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725A - Movable core and crossbar assembly for magnetic contactor - Google Patents

Movable core and crossbar assembly for magnetic conta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725A
KR20170072725A KR1020150181240A KR20150181240A KR20170072725A KR 20170072725 A KR20170072725 A KR 20170072725A KR 1020150181240 A KR1020150181240 A KR 1020150181240A KR 20150181240 A KR20150181240 A KR 20150181240A KR 20170072725 A KR20170072725 A KR 20170072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re
crossbar
assembly
pair
supp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2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49750B1 (en
Inventor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1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750B1/en
Publication of KR20170072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7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7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Abstract

본 발명은 가동 코어 어셈블리의 위치 고정을 보다 확고히 보장할 수 있는 전자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는, 저 면에 한 쌍의 제 1 결합 돌 부를 가지는 크로스바; 상부에 제 2 결합 돌 부를 갖는 가동 코어; 제 2 결합 돌 부가 관통하도록 허용하는 제 1 관통 구 부를 구비하며, 상부 면에 상기 제 1 결합 돌부에 대응하게 상방으로 돌출하게 마련되어 상기 크로스바의 제 1 결합 돌 부를 위치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 돌 부를 갖는 강판; 및 각각 제 3 관통 구 부를 갖는 한 쌍의 절곡 부를 구비하는 서포터; 및 상기 서포터의 제 3 관통 구 부에 양 단 부가 관통하게 끼워지며, 상기 크로스바의 제 1 결합 돌 부에 형성된 삽입 홈 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 편;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vable core and a crossbar assembly of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capable of more firmly ensuring the position fixation of the movable core assembly, wherein the movable core and the crossbar assembly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pair of A crossbar having one coupling portion; A movable core having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pair of fixing protrusion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so as to protrude upward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s and fix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s of the crossbars in position, ; And a pair of bends each having a third through-hole; And a coupling piece inserted into the third through-hole portion of the supporter so as to penetrate both ends thereof and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of the crossbar.

Description

전자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MOVABLE CORE AND CROSSBAR ASSEMBLY FOR MAGNETIC CONTACTOR}[0001] MOVABLE CORE AND CROSSBAR ASSEMBLY FOR MAGNETIC CONTACTOR [0002]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동 코어 어셈블리(MOVABLE CORE ASSEMBLY)와 크로스 바 어셈블리(CROSSBAR ASSEMBLY)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이들간 결합구성을 강화한 전자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vable core and a crossbar assembly of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in which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movable core assembly and the crossbar assembly is enhanc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movable core assembly and the crossbar assembly.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 및 그의 가동 코어어셈블리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s. 1 to 4, a conventional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its movable core assembly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전자접촉기의 일 예 구성을 간략히 설명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 1,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to which the prior art or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1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자접촉기는 상부 프레임(UPPER FRAME)(1), 가동 코어 어셈블리(2), 복귀 스프링(3), 여자코일 어셈블리(4) 및 하부 프레임(LOWER FRAME)(5)를 포함하게 구성된다.1,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includes an UPPER FRAME 1, a movable core assembly 2, a return spring 3, an excitation coil assembly 4 and a lower frame 5 ).

상부 프레임(1)은 전자접촉기의 상부 외함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내부에는 미도시하였으나 도 6-9 및 도 12를 참조할 수 있는 크로스바 어셈블리 및 크로스바에 의해 지지되는 가동접점과, 해당 가동접점에 대응되게 마련되고 대향하게 설치되는 고정접점 등이 내장된다.The upper frame 1 is a movable contact supported by the crossbar assembly and the cross bar, which are not shown in the figure but which can refer to Figs. 6-9 and 12, and correspond to the movable contact And a fixed contact which is provided so as to be opposite to each other.

가동 코어 어셈블리(2)는 가동 코어와, 가동 코어를 상기 크로스바 어셈블리에 결합하기 위한 강판 및 서포터(SUPPORTER), 마이크로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자 등을 포함하며, 가동 코어 어셈블리(2)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movable core assembly 2 includes a movable core, a steel plate and a supporter for coupling the movable core to the crossbar assembly, an actuator for actuating the micro switch, and the lik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ovable core assembly 2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복귀 스프링(3)은 가동 코어 어셈블리(2)중 가동 코어가 내부를 관통하게 여자코일 어셈블리(4)의 상위에 설치된다.The return spring 3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xcitation coil assembly 4 so that the movable core of the movable core assembly 2 passes through the inside.

복귀 스프링(3)의 상부는 가동 코어 어셈블리(2)의 상기 강판에 접촉하여 가동 코어 어셈블리(2)에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탄성력을 부과한다.The upper portion of the return spring 3 contacts the steel plate of the movable core assembly 2 and applies an elastic force to push the movable core assembly 2 upward.

여자코일 어셈블리(4)는 여자 제어신호의 인가 여부에 따라 여자(MAGNETIZING) 또는 소자(DEMAGNETIZING)되는 코일(COIL)(도 2의 부호 4a 참조), 미 도시된 상기 코일을 지지하는 보빈 부(BOBBIN PORTION), 상기 여자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신호 단자(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미 도시), 상기 코일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코일과 함께 여자 또는 소자되는 고정코어(미 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citation coil assembly 4 includes a coil MILICIZING or DEMAGNETIZING coil 4A according to whether the excitation control signal is applied or not (see 4a in FIG. 2), a bobbin portion BOBBIN A control signal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not shown) for receiving the excitation control signal, a fixed core (not shown) provided adjacent to the coil and excited or elemented together with the coil, and the like can do.

하부 프레임(5)은 전자접촉기의 하부 외함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전기적 절연재 수지로 통상 제작되고 내부 수납공간에 상기 여자코일 어셈블리(4)를 수납한다. The lower frame 5 is usually made of an electrical insulating resin as a part forming a lower enclosure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accommodates the excitation coil assembly 4 in an inner enclosure space.

