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3190A - 냉수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냉수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3190A
KR20170073190A KR1020150181800A KR20150181800A KR20170073190A KR 20170073190 A KR20170073190 A KR 20170073190A KR 1020150181800 A KR1020150181800 A KR 1020150181800A KR 20150181800 A KR20150181800 A KR 20150181800A KR 20170073190 A KR20170073190 A KR 20170073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ercooling
supercooled
cold water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4172B1 (ko
Inventor
조성곤
정대중
강병일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1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172B1/ko
Publication of KR20170073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1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filter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냉수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수공급장치는 밀폐되고 단열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과냉각실; 상기 과냉각실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온도가 물의 과냉각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냉각유닛;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공급된 상온의 물이 과냉각된 과냉각수가 저장되는 과냉각수탱크; 및 상기 과냉각수탱크에 연결되며 과냉각수 또는 과냉각수와 상온의 물이 혼합된 냉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물배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수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COLD WATER SUPPLYING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수공급장치는 냉수를 공급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냉수를 공급하기 위해서, 냉수공급장치는 공급된 상온의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소정의 원하는 온도로 냉각하는 냉각유닛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술한 구성의 냉수공급장치로는 과냉각수, 즉 빙점 이하의 온도를 가지는 물이나 물과 얼음이 섞여 있는 슬러쉬 형태의 물을 공급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사용자에게 과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사용자에게 슬러쉬 형태의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과냉각수와 상온의 물을 혼합하여 냉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과냉각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냉수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냉수공급장치는 밀폐되고 단열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과냉각실; 과냉각실에 연결되어 내부공간의 온도가 물의 과냉각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냉각유닛;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공급된 상온의 물이 과냉각된 과냉각수가 저장되는 과냉각수탱크; 및 과냉각수탱크에 연결되며 과냉각수 또는 과냉각수와 상온의 물이 혼합된 냉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물배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과냉각수탱크는 복수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과냉각수탱크 중 어느 하나의 과냉각수탱크에 저장된 과냉각수가 일정 정도 배출되면 다른 과냉각수탱크에 저장된 과냉각수를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냉각수가 일정 정도 배출된 과냉각수탱크에는 상온의 물이 공급되어 과냉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유닛은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유닛은 과냉각실에 연결되며 전기가 인가되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열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를 통해서 과냉각수 또는 냉수가 배출되기 전에 이산화탄소 또는 향기물질이 과냉각수 또는 냉수에 혼합되도록 하는 이산화탄소공급부 또는 향기물질공급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물을 여과하는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 및 여과부에 연결되는 전술한 냉수공급장치;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여과부와 냉수공급장치에 연결되어,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상기 냉수공급장치에 공급하는 물저장탱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의 과냉각온도가 유지되도록 과냉각실에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과냉각실의 내부공간에 구비된 과냉각수탱크에 상온의 물을 공급하여 냉각시킴으로써 과냉각수가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과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슬러쉬 형태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과냉각수에 상온의 물을 혼합하여 냉수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과냉각수탱크가 복수개 구비되어 신속하고 용이하게 과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공급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 내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공급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냉수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냉수공급장치의 일실시예
이하,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수공급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공급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2 내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공급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수공급장치의 일실시예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냉각실(200), 냉각유닛(300), 과냉각수탱크(400,400') 및, 물배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과냉각실(200)에는 밀폐되고 단열된 내부공간(210)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과냉각실(200)은 단열재에 의해서 밀폐된 내부공간(21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과냉각실(200)의 형상과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밀폐되고 단열된 내부공간(210)을 형성하는 형상과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형상과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과냉각실(200)의 내부공간(2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밀폐되고 단열되었기 때문에, 온도변화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바와 같이 과냉실(200)의 내부공간(210)이 냉각유닛(300)에 의해서 물의 과냉각온도로 냉각되었을 때, 내부공간(210)의 온도가 물의 과냉각온도로 계속하여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다.
과냉각온도는 빙점인 섭씨 0도 이하, 예컨대 섭씨 영하 4도 정도의 온도일 수 있다. 그러나, 과냉각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이 과냉각되는 온도라면 빙접인 섭씨 O도 이하의 온도라면 어떠한 온도라도 가능하다.
