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852A - A terminal for providng car interfaces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 Google Patents

A terminal for providng car interfaces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852A
KR20170072852A KR1020170074827A KR20170074827A KR20170072852A KR 20170072852 A KR20170072852 A KR 20170072852A KR 1020170074827 A KR1020170074827 A KR 1020170074827A KR 20170074827 A KR20170074827 A KR 20170074827A KR 20170072852 A KR20170072852 A KR 20170072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call
terminal
vehicle
vehicle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8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종철
Original Assignee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포뱅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4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2852A/en
Publication of KR20170072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85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도중에 상대방 단말기와의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실행이 요청된 경우, 일정 조건에 따라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실행을 지연시키는 단계;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실행이 지연된 경우,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지연을 보상하기 위한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실행 지연이 종료된 경우, 상기 부가 기능의 동작에 따라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controlling a terminal providing a vehicle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roviding a navigation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vehicle interface; Delaying execution of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when execution of a call function or a call relay func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is requested during the provision of the navigation function; Executing an additional function for compensating for a delay of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when execution of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is delayed; And resuming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dditional function when the execution delay of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is terminated.

Description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A TERMINAL FOR PROVIDNG CAR INTERFACES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providing a vehicle interfa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providing a vehicle interfa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A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terminal can be moved.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 mobile terminal.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네비게이션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Such a terminal ha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a multimedia player (multimedia player) having a complex function such as photographing or video shooting, playing music or video file, receiving game, broadcasting, .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To support and enhance the functionality of such a terminal,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or software portion of the terminal.

또한, 현대에 들어서 스마트폰의 보급율이 높아짐에 따라, 차량에 제공되는 통상적인 차량정보 제공단말(AVN : Audio video navigation system) 장치를 대체하여, 상기와 같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보급되어 있다.[0003] In addition, as the penetration rate of smart phones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a technique of replacing a conventional AVN (Audio Video Navigation System) provided in a vehicle and providing a vehicle interface using the above- Has become popular.

특히, 차량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지능형 교통 체계(ITS : Intelligent Transport System)를 구체화시킨 시스템으로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을 사용한 위치 정보를 차량에 도입하여 현재 차량의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의 도로 상황 등을 제공하고,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 정보를 사용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한 차량의 위치 정보를 가지고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도 정보 및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를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을 포함한다.Particularly, a navigation system provided through a vehicle interface can be provided through a display unit of a terminal or a display unit installed in a vehicle. The navigation system is a system embodying an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on detection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information of a vehicle using GPS information received from a GPS satellite by providing positional information using a satellite to a vehicle, And provides the vehicle driver with map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route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그러나, 이와 같은 단말기에는 상기와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모두 탑재되어 있어 다른 기능들도 동시에 실행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차량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는 도중에도 이외의 다른 기능의 실행이 단말기에 요청되면 차량 인터페이스 기능을 일시 정지하고, 실행 요청한 다른 기능을 실하는 경우가 발생한다.However, in such a terminal, various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are all installed, and other functions are generally executed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when the terminal is requested to perform another function while the vehicle interface function is being provided, the vehicle interface function may be temporarily stopped and other functions requested to be executed may be executed.

예를 들어, 차량 내비게이션 기능의 경로 안내 멘트를 출력하는 시점에서 전화 수신이 요청되면, 종래 단말기는 경로 안내 멘트를 정상적으로 출력하지 못하고, 전화 수신음 또는 전화 수신 화면이 나타나며, 이로 인해 운전자는 경로 안내를 갑작스럽게 받지 못하게 되어 경로를 이탈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For example, when a call reception is requested at the time of outputting the route guidance of the vehicle navigation function, the conventional terminal can not normally output the route guidance message, and a telephone reception tone or a telephone reception screen is display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 suddenly does not receive it, and the user leaves the path.

또한, 운전자가 초보 운전자인 경우에는 갑작스러운 전화 수신음 출력 및 전화 수신 화면 출력으로 인해 매우 당황하게 되어 운전 집중력이 저하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주변 차량과의 추돌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driver is a novice driver, the driver suddenly becomes confused by the output of the telephone reception sound and the output of the telephone reception screen, and the driving concentration may be lowered, thereby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nearby vehicl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인터페이스 제공 중에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중요 이벤트 발생시에 다른 기능의 실행 요청을 지연시킴으로써 일정 시간 동안 보류시킬 수 있으며, 실행 지연에 따른 부가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interface system capable of suspending a request for execution of a different function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a critical event associated with the vehicle interface, And to provide a terminal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for improving user convenienc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도중에 상대방 단말기와의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실행이 요청된 경우, 일정 조건에 따라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실행을 지연시키는 단계;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실행이 지연된 경우,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지연을 보상하기 위한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실행 지연이 종료된 경우, 상기 부가 기능의 동작에 따라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terminal that provides a vehicle interface, the method comprising: providing a navigation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vehicle interface; Delaying execution of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when execution of a call function or a call relay func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is requested during the provision of the navigation function; Executing an additional function for compensating for a delay of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when execution of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is delayed; And resuming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dditional function when the execution delay of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is terminated.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차량과 연관된 정보를 GUI를 통해 제공하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차량 인터페이스 생성부;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도중에 상대방 단말기와의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실행이 요청된 경우, 일정 조건에 따라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실행을 지연시키는 실행 지연부; 및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실행이 지연된 경우,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지연을 보상하기 위한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부가 기능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실행 지연이 종료된 경우, 상기 부가 기능의 동작에 따라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을 재개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vehicle interface, comprising: a vehicle interfac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vehicle interface that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a vehicle through a GUI; A control unit for providing a navigation function through the vehicle interface; An execution delay unit for delaying execution of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when the control unit is requested to execute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during the provision of the navigation function; And an additional function processor for executing an additional function for compensating for a delay of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when execution of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is delayed, When the execution delay ends,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is resum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additional function.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및 그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a program stored in a medium for execution in a computer and a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네비게이션 기능 제공 중 상기 네비게이션 기능에 대응하는 중요 이벤트가 발생되고, 상기 중요 이벤트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동안 상기 단말기의 상기 네비게이션 기능과 상이한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실행이 요청된 경우,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실행을 지연시키는 실행 지연차량 인터페이스 제공 중에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중요 이벤트 발생시에 다른 기능의 실행 요청을 지연시킴으로써 일정 시간 동안 보류시킬 수 있고, 실행 지연에 따른 부가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avigation system including: a navigation device for generating navig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navigation function associated with a vehicle interface, When an execution of a call function or a call relay function different from the navigation function of the terminal is requested, an execution delay vehicle interface for delaying execution of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It is possible to suspend the execution reques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o provide an additional func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delay to improve user convenience.

이에 따라, 운전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으며 경로 안내를 갑작스럽게 받지 못하거나 위급 상황 등에서 차량 인터페이스를 방해 없이 정상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갑작스러운 전화 수신음 출력 및 전화 수신 화면 출력등의 동작을 미리 차단하여 운전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해 주변 차량과의 추돌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Accordingly, the safety of the driver can be protected, the route guidance can not be received suddenly, and the vehicle interface can be normally provided without interruption in an emergency. In addition, the operation such as sudden reception of a telephone sound and output of a telephone reception screen is blocked in advance to improve the driving concentration,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a collision with a nearby vehicle.

