시키고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an inner duct cover 13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grapefruit tank 6. As shown in Fig. The inner duct cover 13 is opened downward while covering the pressure discharge opening 6b so as to communicate the pressure discharge opening 6b and the inside of the cornification tank 6 with each other.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6)의 외부에는, 외부 덕트 커버(14)가 구비되어 있다. 외부 덕트 커버(14)는, 압력 방출 개구(6b)를 덮으면서, 하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압력 방출 개구(6b)와 곡립 탱크(6)의 외부를 연통시키고 있다.As shown in Fig. 3, an outer duct cover 14 is provided outside the grapefruit tank 6. As shown in Fig. The outer duct cover 14 is opened downward while covering the pressure discharge opening 6b to communicate the pressure discharge opening 6b with the outside of the grapefruit tank 6. [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덕트 커버(13)는, 3개의 플랜지부(13a)를 갖고 있다. 이들 플랜지부(13a)는 각각, 기체 상방, 기체 전방, 기체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외부 덕트 커버(14)도 마찬가지로, 3개의 플랜지부(14a)를 갖고 있다. 플랜지부(13a)와 플랜지부(14a)의 사이에는, 곡립 탱크(6)에 있어서의 좌측의 측벽(6A)이 끼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부(13a)와, 측벽(6A)과, 플랜지부(14a)가 볼트(15)에 의해 조인트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내부 덕트 커버(13) 및 외부 덕트 커버(14)는, 곡립 탱크(6)에 있어서의 좌측의 측벽(6A)에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4, the inner duct cover 13 has three flange portions 13a. These flange portions 13a extend upwardly of the gas, forward of the gas, and rearward of the gas, respectively. The outer duct cover 14 also has three flange portions 14a. A left side wall 6A of the curling tank 6 is sandwiched between the flange portion 13a and the flange portion 14a. The flange portion 13a, the side wall 6A, and the flange portion 14a are jointed by the bolts 15. With this structure, the inner duct cover 13 and the outer duct cover 14 are provided on the left side wall 6A of the grapefruit tank 6.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탈곡 장치(5)에 있어서의 단위 시간당 탈곡 처리량이 급증하여, 한 번에 대량의 곡립이 곡립 탱크(6) 내에 투입된 경우라도, 곡립 탱크(6) 내의 공간은 압력 방출 개구(6b)에 의해 압력 방출된다. 따라서, 곡립 탱크(6)에 있어서의 내압의 상승에 의해 감압 센서(11a)가 반응하여, 곡립 탱크(6) 내에 있어서의 곡립의 저류량이 잘못 검지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even when the amount of threshing processing per unit time in the threshing device 5 is so large that a large amount of curved grains are fed into the grapefruit tank 6 at one time, the space in the grapefruit tank 6 is filled with the pressure- 6b.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pressurization sensor 11a from reacting due to the rise of the internal pressure in the grapefruit tank 6 and erroneously detecting the stored amount of the grains in the grapefruit tank 6.

또한, 곡립 탱크(6) 내에 비교적 많은 곡립이 저류되어 있어, 곡립 탱크(6)의 잔여 용량이 적은 상태, 즉, 공간이 좁은 상태에서는, 공간이 넓은 상태에 비해, 곡립의 투입에 의해 곡립 탱크(6)의 내압이 상승하기 쉽다. 따라서, 곡립 탱크(6) 내의 공간이 좁은 상태라도 확실하게 압력 방출하기 위해, 압력 방출 개구(6b)를 비교적 높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에서는, 3개의 감압 센서(11a, 11b, 11c)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감압 센서(11a)보다 높은 위치에, 압력 방출 개구(6b)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곡립 탱크(6) 내에 있어서의 곡립의 퇴적 높이가 감압 센서(11a)의 높이에 도달하기 직전이며, 공간이 비교적 좁은 상태라도, 확실하게 압력 방출할 수 있다.In the state where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grapefruit tank 6 is small, that is, in a state where the space is narrow,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grains are stored in the grapefruit tank 6, (6) is likely to ris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pressure discharge opening 6b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in order to reliably release the pressure even in a narrow space in the curling tank 6. [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pressure release openings 6b are provided at positions higher than the pressure reduction sensors 11a provided at the highest position among the three pressure sensors 11a, 11b, and 11c. Thereby, even when the accumulation height of the curled grains in the curling tank 6 reaches the height of the pressure-reducing sensor 11a and the space is relatively narrow, the pressure can reliably be released.