하부 프레임(5)은 상부 프레임(1)과 예컨대 나사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전자접촉기의 외함을 형성하게 된다.The lower frame 5 is joined to the upper frame 1 by a coupling means such as a screw, for example, to form an enclosure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초기 가동 코어 어셈블리(2)를 자기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흡인하기 위해서 비교적 큰 전류가 흐르는 것을 필요로 하지만, 해당 전류가 상기 코일에 지속하여 흐르게 되면 상기 코일이 소손된다. In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s described above, the coil needs a relatively large current to flow in order to attract the initial movable core assembly 2 to move downward by the magnetic force. However, when the current continues to flow through the coil, The coil is burned out.

따라서 이러한 코일의 소손 방지 수단에 대해서 도 2의 회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refore, the burn-out preventing means of such a coi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ircuit diagram of Fig.

도 2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코일(4a)의 양단에는 다이오드 브릿지(diode bridge)(4b)가 접속되어 직류전류를 코일(4a)에 공급한다.2, a diode bridge 4b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il 4a to supply a direct current to the coil 4a.

다이오드 브릿지(4b)의 입력단에는 교류 신호로서 상기 여자코일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 1 단자(P1)와 제 2 단자(P2)가 접속되며, 제 1 단자(P1)와 다이오드 브릿지(4b)사이에 상기 코일의 소손 방지 수단으로서 커패시터(4d)와, 커패시터(4d)에 병렬로 접속되는 마이크로 스위치(4c)가 마련된다.A first terminal P1 and a second terminal P2 for providing the excitation coil control signal as an AC signal ar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diode bridge 4b and a first terminal P1 and a second terminal P2 ar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P1 and the diode bridge 4b. A capacitor 4d and a micro switch 4c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capacitor 4d are provided as means for preventing burn-out of the coil.

마이크로 스위치(4c)는 정상 폐로 스위치인 b접점 스위치로서 마이크로 스위치(4c)의 기계적 작동 레버가 눌려지지 않았을 때, 내부 접점이 닫힌 상태로 교류전류를 다이오드 브릿지(4b)에 전달하게 동작한다.The micro switch 4c is a b contact switch which is a normally closed switch and operates to transmit an alternating current to the diode bridge 4b in a state in which the internal contact is closed when the mechanical operation lever of the micro switch 4c is not pressed.

한편 마이크로 스위치(4c)의 기계적 작동 레버가 눌려지면, 내부 접점이 열린 상태가 되면서 교류전류는 마이크로 스위치(4c)와 병렬로 접속된 커패시터(4d)를 통해 제한된 용량으로 흐르면서 코일(4a)의 소손이 방지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mechanical operation lever of the microswitch 4c is pressed, the internal current is opened, and the AC current flows through the capacitor 4d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microswitch 4c to the limited capacity, .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가동 코어 어셈블리의 상세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3 and 4, the detailed construction of the movable core assembly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가동 코어 어셈블리는 서포터(SUPPORTER)(7), 강판(8), 가동 코어(9), 작동 자(10) 및 결합 박판(11)을 포함한다.The movable cor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shown includes a supporter 7, a steel plate 8, a movable core 9, an operator 10 and a connecting thin plate 11. [

서포터(7)는 가동 코어(9)를 상기 크로스바 어셈블리와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알파벳 "U"자형의 형상을 가지며, 중앙부와 중앙부의 양단부로부터 절곡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양 직립부를 포함한다.The supporter 7 is a means for engaging the movable core 9 with the crossbar assembly, and has an alphabetical "U " -shaped shape and includes both upright portion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bending from both ends of the central portion and the central portion.

상기 중앙부는 가동 코어(9)의 상부 소 직경부(9a)의 관통을 허용하는 원형의 제 1 관통 구 부(7b)를 구비하며, 상기 양 직립부는 각각 결합 박판(11)의 관통을 허용하는 결합 박판 지지 구 부(7a)를 가진다.The central portion has a circular first through-hole portion 7b that allows the upper small-diameter portion 9a of the movable core 9 to pass therethrough, and the two upright portions each allow the penetration of the connecting thin plate 11 And has an engagement thin plate support portion 7a.

강판(8)은 기본적으로 가동 코어 어셈블리에 상기 복귀 스프링(3)의 탄성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며, 부가적으로 서포터(7)와 작동 자(10)의 지지부재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The steel plate 8 basically functions to transmit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3 to the movable core assembly and additionally functions as a support member of the supporter 7 and the operator 10. [

강판(8)은 상기 복귀 스프링(3)의 탄성력을 전달하기 위한 대략 사각형의 강판부로 형성되는 주 몸체 부와, 해당 주 몸체 부로부터 일 측으로 연장하게 형성되는 연장 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 부는 단 부에 작동 자(10)의 지지 부로서 지지 홈 부를 가진다.The steel plate 8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formed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teel plate portion for transmitting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3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portion to one side. The extension portion has a support groove portion as a support portion of the actuator 10 at an end thereof.

강판(8)의 상기 주 몸체 부의 중심부에는 가동 코어(9)의 상부 소 직경부(9a)의 관통을 허용하는 원형의 제 2 관통 구 부(8a)가 마련되며, 제 2 관통 구 부(8a)를 사이에 두고 일 측과 타 측에는 서포터(7)를 사이에 끼워 넣어 지지는 한 쌍의 지지 돌 부(8b)가 구비된다.A circular second through hole 8a for allowing the upper small diameter portion 9a of the movable core 9 to pass therethrough is provid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steel plate 8 and the second through hole portion 8a And a pair of supporting protrusions 8b sandwiching the supporter 7 therebetween are provide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가동 코어(9)는 철심으로서 상술한 여자코일 어셈블리(4)가 여자되었을 때 여자코일 어셈블리(4)의 바닥 부 측으로 자기 흡인력에 의해 이동하고, 여자코일 어셈블리(4)가 소자되었을 때 상술한 복귀 스프링(3)의 탄성력에 의해서 여자코일 어셈블리(4)의 바닥 부로부터 멀어지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The movable core 9 is moved as magnetic cores to the bottom side of the excitation coil assembly 4 when the excitation coil assembly 4 described above is excited as an iron core and the above described return when the excitation coil assembly 4 is demagnetized Is movable to a position away from the bottom of the excitation coil assembly (4)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