또한, 실행 지연에 따른 부가 기능을 제공하여 실행 지연에 대한 보상을 처리함으로써, 실행 지연에 대한 불편함을 감소시키고,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additional func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delay and compensating for the execution delay, the inconvenience to the execution delay can be reduced and the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에 따라 출력되는 차량 인터페이스 변화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부가 기능 제공 동작을 설명하기 위함 흐름도이며, 도 9 내지 도 11은 이에 따른 차량 인터페이스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over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operations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6 show vehicle interface changes outpu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vehicl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additional function providing ope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to 11 are views showing changes of a vehicle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following merely illustrates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u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devise various apparatuses which, although not explicitly described or shown herein, embody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invention. Furthermore, all of the conditional terms and embodiments listed herein are, in principle, only intended for the purpose of enabling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such specifically recited embodiments and conditions do.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s well as the principles, aspects an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s well a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intended to cover structural and functional equivalents thereof.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such equivalents include all elements contemplat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irrespective of the currently known equivalents as well as the equivalent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i.e., the structure.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us, for examp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block diagrams herein represent conceptual views of exemplary circuits embody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Similarly, all flowcharts, state transition diagrams, pseudo code, and the like are representative of various processes that may be substantially represent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and executed by a computer or processor, whether or not the computer or processor is explicitly shown .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The functions of the various elements shown in the figures, including the functional blocks depicted in the processor or similar concept, may be provided by use of dedicated hardware as well as hardware capable of executing software in connection with appropriate software. When provided by a processor, the functions may be provided by a single dedicated processor, a single shared processor, or a plurality of individual processors, some of which may be shared.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Also, the explicit use of terms such as processor, control, or similar concepts should not be interpreted exclusively as hardware capable of running software, and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non-volatile memory. Other hardware may also be included.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claims hereof, the elements represented as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nclude all types of software including, for example, a combination of circuit elements performing the function or firmware / microcode etc. , And is coupled with appropriate circuitry to execute the software to perform the func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s not to be construed as encompassing any means capable of providing such functionality, as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various listed means are combined and combined with the manner in which the claims require .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There will b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단말기(100)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동하여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기능을 제공, 보완, 증대할 수 있는 각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통합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전체 시스템에 있어서의 단말기(100)는 차량에 구비되거나 장착되는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차량에 제공되는 통상적인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예를 들어, 차량 내 오디오와 멀티미디어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 등이 통합되어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된 AVN 시스템: Audio video navigation system)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AVN 시스템 뿐만아니라, 특정 지점까지의 경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차량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블랙 박스,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동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The terminal 100 can form an integrated system by providing a variety of information that can provide, complement, and augment the functions of the navigation system of the vehicle in cooperation with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The terminal 100 in the entire system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devices provided or mounted in the vehicle. For example, the terminal 100 may be a conventional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provided in a vehicle (for example, an audio video navigation system (AVN system) integrated into one system by integrating audio and multimedia devices in a vehicle, ). ≪ / RTI > In addition to the AVN system, the terminal 100 may include a navigation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route guidance to a specific point, a black box for photographing the vicinity of the vehicle and storing or transmitting image information, a smart phone, a tablet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or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단말기(100)가 차량용 내비게이션이나 시스템인 경우, 단말기(100)는 차량의 운행, 유지 등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차량의 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0)는 좁은 의미로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그 자체일 수 있으며, 넓은 의미로는 단말기(100)와 유무선으로 연동되어 작동하는 각종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terminal 100 is a car navigation system or a system, the terminal 100 may include a system for notifying the driver of the vehicle and the passenger of various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maintenance, and the like of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terminal 100 may be a vehicle navigation itself in a narrow sense, and in a broad sense may include various electronic devices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terminal 100 in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또한,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100)에 포함되거나, 상기 단말기(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차량에 구비되거나 장착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특정 지점까지의 경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의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블랙 박스의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splay devices included in the terminal 100 or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in a vehicle so as to provide a vehicle interface have. For example,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may include a navigation display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route guidance to a specific point, a display device of a black box for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to store or transmit image information, a display of a vehicle infotainment system Devices, and the lik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단말기(100)와 일체형 또는 일부 기능을 공유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100)가 차량에 거치되어 자체적인 디스플레이를 통해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대체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is integrated with the terminal 100 or shares some functions. Also, the terminal 100 may be mounted on the vehicle and replaced with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through its own display.

그리고, 이하에서는 단말기(100)에서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관된 차량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경우, 차량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제1 기능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단말기(100)의 상기 제1 기능과 상이한 기능들이 동작되는 경우 제2 기능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능의 경우 차량 인터페이스 기능에 의한 네비게이션 기능이 예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기능의 경우 단말기(100)를 통해 수신되는 블루투스 등의 통화 중계 기능이 예시될 수 있다.Hereinafter, when the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a vehicle interface associated with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it can be described that the first function for providing the vehicle interface is executed. The first function of the terminal 100, And the second function is executed when different functions are operat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irst function, the navigation function by the vehicle interface function can be exemplified. In the case of the second function, a call relay function such as Bluetooth that is received through the terminal 100 may be exemplified.

한편,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 및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예를 들어, 차량용 내비게이션이거나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증강 현실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terminal 100 and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perform such an operation, can be implemented, for example, as a car navigation system or a black box or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a vehicle.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차량용 내비게이션이나 증강 현실 시스템인 경우,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차량의 운행, 유지 등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차량의 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그 자체일 수 있으며,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100)와 유무선으로 연동되어 작동하는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When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is a navigation system for an automobile or an augmented reality system,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may refer to a system for notifying a driver and a passenger of the vehicle of various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maintenance, and the like of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may be a vehicle navigation device, and may be a concept including a terminal 100 that provides a vehicle interface and various display devices that operate in wired or wireless operation.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에는 별도의 기본 모드가 탑재될 수 있다. 기본 모드에서, 상기 단말기(100)의 기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제1 인터페이스를 자체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기본 모드에서, 단말기(100)는 기본적으로 단말기(100)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기능은 차량 정보 제공 기능, 통화 기능, 통화 중계 기능, 문자 기능, 인터넷 기능, 메모 기능, 알람 기능 또는 스케쥴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quipped with a separate basic mode. In the basic mode, a first interface capable of controlling basic functions of the terminal 100 can be output by itself. In the basic mode, the terminal 100 can basically perform the functions that the terminal 100 provides to the user. For example, the basic function may include a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function, a call function, a call relay function, a character function, an Internet function, a memo function, an alarm function or a schedule func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 또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와의 연결에 따라 네비게이션과 같은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차량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0)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경우에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차량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차량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단말기(100)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와는 상이한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witched to a vehicle interface mode that provides a vehicle interface such as navigation in accordance with user input or connection with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 In this case, the terminal 100 may generate and display a vehicle interface, or may output the vehicle interface through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 When operating in connection with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it can output the vehicle interface to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and switch to the vehicle interface mode for controlling the vehicle interface. As such, in the vehicle interface mode, the terminal 100 may provide a vehicle interface different from the first interface.

다만, 여기서 단말기(100)의 차량 인터페이스 모드에서도 상술한 바와 같은 기본 기능은 함께 실행 및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에서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안, 단말기(100)는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 문자 기능, 인터넷 기능, 메모 기능, 알람 기능 또는 스케쥴 기능 등을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However, in the vehicle interface mode of the terminal 100, the basic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can be executed and provided together. For example, while providing the vehicle interface at the terminal 100, the terminal 100 may provide a call function or a call relay function, a text function, an internet function, a memo function, an alarm function, or a schedule function.