〔제1 다른 실시 형태〕[First Alternative Embodiment]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곡립 탱크(6)는, 곡립 탱크(6)의 내부 공간의 전체가 곡립으로 채워질 때까지 곡립을 저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곡립 탱크(62)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곡립 탱크(62)에 있어서의 좌측의 측벽(62A)에, 곡립 투입구(62a) 및 압력 방출 개구(62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 형태와는 달리, 곡립 탱크(62)의 내부에는 구획부(16)가 설치되어 있다. 곡립 탱크(62)의 내부 공간은, 구획부(16)에 의해, 우측 상부 공간 T와, 그 이외의 공간 S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그 밖의 부분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The grapefruit tank 6 in the above embodiment is configured so that the grains can be stored until the entire inner space of the grapefruit tank 6 is filled with the grain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6 and 7 are views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urling tank 62 in this embodim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urved inlet 62a and a pressure relief opening 62b are provided in the left side wall 62A of the curling tank 62, as in the above embodiment. Unlike the above embodiment, a dividing section 16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grapefruit tank 62. The inner space of the curling tank 62 is partitioned into a right upper space T and a space S other than the right upper space T by the partitioning portion 16. The configuration of the other portions in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in the above embodiment.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곡립 탱크(6)가 기체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곡립 탱크(6) 내에 곡립이 저류되어 감에 따라서, 기체의 무게 중심은, 더욱 기체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로 이동해 가게 된다. 기체의 무게 중심이 기체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비해, 기체의 무게 중심이 기체 우측으로 치우친 상태에서는, 주행 중에 좌측으로 선회하는 경우, 큰 원심력이 발생한다. 그로 인해, 선회에는 큰 횡력이 필요해지고, 그것에 수반하여, 선회 저항이 커진다. 따라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엔진(7)의 배기량은, 이 선회 저항을 고려하여, 비교적 크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graining tank 6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base. As a result, as the grains are stored in the grapefruit tank 6, the gravity center of the grains is further moved to a position biased to the right of the base. In contrast to the state wher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gas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gas, whe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gas is shifted to the right side of the gas, when the gas turns to the left during traveling, a large centrifugal force is generated. As a result, a large lateral force is required for turning, and accompanying this, the turning resistance becomes lar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t the exhaust amount of the engine 7 in the above embodiment to be relatively large in consideration of the turning resistance.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곡립 탱크(62)가 기체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곡립 탱크(62) 내에는 구획부(16)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곡립을 저류할 때, 곡립으로 채워지는 것은 공간 S뿐이며, 공간 T는 빈 상태가 유지된다. 그로 인해, 구획부(16)를 구비하지 않는 상기 실시 형태에 비해, 기체의 무게 중심이 기체 우측으로 치우치기 어렵다. 게다가, 곡립이 최대량까지 저류된 상태에 있어서의 곡립을 포함한 기체 전체의 중량은, 상기 실시 형태에 비해 작아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에 비해, 좌측으로의 선회 시에 발생하는 원심력이 작아지므로, 선회에 필요한 횡력도 작아지고, 그것에 수반하여, 선회 저항도 작아진다. 이에 의해, 엔진(7)의 배기량을, 상기 실시 형태보다 작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is embodiment,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grape tanks 62 are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base. However, since the compartment 16 is provided in the compartments 62, it is only the space S that is filled with the curtain when the compartments are stored, and the space T is kept empty. Therefore, compared with the embodiment in which the partition 16 is not provide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gas is hardly deviated to the right side of the gas. In addition, the weight of the whole of the gas including the curvature in a state in which the curled grains are stored up to the maximum amount is smaller than in the above embodiment.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as compared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ince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at the time of turning to the left becomes smaller, the lateral force required for turning also becomes smaller, and the turning resistance becomes smaller accordingly. As a result, the exhaust amount of the engine 7 can be set smaller than that of the above embodiment.