가동 코어(9)는 원통형의 미리 결정된 직경을 갖는 철심 몸체 부와, 해당 몸체 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게 연장형성되는 소 직경 부로서 제 2 결합 돌 부(9a)를 포함한다.The movable core 9 includes an iron core body having a cylindrical predetermined diameter and a second engagement protrusion 9a as a small diameter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to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커패시터(capacitor, 미 도시)에 병렬로 접속되는 정상 폐로 접점(b접점) 스위치로서, 상기 여자 코일 어셈블리의 코일에 공급되는 전력의 공급 경로를 상기 커패시터를 통해 낮은 전력이 공급되도록 만들어주는 마이크로 스위치(미도시)에 대해서, 해당 마이크로 스위치의 작동 레버를 눌러 마이크로 스위치의 내부 접점의 개방 또는 폐로에 따라 상기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으로서, 작동 자(10)가 제공된다. A normally closed contact (b contact) switch connected in parallel to a capacitor (not shown), comprising: a micro switch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to a coil of the excitation coil assembly through a capacitor An actuator 10 is provided as means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in response to opening or closing of an internal contact of a microswitch by pressing an operation lever of the microswitch.

작동 자(10)는 예컨대 고무 재로 제작될 수 있고 상부 및 하부보다 직경이 작은 허리 부를 가질 수 있으며, 해당 허리 부를 강판(8)의 상기 지지 홈 부에 끼워 강판(8)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operator 10 can be made of, for example, a rubber material and can have a waist portion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and can be supported by the steel plate 8 by fitting the waist portion to the support groove portion of the steel plate 8 .

결합 박판(11)은 얇은 강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포터(7)의 양 결합 박판 지지구 부(7a)를 가로지르게 설치된다.The joining thin plate 11 may be composed of a thin steel plate, and is installed across the joining thin plate support portions 7a of the supporter 7.

양 결합 박판 지지구 부(7a)를 관통한 결합 박판(11)의 양 단부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크로스바(12)의 양 결합 돌 부에 마련된 슬릿(SLIT) 홈 부(12a-1)에 끼워져, 크로스바(12)와 가동코어 어셈블리를 결합시킨다.Both end portions of the joining thin plate 11 penetrating through the both connecting thin plate support portions 7a are slit groove portions 12a-1 provided in both coupling protrusions of the cross bar 12 as shown in Fig. So that the crossbar 12 and the movable core assembly are engaged with each other.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가동 코어 어셈블리는 크로스바와 결합되어 가동 코어 어셈블리를 위치 고정해주는 부분이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강판(8)의 한 쌍의 지지 돌 부(8b)와, 결합 박판(11)의 2부분만이므로, 전자 접촉기의 개폐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가동 코어 어셈블리로 인해서 위치 고정이 불량해질 수 있다.However, the movable core assembly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is constructed such that a portion of the movable core assembly, which is coupled with the cross bar and fixes the movable core assembly, is supported by a pair of support protrusions 8b of the steel plate 8, And the joining thin plate 11, the position fixing can be poor due to the movable core assembly moving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이러한 가동 코어 어셈블리의 위치 고정 불량은 가동 코어 어셈블리의 유동으로 인해 자로(磁路)의 변경, 소음, 접점이 접촉/이탈을 진동하는 채터링(chattering) 현상의 발생,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작동 실패로 인한 코일의 소손발생 등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The position fixation failure of the movable core assembly is caused by the change of the magnetic path due to the flow of the movable core assembly, noise, occurrence of chattering phenomenon where the contact vibrates contact / departure, Which may cause problems such as burn-out of the coil due to heat.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동 코어 어셈블리의 위치 고정을 보다 확고히 보장할 수 있는 전자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vable core and a crossbar assembly of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capable of more firmly securing the position fixation of the movable core assembly.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에 있어서,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vable core and a crossbar assembly of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상부에 가동 접점을 지지하는 부분을 가지며, 저 면에 한 쌍의 제 1 결합 돌 부를 가지는 크로스바(CROSSBAR);A crossbar having a portion for supporting the movable contact on the upper side and a pair of first engagement protrusions on the lower surface;

상부에 제 2 결합 돌 부를 갖는 가동 코어;A movable core having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at an upper portion thereof;

상기 제 2 결합 돌 부가 관통하도록 허용하는 제 1 관통 구 부를 구비하며, 상부 면에 상기 제 1 결합 돌부에 대응하게 상방으로 돌출하게 마련되어 상기 크로스바의 제 1 결합 돌 부를 위치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 돌 부를 갖는 강판; 및And a pair of fixing projection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so as to protrude upward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s and to fix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s of the crossbars in position, A steel plate having a portion; And

중심부에 상기 제 2 결합 돌 부가 관통하도록 허용하는 제 2 관통 구 부와, 중앙 몸체 부와 상기 중앙 몸체 부의 양 단 부로부터 절곡 연장 형성되고 각각 제 3 관통구 부를 갖는 한 쌍의 절곡 부를 구비하는 서포터(SUPPORTER); 및And a pair of bending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central body portion and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central body portion and each having a third through-hole portion, wherein the second through- (SUPPORTER); And