그리고,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유/무선으로 단말기(100)와 연결되어, 차량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고, 또한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할 수도 있다.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either wirelessly or wirelessly and may be provided inside the vehicle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 And the terminal 100 may be used to control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와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 네트워크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유선의 경우 HDMI, VGA, sRGB, USB 인터페이스 또는 기타 케이블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의 경우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을 통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의 경우 기지국(10)과 이동통신망(20)을 통하여 호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기본 기능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The entire system network including the terminal 100 and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by a wired or wireless network. In case of wireless, it can be connected with Bluetoot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 ZigBee, and the like.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terminal 100, the base station 1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 can receive the call signal and process the basic function.

그리고,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100)는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제1 기능을 제공하는 동안 상기 제1 기능에 대응하는 중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중요 이벤트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동안 상기 단말기의 상기 제1 기능과 상이한 제2 기능의 실행이 요청된 경우, 상기 제2 기능의 실행을 지연시킬 수 있다.When a critical ev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function is generated while providing the first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vehicle interface through the vehicle interface, the terminal 100 providing the vehicle interface may generate a time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critical event The execution of the second function may be delayed when execution of a second fun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function of the terminal is requested.

또한, 단말기(100)는 상기 제2 기능의 실행이 지연된 경우, 상기 제2 기능의 지연을 보상하기 위한 부가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2 기능의 실행 지연이 종료된 경우, 상기 부가 기능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2 기능을 재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xecution of the second function is delayed, the terminal 100 executes an additional function for compensating for the delay of the second function, and when the execution delay of the second function is terminated, The second function can be resumed.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단말기(100)의 동작에 대하여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사용자 입력부(130), 센서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차량 시스템 연결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에는 차량 인터페이스 생성부(182), 실행 지연부(185)가 연결될 수 있.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2, a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or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storage unit 160, A connection unit 170, a control unit 180, a power supply unit 190, and the like. The control unit 180 may be connected to the vehicle interface generating unit 182 and the execution delay unit 185.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are not essential, so that a terminal 100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기(100)와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network in which the vehicle display apparatus 200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Internet module,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방송 수신 모듈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며, 방송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receives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and 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nd from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built in or externally attached to the terminal 100.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the like can be used 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단말기(100)가 AVN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다른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에 따른 음성 통화의 중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In particular, when the terminal 100 is implemented as an AVN system, it can perform a voice call relay function according to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another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위치정보 모듈은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The position information module is a module for acquiring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에 카메라 또는 리시버가 연결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스처 입력을 검출하거나, 리시버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정보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a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In addition, a camera or a receiver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input unit 130. The user input unit 130 may detect the gesture input from the video data output from the camera, or may acquire the input data from the audio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receiver.

센서부(140)는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단말기의 방위,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센서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차량 시스템 연결부(170)의 외부 입력 장치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The sensor unit 140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terminal 100 such as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terminal 100,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100, the user's contact, the orientation of the terminal,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nsor. Also, the sensor unit 140 may sense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powered on, whether the vehicle system connection unit 170 is coupled to an external input device, and the like.

센서부(140)는 예를 들어, 고도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도 센서는 단말기(100)의 고도를 센싱할 수 있고, 가속도 센서는 단말기(100)의 3축 가속도 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지자기 센서는 주위의 자기장의 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는 단말기(100)로 적용되는 중력 변화에 따른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40 may include, for example, an altitude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 gyro sensor, an air pressure sensor, and the like. The altitude sensor can sense the altitude of the terminal 100, and the acceleration sensor can sense the three-axis acceleration change of the terminal 100. In addition, the geomagnetic sensor can sense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around it. The gyro sensor can sense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gravity change.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 출력 모듈(152)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generating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tactile, etc., and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1 and an audio output module 152.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기본 모드인 경우 기본 기능 중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가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차량 인터페이스 모드인 경우, 차량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UI 또는 GUI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to be processed by th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is in the basic mode, a UI (User Interface) or GUI (Graphic User Interface) related to a call among basic functions can be displayed. 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100 is a vehicle interface mode providing a vehicle interface, it may display a UI or a GUI associated with the vehicle interface.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display, and a 3D display.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15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ound output module 152 also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terminal 100. [ The audio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또한, 출력부(150)는 상기 요소들을 이용하여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이미지나, 진동 또는 소리 등으로 출력한다.The output unit 150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terminal 100 using an image, a vibration, a sound, or the like using the elements.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기본 기능에 대응하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차량 인터페이스 모드에 연관된 기능에 대응하는 중요 이벤트가 예시될 수 있다.Examples of events occurring in the terminal may include reception of a call signal corresponding to a basic function, reception of a message, input of a key signal, touch input, and the like, and important events corresponding to functions associated with the vehicle interface mode may be exemplified.

특히, 중요 이벤트의 경우에는 차량 네비게이션 기능과 연관되는 교차로 진입 이벤트, 차량 급회전 이벤트, 안내 멘트 출력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요 이벤트의 발생시점에서 다른 이벤트가 발생이 요청되는 경우 출력부(150)는 후술할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우선 순위 및 상태 정보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지연된 이후에 발생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critical event, it may include an intersection entry event associated with the vehicle navigation function, a vehicle fast turn event, and an announcement output event. When another event is requested to be generated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important event, the output unit 150 performs an operation to be perform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delay according to the priority and state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80 to be described later .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60)는 차량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차량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중요 이벤트 정보 및 상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80, and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data for providing a vehicle interface, and may store important event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vehicle interface.

저장부(160)는 플래시 저장부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저장부(예를 들어 SD 또는 XD 저장부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저장부,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storage unit (for example, an SD or XD storage unit) A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 read-only memory (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 magnetic storage unit, a magnetic disk, and / or an optical disk.

차량 시스템 연결부(170)는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차량 시스템 연결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저장부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차량 시스템 연결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차량 시스템 연결부(170)를 통해 유선으로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단말기(1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도 있다.The vehicle system connection unit 170 serves as a path to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e vehicle system connection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 the terminal 100 or transmits data in the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re may b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nput / A video I / O (input / output)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vehicle system connection unit 170. For example, the vehicle display apparatus 200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by wire through the vehicle system connection unit 170. However,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via a network.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차량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거나,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and may generate and display the vehicle interface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r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이를 위해,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차량 인터페이스 생성부(182)는 차량 인터페이스의 생성 및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차량 인터페이스 생성부(182)에서 생성되는 차량 인터페이스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80, the vehicle interface generating unit 182 can perform generation and control operations of the vehicle interfac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8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the vehicle interface control generated by the vehicle interface generating unit 182 according to a user input to the user input unit 130. [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차량 인터페이스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차량 인터페이스의 동작에 따라 차량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제1 기능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능은 차량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과 연관된 정보를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차량의 목적지까지의 길 안내를 수행하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80 can control the execution of the first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vehicle interfac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interface generated in the vehicle interface generating unit. Wherein the first function may include various functions for provid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vehicle via the vehicle interface, for example, the first function may include a navigation function to perform navigation to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have.