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획부(16)는, 2매의 강판(161, 16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2매의 강판(161, 162)은, 일부를 겹쳐, 볼트(163)에 의해 서로 체결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판(161)의 상단부에는, 기체 우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16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강판(162)의 상단부에도 마찬가지로, 플랜지부(162a)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161a)는, 볼트(164)에 의해 곡립 탱크(62)의 상벽에 체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플랜지부(162a)는 볼트(165)에 의해 곡립 탱크(62)의 상벽에 체결되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판(161)에 있어서의 기체 전방의 단부에는, 기체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16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강판(162)에 있어서의 기체 후방의 단부에도 마찬가지로, 플랜지부(162b)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161b)는, 볼트(166)에 의해 곡립 탱크(62)에 있어서의 전방의 측벽에 체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플랜지부(162b)는 볼트(167)에 의해 곡립 탱크(62)에 있어서의 후방의 측벽에 체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the dividing section 16 is composed of two steel plates 161 and 162. As shown in Fig. The two steel plates 161 and 162 partially overlap each other and are fastened to each other by bolts 163. As shown in Fig. 6, a flange portion 161a extending to the right side of the base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teel plate 161. As shown in Fig. A flange portion 162a is likewis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teel plate 162. [ The flange portion 161a is fastened to the upper wall of the grapefruit tank 62 by bolts 164. Similarly, the flange portion 162a is fastened to the upper wall of the grapefruit tank 62 by bolts 165. [ 6 and 7, a flange portion 161b extending in the rightward direction of the bas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teel plate 161 at the front of the base. A flange portion 162b is likewise formed at the end of the steel plate 162 at the rear of the base. The flange portion 161b is fastened to the front side wall of the grapefruit tank 62 by a bolt 166. [ Similarly, the flange portion 162b is fastened to the rear side wall of the grapefruit tank 62 by the bolt 167. [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62)는, 탱크 본체부(62c)와, 덮개부(62d)와, 볼트(62e)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덮개부(62d)는 곡립 탱크(62)에 있어서의 벽면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또한, 곡립 탱크(62)에 있어서의 나머지 벽면 전체가, 탱크 본체부(62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탱크 본체부(62c)는, 복수의 강판의 용접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탱크 본체부(62c)의 하부에는, 하부 개구(62f)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개구(62f)를 폐색하는 상태에서, 덮개부(62d)가 볼트(62e)에 의해 탱크 본체부(62c)에 체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the curled-up tank 62 is constituted by a tank main body portion 62c, a lid portion 62d, and a bolt 62e. The lid portion 62d constitutes a part of the wall surface of the grape tanks 62. In addition, the entire remaining wall surface of the grape-shaped tank 62 is constituted by the tank main body portion 62c. The tank main body portion 62c is formed by welding a plurality of steel plates. A lower opening 62f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ank main body portion 62c. The lid portion 62d is fastened to the tank main body portion 62c by the bolt 62e in a state of closing the lower opening 62f.

이 구성에 의해, 곡립 탱크(62)의 형성에 종사하는 작업자는, 탱크 본체부(62c)의 내측으로부터 용접을 실시한 후, 하부 개구(62f)로부터 밖으로 나올 수 있다. 그리고, 하부 개구(62f)를 덮개부(62d)로 폐색함으로써, 곡립 탱크(62)에 있어서의 벽면의 전체가 완성된다. 게다가, 덮개부(62d)는 볼트(62e)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유저는, 볼트(62e)를 제거하면, 덮개부(62d)를 제거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유저는, 하부 개구(62f)로부터 탱크 본체부(62c)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으므로, 구획부(16)에 액세스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유저에 의한 구획부(16)의 착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저는, 자신이 실시할 예정인 농작업에 필요해지는 곡립 탱크(62)의 저류 용량이나, 포장의 상태에 의한 선회 저항에의 영향 등을 감안하여, 구획부(16)의 사용 또는 비사용을 선택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an operator engaged in formation of the curling tank 62 can come out from the lower opening 62f after welding from the inside of the tank main body portion 62c. By closing the lower opening 62f with the lid portion 62d, the entire wall surface of the curling tank 62 is completed. In addition, the lid portion 62d is provided by the bolt 62e. Therefore, the user can remove the lid portion 62d by removing the bolt 62e. In this way, the user can enter the inside of the tank main body portion 62c from the lower opening 62f, so that the partition 16 can be accessed. As a result, the partition 16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by the user. The user can select whether or not to use the dividing section 16 in consideration of the storage capacity of the grapefruit tank 62 required for his or her agricultural work to be carried out and the influence on the turning resistance due to the packaging state, .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획부(16)는, 2매의 강판(161, 162)을 볼트(163)로 체결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2매의 강판(161, 162)이 열 등에 의해 변형된 경우, 강판(161)과 강판(162) 사이에 간극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이 간극을 통해, 공간 T에 소량의 곡립이 들어가는 사태가 상정된다.As shown in Fig. 7, the partitioning portion 16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stituted by fastening two steel plates 161 and 162 with bolts 163. Therefore, when the two steel plates 161 and 162 are deformed by heat or the like, a gap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steel plate 161 and the steel plate 162.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a small amount of grains enters the space T through this gap.