과냉각실(200)에는 공기온도센서(TA)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온도센서(TA)에 의해서 과냉각실(200)의 내부공간(210)의 온도가 측정될 수 있다. 공기온도센서(TA)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과냉각실(200)의 내부공간(21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냉각유닛(300)은 과냉각실(2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과냉각실(200)의 내부공간(210)의 온도가 물의 과냉각온도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냉각유닛(300)의 과냉각실(200)의 내부공간(210)의 온도가 물의 과냉각온도인, 예컨대 섭씨 영하 4도 정도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냉각유닛(300)은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과냉각실(200)의 내부공간(210)에 존재하는 공기로부터 냉각유닛(300)의 증발기(310)를 유동하는 차가운 냉매로의 열전달에 의해서, 과냉각실(200)의 내부공간(210)이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공기온도센서(TA)에서 측정된 과냉각실(200)의 내부공간(210)의 온도가 물의 과냉각온도인 섭씨 영하 4도 정도가 되면, 내부공간(210)이 더 이상 냉각되지 않도록 냉각유닛(300)의 증발기(310)에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과냉각실(200)의 내부공간(210)의 온도가 물의 과냉각온도보다 상승하게 되면, 냉각유닛(300)의 증발기(310)에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여 과냉각실(200)의 내부공간(210)의 온도가 물의 과냉각온도로 하강되도록 내부공간(210)을 냉각시킬 수 있다.
냉각유닛(3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과냉각실(200)에 연결되어 과냉각실(200)의 내부공간(210)의 온도가 물의 과냉각 온도를 유지하도록 내부공간(210)을 냉각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전기가 인가되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열전모듈을 포함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과냉각수탱크(400,4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냉각실(200)의 내부공간(21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과냉각수탱크(400,400')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온의 물이 공급될 수 있다.
과냉각수탱크(400,400')에는 과냉각실(200)의 일면을 관통하는 제1상온수분기라인(OWL1)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상온수분기라인(OWL1)은 상온수공급라인(OWL)에 연결된 제1유로전환밸브(PCV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유로전환밸브(PCV1)에 의해서 상온의 물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온수공급라인(OWL)과 제1상온수분기라인(OWL1)을 통해 과냉각수탱크(400,400')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과냉각수탱크(400,400')에 상온의 물을 공급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과냉각실(200)의 내부공간(210)의 온도가 냉각유닛(300)에 의해서 물의 과냉각온도로 유지된 상태에서 과냉각수탱크(400,400')에 상온의 물이 공급되거나, 과냉각수탱크(400,400')에 상온의 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과냉각실(200)의 내부공간(210)의 온도가 냉각유닛(300)에 의해서 물의 과냉각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과냉각수탱크(400,400')에 공급된 상온의 물로부터 과냉각실(200)의 내부공간(210)으로의 열전달에 의해서 과냉각수탱크(400,400')에 공급된 상온의 물은 과냉각온도로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과냉각수탱크(400,400')에는 과냉각수가 저장될 수 있다.
과냉각수탱크(400,400')에는 과냉각수배출라인(OCL)이 연결될 수 있다. 과냉각수배출라인(OCL)에 의해서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냉각수탱크(400,400')에 저장된 과냉각수가 배출될 수 있다.
과냉각수탱크(400,400')는 복수개일 수 있다. 예컨대, 과냉각수탱크(400,4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일 수 있다. 그러나, 과냉각수탱크(400,40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라면 3개 이상 등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상온수분기라인(OWL1)은 복수개, 예컨대 2개로 분기되어 복수개의 과냉각수탱크(400,40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분기된 제1상온수분기라인(OWL1)에는 개폐밸브(OCV)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과냉각수탱크(400,400') 모두에 상온수를 공급하거나,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과냉각수탱크(400,400') 중 어느 하나에 또는 일부에 상온수를 공급할 수 있다.
복수개의 과냉각수탱크(400,400') 중 어느 하나의 과냉각수탱크(400)에 저장된 과냉각수가 일정 정도, 예컨대 저수위가 될 때까지 배출되면, 다른 과냉각수탱크(400')에 저장된 과냉각수를 배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과냉각수가 만들어질 때까지 기다리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과냉각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과냉각수배출라인(OCL)은 복수개, 예컨대 2개로 분기되어 복수개의 과냉각수탱크(400,40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과냉각수배출라인(OCL)이 분기되는 부분에는 제2유로전환밸브(PCV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로전환밸브(PCV2)에 의해서 도면에서 보아 좌측에 있는 과냉각수탱크(400)에 저장된 과냉각수를 먼저 과냉각수배출라인(OCL)을 통해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좌측에 있는 과냉각수탱크(400)에 저장된 과냉각수가 일정 정도, 예컨대 저수위가 될 때까지 배출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로전환밸브(PCV2)에 의해서 도면에서 보아 우측에 있는 과냉각수탱크(400')에 저장된 과냉각수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개의 과냉각수탱크(400,400') 중 어느 하나의 과냉각수탱크(400)에 저장된 과냉각수가 일정 정도 배출되면, 다른 과냉각수탱크(400')에 저장된 과냉각수를 배출하도록 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과냉각수가 일정 정도 배출된 과냉각수탱크(400)에는 상온의 물이 공급되어 과냉각될 수 있다.