그리고, 제어부(180)는 제1 기능이 제공되는 동안, 실행 지연부(185)를 통해 제1 기능과 상이한 제2 기능의 실행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능은 단말기(100)의 전술한 바와 같은 기본 기능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능은 제1 기능과 상이한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 문자 기능, 인터넷 기능, 메모 기능, 알람 기능 또는 스케쥴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request for execution of a second fun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function through the execution delay unit 185 while the first function is being provided. Here, the second function may correspond to the basic function of the terminal 100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second func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all function or a call relay function, a character function, an Internet function, a memo function, an alarm function, or a schedule fun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function.

그리고, 실행 지연부(185)는 이벤트 판단부(185A)를 통해 중요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중요 이벤트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되는 프로세스 정보, 차량 인터페이스 제어 정보 및 센싱부(140)에서 센싱되는 센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되는 상태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The execution delay unit 185 determines whether a significant event is generated through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185A. The important event may correspond to status information determin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process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controller 180, the vehicle interface control information, and the sensing information sensed in the sensing unit 140.

예를 들어, 이벤트 판단부(185A)는 제어부(180)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검출하고, 상기 프로세스 중 상기 중요 이벤트에 대응하는 프로세스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중요 이벤트의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요 이벤트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는 네비게이션 프로세스일 수 있으며, 이벤트 판단부(185A)는 네비게이션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중요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네비게이션 프로세스의 속성 값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벤트 판단부(185A)는 네비게이션 프로세스의 속성 값으로부터 중요 이벤트에 대응하는 값이 검출되는 경우 중요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185A may detect a process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80,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important event among the processes, and determine whether the important event occurs . For example, the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important event may be a navigation process, and if there is a navigation process,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185A may determine an attribute value of the navigation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important event is generated have.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185A may determine that a critical event has occurred when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important event is detected from the attribute value of the navigation process.

또한, 이벤트 판단부(185A)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되는 차량 인터페이스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중요 이벤트 발생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차량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를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는 각각 중요 이벤트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판단부(185A)는 차량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에 따라 안내 멘트 출력 이벤트의 발생, 급회전 이벤트의 발생, 교차로 진입 이벤트의 발생 중 적어도 하나가 검출된 경우 상기 중요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185A can determine occurrence of a critical event based on the vehicle interface control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control unit 180. [ The control unit 180 may manage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terface, and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terface may correspond to each important event. For example, when at least one of the occurrence of the announcement output event, the occurrence of the sudden turn event, and the occurrence of the intersection entrance event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terface,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185A determines that the important event has occurred .

한편, 이벤트 판단부(185A)는 센싱부(140)에서 처리되는 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중요 이벤트 발생을 결정할 수 있다. 이벤트 판단부(185A)는 센싱부(140)에서 처리되는 특정 축으로의 가속도 정보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중요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185A can determine occurrence of a significant event based on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sensing unit 140. [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185A can determine that the important event is generated when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on the specific axis processed by the sensing unit 14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그리고, 지연 시간 결정부(185B)는 상기 결정된 중요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기능의 실행이 지연될 지연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The delay time determination unit 185B can determine a delay time in which execution of the second function is delayed in response to the determined important event.

이를 위해, 저장부(160)에는 중요 이벤트, 상태 정보 및 상기 지연 시간이 매핑되는 매핑 테이블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storage unit 160 may previously store important events, status information, and a mapping table to which the delay time is mappe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요 이벤트는 네비게이션과 같은 경로 제공 기능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경로 이탈 정보, 과속 정보, 교차로 접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실행 지연부(185)는 상기 각 상태 정보에 기초한 시간 구간에 따라 실행 지연을 처리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important event may be obtained based on status information of a path providing function such as navigation. The stat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ut-of-path information, over-speed information, and intersection access information, and the execution delay unit 185 may process the execution delay according to a time interval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또한, 상기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지연 시간 결정부(185B)는 상기 중요 이벤트의 종류 및 상황에 따라 상기 제2 기능의 실행이 지연되는 지연 시간을 결정할 수 있으며, 지연 시간은 초 단위 또는 밀리초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The delay time determining unit 185B may determine a delay time in which the execution of the second function is delayed according to the type and condition of the important event by using the mapping table. The delay time may be expressed in seconds or milliseconds Can be set.

또한, 여기서 상기 지연 시간에는 지연 조건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연 시간 결정부(185B)는 지연 시간에 지연 조건을 할당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연 조건은 상기 중요 이벤트의 해제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인터럽트 발생 등을 포함할 수있다. 이에 따라, 지연 시간 결정부(185B)는 능동적으로 지연 시간의 길이 및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Also, a delay condition may be assigned to the delay time. For example, the delay time determination unit 185B can assign a delay condition to the delay time. More specifically, the delay condition may include releasing the important event or generating an interrupt according to user input. Accordingly, the delay time determination unit 185B can actively determine the length and condition of the delay time.

이와 같이 설정된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실행 지연부(185)는 상기 제2 기능의 지연 시간 및 지연 조건에 따라 제2 기능의 실행 요청이 있는 경우에도 그 실행의 동작 시점 등을 지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지연이라 함은 제어부(18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실행 중단(STOP), 중지(PAUSE), 프로그램 실행 요청의 거부(REJECT), 프로그램 실행 요청의 보류(POSTPONE) 및 실행 시점의 제어 중 적어도 하나의 의미일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상기 지연 시간이 경과하거나 상기 지연 조건이 해제된 경우 상기 제2 기능의 실행을 재개(RESUME)하거나 활성화(AWAKE)할 수 있다.Based on the delay time thus set, the execution delay unit 185 can delay the operation time of the execution of the second function even when there is a request to execute the second function according to the delay time and the delay condition of the second function. Here, the delay refers to at least one of execution stop (STOP), stop (PAUSE), rejection of program execution request (REJECT), suspension of program execution request (POSTPONE) The control unit 180 may resume execution or awake the execution of the second function when the delay time elapses or the delay condition is released.

또한, 제어부(180)는 실행 지연부(185)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기능 및 상기 제2 기능이 동시에 제공되는 상태에서 상기 중요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제2 기능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지연의 의미는 이와 같은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If the critical event is generat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function and the second function are simultaneously provided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execution delay unit 185, the control unit 180 may stop the operation of the second function And the meaning of the delay may include such a process.

따라서, 본 발명의 제어부(180)의 동작은 하기와 같은 실시 예들로 예시될 수 있다.Therefore,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8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llustrat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상기 제1 기능으로서, 상기 네비게이션 기능이 제공되고, 상기 중요 이벤트는 상기 네비게이션 기능 동작의 안내 멘트 출력 이벤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중요 이벤트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은 상기 안내 멘트 출력 시점에 대응할 수 있다.When the navigation function is provided as the first function and the important event includes an announcement output event of the navigation function operation, the time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important event may correspond to the announcement output time point.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비게이션 기능 제공 중 상기 안내 멘트 출력 시점에, 다른 제2 기능(예를 들어,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 문자 기능, 스케쥴 기능, 알람 기능 등)의 실행이 요청된 경우, 상기 안내 멘트 출력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상기 제2 기능의 동작을 지연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80 determines whether or not a second function (for example, a call function or a call relay function, a text function, a schedule function, an alarm function, etc.) If execution is requested, the operation of the second function can be delayed until the end of the announcement output.