여기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획부(16)의 하단부와, 곡립 탱크(62)에 있어서의 우측의 측벽 사이에는, 간극 C가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공간 T에 소량의 곡립이 들어간 경우, 그 곡립은 간극 C를 통해 공간 S로 낙하한다. 따라서, 공간 T에 소량의 곡립이 들어갈 수 있는 상태라도, 곡립 탱크(62)에 곡립을 저류할 때, 공간 T에 곡립이 저류되는 일은 없고, 공간 S만이 곡립으로 채워져 가게 된다.Here, as shown in Fig. 6, a clearance C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16 and the side wall on the right side in the curling tank 62. As shown in Fig. Therefore, when a small amount of curved grains enters the space T, the curved drop falls into the space S through the gap C. Therefore, even when a small amount of curved grains can enter the space T, no curved grains are stored in the space T when the curved grains are stored in the grained tank 62, and only the space S is filled with the curved grains.

〔그 밖의 다른 실시 형태〕[Other Embodiments]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곡립 투입구(6a) 및 압력 방출 개구(6b)는, 곡립 탱크(6)에 있어서의 좌측의 측벽(6A)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곡립 투입구(6a) 및 압력 방출 개구(6b)는,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하나의 측벽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우측의 측벽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곡립 투입구(6a) 및 압력 방출 개구(6b)는, 곡립 탱크(6)에 있어서, 각각 서로 다른 측벽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1)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urled-in inlet 6a and the pressure-releasing opening 6b are provided in the left side wall 6A of the curling tank 6.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curled-in inlet 6a and the pressure-releasing opening 6b may be provided either on the side wall of the front or rear side, or on the side wall of the right side. The curled-in charging port 6a and the pressure-releasing opening 6b may be provided on different sidewalls of the curling tanks 6, respectively.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압력 방출 개구(6b)는 직사각 형상의 개구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압력 방출 개구(6b)는, 원 형상 또는 삼각 형상의 개구여도 되고, 슬릿이어도 된다.(2)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ressure-releasing opening 6b is a rectangular openin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pressure releasing opening 6b may be a circular or triangular opening, or may be a slit.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곡립 반송 장치(10)는 스크루식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곡립 반송 장치(10)는 버킷식 또는 슬랫식이어도 된다.(3) In the above embodiment, the grainy-land transport device 10 is of a screw ty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grainy-land transport apparatus 10 may be a bucket type or a slat type.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곡립 탱크(6)의 내부에는, 3개의 감압 센서(11a, 11b, 11c)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감압 센서의 수는 2개 이하여도 되고, 4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감압 센서의 설치면은, 곡립 탱크(6)에 있어서의 좌측이나 후방의 측벽 이외의 면이어도 된다.(4) In the above embodiment, three depressurization sensors 11a, 11b, and 11c are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grapefruit tank 6.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number of the pressure sensors may be two or less, or four or more. The mounting surface of the pressure-reducing sensor may be a surface other than the side wall on the left side or the rear side in the grape-shaped tank 6.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감압 센서(11a, 11b, 11c)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감압 센서(11a)보다 높은 위치에, 압력 방출 개구(6b)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압력 방출 개구(6b)는, 3개의 감압 센서(11a, 11b, 11c) 중, 어느 하나의 감압 센서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면 되고, 감압 센서(11a)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5)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ressure release openings 6b are provided at positions higher than the pressure-reducing sensors 11a provided at the highest position among the three pressure-sensitive sensors 11a, 11b, and 11c.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pressure releasing opening 6b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any one of the three pressure-reducing sensors 11a, 11b and 11c or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pressure-reducing sensor 11a.