상기 서포터의 제 3 관통구 부에 양 단 부가 관통하게 끼워지며, 상기 크로스바의 제 1 결합 돌 부에 형성된 삽입 홈 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 편(COUPLING PIECE);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And a coupling piece inserted into the third through hole of the supporter so as to penetrate both ends of the supporter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of the crossbar, Lt; RTI ID = 0.0 > crossbar < / RTI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한 쌍의 고정 돌 부는 각각 결합 동작시 상기 크로스바의 제 1 결합 돌 부를 안내하는 경사면 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fixing protrusions each include an inclined surface portion for guiding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of the cross bar in the engaging oper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한 쌍의 고정 돌 부는, 각각 결합 동작시 상기 크로스바의 제 1 결합 돌 부를 안내하는 경사면 부와, 상기 크로스바의 제 1 결합 돌 부의 일면을 걸어 정지시키는 정지면 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fixing protrusions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portion for guiding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of the cross bar in the engaging operation, a stop portion for stopping the one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of the cross bar, And a surface por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경사면 부는 수평면에 대해서 제 1 경사각을 가지며,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ope portion has a first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상기 정지면 부는 상기 경사면 부의 제 1 경사각보다 큰 제 2 경사각을 가진다.The stop surface portion has a second inclination angle larger than the first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크로스바와 결합할 때 상기 한 쌍의 제 1 결합 돌 부에 억지 끼움으로 상기 제 1 결합 돌 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서포터는 일 측의 양 단 부간 폭이 타 측 양 단 부간 폭보다 크게 형성된 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ross bar is engaged with the cross bar, the supporter has a width between both ends of one sid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s by interference with the pair of first engaging projections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between the other ends.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는 크로스바의 제 1 결합 돌 부에 대응하게 강판의 상부 면에 상기 제 1 결합 돌 부를 위치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 돌 부가 구비되므로, 상기 고정 돌 부와 제 1 결합 돌 부의 결합에 의해서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가 확고히 결합되어 가동 코어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가동 코어 어셈블리의 유동으로 인한 자로의 변경, 소음, 접점이 접촉/이탈을 진동하는 채터링(chattering) 현상의 발생,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작동 실패로 인한 코일의 소손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movable core and the crossbar assembly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with a pair of fixed protrusions for fixing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l plat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of the cross bar, The movable core and the cross bar are firmly coupled with each other by the engagement of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and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thereby fixing the position of the movable core. Thus, chattering, noise, ) Phenomenon and the burn-out of the coil due to the failure of the micro-switch to operate can be prevented.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 돌 부는 경사면 부를 포함하므로, 결합 동작시 상기 크로스바의 제 1 결합 돌 부를 안내하여 결합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movable core and the cross bar assembly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air of fixing protrusions includes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of the cross bar is guided during the engaging operation, Effect can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 돌 부는 경사면 부와 정지면 부를 포함하므로, 각각 결합 동작시 상기 크로스바의 제 1 결합 돌 부를 안내할 수 있고, 상기 크로스바의 제 1 결합 돌 부의 일면을 걸어 정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movable core and the crossbar assembly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air of fixed protrusions include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and the stop surface portion,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of the cross bar can be guided during the engaging oper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one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of the engaging member can be stopped by stopping.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 부는 수평면에 대해서 제 1 경사각을 가지며, 상기 정지면 부는 상기 경사면 부의 제 1 경사각보다 큰 제 2 경사각을 가지므로, 비교적 완만한 제 1 경사각을 가진 경사면 부로는 크로스바의 제 1 결합 돌 부를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의 결합 동작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고, 경사가 급한 제 2 경사각을 가진 정지면 부로는 크로스바의 제 1 결합 돌 부를 걸어 정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movable core and the crossbar assembly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has a first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stop surface portion has the second inclination angle larger than the first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plane portion, The inclined face portion having one inclination angle can smoothly guide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portion of the cross bar in the coupling operation of the movable core and the cross bar, and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portion of the cross bar is suspended by the stop face portion having the second inclination ang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hat can be achieved.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일 측의 양 단 부간 폭이 타 측 양 단 부간 폭보다 크게 형성된 구성을 가지므로, 상기 크로스바와 결합할 때 상기 한 쌍의 제 1 결합 돌 부에 억지 끼움으로 상기 제 1 결합 돌 부에 접촉하여 크로스바와 가동코어의 결합이 더욱 확고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movable core and the crossbar assembly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width between both ends of one side is larger than the width between both ends of the other side. Therefore,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by interference with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crossbar and the movable core can be further strengthened.

도 1은 종래기술 또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전자 접촉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 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 또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전자 접촉기에 있어서 여자코일 부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며,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의 조립 상태 사시 도이고,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중 가동 코어용 강판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중 크로스바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 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중 크로스바의 전체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 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 중 가동 코어 어셈블리만에 대한 횡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에 대한 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 중 강판의 고정 돌 부 구성을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art or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xcitation coil section circuit configuration in a prior art or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ed state of the movable core assembly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vable core assembly of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movable core for a movable core in a movable core and a crossbar assembly of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a crossbar of a movable core and a crossbar assembly of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outline of a crossbar of a movable core and a crossbar assembly of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of a movable core and a crossbar assembly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movable core and a crossbar assembly of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ide view of a movable core and a crossbar assembly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movable core and a crossbar assembly of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ly a movable core assembly of a movable core and a crossbar assembly of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vable core and a crossbar assembly of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xed protrusion of a steel sheet among a movable core and a crossbar assembly of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과 이를 달성하는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의 작용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서 좀 더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5 내지 도 9 및 도 12를 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movable core and the crossbar assembly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9 and FIG.

또한 보조적으로 도 1 내지 도 4를 보조적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4를 보조적으로 참조하여 설명하는 이유는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을 제외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 및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의 구성을 참조할 수 있기 때문이며, 예를들어 종래기술에 대해서 전술한 가동 코어(9), 서포터(7), 작동 자(10) 및 결합 편(11)은 본 발명에 있어서 그 구성에 변동이 없어 이들에 대해서 전술한 종래기술의 도면 및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종래기술 대비 구성상 변동이 없는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간략히 설명하거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1 to 4 are supplement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components other than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of the prior art magnetic contactor, movable core, and crossbar assembly The movable core 9, the supporter 7, the actuator 10 and the coupling piece 11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prior art, for example, are not chang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se can be referred to the drawings and description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constituent elements which are not structurally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will be briefly described or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order to avoid redundanc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는 크로스바(CROSSBAR)(12), 가동 코어(9), 강판((8), 서포터(SUPPORTER)(7) 및 결합 편(COUPLING PIECE)(11)을 포함한다.The movable core and the crossbar assembly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with a crossbar 12, a movable core 9, a steel plate 8, a supporter 7, PIECE).

크로스바(12)는 상부에 가동 접점(도 8에서 상부의 스프링에 의해서 눌려지는 부분 참조)을 지지하는 부분(도 7 및 도 8에서 상부의 4개의 상하로 길게 형성된 개략 사각 홈 부 참조)을 가지며, 저 면에 한 쌍의 제 1 결합 돌 부(12a)를 가진다.The crossbar 12 has a portion for supporting the movable contact (see the portion pressed by the upper spring in Fig. 8) at the upper portion (see the upper four rectangular upper and lower rectangular recesses in Figs. 7 and 8) And a pair of first engagement protrusions 12a on the bottom face.