상기 제1 기능으로서, 상기 네비게이션 기능이 제공되고, 상기 중요 이벤트는 상기 네비게이션 기능 동작의 경로 이탈 이벤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중요 이벤트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은 상기 경로 이탈 이벤트 발생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된 시점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navigation function is provided as the first function and the important event includes an out-of-route event of the navigation function operation, the time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important event is a predetermined time period Time point.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비게이션 기능 제공 중 상기 경로 이탈 이벤트 발생 시점에, 다른 제2 기능(예를 들어,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 문자 기능, 스케쥴 기능, 알람 기능 등)의 실행이 요청된 경우, 상기 경로 이탈 이벤트가 종료되거나 일정 시간이 경과된 시점까지 상기 제2 기능의 동작을 지연시킬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navigation function is being provided through the vehicle interface, the control unit 180 transmits another second function (for example, a call function or a call relay function, a text function, a schedule function, an alarm function, , It is possible to dela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function until the end of the path deviation event o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한편, 상기 제1 기능으로서, 상기 네비게이션 기능이 제공되고, 상기 중요 이벤트는 상기 네비게이션 기능 동작의 교차로 진입 이벤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중요 이벤트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은 상기 네비게이션 기능의 교차로 진입 이벤트발생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된 시점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navigation function is provided as the first function and the important event includes an entry event at an intersection of the navigation function operation, a time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important event is set to a time point when an intersection entry event of the navigation function And a time point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from the time point.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비게이션 기능 제공 중 상기 교차로 진입 이벤트 발생 시점에, 다른 제2 기능(예를 들어,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 문자 기능, 스케쥴 기능, 알람 기능 등)의 실행이 요청된 경우, 상기 교차로 진입 이벤트가 종료되거나 일정 시간이 경과된 시점까지 상기 제2 기능의 동작을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차로 진입 이벤트 발생 시점으로부터 종료 시점 까지의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제2 기능의 동작의 지연은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navigation function is provided through the vehicle interface, the control unit 180 transmits another second function (for example, a call function or a call relay function, a text function, a schedule function, an alarm function, etc.) The operation of the second function may be delayed until the intersection entry event ends o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lso, the delay of the operation of the second function may be continuously provided during the time interval from the generation time of the intersection entry event to the ending time.

뿐만 아니라, 차량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제1 기능이 제공되는 동안 제어부(180)는 센싱부(140)에서 센싱되는 차량의 가속도 변화를 판별하고, 상기 차량의 가속도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중요 이벤트의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first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vehicle interface is provided, the control unit 180 determines a change in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sensed by the sensing unit 140. If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It can be judged.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능은 단말기(100) 또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촬영 기능 등을 제어하는 블랙 박스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속도 변화에 따라 상기 중요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제2 기능의 동작은 일정 시간 동안 지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function may include a black box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shooting function of the terminal 100 or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and when the important event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acceleration change, 2 function may be delay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또한, 상기 중요 이벤트의 종료시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 문자 기능, 스케쥴 기능 또는 알람 기능 등은 재개될 수 있다.Also, at the end of the important event,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the text function, the schedule function or the alarm function can be resumed.

*또한, 상기 제2 기능의 동작이 중지된 경우, 단말기(100)는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의 제공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2 기능의 실행 지연을 보상하기 위한 다른 부가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동작이 중지된 경우,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대상 단말기로 상기 중요 이벤트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송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of the second function is suspended, the terminal 100 can execute another additional function for compensating the execution delay of the second function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provision of the vehicle interface. 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of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is suspended, guida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portant ev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target terminal of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이와 같은 부가 기능의 처리를 위해, 부가 기능 처리부(187)는 상기 제2 기능의 지연을 보상하기 위한 부가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부가 기능 처리부(187)는 상기 제2 기능의 실행 지연이 종료된 경우, 상기 부가 기능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2 기능을 재개시킬 수 있다.In order to process such an additional function, the additional function processing unit 187 may execute an additional function for compensating for the delay of the second function. When the execution delay of the second function is terminated, the additional function processing unit 187 can resume the second fun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dditional function.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차량의 목적지까지의 길 안내를 수행하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능은 상대방 단말기와의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부가 기능은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의 안내메시지 송출 및 실행 지연 종료시 콜백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first function includes a navigation function for performing a route guidance to a destination of the vehicle, and the second function includes a call function or a call relay function with a counterpart terminal, And a callback function at the time of sending out the guidance message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ending the execution delay.

뿐만아니라, 부가 기능 처리부(187)는 제2 기능의 지연 보상을 위한 하나 이상의 기능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ditional function processor 187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al processes for delay compensation of the second function.

예를 들어, 부가 기능 처리부(187)는 상기 상대방 단말기가 미리 지정한 예외 단말기인지 판단하고, 상기 예외 단말기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실행 지연과 관계 없이 상기 제2 기능의 실행을 허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부가 기능 처리부(187)에는 미리 지정된 예외 단말기의 식별 정보(전화번호, 이름, 회사명, IP 주소 등)가 저장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dditional function processor 187 may determine whether the counterpart terminal is an exception handler previously designated, and allow the execution of the second function regardless of the execution delay if the counterpart terminal is determined to be the exception handler. To this e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elephone number, name, company name, IP address, etc.) of the previously designated exception terminal may be stored in the additional function processor 187.

또한, 부가 기능 처리부(187)는 상기 제2 기능의 실행 지연이 종료된 경우,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화면의 일부를 상기 제2 기능의 출력을 위한 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제2 기능이 차량 인터페이스의 일부에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When the execution delay of the second function is terminated, the additional function processing unit 187 divides a part of the screen provided through the vehicle interface into an area for outputting the second function, It can be processed so as to be output to a part of the interface.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거치장치를 통해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 시스템 연결부(170)를 통해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되어 차량으로부터 동작 전원 또는 충전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Meanwhile, 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The power supply 190 may receive wireless power through the mounting device.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of the vehicle through the vehicle system connection unit 170 to receive operation power or charging power from the vehicl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어부(210), 통신부(220), AV입력부(230), 사용자 입력부(240), 출력부(250), 차량 정보 획득부(260), 저장부(270) 및 전원부(280)를 포함하며, 실행 지연부(215)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includes a control unit 210, a communication unit 220, an AV input unit 230, a user input unit 240, an output unit 250, a vehicle information obtaining unit 260, a storage unit 270, (280), and optionally includes an execution delay unit (215).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통신부(220)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기(100) 또는 차량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20 of the vehicle display apparatus 20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display apparatus 2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vehicle display apparatus 200 and the network in which the terminal 100 is located. And may include an interface unit for enabling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100 or the vehicle.

또한, 통신부(220)는 전술한 무선 인터넷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통신부(220)는 단말기(100)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되는 차량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Also, the communication unit 220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or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he communication unit 220 may receive the vehicle interface data received wirelessly or wired from the terminal 100.

한편, 통신부(220)는 위치정보 모듈을 포함하여 차량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Meanwhile, the communication unit 220 may acquire the position of the vehicle including the position information module. A typical example is a GPS (Global Position System) module.

특히,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자체적으로 내비게이션 장치로 구동되는 경우,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GPS 모듈을 통해 위성들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거나 또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지도 화면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is driven by itself as a navigation device,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calculat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position data received from the satellites via the GPS module, Or may output the video data and the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map screen indicating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AV(Audio/Video) 입력부(23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단말기(100)로부터의 차량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AV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에는 카메라(미도시)와 마이크(미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하여, 차량의 전후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The AV (Audio / Video) input unit 23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receive an AV input associated with the vehicle interface from the terminal 100. Also, it may include a camera (not shown) and a microphone (not shown). The camera may proces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photographing mode to acquire at least one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images of the vehicle.