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압력 방출 개구(6b)는, 곡립 탱크(6)의 측벽에 1개만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압력 방출 개구(6b)가 복수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곡립 탱크(61)의 측벽에 복수의 압력 방출 개구(61b)를 설치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곡립 탱크(61)에 있어서의 좌측의 측벽(61A)에는, 곡립 투입구(61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곡립 탱크(61)의 측벽은, 평면에서 보아, 곡립 투입구(61a)가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일방 측의 영역 P와 타방 측의 영역 Q로 가상적으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압력 방출 개구(61b)는, 영역 P와 영역 Q에 분산 배치되어 있다. 도 5에서는, 복수의 압력 방출 개구(61b)가 설치되는 위치의 후보가, 가상선에 의해 나타내어져 있다. 복수의 압력 방출 개구(61b)를 영역 P와 영역 Q에 분산 배치할 때에는, 이들 후보로부터, 영역 P에 속하는 위치 및 영역 Q에 속하는 위치를 각각 1개소 이상 선택하여, 배치하면 된다.(6) In the above embodiment, only one pressure release opening 6b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grapefruit tank 6.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plurality of pressure release openings 6b may be provided. Hereinafter, a case where a plurality of pressure-releasing openings 61b are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curling tank 6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 curved inlet 61a is provided in the left side wall 61A of the curling tank 61. [ The sidewall of the curling tank 61 is virtually divided into a region P on one side and a region Q on the other side with reference to a position where the curved inlet 61a is provided as viewed from the top. The plurality of pressure release openings 61b are dispersedly arranged in the region P and the region Q. In Fig. 5, candidates of positions where a plurality of pressure-releasing openings 61b are provided are indicated by imaginary lines. When distributing the plurality of pressure release openings 61b in the region P and the region Q, at least one position belonging to the region P and a position belonging to the region Q may be selected from these candidates.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 외에, 보통형 콤바인에도 이용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normal type combine in addition to a self-deformation type combine.

5 : 탈곡 장치
6, 61, 62 : 곡립 탱크
6a, 61a, 62a : 곡립 투입구
6b, 61b, 62b : 압력 방출 개구
10 : 곡립 반송 장치
11a, 11b, 11c : 감압 센서
13 : 내부 덕트 커버
14 : 외부 덕트 커버
P, Q : 영역
5: Thresher
6, 61, 62: Grain tanks
6a, 61a, 62a:
6b, 61b, 62b: pressure release openings
10:
11a, 11b and 11c:
13: Inner duct cover
14: External duct cover
P, Q: area

Claims (6)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측벽에 곡립 투입구가 설치되고, 탈곡된 곡립이 저류되는 곡립 탱크와,
상기 탈곡 장치와 상기 곡립 투입구를 연결하고, 또한 탈곡된 곡립을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상기 곡립 투입구까지 반송하여, 상기 곡립 투입구로부터 투입하는 곡립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에 감압 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곡립 탱크의 측벽에 있어서의 상기 감압 센서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압력 방출 개구가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A threshing device for performing a threshing process on the cut-
A graining tank in which a curved inlet is provided in a side wall,
And a curled-feed conveying device for connecting the curling device and the curling inlet, further conveying the curled curling from the curling device to the curling inlet, and feeding the curled curling from the curling inlet,
A pressure reducing sensor is installed inside the curling tank,
And a pressure-releasing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orrugated tank is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pressure-reducing sensor in the sidewall of the corrugated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방출 개구가, 상기 곡립 투입구의 하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ure release opening is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a lower end of the curled injection por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방출 개구는, 상기 곡립 탱크의 측벽 중, 상기 곡립 투입구가 설치된 측벽에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ressure release opening is provided in a sidewall of the sidewall of the curled tank provided with the curved inle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에, 상기 압력 방출 개구를 덮으면서, 하측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압력 방출 개구와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내부 덕트 커버를 구비하는, 콤바인.