예컨대, 도5에서 과냉각수가 일정 정도 배출된, 도면에서 보아 좌측에 있는 과냉각수탱크(400)에는 상온의 물이 공급되어 과냉각됨으로써, 다시 과냉각수가 저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도, 과냉각수를 만들어질 때까지 기다리지 않아도 되며, 복수개의 과냉각수탱크(400,400') 중 적어도 일부에는 과냉각수가 저장되기 때문에, 과냉각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과냉각수탱크(400,400')는 과냉각수 온도센서(TW)가 구비될 수 있다.
과냉각수 온도센서(TW)에 의해서, 과냉각수탱크(400,400')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과냉각수탱크(400,400')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물의 과냉각온도를 유지하도록 냉각유닛(300)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과냉각수탱크(400,400')에서 물의 과냉각상태가 해제되면, 과냉각수탱크(400,400')에 저장된 물이 얼면서 온도가 빙점인 섭씨 0도가 될 수 있으며, 이를 과냉각수 온도센서(TW)가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과냉각수 온도센서(TW)에 의해서, 과냉각수탱크(400,400')의 과냉각상태 해제를 감지하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예컨대, 과냉각수탱크(400,400')의 온도를 빙점 이상으로 올려서 생성된 얼음을 녹인 후, 과냉각수탱크(400,400')에 저장된 물을 다시 과냉각시켜 과냉각수가 되도록 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과냉각수탱크(400,400')에는 고수위센서(LH)과 저수위센서(LL)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과냉각수탱크(400,400')에 공급된 상온의 물이 고수위센서(LH)까지 과냉각수탱크(400,400')에 차게 되면, 과냉각수탱크(400,400')로의 상온의 물의 공급이 중지될 수 있다. 또한, 과냉각수탱크(400,400')에 저장된 과냉각수가 저수위센서(LL)까지 배출되면, 과냉각수탱크(400,400')에 상온의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물배출부(500)는 과냉각수탱크(400,4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물배출부(5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냉각수탱크(400,400')에 저장된 과냉각수 또는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냉각수탱크(400,400')에 저장된 과냉각수와 상온의 물이 혼합된 냉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물배출부(500)는, 예컨대 콕크나 파우셋 등의 물배출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물배출부재(510)는 물배출라인(WDL)에 의해서 과냉각수배출라인(OCL)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물배출라인(WDL)에는 제1유로전환밸브(PCV1)에 연결된 제2상온수분기라인(OWL2)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로전환밸브(PCV2)에 의해서 복수개의 과냉각수탱크(400,400') 중 어느 하나의 과냉각수탱크(400)에 저장된 과냉각수가 과냉각수배출라인(OCL)과 물배출라인(WDL)을 유동하여 물배출부재(5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배출부재(510)를 통해서 배출된 과냉각수는 사용자에게 공급되고, 사용자는 공급된 과냉각수를 이용하여 슬러쉬 형태의 물을 만들 수 있다. 예컨대, 과냉각수를 저어주거나 과냉각수에 충격을 주어서 슬러쉬 형태의 물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냉각수배출라인(OCL)으로 배출된 과냉각수가 제1유로전환밸브(PCV1)에 의해서 제2상온수분기라인(OWL2)을 통해 공급된 상온의 물과 혼합됨으로써 냉수가 되어, 물배출라인(WDL)을 유동하고 물배출부재(5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물배출부재(510)를 통해서 배출된 냉수는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수공급장치(100)의 일실시예는 이산화탄소공급부(600) 또는 향기물질공급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공급부(600) 또는 향기물질공급부(700)는 배출부(500)를 통해서 과냉각수 또는 냉수가 배출되기 전에 이산화탄소 또는 향기물질이 과냉각수 또는 냉수에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공급부(600)는 이산화탄소가 저장된 이산화탄소 저장용기(6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 저장용기(610)에는 물배출라인(WDL)에 연결되고 개폐밸브(OCV)가 구비된 이산화탄소공급라인(COL)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공급라인(COL)의 개폐밸브(OCV)가 개방되면, 이산화탄소 저장용기(610)에 저장된 이산화탄소가 이산화탄소공급라인(COL)을 통해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배출라인(WDL)에 공급되어 과냉각수 또는 냉수와 혼합될 수 있다.