상기 카메라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3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마이크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3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camera may be provided in two or more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The microphone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사용자 입력부(240)는 사용자가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6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240 generates input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by the user. The user input unit 16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출력부(2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 및 오디오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250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a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and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and an audio output module as shown in FIG.

출력부(250)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단말기(100)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 또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차량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그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250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terminal 100 or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through the display module.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provides a navigation function through the vehicle interface, it may display a UI (User Interface) 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ssociated therewith.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출력부(250)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 모듈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HUD(Head Up Display) 형태로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다.Further, 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module of the output unit 250 may display the vehicle interface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0. The display module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 And a 3D display (3D display), or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Head Up Display (HUD).

출력부(250)의 오디오 출력 모듈은 차량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내비게이션 음성이나, 저장부(2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모듈(25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of the output unit 250 may output the navigation voice provided through the vehicle interface or the audio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270. The audio output module 250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제어부(210)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특히, 제어부(210)는 출력부(250)를 통해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제1 기능과, 상기 지연된 제2 기능 및 부가 기능의 제공에 따른 동작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210 may provide a vehicle interface through the output unit 250 and may include a first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vehicle interface and a second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delayed second function and additional func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eration screen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그리고, 이를 위해, 제어부(210)는 실행 지연부(215)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실행 지연부(215)는 차량 정보 획득부(260)로부터 획득되는 차량 정보에 따라 실행 지연을 위한 차량 정보를 단말기(100)로 전달하거나, 실행 지연의 판단 결과를 제어부(2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10)에서 제공되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통하여도 제2 기능의 지연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단말기(100)에서 제어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 자체적으로 동작하고, 단말기(1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trol unit 210 may selectively include an execution delay unit 215. [ The execution delay unit 215 may transmit the vehicle information for execution delay to the terminal 100 or provide the control unit 210 with the result of the execution delay determination in accordance with the vehicl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60 have. Accordingly, the delay of the second function can also be realized through the vehicle interface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210. In addition to the case of being controlled by the terminal 100, the vehicle display apparatus 200 itself operates,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case in which a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vehicle 100 to control the vehicle interface.

한편, 차량 정보 획득부(260)는 차량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차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차량 정보 획득부(260)는 차량 움직임 센싱 모듈 및 주행정보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정보 획득부(260)는 획득된 차량 정보를 제어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차량 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 움직임 정보 및 주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vehicle information obtaining unit 260 may obtain the vehicle information for providing the vehicle interface. The vehicle information obtaining unit 260 may include a vehicle motion sensing module and a traveling information detecting unit. The vehicle information obtaining unit 260 may transmit the obtained vehicl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210. [ The vehicle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vehicle motion inform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차량 움직임 센싱 모듈은 상기 차량 움직임 정보를 센싱한다. 차량 움직임 센싱 모듈은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위치, 방위, 가속 또는 감속에 따라,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주행정보 검출부는 차량의 공조 제어 시스템인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연결될 수 있으며, 차량으로부터 주행정보를 검출한다. 주행정보는 예를 들어, 속도, 시간, 기온, 주행 거리, 연료량, 엔진오일 수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motion sensing module senses the vehicle motion information. The vehicle motion sensing module may sense the movement of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and generate a sensing signal according to the position, orientation,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of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of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The traveling information detecting unit may be connected to an ECU (Electronic Control Unit), which is an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of the vehicle, and detects traveling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The driving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speed, time, temperature, mileage, fuel amount, and engine oil life.

한편, 저장부(270)는 차량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70)는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AV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70)는 차량 정보 획득부(260)에서 획득되는 챠량 움직임 정보와 주행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storage unit 270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for providing a vehicle interface.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270 may temporarily store the AV data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interface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0. Also, the storage unit 270 may store the amount-of-movement information and the driving information acquired by the vehicl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60. [

전원부(280)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되어 동작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80 supplies power for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ehicle display apparatus 200.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may be connected to a battery of the vehicle to receive operating power.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 내부의 구성 요소들 간의 통신 또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외부 모듈 간의 통신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CAN 통신은 차량 내에서 호스트 컴퓨터 없이 마이크로 콘트롤러나 장치들이 서로 통신하기 위해 설계된 표준 통신 규격을 말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ponents inside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or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and the external module as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using a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Can refer to a standard communication standard designed for a microcontroller or device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ithout a host computer in the vehicl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operations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단말기(100)는 기본 기능을 제공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한다(S101).Referring to FIG. 4, the terminal 100 operates in a first mode for providing a basic function (S101).

여기서,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기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제1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으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본 기능으로서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 문자 기능, 인터넷 기능, 스케쥴 기능, 알람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output unit 150 may output a first interface through which the basic functions of the terminal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In addition, the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 call function or a call relay function, Function, Internet function, schedule function, alarm function, and so on.

그리고, 단말기(100)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결되는지 감지한다(S103).Then, the terminal 100 senses whether it is connected to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S103).

센싱부(140)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와의 차량 시스템 연결부(170) 연결을 감지하여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와의 연결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0)와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간의 인증을 수행하고, 승인된 경우에만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와의 연결을 감지할 수도 있다.The sensing unit 140 may detect a connection with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by sensing a connection of the vehicle system connection unit 170 with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Also, the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n this case, authentication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may be performed, and connection with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may be detected only when the authentication is permitted.

그리고, 단말기(100)가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결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차량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한다(S105).When th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the terminal 100 switches to the vehicle interface mode for providing the vehicle interface (S105).

그리고, 단말기(100)는 차량 인터페이스 제공에 따라 제1 기능을 제공한다(S107).Then, the terminal 100 provides the firs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the vehicle interface (S107).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차량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네비게이션 실행에 따른 경로 안내 등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vehicle interface mode, the control unit 180 can provide route guidance, etc. according to navigation execution

이후, 단말기(100)는 제1 기능과 상이한 제2 기능의 실행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S109), 중요 이벤트 발생여부를 판단한다(S111).Thereafter, when an execution request for a second fun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function is generated (S109), the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a significant event has occurred (S111).

여기서, 중요 이벤트 발생은 미리 설정된 차량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 센싱부(140)에서 센싱되는 센싱 정보 또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이벤트 판단부(185A)에서 결정될 수 있다.Here, the occurrence of the important event is determined in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185A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preset vehicle interface status information, the sens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140, or the vehicl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

이후, 중요 이벤트가 발생됨이 확인되면, 단말기(100)는 실행 지연부(185)를 통해 상기 중요 이벤트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 동안 상기 다른 제2 기능의 실행을 지연시킨다(S113).Thereafter,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important event is generated, the terminal 100 delays the execution of the other second function during the time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important event through the execution delay unit 185 (S113).

그리고, 단말기(100)는 부가 기능 처리부(187)를 통해 실행 지연에 대응하는 부가 기능을 처리한다(S114).Then, the terminal 100 processes the additional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execution delay through the additional function processing unit 187 (S114).

전술한 바와 같이, 부가 기능 처리부(187)는 상기 제2 기능의 지연을 보상하기 위한 부가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dditional function processor 187 may execute an additional function for compensating for the delay of the second function.