한 쌍의 제 1 결합 돌 부(12a)는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마주 보게 마련되며, 마주 보는 면에 슬릿(SLIT) 홈 부(12a-1)가 수평방향을 따라 일 단은 개방되고 타 단은 막혀 있게 형성된다.6 to 7, the pair of first engagement protrusions 12a are provided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a slit groove portion 12a-1 is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ne end is open and the other end is blocked.

한 쌍의 슬릿 홈 부(12a-1)간 간격은 이들 슬릿 홈 부(12a-1)가 결합 편(11)을 끼워 지지하기 위한 부분이므로 결합 편(11)의 길이에 따라 결정된다.The gap between the pair of slit groove portions 12a-1 is determined by the length of the engagement piece 11 since these slit groove portions 12a-1 are portions for holding the engagement piece 11 therebetween.

크로스바(12)는 예컨대 교류 3상의 상 별로 마련되는 복수의 상기 가동 접점들을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전자접촉기 내에서 가동 코어 어셈블리(도 1의 부호 2가 지시하는 부분 또는 도 4의 구성부품들 참조)와 결합되어 함께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The crossbar 12 is a means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movable contacts provided for each phase of an AC three-phase, for example, in which the movable core assembly (see the part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2 in Fig. 1 or the constituent parts in Fig. And are movable toge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여기서 가동 코어 어셈블리는 상기 가동 코어(9), 강판((8), 서포터(7) 및 결합 편(11)을 포함하게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movable core assembly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movable core 9, the steel plate (8), the supporter 7, and the coupling piece 11.

가동 코어(9)는 도 3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에 제 2 결합 돌 부(9a)를 갖는다.The movable core 9 has a second engagement protrusion 9a on its upper portion as can be seen in Fig.

가동 코어(9)는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철심으로서 상술한 여자코일 어셈블리(도 1의 부호 4 참조)가 여자되었을 때 상기 여자코일 어셈블리의 바닥 부 측으로 자기 흡인력에 의해 이동하고, 상기 여자코일 어셈블리가 소자되었을 때 상술한 복귀 스프링(3)의 탄성력에 의해서 여자코일 어셈블리(4)의 바닥 부로부터 멀어지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The movable core 9 is moved by the magnetic attractive force toward the bottom side of the excitation coil assembly when the excitation coil assembly described above as the iron core (see reference numeral 4 in FIG. 1) is energized as described above in the description of the prior art, Is movable to a position away from the bottom of the excitation coil assembly (4)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3) described above when the excitation coil assembly is disassembled.

가동 코어(9)는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미리 결정된 직경을 갖는 철심 몸체 부와, 해당 몸체 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게 연장형성되는 소 직경 부로서 제 2 결합 돌 부(9a)를 포함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movable core 9 includes an iron core body having a cylindrical predetermined diameter as described above in the description of the prior art, and a small diameter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to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And a portion 9a.

강판(8)은 도 5에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결합 돌 부(9a)가 관통하도록 허용하는 제 1 관통 구 부(8a)를 구비하며, 상부 면에 상기 제 1 결합 돌부(12a)에 대응하게 상방으로 돌출하게 마련되어 상기 크로스바(12)의 제 1 결합 돌 부(12a)를 위치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 돌 부(8c)를 갖는다.5, the steel plate 8 has a first through hole 8a for allowing the second joining protrusion 9a to pass therethrough, and the first joining protrusion 12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l plate 8, And a pair of fixing protrusions 8c protruded upward correspondingly to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s 12a of the cross bar 12 to fix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s 12a.

도 12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고정 돌 부(8c)는 각각 결합 동작시 상기 크로스바(12)의 제 1 결합 돌 부(12a)를 안내하는 경사면 부(8c-1)를 포함한다.12, the pair of fixed protruding portions 8c are each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portion 8c-1 for guiding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12a of the cross bar 12 .

또한 상기 한 쌍의 고정 돌 부(8c)는 상기 크로스바(12)의 제 1 결합 돌 부(12a)의 일면을 걸어 정지시키는 정지면 부(8c-2)를 포함한다. The pair of fixed protrusions 8c includes a stop surface portion 8c-2 for stopping one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12a of the cross bar 12 to stop.

상기 경사면 부(8c-1)는 수평면에 대해서 제 1 경사각(α)을 가지며, 상기 정지면 부(8c-2)는 상기 경사면 부(8c-1)의 제 1 경사각(α)보다 큰 제 2 경사각(β)을 가진다.The slope portion 8c-1 has a first inclination angle alpha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stopper portion 8c-2 has a second inclination angle alpha greater than the first inclination angle alpha of the slope portion 8c- And has an inclination angle beta.

강판(8)은 한 쌍의 지지 돌 부(8b-1,8b-2)를 포함하며, 해당 한 쌍의 지지 돌 부(8b-1,8b-2)사이에 서포터(7)가 끼워져 지지된다.The steel plate 8 includes a pair of support protrusions 8b-1 and 8b-2, and a supporter 7 is inserted and support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 protrusions 8b-1 and 8b-2 .

또한 강판(8)은, 전술한 마이크로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해당 마이크로 스위치의 수직방향 상 마주보는 위치에 작동 자(10)를 설치하기 위해서 강판(8)의 주 몸체 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작동 자 지지판 부(8e)를 더 포함한다.Further, the steel plate 8 is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main body of the steel plate 8 in order to install the operator 10 at a position facing the micro switch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operate the above-mentioned micro switch And an operator support plate portion 8e.

상기 작동 자 지지판 부(8e)는 전방 단 부에 작동 자(10)의 허리 부분을 끼워 지지하는 작동 자 지지 홈 부(8e1)를 구비한다.The operator support plate portion 8e has an operator support groove portion 8e1 for supporting the waist portion of the operator 10 at the front end thereof.

서포터(7)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서포터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The supporter 7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support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따라서 서포터(7)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심부에 상기 가동 코어의 제 2 결합 돌 부(9a)가 관통하도록 허용하는 제 2 관통 구 부(7b)와, 중앙 몸체 부와 상기 중앙 몸체 부의 양 단 부로부터 절곡 연장 형성되고 각각 제 3 관통구 부(7a)를 갖는 한 쌍의 절곡 부를 구비한다.3 to 4, the supporter 7 includes a second through-hole 7b for allowing the second engaging protrusion 9a of the movable core to pass therethrough, And a pair of bent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central body portion and having third through holes 7a.