향기물질공급부(700)는 향기물질이 저장된 향기물질 저장용기(7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향기물질 저장용기(710)에는 물배출라인(WDL)에 연결되고 개폐밸브(OCV)가 구비된 향기물질공급라인(ARL)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향기물질공급라인(ARL)의 개폐밸브(OCV)가 개방되면, 향기물질 저장용기(710)에 저장된 향기물질이 향기물질공급라인(ARL)을 통해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배출라인(WDL)에 공급되어 과냉각수 또는 냉수와 혼합될 수 있다.
냉수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
이하, 도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수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냉수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냉수공급장치의 일실시예와는 냉각유닛(300)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수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유닛(300)이 열전모듈(310')을 포함할 수 있다.
열전모듈(310')은 과냉각실(200)에 연결될 수 있다. 열전모듈(310')은 과냉각실(200)의 내부공간(210)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는 콜드싱크(320)에 의해서 과냉각실(2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열전모듈(310')은 전기가 인가되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열전모듈(310')의 일측은 냉각이 이루어지는 냉각측이 되고, 열전모듈(310')의 타측은 가열이 이루어지는 가열측이 될 수 있다.
열전모듈(310')의 일측, 즉 냉각측은 전술한 콜드싱크(3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열전모듈(310')에 전기가 인가되면, 과냉각실(200)의 내부공간(210)으로부터 콜드싱크(320)와 열전모듈(310')로 열전달이 이루어져, 과냉각실(200)의 내부공간(210)이 냉각될 수 있다.
열전모듈(310')의 타측, 즉 가열측에는 히트싱크(330)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히트싱크(330)에는 팬(34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열전모듈(310')의 가열측으로 전달된 열이 방열되도록 하여, 열전모듈(310')에 의한 과냉각실(200)의 내부공간(210)의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
이하, 도7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의 일실시예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20)와 전술한 냉수공급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부(20)는 물을 여과하는 정수필터(21,22,23,24)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필터(21,22,23,24)는 전처리필터(21), 선카본필터(22), 멤브레인필터(23) 및, 후카본필터(2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수필터(21,22,23,24)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을 여과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정수필터(21,22,23,24)라도 가능하다.
여과부(20)는 수도 등의 원수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며 원수공급밸브(SWV)가 구비된 원수공급라인(SWL)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정수필터(21,22,23,24)는 연결라인(CL)에 의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원수공급밸브(SWV)가 개방되면, 원수가 원수공급라인(SWL)을 통해 여과부(20)에 유입되어 정수필터(21,22,23,24)를 차례로 거치면서 여과되어 정수로 될 수 있다.
여과부(20)는 상온수공급라인(OWL)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여과부(20)에서 여과된 정수는 상온수공급라인(OWL)을 통해 냉수공급장치(100)에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유로전환밸브(PCV1)에는 물배출라인(WDL)에 연결된 정수배출라인(PWL)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여과부(20)에서 여과된 정수가 냉수공급장치(100)에 공급되지 않고, 물배출부재(5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
이하, 도8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도7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와 물저장탱크(3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7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물저장탱크(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저장탱크(30)는 여과부(20)와 냉수공급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물저장탱크(30)는 연결라인(CL)에 의해서 여과부(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물저장탱크(20)는 상온수공급라인(OWL)에 의해서 냉수공급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여과부(2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가 물저장탱크(30)에 공급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물저장탱크(30)에 저장된 물, 즉 정수가 냉수공급장치(100)에 공급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수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를 사용하면, 물의 과냉각온도가 유지되도록 과냉각실에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과냉각실의 내부공간에 구비된 과냉각수탱크에 상온의 물을 공급하여 냉각시킴으로써 과냉각수가 만들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과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슬러쉬 형태의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과냉각수에 상온의 물을 혼합하여 냉수를 공급할 수 있고, 과냉각수탱크가 복수개 구비되어 신속하고 용이하게 과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냉수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수처리장치 20 : 여과부
21 : 전처리필터 22 : 선카본필터
23 : 멤브레인필터 24 : 후카본필터
100 : 냉수공급장치 200 : 과냉각실
210 : 내부공간 300 : 냉각유닛
310 : 증발기 310' : 열전모듈
320 : 콜드싱크 330 : 히트싱크
340 : 팬 400, 400' : 과냉각수탱크
500 : 물배출부 510 : 물배출부재
600 : 이산화탄소공급부 610 : 이산화탄소 저장용기
700 : 향기물질공급부 710 : 향기물질 저장용기
SWL : 원수공급라인 SWV : 원수공급밸브
TA : 공기온도센서 TW : 과냉각수 온도센서
LH : 고수위센서 LL : 저수위센서
OWL : 상온수공급라인 OWL1 : 제1상온수분기라인