그리고, 단말기(100)는 실행 지연부(185)를 통해 상기 시간 구간이 경과하거나, 중요 이벤트 발생이 해제되어, 지연 조건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부가 기능에 따라 상기 제2 기능의 실행을 재개한다(S115).The terminal 100 resumes execution of the second function according to the additional function when the time interval elapses through the execution delay unit 185 or when the delay condition is canceled due to the release of the generation of the important event S115).

부가 기능 처리부(187)는 상기 제2 기능의 실행 지연이 종료된 경우, 상기 부가 기능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2 기능을 재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부가 기능 처리부(187)는 차량 인터페이스 화면을 분할하여 상기 제2 기능의 제공을 위한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When the execution delay of the second function is terminated, the additional function processing unit 187 can resume the second fun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dditional function. For example, the additional function processing unit 187 may divide the vehicle interface screen and display an area for providing the second function.

한편, 중요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기(100)는 실행 지연부(185)를 통해 상기 제2 기능의 실행이 허용됨을 확인하고, 제어부(180)를 통해 상기 제2 기능을 실행시킨다(S117).On the other hand, when the important event is not generated, the terminal 100 confirms execution of the second function through the execution delay unit 185 and executes the second function through the control unit 180 (S117 ).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에 따라 출력되는 차량 인터페이스 변화를 나타낸다.5 to 6 show vehicle interface changes outpu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에서 생성된 차량 인터페이스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이며 차량 인터페이스는 단말기(100)의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될 수도 있다.5, the vehicle interface generated in the terminal 100 may be output through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vehicle interface may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50 of the terminal 100. [

이와 같은 차량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단말기(100)에는 전화 수신 등의 제2 기능의 요청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차량 인터페이스의 제1 기능의 제공은 유지하면서, 상기 제2 기능의 동작의 실행 요청을 지연 시간 동안 보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른 지연 안내 메시지(201)가 차량 인터페이스상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지연 안내 메시지(201)는 제2 기능의 정보, 지연 조건, 지연 시간 및 남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vehicle interface mode, a request for a second function such as a call reception may be generated in the terminal 100. [ Then, the terminal 100 may suspend the execution request of the operation of the second function for a delay time while maintaining the provision of the first function of the vehicle interface. Then, a delay guide message 201 may be displayed on the vehicle interface. The delay guide message 201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a second function, a delay condition, a delay time, and a remaining time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a user.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연 시간이 경과되거나 중요 이벤트가 해제된 경우, 상기 제2 기능의 동작이 재개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제2 기능에 대응하는 전화 수신 화면(202)이 차량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2 기능에 대응하는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6, when the delay time elapses or when the important event is released, the operation of the second function can be resumed. In Fig. 6, the telephone receiving screen 20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unction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vehicle interface, and the calling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unction can be executed according to the user input.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vehicl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단말기(100)에서 생성되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수신하여 영상 및 음향 신호만을 출력부(2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말기(100)는 차량 인터페이스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그 제어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display apparatus 200 may receive the vehicle interface generated by the terminal 100 and output only the video and audio signals through the output unit 250. In this cas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 is generated to control the vehicle interface, and the vehicle display apparatus 200 can output the control resul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생성되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단말기(100)가 연결되면, 단말기(10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차량 인터페이스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display apparatus 200 provides a vehicle interface generated in the vehicle display apparatus 200, and when the terminal 100 is connected, And may perform vehicle interface control of 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by receiving a signal.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먼저 차량정보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S201).Referring to FIG. 7, the vehicle display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provides a vehicle information display (S201).

제어부(210)는 차량정보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생성하여 출력부(25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10 may receive or generate the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ata and provide it through the output unit 250.

그리고,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단말기(100)와의 연결이 감지되면(S203), 단말기(100)의 제어에 따라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205).Then, the vehicle display apparatus 200 provides a vehicle interface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100 (S205) when a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100 is sensed (S203).

제어부(210)는 연결된 단말기(100)와의 인증을 통해 차량 인터페이스 제어 권한이 있는 단말기인지 확인할 수 있으며, 인증된 경우 차량 인터페이스의 제어 권한을 인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10 can confirm whether the terminal has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interface through authentication with the connected terminal 100, and can authorize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vehicle interface when the terminal is authorized.

그리고,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단말기(100)로 제공한다. 차량정보 획득부(260)는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vehicle display device 200 provides the vehicle 100 with mo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vehicle information obtaining unit 260 may obtain the vehicle information including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이후,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차량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센싱하여 중요 이벤트를 판단하며(S207),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중요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기(100)로 전달할 수 있다(S209).Thereafter, the vehicle display apparatus 200 senses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vehicle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important event (S207), generates the situ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portant ev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10, 100) (S209).

그리고,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면서 다른 기능의 실행은 지연시킬 수 있고, 부가 기능의 제공을 처리할 수 있다(S211).Then, the vehicle display apparatus 200 can control the vehicle interfac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0, delay the execution of other functions, and process the provision of the additional function (S211).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부가 기능 제공 동작을 설명하기 위함 흐름도이며, 도 9 내지 도 11은 이에 따른 차량 인터페이스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FIG.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additional function providing ope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to 11 are views showing changes of a vehicle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내지 도 11에서는 단말기(100)의 차량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중요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을 지연시키는 실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제1 기능은 상기 차량의 목적지까지의 길 안내를 수행하는 네비게이션 기능 등에 대응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기능은 상대방 단말기와의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8 to 11 show an embodiment in which a call function or a call relay function is delayed when a key event associated with the vehicle interface of the terminal 100 is generated. In this case, the first function may correspond to a navigation function or the like that performs a route guidance to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and the second function may include a call function or a call relay func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먼저, 단말기(100)는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 중 중요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S121), 부가 기능 처리부(187)를 통해 그 지연 시간이 일정 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23).First, the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the delay tim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rough the additional function processing unit 187 (S123) when a significant event is generated among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S121).

그리고, 단말기(100)는 상기 실행 지연에 대응하는 지연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 부가 기능 처리부(187)를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기와의 통화 접속을 종료하고, 상기 통화 접속이 종료된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상기 실행 지연에 대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송출한다(S125). 여기서, 안내 메시지는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delay time corresponding to the execution delay is equal to or longer than a predetermined time, the terminal 100 terminates the call connec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the additional function processor 187, and when the call connection is terminated, And transmits a guidance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execution delay to the terminal (S125). Here, the guidance messag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oice message or a text message.

도 9에서는 이와 같은 통화 접속 종료시의 차량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인터페이스에는 전화 통화 중단에 대한 안내 정보 및 안내 메시지 전송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FIG. 9 shows a vehicle interface at the time of termination of such a call connection. As shown in Fig. 9, the vehicle interface can output guidance information on the telephone call interruption and information on transmission of the guidance message.

그리고, 단말기(100)는 상기 중요 이벤트가 종료되거나 상기 지연 시간에 따른 시간 구간이 경과된 경우, 부가 기능 처리부(187)를 통해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실행을 위한 콜백 서비스를 제공한다(S127).The terminal 100 provides a callback service for executing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through the additional function processor 187 when the important event ends or the time interval according to the delay time elapses S127).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백 서비스는 상대방 단말기로의 통화 접속 재개를 위한 호 신호를 전송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부가 기능 처리부(187)는 콜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영역(206)을 제공하기 위해, 차량 인터페이스의 화면의 일부에 출력하거나 또는 화면 분할을 처리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callback service may include a service for transmitting a call signal for resuming a call connection to a counterpart terminal. The additional function processing unit 187 may output to a part of the screen of the vehicle interface or process the screen division to provide the area 206 for providing the callback service.