결합 편(11)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결합 편(1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The engaging piece 11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engaging piece 11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따라서 결합 편(11)은 도 4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서포터(7)의 제 3 관통구 부(7a)에 양 단 부가 관통하게 끼워지며, 상기 크로스바(12)의 제 1 결합 돌 부(도 6의 부호 12a)에 형성된 삽입 홈 부(도 6의 부호 12a-1)에 끼워져 결합되는 수단이다.4, both ends of the engaging piece 11 are inserted into the third through-hole 7a of the supporter 7, and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12a of the cross bar 1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2a-1 in Fig. 6) formed in the insertion groove (reference numeral 12a in Fig. 6).

결합 편(11)은 탄성을 갖도록 금속 재 박 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joining piece 11 may be made of a metal foil to have elasticity.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 중 가동 코어 어셈블리 만에 대한 횡단면도인 도 10과,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에 대한 횡단면도인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10,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ly the movable core assembly of the movable core and the crossbar assembly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vable core and the crossbar assembly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movable core and the crossbar assembly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는 전술한 일 실시 예와 차이점을 서포터(7)의 구성에서만 찾을 수 있다. 따라서 해당 부분 이외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The movable core and the crossbar assembly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0 to 11 can be found only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er 7,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one embodiment.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other than the corresponding portions will be omitted in order to avoid redundancy.

즉, 전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서포터는 일 측의 양 단 부간 폭이 타 측 양 단 부간 폭과 같도록 형성된 데 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에 있어서 서포터(7)는 일 측의 양 단 부간 폭(w1)이 타 측 양 단 부간 폭(w2)보다 크게 형성된 것이 차별적 구성 특징이다.That is, the support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formed such that the width between both ends of one side is the same as the width between the other ends, while the supporting core and the crossbar assembly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upporter 7 is a distinctive feature that the width w1 between both ends of one side is larger than the width w2 between the other sides.

따라서 가동 코어 어셈블리를 크로스바(12)에 결합할 때, 서포터(7) 중 양 단 부간 폭이 w1으로서 큰 측이 크로스바(12)의 상기 한 쌍의 제 1 결합 돌 부(12a)에 억지 끼움으로 접촉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movable core assembly is coupled to the crossbar 12, the larger side of the width of the supporter 7 as w1 is constrained to the pair of first engagement protrusions 12a of the crossbar 12 .

이러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전술한 일 실시 예의 구성이 없이 독립적으로 전자접촉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서 전술한 일 실시 예에 부가적으로 전자접촉기에 적용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is alternative embodiment can be applied independently to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without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an be a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의 조립 동작을 도 3, 도 5 내지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0042] An assembling operation of the movable core and the crossbar assembly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ly preferred embodiment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5 to 9 and 12. Fig.

먼저, 도 3 및 도 5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동 코어 어셈블리의 조립체를 준비한다.First, as shown in FIGS. 3 and 5, an assembly of a movable core assembly is prepared.

이러한 가동 코어 어셈블리의 조립체는 다음과 같이 얻어질 수 있다.The assembly of such movable core assemblies can be obtained as follow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강판(8)을 준비한 상태에서, 강판(8)의 제 1 관통 구 부(8a)를 통해 가동 코어(9)의 제 2 결합 돌 부(9a)를 관통시켜 가동 코어(9)의 제 2 결합 돌 부(9a)의 상단부가 상부로 노출되게 한다.The second engaging protrusion 9a of the movable core 9 is passed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8a of the steel plate 8 in the state of preparing the steel plate 8 as shown in Fig.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engagement protrusion 9a of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9 is exposed upward.

다음, 서포터(7)를 강판(8) 및 가동 코어(9)와 결합시키는 과정으로, 서포터(7)의 상기 중앙 몸체 부를 한 쌍의 지지 돌 부(8b) 사이에 끼움과 동시에 서포터(7)의 제 1 관통 구 부(도 4의 부호 7b 참조)에 가동 코어(9)의 제 2 결합 돌 부(9a)를 끼워 넣는다.Next, the central body of the supporter 7 is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 protrusions 8b, and at the same time, the supporter 7 is joined to the steel plate 8 and the movable core 9, The second engaging protrusion 9a of the movable core 9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hole of the movable core 9 (refer to 7b in Fig. 4).

다음, 서포터(7)의 한 쌍의 절곡 부에 마련된 제 3 관통구 부(7a)에 결합 편(11)의 양 단부가 관통하도록 끼워 넣는다.Next, both end portions of the engaging piece 11 are inserted into the third through-hole portion 7a provided in the pair of bent portions of the supporter 7 so as to penetrate.

다음, 작동 자(10)의 허리 부를 강판(8) 중 작동자 지지 판부(8e)의 작동자 지지 홈 부(8e1)에 끼워 지지시킴으로써 가동 코어 어셈블리의 조립체가 완성된다. 상기 허리 부의 상부 및 하부는 그 직경이 작동자 지지 홈 부(8e1)의 지지 홈 부의 직경보다 크므로, 일단 상기와 같이 끼워 지지시킨 후에는 끼울 때와 반대방향으로 강제로 큰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작동 자(10)가 강판(8)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Next, the assembly of the movable core assembly is completed by holding the waist portion of the operator 10 in the operator support groove portion 8e1 of the operator support plate portion 8e of the steel plate 8. [ Since the diameter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waist portion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pport groove portion of the operator retaining groove portion 8e1, once it is fitted as described above, unless a large external force is forcibly appli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tting , The operator 10 does not separate from the steel plate 8.