LOW2 : 제2상온수분기라인 OCL : 과냉각수배출라인
WDL : 물배출라인 PWL : 정수배출라인
CL : 연결라인 PCV1 : 제1유로전환밸브
PCV2 : 제2유로전환밸브 OCV : 개폐밸브

Claims (9)

  1. 밀폐되고 단열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과냉각실;
    상기 과냉각실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온도가 물의 과냉각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냉각유닛;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공급된 상온의 물이 과냉각된 과냉각수가 저장되는 과냉각수탱크; 및
    상기 과냉각수탱크에 연결되며 과냉각수 또는 과냉각수와 상온의 물이 혼합된 냉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물배출부;
    를 포함하는 냉수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냉각수탱크는 복수개인 냉수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과냉각수탱크 중 어느 하나의 과냉각수탱크에 저장된 과냉각수가 일정 정도 배출되면 다른 과냉각수탱크에 저장된 과냉각수를 배출하는 냉수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과냉각수가 일정 정도 배출된 과냉각수탱크에는 상온의 물이 공급되어 과냉각되는 냉수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은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수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과냉각실에 연결되며 전기가 인가되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열전모듈을 포함하는 냉수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를 통해서 과냉각수 또는 냉수가 배출되기 전에 이산화탄소 또는 향기물질이 과냉각수 또는 냉수에 혼합되도록 하는 이산화탄소공급부 또는 향기물질공급부; 를 더 포함하는 냉수공급장치.
  8. 물을 여과하는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 및
    상기 여과부에 연결되는 상기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냉수공급장치;
    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와 냉수공급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상기 냉수공급장치에 공급하는 물저장탱크; 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1020150181800A 2015-12-18 2015-12-18 냉수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102464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800A KR102464172B1 (ko) 2015-12-18 2015-12-18 냉수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800A KR102464172B1 (ko) 2015-12-18 2015-12-18 냉수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190A true KR20170073190A (ko) 2017-06-28
KR102464172B1 KR102464172B1 (ko) 2022-11-07

Family

ID=59280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800A KR102464172B1 (ko) 2015-12-18 2015-12-18 냉수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1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9845A (ja) * 1992-11-30 1994-06-07 Daikin Ind Ltd 貯水,貯湯式給湯装置
KR20130035544A (ko) * 2011-09-30 2013-04-09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KR20140108092A (ko) * 2013-02-28 2014-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28022A (ko) * 2013-09-05 2015-03-13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온도제어장치 및 정수온도제어방법
KR20150029977A (ko) * 2013-09-11 2015-03-19 코웨이 주식회사 출수온도제어장치 및 출수온도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9845A (ja) * 1992-11-30 1994-06-07 Daikin Ind Ltd 貯水,貯湯式給湯装置
KR20130035544A (ko) * 2011-09-30 2013-04-09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KR20140108092A (ko) * 2013-02-28 2014-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28022A (ko) * 2013-09-05 2015-03-13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온도제어장치 및 정수온도제어방법
KR20150029977A (ko) * 2013-09-11 2015-03-19 코웨이 주식회사 출수온도제어장치 및 출수온도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172B1 (ko) 202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7768B1 (ko) 온수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1419751B1 (ko) 순간 냉각장치
KR20080003217A (ko) 과냉각 장치
US20120318823A1 (en) Hot water supply device and cold/hot water dispenser using the same
KR20100110663A (ko) 정수 장치
KR20170073190A (ko) 냉수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US20170211876A1 (en) Method for selecting antibodies with modified fcrn interaction
WO2016094107A1 (en) Helical cooling tank
KR20130001910A (ko) 냉수제조장치
KR20190065033A (ko) 분리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얼음 정수기
KR20110124858A (ko) 음료 냉각장치
RU2010117967A (ru) Устройство охлаждения
KR101094804B1 (ko) 정수기
KR101708224B1 (ko) 냉동싸이클을 이용하여 유로 확보가 가능한 순간 냉각장치
CN110537839B (zh) 苏打水机的控制方法、苏打水机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70023277A (ko) 제빙기
JP6440006B2 (ja) ヒートポンプ式熱源機
US8550305B2 (en) Water cooler
KR20200038123A (ko) 펌프를 구비하는 냉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17108B1 (ko) 정수기
KR20130033045A (ko) 제빙기
JP2006347556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20140142062A (ko) 음용수 살균장치
KR20110061086A (ko)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제빙기
KR20150076976A (ko) 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