한편, 상기 실행 지연에 대응하는 지연 시간이 일정 시간 이하인 경우, 단말기(100)는 부가 기능 처리부(187)를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기와의 통화 접속을 유지하면서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상기 실행 지연에 대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송출한다(S129).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lay time corresponding to the execution delay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time, the terminal 100 maintains a call connec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the additional function processor 187, Message (S129).

여기서, 안내 메시지는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음성 메시지는 상기 통화 접속을 통해 송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실행 지연부(185)는 제2 기능의 일부만을 차단하여 지연시킬 수 있다. 실행 지연부(185)는 상기 실행 지연에 따라 통화 연결은 유지하면서 음성의 입출력 기능만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1은 이에 따른 차량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며, 통화 연결 유지에 대한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Here, the guidance messag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oice message and a text message, and the voice message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call connection. Here, the execution delay unit 185 can block and delay only a part of the second function. The execution delay unit 185 may block only the voice input / output function while maintaining the call connec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delay. FIG. 11 shows a vehicle interface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formation on call connection maintenance can be displayed together.

그리고, 단말기(100)는 상기 중요 이벤트가 종료되거나 상기 지연 시간에 따른 시간 구간이 경과된 경우, 부가 기능 처리부(187)를 통해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을 재개시킨다(S131).When the important event is terminated or the time interval according to the delay time elapses, the terminal 100 resumes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through the additional function processor 187 (S131).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The method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program code and provided to each server or devices in a state stored in vario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A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is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a register, cache, memory, etc., but semi-permanently stores data and is readable by the apparatus. In particular, the various applications or programs described above may be stored on non-volatile readable media such as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도중에 상대방 단말기와의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실행이 요청된 경우, 일정 조건에 따라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실행을 지연시키는 단계;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실행이 지연된 경우,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지연을 보상하기 위한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실행 지연이 종료된 경우, 상기 부가 기능의 동작에 따라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A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providing a vehicle interface,
Providing a navigation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vehicle interface;
Delaying execution of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when execution of a call function or a call relay func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is requested during the provision of the navigation function;
Executing an additional function for compensating for a delay of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when execution of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is delayed; And
And resuming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dditional function when the execution delay of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is terminated
A method of controlling a terminal that provides a vehicle inte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기능은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의 콜백 기능을 포함하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ditional function includes a callback function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 method of controlling a terminal that provides a vehicle inte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실행 지연에 대응하는 지연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기와의 통화 접속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접속이 종료된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상기 실행 지연에 대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executing the additional function comprises:
Ending a call connec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when a delay time corresponding to the execution delay is equal to or longer than a predetermined time; And
And transmitting a guidance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execution delay to the counterpart terminal when the call connection is terminated
A method of controlling a terminal that provides a vehicle inte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실행 지연에 대응하는 지연 시간이 일정 시간 이하인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기와의 통화 접속을 유지하면서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상기 실행 지연에 대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executing the additional function comprises:
And transmitting a guidance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execution delay to the counterpart terminal while maintaining a call connec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when the delay time corresponding to the execution delay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time
A method of controlling a terminal that provides a vehicle interfa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메시지는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를 포함하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announcement message may include a voice message or a text message.
A method of controlling a terminal that provides a vehicle inte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방 단말기가 미리 지정한 예외 단말기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예외 단말기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실행 지연과 관계 없이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실행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ep of executing the additional function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the counterpart terminal is an exception handler designated in advance; And
And allowing the execution of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regardless of the execution delay when it is determined as the exception terminal
A method of controlling a terminal that provides a vehicle inte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화면의 일부를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출력을 위한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executing the additional function comprises:
And dividing a part of the screen provided through the vehicle interface into an area for outputting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 terminal that provides a vehicle inte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조건은 미리 결정된 중요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며,
상기 지연시키는 단계는, 상기 중요 이벤트에 대응하는 지연 시간동안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실행을 지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determined condition cor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important event,
Wherein delaying comprises delaying execution of the call function or call forwarding function for a delay time corresponding to the important event
A method of controlling a terminal that provides a vehicle interface.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차량과 연관된 정보를 GUI를 통해 제공하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차량 인터페이스 생성부;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도중에 상대방 단말기와의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실행이 요청된 경우, 일정 조건에 따라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실행을 지연시키는 실행 지연부; 및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실행이 지연된 경우,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지연을 보상하기 위한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부가 기능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의 실행 지연이 종료된 경우, 상기 부가 기능의 동작에 따라 상기 통화 기능 또는 통화 중계 기능을 재개하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A terminal for providing a vehicle interface,
A vehicle interfac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vehicle interface that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through a GUI;
A control unit for providing a navigation function through the vehicle interface;
An execution delay unit for delaying execution of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when the control unit is requested to execute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during the provision of the navigation function; And
And an additional function processor for executing an additional function for compensating delay of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when the execution of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is delayed,
The control unit resumes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dditional function when the execution delay of the call function or the call relay function is ended
A terminal providing a vehicle interface.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A program stored in a mediu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in a computer.
KR1020170074827A 2017-06-14 2017-06-14 A terminal for providng car interfaces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KR2017007285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827A KR20170072852A (en) 2017-06-14 2017-06-14 A terminal for providng car interfaces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827A KR20170072852A (en) 2017-06-14 2017-06-14 A terminal for providng car interfaces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856A Division KR101749315B1 (en) 2015-08-25 2015-08-25 A terminal for providng car interfaces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852A true KR20170072852A (en) 2017-06-27

Family

ID=59514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827A KR20170072852A (en) 2017-06-14 2017-06-14 A terminal for providng car interfaces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285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86493A (en) * 2021-10-26 2022-01-28 阿波罗智能技术(北京)有限公司 Service use request processing method, relate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86493A (en) * 2021-10-26 2022-01-28 阿波罗智能技术(北京)有限公司 Service use request processing method, relate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13986493B (en) * 2021-10-26 2023-11-14 阿波罗智能技术(北京)有限公司 Service use request processing method, relate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4435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10298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EP3502862A1 (en) Method for presenting content based on checking of passenger equipment and distraction
KR101495190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image display device
KR102390623B1 (en) Vehicle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a vehicle interface using a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10824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KR20160047879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US20120064865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37694B1 (en) Navigation terminal,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guiding route thereof
EP3712016B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mobile device in vehicle
EP3531722B1 (en) Application startup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10317234B2 (en) Terminal for providing vehicle interfa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4195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compromised driving
KR101562581B1 (en)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2124197B1 (en) System for controlling in-vehicle-infortainment apparatus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00064937A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guiding route thereof
KR101749315B1 (en) A terminal for providng car interfaces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KR101731511B1 (en) A terminal for providng car interfaces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KR20160089749A (en) A car display appratus for providing a car interface
KR20170072852A (en) A terminal for providng car interfaces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KR20170048291A (en) A terminal for providng car interfaces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KR101537695B1 (en)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287789B1 (en) A portable terminal for controlling a car interfa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KR20160075894A (en) A car display appratus
KR102044819B1 (en) An method for controlling a communicaion of a terminal with a vehichle and an appratus us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