이와 같이 가동 코어 어셈블리를 준비한 상태에서, 가동 코어 어셈블리와 크로스바(12)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movable core assembly and the cross bar 12 in the state where the movable core assembly is prepa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8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동 코어 어셈블리중 작동 자(10)가 전방에서 보이는 자세로, 가동 코어 어셈블리중 서포터(7)의 상기 한 쌍의 절곡 부가 크로스바(12)의 한 쌍의 제 1 결합 돌 부(12a) 사이에 위치하도록 함과 동시에 결합 편(11)의 양 단부를 크로스바(12)의 한 쌍의 슬릿 홈 부(12a-1)에 끼워지도록, 가동 코어 어셈블리의 상부를 크로스바(12)의 한 쌍의 제 1 결합 돌 부(12a) 사이로 밀어 넣는다.8, in the posture of the movable core assembly, the pair of bends of the supporter 7 among the movable core assemblies are paired with the pairs of the cross bars 12 1 of the cross bar 12 so that both ends of the engaging piece 11 are fitted in the pair of slit groove portions 12a-1 of the cross bar 12, Into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first engaging projections 12a of the engaging portion 12.

이때 크로스바(12)의 한 쌍의 제 1 결합 돌 부(12a)는 강판(8)의 한 쌍의 고정 돌 부(8c) 중 각각의 경사면 부(8c-1)를 타고 넘어 제 1 결합 돌 부(12a)중 도면상 보이지 않는 후단 수직면이 고정 돌 부(8c) 중 정지면 부(8c-2)에 걸려 정지함에 의해서 가동 코어 어셈블리와 크로스바(12)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ir of first engaging projections 12a of the cross bar 12 ride over the respective inclined face portions 8c-1 of the pair of fixed projections 8c of the steel plate 8, The rear vertical surface of the movable core assembly 12a, which is not seen in the drawing, is caught by the stop surface portion 8c-2 of the fixed protruding portion 8c and is stopped to complete the assembly of the movable core assembly and the crossbar 12. [

또한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의 구성이 적용된 경우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movable core and the crossbar assembly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0 to 11 will be described.

상술한 바와 같이 가동 코어 어셈블리가 준비된 상태에서, 도 8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동 코어 어셈블리중 작동 자(10)가 전방에서 보이는 자세로, 가동 코어 어셈블리중 서포터(7)의 상기 한 쌍의 절곡 부가 크로스바(12)의 한 쌍의 제 1 결합 돌 부(12a) 사이에 위치하도록 함과 동시에 결합 편(11)의 양 단부를 크로스바(12)의 한 쌍의 슬릿 홈 부(12a-1)에 끼워지도록, 가동 코어 어셈블리의 상부를 크로스바(12)의 한 쌍의 제 1 결합 돌 부(12a) 사이로 밀어 넣는다.8, in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core assembly is prepa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8, the actuator 10 of the movable core assembly is positioned in a posture in which the pair of movable core assemblies 12b of the cross bar 12 so that the bent portions of the engaging pieces 11 are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first engaging projections 12a of the cross bar 12,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core assembly is pushed into between the pair of first engaging projections 12a of the crossbar 12. [

이때 도 11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서포터(7) 중 일 측의 양 단 부간 폭이 w1으로서 큰 측이 크로스바(12)의 상기 한 쌍의 제 1 결합 돌 부(12a)에 억지 끼움으로 접촉하면서, 가동 코어 어셈블리와 크로스바(12)가 견고히 결합된다. 이에 의해서 가동 코어 어셈블리와 크로스바(12)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11, the larger side of the one end of the supporter 7 as w1 is constrained to the pair of first engagement protrusions 12a of the crossbar 12 The movable core assembly and the crossbar 12 are firmly coupled. Assembly of the movable core assembly and the crossbar 12 can be comple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는 크로스바의 제 1 결합 돌 부에 대응하게 강판의 상부 면에 상기 제 1 결합 돌 부를 위치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 돌 부가 구비되므로, 상기 고정 돌 부와 제 1 결합 돌 부의 결합에 의해서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가 확고히 결합되어 가동 코어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가동 코어 어셈블리의 유동으로 인한 자로의 변경, 소음, 접점이 접촉/이탈을 진동하는 채터링(chattering) 현상의 발생,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작동 실패로 인한 코일의 소손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core and the cross bar assembly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with a pair of fixed stones for positioning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l plat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of the cross bar, The movable core and the cross bar are firmly coupled by the engagement of the fixed protrusion and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so that the position of the movable core is fixed so that the change of the magnetic core due to the flow of the movable core assembly, Occurrence of a chattering phenomenon that oscillates the deviation, and burnout of the coil due to failure of operation of the microswitch can be prevented.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일 측의 양 단 부간 폭이 타 측 양 단 부간 폭보다 크게 형성된 구성을 가지므로, 상기 크로스바와 결합할 때 상기 한 쌍의 제 1 결합 돌 부에 억지 끼움으로 접촉하여 크로스바와 가동코어의 결합이 더욱 확고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movable core and the crossbar assembly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width between both ends of one side is larger than the width between both ends of the other side.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ngagement between the crossbar and the movable core can be more firmly established by making interference with the first engagement protrusion.

1: 상부 프레임(UPPER FRAME) 2: 가동 코어 어셈블리
3: 복귀 스프링 4: 여자코일 어셈블리
4a: 코일(COIL) 4b: 다이오드 브릿지(diode bridge)
4c: 마이크로 스위치 4d: 캐패시터
5: 하부 프레임(LOWER FRAME) 7: 서포터
7a: 제 3 관통 구 부 7b: 제 2 관통 구 부
8: 강판 8a: 제 1 관통 구 부
8b: 지지 돌 부 8b-1, 8b-2: 한 쌍의 지지 돌 부
8c: 고정 돌 부 8c-1: 경사면 부
8c-2: 정지면 부 8e: 작동 자 지지판 부
8e1: 작동 자 지지 홈 부 9: 가동 코어
9a: 제 2 결합 돌 부 10: 작동 자
11: 결합 편 12: 크로스바
12a: 제 1 결합 돌 부 12a-1: 슬릿 홈 부
1: UPPER FRAME 2: Movable core assembly
3: return spring 4: excitation coil assembly
4a: coil (COIL) 4b: diode bridge
4c: Microswitch 4d: Capacitor
5: Lower frame (LOWER FRAME) 7: Supporter
7a: Third through-hole part 7b: Second through-
8: steel plate 8a: first through-
8b: Support protrusions 8b-1, 8b-2: A pair of support protrusions
8c: Fixed protrusion 8c-1: Slope part
8c-2: stop surface portion 8e: operator support plate portion
8e1: actuator supporting groove portion 9: movable core
9a: second coupling protrusion 10: actuator
11: Coupling piece 12: Crossbar
12a: first coupling protrusion 12a-1: slit groove portion