The method of claim 3,
And an inner duct cover which opens downward and covers the pressure discharge openings and communicates the pressure discharge openings with the interior of the corrugated tank, inside the corrugated tank.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의 외부에, 상기 압력 방출 개구를 덮으면서, 하측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압력 방출 개구와 상기 곡립 탱크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외부 덕트 커버를 구비하는, 콤바인.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n outer duct cover which is opened to the outside and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grapefruit tank, the outer duct cover being open to the outside and covering the pressure discharge opening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의 측벽에, 복수의 상기 압력 방출 개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압력 방출 개구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곡립 탱크에 있어서의 상기 곡립 투입구가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일방 측의 영역과 타방 측의 영역에 분산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plurality of the pressure-releasing openings are provided on side walls of the curling tanks,
Wherein the plurality of pressure release openings are dispersedly disposed on one side area and the other side area with reference to a position where the curled-in injection opening in the curled-up tank is installed as viewed from a plane.
KR1020160170274A 2015-12-18 2016-12-14 Combine KR2017007349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47526A JP6460971B2 (en) 2015-12-18 2015-12-18 Combine
JPJP-P-2015-247526 2015-1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498A true KR20170073498A (en) 2017-06-28

Family

ID=59081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274A KR20170073498A (en) 2015-12-18 2016-12-14 Combin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460971B2 (en)
KR (1) KR20170073498A (en)
CN (1) CN106982592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4982B (en) * 2018-11-01 2020-09-25 安徽科技学院 Grain unloading monitoring device of combined harvester and control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8245A (en) * 1994-05-24 1995-12-08 Satake Eng Co Ltd Cereal drying storage apparatus
JP2001069848A (en) * 1999-09-06 2001-03-21 Seirei Ind Co Ltd Grain tank with waste discharging duct in grain harvester
CN100425113C (en) * 2003-12-05 2008-10-15 中国农业机械化科学研究院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grain output and flow rate of complete harvester
JP4921893B2 (en) * 2006-08-28 2012-04-25 ヤンマー株式会社 Combine
JP5682890B2 (en) * 2011-01-12 2015-03-11 ヤンマー株式会社 Combine
CN102972146B (en) * 2012-12-10 2015-11-18 现代农装株洲联合收割机有限公司 The full warning device of harvesting cabin
EP2979537B1 (en) * 2013-03-27 2019-08-28 Kubota Corporation Comb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08720A (en) 2017-06-22
JP6460971B2 (en) 2019-01-30
CN106982592B (en) 2021-04-20
CN106982592A (en) 2017-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2286B2 (en) Unloading system for an agricultural harvester
JP6879715B2 (en) Harvester
KR20170073498A (en) Combine
EP2732688B1 (en) Unloader system for an agricultural combine
KR101768991B1 (en) Combine
JP6947622B2 (en) combine
EP3370502B1 (en) Combine harvester unloading system
EP2145523B1 (en) Belted grain tank floor
JP6976087B2 (en) combine
CN112533475A (en) A combine harvester, a harvest amount calculation method, a calculation system, a calculation program,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the calculation program recorded thereon; a grain discharge yield calculation method, a calculation system, a calculation program,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calculation program is recorded, an abnormal inflow detection system, a detection program,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detection program is recorded, and a detection method; storage level detection system
US20140274233A1 (en) Double-Walled Plastic Grain Bin With Integrated Fluid Storage Between Walls
CN203884247U (en) Grain recovery device of combined harvester
JP6832743B2 (en) combine
JP5682890B2 (en) Combine
JP6751523B2 (en) combine
KR20190073278A (en) Combine
KR101840304B1 (en) Combine
JP6983130B2 (en) combine
JP4968438B2 (en) Combine
JP2022099499A (en) Combine-harvester
JP6847025B2 (en) combine
JP7094191B2 (en) combine
JP4059853B2 (en) Combine
JP2017192309A (en) combine
JP4247569B2 (en) Comb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