Claims (5)

전자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부에 가동 접점을 지지하는 부분을 가지며, 저 면에 한 쌍의 제 1 결합 돌 부를 가지는 크로스바(CROSSBAR);
상부에 제 2 결합 돌 부를 갖는 가동 코어;
상기 제 2 결합 돌 부가 관통하도록 허용하는 제 1 관통 구 부를 구비하며, 상부 면에 상기 제 1 결합 돌부에 대응하게 상방으로 돌출하게 마련되어 상기 크로스바의 제 1 결합 돌 부를 위치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 돌 부를 갖는 강판; 및
중심부에 상기 제 2 결합 돌 부가 관통하도록 허용하는 제 2 관통 구 부와, 중앙 몸체 부와 상기 중앙 몸체 부의 양 단 부로부터 절곡 연장 형성되고 각각 제 3 관통구 부를 갖는 한 쌍의 절곡 부를 구비하는 서포터(SUPPORTER); 및
상기 서포터의 제 3 관통구 부에 양 단 부가 관통하게 끼워지며, 상기 크로스바의 제 1 결합 돌 부에 형성된 삽입 홈 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 편(COUPLING PIECE);을 포함하는 전자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
In a movable core and a crossbar assembly of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 crossbar having a portion for supporting the movable contact on the upper side and a pair of first engagement protrusions on the lower surface;
A movable core having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pair of fixing projection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so as to protrude upward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s and to fix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s of the crossbars in position, A steel plate having a portion; And
And a pair of bending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central body portion and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central body portion and each having a third through-hole portion, wherein the second through- (SUPPORTER); And
And a coupling piece inserted into the third through-hole of the supporter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of the cross bar, Crossbar assemb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 돌 부는 각각 결합 동작시 상기 크로스바의 제 1 결합 돌 부를 안내하는 경사면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ir of fixing protrusions each include an inclined surface portion for guiding the first engagement protrusion of the cross bar in a coupling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 돌 부는,
각각 결합 동작시 상기 크로스바의 제 1 결합 돌 부를 안내하는 경사면 부와,
상기 크로스바의 제 1 결합 돌 부의 일면을 걸어 정지시키는 정지면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ir of fixed projections
An inclined surface portion for guiding the first engagement protrusion of the cross bar in a coupling operation,
And a stop surface portion for stopping one surface of the first engagement protrusion of the cross bar by stopping 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 부는 수평면에 대해서 제 1 경사각을 가지며,
상기 정지면 부는 상기 경사면 부의 제 1 경사각보다 큰 제 2 경사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has a first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Wherein the stop surface portion has a second inclination angle larger than the first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와 결합할 때 상기 한 쌍의 제 1 결합 돌 부에 억지 끼움으로 상기 제 1 결합 돌 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서포터는 일 측의 양 단 부간 폭이 타 측 양 단 부간 폭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가동 코어와 크로스바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er is formed such that the width of one end of the supporter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other end of both ends when the crossbar is engaged with the crossbar, Characterized by the movable core and crossbar assembly of a magnetic contactor.
KR1020150181240A 2015-12-17 2015-12-17 Movable core and crossbar assembly for magnetic contactor KR1023497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240A KR102349750B1 (en) 2015-12-17 2015-12-17 Movable core and crossbar assembly for magnetic conta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240A KR102349750B1 (en) 2015-12-17 2015-12-17 Movable core and crossbar assembly for magnetic conta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725A true KR20170072725A (en) 2017-06-27
KR102349750B1 KR102349750B1 (en) 2022-01-11

Family

ID=59514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240A KR102349750B1 (en) 2015-12-17 2015-12-17 Movable core and crossbar assembly for magnetic conta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75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7921A (en) * 1998-08-10 2000-02-25 Fuji Electric Co Ltd Electromagnetic contact
KR101006320B1 (en) * 2008-12-10 2011-01-1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Construction of a relay for controlling flow of the high voltage electric current
KR101090501B1 (en) * 2010-10-15 2011-12-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Moving part of electromagnetic switch
KR101513207B1 (en) * 2013-11-08 2015-04-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Magnetic contactor
KR101529589B1 (en) * 2013-12-19 2015-06-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Magnetic contac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7921A (en) * 1998-08-10 2000-02-25 Fuji Electric Co Ltd Electromagnetic contact
KR101006320B1 (en) * 2008-12-10 2011-01-1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Construction of a relay for controlling flow of the high voltage electric current
KR101090501B1 (en) * 2010-10-15 2011-12-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Moving part of electromagnetic switch
KR101513207B1 (en) * 2013-11-08 2015-04-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Magnetic contactor
KR101529589B1 (en) * 2013-12-19 2015-06-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Magnetic cont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750B1 (en)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7351B2 (en) Relay with two oppositely actuable switches
KR101406357B1 (en) Contact apparatus
JP5385877B2 (en) electromagnetic switch
JP5014842B2 (en) relay
JP6274229B2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contactor using the same
JP2012022982A (en) Contact device
US11257646B2 (en) Contact device, electromagnetic relay, and electrical device
US8373525B2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US7994883B2 (en) Electromagnetic relay
JP6471678B2 (en) Contact piece unit and relay
JP2018006209A (en) Electromagnetic relay
JP4889587B2 (en) Electromagnetic relay
JP2014102894A (en) Contact mechanism and electromagnetic contactor using the same
JP7380029B2 (en) relay
KR20170072725A (en) Movable core and crossbar assembly for magnetic contactor
KR101503316B1 (en) Magnetic contactor
TWI277994B (en) Electromagnetic relay
JP5529658B2 (en) Contact device
JP4289301B2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1247122B1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KR200439910Y1 (en) The relay
US3277409A (en) Electromagnetic relay assembly having a flat coil and whose armature assembly is formed with a deformable stem
JP2015220181A (en) Contact device
KR200489019Y1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KR102518886B1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